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hane 20 vol%, Butane 30 vol%, Propane 50 vol%인 혼합기체의 공기 중 폭발하한계는 약 몇 vol% 인가? (단, 공기 중 각 가스의 폭발하한계는 Methane 5.0 vol%, Butane 1.8 vol%, Propane 2.1 vol% 임)
<문제 해설> UVCE(Unconfined Vapor Cloud Explosion):누출된 증기라는 단어가 핵심 -bleve와 더불어 경질유에서 잘 발생한다 -누출지점으로 멀수록 폭발력이 증대된다 -복사열보다는 화염전파에 의한 압력파가 더큰 피해를 준다(다만 폭발압력 자체는 작은편) -난류의 형태일때 폭발력이 증대된다
<문제 해설> 가. 지구온난화지수(GWP : Global Warming Potentials) →이산화탄소 1kg이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을 1로 보았을 때 상대물질의 기여 정도를 나타낸 수치. 나. 오존파괴지수(ODP : Ozone Depletion Potentials) →CFC3 1kg의 오존파괴능력을 1로 보고, 상대적인 파괴능력을 나타내는 지수 [해설작성자 : cbt]
<문제 해설> 기상폭발은 기상(氣狀). 즉 기체 상태를 의미하며, 가스폭발, 분무폭발, 증기운폭발, 비등액체폭발, 분해폭발, 박막폭발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반면 응상폭발은 응상(凝狀). 폭발물의 분자가 응집되어 액체 또는 고체 상태인 것을 말하며, 증기폭발, 전선폭발이 여기에 속합니다 [해설작성자 : fireert]
응상폭발의 대표적인 예 적린+염소산칼륨,5류위험물의 분해 [해설작성자 : 중국의 리즈시절 5호16국]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상 피난안전구역의 면적 산정기준에서 문화·집회 용도에서 고정좌석을 사용하지 않는 공간의 재실자 밀도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0.28
2.
0.45
3.
2.80
4.
9.30
정답 : [
2
] 정답률 : 56%
11.
가로 10m, 세로 5m, 높이 10m 인 실내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발열량 10,500 kcal/kg인 가연물 1,000 kg과 발열량 7,500 kcal/kg인 가연물 2,000 kg이 완전연소 하였을 때 화재하중(kg/m2)은 약 얼마인가? (단, 목재의 단위 발열량은 4,500 kcal/kg임)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상 벽의 내화구조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서 두께가 10센티미터 이상인 것
2.
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벽돌조 또는 석조로서 철재에 덮은 콘크리트블록등의 두께가 5센티미터 이상인 것
3.
벽돌조로서 두께가 15센티미터 이상인 것
4.
고온·고압의 증기로 양생된 경량기포 콘크리트패널 또는 경량기포 콘크리트블록조로서 두께가 10센티미터 이상인 것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벽돌조로서 두께 19cm 이상인 것 [해설작성자 : 관리사꿈나무 ]
14.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상 피난안전구역 설치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피난안전구역의 내부마감재료는 난연재료로 설치할 것
2.
비상용 승강기는 피난안전구역에서 승하차 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할 것
3.
건축물의 내부에서 피난안전구역으로 통하는 계단은 피난계단의 구조로 설치할 것
4.
피난안전구역의 높이는 l.8미터 이상일 것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피난안전구역의 내부마감재료는 난연재료로 설치할 것 --> 불연재료 2. 비상용 승강기는 피난안전구역에서 승하차 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할 것 3. 건축물의 내부에서 피난안전구역으로 통하는 계단은 피난계단의 구조로 설치할 것 --> 특별피난계단 4. 피난안전구역의 높이는 l.8미터 이상일 것 ==> 2.1 [해설작성자 : 10월의 어느날]
15.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상 피난안전구역 면적 산정 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0.28
2.
0.50
3.
0.70
4.
1.80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지하층이 하나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 피난안전구역 면적= (수용인원 * 0.1)*0.28m2 2. 지하층이 둘 이상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 피난안전 구역 면적 =(사용형태별 수용인원의 합*0.1)*0.28mm2 [해설작성자 : 동백]
16.
다음에서 설명하는 화재 시 언간의 피난행동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귀소본능
2.
지광본능
3.
추정본능
4.
회피본능
정답 : [
1
] 정답률 : 87%
17.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상 건축물의 바깥쪽에 설치하는 피난계단의 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ㄷ, ㄹ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2m 2. 내화구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화재실 내부에 발생한 난류화염에 벽체가 노출되었다. 화염으로부터 벽체에 전달되는 대류 열유속(W/m2)은 얼마인가? (단, 대류열전달계수는 7W/m2·℃, 난류화염의 온도는 900℃, 벽체의 온도는 30℃, 벽체면적은 2m2 임)
1.
