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인지: 인지세, 수수료 등 국가 세입금을 납부하는 데에 사용되는 증표 배당금통지표: 유가증권 보유시 영수증에 배당금의 가액이 표시되어 날라옴. 이것을 은행에 제시하면 바로 현금화 *선일자수표: 미리 발행한 수표
*선일자 수표의 경우 부도가 나는 경우 회수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현금성자산의 정의상 가치변동의 위험이 없어야 하는데 이를 만족하지 못하므로 현금성자산으로 보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호호]
3.
다음 중 유형자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2, 3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1100년 36월)
1.
취득원가에는 자산을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데 직접 관련되는 지출 등을 포함한다.
2.
자산의 수선ㆍ유지를 위한 지출은 감가상각을 통하여 비용처리한다.
3.
감가상각비는 제조와 관련된 경우에는 관련 자산의 제조원가로, 그 밖의 경우에는 판매 비와 관리비로 처리한다.
4.
자산 취득에 사용한 국고보조금은 취득원가에서 차감하는 형식으로 표시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8%
4.
다음 중 기말재고자산에 포함될 항목을 모두 모은 것은?(1100년 67월)
1.
a ,b
2.
b, c
3.
b, d
4.
c, d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시용판매는 구매자가 매입의사를 표시한 시점, 위탁판매는 수탁자가 실제로 판매한 날, 장기할부판매는 인도기준, 목적지 인도조건의 경우에는 목적지에 도착한 시점에 매출로 인식한다.
5.
재무상태표의 비유동자산은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기타비유동자산으로 구분한다. 다음 중 계정과목별 구분이 올바르지 않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1100년 32월)
1.
이연법인세자산-투자자산
2.
건물-유형자산
3.
개발비-무형자산
4.
임차보증금-기타비유동자산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이연법인세자산-기타비유동자산 기타비유동자산이란..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에 속하지 않는 비유동자산을 의미하며 장기매출채권, 임차보증금, 장기미수금, 이연법인세자산, 부도어음과수표등이 있다. 이연법인세자산이란.. 당기 말 현재 다음의 항목들로 인하여 미래에 경감될 법인세 부담액을 말한다. ① 차감할 일시적 차이, ②이월공제가 가능한 세무상 결손금, ③ 이월공제가 가능한 세액공제 및 소득공제 등 이연법인세 자산은 실현가능성이 거의 확실한 경우에만 자산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헤어질라떼]
6.
다음 중 기업회계기준서상 충당부채를 부채로 인식하기 위한 요건이다. 틀린 것은?(1100년 44월)
1.
우발부채도 충당부채와 동일하게 부채로 인식하여야 한다.
2.
과거사건이나 거래의 결과로 현재의무가 존재해야 한다.
3.
당해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야 한다.
4.
그 의무 이행에 소요되는 금액을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번 ㅡ 우발부채는 기업회계기준에서 부채로 인식하지 아니한다.참고로 이를 주석에 기재한다. [해설작성자 : 수처작주]
7.
다음 중 자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1101년 03월)
1.
자본은 기업의 자산에서 모든 부채를 차감한 후의 잔여지분을 의미한다.
2.
잉여금은 자본거래에 따라 이익잉여금, 손익거래에 따라 자본잉여금으로 구분한다.
3.
주식의 발행금액 중 주권의 액면을 초과하여 발행한 금액을 주식발행초과금이라 한다.
4.
주식으로 배당하는 경우 발행주식의 액면금액을 배당액으로 하여 자본금의 증가와 이익잉여금의 감소로 회계처리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잉여금은 자본거래에 따라 자본잉여금, 손익거래에 따라 이익잉여금으로 나뉜다. [해설작성자 : 취뽀하자]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www.youtube.com/watch?v=Mg7YHUkJP0Q&t=477s]
8.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두 회사 중 한 회사에 투자하기 위해 두 회사의 회계정보를 비교하고자 하는 경우 회계정보가 갖추어야 할 속성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1100년 54월)
1.
비교가능성
2.
신뢰성
3.
목적적합성
4.
중립성
정답 : [
1
] 정답률 : 77%
9.
다음 중 원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1100년 85월)
1.
재료원가는 기초원재료재고액과 당기원재료매입액의 합계액에서 기말원재료재고액을 차감한 금액을 말한다.
2.
당기총제조원가는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를 합한 금액을 말한다.
3.
직접노무원가와 제조간접원가의 합계액을 가공원가라고 한다.
4.
