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검량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6월02일(1640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검량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선박의 구조 및 흘수 계산방법


1. 다음은 유류 검량에 사용되는 온도 보정표(Temperature correction table)의 일부이다. 유류탱크 안의 기름 온도가 31.2℃이고, 측정한 양이 15kL이면 15℃에서의 중량(M/T)은 약 얼마인가? (단, 15/4℃에서 기름의 비중은 0.8512이다.)

   

     1. 12.49
     2. 12.62
     3. 14.78
     4. 14.8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 화물의 검량시 일반적인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저울을 이용한 검량시 영점 조정 후 측정해야 한다.
     2. 기본적으로 길이, 폭, 높이를 측정해야 한다.
     3. 중량은 포장재를 제외한 중량으로 측정한다.
     4. 별도의 명시가 없는 한 Rims, Hoods 같은 돌출물은 치수에 포함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계량단위의 환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foot는 13inch이다.
     2. 1pound는 16ounce이다.
     3. 1U.S. gallon은 약 37.85liter이다.
     4. 1long ton은 1,240pound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 LPG 및 LPG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LPG는 상온ㆍ상압 하에서 완전히 기화된다.
     2. 부탄가스는 액화시키면 부피가 약 1/600 로 줄어든다.
     3. LPG선은 주로 액화 프로판이나 액화 부탄을 수송하는 전용선이다.
     4. LPG의 액화방식은 저온식, 가압식, 저온가압식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온도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5°C를 화씨온도로 환산하면 59°F이다.
     2. 140°F를 섭씨온도로 환산하면 70°C이다.
     3. 표준대기압에서 물의 어는점은 42°F이다.
     4. 화씨온도계 눈금은 물의 어는점과 끓는점 사이를 160개로 균등하게 나누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 선박의 이중저 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좌초 사고로 선저가 파손되어도 수밀구조의 내저판에 의해 해수의 침입을 막을 수 있다.
     2. 단저 구조보다 견고하여 선박의 종강도가 증가된다.
     3. 이중저 내부를 구획으로 나누어 탱크로 이용할 수 있다.
     4. 이중저 내저판 양쪽 끝을 구성하는 판재를 평판용골이라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 선박의 톤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총톤수는 선원, 항해 및 추진에 관련된 공간이 포함된 용적이다.
     2. 순톤수는 직접 상행위에 사용되는 용적을 나타낸다.
     3. 배수톤수는 선박의 수면 아래 부분의 용적에 해당하는, 즉 선박이 밀어낸 물의 중량을 의미한다.
     4. 적화중량톤수는 화물 적재량과 관계가 있기 때문에 관세, 등록세 등의 세금과 수수료 부과의 기준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 다음 그림과 같이 번들(bundle)의 단면이 삼각형 모양이고, 각 번들은 변을 서로 밀착하여 선적할 수 있다면 이 화물 1개의 검량 용적(m3)은?(단, 번들의 폭 W와 높이 H는 각각 60cm, 40cm, 길이는 10m이다.)

   