6,090
2.
6,510
3.
12,180
4.
13,020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단위면적당 와트(w/m^2)를 구해야하므로 2를 곱할필요 없고 곱하더라도 최종적으로 다시 2로 나누면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열유속=H×A×델타T 문제에서 단위면적당을 물어봤으므로 면적 A는 곱하지않는다 7W/m^2•°c×870°c=6090W/m^2 [해설작성자 : 관리사꿈나무]
19.
고체가연물의 한 쪽 면이 가열되고 있는 조건에서 점화시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얇은 가연물이 두꺼운 가연물보다 빨리 점화된다.
2.
밀도가 높을수록 점화하기까지의 시간이 짧아진다.
3.
가연물의 발화점이 낮을수록 점화하기까지의 시간이 짧아진다.
4.
비열이 클수록 점화하기까지의 시간이 길어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가연물은 밀도가 크면 단위 체적당 분자량이 증가하여 분자들이 받아야할 에너지량이 증가하므로 점화하기까지 시간이 길어짐 cf)발화점이 크면 발화지연시간이 작아지나 3번항은 발화지연시간과의 관계를 묻는것이 아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화재성장속도 분류에서 약 1MW의 열량에 도달하는 시간이 300초에 해당하는 것은?
1.
Slow 화재
2.
Medium 화재
3.
Fast 화재
4.
Ultrafast 화재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ultrafast : 75s 유류화재 fast : 150s 얇은 물질의 화재 medium : 300s slow : 600s 훈소성화재 [해설작성자 : 문제집은 법령집이 아닙니다]
21.
연소생성물 중 발생하는 연소가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안화수소는 울, 실크, 나일론과 같이 질소를 함유하는 물질 등이 연소할 때 발생한다.
2.
일산화탄소는 가연물이 불완전 연소할 때 발생하는 것으로 독성가스이며 연소가 가능한 물질이다.
3.
이산화탄소는 흡입하면 호흡이 촉진되어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독성가스나 수증기를 흡입하는 양이 늘어난다.
4.
황화수소는 폴리염화비닐(PVC)이 화재로 인해 분해됐을 때 다량 발생하며, 금속에 대한 강한 부식성이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염화수소는 폴리염화비닐(PVC)이 화재로 인해 분해됐을 때 다량 발생하며, 금속에 대한 강한 부식성이 있다. 황화수소는 황을 포함한 물질의 불완전시 발생하며 오황화린 주수시에도 발생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이상유체 흐름에서 베르누이 방정식의 전수두(total head)를 구성하는 수두가 아닌 것은?
1.
위치수두
2.
마찰손실수두
3.
압력수두
4.
속도수두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H = u^/2g + P/r + Z 속도수두 + 압력수두 + 위치수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0.
내경이 0.5m인 주철관에서 물이 400m를 흐르는 동안 발생한 손질수두가 10m 이다. 이때 유량(m3/s)은 약 얼마인가? (단, Manning의 평균유속공식을 사용하며, 주철관의 조도계수는 0.015, π는 3.14이다.)
1.
0.517
2.
2.696
3.
4.529
4.
6.315
정답 : [
1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Manning 평균 유속공식 유속 u= 1/n x R^(2/3) x I^(1/2) n 조도계수, R은 경심(원형관의 경우 d의 1/4) I는 동수경사
u= 1/0.015 x (0.5/4)^(2/3) x (10/400)^(1/2) = 2.6352313...
유량 Q= u x A = 2.6352 x 파이x0.5^/4 = 0.517164... [해설작성자 : 열공제곱]
31.
내경이 각각 30cm와 20cm인 관이 서로 연결되어 었다. 내경 30cm 관에서의 유속이 1.5 m/s 일 때 20cm 관에서의 유속(m/s)은 얼마인가? (단, 정상류 흐름이며, π는 3.14 이다.)
1.
0.951
2.
3.375
3.
5.691
4.
8.284
정답 : [
2
] 정답률 : 68%
32.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1.
모세관 현상
2.
사이폰
3.
도수현상(hydraulic jump)
4.
캐비테이션
정답 : [
4
] 정답률 : 78%
33.
Darcy-Weisbach의 마찰손실공식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마찰손실수두는 관경에 반비례한다.
2.
