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공인노무사 1차(노동법1)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5월24일(16413)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공인노무사 1차(노동법1)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근로기준법령상 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시간근로자의 1일 소정근로시간 수는 4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을 그 기간의 단시간 근로자의 총 소정근로일 수로 나눈 시간 수로 한다.
     2. 단시간근로자에게만 적용되는 취업규칙을 불이익하게 변경하는 경우에는 적용대상이 되는 단시간근로자 과반수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3. 단시간근로자의 연차 유급휴가에 대하여 지급해야 하는 임금은 시간급을 기준으로 한다.
     4. 사용자는 단시간근로자와 합의한 경우에만 초과근로를 시킬 수 있다.
     5. 여성인 단시간근로자의 출산전후휴가에 대하여 지급해야 하는 임금은 일급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 근로기준법령상 구제명령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노동위원회는 천재ㆍ사변,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가 발생하여 납부기한 내에 이행강제금을 납부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그 사유가 없어진 날부터 30일 이내의 기간을 납부기한으로 할 수 있다.
     2. 노동위원회의 기각결정은 중앙노동위원회에 대한 재심 신청에 의하여 그 효력이 정지된다.
     3.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후 이행기한까지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용자에게 3천만원 이하의 이행강제금을 부과한다.
     4. 노동위원회는 법원의 확정판결에 따라 노동위원회의 구제명령이 취소되면 이행강제금의 부과ㆍ징수를 즉시 중지하고 이미 징수한 이행강제금은 반환하지 않는다.
     5. 노동위원회는 구제명령을 받은 자가 구제명령을 이행하면 새로운 이행강제금을 부과하지 아니하고, 구제명령을 이행하기 전에 이미 부과된 이행강제금은 징수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근로기준법령상 근로계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증명서를 청구할 수 있는 자는 계속하여 30일 이상 근무한 근로자로 하되, 청구할 수 있는 기한은 퇴직 후 3년 이내로 한다.
     2. 사용자는 사용기간이 30일 미만인 일용근로자에 대하여는 근로자 명부를 작성하지 아니할 수 있다.
     3. 사용자는 고용ㆍ해고에 관한 서류를 3년간 보존하여야 한다.
     4. 근로계약서의 보존기간은 근로관계가 끝난 날의 다음 날부터 기산한다.
     5.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근로조건이 사실과 다를 경우에 근로자는 근로조건 위반을 이유로 손해의 배상을 청구할 수 있으며 즉시 근로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 근로기준법령상 취직인허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취직인허증의 신청은 학교장(의무교육 대상자와 재학 중인 자로 한정한다) 및 친권자 또는 후견인의 서명을 받아 사용자가 될 자와 연명(連名)으로 하여야 한다.
     2. 예술공연 참가를 위한 경우에는 13세 미만인 자도 취직인허증을 받을 수 있다.
     3. 고용노동부장관은 임산부 등의 사용 금지 직종에 대하여는 취직인허증을 발급할 수 없다.
     4. 사용자가 취직인허증을 잃어버린 경우에는 15세 미만인 자의 동의를 얻어 재교부 신청을 하여야 한다.
     5. 15세 미만인 자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취직인허증을 갖추어 둔 경우에는 가족관계기록사항에 관한 증명서와 친권자나 후견인의 동의서를 갖추어 둔 것으로 본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근로기준법령상 임산부의 보호에 관한 다음 규정 중 ( )에 들어갈 내용을 옳게 나열한 것은?

   

     1. ㄱ: 100, ㄴ: 28, ㄷ: 12
     2. ㄱ: 100, ㄴ: 28, ㄷ: 24
     3. ㄱ: 100, ㄴ: 37, ㄷ: 24
     4. ㄱ: 120, ㄴ: 37, ㄷ: 48
     5. ㄱ: 120, ㄴ: 40, ㄷ: 48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 근로기준법령상 여성과 소년의 보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자는 18세 이상의 임신 중인 여성을 휴일에 근로시키려면 그 근로자의 동의와 고용노동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2. 15세 이상 18세 미만인 사람의 근로시간은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따라 1일에 1시간, 1주에 5시간을 한도로 연장할 수 있다.
     3. 미성년자는 독자적으로 임금을 청구할 수 있다.
     4. 고용노동부장관은 근로계약이 미성년자에게 불리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이를 해지할 수 있다.
