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바리스타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3일)(455848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바리스타 2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커피학 개론


1. 원산지 에티오피아로부터 커피가 전파되어 최초로 경작을 시작한 나라는?(2010년 05월)
     1. 인도
     2. 인도네시아
     3. 예멘
     4. 브라질

     정답 : []
     정답률 : 80%

2. 커피나무의 열매를 형태학적으로 분류하면 어떤 종류에 속하는가?(2012년 03월)
     1. 장과(漿果)
     2. 핵과(核果)
     3. 견과(堅果)
     4. 건과(乾果)

     정답 : []
     정답률 : 89%

3.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아라비카 종 커피나무는 꼭두서니과의 상록 쌍떡잎식물이며, 원산지는 에티오피아의 모카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2. 북위 25도와 남위 25도 사이 지역은 커피 재배에 적합하여 커피벨트, 혹은 커피 존이라고 한다.
     3. 콜롬비아 마일드 및 양질의 아라비카 종은 브라질과 콜롬비아를 비롯한 중남미 여러 나라에서 주로 생산된다.
     4. 로부스타는 병충해에 강하고 환경 적응력이 뛰어나 재배가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원산지는 에티오피아의 고원지대인 카파지역이다
[해설작성자 : 바리스타]

4. 커피가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변패되는 현상을 자동산화라 한다. 아래 성분 중에서 자동산화반응을 일으키는 커피의 성분은?(2010년 05월)
     1. 포화지방산
     2. 불포화지방산
     3. 아미노산
     4. 카페인

     정답 : []
     정답률 : 71%

5. 다음 중 아라비카 종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어느 것인가?(2011년 03월)
     1. ‘커피나무의 귀족’ 이라고도 불리며, 2쌍의 염색체를 갖고 꽃이 핀 후 11개월이 지나서야 커피체리가 빨갛게 익는다.
     2. 원산지는 에티오피아(Ethiopia)로 1753년 스웨덴 식물학자 칼 폰 린네(Carl von Linne)에 의해 처음으로 학계에 등록되었다.
     3. 15-24℃의 기온에서 연평균 강우량 1,500-2,000㎜의 규칙적인 비와 직사광선은 아니지만 충분한 햇볕을 받아야 한다.
     4. 가장 많이 알려진 품종으로 티피카(Typica)와 버번(Bourbon)이 있으나, 커피 재배가 확대되면서 카투라(Catura), 문도 노보(Mundo Novo), 블루마운틴(Blue Mountain) 등 품종도 다양해졌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아라비카 종은 2쌍의 염색체를 가지고 꽃이 핀 후 9~11개월이 지나면 열매가 빨갛게 익는다.
[해설작성자 : 황돌멩]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아라비카는 2쌍이아닌 4쌍의 4배체 염색체이다
[해설작성자 : 홍앵듀]

6. 커피 열매 안에 한 개의 콩만을 가지는 경우를 피베리라 부른다. 피베리는 둥근 모양을 하고 있어 다른 표현으로 불리기도 한다. 스페인어로 달팽이란 뜻을 가진 단어는?(2011년 12월)
     1. 트라이앵글러 빈
     2. 플랫 빈
     3. 카라콜리로
     4. 파치먼트

     정답 : []
     정답률 : 62%

7. 건식법(Dry processing)으로 생산된 생두를 창고를 열어 계절풍을 쐬어 가공한 커피로 신맛은 적고 입에서의 느낌이 묵직하고 독특한 향을 느낄 수 있는 인도산 커피는?(2012년 11월)
     1. Old coffee
     2. Aged coffee
     3. Monsooned coffee
     4. Organic coffee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인도의 몬순 계절풍을 한번에 외우면 문제가 쉽습니다.
'계절풍' 이라는 키워드에 신경씁니다.

8. 티피카(Typica) 품종과 카티모르(Catimor) 품종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2012년 05월)
     1. 동일한 장소에 보관 시 카티모르 품종이 색깔 변화가 빠르다.
     2. 티피카 품종은 다른 품종에 비해 밀도가 높다.
     3. 카티모르 품종이 티피카 품종 보다 훨씬 가볍다.
     4. 자메이카 블루마운틴(Blue Mountain)과 하와이 코나(Kona)는 티피카 품종이다.

     정답 : []
     정답률 : 69%

9. 아프리카 동부에 위치한 레위니옹(Reunion) 섬에서 발견된 티피카(Typica)의 돌연변이 품종은?(2010년 11월)
     1. 카투아이(Catuai)
     2. 버번(Bourbon)
     3. 수마트라(Sumatra)
     4. 문도노보(Mundo Novo)

     정답 : []
     정답률 : 70%

10. 커피체리 수확 방식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2010년 08월)

    

     1. 핸드 피킹(Hand-picking) 방식은 잘 익은 체리만을 선택적으로 수확하기에 적절한 방법이다.
     2. 스트리핑(Stripping) 방식은 한 번에 여러개의 체리를 훑어 수확하는 방법이다.
     3. 핸드 피킹(Hand-picking) 방식의 수확은 커피의 품질을 떨어뜨린다.
     4. 스트리핑(Stripping) 방식은 인건비 부담이 적다.

     정답 : []
     정답률 : 80%

11. 다음 중 중남미 커피생산국이 아닌 것은?(2009년 05월)
     1. 코스타리카
     2. 과테말라
     3. 파푸아 뉴기니
     4. 콜롬비아

     정답 : []
     정답률 : 65%

12. 커피의 Fair trade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2007년 06월)
     1. 페어 트레이드는 선진소비국과 후진생산국이 농산물의 안정적인 생산기반과 수급에 공헌하고 있다.
     2. 미국과 일본 등은 페어 트레이드를 통해 커피생산국의 커피가격 폭락에도 일정 가격이상을 지급하고 농업기술에 대한 훌륭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3. 커피생산국은 페어 트레이드 가맹국가나 단체에게 일정한 품질의 커피를 공급하여 페어트레이드 가맹단체의 안정적인 영업활동에 큰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4. 페어트레이드가 자율적인 시장경제를 무시하고 가맹단체에 대한 의존도를 높인다고 하여 더 이상 시행되지 않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67%

13. 과테말라에서 생산되는 생두 중 분류 등급에 따라서 붙게 되는 SHB(Strictly Hard Been) 또는 HB(Hard Been) 등은 무엇을 의미하나?(2008년 06월)
     1. 생두의 경작 고도
     2. 생두의 결점두 비육
     3. 생두의 재배 방법
     4. 생두의 성숙 정도

