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9급 국가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1648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국가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양단이 힌지로 지지된 콘크리트 압축부재의 장주효과를 무시할 수 있는 비지지길이 lu의 최댓값[mm]은? (단, 압축부재 단면의 최소 회전반경 r은 200mm이고, 비횡구속 골조의 압축부재이다)
     1. 1,100
     2. 2,200
     3. 3,300
     4. 4,4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 기타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옹벽설계의 안정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활동에 대한 저항력은 옹벽에 작용하는 수평력의 1.5배 이상이어야 한다.
     2. 전도에 대한 저항휨모멘트는 횡토압에 의한 전도모멘트의 1.5배 이상이어야 한다.
     3. 전도 및 지반지지력에 대한 안정조건은 만족하지만, 활동에 대한 안정조건만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에는 활동방지벽 혹은 횡방향 앵커 등을 설치하여 활동저항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4. 지반의 지지력은 지반공학적 방법 중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지반의 내부마찰각, 점착력 등과 같은 특성으로부터 지반의 극한지지력 qu를 추정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 허용지지력 qa는 qu/3 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콘크리트 슬래브와 기초판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기초판의 휨모멘트에 대한 설계 시 고려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최대 계수휨모멘트를 계산할 때, 강재 밑판을 갖는 기둥을 지지하는 기초판은 강재 밑판 단부를 위험단면으로 한다.
     2. 최대 계수휨모멘트를 계산할 때, 콘크리트 기둥, 주각 또는 벽체를 지지하는 기초판은 기둥, 주각 또는 벽체의 외면을 위험단면으로 한다.
     3. 1방향 기초판 또는 2방향 정사각형 기초판에서 철근은 기초판 전체 폭에 걸쳐 균등하게 배치하여야 한다.
     4. 기초판 각 단면의 휨모멘트는 기초판을 자른 수직면에서 그 수직면의 한쪽 전체 면적에 작용하는 힘에 대해 계산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설계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부재의 설계는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부터 구조물의 수명 기간 동안에 모든 재하단계의 강도 및 사용조건에 따른 거동에 근거하여야 한다.
     2. 프리스트레스에 의해 발생되는 부재의 탄ㆍ소성변형, 처짐, 길이변화 및 회전 등에 의해 인접한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때 온도와 수축의 영향도 고려하여야 한다.
     3. 설계에서는 프리스트레스에 의하여 발생하는 응력집중을 고려할 필요는 없다.
     4. 덕트의 치수가 과대하여 긴장재와 덕트가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경우, 접촉하는 위치 사이에 있어서 부재 좌굴과 얇은 복부 및 플랜지의 좌굴이 발생할 가능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강구조 설계 일반사항(하중저항계수설계법)에서 제시하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커버플레이트 : 트러스의 부재, 스트럿, 또는 가새재(브레이싱)를 보 또는 기둥에 연결하는 판요소
     2. 유효길이계수 : 유효좌굴길이와 부재의 비지지길이의 비
     3. 국부좌굴 : 부재 전체의 파괴를 유발할 수도 있는 압축 판요소의 좌굴
     4. 다이아프램 : 지지요소에 힘을 전달하도록 이용된 면내 전단강성과 전단강도를 갖고 있는 플레이트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 그림과 같은 철근콘크리트보 단면의 균열휨모멘트 Mcr[kNㆍm]은? (단, 콘크리트의 파괴계수 fr은 4MPa이다)

   

     1. 36
     2. 54
     3. 72
     4. 9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 큰 처짐에 의해 손상되기 쉬운 칸막이벽이나 기타 구조물을 지지하지 않는 1방향 캔틸레버 슬래브에서 처짐을 계산하지 않을 때, 슬래브의 최소 두께[mm]는? (단, 슬래브의 길이 l은 3m, 보통중량 콘크리트이고,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 fy는 400MPa이다)
     1. 200
     2. 250
     3. 300
     4. 35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 그림과 같이 지간 중앙에 집중하중 Q=50kN이 작용하는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단순보의 지간 중앙에서 휨모멘트의 크기[kNㆍm]는? (단, 프리스트레스 힘 P는 100kN이고, sinθ≃tanθ 이며, 보의 자중과 프리스트레스 손실은 무시한다)

   

     1. 50
     2. 75
     3. 100
     4. 125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fck가 20MPa인 단철근 직사각형 보 단면의 균형철근비가 0.03이다. 동일한 보 단면에 대하여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fck만 40MPa로 변경되었을 때, 균형철근비는?
     1. 0.03
     2. 0.04
     3. 0.05
     4. 0.06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긴장재의 긴장 시 허용 인장응력의 최댓값은? (단, fpu는 긴장재의 설계기준인장강도, fpy는 긴장재의 설계기준항복강도이고, 긴장재나 정착장치 제조자가 제시하는 최댓값은 fpu이다)
     1. 0.70 fpu
     2. 0.90 fpy
     3. 0.74 fpu와 0.82 fpy 중 작은 값
     4. 0.80 fpu와 0.94 fpy 중 작은 값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콘크리트구조 정착 및 이음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표준갈고리를 갖는 인장 이형철근의 기본정착길이 lhb[mm]는? (단,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fck는 36MPa,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 fy는 300MPa, 철근의 공칭지름 db는 25mm이고, 아연도금 또는 도막되지 않은 철근이며, 보통중량 콘크리트이다)
     1. 275
     2. 300
     3. 325
     4. 35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 콘크리트구조 전단 및 비틀림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전단철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 Vs는 철근의 공칭전단강도, λ는 경량콘크리트 계수, fck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bw는 부재의 복부 폭, d는 부재 단면의 유효깊이이다)
     1. Vs > 2Vc인 경우 부재축에 직각으로 배치된 전단철근의 간격은 이하로 감소시켜야 한다.
     2. Vs ≤ 2Vc인 경우 부재축에 직각으로 배치된 전단철근의 간격은 d/2 이하이고, 600mm 이하이어야 한다.
     3. 주인장철근에 45° 이상의 각도로 설치되는 스터럽을 사용할 수 있다.
     4. Vs ≤ 2Vc인 경우 경사스터럽과 굽힘철근은 부재의 중간 높이인 0.5d에서 반력점 방향으로 주인장철근까지 연장된 45° 선과 한 번 이상 교차되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1번 선지에 d/3 이하로 감소시켜야 한다

