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사회복지사 1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1월13일(1607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사회복지사 1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 인간발달이론이 사회복지실천에 미친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스키너(B. Skinner) 이론은 행동결정요인으로 인지와 정서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2. 융(C. Jung) 이론은 중년기 이후의 발달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제공하였다.
     3. 에릭슨(E. Erikson) 이론은 생애주기별 실천개입의 기반을 제공하였다.
     4. 프로이트(S. Freud) 이론은 인간행동의 무의식적 측면을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였다.
     5. 매슬로우(A. Maslow) 이론은 인간의 욕구를 파악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행동결정 맞음 / 인지와 정서 X
[해설작성자 : 합객]

2. 인간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긍정적ㆍ상승적 변화는 발달로 간주하지만, 부정적ㆍ퇴행적 변화는 발달로 보지 않는다.
     2. 순서대로 진행되고 예측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3. 인간의 전반적 변화를 다루기 때문에 개인차는 중요하지 않다고 본다.
     4. 키ㆍ몸무게 등의 질적 변화와 인지특성ㆍ정서 등의 양적 변화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5. 각 발달단계에서의 발달 속도는 거의 일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인간발달의 원리 *
1. 일정한 순서 및 방향성
2. 연속성
3. 유전 및 환경과의 상호작용
4. 개인차의 존재
5. 분화와 통합의 과정
6. 점성원리(점성원칙)
7. 결정적 시기의 존재

성장 - 신체 크기의 증대, 근력 증가 등 양적 변화
성숙 - 내적, 유전적 메커니즘에 의한 변화
학습 - 특수한 경험이나 훈련 또는 연습 등에 의한 변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문화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문화는 인간집단의 생활양식의 총체로 정의할 수 있다.
     2. 다문화주의는 다양한 문화나 언어를 공유하고 상호 존중하여 적극 수용하려는 입장을 취한다.
     3. 베리(J. Berry)의 이론에서 동화(assimilation)는 자신의 고유문화와 새로운 문화를 모두 존중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4. 문화는 학습되고 전승되는 특징이 있다.
     5. 주류와 비주류 문화 사이의 권력 차이로 차별이 발생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동화: 주류사회와의 관계는 유지하지만 모국의 문화적 가치는 유지하지 않는 상태
통합: 주류사회와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모국의 문화적 사치를 유지하는 상태
분리: 주류사회와는 관계를 유지하지 않고 모국과 강한 유대관계를 지니는 상태
주변화: 주류사회와의 관계를 유지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모국의 문화적 가치도 유지하지 않는 상태
[해설작성자 : 뽀으니]

4. 스키너(B. Skinner)의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강화계획 중 반응율이 가장 높은 것은 가변비율(variable-ratio) 계획이다.
     2. 정적 강화물의 예시로 음식, 돈, 칭찬 등을 들 수 있다.
     3. 인간행동은 예측가능하며 통제될 수 있다고 본다.
     4. 인간의 창조성과 자아실현을 강조한다.
     5. 부적 강화는 바람직한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는데 초점을 둔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인간의 창조성과 자아실현 강조는 로저스의 인본주의 인간중심이론이다
[해설작성자 : 너그러운너구리]

1. 가변비율:다음강화가 언제 일어날지 예측할 수 없음(도박장의 슬롯머신)
2. 정적강화:즐고운 결과를 부여하여 행동재현을 가져오게함
3. 행동주의:인간은 보상과 처벌에 따른 기계론적 존재, 모든행동은 예측가능, 환경적 자극과정을 통해 형성된 결과물
5. 부적강화:혐오스런 결과를 제거하여 행동재현을 가져오게함
[해설작성자 : 이번엔붙자]

인간의 창조성과 자아실현의 강조는 로저스, 매슬로우 모두 해당되며 매슬로우는 욕구의 단계적 충족을 통해 자아실현을 이른다고 보고 있고 로저스는 타인의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과 자기 수용으로 자아실현에 이른다고 보고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푸린]

5. 학자와 주요개념의 연결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2. ㄱ, ㄴ
     3. ㄴ, ㄷ
     4. ㄱ, ㄴ, ㄷ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 비합리적인 신념: 엘리스
- 행동조성: 스키너
- 집단무의식: 융