     1. 0.6
     2. 1.2
     3. 2.4
     4. 2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 선박의 유류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유류를 검량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선박의 트림은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2. 검량하고자 하는 탱크의 사운딩 테이블(sounding table)을 이용하여 유류의 용적을 구한다.
     3. 유류의 용적에 해수 비중을 곱하여 중량을 계산한다.
     4. 유류의 온도를 측정하여 힐 보정을 실시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 목재의 운임건에 사용하는 B.M.(Board Measure)과 B.F.(Board Foo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B.M.은 ft3이다.
     2. 1B.M.은 106B.F.이다.
     3. 1B.F.는 measurement ton이다.
     4. 1B.F.는 두께가 1inch, 폭이 12ft, 길이가 12inch인 목판의 부피를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상단직경 20inch, 하단직경 12inch, 길이의 중앙부 원주 60inch, 길이 20ft인 원목(log)을 Hoppus string으로 검재하면 몇 B.F.인가?
     1. 375
     2. 427
     3. 4,500
     4. 5,12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 적화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베일(bale) 용적을 Vb, 그레인(grain) 용적을 Vg, 화물이 차지하는 선창 용적을 Vc라고 하면 화물틈률(broken space ratio, %)은 이다.
     2. 중량물을 적재하는 경우 선창이 가득차기 전에 만재흘수에 도달할 수 있다.
     3. 일반적으로 베일(bale) 용적은 그레인(grain) 용적의 90~93%정도이다.
     4. 포대화물 30L/T을 베일(bale) 용적이 1,200ft3인 선창에 만재하면 적화계수(stowage factor)는 40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 선수흘수 5.00m, 선미흘수 6.00m, TPC 20ton, MTC 120m-t, LCF -2m 인 선박을 등흘수로 만들고자 한다. 선체 중앙에서 28m 전방에 중심이 있는 탱크에 몇 톤의 평형수를 주입해야 하는가?
     1. 380
     2. 400
     3. 420
     4. 46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4. 선박의 배수량표(hydrostatic table)에서 구할 수 없는 것은?
     1. KG
     2. TPC
     3. KM
     4. KB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5. 만재흘수선을 표시해야 하는 선박은?
     1. 수중익선
     2. 공기부양선
     3. 시운전선
     4. 선박길이 24m미만의 여객선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6. 복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선폭이 커지면 초기복원력은 증가하지만 복원성 범위는 작아진다.
     2. 건현이 작으면 최대복원각도 작아진다.
     3. 현호(sheer)가 있으면 복원성이 향상된다.
     4. GM은 장거리 항해의 경우 일반적으로 출항시보다 입항시가 더 크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7. 배수량의 계산 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선미 트림 상태에서 선수흘수 수정치의 부호는 (-)이다.
     2. 선미 트림 상태에서 부면심(LCF)이 선체 중앙으로부터 선수 쪽에 있을 때 트림에 의한 배수량 수정치의 부호는 (+)이다.
     3. 호깅/새깅에 대한 배수량 수정치의 부호는 새깅의 경우 (-)이다.
     4. 비중에 대한 수정은 어느 항(港)에서나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8. 복원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일 선박에서 횡요(rolling) 주기가 상대적으로 길면 복원성이 나쁜 상황이다.
     2. 횡요 주기를 측정하면 GM을 추정할 수 있다.
     3. 경사시험으로 GM을 계산할 수 있다.
     4. GM이 크면 클수록 선박은 안전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9. 화물의 선적과 양하에 따른 흘수의 변화를 계산하고자 할 때 필요가 없는 항목은?
     1. TPC
     2. MTC
     3. LCF
     4. LCB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0. 선적감독 A씨는 선적작업이 진행되는 중 추가로 선적해야 할 화물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작업을 잠시 중단시키고, 흘수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선수흘수 5.00m, 선미흘수 6.00m일 때 TPC가 30톤이었다. 이 선박의 만재흘수가 5.70m라면 몇 톤의 화물을 더 실을 수 있는가?
     1. 520
     2. 570
     3. 600
     4. 66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1. 선박 자체의 중량을 의미하는 톤수는?
     1. 순적화중량톤수
     2. 경하배수톤수
     3. 총톤수
     4. 순톤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2. 비중에 따른 흘수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선박이 바다에서 강으로 진행하면 흘수가 감소한다.
     2. 비중이 변화하면 트림도 변화한다.
     3. 비중에 따라 흘수의 변화가 있더라도 배수량은 차이가 없다.
     4. 하기에 강에서 바다로 출항하는 선박은 하기만재흘수선까지 적재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3. 다음 중 배수량이 가장 작은 만재흘수선은?
     1. 하기만재흘수선(S)
     2. 동기만재흘수선(W)
     3. 동기북대서양만재흘수선(WNA)
     4. 열대만재흘수선(T)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4. 흘수감정에서 선수흘수 5.00m, 선미흘수 5.00m, 중앙흘수 5.02m를 얻었다. 화물량의 계산과 관련한 작업 중 불필요한 것은?
     1. 각 탱크의 사운딩(sounding)
     2. 비중의 측정
     3. 선수ㆍ미 흘수의 수정
     4. 호깅/새깅 수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5. 흘수감정에서 불명중량(unknown constant)을 구성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냉장고 속의 각종 식품
     2. 탱크 바닥에 쌓인 진흙
     3. 선저 외판에 부착된 해조류
     4. 측심이 가능하지만 배출이 어려운 평형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과목 : 검량에 관한 일반적 지식


26. 컨테이너선에서 컨테이너의 적재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의 명칭과 A에 적재된 컨테이너의 적재위치번호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BAY PLAN, 068401
     2. BAY PLAN, 060184
     3. GENERAL ARRANGEMENT, 840106
     4. CARGO STOWAGE PLAN, 018406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7. 컨테이너에 적입하는 화물의 고박방법이 아닌 것은?
     1. Sealing
     2. Chocking
     3. Lashing
     4. Shoring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컨테이너 프레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적인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골격이다.
     2. 컨테이너 내에 적재된 화물이 이동하지 않도록 해준다.
     3. 컨테이너를 선박 등에 적재 시 직접적인 힘을 받는 곳이다.
     4. 외부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강한 재질로 구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컨테이너의 규격 기호는?