마찰손실수두는 마찰손실계수에 비례한다.
3.
마찰손실수두는 관의 길이에 비례한다.
4.
마찰손실수두는 유속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34.
레이놀즈(Reynolds) 수로 알 수 있는 유체의 흐름은?
1.
층류, 난류, 천이류
2.
사류, 상류, 한계류
3.
층류, 난류, 한계류
4.
사류, 상류, 천이류
정답 : [
1
] 정답률 : 69%
35.
소화약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ㄱ, ㄴ, ㄷ, ㄹ
정답 : [
4
] 정답률 : 61%
36.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상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 기체소화약제의 저장용기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ㄱ: 5, ㄴ: 5, ㄷ: 5
2.
ㄱ: 5, ㄴ: 10, ㄷ: 5
3.
ㄱ: 10, ㄴ: 10, ㄷ: 15
4.
ㄱ: 10, ㄴ: 15, ㄷ: 10
정답 : [
2
] 정답률 : 67%
37.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상 이산화탄소소화약제 소요량의 방출기준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ㄱ: 5, ㄴ: 30
2.
ㄱ: 5, ㄴ: 50
3.
ㄱ: 7, ㄴ: 30
4.
ㄱ: 7, ㄴ: 50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cf:이산화탄소는 a급에 효과 없으나 전역방출설비 또는 소화기사용시 밀폐된 장소이면 효과 있음 [해설작성자 : 문제집은 법률이 아니기때문에]
38.
소화약제원액 12L를 사용하여 3%의 수성막포소화약제 수용액을 만들었다. 이 수용액을 모두 사용하여 발생시킨 포의 총 부피가 4m3 일 때 포의 팽창비는 얼마인가?
1.
5
2.
8
3.
10
4.
14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포원액/(포원액+물)=3% 포원액 :12L 포원액+물:수용액 (발포전)
팽창비:발포후 수용액부피/발포전 수용액부피 [해설작성자 : 문제집은 법률이 아니기때문에]
39.
소화약제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상 포소화약제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측정값은 기술기준의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하며, 오차범위는 고려하지 않는다.)
1.
유동점은 사용 하한온도보다 2.5℃ 이하이어야 한다.
2.
수성막포소화약제의 수소이온농도의 범위는 6.0 이상 8.5 이하이어야 한다.
3.
알콜형포소화약제의 비중의 범위는 0.90 이상 1.20 이하이어야 한다.
4.
고발포용포소화약제는 거품의 팽창율은 500배 이상이어야 하며, 발포전 포수용액 용량의 25%인 포수용액이 거품으로부터 환원되는데 필요한 시간이 1분 이하이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포의 25% 환원시간은 1분 이상아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푸카푸]
40.
할론소화약제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할론 1211의 화학식은 CF3ClBr이다.
2.
할론 2402는 에테인(ethane)의 유도체이다.
3.
오존파괴지수는 할론 1211이 할론 1301보다 크다.
4.
할론 1301은 상온과 상압에서 액체이며, 주된 소화효과는 억제소화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 CF2ClBr 3. 1301>2402>1211 4. 2402 빼고 상온에서 기체로 존재 [해설작성자 : 문제집은 법률이 아니기때문에]
41.
소화약제인 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물의 비열은 lcal/g·℃이다.)
1.
물의 용융잠열은 약 79.7 cal/g 이다.
2.
물은 극성분자로 분자 간에는 수소결합을 한다.
3.
1기압에서 20℃의 물 1g을 100℃의 수증기로 만들기 위해서는 약 619.6cal가 필요하다.
4.
물의 임계온도는 약 374℃로 임계온도 이상에서는 압력을 조금만 가해도 쉽게 액화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임계온도 이성에서는 기체상태와 액채상탸갚서로 나뉘지 않는 초임계 유체 상태가 된다. [해설작성자 : 푸카푸]
42.
분말소화약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제1종 분말의 주성분은 KHCO3 이다.
2.
차고 또는 주차장에 설치하는 분말소화설비의 소화약제는 제3종 분말을 사용한다.
3.
칼륨의 중탄산염이 주성분인 소화약제는 황색, 인산염이 주성분인 소화약제는 담홍색으로 각각 착색하여야 한다.
4.
분말상태의 소화약제는 굳거나 덩어리지거나 변질 등 그 밖의 이상이 생기지 아니하여야 하며 페네트로메타(penetrometer)시험기로 시험한 경우 10mm 이하 침투되어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43.
다음 회로에서 전류 I(A)는 얼마인가?
1.
3
2.