로저스 현상학이론(자기이론) : 자기, 주관적 경험과 인식, 자기실현 경향성, 완전히 가능하는 사람
반두라 사회학습이론 : 모방(모델링), 인지, 자기강화, 자기효능감, 관찰학습, 대리학습
아들러 개인심리이론 : 사회적 관심, 창조적 자아, 목표지향적 인간, 열등감, 보상, 우월성 추구, 출생 순위, 가족 형상, 생활양식, 성격유형 4가지
[해설작성자 : 흑임자나라]

6. 아들러(A. Adler)의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성격은 점성원리에 따라 발달한다.
     2. 개인의 창조성을 부정한다.
     3. 무의식적 결정론을 고수하고 있다.
     4. 유전적ㆍ환경적 요인의 중요성을 배제한다.
     5. 인간을 목표지향적 존재로 본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점성원리: 이전발달을 토대로 다음단계로 발달(에릭슨 8단계)
2. 창조성 강조
3. 무의식적 결정론: 프로이트
4. 유전적(선천적) 요인보다는 우리가 가진 능력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중요
[해설작성자 : 이번엔붙자]

7. 에릭슨(E.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위기와 성취 덕목(virtue)이 옳게 연결된 것은?
     1. 근면성 대 열등감 - 성실(fidelity)
     2. 주도성 대 죄의식 - 목적(purpose)
     3. 신뢰 대 불신 - 의지(will)
     4. 자율성 대 수치심과 의심 - 능력(competence)
     5. 정체감 대 정체감 혼란 - 희망(hope)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근면성 대 열등감 - 능력
2. 주도성 대 죄의식 - 목적
3. 신뢰 대 불신 - 희망
4. 자율성 대 수치심과 의심 - 의지
5. 정체감 대 정체감 혼란 - 충성심

발달단계 순서는
신뢰/불신 -> 자율성/수치심 -> 주도성/죄의식 -> 근면성/열등감 -> (자아)정체감/역할혼란
[해설작성자 : 화이팅]

8. 로저스(C. Rogers)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인의 잠재력 실현을 위하여 조건적 긍정적 관심의 제공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2. 자기실현을 완성하는 사람의 특성을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fully functioning person)이라는 용어로 제시하였다.
     3. 클라이언트에 대한 공감적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4. 주관적이고 사적인 경험 세계를 강조하였다.
     5. 인간을 긍정적이며 창조적인 존재로 보았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조건적 긍정적 관심의 제공이 중요함이 아니라 무조건적 긍정적 관심의 제공
[해설작성자 : 물고기]

9. 융(C. Jung)의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신분석(psychoanalysis)이론이라 불린다.
     2. 사회적 관심과 활동수준을 기준으로 심리적 유형을 8가지로 구분하였다.
     3. 발달단계에 관하여 언급하지 않았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4. 개성화(individuation)를 통한 자기실현과정을 중요시하였다.
     5. 성격형성에 있어서 창조적 자기(creative self)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2. 에릭슨
3. 노년기까지 4단계, 중년기 강조
5. 아들러(창조적 자기, 우월 추구, 사회적 관심)
[해설작성자 : 이번엔붙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은 에릭슨에 관한 내용이 아닙니다.
에릭슨은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을 8단계로 제시했습니다.
보기에서의 2번은 즉, 사회적 관심과 활동수준으로 "생활양식"을 나눈 것은 아들러의 개인심리 이론입니다. 심지어 아들러는 8가지가 아닌 4가지 유형(지배,획득,회피,사회적 유용형)으로 나누었습니다.
또한 융은 "성격유형"을 제시하였으며 자아의 태도에 따라 내향 외향 , 자아정신 기능에 따라 합리적(이성판단 필요)- 사고형 감정형 과 비합리적(이성판단 불필요) 감각형 직관형으로 제시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2번 선지는 앞 뒤가 맞지 않는 엉터리 선지입니다.
에릭슨으로 8단계를 의도한 거라면 사회적 관심과 활동수준 기준의 내용이 빠지고 "심리사회적 위기"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강원대학교 사복 20]

10. 반두라(A. Bandura)의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2.
     3. ㄱ, ㄴ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ㄷ. 자기효능감을 가장 높이는 방법으로 관찰학습을 제시
ㄹ. 자기 자신에게 보상과 처벌을 주어 스스로 행동을 조성하는 자기강화의 개념을 제시
[해설작성자 : 오도해병]

[반두라 사회학습이론]
모방, 인지, 자기조정 및 규정, 자기강화, 자기효능감, 관찰학습, 대리학습 강조함
[해설작성자 : 흑임자나라]