    

     1. 22G0
     2. 44B0
     3. 42G0
     4. 24B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0. 항만법상 하역시설이 아닌 것은?
     1. 이동식 하역장비
     2. 배관시설
     3. 보관창고
     4. 화물이송시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1. ISO 표준규격 컨테이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2. 컨테이너를 재질에 따라 분류한 것은?
     1. Reefer Container
     2. Platform Container
     3. Tank Container
     4.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Container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3. 화물 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4. 컨테이너를 다단적으로 적재할 때 사용하는 것은?
     1. Transfer Crane
     2. Trailer
     3. Chassis
     4. Yard Tractor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5. CCC 협약의 컨테이너 세관승인표찰에서 확인할 수 없는 사항은?
     1. 승인번호
     2. 제조업자 식별번호
     3. 컨테이너 형태
     4. 컨테이너 최대 총중량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6. Piggy Back System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COFC 방식이다.
     2. 컨테이너를 트레일러에 탑재한 채로 철도차량에 적재하여 수송한다.
     3. 프랑스 국유철도에서 개발한 방식이다.
     4. FOFO system을 이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7. 선화증권(Bill of Lad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선화증권과 보험증권을 결합시킨 선화증권을 Stale B/L이라고 한다.
     2. 운송물의 영수증이며, 동시에 선적화물의 수량과 외관에 대한 확인서이다.
     3. 하나의 운송을 위해 복수의 운송인이 관여하는 통운송에서 발행하는 선화증권을 Through B/L이라고 한다.
     4. 선화증권의 소지인이 선화증권에 기재된 화물의 인도를 주장할 수 있는 권리증권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8. 해수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수의 밀도는 수온과 염분 및 수압에 의해 결정된다.
     2. 해수의 온도는 표층에서 수온이 높고, 심층으로 갈수록 수온이 낮다.
     3. 해수의 염분은 증발량과 강수량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4. 해수 중의 용존 기체의 양은 표층에서 최대이고, 수심이 증가할수록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9. 항만운송사업법령상 검량사업의 등록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자본금 3천만원 이상, 검량사 3명 이상
     2. 자본금 3천만원 이상, 검량사 5명 이상
     3. 자본금 5천만원 이상, 검량사 5명 이상
     4. 자본금 5천만원 이상, 검량사 6명 이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0. 선박직원법상 항해장비 및 갑판기기를 포함한 선박의 전기ㆍ전자 및 자동제어 설비ㆍ시스템의 유지ㆍ점검ㆍ보수관리ㆍ수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은?
     1. 기관사
     2. 운항장
     3. 기관장
     4. 전자기관사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1.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것은?

    

     1. 온난전선
     2. 정체전선
     3. 폐색전선
     4. 한랭전선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2. 해수면 위에서 양력이 급증하는 표면효과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선박은?
     1. 수중 익선
     2. 수면 비행선박
     3. 분사 추진기선
     4. 익차 추진기선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3. ICD(Inland Container Depot)에서 수행하는 기능이 아닌 것은?
     1. 통관
     2. 포장
     3. 화물 주선
     4. 컨테이너 제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4. 컨테이너의 하역 장비가 아닌 것은?
     1. Consolidator
     2. Reach Stacker
     3. Straddle Carrier
     4. Transfer Crane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5. 컨테이너 크레인에 장착된 스프레더(Spreader)의 동작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Tie Down
     2. Flipper Down
     3. Twist Unlock
     4. Telescopic Extension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6. 다음 표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싱글 데릭 붐의 제한하중 8톤, 유니온 퍼쳐스식으로 제한하중이 15톤이다.
     2. 싱글 데릭 붐의 제한하중 8톤, 유니온 퍼브릭식으로 제한하중이 15톤이다.
     3. 싱글 데릭 붐의 제한하중 15톤, 유니온 퍼쳐스식으로 제한하중이 8톤이다.
     4. 싱글 데릭 붐의 제한하중 15톤, 유니온 퍼브릭식으로 제한하중이 8톤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7. 액체화물의 검량에서 Ullag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화물창 바닥에서 유면까지의 거리
     2. 화물창 최상단에서 유면까지의 거리
     3. 화물창 바닥에서 측정지점(Gauging Point)까지의 거리
     4. 화물창의 측정지점(Gauging Point)에서 유면까지의 거리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8. 컨테이너 하역용 갠트리 크레인을 안벽전장에 걸쳐 활용할 수 있도록 크레인 레일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는?
     1. Apron
     2. Berth
     3. Marshalling Yard
     4. Container Freight Station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9. 화물 고유의 성질 또는 포장 상태로 인하여 다른 화물에 오손 또는 손상을 주는 화물은?
     1. Bale Cargo
     2. Rough Cargo
     3. Clean Cargo
     4. Fine Cargo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0. 다음 IMDG Code의 표찰에 해당하는 것은?