4
3.
5
4.
6
정답 : [
3
] 정답률 : 53%
44.
완전 도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하는 도체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한다.
2.
도체 내부의 전기장의 세기는 0 이다.
3.
도체 표면은 등전위면이고 도체 내부의 전위는 표면 전위와 같다.
4.
도체 표면에서 전기장의 방향은 도체 표면에 항상 수직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43%
45.
언덕터의 자기 인덕턴스(self inductance) 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코일 안에 삽입된 절연물의 투자율에 비례한다.
2.
동일한 인덕턴스를 갖는 인덕터 2개를 직렬 연결하면 합성 인덕턴스는 2배가 된다.
3.
코일이 전하를 축적할 수 있는 능력의 정도를 나타내는 비례상수이다.
4.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가 일정하다면 인덕터에 저장된 에너지는 인덕턴스에 비례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어떤 전류에 대한 자속의 비를 인덕턴스라고 합니다 [해설작성자 : 한국정력공사]
46.
진공 중에서 2m 떨어져 평행하게 놓여 있는 무한히 긴 두 도체에 같은 방향으로 직류 전류가 각각 lA 흐르고 있다. 이때 단위 길이 당 작용하는 힘의 방향과 크기(N/m)는? (단, μ0는 진공에서의 투자율이다.)
1.
인력,
2.
척력,
3.
인력,
4.
척력,
정답 : [
1
] 정답률 : 41%
47.
다음 회로의 부하 RL에서 소비되는 평균 전력이 최대가 될 때 RL(Ω)은 얼마인가? (단, Zs = 4+j3(Ω)이다.)
1.
3
2.
4
3.
5
4.
6
정답 : [
3
] 정답률 : 57%
48.
다음 회로에서 충분한 시간이 지난 다음 t=0 에서 스위치가 열린다면 t≥0에서 출력전압 Vo(t)(V)는?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34%
49.
다음 회로와 같은 T형 회로의 어드미턴스 파라미터(S) 중 옳지 않은 것은?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37%
50.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ideal operational amplifier)가 포함된 다음 회로에서 출력전압 Vo(V)는 얼마인가?
1.
2.5
2.
5.0
3.
10.0
4.
15.0
정답 : [
3
] 정답률 : 36%
3과목 : 소방관련법령
51.
소방기본법령상 소방기술민원센터의 설치·운영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온?
1.
소방청장 또는 소방본부장은 소방시설, 소방공사 및 위험물 안전관리 등과 관련된 법령해석 등의 민원을 종합적으로 접수하여 처리할 수 있는 소방기술민원센터를 설치·운영할 수 있다.
2.
소방기술민원센터는 센터장을 포함하여 30명 이내로 구성한다.
3.
소방기술민원센터의 설치·운영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4.
소방기술민원과 관련된 현장 확인 및 처리는 소방기술민원센터의 업무에 해당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소방기술민원센터는 센터장을 포함하여 18명 이내로 구성한다. [해설작성자 : cbt]
52.
소방기본법령상 소방대장이 정한 소방활동구역에 출입이 제한될 수 있는 자는? (단, 소방대장이 소방활동을 위하여 출입을 허가한 사람은 고려하지 않음)
1.
소방활동구역 안에 있는 소방대상물의 소유자 · 관리자 또는 점유자
2.
의사 · 간호사 그 밖의 구조 · 구급업무에 종사하는 사람
3.
화재보험업무에 종사하는 사람
4.
취재인력 등 보도업무에 종사하는 사람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소방활동구역 출입가능자 1. 소방활동구역안에 있는 소방대상물 소유자 관리자 점유자 2. 의사 간호사 그밖의 구조 구급업무 종사하는사람 3. 취재인력등 보도업무에 종사하는사람 4. 전기 가스 수도 통신 교통의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서 원할한 소방활동을 위하여 필요한 사람 5. 수사업무에 종사하는사람 6. 소방대장이 소방활동을 위하여 출입을 허가한 사람 소방활동구역 허가없이 출입한자:200이하 과태료 본서장 또는 시도지사가 부여 [해설작성자 : ㅇ]
53.
소방기본법령상 소방용수시설의 설치 및 관리 등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소방활동에 필요한 소방용수시설을 설치하고 유지 · 관리하여야 한다.
2.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소방자동차의 진입이 곤란한 지역 등 화재발생 시에 초기대응이 필요한 지역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역에 비상소화장치를 설치하고 유지·관리할 수 있다.