판매활동 이외의 제조활동과 관리활동에서 발생하는 원가를 비제조원가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판매활동 이외에 제조활동과 관바활동에서 발생하는 원가를 제조원가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루룰ㄹ]
비제조원가: 기업의 제조활동과 관계없이 '제품의 판매할동과 관리 활동에서 발생되는 모든 원가'로서 '판매비와 관리비'가 비제조원가에 해당된다. [해설작성자 : 모두통과하세요]
모든 제품 단위가 완성되는 시점을 별도로 파악하기가 어려우므로 인위적인 기간을 정하여 원가를 산정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 기초 및 기말재공품 모두 존재하지 않아야 평균법과 선입선출법이 일치함 [해설작성자 : 전산회계1급]
13.
다음 중 부가가치세 신고·납세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1100년 66월)
1.
부가가치세는 원칙적으로 사업장마다 신고 납부하여야 한다.
2.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장소, 즉 사업장을 기준으로 납세지를 정하고 있다.
3.
2 이상의 사업장이 있는 경우 신청 없이 주된 사업장에서 총괄하여 납부할 수 있다.
4.
사업자단위과세사업자는 사업자등록도 본점 등의 등록번호로 단일화하고, 세금계산서도 하나의 사업자등록번호로 발급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2이상의 사업장이 있는 경우 주사업장총괄납부 신청을 하여 주된 사업장에서 총괄하여 납부할 수 있다.
14.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세금계산서 발급의무 면제대상이 아닌 것은?(1100년 70월)
1.
직매장반출을 제외한 간주공급에 해당하는 재화의 공급
2.
부동산임대용역 중 간주임대료
3.
일반과세자로서 전세버스운송사업을 영위하는 자
4.
미용업 또는 욕탕업을 경영하는 자가 공급하는 용역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전세버스는 과세이다 [해설작성자 : 좌현]
쉽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회사에서 왜 굳이 전세버스를 대절해서 갈까요? 그냥 시외버스 타고 가도 되지 않을까요? 왜 대절하냐면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법인세를 절감할 수 있겠지요. 사실 이와 관련된 내용(면제대상이냐/아니냐, 과세대상이냐/아니냐)는 외워야 하지만, 실생활과 연관시켜 외우면 쉽습니다. [해설작성자 : 회계냠냠]
15.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아래의 괄호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1101년 14월)
1.
공급대가
2.
간주공급
3.
과세표준
4.
납부세액
정답 : [
3
] 정답률 : 65%
정 답 지
전산회계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2일)(7328801)
수입인지: 인지세, 수수료 등 국가 세입금을 납부하는 데에 사용되는 증표 배당금통지표: 유가증권 보유시 영수증에 배당금의 가액이 표시되어 날라옴. 이것을 은행에 제시하면 바로 현금화 *선일자수표: 미리 발행한 수표
*선일자 수표의 경우 부도가 나는 경우 회수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현금성자산의 정의상 가치변동의 위험이 없어야 하는데 이를 만족하지 못하므로 현금성자산으로 보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호호]
3.
다음 중 유형자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2, 3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1100년 36월)
1.
취득원가에는 자산을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데 직접 관련되는 지출 등을 포함한다.
2.
자산의 수선ㆍ유지를 위한 지출은 감가상각을 통하여 비용처리한다.
3.
감가상각비는 제조와 관련된 경우에는 관련 자산의 제조원가로, 그 밖의 경우에는 판매 비와 관리비로 처리한다.
4.
자산 취득에 사용한 국고보조금은 취득원가에서 차감하는 형식으로 표시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8%
4.
다음 중 기말재고자산에 포함될 항목을 모두 모은 것은?(1100년 67월)
1.
a ,b
2.
b, c
3.
b, d
4.
c, d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시용판매는 구매자가 매입의사를 표시한 시점, 위탁판매는 수탁자가 실제로 판매한 날, 장기할부판매는 인도기준, 목적지 인도조건의 경우에는 목적지에 도착한 시점에 매출로 인식한다.
5.
재무상태표의 비유동자산은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기타비유동자산으로 구분한다. 다음 중 계정과목별 구분이 올바르지 않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1100년 32월)
1.
이연법인세자산-투자자산
2.
건물-유형자산
3.
개발비-무형자산
4.
임차보증금-기타비유동자산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이연법인세자산-기타비유동자산 기타비유동자산이란..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에 속하지 않는 비유동자산을 의미하며 장기매출채권, 임차보증금, 장기미수금, 이연법인세자산, 부도어음과수표등이 있다. 이연법인세자산이란.. 당기 말 현재 다음의 항목들로 인하여 미래에 경감될 법인세 부담액을 말한다. ① 차감할 일시적 차이, ②이월공제가 가능한 세무상 결손금, ③ 이월공제가 가능한 세액공제 및 소득공제 등 이연법인세 자산은 실현가능성이 거의 확실한 경우에만 자산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헤어질라떼]
6.
