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전파법 제12조(심사에 의한 주파수할당)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제10조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라 공고된 주파수에 대하여 제11조에 따른 주파수할당을 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사하여 주파수할당을 한다. <개정 2013. 3. 23., 2015. 12. 22., 2017. 7. 26.> 1. 전파자원 이용의 효율성 2. 신청자의 재정적 능력 3. 신청자의 기술적 능력 4. 할당하려는 주파수의 특성이나 그 밖에 주파수 이용에 필요한 사항 [해설작성자 : 네모난원]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무선설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동사용명령을 하는 경우에 고려사항으로 맞지않은 것은?
1.
전파의 혼신발생 가능 여부
2.
건물 또는 부지의 임차 가능 여부
3.
건물 및 옥상의 안전여부
4.
무선국 위치검색 용이성 여부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법앙 개정 : 방통위 -> 과기부장관 전파법시행령 제69조의2(무선설비의 공동사용 명령 등) ③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공동사용명령등을 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개정 2013. 3. 23., 2017. 7. 26.> 1. 전파의 혼신발생 가능 여부 2. 건물 또는 부지의 임차 가능 여부 3. 건물ㆍ옥상ㆍ철탑 등의 안전 여부 4. 전자파강도의 전자파 인체보호기준 초과 여부(무선설비의 공동사용 명령만 해당한다) 5. 지하ㆍ터널 또는 건물 내의 설치 가능 여부(무선설비의 환경친화적 설치명령만 해당한다) 6. 그 밖에 무선설비의 효율적 운용 및 관리 등을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해설작성자 : 네모난원]
4.
다음 중 (가)와 (나)에 들어갈 용어로 알맞은 것은?
1.
(가) 즉시 - (나) 각도
2.
(가) 1분안에 - (나) 궤도
3.
(가) 즉시 - (나) 궤도
4.
(가) 1분안에 - (나) 각도
정답 : [
3
] 정답률 : 88%
5.
다음 용어의 정의 중 틀린 것은?
1.
무선종사자라 함은 무선설비를 조작하거나 무선설비의 설치공사를 하는 자로서 전파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기술자격증을 발급 받은 자를 말한다.
2.
무선국이라 함은 방송청취를 위하여 수신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을 포함한 무선설비와 무선설비를 조작하는 자의 총체를 말한다.
3.
전파라 함은 인공적인 유도 없이 공간에 퍼져나가는 전자파로서 국제전기통신연합이 정한 범위내의 주파수를 가진 것을 말한다.
4.
무선설비라 함은 전파를 보내거나 받는 전기적 시설을 말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전파법 제2조 제1항 제6호 참고. 제2조(정의) ①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개정 2008. 6. 13., 2010. 7. 23., 2013. 3. 23., 2014. 6. 3., 2015. 1. 20., 2015. 12. 22., 2017. 7. 26., 2020. 6. 9.> 1. “전파”란 인공적인 유도(誘導) 없이 공간에 퍼져 나가는 전자파로서 국제전기통신연합이 정한 범위의 주파수를 가진 것을 말한다. 2. “주파수분배”란 특정한 주파수의 용도를 정하는 것을 말한다. 3. “주파수할당”이란 특정한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특정인에게 주는 것을 말한다. 4. “주파수지정”이란 허가나 신고로 개설하는 무선국에서 이용할 특정한 주파수를 지정하는 것을 말한다. 4의2. “주파수 사용승인”이란 안보ㆍ외교적 목적 또는 국제적ㆍ국가적 행사 등을 위하여 특정한 주파수의 사용을 허용하는 것을 말한다. 4의3. “주파수회수”란 주파수할당, 주파수지정 또는 주파수 사용승인의 전부나 일부를 철회하는 것을 말한다. 4의4. “주파수재배치”란 주파수회수를 하고 이를 대체하여 주파수할당, 주파수지정 또는 주파수 사용승인을 하는 것을 말한다. 4의5. “주파수 공동사용”이란 둘 이상의 주파수 이용자가 동일한 범위의 주파수를 상호 배제하지 아니하고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5. “무선설비”란 전파를 보내거나 받는 전기적 시설을 말한다. 5의2. “무선통신”이란 전파를 이용하여 모든 종류의 기호ㆍ신호ㆍ문언ㆍ영상ㆍ음향 등의 정보를 보내거나 받는 것을 말한다. 6. “무선국(無線局)”이란 무선설비와 무선설비를 조작하는 자의 총체를 말한다. 다만, 방송수신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제외한다. [해설작성자 : 진효거사]
6.
