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에너지 피라미드는 건강한 생태계에서 반드시 똑바로 서야 한다. [해설작성자 : 파랑어치]
2.
오덤(Odum)의 표에 따라 개척단계에서 성숙단계로 천이가 진행될 때, 식생의 특성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의 다양성이 낮아진다.
2.
유기물의 양이 많아진다.
3.
생물체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진다.
4.
생활사(life cycle)가 길고 복잡해진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종의 다양성이 높아진다. [해설작성자 : 파랑어치]
3.
개체군의 상호작용과 경쟁적 배제의 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우스(Gause)의 원리라고도 한다.
2.
두 개체군 사이에 생태적 지위가 중복될 수 없다는 원리를 말한다.
3.
양쪽 개체군에 이익을 주지만 그 관계에는 구속성이 없다는 원리를 말한다.
4.
결과적으로 격렬한 경쟁은 생태적 지위가 어느 정도 중복되었을 때 발생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가우스(Gause)의 원리: 경쟁배제 (competitive exclusion). "두 개의 종은 자원이 제한된 조건 아래서 영구적으로 같이 살지 못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환경과 상호작용할 수도 없다."라는 원리이다. 한정된 자원을 두고 벌이는 종간경쟁의 결과로 한 종이 다른 종을 지위 (niche)에서 배제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를 경쟁배타의 법칙이라고도 한다.
원시협동 (protocooperation): 두 가지 다른 생물종 간에 상호작용이 작용하면 모두에게 이롭지만 상호 의존관계가 절대적인 것은 아니어서 작용이 중단되면 서로 무관한 관계를 가지게 되는 것을 말하며, 상조공생 (synergism)이라고도 한다. [해설작성자 : 달콤한육회한점]
경쟁적 배제의 원리(Competitive Exclusion Principle): 두 종이 동일한 자원을 두고 경쟁할 경우, 한 종이 다른 종을 배제하게 되어 결국 한 종만 살아남는다는 이론. 1930년대 러시아의 생물학자 게오르기 가우제(Georgii Gause)가 실험을 통해 제안한 것으로, 가우제의 법칙(Gause's Law)이라고도 불림. - 자원 경쟁: 두 종이 동일한 자원을 필요로 할 때 경쟁이 발생 - 자원 이용 효율성: 경쟁하는 두 종 중 한 종이 자원을 더 효율적으로 이용하면, 다른 종은 결국 자원을 얻지 못해 생존 어려움 - 결과적으로, 자원을 더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종만이 살아남고 다른 종은 배제되거나 멸종
4.
식생패치의 일반적인 기원 또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간섭패치
2.
도입패치
3.
서식패치
4.
잔여패치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 식생패치의 기원 간섭 : 산불지역, 폭풍우에 의해 파괴된 지역 도입 : 농경지에 새로운 교외지역 개발 잔여 : 농경지의 산림지역 (광범위한 경관형태가 남겨진 지역) 환경자원 : 도시내 습지, 사막의 오아시스 [해설작성자 : 파랑어치]
5.
도시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미래의 생물 서식환경과 종의 생존을 위해 넓은 범위의 대책이 필요하다.
2.
종의 분산이나 이동을 유지하기 위해 상호연결된 서식공간의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3.
종의 장기적인 생존을 위해 개개의 생물종 보전대책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4.
서식지 규모의 축소와 단편화를 방지하기 위해 서식환경 전체를 양호하게 유지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3) 개개의 생물종x => 생태계 전반 [해설작성자 : 생태지킴이 영마발]
6.
리비히의 최소량의 법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한요인이란 필요원소 또는 양분 중에서 가장 다량으로 존재하는 요소를 말한다.
2.
원소 또는 양분 중에서 가장 소량으로 존재하는 것이 식물의 생육을 지배한다.
3.
식물에는 필요원소 또는 양분 각각에 대해 그 생육에 필요한 최소한의 양이 있다.
4.