     5. 사용자는 18세 미만인 사람과 근로계약을 체결하는 경우에 취업의 장소와 종사하여야 할 업무에 관한 사항을 서면(「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에 따른 전자문서를 포함한다)으로 명시하여 교부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 근로기준법령상 기숙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자는 기숙사 생활의 자치에 필요한 임원 선거에 간섭하지 못한다.
     2. 사용자는 기숙사규칙의 작성 또는 변경에 관하여 기숙사에 기숙하는 근로자의 과반수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3. 기숙사 침실의 넓이는 1인당 2.5제곱미터 이상으로 한다.
     4. 사용자는 소음이나 진동이 심한 장소 등 근로자의 안전하고 쾌적한 거주가 어려운 환경의 장소에 기숙사를 설치해서는 안 된다.
     5. 기숙사에 기숙하는 근로자가 기숙사규칙 중 안전과 보건에 관한 사항을 위반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 근로기준법령상 벌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근로감독관이 이 법을 위반한 사실을 고의로 묵과하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5년 이하의 자격정지에 처한다.
     2. 휴업수당을 지급하지 않은 자에 대하여는 피해자의 명시적인 의사와 다르게 공소를 제기할 수 없다.
     3. 행정소송을 제기하여 확정된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해당 사업 또는 사업장의 '사용자의 배우자'인 근로자가 다른 근로자에게 직장 내 괴롭힘을 한 경우에는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5. 검사는 확정된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않은 경우 노동위원회에 통보하여 고발을 요청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 근로기준법령상 해고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1. 사용자가 취업규칙에서 정한 해고사유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할 때에도 정당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
     2. 정년퇴직하게 된 근로자에게 기간제근로자로의 재고용에 대한 기대권이 인정되는 경우, 사용자가 기간제근로자로의 재고용을 합리적 이유 없이 거절하는 것은 근로자에게 효력이 없다.
     3. 여러 개의 징계사유 중 일부만 징계사유로 인정되는 경우 해당 징계처분의 타당성을 인정하기에 충분한지에 대한 증명책임은 사용자가 부담한다.
     4. 해고는 묵시적 의사표시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5. 부당해고 구제신청에 관한 중앙노동위원회 명령의 취소를 구하는 소송에서 그 명령의 기초가 된 사실이 동일하더라도 노동위원회에서 주장하지 아니한 사유는 행정소송에서 주장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 근로기준법상 근로감독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근로감독관은 「근로기준법」위반의 죄에 관하여 사법경찰관의 직무를 수행한다.
     2. 근로감독관은 사업장, 기숙사, 그 밖의 부속 건물을 현장조사할 수 있다.
     3. 근로감독관은 사용자뿐만 아니라 근로자에 대하여도 심문할 수 있다.
     4. 근로감독관을 그만 둔 날로부터 1년이 경과한 후에는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엄수할 의무가 없다.
     5. 「근로기준법」에 따른 현장조사, 서류의 제출, 심문 등의 수사는 검사와 근로감독관이 전담하여 수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근로기준법상 직장 내 괴롭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용자 또는 근로자는 직장에서의 지위 또는 관계 등의 우위를 이용하여 사용자 또는 다른 근로자에게 신체적ㆍ정신적 고통을 주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2. 누구든지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사실을 알게 된 경우 그 사실을 사용자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3. 사용자는 조사기간 동안 피해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행위자를 배치전환 하여야 한다.
     4. 사용자는 조사결과 직장 내 괴롭힘 발생사실이 확인된 때에는 피해근로자의 의견을 들어 지체 없이 행위자에 대하여 징계, 근무장소의 변경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5.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사실을 조사한 사람은 조사와 관련된 내용을 사용자에게 보고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 근로기준법령상 통상임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1. 고정성을 통상임금의 개념적 징표에서 제외하였으므로 주휴수당은 통상임금에 속한다.
     2. 근로자가 소정근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추가로 지급받는 임금은 통상임금으로 볼 수 없다.
     3. 통상임금에 산입될 수당을 통상임금에서 제외하기로 하는 노사합의에 따라 계산한 금액이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기준에 미달할 때에는 그 미달하는 범위 내에서 노사합의는 무효이다.
     4. 통상임금에 속하기 위한 성질을 갖춘 임금이 1개월을 넘는 기간마다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경우, 그 임금이 소정근로의 대가로서 성질을 상실하게 되는 것이 아니다.
