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연구실안전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7월06일(1653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연구실안전관리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안전관리 법령


1. <보기>는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따라 연구주체의 장이 가입하여야 하는 보험의 보험급여 종류 및 보상금액에 관한 내용이다.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 <보기>는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령」에서 규정하는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에 관한 설명이다.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연구활동에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를 취급하는 연구실에서 실시하여야하는 안전관리 활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매주 1회 일상점검을 실시하여야 한다.
     2.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을 실시하여야 한다.
     3. 매년 1회 이상 정기점검을 실시하여야 한다.
     4. 2년마다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 <보기>는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서 규정하는 안전 관련 예산의 배정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 1퍼센트
     2. 2퍼센트
     3. 3퍼센트
     4. 5퍼센트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령」에서 규정하는 연구실 안전관리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 취득을 위한 지도는 연구실안전관리사의 직무에 해당한다.
     2. 연구실안전관리사 자격이 취소된 후 3년이 지나지 않은 사람은 연구실안전관리사가 될 수 없다.
     3. 연구실 내 유해인자에 관한 취급 관리 및 기술적 지도‧조언은 연구실안전관리사의 직무에 해당한다.
     4.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연구실안전관리사 자격을 취득한 경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그 자격을 정지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는 보험 가입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옮지 않은 것은?
     1. 연구주체의 장은 연구활동종사자가 지급받은 보험금으로 치료비를 부담하기에 부족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정해진 기준에 따라 해당 연구활동종사자에게 치료비를 지원할 수 있다.
     2. 연구주체의 장은 정해진 기준에 따라 연구활동종사자의 상해‧사망에 대비하여 연구활동종사자를 피보험자 및 수익자로 하는 보험에 가입하여야 한다.
     3. 연구주체의 장은 보험에 가입하는 경우 매년 정해진 기준에 따라 보험 가입에 필요한 비용을 예산에 계상하여야 한다.
     4. 연구주체의 장은 가입된 보험의 보험금 지급 청구권을 양도 또는 압류하거나 담보로 제공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령」에서 규정하는 연구실의 안전 및 유지‧관리비로 계상할 수 있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실시에 필요한 비용
     2. 연구실험장치의 교체, 시공공사 및 개조 비용
     3. 연구실안전관리담당자에 대한 교육 비용
     4. 연구활동종사자 보호장비 구입 비용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서 규정하는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구실 운영규정, 연구실 안전환경 목표 및 추진계획 등 연구실 안전환경 관리체계가 우수하게 구축되어 있을 것
     2. 연구주체의 장, 연구실책임자 및 연구활동종사자 등 연구실 안전환경 관계자의 안전 의식이 형성되어 있을 것
     3. 연구실 안전점검 및 교육 계획‧실시 등 연구실 안전환경 구축‧관리 활동 실적이 우수할 것
     4.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심사일 기준으로 이전 2년 동안 연구실사고가 없을 것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 <보기>는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서 규정하는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대행기관 기술인력 교육에 관한 내용이다. ( ) 안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서 규정하는 연구실 정밀안전진단의 직접 실시요건 중 물적 장비 요건이 아닌 것은?
     1. 분진측정기
     2. 두께측정기
     3. 접지저항측정기
     4. 가스누출검출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령」에서 규정하는 건강검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발암성 물질을 취급하더라도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46조에 따른 임시작업과 단시간 작업을 수행하는 연구활동종사자는 특수건강검진을 받지 않을 수 있다.
     2. 임시건강검진 실시 명령을 받은 연구활동종사자는 건강검진기관 의사의 소견과 관계없이 임시건강검진을 받야야 한다.
     3. 연구실 내에서 유소견자가 발생한 경우 근접한 연구실에 종사하는 연구활동종사자는 특수건강검진을 받아야 한다.
     4. 연구활동종사자가 「학교보건법」에 따른 건강검사를 받은 경우에는 일반건강검진을 받은 것으로 본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는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구실안전관리담당자’ 란 각 연구실에서 안전관리 및 연구실사고 예방 업무를 수행하는 연구활동종사자를 말한다.
     2. ‘연구실책임자’ 란 연구실 소속 연구활동종사자를 직접 지도‧관리‧감독하는 연구활동종사자를 말한다.
     3. ‘정밀안전진단’ 이란 연구실 안전관리에 관한 경험과 기술을 갖춘 자가 육안 또는 점검기구 등을 활용하여 연구실에 내재된 유해인자를 조사하는 행위를 말한다.
     4. ‘유해인자’ 란 화학적‧물리적‧생물학적 위험요인 등 연구실사고를 발생시키거나 연구활동종사자의 건강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는 인자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령」에서 규정하는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4.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령」에서 규정하는 연구실 안전관리위원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ㄷ, ㄹ
     3. ㄴ, ㄷ, ㅁ
     4. ㄴ, ㄹ,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5. 「연구시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령」에서 규정하는 연구활동종사자에 대한 교육‧훈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ㄴ, ㄹ
     4.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6. 「연구실 설치운영에 관한 기준」에 라 저위험 연구실에서 준수해야 할 사항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전압자입 단독회로 구성은 필수사항이다.
     2. 주기적인 소화기 충전상태 점검은 권장 사항이다.
     3. 전기기기 및 배선 등의 모든 충전부 노출방지 조치는 권장사항이다.
     4. 주기적인 환기설비 작동상태 점검은 필수 사항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7.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령」에서 규정하는 연구주체의 장 및 연구실책임자의 책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구주체의 장은 연구실사고 예방을 위하여 각 연구실에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를 지정하여야 한다.
     2. 연구실책임자는 연구활동종사자를 대상으로 해당 연구실의 유해인자에 관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3. 연구실책임자는 해당 연구실의 안전관리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연구실안전관리담당자를 지정할 수 있다.
     4. 연구주체의 장은 대학‧연구기관 등에서 연구책임자 또는 조교수 이상의 직에 재작하는 사람을 연구실책임자로 지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8. <보기>는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령」에서 규정하는 연구실안전심의위원회에 관한 설명이다. ( ) 안에 들어 갈 말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9.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령」에서 규정하는 연구실 사고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중대연구실사고가 발생한 연구실의 연구주체의 장은 7일 이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에게 보고해야 한다.
     2. 연구활동종사자는 연구실의 안전에 중대한 문제가 발생하여 긴급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연구실의 사용금지 조치를 직접 취할 수 있다.
     3. 연구활동종사자가 연구활동을 수행하던 과정에서 부상을 입더라도 해당 공간이 연구실이 아니라면 연구실사고에 해당하지 않는다.
     4. 연구실사고의 원인을 조사하기 위한 사고조사반의 책임자는 연구실사고 보고서를 작성하여 연구주체의 장에게 제출해야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0.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령」에서 규정하는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과목 : 안전관리이론 및 체계


