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양화장치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2일)(411953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양화장치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임의구분


1. 제동장치의 일종으로 비상용 스위치(Emergency Switch)가 설치되어 있는 윈치는?(2014년 07월)
     1. 증기 윈치
     2. 전동유압 윈치
     3. 내연기관 윈치
     4. 외연기관 윈치

     정답 : []
     정답률 : 85%

2. 연속식 하역장비(continous ship unloader)의 종류가 아닌 것은?(2009년 07월)
     1. 버킷 엘리베이터 타입
     2. 스크루(SCREW) 타입
     3. 진공흡입식(PNT)
     4. 그래브 언로드

     정답 : []
     정답률 : 76%

3. 데릭형 양화장치의 작업개시 전 점검사항으로 틀린 것은?(2009년 07월)
     1. 붐의 변형, 균열, 심한 부식 등을 확인
     2. 카고 와이어에 손상 확인
     3. 트롤리가 횡행하는 레일에 장애물 확인
     4. 구우즈넥에 주유 확인

     정답 : []
     정답률 : 67%

4. 해치 붐(Boom)의 앙각은 통상 ( ∼ )정도에서 사용되고 있다. ( )속에 적합한 숫자는?(2001년 07월)
     1. 20 - 30°
     2. 30 - 40°
     3. 40 - 60°
     4. 50 - 70°

     정답 : []
     정답률 : 78%

5. 버킷 붙이 주행 크레인의 트롤리 형식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2014년 04월)
     1. 로프 트롤리식
     2. 크래브 트롤리식
     3. 맨 트롤리식
     4. 스프레더 트롤리식

     정답 : []
     정답률 : 69%

6. 컨테이너 작업용 트랜스 테이너에서 스프레더의 Tilting device(틸팅 디바이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7월)
     1. 트랜스 테이너의 트림은 ±3∼5°이다.
     2. 트랜스 테이너의 스큐우는 ±3∼5°이다.
     3. 트랜스 테이너의 리스트는 ±3∼5°이다.
     4. 트랜스 테이너는 트림만 있고 스큐우는 없는 것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7. 다음 데릭식 양화장치 중에서 하역작업 속도가 빠른 데릭의 의장 방식은?(2011년 04월)
     1. 스윙붐 방식
     2. 슬루잉붐 방식
     3. 유니언 퍼쳐스 방식
     4. 하우스풀 방식

     정답 : []
     정답률 : 97%

8. 유니언 퍼쳐스식 데릭의 의장법에서 가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7월)
     1. 도크 붐의 가이는 뒤쪽으로 갈수록 가이에 걸리는 장력이 줄어든다.
     2. 유니언 퍼쳐스식에서 가이를 고정해서는 안 된다.
     3. 해치 붐의 가이는 붐 헤드 옆위치가 좋다.
     4. 유니언 퍼쳐스식에서 가이는 정삭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9. 크레인형 양화장치에서 그림에서 빗금친 부분과 같은 작업 범위에 있는 운동을 조합시킨 것은?(2014년 04월)

   

     1. 선회
     2. 선회 + 기복
     3. 주행 + 횡행
     4. 주행

     정답 : []
     정답률 : 81%

10. 크레인 운전시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2014년 07월)
     1. 급격한 운전이나 급정지를 피한다.
     2. 크레인으 전하중을 걸고 전속력으로 운전한다.
     3. 운전중 크레인의 이상 소음이나 진동에 주의한다.
     4. 필요 이상으로 정지와 시동을 반복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98%

11. 유압구동 윈치에서 작동유의 점도가 낮아지면 일어나는 현상은?(2002년 07월)
     1. 권상능력이 높아진다.
     2. 감아올리는 능력이 떨어진다.
     3. 유압이 높아진다.
     4. 유압기기의 수명을 연장 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92%

12. 다음 직류 전동기 중 윈치용 전동기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2001년 07월)
     1. 직권 전동기
     2. 분권 전동기
     3. 복권 전동기
     4. 직권, 복권 전동기

     정답 : []
     정답률 : 83%

13. 권상장치의 안전장치로서 훅이 최고 위치에 달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전류를 단절하고 동시에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감아올림을 정지시키는 장치를 무엇이라 하는가?(2014년 07월)
     1. 리미트 스위치
     2. 전자 브레이크
     3. 감속장치
     4. 권상전동기

     정답 : []
     정답률 : 94%

14. 각종 크레인(육상 및 본선에 설치된 크레인)을 이용한 하역작업에서 화물을 피드 백 컨트롤(화물의 흔들림을 중지 시키는 것)시킨 상태의 흔들리는 진폭은 최대 어느 범위 이내이어야 하는가?(2012년 04월)
     1. ±3㎜ 이내
     2. ±10㎜ 이내
     3. ±50㎜ 이내
     4. ±90㎜ 이내

     정답 : []
     정답률 : 80%

15. 싱글 데릭과 유니언 퍼셔스식 데릭을 비교한 것이다. 유니언 퍼쳐스식 데릭의 장점이 아닌 것은?(2014년 07월)
     1. 하역속도가 빠르다.
     2. 설비비가 적게 든다.
     3. 조작이 간단하다.
     4. 화물이 많이 흔들린다.

