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토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08일)(976013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토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토양학개론


1. 100cm3 core sampler로 채취한 토양의 무게가 180g 이었다.(core 무게 제외). 이 토양을 105℃에서 건조한 무게가 150g 이라면 이 토양의 중량수분함량과 용적밀도(가밀도)를 모두 바르게 계산한 것은? (단, 중량수분함량은 분석값의 수분 보정을 위한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 상의 수분함량을 의미하지는 않음)(2015년 05월)
     1. 중량수분함량(17%), 용적밀도(1.5g/cm3)
     2. 중량수분함량(17%), 용적밀도(1.8g/cm3)
     3. 중량수분함량(20%), 용적밀도(1.5g/cm3)
     4. 중량수분함량(20%), 용적밀도(1.8g/cm3)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밀도 = 건조토양질량/부피 = 150/100 = 1.5g/cm^3
[해설작성자 : 토모]

2. 토양공기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9월)
     1. 토양공기 중의 N2농도는 대기 중의 농도와 비슷하다.
     2. 토양공기 중의 CO2, O2 농도는 대기 중의 농도보다 낮다.
     3. 토양공기 중의 O2 농도는 토양의 깊이가 증가할수록 감소한다.
     4. 토양공기 중의 CO2 농도는 여름에는 높고 겨울에는 낮은 편이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이산화탄소 농도는 대기 중의 농도보다 8배 높고, 산소는 낮다.
[해설작성자 : 김앵]

토양공기의 특징 : 일반적으로 대기 중 질소함량은 비슷하나 토양내미생물 호흡작용으로 산소는 적고 이산화탄소가 많으며 상대적으로 대기에 비해 아르곤이 많다
[해설작성자 : 토양환경사랑]

토양공기는 일반대기 중 공기에 비하여 N2, CO2, Ar, 상대습도가 높다.

3. 토양점토광물 중 2:1형 층상 구조를 갖는 광물(3층형 광물)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kaolinite
     2. illite
     3. montmorillonite
     4. vermiculite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1점토광물>카올리나이트/할로이사트/나크라이트
2:2점토광물>버미큘라이트/몬모릴로나이트/일라이트/스멕타이트
[해설작성자 : 토양환경사랑]

4. 피압 대수층에서 단위 수위강하 혹은 수위상승에 의해 단위 면적을 통해 자유면대수층의 저류지하수로부터 유입 혹은 유출되는 물의 부피를 나타내는 지하수 및 대수층 관련 용어는?(2021년 03월)
     1. 비산출율
     2. 비저류계수
     3. 수리전도율
     4. 수두구배계수

     정답 : []
     정답률 : 49%

5. 토양수의 압력이 10,000 bars일 경우 pF로 환산하면 얼마가 되는가?(2010년 05월)
     1. 약 4
     2. 약 5
     3. 6
     4. 7

     정답 : []
     정답률 : 37%

6. 토양 중 인(P)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토양에 따라 차이가 많지만 총인 중 유기태인이 5~10%를 차지한다.
     2. 식물은 토양용액으로부터 H2PO4-이나, HPO42-과 같은 무기인산 형태의 인을 흡수한다.
     3. 유기태인은 Ca, Fe 및 Al과 결합된 형태 그리고 토양광물의 표면에 흡착된 형태로 존재한다.
     4. 토양용액 중 인의 농도는 작물의 인요구량에 비해 높고, 이동성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72%

7. 지구의 6대 조암광물의 구성으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석영, 장석, 운모, 감석석, 휘석, 감람석
     2. 석영, 장석, 운모, 석면, 휘석, 감람석
     3. 석영, 장석, 석회석, 감섬석, 휘석, 감람석
     4. 석영, 장석, 황철석, 감섬석, 석고, 감람석

     정답 : []
     정답률 : 87%

8. 사막화의 과정인 토양의 염류집적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9월)
     1. 지하수위의 상승
     2. 관개수에 의한 염류의 증가
     3. 배수량의 저하
     4. 지하수 모관상승의 저하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4. 지하수 모관상승의 증가
[해설작성자 : 아이씨]

9. 토양생성의 주요 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9월)
     1. 지형
     2. 토양 모재의 산화·환원 작용
     3. 인간을 포함한 생명체
     4. 시간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토양생성 주요 인자)
- 기후
- 생물(식생)
- 모재(모암)
- 지형
- 시간
- 인위적 영향(인간을 포함한 생명체)
[해설작성자 : sandy]

10. 유기물 60mmol이 미생물 활성에 의하여 12시간 후 40mmol이 되었다면 반응속도상수(hr-1)는? (단, 1차 반응 기준)(2019년 04월)
     1. 0.013
     2. 0.033
     3. 0.053
     4. 0.073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ln(40/60) = -k x 12
K=0.0337
[해설작성자 : 파이리 귀엽다]

11. 다핵 방향족 탄화수소(PAH) 중 벤젠핵의 개수가 가장 적고 생물분해가 용이한 것은?(2020년 06월)
     1. Pyrene
     2. Phenanthrene
     3. Antracene
     4. Naphthalene

     정답 : []
     정답률 : 81%

12. 두 지점의 수두차 1m, 두 지점 사이의 수평거리 800m. 투수계수 300m/day일 때 대수층의 두께 4m, 폭 3m인 지하수의 유량(m3/day)은?(2019년 09월)
     1. 1.5
     2. 3.0
     3. 4.5
     4. 6.0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Q= K I A
= 300×(1/800)×(4×3)
[해설작성자 : 스노우맨69 ]

13. 저유계수(Storativity)계산 수식으로 맞는 것은?(2013년 09월)
     1. (면적×수두변화)/(공극률×배출된지하수량(체적))
     2. (공극률×배출된지하수량(체적))/(면적×수두변화)
     3. (면적×수두변화)/배출된 지하수량(체적)
     4. 배출된 지하수량(체적)/(면적×수두변화)

     정답 : []
     정답률 : 61%

14. 유류에 의해 오염된 지하수환경에서 자연저감이 일어나고 있다. 오염운 중심에서 질산염의 농도와 배경수질 농도가 각각 35mg/L와 5mg/L일 때 질산염에 의한 생분해능(EAC, mg/L)은?(2019년 04월)
     1. 6.3
     2. 10
     3. 16.5
     4. 31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오염운 질산염 - 배경수질 농도) x 0.21(질산염 전자수용체 상수값)
[해설작성자 : 토모]

15. 토양에 흔한 다음 이온들의 교환효율의 크기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0년 09월)
     1. Mg2+>Ca2+>Na+>K+
     2. Mg2+>Ca2+>K+>Na+
     3. Ca2+>Mg2+>Na+>K+
     4. Ca2+>Mg2+>K+>Na+

     정답 : []
     정답률 : 68%

16. 토양단면을 나타내는 기호에 대한 특성으로 설명이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A : 환원층
     2. O : 유기물층
     3. B : 집적층
     4. R : 암반층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O층: 유기물층
A층: 용탈층
B층: 집적층
C층: 모재층
R층: 암반층
[해설작성자 : 127]

17. 토양오염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06년 05월)
     1. 오염경로의 다양성
     2. 오염의 비 인지성 및 타 환경인자와의 영향관계의 모호성
     3. 수질 또는 대기오염에 비해 오염영향의 광역성
     4. 피해발현의 완만성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8. 토양의 수직단면의 성층 구성 중 무기물층으로서 아직 토양생성작용을 받지 않은 모재층은?(2012년 03월)
     1. C층
     2. E층
     3. A층
     4. D층

     정답 : []
     정답률 : 67%

19. 포화대의 수리지질학적 특성 중 저유(Storage)특성의 주요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3월)
     1. 저유계수(storage coefficient)
     2. 비저유계수(specific storage coefficient)
     3. 수리전도도(hydraulic conductivity)
     4. 비산출률(specific yield)

     정답 : []
     정답률 : 68%

20. 양이온교환능력(CEC) 값이 가장 작은 점토광물과 비표면적이 가장 큰 점토광물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21년 03월)
     1. illite → vermiculite
     2. illite → montmorillonite
     3. kaolinite → vermiculite
     4. kaolinite → montmorillonite

     정답 : []
     정답률 : 70%

2과목 : 토양 및 지하수 오염조사기술


21. 저장물질이 없는 누출검사대상시설의 가압시험법에서 “안정된 시험압력” 이라 함은 기압 후 유지시간 동안 압력강하가 시험압력의 몇 %이하인 압력을 말하는가?(2013년 09월)
     1. 2
     2. 3
     3. 5
     4. 10