21. 「연구실 설치운영에 관한 기준」에 따라 <보기>의 (연구실)이 해당하는 유형은?

    

     1. 무위험연구실
     2. 저위험연구실
     3. 중위험연구실
     4. 고위험연구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2.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 결함나무분석(FTA)
     2. 위급사건기법(CIT)
     3. 인간실수확률기법(HEP)
     4. 직무위급도분석기법(TCRA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3. 스웨인(Swain)의 휴먼에러 분류 중 <보기>에 해당하는 것은?

    

     1. 작위오류(Commission Error)
     2. 부적절한 행동 오류(Extraneous Error)
     3. 생략오류(Omission Error)
     4. 시간오류(Time Error)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4.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제 운영에 관한 규정」에서 규정하는 연구실 안전환경기스템 분야의 인증심사 세부항목이 아닌 것은?
     1.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
     2.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
     3. 연구주체의 장의 검토 여부
     4. 연구실 안전교육 및 사고 대비‧대응 관련 활동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5.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제 운영에 관한 규정」에서 규정하는 인증심사의 실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증 운영 매뉴얼, 절차서 등에 대한 문서자료 및 현황 조사
     2. 연구실 현장에 안전환경 활동 확인
     3. 연구실책임자의 안전환경시스템 지침서 작성 및 현장 적용 수준 측정
     4. 연구주체의 장 및 연구실책임자 등의 면단, 인터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6. 연구실 비상대응 매뉴얼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7. 중대연구실사고가 아닌 것은?
     1.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포함하여 2개의 손가락을 잃은 부상자가 1명 발생한 사고
     2. 3개월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3명 발생한 사고
     3. 연구실 시설물 지반 침하에 따른 불안전한 구조로 인하여 발생한 사고
     4. 4개 치아에 치아 보철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1명 발생한 사고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제 운영에 관한 규정」에서 규정하는 심사항목과 세부항목의 연결이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ㄹ
     2. ㄱ, ㄹ, ㅁ
     3. ㄴ, ㄷ, ㄹ
     4. ㄴ, ㄷ,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9.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을 실시하는 연구실에서 연구실 안전현황표에 반드시 작성하여야 하는 내용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0. (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 유해인자
     2. 위험분석
     3. 질병요인
     4. 재해상황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1. 「연구실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 실시에 관한 지침」에서 규정하는 연구개발활동안전분석(R&DSA) 보고서의 보존 기간으로 옳은 것은?
     1. 작성완료일로부터 1년
     2. 작성완료일로부터 5년
     3. 연구종료일로부터 2년
     4. 연구종요일로부터 3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2. (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 착오(Mistake)
     2. 실수(Slip)
     3. 망각(Lapse)
     4. 위반(Violation)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3. (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4.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서 규정하는 특별안전교육‧훈련 내용이 아닌 것은? (단, ‘그 밖에 연구실안전관리에 관한 사항’은 제외한다.)
     1. 안전한 연구활동에 관한 사항
     2. 연구활동종사자 보험에 관한 사항
     3.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
     4. 연구실 유해인자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5.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령」에서 규정하는 연구활동 종사자에 대한 교육‧훈련을 담당할 수 있는 사람이 아닌 것은?
     1. 대학의 조교수 이상으로서 안전에 관한 경험과 학삭이 풍부한 사람
     2. 정기점검을 실시한 경험이 있는 연구실안전관리담당자
     3.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
     4. 연구실책임자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6. 다음은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서 규정하는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 보수교육의 주기 및 시간에 관한 사항이다. ( ) 안에 들어갈 숫자로 옿은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7. <보기>에 해당하는 학습지도의 원리는?

    

     1. 통합의 원리
     2. 직관의 원리
     3. 개별화의 원리
     4. 사회화의 원리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8. 4M 기법을 적용하여 연구실사고를 분석하였다. <보기>에 해당하는 4M 요소는?