     정답 : []
     정답률 : 76%

16. 지브 크레인의 신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3월)
     1. 카고 와이어의 감아 올리기, 감아 내리기 신호는 원칙적으로 오른손을 사용한다.
     2. 붐 또는 기복 및 매단 화물의 수평이동의 신호는 원칙적으로 왼손을 사용한다.
     3. 급정지 시에는 호각이나 큰 소리로 알림과 동시에 정지의 자세를 취한다.
     4. 왼손 방향으로 선회할 때에는 왼손을, 오른손 방향으로 선회할 때에는 오른손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17. 지브 크레인에서의 화물의 이동 높이는 얼마로 유지하도록 신호하여야 하는가?(2014년 07월)
     1. 1m
     2. 2m
     3. 3m
     4. 4m

     정답 : []
     정답률 : 86%

18. 하역 윈치(Winch)종류로서 맞지 않는 것은?(2009년 07월)
     1. 증기윈치
     2. 전동윈치
     3. 수압윈치
     4. 유압구동윈치

     정답 : []
     정답률 : 93%

19. 본선에 설치된 교형 주행 크레인의 주동작이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권상권하
     2. 횡행
     3. 주행
     4. 붐 기복

     정답 : []
     정답률 : 72%

20. 선박의 양화장치 신호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4월)
     1. 화물의 이동속도를 빨리해야 할 때에도 손의 흔들림이 빨라져서는 안된다.
     2. 지브를 올릴 때는 오른쪽 손바닥을 흔든다.
     3. 지브 크레인 신호의 기본 자세 중 팔끔치의 각도는 45° 정도로 한다.
     4. 신호는 반드시 선측작업자 1인과 선내작업자 1인이 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2과목 : 임의구분


21. 유조선에서 스팀윈치를 사용하는 이유는?(2003년 07월)
     1. 원격조종이 용이하다.
     2. 시동준비가 간단하다.
     3. 스파크에 의한 화재를 방지한다.
     4. 누유의 우려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98%

22. 동일한 굵기의 와이어로프가 소선이 다음과 같을때 유연성이 가장 큰 것은?(2001년 07월)
     1. 6 ×7
     2. 6 ×19
     3. 6 ×27
     4. 6 ×61

     정답 : []
     정답률 : 70%

23. 선상 지브 크레인의 주 동작을 나열 한 것 중 틀린 것은?(2016년 07월)
     1. 지브 기복
     2. 선회
     3. 호이스트
     4. 주행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크레인류에서 주행이라 함은 레일 등을 통하여 크레인 자체가 이동하는 것을 뜻함. 배에 달려있는 크레인은 주행의 기능이 있을 수가 없음
[해설작성자 : 세라아빠]

24. 주행 크레인 조작 중의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2013년 04월)
     1. 운전하기 전에 조작레버의 조작방향을 숙지한다.
     2. 화물 이동 경로에는 작업원이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3. 횡행시에는 선체의 기울어짐에 주의한다.
     4. 화물은 최대한 높게 매달고 이동한다.

     정답 : []
     정답률 : 93%

25. 토핑 리프트와 붐 가이의 역할은?(2009년 07월)
     1. 붐을 소정의 장치에 고정시킨다.
     2. 화물을 달아 올린다.
     3. 화물을 싸매거나 얽어맨다.
     4. 원통형의 철재나 목재로 되어있다.

     정답 : []
     정답률 : 92%

26. 6×29(Fi) + UG + IWRC의 설명 중 틀린 것은?(2014년 04월)
     1. 스트랜드의 수는 6개이다.
     2. 필러형 로프이다.
     3. 강한 섬유심을 사용한 로프이다.
     4. 비도금종 로프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27. 블록(Block)의 종류와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4월)
     1. 리이딩 블록 - 당겨지는 방향을 바꿀 수 있다.
     2. 보통 블록 –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강재 블록이다.
     3. 테일블록 – 스트롭에 로프가 달려 있다.
     4. 하역용 블록 – 대형블록으로 마찰저항을 적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보통블록-가장일반적으로 목재블록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 )안에 알맞는 영문은?(2004년 07월)

    

     1. I am work cargo work.
     2. I was work cargo work.
     3. I am working cargo work.
     4. I was working cargo work.

     정답 : []
     정답률 : 75%

29. 다음에서 감정인을 뜻하는 것은?(2003년 07월)
     1. checker
     2. tallyman
     3. surveyor
     4. foreman

     정답 : []
     정답률 : 75%

30. 두 가닥의 로프를 영구적으로 연결하거나 로프의 끝에 아이를 만들거나 로프가 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2014년 07월)
     1. 스플라이싱(Splicing)
     2. 시이징(Seizing)
     3. 휘핑(Whipping)
     4. 노트(Knot)

     정답 : []
     정답률 : 71%

31. 다음에서 벨트 스링의 교체 기준이 아닌 것은?(2014년 04월)
     1. 기름이 과도히 묻었을 경우
     2. 산이나 부식제에 의해 손상된 경우
     3. 100도 이상의 고온에 노출된 경우
     4. 찢어지거나 절단, 구멍으로 인해 코어섬유가 노출된 경우

     정답 : []
     정답률 : 89%

32. 천연섬유와 비교할 때 합성섬유 재질의 로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4월)
     1. 부드럽지 않고 취급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2. 내수성이므로 물이 젖더라도 뻣뻣해지지 않는다.
     3. 탄성이 크고 하중이 걸렸을 때 대체적으로 신율이 크다.
     4. 고온에서는 연화되고 강도가 저하된다.