다음 중 기업회계기준서상 충당부채를 부채로 인식하기 위한 요건이다. 틀린 것은?(1100년 44월)
1.
우발부채도 충당부채와 동일하게 부채로 인식하여야 한다.
2.
과거사건이나 거래의 결과로 현재의무가 존재해야 한다.
3.
당해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야 한다.
4.
그 의무 이행에 소요되는 금액을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번 ㅡ 우발부채는 기업회계기준에서 부채로 인식하지 아니한다.참고로 이를 주석에 기재한다. [해설작성자 : 수처작주]
7.
다음 중 자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1101년 03월)
1.
자본은 기업의 자산에서 모든 부채를 차감한 후의 잔여지분을 의미한다.
2.
잉여금은 자본거래에 따라 이익잉여금, 손익거래에 따라 자본잉여금으로 구분한다.
3.
주식의 발행금액 중 주권의 액면을 초과하여 발행한 금액을 주식발행초과금이라 한다.
4.
주식으로 배당하는 경우 발행주식의 액면금액을 배당액으로 하여 자본금의 증가와 이익잉여금의 감소로 회계처리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잉여금은 자본거래에 따라 자본잉여금, 손익거래에 따라 이익잉여금으로 나뉜다. [해설작성자 : 취뽀하자]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www.youtube.com/watch?v=Mg7YHUkJP0Q&t=477s]
8.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두 회사 중 한 회사에 투자하기 위해 두 회사의 회계정보를 비교하고자 하는 경우 회계정보가 갖추어야 할 속성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1100년 54월)
1.
비교가능성
2.
신뢰성
3.
목적적합성
4.
중립성
정답 : [
1
] 정답률 : 77%
9.
다음 중 원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1100년 85월)
1.
재료원가는 기초원재료재고액과 당기원재료매입액의 합계액에서 기말원재료재고액을 차감한 금액을 말한다.
2.
당기총제조원가는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를 합한 금액을 말한다.
3.
직접노무원가와 제조간접원가의 합계액을 가공원가라고 한다.
4.
판매활동 이외의 제조활동과 관리활동에서 발생하는 원가를 비제조원가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판매활동 이외에 제조활동과 관바활동에서 발생하는 원가를 제조원가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루룰ㄹ]
비제조원가: 기업의 제조활동과 관계없이 '제품의 판매할동과 관리 활동에서 발생되는 모든 원가'로서 '판매비와 관리비'가 비제조원가에 해당된다. [해설작성자 : 모두통과하세요]
모든 제품 단위가 완성되는 시점을 별도로 파악하기가 어려우므로 인위적인 기간을 정하여 원가를 산정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 기초 및 기말재공품 모두 존재하지 않아야 평균법과 선입선출법이 일치함 [해설작성자 : 전산회계1급]
13.
다음 중 부가가치세 신고·납세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1100년 66월)
1.
부가가치세는 원칙적으로 사업장마다 신고 납부하여야 한다.
2.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장소, 즉 사업장을 기준으로 납세지를 정하고 있다.
3.
2 이상의 사업장이 있는 경우 신청 없이 주된 사업장에서 총괄하여 납부할 수 있다.
4.
사업자단위과세사업자는 사업자등록도 본점 등의 등록번호로 단일화하고, 세금계산서도 하나의 사업자등록번호로 발급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2이상의 사업장이 있는 경우 주사업장총괄납부 신청을 하여 주된 사업장에서 총괄하여 납부할 수 있다.
14.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세금계산서 발급의무 면제대상이 아닌 것은?(1100년 70월)
1.
직매장반출을 제외한 간주공급에 해당하는 재화의 공급
2.
부동산임대용역 중 간주임대료
3.
일반과세자로서 전세버스운송사업을 영위하는 자
4.
미용업 또는 욕탕업을 경영하는 자가 공급하는 용역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전세버스는 과세이다 [해설작성자 : 좌현]
쉽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회사에서 왜 굳이 전세버스를 대절해서 갈까요? 그냥 시외버스 타고 가도 되지 않을까요? 왜 대절하냐면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법인세를 절감할 수 있겠지요. 사실 이와 관련된 내용(면제대상이냐/아니냐, 과세대상이냐/아니냐)는 외워야 하지만, 실생활과 연관시켜 외우면 쉽습니다. [해설작성자 : 회계냠냠]
15.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아래의 괄호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1101년 14월)
1.
공급대가
2.
간주공급
3.
과세표준
4.
납부세액
정답 : [
3
] 정답률 : 65%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③
②
②
③
①
①
②
①
④
②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③
③
③
③
③
전산회계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2일)(7328801)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전산회계, 전산회계1급, 1급,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