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수 표현 1. 5를 이진수로 변환 → 0000 0101 2. 1의 보수로 변환 → 1111 1010(반대로 하면 됨) 3. 2의 보수로 변환 → 1111 1011(1의 보수에 1을 더하면 됨) [해설작성자 : 승리자]
7.
RAID(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레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RAID 레벨 0: 패리티 없이 데이터를 분산 저장한다.
2.
RAID 레벨 1: 패리티 비트를 사용하여 오류를 검출한다.
3.
RAID 레벨 2: 해밍 코드를 사용하여 오류 검출 및 정정이 가능하다.
4.
RAID 레벨 5: 데이터와 함께 패리티 정보를 블록 단위로 분산 저장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RAID 0: 스트라이핑, 분산저장 RAID 1: 미러링, 중복저장, 오류해결 RAID 2: 비트단위, 해밍코드, 자가오류 수정가능 RAID 3: 비트단위, 패리티 디스크 1개 RAID 4: 블록단위, 패리티 디스크 1개, 패리티 디스크 병목현상 발생 가능성 높다. RAID 5: 라운드로빈 방식(패리티 정보를 모든 디스크에 분산) [해설작성자 : ㅁㄴㅇ]
RAID 0: 스트라이핑, 분산 저장 RAID 1: 미러링, 중복저장, 메모리 2배 소모 RAID 2: 비트단위, 해밍코드, 자가오류 수정 RAID 3: 비트단위, 패리티 디스크 1개 RAID 4: 블록단위, 패리티 디스크 1개, 병목현상 발생 RAID 5: 라운드로빈 방식(분산), 4의 병목현상 해결 RAID 6: 라운드로빈 방식 + 패리티 2배, 이중으로 오류체크 가능 [해설작성자 : 승리자]
8.
RISC와 비교하여 CISC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명령어의 종류가 많다.
2.
명령어의 길이가 고정적이다.
3.
명령어 파이프라인이 비효율적이다.
4.
회로 구성이 복잡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공통점: CPU를 설계하는 방식임 CISC: 소프트웨어 적 방식 → 호환성이 좋은 많은 명령어(약간 코딩 비슷) → 가변길이 명령어 컴파일이 쉽고, 호황성이 좋음 BUT 속도가 느림.... 레지스터 적음 인텔의 CPU RISC: 하드웨어적 방식 → 고정길이,명령어 적음 → 속도가 빠름 BUT 호환성이 떨어짐 효율적인 파이프라이닝 구조, 많은 범용레지스터가 사용 고성능 워크스테이션, 그래픽용 [해설작성자 : 승리자]
9.
다음 파이썬 코드는 이진 탐색을 이용하여 자연수 데이터를 탐색하는 함수이다. (가), (나)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단, ds는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중복 없는 자연수 리스트이고, key는 찾고자 하는 값이다)
1.
①
2.
②
3.
③
4.
④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이진탐색: 반드시 원소들이 일정한 순서로 정렬된 구조에서만 사용 가능 시간복잡도: 로근 엔 대용량 데이터 에서 특정위치 찾을때 씀 [해설작성자 : 승리자]
10.
3개의 페이지 프레임으로 구성된 기억장치에서 다음과 같은 참조열 순으로 페이지가 참조될 때, 페이지 부재 발생 횟수가 가장 적은 교체 방법은? (단, 초기 페이지 프레임은 비어 있으며, 페이지 교체 과정에서 사용 빈도수가 동일한 경우는 가장 오래된 것을 먼저 교체한다)
1.
FIFO(First In First Out)
2.
LFU(Least Frequently Used)
3.
LRU(Least Recently Used)
4.
MFU(Most Frequently Used)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fifo: 선입선출, Belady 이상현상 발생(프로세스에 페이지 프레임을 더 할당했는데 오히려 페이지 부재가 많음) lru: 가장오랫동안 사용 되지 않은 페이지 교체(최근껄로 갱신 맨 마지막 제거) lfu: 가장 참조 횟수가 적은 페이지 교체(몇번 참조 했는지 옆에 쓰면서) [해설작성자 : 승리자]
11.
교착상태(deadlock)가 발생하기 위한 필요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상호 배제(mutual exclusion)
2.
선점(preemption)
3.
순환 대기(circular wait)
4.
점유와 대기(hold and wait)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교착상태 발생을 위한 4가지 조건 1. 상호배제 2. 점유와 대기 3. 비선점 4. 환형대기 모두 만족해야하고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으면 발생 안함 [해설작성자 : 승리자]
네트워크 접속 형태 중 트리형 토폴로지(topolog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네트워크의 확장이 용이하다.