     정답 : []
     정답률 : 67%

33. 딤블(thimble)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3월)
     1. 원형 딤블: 둥근 모양으로 섬유 로프용과 와이어 로프용 두 가지가 있다.
     2. 하트형 딤블: 심장 모양으로 주로 와이어로프용으로 사용된다.
     3. 커넥티드 딤블: 새클과 딤블을 연결시킨 것이다.
     4. 고정형 딤블: 블록의 스트롭과 훅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66%

34. 훅(hock)걸이용 와이어로프가 훅에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2013년 04월)
     1. 딤블(thimble)
     2. 해지장치
     3. 과부하방지장치
     4. 과권방지장치

     정답 : []
     정답률 : 75%

35. 와이어로프를 취급할 때의 주의사항 중 잘못된 것은?(2011년 04월)
     1. 직각으로 굽혀서 사용하지 않는다.
     2. 충격하중과 같은 무리한 하중이 걸리지 않게 한다.
     3. 안전하중 이상의 하중으로 사용한다.
     4. 킹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36. 태클의 각부 명칭에서 폴(fall)을 당기는 부분의 명칭은?(2005년 07월)
     1. 고정줄
     2. 이동줄
     3. 당김줄
     4. 정박줄

     정답 : []
     정답률 : 89%

37. 섀클(Shackle)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4월)
     1. 훅이 없는 블록에 연결을 할 수가 있다.
     2. 체인 혹은 와이어로프의 끝부분과 딤블(Thimble) 등 말단 쇠붙이를 연결할 때 사용한다.
     3. 섀클의 크기는 몸체 또는 핀의 직경으로 표시한다.
     4. 섀클은 동일한 직경의 훅에 비해 10배 정도의 강도를 가지므로 중량물 취급에 부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87%

38. 유압유의 첨가제로 적 합하지 못한 것은?(2016년 07월)
     1. 방청제
     2. 산화 향상제
     3. 유동점 강하제
     4. 점도지수 향상제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산화향상제가 아닌 산화방지제를 첨가해야 함
[해설작성자 : 세라아빠]

39. 다음 중 와이어 로프의 소선에 아연도금을 하는 이유로 가장 타당한 것은?(2002년 07월)
     1. 녹 방지
     2. 인장강도 증가
     3. 열변형 감소
     4. 피로한계 증가

     정답 : []
     정답률 : 87%

40. 내연기관의 로커암이 하는 역할은?(2013년 04월)
     1. 연소작용
     2. 분사펌프구동
     3. 밸브작동
     4. 분사작용

     정답 : []
     정답률 : 63%

41. 저항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3년 07월)
     1. 동일한 굵기의 구리선은 니크롬선보다 저항이 크다.
     2. 전선은 단면적이 클수록 저항이 크다.
     3. 동일한 굵기의 전선일 때 길이가 길수록 전기저항은 크다.
     4. 도체의 저항은 길이와 단면적과는 무관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42. 힘의 합성과 분해는 어떤 방법을 적용하는가?(2014년 07월)
     1. 정사각형법
     2. 원통형법
     3. 평행사변형법
     4. 삼각형법

     정답 : []
     정답률 : 87%

43. 4행정 엔진에서 동력을 얻는 행정은(2011년 04월)
     1. 흡입행정
     2. 압축행정
     3. 폭발행정
     4. 배기행정

     정답 : []
     정답률 : 89%

44. 전류의 3대 작용이 아닌 것은?(2001년 07월)
     1. 발열작용
     2. 화학작용
     3. 자기작용
     4. 산화작용

     정답 : []
     정답률 : 81%

45. 하나의 힘을 두 개 이상의 분력으로 나눈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2013년 04월)
     1. 분해
     2. 분력
     3. 합성
     4. 합력

     정답 : []
     정답률 : 65%

46. 레일 크램프(rail clamp)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1년 07월)
     1. 작업도중 크레인을 보호하는 장치이다.
     2. 수동식, 전동식, 유압식 등이 있다.
     3. 통상 주행로 끝에 있는 계류위치에서 크레인을 고정시킨다.
     4. 레일 크램프가 작동하고 있는 중에는 크레인을 주행시킬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1%

47. 저항이 200Ω인 회로에 100V의 전압을 가할 때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2014년 04월)
     1. 0.1A
     2. 0.2A
     3. 0.5A
     4. 2A