만일 어떤 원소가 최소량 이하이면 다른 원소가 아무리 많아도 생육에 지장이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생물이 어떤 장소에 분포하고 번영하기 위해서는 생장과 번식에 필요한 여러 가지 필수 물질을 얻어야 하는데 종(種)이나 장소에 따라 필수 물질의 종류가 다르다. 이 필수 물질 중 가장 적게 공급되는 요소에 의해 생물이 지배된다는 사실은 1840년 리비히에 의해 밝혀졌다. 예컨대 작물의 수확이 다량으로 필요한 환경에서는 일반적으로 풍부한 이산화탄소나 물과 같은 양분이 아닌, 매우 미량만 필요하나 토양 중에는 극소량인 붕소와 같은 원소에 의해 생물의 생장이 제한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리비히의 최소량의 법칙 [해설작성자 : 파랑어치]
7.
생태적 천이에 나타나는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성숙단계로 갈수록 순군집생산량이 낮다.
2.
성숙단계로 갈수록 생물체의 크기가 크다.
3.
성숙단계로 갈수록 생활사이클이 길고 복잡하다.
4.
성숙단계로 갈수록 생태적 지위의 특수화가 넓다.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성숙단계보다 초기단계에서의 순군집생산량이 높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당 문제 정답이 이상하다 생각합니다. 정답 1번 아닌가요? 기재되어있는 4번은, 맞는말 입니다. 성숙단계일수록 다양한 지위와, 특수역할이 늘어납니다..
[오류신고 반론] 4번은 틀렸습니다. 생태적 지위 특수화는 한 종이 다른 종과 구별되는 독특한 생태적 기능을 수행하는 정도를 말하는데, 천이 과정에서 생태계 내의 종 다양성이 증가하죠. 여기서 a , b, c가 각각 독특한 특수화를 지녔다면 천이가 진행되며 종 다양성이 증가하고 a, a-1, a-2, b, b-1, b-2 등 이렇게 다른종과 구별되는 종 자체는 줄어듭니다. 물론 독특한 개체들은 많이 생겨나겠지만 다른 종과 구별된다는 점에서 보면 지위 특수화가 좁아진다고 볼 수 있죠. [해설작성자 : 자생복 필기 평균 96]
8.
산림성 조류의 길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관층 영소 길드 : 수관층을 둥지로 이용하는 종류
2.
수동 영소 길드 : 나무 구멍을 둥지로 이용하는 종류
3.
관목층 영소 길드 : 지면, 덩굴수목 등에 둥지를 짓는 종류
4.
임연부 영소 길드 : 숲의 내부 공간을 둥지나 자원으로 이용하는 종류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임연부 : 숲의 가장자리 영소 : 둥지를 만드는 행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고립된 섬의 생물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섬의 크기가 클수록 생물종의 멸종률은 낮다.
2.
섬과 육지의 거리가 멀수록 생물종의 이입률은 낮다.
3.
섬의 크기와 육지와의 거리는 섬에 출현하는 생물종 수를 결정한다.
4.
섬의 저지대 생물종은 고지대 생물종에 비해 출현종 수가 적다.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섬의 저지대 생물종이 많고 고지대로 갈수록 종의 수가 적어진다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10.
오염물질의 단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ppm : 십만분의 1에 해당되는 농도, mg·ℓ-1, mg·kg-1, mg·g-1과 동일
2.
ppb : 십억분의 1에 해당되는 농도, ng·g-1, μg·kg-1, μg·ℓ-1, mg·m-3과 동일
3.
ppt : 십억분의 1에 해당되는 농도, pg·g-1, ng·kg-1, ng·ℓ-1, μg·m-3과 동일
4.
ppt : 1조분의 1에 해당되는 농도, ng·g-1, μg·kg-1, μg·ℓ-1, mg·m-3과 동일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ppm - 백만분의 일 ppb - 십억분의 일 ppt - 일조분의 일
ppm > ppb > ppt [해설작성자 : 남은기간 열심히,,]
[관리자 입니다. 문제 출제 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 3번, 4번 보기가 ppt로 동일하였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1.
인간의 간섭정도에 따라 생태계를 구분할 때, 종류가 다른 하나는?
1.
삼림생태계
2.
하천생태계
3.
호소생태계
4.
경작지생태계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호소란 호수와 늪을 아울러 이르는 말. 1,2,3 은 자연 상태를 4번 인위적 상태를
12.
비오톱의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오톱은 보존가치가 높고 보호해야 하는 서식공간에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2.
비오톱의 어원은 독일어의 biotop으로, 생명을 뜻하는 bio와 장소를 뜻하는 top이 합쳐진 것에서 유래된 것이다.
3.