    

     1. 가연성물질
     2. 산화성물질
     3. 부식성물질
     4. 유해성물질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1. 화물의 적부 및 고박 상황에 해당하는 표현이 아닌 것은?
     1. Check if stowage is careful and safe.
     2. Open all hatches for discharging.
     3. Do not over-stow cartons with other goods.
     4. Check if fixing of the rope clips is correct.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Select the most suitable one to fill the blank.

    

     1. away
     2. abeam
     3. adrift
     4. across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3. Select the most suitable one to fill the blank.

    

     1. called in
     2. departed for
     3. made out
     4. put off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4. 선창 설비의 상태에 관한 표현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The hold ladder is bent.
     2. The anchor chains are twisted.
     3. The hold ventilators are operational.
     4. The rubber seals of the hatch covers are damaged.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5. 화물손상에 관한 표현으로 적합한 것은?
     1. The drums are deformed.
     2. The iron is fragile.
     3. The cartons are re-nailed.
     4. The metal of pipe is eaten by worms.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6. 유류오염손해에 대한 민사책임에 관한 국제협약(CLC, 1969, 1992)의 내용 일부이다. ( )에 공통으로 들어갈 단어로 옳은 것은?

    

     1. Shipper
     2. Owner
     3. Consignee
     4. Captain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7. 다음 문장의 해석으로 옳은 것은?

    