     정답 : []
     정답률 : 62%

48. 외접기어 펌프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2013년 07월)
     1. 1쌍의 기어 회전방향과 회전수는 동일하다.
     2. 흡입작용은 두 기어물림이 떨어질 때 일어난다.
     3. 구조가 간단하고 값이 싸므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4. 두 기어의 이가 접촉하는 부분은 선접촉을 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49. 전자력의 크기를 표시한 것 중 맞는 것은?(2011년 04월)
     1. 전자력 = 자계의 강도 × 전류의 세기 × 도체의 길이
     2. 전자력 = 전압 × 전류
     3. 전자력 = 자력선의 밀도 × 기전력 × 도체의 길이
     4. 전자력 = 자력선의 밀도 × 전류의 세기 × 힘의 세기

     정답 : []
     정답률 : 76%

50. 유압윈치에서 파이프내에 공기가 들어가면 어떤 현상이 일어 나는가?(2003년 07월)
     1. 회전이 원활 하지 못하여 쇼크가 일어 난다.
     2. 기름의 점도가 올라간다.
     3. 기름이 역류한다.
     4. 흐르는 기름의 양이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51. 하역 작업 착수에 앞서 확인하고 작업의 안전을 기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13년 07월)
     1. 작업자의 적정배치
     2. 보호구 착용
     3. 작업수행에 필요한 사항 숙지
     4. 재해방지 사항

     정답 : []
     정답률 : 82%

52. 길이 3m, 폭 1.5m, 두께 10mm인 강판 10매의 중량은? (단, 강의 비중은 7.8 이다.)(2004년 07월)
     1. 351kg
     2. 450kg
     3. 3510kg
     4. 4500kg

     정답 : []
     정답률 : 74%

53. 항만 하역 작업시 작업원의 보호구 착용 의무와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2009년 07월)
     1. 분진이 발생하는 장소에서는 방진 마스크를 착용한다.
     2. 검역소독을 완료한 원목 하역시에는 방독면을 착용한다.
     3. 물체의 낙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모를 착용한다.
     4. 급냉동어창에서의 작업시에는 방한복, 방한모 등을 이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93%

54. 이동식 컨베이어 운전시 준수사항으로 틀린 것은?(2009년 03월)
     1. 운전시작 전 주위 근로자에게 경고한다.
     2. 화물을 적치한 상태에서 시동한다.
     3. 이상별견시 즉시 운전을 정지한다.
     4. 화물을 컨베이어 중앙에 적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87%

55. 손가락이 절단된 사고에 대한 응급처치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7월)
     1. 잘려진 부위에 거즈를 대고 압박하여 지혈시켰다.
     2. 손상된 부위를 환자가 보지 못하게 하였다.
     3. 잘린 손가락을 직접 얼음물에 담가 병원으로 가져갔다.
     4. 환자에게 봉합수술이 가능하다고 안심 시켰다.

     정답 : []
     정답률 : 82%

56. 밀폐된 구역 또는 협소한 구역에 진입하여야 할 때에 지켜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2004년 07월)
     1. 잠재된 위험성을 파악할 것
     2. 급할 때는 작업허가 없이 작업을 할 수 있다.
     3. 적합한 안전장비를 제공한다.
     4. 구역에 위해 물질의 침입이 없는가를 확인할 것

     정답 : []
     정답률 : 96%

57. 화물 취급주의 표시 중에서 “갈고리 사용금지!”에 해당하는 것은?(2014년 04월)
     1. No hooks!
     2. Open here hooks!
     3. Hand off
     4. Use only hooks!

     정답 : []
     정답률 : 90%

58. 다음은 하역 작업 중 지게차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03년 07월)
     1. 후진시 사람이나 장애물이 있는가를 확인하며, 경보를 울리면서 진행하여야 한다.
     2. 내리막길 운전시 저속으로 브레이크를 밟으면서 서서히 운행하여야 한다.
     3. 큰 짐 적재시 전방이 안보일 때 후진운행을 한다.
     4. 경사면에서 운전시 짐은 반드시 언덕 아래로 향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99%

59. "제한구역“ 또는 ”통제구역“의 뜻으로 쓰이는 영어 문구는?(2009년 03월)
     1. AREA PERMIT
     2. OUT PLACE
     3. DISTRICT EXEMPT
     4. OFF LIMIT

     정답 : []
     정답률 : 80%

60. 다음 중 “Which hatches do you work?"에 대한 올바른 답변은 무엇인가?(2012년 04월)
     1. Be carefully
     2. in a hurry, please
     3. We will send four gangs
     4. We are to work No 1, 2 and 5 hatch

     정답 : []
     정답률 : 87%


정 답 지

양화장치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2일)(411953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양화장치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임의구분


1. 제동장치의 일종으로 비상용 스위치(Emergency Switch)가 설치되어 있는 윈치는?(2014년 07월)
     1. 증기 윈치
     2. 전동유압 윈치
     3. 내연기관 윈치
     4. 외연기관 윈치

     정답 : []
     정답률 : 85%

2. 연속식 하역장비(continous ship unloader)의 종류가 아닌 것은?(2009년 07월)
     1. 버킷 엘리베이터 타입
     2. 스크루(SCREW) 타입
     3. 진공흡입식(PNT)
     4. 그래브 언로드