     정답 : []
     정답률 : 86%

22.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상의 페놀류 및 페놀류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3월)
     1. 정량한계는 페놀이 0.02mg/kg, 펜타클로페놀이 0.1mg/kg이다.
     2. 페놀류 분석을 위해 특별히 고안된 분석방법이므로 간섭물질이 있을 수 없다.
     3. 운반기체는 부피백분율 99.999%이상의 헬륨으로서 유량은 0.5~4m/min, 시료도입부 온도는 150~320℃로 한다.
     4. 토양 중 페놀 및 펜타클로로페놀을 아세톤/노말헥산(1:1)으로 추출하여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정량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23. 토양시료는 시료채취봉이 들어있는 타격식이나 나선형식의 토양시추 장비를 이용하여 채취한다. 이때 시료채취봉의 직경기준은? (단, 토양오염유발시설 지역 기준)(2005년 05월)
     1. 2.5 ㎝ 이상
     2. 2.0 ㎝ 이상
     3. 1.5 ㎝ 이상
     4. 1.0 ㎝ 이상

     정답 : []
     정답률 : 50%

24. 0.001N의Na0H 용액의 pH는?(2014년 09월)
     1. 9
     2. 10
     3. 11
     4. 12

     정답 : []
     정답률 : 74%

25. 토양에서 분석대상 유기인계화합물로 규정되지 않은 성분은?(2004년 12월)
     1. 이피엔
     2. 말라티온
     3. 다이아지논
     4. 메틸디메톤

     정답 : []
     정답률 : 31%

26. 저장물질이 없는 누출검사대상시설-가압시험법에 따라 시료를 분석할 때 사용하는 검사기기 및 기구에 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5월)
     1. 안전밸브 : 0.7kgf/cm2이하에서 작동되어야 한다.
     2. 가압장치 : 불활성가스 용기 및 압력조정장치를 말한다.
     3. 온도계 : 시험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으로 최소눈금 1℃이하를 읽고 기록이 가능하여야 한다.
     4. 압력계(압력자기기록계) : 최소눈금이 시험압력의 30%이내이고 이를 읽고 측정압력의 기록이 가능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4. 최소눈금이 시험압력의 5 %이내이고, 이를 읽고 측정압력의 기록이 가능한 압력계
[해설작성자 : 도담이방구]

27. 토양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료의 조제 시 눈금간격 0.075mm의 표준체(200 메쉬)로 체거름하여 조제하는 시료는?(2018년 09월)
     1. 비소
     2. 카드뮴
     3. 니켈
     4. 불소

     정답 : []
     정답률 : 82%

28.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 총칙에 따른 밀폐용기의 정의는?(2021년 03월)
     1. 취급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내용물의 손실되지 아니하도록 보호하는 용기를 말한다.
     2. 취급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기체 또는 미생물이 침입하지 아니하도록 내용물을 보호하는 용기를 말한다.
     3. 취급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내용물이 광화학적 변화를 일으키지 아니하도록 방지하는 용기를 말한다.
     4. 취급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외부로부터 공기 또는 다른 가스가 침입하지 아니하도록 내용물을 보호하는 용기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29.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의 머무를시간(retention time)에 관한 결정시험을 실시해야 할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3월)
     1. 컬럼교체
     2. 가스교체
     3. 기기의 고장수리
     4. 시료주입부 청소

     정답 : []
     정답률 : 62%

30.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지역에서의 시료채취지점선정에 관한 내용으로 ( )에 옳은 것은? (단, 부지 내, 지상저장시설 기준)(2020년 06월)

    

     1. 1.2배
     2. 1.5배
     3. 2.0배
     4. 2.5배

     정답 : []
     정답률 : 93%
     <문제 해설>
토양오염관리 대상시설지역(부지 내 지하저장시설) 시료채취지점 선정기준
토양오염물질(유류 등)의 누출이 인지되거나 토양오염의 개연성이 높은 3개 지점을 선정하되, 저장시설의 끝 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1m 이상 떨어진 지점에서 이격거리의 1.5배 깊이까지로 한다.다만, 방유조(tank dike) 외부에서 시료를 채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방유조 끝 단을 기준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1. 정도보증/정도관리에 적용되는 감응계수의 산정식으로 옳은 것은? (단, C : 검정곡선 작성용 표준용액의 농도, R : 반응값)(2014년 03월)
     1. 감응계수 = C / R
     2. 감응계수 = R / C
     3. 감응계수 = R × C
     4. 감응계수 = R2 × C

     정답 : []
     정답률 : 83%

32. 토양오염 우려기준 및 대책기준 중 1지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3월)
     1. 광천지
     2. 학교용지
     3. 묘지
     4. 종교용지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종교용지는 2지역
[해설작성자 : 짱예서]

33.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BTEX룰 정량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8월)
     1. 검출기는 불꽃이온화검출기(FID), 광이온검출기(PID)또는 GC/MS를 사용한다.
     2. 시료도입부 온도는 200℃를 사용한다.
     3. 트랩은 Tenax, Carbopack, OV-1/Tenax/Silicagel/Charcoal 또는 동등 이상 성능을 가진 것을 사용한다.
     4. BTEX의 유효측정농도는 0.05mg/kg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4. 저장물질이 없는 누출검사대상시설-가압시험법에서 ‘안정된 시험압력’이라 함은 가압 후 유지시간동안 압력강하가 시험압력의 몇 % 이하인 압력을 말하는가?(2017년 03월)
     1. 5%
     2. 10%
     3. 15%
     4. 20%

     정답 : []
     정답률 : 82%

35. 시료의 수분측정 결과 건조된 증발접시의 무게(W1)는 20.25g, 증발접시와 시료의 무게(W2)는 41.50g, 건조 후 증발접시와 시료의 무게(W3)는 35.50g이었다. 시료의 수분 함량은?(2007년 09월)
     1. 22.2%
     2. 28.2%
     3. 32.2%
     4. 38.2%

     정답 : []
     정답률 : 75%

36. 다음은 시안(자외선/가시선 분광법) 측정 시료에 다량의 기름성분이 함유되었을 때 전저리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2011년 03월)

    

     1. 약 1%
     2. 약 2%
     3. 약 3%
     4. 약 5%

     정답 : []
     정답률 : 64%

37. 다음은 수소이온농도(유리전극법) 측정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2014년 09월)

    

     1. 5배
     2. 10배
     3. 15배
     4. 20배

     정답 : []
     정답률 : 86%

38. 수소화물생성-원자흡수분광광도법에 따라 토양 중의 비소를 분석할 때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2021년 09월)

    

     1. 수소화붕소나트륨
     2. 수소화이염화나트륨
     3. 수소화이질소나트륨
     4. 수소화염화주석나트륨

     정답 : []
     정답률 : 75%

39. 부속배관부를 가압시험법으로 누출여부를 검사할 때 판정기준으로 옳은 것은?(2011년 03월)
     1. 시험압력의 5% 이상의 압력변화량이 있으면 불합격으로 한다.
     2. 시험압력의 10% 이상의 압력변화량이 있으면 불합격으로 한다.
     3. 시험압력의 15% 이상의 압력변화량이 있으면 불합격으로 한다.
     4. 시험압력의 20% 이상의 압력변화량이 있으면 불합격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40. 다음은 토양 내 수분 함량 측정을 위한 시료 관리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0년 09월)

    

     1. 2일
     2. 3일
     3. 5일
     4. 7일

     정답 : []
     정답률 : 81%

3과목 : 토양 및 지하수 오염정화 기술


41. 토양 슬러리 반응기를 이용하여 슬러리 유량 100L/min 규모로 초기 TPH 1200mg/kg 농도를 TPH 50mg/kg 농도까지 최종 처리하고자 할 때 필요한 반응조의 크기는? (단, 반응속도 = 1차 반응, 반응조의 종류 = CFSTR, 반응속도상수 = 0.25/min, 정상상태 유출수 기준)(2009년 05월)
     1. 6800 L
     2. 7300 L
     3. 8400 L
     4. 9200 L

     정답 : []
     정답률 : 40%

42. 열탈착공정의 일반적인 구성장치가 아닌 것은?(2019년 03월)
     1. 고에너지 스크러버
     2. 열 교환기
     3. 열 건조기
     4. 발열반응기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열탈착공정의 구성장치
- 열건조기
- 열교환기
- 고에너지 스크러버
[해설작성자 : 전역하고 싶은 중위 임지용]

43. TCE(Trichloroethylene)으로 오염된 지하수를 오존으로 처리하고자 한다. 처리대상 지하수로 예비실험을 한 결과 1.4mg/L-mib의 오존으로 1시간 처리 시 환경기준에 적합한 제거율을 보였다. 지하수 오염농도가 150mg/L이고 처리해야 할 지하수의 유량이 1140 L/min일 경우 환경기준에 적합하도록 처리하기 위한 최소 오존 필요량은?(2009년 08월)
     1. 약 104 kg/day
     2. 약 114 kg/day
     3. 약 123 kg/day
     4. 약 148 kg/day

     정답 : []
     정답률 : 0%

44. 토양세척기법(soil washing)이 가장 효과적인 토양은?(2012년 09월)
     1. 점토가 주를 이루는 토양
     2. 모래와 자갈이 고루 섞인 토양
     3. 실트와 모래가 고루 섞인 토양
     4. 점토와 실트가 고루 섞인 토양