3.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원활한 소방활동을 위하여 소방용수시설에 대한 조사를 연 1회 실시하여야 한다.
4.
비상소화장치는 비상소화장치함, 소화전, 소방호스, 관창을 포함하여 구성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 시도지사는 소방활동에 필요한 소화전 급수탑 저수조(소방용수시설)을 설치유지 관리해야한다 2. 시도지사는 소방자동차의 진입이 곤란한 지역 등 화재발생 시에 초기대응이 필요한 지역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역에 비상소화장치를 설치하고 유지·관리할 수 있다. 3. 본서장은 원할한 소방활동을 위하여 소방용수시설에 대한 조사를 월 1회 실시하여야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4.
소방기본법령상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을 받을 수 있는 자는?
1.
화재 또는 구조 · 구급이 필요한 상황을 거짓으로 알린 자
2.
정당한 사유 없이 소방대의 생활안전활동을 방해한 자
3.
정당한 사유 없이 소방대가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사람을 구출하는 조치를 하지 아니한 관계인
4.
소방대장의 피난 명령을 위반한 자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2. 정당한 사유 없이 소방대의 생활안전활동을 방해한 자는 100만원이하 벌금에 처한다 3. 정당한 사유 없이 소방대가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사람을 구출하는 조치 또는 불을 끄거나 불이 번지지 아니하도록 하는 조치를 하지 아니한 사람는 100만원이하 벌금에 처한다 4. 피난 명령을 위반한 사람은 100만원이하 벌금에 처한다 [해설작성자 : ㅇ]
55.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용어의 정의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방시설설계업”이란 소방시설공사에 기본이 되는 공사계획, 설계도면, 설계 설명서, 기술계산서 및 이와 관련된 서류를 작성하는 영업을 말한다.
2.
“소방시설업자”란 소방시설업을 경영하기 위하여 소방시설업을 등록한 자를 말한다.
3.
“발주자”란 소방시설의 설계, 시공, 감리 및 방염을 소방시설업자에게 도급하는 자를 말한다. 다만, 수급인으로서 도급받은 공사를 하도급하는 자는 제외한다.
4.
“감리원”이란 소방시설공사업자에 소속된 소방기술자로서 해당 소방시설공사를 감리하는 사람을 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감리원이란 소방공사감리업자에 소속된 소방기술자로서 해당 소방시설공사를 감리하는사람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hiv]
56.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이 완공검사를 위해 현장확인을 할 수 있는 특정소방대상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되는 특정소방대상물
2.
가연성가스를 제조·저장 또는 취급하는 시설 중 지상에 노출된 가연성가스탱크의 저장용량 합계가 1백톤 이상인 시설
3.
연면적 1만제곱미터 이상이거나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아파트는 제외)
4.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다중이용업소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 문화집회 종교 운동 2. 노유자 수련 숙박 3. 판매시설 4. 창고시설 5. 다중이용업소 5. 지하상가 6. 가연성가스 제조 저장 또는 취급하는 시설중 지상에 노출된탱크 1000톤이상 7. 연10000이상 이거나 11층이상인 것 (아파트등 제외) 8. 스프링클러설비등 9. 물분무등소화설비(호스릴 방식의 소화설비는 제외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7.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일반 공사감리 대상 감라원의 세부 배치 기준이다. ( )에 들어갈 내용은?
1.
ㄱ: 3, ㄴ: 30, ㄷ: 20, ㄹ: 5
2.
ㄱ: 3, ㄴ: 50, ㄷ: 20, ㄹ: 3
3.
ㄱ: 5, ㄴ: 30, ㄷ: 10, ㄹ: 5
4.
ㄱ: 5, ㄴ: 50, ㄷ: 10, ㄹ: 5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 소방공사감리현장 5개 이하 - 2개의 소방공사감리현장 최단차량주행거리 30킬로미터 이내 - 감리현장 연면적 총 합계 10만제곱미터 이하 - 아파트 경우 연면적 합계 관계없이 1명의 감리원이 감리할 수 있는 공사현장 5개 이내 [해설작성자 : 권빼꼬]
58.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시·도지사가 화재예방강화지구로 지정하여 관리할 수 있는 지역이 아닌 것은? (단, 소방관서장이 화재예방강화지구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는 지역은 고려하지 않음)
1.
시장지역
2.
상업지역
3.
석유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이 있는 지역
4.