11. 방어기제와 그 예시로 옳지 않은 것은?
     1. 합리화(rationalization): 지원한 회사에 불합격한 후 그냥 한번 지원해본 것이며 합격했어도 다니지 않았을 것이라 생각한다.
     2. 억압(repression): 시험을 망친 후 성적발표 날짜를 아예 잊어버린다.
     3. 투사(projection): 자신이 싫어하는 직장 상사에 대해서 상사가 자기를 싫어하기 때문에 사이가 나쁘다고 여긴다.
     4.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관심이 가는 이성에게 오히려 짓궂은 말을 하게 된다.
     5. 전치(displacement): 낮은 성적을 받은 이유를 교수가 중요치 않은 문제만 출제한 탓이라 여긴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 합리화 : 실패한 현실에 실망을 느끼지 않기 위해 그럴듯한 이유를 붙여 자신의 말과 행동을 정당화하는 것
예) 지원한 대학에 떨어진 경우 "내 적성에 맞지 않았어"라고 변명함으로써 실패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것
2. 억압 : 수용하기 어려운 본능적인 욕구, 불쾌하거나 괴로운 경험 등이 의식으로 떠오르지 못하도록 무의식으로 밀어두는 것
예) 어릴 때 부모로부터 받은 학대 경험을 억압하여 무의식에 저장하는 것
3. 투사 : 용납할 수 없는(바람직하지 못한) 자신의 욕구나 감정을 타인의 것으로 돌리는 것
예) 본인이 상대방을 미워하는 마음은 의식하지 못한채 상대방이 자신을 미워한다고 생각하는 경우
4. 반동형성 : 자신이 본래 가지고 있는 무의식적인 소망 또는 충동을, 그와 정반대되는 방향으로 표출하는 것
예) 남편을 증오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는 아내가 남편에게 헌신하는 행동을 보이는 경우
5. 전치 : 어떤 대상에게 느낀 자신의 욕구나 감정을 '보다 덜 위협적인' 다른 대상에게 표출하는 것
예) 직장상사에게 야단을 맞은 후 집에 와서 자식들의 행동을 트집 잡아 화를 내는 것
[해설작성자 : 지훈]

12. 피아제(J. Piaget)의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간은 자신과 환경 사이에 조화로운 관계인 평형화(equilibration)를 이루고자 하는 경향성이 있다.
     2. 감각운동기에 대상영속성(object permanence)을 획득한다.
     3. 조절(accommodation)은 새로운 정보를 접했을 때 기존의 도식을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4. 구체적 조작기에는 추상적 사고가 가능해진다.
     5. 보존(conservation) 개념 획득을 위해서는 동일성, 가역성, 보상성의 원리를 이해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추상적 사고는 형식적 조작기에 가능함.
[해설작성자 : 찌밍]

13. 생태체계 이론의 중간체계(meso system)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미시체계 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다.
     2. 개인이 직접적으로 대면하는 체계를 의미한다.
     3. 신념, 태도, 전통 등을 통해 영향력을 행사한다.
     4. 대표적인 중간체계로 가족과 집단을 들 수 있다.
     5. 문화, 정치, 사회, 법, 종교 등이 해당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미시체계-중간체계-외체계-거시체계 순
2. 개인이 직접적으로 대면 - 미시체계
3. 신념, 태도, 전통 - 거시체계
4. 집단(학교, 유치원, 교회)은 맞는데 가족은 미시체계
5. 문화, 정치, 사회, 법, 종교 - 거시체계
[해설작성자 : 사복1회차]

14. 체계로서의 지역사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2. ㄱ, ㄴ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엔트로피-상호작용 감소에 따라 유용한 에너지가 감소하는 상태
[해설작성자 : 이번에는 합격]

15. 브론펜브레너(U. Bronfenbrenner)의 생태체계이론에서 다음에 해당하는 개념으로 옳은 것은?

    

     1. 미시체계(micro system)
     2. 외체계(exo system)
     3. 거시체계(macro system)
     4. 환류체계(feedback system)
     5. 시간체계(chrono system)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시간체계는 사람의 발달이 시간의 흐름과 함께 어떤 영향을 받는지, 즉 연속적인 사건들이 누적되어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개념을 포함합니다. 또한, 시간적 변화는 사회적, 역사적 환경의 변화와 관련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해설작성자 : 부엉이]

16. 다음에 해당하는 개념으로 옳은 것은?

