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4일)(696488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응용역학


1. 변의 길이 a인 정사각형 단면의 장주(長住)가 있다. 길이가 l이고, 최대임계축하중이 P이고 탄성계수가 E 라면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2016년 03월)
     1. P는 E에 비례, a의 3제곱에 비례, 길이 l2에 반비례
     2. P는 E에 비례, a의 3제곱에 비례, 길이 l3 에 반비례
     3. P는 E에 비례, a의 4제곱에 비례, 길이 l2 에 반비례
     4. P는 E에 비례, a의 4제곱에 비례, 길이 l3 에 반비례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최대임계하중 P = pi^2 EI/(kL)^2, 정사각형이므로 I=a^4/12, P는 E에 비례, a의 4제곱에 비례, L^2에 반비례
[해설작성자 : PNU civil]

2. 나무기둥의 단면이 폭 10cm, 높이 15cm이며 길이 3m의 일단 고정, 타단 자유단의 나무기둥이 있다. 안전율 S=10으로 취하면 자유단에는 몇 ㎏의 하중을 안전하게 받을 수 있는가? (단, 탄성계수 E = 1×106㎏/cm2)(2006년 03월)
     1. 7,720㎏
     2. 3,430㎏
     3. 77,200㎏
     4. 34,300㎏

     정답 : []
     정답률 : 42%

3. 그림과 같은 강봉이 2개의 다른 정사각형 단면적을 가지고 하중 P를 받고 있을 때 AB가 1500kg/cm2의 응력(Nomal stress)을 가지면 BC에서의 응력은 얼마인가?(2008년 03월)

   

     1. 1500kg/cm2
     2. 3000kg/cm2
     3. 4500kg/cm2
     4. 6000kg/cm2

     정답 : []
     정답률 : 55%

4. 그림과 같은 캔틸레버보에서 휨모멘트에 의한 탄성변형에너지는? (단, EI는 일정)(2014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1%

5.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서 C점의 수직처짐을 구하면? (단, EI=2×105kgㆍcm2 이며 자중은 무시한다.)(2010년 09월)

   

     1. 2.70mm
     2. 3.57mm
     3. 6.24mm
     4. 7.35mm

     정답 : []
     정답률 : 61%

6. 정6각형 틀의 각 절점에 그림과 같이 하중 P가 작용할 때 각 부재에 생기는 인장응력의 크기는?(2018년 03월)

   

     1. P
     2. 2P
     3. P/2
     4. P/√2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프레임 문제를 꼬아놨네요
A지점 하나만 두고 본다면 AF부재 AB부재 2개의 힘이 하단으로 내려가고 각도는 P힘과 60도
F랑 B점에 자대고 선하나 그어주면 특수각 삼각형2개가 되고 부재당 하단방향으로 0.5P씩 분담하므로
1p씩 당겨주면 A점 평형이 맞춰집니다.
[해설작성자 : 출제시 두뇌를 활용하는 습관을 가져요!]

7. 다음 단면에서 y축에 대한 회전반지름은?(2006년 09월)

   

     1. 3.07cm
     2. 3.20cm
     3. 3.81cm
     4. 4.24cm

     정답 : []
     정답률 : 71%

8. 평면응력상태 하에서의 모아(Mohr)의 응력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최대 전단응력의 크기는 두 주응력의 차이와 같다.
     2. 모아 원으로부터 주응력의 크기와 방향을 구할 수 있다.
     3. 모아 원이 그려지는 두 축 중 연직(y)축은 전단응력의 크기를 나타낸다
     4. 모아 원 중심의 x 좌표 값은 직교하는 두축의 수직응력의 평균값과 같고, y 좌표 값은 0이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최대 전단응력의 크기는 두 주응력의 차이의 절반과 같다.

9. 다음과 같이 1변이 a 인 정사각형 단면의 1/4 을 절취한 나머지 부분의 도심(C)의 위치 yo는?(2015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6%

10. 다음 중 정(+)의 값뿐만 아니라 부(-)의 값도 갖는 것은?(2020년 09월)
     1. 단면계수
     2. 단면 2차 반지름
     3. 단면 상승 모멘트
     4. 단면 2차 모멘트

     정답 :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단면 상승 모멘트는 도심이 1,3사분면에 위치할 경우 (+), 2,4사분면에 위치할 경우 (-)의 값을 가진다.
[해설작성자 : 장지훈]

11. 다음 보의 C점의 수직처짐량은?(2012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0%

12. 전단탄성계수(G)가 81000 MPa, 전단응력(τ)이 81 MPa이면 전단변형률(γ)의 값은?(2022년 03월)
     1. 0.1
     2. 0.01
     3. 0.001
     4. 0.0001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응력= E x 변형률이기에
81 = 81000 x 변형률
변형률 = 0.001
임을 알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부경대 레츠공간]

13. 그림과 같은 단면에 600kN의 전단력이 작용할 때 최대 전단응력의 크기는?(2021년 08월)

    

     1. 12.71MPa
     2. 15.98MPa
     3. 19.83MPa
     4. 21.32MPa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τ = VQ / Ib

V = 600
Q = A11 + A22
    = (100×300)(150+50) + (150×100)(150/2)
    = 7125
I = (b1h13 / 12) - (b2h23 / 12)
    = (300×5003)/12 - (200×3003)/12
    = 2675
b = 100

τ = VQ / Ib
    = (600×7125) / (2675×100) = 15.98Mpa
[해설작성자 : 돈모으자]

14. 그림과 같은 단면적 A, 탄성계수 E인 기둥에서 줄음량을 구한 값은?(2018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9%

15. 그림과 같은 지간(span) 8m 인 단순보에 연행하중에 작용할 때 절대최대휨모멘트는 어디에서 생기는가?(2022년 03월)

    

     1. 45kN의 재하점이 A점으로부터 4m인 곳
     2. 45kN의 재하점이 A점으로부터 4.45m인 곳
     3. 15kN의 재하점이 B점으로부터 4m인 곳
     4. 합력의 재하점이 B점으로부터 3.35m인 곳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힘 15와 45 의 합력 60을 정하면, 3:1로 나뉘어지는 부분에 합력 60이 가해진다 생각할 수 있다.
거기서 합력 60과 45의 중간점이 AB 부재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적용하면 됨.
이후에 반력을 계산해, 힘 15나 45 점 중 어느 곳에서 절대최대휘모멘트가 작용하는 곳을 알아내야 하지만,
딱 봐도 힘 45 점에 절대최대휨모멘트가 작용함을 알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흠그정돈가]

16. 양단고정의 장주에 중심축하중이 작용할 때 이 기둥의 좌굴응력은? (단, E=2.1×105kg/cm2이고, 기둥은 지름이 4cm인 원형기둥 이다.)(2010년 09월)

    

     1. 33.5kg/cm2
     2. 67.2kg/cm2
     3. 129.5kg/cm2
     4. 259.1kg/cm2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풀었을때 12.95가 나옵니다. 확인한번 부탁드릴게요

17. 그림과 같은 구조에서 절댓값이 최대로 되는 휨모멘트의 값은?(2022년 03월)

    

     1. 80 kN·m
     2. 50 kN·m
     3. 40 kN·m
     4. 30 kN·m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오른쪽 힌지는 롤러이므로 수평응력 H = 0
따라서 사실상 대칭이다.
등분포하중 전까지 -30의 모멘트.
등분포하중에서 -30 에서 +80 한 +50 를 중간점으로 경유해 -30으로 다시 복귀.
오른쪽에서 다시 -30 에서 0으로.
즉, -30 ~ 50 사이에서 왔다리갔다리 하므로 답은 2번.
[해설작성자 : 흠그정돈가]

18. 그림의 AC, BC에 작용하는 힘 FAC, FBC 의 크기는?(2003년 03월)

    

     1. FAC = 10tonf, FBC = 8.66tonf
     2. FAC = 8.66tonf, FBC = 5tonf
     3. FAC = 5tonf, FBC = 8.66tonf
     4. FAC = 5tonf, FBC = 17.32tonf

     정답 : []
     정답률 : 59%

19. 전단중심(Shear Center)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1. 전단중심이란 단면이 받아내는 전단력의 합력점의 위치를 말한다.
     2. 1축이 대칭인 단면의 전단중심은 도심과 일치한다.
     3. 하중이 전단중심점을 통과하지 않으면 보는 비틀린다.
     4. 1축이 대칭인 단면의 전단중심은 그 대칭축 선상에 있다.

     정답 : []
     정답률 : 62%

20. 재질과 단면이 같은 다음 2개의 외팔보에서 자유단의처짐을 같게 하는 P1/P2 의 값은?(2003년 03월)

    

     1. 0.216
     2. 0.437
     3. 0.325
     4. 0.546

     정답 : []
     정답률 : 57%

2과목 : 측량학


21. 삼각수준측량에서 정밀도 10-5의 수준차를 허용할 경우 지구곡률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최대시준거리는? (단, 지구곡률반지름 R=6370 km이고, 빛의 굴절계수는 무시)(2017년 03월)
     1. 35m
     2. 64m
     3. 70m
     4. 127m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보기 답이 잘못되었어요.
1. 64km
2. 127km
3. 35km
4. 70km

책에는 95년도 문제라 나와있어서 보기답이 다를 수 있겠지만 답은 69.7798km로 70km가 정답입니다.
풀이) 델타L/L= L*2/ 12곱하기 R*2 >>>>>> 1/100000=X*2/ 12곱하기 6370*2 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답 4번 맞음 한솔 아카데미 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4번 맞음
양차 (1-K)D^2/2R 공식 사용해야함
[해설작성자 : 똥]

[오류신고 반론]
70km가 맞는 거 같은데요? 지구곡률이랑 빛의 굴절계수 무시한다는데 양차공식을 쓰는건 아닌 거 같은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기준면으로부터 지반고를 관측한 결과 다음 그림과 같았다. 정지고를 2.5m로 할 경우 필요한 절성토량은 얼마인가? (단, 각각의 직사각형 면적은 40m2이다.)(2003년 05월)

    

     1. 110m3
     2. 220m3
     3. 2,000m3
     4. 3,890m3

     정답 : []
     정답률 : 32%

23. 두 지점의 거리측량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최확값은?(2009년 08월)

    

     1. 145.136m
     2. 145.248m
     3. 145.174m
     4. 145.204m

     정답 : []
     정답률 : 61%

24. 측량에 있어 미지값을 관측할 경우 나타나는 오차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경중률은 분산에 반비례한다.
     2. 경중률은 반복 관측일 경우 각 관측값 간의 편차를 의미한다.
     3. 일반적으로 큰 오차가 생길 확률은 작은 오차가 생길 확률보다 매우 작다.
     4. 표준편차는 각과 거리 같은 1차원의 경우에 대한 정밀도의 척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경중률은 반복관측일 경우 각 간측값 간의 신뢰도를 의미한다.
[해설작성자 : gavis]

25. 그림과 같은 단면의 면적은? (단, 좌표의 단위는 m 이다.)(2019년 04월)

    

     1. 174 m2
     2. 148 m2
     3. 104 m2
     4. 87 m2

     정답 : []
     정답률 : 65%

26. GNSS 위성측량시스템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GPS
     2. GSIS
     3. QZSS
     4. GALILEO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미국 GPS
러시아 GLONASS
유럽 갈릴레오
[해설작성자 : 헤이즈지원]

27. 노선측량의 단곡선 설치 방법 중 간단하고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어 철도, 도로 등의 기설곡선 검사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2014년 09월)
     1. 중앙종거법
     2. 편각설치법
     3. 절선편거와 현편거에 의한 방법
     4. 절선에 대한 지거에 의한 방법

     정답 : []
     정답률 : 70%

28. 해저지형측량에서 수심이 6000m이고 발사응이 약 10초 후에 수신되었다면 음파의 속도는?(2010년 05월)
     1. 300 m/s
     2. 600 m/s
     3. 1000 m/s
     4. 1200 m/s

     정답 : []
     정답률 : 38%

29. 지형측량에서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등고선은 절대 교차하지 않는다.
     2. 등고선은 지표의 최대 경사선 방향과 직교한다.
     3. 동일 등고선 상에 있는 모든 점은 같은 높이이다.
     4. 등고선간의 최단거리의 방향은 그 지표면의 최대 경사의 방향을 가리킨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등고선은 동굴이나 절벽에서는 교차한다.
[해설작성자 : 필기2수]

30. 거리 100m에 대한 스타디아선의 읽기오차가 0.5cm일때 100m 떨어진 지점을 시거측량한 결과 고도각이 15° 였다면 시거측량에 의한 고저차의 측정오차는? (단, K=100, C=0 이다)(2003년 03월)
     1. 8.7cm
     2. 12.5cm
     3. 15.3cm
     4. 21.5cm

     정답 : []
     정답률 : 32%

31. 그림과 같이 다각측량으로 터널의 중심선측량을 실시할 경우 측선 AB의 길이는 얼마인가?(2009년 03월)

    

     1. AB=36.95m
     2. AB=44.33m
     3. AB=45.95m
     4. AB=50.31m

     정답 : []
     정답률 : 30%

32. 확폭량이 S인 노선에서 노선의 곡선 반지름(R)을 두 배로 하면 확폭량(S')은?(2016년 03월)
     1. S' = 1/4 S
     2. S' = 1/2 S
     3. S' = 2S
     4. S' = 4S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확폭량 = L^2/2R
반지름만 2배로 하면    L^2/[2*2R] = 1/2S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3. 그림과 같은 삼각망에서 CD의 거리는?(2014년 09월)

    

     1. 1732m
     2. 1000m
     3. 866m
     4. 750m

     정답 : []
     정답률 : 74%

34. 사진의 크기 23cm×18cm, 초점거리 30cm, 촬영고도 6000m일 때 이 사진의 포괄면적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5년 05월)
     1. 16.6km2
     2. 14.4km2
     3. 24.4km2
     4. 26.6km2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촬영고도/초점거리=축척입니다.
면적이므로 0.23*0.18*축척^2 하면 16560000 m^2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22부터 사진측량 출제기준 제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5. 항공사진측량의 입체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7년 05월)
     1.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초점거리가 긴 사진기에 의한 입체상이 짧은 사진기의 입체상보다 높게 보인다.
     2. 한 쌍의 입체사진 촬영코스 방향과 중복도만 유지하면 두 사진의 축척이 30% 정도 달라도 무관하다.
     3.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기선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짧은 경우보다 과고감이 크게 된다.
     4. 입체상의 변화는 기선고도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사진측량 관련 문제는 2022년 부터 시험 범위에서 제외 되었습니다.

