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639087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용접일반


1. 납땜시 강한 접합을 위한 틈새는 어느 정도가 가장 적당한가?(2014년 07월)
     가. 0.02 ~ 0.10 mm
     나. 0.20 ~ 0.30 mm
     다. 0.30 ~ 0.40 mm
     라. 0.40 ~ 0.50 mm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가장 강하게 접합하려면 가장 간격이 짧아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전북기공 폴리메카닉스과]

2. 15℃. 1kgf/ccm2 하에서 사용 전 용해아세틸렌 병의 무게가 50kgf 이고, 사용후 무게가 47kgf 일 때 사용한 아세틸렌의 양은 몇 L 인가?(2012년 10월)
     가. 2915
     나. 2815
     다. 3815
     라. 2715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아세틸렌 사용량 계산법입니다.
사용전 중량 - 사용후 중량 X 910 - 기압
즉, 50kgf - 47kgf X 910 - 15 = 2715가 나오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신교대 윤하사]

C=905(병전체무게-빈병무게)L
C=905(50-47)L
=905×3=2715
[해설작성자 : 거창공고 나루행]

3.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서 누설방지 비드를 배치하는 이유로 맞는 것은?(2011년 02월)
     가. 용접 공정수를 줄이기 위하여
     나. 크랙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 용접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라. 용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62%

4. 다음 중 용접 결함의 보수 용접에 관한 사항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가. 재료의 표면에 얕은 결함은 덧붙임 용접으로 보수한다.
     나. 언더컷이나 오버랩 등은 그대로 보수 용접을 하거나 정으로 따내기 작업을 한다.
     다. 결함이 제거된 모재 두께가 필요한 치수보다 얕게 되었을 때에는 덧붙임 용접으로 보수한다.
     라. 덧붙임 용접으로 보수할 수 있는 한도를 초과할 때에는 결함부분을 잘라내어 맞대기 용접으로 보수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얕은 결함이라도 홈을판후 재용접한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깝치기왕 정권호]

재료의 표면에 있는 얇은 결함은 스카핑으로 결함을 제거 한 뒤    재용접해 주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경남 통]

5. 산업용 로봇 중 직각 좌표계 로봇의 장점에 속하는 것은?(2015년 01월)
     가. 오프라인 프로그래밍이 용이하다.
     나. 로봇 주위에 접근이 가능하다.
     다. 1개의 선형축과 2개의 회전축으로 이루어졌다.
     라. 작은 설치공간에 큰 작업영역이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직각좌표계 로봇은 X, Y, Z로 표시되는 직각 좌포계에서 각 좌표축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직동관절로 이루어진 산업용 로봇으로 오프라인 프로그래밍이 용이하고 구조가 간다하여 좌표계산이 쉬운 장점이 있다
[해설작성자 : 서산공고 ]

6. 주철 용접 시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2015년 10월)
     가. 용접 전류는 약간 높게 하고 운봉하여, 곡선비드 배치하며 용입을 깊게 한다.
     나. 가스 용접 시 중성불꽃 또는 산화불꽃을 사용하고 용제는 사용하지 않는다.
     다. 냉각되어 있을 때 피닝작업을 하여 변형을 줄이는 것이 좋다.
     라. 용접봉의 지름은 가는 것을 사용하고, 비드의 배치는 짧게 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주철용접시 주의사항

1. 용접전류는 필요 이상 높이지말고, 직선비드를 사용, 깊지않게 용입한다
2. 가스 용접 시 중성불꽃 및 탄화불꽃을 사용하며, 플럭스를 충분히 사용한다
3. 피닝작업은 용접직후 신속하게 한다
[해설작성자 : 1sik]

7. 가스 절단에 따른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2013년 01월)
     가. 적당한 지그를 사용하여 절단재의 이동을 구속한다.
     나. 절단에 의하여 변형되기 쉬운 부분을 최후까지 남겨놓고 냉각하면서 절단한다.
     다. 여러 개의 토치를 이용하여 평행 절단한다.
     라. 가스 절단 직후 절단물 전체를 650℃로 가열한 후 즉시 수냉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8. 용접결함의 종류 중 치수상의 결함에 속하는 것은?(2013년 07월)
     가. 선상조직
     나. 변형
     다. 기공
     라. 슬래그 잠입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나머지는 구조상 결함
[해설작성자 : 박용접]

9. 다음 중 홈 가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2012년 02월)
     가. 능률적인 면에서 용입이 허용되는 한 홈 각도는 작게 하고 용착 금속량도 적게 하는 것이 좋다.
     나. 용접균열이라는 관점에서 루트 간격은 클수록 좋다.
     다. 자동용접의 홈 정도는 손 용접 보다 정밀한 가공이 필요하다.
     라. 홈 가공의 정밀도는 용접능률과 이음의 성능에 큰 영향을 끼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용접 균열은 루트 간격이 적을수록 좋다
[해설작성자 : 동근이멍청이]

3.자동용접의 홈 정도는 손 용접보다 정밀한 가공이 필요하다.