    

     1. 균형(equilibrium)
     2. 호혜성(reciprocity)
     3. 안정상태(steady state)
     4. 항상성(homeostasis)
     5. 적합성(goodness of fit)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호혜성: 체계 일부의 변화가 다른 부분들과 상호작용하여 나머지 부분도 변화하는 성질
[해설작성자 : 아자아자]

17. 영아기(0-2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콜버그(L. Kohlberg): 전인습적 도덕기에 해당한다.
     2. 에릭슨(E. Erikson): 주 양육자와의 “신뢰 대 불신”이 중요한 시기이다.
     3. 피아제(J. Piaget): 보존(conservation) 개념이 확립되는 시기이다.
     4. 프로이트(S. Freud): 거세불안(castration anxiety)을 경험하는 시기이다.
     5. 융(C. Jung): 생활양식이 형성되는 시기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에릭슨 **

유아기 0-18개월 : 신뢰감 대 불신감 / 희망, 공포
초기아동기 18-3세 : 자율성 대 수치심 , 회의 / 의지력 대 의심
학령전기 유희기 3세-5세 : 주도성 대 죄의식 / 목적의식 대 상실
학령기 5-12세 : 근면성 대 열등감 / 능력감 대 무능력
청소년기 12-20세 : 자아정체감 대 정체감 혼란 / 성실성 대 불확실성
성인 초기 20-24세 : 친밀감 대 고립감 / 사랑 대 난잡함
성인기 24-65세 : 생산성 대 침체 / 배려 대 이기주의
노년기 65세 이후 : 자아통합 대 절망 / 지혜 대 인생의 무의미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청소년기(13-19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신체적 측면에서 제2의 급성장기이다.
     2. 심리적 이유기의 특징을 보인다.
     3. 부모보다 또래집단의 영향력이 커진다.
     4. 피아제(J. Piaget)에 의하면 비가역적 사고의 특징이 나타나는 시기이다.
     5. 프로이트(S. Freud)의 심리성적발달단계에서 생식기에 해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피아제의 비가역적 사고는 전조작기특성으로(3~6세)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유아기(3-6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신의 성을 인식하는 성 정체성이 발달한다.
     2. 놀이를 통한 발달이 활발한 시기이다.
     3. 신체적 성장이 영아기(0-2세)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된다.
     4. 언어발달이 현저하게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5. 정서적 표현의 특징은 일시적이며 유동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영아기 특성 -    제 1 성장 급등기
[해설작성자 : 사복조교]

20. 청년기(20-39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에릭슨(E. Erikson)은 근면성의 발달을 중요한 과업으로 보았다.
     2. 다른 시기에 비하여 경제적으로 안정되어 있고 직업에서도 높은 지위와 책임을 갖게 된다.
     3. 빈둥지 증후군을 경험하는 시기이다.
     4.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아개념이 발달하기 시작한다.
     5. 직업 준비와 직업선택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는 시기이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 에릭슨은 근면성이 발달되는 시기는 학령기로 6세에서 12세까지 발달된다고 보았다.
[해설작성자 : 화이팅]

21. 생애주기와 발달적 특징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1. 영아기(0-2세) - 애착발달
     2. 아동기(7-12세) - 자아정체감 확립
     3. 청소년기(13-19세) - 제2차 성장의 발달
     4. 중년기(40-64세) - 신진대사의 저하
     5. 노년기(65세 이상) - 내향성과 수동성의 증가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2. 아동기(7~12세)-자존감이 발달하고 가치관이 확립되는 시기
     사회화, 또래집단과의 상호작용 중시, 자기중심성 극복, 탈중심화, 가역적 사고를 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자이정체감확립은 청소년기(13~19세)
[해설작성자 : 이번엔붙자]

22. 다음 중 태내기(수정-출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종기(germinal period)는 수정 후 수정란이 자궁벽에 착상할 때까지의 시기를 말한다.
     2. 임신 3개월이 지나면 태아의 성별구별이 가능해진다.
     3. 양수검사(amniocentesis)를 통해서 다운 증후군 등 다양한 유전적 결함을 판별할 수 있다.
     4. 임신 중 어머니의 과도한 음주는 태아알콜증후군(fetal alcohol syndrome)을 초래할 수 있다.
     5. 배아의 구성은 외배엽과 내배엽으로 이루어지며, 외배엽은 폐, 간, 소화기관 등을 형성하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배아는 정자와 난자가 만나 결합된 수정란을 의미하며, 외배엽, 중배엽, 내배엽으로 구성.
내배엽은 폐, 간, 소화기관을 형성함
[해설작성자 : yoon4159]

