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유료작물- 유채, 들깨 아주까리 같은 기름을 목적으로 재배하는 식물 [왕골은 섬유작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작물의 재배조건과 T/R율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양함수량이 감소하면 T/R율이 증가한다.
2.
질소를 다량 시용하면 T/R율이 증가한다.
3.
뿌리의 호기호흡이 저해되면 T/R율은 증가한다.
4.
고구마는 파종기나 이식기가 늦어지면 T/R율이 증가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번을 제외하고는 지하부의 중량이 더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토양 함수량이 감소하면 T/R율이 감소한다 -> 왜? 토양 수분 감소시 뿌리보다 줄기기와 가지의 생장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지상부가 지하부에 비해 작아지므로 T/R율은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eastname]
3.
저온처리와 장일조건을 필요로 하는 식물의 화아형성과 개화를 촉진하는 식물생장조절제는?
1.
ABA
2.
지베렐린
3.
시토키닌
4.
B-Nine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ABA- 휴면 유도, 기공 개폐, 생장 억제, 노화 및 낙엽 촉진 지베렐린- 줄기 신장, 발아, 휴면, 꽃의 개화 및 성장 시토키닌- 줄기와 뿌리의 세포 분열 촉진, 기공 개폐, 노화 지연 B-Nine- 식물 생장 조절제로 낙과 방지, 착색 촉진, 식용은 위험 [해설작성자 : 한]
4.
다음에서 설명하는 관개법은?
1.
고랑관개
2.
살수관개
3.
점적관개
4.
전면관개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고랑관개- 포장에 이랑을 세우고 고랑에 물을 흘려서 대는 방법 살수관개- 스프링클러 등 공중으로부터 물을 뿌려 대는 방법 점적관개- 토양 표면 위 혹은 아래에서 물을 천천히 떨어뜨려 표토의 유실을 방지하고 물과 양분을 절약하는 미세 관수 시스템 전면관개- 지표면 전면에 물을 흘려 대는 방 [해설작성자 : 한]
5.
버널리제이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일식물은 비교적 고온인 10~30°C의 처리가 유효한데 이를 고온버널리제이션이라고 한다.
2.
화학물질을 처리해도 버널리제이션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이를 화학적 춘화라고 한다.
3.
배나 생장점에 탄수화물의 공급을 차단하여 버널리제이션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4.
월동채소는 버널리제이션을 해서 봄에 파종해도 추대ㆍ결실하므로 채종에 이용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배나 생장점에 당과 같은 탄수화물이 공급되지 않으면 버널리제이션 효과를 보기 힘들다 [해설작성자 : 한]
6.
다음 조건에서 흰색 꽃잎의 개체 빈도가 0.16일 때, 2세대 진전 후 이 집단에서 붉은색 꽃잎의 유전자 빈도는?
1.
0.6
2.
0.4
3.
0.36
4.
0.16
정답 : [
1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하디-바인베르크 법칙에 의해 집단의 유전자 빈도는 세대가 진전되어도 변하지 않는다. 1. A+a=1 2. A^2+2Aa+a^2=1 위 공식에 따라 a^2=0.16이므로 흰 꽃잎(a)의 빈도는 0.4, 붉은 꽃잎(A)의 빈도는 0.6이 되며, 세대가 진전되어도 변하지 않음! + 단, 위 공식은 화분의 이주 등 외부 변화가 없는 이상적 상황에서만 일어난다는 것에 유의. [해설작성자 : 박치기공룡]
7.
다음 조건에서 F2의 표현형과 유전자형의 비가 옳지 않은 것은?
1.
①
2.
②
3.
③
4.
④
정답 : [
1
] 정답률 : 74%
8.
작물의 내습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뿌리조직의 목화는 내습성을 강하게 한다.
2.
작물별로는 미나리>옥수수>유채>감자>파의 순으로 내습성이 강하다.
3.
뿌리가 황화수소나 아산화철에 대하여 저항성이 크면 내습성이 강해진다.
4.
근계가 깊게 발달하거나, 습해를 받았을 때 부정근의 발생력이 큰 것은 내습성이 강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52%
9.
작물의 상적발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위도 지대에서의 벼 종자 생산은 감광형이 감온형에 비하여 개화와 수확이 안전하다.
2.
광중단을 통한 장일유도에는 적색광이 효과가 크다.
3.
오처드그래스와 클로버 등은 야간조파로 단일조건을 파괴하면 산초량이 증대한다.
4.
벼의 묘대일수감응도는 감온형이 높고, 감광형과 기본영양생장형이 낮다.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 고위도는 서리가 빠르므로 짧은 고온기에 감응하는 감온형 품종으로 빠른 수확하는 것이 좋음 2. 적색광은 개화 유도효과, 청색광은 영양생장 촉진 효과가 있음, 보통 광중단은 개화 유도/억제와 관련되므로, 적색광이 적절 3. 오처드그래스, 클로버는 장일식물로, 단일조건을 억제하면 절간신장하여 산초량이 증대됨 4. 묘대일수감응도가 높다 = 오래 재배하면 장해가 나타난다. 감온형은 빨리 재배해야하는 조생종 벼이므로, 묘대일수 감응도 높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다음 중 신품종의 특성을 유지하고 품종퇴화를 방지하기 위한 종자갱신의 증수효과가 가장 큰 작물은?
1.
벼
2.
옥수수
3.
보리
4.
감자
정답 : [
2
] 정답률 : 62%
11.
냉해의 대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2.
ㄱ,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66%
12.
돌연변이 육종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돌연변이 유발원을 처리한 당대에 돌연변이체를 선발한다.
2.
돌연변이 유발원으로 X선은 잔류방사능이 없어 많이 이용된다.
3.
인위 돌연변이체는 세포질에 결함이 생기는 등의 원인으로 대부분 수확량이 적다.
4.
이형접합성인 영양번식작물에 돌연변이 유발원 처리로 체세포 돌연변이를 얻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45%
13.
다음에서 설명하는 육종방법은?
1.
계통육종
2.
파생계통육종
3.
여교배육종
4.
1개체1계통육종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계통육종: 초기세대에 목표형질 고정 후, 계통별로 재배 집단육종: 초기세대에는 집단재배/혼합채종 후 후기에 목표형질 선발 파생계통육종: 초기에 목표형질 고정, 질적형질 선택(계통) + 후기에는 계통별 집단재배하여 양적형질 확보(집단) 의 절충형 육종 [해설작성자 : 박치기공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