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5월24일(1641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가) 시대의 생활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점]

   

     1. 목책과 환호 등 방어 시설을 갖추었다.
     2. 소를 이용한 깊이갈이가 일반화되었다.
     3. 농경과 목축을 통해 식량을 생산하였다.
     4. 지배층의 무덤으로 고인돌을 축조하였다.
     5. 거푸집을 이용하여 세형 동검을 제작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빗살무기 토기, 갈돌과 갈판을 보고 신석기임을 알 수 있음!! 청동기는 민무늬 토기!

1. 목책과 환호 등 방어 시설을 갖추었다
 → 청동기 시대의 마을 유적에서 보이는 특징. 외부 침입을 막기 위한 방어시설을 갖춘 촌락이 많았음.
2. 소를 이용한 깊이갈이가 일반화되었다
 → 우경이 보급되고 난 뒤임 근데.. 일반화된거는 고려시대.
4. 지배층의 무덤으로 고인돌을 축조하였다
 →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이 고인돌. 특히 지배층의 권위와 권력을 보여주는 상징물이었음.
5. 거푸집을 이용하여 세형 동검을 제작하였다
 → 청동기 시대 후기, 우리나라식 청동기 문화의 대표인 세형 동검은 주조(거푸집)로 만들어짐.
[해설작성자 : 원필아 결혼하자]

2. 밑줄 그은 '이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여러 가(加)들이 사출도를 다스렸다.
     2. 동맹이라는 제천 행사를 개최하였다.
     3. 민며느리제는 혼인 풍습이 있었다.
     4. 읍락 간의 경계를 중시하는 책화가 있었다.
     5. 왕 아래 상, 대부, 장군 등의 관직을 두었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개천절 + 단군 > 고조선

1. 사출도 > 부여
2. 동맹 > 고구려
3. 민며느리제 > 옥저
4. 책화 > 동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가) 국가에서 볼 수 있는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1. 녹과전을 지급받는 관리
     2. 경당에서 수련하는 청년
     3. 팔만대장경판을 만드는 장인
     4. 지방의 22담로에 파견되는 왕족
     5. 황룡사 구층 목탑의 축조를 건의하는 승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장군총: 고구려(계단식 돌무지무덤)

1. 녹과전: 고려 원종(몽골 지배당시)
2. 경당: 고구려 장수왕
3. 팔만대장경: 몽골2차 침입(용인 처인성 전투)
4. 22담로: 백제 무령왕
[해설작성자 : 기미상궁]

5. 황룡사 9층: 신라 선덕여왕-자장 건의
[해설작성자 : 제75회응시생]

4.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1. 백제가 국호를 남부여로 고쳤다.
     2. 진흥왕이 대가야를 공격하여 복속시켰다.
     3. 계백이 이끈 결사대가 황산벌에서 패배하였다.
     4. 김춘추가 당으로 건너가 군사 동맹을 체결하였다.
     5. 신라가 한강 하류를 차지하여 신주를 설치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가) 성종 > 진흥왕대
나) 의자왕 > 선덕여왕대

따라서 진흥왕 ~ 선덕여왕대 사실을 찾으면 정답. 가) 지문에 가야가 제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가) 관산성 전투(백:성왕, 전투로 사망    신:진흥왕)
나) 대야성 전투(백:의자왕 신:선덕여왕, 전투로 김춘추 사위 김품석 사망)

따라서 진흥왕(성왕 사망 후) ~ 선덕여왕대 사실을 찾으면 정답

1. 성왕 백제 부흥 운동
4. 대야성 전투 이후 김춘추가 나당 연합 결성
3. 나당 연합 vs 백제
5. 이로 인해 신라 - 백제 한강 유역을 두고 긴장감 고조, 관산성 전투 반발
[해설작성자 : 치코]

5.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일길찬, 사찬 등의 관등이 있었다.
     2. 지방 장관으로 욕살, 처려근지 등이 있었다.
     3. 특산물로 단궁, 과하마, 반어피가 유명하였다.
     4.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범금 8조를 두었다.
     5. 왕족인 부여씨와 8성 귀족이 지배층을 이루었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 신라
2. 고구려
3. 동예
4. 고조선
5. 백제

부여 능산리, 공주 송산리 고분은 백제의 무덤이다.
송산리 고분은 벽돌무덤으자 벽화무덤으로 사신도가 그려져 있다.
[해설작성자 : 일라이]

6. 밑줄 그은 '이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이사부를 보내 우산국을 복속하였다.
     2. 건원이라는 독자적 연호를 사용하였다.
     3. 관료전을 지급하고 녹읍을 폐지하였다.
     4. 거칠부에게 명하여 국사를 편찬하였다.
     5. 지방관을 감찰하고자 외사정을 파견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아들이 신문왕이라고 했으니 아빠인 문무왕이 한 업적을 떠올리면 됩니다.
상수리제도, 외사정(지방감찰), 문무대왕암(동해 용)
[해설작성자 : 방사선사 박수훈]

1. 이사부 우산국 복속: 지증왕 13년(512)
2. 건원 : 법흥왕
3. 관료전 지급, 녹읍 폐지: 신문왕 9년(689)
4. 거칠부 국사편찬: 진흥왕 6년(545)
[해설작성자 : ..]