     정답 : []
     정답률 : 52%

14. 커피의 품종 중 아라비카(Arabica) 종의 생육조건에 맞지 않는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모두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시면 정답 처리 됩니다.)(2010년 05월)
     1. 병충해에 강하며 환경 적응력이 좋다.
     2. 해발 800m 이하에서 재배해야 품질이 좋은 아라비카 종을 생산할 수 있다.
     3. 서리는 생육에 치명적이다.
     4. 연평균 기온 24-34℃의 온도가 유지되어야 무난히 경작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2%

15. 커피 체리를 수확하는 방법 중 틀린 설명은?(2008년 11월)
     1. 스트리핑(Stripping) 방식은 핸드 피킹(Hand-picking)방식에 비해 인건비 부담이 적다.
     2. 핸드 피킹(Hand-picking)방식은 커피의 품질(Quality)을 떨어뜨린다.
     3. 스트리핑(Stripping) 방식은 한 번에 모든 체리를 흝어 수확하는 방법이다.
     4. 핸드 피킹(Hand-picking)방식은 잘 익은 체리만을 선택적으로 수확하는 방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73%

16. 커피 생두의 등급(Grading)을 정하기 위해 되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2010년 11월)
     1. 크기
     2. 밀도
     3. 수분함량
     4. 수확시기

     정답 : []
     정답률 : 62%

17. 커피콩의 구입 시 포장에 명시된 상품명인 (Beazil Santos NO,2 ⦁screen 19⦁strictly soft)에서 "SCREEN 19의 의미는?(2007년 06월)
     1. 결점두의 혼입량에 의한 분류
     2. 커피콩의 크기에 의한 분류
     3. 투명도의 정도에 의한 분류
     4. 커피콩의 형태에 의한 분류

     정답 : []
     정답률 : 72%

18.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커피 산지는?(2008년 06월)

    

     1. 예멘
     2. 에티오피아
     3. 짐바브웨
     4. 탄자니아

     정답 : []
     정답률 : 64%

19. 커피 가동 과정에 대한 아래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2008년 11월)

    

     1. Hulling과정
     2. Polishing 과정
     3. Pulping 과정
     4. Grading 과정

     정답 : []
     정답률 : 57%

20. 건식법(Dry processing)으로 생산된 생두를 창고를 열어 계절풍을 쐬어 가공한 커피로 신맛은 적고 입에서의 느낌이 묵직하고 독특한 향을 느낄 수 있는 인도산 커피는 다음중 무엇인가?(2012년 03월)
     1. Old Coffee
     2. Aged Coffee
     3. Monsooned Coffee
     4. Organic Coffee

     정답 : []
     정답률 : 85%

21. 커피종자를 개량하는 목적으로 옳게 묶은 것은?(2010년 11월)

    

     1. 가, 나
     2. 나, 다
     3. 다, 라
     4. 가, 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커피종자 개량목적>
가)단위면적당 많은 생산량을 얻기 위한 목적
나)키가 작은 커피나무(수확이 쉬움)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
다)병충해에 강한 품종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
라)대규모 경작(경제적임)을 쉽게 하기 위한 목적    
[해설작성자 : 머피의코피]

22. 다음 중 커피이름과 생산지가 올바르게 연결 된 것은?(2011년 12월)
     1. 케냐 - 킬리만자로(Kilimanjaro)
     2. 예멘 - 마타리(Mattari)
     3. 멕시코 - 산토스(Santos)
     4. 에티오피아 - 만델링(Mandhelling)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예멘-마타리-모카 묶어서 외우기
인도네시아-만델링

23. 우유에 함유된 성분으로서, 칼슘 흡수를 촉진하는 물질은 무엇인가?(2010년 08월)
     1. 불포화지방산
     2. 유당
     3. 포화지방산
     4. 무기질

     정답 : []
     정답률 : 49%

24. 다음은 디카페인 커피의 제조과정을 설명한 내용인데, 어떤 종류의 추출법을 설명한 것 인가?(2010년 05월)

    

     1. 초임계 추출법
     2. 물 추출법
     3. 증류 추출법
     4. 용매 추출법

     정답 : []
     정답률 : 66%

25. 아라비카 커피(Coffea Arabica)의 원산지로 알려진 나라는?(2005년 11월)
     1. 우간다
     2. 케냐
     3. 에티오피아
     4. 콩고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로부스타는 콩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6. 우유를 높은 온도에서 가열할 때 생기는 가열취(加熱臭)의 원인이 되는 유청 단백질은 무엇인가?(2011년 06월)
     1. 카제인
     2. 알파-락트알부민
     3. 베타-락토글로불린
     4. 락토페린

     정답 : []
     정답률 : 73%

27. 커피전문점에서 사용되는 식재료의 저장을 위한 방법 중 부적당한 것은?(2011년 09월)
     1. 낮은 온도에서 저장
     2. 식품 내 효소 활성화
     3. 햇볕 노출 최소화
     4. 진공 포장

     정답 : []
     정답률 : 69%

28. 병원체가 음식물, 음료수, 식기, 손 등을 통하여 침입하는 경구전염병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2년 05월)
     1. 세균성 이질
     2. 파라티푸스
     3. 디프테리아
     4. 병원성 대장균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 3번/ 디프테리아: 호흡기계 감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디프테리아 : 호흡기 감염입니다. 침방울, 기침 등을 통해 전파되며, 입을 통해 음식물로 전파되는 경구전염병이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저세상 잼민이]

29. 다음은 우유의 표면장력을 설명한 것이다. 옳은 내용으로 연결된 것은?(2012년 03월)

    

     1. 가, 나
     2. 가, 라
     3. 나, 다
     4. 다, 라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가 : 순수한 물은 대부분의 물질들 보다 표면장력이 정말 높습니다.
나,라 : 우유의 온도가 높아지면 표면장력이 낮아지면서 거품도 잘 생깁니다.

30. 커피전문점의 경영차원에서 ‘해피 아워(Happy hour)’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2012년 11월)
     1. 사은 특별행사
     2. 여흥의 시간대
     3. 가격할인 시간대
     4. 영업시간 이외의 시간대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해피 아워를 사람들이 덜 붐비는 시간대에 만들어서
가격할인을 시켜주거나 서비스를 더 주면서 가게의 촉진, 홍보 등을 할 수 있다.