비오톱은 경관생태학적으로 주변 공간과 분명한 경계를 가지고 구분할 수 있으며, 그 구분에 재현성이 있도록 한 토지의 구획이다.
4.
비오톱 중 면(面)적인 넓이를 가지며 정도의 차는 있더라도 균일성이 높은 대면적을 가지는 것에는 초원, 삼림, 경작지, 넓은 수면 등이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비오톱은 동식물 군집 서식 또는 서식할 수 있는 최소한의 단위공간의 의미이며 보존가치의 높음이나 보호가치에 중심을 두는 의미가 아니다.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13.
서식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서식처의 중요 구성요소에는 먹이, 은신처, 물, 공간 등이 있다.
2.
James H. Shaw는 은신처를 서식처의 가장 분명한 구성요소로 보았다.
3.
서식처 예비판정은 현지에 나가기 전에 실내에서 지형도 등을 이용하여 서식처의 유형을 판정하는 것이다.
4.
서식처 조사의 일반적인 과정은 대상지역선정, 서식처 유형 분류, 서식처 유형별 조사, 서식처 유형 도면화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모든 동물의 가장 중요한 서식지의 구성요소는 먹이이다 [해설작성자 : 합격가자]
물질은 전이과정에서 다른 형태로 변형될 뿐 생성되거나 소멸되지 않지만, 에너지는 전이과정에서 생성과 소멸을 반복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생태계 내에서 물질은 순환하며 에너지는 흐른다. 따라서 물질은 순환'고리'를 형성하지만 에너지는 일정한 방향으로 쭉 흘러 결국 사용할 수 없는 열에너지 형태로 방출된다.
에너지는 흐르기 때문에 시작과 끝이 있다. 대개 시작은 태양에서 온 빛 에너지다. 끝은 생태계 밖으로 방출되는 열에너지이다. (왜 열에너지인지는 열역학 내용 참고) [해설작성자 : 너구리선생]
16.
경관의 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주연부는 대부분 곡선이며, 복잡하고 부드럽다.
2.
패치가 작고 격리도가 증가할수록 인간의 간섭이 적은 생태계이다.
3.
일반적으로 패치 크기가 작을수록 다양한 비오톱을 갖고, 종 다양성이 높아진다.
4.
주연부에서의 변화 정도가 클수록 두 생태계 사이를 이동하는 에너지와 물질이 많아진다.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패치가 클수록, 격리도가 증가할수록 간섭 적음 [해설작성자 : 국화]
17.
식물종자에 의한 유전자 이동의 방법 중 동물에 의한 산포방법이 아닌 것은?
1.
기계형 산포
2.
부착형 산포
3.
피식형 산포
4.
저식형 산포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부착형 : 동물의 몸에 붙어서 이동 피식형 : 조류, 포유류 등에게 먹혀서 이동 저식형 : 동물의 습성에 의해 일정 거리를 이동하여 묻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생물다양성 협약의 목적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유전자원 및 자연서식처 보호를 위한 전략
2.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적 이용을 위한 정책
3.
생태계 내에서 생물종 다양성의 역할과 보존에 관한 기술 개발
4.
생물공학에 의해 변형된 생명체의 안전한 개발을 위한 지속적 지원
정답 : [
4
] 정답률 : 84%
19.
하천의 차수를 나타낸 다음 그림에서 ㄱ, ㄴ, ㄷ으로 표시된 하천의 차수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ㄱ: 1, ㄴ: 1, ㄷ: 6
2.
ㄱ: 2, ㄴ: 1, ㄷ: 5
3.
ㄱ: 2, ㄴ: 3, ㄷ: 5
4.
ㄱ: 2, ㄴ: 3, ㄷ: 6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하천차수의 계산식은 이렇게 생각하면 된다. 만일 두 개의 1차 하천이 만나면 2차 하천이 되고, 두 개의 2차 하천이 만나면 3차 하천이 되는 식으로 계산하면 된다. 즉, 똑같은 숫자의 하천 차수끼리 만나는 경우, 숫자가 같은 하천 차수에서 +1을 하면 된다. 만약에 1차 하천과 2차 하천이 만나면 숫자가 큰 하천을 쓰면된다(2차와 3차가 만나는 경우는 3차이다.) [해설작성자 : 남극 펭귄]
추가로 3과 1이 만나는 하천은 3차 하천 이렇게 하면된다. [해설작성자 : 기아 와 토요타]
20.