7.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왜에 칠지도를 만들어 보냈다.
     2. 9서당 10정의 군사 조직을 운영하였다.
     3. 광평성을 비롯한 각종 정치 기구를 마련하였다.
     4. 제사장인 천군과 신성 지역인 소도가 존재하였다.
     5. 서적 관리, 주요 문서 작성을 위해 문적원을 두었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지문: 발해
1. 백제
2. 신라
3. 후고구려(궁예)
4. 삼한
5. 발해
[해설작성자 : 치코]

8. (가) 종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1. 하늘에 제사 지내는 초제를 거행하였다.
     2. 참선과 수행을 통한 깨달음을 강조하였다.
     3. 시경, 서경, 역경 등을 주요 경전으로 삼았다.
     4. 신선 사상을 기반으로 불로장생을 추구하였다.
     5. 인내천 사상을 내세워 인간 평등을 주장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가지산문 + 승탑 + 9세기 > 불교 선종
선종 > 참선과 수행 강조

1. 도교
2. 정답
3. 유교
4. 도교
5. 동학(천도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점]

   

     1. 화왕계를 지어 국왕에게 바치다
     2. 산둥반도에 적산 법화원을 창건하다
     3. 외교 문서인 청방인문표를 작성하다
     4. 격황소서를 지어 세상에 이름을 펼치다
     5. 구법순례기인 왕오천축국전을 저술하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설총
2. 장보고
3. 강수
4. 최치원
5. 혜초
[해설작성자 : 치코]

10. 다음 가상 대화 이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안승이 보덕국왕으로 임명되었다.
     2. 신숭겸이 공산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3. 원종과 애노가 사벌주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4. 왕건이 일리천에서 신검의 군대를 물리쳤다.
     5. 견훤이 고창 전투에서 고려군에게 패배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타임라인: 고구려 부흥운동[통일기] > 원종과 애노의 난[신라하대] > 공산 전투 > 고창 전투 > 견훤/신라 귀순 > 일리천 전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밑줄 그은 '이 왕'이 추진한 정책으로 옳은 것은? [1점]

    

     1. 폐정 개혁을 목표로 정치도감을 설치하였다.
     2. 광덕, 준풍이라는 독자적 연호를 사용하였다.
     3. 예의상정소에서 상정고금예문을 편찬하였다.
     4. 전국에 12목을 설치하고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5. 관리에게 등급에 따라 전지와 시지를 지급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지문: 광종

1. 최충헌
2. 광종
3. 인종
4. 성종
5. 경종
[해설작성자 : 치코]

1. 정치도감 : 고려 충목왕 때 설치한 개혁 기관
[해설작성자 : 제75회응시생]

12.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묘청이 칭제 건원을 주장하였다.
     2. 강감찬이 흥화진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3. 서희의 활약으로 강동 6주를 획득하였다.
     4. 최우가 강화도로 도읍을 옮겨 항전하였다.
     5. 윤관이 별무반을 이끌고 동북 9성을 개척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나. 현종(거란 2차, 나주 피난)

1. 인종
2. 현종(거란 3차)
3. 성종(거란 1차)
4. 고종(무신집권기)
[해설작성자 : 치코]

가. 만부교 사건(942년, 고려 태조)

5. 동북 9성 개척은 고려 예종 때
[해설작성자 : 제75회응시생]

13. (가) 국가의 문화유산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1.
     2.
     3.
     4.
     5.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한능검에 나오는 청자는 전부 고려시기 > 2, 3번 소거
나전칠기 중 문양이 세밀한 것 또한 전부 고려시기 > 4번 소거
고려탑을 흉내낸 일부 예외(원각사지 10층 석탑 등)을 제외하고 6층 이상의 다층 석탑은 전부 고려시기임 > 5번 소거
구체적으로 정답을 찾을 때, 동물 모양이나 사람 모양을 흉내낸 소형 토기는 대부분 중세 이전임 > 1번 정답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번: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국보)-신라시대의 토기
2번: 청자 투각 칠보문 뚜껑포류수금(국보 제95호)
3번: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국보)
5번: 월정사 팔각 구층 석탑(국보 제48호)
[해설작성자 : 유담]

14. (가)~(다)를 일어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3점]

    

     1. (가)-(나)-(다)
     2. (가)-(다)-(나)
     3. (나)-(가)-(다)
     4. (나)-(다)-(가)
     5. (다)-(가)-(나)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타임라인: 무신정변[이의방, 정중부] > 최씨정권[최충헌, 최우] > 몽골의 침입 > 개경환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다음 자료에 나타난 시기의 사회 모습으로 적절한 것은? [2점]

    

     1. 서얼이 통청 운동을 전개하였다.
     2. 사창절목에 따라 사창제가 시행되었다.
     3. 왕조 교체를 예언하는 정감록이 유포되었다.
     4. 병자에게 약을 지급하는 혜민국이 설치되었다.
     5. 국산 약재와 치료 방법을 정리한 향약집성방이 간행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7재: 고려 예종(무학재는 그 중 하나. 강예제라고도 한다.)