     5. 통상임금은 근로자에게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소정근로 또는 총 근로에 대하여 지급하기로 정한 시간급 금액, 일급 금액, 주급 금액, 월급 금액 또는 도급 금액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 근로기준법령상 휴업수당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1. 평균임금의 100분의 70에 해당하는 금액이 통상임금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통상임금을 휴업수당으로 지급할 수 있다.
     2. 휴업에는 근로자가 근로계약에 따라 근로를 제공할 의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의사에 반하여 취업이 거부되는 경우도 포함된다.
     3. 사용자는 자신의 귀책사유에 해당하는 경영상의 필요에 따라 개별 근로자들에 대하여 대기발령을 한 경우 그 기간에 대한 휴업수당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
     4. 부득이한 사유로 사업을 계속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노동위원회의 승인을 얻어 휴업기간 동안 그 근로자에게 평균임금의 100분의 70 미만의 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
     5.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휴업하는 경우에 지급하는 휴업수당은 임금으로 볼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4. 근로기준법령상 연차 유급휴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2. 근로자가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경우에는 연차 유급휴가를 전혀 부여받을 수 없다.
     3. 연차 유급휴가기간에 지급하여야 하는 임금은 유급휴가를 주기 전이나 준 직후의 임금지급일에 지급하여야 한다.
     4. 연차 유급휴가의 산정 시 근로자가 업무상의 부상 또는 질병으로 휴업한 기간은 출근한 것으로 본다.
     5. 사용자는 근로자대표와의 서면합의에 따라 연차 유급휴가일을 갈음하여 특정한 근로일에 근로자를 휴무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5. 근로기준법상 휴일근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야간근로는 제외함)

    

     1.
     2. ㄱ, ㄴ
     3. ㄱ, ㄷ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6. 근로기준법령상 사용자가 임금대장에 적어야 할 사항으로 명시된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ㄱ, ㄴ,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7. 근로기준법상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ㄱ: 2, ㄴ: 6, ㄷ: 120
     2. ㄱ: 2, ㄴ: 8, ㄷ: 120
     3. ㄱ: 2, ㄴ: 6, ㄷ: 150
     4. ㄱ: 3, ㄴ: 6, ㄷ: 150
     5. ㄱ: 3, ㄴ: 8, ㄷ: 12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8.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사업주는 파견근로자에게 1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하여야 한다.
     2. 파견사업주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파견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3. 생후 1년 미만의 유아를 가진 여성인 파견근로자가 청구하면 사용사업주는 유급 수유시간을 주어야 한다.
     4. 파견사업주는 파견근로자와 근로계약 불이행에 대한 위약금 또는 손해배상액을 예정하는 계약을 체결하지 못한다.
     5. 사용사업주가 파견근로자에게 유급휴일을 주는 경우 그 휴일에 대하여 유급으로 지급되는 임금은 사용사업주가 지급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9.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상 파견사업주가 마련하여야 할 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견근로자는 파견사업주에게 해당 근로자파견의 대가에 관하여 그 내역을 제시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2. 파견사업주는 파견근로자의 고용관계가 끝난 후 사용사업주가 그 파견근로자를 고용하는 것을 정당한 이유 없이 금지하는 내용의 근로자파견계약을 체결하여서는 아니 된다.
     3. 파견사업주는 그가 고용한 근로자 중 파견근로자로 고용하지 아니한 사람을 근로자파견의 대상으로 하려는 경우에는 그의 동의를 받을 필요가 없다.
     4. 파견사업주가 근로자파견을 하려는 경우 미리 해당 파견근로자에게 서면으로 알려 주어야 하는 사항에 파견근로자의 수도 포함된다.
     5. 파견사업주는 근로자파견을 할 경우에는 파견근로자의 성명을 사용사업주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0.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상 조정ㆍ중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노동위원회는 차별적 처우의 시정신청에 따른 심문의 과정에서 직권으로 조정절차를 개시할 수 없다.
     2. 노동위원회의 승낙이 있는 경우에는 차별적 처우의 시정신청을 한 날부터 14일 후에도 조정을 신청할 수 있다.
     3. 노동위원회는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조정절차를 개시한 때부터 90일 이내에 조정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4. 중재결정서에는 관계당사자와 중재에 관여한 위원전원이 서명ㆍ날인하여야 한다.