다음 ( ) 에 들어갈 용어는?
1.
툰드라
2.
열대우림
3.
온대 낙엽수림
4.
북방 침엽수림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툰드라 : 북극해 연안의 동토지대. 삼림 한계보다 북쪽의 극지에 해당. 온대 낙엽수림 : 활엽수로 이루어진 식물군계. 계절에 의한 변화가 특징적. 북방 침엽수림 : 북반구의 아한대에 분포하는 침엽수 중심의 산림. [해설작성자 : 파랑어치]
2과목 : 생태복원계획
21.
다음에서 설명하는 토양오염 복원 공법은?
1.
토양경작법(landfarming)
2.
바이오스파징(bio-sparging)
3.
식물정화공법(phytiremediation)
4.
자연저감법(natural attenuation)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토양경작법 : 토양 속 미생물을 활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 식물정화공법 : 중금속, 농약류, 유류 등으로 오염된 부지에서 오염을 정화하기 위해 식물을 이용. 자연저감법 : 오염물질의 생분해, 이송 및 분산, 희석, 흡착, 화학적 반응, 기화 변환 등의 자연적인 저감 기여요소를 장기적으로 정화에 이용. [해설작성자 : 파랑어치]
바이오스파징은 지하수면 아래의 포화대에 공기주입하여 미생물에 의해 대수층의 유기물질 분해하고 휘발성 유기오염물질을 불포화 토양층으로 이동시켜 분해하는 토양오염 정화기술중 하나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22.
야생 조류(bird)의 생태적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류는 대체로 주행성과 야행성으로 나눠진다.
2.
조류가 다양하게 서식하면 안정적인 먹이사슬이 형성된다.
3.
조류는 행동권이 연중 일정한 종도 있고, 계절에 따라 바뀌는 종도 있다.
4.
조류는 인간의 간섭에 민감하지 않으며, 비교적 넓은 서식처를 요구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조류는 인간에 간섭에 매우 민감하며, 비교적 넓은 서식처 요구는 맞는 내용 [해설작성자 : 빠숑프랭]
23.
환경포텐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복원잠재력을 의미한다.
2.
환경의 생태수용력을 의미한다.
3.
시간이 지나면서 천이의 진행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4.
특정 장소에서 종의 서식이나 생태계 성립의 잠재적 가능성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환경포텐셜: 특정 지역의 환경잠재성. 생태계가 성립할 가능성이나, 종이 서식하고 생육할 수 있는 잠재적인 가능성을 이른다. 생태수용력: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토지, 바다 등을 지구가 얼마나 제공하는지에 대한 능력 [해설작성자 : 푸힠]
24.
다음 비탈면의 백분율법에 의한 경사도는?
1.
10%
2.
20%
3.
25%
4.
40%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백분율법에 의한 경사도는 수평거리 분에 수직거리이다. 따라서 40(수평거리)분에 10(수직거리)를 퍼센트로 고치면 25%이다. [해설작성자 : 희귀한 생명체]
25.
동물의 이동에 대한 예측과 저감대책 수립 시 도움이 되는 경관생태학적 요소는?
1.
바탕
2.
변화
3.
패치
4.
통로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동물의 이동과 관련된 것은 (생태)통로. [해설작성자 : 생태지킴이 영마발]
하천유역의 면적·지형 등 하천유역의 특성에 따라 수계영향권을 구분할 때, 대권역별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본계획은 몇 년마다 수립되어야 하는가?
1.
3년
2.
5년
3.
10년
4.
20년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제24조(대권역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계획의 수립) ① 환경부장관은 대권역별로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본계획(이하 "대권역계획"이라 한다)을 10년마다 수립하여야 한다. [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해설작성자 : 절대최강]
28.
환경해설 방식 중 안내자 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대상자와 직접 대화 및 토론이 가능
2.
일정 프로그램의 도입 및 변경이 용이
3.
특별한 해설 인력 및 조직 없이 시행이 용이
4.
대상자의 연령, 학력 등 특성별 해설 수준 선택이 용이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환경해설 방식 중 안내자 방식은 해설인력 및 조직이 필요합니다. [해설작성자 : 생태지킴이 영마발]
29.