36. 다음과 같은 도형 ABCD의 면적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단, 곡선 AB를 2차 곡선으로 가정함)(2004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4%

37. 다각측량을 하여 3점의 성과를 얻었다. 이 3점으로 이루어진 다각형의 면적은?(2011년 03월)

    

     1. 693.2m2
     2. 783.5m2
     3. 1,386.3m2
     4. 1,567.1m2

     정답 : []
     정답률 : 52%

38. 곡률이 급변하는 평면 곡선부에서의 탈선 및 심한 흔들림 등의 불안정한 주행을 막기 위해 고려하여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8월)
     1. 완화곡선
     2. 종단곡선
     3. 캔트
     4. 슬랙

     정답 : []
     정답률 : 58%

39. 축척 1/50000의 지형도에서 제한 경사가 10%일 때 각 주곡선 간의 도상 수평거리는?(2004년 05월)
     1. 2㎜
     2. 4㎜
     3. 6㎜
     4. 8㎜

     정답 : []
     정답률 : 52%

40. 평면측량에서 거리의 허용 오차를 1/1000000까지 허용 한다면 지구를 평면으로 볼 수 있는 한계는 몇 km인가? (단, 지구의 곡률반경은 6370km이다.)(2007년 05월)
     1. 22.07km
     2. 23.06km
     3. 2207km
     4. 2306km

     정답 : []
     정답률 : 58%

3과목 : 수리학 및 수문학


41. 유속이 3m/s인 유수 중에 유선형 물체가 흐름방향으로 향하여 h=3m 깊이에 놓여 있을 때 정체압력(stagnation pressure)은?(2018년 08월)
     1. 0.46kN/m2
     2. 12.21kN/m2
     3. 33.90kN/m2
     4. 102.35kN/m2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위치수두 + 속도수두
3 + 3^2 / 2*9.8 = 3.46 t/m2 = 33.90kN/m2
[해설작성자 : 탲운]

정체압력(P)=정압력+동압력
(9.8 x 3) + (9.8 x 3^2 / 2 x 9.8) = 33.90kN/m2
[해설작성자 : 여니]

42. 베르누이(Bernoulli)의 정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2년 03월)
     1. 회전류의 경우는 모든 영역에서 성립한다.
     2. Euler의 운동방정식으로부터 적분하여 유도할 수 있다.
     3. 베르누이의 정리를 이용하여 Torricelli의 정리를 유도할 수 있다.
     4. 이상유체 흐름에 대하여 기계적 에너지를 포함한 방정식과 같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회전류에서는 동일한 유선 상에서만 성립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3. 강우와 강우해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강우강도의 단위는 mm/hr이다.
     2. DAD 해석은 지속기간별ㆍ면적별 최대강우량을 구하는 방법이다.
     3. 정상 연강수 비율법(Normal Ratio Method)은 면적평균 강수량을 구하는 방법이다.
     4. 대류형 강우는 주위보다 더운 공기의 상승으로 일어난다.

     정답 : []
     정답률 : 51%

44. 유체가 75mm 직경인 관로를 흘러서 150mm 직경인 큰 관으로 연결되어 유출된다. 75mm 관로에서의 Reynolds수가 20,000일 때 150mm 관로의 Reynolds수는?(2008년 05월)

    

     1. 40,000
     2. 20,000
     3. 10,000
     4. 5,000

     정답 : []
     정답률 : 33%

45. 그림과 같이 뚜껑이 없는 원통 속에 물을 가득 넣고 중심 축 주위로 회전시켰을 때 흘러넘친 양이 전체의 20%였다. 이 때, 원통 바닥면이 받는 전수압(全水壓)은?(2019년 08월)

    

     1. 정지상태와 비교할 수 없다.
     2. 정지상태에 비해 변함이 없다.
     3. 정지상태에 비해 20%만큼 증가한다.
     4. 정지상태에 비해 20%만큼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흘러넘친 양이 20%이므로 원통 바닥에 작용하는 전수압도 20%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강한영원]

46. 표고 20m인 저수지에서 물을 표고 50m인 지점까지 1.0m3/sec의 물을 양수하는데 소요되는 펌프동력은? (단, 모든 손실수두의 합은 3.0m이고 모든 관은 동일한 직경과 수리학적 특성을 지니며, 펌프의 효율은 80%이다.)(2019년 04월)
     1. 248 kW
     2. 330 kW
     3. 404 kW
     4. 650 kW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E=9.8×1.0×(30+3)/0.8=404kW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그림과 같이 유량이 Q, 유속이 V인 유관이 받는 외력 중에서 y축 방향의 힘(Fy)에 대한 계산식으로 맞는 것은? (단, ρ:단위밀도, θ1 및 θ2≤90°, 마찰력은 무시함)(2008년 05월)

    

     1. Fy=ρQV(sinθ2-sinθ1)
     2. Fy=-ρQV(sinθ2-sinθ1)
     3. Fy=ρQV(sinθ2+sinθ1)
     4. Fy=-QV(sinθ2+sinθ1)/ρ

     정답 : []
     정답률 : 46%

48. 대수층에서 지하수가 2.4m의 투과거리를 통과하면서 0.4m 수두손실이 발생할 때 지하수의 유속은? (단, 투수계수 = 0.3 m/s)(2017년 03월)
     1. 0.01 m/s
     2. 0.05 m/s
     3. 0.1 m/s
     4. 0.5 m/s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0.3*(0.4\2.4)=0.05
[해설작성자 : 난다]

유속 V=ki
[해설작성자 : 헤이즈지원]

49. 연직판이 4m/sec의 속도로 움직이고 있을 때 움직임과 반대방향에서 유량 Q = 1.5m3/sec, 유속 V = 2m/sec로 부딪치는 수맥에 의한 판이 받는 힘은?(2008년 09월)
     1. 1224kg
     2. 918kg
     3. 612kg
     4. 306kg

     정답 : []
     정답률 : 26%

50. 물속에 세운 모세관의 내경을 d, 그때의 물의 표면장력을 σ, 물과 관 사이의 접촉각을 θ라고 할 때 모세관고 h를 구하는 식은? (단, 물의 단위 중량은 w이다.)(2008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4%

51. 하상계수(河狀系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3월)
     1. 대하천의 주요 지점에서의 강우량과 저수량의 비
     2. 대하천의 주요 지점에서의 최소유량과 최대유량의 비
     3. 대하천의 주요 지점에서의 홍수량과 하천유지유량의 비
     4. 대하천의 주요 지점에서의 최소유량과 갈수량의 비

     정답 : []
     정답률 : 79%

52. 지름 1cm, 길이 3m인 원형관에 유속 0.2m/s의 물이 흐를 때 관 길이에 대한 마찰손실 수두는? (단, v=1.12×10-2cm2/sec, ρ = 1000kg/m3)(2010년 05월)
     1. 8.023cm
     2. 6.525cm
     3. 4.388cm
     4. 2.194cm

     정답 : []
     정답률 : 38%

53. 개수로의 흐름에서 비에너지의 정의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단위 중량의 물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로 수심과 속도수두의 합
     2. 수로의 한 단면에서 물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단면적으로 나눈 값
     3. 수로의 두 단면에서 물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수심으로 나눈 값
     4. 압력 에너지와 속도 에너지의 비

     정답 : []
     정답률 : 58%

54. 강우로 인한 유수가 그 유역 내의 가장 먼 지점으로부터 유역출구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하는 것은?(2014년 09월)
     1. 강우지속시간
     2. 지체시간
     3. 도달시간
     4. 기저시간

     정답 : []
     정답률 : 74%

55. 3m 폭을 가진 직사각형 수로에 사각형인 광정(廣頂)위어를 설치하려 한다. 위어 설치 전의 평균 유속은 1.5m/sec, 수심이 0.3m이고, 위어설치 후의 평균 유속이 0.3m/sec, 위어상류의 수심이 1.5m가 되었다면 위어의 높이 h는? (단, 에너지 보정계수 α=1.0)(2013년 03월)

    

     1. 0.7m
     2. 0.9m
     3. 1.1m
     4. 1.3m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1) Q=1.7CbH^3/2, H=(Q/1.7cb)^2/3=0.41m
2) H=(h1+a*V^2 / 2g) , h1=0.405m
3) 1.5m = h1 + h, h = 1.5-0.405 = 1.1m
[해설작성자 : 첫기출]

56.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수로에서 수로 경사가 1/1,000인 경우 수로 바닥과 양벽면에 작용하는 평균 마찰응력은?(2003년 03월)

    

     1. 1.20kg/m2
     2. 1.05kg/m2
     3. 0.67kg/m2
     4. 0.82kg/m2

     정답 : []
     정답률 : 30%

57. 유역의 평균강우량 산정방법이 아닌 것은?(2010년 03월)
     1. 산술평균법
     2. 티센다각형법
     3. 등우선법
     4. 정상연평균강수량법

     정답 : []
     정답률 : 41%

58. 물리량의 차원이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에너지 : [ML-2 T-2]
     2. 동점성계수 : [L2 T-1]
     3. 점성계수 : [ML-1 T-1]
     4. 밀도 : [FL-4 T2]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에너지[ML2 T-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물 흐름을 해석할 때의 연속방정식에서 질량유량을 사용하지 않고 체적유량을 사용하는 이유는?(2006년 09월)
     1. 물을 비압축성유체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질량보다는 체적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3. 밀도를 무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4. 물은 점성유체이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44%

60. 지하수의 흐름에 대한 Darcy의 법칙은? (단, V : 유속, Δh : 길이 ΔL 에 대한 손실수두, k : 투수계수)(2019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8%

4과목 :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61. 그림과 같이 복철근 직사각형 단면에서 응력 사각형의 깊이 a의 값은 얼마인가? (단, fck=24MPa, fy=350MPa, AS=5730mm2, AS'=1980mm2)(2016년 10월)

    

     1. 227.2mm
     2. 199.6mm
     3. 217.4mm
     4. 183.8mm

     정답 : []
     정답률 : 66%

62. PS강재의 인장응력 fp = 11,000kgf/cm2 콘크리트의 압축응력 fc = 80kgf/cm2, 콘크리트의 크리프 계수 φt = 2.0, n = 6일 때 크리프에 의한 PS강재의 인장응력 감소율은 얼마인가?(2003년 03월)
     1. 7.6%
     2. 8.7%
     3. 9.6%
     4. 10.7%

     정답 : []
     정답률 : 33%

63. 그림과 같이 철근콘크리트 휨 부재의 최외단 인장 철근의 순인장 변형률(ɛt)이 0.0045일 경우 강도감소계수 φ는 얼마인가? (단, 나선철근으로 보강되지 않은 경우이고, 사용 철근은 fy=400MPa, ɛy(압축지배 변형률 한계)=0.002이다.)(2011년 03월)

    

     1. 0.813
     2. 0.817
     3. 0.821
     4. 0.825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φ=0.65+0.2*(et-0.002)/0.003
[해설작성자 : ㅇㅎㄱㄷ]

64. 그림과 같은 단면의 균열모멘트 Mcr은? (단, fck = 24MPa, fy = 400 MPa, 보통중량 콘크리트이다.)(2020년 08월)

    

     1. 22.46 kN·m
     2. 28.24 kN·m
     3. 30.81 kN·m
     4. 38.58 kN·m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Mcr=(fr/yt)×Ig
Ig=bh^3/12
fr=0.63×ㅅ×루트fck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fr = 0.63r sqrt(fck)
Z = bh^2/6
Mcr = Fr * Z(단면계수)
[해설작성자 : 에ㅐ효]

65. 직사각형 기둥(300mm×450mm)인 띠철근 단주의 공칭축강도(Pn)는 얼마인가? (단, fck=28MPa, fy=400MPa, Ast=3854mm2)(2010년 09월)
     1. 2611.2kN
     2. 3263.2kN
     3. 3730.3kN
     4. 3963.4kN

     정답 : []
     정답률 : 50%

66. 비틀림 철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Ph:가장 바깥의 횡방향 폐쇄스터럽 중심선의 둘레 mm)(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2년 09월)
     1. 비틀림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400MPa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2. 횡방향 비틀림 철근의 간격은 ph/8보다 작아야 하고, 또한 300mm보다 작아야 한다.
     3. 비틀림에 요구되는 종방향 철근은 폐쇄스터럽의 둘레를 따라 300mm 이하의 간격으로 분포시켜야 한다.
     4. 스터럽의 각 모서리에 최소한 세 개 이상의 종방향철근을 두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보기1번은 2007년 개정되기 전 기준인 400MPa 를 뜻하고 있습니다.
개정 후 비틀림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500MPa로 수정되었습니다.