23. 중년기(40-64세)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에릭슨(E. Erikson)에 의하면 “생산성 대 침체”라는 심리사회적 위기를 극복하게 되면 돌봄(care)의 덕목을 갖추게 된다.
     2. 유동성 지능(fluid intelligence)은 높아지며 문제해결능력도 향상될 수 있다.
     3. 자아통합이 완성되는 시기로 자신의 삶에 대한 평가를 시도한다.
     4. 갱년기 증상은 여성에게 나타나고 남성은 경험하지 않는다.
     5. 융(C. Jung)에 의하면 남성에게는 아니무스가, 여성에게는 아니마가 드러나는 시기이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2. 유동성 지능은 저하되고 결정성 지능이 높아진다.
3. 노년기에 해당
4. 남성과 여성 모두 갱년기 증상이 나타남
5. 남성에게는 아니마가 여성에게는 아니무스가 드러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아동기(7-12세)의 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ㄹ
     3. ㄱ, ㄴ, ㄷ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ㄹ: 에릭슨의 학령기(아동기, 7-12세)는 "근면성 vs 열등감"
[해설작성자 : 파이팅]

25. 체계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넥엔트로피(negentropy)란 체계를 유지하고, 발전을 도모하고, 생존하는 것을 의미한다.
     2. 항상성(homeostasis)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균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체계의 경향을 말한다.
     3. 경계(boundary)는 체계를 외부 환경과 구분 짓는 둘레를 말한다.
     4. 다중종결성(multifinality)은 서로 다른 경로와 방법을 통해 같은 결과에 도달할 수 있음을 말한다.
     5. 부적 환류(negative feedback)는 체계가 목적 달성이 어려운 방식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정보를 제공하여 체계의 변화를 도모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다중종결성(multifinality) : 처음의 조건과 수단이 비슷하다고 할지라도 다른 결과가 나타난다는 것.
[해설작성자 : 사복1회차]

26. 과학철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쿤(T. Kuhn)은 과학적 혁명에서 패러다임 전환을 제시하였다.
     2. 쿤(T. Kuhn)은 당대의 지배적 패러다임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을 정상과학이라고 지칭하였다.
     3. 포퍼(K. Popper)는 쿤의 과학적 인식에 내재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반증주의를 제시하였다.
     4. 포퍼(K. Popper)의 반증주의는 연역법에 의존한다.
     5. 포퍼(K. Popper)는 이론이란 증명되는 것이 아니라 반증되는 것이라고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거꾸로 쿤(T.Kuhn)이 포퍼(K. Popper)의 주장을 극복하기 위해 패러다임 전환을 제시하였음.
[해설작성자 : 사복1회차]

27. 과학적 탐구에서 제기되는 윤리적 문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어떤 경우라도 연구참여자 속이기는 허용되지 않는다.
     2. 고지된 동의는 조사대상자의 판단능력을 고려하여야 한다.
     3. 연구자는 기대했던 연구결과와 다르더라도 그 결과를 사실대로 보고해야 한다.
     4. 사회복지조사에서는 비밀유지가 엄격히 지켜질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5. 연구자는 개인정보 유출 등으로 인해 연구참여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신중을 기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숨겨야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해설작성자 : 1급 아자]

28. 과학적 지식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8%

29. 다음에서 설명하는 조사유형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1. ㄱ: 경향조사, ㄴ: 코호트(cohort)조사
     2. ㄱ: 경향조사, ㄴ: 패널조사
     3. ㄱ: 코호트(cohort)조사, ㄴ: 경향조사
     4. ㄱ: 패널조사, ㄴ: 경향조사
     5. ㄱ: 패널조사, ㄴ: 코호트(cohort)조사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경향조사: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일반적인 대상집단의 변화를 조사하는 것
코호트조사: 특정 시간대에 동일한 경험을 공유하는 집단을 추적해 시간적 변화를 분석하는 연구방법
패널조사: 장기간 반복적으로 조사를 실시하는데, 매 조사시점마다 동일인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것이 특징임.
[해설작성자 : 김왕자]

30. 분석단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2. ㄱ, ㄴ
     3. ㄱ, ㄷ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분석단위: 서술, 설명하고자 하는 초점 대상이나 요소