     정답 : []
     정답률 : 76%

3. 데릭형 양화장치의 작업개시 전 점검사항으로 틀린 것은?(2009년 07월)
     1. 붐의 변형, 균열, 심한 부식 등을 확인
     2. 카고 와이어에 손상 확인
     3. 트롤리가 횡행하는 레일에 장애물 확인
     4. 구우즈넥에 주유 확인

     정답 : []
     정답률 : 67%

4. 해치 붐(Boom)의 앙각은 통상 ( ∼ )정도에서 사용되고 있다. ( )속에 적합한 숫자는?(2001년 07월)
     1. 20 - 30°
     2. 30 - 40°
     3. 40 - 60°
     4. 50 - 70°

     정답 : []
     정답률 : 78%

5. 버킷 붙이 주행 크레인의 트롤리 형식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2014년 04월)
     1. 로프 트롤리식
     2. 크래브 트롤리식
     3. 맨 트롤리식
     4. 스프레더 트롤리식

     정답 : []
     정답률 : 69%

6. 컨테이너 작업용 트랜스 테이너에서 스프레더의 Tilting device(틸팅 디바이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7월)
     1. 트랜스 테이너의 트림은 ±3∼5°이다.
     2. 트랜스 테이너의 스큐우는 ±3∼5°이다.
     3. 트랜스 테이너의 리스트는 ±3∼5°이다.
     4. 트랜스 테이너는 트림만 있고 스큐우는 없는 것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7. 다음 데릭식 양화장치 중에서 하역작업 속도가 빠른 데릭의 의장 방식은?(2011년 04월)
     1. 스윙붐 방식
     2. 슬루잉붐 방식
     3. 유니언 퍼쳐스 방식
     4. 하우스풀 방식

     정답 : []
     정답률 : 97%

8. 유니언 퍼쳐스식 데릭의 의장법에서 가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7월)
     1. 도크 붐의 가이는 뒤쪽으로 갈수록 가이에 걸리는 장력이 줄어든다.
     2. 유니언 퍼쳐스식에서 가이를 고정해서는 안 된다.
     3. 해치 붐의 가이는 붐 헤드 옆위치가 좋다.
     4. 유니언 퍼쳐스식에서 가이는 정삭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9. 크레인형 양화장치에서 그림에서 빗금친 부분과 같은 작업 범위에 있는 운동을 조합시킨 것은?(2014년 04월)

   

     1. 선회
     2. 선회 + 기복
     3. 주행 + 횡행
     4. 주행

     정답 : []
     정답률 : 81%

10. 크레인 운전시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2014년 07월)
     1. 급격한 운전이나 급정지를 피한다.
     2. 크레인으 전하중을 걸고 전속력으로 운전한다.
     3. 운전중 크레인의 이상 소음이나 진동에 주의한다.
     4. 필요 이상으로 정지와 시동을 반복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98%

11. 유압구동 윈치에서 작동유의 점도가 낮아지면 일어나는 현상은?(2002년 07월)
     1. 권상능력이 높아진다.
     2. 감아올리는 능력이 떨어진다.
     3. 유압이 높아진다.
     4. 유압기기의 수명을 연장 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92%

12. 다음 직류 전동기 중 윈치용 전동기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2001년 07월)
     1. 직권 전동기
     2. 분권 전동기
     3. 복권 전동기
     4. 직권, 복권 전동기

     정답 : []
     정답률 : 83%

13. 권상장치의 안전장치로서 훅이 최고 위치에 달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전류를 단절하고 동시에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감아올림을 정지시키는 장치를 무엇이라 하는가?(2014년 07월)
     1. 리미트 스위치
     2. 전자 브레이크
     3. 감속장치
     4. 권상전동기

     정답 : []
     정답률 : 94%

14. 각종 크레인(육상 및 본선에 설치된 크레인)을 이용한 하역작업에서 화물을 피드 백 컨트롤(화물의 흔들림을 중지 시키는 것)시킨 상태의 흔들리는 진폭은 최대 어느 범위 이내이어야 하는가?(2012년 04월)
     1. ±3㎜ 이내
     2. ±10㎜ 이내
     3. ±50㎜ 이내
     4. ±90㎜ 이내

     정답 : []
     정답률 : 80%

15. 싱글 데릭과 유니언 퍼셔스식 데릭을 비교한 것이다. 유니언 퍼쳐스식 데릭의 장점이 아닌 것은?(2014년 07월)
     1. 하역속도가 빠르다.
     2. 설비비가 적게 든다.
     3. 조작이 간단하다.
     4. 화물이 많이 흔들린다.