    

     1. Man
     2. Machine
     3. Media
     4. Management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9.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 예방 가능의 원칙
     2. 손실 우연의 원칙
     3. 원인 계기의 원칙
     4. 대책 선정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0. 버드(Bird)의 사고연쇄이론에서 제어부족의 단계에 해당하는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지식‧기능의 부족
     2. 작업 절차의 정비 불량
     3. 부적절한 작업 절차
     4. 부적당한 기계‧기구의 사용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과목 : 화학ㆍ가스 안전관리


41. ‘NFPA 704’에 따른 기타위험성 표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OX : 산화제에 관한 윟머성 표기이다.
     2. ALK : 염기성에 관한 위험성 표기이다.
     3. COR : 부식성에 관한 위험성 표기이다.
     4. ₩ : 자연발화성에 관한 위험성 표기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2.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에 따라 가연성 가스이면서 독성가스로 분류되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ㅁ
     2. ㄱ, ㄷ, ㄹ
     3. ㄴ, ㄷ, ㅁ
     4.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3. <보기>에서 설명하는 물질은?

    

     1. 암모니아(NH3)
     2. 포스겐(COCl2)
     3. 실란(SiH4)
     4. 알진(AsH3)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4. ( ) 안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5.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지정폐기물 배출자가 지정폐기물을 위탁 처리하기 전에 환경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하는 서류가 아닌 것은?
     1. 폐기물분석기관이 작성한 폐기물분석결과서
     2. 지정폐기물 처리 위탁 시 수탁처리자의 수탁 확인서
     3.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화학물질의 영업등록증
     4. 폐기물의 종류, 배출량 및 배출 주기 등을 적은 폐기물처리 계획서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6. 「폐기물관리법 시행령」에서 규정하는 지정폐기물이 아닌 것은?
     1. 고체상태의 폐합성 고분자화합물
     2. 「화학물질관리법」 제2조제2호의 유독물질에 해당하는 폐유독물질
     3. 액체상태의 수소이온 농도지수가 2.0 이하인 폐산
     4. 액체상태의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폐닐 함유 폐기물(1리터당 2밀리그램 이상 함유한 것)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7.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에서 규정하는 지정폐기물 보관표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표지의 색깔은 흰색 바탕에 빨간색 선 및 검은색 글자로 한다.
     2. 표지의 규격은 가로 50센티미터 이상 × 세로 40센티미터이상으로 한다.
     3. 보관창고에는 표지판을 사람이 쉽게 볼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4. 드럼 등 소형용기에 붙이는 표지는 가로 20센티미터 이상 × 세로 10센티미터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8. 폐액 처리 시 혼합적재 가능한 것끼리 짝지어진 것은?
     1. 질산(HNO3), 황산(H2SO4)
     2. 질산(HNO3), 시안화수소(HCN)
     3. 아세트산(CH3COOH), 포름산(CH2O2)
     4. 과망간산칼륨(KMnO4), 황산(H2SO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9.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에서 규정하는 지정폐기물 보관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폐유기용제는 휘발이 가능한 개방된 용기에 보관하여야 한다.
     2. 폐유독물질 보관시설에는 70룩스(lux) 이상의 조도가 확보될 수 있도록 채광설비 또는 조명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3. 흩날릴 우려가 있는 폐석면은 폴리에틸렌,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재질의 포대로 포장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4. 수은함유폐기물 및 수은함유폐기물 처리 잔재물은 폴리에틸렌 등 고밀도 내수성 재질로 이중 포장한 후 밀봉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0. <보기>에서 설명하는 유해물질은?

    

     1. 수은(Hg)
     2. 페놀(C6H5OH)
     3. 톨루엔(C6H5CH3)
     4. 카드뮴(Cd)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1. 「고압가스 특정제조의 시설‧기술‧검사‧감리‧정밀 안전검진기준」에서는 가스누출검지경보장치의 검출부 설치장소 및 설치개수를 규정하고 있다. ( ) 안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연구실 화학물질 사고 예방을 위한 시약보관시설의 설치 및 운영 기준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3. 「연구실 설치운영에 관한 기준」에 따른 가연성 및 조연성가스 용기를 사용하는 연구실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연성가스와 조연성가스는 한 곳에 모아 보관한다.
     2. 사용 중인 가스용기와 사용 완료된 가스용기는 분리 보관한다.
     3. 가스용기는 전도방지장치를 설치하여 보관한다.
     4. 가스누출검지경보장치를 설치하여 가스 유출 시 즉각 조치 할 수 있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4. 고압가스용 실린더캐비닛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부 설비 중 고압가스가 통하는 부분은 안전율 4 이상으로 설계된 것으로 한다.
     2. 내부의 충전 용기 또는 배관에는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한 긴급차단장치가 설치된 것으로 한다.
     3. 내부 배관에 가스의 종류와 유체의 흐름 방향이 표시된 경우, 밸브에 개폐 방향과 개폐 상태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4. 내부의 누출된 가스를 항상 제독설비 등으로 이송할 수 있고 내부 압력을 외부 압력보다 항상 낮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5. 다음은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에서 규정하는 가스 구분 및 용기 색상에 관한 내용이다.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6. 「연구실 설치운영에 관한 기준」에 따른 ‘연구활동에 독성가스를 취급하는 연구실’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닥면 내 안전구획을 표시해야 한다.
     2. 출입구에 비상대피표지를 부착해야 한다.
     3. 연구‧실험공간과 사무공간을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기계적인 환기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7. 고압가스설비 운전 중 가연성가스 누출 시 안전조치로 옳지 않은 것은?
     1. 불활성가스로 치환한다.
     2. 가스 공급을 즉시 정지시킨다.
     3. 점화원이 될 수 있는 화기의 사용을 금지한다.
     4. 소석회, 가성소다, 탄산소다 수용액을 살포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8.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 폭연
     2. 폭굉
     3. 반응 폭주
     4. 증기운 폭발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9. <보기>는 이상기체의 성질 및 법칙에 관한 설명이다.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0. 수소가스를 사용하는 연구실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하였다. 사고의 원인이 된 수소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ㄴ, ㄷ
     2. ㄹ, ㅁ
     3. ㄱ, ㄴ, ㄹ
     4. ㄱ, ㄷ,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과목 : 가계ㆍ물리 안전관리


61. <보기>의 기계요소가 가지는 위험점으로 옳은 것은?