분석단위 종류: 개인, 집단, 지역사회, 사회적 가공물 (사회적 매체, 사회적 상호작용) 등

ㄱ. 이혼, 폭력, 범죄 등과 같은 분석단위: 사회적 가공물
ㄴ. 생태학적 오류: 생태학적 특성을 개인 특성으로 직접 연결할 때 생기는 오류
ㄷ. 환원주의: 사회현상은 매우 다양한 변수가 동시에 영향을 미치기 마련인데, 이를 지나치게 단순화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오류
[해설작성자 : ㄵ]

31. 변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매개변수(mediating variable)는 독립변수의 영향을 받아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다.
     2. 통제변수(control variable)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통제대상이 되는 변수이다.
     3. 독립변수는 결과변수이고 종속변수는 설명변수이다.
     4. 조절변수(moderating variable)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의 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5. 변수들 간의 관계는 그 속성에 따라 직선이 아닌 곡선의 형태로도 나타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독립변수는 원인이므로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변수이고 종속변수는 결과변수이다
[해설작성자 : 아이]

32. 영가설(null hypothesis)과 연구가설(research hypothesi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연구가설은 연구의 개념적 틀 혹은 연구모형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2. 연구가설은 그 자체를 직접 검정할 수 있다.
     3. 영가설은 연구가설의 검정 결과에 따라 채택되거나 기각된다.
     4. 연구가설은 수집된 자료에서 나타난 차이나 관계가 표본추출에서 오는 우연에 의한 것으로 진술된다.
     5. 연구가설은 영가설에 대한 반증의 목적으로 설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2. 영가설에 관한 설명이다.
3. 연구가설은 영가설의 검정결과에 따라 채택되거나 기각된다.
4. 영가설은 수집된 자료에서 나타난 차이나 관계가 표본추출에서 오는 우연에 의한 것으로 진술된다.
5. 영가설은 연구가설에 대한 반증의 목적으로 설정된다
[해설작성자 : 아자아자]

33. 인과관계 추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독립변수들 사이의 상관관계는 인과관계 추론의 일차적 조건이다.
     2.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는 두 변수 모두의 원인이 되는 제3의 변수로 설명되어서는 안된다.
     3. 종속변수가 독립변수를 시간적으로 앞서야 한다.
     4. 횡단적 연구는 종단적 연구에 비해 인과관계 추론에 더 적합하다.
     5. 독립변수의 변화는 종속변수의 변화와 관련성이 없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 독립과 종속관계가 아닌 독립변수들 사이의 인과관계는 관련 없음.
2. 정답
3. 독립(원인), 종속(결과) 관계이므로 원인이 시간적으로 앞서야함.    
4. 횡단연구는 한 시점에서 상태를 살펴보는것이고, 종단연구는 여러 시점에서 변화를 살펴보는것이기 때문에 인과관계 추론엔 종단연구(변화)가 적합.
5. 독립변수가 변화하면 종속변수가 같이 변화해야 인과관계 성립. 즉, 관련있음.
[해설작성자 : 합격했던사람]

34. 척도의 종류가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ㄱ: 명목척도, ㄴ: 서열척도, ㄷ: 비율척도
     2. ㄱ: 명목척도, ㄴ: 비율척도, ㄷ: 서열척도
     3. ㄱ: 비율척도, ㄴ: 등간척도, ㄷ: 서열척도
     4. ㄱ: 서열척도, ㄴ: 등간척도, ㄷ: 비율척도
     5. ㄱ: 서열척도, ㄴ: 비율척도, ㄷ: 명목척도

     정답 : []
     정답률 : 72%

35. 측정의 수준이 서로 다른 변수로 묶인 것은?
     1. 대학 전공,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
     2. 복지비 지출 증가율, 월평균 소득(만원)
     3. 온도(℃), 지능지수(IQ)
     4. 생활수준(상, 중, 하), 혈액형
     5. 성별, 현재 흡연여부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4.
생활수준(상, 중, 하) -> 서열
혈액형 -> 명목
[해설작성자 : 강대생]

36.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측정은 연구대상의 속성에 대하여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숫자나 기호를 부여하는 과정이다.
     2. 사회과학에서는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특질 자체를 측정하기 보다는 특질을 나타내는 지표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경우가 많다.
     3. 보가더스(Bogardus)의 사회적 거리척도는 등간척도의 한 종류이다.
     4. 리커트(Likert) 척도는 각 문항의 점수를 합산하여 전체적인 경향이나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5. 측정항목의 수를 많게 하면 신뢰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추가로 보가더스 척도는 서열척도 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7. 내적일관성 방법에 근거하여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2.
     3. ㄴ, ㄷ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내적일관성 신뢰도 측정방법: 알파계수, 반분법
[해설작성자 : 아자아자]