     정답 : []
     정답률 : 82%

45. 군 사격장으로 사용하던 지역의 토양이 TNT와 RDX로 오염된 경우, 이 오염토양의 정화에 활용 가능한 효소는?(2022년 03월)
     1. Nitrilase
     2. Peroxidase
     3. Dehalogenase
     4. Nitroreductase

     정답 : []
     정답률 : 64%

46. 지하수면 아래 대수층이 TCE 오염운에 의해 오염되었다. 오염 대수층의 체적은 10000m3이고 매질의 공극률이 0.3 이며, 오염운내 지하수의 평균 TCE 농도가 1.0 mg/L 이라면, 오염운의 지하수내에 존재하는 TCE 총량은?(2007년 09월)
     1. 1.5kg
     2. 3.0kg
     3. 7.0kg
     4. 9.0kg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7. 열탈착공정의 일반적인 구성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5월)
     1. 열 교환기
     2. 열 건조기
     3. 발열반응기
     4. 고에너지 스크러버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열탈착공정 구성장치: 열건조기, 열교환기, 고에너지 스크러버
[해설작성자 : 아이씨]

48. CFSTR 반응기에 500L/min의 슬러리가 유입된다. 이 반응기를 사용하여 슬러리의 TPH 농도를 1200mg/kg에서 50mg/kg로 저감하고자 할 때, 필요한 반응조의 크기(L)는? (단, 반응속도상수는 0.25 /min 이고, 정상상태 기준, TPH는 1차 반응에 의해 분해된다.)(2022년 03월)
     1. 36000
     2. 46000
     3. 56000
     4. 66000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CFSTR반응기 1차반응식 : Ct/C0 = 1 / (1+kt) 이므로,
t = (C0-Ct) / k×Ct = (1200-50) / (0.25×50) = 92min
반응도 부피 = 500 ×92 =46,000
[해설작성자 : 최양]

49. 어느 화학공장의 오염된 지하수를 700m3/day 규모로 펌핑하여 호기성 생물처리법으로 처리하고자 한다. 지하수의 수질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을 때 1일 필요한 요소의 주입량은? (단, 미생물활성을 위한 영양비는 BOD:N:P = 100:5:1로 가정한다. 지하수의 수질은 pH7.5, 인산 50mg/L, BOD 1.000 mg/L, 총질소 0, 요소 분자식은[(NH2)2CO)](2005년 09월)
     1. 55kg
     2. 65kg
     3. 75kg
     4. 85kg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0. 토양세척법(Soil washing)의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거은?(2021년 09월)
     1. 토양의 색깔
     2. 오염물질의 농도
     3. 토양의 pH와 완충능력
     4. 토양의 양이온교환용량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토양 세척법의 장점
1. 외부 환경의 영향이 적고 자체적인 조건 조절이 가능한 폐쇄형 공정이다
2. 다양한 성상과 농도의 오염물질의 처리가 가능하다. 다시말해 유기물과 무기물의 동시처리가 가능하며 특히 중금속 처리에 태월하다
3. 단 시간 내에 오염토양의 부피를 급격하게 줄일 수 있다
4. 타 공법과 결합시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토양환경사랑]

51. 토양오염을 Air Sparging 방법을 적용하여 처리할 때 영향을 주는 인자의 유리한 조건으로 틀린 것은?(2006년 05월)
     1. 대수층종류 : 자유면 대수층
     2. 대수층의 투수도(cm/s) : 10-3 이상
     3. 오염물질의 헨리상수(atmㆍm3/mol) : 10-5이상
     4. 지하수 면까지의 깊이(m) : 1.2 이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지하수면까지의 깊이 : 1.5m이상

52. 지하수와 오염물질들의 수평이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지중에 설치되는 수직차단벽(vertlcal cutoff Walls)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5월)
     1. 슬러리윌(slurry walls)은 주변보다 높은 수리전도도를 가진 물질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의 이동을 촉진 시키는 방법이다.
     2. 수직차단벽은 주변 지하 매질과 수직차단벽의 수리전도도 차이가 적을수록 차단효과가 높다.
     3. 슬러리윌(slurry walls)은 오염되지 않은 지하수를 오염된 지역으로부터 격리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4. 슬러리윌(slurry walls)은 지하로의 침출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나 오염물질의 분해 또는 자체효과를 증진 시킬 수는 없다.

     정답 : []
     정답률 : 75%

53. 전기동력학적 오염토양 복원기술이 타 기술과 비교하여 갖는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수리전도도가 낮고 표면반응성이 큰 점토와 같은 세립질 토양에도 적용될 수 있다.
     2. 무기오염물질과 유기오염물질을 모두 제거할 수 있다.
     3. 전기장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토양 내 공극유체와 오염물질들의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4. 공정 중 발생하는 침전물의 전하로 전기저항이 줄어 공정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5%

54. 바이오벤팅(Bioventiong)기법 적용 시의 영향인자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9월)
     1. 오염물질특성 : 적용되는 오염물질은 휘발성 및 생분해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2. 토양의 투수성 : 공기를 토양 내에 강제 순환시킬 때 매우 중요한 영향 인자이다.
     3. 중금속 처리농도 : 미생물 활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인자이다.
     4. 토양 함수율 : 공기흐름 속도는 공기가 채워진 토양공극률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중금속 처리농도는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와는 무관함
[해설작성자 : Ann]

55. 원위치(In-situ) 생물학적분해법을 적용하는 경우, 주입정으로 지하수를 주입하기 전에 소량의 과산화수소를 첨가하는 경우가 있다. 주입되는 지하수에 과산화수소를 첨가하는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2006년 09월)
     1. 지하수의 용존산소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2. 오염물에 대한 지하수의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
     3. 자유상의 오염물을 에멀젼(emulsion)상으로 변환하여 이동을 쉽게하기 위해
     4. 생물학적 분해산물로 발생하는 공극막힘(clogging)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정답 : []
     정답률 : 64%

56. 지중에서 생물학적 처리를 할 경우 미생물이 전자수용체로서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순서가 맞는 것은?(2017년 09월)
     1. 산소 > 질산성질소 > 황산이온 > 망간산화물
     2. 질산성질소 > 황산이온 > 망간산화물 > 산소
     3. 망간산화물 > 황산이온 > 질산성질소 > 산소
     4. 산소 > 질산성질소 > 망간산화물 > 황산이온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산소 공급이 불가할 경우 전자수용체로서 산소를 대신 하여 질산이온, 황산이온, 철등을 공급하여 미생물의 분해를 촉진시키나 산소를 공급하는 경우보다 생분해율이 낮아 처리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7. 토양오염 처리 기술의 개념을 잘못 기술한 것은?(2009년 08월)
     1. Biodegradation - 미생물을 활용하여 유기오염물질을 분해
     2. Dual Phase Extraction - 유기오염물질과 중금속을 동시에 제거하기 위해 고압의 수증기를 주입
     3. Pneumatic Fracturing(PF) - 통기성이 낮거나 압밀된 도양에 균열을 증가시키기 위해 지표 아래로 압축공기주입
     4. Vitrification - 오염토양을 전기적으로 용융시켜 용출특성이 낮은 결정구조로 만듬

     정답 : []
     정답률 : 45%

58. 공기분사법(air sparging)의 적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10월)
     1. 오염확산의 위험과 균질한 공기분포를 방해하는 불균질 기질은 적용이 어렵다.
     2. 오염확산이 위험이 적은 피압대수층은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3. 공기의 이동경로 생성을 방해하는 낮은 투수도의 기질(K<10-3 cm/s)에는 적용이 어렵다.
     4. 휘발성이 높거나 생분해 가능성이 높은 오염물질의 처리에는 효율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에어스파징은 오염된 지하수를 정화하기 위해 포화대(포화대수층)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지하수를 폭기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을 휘발시켜 제거하는 원위치 기술로 피압대수층에서는 적용할 수 없다. 피압대수층에서는 오염 확산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적용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127]

59. 생물학적 복원공법을 적용하여 오염토양을 처리하고자 할 때 필요한 중요 환경조절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9월)
     1. 전자 수용체
     2. pH
     3. 토양밀도
     4. 영양물질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생물학적 정화기법에 영향 주는 인자
-산소<전자수용체>/수분/영양분/온도/ph 등
[해설작성자 : 토양환경사랑]

60. 투수성 반응벽에서 명가철(Fe˚)을 사용하여 TCE, PCE 등과 같은 염화 유기 화합물을 제거하는 경우에 작용하는 반응 기작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1년 03월)
     1. Fe˚+RCl+Cl-+2H-→Fe2+RH+2H++2Cl-
     2. Fe˚+RCl+2OH-→Fe2++RH2+2Cl-+O2
     3. Fe˚+RCl+OH-→Fe2++2RH+Cl-+O2-
     4. Fe˚+RCl+H+→Fe2++RH+Cl-