2과목 : 로스팅과 향미 평가(커피 배전)


31. 다음 중 로스팅에 의해 변화하지 않는 것은(2012년 05월)
     1. 부피의 변화
     2. 무게의 변화
     3. 생산지 고유 특성의 변화
     4. 향의 변화

     정답 : []
     정답률 : 80%

32. 커피를 볶을 때 기본적인 세 가지 단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0년 11월)
     1. 건조(Dry)
     2. 열분해(Pyrolysis)
     3. 냉각(Cooling)
     4. 포장(Packing)

     정답 : []
     정답률 : 76%

33. 커피 향미의 종류와 생성원인에 대한 연결이 옳은 것은 어느 것인가?(2009년 05월)

    

     1. 가,나
     2. 나,다
     3. 다,라
     4. 가,라

     정답 : []
     정답률 : 47%

34. 로스팅(Roasting)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로스팅을 하기 전, 생두의 수분함량, 밀도, 수확연도, 가공방법 등을 점검한다.
     2. 로스팅 전, 반드시 로스팅 머신은 강한 화력으로 빨리 예열시켜야 한다.
     3. 로스팅 머신의 특징에 맞게 투입하는 생두의 양을 조절한다.
     4. 로스팅을 하기 전, 로스팅 포인트를 미리 결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35. 커피가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품질이 열화(劣化)되는 현상을 산화라 한다. 아래 성분 중에서 산화반응을 일으키는 커피의 성분은?(2011년 06월)
     1. 포화지방산
     2. 단백질
     3. 탄수화물
     4. 불포화지방산

     정답 : []
     정답률 : 68%

36. 커피생두의 함유된 유리 아미노산에 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2009년 11월)
     1. 아라비카 종은 미숙콩과 완숙 콩의 함량이 비슷하다.
     2. 로부스타 종은 미숙 콩에 비하여 완숙 콩에 함량이 많다.
     3. 커피생두의 함량은 0.3~0.8%로서 원두 향기의 형성에 중요한 성분이다.
     4. 커피생두에 함유된 유리 아미노산은 로스팅 과정 중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4%

37. 배전에 따른 커피콩의 물리적 변화에 대하여 틀리게 설명한 것은?(2007년 06월)
     1. 배전이 진행됨에 따라 커피콩의 비중은 감소된다.
     2. 배전이 진행됨에 따라 커피콩의 수분 함량이 감소된다.
     3. 배전이 진행됨에 따라 커피콩의 압축강도는 증가한다.
     4. 배전이 진행됨에 따라 세포내 성분은 gel상으로 유동화 된다.

     정답 : []
     정답률 : 49%

38. 생두를 로스팅 할 때 양적 변화가 가장 큰 성분은?(2007년 06월)
     1. 아미노산
     2. 카페인
     3. 수분
     4. 지방

     정답 : []
     정답률 : 69%

39. 다음 중 커피 볶기에 있어서 첫 번째 파열음(1차 파핑)이 일어난 직후 커피의 상태로 적합지 않은 것은?(2007년 06월)
     1. 표면에 주름이 생겼다.
     2. 은피가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3. 오일이 나오기 시작했다.
     4. 고소한 냄새가 나며, 신맛이 강하다.

     정답 : []
     정답률 : 60%

40. 다음은 커피의 어떤 성분을 설명한 것인가?(2012년 07월)

    

     1. 다당류
     2. 불포화지방산
     3. 유리당
     4. 유리아미노산

     정답 : []
     정답률 : 49%

41. 다음은 커피를 블렌딩(Blending)할 때 고려해야 할 기본 원칙을 서술한 내용이다. 적절치 않은 것은?(2009년 05월)

    

     1. 가,라
     2. 나,다
     3. 나,라
     4. 가,나

     정답 : []
     정답률 : 58%

42. 다음 중 커피의 쓴맛이 생성되는 원천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2012년 03월)
     1. 커피에 들어있는 클로로겐산, 카페산과 같은 특수한 비휘발성 산에 의해 생긴다.
     2. 커피에 들어있는 흰색 결정의 알칼로이드인 카페인과 트리고넬린의 기본 맛이다.
     3. 아스코르브산이 중성과 알칼리 조건에서 중합 또는 축합반응을 일으키거나 질소 화합물과 반응하여 갈색 물질을 형성하여 생긴다.
     4. 진하게 볶는 다크 로스팅에서는 건열 반응(pyrolysis)으로 페놀화합물과 이종환상 화합물들에 의해 생기기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43. 볶은 커피콩에서 느낄 수 있는 향기는 생콩에 있던 향기와, 주로 중약볶음의 커피에서 만나게 되는 당의 갈변 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향기, 강볶음으로 진행되면서 나타나는 건열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향기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향기들 가운데 생콩에는 없던 향기는?(2006년 06월)
     1. 캐러멜 향
     2. 꽃향기
     3. 베리향기
     4. 허브향기

     정답 : []
     정답률 : 69%

44. 로스팅 방법 중 고온-단시간 로스팅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신맛이 약하고 뒷맛이 텁텁하나 중후함이 강하고 향기가 풍부하다.
     2. 상대적으로 커피콩의 팽창이 커 밀도가 낮다.
     3. 가용성 성분은 저온 장시간 로스팅에 비해 10~20% 더 추출 된다.
     4. 한 잔당 커피사용량을 10~20% 덜 쓰게 되어 경제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42%

45. 커피의 향미품질 평가에 대한 SCAA의 기준이다. 틀린 것은?(2007년 06월)
     1. 커핑을 위한 커피추출은 침지(infusion)방법을 사용한다.
     2. 물과 커피의 비율은 물 150ml에 원두 7.25~8.25g을 사용한다.
     3. 물은 미네랄이 함유된 증류수로 약93℃ 정도의 물을 사용한다.
     4. 커피성분이 1.1~1.3%가 추출되도록 3~5분정도 기다린다.