     5. 조정의 내용에는 적절한 배상 등이 포함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1.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령상 2년을 초과하여 기간제근로자로 사용할 수 있는 경우를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2.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1. 근로조건이 명시된 서면을 교부하지 않는 경우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2. 사용자가 근로계약을 체결할 때 서면으로 명시하여야 하는 사항 중 '근로일 및 근로일별 근로시간'은 단시간근로자에 한정한다.
     3. 사용자는 단시간근로자의 동의를 얻어 소정근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로하게 하는 경우에도 1주간에 12시간을 초과하여 근로하게 할 수 없다.
     4. 불리한 처우가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와 비교하여 기간제근로자만이 가질 수 있는 속성을 원인으로 하는 경우 '기간제근로자임을 이유로 한 불리한 처우'에 해당한다.
     5. 사용자는 학업을 이유로 근로자가 단시간근로를 신청하는 때에는 해당 근로자를 단시간근로자로 전환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안전보건위원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위험성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업주는 위험성평가의 결과와 조치사항에 따른 자료를 3년간 보존해야 한다.
     2. 사업주가 위험성평가의 결과와 조치사항을 기록ㆍ보존할 때에는 위험성 결정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3. 사업주는 위험성평가 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바에 따라 해당 작업장의 근로자를 참여시켜야 한다.
     4. “위험성평가”란 사업주가 유해인자에 대한 측정계획을 수립한 후 시료를 채취하고 분석ㆍ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5. 사업주는 건설물로 인한 유해ㆍ위험 요인을 찾아내어 부상 및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의 크기가 허용 가능한 범위인지를 평가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5.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주가 보건조치를 하여야 하는 건강장해에 해당하는 경우는 모두 몇 개인가?

    

     1. 1개
     2. 2개
     3. 3개
     4. 4개
     5. 5개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6. 직업안정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따른 노동조합은 국내 근로자공급사업의 허가를 받을 수 없다.
     2. 직업소개사업자는 「공중위생관리법」의 숙박업을 경영할 수 없다.
     3. 근로자공급사업에는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근로자파견사업은 제외된다.
     4. 직업안정기관의 장은 구인신청의 수리(受理)를 거부하여서는 안되지만, 구인신청의 내용이 법령을 위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5. 무료직업소개사업을 하는 자가 18세 미만의 구직자를 소개하는 경우에는 친권자나 후견인의 취업동의서를 받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7. 남녀고용평등과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령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직무의 성격에 비추어 특정 성(性)이 불가피하게 요구되는 경우, 사업주가 그 성(性)을 이유로 채용 또는 근로의 조건을 다르게 하더라도 이 법에 따른 차별에 해당하지 않는다.
     2. 가사사용인에 대하여는 이 법의 전부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3. 상시 4명 이하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에 대하여는 이 법의 전부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4. 근로자는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남녀가 동등하게 존중받는 직장문화를 조성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5. 고용노동부장관은 남녀고용평등 실현과 일ㆍ가정의 양립에 관한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남녀고용평등과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령상 육아휴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는 유산 또는 사산의 위험이 있는 경우 휴직개시예정일 7일 전까지 육아휴직을 신청할 수 있다.
     2. 근로자는 육아휴직종료예정일을 연기하려는 경우에는 한 번만 연기할 수 있다.
     3. 육아휴직을 신청한 근로자는 휴직개시예정일의 7일 전까지 사유를 밝혀 그 신청을 철회할 수 있다.
     4. 사업주는 휴직개시예정일의 전날까지 해당 사업에서 계속 근로한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근로자가 육아휴직을 신청하는 경우에 이를 허용하여야 한다.
     5. 사업주는 육아휴직 중인 근로자로부터 영유아의 사망 등에 대한 사실을 통지받은 경우에는 통지받은 날부터 30일 이내로 근무개시일을 지정하여 그 근로자에게 알려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9. 남녀고용평등과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상 분쟁의 예방과 해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노동위원회에 차별적 처우등의 시정 신청을 할 수 있는 자는 사업주에게 고용된 사람과 취업할 의사를 가진 사람이다.
     2. 직장 내 성희롱 행위를 한 사람에 대하여 징계 등 필요한 조치를 하지 않은 경우 피해근로자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적 처우등의 시정신청을 할 수 있다.