10. 주성분이 은, 구리, 아연의 합금인 경납으로 인장강도, 전연성 등의 성질이 우수하여 구리, 구리합금, 철강, 스테인리스강 등에 사용되는 납재는?(2014년 04월)
     가. 양은납
     나. 알루미늄납
     다. 은납
     라. 내열납

     정답 : []
     정답률 : 64%

11. 한 부분의 몇 층을 용접하다가 이것을 다음 부분의 층으로 연속시켜 전체 모양이 계단 형태를 이루는 용착법은?(2016년 04월)
     가. 스킵법
     나. 덧살 올림법
     다. 전진 블록법
     라. 캐스케이드법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캐스케이드법 [-法, cascade process]
- 일련의 프로세스를 여러 단계로 나누어 각각의 장치에 의해 순차적으로 행하게 하는 조작법.
- 이것과 닮은 것으로는 다단법(英 multi-stage process)이 있다.
- 다단법은 어느 단수(段數)로 이루어지는 연속 조작(⇀ 회분 조작)을 그 단수에 따라서 몇 개의 장치로 나눈 것으로,
- 전체를 살펴보면 완전한 연속 조작이 되어 개개의 장치는 독립할 수 없는 것인데,
- 캐스케이드법에서는 하나하나가 독립된 프로세스를 행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Mokdor]

용접 다층 쌓기 용착법 종류

① 빌드업법(덧살올림법)
각 층마다 전체의 길이를 용접하면서 다층용접을 한다. 비능률적.
한랭 시, 구속이 클 때, 판 두께가 두꺼울 때는 첫번째 층에 균열이 생길 위험이 있다.

② 캐스케이드법
한 부분의 몇 층을 용접하다가,이것을 다른 부분의 층으로 연속시켜 전체가 계단 형태의 단계를 이루도록 용착시킨다.

③ 전진블록법
한 개의 용접봉으로 살을 붙일만한 길이로 구분해서 홈을 한 부분씩 여러 층으로 쌓아 올린 다음 다른 부분으로 진행한다.
[해설작성자 : 해군 박선생]

12. 용접결함 중 내부에 생기는 결함은?(2014년 07월)
     가. 언더컷
     나. 오버랩
     다. 크레이터 균열
     라. 기공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기공은 용접부 내부에 생기는 불량이다.
[해설작성자 : 기능장 아들]

기공은 용접 분위기 가운데 수소 또는 일산화 탄소의 과잉 모재 가운데 유황 함유량 과대, 아크 길이, 전류 조작의 부적당, 용접 속도가 빠를때 발생하는 내부 결함이다
[해설작성자 : 용공]

13. 용착금속의 극한 강도가 30kgf/mm2 안전율이 6이면 허용 응력은?(2014년 10월)
     가. 3kgf/mm2
     나. 4kgf/mm2
     다. 5kgf/mm2
     라. 6kgf/mm2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안전율 = 극한응력/허용응력
허용응력 = 극한강도/안전률

30/6=5
[해설작성자 : 전북기계공업고등학교(마이스터고) 산업플랜트과 이성민 선생님]

14. 다음 중 전기설비화재에 적용이 불가능한 소화기는?(2012년 07월)
     가. 포말소화기
     나. 이산화탄소소화기
     다. 무상강화액소화기
     라. 할로겐화합물소화기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포말 소화기는 물과 같은 성질이기 때문에 전기화재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15. 모재 및 용접부에 대한 연성과 결함의 유무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시험법은?(2010년 03월)
     가. 경도시험
     나. 피로시험
     다. 굽힘시험
     라. 충격시험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경도시험은 연성과 전성을 시험한다
[해설작성자 : 창원기공 황혼의 기능생]

16. 용접부의 시험법 중 기계적 시험법이 아닌 것은?(2011년 02월)
     가. 굽힘 시험
     나. 경도 시험
     다. 인장 시험
     라. 부식 시험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부식시험은 화학적시험이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원톱 이승민 ]

17. 점용접의 3대 요소가 아닌 것은?(2011년 07월)
     가. 전극모양
     나. 통전시간
     다. 가압력
     라. 전류세기

     정답 : []
     정답률 : 72%

18. 맞대기이음에서 판 두께 100mm, 용접 길이 300㎝, 인장하중이 9000kgf일 때 인장응력은 몇 kgf/cm2인가?(2015년 04월)
     가. 0.3
     나. 3
     다. 30
     라. 300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응력은 하중/단면적이다
여기서 단면적은 100mm는 10cm이므로 300(cm)*10(cm)=3000cm^2이고 하중은 9000이니
9000/3000=3
[해설작성자 : 용접해설좀]

19. 양은의 주요 성분 원소로 옳은 것은?(2009년 07월)
     가. Cu-Zn-Ni
     나. Cu-Zn-Fe
     다. Cu-Sn-Zn
     라. Cu-Sn-Pb

     정답 : []
     정답률 : 51%

20. 수냉 동판을 용접부의 양면에 부착하고 용융된 슬래그 속에서 전극와이어를 연속적으로 송급하여 용융슬래그 내를 흐르는 저항 열에 의하여 전극와이어 및 모재를 용융 접합시키는 용접법은?(2010년 03월)
     가. 초음파 용접
     나. 플라즈마 제트 용접
     다. 일렉트로 가스 용접
     라.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정답 : []
     정답률 : 76%