환경영향평가 등의 기본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획 또는 사업이 특정 지역에 편중되는 누적영향을 고려하지 않는다.
2.
보전과 개발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지속가능한 발전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3.
결과는 지역주민 및 의사결정권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간결하고 평이하게 작성되어야 한다.
4.
대상이 되는 계획 또는 사업에 대하여 충분한 정보 제공 등을 함으로써 환경영향평가 등의 과정에 주민 등이 원활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3%
30.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환경부장관이 10년마다 시·도지사와 협의하여 계획을 수립한다.
2.
자연환경보전계획은 국가환경종합계획의 자연환경보전분야 상위계획이다.
3.
시·도지사는 자연환경보전기본방침에 따른 추진방침 또는 실천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4.
자연환경보전기본원칙 및 자연환경보전기본방침의 달성을 위한 실천계획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자연환경보전계획은 자연환경분야 최상위 종합계획이다. [해설작성자 : 자연생태복원기사 준비하는1인]
31.
지구온난화의 영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수면의 상승
2.
동식물 종의 다양성 증대
3.
개발도상국의 농업생산력 저하
4.
세계적인 기상이변의 빈도 증가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지구온난화에 따른 환경 변화로 인해 동식물의 감소 및 멸종 등으로 종의 다양성은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절대최강]
32.
생태복원을 위한 공간구획 및 동선 계획 시 고려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선은 최대한으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공간구획은 핵심지역, 완충지역, 전이지역으로 구분한다.
3.
목표종이 서식해야 하는 지역은 핵심지역으로 설정한다.
4.
자연적인 공간과 인공적인 공간은 격리형 혹은 융합형으로 조정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1. 동선은 최소화 하여 조성 [해설작성자 : 생태지킴이 영마발]
33.
내륙형 습지 중 소택형 습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형학적으로 침하되었거나 댐이 건설된 강수로에 위치한 습지
2.
왕성한 파도의 작용 혹은 하상이 바위로 된 해안선의 특징이 빈약한 습지
3.
면적 8ha 이하, 저수위 시 유역의 가장 깊은 곳이 2m 이하이며, 염분 농도가 0.5% 이하인 습지
4.
교목, 관목, 수생식물, 이끼류, 지의류에 의해 우점되는 습지와 염도가 0.5% 이하인 조수영향지역에서 나타나는 모든 습지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소택형 습지 : 면적이 작고 낮은 습지 [해설작성자 : 도오트]
34.
생태통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 풍부도와 다양성을 증가시킨다.
2.
큰 교란에 대한 피신처를 제공한다.
3.
서식처 파편화를 완화하여 다양한 서식처의 접근성을 증가시킨다.
4.
야생생물의 안전을 위해 진입부와 내부가 시각적으로 완전히 채워지도록 식재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생태통로의 진입부 및 내부 식생은 과밀하지 않도록하여 물리적, 시각적으로 야생생물의 이동에 장애되지 않도록 해야함 -출처: 국립생태원 [해설작성자 : 생강]
35.
대상지 내(on-site) 방법을 통한 대체습지 조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훼손되는 습지가 가진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다.
2.
동일 유역(watershed) 내에 대체습지를 조성하는 방법이다.
3.
대체습지의 면적은 기존 습지 면적의 70% 이상 확보하는 것이 적절하다.
4.
대상지외(off-site) 방법에 비해 상실한 습지 기능의 회복이 더 용이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대상지 내(On-site) 방법은 훼손된 습지의 기능을 복원하기 위해 동일한 대상지 내에서 대체습지를 조성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해설작성자 : 만두]
36.
제5차 국가환경종합계획의 환경관리 7대 핵심전략이 아닌 것은?
1.
미세먼지 등 환경위해로부터 국민건강 보호
2.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고품질 환경서비스 제공
3.
기후환경 위기에 대비된 저탄소 안심사회 조성
4.
생태계 지속 가능성과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생태용량 확대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7대 핵심전략 - 국토 생태용량 확대 - 통합적 물관리 - 환경위해로부터 국민건강 보호 - 저탄소 안심사회 조성 - 포용적 환경정책으로 환경정의 실현 - 녹색순환경제 전환 가속화 - 한반도 환경공동체 구현 [해설작성자 : 파랑어치]
37.
