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방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1일)(155272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방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방수일반


1. 투시도법에 사용되는 기호의 의미가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V.P: 소점
     2. S.P: 정점
     3. E.P: 화면
     4. G.P: 기면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E.P(eye point) 시점
[해설작성자 : 시온도장도료]

2. 다음 중 소음방지 시설에 속하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소음기
     2. 흡음시설
     3. 방진구시설
     4. 방음벽시설

     정답 : []
     정답률 : 85%

3. 커튼월 공사에서 실물 모형 실험(Mock-up test)의 시험 종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3년 08월)
     1. 기밀시험
     2. 구조시험
     3. 내화시험
     4. 정압수밀시험

     정답 : []
     정답률 : 83%

4. 건축제도에 사용되는 선의 종류와 용도의 연결이 옳은 것은?(2014년 08월)
     1. 1점 쇄선 - 인출선
     2. 2점 쇄선 - 상상선
     3. 굵은 실선 - 기준선
     4. 가는 실선 – 참고선

     정답 : []
     정답률 : 95%

5. 다음 중 재해발생 시 가장 먼저 조치하여야 하는 사항은?(2020년 08월)
     1. 원인조사
     2. 대책수립
     3. 목격자 확보
     4. 재해자 응급조치

     정답 : []
     정답률 : 87%

6. 창호의 재질별 기호가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W: 목재
     2. SS: 강철
     3. P: 합성수지
     4. A: 알루미늄합금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알루미늄 합금 (A)
합성수지 (P)
강철 (S)
스테인리스 스틸 (SS)
목재(W)
[해설작성자 : 불똥이타닥타닥]

7. 한국산업표준(KS)에 따른 포틀랜드 시멘트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4년 08월)
     1.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2. 저열 포틀랜드 시멘트
     3.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
     4.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정답 : []
     정답률 : 84%

8. 하인리히(W.H Heinrich)의 재해예방 4원칙에 속하지 않는 것은?(2020년 08월)
     1. 예방 가능의 원칙
     2. 손실 우연의 원칙
     3. 재현 불가의 원칙
     4. 대책 선정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72%

9. 재해발생 원인 중 인적 요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착오
     2. 피로
     3. 무의식 행동
     4. 안전교육 부족

     정답 : []
     정답률 : 82%

10. 건축제도의 치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치수의 단위는 센티미터(cm)를 원칙으로 한다.
     2. 치수 기입은 치수선 중앙 윗부분에 기입하는 것이 원칙이다.
     3. 치수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마무리 치수로 표시한다.
     4. 치수 기입은 치수선에 평행하게 도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아래로부터 위로 읽을 수 있도록 기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11.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하아비(Harvey.J.H)의 시정책(3E)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4년 08월)
     1. 감독의 실시
     2. 교육 및 훈련
     3. 처벌규정 강화
     4. 시설과 장비의 결함개선

     정답 : []
     정답률 : 93%

12. 홈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처마홈통과 선홈통을 연결하는 경사홈통을 깔대기홈통이라 한다.
     2. 처마 끝에 수평으로 설치하여 빗물을 받는 홈통을 처마홈통이라 한다.
     3. 처마홈통에서 내려오는 빗물을 지상으로 유도하는 수직 홈통을 선홈통이라 한다.
     4. 두 개의 지붕면이 만나는 자리 또는 지붕면과 벽면이 만나는 수평 지붕골에 쓰이는 홈통을 장식홈통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13. 금속 커튼월의 성능 시험중 시험소 실물 모형시험(mock up test)의 시험종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 건축공사표준시방서 기준)(2016년 08월)
     1. 기밀시험
     2. 구조시험
     3. 정압수밀시험
     4. 인장강도시험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예비시험 정압수밀시험 동압수밀시험 기밀시험 구조시험
자료ㅡ표준시방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목재의 유성 방주재로 방부성이 우수하나 흑갈색으로 외관이 좋지 않아 눈에 보이지 않는 토대, 기둥, 도리 등에 사용되는 것은?(2016년 08월)
     1. 크레오소트유
     2. 펜타클로로페놀
     3. 황산동 1% 용액
     4. 불화소다 2% 용액

     정답 : []
     정답률 : 82%

15. 건축제도에서 치수 표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치수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마무리 치수로 표시한다.
     2. 협소한 간격이 연속될 때에는 인출선을 사용하여 치수를 쓴다.
     3. 치수 기입은 치수선을 중단하고 선의 중앙에 기입하는 것이 원칙이다.
     4. 치수의 단위는 밀리미터(mm)를 원칙으로 하고, 이 때 단위 기호는 쓰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9%

16. 연평균 근로자수가 1000명인 사업장에서 한 해 동안 15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을 경우 연천인율은? (단, 근로자는 1일 8시간, 연간 250일을 근무하였다.)(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10
     2. 15
     3. 20
     4. 25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사상자/근로자수 ×1000
15/1000 ×1000 = 15
결국 사상자수가 답이네요 ㅎ
[해설작성자 : 스노우맨69 ]

17. 건축도면에서 굵은 실선으로 표시되는 것은?(2020년 08월)
     1. 기준선
     2. 절단선
     3. 단면선
     4. 치수선

     정답 : []
     정답률 : 65%

18. 각종 선의 용도에 관한 셜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굵은 실선은 단면의 윤곽 표시에 사용된다.
     2. 파선은 보이지 않은 부분의 표시에 사용된다.
     3. 1점 쇄선은 중심선, 절단선의 표시에 사용된다.
     4. 2점 쇄선은 치수선, 격자선의 표시에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81%

19.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응결시간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비카시험의 경우)(2020년 08월)
     1. 60분 이상 10시간 이하
     2. 60분 이상 12시간 이하
     3. 90분 이상 10시간 이하
     4. 90분 이상 12시간 이하

     정답 : []
     정답률 : 67%

20. 화재의 분류에서 전기배선 및 전기기구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의미하는 것은?(2014년 08월)
     1. A급 화재
     2. B급 화재
     3. C급 화재
     4. D급 화재

     정답 : []
     정답률 : 88%

2과목 : 방수재료


21. 도막 방수층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영문기호 “Gu”로 표기되는 재료는?(2014년 08월)
     1. 우레탄 고무
     2. 아크릴 고무
     3. 실리콘 고무
     4. 고무 아스팔트

     정답 : []
     정답률 : 93%

22. 건축용 실령재를 용도에 따라 구분할 경우, 글레이징에 사용하는 실령재는?(2014년 08월)
     1. A형
     2. C형
     3. F형
     4. G형

     정답 : []
     정답률 : 92%

23. 다음 설명과 관련된 지붕 방수재료의 요구 성능은?(2019년 08월)

    

     1. 내후성
     2. 통기성
     3. 부착성
     4. 내마모성

     정답 : []
     정답률 : 85%

24. 천연의 유기섬유를 원료로 한 원지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함침시켜 만든 방수재료는?(2020년 08월)
     1. 아스팔트 루핑
     2. 아스팔트 펠트
     3. 아스팔트 컴파운드
     4. 아스팔트 프라이머

     정답 : []
     정답률 : 70%

25. 다음 설명에 알맞은 방수 공사용 아스팔트의 종류는?(2019년 08월)

    

     1. 1종
     2. 2종
     3. 3종
     4. 4종

     정답 : []
     정답률 : 77%

26. 건축용 실링재를 용도에 따라 구분할 경우, 글레이징에 사용하는 실링재는?(2020년 08월)
     1. A형
     2. C형
     3. F형
     4. G형