현 시점에서는 1,4번이 정답이 되겠네요
[해설작성자 : 베일리]

67.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을 초래하는 요인중 포스트텐션 방식에서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은?(2003년 05월)
     1. 마찰
     2. 콘크리트의 탄성수축
     3. 콘크리트의 크리이프
     4.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정답 : []
     정답률 : 61%

68. T형 PSC 보에 설계하중을 작용시킨 결과 보의 처짐은 0이었으며, 프리스트레스 도입단계부터 부착된 계측장치로 부터 상부 탄성변형률 ε =3.5×10-4을 얻었다. 콘크리트 탄성계수 Ec=26000MPa, T형보의 단면적 Ag=150000mm2, 유효율 R=0.85일 때, 강재의 초기 긴장력 Pi를 구하면?(2004년 09월)
     1. 1606kN
     2. 1365kN
     3. 1160kN
     4. 2269kN

     정답 : []
     정답률 : 40%

69. 다음과 같은 대칭 T형보의 유효폭(b)계산에 필요한 사항 으로 틀린 것은?(2003년 05월)

    

     1. 16tf + bw
     2. 양쪽 슬래브의 중심간 거리
     3. 보의 경간의 1/4
     4. (인접보와의 내측거리의 1/2) + bw

     정답 : []
     정답률 : 58%

70. 아래 그림과 같은 복철근 직사각형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fck=21MPa fy=300MPa, 압축부콘크리트의 최대변형률은 0.003이고 인장철근의 응력은fy에 도달한다.)(2014년 05월)

    

     1. 압축철근은 항복응력에 도달하지 못한다.
     2.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의 깊이(a)는 280.1mm이다.
     3. 이 단면의 변화구간에 속한다.
     4. 이 단면의 공칭휨강도(Mn)는 788.4 kNㆍm이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에 오류가 있습니다.4번이 정답이 아니라 2번이 답입니다.
(5000-2000)*300/(0.85*21*300)=168.06이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쪼주사마]

[오류신고 반론]
옳은 것을 고르는 문제입니다.

71. 장주의 좌굴하중(임계하중)은 Euler 공식으로부터 이다. 기둥의 양단이 Hinge일 때 이론적인 K의 값은 얼마인가?(2003년 08월)
     1. 0.5
     2. 0.7
     3. 1.0
     4. 2.0

     정답 : []
     정답률 : 49%

72. 강도설계법에서 스터럽의 간격은 다음 중 어느 것에 반비례 하는가?(2003년 08월)
     1. 스터럽의 단면적
     2. 철근의 항복강도
     3. 보의 유효깊이
     4. 스터럽이 부담해야 할 전단력

     정답 : []
     정답률 : 51%

73. PSC 보를 RC 보처럼 생각하여, 콘크리트는 압축력을 받고 긴장재는 인장력을 받게 하여 두 힘의 우력 모멘트로 외력에 의한 휨모멘트에 저항 시킨다는 생각은 다음 중 어느 개념과 같은가?(2013년 09월)
     1. 응력개념(Stress Concept)
     2. 강도개념(Strength Cocnept)
     3. 하중평형개념(Load Balancing Concept)
     4. 균등질 보의 개념(Homogeneous Beam Concept)

     정답 : []
     정답률 : 62%

74. 이형 철근의 경착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db= 철근의 공청지름)(2017년 09월)
     1. 표준갈고리가 있는 인장 이형철근: 10db 이상, 또한 200㎜ 이상
     2. 인장 이형철근 : 300㎜ 이상
     3. 압축 이형철근 : 200㎜ 이상
     4. 확대머리 인장 이형철근 : 8db 이상, 또한 150㎜ 이상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8db이상, 또한 150mm이상
[해설작성자 : 필기2수]

7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fck)가 35MPa, 철근의 항복강도(fy)가 400MPa, 폭이 350mm, 유효깊이가 600mm인 단철근 직사각형 보의 최소 철근량은 얼마인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5년 05월)
     1. 690mm2
     2. 735mm2
     3. 752mm2
     4. 777mm2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 651mm^2
2. 735mm^2
3. 777mm^2
4. 816mm^2
- 답의 오류인것 같습니다. 정답은 651mm^2으로 1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한솔 22년도와는 보기와 답 모두 동일합니다

[추가 오류 신고]
구조기준 개정으로 인해 문제성립이 안되어 삭제된 문제입니다.
[해설작성자 : 응애]

[추가 오류 신고]
삭제문제
[해설작성자 : 주희]

76. 다음 주어진 단철근 직사각형 단면이 연성파괴를 한다면 이 단면의 공칭휨강도는 얼마인가?(단, fck=21Mpa, fy=300Mpa)(2014년 09월)

    

     1. 252.4kNㆍm
     2. 296.9kNㆍm
     3. 356.3kNㆍm
     4. 396.9kNㆍm

     정답 : []
     정답률 : 53%

77. 지름 450mm인 원형 단면을 갖는 중심축하중을 받는 나선 철근 기둥에 있어서 강도 설계법에 의한 축방향 설계강도(∅Pn)는 얼마인가? (단, 이 기둥은 단주이고, fck=27MPa, fy=350MPa, Ast=8-D22=3096mm2, ∅=0.7 이다.)(2008년 05월)
     1. 1166 kN
     2. 1299 kN
     3. 2425 kN
     4. 2774 kN

     정답 : []
     정답률 : 62%

78. 그림과 같이 단면의 중심에 PS강선이 배치된 부재에 자중을 포함한 하중 w = 30kN/m가 작용한다. 부재의 연단에 인장응력이 발생하지 않으려면 PS강선에 도입되어야 할 긴장력은 최소 얼마이상인가?(단, 1N=0.1kgf)(2004년 05월)

    

     1. 2005kN
     2. 2025kN
     3. 2045kN
     4. 2065kN

     정답 : []
     정답률 : 55%

79. 인장 이형철근을 겹침이음할 때(배근 As/소요As)<2.0 이 고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2을 넘는 경우 겹침이음 길이는?(단, ℓd: 규정에 의해 계산된 이형철 근의 정착길이)(2003년 08월)
     1. 1.0 ℓ d이상
     2. 1.3 ℓ d이상
     3. 1.5 ℓ d이상
     4. 1.7 ℓ d이상

     정답 : []
     정답률 : 48%

80. 직사각형 보에서 전단철근이 부담해야 할 전단력 Vs가 30tonf일 때 전단철근의 간격 s는 최대 얼마 이하라야 하는가? (단, 수직스터럽의 단면적 Av=7.0cm2, bw=35cm, d=60cm, fck=210kgf/cm2, fy=4,000kgf/cm2이다.)(2003년 03월)
     1. 25cm
     2. 30cm
     3. 35cm
     4. 40cm

     정답 : []
     정답률 : 29%

5과목 : 토질 및 기초


81. 흙의 활성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점토의 활성도가 클수록 물을 많이 흡수하여 팽창이 많이 일어난다.
     2. 활성도는 2μm 이하의 점토함유율에 대한 액성지수의 비로 정의된다.
     3. 활성도는 점토광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활성도로부터 점토를 구성하는 점토광물을 추정할 수 있다.
     4. 흙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비표면적이 커져 물을 많이 흡수하므로, 흙의 활성은 점토에서 뚜렷이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액성지수의 비가 아닌 소성지수
[해설작성자 : 3일뒤 시험]

82. 점토층으로부터 흙시료를 채취하여 압밀시험을 한 결과 하중강도가 3.0kg/cm2로부터 4.6kg/cm2로 증가했을 때 간극비는 2.7로부터 1.9로 감소하였다. 압축계수(av)는 얼마인가?(2005년 09월)
     1. 0.5(cm2/kg)
     2. 0.6(cm2/kg)
     3. 0.7(cm2/kg)
     4. 0.8(cm2/kg)

     정답 : []
     정답률 : 15%

83. 유선망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각 유로의 침투유량은 같다.
     2. 유선과 등수두선은 서로 직교한다.
     3. 인접한 유선 사이의 수두 감소량(head loss)은 동일하다.
     4. 침투속도 및 동수경사는 유선망의 폭에 반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인접하더라도 다른 유선끼리는 다른 수두 감소량을 가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4. 테르쟈기(Terzaghi)의 얕은 기초에 대한 지지력공식 qu=acNc+βr1BNr+r2DfNq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계수 α,β를 형상계수라 하며 기초의 모양에 따라 결정한다.
     2. 기초의 깊이 Df가 클수록 극한지지력도 이와 더불어 커진다고 볼 수 있다.
     3. Nc, Nr, Nq는 지지력계수라 하는데 내부마찰각과 점착력에 의해서 정해진다.
     4. r1, r2는 흙의 단위 중량이며 지하수위 아래에서는 수중단위 중량을 써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지지력계수라 하고, 흙의 내부 마찰각에 의해 결정된다
[해설작성자 : 필기2수]

85. 흙의 다짐에 있어 램머의 중량이 2.5kg, 낙하고 30cm, 3층으로 각층 다짐횟수가 25회 일 때 다짐에너지는? (단, 몰드의 체적은 1000cm3이다.)(2016년 05월)
     1. 5.63kg·cm/cm3
     2. 5.96kg·cm/cm3
     3. 10.45kg·cm/cm3
     4. 0.66kg·cm/cm3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다짐에너지는 다 곱하기~~!
2.5 x 30 x 3 x 25 = 5625

원래 식은 체적으로 나눠주면 되는데 외우기 귀찮으니까용ㅎㅎ
이 문제는 2005년    2007년 2016년 모두 답과 문제 변하지 않고 그대로 나와요
[해설작성자 : 주희]

86. 다음중 지하연속벽 공법이 아닌 것은?(2005년 03월)
     1. Soletanche 공법
     2. PIP 공법
     3. ICOS 공법
     4. GOW 공법

     정답 : []
     정답률 : 24%

87. 유선망을 작성하여 침투수량을 결정할 때 유선망의 정밀도가 침투수량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이유는?(2005년 05월)
     1. 유선망은 유로의 수와 등수두면의 수의 비에 좌우되기 때문이다.
     2. 유선망은 등수두선의 수에 좌우되기 때문이다.
     3. 유선망은 유선의 수에 좌우되기 때문이다.
     4. 유선망은 투수계수 K에 좌우되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41%

88. 토립자가 둥글고 입도분포가 나쁜 모래지반에서 표준관입시험을 한 결과 N치는 10이었다. 이 모래의 내부 마찰각을 Dunham의 공식으로 구하면?(2014년 05월)
     1. 21°
     2. 26°
     3. 31°
     4. 36°

     정답 : []
     정답률 : 67%

89. 4m×4m 크기인 정사각형 기초를 내부마찰각 Φ=20˚ 점착력 c=3t/m2인 지반에 설치하였다. 흙의 단위중량®=1.9t/m2이고 안전율을 3으로 할 때 기초의 허용하중을 Terzaghi 지지력공식으로 구하면? (단, 기초의 깊이는 1m이고, 전반전단파괴가 발생한다고 가정하며, Nc=17.69, Nq=7.44, Nr=4.97이다.)(2013년 03월)
     1. 478t
     2. 524t
     3. 567t
     4. 621t

     정답 : []
     정답률 : 56%

90. 연약 점토지반 개량공법으로서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샌드드레인 공법
     2. 프리로딩 공법
     3. 바이브로 플로테이션 공법
     4. 생석회 말뚝 공법