환경파괴에 의한 피해나 환경보전에 의한 편익의 경제적인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속성가격에 의한 추정
2.
여행비용에 의한 추정
3.
지불용의액에 의한 추정
4.
환경용량가치에 의한 추정
정답 : [
4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환경의 경제적인 가치 추정법 1) 지불용의액에 의한 추정: 환경개선에 대한 사람들의 지불 의사로 추정하는 법 2) 여행비용에 의한 추정: 자연환경과 경관을 방문하는 사람들이 지불하는 비용으로 가치를 추정하는 법 3) 속성가격에 의한 추정: 시장에서 매매되는 상품의 가격으로부터 가치를 추정하는 법(한강 근접 주택 값 > 일반 주택 값) [해설작성자 : 생태지킴이 영마발]
38.
습지의 구조적 유형 중 생물다양성이 높고, 갈대나 부들과 같은 정수식물이 우점한 것은?
1.
늪(marsh)
2.
산성 습원(bog)
3.
알칼리성 습원(fen)
4.
수변습지(riparian wetland)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산성 습원 : 초원 군계의 하나. 토양이 저온, 과습 등의 이유로 식물의 고사체(枯死體)의 분해가 저해되어 퇴적된 이탄(泥炭)과 그 위에 발달하는 초원 알칼리성 습원 : 무기염류가 풍부한 알칼리성 또는 중성의 지하수 공급을 받는 습원 [해설작성자 : 파랑어치]
39.
UNESCO MAB의 핵심지역에 도입할 수 있는 자연환경보전·이용시설은?
1.
전시관
2.
관찰로
3.
생태학교
4.
생태놀이터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UNESCO MAB에서의 *핵심지역* 엄격히 보호되는 하나 또는 여러 개 지역으로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간섭을 최소화한 생태계 모니터링, 파괴적이지 않은 조사연구, 영향이 적은 이용 등이 허용되며 그 외 어떠한 행위도 허용되지 않는 엄격한 보전지역입니다. 관찰로는 생태계 모니터링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생태지킴이 영마발]
40.
한랭한 고산지역에서 긴 시간 동안 식물의 생육, 고사, 퇴적이 반복되면서 토양이 지면보다 높아지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이탄지화(raised bog)
2.
건조화(dried wetland)
3.
육화(landed wetland)
4.
천이(ecological succession)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건조화 : 어떤 지역의 지표수 또는 지하수의 양이 장기간 감소하는 것 육화 : 습지가 육지로 변하는 것 천이 : 같은 장소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진행되는 식물군집의 변화 [해설작성자 : 파랑어치]
구형분할법: 불규칙한 지형의 면적이나 체적을 계산하기 위해 해당 지역을 일정한 크기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격자로 나누는 기법. 각 사각형의 평균 높이를 구한 후, 부피를 계산하면 됨 [해설작성자 : 생명과학과]
체적 = 밑면 넓이 * 높이 구형분할법:(구획 하나의 넓이) * (구획 개수) * (평균 높이) 평균 높이 = (각 구획별 평균 높이의 총합) / (구획 개수) = (구획별 꼭지점의 높이 합 / 4) / (구획 개수) 즉, 구형분할법 공식 = (구획 하나의 넓이) * (구획별 각 꼭지점의 높이 합 / 4)
<문제 해설> 정수식물 : 주로 물가의 가장자리에 생육하며 뿌리 부근이 물에 잠기고 줄기를 수면 위로 내민 수생식물 (갈대, 부들, 물옥잠 등) 침수식물 : 식물체 전체가 물속에 위치하고, 뿌리를 물속 바닥에 고정하는 수생식물 (검정말, 물수세미 등) 부엽식물 : 뿌리는 물 밑바닥에 고착하고 잎이 물 위에 뜨는 수생식물 (수련, 마름 등) 부유식물 : 식물체 전체가 물 위에 떠 있는 수생식물 (개구리밥, 생이가래 등) [해설작성자 : 파랑어치]
48.
토양층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층 : 부식이 풍부하고 입상구조가 발달된 검은색의 층이다.
2.
B층 : 암석이 어느 정도 풍화된 상태로, 각력(각진자갈)질의 층이다.
3.
O층 : 낙엽, 낙지 또는 초본식물의 유체의 퇴적 부식층이다.
4.