     1. 특수화물 검량이란 화물이 선창이나 컨테이너에서 차지하는 용적 즉, 각 변의 최대부분을 계측하거나 화물의 총중량을 산출하는 것이다.
     2. 일반화물 검량이란 화물이 탱크나 컨테이너에서 차지하는 용적 즉, 각 변의 최대부분을 계측하거나 화물의 총중량을 산출하는 것이다.
     3. 일반화물 검량이란 화물이 선창이나 컨테이너에서 차지하는 용적 즉, 각 변의 최대부분을 계측하거나 화물의 총중량을 산출하는 것이다.
     4. 일반화물 검량이란 화물이 선창이나 컨테이너에서 차지하는 용적 즉, 각 변의 최대부분을 계측하거나 화물의 순중량을 산출하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8. Incoterms® 2010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Free Carrier” means that the seller delivers the goods to the carrier or another person nominated by the buyer at the seller's premises or another named place.
     2. “Free Alongside Ship” means that the seller delivers when the goods are placed alongside the vessel(e.g., on a quay or a barge) nominated by the buyer at the named port of shipment.
     3. “Free on Board” means that the seller delivers the goods on board the vessel nominated by the buyer at the named port of shipment or procures the goods already so delivered.
     4. “Delivered Duty Paid” means that the seller delivers when the goods, once unloaded from the arriving means of transport, are placed at the disposal of the buyer at a named terminal at the named port or place of destination.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9. IMDG Code(2016)의 위험물 등급과 위험화물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Class 1 - explosives
     2. Class 5 - flammable liquids
     3. Class 6 - organic peroxides
     4. Class 7 - toxic and infectious substances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0. 선적관련 서류에서 적요(Remark)의 해석으로 옳은 것은?
     1. 1 c/s Broken, 12 Bottles Empty.
1상자 분실, 12병 비었음.
     2. 10 Bgs Slightly Stained by Sweat.
10포대 빗물에 의해 약간 오염됨.
     3. Unsecurely Packed.
화물포장이 적절함.
     4. 15 Bgs Short Shipped.
15포대 부족하게 적재됨.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1. 해난사고 보고에 관한 내용의 해석으로 옳은 것은?
     1. Liquid is spilling.
액체가 새고 있음.
     2. Inform the pollution control.
도선사 호출 바람.
     3. Explosion in No. 10 hold.
10번 선창에서 화재가 발생함.
     4. No person injured.
모든 부상자를 치료함.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2. 선적관련 서류에서 적요(Remark)의 해석으로 옳은 것은?
     1. No Time, 150 c/s Shut out.
시간이 없어 150상자만 선적함.
     2. Cargo Mark Indistinct.
화인이 명료함.
     3. 3 c/s over in Dispute.
3상자 과잉 적재되어 논쟁 중임.
     4. On Deck at Shipper's Risk.
수화인의 위험부담으로 갑판 적재함.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3. 중량톤(Weight Ton)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1. A: 1000, B: 1240
     2. A: 1000, B: 2240
     3. A: 2000, B: 1240
     4. A: 2000, B: 224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4. 특수화물 중 포대물(Bagged Cargo) 검량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1. A: 12 B: 4 C: 3
     2. A: 12 B: 6 C: 2
     3. A: 16 B: 4 C: 4
     4. A: 16 B: 8 C: 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5. 특수화물 중 무포장 상태의 낱개 파이프(Unpacked Piece Pipe) 검량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1. 457
     2. 557
     3. 657
     4. 757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6. A vessel has completed loading cargo in a port. What is the document signed by the chief officer stating that goods are delivered and received by the ship?
     1. Shipping request
     2. Delivery order
     3. Shipping order
     4. Mate's receipt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7. 선하증권(Bill of Lad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Order B/L is the B/L in which the goods are consigned to the order of a named party.
     2. Clean B/L is the B/L bearing no clause or notation expressly declaring a defective condition of the goods or their packaging.
     3. Shipped B/L is the B/L issued before the goods have been loaded on board the ship and it must state that the goods are ready to on board a named ship and state the expected date of shipment.
     4. Straight B/L is the B/L which stipulates that the goods are to be delivered only to the named consignee.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8. 선적절차 중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A: shipping order, B: delivery order
     2. A: shipping request, B: shipping order
     3. A: shipping request, B: delivery order
     4. A: delivery order, B: shipping order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9. 특수화물 검량에서 다음 문장이 의미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0. 특수화물 중 삽, 포크, 가래, 곡괭이 등(shovel, fork, hand-spade and pickaxe etc.)의 검량에 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1. 일반화물 검량에서 중량 계량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단어로 옳은 것은?

    

     1. sea waybill
     2. manifest
     3. certificate
     4. insurance policy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2. 용선계약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Trip charter: charter arranged for a fixed amount of space on one ship for a single voyage
     2. Time charter: charter arranged for a fixed period
     3. Space charter: charter arranged for a voyage specifying delivery and re-delivery ports of areas
     4. Bareboat charter: charter arranged to carry a cargo on a single voyage between two specified ports or areas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3. 일반화물 검량에서 검량단위(Measuring unit)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A: metric, B: imperial
     2. A: imperial, B: fathom
     3. A: metric, B: fathom
     4. A: fathom, B: imperial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4. Select the most suitable one to fill the blank.

    

     1. FCL(Full Container Load)
     2. Consolidation
     3. Transhipment
     4. Partial shipment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5. 수출국의 선적지에서 발행하는 서류가 아닌 것은?
     1. Commercial invoice
     2. Boat note
     3. Packing list
     4. Bill of lading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검량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6월02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9 전자상거래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10월20일(16393)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48 전자상거래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5월27일(16394) 좋은아빠되기 2025.10.08 3
147 전자상거래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0월21일(16395)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46 전자상거래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5월26일(16396) 좋은아빠되기 2025.10.08 2
145 감정평가사 1차 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16397)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4 감정평가사 1차 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1639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43 검량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27일(16399)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42 검량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1640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41 전산회계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119회(1640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40 전산회계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119회(16402)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39 전산세무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119회(16403)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38 전산세무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119회(16404)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37 검량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11일(16405)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 검량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6월02일(16406)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35 검량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13일(16407)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34 청소년상담사 3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10월05일(1640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33 청소년상담사 3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10월05일(16409)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32 손해평가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5월10일(1641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31 검량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1641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3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5월24일(16412)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Board Pagination Prev 1 ... 772 773 774 775 776 777 778 779 780 781 ... 784 Next
/ 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