     정답 : []
     정답률 : 67%

61. 토양관련전문기관의 준수사항이 아닌 것은?(2019년 09월)
     1. 토양시료채취는 토양관련전문기관 지정 시 신고된 기술요원이 하여야 한다.
     2. 토양관련전문기관은 도급받은 토양관련 전문기관의 업무 일부를 하도급 할 수 있다.
     3. 토양관련전문기관은 매년 1월 31일까지 전년도 검사실적을 지방환경관서의 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4. 토양시료의 분석은 형식승인과 정도검사를 받은 장비를 사용하여 분석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2. 도급받은 토양 관련 전문기관의 업무 전부를 다시 하도급해서는 아니된다.
[해설작성자 : 무찌]

62. 토양정화업의 등록요건 중 시설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반입정화시설은 오염토양을 반입하여 정화하는 경우만 해당하며, 반입정화시설의 바닥의 포장, 지분설치 및 오염방지시설 등 세부설치기준은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2015년 03월)
     1. 반입정화시설 : 정화시설 200m2 이상, 보관시설 200m2이상
     2. 반입정화시설 : 정화시설 300m2 이상, 보관시설 300m2이상
     3. 반입정화시설 : 정화시설 400m2 이상, 보관시설 400m2이상
     4. 반입정화시설 : 정화시설 500m2 이상, 보관시설 500m2이상

     정답 : []
     정답률 : 83%

63. 토양오염도 검사 수수료 중 시료채취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2008년 05월)
     1. 51,900원/공 (관측공이 설치되어 있는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하는 경우에는 관측공당 시료채취비의 25%를 적용)
     2. 91,900원/공 (관측공이 설치되어 있는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하는 경우에는 관측공당 시료채취비의 25%를 적용)
     3. 51,900원/공 (관측공이 설치되어 있는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하는 경우에는 관측공당 시료채취비의 50%를 적용)
     4. 91,900원/공 (관측공이 설치되어 있는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하는 경우에는 관측공당 시료채취비의 50%를 적용)

     정답 : []
     정답률 : 79%

64. 토양환경보전법의 목적이 아닌 것은?(2020년 09월)
     1. 토양오염물질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
     2. 토양을 적정하게 관리·보전함으로써 토양생태계를 보전
     3. 자원으로서의 토양가치를 높임
     4. 모든 국민이 건강하고 쾌적한 삶을 누릴 수 있게 함

     정답 : []
     정답률 : 75%

65. 다음 오염지하수 정화계획의 승인 절차에 대한 설명 중 ( ) 안에 들어갈 말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2009년 08월)

    

     1. 환경부 - 대통령 - 시장ㆍ군수
     2. 환경부 - 대통령 - 환경부장관
     3. 대통령 - 환경부 - 환경부장관
     4. 대통령 - 환경부 - 시장ㆍ군수

     정답 : []
     정답률 : 40%

66. 지적법에 따른 지목 구분에 관계없이 나지역의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적용하는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6년 09월)
     1.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지역내에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이 설치된 경우
     2. 가지역을 제외한 지역에서 토양오염사고가 발생한 경우
     3. 가지역에서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 또는 유류(BTEX 항목에 한함)에 의한 토양오염사고가 발생한 경우
     4.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이 설치된 경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7. 오염지하수정화계획 수립 시에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2019년 09월)
     1. 정화대상지역 선정
     2. 적용성 시험
     3. 오염지역 부동산 시세
     4. 정화사업의 규모

     정답 : []
     정답률 : 85%

68. 기술인력에 대한 교육과정으로 옳은 것은?(단, 보수 교육 기준)(2012년 03월)
     1. 신규교육을 받은 날을 기준으로 3년 마다 8시간
     2. 신규교육을 받은 날을 기준으로 3년 마다 24시간
     3. 신규교육을 받은 날을 기준으로 5년 마다 8시간
     4. 신규교육을 받은 날을 기준으로 5년 마다 24시간

     정답 : []
     정답률 : 79%

69. 토양환경평가기관의 지정기준(장비) 중 자가동력시추기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4년 05월)
     1. 타격식이나 나선형식으로 시추깊이가 최소 2m 이상일 것
     2. 타격식이나 나선형식으로 시추깊이가 최소 4m 이상일 것
     3. 타격식이나 나선형식으로 시추깊이가 최소 6m 이상일 것
     4. 타격식이나 나선형식으로 시추깊이가 최소 8m 이상일 것

     정답 : []
     정답률 : 82%

70. 지하수보전구역에 설치된 지하수오염 유발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5월)
     1. 폐기물관리법 시행령에 따른 소각시설
     2. 폐기물관리법 시행령에 따른 매립시설
     3. 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에 따른 폐수배출시설
     4. 토양환경보전법 시행규칙에 따른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정답 : []
     정답률 : 67%

71. 다음 중 지하수 개발ㆍ이용자의 수질검사 절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5년 05월)
     1. 수질검사를 받고자 하는 자는 시장ㆍ군수에게 수질검사를 신청하여야 한다.
     2. 수질검사 신청을 접수한 때에는 수질검사를 위한 시료채취기간을 정하여 시료채취 실시 3일전까지 검사를 받을 자에게 이를 통보하여야 한다.
     3. 시료채취를 한 후 시료를 봉인하여 수질검사 신청인에게 인계하여야 한다.
     4. 시료를 인계받은 후 24시간 이내에 수질검사전문기관에 검사를 의뢰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2%

72. 토양오염대책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1지역 기준, 단위 : mg/kg)(2018년 09월)
     1. 구리 450
     2. 아연 600
     3. 불소 400
     4. 카드뮴 30

     정답 : []
     정답률 : 43%

73. 토양오염우려기준의 오염지역을 1지역, 2지역, 3지역으로 구분하는데, 2지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7년 03월)
     1. 도로용지
     2. 유원지
     3. 종교용지
     4. 창고용지

     정답 : []
     정답률 : 59%

74. 토양오염도의 상시측정에 대한 법적 규정 중 틀린 것은?(2019년 03월)
     1. 환경부장관은 전국적인 토양오염실태를 차악하기 위하여 측정망을 설치하고 토양오염도를 상시측정하여야 한다.
     2. 측정망 설치계획은 고시되어야하며, 누구든지 열람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3. 측정말 설치 최소 6월 전에는 측정망설치계획이 고시되어야 한다.
     4. 측적망 설치계획에는 측정망설치시기, 측정망배치도, 측정지점 위치 및 면적이 포함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3. 측정망 설치 고시는 최초로 측정망 설치하는 날 3개월 전에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아이씨]

75. 다음 중 토양오염우려기준(1지역)에 대한 항목 및 기준치가 잘못 연결된 것은?(2011년 03월)
     1. 수은 : 4mg/kg
     2. TCE : 8mg/kg
     3. 불소 : 400mg/kg
     4. 니켈 : 50mg/kg

     정답 : []
     정답률 : 55%

76. 다음 중 정밀한 토양오염검사를 위해 환경부령이 정한 토양관련전문기관이 아닌 것은?(2014년 09월)
     1. 유역환경청
     2. 시ㆍ도 보건환경연구원
     3. 지방환경청
     4. 국립환경과학원

     정답 : []
     정답률 : 56%

77. 대통령령으로 정하여 토양오염조사기관으로 지정된 것으로 보는 토양오염조사기관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9월)
     1. 한국환경공단
     2. 국립환경과학원
     3. 시ㆍ도 보건환경연구원
     4. 유역환경청 또는 지방환경청

     정답 : []
     정답률 : 29%

78. 토양정화업의 등록요건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맞는 내용은?(2008년 05월)

    

     1. ① 200제곱미터 이상 ② 400제곱미터 이상
     2. ① 400제곱미터 이상 ② 400제곱미터 이상
     3. ① 400제곱미터 이상 ② 600제곱미터 이상
     4. ① 600제곱미터 이상 ② 600제곱미터 이상

     정답 : []
     정답률 : 70%

79. 토양 관련 전문기관의 준수사항이 아닌 것은?(2020년 08월)
     1. 토양시료채취는 토양 관련 전문기관 지정 시 신고된 기술요원이 하여야 한다.
     2. 토양 관련 전문기관은 도급받은 토양 관련 전문기관의 업무 일부를 하도급할 수 있다.
     3. 토양관련전문기관은 매년 1월 31일까지 전년도 검사실적을 지방환경관서의 장에게 보고 하여야 한다.
     4. 토양시료의 분석은 형식승인과 정도검사를 받은 장비를 사용하여 분석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80. 토양환경보전법령상 다음 오염토양개선사업에 관한 내용 중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토양관련 전문기관은?(2022년 03월)
     1. 한국환경공단
     2. 국립환경과학원
     3.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4. 유역환경청 또는 지방환경청

     정답 : []
     정답률 : 59%


정 답 지

토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08일)(976013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토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토양학개론