     정답 : []
     정답률 : 76%

16. 지브 크레인의 신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3월)
     1. 카고 와이어의 감아 올리기, 감아 내리기 신호는 원칙적으로 오른손을 사용한다.
     2. 붐 또는 기복 및 매단 화물의 수평이동의 신호는 원칙적으로 왼손을 사용한다.
     3. 급정지 시에는 호각이나 큰 소리로 알림과 동시에 정지의 자세를 취한다.
     4. 왼손 방향으로 선회할 때에는 왼손을, 오른손 방향으로 선회할 때에는 오른손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17. 지브 크레인에서의 화물의 이동 높이는 얼마로 유지하도록 신호하여야 하는가?(2014년 07월)
     1. 1m
     2. 2m
     3. 3m
     4. 4m

     정답 : []
     정답률 : 86%

18. 하역 윈치(Winch)종류로서 맞지 않는 것은?(2009년 07월)
     1. 증기윈치
     2. 전동윈치
     3. 수압윈치
     4. 유압구동윈치

     정답 : []
     정답률 : 93%

19. 본선에 설치된 교형 주행 크레인의 주동작이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권상권하
     2. 횡행
     3. 주행
     4. 붐 기복

     정답 : []
     정답률 : 72%

20. 선박의 양화장치 신호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4월)
     1. 화물의 이동속도를 빨리해야 할 때에도 손의 흔들림이 빨라져서는 안된다.
     2. 지브를 올릴 때는 오른쪽 손바닥을 흔든다.
     3. 지브 크레인 신호의 기본 자세 중 팔끔치의 각도는 45° 정도로 한다.
     4. 신호는 반드시 선측작업자 1인과 선내작업자 1인이 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2과목 : 임의구분


21. 유조선에서 스팀윈치를 사용하는 이유는?(2003년 07월)
     1. 원격조종이 용이하다.
     2. 시동준비가 간단하다.
     3. 스파크에 의한 화재를 방지한다.
     4. 누유의 우려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98%

22. 동일한 굵기의 와이어로프가 소선이 다음과 같을때 유연성이 가장 큰 것은?(2001년 07월)
     1. 6 ×7
     2. 6 ×19
     3. 6 ×27
     4. 6 ×61

     정답 : []
     정답률 : 70%

23. 선상 지브 크레인의 주 동작을 나열 한 것 중 틀린 것은?(2016년 07월)
     1. 지브 기복
     2. 선회
     3. 호이스트
     4. 주행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크레인류에서 주행이라 함은 레일 등을 통하여 크레인 자체가 이동하는 것을 뜻함. 배에 달려있는 크레인은 주행의 기능이 있을 수가 없음
[해설작성자 : 세라아빠]

24. 주행 크레인 조작 중의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2013년 04월)
     1. 운전하기 전에 조작레버의 조작방향을 숙지한다.
     2. 화물 이동 경로에는 작업원이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3. 횡행시에는 선체의 기울어짐에 주의한다.
     4. 화물은 최대한 높게 매달고 이동한다.

     정답 : []
     정답률 : 93%

25. 토핑 리프트와 붐 가이의 역할은?(2009년 07월)
     1. 붐을 소정의 장치에 고정시킨다.
     2. 화물을 달아 올린다.
     3. 화물을 싸매거나 얽어맨다.
     4. 원통형의 철재나 목재로 되어있다.

     정답 : []
     정답률 : 92%

26. 6×29(Fi) + UG + IWRC의 설명 중 틀린 것은?(2014년 04월)
     1. 스트랜드의 수는 6개이다.
     2. 필러형 로프이다.
     3. 강한 섬유심을 사용한 로프이다.
     4. 비도금종 로프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27. 블록(Block)의 종류와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4월)
     1. 리이딩 블록 - 당겨지는 방향을 바꿀 수 있다.
     2. 보통 블록 –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강재 블록이다.
     3. 테일블록 – 스트롭에 로프가 달려 있다.
     4. 하역용 블록 – 대형블록으로 마찰저항을 적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보통블록-가장일반적으로 목재블록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 )안에 알맞는 영문은?(2004년 07월)

    

     1. I am work cargo work.
     2. I was work cargo work.
     3. I am working cargo work.
     4. I was working cargo work.

     정답 : []
     정답률 : 75%

29. 다음에서 감정인을 뜻하는 것은?(2003년 07월)
     1. checker
     2. tallyman
     3. surveyor
     4. foreman

     정답 : []
     정답률 : 75%

30. 두 가닥의 로프를 영구적으로 연결하거나 로프의 끝에 아이를 만들거나 로프가 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2014년 07월)
     1. 스플라이싱(Splicing)
     2. 시이징(Seizing)
     3. 휘핑(Whipping)
     4. 노트(Knot)

     정답 : []
     정답률 : 71%

31. 다음에서 벨트 스링의 교체 기준이 아닌 것은?(2014년 04월)
     1. 기름이 과도히 묻었을 경우
     2. 산이나 부식제에 의해 손상된 경우
     3. 100도 이상의 고온에 노출된 경우
     4. 찢어지거나 절단, 구멍으로 인해 코어섬유가 노출된 경우

     정답 : []
     정답률 : 89%

32. 천연섬유와 비교할 때 합성섬유 재질의 로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4월)
     1. 부드럽지 않고 취급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2. 내수성이므로 물이 젖더라도 뻣뻣해지지 않는다.
     3. 탄성이 크고 하중이 걸렸을 때 대체적으로 신율이 크다.
     4. 고온에서는 연화되고 강도가 저하된다.