1. 서얼 통청운동: 조선 영조(통청윤음)
2. 사창제: 흥선대원군
3. 정감록: 조선 후기(임술농민봉기)
4. 혜민국: 고려 예종(+구제도감)
5. 향약집성방: 조선 세종
[해설작성자 : 기미상궁]

16.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법화 신앙에 중점을 둔 백련 결사를 이끌었다.
     2. 돈오점수를 바탕으로 꾸준한 수행을 강조하였다.
     3. 승려들의 전기를 기록한 해동고승전을 저술하였다.
     4. 선문염송집을 편찬하고 유불 일치설을 주장하였다.
     5. 성상융회를 제칭하여 교종 내 대립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송광사, 정혜결사, 수선사: 지눌(고려 최충헌 집권당시)

1. 법화신앙, 백련결사: 요세
2. 돈오점수: 지눌
3. 해동고승전: 각훈
4. *선문염송집, 유불 일치설: 혜심
5. *성상융회: 균여
(*: 흔한 key word가 아님을 의미)
[해설작성자 : 기미상궁]

17. 밑줄 그은 '이 시기'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적절한 것은? [2점]

    

     1. 농상집요를 소개하는 관리
     2. 흑창에서 곡식을 빌리는 농민
     3. 사섬서에서 저화를 발행하는 장인
     4. 선혜청에서 공가(貢價)를 받는 상인
     5. 상평통보로 물건을 거래하는 보부상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1. 고려후기 [조선시기 농서는 농사직설 등, 농서집요도 있으나 한능검에 등장한 적 없음]
2. 고려전기 [태종대]
3. 여말선초 [고려말 등장한 저화, 즉 종이지폐는 세종 때까지 다소 이어지다 실패함]
4. 조선중기~
5. 조선후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ㄱ. 2성은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을 의미.
     좌.우사정은 발해의 정당성을 의미(발해: 3성6부)
ㄴ. 중추원은 추밀(군사기밀)과 승선(왕명출납)으로 구성
ㄷ. 고려의 삼사는 회계와 재정을 담당
     조선의 삼사(사간헌, 사헌부, 홍문관)이 서경권을 행사함
ㄹ. 도병마사는 국방을, 식목도감은 법제정을 논의함
[해설작성자 : 기미상궁]

19. (가)에 해당하는 문화유산으로 옳은 것은? [2점]

    

     1.
     2.
     3.
     4.
     5.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종묘 :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곳.
[해설작성자 : ㅁㄴㅇㄹ]

20. (가) 왕의 재위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간경도감이 설치되었다.
     2. 조선경국전이 편찬되었다.
     3. 국조오례의가 완성되었다.
     4. 부민고소금지법이 제정되었다.
     5.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가 제작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이시애의 난 > 세조

1. 정답
2. 조선 태조, 정도전
3. 조선 성종
4. 조선 세종
5. 조선 태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1. 밑줄 그은 '이 전란' 이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신숙주가 일본에 다녀와 해동제국기를 저술하였다.
     2. 나세 등이 화포를 사용하여 진포에서 왜구를 격퇴하였다.
     3. 포로 송환을 목적으로 회답겸쇄환사가 일본에 파견되었다.
     4. 조선 정부의 교역 제한에 반발하여 사량진 왜변이 일어났다.
     5. 국방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임시 기구로 비변사가 설치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1. 신숙주는 세종~성종 시기 조선 관료
2. 진포대첩은 고려말
3. 정답
4. 조선 중종
5. 삼포왜란, 조선 중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1. 인조반정으로 북인 세력이 몰락하였다.
     2. 기축옥사로 이발 등 동인 세력이 축출되었다.
     3. 양재역 벽서 사건으로 이언적 등이 화를 입었다.
     4. 인현 왕후가 폐위되고 남인이 권력을 차지하였다.
     5. 붕당의 폐해를 경계하기 위해 탕평비가 건립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기해예송이 부왕대 일임을 제시, 숙종
연잉군(영조)와 노론 언급, 경종

따라서 숙종 ~ 경종 시기 사실을 찾으면 정답

1. 광해군~인조
2. 기축옥사 > 선조
3. 양재역 벽서사건, 을사사화의 후속 > 명종
4. 숙종, 정답
5. 영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3.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 서원을 건립하였다.
     2. 명에 대한 의리를 내세원 기축봉사를 올렸다.
     3. 동호문답을 통해 다양한 개혁 방안을 제시하였다.
     4. 예안 향약을 시행하여 향촌의 교화를 위해 노력하였다.
     5. 예학을 조선의 현실에 맞게 정리한 가례집람을 저술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도산서원, 성학십도, 기대승-사단칠정: 이황

1. 백운동서원: 최초 서원, 주세붕이 건의, 안향을 배향
     -> 소수서원: 이황이 건의(명종 때)
2. 기축봉사: 송시열(효종 때)
3. 동호문답: 이이(성학집요)
4. 예안향약: 이황(해주.서원향약: 이이)
5. 가례집람: 김장생(성종 때)
[해설작성자 : 기미상궁]

24. (가) 왕이 추진한 정책으로 옳은 것은? [1점]