21. 금속의 공통적 특성이 아닌 것은?(2009년 07월)
     가. 상온에서 고체이며 결정체이다.(단, Hg은 제외)
     나. 열과 전기의 양도체이다.
     다. 비중이 크고 금속적 광택을 갖는다.
     라. 소성변형이 없어 가공하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소성 변형 (塑性變形) : 외부의 힘이 작용하여 변형된 고체가 그 힘을 없애도 본디 상태로 되돌아가지 아니하는 변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질량의 대소에 따라 담금질 효과가 다른 현상을 질량효과 라고 한다. 탄소강에 니켈, 크롬, 망간 등을 첨가하면 질량효과는 어떻게 변하는가?(2009년 07월)
     가. 질량효과가 커진다.
     나. 질량효과가 작아진다.
     다. 질량효과는 변하지 않는다.
     라. 질량효과가 작아지다가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52%

23. 교류아크 용접기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3년 04월)
     가. 가동 코일형
     나. 가동 철심형
     다. 전동기 구동형
     라. 탭 전환형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교류아크 용접기 종류

가동 철심형
가동 철심형
탭 전환형
가포화 리액터형
[해설작성자 : 1Sik]

24. 교류 아크 용접기 종류 중 AW-500의 정격 부하 전압은 몇 V인가?(2014년 10월)
     가. 28V
     나. 32V
     다. 36V
     라. 40V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AW-200 : 30V 이하,
AW-300 : 35V 이하,
AW-400 : 40V 이하로 되어 있음
[해설작성자 : 전북기계공업고등학교(마이스터고) 산업플랜트과 이성민 선생님]

25. 연강용 가스 용접봉의 용착금속의 기계적 성질 중 시험편의 처리에서 "용접한 그대로 응력을 제거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기호는?(2014년 07월)
     가. NSR
     나. SR
     다. GA
     라. GB

     정답 : []
     정답률 : 74%

26. 가스용접에서 탄화불꽃의 설명과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2013년 04월)
     가. 속불꽃과 겉불꽃 사이에 밝은 백색의 제 3불꽃이 있다.
     나. 산화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다. 아세틸렌 과잉불꽃이다.
     라. 표준불꽃이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표준불꽃은 중성불꽃에 해당함.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마도현]

27. 가스용접 작업 시 일반적으로 용제(flux)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2009년 07월)
     가. 주철
     나. 알루미늄
     다. 연강
     라. 구리합금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연강: 일반적으로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공부하는놈]

28. 가스 절단 작업시의 표준 드래그 길이는 일반적으로 모재 두께의 몇 % 정도인가?(2013년 04월)
     가. 5
     나. 10
     다. 20
     라. 30

     정답 : []
     정답률 : 69%

29. 다음 중 가스용접에 사용되는 아세틸렌가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7월)
     가. 206℃ ~ 208℃ 정도가 되면 자연발화 한다.
     나. 아세틸렌가스 15%, 산소 85% 부근에서 위험하다.
     다. 구리, 은 등과 접촉하면 250℃ 부근에서 폭발성을 갖는다.
     라. 아세틸린가스는 물에 대해 같은 양으로 알콜에 2배정도 용해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2.아세틸렌가스15%,산소85% 부근에서 위험하다.

30. 다음 중 두께 20mm인 강판을 가스 절단하였을 때 드래그(drag)의 길이가 5mm 이었다면 드래그 양은 몇 % 인가?(2012년 02월)
     가. 4.0%
     나. 20%
     다. 25%
     라. 100%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5mm/20mm = 25/100
간단한 계산식입니다.
[해설작성자 : 수도공고 홍명헌]

31. 사용률이 60%인 교류 아크 용접기를 사용하여 정격전류로 6분 용접하였다면 휴식시간은 얼마인가?(2016년 04월)
     가. 2분
     나. 3분
     다. 4분
     라. 5분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사용률 = 아크발생시간/아크발생시간+휴식(정지)시간 x 1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사용률 = 아크발생시간/아크발생시간+휴식(정지)시간 x 100
60% = 6분/6분+?(정답) * 100 이므로
정답에 들어갈 정지시간(휴식시간)은 4분이다.
[해설작성자 : 해사고 학생입니당]

문제 풀이 간단 정리
1. 사용률 공식:
사용률(%) = 용접 시간 ÷ (용접 시간 + 휴식 시간) × 100
2. 주어진 값:
• 사용률 = 60%
• 용접 시간 = 6분
3. 휴식 시간 계산:
• 60% = 6 ÷ (6 + 휴식 시간) × 100
• 0.6 = 6 ÷ (6 + 휴식 시간)
• 6 + 휴식 시간 = 6 ÷ 0.6 = 10
• 휴식 시간 = 10 - 6 = 4분
[해설작성자 : 그래 열심히 공부해라]

32. 다음 중 두꺼운 강판, 주철, 강괴 등의 절단에 이용되는 절단법은?(2016년 01월)
     가. 산소창 절단
     나. 수중절단
     다. 분말 절단
     라. 포갬 절단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토치의 팁 대용으로 산소창이라는 가늘고, 긴 강관을 사용해서 절단용 산소를 큰 강괴의 심부에 송출시켜, 창 자체가 연소되면서 절단이 되는 방법이다. 아세틸렌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강소 등의 용강 래이들의 밑바닥에 남아 있는 강괴의 절단이나 강괴의 탕구절단에 사용되는것이 산소창 절단이다.
[해설작성자 : 홍성공고 2119]

33. 재료의 접합방법은 기계적 접합과 야금적 접합으로 분류하는데 야금적 접합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1년 02월)
     가. 리벳
     나. 융접
     다. 압접
     라. 납땜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리벳은 기계적 접합이다
[해설작성자 : 킴영광]