     정답 : []
     정답률 : 58%

91. 토립자가 둥글고 입도분포가 나쁜 모래 지반에서 표준관입시험을 한 결과 N치는 10이었다. 이 모래의 내부 마찰각을 Dunham의 공식으로 구하면?(2019년 04월)
     1. 21°
     2. 26°
     3. 31°
     4. 36°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내부 마찰각[內部摩擦角]
흙의 전단 강도를 나타내는 상수로서 수직 응력과 전단 응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형의 경사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ϕ=√(12N)+15 입자가 둥글고 입도분포가 나쁜 흙 (균질)            
ϕ=√(12N)+20 입자가 둥글고 입도분포가 좋은 흙 (불균질)    
ϕ=√(12N)+20입자가 모나고 입도분포가 나쁜 흙 (균질)            
ϕ=√(12N) +25 입자가 모나고 입도분포가 좋은 흙 (불균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2. 토압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일반적으로 정지토압 계수는 주동토압 계수보다 작다.
     2. Rankine 이론에 의한 주동토압의 크기는 Coulomb 이론에 의한 값보다 작다.
     3. 옹벽, 흙막이벽체, 널말뚝 중 토압분포가 삼각형 분포에 가장 가까운 것은 옹벽이다.
     4. 극한 주동상태는 수동상태보다 훨씬 더 큰 변위에서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47%

93. 그림과 같은 점성토 지반의 토질시험결과 내부마찰각 φ = 30°, 점착력 c=1.5t/m2일 때 A점의 전단강도는?(2011년 03월)

    

     1. 5.31t/m2
     2. 5.95t/m2
     3. 6.38t/m2
     4. 7.04t/m2

     정답 : []
     정답률 : 62%

94. 어떤 흙의 체분석 시험결과가 #4체 통과율이 37.5%, #200체 통과율이 2.3% 였으며, 균등계수는 7.9, 곡률계수는 1.4 이었다. 통일분류법에 따라 이 흙을 분류하면?(2010년 03월)
     1. GW
     2. GP
     3. SW
     4. SP

     정답 : []
     정답률 : 39%

95. 그림과 같이 3개의 지층으로 이루어진 지반에서 토층에 수직한 방향의 평균 투수계수(kv)는?(2022년 03월)

    

     1. 2.516×10-6 cm/s
     2. 1.274×10-5 cm/s
     3. 1.393×10-4 cm/s
     4. 2.0×10-2 cm/s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H/{(H1/K1)+(H2/K2)+(H3/K3)}=KV
[해설작성자 : 성윤모]

96. 높이 15cm, 지름 10cm인 모래시료에 정수위 투수 시험한 결과 정수두 30cm로 하여 10초간의 유출량이 60.8cm3였다. 이 시료의 투수계수는?(2007년 03월)
     1. 8×10-2㎝/sec
     2. 8×10-3㎝/sec
     3. 4×10-2㎝/sec
     4. 4×10-3㎝/sec

     정답 : []
     정답률 : 37%

97. 투수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만 구성된 것은?(2011년 03월)

    

     1. ①, ②, ④, ⑥
     2. ①, ②, ③, ⑤, ⑥
     3. ①, ②, ④, ⑤, ⑦
     4. ②, ③, ⑤, ⑦

     정답 : []
     정답률 : 66%

98. 어떤 콘크리트 댐 하부의 투수층에서 그림과 같은 유선망도가 그려졌다고 할 때 침투유량 Q는? (단, 투수층의 투수계수 k=2.0×10-2cm/sec이다.)(2006년 09월)

    

     1. 6cm3/sec/sm
     2. 10cm3/sec/sm
     3. 15cm3/sec/sm
     4. 18cm3/sec/sm

     정답 : []
     정답률 : 38%

99. 내부 마찰각 30° , 점착력 1.5t/m2 그리고 단위중량이 1.7t/m3인 흙에 있어서 인장균열(tension crack)이 일어나는 깊이는?(2004년 05월)
     1. 2.2m
     2. 2.7m
     3. 3.1m
     4. 3.5m

     정답 : []
     정답률 : 47%

100. 현장흙의 단위무게 시험 중 모래치환법에서 모래는 무엇을 구하려고 이용하는가?(2004년 09월)
     1. 시험구멍에서 파낸 흙의 중량
     2. 시험구멍의 체적
     3. 흙의 함수비
     4. 지반의 지지력

     정답 : []
     정답률 : 42%

101. 다음 하수관로 계획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03월)
     1. 단면형상은 수리학적으로 유리하며 경제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2. 관거부대설비의 견지에서 보면 합류식이 분류식보다 유리하다.
     3. 유속은 하류부가 상류부보다 느린 것이 좋다.
     4. 경사는 하류로 갈수록 완만하게 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52%

102. 수원으로부터 취수된 상수가 소비자까지 전달되는 일반적 상수도의 구성순서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도수-송수-정수-배수-급수
     2. 송수-정수-도수-급수-배수
     3. 도수-정수-송수-배수-급수
     4. 송수-정수-도수-배수-급수

     정답 : []
     정답률 : 75%

103. 활성슬러지법에서 MLSS가 의미하는 것은?(2019년 08월)
     1. 폐수 중의 부유물질
     2. 방류수 중의 부유물질
     3. 포기조 내의 부유물질
     4. 반송슬러지의 부유물질

     정답 : []
     정답률 : 59%

104. 질소, 인 제거와 같은 고도처리를 도입하는 이유로 틀린 것은?(2014년 09월)
     1. 폐쇄성 수역의 부영양화 방지
     2. 슬러지 발생량 저감
     3. 처리수의 재이용
     4. 수질환경기준 만족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폐쇄성 수역의 부영양화 방지
방류수역의 수질환경기준의 달성
처리수의 재이용
방류수역의 이용도 향상
[해설작성자 : TIWSY]

105. 하수 맨홀내에 존재할 수 있는 가스 중에서 콘크리트 흄관의 관정 부식에 주된 원인이 되는 것은?(2005년 03월)
     1. 탄산가스
     2. 메탄가스
     3. 질소
     4. 황화수소

     정답 : []
     정답률 : 37%

106. 펌프의 공동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흡입양정의 표준으로 옳은 것은?(2003년 03월)
     1. -11m 까지
     2. -9m 까지
     3. -7m 까지
     4. -5m 까지

     정답 : []
     정답률 : 17%

107. 유입수량 100m3/min, 침전지용량 4,000m3, 폭20m, 길이 50m, 수심 4m인 경우의 수면적 부하는?(2011년 03월)
     1. 720m3/m2 ㆍ day
     2. 144m3/m2 ㆍ day
     3. 1,800m3/m2 ㆍ day
     4. 6m3/m2 ㆍ day

     정답 : []
     정답률 : 64%

108. 우수 조정지의 구조형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8월)
     1. 댐식(제방높이 15m 미만)
     2. 월류식
     3. 지하식
     4. 굴착식

     정답 : []
     정답률 : 53%

109. 유량이 100000m3/d이고 BOD가 2mg/L인 하천으로 유량 1000m3/d, BOD 100mg/L인 하수가 유입된다. 하수가 유입된 후 혼합된 BOD의 농도는?(2021년 03월)
     1. 1.97mg/L
     2. 2.97mg/L
     3. 3.97mg/L
     4. 4.97mg/L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Cm=(C1Q1+C2Q2)/(Q1+Q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0. 상수도 계획에서 계획 년차 결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장비 및 시설물의 내구년한
     2. 시설확장 시 난이도와 위치
     3. 도시발전 상황과 물사용량
     4. 도시급수지역의 전염병 발생상황

     정답 : []
     정답률 : 66%

111. 슬러지 팽화(bulking)의 원인으로서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5월)
     1. 영양물질의 불균형
     2. 유기물의 과도한 부하
     3. 용존산소량 불량
     4. 과도한 질산화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슬러지 팽화의 원인    
1. 영양물질의 불균형
2. 유기물의 과도한 부하
3. 용존산소량 불량
[해설작성자 : 馬力]

112. 하수 배제방식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분류식은 합류식에 비해 우천시 월류의 위험이 크다.
     2. 합류식은 분류식(2계통 건설)에 비해 건설비가 저렴하고 시공이 용이하다.
     3. 합류식은 단면적이 크기 때문에 검사, 수리 등 에 유리하다.
     4. 분류식은 강우 초기에 노면의 오염물질이 포함된 세정수가 직접 하천 등으로 유입된다.

     정답 : []
     정답률 : 65%

113. pH가 5.6에서 4.3으로 변화할 때 수소이온 농도는 약 몇 배가 되는가?(2022년 04월)
     1. 약 13배
     2. 약 15배
     3. 약 17배
     4. 약 20배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PH농도=-log(수소이온 농도)이므로
5.6-4.3=-1.3=log(x)를 풀면 X=19.952…이다.
[해설작성자 : 토목조무사]

114. 현재의 인구가 100,000명인 발전 가능성 있는 도시의장래 급수량을 추정하기 위해 인구증가 현황을 조사하니 연평균 인구증가율이 5%로 일정하였다. 이 도시의 20년후 추정인구는? (단, 등비급수 방법을 사용함.)(2004년 09월)
     1. 35850명
     2. 116440명
     3. 200000명
     4. 265330명

     정답 : []
     정답률 : 37%

115. 하수도 시설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전처리(primary treatment)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폐수는?(2003년 05월)
     1. 대형 부유물질만을 함유하는 폐수
     2. 아주 미세한 부유물질만을 함유하는 폐수
     3. 침전성 물질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폐수
     4. 산성 또는 알카리성이 강한 폐수

     정답 : []
     정답률 : 62%

116. 도수관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5월)
     1. 관경의 산정에 있어서 시점의 고수위, 종점의 저수위를 기준으로 동수경사를 구한다.
     2. 자연유하식 도수관거의 평균유속의 최소한도는 0.3m/s로 한다.
     3. 자연유하식 도수관거의 평균유속의 최대한도는 3.0m/s로 한다.
     4. 도수관거 동수경사의 통상적인 범위는 1/1000~1/3000이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관경의 산정에 있어서 시점의 저수위, 종점의 고수위를 기준으로 동수경사를 구한다.
[해설작성자 : 잠자는 푸우]

117. 공동현상(Cavitation) 방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5월)
     1. 펌프의 회전수를 높인다.
     2. 흡입관의 손실을 가능한 한 작게 한다.
     3. 펌프의 설치위치를 가능한 한 낮추도록 한다.
     4. 흡입측 밸브를 완전히 개방하고 펌프를 운전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118. 펌프의 토출량이 0.94m3/min이고, 흡입구의 유속이 2m/s라 가정할 때 펌프의 흡입구경은?(2017년 09월)
     1. 100mm
     2. 200mm
     3. 250mm
     4. 300mm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펌프의 흡입구경
D = 146√Q/v = 146√0.94/2 = 100
D:펌프의 흡입구경 (mm)
Q:펌프의 토출유량 (m3/min)
v:흡입구의 유속 (m/sec)
[해설작성자 : 진성]

119. 상수도 시설 중 접합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상부를 개방하지 않은 수로시설
     2. 복류수를 취수하기 위해 매설한 유공관로 시설
     3. 배수지 등의 유입수의 수위조절과 양수를 위한 시설
     4. 관로의 도중에 설치하여 주로 관로의 수압을 조절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시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접합정: 물 공급원에서 공급한 원수나 정수 처리 한 물을 자연 유하식으로 이송하는 배관일 경우, 두 개 이상의 공급 관로에서 보내온 물을 한 관로로 보내고자 할 때 관로가 만나는 지점에 설치하는 시설. 공급 관로를 수평, 수직의 급격한 경사면에 설치해야 하는 경우에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0. 인구 15만의 도시에 급수계획을 하려고 한다. 계획1인1일최대급수량이 400L/인∙ay이고, 보급률이 95%라면 계획1일최대급수량은?(2016년 10월)
     1. 57000m3/day
     2. 59000m3/day
     3. 61000m3/day
     4. 63000m3/day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50,000 人 × 0.4m3/人·day × 0.95 = 57,000m3/day
[해설작성자 : ㅇㅇ]

15X400X95
[해설작성자 : 주희]


정 답 지

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4일)(696488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응용역학


1. 변의 길이 a인 정사각형 단면의 장주(長住)가 있다. 길이가 l이고, 최대임계축하중이 P이고 탄성계수가 E 라면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2016년 03월)
     1. P는 E에 비례, a의 3제곱에 비례, 길이 l2에 반비례
     2. P는 E에 비례, a의 3제곱에 비례, 길이 l3 에 반비례
     3. P는 E에 비례, a의 4제곱에 비례, 길이 l2 에 반비례
     4. P는 E에 비례, a의 4제곱에 비례, 길이 l3 에 반비례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최대임계하중 P = pi^2 EI/(kL)^2, 정사각형이므로 I=a^4/12, P는 E에 비례, a의 4제곱에 비례, L^2에 반비례
[해설작성자 : PNU civil]