    

     1. 나선 정벌에 조총 부대를 파견하였다.
     2. 호포제를 시행하여 양반에게도 군포를 징수하였다.
     3. 문신을 재교육하기 위한 초계문신제를 실시하였다.
     4. 삼정의 문란을 시정하고자 삼정이정청을 설치하였다.
     5. 각 궁방과 중앙 관서의 공노비 6만여 명을 해방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장용영, 수원화성 -> 정조

1. 나선정벌 - 효종
2. 호포제 - 흥선대원군
3. 초계문신제 - 정조
4. 삼정이정청 - 철종
5. 공노비 해방 - 순조

25. (가)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한성 조약이 체결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2. 정부의 요청으로 출병한 청군이 진압하였다.
     3. 사태의 수습을 위해 박규수가 안핵사로 파견되었다.
     4. 이필제가 영해 지역에서 난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5. 전개 과정에서 이승훈, 정약용 등이 연루되어 처벌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조선 순조-신유박해 : 정약용, 정약전 귀양, 황사영 백서사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순조, 천주교 탄압, 황사영백서-> 신유박해

1. 한성조약, 톈진조약 - 갑신정변의 결과
2. 청군의 진압- 임오군란
3. 박규수 안핵사 파견, 삼정이정청 설치 - 임술농민봉기(철종)
5. 이승훈, 정약용 연루 -> 정답(신유박해)
[해설작성자 : 합격가자고~]

26. 밑줄 그은 '이 시기'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점]

    

     1. 판소리 흥보가를 구경하는 농민
     2. 주자소에서 계미자를 만드는 장인
     3. 옥계 시사에서 시를 낭송하는 중인
     4. 세책가에서 춘향전을 빌리는 부녀자
     5. 호랑이를 소재로 민화를 그리는 화가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봉산탈춤은 조선 후기(18세기 무렵)에 성행했습니다.
1. 판소리 흥보가(조선 후기)
3. 옥계 시사에서 시 낭송(조선 후기)
4. 춘향전(조선 후기)
5. 호랑이 민화(조선 후기)

2. 주자소에서 계미자(구리 활자)는 태종때이므로 전혀 다른 시대입니다.
[해설작성자 : 1급따고십다]

27. 밑줄 그은 '이 시기'의 경제 상황으로 옳은 것은? [1점]

    

     1. 백성에게 정전이 지급되었다.
     2. 초량 왜관을 통해 일본과 교역하였다.
     3. 주전도감에서 해동통보가 발행되었다.
     4. 벽란도가 국제 무역항으로 번성하였다.
     5. 시장을 관리하기 위한 동시전이 설치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1. 통일신라때
2. 조선 초기
3. 고려
4. 고려
5. 지증왕
[해설작성자 : ㅇㅇ]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사료에 나타난 난전과 시전상인의 갈등은 조선후기에 일어남. 2번 부산 초량에 왜관을 설치한 시기는 조선 숙종때이므로 같은 조선후기임.
[해설작성자 : 오류고치기]

28. 다음 자료에 대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1. 한일 의정서의 체결 과정을 파악한다.
     2. 미쓰야 협정이 끼친 영향을 조사한다.
     3. 강화도 조약이 체결된 계기를 알아본다.
     4.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의 내용을 분석한다.
     5. 헤이그 특사가 파견되는 원인을 살펴본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제물포를 보고 임오군란을 생각하며 조미 임오는 제물포 상 고
[해설작성자 : 푸우]

ㄷㄷ 이런 지문 내놓은 거 보니까 확실히 이 회차가 어렵긴 함.
1급 세 번은 물론, 공무원 한국사까지 만점 받은 나조차도 처음 봄.
근데 지문 내에 힌트가 다 있어서 침착하게 분석해보면 풀리긴 함.

a) 인천 해관 초대 세무사
-> 단순 개항을 넘어, 이미 인천 해관이 만들어진 상태.
-> 따라서 강화도 조약(1876)으로부터 한참 지난 시점

b) 묄렌도르프
-> 청이 내정간섭 하려고 꽂아넣은 최초의 서양인 고문
-> 청이 이 정도의 내정간섭을 시작한 건 임오군란(1882) 이후

c) 조선 정부의 관세 부과 업무 공식적 시작
-> 조선이 관세를 처음 매겨봄을 암시
-> 조선이 처음으로 관세를 적용한 외국은 미국
-> 따라서 조미수호통상조약(1882) 체결 이후

위의 힌트를 종합해보면 대충 1882년으로부터 멀지 않은 시기임을 유추 가능.
이제 정답 선택지들을 분석해보자.

1. 한일 의정서(1904)
-> 을사늑약(1905)과 세트로 엮이는 사건.
-> 시기상으로 이건 명백히 아닌 거 누구나 알 테고.

2. 미쓰야 협정(1925)
-> 마찬가지로 간도참변과 세트로 엮이는 사건.
-> 이건 아예 국권피탈 이후의 일이니 역시 오답.