34. 35℃에서 150kgf/cm2으로 압축하여 내부용적 45.7리터의 산소 용기에 충전하였을 때, 용기속의 산소량은 몇 리터 인가?(2014년 07월)
     가. 6855
     나. 5250
     다. 6150
     라. 7005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50x45.7

35. 침몰선의 해체나 교량의 개조 시 사용되는 수중 절단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료 가스는?(2011년 04월)
     가. 아세톤
     나. 에틸렌
     다. 수소
     라. 질소

     정답 : []
     정답률 : 80%

2과목 : 용접재료


36. 교류피복 아크 용접기에서 아크발생 초기에 용접전류를 강하게 흘려보내는 장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4년 07월)
     가. 원격 제어장치
     나. 핫 스타트 장치
     다. 전격 방지기
     라. 고주파 발생장치

     정답 : []
     정답률 : 84%

37. 가스 용접에서 용제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가. 재료표면의 산화물을 제거한다.
     나. 용융금속의 산화ㆍ질화를 감소하게 한다.
     다. 청정작용으로 용착을 돕는다.
     라. 용접봉 심선의 유해성분을 제거한다.

     정답 : []
     정답률 : 45%

38. 부탄가스의 화학 기호로 맞는 것은?(2014년 07월)
     가. C4H10
     나. C3H8
     다. C5H12
     라. C2H6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c3h8는 프로판입니다
c5h12는 펜탄(펜테인)입니다
c2h6는 에테인입니다
[해설작성자 : 나짱짱맨]

39. 텅스텐 전극과 모재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알루미늄, 마그네슘, 구리 및 구리합금, 스테인리스강 등의 절단에 사용되는 것은?(2013년 01월)
     가. TIG 절단
     나. MIG 절단
     다. 탄소 절단
     라. 산소 아크 절단

     정답 : []
     정답률 : 65%

40. 다음 중 물리적 표면경화법에 속하는 것은?(2012년 07월)
     가. 고주파 경화법
     나. 가스 침탄법
     다. 질화법
     라. 고체 침탄법

     정답 : []
     정답률 : 39%

41. 다음 중 베어링강의 구비조건으로 옳은 것은?(2012년 10월)
     가. 높은 탄성한도와 피로한도
     나. 낮은 탄성한도와 피로한도
     다. 높은 취성파괴와 연성파괴
     라. 낮은 내마모성과 내압성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베어링강은 베어링 특성상 고회전, 다회전을 필요로 하기때문에 높은 탄성한도와 피로한도가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고휴지]

42. 다음 중 강의 표면경화법에 있어 침탄법과 질화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10월)
     가. 침탄법은 경도가 질화법보다 높다.
     나. 질화법은 질화처리 후 열처리가 필요 없다.
     다. 침탄법은 고온가열시 뜨임되고, 경도는 낮아진다.
     라. 질화법은 침탄법에 비하여 경화에 의한 변형이 적다.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침탄법
1. 경도가 질화법보다 낮다.
2. 침탄 후의 열처리가 필요하다.
3. 침탄 후 수정 가능.
4. 고온으로 가열되면 뜨임이되고, 경도가 낮아진다.
5. 경화에 의한 변형이 생긴다.
6. 처리시간이 짧고, 처리비용이 싸다.

질화법
1. 경도가 침탄법보다 높다.
2. 질화 후 열처리가 필요없다.
3. 질화 후 수정 불가능.
4. 고온으로 가열되어도 경도 변화없다.
5. 경화에 의한 변형이 없다.
6. 처리시간이 길고, 처리비용이 비싸다.
[해설작성자 : 고휴지]

43. 온도의 상승에도 강도를 잃지 않는 재료로서 복잡한 모양의 성형가공도 용이하므로 항공기, 미사일 등의 기계부품으로 사용되어지는 PH형 스테인리스강은?(2011년 02월)
     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나.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라. 석출 경화형 스테인리스강

     정답 : []
     정답률 : 34%

44. 피복 아크 용접에서 용접성이 가장 우수한 용접 재료로 적당한 것은?(2011년 04월)
     가. 주철
     나. 저탄소강
     다. 고탄소강
     라. 니켈강

     정답 : []
     정답률 : 46%

45. 열과 전기의 전도율이 가장 좋은 금속은?(2015년 10월)
     가. Cu
     나. Al
     다. Ag
     라. Au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전기 전도율이 가장 좋은것은 Ag(은)이다.
Cu(구리)는 Ag(은) 다음으로 전기 전도율이 좋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마도현]

열전도 순서는     은 - 구리 - 금 - 알루미늄
[해설작성자 : jooswoo]

46. 구상흑연주철은 주조성, 가공성 및 내마멸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구상흑연주철 제조 시 구상화제로 첨가되는 원소로 옳은 것은?(2016년 04월)
     가. P, S
     나. O, N
     다. Pb, Zn
     라. Mg, Ca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구상 흑연 주철: 용융상태의 주철에 Mg(마그네슘), Ce(세륨), Ca(칼슘) 등을 첨가 편상으로 존재하는 흑연을 구상화 처리한 주철
바탕조직이 펄라이트이다
[해설작성자 : 냥장냥장]