     정답 : []
     정답률 : 74%

27.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방수재의 성능 시험 항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2020년 08월)
     1. 내산성
     2. 내균열성
     3. 부착강도
     4. 내잔갈림성

     정답 : []
     정답률 : 57%

28. 다음의 시멘트 액체형 방수제의 품질시험 항목 중 시험에 사용되는 시험체의 개수가 가장 적은 것은?(2014년 08월)
     1. 안정성
     2. 응결시간
     3. 압축강도
     4. 부착강도

     정답 : []
     정답률 : 80%

29. 다음 중 지붕방수에 사용되는 방수재료의 요구성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8월)
     1. 내후성
     2. 내충격성
     3. 습윤면 부착성
     4. 바탕재에 대한 거동 추종성

     정답 : []
     정답률 : 75%

30. 다음 설명에 알맞은 방수시트의 종류는?(2018년 08월)

    

     1. 자착형 방수시트
     2. 섬유제 방수시트
     3. 개량 아스팔트 방수시트
     4. 합성 고분자계 방수시트

     정답 : []
     정답률 : 72%

31. 멤브레인 방수층의 성능평가 시험 종류 중 시트계에는 적용하나 도막계에는 적용하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처짐 저항성 시험
     2. 패임 저항성 시험
     3. 충격 저항성 시험
     4. 내피로(균열 거동) 시험

     정답 : []
     정답률 : 80%

32. 폴리우레아 수지 도막 방수재의 인장강도 품질기준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8N/mm2 이상
     2. 16N/mm2 이상
     3. 24N/mm2 이상
     4. 32N/mm2 이상

     정답 : []
     정답률 : 68%

33. 규산질계 분말형 도포 방수재의 품질시험 항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6년 08월)
     1. 부착 강도
     2. 압축 강도
     3. 온도 의존성
     4. 내진갈림성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규산질계 분말형 도포 방수재의 품질시험 항목으로는 부착강도, 내잔갈림성, 흡수량, 압축강도 등이 있습니다.
정답은 3번이고 실제 복원기출에는 온도의존성이 아닌 인장강도로 나와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시온도장도료]

[오류신고 반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오상근 교수님 자료에 의하면 규산질계 분말형 도포방수재 품질기준은
부착강도, 내진갈림성, 흡수량, 압축강도입니다.
하여 정답은 온도의존성 3번 입니다.
[해설작성자 : 조재현]

[추가 오류 신고]
방수용어에서 4번 내진갈림성이라는 용어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지진에 대한 내진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내(잔갈림)성입니다. 잔갈림, 다시말해 표면의 미세한 크랙들을 의미합니다.
[해설작성자 : 시온도장도료]

34. 폴리우레아수지 도막 방수재의 요구 성능 중 진동 또는 거동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는 구조물에서 사용하고자 할 때 특히 요구되는 성능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부착 성능
     2. 내피로 성능
     3. 도포 작업성능
     4. 온도 의존 성능

     정답 : []
     정답률 : 74%

35. 다음은 폴리우레아 수지 도막 방수재의 인장 성능 품질 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2019년 08월)

    

     1. ㉠ 8이상, ㉡ 150이상
     2. ㉠ 8이상, ㉡ 300이상
     3. ㉠ 16이상, ㉡ 150이상
     4. ㉠ 16이상, ㉡ 300이상

     정답 : []
     정답률 : 70%

36. 건설용 도막 방수재의 성능 시험 항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 우레탄 고무계의 경우)(2019년 08월)
     1. 인장 성능
     2. 인열 성능
     3. 압축 성능
     4. 부착 성능

     정답 : []
     정답률 : 66%

37. 시멘트 혼입 폴리머 방수재의 성능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흡수량: 2.0g 이하
     2. 인장 강도: 0.5N/mm2 이상
     3. 부착강도(표준): 0.8N/mm2 이상
     4. 내투수성: 0.3N/mm2 수압에서 투수되지 않을 것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인장강도 : 1.0N/mm2 이상
[해설작성자 : 시온도장도료]

38. 합성 고분자계 방수 시트 중 균질 시트의 인장 강도 품질기준은? (단, 가황 고무계의 경우)(2019년 08월)
     1. 0.5MPa 이상
     2. 7.5MPa 이상
     3. 10MPa 이상
     4. 20MPa 이상

     정답 : []
     정답률 : 85%

39. 함성 고분자계 방수 시트 중 섬유, 보강포 등을 함침 또는 적층하여 물리적 성능을 증진시킨 시트 형태는?(2019년 08월)
     1. 일반 복합형
     2. 일반 균질형
     3. 보강 복합형
     4. 보강 균질형

     정답 : []
     정답률 : 77%

40. 한국산업표준(KS)에 따른 건설용 도막 방수재 중 인장강도가 가장 큰 것은?(2014년 08월)
     1. 아크릴 고무계
     2. 우레탄 고무계
     3. 실리콘 고무계
     4. 고무 아스팔트계

     정답 : []
     정답률 : 84%

3과목 : 방수시공


41. 벤토나이트 방수공사에서 벤토나이트 패널 시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수직면에서의 시공인 경우)(2019년 08월)
     1. 파형을 45° 경사지어 세운다.
     2. 패널을 자를 때에는 파형에 평평하게 자른다.
     3. 인접한 패널과의 겹칩은 50㎜ 이상으로 하여 못을 박아 고성시키고 끝부분을 테이프로 발라 처리한다.
     4. 시공이 끝난 패널의 끝부분은 알루미늄의 고정용 볼대를 대고 폭 200~300㎜ 간격으로 콘크리트 못으로 바탕에 고정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56%

42. 벤토나이트 방수공사에 사용되는 보호층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콘크리트 : 두께 30mm 이상
     2. 하드보드 : 두께 6.4mm 이상
     3. 섬유형 방수성 보호판 : 두께 12.7mm 이상
     4. 아스팔트섬유 혼입 보호판 : 두께 3.9mm 이상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 콘크리트: 50mm 이상
습기 차단막: 0.1mm 이상의 폴리에틸렌 필름
[해설작성자 : ㅇ]

43. 건축공사표준시방서에 따른 개량 아스팔트시트 방수공사의 공정 1에 사용되는 프라이머의 사용량은? (단, ALC 바탕이 아닌 경우)(2016년 08월)
     1. 0.3kg/m2
     2. 0.4kg/m2
     3. 0.5kg/m2
     4. 0.6kg/m2

     정답 : []
     정답률 : 73%

44. 방수시공 직전의 바탕 형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볼록모서리는 각이 없이 완만하게 면처리되어 있어야 한다.
     2. 치켜올림부 상단 끝부분에 설치되는 빗물막이 턱은 치켜올림부 RC와 일체로 하여 만들어야 한다,
     3. 오목모서리는 아스팔트 방수층의 경우에는 직각으로 아스팔트 외의 방수층은 삼각형으로 면처리 되어 있어야 한다.
     4. RC 바탕의 포면은 그라인더 등의 연마기나 블라스터 크리닝 등을 사용하여 평활하고, 깨끗하게 마무리되어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45. 방수공사에서 방수시공 직전의 바탕 형상에 관한 건축공사표준시방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블록모서리는 각이 없이 완만하게 면처리되어 있어야 한다.
     2. 치켜올림부는 방수층 끝 부분의 처리가 충분하게 되는 형상 높이로 되어 있어야 한다.
     3. 오목모서리는 아스팔트 방수층의 경우에는 직각으로 아스팔트 외의 방수층은 삼각형으로 면처리되어 있어야 한다.
     4. RC 바탕의 표면은 그라인더 등의 연마기나 블라스터 클리닝 등을 사용하여 평활하고, 깨끗하게 마무리 되어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46. 지붕에서 통상의 보행을 위한 방수층의 보호 및 마감의 표준에 속하는 것은?(2020년 08월)
     1. 자갈깔기
     2. 우레탄 포장재
     3. 현장타설 콘크리트
     4. 아스팔트 콘크리트