3. 강화도 조약(1876)
-> 지문 분석 a에서 이미 강화도 조약으로부터 한참 지난 시점임이 밝혀짐.
-> 근데 해당 조약의 계기? 그보다도 더 과거에 주목한다? 볼 것도 없이 오답.
-> 강화도 조약 '계기(사건 이전)'를 언급한 건 출제자의 최후의 양심 같음.

4. 조미수호통상조약(1882)
-> 지문의 시점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사건이자 정답.
-> 이 조약을 통해 최초로 관세를 매기기 시작(대상은 미국)
-> 이를 위해 해관(세관)을 만들고, 실무 수행이 가능한 영국인 세무사를 데려왔다 해석 가능.

5. 헤이크 특사 사건(1907)
- 고종 퇴위의 계기가 된 사건.
- 이 시기면 을사늑약 이후라 외교권이 없음.
- 당연히 세관 설치? 관세 부과? 불가능함.
[해설작성자 : 간사하게 문제 풀기]

29. (가)~(마)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1. (가) - 북학 사상을 바탕으로 통상 개화론을 주장하다
     2. (나) - 영남 만인소를 주도해 개항과 통상에 반대하다
     3. (다) - 보빙사로 미국에 다녀와 개화 정책을 추진하다
     4. (라) - 서유견문을 집필하여 서양 근대 문명을 소개하다
     5. (마) - 백정 출신으로 관민 공동회에서 연설하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다) 김홍집 : "일본"에 2차 "수신사"(1880년)로 파견됨, 황준헌[조선책략]을 가져옴
(라) 유길준 : "서유견문" 집필, 1882년 "보빙사"로 "미국"에 파견 with. 민영익, 홍영식
[해설작성자 : 합격가자고~]

30. 밑줄 그은 '개혁'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2점]

    

     1. 지계아문을 설치하여 지계를 발급하였다.
     2. 건양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채택하였다.
     3. 박문국을 설치하고 한성순보를 발행하였다.
     4. 근대식 무기 제조 공장인 기기창을 설립하였다.
     5. 개혁의 방향을 제시한 홍범 14조를 반포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고종, 구본신참 -> 이 개혁 = 광무개혁(1897년)

1. 지계아문, 지계발급(0) : 지계아문에서 근대적 토지소유증명서인 "지계"를 발급하여 양전사업을 실시함
2. 건양이라는 연호사용(X)-> 연호-광무, 황제라 칭함(칭제건원), 국호-대한제국 으로 함
                                                 + 연호-건양 -> 을미개혁
3. 박문국에서 한성순보 발행(X) : 한성순보 - 최초의 신문, 광무개혁의 내용이 아님
4. 기기창 (X) : 청에 영선사 파견(1881), 근대식 무기제조법과 훈련법 습득, 광무개혁의 내용이 아님
5. 홍범14조 (X) : 2차 갑오개혁 때 발표함, 광무개혁의 내용이 아님
[해설작성자 : 합격가자고~]

31. (가)에 대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점]

    

     1. 삼국 간섭의 결과를 알아본다.
     2. 척화비가 건립된 계기를 조사한다.
     3. 전주 화약이 체결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4. 영국이 거문도를 점령한 목적을 분석한다.
     5. 외규장각 도서가 약탈된 배경을 찾아본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전봉준, 고부군수 조병갑 -> (가): 동학농민운동

1. 삼국간섭의 결과(X) -> 삼국간섭의 배경, 과정
2. 척화비 건립 (X) -> 병인박해, 제너럴셔먼호사건, 병인양요, 오페르트도굴사건,
                                            신미양요 이후에 흥선대원군이 건립함
3. 전주화약 (0) -> 민씨 세력이 청에 SOS하여 청일이 개입하게 되자 농민들이 물러남
                                    (집강소-폐정개혁안, 정부는 교정청 설치)
4. 영국의 거문도 점령(X) -> 러시아 견제를 핑계삼아 땅 차지하려 함
5. 외규장각 도서 약탈 배경(X) -> "병인양요(1866년)" 때 프랑스군이 약탈
[해설작성자 : 합격가자고~]

32. 다음 가상 대화 이후에 전개된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최익현이 태인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2. 일본이 독도를 불법적으로 편입하였다.
     3. 스티븐스가 외교 고문으로 부임하였다.
     4. 13도 창의군이 서울 진공 작전을 전개하였다.
     5. 유인석이 이끄는 부대가 충주성을 점령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군대 해산 명령: 1907. 한.일신협약(정미7조약)

1. 최익현의 태인 의병: 을사조약
2. 일본의 독도 불법 편입: 러.일전쟁 중(1905.1.28)
3. 스티븐스 외교고문: 1차 한일협약(화폐정리사업)
-> 스티븐스는 나중에 장지환, 전명운에 의해 암살당함
4. 13도 창의군: 한일신협약에 반발 -> 정미의병의 '이인영'이 조직
5. 유인석의 충주성 점령: 을미의병(단발령에 반발)
(유인석: 양반 유생 출신, 이후 연해주 13도 의군 조직)
[해설작성자 : 기미상궁]

33. 밑줄 그은 '이곳'에서 있었던 민족 운동으로 옳은 것은?[2점]

    

     1. 한인 자치 기구인 경학사를 설립하였다.
     2. 권업신문을 발간하여 민족 의식을 고취하였다.
     3. 유학생을 중심으로 2·8 독립 선언을 발표하였다.
     4. 신한 청년당이 파리 강화 회의에 대표를 파견하였다.
     5. 대조선 국민군단을 결성하고 군사 훈련을 실시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1905년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으로 조선 노동자들이 이민을 가기 시작했습니다.
하와이에서 1914년 박용만 지휘하에 대조선 국민군단을 결성하고 군사 훈련을 실시하였습니다.