R층 : 잔적토의 모암층이며, 미풍화된 경질의 연속적 기반암층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토양층위 O층 : 유기물층(낙엽이나 분해자에 의해 분해된 유기물) A층 : 표토층(부식된 유기물) E층 : 용탈층(규산염 점토와 철, 알루미늄 산화물 등) B층 : 집적층(위 층에서부터 물에 녹는 광물질 등의 산화물이 집적) C층 : 모재층(토양 생정 작용을 받지 못한 층) R층 : 암반층(기반암) [해설작성자 : 생태지킴이 영마발]
49.
비탈면에 목본류를 도입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비탈면을 안정화한다.
2.
초기 피복률을 높여준다.
3.
영구적 자연 조경미를 제공한다.
4.
생태계로 복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최대한 줄인다.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초기 피복률을 높여주는 것은 목본류가 아닌 초본류입니다. 목본류는 장기적 피복률에 영향을 줍니다. [해설작성자 : 나무도리]
조성 목적과 기능 발휘의 측면에서 생환경형, 경관형, 휴양형, 생태계보전형, 교육형, 방재형 등으로 구분한다.
4.
최근에는 지구온난화와 생물다양성 등의 지구환경문제와 관련하여 환경보존의 기능과 생태적 기능이 강조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80%
64.
야생생물의 이동을 고려한 서식지 복원과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체적으로 요구되는 자원과 서식처를 파악
2.
계절에 필요한 자원과 서식처가 충분한지 고려
3.
단기적이고 단순 이동을 고려한 서식처 보전이 중요
4.
다양한 형태의 이동통로를 파악하고 이동통로가 단절되거나 훼손되지 않도록 관리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장기적 이동 고려 [해설작성자 : 국화]
65.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규상 경계표석의 색상은?
1.
흰색
2.
녹색
3.
회색
4.
검은색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경계표석 : 녹색 번호 : 검정 음각후 도색마감 : 흰색 [해설작성자 : 도오트]
66.
자연환경보전법규상 생태통로의 설치대상지역이 아닌 것은?
1.
비무장지대
2.
자연공원법에 따른 자연공원
3.
생태·경관보전지역 중 전이보전구역
4.
백두대간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른 백두대간보호지역
정답 : [
3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제28조(생태통로의 설치대상지역 및 설치기준) ①법 제45조제1항에 따른 생태통로 설치대상지역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한다. <개정 2012. 7. 27., 2013. 9. 23.> 1. 「백두대간보호에 관한 법률」 제6조의 규정에 따른 백두대간보호지역 2. 비무장지대 3. 법 제12조의 규정에 따른 생태ㆍ경관보전지역 중 핵심구역 또는 완충구역, 법 제24조의 규정에 따른 시ㆍ도생태ㆍ경관보전지역 4. 법 제34조의 규정에 따른 생태자연도 1등급 권역 5. 「자연공원법」 제2조제1호의 규정에 따른 자연공원 6.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7조제1항에 따른 야생생물 특별보호구역 및 같은 법 제33조제1항에 따른 야생생물 보호구역 7. 야생동물이 차량에 치어 죽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 등 생태통로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인정되어 환경부장관이 고시하는 지역 [해설작성자 : 도오트]
<문제 해설> 생태복원사업 모니터링 필수 조사항목 - 지형변화, 지형 안정성, 토양상태 - 수계, 유입 및 유출부, 하안 및 하상 - 특별종 출현 여부, 식생 생육상태, 고사율, 목표종 종수 또는 개체수 - 이용시설 안정성 및 관리상태 [해설작성자 : 나는 망했다]
70.
독도 등 도서지역에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상 특정도서에서 입목·대나무의 벌채 또는 훼손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군사·항해·조난구호행위 등 행위제한 제외사항이 아닐 경우)
1.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백만원 이하의 벌금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4.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4
] 정답률 : 48%
71.
생태복원 사업 후 모니터링과 유지관리의 범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지관리는 사업 완료 후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2.
사업 후 모니터링은 사업 완료 후 사업목표 달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4년간 실시한다.
3.
유지관리는 모니터링 결과를 반영하여 사업의 효과, 목표 달성 등 사업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하여 수행된다.
4.