38.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타당도가 있다면 어느 정도 신뢰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2. 신뢰도가 높을 경우 타당도도 높다고 할 수 있다.
     3. 요인분석법은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4. 신뢰도는 측정하려고 의도된 개념을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5. 주어진 척도가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일련의 전문가가 판단할 때 판별타당도가 있다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39. 다음 사례에 해당하는 표집용어와 관련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모집단: 표본추출된 300명
     2. 표집방법: 할당표집
     3. 관찰단위: 집단
     4. 표집틀: 노인 이용자명단
     5. 분석단위: 집단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 표본추출된 300명은 모집단이 아닌 표본집단입니다.
2. "무작위 표본추출"이기에 확률표집입니다. 선지의 할당표집은 비확률표집입니다. (임,유,할,눈)
3. 관찰단위는 노인 "개인" 입니다.
4. 표집틀은 모집단의 목록입니다.(정답)
5. 분석단위는 노인 "개인"입니다.

많은 분들이 관찰단위와 분석단위를 헷갈려하십니다. 관찰단위와 분석단위는 어지간하면 일치하나 그렇지 않은 경우도 왕왕있습니다.
쉽게 설명하여 관찰단위는 자료를 수집하는 단위이며 분석단위는 분석할 대상을 의미하면 쉽게 판단하실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강원대학교 사복 20 ]

40. 표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의도적표집(purposive sampling)은 비확률표집이다.
     2. 할당표집(quota sampling)은 동일추출확률에 근거한다.
     3. 눈덩이표집(snowball sampling)은 질적연구나 현장연구에서 많이 사용된다.
     4. 집락표집(cluster sampling)은 모집단에 대한 표집틀이 갖추어지지 않더라도 사용가능하다.
     5. 체계적표집(systematic sampling)은 주기성(periodicity)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2. 확률표집에 대한 설명이다. 할당표집은 비확률표집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아자아자]

41. 표집오차(sampling erro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표본의 선정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이다.
     2. 표집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3. 동일한 조건이라면 표본크기가 클수록 감소한다.
     4. 모집단의 크기와 표본크기의 차이를 말한다.
     5. 동일한 조건이라면 이질적 집단보다 동질적 집단에서 추출한 표본의 표집오차가 작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표집오차란 모집단 값과 표본의 값 간의 차이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1급 합격하자]

42. 질적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집방법이 아닌 것은?
     1. 판단(judgemental) 표집
     2. 체계적(systematic) 표집
     3. 결정적 사례(critical case) 표집
     4. 극단적 사례(extreme case) 표집
     5. 최대변이(maximum variation) 표집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2. 체계적 표집은 양적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집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묘나]

43. 다음 사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형적인 실험설계이다.
     2. 교육에 참여한 집단이 실험집단이다.
     3. 외적 요인의 통제를 시도하지 않았다.
     4. 내적 타당도의 저해요인이 발생할 수 있다.
     5. 두 집단 간의 사전, 사후 측정치를 비교하여 효과를 판단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위의 사례는 순수실험설계-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설계에 해당함.
[해설작성자 : 아자아자]

44. 내용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반응적(reactive) 연구방법이다.
     2. 서베이(survey) 조사에서 사용하는 표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3. 연구과정에서 실수를 하더라도 재조사가 가능하다.
     4. 숨은 내용(latent content)의 분석이 가능하다.
     5. 양적분석과 질적분석 모두 적용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내용분석법은 비반응적 연구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5. 단일사례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복수의 각기 다른 개입방법을 연속적으로 도입할 수 없다.
     2. 시계열설계의 논리를 개별사례에 적용한 것이다.
     3. 윤리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4. 실천과정과 조사연구과정이 통합될 수 있다.
     5. 다중기초선 설계의 적용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ABCD설계(다중요소설계)는 하나의 기초선에 긱기 다른 개입을 연속적으로 시행하는 단일사례설계이다.
[해설작성자 : 아자아자]

46. 질적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변수중심의 분석이 이루어진다.
     2. 논리실증주의적 관점을 견지한다.
     3. 인간행동의 규칙성과 보편성을 중시한다.
     4.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을 추출한다.
     5. 관찰로부터 이론을 도출하는 귀납적 방법을 활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질적연구는 주로 귀납적 방법을 많이 사용한다. 다만 연역적 방법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해설작성자 : 김왕자]

47. 다음에서 설명하는 설계에 해당하는 것은?