     정답 : []
     정답률 : 67%

33. 딤블(thimble)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3월)
     1. 원형 딤블: 둥근 모양으로 섬유 로프용과 와이어 로프용 두 가지가 있다.
     2. 하트형 딤블: 심장 모양으로 주로 와이어로프용으로 사용된다.
     3. 커넥티드 딤블: 새클과 딤블을 연결시킨 것이다.
     4. 고정형 딤블: 블록의 스트롭과 훅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66%

34. 훅(hock)걸이용 와이어로프가 훅에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2013년 04월)
     1. 딤블(thimble)
     2. 해지장치
     3. 과부하방지장치
     4. 과권방지장치

     정답 : []
     정답률 : 75%

35. 와이어로프를 취급할 때의 주의사항 중 잘못된 것은?(2011년 04월)
     1. 직각으로 굽혀서 사용하지 않는다.
     2. 충격하중과 같은 무리한 하중이 걸리지 않게 한다.
     3. 안전하중 이상의 하중으로 사용한다.
     4. 킹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36. 태클의 각부 명칭에서 폴(fall)을 당기는 부분의 명칭은?(2005년 07월)
     1. 고정줄
     2. 이동줄
     3. 당김줄
     4. 정박줄

     정답 : []
     정답률 : 89%

37. 섀클(Shackle)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4월)
     1. 훅이 없는 블록에 연결을 할 수가 있다.
     2. 체인 혹은 와이어로프의 끝부분과 딤블(Thimble) 등 말단 쇠붙이를 연결할 때 사용한다.
     3. 섀클의 크기는 몸체 또는 핀의 직경으로 표시한다.
     4. 섀클은 동일한 직경의 훅에 비해 10배 정도의 강도를 가지므로 중량물 취급에 부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87%

38. 유압유의 첨가제로 적 합하지 못한 것은?(2016년 07월)
     1. 방청제
     2. 산화 향상제
     3. 유동점 강하제
     4. 점도지수 향상제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산화향상제가 아닌 산화방지제를 첨가해야 함
[해설작성자 : 세라아빠]

39. 다음 중 와이어 로프의 소선에 아연도금을 하는 이유로 가장 타당한 것은?(2002년 07월)
     1. 녹 방지
     2. 인장강도 증가
     3. 열변형 감소
     4. 피로한계 증가

     정답 : []
     정답률 : 87%

40. 내연기관의 로커암이 하는 역할은?(2013년 04월)
     1. 연소작용
     2. 분사펌프구동
     3. 밸브작동
     4. 분사작용

     정답 : []
     정답률 : 63%

41. 저항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3년 07월)
     1. 동일한 굵기의 구리선은 니크롬선보다 저항이 크다.
     2. 전선은 단면적이 클수록 저항이 크다.
     3. 동일한 굵기의 전선일 때 길이가 길수록 전기저항은 크다.
     4. 도체의 저항은 길이와 단면적과는 무관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42. 힘의 합성과 분해는 어떤 방법을 적용하는가?(2014년 07월)
     1. 정사각형법
     2. 원통형법
     3. 평행사변형법
     4. 삼각형법

     정답 : []
     정답률 : 87%

43. 4행정 엔진에서 동력을 얻는 행정은(2011년 04월)
     1. 흡입행정
     2. 압축행정
     3. 폭발행정
     4. 배기행정

     정답 : []
     정답률 : 89%

44. 전류의 3대 작용이 아닌 것은?(2001년 07월)
     1. 발열작용
     2. 화학작용
     3. 자기작용
     4. 산화작용

     정답 : []
     정답률 : 81%

45. 하나의 힘을 두 개 이상의 분력으로 나눈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2013년 04월)
     1. 분해
     2. 분력
     3. 합성
     4. 합력

     정답 : []
     정답률 : 65%

46. 레일 크램프(rail clamp)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1년 07월)
     1. 작업도중 크레인을 보호하는 장치이다.
     2. 수동식, 전동식, 유압식 등이 있다.
     3. 통상 주행로 끝에 있는 계류위치에서 크레인을 고정시킨다.
     4. 레일 크램프가 작동하고 있는 중에는 크레인을 주행시킬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1%

47. 저항이 200Ω인 회로에 100V의 전압을 가할 때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2014년 04월)
     1. 0.1A
     2. 0.2A
     3. 0.5A
     4. 2A

     정답 : []
     정답률 : 62%

48. 외접기어 펌프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2013년 07월)
     1. 1쌍의 기어 회전방향과 회전수는 동일하다.
     2. 흡입작용은 두 기어물림이 떨어질 때 일어난다.
     3. 구조가 간단하고 값이 싸므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4. 두 기어의 이가 접촉하는 부분은 선접촉을 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49. 전자력의 크기를 표시한 것 중 맞는 것은?(2011년 04월)
     1. 전자력 = 자계의 강도 × 전류의 세기 × 도체의 길이
     2. 전자력 = 전압 × 전류
     3. 전자력 = 자력선의 밀도 × 기전력 × 도체의 길이
     4. 전자력 = 자력선의 밀도 × 전류의 세기 × 힘의 세기