1. 100cm3 core sampler로 채취한 토양의 무게가 180g 이었다.(core 무게 제외). 이 토양을 105℃에서 건조한 무게가 150g 이라면 이 토양의 중량수분함량과 용적밀도(가밀도)를 모두 바르게 계산한 것은? (단, 중량수분함량은 분석값의 수분 보정을 위한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 상의 수분함량을 의미하지는 않음)(2015년 05월)
     1. 중량수분함량(17%), 용적밀도(1.5g/cm3)
     2. 중량수분함량(17%), 용적밀도(1.8g/cm3)
     3. 중량수분함량(20%), 용적밀도(1.5g/cm3)
     4. 중량수분함량(20%), 용적밀도(1.8g/cm3)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밀도 = 건조토양질량/부피 = 150/100 = 1.5g/cm^3
[해설작성자 : 토모]

2. 토양공기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9월)
     1. 토양공기 중의 N2농도는 대기 중의 농도와 비슷하다.
     2. 토양공기 중의 CO2, O2 농도는 대기 중의 농도보다 낮다.
     3. 토양공기 중의 O2 농도는 토양의 깊이가 증가할수록 감소한다.
     4. 토양공기 중의 CO2 농도는 여름에는 높고 겨울에는 낮은 편이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이산화탄소 농도는 대기 중의 농도보다 8배 높고, 산소는 낮다.
[해설작성자 : 김앵]

토양공기의 특징 : 일반적으로 대기 중 질소함량은 비슷하나 토양내미생물 호흡작용으로 산소는 적고 이산화탄소가 많으며 상대적으로 대기에 비해 아르곤이 많다
[해설작성자 : 토양환경사랑]

토양공기는 일반대기 중 공기에 비하여 N2, CO2, Ar, 상대습도가 높다.

3. 토양점토광물 중 2:1형 층상 구조를 갖는 광물(3층형 광물)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kaolinite
     2. illite
     3. montmorillonite
     4. vermiculite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1점토광물>카올리나이트/할로이사트/나크라이트
2:2점토광물>버미큘라이트/몬모릴로나이트/일라이트/스멕타이트
[해설작성자 : 토양환경사랑]

4. 피압 대수층에서 단위 수위강하 혹은 수위상승에 의해 단위 면적을 통해 자유면대수층의 저류지하수로부터 유입 혹은 유출되는 물의 부피를 나타내는 지하수 및 대수층 관련 용어는?(2021년 03월)
     1. 비산출율
     2. 비저류계수
     3. 수리전도율
     4. 수두구배계수

     정답 : []
     정답률 : 49%

5. 토양수의 압력이 10,000 bars일 경우 pF로 환산하면 얼마가 되는가?(2010년 05월)
     1. 약 4
     2. 약 5
     3. 6
     4. 7

     정답 : []
     정답률 : 37%

6. 토양 중 인(P)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토양에 따라 차이가 많지만 총인 중 유기태인이 5~10%를 차지한다.
     2. 식물은 토양용액으로부터 H2PO4-이나, HPO42-과 같은 무기인산 형태의 인을 흡수한다.
     3. 유기태인은 Ca, Fe 및 Al과 결합된 형태 그리고 토양광물의 표면에 흡착된 형태로 존재한다.
     4. 토양용액 중 인의 농도는 작물의 인요구량에 비해 높고, 이동성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72%

7. 지구의 6대 조암광물의 구성으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석영, 장석, 운모, 감석석, 휘석, 감람석
     2. 석영, 장석, 운모, 석면, 휘석, 감람석
     3. 석영, 장석, 석회석, 감섬석, 휘석, 감람석
     4. 석영, 장석, 황철석, 감섬석, 석고, 감람석

     정답 : []
     정답률 : 87%

8. 사막화의 과정인 토양의 염류집적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9월)
     1. 지하수위의 상승
     2. 관개수에 의한 염류의 증가
     3. 배수량의 저하
     4. 지하수 모관상승의 저하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4. 지하수 모관상승의 증가
[해설작성자 : 아이씨]

9. 토양생성의 주요 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9월)
     1. 지형
     2. 토양 모재의 산화·환원 작용
     3. 인간을 포함한 생명체
     4. 시간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토양생성 주요 인자)
- 기후
- 생물(식생)
- 모재(모암)
- 지형
- 시간
- 인위적 영향(인간을 포함한 생명체)
[해설작성자 : sandy]

10. 유기물 60mmol이 미생물 활성에 의하여 12시간 후 40mmol이 되었다면 반응속도상수(hr-1)는? (단, 1차 반응 기준)(2019년 04월)
     1. 0.013
     2. 0.033
     3. 0.053
     4. 0.073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ln(40/60) = -k x 12
K=0.0337
[해설작성자 : 파이리 귀엽다]

11. 다핵 방향족 탄화수소(PAH) 중 벤젠핵의 개수가 가장 적고 생물분해가 용이한 것은?(2020년 06월)
     1. Pyrene
     2. Phenanthrene
     3. Antracene
     4. Naphthalene

     정답 : []
     정답률 : 81%

12. 두 지점의 수두차 1m, 두 지점 사이의 수평거리 800m. 투수계수 300m/day일 때 대수층의 두께 4m, 폭 3m인 지하수의 유량(m3/day)은?(2019년 09월)
     1. 1.5
     2. 3.0
     3. 4.5
     4. 6.0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Q= K I A
= 300×(1/800)×(4×3)
[해설작성자 : 스노우맨69 ]

13. 저유계수(Storativity)계산 수식으로 맞는 것은?(2013년 09월)
     1. (면적×수두변화)/(공극률×배출된지하수량(체적))
     2. (공극률×배출된지하수량(체적))/(면적×수두변화)
     3. (면적×수두변화)/배출된 지하수량(체적)
     4. 배출된 지하수량(체적)/(면적×수두변화)

     정답 : []
     정답률 : 61%

14. 유류에 의해 오염된 지하수환경에서 자연저감이 일어나고 있다. 오염운 중심에서 질산염의 농도와 배경수질 농도가 각각 35mg/L와 5mg/L일 때 질산염에 의한 생분해능(EAC, mg/L)은?(2019년 04월)
     1. 6.3
     2. 10
     3. 16.5
     4. 31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오염운 질산염 - 배경수질 농도) x 0.21(질산염 전자수용체 상수값)
[해설작성자 : 토모]

15. 토양에 흔한 다음 이온들의 교환효율의 크기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0년 09월)
     1. Mg2+>Ca2+>Na+>K+
     2. Mg2+>Ca2+>K+>Na+
     3. Ca2+>Mg2+>Na+>K+
     4. Ca2+>Mg2+>K+>Na+

     정답 : []
     정답률 : 68%

16. 토양단면을 나타내는 기호에 대한 특성으로 설명이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A : 환원층
     2. O : 유기물층
     3. B : 집적층
     4. R : 암반층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O층: 유기물층
A층: 용탈층
B층: 집적층
C층: 모재층
R층: 암반층
[해설작성자 : 127]

17. 토양오염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06년 05월)
     1. 오염경로의 다양성
     2. 오염의 비 인지성 및 타 환경인자와의 영향관계의 모호성
     3. 수질 또는 대기오염에 비해 오염영향의 광역성
     4. 피해발현의 완만성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8. 토양의 수직단면의 성층 구성 중 무기물층으로서 아직 토양생성작용을 받지 않은 모재층은?(2012년 03월)
     1. C층
     2. E층
     3. A층
     4. D층

     정답 : []
     정답률 : 67%

19. 포화대의 수리지질학적 특성 중 저유(Storage)특성의 주요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3월)
     1. 저유계수(storage coefficient)
     2. 비저유계수(specific storage coefficient)
     3. 수리전도도(hydraulic conductivity)
     4. 비산출률(specific yield)

     정답 : []
     정답률 : 68%

20. 양이온교환능력(CEC) 값이 가장 작은 점토광물과 비표면적이 가장 큰 점토광물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21년 03월)
     1. illite → vermiculite
     2. illite → montmorillonite
     3. kaolinite → vermiculite
     4. kaolinite → montmorillonite

     정답 : []
     정답률 : 70%

2과목 : 토양 및 지하수 오염조사기술


21. 저장물질이 없는 누출검사대상시설의 가압시험법에서 “안정된 시험압력” 이라 함은 기압 후 유지시간 동안 압력강하가 시험압력의 몇 %이하인 압력을 말하는가?(2013년 09월)
     1. 2
     2. 3
     3. 5
     4. 10