2.
병목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3.
분산처리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4.
중앙의 서버 컴퓨터에 장애가 발생하면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준다.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버스형: 구축 쉬움, 설치비용 저렴, 관리와 확장 용이 케이블에 문제가 생기면 난리남, 동시 소통 불가, 문제발생시 처리 어렵고 시간 오래걸림 링형: 하나의 케이블 연결, 비용 저렴, 토큰(토큰을 잡는 사람이 데이터 전송 할 수 있음) 사용, 데이터충돌 방지 통신 효율 낮음, 한 노드가 문제 생기면 해결 어려움, 넚은 지역에 구축하기 때문에 비용 많이듬
트리형: 네트워크 확장 쉬움, 통신 회선수 절약 부모가 문제가 생기면 하위가 문제 많이 생김, 트래픽 집중될수 있음
<문제 해설> 내공외제스자 내용 결합도: 기능을 다른 모듈에 있는것을 사용 하는 경우(제일 않좋음) 이 아이는 기능이고 공통 결합도: 전역변수 기억 외부 결합도: 외부에 있는 다른 모듈의 데이터,프로토콜를 참조 이 아이는 데이터임 제어 결합도: 제어 요소를 전달하는 경우 스탬프 결합도: 배열,객체, 자료 구조 등이 전달 되는 경우 자료 결합도: 인터페이스의 파라미터를 통해서만 상호 작용이 일어나는 경우(결합도가 제일 낮고 제일 좋은 형태)스 [해설작성자 : 승리자]
16.
다음 <정보>를 이용하여 아래에 주어진 <연산>을 차례대로 수행한 후의 스택 상태는?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스택의 행위(탑을 잘 봐야함) 생성: 탑 -1 넣기: 탑+1 빼기: 탑-1 [해설작성자 : 승리자]
17.
다음은 전체 버킷 개수가 11개이고 버킷당 1개의 슬롯을 가지는 빈 해시 테이블이다. 입력키 12, 33, 13, 55, 23, 83, 11을 순서대로 저장하였을 때, 입력키 23이 저장된 버킷 번호는? (단, 해시 함수는 h(k)=k mod 11이고, 충돌 해결은 선형 조사법을 사용한다)
1.
1
2.
2
3.
3
4.
4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해싱: 해시함수를 적용해 해시 테이블을 인덱싱 하는 작업(해시함수 중요) 해시함수 돌렸는데 같은 공간에 여러개가 나오는 경우가 출돌이라고 함 해결방안 1. 개별 체이닝: 충돌이 발생하면 연결리스트로 연결 2. 오픈 어드레싱: 충돌이 발생하면 탐사를 통해 다른 빈공간으로 들어감(탐사 중요) 3. 선형 조사: 오픈 어드레싱 이랑 비슷한데 충돌이 발생하면 발생한 위치 부터 순차적으로 다음 위치 확인하여 빈공간 있으면 바로 들감 [해설작성자 : 승리자]
18.
다음 파이썬 코드는 std 변수에 저장된 각각의 Student 객체에 대해 학생 id 및 국어, 영어 성적의 평균을 출력한다. (가)~(다)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①
2.
②
3.
③
4.
④
정답 : [
1
] 정답률 : 50%
19.
DBMS에서의 병행 수행 및 병행 제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2단계 로킹 규약을 적용하면 트랜잭션 스케줄의 직렬 가능성을 보장할 수 있으나 교착상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
2.
트랜잭션이 데이터에 공용 lock 연산을 수행하면 해당 데이터에 read, write 연산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3.
연쇄 복귀는 하나의 트랜잭션이 여러 개의 데이터 변경 연산을 수행할 때 일관성 없는 상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모순된 결과가 발생하는 것이다.
4.
갱신 분실은 트랜잭션이 완료되기 전에 장애가 발생하여 rollback 연산을 수행하면, 이 트랜잭션이 장애 발생 전에 변경한 데이터를 가져가 변경 연산을 수행한 또 다른 트랜잭션에도 rollback 연산을 수행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45%
20.
다음 C 프로그램의 출력 결과는?
1.
1 2 3 5 7
2.
1 3 5 7 9
3.
3 3 5 9 9
4.
3 5 3 8 8
정답 : [
4
] 정답률 : 51%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④
③
③
④
③
④
②
②
②
③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①
②
③
②
①
④
①
①
④
9급 국가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3월23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