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사 판매부의 광고선전비를 제조원가로 잘못 회계처리한 경우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단, 기말재고자산은 없다고 가정한다.)
1.
제품매출원가가 감소된다.
2.
매출총이익이 감소된다.
3.
영업이익이 감소된다.
4.
당기순이익이 증가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80%
10.
회사는 제조간접원가를 직접노무시간을 기준으로 배부하고 있다. 당기 말 현재 실제 제조간접원가 발생액은 100,000원이고, 실제 직접노무시간은 500시간이며, 예정배부율은 시간당 190원일 경우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는 얼마인가?
1.
10원 과대배부
2.
10원 과소배부
3.
5,000원 과대배부
4.
5,000원 과소배부
정답 : [
4
] 정답률 : 74%
11.
다음 사례에 대한 수정세금계산서 발급 방법으로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
1.
처음에 발급한 세금계산서의 내용대로 음의 표시를 하여 발급
2.
발급 사유가 발생한 날을 작성일로 적고 비고란에 처음 세금계산서 작성일을 덧붙여 적은 후 붉은색 글씨로 쓰거나 음의 표시를 하여 발급
3.
발급 사유가 발생한 날을 작성일로 적고 추가되는 금액은 검은색 글씨로 쓰고, 차감되는 금액은 붉은색 글씨로 쓰거나 음의 표시를 하여 발급
4.
처음에 발급한 세금계산서의 내용대로 세금계산서를 붉은색 글씨로 쓰거나 음의 표시를 하여 발급하고, 수정하여 발급하는 세금계산서는 검은색 글씨로 작성하여 발급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④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제70조 제1항 제5호, 필요적 기재사항 등이 착오로 잘못 적힌 경우에는 처음에 발급한 세금계산서의 내용대로 세금계산서를 붉은색 글씨로 쓰거나 음의 표시를 하여 발급하고, 수정하여 발급하는 세금계산서는 검은색 글씨로 작성하여 발급한다. [해설작성자 : 세금맨]
12.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음식점을 운영하는 개인사업자의 의제매입세액 공제율로 옳은 것은? 단, 해당 음식점업의 해당 과세기간의 과세표준은 2억원을 초과한다.
1.
2/104
2.
6/106
3.
8/108
4.
9/109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③ 부가가치세법 제42조, 음식점업을 경영하는 사업자 중 개인사업자의 경우 과세표준 2억원 이하인 경우 2026년 12월 31일까지 9/109 의제매입세액공제율을 적용한다. [해설작성자 : 세금맨]
13.
다음 중 이월결손금 공제의 위치는 어디인가?
1.
(가)
2.
(나)
3.
(다)
4.
(라)
정답 : [
2
] 정답률 : 53%
14.
다음 중 소득세법상 주택임대소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택임대소득에서 발생한 결손금은 부동산 임대소득에서만 공제 가능하다.
2.
임대주택의 기준시가가 12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1주택자이어도 월 임대소득에 대해 과세한다.
3.
주택임대소득 계산 시 주택 수는 본인과 배우자의 소유 주택을 합산하여 계산한다.
4.
간주임대료는 3주택 이상 소유자에 대해서만 과세하지만 2026년 12월 31일까지 기준시가 2억 이하이면서 40m2이하인 소형주택에 대해서는 주택 수 산정과 보증금 계산에서 모두 제외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15.
다음 중 법인세법상 중간예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국법인으로서 각 사업연도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법인은 중간예납 의무가 없다.
2.
각 사업연도의 기간이 6개월을 초과하는 법인은 해당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6개월간을 중간예납기간으로 한다.
3.
중간예납은 중간예납기간이 지난 날부터 3개월 이내에 납부하여야 한다.
4.
중간예납세액의 계산 방법은 직전 사업연도의 산출세액을 기준으로 계산하거나 해당 중간예납기간의 법인세액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방법이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③ 법인세법 제63조 제3항, 내국법인은 중간예납기간이 지난 날부터 2개월 이내에 중간예납세액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납세지 관할 세무서, 한국은행(그 대리점을 포함한다) 또는 체신 관서(이하 “납세지 관할 세무서등”이라 한다)에 납부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세금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