     정답 : []
     정답률 : 64%

47. 벤토나이트 패널의 수직면에서의 시공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시공이 끝난 패널의 끝부분은 접착제로 붙여 마감한다.
     2. 패널을 자를 때에는 파형에 평행하게 잘라 벤토나이트의 손실이 없도록 한다.
     3. 벤토나이트 패널은 기초 바닥면에서 시작하여 콘크리트 못이나 접착제로 고정시키면서 설치한다.
     4. 관통파이프 부분과 슬래브 모서리 부분은 미리 벤토나이트 패널로 덧바름하고 그 위를 겹쳐 바른 후, 벤토나이트 실란트로 겹침이음부를 처리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48. 아스팔트 방수공사에서 지붕 방수층의 보호 및 마감의 시공 표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경우)(2020년 08월)
     1. 평면부 콘크리트에는 신축줄눈을 설치하지 않는다.
     2. 방수층이 완성된 다음 단열재를 깔고 그 위에 절연용 시트를 깐다.
     3. 치켜올린부의 보호 및 마감을 건식공법으로 할 경우에는 공사시방에 따른다.
     4. 콘크리트에는 균열방지를 위한 와이어메시를 타설 두께의 중간 위치에 삽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49.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공사에서 시멘트 액체 방수층의 층별 구성으로 옳은 것은? (단, 바닥용의 경우)(2017년 08월)
     1. 1층: 프라이머
     2. 2층: 방수시멘트 페이스트 1차
     3. 4층: 보강포
     4. 5층: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정답2번
1층 : 바탕면 정리 및 물청소
2층 : 방수시멘트 페이스트 1차
3층 : 방수액 침투
4층 : 방수시멘트 페이스트 2차
5층 : 방수 모르타르
[해설작성자 : 김상률]

50. 시트방수제와 도막방수재의 적층 복합방수공법에서 1층에 사용되는 것은?(단, 평탄부위로, 통기노출(M-CoMiM)인 경우)(2017년 08월)
     1. 프라이머
     2. 시트방수재
     3. 도막방수재
     4. 보호용 패널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정답2번
시트방수제와 도막방수재의 적층 복합방수공법
1층 : 프라이머
2층 : 시트방수재
3층 : 도막방수재
이지만, (단, 평탄부위로, 통기노출(M-CoMiM)인 경우)
의 추가 설명이 붙으면 프라이머를 생략하고
1층 : 시트방수재
2층 : 도막방수재

고로 답 2번 시트
[해설작성자 : 김상률]

51. 도막방수공사에서 보강포의 사용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8월)
     1. 균일한 도막두께(설계두께)의 확보
     2. 자외선 등으로부터의 도막 방수층 보호
     3. 치켜올림부, 경사부에서의 방수재의 흘러내림 방지
     4. 바탕에 균열이 생겼을 경우 방수층의 동시 파단 위험 경감

     정답 : []
     정답률 : 65%

52. 자착형 시트 방수공사에 사용되는 자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프라이머는 8시간 이내에 건조되는 품질의 것으로 한다.
     2. 보강용 겔(gel)은 저점도의 제품으로 기밀성이 우수한 것으로 한다.
     3. 보강용 겔(gel)은 떠붙임이 용이한 도막형과 시공이 용이한 막대형으로 구분하여 적용한다.
     4. 보호완충재는 지하 외벽의 방수층 표면에 부착하여 모래 등의 되메우기 재의 충격 및 침하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84%

53.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비빔 및 사용 가능 시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비빔은 손비빔을 원칙으로 한다.
     2.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는 비빔 후, 20℃인 경우 2시간 이내로 사용한다.
     3. 비빔 전에 소정량의 폴리머 분산제와 시험 비빔에 의하여 결정한 물을 혼합한다.
     4. 혼화재료, 시멘트, 모래, 순으로 믹서에 투입하고 전체가 균질하게 되도록 건비빔 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54. 옥상녹화 방수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녹화층에 적용되는 재료는 방근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2. 아스팔트 시트가 합성 고분자 시트보다 방근성이 우수하다.
     3. 방근성능 시험방법이 규정되어 있는 한국산업표준은 KS F 4938이다.
     4. 시멘트계 방수재는 내균열성이 없어 옥상 녹화용 방수층 및 방근층 재료로 사용이 곤란하다.

     정답 : []
     정답률 : 57%

55. 벤토나이트 방수공사에 사용되는 자재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6년 08월)
     1. 벤토나이트 패널
     2. 벤토나이트 시트
     3. 벤토나이트 매트
     4. 벤토나이트 필름

     정답 : []
     정답률 : 79%

56. 다음은 방수시공 직전의 바탕 형상의 표준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2020년 08월)

    

     1. ㉠ 원형, ㉡ 직각
     2. ㉠ 직각, ㉡ 원형
     3. ㉠ 삼각형, ㉡ 직각
     4. ㉠ 직각, ㉡ 삼각형

     정답 : []
     정답률 : 66%

57. 도막 방수공사에서 방수재의 도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방수재의 겹쳐 바르기 또는 이어 바르기의 폭은 100mm내외로 한다.
     2. 보강포 위에 도포하는 경우, 침투하지 않은 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도포한다.
     3. 방수재의 겹쳐 바르기의 도포방향은 앞 공정에서의 도포방향과 직교해서 실시한다.
     4. 고무 아스팔트계 도막방수재의 외벽에 대한 스프레이 시공은 위에서부터 아래의 순서로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58. 아스팔트 방수공사에서 지붕 방수층의 보호 및 마감의 시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경우)(2014년 08월)
     1. 신축줄눈은 설치하지 않는다.
     2. 방수층이 완성된 다음 단열재를 깔고 그 위에 절연용시트를 깐다.
     3. 치켜올림부의 보호 및 마감을 건식공법으로 할 경우에는 공사지방에 따른다.
     4. 콘크리트에 균열방지를 위한 와이어 메시를 타설두께의 중간 위치에 삽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59. 건축공사표준시방서에 따른 계량 아스팔트시트 방수층을 구성하는 프라이머의 사용량은?(2014년 08월)
     1. 0.2kg/m2
     2. 0.3kg/m2
     3. 0.4kg/m2
     4. 0.5kg/m2

     정답 : []
     정답률 : 74%

60. 개량 아스팔트시트 방수공사에서 일반부의 개량 아스팔트 방수시트의 폭방향 상호 겹침 폭은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는가?(2018년 08월)
     1. 30mm
     2. 60mm
     3. 100mm
     4. 120mm

     정답 : []
     정답률 : 76%

61. 옥상방수층의 누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8월)
     1. 보호 모르타르의 박락
     2. 부적절한 홉통 개수 및 구경 설계
     3. 옥상공작물 매입부의 방수시공 불량
     4. 시트 방수층의 경우 방수층 겹침 부위의 시공 불량

     정답 : []
     정답률 : 85%

62. 누수 보수 재료에 요구되는 성능 중 누수 균열에 작용하는 화학적 영향에 대한 요구 성능에 속하는 것은?(2016년 08월)
     1. 온도의존 성능
     2. 투수저항 성능
     3. 습윤면 부착 성능
     4. 수중 유실 저항 성능