     정답 : []
     정답률 : 76%

50. 유압윈치에서 파이프내에 공기가 들어가면 어떤 현상이 일어 나는가?(2003년 07월)
     1. 회전이 원활 하지 못하여 쇼크가 일어 난다.
     2. 기름의 점도가 올라간다.
     3. 기름이 역류한다.
     4. 흐르는 기름의 양이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51. 하역 작업 착수에 앞서 확인하고 작업의 안전을 기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13년 07월)
     1. 작업자의 적정배치
     2. 보호구 착용
     3. 작업수행에 필요한 사항 숙지
     4. 재해방지 사항

     정답 : []
     정답률 : 82%

52. 길이 3m, 폭 1.5m, 두께 10mm인 강판 10매의 중량은? (단, 강의 비중은 7.8 이다.)(2004년 07월)
     1. 351kg
     2. 450kg
     3. 3510kg
     4. 4500kg

     정답 : []
     정답률 : 74%

53. 항만 하역 작업시 작업원의 보호구 착용 의무와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2009년 07월)
     1. 분진이 발생하는 장소에서는 방진 마스크를 착용한다.
     2. 검역소독을 완료한 원목 하역시에는 방독면을 착용한다.
     3. 물체의 낙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모를 착용한다.
     4. 급냉동어창에서의 작업시에는 방한복, 방한모 등을 이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93%

54. 이동식 컨베이어 운전시 준수사항으로 틀린 것은?(2009년 03월)
     1. 운전시작 전 주위 근로자에게 경고한다.
     2. 화물을 적치한 상태에서 시동한다.
     3. 이상별견시 즉시 운전을 정지한다.
     4. 화물을 컨베이어 중앙에 적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87%

55. 손가락이 절단된 사고에 대한 응급처치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7월)
     1. 잘려진 부위에 거즈를 대고 압박하여 지혈시켰다.
     2. 손상된 부위를 환자가 보지 못하게 하였다.
     3. 잘린 손가락을 직접 얼음물에 담가 병원으로 가져갔다.
     4. 환자에게 봉합수술이 가능하다고 안심 시켰다.

     정답 : []
     정답률 : 82%

56. 밀폐된 구역 또는 협소한 구역에 진입하여야 할 때에 지켜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2004년 07월)
     1. 잠재된 위험성을 파악할 것
     2. 급할 때는 작업허가 없이 작업을 할 수 있다.
     3. 적합한 안전장비를 제공한다.
     4. 구역에 위해 물질의 침입이 없는가를 확인할 것

     정답 : []
     정답률 : 96%

57. 화물 취급주의 표시 중에서 “갈고리 사용금지!”에 해당하는 것은?(2014년 04월)
     1. No hooks!
     2. Open here hooks!
     3. Hand off
     4. Use only hooks!

     정답 : []
     정답률 : 90%

58. 다음은 하역 작업 중 지게차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03년 07월)
     1. 후진시 사람이나 장애물이 있는가를 확인하며, 경보를 울리면서 진행하여야 한다.
     2. 내리막길 운전시 저속으로 브레이크를 밟으면서 서서히 운행하여야 한다.
     3. 큰 짐 적재시 전방이 안보일 때 후진운행을 한다.
     4. 경사면에서 운전시 짐은 반드시 언덕 아래로 향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99%

59. "제한구역“ 또는 ”통제구역“의 뜻으로 쓰이는 영어 문구는?(2009년 03월)
     1. AREA PERMIT
     2. OUT PLACE
     3. DISTRICT EXEMPT
     4. OFF LIMIT

     정답 : []
     정답률 : 80%

60. 다음 중 “Which hatches do you work?"에 대한 올바른 답변은 무엇인가?(2012년 04월)
     1. Be carefully
     2. in a hurry, please
     3. We will send four gangs
     4. We are to work No 1, 2 and 5 hatch

     정답 : []
     정답률 : 87%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양화장치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2일)(411953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5 9급 지방직 공무원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 04월 08일(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1.02 2
254 방사선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2일)(1379150) 좋은아빠되기 2025.11.02 2
253 PC정비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2일)(2775509) 좋은아빠되기 2025.11.02 3
252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9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2 4
25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적법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2 3
250 소방공무원(공개) 소방관계법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2 4
249 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10월09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2 3
248 9급 국가직 공무원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7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2 2
247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2일)(1301134) 좋은아빠되기 2025.11.02 6
246 지게차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2일)(1407275) 좋은아빠되기 2025.11.02 4
» 양화장치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2일)(4119538) 좋은아빠되기 2025.11.02 4
244 9급 국가직 공무원 교육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7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2 1
243 자기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2일)(8003180) 좋은아빠되기 2025.11.02 2
242 전산세무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020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2 1
241 9급 지방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2 2
240 9급 지방직 공무원 임업경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2 2
239 전산회계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2일)(7328801) 좋은아빠되기 2025.11.02 1
238 정보기기운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1월30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2 2
237 귀금속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2일)(4085080) 좋은아빠되기 2025.11.02 1
236 경찰공무원(순경) 사회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9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2 2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0 Next
/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