무선국 개설허가의 결격사유를 맞게 나열한 것은?
1.
외국성, 반국가적 성격,?반사회적 성격
2.
반국가적 성격, 반사회적 성격, 반경제성
3.
반사회적 성격, 반경제성, 반문화성
4.
반경제성, 외국성, 반문화성
정답 : [
1
] 정답률 : 72%
7.
다음 중 적합인증 대상기자재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방송수신기기 및 관련기기류
2.
이동가입무선전화장치의 기기
3.
무선호출국용 무선설비의 기기
4.
간이무선국용 무선설비의 기기
정답 : [
1
] 정답률 : 55%
8.
전파형식 16K0F3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필요주파수대폭은 16[kHz]이다.
2.
F는 주파수변조를 표시한다.
3.
3은 디지털정보를 포함하는 단일채널을 표시한다.
4.
E는 전화를 표시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9.
우리나라 무선국에 부여하는 호출부호열이 아닌 것은?
1.
HLA~HLZ
2.
DSA~DTZ
3.
6KA~6NZ
4.
JAA~JSZ
정답 : [
4
] 정답률 : 60%
10.
무선종사자 기술자격증을 분실하였을 때 무선종사자가 취할 조치로서 옳은 것은?
1.
1주일 이내 재발급 신청
2.
10일 이내 재발급 신청
3.
지체 없이 재발급 신청
4.
30일 이내 재발급 신청
정답 : [
3
] 정답률 : 80%
11.
다음중 무선통신의 사용원칙에 어긋나는 것은?
1.
사용하는 용어는 가능한 한 간명해야한다.
2.
전파발사 출처를 명확히 하여야 한다.
3.
정확히 교신하여야 하고 오류를 인지할 때는 즉시 정정하여야 한다.
4.
충분한 의사전달을 위하여 통신문에 구애 받지 말아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96%
12.
무선국 정기검사 항목 중 대조검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공중선전력
2.
설치장소
3.
시설자
4.
무선종사자의 배치
정답 : [
1
] 정답률 : 71%
13.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무선종사자에 대한 행정처분으로 업무종사의 정지를 명할 수 있는 기간으로 옳은 것은?(2017년 07월 26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1년 범위
2.
2년 범위
3.
3년 범위
4.
4년 범위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2017년 07월 26일 개정된 규정]
제76조(무선종사자의 기술자격의 취소 등) 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무선종사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기술자격을 취소하거나 3년의 범위에서 업무종사의 정지를 명할 수 있다. 다만, 제1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기술자격을 취소하여야 한다. <개정 2010. 7. 23., 2013. 3. 23., 2015. 12. 22., 2017. 7. 26.>
14.
다음 무선국의 분류 중 잘못된 것은?
1.
무선표지국 : 무선표지업무를 하는 무선국
2.
비상국 : 비상통신업무만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설하는 무선국
3.
실험국 : 과학 또는 기술의 발전만을 위한 실험에 전용하는 무선국
4.
기상원조국 : 기상장치의 원격조정을 위한 무선국
정답 : [
4
] 정답률 : 75%
15.
고주파의 에너지를 발생시켜 그 에너지를 목재와 합판의 건조,?금속의 용융(鎔融) 또는 가열, 진공관의 배기 등 산업생산을 위하여 사용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산업용 전파응용설비
2.
전파산업설비
3.
무선설비
4.
전파설비
정답 : [
1
] 정답률 : 71%
16.
준공검사를 면제 또는 생략할 수 있는 소규모무선국에 대하여 허가를 받지않고 개설·운용하는경우의벌칙규정은?
1.
50만원 이하 벌금
2.
70만원 이하 벌금
3.
100만원 이하 벌금
4.
300만원 이하 벌금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전파법제87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1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0. 7. 23.> 1. 제24조의2제1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무선국을 제19조제1항에 따른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개설하거나 운용한 자
제24조의2(검사의 면제 등) 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제24조제1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무선국의 경우에는 준공검사를 면제 또는 생략할 수 있다. <개정 2013.3.23, 2017.7.26> 1. 어선에 설치하는 무선국, 소규모의 무선국 및 아마추어국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무선국 2. 제22조제1항에 따라 재허가를 받은 무선국 3. 무선설비의 설치공사가 필요 없거나 간단한 무선국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무선국 [해설작성자 : 네모난원]
17.
주파수 이용실적의 판단기준이 아닌 것?
1.
해당주파수의 이용현황 및 수요 전망
2.
전파이용기술의 발전추세
3.
국제적인 주파수의 사용동향
4.
전파 환경개선의 전망
정답 : [
4
] 정답률 : 68%
18.