     정답 : []
     정답률 : 68%

63. 우렌탄 도막방수 보수공사에서 다음과 같은 작업이 실시되는 공정은?(2019년 08월)

    

     1. 면처리
     2. 하도
     3. 중도
     4. 상도

     정답 : []
     정답률 : 84%

64.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에 따른 균열 및 방수층이 파괴되는 현상은?(2016년 08월)
     1. 방수층 파단
     2. 방수층 박리
     3. 방수층 들뜸
     4. 방수층 부풀음

     정답 : []
     정답률 : 82%

65. 실령재의 파단원인 중 과도한 응력발생 요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8년 08월)
     1. 3면 접착
     2. 기포 혼입
     3. 줄눈 폭 과소
     4. 줄눈 깊이 과대

     정답 : []
     정답률 : 58%

66. 실링재의 열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8월)
     1. 기상조건
     2. 피로현상
     3. 조인트 변동
     4. 알칼리 반응

     정답 : []
     정답률 : 59%

67. 도마계 방수공사에서 부풀음이 발생된 부위에 수분 또는 공기가 밀폐된 후 직사광선에 의해 팽창되면서 방수층이 떨어져 나가는 현상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방수층 핀홀
     2. 방수층 들뜸
     3. 방수층 박리
     4. 방수층 물고임

     정답 : []
     정답률 : 68%

68. 누수 균열 보수 재료 중 우레탄수지계 발포형주입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수압이 지속적으로작용하는 곳에 주로 사용된다.
     2. 유연성이 있어서 균열 폭의 거동에 대응이 가능하다.
     3. 물과 반응하여 스펀지형으로 발포제를 형성하여 물의 흐름을 제어한다.
     4. 균열의 지속 거동에 따라 발포제가 압축·이완을 반복하여 주변의 물을 흡수·발산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69. 지하 누수 보수 공법 중 구조체를 관통시켜 누수 보수재를 기계적 압력을 통해 주입하여 배면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은?(2014년 08월)
     1. 배면 주입공법
     2. 방수층 재형성 주입공법
     3. 균열 및 조인트 주입공법
     4. 표면 절개 후 방수재 충전공법

     정답 : []
     정답률 : 85%

70. 실링재의 파단원인 중 과도한 응력발생 요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2020년 08월)
     1. 기포혼입
     2. 3면 접착
     3. 줄눈 폭 과소
     4. 줄눈 깊이 과대

     정답 : []
     정답률 : 54%

71. 다음 중 누수의 메카니즘(mechanism)에 따른 누수의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8월)
     1.
     2.
     3. 압력차
     4. 온도차

     정답 : []
     정답률 : 90%

72. 다음 중 외부창호 주변의 누수 발생 방지 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7년 08월)
     1. 상·하인방 설치
     2. 하인방 하부에 물끊기홈 설치
     3. 하인방 창틀주위 외부쪽으로의 구배 설정
     4. 이질재와의 조인트 부분은 홈파기 후 코킹처리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상인방 하부에 물끊기 홈 설치
[해설작성자 : 김상률]

상·하인방 설치:
인방(상인방, 하인방)은 창문이나 문 개구부 위와 아래에 구조적으로 설치되어 하중을 분산하는 구조 부재예요 자체적으로 누수 방지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개구부의 구조적 안전과 하중 분산을 위한 것이므로, 누수 방지 대책는 관련이 없어요

2. 하인방 하부에 물끊기홈 설치: 물끊기홈은 빗물이나 유입수를 창틀이나 벽으로 타고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누수를 예방하는 직접적인 방법

3. 하인방 창틀주위 외부쪽으로 구배 설정: 구배(경사)를 두는 것은 물이 밖으로 배출되게 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

4. 이질재와의 조인트 부분 홈파기 후 코킹처리: 서로 다른 자재(이질재) 조인트는 취약점이 될 수 있으므로, 홈파기 후 코킹 처리로 누수를 막는 것이 일반적이며 표준적인 누수 방지 대책
[해설작성자 : 김상철]

73. 누수보수재 중 수계 아크릴 젤 주입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거동이 큰 조인트에 주로 사용된다.
     2. 물과 반응하여 지수 효과를 확보한다.
     3. 수중 조인트 등에서는 사용에 주의하여야 한다.
     4. 습윤상태에서 균열 바탕체 표면과 완전 밀착 성능이 약하다.

     정답 : []
     정답률 : 65%

74. 아스팔트 방수공사의 보수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아스팔트를 바를 때는 2차 바름으로 바른다.
     2. 보강포를 보수면보다 넓게 재단하여 적층한다.
     3. 절개한 면을 가열 없이 쇠흙손을 사용하여 고르게 펴 바른다.
     4. 작은 결함 내지 파손부위는 건전한 부위까지 광범위하게 절개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75. 다음과 같은 파라펫 부위 누수 원인의 보수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방수층 끝부분은 홈을 파서 방수재를 말아 넣고 코킹한다.
     2. 방수 전 콘크리트면 청소 및 코너부위 면접기를 철저히 한다.
     3. 방수턱의 폭은 누름 벽돌 마감선에서 3cm 이상 유지되게 한다.
     4. 방수턱의 높이는 보호 모르타르 마감면에서 5cm 이하로 시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76. 창고 주변의 구조체와 마감층에서 누수가 발생 하였을 경우, 확인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8월)
     1. 적정 벽두께
     2. 밀실한 벽체 형성
     3. 유도줄눈의 적절한 배치
     4. 새시 교차 부위(접합부)의 지수 처리

     정답 : []
     정답률 : 56%

77. 다음 중 방수층의 핀홀 발생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8월)
     1. 용제의 과다 사용
     2. 콘크리트 표면에 발생된 미세 공극
     3. 바탕콘크리트의 완만한 물흐름 경사
     4. 방수재의 혼합 또는 경화 과정에서 발생된 공기의 잔류

     정답 : []
     정답률 : 78%

78. 지하구체 외면방수재료가 시공품질 안정성과 관련하여 갖추어야 하는 요건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3년 08월)
     1. 공정의 단순성 확보
     2. 구성 소재간의 일체성 확보
     3. 코너 부위 등 협소 공간에서의 수밀성 확보
     4. 바탕 형상에 대한 구조물 거동 대응성 확보

     정답 : []
     정답률 : 68%

79. 도막 방수재의 경화 불량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8월)
     1. 용제 과다 사용
     2. 주제의 과량 배합
     3. 주제와 경화제의 배합 불량
     4. 재료 배합시 밑이 둥근 용기 사용

     정답 : []
     정답률 : 83%

80. 누수균열 보수재료 중 시멘트계 주입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수중 불경화성이다.
     2. 대체로 경질형 재료이다.
     3. 경화 시에 건조 수축이 있다.
     4. 유연성이 우수하여 구조물 거동에 대한 적응성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67%


정 답 지

방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1일)(1552726)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방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방수일반


1. 투시도법에 사용되는 기호의 의미가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V.P: 소점
     2. S.P: 정점
     3. E.P: 화면
     4. G.P: 기면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E.P(eye point) 시점
[해설작성자 : 시온도장도료]

2. 다음 중 소음방지 시설에 속하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소음기
     2. 흡음시설
     3. 방진구시설
     4. 방음벽시설

     정답 : []
     정답률 : 85%

3. 커튼월 공사에서 실물 모형 실험(Mock-up test)의 시험 종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3년 08월)
     1. 기밀시험
     2. 구조시험
     3. 내화시험
     4. 정압수밀시험