     정답 : []
     정답률 : 36%

46. 다음은 추출 기구에 대한 설명이다. 추출 기구의 명칭은 무엇인가?(2005년 11월)

    

     1. 모카포트
     2. 사이펀
     3. 게츠베
     4. 프렌치프레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사이펀:진공식 추출로 다른 이름으로는 배큠 브루어라고 한다. 열원 방식이며, 알콜 램프, 핳호겐 램프, 가스스토브를 사용한다.
게츠베 : 이브릭의 또 다른 이름이며, 터키에서 유래 됐다. 가장 오래된 추출기구이다.
프렌치 프레스 : 금속망으로 우려내면 가압 추출방식도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맛있는 커피를 만들기 위한 조건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6월)
     1. 갓 볶은 신선한 원두
     2. 커피를 뽑는 사람의 숙련도
     3. 광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된 경수
     4. 배전도에 알맞은 추출기구

     정답 : []
     정답률 : 61%

48. 과소추출(under extraction)의 원인과 이에 따른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2007년 06월)
     1. 너무 굵은 입도의 분쇄커피의 사용
     2. 적정량보다 적은 양의 커피를 사용
     3. 과다추출(over extraction)보다 오랜 크레마의 지속성
     4. 기준온도 보다 낮은 추출 온도

     정답 : []
     정답률 : 70%

49. 다음 중 원두의 산패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는 것은 ?(2010년 11월)
     1. 밀폐되지 않고 개봉된 원두
     2. 미리 갈아놓은 원두
     3. 원웨이 밸브(Oneway-valve)가 없이 포장된 원두
     4. 호퍼 안에 들어있는 원두

     정답 : []
     정답률 : 60%

50. 커피를 분쇄할 때, 분쇄 커피 입자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될 사항은? (2009년 05월)
     1. 추출에 걸리는 시간
     2. 커피의 종류
     3. 커피의 볶음도
     4. 날씨

     정답 : []
     정답률 : 31%

51. 에스프레소용 커피의 추출에 관여하는 수학적 인자에 관한 것 중 틀린것은?(2006년 11월)
     1. 커피케잌 내부의 온도
     2. 수리학적 저항치
     3. 커피케잌 표면과 내부의 압력차
     4. 커피케잌의 부피

     정답 : []
     정답률 : 45%

52. 다음은 추출 기구에 관한 설명이다. 바르게 연결된 것은?(2008년 06월)
     1. 플런저(Plunger) - 터키식 커피를 추출하는데 이용되는 기구로 미세하게 분쇄된 커피와 물을 함께 넣은 후 달이는 방식을 취한다.
     2. 케츠베(Cezve) - 비커와 뚜껑 가운데 봉이 달린 금속필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커피를 우려내는 방식을 취한다.
     3. 모카포트(Moka pot) - 2개의 포트와 그 사이를 연결하는 필터로 구성되어 있다. 아래쪽 포트에서 끓은 물이 필터의 바스켓 부분에 넣은 커피가루를 통과해 위쪽의 포트에 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4. 사이펀(Syphon) - 찬물로 카피를 우려내는 방식으로 위, 아래 두 개의 유리볼과 그 사이를 조합하는 메탈필터로 이루어져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53. 다음 에스프레소 추출액을 물과 비교한 물리화학적 변화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12년 03월)
     1. 표면장력이 감소한다.
     2. 점도가 낮아진다.
     3. 전기전도도가 높아진다.
     4. 밀도가 높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40%

54. 탬핑(Tamping)을 하는 가장 주된 목적은?(2008년 06월)
     1. 필터에 커피를 잘 채우기 위하여
     2. 커피 케이크의 고른 밀도 유지를 통해 물이 균일하게 통과되게 하기 위하여
     3. 물과의 접촉 면적을 늘리기 위하여
     4. 두꺼운 크레마를 얻기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65%

55. 에스프레소 커피의 추출 시 커피의 분쇄나 탬핑 등의 문제로 발생할 수 있는 과소추출(Under extraction) 또는 과잉추출(Over extrac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7년 11월)
     1. 과소 추출 - 커피 분쇄도가 매우 곱거나 탬핑이 약하다.
     2. 과소 추출 - 커피 분쇄도가 매우 굵거나 탬핑이 매우 강하다.
     3. 과잉 추출 - 커피 분쇄도가 매우 굵거나 탬핑이 약하다.
     4. 과잉 추출 - 커피 분쇄도가 매우 곱거나 탬핑이 매우 강하다.

     정답 : []
     정답률 : 43%

56. 다음 연결 중 틀린 것은?(2011년 06월)
     1. Freddo=Hot
     2. Shakerato=Shaking
     3. Romano=Lemon
     4. Lungo=Long

     정답 : []
     정답률 : 57%

57. 아래 내용은 에스프레소 추출 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여기서 말하는 에멀션(Emulsion)현상은 무엇인가?(2011년 12월)

    

     1. 탈수(脫水)
     2. 산화(酸化)
     3. 유제(乳劑)
     4. 갈변(褐變)

     정답 : []
     정답률 : 60%

58. 다음 중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때 팩킹(Packing) 과정 이전에 해야 될 동작이 아닌 것은?(2011년 12월)
     1. 잔 데우기
     2. 커피 분쇄
     3. 필터 바스켓의 건조
     4. 태핑

     정답 : []
     정답률 : 46%

59. 추출기구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 연결한 것은?(2010년 05월)
     1. 이브릭-카다몸(Cardamom)이라는 향신료를 넣어 즐기기도 하는 터키식 커피 추출기구
     2. 프렌치프레스-1933년 이태리에서 만들어진 수동식 에스프레소 추출기구
     3. 워터 드립-더치커피라고도 부르며 찬물로 장시간 추출하는 방식
     4. 사이폰-시각적인 연출효과가 뛰어난 진공여과방식의 추출기구

     정답 : []
     정답률 : 52%

60. 에스프레소의 정상 추출로 보기 힘든 것은 무엇인가 ?(2010년 11월)
     1. 커피 색깔은 검은 갈색(Dark brown)을 띤다.
     2. 커피의 유속이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하게 거의 수직으로 추출된다.
     3. 부드러운 크레마가 3~5mm 정도 표면에 형성된다.
     4. 약 25초 정도에 플레이버가 풍부한 25~30ml의 커피액이 추출된다.