노후·불량건축물이 밀집한 지역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화재예방강화지구 지역 1. 시장지역 2. 공장창고 밀집지역 3. 목조건축물 밀집지역 4. 노후불량 밀집지역 5.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 밀집지역 6. 석유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이 있는지역 7. 물류단지 8. 산업단지 9. 소방시설 소방용수시설 또는 소방출동로가 없는지역 10. 소방관서장이 화재예방강화지구로 지정할필요가 있다고 인정하는 지역 cf)1.비상소화장치 설치대상:화재예방강화지구+시도지사가 비상소화장치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지역 2.시도지사는 화재예방강화지구를 지정하여 관리할수 있으며 시도지사가 화재예방강화지구로 지정하지 아니한 경우 소방청장은 해당 시도지사에게 해당지역의 화재예방강화지구 지정을 욫ㅇ할수있다 3.소방관서장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바에 따라 화재예방강화지구 안의 소방대상물의 위치 구조 및 설비 등에 대하여 연1회이상 화재안전조사를 실시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소방마스터]
59.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서장이 소방안전관리대상물 중 불특정다수인이 이용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근무자등에게 불시에 소방훈련과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닌 것은? (단,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소방훈련·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은 고려하지 않음)
1.
위락시설
2.
의료시설
3.
교육연구시설
4.
노유자 시설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 본서장은 불시소방훈련 및 교육을 실시하려는 경우에는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관계인에게 불시소방훈련 교육실시 10일전까지 불시소방훈련 교육계획서를 제출해야한다 2. 본서장은 평가를 실시한 경우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관계인에게 불시소방훈련 교육 종료일부터 10일이내 불시소방훈련 교육평가결과서를 제출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제39조(불시 소방훈련ㆍ교육의 대상) 법 제37조제4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이란 소방안전관리대상물 중 다음 각 호의 특정소방대상물을 말한다. 1.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2 제7호에 따른 의료시설 2.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2 제8호에 따른 교육연구시설 3.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 파률 시행령」 별표 2 제9호에 따른 노유자 시설 4. 그 밖에 화재 발생 시 불특정 다수의 인명피해가 예상되어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소방훈련ㆍ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특정소방대상물 [해설작성자 : 룩희뷰]
60.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화재안전영향평가섬의회 구성·운영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방청장은 화재안전과 관련된 분야의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로서 소방기술사를 위원으로 위촉할 수 있다.
2.
위촉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두 차례 연임할 수 있다.
3.
위원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위원장이 지명한 위원이 그 직무를 대행한다.
4.
위원장 1명을 포함한 12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두차례 연임은 성능위주설계평가단만 있다 cf심의회의 구성위원 1. 행정안전부,산업통상자원부,보건복지부,고용노동부,국토교통부에서 화재안전 관련 법령이나 정책을 담당하는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중에서 해당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지명하는사람 2. 소방청에서 화재안전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소방준감이상의 소방공무원으로서 소방청장이 지정하는사람 3. 소방기술사 4. 한국소방안전원에서 화재관련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으로서 안전원장이 추천하는사람 5. 한국소방산업기술원에서 화재관련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으로서 기술원장이 추천하는사람 6. 화재보험협회에서 화재관련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으로서 보험협회장이 추천하는사람 7.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화재관련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으로서 가스안전공사장이 추천하는사람 8. 전기안전공사에서 화재관련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으로서 전기안전공사이 추천하는사람 9. 고등교육법에 따른 학교 또는 이에 준하는 학교나 공인된 연구기관에서 부교수이상의 직 또는 이에 상당하는 직에 있었던 사람으로서 화재안전 또는 관련법령이나 정책에 전문성이 있는사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1.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화재안전조사 통지를 받은 관계인은 소방관서장에게 화재안전조사 연기를 신청할 수 있다. 연기신청 사유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2.
ㄴ
3.
ㄴ, ㄷ
4.
ㄱ, ㄴ, ㄷ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화재안전조사 연기사유 1. 재난이 발생한 경우 2. 관계인의 질병 사고 장기출장의 경우 3. 권한있는 기관에 자체점검 기록부 교육 훈련일지 등 화재안전조사에 필요한 장부서류등이 압수되거나 영치된 경우 4. 소방대상물의 증축 용도변경 또는 대수선등의 공사로 화재안전조사를 실시하기 어려운 경우
비교:화재예방법상 조치명령(소방대상물의 개수이전 제거 사용의 금지 또는 제한 사용폐쇄 공사의 정지 또는 중지 그밖의 필요한조치),선임명령,이행명령 연기사유 1. 재난이 발생한 경우-화재안전조사 동일 2. 관계인의 질병 사고 장기출장의 경우-화재안전조사 동일 3. 경매 등의 사유로 소유권이 변동 중이거나 변동된 경우- 4. 시장 상가 복합건축물등 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여러 명으로 구성되어 조치명령등의 이행에 대한 의견을 조정하기 어려운 경우 5. 관계인이 운영하는 사업에 부도 또는 도산 등 중대한 위기가 발생하여 조치명령등을 그기간내에 이행할수 없는 경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2.