     3. 노동위원회는 차별적 처우등에 해당된다고 판정한 때에는 해당 사업주에게 시정명령을 하여야 한다.
     4. 고용노동부장관은 확정된 시정명령에 대하여 사업주에게 이행상황을 제출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5. 사업주가 성희롱 발생 사실을 신고한 근로자에게 부당한 감봉조치를 한 경우 그 근로자는 노동위원회에 차별적 처우등의 시정신청을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0. 최저임금법령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최저임금의 적용을 받는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최저임금에 산입하지 아니하는 임금에 관하여 주지시켜야 한다.
     2. 사용자는 최저임금의 내용을 매년 8월 5일까지 근로자에게 주지시켜야 한다.
     3. 동거하는 친족만을 사용하는 사업에는 최저임금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4. 연장근로에 대한 임금 및 가산임금은 최저임금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5. 도급으로 사업을 행하는 경우 도급인이 책임져야 할 사유로 수급인이 근로자에게 최저임금액에 미치지 못하는 임금을 지급한 경우 도급인은 해당 수급인과 연대하여 책임을 진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1. 최저임금법령상 최저임금위원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용노동부장관은 최저임금위원회로 하여금 근로자의 생계비에 관한 조사를 하게 할 수 있다.
     2. 최저임금위원회의 회의는 공익위원 3분의 1 이상이 소집을 요구하는 경우에 위원장이 소집한다.
     3. 최저임금을 심의하기 위하여 기획재정부에 최저임금위원회를 둔다.
     4. 사무국에는 최저임금의 심의 등에 필요한 전문적인 사항을 조사ㆍ연구하게 하기 위하여 5명의 연구위원을 둘 수 있다.
     5. 최저임금위원회는 근로자위원, 사용자위원, 공익위원 각 7명으로 구성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2.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령상 퇴직연금제도의 수급권을 담보로 제공할 수 있는 사유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ㅁ
     2. ㄷ, ㄹ, ㅁ
     3. ㄱ, ㄴ, ㄷ, ㄹ
     4. ㄴ,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3.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상 확정급여형퇴직연금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확정급여형퇴직연금제도란 근로자가 받을 급여의 수준이 사전에 결정되어 있는 퇴직연금제도를 말한다.
     2. 확정급여형퇴직연금제도의 설정 전에 해당 사업에서 제공한 근로기간에 대하여는 가입기간으로 할 수 없고, 이 경우 퇴직금을 미리 정산한 기간은 제외한다.
     3. 확정급여형퇴직연금제도를 설정하려는 사용자는 근로자대표의 동의를 얻거나 의견을 들어 확정급여형퇴직연금규약을 작성하여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4. 연금은 55세 이상으로서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인 가입자에게 지급하며, 이 경우 연금의 지급기간은 5년 이상이어야 한다.
     5. 일시금은 연금수급 요건을 갖추지 못하거나 일시금 수급을 원하는 가입자에게 지급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4. 임금채권보장법상 퇴직한 근로자가 청구하면 고용노동부장관이 대지급금을 지급해야 하는 경우를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ㄹ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5. 임금채권보장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지급금수급계좌의 예금에 관한 채권은 압류할 수 없다.
     2. 사업주가 이 법을 위반하는 사실이 있으면 근로자는 그 사실을 근로감독관에게 신고하여 시정을 위한 조치를 요구할 수 있다.
     3. 대지급금을 반환받을 권리는 3년간 행사하지 아니하면 시효로 소멸한다.
     4. 임금채권보장 업무에 종사하였던 자는 누구든지 업무 수행과 관련하여 알게 된 사업주의 정보를 누설하여서는 아니 된다.
     5. 고용노동부장관이 해당 근로자에게 대지급금을 지급하였을 때에는 「근로기준법」에 따른 임금채권 우선변제권은 대위되는 권리에 존속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6. 근로복지기본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가는 근로자의 생활안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근로자 및 그 가족의 의료비 등의 융자 등 필요한 지원을 하여야 한다.
     2. 국가는 경제상황 및 근로자의 생활안정자금이 필요한 시기 등을 고려하여 임금을 받지 못한 근로자 등의 생활안정을 위한 생계비의 융자 등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3. 국가는 근로자 및 그 자녀의 교육기회를 확대하기 위하여 장학금의 지급 등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4. 근로복지시설을 설치ㆍ운영하는 자는 근로복지시설의 이용료를 차등하여 받을 수 없다.