2. 나무기둥의 단면이 폭 10cm, 높이 15cm이며 길이 3m의 일단 고정, 타단 자유단의 나무기둥이 있다. 안전율 S=10으로 취하면 자유단에는 몇 ㎏의 하중을 안전하게 받을 수 있는가? (단, 탄성계수 E = 1×106㎏/cm2)(2006년 03월)
     1. 7,720㎏
     2. 3,430㎏
     3. 77,200㎏
     4. 34,300㎏

     정답 : []
     정답률 : 42%

3. 그림과 같은 강봉이 2개의 다른 정사각형 단면적을 가지고 하중 P를 받고 있을 때 AB가 1500kg/cm2의 응력(Nomal stress)을 가지면 BC에서의 응력은 얼마인가?(2008년 03월)

   

     1. 1500kg/cm2
     2. 3000kg/cm2
     3. 4500kg/cm2
     4. 6000kg/cm2

     정답 : []
     정답률 : 55%

4. 그림과 같은 캔틸레버보에서 휨모멘트에 의한 탄성변형에너지는? (단, EI는 일정)(2014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1%

5.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서 C점의 수직처짐을 구하면? (단, EI=2×105kgㆍcm2 이며 자중은 무시한다.)(2010년 09월)

   

     1. 2.70mm
     2. 3.57mm
     3. 6.24mm
     4. 7.35mm

     정답 : []
     정답률 : 61%

6. 정6각형 틀의 각 절점에 그림과 같이 하중 P가 작용할 때 각 부재에 생기는 인장응력의 크기는?(2018년 03월)

   

     1. P
     2. 2P
     3. P/2
     4. P/√2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프레임 문제를 꼬아놨네요
A지점 하나만 두고 본다면 AF부재 AB부재 2개의 힘이 하단으로 내려가고 각도는 P힘과 60도
F랑 B점에 자대고 선하나 그어주면 특수각 삼각형2개가 되고 부재당 하단방향으로 0.5P씩 분담하므로
1p씩 당겨주면 A점 평형이 맞춰집니다.
[해설작성자 : 출제시 두뇌를 활용하는 습관을 가져요!]

7. 다음 단면에서 y축에 대한 회전반지름은?(2006년 09월)

   

     1. 3.07cm
     2. 3.20cm
     3. 3.81cm
     4. 4.24cm

     정답 : []
     정답률 : 71%

8. 평면응력상태 하에서의 모아(Mohr)의 응력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최대 전단응력의 크기는 두 주응력의 차이와 같다.
     2. 모아 원으로부터 주응력의 크기와 방향을 구할 수 있다.
     3. 모아 원이 그려지는 두 축 중 연직(y)축은 전단응력의 크기를 나타낸다
     4. 모아 원 중심의 x 좌표 값은 직교하는 두축의 수직응력의 평균값과 같고, y 좌표 값은 0이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최대 전단응력의 크기는 두 주응력의 차이의 절반과 같다.

9. 다음과 같이 1변이 a 인 정사각형 단면의 1/4 을 절취한 나머지 부분의 도심(C)의 위치 yo는?(2015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6%

10. 다음 중 정(+)의 값뿐만 아니라 부(-)의 값도 갖는 것은?(2020년 09월)
     1. 단면계수
     2. 단면 2차 반지름
     3. 단면 상승 모멘트
     4. 단면 2차 모멘트

     정답 :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단면 상승 모멘트는 도심이 1,3사분면에 위치할 경우 (+), 2,4사분면에 위치할 경우 (-)의 값을 가진다.
[해설작성자 : 장지훈]

11. 다음 보의 C점의 수직처짐량은?(2012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0%

12. 전단탄성계수(G)가 81000 MPa, 전단응력(τ)이 81 MPa이면 전단변형률(γ)의 값은?(2022년 03월)
     1. 0.1
     2. 0.01
     3. 0.001
     4. 0.0001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응력= E x 변형률이기에
81 = 81000 x 변형률
변형률 = 0.001
임을 알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부경대 레츠공간]

13. 그림과 같은 단면에 600kN의 전단력이 작용할 때 최대 전단응력의 크기는?(2021년 08월)

    

     1. 12.71MPa
     2. 15.98MPa
     3. 19.83MPa
     4. 21.32MPa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τ = VQ / Ib

V = 600
Q = A11 + A22
    = (100×300)(150+50) + (150×100)(150/2)
    = 7125
I = (b1h13 / 12) - (b2h23 / 12)
    = (300×5003)/12 - (200×3003)/12
    = 2675
b = 100

τ = VQ / Ib
    = (600×7125) / (2675×100) = 15.98Mpa
[해설작성자 : 돈모으자]

14. 그림과 같은 단면적 A, 탄성계수 E인 기둥에서 줄음량을 구한 값은?(2018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9%

15. 그림과 같은 지간(span) 8m 인 단순보에 연행하중에 작용할 때 절대최대휨모멘트는 어디에서 생기는가?(2022년 03월)

    

     1. 45kN의 재하점이 A점으로부터 4m인 곳
     2. 45kN의 재하점이 A점으로부터 4.45m인 곳
     3. 15kN의 재하점이 B점으로부터 4m인 곳
     4. 합력의 재하점이 B점으로부터 3.35m인 곳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힘 15와 45 의 합력 60을 정하면, 3:1로 나뉘어지는 부분에 합력 60이 가해진다 생각할 수 있다.
거기서 합력 60과 45의 중간점이 AB 부재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적용하면 됨.
이후에 반력을 계산해, 힘 15나 45 점 중 어느 곳에서 절대최대휘모멘트가 작용하는 곳을 알아내야 하지만,
딱 봐도 힘 45 점에 절대최대휨모멘트가 작용함을 알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흠그정돈가]

16. 양단고정의 장주에 중심축하중이 작용할 때 이 기둥의 좌굴응력은? (단, E=2.1×105kg/cm2이고, 기둥은 지름이 4cm인 원형기둥 이다.)(2010년 09월)

    

     1. 33.5kg/cm2
     2. 67.2kg/cm2
     3. 129.5kg/cm2
     4. 259.1kg/cm2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풀었을때 12.95가 나옵니다. 확인한번 부탁드릴게요

17. 그림과 같은 구조에서 절댓값이 최대로 되는 휨모멘트의 값은?(2022년 03월)

    

     1. 80 kN·m
     2. 50 kN·m
     3. 40 kN·m
     4. 30 kN·m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오른쪽 힌지는 롤러이므로 수평응력 H = 0
따라서 사실상 대칭이다.
등분포하중 전까지 -30의 모멘트.
등분포하중에서 -30 에서 +80 한 +50 를 중간점으로 경유해 -30으로 다시 복귀.
오른쪽에서 다시 -30 에서 0으로.
즉, -30 ~ 50 사이에서 왔다리갔다리 하므로 답은 2번.
[해설작성자 : 흠그정돈가]

18. 그림의 AC, BC에 작용하는 힘 FAC, FBC 의 크기는?(2003년 03월)

    

     1. FAC = 10tonf, FBC = 8.66tonf
     2. FAC = 8.66tonf, FBC = 5tonf
     3. FAC = 5tonf, FBC = 8.66tonf
     4. FAC = 5tonf, FBC = 17.32tonf

     정답 : []
     정답률 : 59%

19. 전단중심(Shear Center)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1. 전단중심이란 단면이 받아내는 전단력의 합력점의 위치를 말한다.
     2. 1축이 대칭인 단면의 전단중심은 도심과 일치한다.
     3. 하중이 전단중심점을 통과하지 않으면 보는 비틀린다.
     4. 1축이 대칭인 단면의 전단중심은 그 대칭축 선상에 있다.

     정답 : []
     정답률 : 62%

20. 재질과 단면이 같은 다음 2개의 외팔보에서 자유단의처짐을 같게 하는 P1/P2 의 값은?(2003년 03월)

    

     1. 0.216
     2. 0.437
     3. 0.325
     4. 0.546

     정답 : []
     정답률 : 57%

2과목 : 측량학


21. 삼각수준측량에서 정밀도 10-5의 수준차를 허용할 경우 지구곡률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최대시준거리는? (단, 지구곡률반지름 R=6370 km이고, 빛의 굴절계수는 무시)(2017년 03월)
     1. 35m
     2. 64m
     3. 70m
     4. 127m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보기 답이 잘못되었어요.
1. 64km
2. 127km
3. 35km
4. 70km

책에는 95년도 문제라 나와있어서 보기답이 다를 수 있겠지만 답은 69.7798km로 70km가 정답입니다.
풀이) 델타L/L= L*2/ 12곱하기 R*2 >>>>>> 1/100000=X*2/ 12곱하기 6370*2 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답 4번 맞음 한솔 아카데미 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4번 맞음
양차 (1-K)D^2/2R 공식 사용해야함
[해설작성자 : 똥]

[오류신고 반론]
70km가 맞는 거 같은데요? 지구곡률이랑 빛의 굴절계수 무시한다는데 양차공식을 쓰는건 아닌 거 같은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기준면으로부터 지반고를 관측한 결과 다음 그림과 같았다. 정지고를 2.5m로 할 경우 필요한 절성토량은 얼마인가? (단, 각각의 직사각형 면적은 40m2이다.)(2003년 05월)

    

     1. 110m3
     2. 220m3
     3. 2,000m3
     4. 3,890m3

     정답 : []
     정답률 : 32%

23. 두 지점의 거리측량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최확값은?(2009년 08월)

    

     1. 145.136m
     2. 145.248m
     3. 145.174m
     4. 145.204m

     정답 : []
     정답률 : 61%

24. 측량에 있어 미지값을 관측할 경우 나타나는 오차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경중률은 분산에 반비례한다.
     2. 경중률은 반복 관측일 경우 각 관측값 간의 편차를 의미한다.
     3. 일반적으로 큰 오차가 생길 확률은 작은 오차가 생길 확률보다 매우 작다.
     4. 표준편차는 각과 거리 같은 1차원의 경우에 대한 정밀도의 척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경중률은 반복관측일 경우 각 간측값 간의 신뢰도를 의미한다.
[해설작성자 : gavis]

25. 그림과 같은 단면의 면적은? (단, 좌표의 단위는 m 이다.)(2019년 04월)

    

     1. 174 m2
     2. 148 m2
     3. 104 m2
     4. 87 m2

     정답 : []
     정답률 : 65%

26. GNSS 위성측량시스템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GPS
     2. GSIS
     3. QZSS
     4. GALILEO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미국 GPS
러시아 GLONASS
유럽 갈릴레오
[해설작성자 : 헤이즈지원]

27. 노선측량의 단곡선 설치 방법 중 간단하고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어 철도, 도로 등의 기설곡선 검사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2014년 09월)
     1. 중앙종거법
     2. 편각설치법
     3. 절선편거와 현편거에 의한 방법
     4. 절선에 대한 지거에 의한 방법

     정답 : []
     정답률 : 70%

28. 해저지형측량에서 수심이 6000m이고 발사응이 약 10초 후에 수신되었다면 음파의 속도는?(2010년 05월)
     1. 300 m/s
     2. 600 m/s
     3. 1000 m/s
     4. 1200 m/s

     정답 : []
     정답률 : 38%

29. 지형측량에서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등고선은 절대 교차하지 않는다.
     2. 등고선은 지표의 최대 경사선 방향과 직교한다.
     3. 동일 등고선 상에 있는 모든 점은 같은 높이이다.
     4. 등고선간의 최단거리의 방향은 그 지표면의 최대 경사의 방향을 가리킨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등고선은 동굴이나 절벽에서는 교차한다.
[해설작성자 : 필기2수]

30. 거리 100m에 대한 스타디아선의 읽기오차가 0.5cm일때 100m 떨어진 지점을 시거측량한 결과 고도각이 15° 였다면 시거측량에 의한 고저차의 측정오차는? (단, K=100, C=0 이다)(2003년 03월)
     1. 8.7cm
     2. 12.5cm
     3. 15.3cm
     4. 21.5cm

     정답 : []
     정답률 : 32%

31. 그림과 같이 다각측량으로 터널의 중심선측량을 실시할 경우 측선 AB의 길이는 얼마인가?(2009년 03월)

    

     1. AB=36.95m
     2. AB=44.33m
     3. AB=45.95m
     4. AB=50.31m

     정답 : []
     정답률 : 30%

32. 확폭량이 S인 노선에서 노선의 곡선 반지름(R)을 두 배로 하면 확폭량(S')은?(2016년 03월)
     1. S' = 1/4 S
     2. S' = 1/2 S
     3. S' = 2S
     4. S' = 4S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확폭량 = L^2/2R
반지름만 2배로 하면    L^2/[2*2R] = 1/2S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3. 그림과 같은 삼각망에서 CD의 거리는?(2014년 09월)

    

     1. 1732m
     2. 1000m
     3. 866m
     4. 750m

     정답 : []
     정답률 : 74%

34. 사진의 크기 23cm×18cm, 초점거리 30cm, 촬영고도 6000m일 때 이 사진의 포괄면적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5년 05월)
     1. 16.6km2
     2. 14.4km2
     3. 24.4km2
     4. 26.6km2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촬영고도/초점거리=축척입니다.
면적이므로 0.23*0.18*축척^2 하면 16560000 m^2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22부터 사진측량 출제기준 제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5. 항공사진측량의 입체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7년 05월)
     1.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초점거리가 긴 사진기에 의한 입체상이 짧은 사진기의 입체상보다 높게 보인다.
     2. 한 쌍의 입체사진 촬영코스 방향과 중복도만 유지하면 두 사진의 축척이 30% 정도 달라도 무관하다.
     3.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기선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짧은 경우보다 과고감이 크게 된다.
     4. 입체상의 변화는 기선고도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사진측량 관련 문제는 2022년 부터 시험 범위에서 제외 되었습니다.