     정답 : []
     정답률 : 83%

4. 건축제도에 사용되는 선의 종류와 용도의 연결이 옳은 것은?(2014년 08월)
     1. 1점 쇄선 - 인출선
     2. 2점 쇄선 - 상상선
     3. 굵은 실선 - 기준선
     4. 가는 실선 – 참고선

     정답 : []
     정답률 : 95%

5. 다음 중 재해발생 시 가장 먼저 조치하여야 하는 사항은?(2020년 08월)
     1. 원인조사
     2. 대책수립
     3. 목격자 확보
     4. 재해자 응급조치

     정답 : []
     정답률 : 87%

6. 창호의 재질별 기호가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W: 목재
     2. SS: 강철
     3. P: 합성수지
     4. A: 알루미늄합금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알루미늄 합금 (A)
합성수지 (P)
강철 (S)
스테인리스 스틸 (SS)
목재(W)
[해설작성자 : 불똥이타닥타닥]

7. 한국산업표준(KS)에 따른 포틀랜드 시멘트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4년 08월)
     1.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2. 저열 포틀랜드 시멘트
     3.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
     4.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정답 : []
     정답률 : 84%

8. 하인리히(W.H Heinrich)의 재해예방 4원칙에 속하지 않는 것은?(2020년 08월)
     1. 예방 가능의 원칙
     2. 손실 우연의 원칙
     3. 재현 불가의 원칙
     4. 대책 선정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72%

9. 재해발생 원인 중 인적 요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착오
     2. 피로
     3. 무의식 행동
     4. 안전교육 부족

     정답 : []
     정답률 : 82%

10. 건축제도의 치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치수의 단위는 센티미터(cm)를 원칙으로 한다.
     2. 치수 기입은 치수선 중앙 윗부분에 기입하는 것이 원칙이다.
     3. 치수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마무리 치수로 표시한다.
     4. 치수 기입은 치수선에 평행하게 도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아래로부터 위로 읽을 수 있도록 기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11.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하아비(Harvey.J.H)의 시정책(3E)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4년 08월)
     1. 감독의 실시
     2. 교육 및 훈련
     3. 처벌규정 강화
     4. 시설과 장비의 결함개선

     정답 : []
     정답률 : 93%

12. 홈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처마홈통과 선홈통을 연결하는 경사홈통을 깔대기홈통이라 한다.
     2. 처마 끝에 수평으로 설치하여 빗물을 받는 홈통을 처마홈통이라 한다.
     3. 처마홈통에서 내려오는 빗물을 지상으로 유도하는 수직 홈통을 선홈통이라 한다.
     4. 두 개의 지붕면이 만나는 자리 또는 지붕면과 벽면이 만나는 수평 지붕골에 쓰이는 홈통을 장식홈통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13. 금속 커튼월의 성능 시험중 시험소 실물 모형시험(mock up test)의 시험종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 건축공사표준시방서 기준)(2016년 08월)
     1. 기밀시험
     2. 구조시험
     3. 정압수밀시험
     4. 인장강도시험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예비시험 정압수밀시험 동압수밀시험 기밀시험 구조시험
자료ㅡ표준시방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목재의 유성 방주재로 방부성이 우수하나 흑갈색으로 외관이 좋지 않아 눈에 보이지 않는 토대, 기둥, 도리 등에 사용되는 것은?(2016년 08월)
     1. 크레오소트유
     2. 펜타클로로페놀
     3. 황산동 1% 용액
     4. 불화소다 2% 용액

     정답 : []
     정답률 : 82%

15. 건축제도에서 치수 표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치수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마무리 치수로 표시한다.
     2. 협소한 간격이 연속될 때에는 인출선을 사용하여 치수를 쓴다.
     3. 치수 기입은 치수선을 중단하고 선의 중앙에 기입하는 것이 원칙이다.
     4. 치수의 단위는 밀리미터(mm)를 원칙으로 하고, 이 때 단위 기호는 쓰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9%

16. 연평균 근로자수가 1000명인 사업장에서 한 해 동안 15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을 경우 연천인율은? (단, 근로자는 1일 8시간, 연간 250일을 근무하였다.)(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10
     2. 15
     3. 20
     4. 25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사상자/근로자수 ×1000
15/1000 ×1000 = 15
결국 사상자수가 답이네요 ㅎ
[해설작성자 : 스노우맨69 ]

17. 건축도면에서 굵은 실선으로 표시되는 것은?(2020년 08월)
     1. 기준선
     2. 절단선
     3. 단면선
     4. 치수선

     정답 : []
     정답률 : 65%

18. 각종 선의 용도에 관한 셜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굵은 실선은 단면의 윤곽 표시에 사용된다.
     2. 파선은 보이지 않은 부분의 표시에 사용된다.
     3. 1점 쇄선은 중심선, 절단선의 표시에 사용된다.
     4. 2점 쇄선은 치수선, 격자선의 표시에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81%

19.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응결시간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비카시험의 경우)(2020년 08월)
     1. 60분 이상 10시간 이하
     2. 60분 이상 12시간 이하
     3. 90분 이상 10시간 이하
     4. 90분 이상 12시간 이하

     정답 : []
     정답률 : 67%

20. 화재의 분류에서 전기배선 및 전기기구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의미하는 것은?(2014년 08월)
     1. A급 화재
     2. B급 화재
     3. C급 화재
     4. D급 화재

     정답 : []
     정답률 : 88%

2과목 : 방수재료


21. 도막 방수층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영문기호 “Gu”로 표기되는 재료는?(2014년 08월)
     1. 우레탄 고무
     2. 아크릴 고무
     3. 실리콘 고무
     4. 고무 아스팔트

     정답 : []
     정답률 : 93%

22. 건축용 실령재를 용도에 따라 구분할 경우, 글레이징에 사용하는 실령재는?(2014년 08월)
     1. A형
     2. C형
     3. F형
     4. G형

     정답 : []
     정답률 : 92%

23. 다음 설명과 관련된 지붕 방수재료의 요구 성능은?(2019년 08월)

    

     1. 내후성
     2. 통기성
     3. 부착성
     4. 내마모성

     정답 : []
     정답률 : 85%

24. 천연의 유기섬유를 원료로 한 원지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함침시켜 만든 방수재료는?(2020년 08월)
     1. 아스팔트 루핑
     2. 아스팔트 펠트
     3. 아스팔트 컴파운드
     4. 아스팔트 프라이머

     정답 : []
     정답률 : 70%

25. 다음 설명에 알맞은 방수 공사용 아스팔트의 종류는?(2019년 08월)

    

     1. 1종
     2. 2종
     3. 3종
     4. 4종

     정답 : []
     정답률 : 77%

26. 건축용 실링재를 용도에 따라 구분할 경우, 글레이징에 사용하는 실링재는?(2020년 08월)
     1. A형
     2. C형
     3. F형
     4. G형

     정답 : []
     정답률 : 74%

27. 시멘트 혼입 폴리머계 방수재의 성능 시험 항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2020년 08월)
     1. 내산성
     2. 내균열성
     3. 부착강도
     4. 내잔갈림성

     정답 : []
     정답률 : 57%

28. 다음의 시멘트 액체형 방수제의 품질시험 항목 중 시험에 사용되는 시험체의 개수가 가장 적은 것은?(2014년 08월)
     1. 안정성
     2. 응결시간
     3. 압축강도
     4. 부착강도

     정답 : []
     정답률 : 80%

29. 다음 중 지붕방수에 사용되는 방수재료의 요구성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8월)
     1. 내후성
     2. 내충격성
     3. 습윤면 부착성
     4. 바탕재에 대한 거동 추종성