     정답 : []
     정답률 : 43%


정 답 지

바리스타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3일)(455848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바리스타 2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커피학 개론


1. 원산지 에티오피아로부터 커피가 전파되어 최초로 경작을 시작한 나라는?(2010년 05월)
     1. 인도
     2. 인도네시아
     3. 예멘
     4. 브라질

     정답 : []
     정답률 : 80%

2. 커피나무의 열매를 형태학적으로 분류하면 어떤 종류에 속하는가?(2012년 03월)
     1. 장과(漿果)
     2. 핵과(核果)
     3. 견과(堅果)
     4. 건과(乾果)

     정답 : []
     정답률 : 89%

3.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아라비카 종 커피나무는 꼭두서니과의 상록 쌍떡잎식물이며, 원산지는 에티오피아의 모카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2. 북위 25도와 남위 25도 사이 지역은 커피 재배에 적합하여 커피벨트, 혹은 커피 존이라고 한다.
     3. 콜롬비아 마일드 및 양질의 아라비카 종은 브라질과 콜롬비아를 비롯한 중남미 여러 나라에서 주로 생산된다.
     4. 로부스타는 병충해에 강하고 환경 적응력이 뛰어나 재배가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원산지는 에티오피아의 고원지대인 카파지역이다
[해설작성자 : 바리스타]

4. 커피가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변패되는 현상을 자동산화라 한다. 아래 성분 중에서 자동산화반응을 일으키는 커피의 성분은?(2010년 05월)
     1. 포화지방산
     2. 불포화지방산
     3. 아미노산
     4. 카페인

     정답 : []
     정답률 : 71%

5. 다음 중 아라비카 종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어느 것인가?(2011년 03월)
     1. ‘커피나무의 귀족’ 이라고도 불리며, 2쌍의 염색체를 갖고 꽃이 핀 후 11개월이 지나서야 커피체리가 빨갛게 익는다.
     2. 원산지는 에티오피아(Ethiopia)로 1753년 스웨덴 식물학자 칼 폰 린네(Carl von Linne)에 의해 처음으로 학계에 등록되었다.
     3. 15-24℃의 기온에서 연평균 강우량 1,500-2,000㎜의 규칙적인 비와 직사광선은 아니지만 충분한 햇볕을 받아야 한다.
     4. 가장 많이 알려진 품종으로 티피카(Typica)와 버번(Bourbon)이 있으나, 커피 재배가 확대되면서 카투라(Catura), 문도 노보(Mundo Novo), 블루마운틴(Blue Mountain) 등 품종도 다양해졌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아라비카 종은 2쌍의 염색체를 가지고 꽃이 핀 후 9~11개월이 지나면 열매가 빨갛게 익는다.
[해설작성자 : 황돌멩]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아라비카는 2쌍이아닌 4쌍의 4배체 염색체이다
[해설작성자 : 홍앵듀]

6. 커피 열매 안에 한 개의 콩만을 가지는 경우를 피베리라 부른다. 피베리는 둥근 모양을 하고 있어 다른 표현으로 불리기도 한다. 스페인어로 달팽이란 뜻을 가진 단어는?(2011년 12월)
     1. 트라이앵글러 빈
     2. 플랫 빈
     3. 카라콜리로
     4. 파치먼트

     정답 : []
     정답률 : 62%

7. 건식법(Dry processing)으로 생산된 생두를 창고를 열어 계절풍을 쐬어 가공한 커피로 신맛은 적고 입에서의 느낌이 묵직하고 독특한 향을 느낄 수 있는 인도산 커피는?(2012년 11월)
     1. Old coffee
     2. Aged coffee
     3. Monsooned coffee
     4. Organic coffee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인도의 몬순 계절풍을 한번에 외우면 문제가 쉽습니다.
'계절풍' 이라는 키워드에 신경씁니다.

8. 티피카(Typica) 품종과 카티모르(Catimor) 품종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2012년 05월)
     1. 동일한 장소에 보관 시 카티모르 품종이 색깔 변화가 빠르다.
     2. 티피카 품종은 다른 품종에 비해 밀도가 높다.
     3. 카티모르 품종이 티피카 품종 보다 훨씬 가볍다.
     4. 자메이카 블루마운틴(Blue Mountain)과 하와이 코나(Kona)는 티피카 품종이다.

     정답 : []
     정답률 : 69%

9. 아프리카 동부에 위치한 레위니옹(Reunion) 섬에서 발견된 티피카(Typica)의 돌연변이 품종은?(2010년 11월)
     1. 카투아이(Catuai)
     2. 버번(Bourbon)
     3. 수마트라(Sumatra)
     4. 문도노보(Mundo Novo)

     정답 : []
     정답률 : 70%

10. 커피체리 수확 방식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2010년 08월)

    

     1. 핸드 피킹(Hand-picking) 방식은 잘 익은 체리만을 선택적으로 수확하기에 적절한 방법이다.
     2. 스트리핑(Stripping) 방식은 한 번에 여러개의 체리를 훑어 수확하는 방법이다.
     3. 핸드 피킹(Hand-picking) 방식의 수확은 커피의 품질을 떨어뜨린다.
     4. 스트리핑(Stripping) 방식은 인건비 부담이 적다.

     정답 : []
     정답률 : 80%

11. 다음 중 중남미 커피생산국이 아닌 것은?(2009년 05월)
     1. 코스타리카
     2. 과테말라
     3. 파푸아 뉴기니
     4. 콜롬비아

     정답 : []
     정답률 : 65%

12. 커피의 Fair trade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2007년 06월)
     1. 페어 트레이드는 선진소비국과 후진생산국이 농산물의 안정적인 생산기반과 수급에 공헌하고 있다.
     2. 미국과 일본 등은 페어 트레이드를 통해 커피생산국의 커피가격 폭락에도 일정 가격이상을 지급하고 농업기술에 대한 훌륭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3. 커피생산국은 페어 트레이드 가맹국가나 단체에게 일정한 품질의 커피를 공급하여 페어트레이드 가맹단체의 안정적인 영업활동에 큰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4. 페어트레이드가 자율적인 시장경제를 무시하고 가맹단체에 대한 의존도를 높인다고 하여 더 이상 시행되지 않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67%

13. 과테말라에서 생산되는 생두 중 분류 등급에 따라서 붙게 되는 SHB(Strictly Hard Been) 또는 HB(Hard Been) 등은 무엇을 의미하나?(2008년 06월)
     1. 생두의 경작 고도
     2. 생두의 결점두 비육
     3. 생두의 재배 방법
     4. 생두의 성숙 정도

     정답 : []
     정답률 : 52%

14. 커피의 품종 중 아라비카(Arabica) 종의 생육조건에 맞지 않는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모두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시면 정답 처리 됩니다.)(2010년 05월)
     1. 병충해에 강하며 환경 적응력이 좋다.
     2. 해발 800m 이하에서 재배해야 품질이 좋은 아라비카 종을 생산할 수 있다.
     3. 서리는 생육에 치명적이다.
     4. 연평균 기온 24-34℃의 온도가 유지되어야 무난히 경작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2%