36. 다음과 같은 도형 ABCD의 면적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단, 곡선 AB를 2차 곡선으로 가정함)(2004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4%

37. 다각측량을 하여 3점의 성과를 얻었다. 이 3점으로 이루어진 다각형의 면적은?(2011년 03월)

    

     1. 693.2m2
     2. 783.5m2
     3. 1,386.3m2
     4. 1,567.1m2

     정답 : []
     정답률 : 52%

38. 곡률이 급변하는 평면 곡선부에서의 탈선 및 심한 흔들림 등의 불안정한 주행을 막기 위해 고려하여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8월)
     1. 완화곡선
     2. 종단곡선
     3. 캔트
     4. 슬랙

     정답 : []
     정답률 : 58%

39. 축척 1/50000의 지형도에서 제한 경사가 10%일 때 각 주곡선 간의 도상 수평거리는?(2004년 05월)
     1. 2㎜
     2. 4㎜
     3. 6㎜
     4. 8㎜

     정답 : []
     정답률 : 52%

40. 평면측량에서 거리의 허용 오차를 1/1000000까지 허용 한다면 지구를 평면으로 볼 수 있는 한계는 몇 km인가? (단, 지구의 곡률반경은 6370km이다.)(2007년 05월)
     1. 22.07km
     2. 23.06km
     3. 2207km
     4. 2306km

     정답 : []
     정답률 : 58%

3과목 : 수리학 및 수문학


41. 유속이 3m/s인 유수 중에 유선형 물체가 흐름방향으로 향하여 h=3m 깊이에 놓여 있을 때 정체압력(stagnation pressure)은?(2018년 08월)
     1. 0.46kN/m2
     2. 12.21kN/m2
     3. 33.90kN/m2
     4. 102.35kN/m2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위치수두 + 속도수두
3 + 3^2 / 2*9.8 = 3.46 t/m2 = 33.90kN/m2
[해설작성자 : 탲운]

정체압력(P)=정압력+동압력
(9.8 x 3) + (9.8 x 3^2 / 2 x 9.8) = 33.90kN/m2
[해설작성자 : 여니]

42. 베르누이(Bernoulli)의 정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2년 03월)
     1. 회전류의 경우는 모든 영역에서 성립한다.
     2. Euler의 운동방정식으로부터 적분하여 유도할 수 있다.
     3. 베르누이의 정리를 이용하여 Torricelli의 정리를 유도할 수 있다.
     4. 이상유체 흐름에 대하여 기계적 에너지를 포함한 방정식과 같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회전류에서는 동일한 유선 상에서만 성립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3. 강우와 강우해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강우강도의 단위는 mm/hr이다.
     2. DAD 해석은 지속기간별ㆍ면적별 최대강우량을 구하는 방법이다.
     3. 정상 연강수 비율법(Normal Ratio Method)은 면적평균 강수량을 구하는 방법이다.
     4. 대류형 강우는 주위보다 더운 공기의 상승으로 일어난다.

     정답 : []
     정답률 : 51%

44. 유체가 75mm 직경인 관로를 흘러서 150mm 직경인 큰 관으로 연결되어 유출된다. 75mm 관로에서의 Reynolds수가 20,000일 때 150mm 관로의 Reynolds수는?(2008년 05월)

    

     1. 40,000
     2. 20,000
     3. 10,000
     4. 5,000

     정답 : []
     정답률 : 33%

45. 그림과 같이 뚜껑이 없는 원통 속에 물을 가득 넣고 중심 축 주위로 회전시켰을 때 흘러넘친 양이 전체의 20%였다. 이 때, 원통 바닥면이 받는 전수압(全水壓)은?(2019년 08월)

    

     1. 정지상태와 비교할 수 없다.
     2. 정지상태에 비해 변함이 없다.
     3. 정지상태에 비해 20%만큼 증가한다.
     4. 정지상태에 비해 20%만큼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흘러넘친 양이 20%이므로 원통 바닥에 작용하는 전수압도 20%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강한영원]

46. 표고 20m인 저수지에서 물을 표고 50m인 지점까지 1.0m3/sec의 물을 양수하는데 소요되는 펌프동력은? (단, 모든 손실수두의 합은 3.0m이고 모든 관은 동일한 직경과 수리학적 특성을 지니며, 펌프의 효율은 80%이다.)(2019년 04월)
     1. 248 kW
     2. 330 kW
     3. 404 kW
     4. 650 kW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E=9.8×1.0×(30+3)/0.8=404kW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그림과 같이 유량이 Q, 유속이 V인 유관이 받는 외력 중에서 y축 방향의 힘(Fy)에 대한 계산식으로 맞는 것은? (단, ρ:단위밀도, θ1 및 θ2≤90°, 마찰력은 무시함)(2008년 05월)

    

     1. Fy=ρQV(sinθ2-sinθ1)
     2. Fy=-ρQV(sinθ2-sinθ1)
     3. Fy=ρQV(sinθ2+sinθ1)
     4. Fy=-QV(sinθ2+sinθ1)/ρ

     정답 : []
     정답률 : 46%

48. 대수층에서 지하수가 2.4m의 투과거리를 통과하면서 0.4m 수두손실이 발생할 때 지하수의 유속은? (단, 투수계수 = 0.3 m/s)(2017년 03월)
     1. 0.01 m/s
     2. 0.05 m/s
     3. 0.1 m/s
     4. 0.5 m/s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0.3*(0.4\2.4)=0.05
[해설작성자 : 난다]

유속 V=ki
[해설작성자 : 헤이즈지원]

49. 연직판이 4m/sec의 속도로 움직이고 있을 때 움직임과 반대방향에서 유량 Q = 1.5m3/sec, 유속 V = 2m/sec로 부딪치는 수맥에 의한 판이 받는 힘은?(2008년 09월)
     1. 1224kg
     2. 918kg
     3. 612kg
     4. 306kg

     정답 : []
     정답률 : 26%

50. 물속에 세운 모세관의 내경을 d, 그때의 물의 표면장력을 σ, 물과 관 사이의 접촉각을 θ라고 할 때 모세관고 h를 구하는 식은? (단, 물의 단위 중량은 w이다.)(2008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4%

51. 하상계수(河狀系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3월)
     1. 대하천의 주요 지점에서의 강우량과 저수량의 비
     2. 대하천의 주요 지점에서의 최소유량과 최대유량의 비
     3. 대하천의 주요 지점에서의 홍수량과 하천유지유량의 비
     4. 대하천의 주요 지점에서의 최소유량과 갈수량의 비

     정답 : []
     정답률 : 79%

52. 지름 1cm, 길이 3m인 원형관에 유속 0.2m/s의 물이 흐를 때 관 길이에 대한 마찰손실 수두는? (단, v=1.12×10-2cm2/sec, ρ = 1000kg/m3)(2010년 05월)
     1. 8.023cm
     2. 6.525cm
     3. 4.388cm
     4. 2.194cm

     정답 : []
     정답률 : 38%

53. 개수로의 흐름에서 비에너지의 정의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단위 중량의 물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로 수심과 속도수두의 합
     2. 수로의 한 단면에서 물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단면적으로 나눈 값
     3. 수로의 두 단면에서 물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수심으로 나눈 값
     4. 압력 에너지와 속도 에너지의 비

     정답 : []
     정답률 : 58%

54. 강우로 인한 유수가 그 유역 내의 가장 먼 지점으로부터 유역출구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하는 것은?(2014년 09월)
     1. 강우지속시간
     2. 지체시간
     3. 도달시간
     4. 기저시간

     정답 : []
     정답률 : 74%

55. 3m 폭을 가진 직사각형 수로에 사각형인 광정(廣頂)위어를 설치하려 한다. 위어 설치 전의 평균 유속은 1.5m/sec, 수심이 0.3m이고, 위어설치 후의 평균 유속이 0.3m/sec, 위어상류의 수심이 1.5m가 되었다면 위어의 높이 h는? (단, 에너지 보정계수 α=1.0)(2013년 03월)

    

     1. 0.7m
     2. 0.9m
     3. 1.1m
     4. 1.3m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1) Q=1.7CbH^3/2, H=(Q/1.7cb)^2/3=0.41m
2) H=(h1+a*V^2 / 2g) , h1=0.405m
3) 1.5m = h1 + h, h = 1.5-0.405 = 1.1m
[해설작성자 : 첫기출]

56.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수로에서 수로 경사가 1/1,000인 경우 수로 바닥과 양벽면에 작용하는 평균 마찰응력은?(2003년 03월)

    

     1. 1.20kg/m2
     2. 1.05kg/m2
     3. 0.67kg/m2
     4. 0.82kg/m2

     정답 : []
     정답률 : 30%

57. 유역의 평균강우량 산정방법이 아닌 것은?(2010년 03월)
     1. 산술평균법
     2. 티센다각형법
     3. 등우선법
     4. 정상연평균강수량법

     정답 : []
     정답률 : 41%

58. 물리량의 차원이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에너지 : [ML-2 T-2]
     2. 동점성계수 : [L2 T-1]
     3. 점성계수 : [ML-1 T-1]
     4. 밀도 : [FL-4 T2]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에너지[ML2 T-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물 흐름을 해석할 때의 연속방정식에서 질량유량을 사용하지 않고 체적유량을 사용하는 이유는?(2006년 09월)
     1. 물을 비압축성유체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질량보다는 체적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3. 밀도를 무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4. 물은 점성유체이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44%

60. 지하수의 흐름에 대한 Darcy의 법칙은? (단, V : 유속, Δh : 길이 ΔL 에 대한 손실수두, k : 투수계수)(2019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8%

4과목 :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61. 그림과 같이 복철근 직사각형 단면에서 응력 사각형의 깊이 a의 값은 얼마인가? (단, fck=24MPa, fy=350MPa, AS=5730mm2, AS'=1980mm2)(2016년 10월)

    

     1. 227.2mm
     2. 199.6mm
     3. 217.4mm
     4. 183.8mm

     정답 : []
     정답률 : 66%

62. PS강재의 인장응력 fp = 11,000kgf/cm2 콘크리트의 압축응력 fc = 80kgf/cm2, 콘크리트의 크리프 계수 φt = 2.0, n = 6일 때 크리프에 의한 PS강재의 인장응력 감소율은 얼마인가?(2003년 03월)
     1. 7.6%
     2. 8.7%
     3. 9.6%
     4. 10.7%

     정답 : []
     정답률 : 33%

63. 그림과 같이 철근콘크리트 휨 부재의 최외단 인장 철근의 순인장 변형률(ɛt)이 0.0045일 경우 강도감소계수 φ는 얼마인가? (단, 나선철근으로 보강되지 않은 경우이고, 사용 철근은 fy=400MPa, ɛy(압축지배 변형률 한계)=0.002이다.)(2011년 03월)

    

     1. 0.813
     2. 0.817
     3. 0.821
     4. 0.825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φ=0.65+0.2*(et-0.002)/0.003
[해설작성자 : ㅇㅎㄱㄷ]

64. 그림과 같은 단면의 균열모멘트 Mcr은? (단, fck = 24MPa, fy = 400 MPa, 보통중량 콘크리트이다.)(2020년 08월)

    

     1. 22.46 kN·m
     2. 28.24 kN·m
     3. 30.81 kN·m
     4. 38.58 kN·m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Mcr=(fr/yt)×Ig
Ig=bh^3/12
fr=0.63×ㅅ×루트fck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fr = 0.63r sqrt(fck)
Z = bh^2/6
Mcr = Fr * Z(단면계수)
[해설작성자 : 에ㅐ효]

65. 직사각형 기둥(300mm×450mm)인 띠철근 단주의 공칭축강도(Pn)는 얼마인가? (단, fck=28MPa, fy=400MPa, Ast=3854mm2)(2010년 09월)
     1. 2611.2kN
     2. 3263.2kN
     3. 3730.3kN
     4. 3963.4kN

     정답 : []
     정답률 : 50%

66. 비틀림 철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Ph:가장 바깥의 횡방향 폐쇄스터럽 중심선의 둘레 mm)(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2년 09월)
     1. 비틀림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400MPa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2. 횡방향 비틀림 철근의 간격은 ph/8보다 작아야 하고, 또한 300mm보다 작아야 한다.
     3. 비틀림에 요구되는 종방향 철근은 폐쇄스터럽의 둘레를 따라 300mm 이하의 간격으로 분포시켜야 한다.
     4. 스터럽의 각 모서리에 최소한 세 개 이상의 종방향철근을 두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보기1번은 2007년 개정되기 전 기준인 400MPa 를 뜻하고 있습니다.
개정 후 비틀림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500MPa로 수정되었습니다.