     정답 : []
     정답률 : 75%

30. 다음 설명에 알맞은 방수시트의 종류는?(2018년 08월)

    

     1. 자착형 방수시트
     2. 섬유제 방수시트
     3. 개량 아스팔트 방수시트
     4. 합성 고분자계 방수시트

     정답 : []
     정답률 : 72%

31. 멤브레인 방수층의 성능평가 시험 종류 중 시트계에는 적용하나 도막계에는 적용하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처짐 저항성 시험
     2. 패임 저항성 시험
     3. 충격 저항성 시험
     4. 내피로(균열 거동) 시험

     정답 : []
     정답률 : 80%

32. 폴리우레아 수지 도막 방수재의 인장강도 품질기준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8N/mm2 이상
     2. 16N/mm2 이상
     3. 24N/mm2 이상
     4. 32N/mm2 이상

     정답 : []
     정답률 : 68%

33. 규산질계 분말형 도포 방수재의 품질시험 항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6년 08월)
     1. 부착 강도
     2. 압축 강도
     3. 온도 의존성
     4. 내진갈림성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규산질계 분말형 도포 방수재의 품질시험 항목으로는 부착강도, 내잔갈림성, 흡수량, 압축강도 등이 있습니다.
정답은 3번이고 실제 복원기출에는 온도의존성이 아닌 인장강도로 나와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시온도장도료]

[오류신고 반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오상근 교수님 자료에 의하면 규산질계 분말형 도포방수재 품질기준은
부착강도, 내진갈림성, 흡수량, 압축강도입니다.
하여 정답은 온도의존성 3번 입니다.
[해설작성자 : 조재현]

[추가 오류 신고]
방수용어에서 4번 내진갈림성이라는 용어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지진에 대한 내진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내(잔갈림)성입니다. 잔갈림, 다시말해 표면의 미세한 크랙들을 의미합니다.
[해설작성자 : 시온도장도료]

34. 폴리우레아수지 도막 방수재의 요구 성능 중 진동 또는 거동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는 구조물에서 사용하고자 할 때 특히 요구되는 성능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부착 성능
     2. 내피로 성능
     3. 도포 작업성능
     4. 온도 의존 성능

     정답 : []
     정답률 : 74%

35. 다음은 폴리우레아 수지 도막 방수재의 인장 성능 품질 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2019년 08월)

    

     1. ㉠ 8이상, ㉡ 150이상
     2. ㉠ 8이상, ㉡ 300이상
     3. ㉠ 16이상, ㉡ 150이상
     4. ㉠ 16이상, ㉡ 300이상

     정답 : []
     정답률 : 70%

36. 건설용 도막 방수재의 성능 시험 항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 우레탄 고무계의 경우)(2019년 08월)
     1. 인장 성능
     2. 인열 성능
     3. 압축 성능
     4. 부착 성능

     정답 : []
     정답률 : 66%

37. 시멘트 혼입 폴리머 방수재의 성능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흡수량: 2.0g 이하
     2. 인장 강도: 0.5N/mm2 이상
     3. 부착강도(표준): 0.8N/mm2 이상
     4. 내투수성: 0.3N/mm2 수압에서 투수되지 않을 것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인장강도 : 1.0N/mm2 이상
[해설작성자 : 시온도장도료]

38. 합성 고분자계 방수 시트 중 균질 시트의 인장 강도 품질기준은? (단, 가황 고무계의 경우)(2019년 08월)
     1. 0.5MPa 이상
     2. 7.5MPa 이상
     3. 10MPa 이상
     4. 20MPa 이상

     정답 : []
     정답률 : 85%

39. 함성 고분자계 방수 시트 중 섬유, 보강포 등을 함침 또는 적층하여 물리적 성능을 증진시킨 시트 형태는?(2019년 08월)
     1. 일반 복합형
     2. 일반 균질형
     3. 보강 복합형
     4. 보강 균질형

     정답 : []
     정답률 : 77%

40. 한국산업표준(KS)에 따른 건설용 도막 방수재 중 인장강도가 가장 큰 것은?(2014년 08월)
     1. 아크릴 고무계
     2. 우레탄 고무계
     3. 실리콘 고무계
     4. 고무 아스팔트계

     정답 : []
     정답률 : 84%

3과목 : 방수시공


41. 벤토나이트 방수공사에서 벤토나이트 패널 시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수직면에서의 시공인 경우)(2019년 08월)
     1. 파형을 45° 경사지어 세운다.
     2. 패널을 자를 때에는 파형에 평평하게 자른다.
     3. 인접한 패널과의 겹칩은 50㎜ 이상으로 하여 못을 박아 고성시키고 끝부분을 테이프로 발라 처리한다.
     4. 시공이 끝난 패널의 끝부분은 알루미늄의 고정용 볼대를 대고 폭 200~300㎜ 간격으로 콘크리트 못으로 바탕에 고정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56%

42. 벤토나이트 방수공사에 사용되는 보호층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콘크리트 : 두께 30mm 이상
     2. 하드보드 : 두께 6.4mm 이상
     3. 섬유형 방수성 보호판 : 두께 12.7mm 이상
     4. 아스팔트섬유 혼입 보호판 : 두께 3.9mm 이상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 콘크리트: 50mm 이상
습기 차단막: 0.1mm 이상의 폴리에틸렌 필름
[해설작성자 : ㅇ]

43. 건축공사표준시방서에 따른 개량 아스팔트시트 방수공사의 공정 1에 사용되는 프라이머의 사용량은? (단, ALC 바탕이 아닌 경우)(2016년 08월)
     1. 0.3kg/m2
     2. 0.4kg/m2
     3. 0.5kg/m2
     4. 0.6kg/m2

     정답 : []
     정답률 : 73%

44. 방수시공 직전의 바탕 형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볼록모서리는 각이 없이 완만하게 면처리되어 있어야 한다.
     2. 치켜올림부 상단 끝부분에 설치되는 빗물막이 턱은 치켜올림부 RC와 일체로 하여 만들어야 한다,
     3. 오목모서리는 아스팔트 방수층의 경우에는 직각으로 아스팔트 외의 방수층은 삼각형으로 면처리 되어 있어야 한다.
     4. RC 바탕의 포면은 그라인더 등의 연마기나 블라스터 크리닝 등을 사용하여 평활하고, 깨끗하게 마무리되어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45. 방수공사에서 방수시공 직전의 바탕 형상에 관한 건축공사표준시방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블록모서리는 각이 없이 완만하게 면처리되어 있어야 한다.
     2. 치켜올림부는 방수층 끝 부분의 처리가 충분하게 되는 형상 높이로 되어 있어야 한다.
     3. 오목모서리는 아스팔트 방수층의 경우에는 직각으로 아스팔트 외의 방수층은 삼각형으로 면처리되어 있어야 한다.
     4. RC 바탕의 표면은 그라인더 등의 연마기나 블라스터 클리닝 등을 사용하여 평활하고, 깨끗하게 마무리 되어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46. 지붕에서 통상의 보행을 위한 방수층의 보호 및 마감의 표준에 속하는 것은?(2020년 08월)
     1. 자갈깔기
     2. 우레탄 포장재
     3. 현장타설 콘크리트
     4. 아스팔트 콘크리트