15. 커피 체리를 수확하는 방법 중 틀린 설명은?(2008년 11월)
     1. 스트리핑(Stripping) 방식은 핸드 피킹(Hand-picking)방식에 비해 인건비 부담이 적다.
     2. 핸드 피킹(Hand-picking)방식은 커피의 품질(Quality)을 떨어뜨린다.
     3. 스트리핑(Stripping) 방식은 한 번에 모든 체리를 흝어 수확하는 방법이다.
     4. 핸드 피킹(Hand-picking)방식은 잘 익은 체리만을 선택적으로 수확하는 방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73%

16. 커피 생두의 등급(Grading)을 정하기 위해 되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2010년 11월)
     1. 크기
     2. 밀도
     3. 수분함량
     4. 수확시기

     정답 : []
     정답률 : 62%

17. 커피콩의 구입 시 포장에 명시된 상품명인 (Beazil Santos NO,2 ⦁screen 19⦁strictly soft)에서 "SCREEN 19의 의미는?(2007년 06월)
     1. 결점두의 혼입량에 의한 분류
     2. 커피콩의 크기에 의한 분류
     3. 투명도의 정도에 의한 분류
     4. 커피콩의 형태에 의한 분류

     정답 : []
     정답률 : 72%

18.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커피 산지는?(2008년 06월)

    

     1. 예멘
     2. 에티오피아
     3. 짐바브웨
     4. 탄자니아

     정답 : []
     정답률 : 64%

19. 커피 가동 과정에 대한 아래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2008년 11월)

    

     1. Hulling과정
     2. Polishing 과정
     3. Pulping 과정
     4. Grading 과정

     정답 : []
     정답률 : 57%

20. 건식법(Dry processing)으로 생산된 생두를 창고를 열어 계절풍을 쐬어 가공한 커피로 신맛은 적고 입에서의 느낌이 묵직하고 독특한 향을 느낄 수 있는 인도산 커피는 다음중 무엇인가?(2012년 03월)
     1. Old Coffee
     2. Aged Coffee
     3. Monsooned Coffee
     4. Organic Coffee

     정답 : []
     정답률 : 85%

21. 커피종자를 개량하는 목적으로 옳게 묶은 것은?(2010년 11월)

    

     1. 가, 나
     2. 나, 다
     3. 다, 라
     4. 가, 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커피종자 개량목적>
가)단위면적당 많은 생산량을 얻기 위한 목적
나)키가 작은 커피나무(수확이 쉬움)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
다)병충해에 강한 품종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
라)대규모 경작(경제적임)을 쉽게 하기 위한 목적    
[해설작성자 : 머피의코피]

22. 다음 중 커피이름과 생산지가 올바르게 연결 된 것은?(2011년 12월)
     1. 케냐 - 킬리만자로(Kilimanjaro)
     2. 예멘 - 마타리(Mattari)
     3. 멕시코 - 산토스(Santos)
     4. 에티오피아 - 만델링(Mandhelling)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예멘-마타리-모카 묶어서 외우기
인도네시아-만델링

23. 우유에 함유된 성분으로서, 칼슘 흡수를 촉진하는 물질은 무엇인가?(2010년 08월)
     1. 불포화지방산
     2. 유당
     3. 포화지방산
     4. 무기질

     정답 : []
     정답률 : 49%

24. 다음은 디카페인 커피의 제조과정을 설명한 내용인데, 어떤 종류의 추출법을 설명한 것 인가?(2010년 05월)

    

     1. 초임계 추출법
     2. 물 추출법
     3. 증류 추출법
     4. 용매 추출법

     정답 : []
     정답률 : 66%

25. 아라비카 커피(Coffea Arabica)의 원산지로 알려진 나라는?(2005년 11월)
     1. 우간다
     2. 케냐
     3. 에티오피아
     4. 콩고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로부스타는 콩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6. 우유를 높은 온도에서 가열할 때 생기는 가열취(加熱臭)의 원인이 되는 유청 단백질은 무엇인가?(2011년 06월)
     1. 카제인
     2. 알파-락트알부민
     3. 베타-락토글로불린
     4. 락토페린

     정답 : []
     정답률 : 73%

27. 커피전문점에서 사용되는 식재료의 저장을 위한 방법 중 부적당한 것은?(2011년 09월)
     1. 낮은 온도에서 저장
     2. 식품 내 효소 활성화
     3. 햇볕 노출 최소화
     4. 진공 포장

     정답 : []
     정답률 : 69%

28. 병원체가 음식물, 음료수, 식기, 손 등을 통하여 침입하는 경구전염병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2년 05월)
     1. 세균성 이질
     2. 파라티푸스
     3. 디프테리아
     4. 병원성 대장균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 3번/ 디프테리아: 호흡기계 감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디프테리아 : 호흡기 감염입니다. 침방울, 기침 등을 통해 전파되며, 입을 통해 음식물로 전파되는 경구전염병이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저세상 잼민이]

29. 다음은 우유의 표면장력을 설명한 것이다. 옳은 내용으로 연결된 것은?(2012년 03월)

    

     1. 가, 나
     2. 가, 라
     3. 나, 다
     4. 다, 라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가 : 순수한 물은 대부분의 물질들 보다 표면장력이 정말 높습니다.
나,라 : 우유의 온도가 높아지면 표면장력이 낮아지면서 거품도 잘 생깁니다.

30. 커피전문점의 경영차원에서 ‘해피 아워(Happy hour)’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2012년 11월)
     1. 사은 특별행사
     2. 여흥의 시간대
     3. 가격할인 시간대
     4. 영업시간 이외의 시간대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해피 아워를 사람들이 덜 붐비는 시간대에 만들어서
가격할인을 시켜주거나 서비스를 더 주면서 가게의 촉진, 홍보 등을 할 수 있다.