현 시점에서는 1,4번이 정답이 되겠네요
[해설작성자 : 베일리]

67.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을 초래하는 요인중 포스트텐션 방식에서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은?(2003년 05월)
     1. 마찰
     2. 콘크리트의 탄성수축
     3. 콘크리트의 크리이프
     4.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정답 : []
     정답률 : 61%

68. T형 PSC 보에 설계하중을 작용시킨 결과 보의 처짐은 0이었으며, 프리스트레스 도입단계부터 부착된 계측장치로 부터 상부 탄성변형률 ε =3.5×10-4을 얻었다. 콘크리트 탄성계수 Ec=26000MPa, T형보의 단면적 Ag=150000mm2, 유효율 R=0.85일 때, 강재의 초기 긴장력 Pi를 구하면?(2004년 09월)
     1. 1606kN
     2. 1365kN
     3. 1160kN
     4. 2269kN

     정답 : []
     정답률 : 40%

69. 다음과 같은 대칭 T형보의 유효폭(b)계산에 필요한 사항 으로 틀린 것은?(2003년 05월)

    

     1. 16tf + bw
     2. 양쪽 슬래브의 중심간 거리
     3. 보의 경간의 1/4
     4. (인접보와의 내측거리의 1/2) + bw

     정답 : []
     정답률 : 58%

70. 아래 그림과 같은 복철근 직사각형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fck=21MPa fy=300MPa, 압축부콘크리트의 최대변형률은 0.003이고 인장철근의 응력은fy에 도달한다.)(2014년 05월)

    

     1. 압축철근은 항복응력에 도달하지 못한다.
     2.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의 깊이(a)는 280.1mm이다.
     3. 이 단면의 변화구간에 속한다.
     4. 이 단면의 공칭휨강도(Mn)는 788.4 kNㆍm이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에 오류가 있습니다.4번이 정답이 아니라 2번이 답입니다.
(5000-2000)*300/(0.85*21*300)=168.06이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쪼주사마]

[오류신고 반론]
옳은 것을 고르는 문제입니다.

71. 장주의 좌굴하중(임계하중)은 Euler 공식으로부터 이다. 기둥의 양단이 Hinge일 때 이론적인 K의 값은 얼마인가?(2003년 08월)
     1. 0.5
     2. 0.7
     3. 1.0
     4. 2.0

     정답 : []
     정답률 : 49%

72. 강도설계법에서 스터럽의 간격은 다음 중 어느 것에 반비례 하는가?(2003년 08월)
     1. 스터럽의 단면적
     2. 철근의 항복강도
     3. 보의 유효깊이
     4. 스터럽이 부담해야 할 전단력

     정답 : []
     정답률 : 51%

73. PSC 보를 RC 보처럼 생각하여, 콘크리트는 압축력을 받고 긴장재는 인장력을 받게 하여 두 힘의 우력 모멘트로 외력에 의한 휨모멘트에 저항 시킨다는 생각은 다음 중 어느 개념과 같은가?(2013년 09월)
     1. 응력개념(Stress Concept)
     2. 강도개념(Strength Cocnept)
     3. 하중평형개념(Load Balancing Concept)
     4. 균등질 보의 개념(Homogeneous Beam Concept)

     정답 : []
     정답률 : 62%

74. 이형 철근의 경착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db= 철근의 공청지름)(2017년 09월)
     1. 표준갈고리가 있는 인장 이형철근: 10db 이상, 또한 200㎜ 이상
     2. 인장 이형철근 : 300㎜ 이상
     3. 압축 이형철근 : 200㎜ 이상
     4. 확대머리 인장 이형철근 : 8db 이상, 또한 150㎜ 이상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8db이상, 또한 150mm이상
[해설작성자 : 필기2수]

7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fck)가 35MPa, 철근의 항복강도(fy)가 400MPa, 폭이 350mm, 유효깊이가 600mm인 단철근 직사각형 보의 최소 철근량은 얼마인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5년 05월)
     1. 690mm2
     2. 735mm2
     3. 752mm2
     4. 777mm2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 651mm^2
2. 735mm^2
3. 777mm^2
4. 816mm^2
- 답의 오류인것 같습니다. 정답은 651mm^2으로 1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한솔 22년도와는 보기와 답 모두 동일합니다

[추가 오류 신고]
구조기준 개정으로 인해 문제성립이 안되어 삭제된 문제입니다.
[해설작성자 : 응애]

[추가 오류 신고]
삭제문제
[해설작성자 : 주희]

76. 다음 주어진 단철근 직사각형 단면이 연성파괴를 한다면 이 단면의 공칭휨강도는 얼마인가?(단, fck=21Mpa, fy=300Mpa)(2014년 09월)

    

     1. 252.4kNㆍm
     2. 296.9kNㆍm
     3. 356.3kNㆍm
     4. 396.9kNㆍm

     정답 : []
     정답률 : 53%

77. 지름 450mm인 원형 단면을 갖는 중심축하중을 받는 나선 철근 기둥에 있어서 강도 설계법에 의한 축방향 설계강도(∅Pn)는 얼마인가? (단, 이 기둥은 단주이고, fck=27MPa, fy=350MPa, Ast=8-D22=3096mm2, ∅=0.7 이다.)(2008년 05월)
     1. 1166 kN
     2. 1299 kN
     3. 2425 kN
     4. 2774 kN

     정답 : []
     정답률 : 62%

78. 그림과 같이 단면의 중심에 PS강선이 배치된 부재에 자중을 포함한 하중 w = 30kN/m가 작용한다. 부재의 연단에 인장응력이 발생하지 않으려면 PS강선에 도입되어야 할 긴장력은 최소 얼마이상인가?(단, 1N=0.1kgf)(2004년 05월)

    

     1. 2005kN
     2. 2025kN
     3. 2045kN
     4. 2065kN

     정답 : []
     정답률 : 55%

79. 인장 이형철근을 겹침이음할 때(배근 As/소요As)<2.0 이 고 겹침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2을 넘는 경우 겹침이음 길이는?(단, ℓd: 규정에 의해 계산된 이형철 근의 정착길이)(2003년 08월)
     1. 1.0 ℓ d이상
     2. 1.3 ℓ d이상
     3. 1.5 ℓ d이상
     4. 1.7 ℓ d이상

     정답 : []
     정답률 : 48%

80. 직사각형 보에서 전단철근이 부담해야 할 전단력 Vs가 30tonf일 때 전단철근의 간격 s는 최대 얼마 이하라야 하는가? (단, 수직스터럽의 단면적 Av=7.0cm2, bw=35cm, d=60cm, fck=210kgf/cm2, fy=4,000kgf/cm2이다.)(2003년 03월)
     1. 25cm
     2. 30cm
     3. 35cm
     4. 40cm

     정답 : []
     정답률 : 29%

5과목 : 토질 및 기초


81. 흙의 활성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점토의 활성도가 클수록 물을 많이 흡수하여 팽창이 많이 일어난다.
     2. 활성도는 2μm 이하의 점토함유율에 대한 액성지수의 비로 정의된다.
     3. 활성도는 점토광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활성도로부터 점토를 구성하는 점토광물을 추정할 수 있다.
     4. 흙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비표면적이 커져 물을 많이 흡수하므로, 흙의 활성은 점토에서 뚜렷이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액성지수의 비가 아닌 소성지수
[해설작성자 : 3일뒤 시험]

82. 점토층으로부터 흙시료를 채취하여 압밀시험을 한 결과 하중강도가 3.0kg/cm2로부터 4.6kg/cm2로 증가했을 때 간극비는 2.7로부터 1.9로 감소하였다. 압축계수(av)는 얼마인가?(2005년 09월)
     1. 0.5(cm2/kg)
     2. 0.6(cm2/kg)
     3. 0.7(cm2/kg)
     4. 0.8(cm2/kg)

     정답 : []
     정답률 : 15%

83. 유선망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각 유로의 침투유량은 같다.
     2. 유선과 등수두선은 서로 직교한다.
     3. 인접한 유선 사이의 수두 감소량(head loss)은 동일하다.
     4. 침투속도 및 동수경사는 유선망의 폭에 반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인접하더라도 다른 유선끼리는 다른 수두 감소량을 가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4. 테르쟈기(Terzaghi)의 얕은 기초에 대한 지지력공식 qu=acNc+βr1BNr+r2DfNq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계수 α,β를 형상계수라 하며 기초의 모양에 따라 결정한다.
     2. 기초의 깊이 Df가 클수록 극한지지력도 이와 더불어 커진다고 볼 수 있다.
     3. Nc, Nr, Nq는 지지력계수라 하는데 내부마찰각과 점착력에 의해서 정해진다.
     4. r1, r2는 흙의 단위 중량이며 지하수위 아래에서는 수중단위 중량을 써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지지력계수라 하고, 흙의 내부 마찰각에 의해 결정된다
[해설작성자 : 필기2수]

85. 흙의 다짐에 있어 램머의 중량이 2.5kg, 낙하고 30cm, 3층으로 각층 다짐횟수가 25회 일 때 다짐에너지는? (단, 몰드의 체적은 1000cm3이다.)(2016년 05월)
     1. 5.63kg·cm/cm3
     2. 5.96kg·cm/cm3
     3. 10.45kg·cm/cm3
     4. 0.66kg·cm/cm3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다짐에너지는 다 곱하기~~!
2.5 x 30 x 3 x 25 = 5625

원래 식은 체적으로 나눠주면 되는데 외우기 귀찮으니까용ㅎㅎ
이 문제는 2005년    2007년 2016년 모두 답과 문제 변하지 않고 그대로 나와요
[해설작성자 : 주희]

86. 다음중 지하연속벽 공법이 아닌 것은?(2005년 03월)
     1. Soletanche 공법
     2. PIP 공법
     3. ICOS 공법
     4. GOW 공법

     정답 : []
     정답률 : 24%

87. 유선망을 작성하여 침투수량을 결정할 때 유선망의 정밀도가 침투수량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이유는?(2005년 05월)
     1. 유선망은 유로의 수와 등수두면의 수의 비에 좌우되기 때문이다.
     2. 유선망은 등수두선의 수에 좌우되기 때문이다.
     3. 유선망은 유선의 수에 좌우되기 때문이다.
     4. 유선망은 투수계수 K에 좌우되기 때문이다.