소방시절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령상 특정소방대상물의 노유자 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장애인 의료재활시설
2.
정신요양시설
3.
학교의 병설유치원
4.
정신재활시설(생산품판매시설은 제외)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 노인관련시설 : 노인주거복지시설, 노인의료복지시설, 노인여가복지시설, 제가노인복지시설, 노인보호전문기관, 노인일자리지원기관, 학대피해노인전용쉼터,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 - 아동관련시설 : 아동복지시설, 어린이집, 유치원(학교의 교사 중 병설유치원으로 사용되는 부분 포함),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 - 장애인관련시설 : 장애인 거주시설, 장애인 지역사회재활시설,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 - 정신질환자 관련 시설 : 정신재활시설(생산품판매시설 제외), 정신요양시설,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 - 노숙인 관련 시설 : 노숙인복지시설, 노숙인종합지원센터 및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 - 위에서 규정한 것 외에 [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 사회복지시설 중 결핵환자 또는 한센인 요양시설 등 다른 용도로 분류되지 않는 것. 1. 장애인 의료재활시설은 의료시설 [해설작성자 : 권빼꼬]
옥내탱크저장소로 액표면적이 30m2 이상인 것(제6류 위험물을 저장하는 것 및 고인화점위험물만을 100℃ 미만의 온도에서 저장하는 것은 제외)
2.
암반탱크저장소로 고체위험물만을 저장하는 것으로서 지정수량의 100배 이상인 것
3.
옥내저장소로 처마높이가 6m 이상인 단층건물의 것
4.
이송취급소
정답 : [
1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액표면적이 30m2 → 40m2 이상인 것 [해설작성자 : cbt]
71.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인화성액체위험물(이황화탄소 제외) 옥외탱크저장소의 방유제에 관한 사항이다. ( )에 들어갈 내용은?
1.
ㄱ: 0.3, ㄴ: 2, ㄷ: 0.1
2.
ㄱ: 0.3, ㄴ: 2, ㄷ: 0.2
3.
ㄱ: 0.5, ㄴ: 3, ㄷ: 0.1
4.
ㄱ: 0.5, ㄴ: 3, ㄷ: 0.2
정답 : [
4
] 정답률 : 62%
72.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상 피난안내도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피난안내도의 크기는 A4(210mm × 297mm) 이상의 크기로 할 것
2.
피난안내도의 동선은 주 출입구에서 피난층까지로 할 것
3.
피난안내도에 사용하는 언어는 한글 및 2개 이상의 외국어를 사용하여 작성할 것
4.
피난안내도는 소화기, 옥내소화전 등 소방시설의 위치 및 사용방법을 포함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 크기 : B4(257mm×364mm) 이상의 크기로 할 것. 다만, 각 층별 영업장의 면적 또는 영업장이 위치한 층의 바닥면적이 각각 400m2 이상인 경우에는 A3(297mm×420mm) 이상의 크기로 하여야 한다. 2.구 획된 실 등에서 비상구 및 출입구까지의 피난 동선 3. 한글 및 1개 이상의 외국어를 사용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4. 옥내소화전 등 소방시설의 위치 및 사용방법 [해설작성자 : 룩희뷰]
73.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상 안전관리기본계획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안전관리기본계획에는 다중이용업소의 화재배상책임보험 가입관리전산망의 구축·운영이 포함되어야 한다.
2.
소방청장은 매년 연도별 안전관리계획을 전년도 10월 31일까지 수립해야 한다.
3.
소방청장은 안전관리기본계획을 수립하면 국무총리에게 보고하고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시·도지사에게 통보한 후 이를 공고해야 한다.
4.