47. 저합금강 중에서 연강에 비하여 고장력강의 사용 목적으로 틀린 것은?(2014년 04월)
     가. 재료가 절약된다.
     나. 구조물이 무거워진다.
     다. 용접공수가 절감된다.
     라. 내식성이 향상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고장력강이란 연강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합금원소를 소량으로 첨가한 것으로 인장강도가 50kgi/em? 이상인 강을 말하는데 보통 강보다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크기 때문에 구조물의 중량을 줄일 수 있다. 최근 자동차에 이와 같은 고장력강판의 사용 비율을 늘려서 충돌 시탑승자의 안전성을 높이면서도 연비를 줄였다는 광고를 자주 접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해운대공고 08박진한]

48. 납땜에서 연납땜과 경납땜을 구분하는 기준온도는 몇 도인가?(2009년 07월)
     가. 300℃
     나. 350℃
     다. 400℃
     라. 450℃

     정답 : []
     정답률 : 62%

49. 다음 중 담금질에서 나타나는 조직으로 경도와 강도가 가장 높은 조직은?(2014년 07월)
     가. 시멘타이트
     나. 오스테나이트
     다. 소르바이트
     라. 마텐자이트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금속 조직의 강도와 경도가 높은 순서
페라이트 < 오스테나이트 < 펄라이트 < 소르바이트 < 베이나이트 < 트루스타이트 < 마텐자이트 < 시멘타이트
(페 오 펄 소 베 트 마 시)

[추가 오류 신고]
시멘타이트가 가장 강도와 경도가 높은데 답은 4번으로 되있습니다 답은 1번입니다

[추가 오류 신고]

분명 해설로는 시멘타이트가 제일 강도와 경도가 높다고 나와있는데 아무래도 문제가 있는것 같습니다
답은 1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순천공고 기계과]

[추가 오류 신고]
시멘타이트가 경도와 강도가 가장 높습니다. 바꿔주세요

[오류신고 반론]
강의 표준 조직에는 페라이트, 펄라이트, 시멘타이트가 있다.
열처리 조직에 마텐자이트, 트루스타이트, 오스테나이트, 소르바이트 등이 있어 이번 문제의 정답은 4번 마텐자이트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김해 영진직업전문학교]

[추가 오류 신고]

책에서는 시멘타이트가 가장 높고 그담에가 마텐자이트가 높다고 나와있습니다! 책이 정확하기 때문에 답은 4번이아닌 1번 시멘타이트입니다
[해설작성자 : 경기도기술학교 특수용접과]

[오류신고 반론]
위에 있는 사람들이 말하고 있는 것은 강의 표준 조직입니다. 강의 표준 조직중 가장 경도와 강도가 높은것을 찾는다면 시멘타이트가 맞겠죠. 하지만 문제에서는 담금질에서 나타나는 조직을 물어보고 있습니다. 담금질에 의해서 나오는 조직은 마텐자이트(martensite), 트루스타이트(troostite), 소르바이트(sorbite), 오스테나이트(austenite) 이렇게 4가지가 있습니다. 또한 담금질 조직의 경도순서는    A<M>T>S>P입니다. 이것을 봤을때 마텐자이트가 가장 높습니다         궁금하신분은 기계일반 (위을복저) 이 책의 P50~51, 또는 P263을 참고해주시길 바라겠습니다
[해설작성자 : 나라사랑 기계일반 사랑]

[오류신고 반론]
M(마텐자이트)>T(트루스타이트)>S(소르바이트)>P(펄라이트)>A(오스테나이트)>F(페라이트)
마텐자이트가 젤 높습니다 그러므로 답은4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용접15트]

50. 다음 가공법 중 소성가공이 아닌 것은?(2011년 07월)
     가. 선반가공
     나. 압연가공
     다. 단조가공
     라. 인발가공

     정답 : []
     정답률 : 53%

51. 그림과 같은 도면의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2013년 10월)

    

     가. 전체 길이가 660㎜이다.
     나. 드릴 가공 구멍의 지름은 20㎜이다.
     다. 드릴 가공 구멍의 수는 30개이다.
     라. 드릴 가공 구멍의 피치는 30㎜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구멍의 수는 12, 지름은 20입니다!

52. KS에서 기계제도에 관한 일반사항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10월)
     가. 치수는 참고치수, 이론적으로 정확한 치수를 기입할 수도 있다.
     나. 도형의 크기와 대상물의 크기와의 사이에는 올바른 비례 관계를 보유하도록 그린다. 다만 잘못 볼 염려가 없다고 생각되는 도면은 도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이 비례 관계는 지키지 않아도 좋다.
     다. 기능상의 요구, 호환성, 제작 기술 수준 등을 기본으로 불가결의 경우만 기하공차를 지시한다.
     라. 길이치수는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그 대상물의 측정을 3점 측정에 따라 행한 것으로 하여 지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길이치수는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그 대상물의 측정을 2점 측정에 따라 행한 것으로 하여 지시한다.
[해설작성자 : 오구기]

53. 그림과 같은 제3각 투상도에 가장 적합한 입체도는?(2013년 04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74%

54. 치수 기입법에서 지름, 반지름, 구의 지름 및 반지름, 모떼기, 두께 등을 표시할 때 사용되는 보조기호 표시가 잘못된 것은?(2012년 10월)
     가. 두께 : D6
     나. 반지름 : R3
     다. 모떼기 : C3
     라. 구의 반지름 : SR6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흔히 용접 모재를 고를때 몇T이냐? 라고 묻거나하죠? 그때 T가 바로 용접 모재의 두께입니다.
6T이면 6mm의 두께를 의미해요. 9T이면 9mm의 두께이고요.
[해설작성자 : 해사고 학생입니당]

55. 그림과 같은 평면도와 정면도에 가장 적합한 우측면도는?(2012년 07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신고 내용]
이거 답2번 아니에요???
[해설작성자 : 기계겅고]

[추가 오류 신고]

2번인둣?
[해설작성자 : 쓰리썬]

[오류신고 반론]
1번맞아요 육면체중 오른쪽위뒤에꼭지점에서
앞에 오른쪽아래꼭지점으로 비스듬하게 잘린모양이라
삼각형변이랑 평행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2수]

[추가 오류 신고]
왼쪽 위 앞 꼭지점에서 오른쪽 아래 뒤 꼭지점이니깐 2번이 맞습니다.

