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야하면 철 [정답] 2. 위만조선 3. 옥저 4. 신라 5. 고구려 고국천왕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애]
부연 설명) -가야: 덩이쇠(철판 갑옷, 금동관) / [김해] 대성동 고분(금관가야), [고령] 지산동 고분(대가야) / 수레 토기 (일본에서 영향을 받아 스에키 토기가 나온다. 참고로, '스에'가 우리말의 쇠에서 전래된 거라는 주장이 있다.) 1. 철정 또는 덩이쇠는 변한, 진한과 삼국시대 가야, 백제에서 사용했던 화폐로, 일정한 크기로 주조한 판형 철괴이다. 변한 지역에서는 철이 많이 생산되어 낙랑과 왜에 수출하기도 하였다. [해설작성자 : 몰로토프 칵테일]
4.
밑줄 그은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평양으로 수도를 옮겼다.
2.
병부와 상대등을 설치하였다.
3.
22담로에 왕족을 파견하였다.
4.
고흥에게 서기를 편찬하게 하였다.
5.
율령을 반포하여 통치 체제를 정비하였다.
정답 : [
5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불교 태학 율령반포 : 소수림왕
1. 장수왕의 남진정책 2. 법흥왕 3. 22담로 무령왕 *유일하게 왕의 이름이 남아있는 묘라는점을 기억해두자 4. 근초고왕 5. [정답]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애]
5.
밑줄 그은 '이 탑'으로 옳은 것은? [3점]
1.
2.
3.
4.
5.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서동 선화공주가 키워드 : 백제 무왕에 대한 내용임 무왕하면 미륵사지석탑과 같이 연관지어서 기억해두면 좋음
1. 신라 분황사 모전석탑 2. 검색해도 안나오는걸 봐서는 버려도 되는 녀석으로 보임 3. 백제 미륵사지석탑[정답] 4. 발해 영광탑 5. 통일신라 감은사지 삼층석탑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애]
2번 신라 선덕왕 때 지어진 국보 제 40호 정혜사지(터) 13층 석탑 같네요~ [해설작성자 : 익명]
6.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1.
당이 안동도호부를 요동으로 옮겼다.
2.
성왕이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3.
신라군이 기벌포에서 당군을 격파하였다.
4.
김춘추가 당과의 군사 동맹을 성사시켰다.
5.
복신과 도침이 부여풍을 왕으로 추대하였다.
정답 : [
5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가) 황산벌 전투 : 백제멸망 키워드 *이후에 복신, 도침, 흑치상지가 백제 부흥운동을 일으킨다는 것을 기억해두자 (나) 안승 검모잠 : 고구려 부흥운동
1.원종 애노 : 통일신라 진성여왕 *최치원도 기억해두자 2. 의천 천태종 : 고려 숙종 3. 변발 호복 유행 4. 구황촬요 : 조선 명종 5. 초조 대장경 : 고려 현종(거란의 2차 침입)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애]
16.
다음 사건의 배경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1.
노비 만적이 반란을 모의하였다.
2.
정중부, 이의방 등이 정변을 일으켰다.
3.
신돈이 전민변정도감의 판사가 되었다.
4.
망이, 망소이 등이 명학소에서 봉기하였다.
5.
최충헌이 교정도감을 설치하여 국정을 총괄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174년도에 있었던 일이고 배경이 되는 사건을 찾는 문제이니 1174년도 이전에 일어난 일을 고르면 됨
1. 만적의 난 1198년 2. 1170년(정답) 3. 원간섭기 1366년 4. 망이망소이의 난 1176년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애]
5. 최충헌이 *교정도감을 설치한 해는 1209년입니다 *교정도감: 고려 시대 무신집권기에 설치 및 운영되었던 정치 기구 최충헌을 비롯한 무신집권자들이 교정도감을 통해 자신들의 권력 남용 출처: 우리위원회 홈페이지
조위총의 난 - 무신정변 인물 무신정변이 들어서면서 반발하는 인물들이 반란을 일으킴 따라서 무신정볍 2번. [해설작성자 : 미옹]
17.
(가) 군사 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
1.
광군사의 통제를 받았다.
2.
정미 7조약에 의해 해산되었다.
3.
4군 6진을 개척해 영토를 확장하였다.
4.
개경 환도 결정에 반발하여 항쟁하였다.
5.
유사시에 향토 방위를 담당하는 예비군이었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삼별초에 대한 내용 키워드는 최우, 야별초
삼별초는 최우의 사병집단임을 기억해두자 +대몽항쟁에 관련된 내용도 삼별초에 대한 내용
1. 광군사 : 고려 정종 2. 정미 7조약 : 대한제국 *정미7조약(을사늑약)은 군대해산, 헤이그특사, 고종강제퇴위 등 매우 중요! 3. 4군 6진 : 조선 세종 +김종서가 키워드로 나올 수 있음 4. 대몽항쟁 [정답] 5. 유사시 향토 방위 : 조선전기 잡색군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애]
2. 전봉준은 우금치 전투 이후 관군에 쫓기던 전봉준은 12월 1일 순창에서 만난 옛 부하 김경천의 고발로 주막에서 저녁을 먹던 중 체포되었다.
33.
밑줄 그은 '조약'의 영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1.
부산, 원산, 인천 항구가 개항되었다.
2.
김홍집이 국내에 조선책략을 소개하였다.
3.
민영익을 대표로 한 보빙사가 파견되었다.
4.
일본 군함 운요호가 영종도를 공격하였다.
5.
개화 정책을 총괄하는 통리기무아문이 설치되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청의 알선으로 서양과 맺은 최초의 조약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조미수호통상조약"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음. 1. 강화도조약 2. 영남만인소(이만손) 3. [정답] 4. 강화도조약 5. 통리기무아문은 최초의 근대적 기구라는 것을 기억해두자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애]
조선책략 소개는 수신사 파견
34.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옳은 것은? [2점]
1.
민립 대학 설립 운동을 전개하였어요.
2.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요구를 저지하였어요.
3.
파리 강화 회의에 독립 청원서를 제출하였어요.
4.
안창호, 양기탁 등이 비밀 결사로 조직하였어요.
5.
국문 연구소를 세워 한글의 문자 체계를 정리하였어요.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대한매일신보, 태극서관, 대성학교라는 키워드를 통해 신민회라는 것을 알 수 있음. *대한매일신보는 "베델"관련 키워드로 등장할 수 있으니 기억해둘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