34. 다음 기사가 보도된 시기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1. 대한매일신보를 읽고 있는 청년
     2. 경성 제국 대학에 입학하는 학생
     3. 원각사에서 은세계 공연을 보는 여성
     4. 통리기무아문에서 개화 정책을 논의하는 관리
     5. 어린이날 기념 행사에 참여하는 천도교 소년회 회원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경부선 개통식 - 1905년

1. 대한매일신보 - 1904년~1910년(이후부터 매일신보로 변)
2. 경성제국 대학 - 1924년
3. 원각사 은세계 - 1908년
4. 통리기무아문 - 1880년~1882년
5. 천도교 소년회 어린이날 - 천도교 조직은 1921년
(천도교 소년회에 의한 어린이날은 1922년부터 생김)
[해설작성자 : 해운대스폰지밥]

35. 다음 상황이 나타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3점]

    

     1. (가)
     2. (나)
     3. (다)
     4. (라)
     5. (마)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전화와 전선 추가 된것이 1898년 아관파천 이후에 발생한 일임
[해설작성자 : ㅇㅇ]

36. (가)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정우회 선언의 영향을 받았다.
     2. 통감부의 탄압과 방해로 중단되었다.
     3. 순종의 인산일을 기회로 삼아 추진되었다.
     4. 전개 과정에서 일제가 제암리 학살 등을 자행하였다.
     5. 성진회와 각 학교 독서회에 의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가)운동 - "보성보통학교", "탑골공원", "만세운동" 등의 키워드를 확인해보았을 때 해당 운동은 1919년 3.1운동이다

1. 정우회선언 - 1926년
2. 통감부 - 1905년~1910년
3. 순종의 인산일 - 1926년의 "6.10 만세운동"<<=만세운동이란 점에서 3.1 운동과 헷갈릴 수 있음.
4. 정답. 3.1 운동 이후 일제가 제암리 학살을 저질렀다.
5. 성진회 - 1926년 전라남도 광주에서 조직됨.

탑골공원이란 키워드를 3.1 운동과 함께 생각하면 풀기 쉬움.
[해설작성자 : 해운대스폰지밥]

탑골공원, 독립만세 -> (가) : 3.1운동

1. 정우회 선언 영향 -> 신간회 결성, 자매단체인 근우회도 만들어짐
2. 통감부 탄압, 방해 -> 국채보상운동-대한매일신보
3. 순종 인산일 계기 -> 6.10 만세운동
4. 제암리 학살 사건 -> 3.1운동 이후 일제가 학살을 함
[해설작성자 : 합격가자고~]

37.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

    

     1. 고종 강제 퇴위 반대 운동을 전개하였다.
     2. 일제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를 저지하였다.
     3. 영은문이 있던 자리 부근에 독립문을 건립하였다.
     4. 독립운동 자금 마련을 위해 독립 공채를 발행하였다.
     5. 조선 총독부에 국권 반환 요구서를 제출하려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백산상회, 연통제, 독립운동자금 조달.. -> (가) 대한민국임시정부(충칭)

1. 고종 강제퇴위 반대운동 -> 대한자강회
2. 황무지 개간권 저지 -> 보안회
3. 독립문 건립 -> 독립협회
4. 독립공채 발행 -> 대한민국임시정부 --> 정답
5. 국권반환요구서 제출시도 -> 독립의군부
[해설작성자 : 합격가자고~]

38. 밑줄 그은 '이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원산 노동자 총파업을 지원하였다.
     2. 신흥 강습소를 세워 독립군을 양성하였다.
     3. 김익상, 김상옥 등이 단원으로 활동하였다.
     4. 상덕태상회를 통하여 군자금을 모집하였다.
     5. 도쿄에서 일어난 이봉창 의거를 계획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박재혁, 김원봉 .. ->    의열단

1. 원산 노동자 총파업 지원 -> 신간회
2. 신흥 강습소 -> 신민회(서간도, 삼원보)
3. 김익상, 김상옥 -> 의열단(김원봉)-신채호 '조선혁명선언' 지침으로 함
5. 이봉창 의거 계획 -> 한인애국단(김구)
[해설작성자 : 합격가자고~]

4. 박상진 설립
- 1912년    대구에 상덕태상회(尙德泰商會)를 설립해 독립운동의 연락 본부로 삼았다. 1915년 1월 안일암에서 조선국권회복단(朝鮮國權恢復團)을 결성하였다. 그리고 그 해 7월 풍기광복단(豊基光復團)의 인사와 합작해 대한광복회를 조직하고 총사령으로 취임하였다.