    

     1. 회전말림점
     2. 접선물림점
     3. 협착점
     4. 끼임점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2. 기계‧기구와 방호장치의 연결이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3. 기계‧기구 설비의 안전화 방법과 예시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4. 연구기기 및 장비 취급 시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5. 교류아크용접기 사용 시 착용해야 하는 개인보호구를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ㄹ
     2. ㄴ, ㄷ
     3. ㄱ, ㄴ, ㄷ
     4.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6. 만능재료시험기(UTM)의 안전 수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말릴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면장갑 착용을 금지한다.
     2. 시험 재료의 끊어짐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에 스크린(가드)을 설치 한다.
     3. 압축 모드로 가동 시 재료가 부서져 파편이 튈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4. 장비 가동 전 해당 연구실 연구활동종사자들에게 알려 가동 중 접근을 금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7. 연구실에서 사용하는 오븐에 고온 위험을 경고하기 위하여 부착하는 안전보건표지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8. 큰 소음이 발생하는 기계 또는 환경에 노출된 연구활동종사자에게 주로 고음을 차음하고 저음(회화음 영역)은 차음하지 않는 성능의 귀마개를 지급할 때, 지급하는 귀마개의 기호로 옳은 것은?
     1. PNC
     2. EP-1
     3. EP-2
     4. E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9. 탁상용 연삭기의 사용 전 점검 내용 및 조치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삭숫돌과 조정핀의 간격은 10 mm 이내로 조정한다.
     2. 작업대(워크레스트)와 연삭숫돌과의 간격은 3 mm 이내로 조정한다.
     3. 방호덮개 등 방호장치 설치 상태를 확인하고 미설치 시 적절하 보호구를 착용한다.
     4. 작업 시작 전 1분 이상, 연삭숫돌 교체 후 3분 이상 시험운전을 하고 이상 유무를 확인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0. 다음은 연구실 주요 기계설비의 종류별 위험성에 관한 내용이다.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1. 연구실 주요기기와 해당 주요 위험요소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2. [지문]에서 설명하는 실험기구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ㄹ
     3.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3. 기계‧기구 취급 중 끼임 및 절단 사고 발생 시 사고 대응 단계에서 해야 할 조치로 옳지 않은 것은?
     1. 119 신고
     2. 사고 원인 조사
     3. 상처 부위 지혈 조치
     4. 작동 중인 기계 중지 및 전원 차단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4. 연구실에서 사용하는 레이저의 위험요인에 의한 사고 유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실명
     2. 감전
     3. 화상
     4. 질식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5.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규정하는 충격소음 작업이 아닌 것은? (단, 소음은 1초 이상 간격으로 발생한다.)
     1. 110데시벨을 초과하는 소음이 1일 5만회 이상 발생하는 작업
     2. 120데시벨을 초과하는 소음이 1일 1만회 이상 발생하는 작업
     3. 130데시벨을 초과하는 소음이 1일 1천회 이상 발생하는 작업
     4. 140데시벨을 초과하는 소음이 1일 1백회 이상 발생하는 작업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6. 「연구실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 실시에 관한 지침」에서 규정하는 물리적 유해인자 중 이상기압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절대압력이 제곱센티미터당 1킬로그램 초과 또는 미만인 기압
     2. 절대압력이 제곱센티미터당 2킬로그램 초과 또는 미만인 기압
     3. 게이지압력이 제곱센티미터당 1킬로그램 초과 또는 미만인 기압
     4. 게이지압력이 제곱센티미터당 1킬로그램 초과 또는 미만인 기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7. ( ) 안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1. 80
     2. 85
     3. 90
     4. 95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8. 방사선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방사선 관리구역을 지정하여야 한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규정하는 방사선 관리구역에 게시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단, ‘그 밖에 방사선 건강장해 방지에 필요한 사항’은 제외한다.)
     1. 방사선 업무상 주의사항
     2. 방사선 예방 업무 계획 및 절차
     3. 방사선량 측정용구의 착용에 관한 주의사항
     4. 방사선 피폭 등 사고 발생 시의 응급조치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9. ‘IEC 60825-1’에서 규정하는 레이저빔의 등급에 따른 위험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3R등급 : 눈이 레이저빔에 노출되면 안구 손상 위험이 있다.
     2. 3B등급 : 직‧간접적으로 레이저빔에 노출되면 안구 손상 및 피부 화상 위험이 있다.
     3. 2등급 : 직접 노출되거나 또는 거울 등에 의한 정반사 레이저빔에 노출되면 안구 손상 위험이 있다.
     4. 1등급 : 노출한계가 최대 1 ㎽이며, 눈을 깜빡여서 위험으로 부터 안구를 보호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0.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 조사선량
     2. 등가선량
     3. 유효선량
     4. 집단선량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과목 : 생물 안전관리