     정답 : []
     정답률 : 86%

22.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상의 페놀류 및 페놀류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3월)
     1. 정량한계는 페놀이 0.02mg/kg, 펜타클로페놀이 0.1mg/kg이다.
     2. 페놀류 분석을 위해 특별히 고안된 분석방법이므로 간섭물질이 있을 수 없다.
     3. 운반기체는 부피백분율 99.999%이상의 헬륨으로서 유량은 0.5~4m/min, 시료도입부 온도는 150~320℃로 한다.
     4. 토양 중 페놀 및 펜타클로로페놀을 아세톤/노말헥산(1:1)으로 추출하여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정량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23. 토양시료는 시료채취봉이 들어있는 타격식이나 나선형식의 토양시추 장비를 이용하여 채취한다. 이때 시료채취봉의 직경기준은? (단, 토양오염유발시설 지역 기준)(2005년 05월)
     1. 2.5 ㎝ 이상
     2. 2.0 ㎝ 이상
     3. 1.5 ㎝ 이상
     4. 1.0 ㎝ 이상

     정답 : []
     정답률 : 50%

24. 0.001N의Na0H 용액의 pH는?(2014년 09월)
     1. 9
     2. 10
     3. 11
     4. 12

     정답 : []
     정답률 : 74%

25. 토양에서 분석대상 유기인계화합물로 규정되지 않은 성분은?(2004년 12월)
     1. 이피엔
     2. 말라티온
     3. 다이아지논
     4. 메틸디메톤

     정답 : []
     정답률 : 31%

26. 저장물질이 없는 누출검사대상시설-가압시험법에 따라 시료를 분석할 때 사용하는 검사기기 및 기구에 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5월)
     1. 안전밸브 : 0.7kgf/cm2이하에서 작동되어야 한다.
     2. 가압장치 : 불활성가스 용기 및 압력조정장치를 말한다.
     3. 온도계 : 시험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으로 최소눈금 1℃이하를 읽고 기록이 가능하여야 한다.
     4. 압력계(압력자기기록계) : 최소눈금이 시험압력의 30%이내이고 이를 읽고 측정압력의 기록이 가능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4. 최소눈금이 시험압력의 5 %이내이고, 이를 읽고 측정압력의 기록이 가능한 압력계
[해설작성자 : 도담이방구]

27. 토양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료의 조제 시 눈금간격 0.075mm의 표준체(200 메쉬)로 체거름하여 조제하는 시료는?(2018년 09월)
     1. 비소
     2. 카드뮴
     3. 니켈
     4. 불소

     정답 : []
     정답률 : 82%

28.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 총칙에 따른 밀폐용기의 정의는?(2021년 03월)
     1. 취급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내용물의 손실되지 아니하도록 보호하는 용기를 말한다.
     2. 취급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기체 또는 미생물이 침입하지 아니하도록 내용물을 보호하는 용기를 말한다.
     3. 취급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내용물이 광화학적 변화를 일으키지 아니하도록 방지하는 용기를 말한다.
     4. 취급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외부로부터 공기 또는 다른 가스가 침입하지 아니하도록 내용물을 보호하는 용기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29.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의 머무를시간(retention time)에 관한 결정시험을 실시해야 할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3월)
     1. 컬럼교체
     2. 가스교체
     3. 기기의 고장수리
     4. 시료주입부 청소

     정답 : []
     정답률 : 62%

30.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지역에서의 시료채취지점선정에 관한 내용으로 ( )에 옳은 것은? (단, 부지 내, 지상저장시설 기준)(2020년 06월)

    

     1. 1.2배
     2. 1.5배
     3. 2.0배
     4. 2.5배

     정답 : []
     정답률 : 93%
     <문제 해설>
토양오염관리 대상시설지역(부지 내 지하저장시설) 시료채취지점 선정기준
토양오염물질(유류 등)의 누출이 인지되거나 토양오염의 개연성이 높은 3개 지점을 선정하되, 저장시설의 끝 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1m 이상 떨어진 지점에서 이격거리의 1.5배 깊이까지로 한다.다만, 방유조(tank dike) 외부에서 시료를 채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방유조 끝 단을 기준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1. 정도보증/정도관리에 적용되는 감응계수의 산정식으로 옳은 것은? (단, C : 검정곡선 작성용 표준용액의 농도, R : 반응값)(2014년 03월)
     1. 감응계수 = C / R
     2. 감응계수 = R / C
     3. 감응계수 = R × C
     4. 감응계수 = R2 × C

     정답 : []
     정답률 : 83%

32. 토양오염 우려기준 및 대책기준 중 1지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3월)
     1. 광천지
     2. 학교용지
     3. 묘지
     4. 종교용지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종교용지는 2지역
[해설작성자 : 짱예서]

33.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BTEX룰 정량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8월)
     1. 검출기는 불꽃이온화검출기(FID), 광이온검출기(PID)또는 GC/MS를 사용한다.
     2. 시료도입부 온도는 200℃를 사용한다.
     3. 트랩은 Tenax, Carbopack, OV-1/Tenax/Silicagel/Charcoal 또는 동등 이상 성능을 가진 것을 사용한다.
     4. BTEX의 유효측정농도는 0.05mg/kg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4. 저장물질이 없는 누출검사대상시설-가압시험법에서 ‘안정된 시험압력’이라 함은 가압 후 유지시간동안 압력강하가 시험압력의 몇 % 이하인 압력을 말하는가?(2017년 03월)
     1. 5%
     2. 10%
     3. 15%
     4. 20%

     정답 : []
     정답률 : 82%

35. 시료의 수분측정 결과 건조된 증발접시의 무게(W1)는 20.25g, 증발접시와 시료의 무게(W2)는 41.50g, 건조 후 증발접시와 시료의 무게(W3)는 35.50g이었다. 시료의 수분 함량은?(2007년 09월)
     1. 22.2%
     2. 28.2%
     3. 32.2%
     4. 38.2%

     정답 : []
     정답률 : 75%

36. 다음은 시안(자외선/가시선 분광법) 측정 시료에 다량의 기름성분이 함유되었을 때 전저리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2011년 03월)

    

     1. 약 1%
     2. 약 2%
     3. 약 3%
     4. 약 5%

     정답 : []
     정답률 : 64%

37. 다음은 수소이온농도(유리전극법) 측정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2014년 09월)

    

     1. 5배
     2. 10배
     3. 15배
     4. 20배

     정답 : []
     정답률 : 86%

38. 수소화물생성-원자흡수분광광도법에 따라 토양 중의 비소를 분석할 때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2021년 09월)

    

     1. 수소화붕소나트륨
     2. 수소화이염화나트륨
     3. 수소화이질소나트륨
     4. 수소화염화주석나트륨

     정답 : []
     정답률 : 75%

39. 부속배관부를 가압시험법으로 누출여부를 검사할 때 판정기준으로 옳은 것은?(2011년 03월)
     1. 시험압력의 5% 이상의 압력변화량이 있으면 불합격으로 한다.
     2. 시험압력의 10% 이상의 압력변화량이 있으면 불합격으로 한다.
     3. 시험압력의 15% 이상의 압력변화량이 있으면 불합격으로 한다.
     4. 시험압력의 20% 이상의 압력변화량이 있으면 불합격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40. 다음은 토양 내 수분 함량 측정을 위한 시료 관리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0년 09월)

    

     1. 2일
     2. 3일
     3. 5일
     4. 7일

     정답 : []
     정답률 : 81%

3과목 : 토양 및 지하수 오염정화 기술


41. 토양 슬러리 반응기를 이용하여 슬러리 유량 100L/min 규모로 초기 TPH 1200mg/kg 농도를 TPH 50mg/kg 농도까지 최종 처리하고자 할 때 필요한 반응조의 크기는? (단, 반응속도 = 1차 반응, 반응조의 종류 = CFSTR, 반응속도상수 = 0.25/min, 정상상태 유출수 기준)(2009년 05월)
     1. 6800 L
     2. 7300 L
     3. 8400 L
     4. 9200 L

     정답 : []
     정답률 : 40%

42. 열탈착공정의 일반적인 구성장치가 아닌 것은?(2019년 03월)
     1. 고에너지 스크러버
     2. 열 교환기
     3. 열 건조기
     4. 발열반응기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열탈착공정의 구성장치
- 열건조기
- 열교환기
- 고에너지 스크러버
[해설작성자 : 전역하고 싶은 중위 임지용]

43. TCE(Trichloroethylene)으로 오염된 지하수를 오존으로 처리하고자 한다. 처리대상 지하수로 예비실험을 한 결과 1.4mg/L-mib의 오존으로 1시간 처리 시 환경기준에 적합한 제거율을 보였다. 지하수 오염농도가 150mg/L이고 처리해야 할 지하수의 유량이 1140 L/min일 경우 환경기준에 적합하도록 처리하기 위한 최소 오존 필요량은?(2009년 08월)
     1. 약 104 kg/day
     2. 약 114 kg/day
     3. 약 123 kg/day
     4. 약 148 kg/day

     정답 : []
     정답률 : 0%

44. 토양세척기법(soil washing)이 가장 효과적인 토양은?(2012년 09월)
     1. 점토가 주를 이루는 토양
     2. 모래와 자갈이 고루 섞인 토양
     3. 실트와 모래가 고루 섞인 토양
     4. 점토와 실트가 고루 섞인 토양

