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자산의 자본적지출을 수익적지출로 잘못 처리했을 경우, 당기의 당기순이익과 차기의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으로 올바른 것은?
1.
①
2.
②
3.
③
4.
④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자본적지출 : (대)유형자산 가치 증가 수익적지출 : (대)수선비 등 비용 발생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제시된 처리 오류로 인해 당기에는 비용이 발생해 순이익이 과소평가되고, 차기에는 전기(당기)의 유형자산 가치 증가가 반영되지 않아 인과관계 실종으로 인해 남는 순이익이 과대평가된다. 요약하면 당기에는 '비용이 나가서 손해 봤다', 차기에는 '원인은 모르겠지만 어쩐지 저번보다 장사가 잘 되니 이득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다음 중 매몰원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전기승용차 구입 결정을 함에 있어 사용하던 승용차 처분 시 기존 승용차의 취득원가
2.
과거 의사결정으로 발생한 원가로 향후 의사결정을 통해 회수할 수 없는 취득원가
3.
사용하고 있던 기계장치의 폐기 여부를 결정할 때, 해당 기계장치의 취득원가
4.
공장의 원재료 운반용 화물차를 판매 제품의 배송용으로 전환하여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때, 새로운 화물차의 취득가능금액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2,3 은 매몰원가 4번은 기회원가 [해설작성자 : 밍]
10.
다음 중 제조원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간접원가는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원가이지만 특정 제품 또는 특정 부문에 직접 추적할 수 없는 원가를 의미한다.
2.
조업도의 증감에 따라 총원가가 증감하는 원가를 변동원가라 하며, 직접재료원가와 직접노무원가가 여기에 속한다.
3.
고정원가는 관련범위 내에서 조업도가 증가할수록 단위당 고정원가가 감소한다.
4.
변동원가는 관련범위 내에서 조업도가 증가할수록 단위당 변동원가가 증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변동원가는 조업도가 올라감에 비례하여 원가가 상승함(커피 만들 때: 원두, 물, 우유) (1개의 제품을 만드는데 1000원이 들면 2개는 2000원 3개는 3000원) 그러므로 단위당원가(1개 만드는데 필요한 원가)는 일정함 (1000/1 =2000/2 =3000/3) 반대로 고정원가는 조업도가 올라가도 원가가 일정하고(가게 임대료, 감가상각비) 생산량이 늘어날수록 단위당 원가는 줄어듬(반비례) [해설작성자 : 신풍리홍보대사]
11.
㈜대한은 평균법에 의한 종합원가계산을 채택하고 있다. 재료원가는 공정 초기에 모두 투입되며, 가공원가는 공정 전반에 걸쳐 고르게 투입되는 경우 완성품환산량으로 맞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