[오류신고 반론]
비스듬하게 잘려있는 형태라서 2번이 아니라 1번이 맞습니다. 생각 잘해보세요.
[해설작성자 : 생각 좀 하고 살자]

56. 도면에 리벳의 호칭이 "KS B 1102 보일러용 둥근 머리 리벳 13 × 30 SV 400" 로 표시된 경우 올바른 설명은?(2014년 01월)
     가. 리벳의 수량 13개
     나. 리벳의 길이 30㎜
     다. 최대 인장강도 400kPa
     라. 리벳의 호칭 지름 30㎜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규격번호         종류                            호칭지름x길이 재료
KS B 1102    보일러용둥근머리리벳    13x30            SV400
[해설작성자 : 하이텍고[찡긋)]

57. 그림과 같이 제3각법으로 정면도와 우측면도를 작도할 때 누락된 평면도로 적합한 것은?(2014년 04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64%

58. 다음 배관도 중 "P"가 의미하는 것은?(2011년 02월)

    

     가. 온도계
     나. 압력계
     다. 유량계
     라. 핀구멍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압력(Pressure)의 P를 따서 나타냄
[해설작성자 :  ]

59. 그림과 같은 제3각법 정투상도에서 누락된 우측면도를 가장 적합하게 투상한 것은?(2013년 01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55%

60. 다음 중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의 KS 재료 기호는?(2016년 04월)
     가. SPP
     나. SPS
     다. SKH
     라. STK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철강 및 비철금속 기계 재료의 기호
SPP ; 배관용 탄소 강관
SPS ; 스프링 강재
SKH ; 고속도 공구강 강재
STK ;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
[해설작성자 : 쯔와이스 트위]


정 답 지

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639087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용접일반


1. 납땜시 강한 접합을 위한 틈새는 어느 정도가 가장 적당한가?(2014년 07월)
     가. 0.02 ~ 0.10 mm
     나. 0.20 ~ 0.30 mm
     다. 0.30 ~ 0.40 mm
     라. 0.40 ~ 0.50 mm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가장 강하게 접합하려면 가장 간격이 짧아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전북기공 폴리메카닉스과]

2. 15℃. 1kgf/ccm2 하에서 사용 전 용해아세틸렌 병의 무게가 50kgf 이고, 사용후 무게가 47kgf 일 때 사용한 아세틸렌의 양은 몇 L 인가?(2012년 10월)
     가. 2915
     나. 2815
     다. 3815
     라. 2715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아세틸렌 사용량 계산법입니다.
사용전 중량 - 사용후 중량 X 910 - 기압
즉, 50kgf - 47kgf X 910 - 15 = 2715가 나오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신교대 윤하사]

C=905(병전체무게-빈병무게)L
C=905(50-47)L
=905×3=2715
[해설작성자 : 거창공고 나루행]

3.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서 누설방지 비드를 배치하는 이유로 맞는 것은?(2011년 02월)
     가. 용접 공정수를 줄이기 위하여
     나. 크랙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 용접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라. 용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62%

4. 다음 중 용접 결함의 보수 용접에 관한 사항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가. 재료의 표면에 얕은 결함은 덧붙임 용접으로 보수한다.
     나. 언더컷이나 오버랩 등은 그대로 보수 용접을 하거나 정으로 따내기 작업을 한다.
     다. 결함이 제거된 모재 두께가 필요한 치수보다 얕게 되었을 때에는 덧붙임 용접으로 보수한다.
     라. 덧붙임 용접으로 보수할 수 있는 한도를 초과할 때에는 결함부분을 잘라내어 맞대기 용접으로 보수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얕은 결함이라도 홈을판후 재용접한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깝치기왕 정권호]

재료의 표면에 있는 얇은 결함은 스카핑으로 결함을 제거 한 뒤    재용접해 주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경남 통]

5. 산업용 로봇 중 직각 좌표계 로봇의 장점에 속하는 것은?(2015년 01월)
     가. 오프라인 프로그래밍이 용이하다.
     나. 로봇 주위에 접근이 가능하다.
     다. 1개의 선형축과 2개의 회전축으로 이루어졌다.
     라. 작은 설치공간에 큰 작업영역이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직각좌표계 로봇은 X, Y, Z로 표시되는 직각 좌포계에서 각 좌표축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직동관절로 이루어진 산업용 로봇으로 오프라인 프로그래밍이 용이하고 구조가 간다하여 좌표계산이 쉬운 장점이 있다
[해설작성자 : 서산공고 ]

