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의 자료에서 기말재고자산에 포함해야 할 금액은 얼마인가? )단, 창고재고금액은 고려하지 않는다.)
1.
9,000,000원
2.
10,000,000원
3.
8,000,000원
4.
7,000,000원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ㆍ[일반기업회계기준 제7장 재고자산] (1) 도착지 인도조건의 경우 상품 등이 도착하는 시점에 소유권이 이전되기 때문에 기말 현재 운송 중인 미착품은 판매자(거래상대방)의 재고자산에 포함된다. (2) 담보로 제공한 저당상품은 저당권이 실행되어 소유권이 이전되기 전까지는 담보제공자(당사)가 소유권을 가지고 있으므로 기말재고자산에 포함된다. [해설작성자 : 전산세무2급 2트도전]
ㆍ[일반기업회계기준 제7장 재고자산] (1) 도착지 인도조건의 경우 상품 등이 도착하는 시점에 소유권이 이전되기 때문에 기말 현재 운송 중인 미착품은 판매자(거래상대방)의 재고자산에 포함된다. (2) 담보로 제공한 저당상품은 저당권이 실행되어 소유권이 이전되기 전까지는 담보제공자(당사)가 소유권을 가지고 있으므로 기말재고자산에 포함된다. (3) 시송품은 고객이 구매의사를 표시하기 전까지는 판매된 것이 아니므로, 기말 현재 구매의사표시가 없는 시송품은 판매자(당사)의 재고자산에 포함된다. (4) 할부판매일 경우 인도하는 시점에 소유권이 이전되기 때문에 할부판매된 상품은 대금이 아직 회수되지 않았더라도 판매자의 재고자산에 포함되지 않는다. ∴ 기말재고자산에 포함해야 할 금액:6,000,000원+3,000,000원=9,000,000원 [해설작성자 : 전산세무2급 2트도전]
재화의 공급시기 전에 대가의 일부를 받은 때에 그 대가의 전부에 대하여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있다.
3.
재화의 이동이 필요하지 아니한 경우 재화가 이용가능하게 되는 때에 세금계산서를 발급하여야 한다.
4.
거래처별로 달의 1일부터 말일까지의 기간 내에서 사업자가 임의로 정한 기간의 공급가액을 합하여 그 기간의 종료일을 작성연월일로 하여 재화의 공급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10일까지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재화의 공급시기 전에 대가의 일부를 받은 때에 그 받은 대가에 대하여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전산세무2급 2트도전]
12.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부가가치세가 과세되는 토지의 임대면적을 구하면 얼마인가?
1.
60m2
2.
140m2
3.
300m2
4.
700m2
정답 : [
4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ㆍ과세대상 점포의 부수토지면적 (1) 주택 부수토지면적:Min(①, ②)=300m2 ① Max(60m2, 60m2×5배)=300m2 ② 1,000m2×60m2/200m2=300m2 (2) 점포 부수토지면적:1,000m2-300m2=700m2 [해설작성자 : 전산세무2급 2트도전]
(간편법)주택+점포면적이 부수토지면적의 5배(도시기준)을 넘지 않으므로, 주택,점포 면적 비율대로 과세, 비과세 안분하면 됨. [해설작성자 : 참고요]
13.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간이과세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법인도 신규 법인에 한해서는 간이과세자가 가능하다.
2.
간이과세자도 의제매입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다.
3.
간이과세자는 해당 과세기간에 대한 공급대가가 4,800만원 미만인 경우 납부 의무가 면제된다.
4.
간이과세자의 경우 납부세액은 공급가액에 업종별부가가치율을 곱한 후 다시 10퍼센트를 곱하여 계산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개인사업자는 신규에 한해서 간이과세자가 가능하다. 2. 간이과세자는 매입세액 공제를 아예 안하기때문에 의제매입세액공제도 받을 수 없다. 3. 정답 4. 간이과세자의 경우 납부세액은 '공급대가'에 업종별부가가치율을 곱한 후 다시 10퍼센트를 곱하여 계산한다. [해설작성자 : 전산세무2급 2트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