81. 생물안전 관련 법적 용어의 정의가 옳지 않은 것은?
     1. ‘유전자변형생물체(LMO)’ 란 현대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하여 새롭게 조합된 유전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생물체를 말한다.
     2. ‘생물작용제’ 란 생물체가 만드는 물질 중 인간이나 동식물에 사망, 고사, 질병, 일시적 무능화나 영구적 상해를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3. ‘고위험병원체’ 란 생무렡러의 목적으로 이용되거나 사고 등에 의하여 외부에 유출될 경우 국민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감염병병원체로서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4. ‘생물안전’ 이란 잠재적으로 인체 및 환경 위해 가능성이 있는 생물체 또는 생물재해로부터 실험자 및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지식과 기술, 그리고 장비 및 시설을 적절히 사용하도록 하는 조치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2. 「유전자재조합실험지침」에서 규정하는 위해수준에 따른 실험 종류가 아닌 것은?
     1. 기관신고실험
     2. 기관승인실험
     3. 국가신고실험
     4. 국가승인실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3. 다음은 「연구실안전 및 생물안전 관리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른 대상별 생물안전 관련 법정교육 시간에 관한 내용이다. ( ) 안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4. 「고위험병원체 취급시설 및 안전관리에 관한 고시」에 따른 고위험병원체 전담관리자의 역할로 옳은 것은?
     1. 사고에 대한 응급조치 및 비상대처방안 마련
     2. 기관 또는 연구실 내 생물안전사고 조사 및 보고 실수
     3. 고위험병원체 취급시설 유지보수 관리
     4. 고위험병원체 취급시설 설치‧운영 상태 확인 및 관리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5. 기관생물안전위원회(IBC)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생물안전관리규정 제‧개정
     2. 생물안전관리책임자 지정
     3. 연구시설 폐쇄 계획 및 결과서 심의
     4. 실험계획 및 생물학적 위해성평가 심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6. LMO 연구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량배양 연구시설’이란 유전자재조합실험 중 10리터 이상의 배양 용량 규모로 실시하는 실험을 수행하는 연구시설을 말한다.
     2. ‘동물이용 연구시설’이란 유전자변형동물을 개발하거나 이를 이용하는 실험 및 기타 유전자재조합분자 또는 유전자변형 생물체를 동물(곤충 및 어류 제외)에 도입하는 실험을 수행하는 연구시설을 말한다.
     3. ‘식물이용 연구시설’이란 유전자변형식물을 개발하거나 이를 이용하는 실험 및 기타 유전자재조합분자 또는 유전자변형 생물체를 식물에 도입하는 실험을 수행하는 연구시설을 말한다.
     4. ‘격리포장시설’이란 유전자재조합분자 또는 유전자변형생물체를 이용하여 유전자치료제나 세포치료제로 사용되는 유전자재조합의약품을 생산하는 시설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7.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반드시 연구시설 허가를 취소하거나 폐쇄를 명하여야 하는 경우는?
     1. 변경 신고를 하지 않고 신고 내용을 변경한 경우
     2. 속임수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허가를 받거나 신고한 경우
     3. 연구시설의 안전관리 등급에 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준수사항을 지키지 않은 경우
     4.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승인을 받지 않고 대통령령으로 정한 위해 가능성이 큰 유전자 변형생물체 개발‧실험을 한 경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8. 「고위험병원체 취급시설 및 안전관리에 관한 고시」에서 규정하는 고위험병원체 취급시설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일반 취급시설
     2. 동물이용 취급시설
     3. 어류이용 취급시설
     4. 대량배양 취급시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9. 대학교에서 미생물 연구를 위하여 시험‧연구용 LMO 연구시설 운영 시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통합고시」에 따라 필수적으로 작성 및 보관해야 하는 서류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ㄹ
     3.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0. 「고위험병원체 취급시설 및 안전관리에 관한 고시」에서 규정하는 생물안전 2등급 고위험병원체 취급시설의 설치‧운영신고 시 제출해야하는 서류를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1. 연구실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에 따라 지정된 의료기관 및 시험‧연구시설에서 발생한 모든 폐기물은 의료폐기물에 해당한다.
     2. 연구실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중 감염성물질과 접촉‧혼합되는 폐기물은 모두 의료폐기물로 구분한다.
     3. 시험‧연구기관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의료폐기물은 「폐기물관리법」에서 정한 의료폐기물의 기준 및 방법에 따라 안전 하게 처리해야 한다.
     4. 모든 연구활동종사자는 「폐기물관리법」 관련규정을 충분히 숙지하고 처리 절차를 준수하여 안전한 폐기물 처리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2.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 병리계폐기물
     2. 조직물류폐기물
     3. 혈액오염폐기물
     4. 생물‧화학폐기물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3.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에 따라 의료폐기물의 종류, 양, 보관 기간 등을 기재한 보관창고 표지판의 글자색으로 옳은 것은?
     1. 붉은색
     2. 노란색
     3. 검정색
     4. 녹색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4.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 시험‧연구기관장
     2. 기관생물안전위원회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4. 유전자재조합실험자문위원회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5. <그림>의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에 배출 가능한 폐기물이 아닌 것은?