    

     1. 비동일 통제집단 설계
     2. 정태적 집단비교 설계
     3. 다중시계열 설계
     4. 통제집단 사후검사 설계
     5. 플라시보 통제집단 설계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정태적 집단비교설계: 연구자가 임의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배치하고 실헙집단에 실험처치를 한 후, 두 집단 모두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관찰결과를 비교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아자아자]

선지를 분석하기 전에 사례에서는 특정 요양원의 인원을 선정하였습니다. 즉 무작위로 할당으로 선정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비교집단"을(=통제집단) 활용하였다는 말을 하였습니다. 이 두 가지만 파악해도 어느 정도 답이 걸러집니다.

우선 4번과 5번은 정답이 아닙니다. 두 설계는 순수실험설계이기에 무작위 할당이 필요합니다.
3번 복수시계열 또한 정답이 아닙니다. 시계열이면 반복 측정이 핵심입니다. 사례에 제시되지 않았습니다.

남은 1번 비동일 통제집단 설계는 유사 실험설계입니다.
0 X 0        
0     0
의 형태입니다. 통제집단 사전사후 검사에서 무작위할당 R값이 제외된 설계입니다. 다만 사례에서 "사전조사를 없이" 를 통해 사전 조사를 하지 않았다는 걸 알 수 있기에 정답이 아닙니다.

2번 정태적 집단비교 , 무작위도 아니며 사전검사도 안했고, 사례에서 말한 비교집단 즉, 통제집단을 활용하였습니다. 또한 사후 검사를 하였습니다
x o
    o
의 형태입니다. 2번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강원대학교 사복 20 ]

48. 질문 내용 및 방법의 표준화 정도가 낮은 자료수집 유형끼리 바르게 묶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7%

49. 내적 타당도 저해 요인 중 통계적 회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프로그램의 개입 후 측정치가 기초선으로 돌아가려는 경향
     2. 프로그램 개입의 효과가 완전한 선형관계로 나타나는 경향
     3. 프로그램의 개입과 관계없이 사후검사 측정치가 평균값에 근접하려는 경향
     4. 프로그램 개입 전부터 이미 이질적인 두 집단이 사후조사 결과에서도 차이가 나타나는 경향
     5. 프로그램의 개입 전후에 각각 다른 측정도구로 측정함으로써 차이가 나타나는 경향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통계적회귀:사전검사에서 아주 극단적인 점수를 보이는 사람들을 연구에 참여시키면 사후검사에서는 이들의 점수가 평균값에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어 내적타당도가 낮아진다.
[해설작성자 : 아자아자]

50. 완전참여자(complete participan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연구대상이 관찰된다는 사실을 알기에 자연적인 상태에서의 관찰이 불가능하다.
     2. 관찰대상과 상호작용 없이 연구대상을 관찰할 수 있다.
     3. 관찰대상의 승인을 받고 관찰대상과 어울리면서도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4. 관찰대상의 승인을 받지 않고 관찰한다는 점에서 연구윤리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5. 관찰 상황을 인위적으로 통제한 상황에서 관찰을 진행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완전 참여자: 연구자가 신분과 목적을 알리지 않는 상태에서 연구대상을 관찰하는 사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사회복지사 1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1월13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회복지사, 1급, 1교시,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9 소방공무원(경력) 응급처치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3월18일(1607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68 소방공무원(경력) 화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3월18일(1607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467 소방공무원(경력)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3월18일(16072)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466 소방공무원(공개) 소방관계법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3월18일(16073)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465 소방공무원(공개)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3월18일(16074)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 사회복지사 1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1월13일(16075) 좋은아빠되기 2025.10.08 2
463 사회복지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1월13일(16076)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462 사회복지사 1급(3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1월13일(16077)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461 귀금속가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8월21일(1607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460 지능형홈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3월20일(16079)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59 지능형홈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1608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458 지능형홈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04일(1608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457 지능형홈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12월04일(16082)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456 지능형홈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03일(16083)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455 지능형홈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7월03일(16084)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454 지능형홈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9월25일(16085)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453 지능형홈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12월04일(16086)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452 지능형홈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4월02일(16087)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451 지능형홈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25일(1608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450 지능형홈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9월24일(16089)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Board Pagination Prev 1 ... 756 757 758 759 760 761 762 763 764 765 ... 784 Next
/ 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