39.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조선불교유신론을 주장하였다.
     2. 식민 사학의 정체성론을 반박하였다.
     3. 조선사 편수회에 들어가 조선사 편찬에 참여하였다.
     4. 진단 학회를 설립하여 실증주의 사학을 발전시켰다.
     5. 민족을 역사 서술의 중심에 둔 독사신론을 집필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조선사회경제사 저술-백남운
식민 사학의 정체성론을 반박한것도 백남운
[해설작성자 : ㅇㅇ]

1. 한용운-불교유신론(개화기)
2. 백남운-유물사관(사회경제사학)(1930년대 이후)
3. 조선사편수회 - 1920년대 친일단체(식민사관:정체성론 등)
4. 이병도-진단학회(실증주의사학)
5. 신채호-독사신론(개화기, 민족주의 사학 방향 제시), 그 외 조선혁명선언,조선상고사,조선사연구초 등 저술
[해설작성자 : 현빵]

40.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점]

    

     1. 잡지 신여성, 여권 신장을 주장하다
     2. 조선 형평사, 사회적 차별 철폐를 외치다
     3. 소설 상록수, 브나로드 운동을 널리 알리다
     4. 경성 방직 주식회사, 광목 태극성을 광고하다
     5. 새마을 운동, 근면·자조·협동을 기치로 내세우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5. 새마을운동은 박정희정부때
[해설작성자 : ㅇㅇ]

41. (가)~(마)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1. (가) - 일본군의 보복으로 간도 참변이 일어나다
     2. (나) - 관동 대지진 당시 자경단에게 학살당하다
     3. (다) - 에네켄 농장에서 고된 노동에 시달리다
     4. (라) - 소련 당국에 의해 강제로 이주되어 오다
     5. (마) - 교민들을 중심으로 흥사단이 창립되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5, (마) 교민들을 중심으로 흥사단이 창립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다) - 에네켄 농장은 멕시코(미주)입니다.
(마) - 흥사단은 안창호가 재미 한인 중심으로 샌프란시스코에서 조직한 단체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가) 부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봉오동 전투에서 일본군을 크게 격파하였다.
     2. 미국과 연계하여 국내 진공 작전을 계획하였다.
     3. 중국 의용군과 연합하여 영릉가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4. 조선 민족 전선 연맹 산하가 군사 조직으로 결정되었다.
     5. 한국 독립당의 군사 조직으로 북만주 지역에서 활약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빈칸은 한국독립군
1. 봉오동 전투 - 대한독립군(홍범도)
2. 국내 진공작전- 한국광복군(지청천)
3. 영릉가 전투 - 조선혁명군(양세봉)
4. 조선의용대
[해설작성자 : ㅇㅇ]

43. 밑줄 그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1점]

    

     1. 조선 태형령이 반포되었다.
     2. 조선 노농 총동맹이 결성되었다.
     3. 임시 토지 조사국이 설립되었다.
     4. 황국 신민 서사 암송이 강요되었다.
     5. 조선 민립 대학 기성회가 창립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국가 총동원법=1938 => 1930이후 민족말살통치 시기
1.태형령,헌병경찰 = 1910이후 무단통치 시기
2.조선 노동 총동맹 = 1920이후 문화통치 시기1924 노동쟁의 + 원산총파업(1929)
3.임시 토지 조사국 = 1910년대 조선총독부 직속기관. 토지조사사업
4.황국 신민 서사 암송 강요 = 1930이후 정답. + 창씨개명, 궁성요배, 사상범 예방구금령,조선어 금지 등
5. 조선 민립 대학 기성회 = 1920이후 문화통치시기. 1922년 이상재 => 민립대학 설립운동을 주도.

[해설작성자 : 유승이다]

44. (가)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1. 대통령이 하야하는 결과를 이끌어냈다.
     2. 호헌 철폐와 독재 타도 등의 구호를 내세웠다.
     3. 통일 주체 국민 회의가 구성되는 배경이 되었다.
     4. 6·3 시위의 전개와 비상계엄이 선포되는 계기가 되었다.
     5. 진상 규명 및 희생자 명예 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남한 단독선거 반대, 제주도민 희생 -> 제주4.3사건

1. 대통령 하야 -> 4.19혁명 (이승만 정권)
2. 호헌철폐, 독재타도 -> 6월 민주항쟁 (전두환 정권)
3. 통일주체국민회의 -> 닉슨독트린, 경제불황 (박정희 정권)
4. 6.3시위와 비상계엄 계기 -> 김종필,오히라 회담(박정희 정권)
5. 진상 규명 및 희생자 명예 회복에 관한 특별법 제정 -> 제주4.3사건(김대중 정권)
[해설작성자 : 합격가자고~]

45. 밑줄 그은 '이 전쟁' 중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발췌 개헌안이 통과되었다.
     2. 삼청 교육대가 설치되었다.
     3. 한미 상호 방위 조약이 체결되었다.
     4. 여수·순천 10·19 사건이 일어났다.
     5. 국가 보위 비상 대책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이 전쟁 -> 6.25 전쟁
6.25 전쟁은 1950~1953년에 일어남

1. 1952년 발췌 개헌안 통과
2. 1980년 전두환 정권
3. 1953년 10월 6.25 전쟁 끝난 후
4. 1948년 6.25 전쟁 전
5. 1980년 전두환 정권
[해설작성자 : 김린아]