전파감시에 관한 사항 및 무선방위 측정장치의 설치장소 공고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은?
1.
전파연구소
2.
중앙전파관리소
3.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4.
국가정보원
정답 : [
2
] 정답률 : 62%
19.
다음은 공중선전력을 표기하는 방법이다. 이 중 “평균전력”을 표기하는 기호로 옳은 것은?
1.
PR
2.
PZ
3.
PX
4.
PY
정답 : [
4
] 정답률 : 63%
20.
다음 중 주파수할당의 결격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무선국 개설의 결격사유에 해당하는 자
2.
무선국을 유지할 재정적 기초가 없는 자
3.
기간통신사업허가의 결격사유에 해당하는 자
4.
전송망사업 등록의 결격사유에 해당하는 자
정답 : [
2
] 정답률 : 80%
2과목 : 기초전파공학
21.
전파(All?wave)수신기로 SSB파를 수신하고자 할 때에는 대역폭 손잡이를 어느 위치에 놓아야 하는가?
1.
0.1[khz]
2.
0.5[kHz]
3.
3[kHz]
4.
6[kHz]
정답 : [
3
] 정답률 : 39%
22.
도파관을 마이크로파 전력전송에 사용할 경우 특징은?
1.
전파에너지 손실이 적다.
2.
외부자계의 영향을 받는다.
3.
취급할 수 있는 전력이 적다.
4.
전송효율이 낮다.
정답 : [
1
] 정답률 : 30%
23.
다음 중 VHF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급전선은?
1.
도파관
2.
평행4선식
3.
평행3선식
4.
동축케이블
정답 : [
4
] 정답률 : 42%
24.
레이더의 성능을 판정하는데 필요한 사항이 아닌 것은?
1.
최소탐지거리
2.
방위분해능
3.
위치분해능
4.
거리분해능
정답 : [
3
] 정답률 : 43%
25.
다음 중 레이더의 최대 탐지거리를 크게 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송신전력을 크게 한다.
2.
송신전파의 파장을 길게 한다.
3.
송수신 안테나의 이득을 크게 한다.
4.
수신기의 감도를 좋게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6%
26.
음성신호의 진폭에 비례하여 펄스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펄스변조방식은?
1.
PCM
2.
PWM
3.
PPM
4.
PAM
정답 : [
4
] 정답률 : 39%
27.
다음 중 급전선의 정재파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은?
1.
옴 메타 측정기
2.
매직 T
3.
스펙트럼 아날라이저
4.
딥 메터
정답 : [
2
] 정답률 : 61%
28.
다음은 단파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1.
중계국 없이 원거리 통신이 가능하므로 효율이 뛰어나다.
2.
전리층반사를 되풀이 하며 원거리로 전파된다.
3.
지표면에서는 흡수가 심하여 급격히 감쇠된다.
4.
전리층밀도의 변화에 따른 통달거리 변화는 없다.
정답 : [
4
] 정답률 : 34%
29.
700[W]의 전력을 소비하는 전열기를 10시간 연속하여 사용했을 때의 전력량은 몇 [kWh]인가?
1.
6[kWH]
2.
7[kWH]
3.
8[kWH]
4.
9[kWH]
정답 : [
2
] 정답률 : 46%
30.
다음 표준신호발생기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발진주파수가 정확하고 파형의 일그러짐이 없을 것
2.
누설전류가 적고 온도에 따른 변동률이 적을 것
3.
불필요한 출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출력임피던스가 가변적일 것
4.
넓은 범위에 걸쳐 발진주파수가 가변적일 것
정답 : [
3
] 정답률 : 43%
31.
펄스 폭이 0.1[㎲] 인 레이더의 최소탐지거리는?
1.
15[m]
2.
150[m]
3.
1,500[m]
4.
10[m]
정답 : [
1
] 정답률 : 38%
32.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측정이 불가능한 것은?
1.
전압
2.
변조도
3.
저항
4.
주파수
정답 : [
3
] 정답률 : 46%
33.
FAX에서 주사속도를 결정하는 요소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원통의 길이와 회전수
2.
원통의 직경과 회전수
3.
원통의 넓이와 회전수
4.
원통의 밀도와 회전수
정답 : [
3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주사속도는 FAX에서 원통이 회전하면서 스캔되는 라인의 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원통의 직경이 커지면 한 바퀴 회전할 때 더 많은 선을 스캔할 수 있고, 회전수가 높으면 같은 시간 동안 더 많은 선을 스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통의 직경과 회전수는 주사속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해설작성자 : m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