사업 후 모니터링은 복원 목표의 달성 여부, 목표종 서식 여부, 식생의 생육상태, 이용에 의한 영향 등을 모니터링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4년 -> 2년 [해설작성자 : 남은기간 열심히,,]
72.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상 백두대간 보호지역을 구분한 내용으로만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핵심구역, 완충구역
2.
핵심구역, 전이구역
3.
핵심구역, 완충구역, 전이구역
4.
핵심구역, 완충구역, 전이구력, 관찰구역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0 백두대간보호지역 : 백두대간 중 특별히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어 제6조에 따라 산림청장이 지정ㆍ고시하는 지역 [출처: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해설작성자 : 절대최강]
73.
자연환경보전법규상 위임 업무 보고사항 중 생태마을의 지정 및 해제 실적의 보고 횟수 기준은?
1.
지정 : 연 1회, 해체 : 수시
2.
지정 : 연 1회, 해체 : 연 2회
3.
지정 : 연 4회, 해체 : 수시
4.
지정 : 연 4회, 해체 : 연 2회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생태마을의 지정은 연 1회이지만, 해제는 수시로 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영마발]
74.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상 덫, 창애, 올무 또는 그 밖에 야생동물을 포획하는 도구를 제작·판매·소지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4.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 멸종위기 1급 포획,채취,훼손,사살 시 ==> 징역 5년 이하, 벌금 5,000만원 이하 (상습시 7년 이하, 7,000만원 이하) * 멸종위기 2급 포획,채취,훼손,사살 시 ==> 징역 3년 이하, 벌금 3,000만원 이하 * 야생생물을 포획 또는 사살하기 위해서 폭발물, 덫, 창애, 올무 등 포획하는 도구를 사용한 자 ==> 징역 2년 이하, 벌금 2,000만원 이하 * 덫, 창애, 올무 또는 그 밖에 야생동물을 포획하는 도구를 제작,판매,소지,보관한 자 ==> 징역 1년 이하, 벌금 1,000만원 이하 **[해당 문제]** [해설작성자 : 생태계지킴이 영마발]
75.
산지관리법규상 산지전용제한지역지정을 해제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국립묘지를 설치하는 경우
2.
산촌개발사업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사업계획부지에 편입되는 면적이 100분의 30 미만인 경우
3.
지역 발전을 위한 교통시설·물류시설의 설치 등 토지이용의 합리화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4.
도로·철도 등 공공시설의 설치로 인하여 산지전용제한지역이 5천제곱미터 미만으로 단절되는 경우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4. 도로·철도 등 공공시설의 설치로 인하여 산지전용제한지역이 3천제곱미터 미만으로 단절되는 경우 [해설작성자 : 도오트]
76.
자연공원법규상 공원관리청에서 실시하는 자연공원의 자연자원 조사 주기는?
1.
2년
2.
3년
3.
5년
4.
10년
정답 : [
3
] 정답률 : 56%
77.
습지보전법규상 습지보전기본계획의 시행에 관한 다음 설명의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1월 이내
2.
3월 이내
3.
6월 이내
4.
12월 이내
정답 : [
3
] 정답률 : 59%
78.
생태복원사업 모니터링 시 주민만족도 조사 시기는?
1.
계획 수립 전 1년 내
2.
공사 시행 전 1년 내
3.
사업 완료 후 1년 내
4.
모니터링 완료 후 1년 내
정답 : [
3
] 정답률 : 71%
79.
생태학적 원리를 자연관리에 응용하는 생태기술의 기반이 아닌 것은?
1.
유전 구조
2.
물질의 이동 원리
3.
물질의 이동 형태
4.
자연 자원의 흐름 경로
정답 : [
1
] 정답률 : 74%
80.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상 환경부장관이 특정도서의 자연생태계 보전을 위하여 토지 등을 매수하는 경우, 토지매수가격을 규정하는 법은?
1.
공유토지 분할에 관한 특례법
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3.
지가공시 및 토지 등의 평가에 관한 법률
4.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정답 : [
4
] 정답률 : 60%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③
①
③
③
③
①
④
④
④
②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④
①
②
④
②
①
①
④
②
②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②
④
②
③
④
④
③
③
①
②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②
①
①
④
③
②
④
①
②
①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②
①
③
②
③
④
③
②
②
③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④
④
④
④
②
③
①
③
①
①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①
①
②
③
②
③
④
③
②
④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②
①
①
①
④
③
③
③
①
④
자연생태복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24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