46. (가)에 들어갈 민주화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시위 도중 대학생 이한열이 희생되었다.
     2. 시민군이 조직되어 계엄군에 저항하였다.
     3. 허정 과도 정부가 출범하는 계기가 되었다.
     4. 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이끌어냈다.
     5. 야당 총재의 국회의원직 제명으로 촉발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시위 도중 대학생 이한열이 희생되었다(전두환 6월 민주 항쟁)
[해설작성자 : ㅎㅇ]

1. 6월민주항쟁(87) =>전두환
- 4.19는 김주열
2. 5.18민주화운동(80) =>전두환
3. 정답(4.19혁명 이후 이승만 하야) =>이승만
4. 6월민주항쟁 이후 9차개헌 =>전두환
5. 야당총재(김영삼)->부마항쟁->1026사태 =>박정희

47.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1. 국회 별관에서 3선 개헌안이 통과되었습니다.
     2. 정부에 비판적인 경향신문이 폐간되었습니다.
     3. YH 무역 노동자들이 야당 당사에서 농성하였습니다.
     4. 최고 통치 기구인 국가 재건 최고 회의가 구성되었습니다.
     5. 평화 통일론을 주장한 진보당의 조봉암이 처형되었습니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3·1 민주 구국 선언 (1976년)
1. 3선 개헌안 (1969년)
2. 경향신문 폐간 사건 (1959년)
3. YH 무역여공사건 (1979년)
4. 국가재건최고회의 (1961년)
5. 진보당 사건 (1959년)
[해설작성자 : 사서고생]

48. 다음 기사가 보도된 정부 시기의 경제 상황으로 적절한 것은? [2점]

    

     1. 경제기획원이 발족하였다.
     2. 제4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추진되었다.
     3. 미국과 자유 무역 협정(FTA)을 체결하였다.
     4. 저유가·저금리·저달러의 3저 호황이 있었다.
     5. 대통령 직속 자문기구로 노사정 위원회가 출범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IMF 구제 금융 조기 상환: 2001년 8월 23일(김대중)

1. 1961년 (박정희)
2. 1977년~1981년 (박정희)
3. 2007년 (이명박)
4. 1980년대 중후반 (전두환)
5. 1998년 (김대중)
[해설작성자 : 닭둘기]

3. 한미 FTA 최종 타결: 2007년 4월 2일(노무현)
[해설작성자 : 닭둘기]

한-미 FTA 체결은 (노무현) 한-미 FTA 발효는 (이명박)
[해설작성자 : 합격 가즈아]

49. 다음 연설문을 발표한 정부 시기의 통일 노력으로 옳은 것은? [2점]

    

     1. 판문점에서 남북 정상 회담을 개최하였다.
     2. 남북한이 국제 연합(UN)에 동시 가입하였다.
     3. 남북 이산가족의 고향 방문을 최초로 성사시켰다.
     4. 평화 통일 외교 정책에 관한 6·23 특별 성명을 발표하였다.
     5. 남북 간 경제 교류 활성화를 위한 개성 공단 착공식을 열었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참여정부, 6.15 정신을 계승 -> 노무현 정부

1. 2018년(문재인)
2. 1991년(노태우)
3. 1985년(전두환)
4. 1973년(박정희)
5. 2003년(노무현)
[해설작성자 : 닭둘기]

50.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1. ㉠ - 원성왕 재위 시기에 시행되었다.
     2. ㉡ - 쌍기의 건의를 수용하여 실시하였다.
     3. ㉢ - 식년시, 알성시, 증광시 등으로 운영되었다.
     4. ㉣ - 중종 때 조광조를 비롯한 사림들의 실시를 주장하였다.
     5. ㉤ - 대한 제국 수립 이후 개혁의 일환으로 처음 단행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1. 원성이 자자한 독사과(788)
2. 쌍기의 과거제(광종)
3.
4. 조광조의 소방소도 위헌경향(헌=현량과)
5. 군국기무처의 주도로 = 제1차 갑오개혁 / 대한 제국 수립 이후 = 광무개혁
[해설작성자 : 카키]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5월24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1급, 2급,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9 전자상거래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10월20일(16393)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48 전자상거래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5월27일(16394) 좋은아빠되기 2025.10.08 3
147 전자상거래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0월21일(16395)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46 전자상거래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5월26일(16396) 좋은아빠되기 2025.10.08 2
145 감정평가사 1차 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16397)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44 감정평가사 1차 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1639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43 검량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27일(16399)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42 검량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1640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41 전산회계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119회(1640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40 전산회계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119회(16402)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39 전산세무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119회(16403)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38 전산세무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119회(16404)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37 검량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11일(16405)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36 검량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6월02일(16406)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35 검량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13일(16407)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34 청소년상담사 3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10월05일(1640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33 청소년상담사 3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10월05일(16409)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32 손해평가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5월10일(1641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31 검량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1641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5월24일(16412)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Board Pagination Prev 1 ... 772 773 774 775 776 777 778 779 780 781 ... 784 Next
/ 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