6. 주철 용접 시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2015년 10월)
     가. 용접 전류는 약간 높게 하고 운봉하여, 곡선비드 배치하며 용입을 깊게 한다.
     나. 가스 용접 시 중성불꽃 또는 산화불꽃을 사용하고 용제는 사용하지 않는다.
     다. 냉각되어 있을 때 피닝작업을 하여 변형을 줄이는 것이 좋다.
     라. 용접봉의 지름은 가는 것을 사용하고, 비드의 배치는 짧게 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주철용접시 주의사항

1. 용접전류는 필요 이상 높이지말고, 직선비드를 사용, 깊지않게 용입한다
2. 가스 용접 시 중성불꽃 및 탄화불꽃을 사용하며, 플럭스를 충분히 사용한다
3. 피닝작업은 용접직후 신속하게 한다
[해설작성자 : 1sik]

7. 가스 절단에 따른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2013년 01월)
     가. 적당한 지그를 사용하여 절단재의 이동을 구속한다.
     나. 절단에 의하여 변형되기 쉬운 부분을 최후까지 남겨놓고 냉각하면서 절단한다.
     다. 여러 개의 토치를 이용하여 평행 절단한다.
     라. 가스 절단 직후 절단물 전체를 650℃로 가열한 후 즉시 수냉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8. 용접결함의 종류 중 치수상의 결함에 속하는 것은?(2013년 07월)
     가. 선상조직
     나. 변형
     다. 기공
     라. 슬래그 잠입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나머지는 구조상 결함
[해설작성자 : 박용접]

9. 다음 중 홈 가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2012년 02월)
     가. 능률적인 면에서 용입이 허용되는 한 홈 각도는 작게 하고 용착 금속량도 적게 하는 것이 좋다.
     나. 용접균열이라는 관점에서 루트 간격은 클수록 좋다.
     다. 자동용접의 홈 정도는 손 용접 보다 정밀한 가공이 필요하다.
     라. 홈 가공의 정밀도는 용접능률과 이음의 성능에 큰 영향을 끼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용접 균열은 루트 간격이 적을수록 좋다
[해설작성자 : 동근이멍청이]

3.자동용접의 홈 정도는 손 용접보다 정밀한 가공이 필요하다.

10. 주성분이 은, 구리, 아연의 합금인 경납으로 인장강도, 전연성 등의 성질이 우수하여 구리, 구리합금, 철강, 스테인리스강 등에 사용되는 납재는?(2014년 04월)
     가. 양은납
     나. 알루미늄납
     다. 은납
     라. 내열납

     정답 : []
     정답률 : 64%

11. 한 부분의 몇 층을 용접하다가 이것을 다음 부분의 층으로 연속시켜 전체 모양이 계단 형태를 이루는 용착법은?(2016년 04월)
     가. 스킵법
     나. 덧살 올림법
     다. 전진 블록법
     라. 캐스케이드법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캐스케이드법 [-法, cascade process]
- 일련의 프로세스를 여러 단계로 나누어 각각의 장치에 의해 순차적으로 행하게 하는 조작법.
- 이것과 닮은 것으로는 다단법(英 multi-stage process)이 있다.
- 다단법은 어느 단수(段數)로 이루어지는 연속 조작(⇀ 회분 조작)을 그 단수에 따라서 몇 개의 장치로 나눈 것으로,
- 전체를 살펴보면 완전한 연속 조작이 되어 개개의 장치는 독립할 수 없는 것인데,
- 캐스케이드법에서는 하나하나가 독립된 프로세스를 행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Mokdor]

용접 다층 쌓기 용착법 종류

① 빌드업법(덧살올림법)
각 층마다 전체의 길이를 용접하면서 다층용접을 한다. 비능률적.
한랭 시, 구속이 클 때, 판 두께가 두꺼울 때는 첫번째 층에 균열이 생길 위험이 있다.

② 캐스케이드법
한 부분의 몇 층을 용접하다가,이것을 다른 부분의 층으로 연속시켜 전체가 계단 형태의 단계를 이루도록 용착시킨다.

③ 전진블록법
한 개의 용접봉으로 살을 붙일만한 길이로 구분해서 홈을 한 부분씩 여러 층으로 쌓아 올린 다음 다른 부분으로 진행한다.
[해설작성자 : 해군 박선생]

12. 용접결함 중 내부에 생기는 결함은?(2014년 07월)
     가. 언더컷
     나. 오버랩
     다. 크레이터 균열
     라. 기공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기공은 용접부 내부에 생기는 불량이다.
[해설작성자 : 기능장 아들]

기공은 용접 분위기 가운데 수소 또는 일산화 탄소의 과잉 모재 가운데 유황 함유량 과대, 아크 길이, 전류 조작의 부적당, 용접 속도가 빠를때 발생하는 내부 결함이다
[해설작성자 : 용공]

13. 용착금속의 극한 강도가 30kgf/mm2 안전율이 6이면 허용 응력은?(2014년 10월)
     가. 3kgf/mm2
     나. 4kgf/mm2
     다. 5kgf/mm2
     라. 6kgf/mm2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안전율 = 극한응력/허용응력
허용응력 = 극한강도/안전률

30/6=5
[해설작성자 : 전북기계공업고등학교(마이스터고) 산업플랜트과 이성민 선생님]

