[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www.youtube.com/watch?v=A2pWt88vMVQ&t=34s]
3.
다음 중 유형자산 취득 후의 지출과 관련하여 성격이 다른 것은?
1.
건물의 엘리베이터 설치
2.
건물의 외벽 도색작업
3.
파손된 타일의 원상회복을 위한 수선
4.
보일러 부속품의 교체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건물의 엘리베이터 설치는 자본적 지출에 해당함. 나머지는 수익적 지출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건물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것을 건물의 가치를 상승시키는 자본적 지출이고 나머지 사항들은 자산, 비품 등의 가치를 원상복구 시키기 위한 수익적 지출이다 [해설작성자 : 킨드레드]
건물의 벗겨진 도색을 원래 색으로 다시 칠하는 경우와 보일러의 망가진 부속품을 같은 종류의 동일 부속품으로 교체하는 경우는 확실히 가치를 복구하는 경우가 되겠지만, 도색을 다른 색이나 디자인으로 바꾸거나 부속품을 더 좋은 성능의 신품으로 바꾸는 경우에는 가치 상승의 경우라고 생각함. 보기 3번의 '파손된' 타일의 경우처럼, 자산 및 비품에 가치 감소가 있었고 이를 수복하는 경우가 됨을 명확히 알 수 있게 각 보기의 경우를 보정하는 게 맞다고 생각함. [해설작성자 : 배배꼬임]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www.youtube.com/watch?v=A2pWt88vMVQ&t=121s]
4.
다음 중 무형자산과 관련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내부 창출된 무형자산이 인식기준에 부합하는지 평가하기 위해 연구단계와 개발단계로 구분한다.
2.
산업재산권, 저작권, 개발비 등이 대표적이며 사업결합에서 발생한 영업권은 포함하지 않는다.
3.
물리적 형체는 없지만 식별가능하고, 기업이 통제하고 있으며, 미래경제적 효익이 있는 비화폐성 자산이다.
4.
내부 프로젝트를 연구단계와 개발단계로 구분할 수 없는 경우 모두 연구단계에서 발생한 것으로 본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무형자산은 산업재산권, 저작권, 개발비 등과 사업결합에서 발생한 영업권에 포함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www.youtube.com/watch?v=A2pWt88vMVQ&t=188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