     정답 : []
     정답률 : 41%

88. 토립자가 둥글고 입도분포가 나쁜 모래지반에서 표준관입시험을 한 결과 N치는 10이었다. 이 모래의 내부 마찰각을 Dunham의 공식으로 구하면?(2014년 05월)
     1. 21°
     2. 26°
     3. 31°
     4. 36°

     정답 : []
     정답률 : 67%

89. 4m×4m 크기인 정사각형 기초를 내부마찰각 Φ=20˚ 점착력 c=3t/m2인 지반에 설치하였다. 흙의 단위중량®=1.9t/m2이고 안전율을 3으로 할 때 기초의 허용하중을 Terzaghi 지지력공식으로 구하면? (단, 기초의 깊이는 1m이고, 전반전단파괴가 발생한다고 가정하며, Nc=17.69, Nq=7.44, Nr=4.97이다.)(2013년 03월)
     1. 478t
     2. 524t
     3. 567t
     4. 621t

     정답 : []
     정답률 : 56%

90. 연약 점토지반 개량공법으로서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샌드드레인 공법
     2. 프리로딩 공법
     3. 바이브로 플로테이션 공법
     4. 생석회 말뚝 공법

     정답 : []
     정답률 : 58%

91. 토립자가 둥글고 입도분포가 나쁜 모래 지반에서 표준관입시험을 한 결과 N치는 10이었다. 이 모래의 내부 마찰각을 Dunham의 공식으로 구하면?(2019년 04월)
     1. 21°
     2. 26°
     3. 31°
     4. 36°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내부 마찰각[內部摩擦角]
흙의 전단 강도를 나타내는 상수로서 수직 응력과 전단 응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형의 경사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ϕ=√(12N)+15 입자가 둥글고 입도분포가 나쁜 흙 (균질)            
ϕ=√(12N)+20 입자가 둥글고 입도분포가 좋은 흙 (불균질)    
ϕ=√(12N)+20입자가 모나고 입도분포가 나쁜 흙 (균질)            
ϕ=√(12N) +25 입자가 모나고 입도분포가 좋은 흙 (불균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2. 토압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일반적으로 정지토압 계수는 주동토압 계수보다 작다.
     2. Rankine 이론에 의한 주동토압의 크기는 Coulomb 이론에 의한 값보다 작다.
     3. 옹벽, 흙막이벽체, 널말뚝 중 토압분포가 삼각형 분포에 가장 가까운 것은 옹벽이다.
     4. 극한 주동상태는 수동상태보다 훨씬 더 큰 변위에서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47%

93. 그림과 같은 점성토 지반의 토질시험결과 내부마찰각 φ = 30°, 점착력 c=1.5t/m2일 때 A점의 전단강도는?(2011년 03월)

    

     1. 5.31t/m2
     2. 5.95t/m2
     3. 6.38t/m2
     4. 7.04t/m2

     정답 : []
     정답률 : 62%

94. 어떤 흙의 체분석 시험결과가 #4체 통과율이 37.5%, #200체 통과율이 2.3% 였으며, 균등계수는 7.9, 곡률계수는 1.4 이었다. 통일분류법에 따라 이 흙을 분류하면?(2010년 03월)
     1. GW
     2. GP
     3. SW
     4. SP

     정답 : []
     정답률 : 39%

95. 그림과 같이 3개의 지층으로 이루어진 지반에서 토층에 수직한 방향의 평균 투수계수(kv)는?(2022년 03월)

    

     1. 2.516×10-6 cm/s
     2. 1.274×10-5 cm/s
     3. 1.393×10-4 cm/s
     4. 2.0×10-2 cm/s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H/{(H1/K1)+(H2/K2)+(H3/K3)}=KV
[해설작성자 : 성윤모]

96. 높이 15cm, 지름 10cm인 모래시료에 정수위 투수 시험한 결과 정수두 30cm로 하여 10초간의 유출량이 60.8cm3였다. 이 시료의 투수계수는?(2007년 03월)
     1. 8×10-2㎝/sec
     2. 8×10-3㎝/sec
     3. 4×10-2㎝/sec
     4. 4×10-3㎝/sec

     정답 : []
     정답률 : 37%

97. 투수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만 구성된 것은?(2011년 03월)

    

     1. ①, ②, ④, ⑥
     2. ①, ②, ③, ⑤, ⑥
     3. ①, ②, ④, ⑤, ⑦
     4. ②, ③, ⑤, ⑦

     정답 : []
     정답률 : 66%

98. 어떤 콘크리트 댐 하부의 투수층에서 그림과 같은 유선망도가 그려졌다고 할 때 침투유량 Q는? (단, 투수층의 투수계수 k=2.0×10-2cm/sec이다.)(2006년 09월)

    

     1. 6cm3/sec/sm
     2. 10cm3/sec/sm
     3. 15cm3/sec/sm
     4. 18cm3/sec/sm

     정답 : []
     정답률 : 38%

99. 내부 마찰각 30° , 점착력 1.5t/m2 그리고 단위중량이 1.7t/m3인 흙에 있어서 인장균열(tension crack)이 일어나는 깊이는?(2004년 05월)
     1. 2.2m
     2. 2.7m
     3. 3.1m
     4. 3.5m

     정답 : []
     정답률 : 47%

100. 현장흙의 단위무게 시험 중 모래치환법에서 모래는 무엇을 구하려고 이용하는가?(2004년 09월)
     1. 시험구멍에서 파낸 흙의 중량
     2. 시험구멍의 체적
     3. 흙의 함수비
     4. 지반의 지지력

     정답 : []
     정답률 : 42%

101. 다음 하수관로 계획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03월)
     1. 단면형상은 수리학적으로 유리하며 경제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2. 관거부대설비의 견지에서 보면 합류식이 분류식보다 유리하다.
     3. 유속은 하류부가 상류부보다 느린 것이 좋다.
     4. 경사는 하류로 갈수록 완만하게 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52%

102. 수원으로부터 취수된 상수가 소비자까지 전달되는 일반적 상수도의 구성순서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도수-송수-정수-배수-급수
     2. 송수-정수-도수-급수-배수
     3. 도수-정수-송수-배수-급수
     4. 송수-정수-도수-배수-급수

     정답 : []
     정답률 : 75%

103. 활성슬러지법에서 MLSS가 의미하는 것은?(2019년 08월)
     1. 폐수 중의 부유물질
     2. 방류수 중의 부유물질
     3. 포기조 내의 부유물질
     4. 반송슬러지의 부유물질

     정답 : []
     정답률 : 59%

104. 질소, 인 제거와 같은 고도처리를 도입하는 이유로 틀린 것은?(2014년 09월)
     1. 폐쇄성 수역의 부영양화 방지
     2. 슬러지 발생량 저감
     3. 처리수의 재이용
     4. 수질환경기준 만족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폐쇄성 수역의 부영양화 방지
방류수역의 수질환경기준의 달성
처리수의 재이용
방류수역의 이용도 향상
[해설작성자 : TIWSY]

105. 하수 맨홀내에 존재할 수 있는 가스 중에서 콘크리트 흄관의 관정 부식에 주된 원인이 되는 것은?(2005년 03월)
     1. 탄산가스
     2. 메탄가스
     3. 질소
     4. 황화수소

     정답 : []
     정답률 : 37%

106. 펌프의 공동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흡입양정의 표준으로 옳은 것은?(2003년 03월)
     1. -11m 까지
     2. -9m 까지
     3. -7m 까지
     4. -5m 까지

     정답 : []
     정답률 : 17%

107. 유입수량 100m3/min, 침전지용량 4,000m3, 폭20m, 길이 50m, 수심 4m인 경우의 수면적 부하는?(2011년 03월)
     1. 720m3/m2 ㆍ day
     2. 144m3/m2 ㆍ day
     3. 1,800m3/m2 ㆍ day
     4. 6m3/m2 ㆍ day

     정답 : []
     정답률 : 64%

108. 우수 조정지의 구조형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8월)
     1. 댐식(제방높이 15m 미만)
     2. 월류식
     3. 지하식
     4. 굴착식

     정답 : []
     정답률 : 53%

109. 유량이 100000m3/d이고 BOD가 2mg/L인 하천으로 유량 1000m3/d, BOD 100mg/L인 하수가 유입된다. 하수가 유입된 후 혼합된 BOD의 농도는?(2021년 03월)
     1. 1.97mg/L
     2. 2.97mg/L
     3. 3.97mg/L
     4. 4.97mg/L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Cm=(C1Q1+C2Q2)/(Q1+Q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0. 상수도 계획에서 계획 년차 결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장비 및 시설물의 내구년한
     2. 시설확장 시 난이도와 위치
     3. 도시발전 상황과 물사용량
     4. 도시급수지역의 전염병 발생상황

     정답 : []
     정답률 : 66%

111. 슬러지 팽화(bulking)의 원인으로서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5월)
     1. 영양물질의 불균형
     2. 유기물의 과도한 부하
     3. 용존산소량 불량
     4. 과도한 질산화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슬러지 팽화의 원인    
1. 영양물질의 불균형
2. 유기물의 과도한 부하
3. 용존산소량 불량
[해설작성자 : 馬力]

112. 하수 배제방식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분류식은 합류식에 비해 우천시 월류의 위험이 크다.
     2. 합류식은 분류식(2계통 건설)에 비해 건설비가 저렴하고 시공이 용이하다.
     3. 합류식은 단면적이 크기 때문에 검사, 수리 등 에 유리하다.
     4. 분류식은 강우 초기에 노면의 오염물질이 포함된 세정수가 직접 하천 등으로 유입된다.

     정답 : []
     정답률 : 65%

113. pH가 5.6에서 4.3으로 변화할 때 수소이온 농도는 약 몇 배가 되는가?(2022년 04월)
     1. 약 13배
     2. 약 15배
     3. 약 17배
     4. 약 20배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PH농도=-log(수소이온 농도)이므로
5.6-4.3=-1.3=log(x)를 풀면 X=19.952…이다.
[해설작성자 : 토목조무사]

114. 현재의 인구가 100,000명인 발전 가능성 있는 도시의장래 급수량을 추정하기 위해 인구증가 현황을 조사하니 연평균 인구증가율이 5%로 일정하였다. 이 도시의 20년후 추정인구는? (단, 등비급수 방법을 사용함.)(2004년 09월)
     1. 35850명
     2. 116440명
     3. 200000명
     4. 265330명

     정답 : []
     정답률 : 37%

115. 하수도 시설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전처리(primary treatment)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폐수는?(2003년 05월)
     1. 대형 부유물질만을 함유하는 폐수
     2. 아주 미세한 부유물질만을 함유하는 폐수
     3. 침전성 물질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폐수
     4. 산성 또는 알카리성이 강한 폐수

     정답 : []
     정답률 : 62%

116. 도수관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5월)
     1. 관경의 산정에 있어서 시점의 고수위, 종점의 저수위를 기준으로 동수경사를 구한다.
     2. 자연유하식 도수관거의 평균유속의 최소한도는 0.3m/s로 한다.
     3. 자연유하식 도수관거의 평균유속의 최대한도는 3.0m/s로 한다.
     4. 도수관거 동수경사의 통상적인 범위는 1/1000~1/3000이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관경의 산정에 있어서 시점의 저수위, 종점의 고수위를 기준으로 동수경사를 구한다.
[해설작성자 : 잠자는 푸우]

117. 공동현상(Cavitation) 방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5월)
     1. 펌프의 회전수를 높인다.
     2. 흡입관의 손실을 가능한 한 작게 한다.
     3. 펌프의 설치위치를 가능한 한 낮추도록 한다.
     4. 흡입측 밸브를 완전히 개방하고 펌프를 운전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118. 펌프의 토출량이 0.94m3/min이고, 흡입구의 유속이 2m/s라 가정할 때 펌프의 흡입구경은?(2017년 09월)
     1. 100mm
     2. 200mm
     3. 250mm
     4. 300mm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펌프의 흡입구경
D = 146√Q/v = 146√0.94/2 = 100
D:펌프의 흡입구경 (mm)
Q:펌프의 토출유량 (m3/min)
v:흡입구의 유속 (m/sec)
[해설작성자 : 진성]

119. 상수도 시설 중 접합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상부를 개방하지 않은 수로시설
     2. 복류수를 취수하기 위해 매설한 유공관로 시설
     3. 배수지 등의 유입수의 수위조절과 양수를 위한 시설
     4. 관로의 도중에 설치하여 주로 관로의 수압을 조절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시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접합정: 물 공급원에서 공급한 원수나 정수 처리 한 물을 자연 유하식으로 이송하는 배관일 경우, 두 개 이상의 공급 관로에서 보내온 물을 한 관로로 보내고자 할 때 관로가 만나는 지점에 설치하는 시설. 공급 관로를 수평, 수직의 급격한 경사면에 설치해야 하는 경우에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0. 인구 15만의 도시에 급수계획을 하려고 한다. 계획1인1일최대급수량이 400L/인∙ay이고, 보급률이 95%라면 계획1일최대급수량은?(2016년 10월)
     1. 57000m3/day
     2. 59000m3/day
     3. 61000m3/day
     4. 63000m3/day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50,000 人 × 0.4m3/人·day × 0.95 = 57,000m3/day
[해설작성자 : ㅇㅇ]

15X400X95
[해설작성자 : 주희]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4일)(6964885)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목기사, 토목, 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2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 03월 04일(업데이트)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4 1
421 9급 국가직 공무원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 04월 06일(업데이트)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4 1
420 9급 국가직 공무원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 04월 07일(업데이트)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4 1
419 9급 국가직 공무원 교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 04월 08일(업데이트)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4 1
418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3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4 2
417 <h2>미용사(피부) 필기 시험문제 및 CBT 2009년01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4 2
416 9급 국가직 공무원 사회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4일)(1149538) 좋은아빠되기 2025.11.04 2
415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4일)(3363735) 좋은아빠되기 2025.11.04 2
414 경찰공무원(순경) 경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4일)(9928951) 좋은아빠되기 2025.11.04 2
413 경영지도사 1차 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4일)(6305028) 좋은아빠되기 2025.11.04 2
412 배관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4일)(1846622) 좋은아빠되기 2025.11.04 2
» 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4일)(6964885) 좋은아빠되기 2025.11.04 2
410 전기철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8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4 2
409 수질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8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4 2
408 TAT 2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11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4 2
407 사회복지사 1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1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4 2
406 9급 지방직 공무원 안전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12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4 2
405 플라스틱창호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7월15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4 2
404 9급 국가직 공무원 교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 04월 02일(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1.04 3
403 9급 국가직 공무원 교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 04월 17일(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1.04 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