소방청장은 안전관리기본계획을 수립한 경우에는 이를 관보에 공고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시행 2024.4.23.] [대통령령 제34449호, 2024.4.23., 타법개정] 제8조(집행계획의 내용 등) ① 소방본부장은 제4조제3항에 따라 공고된 기본계획과 제7조제2항에 따라 통보된 연도별 계획에 따라 안전관리집행계획(이하 “집행계획”이라 한다)을 수립해야 하며, 수립된 집행계획과 전년도 추진실적을 매년 1월 31일까지 소방청장에게 제출해야 한다. <개정 2014. 11. 19., 2017. 7. 26.> ② 소방본부장은 법 제6조제1항에 따라 관할지역의 다중이용업소에 대한 집행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포함시켜야 한다. 1. 다중이용업소 밀집 지역의 소방시설 설치, 유지ㆍ관리와 개선계획 2. 다중이용업주와 종업원에 대한 소방안전교육ㆍ훈련계획 3. 다중이용업주와 종업원에 대한 자체지도 계획 4. 법 제15조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다중이용업소의 화재위험평가의 실시 및 평가 5. 제4호에 따른 평가결과에 따른 조치계획(화재위험지역이나 건축물에 대한 안전관리와 시설정비 등에 관한 사항을 포함한다) ③ 법 제6조제3항에 따른 집행계획의 수립시기는 해당 연도 전년 12월 31일까지로 하며, 그 수립대상은 제2조의 다중이용업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쩍달]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 매년 1월31일 [해설작성자 : 쩍다리]
[오류신고 반론] 수립 12월31일 보고 1월31일
[오류신고 반론] [오류신고 전체반론]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 7조 (연도별 안전관리계획의 통보 등)
①소방청장은 법 제5조제3항에 따라 매년 연도별 안전관리계획(이하 “연도별 계획”이라 한다)을 전년도 12월 31일까지 수립해야 한다. <개정 2014. 11. 19., 2017. 7. 26.>
②소방청장은 제1항에 따라 연도별 계획을 수립하면 지체 없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시ㆍ도지사 및 소방본부장에게 통보해야 한다.
지문2번은 연도별계획에 관한 질문으로 집행계획이 아님 매년 1월 31일 아님 수립 12월 31일, 통보는 지체없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4.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상 안전관리우수업소에 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안전관리우수업소 표지의 규격은 가로 450밀리미터×세로 300밀리미터이다.
2.
안전관리우수업소 인정 예정공고의 내용에 이의가 있는 사람은 인정 예정공고일부터 30일 이내에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에게 전자우편이나 서면으로 이의신청을 할 수 있다.
3.
안전관리우수업소의 요건은 공표일 기준으로 최근 2년 동안 소방·건축·전기 및 가스 관련 법령 위반 사실이 없어야 한다.
4.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은 안전관리우수업소에 대하여 소방안전교육 및 화재위험평가를 면제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안전관리 우수업소에 선정되기 위해선 안전관리 업무 이행실태가 우수하고 최근 3년간 소방ㆍ건축ㆍ전기ㆍ가스 관련 법령 위반 사항이 없어야 한다. 화재 발생 사실도 없어야만 안전관리 우수업소로 선정될 수 있다. 안전관리 우수업소로 선정되면 2년간 소방특별조사와 소방안전교육이 면제되고 화재배상책임보험 요율 할인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해설작성자 : 쩍다리]
75.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상 안전시설등의 설치·유지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소방청장의 고시는 고려하지 않음)
1.
영업장 층별로 가로 50 센티미터 이상, 세로 50센티미터 이상 열리는 창문을 1개 이상 설치할 것
2.
영업장 내부 피난통로 또는 복도에 바깥 공기와 접하는 부분에 창문을 설치할 것(구획된 실에 설치하는 것은 제외)
3.
보일러실과 영업장 사이의 출입문은 방화문으로 설치하고, 개구부에는 방화범퍼(화재 시 연기 등을 차단하는 장치)를 설치할 것
4.
구획된 실부터 주된 출입구 또는 비상구까지의 내부 피난통로의 구조는 네 번 이상 구부러지는 형태로 설치하지 말 것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3번 이상 구부러지는 형태로 설치하지 말 것 [해설작성자 : 관리사꿈나무 ]
4과목 : 위험물의 성상 및 시설기준
76.
제1류 위험물인 산화성 고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연성 유기화합물과 혼합 시 연소 위험성이 증가한다.
2.
무기과산화물 관련 대형화재인 경우 질식소화는 효과가 없으며 다량의 물을 사용하여 소화하는 것이 좋다.
3.
제6류 위험물인 산화성 액체와 혼합하면 대부분 산화성이 감소한다.
4.
물에 녹는 것이 많으며 수용액 상태에서는 산화성이 없어지고 환원제로 작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제1류 위험물인 산화성 고체에 관한 성질 - 분해시 산소를 방출하므로 가연성물질의 연소를 돕는다.(조연성) [해설작성자 : du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