2과목 : 로스팅과 향미 평가(커피 배전)


31. 다음 중 로스팅에 의해 변화하지 않는 것은(2012년 05월)
     1. 부피의 변화
     2. 무게의 변화
     3. 생산지 고유 특성의 변화
     4. 향의 변화

     정답 : []
     정답률 : 80%

32. 커피를 볶을 때 기본적인 세 가지 단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0년 11월)
     1. 건조(Dry)
     2. 열분해(Pyrolysis)
     3. 냉각(Cooling)
     4. 포장(Packing)

     정답 : []
     정답률 : 76%

33. 커피 향미의 종류와 생성원인에 대한 연결이 옳은 것은 어느 것인가?(2009년 05월)

    

     1. 가,나
     2. 나,다
     3. 다,라
     4. 가,라

     정답 : []
     정답률 : 47%

34. 로스팅(Roasting)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로스팅을 하기 전, 생두의 수분함량, 밀도, 수확연도, 가공방법 등을 점검한다.
     2. 로스팅 전, 반드시 로스팅 머신은 강한 화력으로 빨리 예열시켜야 한다.
     3. 로스팅 머신의 특징에 맞게 투입하는 생두의 양을 조절한다.
     4. 로스팅을 하기 전, 로스팅 포인트를 미리 결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35. 커피가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품질이 열화(劣化)되는 현상을 산화라 한다. 아래 성분 중에서 산화반응을 일으키는 커피의 성분은?(2011년 06월)
     1. 포화지방산
     2. 단백질
     3. 탄수화물
     4. 불포화지방산

     정답 : []
     정답률 : 68%

36. 커피생두의 함유된 유리 아미노산에 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2009년 11월)
     1. 아라비카 종은 미숙콩과 완숙 콩의 함량이 비슷하다.
     2. 로부스타 종은 미숙 콩에 비하여 완숙 콩에 함량이 많다.
     3. 커피생두의 함량은 0.3~0.8%로서 원두 향기의 형성에 중요한 성분이다.
     4. 커피생두에 함유된 유리 아미노산은 로스팅 과정 중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4%

37. 배전에 따른 커피콩의 물리적 변화에 대하여 틀리게 설명한 것은?(2007년 06월)
     1. 배전이 진행됨에 따라 커피콩의 비중은 감소된다.
     2. 배전이 진행됨에 따라 커피콩의 수분 함량이 감소된다.
     3. 배전이 진행됨에 따라 커피콩의 압축강도는 증가한다.
     4. 배전이 진행됨에 따라 세포내 성분은 gel상으로 유동화 된다.

     정답 : []
     정답률 : 49%

38. 생두를 로스팅 할 때 양적 변화가 가장 큰 성분은?(2007년 06월)
     1. 아미노산
     2. 카페인
     3. 수분
     4. 지방

     정답 : []
     정답률 : 69%

39. 다음 중 커피 볶기에 있어서 첫 번째 파열음(1차 파핑)이 일어난 직후 커피의 상태로 적합지 않은 것은?(2007년 06월)
     1. 표면에 주름이 생겼다.
     2. 은피가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3. 오일이 나오기 시작했다.
     4. 고소한 냄새가 나며, 신맛이 강하다.

     정답 : []
     정답률 : 60%

40. 다음은 커피의 어떤 성분을 설명한 것인가?(2012년 07월)

    

     1. 다당류
     2. 불포화지방산
     3. 유리당
     4. 유리아미노산

     정답 : []
     정답률 : 49%

41. 다음은 커피를 블렌딩(Blending)할 때 고려해야 할 기본 원칙을 서술한 내용이다. 적절치 않은 것은?(2009년 05월)

    

     1. 가,라
     2. 나,다
     3. 나,라
     4. 가,나

     정답 : []
     정답률 : 58%

42. 다음 중 커피의 쓴맛이 생성되는 원천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2012년 03월)
     1. 커피에 들어있는 클로로겐산, 카페산과 같은 특수한 비휘발성 산에 의해 생긴다.
     2. 커피에 들어있는 흰색 결정의 알칼로이드인 카페인과 트리고넬린의 기본 맛이다.
     3. 아스코르브산이 중성과 알칼리 조건에서 중합 또는 축합반응을 일으키거나 질소 화합물과 반응하여 갈색 물질을 형성하여 생긴다.
     4. 진하게 볶는 다크 로스팅에서는 건열 반응(pyrolysis)으로 페놀화합물과 이종환상 화합물들에 의해 생기기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43. 볶은 커피콩에서 느낄 수 있는 향기는 생콩에 있던 향기와, 주로 중약볶음의 커피에서 만나게 되는 당의 갈변 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향기, 강볶음으로 진행되면서 나타나는 건열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향기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향기들 가운데 생콩에는 없던 향기는?(2006년 06월)
     1. 캐러멜 향
     2. 꽃향기
     3. 베리향기
     4. 허브향기

     정답 : []
     정답률 : 69%

44. 로스팅 방법 중 고온-단시간 로스팅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신맛이 약하고 뒷맛이 텁텁하나 중후함이 강하고 향기가 풍부하다.
     2. 상대적으로 커피콩의 팽창이 커 밀도가 낮다.
     3. 가용성 성분은 저온 장시간 로스팅에 비해 10~20% 더 추출 된다.
     4. 한 잔당 커피사용량을 10~20% 덜 쓰게 되어 경제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42%

45. 커피의 향미품질 평가에 대한 SCAA의 기준이다. 틀린 것은?(2007년 06월)
     1. 커핑을 위한 커피추출은 침지(infusion)방법을 사용한다.
     2. 물과 커피의 비율은 물 150ml에 원두 7.25~8.25g을 사용한다.
     3. 물은 미네랄이 함유된 증류수로 약93℃ 정도의 물을 사용한다.
     4. 커피성분이 1.1~1.3%가 추출되도록 3~5분정도 기다린다.

     정답 : []
     정답률 : 36%

46. 다음은 추출 기구에 대한 설명이다. 추출 기구의 명칭은 무엇인가?(2005년 11월)

    

     1. 모카포트
     2. 사이펀
     3. 게츠베
     4. 프렌치프레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사이펀:진공식 추출로 다른 이름으로는 배큠 브루어라고 한다. 열원 방식이며, 알콜 램프, 핳호겐 램프, 가스스토브를 사용한다.
게츠베 : 이브릭의 또 다른 이름이며, 터키에서 유래 됐다. 가장 오래된 추출기구이다.
프렌치 프레스 : 금속망으로 우려내면 가압 추출방식도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맛있는 커피를 만들기 위한 조건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6월)
     1. 갓 볶은 신선한 원두
     2. 커피를 뽑는 사람의 숙련도
     3. 광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된 경수
     4. 배전도에 알맞은 추출기구