13. 그림과 같이 중심축하중 P가 작용하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에서 철근과 콘크리트가 각각 부담하는 축하중의 비는? (단, 콘크리트의 단면적 Ac는 종방향 철근의 전체단면적 Ast의 13배, 철근의 탄성계수 Es는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Ec의 8배이고, 작용하중은 단면 전체에 균등하게 작용하며, 철근콘크리트 기둥은 철근과 콘크리트가 완전부착되어 선형탄성의 일체거동을 하는 단주이다)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4.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크리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습도 증가에 따라 크리프는 증가한다.
     2. 물-시멘트비의 증가에 따라 크리프는 증가한다.
     3. 크리프계수는 탄성변형률과 크리프변형률의 비이다.
     4. 크리프는 일정하고 지속적인 응력하에서 변형률이 증가하는 현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5. 강구조 연결 설계기준(하중저항계수설계법)에서 제시하는 이음부 설계세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응력을 전달하는 필릿용접의 최소유효길이는 공칭용접치수의 10배 이상 또한 30mm 이상을 원칙으로 한다.
     2. 응력을 전달하는 겹침이음은 2열 이상의 필릿용접을 원칙으로 하고, 겹침길이는 얇은 쪽 판 두께의 5배 이상 또한 25mm 이상으로 한다.
     3. 고장력볼트의 구멍중심 간 거리는 공칭직경의 2.5배를 최소거리로 하고 3배를 표준거리로 한다.
     4. 고장력볼트의 구멍중심에서 볼트머리 또는 너트가 접하는 부재의 연단까지의 최대거리는 판 두께의 15배 이하 또한 300 mm 이하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6. 그림과 같은 인장재 ㄱ형강의 블록전단강도 산정 시, 전단파단에 대한 전단저항 순단면적 Anv[mm2]는? (단, 볼트구멍의 직경 dh는 24mm이고, 부재의 두께 t는 10mm이다)

    

     1. 1,700
     2. 1,800
     3. 1,900
     4. 2,0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7. 계수전단력 Vu=100kN이 작용하는 직사각형 철근콘크리트보 단면에서 최소 전단철근의 배치가 필요 없는 단면의 유효깊이 d의 최솟값[mm]은? (단, 콘크리트 공칭전단강도 이고,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fck는 25MPa, 단면의 폭 b는 500mm, 경량콘크리트 계수 λ는 1.0이다)
     1. 540
     2. 640
     3. 720
     4. 8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8. 콘크리트구조 휨 및 압축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압축부재의 설계에서 최소 나선철근비 ρs 일 때, C1은? (단, Ag는 기둥의 전체 단면적, Ach는 나선철근의 바깥선을 지름으로 하여 측정된 나선철근 기둥의 심부 단면적, fck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fyt는 나선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이고 700MPa 이하이다)
     1. 0.42
     2. 0.43
     3. 0.44
     4. 0.45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9. 콘크리트구조 휨 및 압축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휨부재 설계의 일반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장철근이 설계기준항복강도 fy에 대응하는 변형률에 도달하고 동시에 압축 콘크리트가 가정된 극한변형률에 도달할 때, 그 단면이 균형변형률 상태에 있다고 본다.
     2. 압축연단 콘크리트가 가정된 극한변형률에 도달할 때,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 εt가 압축지배변형률 한계 이하인 단면을 압축지배단면이라고 한다.
     3. 압축연단 콘크리트가 가정된 극한변형률에 도달할 때,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 εt가 0.005의 인장지배변형률 한계 미만인 단면을 인장지배단면이라고 한다.
     4. 프리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은 휨부재는 공칭강도 상태에서 순인장변형률 εt가 휨부재의 최소 허용변형률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0. 콘크리트구조 휨 및 압축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등가 직사각형 압축응력블록의 등가 압축영역에 등분포하는 콘크리트 응력이 η(0.85 fck)일 때, η는? (단,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fck는 50MPa이다)
     1. 0.91
     2. 0.94
     3. 0.97
     4. 1.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9급 국가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629 9급 국가직 공무원 응용역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16505)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5628 9급 국가직 공무원 세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16504)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5627 9급 국가직 공무원 무선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16503)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5626 9급 국가직 공무원 네트워크보안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16502)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5625 9급 국가직 공무원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1650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5624 9급 국가직 공무원 기계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1650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5623 9급 국가직 공무원 영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16499) 좋은아빠되기 2025.10.08 5
15622 9급 국가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1649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5621 9급 국가직 공무원 회계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16497)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5620 9급 국가직 공무원 회계원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16496)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5619 9급 국가직 공무원 화학공학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16495)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5618 9급 국가직 공무원 형사소송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16494) 좋은아빠되기 2025.10.08 2
15617 9급 국가직 공무원 형사소송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16493)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5616 9급 국가직 공무원 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16492)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5615 9급 국가직 공무원 형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1649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5614 9급 국가직 공무원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1649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0
15613 9급 국가직 공무원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16489)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15612 9급 국가직 공무원 통계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1648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2
» 9급 국가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16487) 좋은아빠되기 2025.10.08 2
15610 9급 국가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16486)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784 Next
/ 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