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STT(Speech to Text) 음성-텍스트 변환 [해설작성자 : 열공맨]
6.
다음 지문이 설명하는 것은?
1.
Platform
2.
Interface
3.
API
4.
Database
정답 : [
3
] 정답률 : 78%
7.
개인정보 유형은 인적사항, 신체적 정보, 사회적 정보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 보기에서 그 유형이 다른 하나는?
1.
가족관계 및 가족구성원 정보
2.
기술 자격증 및 전문 면허증 보유내역
3.
군번 및 계급
4.
과태료 납부내역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인적사항 : 가족관계 및 가족구성원 정보 신체적 정보 : 키, 몸무게 등 신체 정보, 의료·건강 정보 사회적 정보 : 교육, 병역, 근로, 법적 정보 재산적 정보 : 소득, 신용, 부동산, 기타 수익 정보 기타 정보 : 통신, 위치, 습관/취미 정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2022년 11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삼성, LG, 구글, 애플 등이 참여하여 지능형홈 기기 호환을 위한 개방형 통신 프로토콜 매터(Matter) 1.0을 발표했다. 해당 표준을 만들고 있는 이 단체는 과거 Zigbee Alliance의 이름을 변경한 것이다. 이 단체의 이름은?
1.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2.
OIC(Open Interconnect Consortium)
3.
CSA(Connectivity Standards Alliance)
4.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정답 : [
3
] 정답률 : 65%
9.
다음은 지능형홈 융합기술 중 스마트 쇼핑에 관한 설명이다. 내용 중 (A), (B)에 알맞은 단어의 조합은?
1.
스마트폰, 블루투스
2.
사물인터넷, NFC
3.
스마트허브, ZigBee
4.
IoT 게이트웨이, 와이파이
정답 : [
2
] 정답률 : 74%
10.
최근 스마트가전 제품이 확산되고, 일반가정에서 사용자의 음성 인식을 기반으로 인공 지능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LAN에 접속시키는 네트워크 장치를 말하는 의미의 용어로, 가정 내 보안시스템, 스피커, TV, 냉장고 등을 인터넷으로 연결하고 여러가지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는 지능형홈 서비스 플랫폼 요소 기술은?
1.
스마트 홈 허브(Smart Home Hub)
2.
스마트 홈 센서(Smart Home Sensor)
3.
스마트 홈 케어(Smart Home Care)
4.
스마트 홈 카메라(Smart Home Camera)
정답 : [
1
] 정답률 : 87%
11.
다음은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 설치 및 기술기준′ 중 홈네트워크 사용기기의 설치 기준을 설명한 것이다. 각 사용기기의 설치 기준을 맞게 설명한 항목은?
1.
가스감지기는 LNG인 경우에는 바닥 쪽에, LPG인 경우에는 천장 쪽에 설치하여야 한다.
2.
화재발생 등 비상 시, 소방시스템과 연동되어 주동현관과 지하주차장의 출입문이 자동으로 잠겨야 한다.
3.
원격제어기기는 전원공급, 통신 등 이상상황에 대비하여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
4.
원격검침시스템은 각 세대별 원격검침장치가 정전 등 운용시스템의 동작 불능 시에는 데이터 값을 보존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12.
다음은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 설치 및 기술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설명이다. 해당 용어와 그 설명이 맞지 않는 것은?
1.
′홈네트워크망′이란 홈네트워크장비 및 홈네트워크사용기기를 연결하는 것을 말하며 단지망과 세대망으로 구분한다.
2.
′홈네트워크 설비′란 주택의 성능과 주거의 질 향상을 위하여 세대 또는 주택단지 내 지능형 정보통신 및 가전기기 등의 상호 연계를 통하여 통합된 주거서비스를 제공하는 설비로 홈네트워크망, 홈네트워크장비, 홈네트워크사용기기로 구분한다.
3.
′홈네트워크 설비 설치공간′이란 홈네트워크 설비가 위치하는 곳을 말하며, 세대 단자함, 통신배관실(TPS실), 집중구매통신실(MDF실)로 구분되며, 방재실 또는 단지서버실 등과 같은 공간은 적용되지 않는다.
4.