    

     1. 폐백신
     2. 보관균주
     3. 주사바늘
     4. 슬라이드, 커버글라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6. 실험 중 감연성물질이 들어 있는 주사기에 찔렸을 때 해당 연구활동종사자가 취해야 할 대응 조치로 옳은 것은?
     1. 신속히 찔린 부위의 보호구를 벗고 15분 이상 충분히 흐르는 물 또는 생리식염수로 세척한다.
     2. 추가적인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새로운 장갑을 착용하고 주사기의 바늘에 캡을 씌운다
     3. 생물학적 유출물 처리 키트를 이용하여 주사기 내부에 남아 있는 감염성물질을 처리한다.
     4. 사용한 주사바늘 및 폐기물을 봉투형 폐기물용기에 담아 고압증기멸균기로 생물학적 활성을 제거한 후 폐기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7. 병원성 미생물을 취급하는 연구실에서 생물안전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8. 감염성물질을 섭취한 사고 발생에 대한 조치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고가 발생하면 연구실책임자에게 즉시 보고 한다.
     2. 사고가 발생하면 장갑 또는 실험복 등 개인보호구 착용 상태로 즉시 병원으로 가서 진료를 받는다.
     3. 연구실책임자는 안전관리 담당자 또는 의료관리자에게 보고하고, 사고자가 적절한 의료 조치를 받도록 한다.
     4. 연구실책임자는 섭취한 물질과 사고 사항을 상세히 기록하여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관련자들에게 전달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9. 다음 중 미생물 배양액 유출 사고 시 배양액 처리를 위한 생물학적 유출물 처리 키트 사용 절차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ㄱ → ㄴ → ㄹ → ㅁ → ㄷ → ㅂ
     2. ㄱ → ㄹ → ㄷ → ㄴ → ㅁ → ㅂ
     3. ㄴ → ㄱ → ㅁ → ㄷ → ㄹ → ㅂ
     4. ㄴ → ㄷ → ㅁ → ㄹ → ㄱ → ㅂ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0. 다음은 시험‧연구용 LMO의 정보이다. 이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할 때 생물안전 확보를 위하여 준수해야 하는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용 실험복 등 개인보호구를 비치 및 사용한다.
     2. 기관생물안전위원회를 구성하고 생물안전관리 규정을 마련한다.
     3. 취급 병원체에 대한 백신이 이쓴ㄴ 경우 접종 받는다.
     4. LMO 취급은 무균작업대(무균실험대, Clean Bench)에서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과목 : 전기ㆍ소방 안전관리


101. 실내에 구획된 연구실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구실의 방향
     2. 연구실의 면적
     3. 연구실의 천장 높이
     4. 최초 발화되는 가연물의 크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2. 「비상경보설비 및 단독경보형감지기의 화재안전 성능기준」에서 규정하는 비상경보설비 설치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음향장치의 음량은 부착된 음향장치의 중심으로부터 1미터 떨어진 위치에서 70데시벨 이상이 되는 것으로 하여야 한다.
     2.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음향장치까지의 수평거리가 25미터 이하가 되도록 한다.
     3. 부식성가스 또는 습기 등으로 인하여 부식의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4. 음향자잋는 정격전압의 80퍼센트 전압에서 음향을 발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3. 실내 연구실 화재의 진행 과정 중 감쇠기(Deca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백드래프트(Bach Draft)가 일어나기도 한다.
     2. 화세가 부분적으로 소멸하고, 다른 곳으로의 연소 위험이 없다.
     3. 실내 전체에 화염이 충만하며 연소가 최고조에 달한다.
     4. 지붕이나 벽체, 대들보나 기둥이 무너져 떨어지고, 연기는 흑색에서 백색으로 변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4.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 누전
     2. 단락
     3. 과부하
     4. 접촉불량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5. <보기>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중 ‘충전전로에서의 전기작업’에 관한 내용의 일부이다. ( ) 안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6.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에서 규정하는 위험물의 유별, 성질, 품명의 설명이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7. 전기설비의 방폭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본질안전방폭구조’는 정상 상태에서 착화될 부분에 안전도를 증가시켜 위험을 방지하는 구조이다.
     2. ‘압력방폭구조’는 전기설비 용기 내에 부로할성 기체를 봉입시켜 가연성가스의 침입을 방지하는 구조이다.
     3. ‘내압방폭구조’는 폭발 압력에 견디는 특수한 구조로, 가연성가스의 전파를 차단하기 위하여 용기 내부를 압력에 견디도록 전폐 구조로 한 것이다.