     정답 : []
     정답률 : 64%

47. 벤토나이트 패널의 수직면에서의 시공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시공이 끝난 패널의 끝부분은 접착제로 붙여 마감한다.
     2. 패널을 자를 때에는 파형에 평행하게 잘라 벤토나이트의 손실이 없도록 한다.
     3. 벤토나이트 패널은 기초 바닥면에서 시작하여 콘크리트 못이나 접착제로 고정시키면서 설치한다.
     4. 관통파이프 부분과 슬래브 모서리 부분은 미리 벤토나이트 패널로 덧바름하고 그 위를 겹쳐 바른 후, 벤토나이트 실란트로 겹침이음부를 처리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48. 아스팔트 방수공사에서 지붕 방수층의 보호 및 마감의 시공 표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경우)(2020년 08월)
     1. 평면부 콘크리트에는 신축줄눈을 설치하지 않는다.
     2. 방수층이 완성된 다음 단열재를 깔고 그 위에 절연용 시트를 깐다.
     3. 치켜올린부의 보호 및 마감을 건식공법으로 할 경우에는 공사시방에 따른다.
     4. 콘크리트에는 균열방지를 위한 와이어메시를 타설 두께의 중간 위치에 삽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49.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공사에서 시멘트 액체 방수층의 층별 구성으로 옳은 것은? (단, 바닥용의 경우)(2017년 08월)
     1. 1층: 프라이머
     2. 2층: 방수시멘트 페이스트 1차
     3. 4층: 보강포
     4. 5층: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정답2번
1층 : 바탕면 정리 및 물청소
2층 : 방수시멘트 페이스트 1차
3층 : 방수액 침투
4층 : 방수시멘트 페이스트 2차
5층 : 방수 모르타르
[해설작성자 : 김상률]

50. 시트방수제와 도막방수재의 적층 복합방수공법에서 1층에 사용되는 것은?(단, 평탄부위로, 통기노출(M-CoMiM)인 경우)(2017년 08월)
     1. 프라이머
     2. 시트방수재
     3. 도막방수재
     4. 보호용 패널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정답2번
시트방수제와 도막방수재의 적층 복합방수공법
1층 : 프라이머
2층 : 시트방수재
3층 : 도막방수재
이지만, (단, 평탄부위로, 통기노출(M-CoMiM)인 경우)
의 추가 설명이 붙으면 프라이머를 생략하고
1층 : 시트방수재
2층 : 도막방수재

고로 답 2번 시트
[해설작성자 : 김상률]

51. 도막방수공사에서 보강포의 사용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8월)
     1. 균일한 도막두께(설계두께)의 확보
     2. 자외선 등으로부터의 도막 방수층 보호
     3. 치켜올림부, 경사부에서의 방수재의 흘러내림 방지
     4. 바탕에 균열이 생겼을 경우 방수층의 동시 파단 위험 경감

     정답 : []
     정답률 : 65%

52. 자착형 시트 방수공사에 사용되는 자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프라이머는 8시간 이내에 건조되는 품질의 것으로 한다.
     2. 보강용 겔(gel)은 저점도의 제품으로 기밀성이 우수한 것으로 한다.
     3. 보강용 겔(gel)은 떠붙임이 용이한 도막형과 시공이 용이한 막대형으로 구분하여 적용한다.
     4. 보호완충재는 지하 외벽의 방수층 표면에 부착하여 모래 등의 되메우기 재의 충격 및 침하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84%

53.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비빔 및 사용 가능 시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비빔은 손비빔을 원칙으로 한다.
     2.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는 비빔 후, 20℃인 경우 2시간 이내로 사용한다.
     3. 비빔 전에 소정량의 폴리머 분산제와 시험 비빔에 의하여 결정한 물을 혼합한다.
     4. 혼화재료, 시멘트, 모래, 순으로 믹서에 투입하고 전체가 균질하게 되도록 건비빔 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54. 옥상녹화 방수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녹화층에 적용되는 재료는 방근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2. 아스팔트 시트가 합성 고분자 시트보다 방근성이 우수하다.
     3. 방근성능 시험방법이 규정되어 있는 한국산업표준은 KS F 4938이다.
     4. 시멘트계 방수재는 내균열성이 없어 옥상 녹화용 방수층 및 방근층 재료로 사용이 곤란하다.

     정답 : []
     정답률 : 57%

55. 벤토나이트 방수공사에 사용되는 자재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6년 08월)
     1. 벤토나이트 패널
     2. 벤토나이트 시트
     3. 벤토나이트 매트
     4. 벤토나이트 필름

     정답 : []
     정답률 : 79%

56. 다음은 방수시공 직전의 바탕 형상의 표준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2020년 08월)

    

     1. ㉠ 원형, ㉡ 직각
     2. ㉠ 직각, ㉡ 원형
     3. ㉠ 삼각형, ㉡ 직각
     4. ㉠ 직각, ㉡ 삼각형

     정답 : []
     정답률 : 66%

57. 도막 방수공사에서 방수재의 도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방수재의 겹쳐 바르기 또는 이어 바르기의 폭은 100mm내외로 한다.
     2. 보강포 위에 도포하는 경우, 침투하지 않은 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도포한다.
     3. 방수재의 겹쳐 바르기의 도포방향은 앞 공정에서의 도포방향과 직교해서 실시한다.
     4. 고무 아스팔트계 도막방수재의 외벽에 대한 스프레이 시공은 위에서부터 아래의 순서로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58. 아스팔트 방수공사에서 지붕 방수층의 보호 및 마감의 시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경우)(2014년 08월)
     1. 신축줄눈은 설치하지 않는다.
     2. 방수층이 완성된 다음 단열재를 깔고 그 위에 절연용시트를 깐다.
     3. 치켜올림부의 보호 및 마감을 건식공법으로 할 경우에는 공사지방에 따른다.
     4. 콘크리트에 균열방지를 위한 와이어 메시를 타설두께의 중간 위치에 삽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59. 건축공사표준시방서에 따른 계량 아스팔트시트 방수층을 구성하는 프라이머의 사용량은?(2014년 08월)
     1. 0.2kg/m2
     2. 0.3kg/m2
     3. 0.4kg/m2
     4. 0.5kg/m2

     정답 : []
     정답률 : 74%

60. 개량 아스팔트시트 방수공사에서 일반부의 개량 아스팔트 방수시트의 폭방향 상호 겹침 폭은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는가?(2018년 08월)
     1. 30mm
     2. 60mm
     3. 100mm
     4. 120mm

     정답 : []
     정답률 : 76%

61. 옥상방수층의 누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8월)
     1. 보호 모르타르의 박락
     2. 부적절한 홉통 개수 및 구경 설계
     3. 옥상공작물 매입부의 방수시공 불량
     4. 시트 방수층의 경우 방수층 겹침 부위의 시공 불량

     정답 : []
     정답률 : 85%

62. 누수 보수 재료에 요구되는 성능 중 누수 균열에 작용하는 화학적 영향에 대한 요구 성능에 속하는 것은?(2016년 08월)
     1. 온도의존 성능
     2. 투수저항 성능
     3. 습윤면 부착 성능
     4. 수중 유실 저항 성능

     정답 : []
     정답률 : 68%

63. 우렌탄 도막방수 보수공사에서 다음과 같은 작업이 실시되는 공정은?(2019년 08월)

    

     1. 면처리
     2. 하도
     3. 중도
     4. 상도

     정답 : []
     정답률 : 84%

64.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에 따른 균열 및 방수층이 파괴되는 현상은?(2016년 08월)
     1. 방수층 파단
     2. 방수층 박리
     3. 방수층 들뜸
     4. 방수층 부풀음