     정답 : []
     정답률 : 82%

45. 군 사격장으로 사용하던 지역의 토양이 TNT와 RDX로 오염된 경우, 이 오염토양의 정화에 활용 가능한 효소는?(2022년 03월)
     1. Nitrilase
     2. Peroxidase
     3. Dehalogenase
     4. Nitroreductase

     정답 : []
     정답률 : 64%

46. 지하수면 아래 대수층이 TCE 오염운에 의해 오염되었다. 오염 대수층의 체적은 10000m3이고 매질의 공극률이 0.3 이며, 오염운내 지하수의 평균 TCE 농도가 1.0 mg/L 이라면, 오염운의 지하수내에 존재하는 TCE 총량은?(2007년 09월)
     1. 1.5kg
     2. 3.0kg
     3. 7.0kg
     4. 9.0kg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7. 열탈착공정의 일반적인 구성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5월)
     1. 열 교환기
     2. 열 건조기
     3. 발열반응기
     4. 고에너지 스크러버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열탈착공정 구성장치: 열건조기, 열교환기, 고에너지 스크러버
[해설작성자 : 아이씨]

48. CFSTR 반응기에 500L/min의 슬러리가 유입된다. 이 반응기를 사용하여 슬러리의 TPH 농도를 1200mg/kg에서 50mg/kg로 저감하고자 할 때, 필요한 반응조의 크기(L)는? (단, 반응속도상수는 0.25 /min 이고, 정상상태 기준, TPH는 1차 반응에 의해 분해된다.)(2022년 03월)
     1. 36000
     2. 46000
     3. 56000
     4. 66000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CFSTR반응기 1차반응식 : Ct/C0 = 1 / (1+kt) 이므로,
t = (C0-Ct) / k×Ct = (1200-50) / (0.25×50) = 92min
반응도 부피 = 500 ×92 =46,000
[해설작성자 : 최양]

49. 어느 화학공장의 오염된 지하수를 700m3/day 규모로 펌핑하여 호기성 생물처리법으로 처리하고자 한다. 지하수의 수질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을 때 1일 필요한 요소의 주입량은? (단, 미생물활성을 위한 영양비는 BOD:N:P = 100:5:1로 가정한다. 지하수의 수질은 pH7.5, 인산 50mg/L, BOD 1.000 mg/L, 총질소 0, 요소 분자식은[(NH2)2CO)](2005년 09월)
     1. 55kg
     2. 65kg
     3. 75kg
     4. 85kg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0. 토양세척법(Soil washing)의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거은?(2021년 09월)
     1. 토양의 색깔
     2. 오염물질의 농도
     3. 토양의 pH와 완충능력
     4. 토양의 양이온교환용량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토양 세척법의 장점
1. 외부 환경의 영향이 적고 자체적인 조건 조절이 가능한 폐쇄형 공정이다
2. 다양한 성상과 농도의 오염물질의 처리가 가능하다. 다시말해 유기물과 무기물의 동시처리가 가능하며 특히 중금속 처리에 태월하다
3. 단 시간 내에 오염토양의 부피를 급격하게 줄일 수 있다
4. 타 공법과 결합시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토양환경사랑]

51. 토양오염을 Air Sparging 방법을 적용하여 처리할 때 영향을 주는 인자의 유리한 조건으로 틀린 것은?(2006년 05월)
     1. 대수층종류 : 자유면 대수층
     2. 대수층의 투수도(cm/s) : 10-3 이상
     3. 오염물질의 헨리상수(atmㆍm3/mol) : 10-5이상
     4. 지하수 면까지의 깊이(m) : 1.2 이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지하수면까지의 깊이 : 1.5m이상

52. 지하수와 오염물질들의 수평이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지중에 설치되는 수직차단벽(vertlcal cutoff Walls)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5월)
     1. 슬러리윌(slurry walls)은 주변보다 높은 수리전도도를 가진 물질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의 이동을 촉진 시키는 방법이다.
     2. 수직차단벽은 주변 지하 매질과 수직차단벽의 수리전도도 차이가 적을수록 차단효과가 높다.
     3. 슬러리윌(slurry walls)은 오염되지 않은 지하수를 오염된 지역으로부터 격리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4. 슬러리윌(slurry walls)은 지하로의 침출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나 오염물질의 분해 또는 자체효과를 증진 시킬 수는 없다.

     정답 : []
     정답률 : 75%

53. 전기동력학적 오염토양 복원기술이 타 기술과 비교하여 갖는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수리전도도가 낮고 표면반응성이 큰 점토와 같은 세립질 토양에도 적용될 수 있다.
     2. 무기오염물질과 유기오염물질을 모두 제거할 수 있다.
     3. 전기장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토양 내 공극유체와 오염물질들의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4. 공정 중 발생하는 침전물의 전하로 전기저항이 줄어 공정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5%

54. 바이오벤팅(Bioventiong)기법 적용 시의 영향인자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9월)
     1. 오염물질특성 : 적용되는 오염물질은 휘발성 및 생분해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2. 토양의 투수성 : 공기를 토양 내에 강제 순환시킬 때 매우 중요한 영향 인자이다.
     3. 중금속 처리농도 : 미생물 활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인자이다.
     4. 토양 함수율 : 공기흐름 속도는 공기가 채워진 토양공극률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중금속 처리농도는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와는 무관함
[해설작성자 : Ann]

55. 원위치(In-situ) 생물학적분해법을 적용하는 경우, 주입정으로 지하수를 주입하기 전에 소량의 과산화수소를 첨가하는 경우가 있다. 주입되는 지하수에 과산화수소를 첨가하는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2006년 09월)
     1. 지하수의 용존산소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2. 오염물에 대한 지하수의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
     3. 자유상의 오염물을 에멀젼(emulsion)상으로 변환하여 이동을 쉽게하기 위해
     4. 생물학적 분해산물로 발생하는 공극막힘(clogging)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정답 : []
     정답률 : 64%

56. 지중에서 생물학적 처리를 할 경우 미생물이 전자수용체로서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순서가 맞는 것은?(2017년 09월)
     1. 산소 > 질산성질소 > 황산이온 > 망간산화물
     2. 질산성질소 > 황산이온 > 망간산화물 > 산소
     3. 망간산화물 > 황산이온 > 질산성질소 > 산소
     4. 산소 > 질산성질소 > 망간산화물 > 황산이온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산소 공급이 불가할 경우 전자수용체로서 산소를 대신 하여 질산이온, 황산이온, 철등을 공급하여 미생물의 분해를 촉진시키나 산소를 공급하는 경우보다 생분해율이 낮아 처리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7. 토양오염 처리 기술의 개념을 잘못 기술한 것은?(2009년 08월)
     1. Biodegradation - 미생물을 활용하여 유기오염물질을 분해
     2. Dual Phase Extraction - 유기오염물질과 중금속을 동시에 제거하기 위해 고압의 수증기를 주입
     3. Pneumatic Fracturing(PF) - 통기성이 낮거나 압밀된 도양에 균열을 증가시키기 위해 지표 아래로 압축공기주입
     4. Vitrification - 오염토양을 전기적으로 용융시켜 용출특성이 낮은 결정구조로 만듬

     정답 : []
     정답률 : 45%

58. 공기분사법(air sparging)의 적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10월)
     1. 오염확산의 위험과 균질한 공기분포를 방해하는 불균질 기질은 적용이 어렵다.
     2. 오염확산이 위험이 적은 피압대수층은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3. 공기의 이동경로 생성을 방해하는 낮은 투수도의 기질(K<10-3 cm/s)에는 적용이 어렵다.
     4. 휘발성이 높거나 생분해 가능성이 높은 오염물질의 처리에는 효율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에어스파징은 오염된 지하수를 정화하기 위해 포화대(포화대수층)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지하수를 폭기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을 휘발시켜 제거하는 원위치 기술로 피압대수층에서는 적용할 수 없다. 피압대수층에서는 오염 확산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적용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127]

59. 생물학적 복원공법을 적용하여 오염토양을 처리하고자 할 때 필요한 중요 환경조절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9월)
     1. 전자 수용체
     2. pH
     3. 토양밀도
     4. 영양물질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생물학적 정화기법에 영향 주는 인자
-산소<전자수용체>/수분/영양분/온도/ph 등
[해설작성자 : 토양환경사랑]

60. 투수성 반응벽에서 명가철(Fe˚)을 사용하여 TCE, PCE 등과 같은 염화 유기 화합물을 제거하는 경우에 작용하는 반응 기작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1년 03월)
     1. Fe˚+RCl+Cl-+2H-→Fe2+RH+2H++2Cl-
     2. Fe˚+RCl+2OH-→Fe2++RH2+2Cl-+O2
     3. Fe˚+RCl+OH-→Fe2++2RH+Cl-+O2-
     4. Fe˚+RCl+H+→Fe2++RH+Cl-