     4. ‘유입방폭구조’는 전기불꽃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스위치, 전기기기 등)을 절연유 속에 잠기게 하여 외부에 존재하는 가연성가스에 점화될 우려가 없도록 하는 구조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8.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 퇴피본능
     2. 귀소본능
     3. 추종본능
     4. 지광본능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9. 완강기 사용 시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1. 릴을 건물 내에 놓고 하강한다.
     2. 지지대를 건물 배누로 향하게 한다.
     3. 완강기를 타고 내려가면서 두 팔을 위로 들지 않는다.
     4. 벨트를 머리에서부터 뒤집어쓰고, 가슴 압박이 되지 않도록 고정링을 풀어놓는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0. 누전으로 인한 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실외 전기시설물의 경우 빗물이나 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관리한다.
     2. 전선 성태(절연 피복, 압착 여부)를 주기적으로 점검한다.
     3. 누전경보기 및 누전차단기를 설치한다.
     4. 배선용차단기를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1. 전동기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기적으로 접지선의 접속 상태 및 접지 저항을 점검한다.
     2. 인화성가스 등의 가연성물질이 있는 곳에는 방폭형을 사용한다.
     3. 먼지, 분전 등의 부착으로 통풍냉각이 방해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청소한다.
     4. 과부하를 고려하여 규정전압의 80%에서 운전하고, 온도계를 사용하여 과열 여부를 수시로 점검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2. 연구실 내 전기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과전류 차단장치를 설치한다.
     2. 누전차단기를 설치하고 월 1~2회 동작 여부를 확인한다.
     3. 고열이 발생하는 전열기구에는 비닐전설을 사용한다,
     4. 규격 퓨즈를 사용하고, 퓨즈가 끊어질 경우 그 원인을 조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3. 폭발위험장소의 종별(Zone)을 추정할 때 포함해야 하는 요소를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ㄹ
     2. ㄱ, ㄷ, ㅁ
     3. ㄴ, ㄷ, ㄹ
     4. ㄴ, ㄹ,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4. 정전기 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서로 다른 두 물체가 접촉 후 분리될 때 두 물체에 반대 극성의 전하가 발생한다.
     2. 전하로 인한 전계 효과에 비하여 자계 효과가 작아 전하의 이동으로 인한 자계 효과를 무시할 수 있는 전기이다.
     3. 두 물체가 접촉 후 분리되는 과정에서 전위와 정전용량이 모두 상승한다.
     4. 분리된 두 물체에서 발생하는 전하는 누설과 재결합의 과정을 통해 점초 소멸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5.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성능 기준」에 따라 연구기관의 신축 건축물에 소화 기구를 설치하려고 할 때, 설치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화기는 층마다 설치한다.
     2. 설치 장소에 따라 화재 종류별로 적응성을 가진 소화약제를 선택한다.
     3.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1개의 소형 소화기까지의 보행거리는 30미터로 한다.
     4.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소화기구는 바닥면적 20제곱미터 미만의 지하층에 설치할 수 없다. 단, 배기를 위한 유효한 개구부가 있는 장소는 예외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6. 「한국전기설비규정(KEC)」에서 규정하는 콘센트의 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콘센트를 바닥에 시설하는 경우 방수 구조의 플로어박스에 설치하여야 한다.
     2. 매입형 콘센트를 조영재에 매입할 경우 견고한 금속제로 된 박스 속에 시설하여야 한다.
     3. 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수분기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콘센트는 접지용 단자가 있는 것을 사용한다.
     4. 인체가 물에 젖어있는 상태에서 전기를 사용하는 장소에는 접지극이 있는 노출형 콘센트를 견고하게 시설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7. 소화기의 점검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레버의 변형 및 파손 유무를 확인한다.
     2. 분말소화기는 약제가 굳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3. 호스가 찢어져 약제가 누설될 우려가 없는지를 확인한다.
     4. 지시압력계가 노란색에 위치하여 과압 상태가 아님을 확인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8. <보기>는 「한국전기설비규정(KEC)」 중 ‘누전차단기의 시설’에 관한 내용의 일부이다.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가아닌 것은?