     정답 : []
     정답률 : 61%

48. 과소추출(under extraction)의 원인과 이에 따른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2007년 06월)
     1. 너무 굵은 입도의 분쇄커피의 사용
     2. 적정량보다 적은 양의 커피를 사용
     3. 과다추출(over extraction)보다 오랜 크레마의 지속성
     4. 기준온도 보다 낮은 추출 온도

     정답 : []
     정답률 : 70%

49. 다음 중 원두의 산패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는 것은 ?(2010년 11월)
     1. 밀폐되지 않고 개봉된 원두
     2. 미리 갈아놓은 원두
     3. 원웨이 밸브(Oneway-valve)가 없이 포장된 원두
     4. 호퍼 안에 들어있는 원두

     정답 : []
     정답률 : 60%

50. 커피를 분쇄할 때, 분쇄 커피 입자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될 사항은? (2009년 05월)
     1. 추출에 걸리는 시간
     2. 커피의 종류
     3. 커피의 볶음도
     4. 날씨

     정답 : []
     정답률 : 31%

51. 에스프레소용 커피의 추출에 관여하는 수학적 인자에 관한 것 중 틀린것은?(2006년 11월)
     1. 커피케잌 내부의 온도
     2. 수리학적 저항치
     3. 커피케잌 표면과 내부의 압력차
     4. 커피케잌의 부피

     정답 : []
     정답률 : 45%

52. 다음은 추출 기구에 관한 설명이다. 바르게 연결된 것은?(2008년 06월)
     1. 플런저(Plunger) - 터키식 커피를 추출하는데 이용되는 기구로 미세하게 분쇄된 커피와 물을 함께 넣은 후 달이는 방식을 취한다.
     2. 케츠베(Cezve) - 비커와 뚜껑 가운데 봉이 달린 금속필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커피를 우려내는 방식을 취한다.
     3. 모카포트(Moka pot) - 2개의 포트와 그 사이를 연결하는 필터로 구성되어 있다. 아래쪽 포트에서 끓은 물이 필터의 바스켓 부분에 넣은 커피가루를 통과해 위쪽의 포트에 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4. 사이펀(Syphon) - 찬물로 카피를 우려내는 방식으로 위, 아래 두 개의 유리볼과 그 사이를 조합하는 메탈필터로 이루어져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53. 다음 에스프레소 추출액을 물과 비교한 물리화학적 변화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12년 03월)
     1. 표면장력이 감소한다.
     2. 점도가 낮아진다.
     3. 전기전도도가 높아진다.
     4. 밀도가 높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40%

54. 탬핑(Tamping)을 하는 가장 주된 목적은?(2008년 06월)
     1. 필터에 커피를 잘 채우기 위하여
     2. 커피 케이크의 고른 밀도 유지를 통해 물이 균일하게 통과되게 하기 위하여
     3. 물과의 접촉 면적을 늘리기 위하여
     4. 두꺼운 크레마를 얻기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65%

55. 에스프레소 커피의 추출 시 커피의 분쇄나 탬핑 등의 문제로 발생할 수 있는 과소추출(Under extraction) 또는 과잉추출(Over extrac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7년 11월)
     1. 과소 추출 - 커피 분쇄도가 매우 곱거나 탬핑이 약하다.
     2. 과소 추출 - 커피 분쇄도가 매우 굵거나 탬핑이 매우 강하다.
     3. 과잉 추출 - 커피 분쇄도가 매우 굵거나 탬핑이 약하다.
     4. 과잉 추출 - 커피 분쇄도가 매우 곱거나 탬핑이 매우 강하다.

     정답 : []
     정답률 : 43%

56. 다음 연결 중 틀린 것은?(2011년 06월)
     1. Freddo=Hot
     2. Shakerato=Shaking
     3. Romano=Lemon
     4. Lungo=Long

     정답 : []
     정답률 : 57%

57. 아래 내용은 에스프레소 추출 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여기서 말하는 에멀션(Emulsion)현상은 무엇인가?(2011년 12월)

    

     1. 탈수(脫水)
     2. 산화(酸化)
     3. 유제(乳劑)
     4. 갈변(褐變)

     정답 : []
     정답률 : 60%

58. 다음 중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때 팩킹(Packing) 과정 이전에 해야 될 동작이 아닌 것은?(2011년 12월)
     1. 잔 데우기
     2. 커피 분쇄
     3. 필터 바스켓의 건조
     4. 태핑

     정답 : []
     정답률 : 46%

59. 추출기구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 연결한 것은?(2010년 05월)
     1. 이브릭-카다몸(Cardamom)이라는 향신료를 넣어 즐기기도 하는 터키식 커피 추출기구
     2. 프렌치프레스-1933년 이태리에서 만들어진 수동식 에스프레소 추출기구
     3. 워터 드립-더치커피라고도 부르며 찬물로 장시간 추출하는 방식
     4. 사이폰-시각적인 연출효과가 뛰어난 진공여과방식의 추출기구

     정답 : []
     정답률 : 52%

60. 에스프레소의 정상 추출로 보기 힘든 것은 무엇인가 ?(2010년 11월)
     1. 커피 색깔은 검은 갈색(Dark brown)을 띤다.
     2. 커피의 유속이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하게 거의 수직으로 추출된다.
     3. 부드러운 크레마가 3~5mm 정도 표면에 형성된다.
     4. 약 25초 정도에 플레이버가 풍부한 25~30ml의 커피액이 추출된다.

     정답 : []
     정답률 : 43%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바리스타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3일)(4558480)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바리스타, 2급, 커피,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9급 지방직 공무원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 06월 05일(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1.03 1
143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 05월 12일(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1.03 3
142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 08월 24일(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1.03 4
141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 06월 21일(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1.03 1
140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 03월 14일(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1.03 3
139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 06월 27일(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1.03 1
138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 03월 19일(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1.03 2
» 바리스타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3일)(4558480) 좋은아빠되기 2025.11.03 3
136 9급 국가직 공무원 수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3 1
135 9급 지방직 공무원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3일)(6606940) 좋은아빠되기 2025.11.03 4
134 실내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8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3 3
133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2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3 1
132 운전면허 학과시험(필기) 1종 2종(2020년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010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3 2
13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통신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3일)(5628818) 좋은아빠되기 2025.11.03 3
130 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4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3 4
129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 06월 18일(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1.03 1
128 지게차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3일)(1618567) 좋은아빠되기 2025.11.03 6
127 9급 지방직 공무원 전기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3 4
126 9급 지방직 공무원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3 1
125 전파전자통신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3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3 3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