     정답 : []
     정답률 : 67%

61. 토양관련전문기관의 준수사항이 아닌 것은?(2019년 09월)
     1. 토양시료채취는 토양관련전문기관 지정 시 신고된 기술요원이 하여야 한다.
     2. 토양관련전문기관은 도급받은 토양관련 전문기관의 업무 일부를 하도급 할 수 있다.
     3. 토양관련전문기관은 매년 1월 31일까지 전년도 검사실적을 지방환경관서의 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4. 토양시료의 분석은 형식승인과 정도검사를 받은 장비를 사용하여 분석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2. 도급받은 토양 관련 전문기관의 업무 전부를 다시 하도급해서는 아니된다.
[해설작성자 : 무찌]

62. 토양정화업의 등록요건 중 시설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반입정화시설은 오염토양을 반입하여 정화하는 경우만 해당하며, 반입정화시설의 바닥의 포장, 지분설치 및 오염방지시설 등 세부설치기준은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2015년 03월)
     1. 반입정화시설 : 정화시설 200m2 이상, 보관시설 200m2이상
     2. 반입정화시설 : 정화시설 300m2 이상, 보관시설 300m2이상
     3. 반입정화시설 : 정화시설 400m2 이상, 보관시설 400m2이상
     4. 반입정화시설 : 정화시설 500m2 이상, 보관시설 500m2이상

     정답 : []
     정답률 : 83%

63. 토양오염도 검사 수수료 중 시료채취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2008년 05월)
     1. 51,900원/공 (관측공이 설치되어 있는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하는 경우에는 관측공당 시료채취비의 25%를 적용)
     2. 91,900원/공 (관측공이 설치되어 있는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하는 경우에는 관측공당 시료채취비의 25%를 적용)
     3. 51,900원/공 (관측공이 설치되어 있는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하는 경우에는 관측공당 시료채취비의 50%를 적용)
     4. 91,900원/공 (관측공이 설치되어 있는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하는 경우에는 관측공당 시료채취비의 50%를 적용)

     정답 : []
     정답률 : 79%

64. 토양환경보전법의 목적이 아닌 것은?(2020년 09월)
     1. 토양오염물질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
     2. 토양을 적정하게 관리·보전함으로써 토양생태계를 보전
     3. 자원으로서의 토양가치를 높임
     4. 모든 국민이 건강하고 쾌적한 삶을 누릴 수 있게 함

     정답 : []
     정답률 : 75%

65. 다음 오염지하수 정화계획의 승인 절차에 대한 설명 중 ( ) 안에 들어갈 말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2009년 08월)

    

     1. 환경부 - 대통령 - 시장ㆍ군수
     2. 환경부 - 대통령 - 환경부장관
     3. 대통령 - 환경부 - 환경부장관
     4. 대통령 - 환경부 - 시장ㆍ군수

     정답 : []
     정답률 : 40%

66. 지적법에 따른 지목 구분에 관계없이 나지역의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적용하는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6년 09월)
     1.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지역내에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이 설치된 경우
     2. 가지역을 제외한 지역에서 토양오염사고가 발생한 경우
     3. 가지역에서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 또는 유류(BTEX 항목에 한함)에 의한 토양오염사고가 발생한 경우
     4.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이 설치된 경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7. 오염지하수정화계획 수립 시에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2019년 09월)
     1. 정화대상지역 선정
     2. 적용성 시험
     3. 오염지역 부동산 시세
     4. 정화사업의 규모

     정답 : []
     정답률 : 85%

68. 기술인력에 대한 교육과정으로 옳은 것은?(단, 보수 교육 기준)(2012년 03월)
     1. 신규교육을 받은 날을 기준으로 3년 마다 8시간
     2. 신규교육을 받은 날을 기준으로 3년 마다 24시간
     3. 신규교육을 받은 날을 기준으로 5년 마다 8시간
     4. 신규교육을 받은 날을 기준으로 5년 마다 24시간

     정답 : []
     정답률 : 79%

69. 토양환경평가기관의 지정기준(장비) 중 자가동력시추기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4년 05월)
     1. 타격식이나 나선형식으로 시추깊이가 최소 2m 이상일 것
     2. 타격식이나 나선형식으로 시추깊이가 최소 4m 이상일 것
     3. 타격식이나 나선형식으로 시추깊이가 최소 6m 이상일 것
     4. 타격식이나 나선형식으로 시추깊이가 최소 8m 이상일 것

     정답 : []
     정답률 : 82%

70. 지하수보전구역에 설치된 지하수오염 유발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5월)
     1. 폐기물관리법 시행령에 따른 소각시설
     2. 폐기물관리법 시행령에 따른 매립시설
     3. 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에 따른 폐수배출시설
     4. 토양환경보전법 시행규칙에 따른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정답 : []
     정답률 : 67%

71. 다음 중 지하수 개발ㆍ이용자의 수질검사 절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5년 05월)
     1. 수질검사를 받고자 하는 자는 시장ㆍ군수에게 수질검사를 신청하여야 한다.
     2. 수질검사 신청을 접수한 때에는 수질검사를 위한 시료채취기간을 정하여 시료채취 실시 3일전까지 검사를 받을 자에게 이를 통보하여야 한다.
     3. 시료채취를 한 후 시료를 봉인하여 수질검사 신청인에게 인계하여야 한다.
     4. 시료를 인계받은 후 24시간 이내에 수질검사전문기관에 검사를 의뢰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2%

72. 토양오염대책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1지역 기준, 단위 : mg/kg)(2018년 09월)
     1. 구리 450
     2. 아연 600
     3. 불소 400
     4. 카드뮴 30

     정답 : []
     정답률 : 43%

73. 토양오염우려기준의 오염지역을 1지역, 2지역, 3지역으로 구분하는데, 2지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7년 03월)
     1. 도로용지
     2. 유원지
     3. 종교용지
     4. 창고용지

     정답 : []
     정답률 : 59%

74. 토양오염도의 상시측정에 대한 법적 규정 중 틀린 것은?(2019년 03월)
     1. 환경부장관은 전국적인 토양오염실태를 차악하기 위하여 측정망을 설치하고 토양오염도를 상시측정하여야 한다.
     2. 측정망 설치계획은 고시되어야하며, 누구든지 열람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3. 측정말 설치 최소 6월 전에는 측정망설치계획이 고시되어야 한다.
     4. 측적망 설치계획에는 측정망설치시기, 측정망배치도, 측정지점 위치 및 면적이 포함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3. 측정망 설치 고시는 최초로 측정망 설치하는 날 3개월 전에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아이씨]

75. 다음 중 토양오염우려기준(1지역)에 대한 항목 및 기준치가 잘못 연결된 것은?(2011년 03월)
     1. 수은 : 4mg/kg
     2. TCE : 8mg/kg
     3. 불소 : 400mg/kg
     4. 니켈 : 50mg/kg

     정답 : []
     정답률 : 55%

76. 다음 중 정밀한 토양오염검사를 위해 환경부령이 정한 토양관련전문기관이 아닌 것은?(2014년 09월)
     1. 유역환경청
     2. 시ㆍ도 보건환경연구원
     3. 지방환경청
     4. 국립환경과학원

     정답 : []
     정답률 : 56%

77. 대통령령으로 정하여 토양오염조사기관으로 지정된 것으로 보는 토양오염조사기관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9월)
     1. 한국환경공단
     2. 국립환경과학원
     3. 시ㆍ도 보건환경연구원
     4. 유역환경청 또는 지방환경청

     정답 : []
     정답률 : 29%

78. 토양정화업의 등록요건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맞는 내용은?(2008년 05월)

    

     1. ① 200제곱미터 이상 ② 400제곱미터 이상
     2. ① 400제곱미터 이상 ② 400제곱미터 이상
     3. ① 400제곱미터 이상 ② 600제곱미터 이상
     4. ① 600제곱미터 이상 ② 600제곱미터 이상

     정답 : []
     정답률 : 70%

79. 토양 관련 전문기관의 준수사항이 아닌 것은?(2020년 08월)
     1. 토양시료채취는 토양 관련 전문기관 지정 시 신고된 기술요원이 하여야 한다.
     2. 토양 관련 전문기관은 도급받은 토양 관련 전문기관의 업무 일부를 하도급할 수 있다.
     3. 토양관련전문기관은 매년 1월 31일까지 전년도 검사실적을 지방환경관서의 장에게 보고 하여야 한다.
     4. 토양시료의 분석은 형식승인과 정도검사를 받은 장비를 사용하여 분석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80. 토양환경보전법령상 다음 오염토양개선사업에 관한 내용 중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토양관련 전문기관은?(2022년 03월)
     1. 한국환경공단
     2. 국립환경과학원
     3.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4. 유역환경청 또는 지방환경청

     정답 : []
     정답률 : 59%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토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08일)(9760134)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