    

     1. 기계기구를 건조한 곳에 시설하는 경우
     2. 기계기구가 고무, 합성수지 기타 절연물로 피복된 경우
     3. 대지전압이 150V 이하인 기계기구를 물기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경우
     4. 기계기루를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 시설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9.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스프링클러설비는?

    

     1. 습식 스프링클러설비
     2. 건식 스프링클러설비
     3.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4.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0. 「한국전기설비규정(KEC)」에 따라 안전을 위하여 과부하보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는 회로를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ㅁ
     2. ㄴ, ㄷ, ㄹ
     3. ㄱ, ㄷ, ㄹ, ㅁ
     4.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1. 연구실의 환경 및 기계‧기구설비를 설계할 때, 인간중심 설계를 하는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간중심설계는 안전성을 증가시킴
     2. 인간중심설계는 작업 시간을 증가시킴
     3. 인간중심설계는 작업 환경의 쾌적성을 향상시킴
     4. 인간중심설계는 기계‧기구설비 조작의 효율성을 향상시킴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2.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에서 규정하는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가 아닌 것은?
     1. 8시간 시간가중평균 80㏈ 이상의 소음
     2. 「안전보건규칙」 제558조에 따른 고열
     3. 유리섬유
     4. 라돈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3.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량적 표시장치는 바람직한 범위를 유지하는 경우 또는 변화 추세, 변화율 등을 알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2. 정보(표시 값)가 계속 변하는 경우나 변화 방향이나 변화 속도를 관찰하는 경우에는 아날로그 장치가 디지털 장치보다 유용하다.
     3. 정보가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청각적 표시장치보다 시각적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4. 후각적 표시장치는 경보장치로서 실용성이 없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4.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인간공학적 접근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반복을 증대한다.
     2. 가변성을 제공한다.
     3. 중립자세를 회피한다.
     4. 힘이 필요할 떄는 집게쥐기(Pinch Grip)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5. 인간공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Ergonomics는 인지적 측면의 연구에서, Human Factors는 육체적 측명의 연구에서 주로 사용한다.
     2. 사용환경, 시스템‧과업, 인간이 연구의 대상이 된다.
     3. 기계와 일을 인간에 맞추련느 설계를 한다.
     4. 인간의 특성과 한계를 설계에 반영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6.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에서 규정하는 생식독성물질이 아닌 것은?
     1. 납(Pb)
     2. 비소(As)
     3. 일산화탄소(CO)
     4. 2-브로모프로판(CH3)2CHBr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7.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에서 규정하는 발암물질의 분류에서 사람에게 충분한 발암성 증거가 있는 물질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8. 휴먼에러의 분류별 예시가 옳지 않은 것은?
     1. 연구실에서 실험을 진행할 때, A 시약, B 시약, C 시약 순서로 투입하여야 하는데 A 시약, C 시약, B 시약 순서로 투입하는 경우는 부적절한 행동오류(Extraneous Erro)에 해당한다.
     2. 연구실에 부착된 표지판의 문자를 몰라 안전규칙을 위반하는 경우는 지식 기반 오류(Knowledge Based Error)에 해당한다.
     3. 연구실에서 흡연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의로 무시하는 경우는 위반(Violation)에 해당한다.
     4. 연구실 설비를 작동 할 때, A 버튼을 눌러야 하는데 B 버튼을 누르는 경우는 실수(Slip)에 해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9.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령」에서 규정하는 특수건강검진 대상 유해인자를 취급하는 연구활동종사자는 특수건강검진을 받야야 한다. 연구활동종사자가 유해인자를 취급한 후 특수 건강검진을 받아야 하는 유해인자와 첫 번째 특수건강검진 시기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0.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 풀프루프(Fool Proof)
     2. 페일세이프(Fail Safe)
     3. 다중성(Multyplicity)
     4. 템퍼프루프(Tamper Proof)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1. 다음은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서 규정하는 연구활동별 적합한 보호구에 관한 내용이다. (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2. 보호구의 구비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관이 양호하여야 한다.
     2. 품질이 양호하여야 한다.
     3. 연구활동에 방해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4. 유해위험요소에 관한 충분한 방호 성능이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3. 호흡보호구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호흡보호구 선정 전 공기 중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한다.
     2. 밀착형 호흡보호구는 정성 또는 정량 밀착도 검사를 권고한다.
     3. 유해물질의 평균농도를 고려하여 호흡보호구를 선정해야 한다.
     4. 오염물질의 물리화학 및 독성 특성을 이해하고 호흡보호구를 선정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4. 「연구실 설치운영에 관한 기준」에서 규정하는 중위험연구실의 안전장치 설치‧운영기준 중 권장사항으로 옳은 것은?
     1. 흄후드 등의 국소배기장치 설치
     2. 적합한 유형, 성능의 생물안전작업대 설치
     3. 생물안전작업대 내 UV 램프 및 헤파필터 점검
     4. 연구실 내 폐기물 보관 최소화 및 주기적인 배출‧처리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5.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서는 연구활동에 적합한 보호구를 규정하고 있다. 감염성 또는 잠재적 감염성이 있는 혈액, 세포, 조직 등을 취급하는 연구활동에서 착용해야 하는 적합한 보호구가 아닌 것은?
     1. 보안경
     2. 재사용 장갑
     3. 실험복
     4. 수술용 마스크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6. 연구실에 반드시 전체환기를 적용해야 하는 경우는?
     1. 배출원이 이동성일 경우
     2. 유해물질의 발생량이 많을 경우
     3. 동일한 작업장에 다수의 오염원이 모여 있는 경우
     4. 오염원이 작업자의 작업장소로부터 가까이 있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7. 연구활동종사자를 오염원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국소배기장치를 설치하려고 한다. 국소배기장치의 구성요소 설치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후드 → 덕트 → 공기정화장치 → 송풍기
     2. 덕트 → 후드 → 공기정화장치 → 송풍기
     3. 덕트 → 공기정화장치 → 후드 → 송풍기
     4. 후드 → 공기정화장치 → 덕트 → 송풍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8. 연구실 내 국소배기장치의 후드 선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업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한다.
     2. 작업자의 호흡 영역을 보호한다.
     3. 필요 환기량을 최대화 한다.
     4. 추천 설계사양을 따른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9. ( ) 안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1. 0.5
     2. 0.7
     3. 1.0
     4. 1.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40.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온가스를 처리할 수 있어 보일러와 철강로 등에 설치가 가능하다.
     2. 넓은 범위의 입경에 있어선느 집진효율이 낮다.
     3. 가연성 입자의 집진 시 처리가 쉽다.
     4. 운전 및 유지 비용이 비싸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연구실안전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7월06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 소방공무원(경력) 화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3월29일(16517)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28 지능형홈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3월30일(1651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27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소방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3월29일(16519)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
26 소방공무원(경력)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3월29일(1652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2
25 소방공무원(공개) 소방관계법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3월29일(1652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9
24 소방공무원(공개)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3월29일(16522) 좋은아빠되기 2025.10.08 2
2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8월09일(16523) 좋은아빠되기 2025.10.08 2
22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본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8월09일(16524) 좋은아빠되기 2025.10.08 9
21 PC정비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8월24일(16525) 좋은아빠되기 2025.10.08 2
20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8월24일(16526) 좋은아빠되기 2025.10.08 5
19 유통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8월30일(16527) 좋은아빠되기 2025.10.08 5
18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8월30일(16528) 좋은아빠되기 2025.10.08 3
17 유통관리사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8월30일(16529) 좋은아빠되기 2025.10.08 2
» 연구실안전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7월06일(16530) 좋은아빠되기 2025.10.08 2
15 관광통역안내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9월06일(16531) 좋은아빠되기 2025.10.08 15
14 정수시설운영관리사 3급 1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8월10일(16532) 좋은아빠되기 2025.10.08 3
13 법조윤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8월02일(16533) 좋은아빠되기 2025.10.08 2
12 연구실안전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7월12일(16534) 좋은아빠되기 2025.10.08 7
11 정수시설운영관리사 1급 1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9월27일(16535) 좋은아빠되기 2025.10.11 3
10 정수시설운영관리사 2급 1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9월27일(16536) 좋은아빠되기 2025.10.11 2
Board Pagination Prev 1 ... 775 776 777 778 779 780 781 782 783 784 Next
/ 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