     정답 : []
     정답률 : 82%

65. 실령재의 파단원인 중 과도한 응력발생 요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8년 08월)
     1. 3면 접착
     2. 기포 혼입
     3. 줄눈 폭 과소
     4. 줄눈 깊이 과대

     정답 : []
     정답률 : 58%

66. 실링재의 열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8월)
     1. 기상조건
     2. 피로현상
     3. 조인트 변동
     4. 알칼리 반응

     정답 : []
     정답률 : 59%

67. 도마계 방수공사에서 부풀음이 발생된 부위에 수분 또는 공기가 밀폐된 후 직사광선에 의해 팽창되면서 방수층이 떨어져 나가는 현상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방수층 핀홀
     2. 방수층 들뜸
     3. 방수층 박리
     4. 방수층 물고임

     정답 : []
     정답률 : 68%

68. 누수 균열 보수 재료 중 우레탄수지계 발포형주입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수압이 지속적으로작용하는 곳에 주로 사용된다.
     2. 유연성이 있어서 균열 폭의 거동에 대응이 가능하다.
     3. 물과 반응하여 스펀지형으로 발포제를 형성하여 물의 흐름을 제어한다.
     4. 균열의 지속 거동에 따라 발포제가 압축·이완을 반복하여 주변의 물을 흡수·발산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69. 지하 누수 보수 공법 중 구조체를 관통시켜 누수 보수재를 기계적 압력을 통해 주입하여 배면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은?(2014년 08월)
     1. 배면 주입공법
     2. 방수층 재형성 주입공법
     3. 균열 및 조인트 주입공법
     4. 표면 절개 후 방수재 충전공법

     정답 : []
     정답률 : 85%

70. 실링재의 파단원인 중 과도한 응력발생 요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2020년 08월)
     1. 기포혼입
     2. 3면 접착
     3. 줄눈 폭 과소
     4. 줄눈 깊이 과대

     정답 : []
     정답률 : 54%

71. 다음 중 누수의 메카니즘(mechanism)에 따른 누수의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8월)
     1.
     2.
     3. 압력차
     4. 온도차

     정답 : []
     정답률 : 90%

72. 다음 중 외부창호 주변의 누수 발생 방지 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7년 08월)
     1. 상·하인방 설치
     2. 하인방 하부에 물끊기홈 설치
     3. 하인방 창틀주위 외부쪽으로의 구배 설정
     4. 이질재와의 조인트 부분은 홈파기 후 코킹처리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상인방 하부에 물끊기 홈 설치
[해설작성자 : 김상률]

상·하인방 설치:
인방(상인방, 하인방)은 창문이나 문 개구부 위와 아래에 구조적으로 설치되어 하중을 분산하는 구조 부재예요 자체적으로 누수 방지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개구부의 구조적 안전과 하중 분산을 위한 것이므로, 누수 방지 대책는 관련이 없어요

2. 하인방 하부에 물끊기홈 설치: 물끊기홈은 빗물이나 유입수를 창틀이나 벽으로 타고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누수를 예방하는 직접적인 방법

3. 하인방 창틀주위 외부쪽으로 구배 설정: 구배(경사)를 두는 것은 물이 밖으로 배출되게 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

4. 이질재와의 조인트 부분 홈파기 후 코킹처리: 서로 다른 자재(이질재) 조인트는 취약점이 될 수 있으므로, 홈파기 후 코킹 처리로 누수를 막는 것이 일반적이며 표준적인 누수 방지 대책
[해설작성자 : 김상철]

73. 누수보수재 중 수계 아크릴 젤 주입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17년 08월)
     1. 거동이 큰 조인트에 주로 사용된다.
     2. 물과 반응하여 지수 효과를 확보한다.
     3. 수중 조인트 등에서는 사용에 주의하여야 한다.
     4. 습윤상태에서 균열 바탕체 표면과 완전 밀착 성능이 약하다.

     정답 : []
     정답률 : 65%

74. 아스팔트 방수공사의 보수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아스팔트를 바를 때는 2차 바름으로 바른다.
     2. 보강포를 보수면보다 넓게 재단하여 적층한다.
     3. 절개한 면을 가열 없이 쇠흙손을 사용하여 고르게 펴 바른다.
     4. 작은 결함 내지 파손부위는 건전한 부위까지 광범위하게 절개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75. 다음과 같은 파라펫 부위 누수 원인의 보수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방수층 끝부분은 홈을 파서 방수재를 말아 넣고 코킹한다.
     2. 방수 전 콘크리트면 청소 및 코너부위 면접기를 철저히 한다.
     3. 방수턱의 폭은 누름 벽돌 마감선에서 3cm 이상 유지되게 한다.
     4. 방수턱의 높이는 보호 모르타르 마감면에서 5cm 이하로 시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76. 창고 주변의 구조체와 마감층에서 누수가 발생 하였을 경우, 확인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8월)
     1. 적정 벽두께
     2. 밀실한 벽체 형성
     3. 유도줄눈의 적절한 배치
     4. 새시 교차 부위(접합부)의 지수 처리

     정답 : []
     정답률 : 56%

77. 다음 중 방수층의 핀홀 발생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8월)
     1. 용제의 과다 사용
     2. 콘크리트 표면에 발생된 미세 공극
     3. 바탕콘크리트의 완만한 물흐름 경사
     4. 방수재의 혼합 또는 경화 과정에서 발생된 공기의 잔류

     정답 : []
     정답률 : 78%

78. 지하구체 외면방수재료가 시공품질 안정성과 관련하여 갖추어야 하는 요건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3년 08월)
     1. 공정의 단순성 확보
     2. 구성 소재간의 일체성 확보
     3. 코너 부위 등 협소 공간에서의 수밀성 확보
     4. 바탕 형상에 대한 구조물 거동 대응성 확보

     정답 : []
     정답률 : 68%

79. 도막 방수재의 경화 불량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8월)
     1. 용제 과다 사용
     2. 주제의 과량 배합
     3. 주제와 경화제의 배합 불량
     4. 재료 배합시 밑이 둥근 용기 사용

     정답 : []
     정답률 : 83%

80. 누수균열 보수재료 중 시멘트계 주입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수중 불경화성이다.
     2. 대체로 경질형 재료이다.
     3. 경화 시에 건조 수축이 있다.
     4. 유연성이 우수하여 구조물 거동에 대한 적응성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67%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방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1일)(1552726)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8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 09월 12일(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1.01 4
147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 09월 12일(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1.01 4
146 경영지도사 1차 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1일)(4698507) 좋은아빠되기 2025.11.01 2
145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6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1 2
14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1 2
» 방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1일)(1552726) 좋은아빠되기 2025.11.01 2
142 생산자동화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1일)(8040413) 좋은아빠되기 2025.11.01 2
141 전자출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7446658) 좋은아빠되기 2025.10.31 3
140 경찰공무원(순경) 형사소송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4315348) 좋은아빠되기 2025.10.31 4
139 정밀측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2117514) 좋은아빠되기 2025.10.31 3
138 경찰공무원(순경) 수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4453141) 좋은아빠되기 2025.10.31 4
137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소방학개론(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4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0.31 4
136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2631748) 좋은아빠되기 2025.10.31 3
135 생산자동화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1738876) 좋은아빠되기 2025.10.31 3
134 전자캐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20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0.31 3
133 방사선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746564) 좋은아빠되기 2025.10.31 3
132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2911861) 좋은아빠되기 2025.10.31 3
131 압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6321239) 좋은아빠되기 2025.10.31 5
130 건설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10월06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0.31 3
129 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10월05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0.31 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