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2. 수량과 품질은 역상관관계에 있어 수량이 높은 품종은 대체로 품질이 낮은 경향이 있다. 1. 내비성 품종은 질소 다비조건에서 하에서 병충해에 걸리지 않으며 도복되지 않는 특성도 포함한다. 3. 수수형 품종은 수중형 품종에 비해 분얼이 잘되어 잇학수가 많으나 이삭이 작고 가벼우며, 종실 크기도 작다. 4. 조생종은 감광성에 비하여 감온성이 상대적으로 크다. [해설작성자 : 괴경형성은저온단일]
<문제 해설> 육종의 기본과정(재배학 2단원) 변이창성-우량계통 육성-생산성 및 지역적응성 검정-신품종 결정 및 등록-종자증식 [해설작성자 : 괴경형성은저온단일]
9.
벼의 조식재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확기의 조기화가 목적이 아니고, 다수확이 주된 목적이다.
2.
분얼이 왕성한 시기에 저온기를 경과하여 영양생장기간의 연장으로 단위면적당 이삭 수 확보가 유리하다.
3.
생육 기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시비량은 보통기 재배보다 감소할 수 있다.
4.
일사량이 많은 최적 시기로 출수기를 변경시켜 줌으로 생리적으로 체내 탄수화물이 많게 되어 등숙비율이 높아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조식재배: 한랭지에서 중만생종을 조기에 육묘하여 조기에 이앙하는 재배법 3. 생육기간이 연장되는 만큼 일반적으로 지력이 높은 곳에서 효과적이고, 시비량도 20~30% 늘려야한다. cf) 영양생장량이 많아져 과번무되기 쉽고 병충해가 많아지며, 도복이 쉽고 미질이 다소 떨어진다. [해설작성자 : 괴경형성은저온단일]
10.
보리의 종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쌀보리는 유착 물질이 분비되어 성숙 후에 외부의 물리적 충격을 받아도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2.
바깥껍질과 안껍질에 싸여있는 영과(caryopsis)를 형성한다.
3.
등 쪽 기부에 배(胚)가 있으며, 배 쪽에는 기부에서 정부로 길게 골이 있는데 이것을 종구라 한다.
2. 수정 후 4~6일 후에 자방병이 급속히 신장하여 씨방이 이 땅속으로 들어간다 3. 땅콩은 개화기간이 상당히 길어 7월 초부터 가을까지 계속된다. - 유효개화한계기란 수확 60일 전인 8월 중순까지를 말한다. 4. 햇빛은 결싥솨 자방병의 신장을 억제하고, 건조한 토양에서 빈 꼬투리가 많이 생성된다. [해설작성자 : 내한성大만파적응성大]
14.
감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재배는 서늘한 기후에 알맞고 생육적온은 12~21°C이다.
2.
주성분은 전분이며 보통 17~18% 함유되어 있지만 변이가 심하다.
3.
가지과에 속하는 일년생식물이다.
4.
줄기의 지하절에는 포복경이 발생하고, 그 끝이 비대하여 괴근을 형성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줄기의 지하절에는 복지(포복지)가 발생하고, 그 끝이 비대하여 괴경을 형성한다. [해설작성자 : 수감수성낮으면맥주보리]
15.
작물의 생리 작용과 빛의 파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과, 딸기 등의 과일 착색에는 자외선이나 자색광 파장이 효과적이다.
2.
온실이나 하우스에서 자란 식물은 적외선 부근의 빛 부족으로 웃자라기 쉽다.
3.
굴광현상은 440~480nm의 청색광이 가장 유효하다.
4.
Phytochrome은 적색광을 흡수하면 광발아성 종자의 발아를 촉진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2 - 시설에서 자란 작물은 자외선 부근의 빛이 부족하여 웃자라고 도장하기 쉽다. 자외선 효과 : 줄기단단하게 만들고 절간신장을 억제시킨다. 4 - 피토크롬: 광 수용성 색소단백질 적색광에서 활성형이 되어 종자 발아에 기여 근적외광에서 비활성된다. [해설작성자 : 젤쥬]
16.
벼 직파재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답직파는 담수직파보다 잡초 발생이 많다.
2.
담수직파는 건답직파에 비해 질소질 비료의 용탈이나 유실이 많다.
3.
줄기가 가늘고 뿌리가 토양 표층에 많이 분포하여 도복이 증가한다.
4.
담수직파재배 시 파종 후에 지나치게 깊게 관개하면 입모율이 저하되기 쉽다.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2.건답직파는 담수직파에 비해 질소질 비료의 용탈이나 유실이 많다. 직파재배 중 마른논줄뿌림재배는 탈질현상이 발생하며 비료의 유실이 많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벼 특수재배양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조기재배는 감광성 품종을 보온육묘하는 중남부 및 산간고랭지 재배형이다.
2.
조식재배는 조생 품종을 이용하는 평야지 2모작지대 재배형이다.
3.
만기재배는 콩, 옥수수 등의 뒷그루로 늦게 이앙하는 중남부 평야지 재배형이다.
4.
만식재배는 적기에 파종했으나, 물 부족이나 앞그루 수확이 늦어져 늦게 이앙하는 재배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