′홈네트워크장비′란 홈네트워크망을 통해 접속하는 장치를 말하며, 홈게이트웨이, 세대단말기, 단지네트워크장비, 단지서버로 구분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홈네트워크 설비 설치공간 용어 정의 -> 홈네트워크 설비가 위치하는 곳을 말하며, 세대단자함, 통신배관실, 집중구내통신실로 구분되며, 그 밖에 방재실, 단지서버실, 단지네트워크센터 등 단지 내 홈네트워크 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단지서버는 ′단지서버 설치 규제특례 지역′의 경우에는 클라우드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클라우드컴퓨팅과 관련된 용어와 그 설명이 틀린 것은?
1.
“클라우드컴퓨팅기술”이란 클라우드컴퓨팅의 구축 및 이용에 관한 정보통신기술로서 가상화 기술, 분산처리 기술 등을 말한다.
2.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란 클라우드컴퓨팅을 활용하여 상용(商用)으로 타인에게 정보통신자원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3.
“클라우드컴퓨팅”이란 집적ㆍ공유된 정보통신기기, 정보통신설비, 소프트웨어 등 정보통신자원을 이용자의 요구나 수요 변화에 따라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신축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처리체계를 말한다.
4.
“이용자 정보”란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이용자가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를 이용하여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이하 ′제공자′)의 정보통신자원에 저장하는 정보로서 제공자가 소유 또는 관리하는 정보를 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14.
ZigBee 얼라이언스(Alliance)는 서로 연관된 응용과 기기가 만족해야 하는 요구 조건을 ′프로파일′의 형태로 정의하고 있다. 다음 중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에너지 사용을 위한 에너지 사용량 측정, 에너지 관리에 관한 요구 사항을 정의한 ZigBee 프로파일은?
1.
Personal Home & Hospital Care (PHHC)
2.
Home Automation (HA)
3.
Commercial Building Automation (CBA)
4.
Smart Energy (SE)
정답 : [
4
] 정답률 : 77%
2과목 : 스마트홈 네트워크
15.
Zigbee 네트워크에서 라우터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코디네이터와 엔드 디바이스가 서로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다면 라우터 장치는 없어도 된다.
2.
코디네이터의 네트워크 처리 부하를 분담한다.
3.
배터리로 구동하는 장치는 라우터 역할에 적합하지 않다.
4.
한 ZigBee 노드의 신호를 다른 노드로 전달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16.
다음 중 Z-Wave가 ZigBee보다 우수한 점이 아닌 것은?
1.
Z-Wave는 AES 128에 의한 암호화를 제공하므로, 보안이 ZigBee보다 더 우수하다.
2.
Z-Wave는 ZigBee보다 전력효율이 뛰어나다.
3.
Z-Wave는 ZigBee보다 같은 조건에서 통달 범위가 더 넓다.
4.
Z-Wave는 ZigBee에 비해 Bluetooth, Wi-Fi와의 간섭에서 더 유리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Z-wava와 ZigBee 둘 다 AES 128에 의한 암호화를 제공한다. 다만, ZigBee는 S2라는 최신 보안패치가 있으므로 보안은 ZigBee가 더 우수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의 3가지 동작 모드가 아닌 것은?
1.
피어 투 피어 모드 (Peer-to-Peer Mode)
2.
리더/라이터 모드 (Reader/Writer Mode)
3.
카드 애뮬레이션 모드 (Card Emulation Mode)
4.
마스터/슬레이브 모드 (Master/Slave Mode)
정답 : [
4
] 정답률 : 75%
18.
다음의 LPWAN 기술들의 설명 중에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NB-IoT는 920MHz의 비면허 대역을 사용한다.
2.
Sigfox는 UNB 기술을 사용한다.
3.
LoRa는 CSS(Chirp Spread Spectrum) 변조 방식을 사용한다.
4.
LTE-M Cat-0은 1Mbps의 통신 속도를 지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NB-IoT는 3GPP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저전력 광역 통신을 지원 및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기나히]
19.
다음은 MQTT에 대한 설명이다. (A)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는?
1.
브로커(Broker)
2.
게이트웨이(Gateway)
3.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
4.
브릿지(Bridge)
정답 : [
1
] 정답률 : 74%
20.
다음 중 일반적으로 스마트 허브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1.
Z-Wave
2.
ZigBee
3.
CDMA
4.
Wi-Fi
정답 : [
3
] 정답률 : 89%
21.
다음은 IEEE의 무선 개인영역 네트워크(WPAN) 표준에 대한 설명이다. (A)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