     5. 국가는 취업으로 이주하거나 가족과 떨어져 생활하는 근로자의 주거안정을 위하여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7.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령상 외국인근로자의 보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자는 외국인근로자라는 이유로 부당하게 차별하여 처우하여서는 아니 된다.
     2. 사용자는 외국인근로자에게 기숙사를 제공하여야 한다.
     3. 국가는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상담과 교육을 하는 기관에 대하여 사업에 필요한 비용의 일부를 예산의 범위에서 지원할 수 있다.
     4. 산업별 특성 등을 고려하여 외국인근로자를 고용한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취업하는 외국인근로자는 질병ㆍ사망 등에 대비한 상해보험에 가입하여야 한다.
     5. 외국인근로자의 권익보호에 관한 사항을 협의하기 위하여 직업안정기관에 관할 구역의 노동자단체와 사용자단체 등이 참여하는 외국인근로자 권익보호협의회를 둘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8.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상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의 취소나 고용의 제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직업안정기관의 장은 거짓으로 고용허가를 받은 경우 고용허가를 취소할 수 있다.
     2. 직업안정기관의 장은 사용자가 입국 전에 계약한 임금 또는 그 밖의 근로조건을 위반하는 경우 고용허가를 취소할 수 있다.
     3. 직업안정기관의 장은 사용자의 임금체불로 근로계약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인정되는 경우 고용허가를 취소할 수 있다.
     4.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가 취소된 사용자는 취소된 날부터 15일 이내에 그 외국인근로자와의 근로계약을 종료하여야 한다.
     5. 직업안정기관의 장은 「출입국관리법」을 위반하여 처벌을 받은 사용자에 대하여 그 사실이 발생한 날부터 5년간 외국인근로자의 고용을 제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9. 헌법상 근로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1. 근로의 권리에는 일할 환경에 관한 권리는 포함되지 않는다.
     2. 모든 국민은 강제적인 근로의 의무를 진다.
     3. 국가는 사회적ㆍ경제적 방법으로 근로자의 고용의 증진과 적정임금의 보장에 노력하여야 한다.
     4. 근로자는 국가에 대해 직접적인 직장존속보장청구권을 가지고 있으므로 국가는 근로관계의 당연승계를 보장하는 입법을 반드시 하여야 할 헌법상의 의무가 있다.
     5. 연소자인 여자의 근로에 대하여만 특별한 보호를 받는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0. 노동법의 법원(法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1. 근로자들의 집단적 동의를 받아 불리하게 변경된 취업규칙은 그보다 유리한 근로조건을 따로 정한 기존의 개별 근로계약부분에 우선하는 효력을 갖는다.
     2. 취업규칙은 법령에 어긋나서는 아니 된다.
     3. 취업규칙에서 정한 기준에 미달하는 근로조건을 정한 근로계약은 그 부분에 관하여는 무효로 한다.
     4. 취업규칙은 「근로기준법」이 근로자 보호의 목적으로 그 작성을 강제하고 이에 법규범성을 부여한 것이다.
     5. 「근로기준법」에서 정하는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근로조건을 정한 근로계약은 그 부분에 한정하여 무효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공인노무사 1차(노동법1)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5월24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공인노무사 1차(노동법1)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5월24일(16413)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28 공인노무사 1차(경제학원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5월24일(16414)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27 공인노무사 1차(경영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5월24일(16415)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26 검량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6월14일(16416)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25 공인노무사 1차(노동법2)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5월24일(16417)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24 공인노무사 1차(민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5월24일(1641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23 공인노무사 1차(사회보험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5월24일(16419)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22 PC정비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5월25일(1642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21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5월25일(1642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20 수산물품질관리사 1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5월10일(16422)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19 검량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5월31일(16423)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18 소방시설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5월03일(16424) 좋은아빠되기 2025.10.08 5
117 산업보건지도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3월29일(16425)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16 산업보건지도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3월30일(16426)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15 변리사 1차(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2월15일(16427)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14 변리사 1차(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2월15일(1642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13 변리사 1차(3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2월15일(16429)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12 산업안전지도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3월29일(1643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11 전자상거래운용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6월07일(1643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10 전자상거래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6월07일(16432)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Board Pagination Prev 1 ... 773 774 775 776 777 778 779 780 781 782 ... 784 Next
/ 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