14. 다음 중 전기설비화재에 적용이 불가능한 소화기는?(2012년 07월)
     가. 포말소화기
     나. 이산화탄소소화기
     다. 무상강화액소화기
     라. 할로겐화합물소화기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포말 소화기는 물과 같은 성질이기 때문에 전기화재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15. 모재 및 용접부에 대한 연성과 결함의 유무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시험법은?(2010년 03월)
     가. 경도시험
     나. 피로시험
     다. 굽힘시험
     라. 충격시험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경도시험은 연성과 전성을 시험한다
[해설작성자 : 창원기공 황혼의 기능생]

16. 용접부의 시험법 중 기계적 시험법이 아닌 것은?(2011년 02월)
     가. 굽힘 시험
     나. 경도 시험
     다. 인장 시험
     라. 부식 시험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부식시험은 화학적시험이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원톱 이승민 ]

17. 점용접의 3대 요소가 아닌 것은?(2011년 07월)
     가. 전극모양
     나. 통전시간
     다. 가압력
     라. 전류세기

     정답 : []
     정답률 : 72%

18. 맞대기이음에서 판 두께 100mm, 용접 길이 300㎝, 인장하중이 9000kgf일 때 인장응력은 몇 kgf/cm2인가?(2015년 04월)
     가. 0.3
     나. 3
     다. 30
     라. 300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응력은 하중/단면적이다
여기서 단면적은 100mm는 10cm이므로 300(cm)*10(cm)=3000cm^2이고 하중은 9000이니
9000/3000=3
[해설작성자 : 용접해설좀]

19. 양은의 주요 성분 원소로 옳은 것은?(2009년 07월)
     가. Cu-Zn-Ni
     나. Cu-Zn-Fe
     다. Cu-Sn-Zn
     라. Cu-Sn-Pb

     정답 : []
     정답률 : 51%

20. 수냉 동판을 용접부의 양면에 부착하고 용융된 슬래그 속에서 전극와이어를 연속적으로 송급하여 용융슬래그 내를 흐르는 저항 열에 의하여 전극와이어 및 모재를 용융 접합시키는 용접법은?(2010년 03월)
     가. 초음파 용접
     나. 플라즈마 제트 용접
     다. 일렉트로 가스 용접
     라.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정답 : []
     정답률 : 76%

21. 금속의 공통적 특성이 아닌 것은?(2009년 07월)
     가. 상온에서 고체이며 결정체이다.(단, Hg은 제외)
     나. 열과 전기의 양도체이다.
     다. 비중이 크고 금속적 광택을 갖는다.
     라. 소성변형이 없어 가공하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소성 변형 (塑性變形) : 외부의 힘이 작용하여 변형된 고체가 그 힘을 없애도 본디 상태로 되돌아가지 아니하는 변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질량의 대소에 따라 담금질 효과가 다른 현상을 질량효과 라고 한다. 탄소강에 니켈, 크롬, 망간 등을 첨가하면 질량효과는 어떻게 변하는가?(2009년 07월)
     가. 질량효과가 커진다.
     나. 질량효과가 작아진다.
     다. 질량효과는 변하지 않는다.
     라. 질량효과가 작아지다가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52%

23. 교류아크 용접기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3년 04월)
     가. 가동 코일형
     나. 가동 철심형
     다. 전동기 구동형
     라. 탭 전환형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교류아크 용접기 종류

가동 철심형
가동 철심형
탭 전환형
가포화 리액터형
[해설작성자 : 1Sik]

24. 교류 아크 용접기 종류 중 AW-500의 정격 부하 전압은 몇 V인가?(2014년 10월)
     가. 28V
     나. 32V
     다. 36V
     라. 40V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AW-200 : 30V 이하,
AW-300 : 35V 이하,
AW-400 : 40V 이하로 되어 있음
[해설작성자 : 전북기계공업고등학교(마이스터고) 산업플랜트과 이성민 선생님]

25. 연강용 가스 용접봉의 용착금속의 기계적 성질 중 시험편의 처리에서 "용접한 그대로 응력을 제거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기호는?(2014년 07월)
     가. NSR
     나. SR
     다. GA
     라. GB

     정답 : []
     정답률 : 74%

26. 가스용접에서 탄화불꽃의 설명과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2013년 04월)
     가. 속불꽃과 겉불꽃 사이에 밝은 백색의 제 3불꽃이 있다.
     나. 산화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다. 아세틸렌 과잉불꽃이다.
     라. 표준불꽃이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표준불꽃은 중성불꽃에 해당함.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마도현]

27. 가스용접 작업 시 일반적으로 용제(flux)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2009년 07월)
     가. 주철
     나. 알루미늄
     다. 연강
     라. 구리합금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연강: 일반적으로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공부하는놈]

28. 가스 절단 작업시의 표준 드래그 길이는 일반적으로 모재 두께의 몇 % 정도인가?(2013년 04월)
     가. 5
     나. 10
     다. 20
     라. 30

     정답 : []
     정답률 : 69%

29. 다음 중 가스용접에 사용되는 아세틸렌가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7월)
     가. 206℃ ~ 208℃ 정도가 되면 자연발화 한다.
     나. 아세틸렌가스 15%, 산소 85% 부근에서 위험하다.
     다. 구리, 은 등과 접촉하면 250℃ 부근에서 폭발성을 갖는다.
     라. 아세틸린가스는 물에 대해 같은 양으로 알콜에 2배정도 용해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2.아세틸렌가스15%,산소85% 부근에서 위험하다.

30. 다음 중 두께 20mm인 강판을 가스 절단하였을 때 드래그(drag)의 길이가 5mm 이었다면 드래그 양은 몇 % 인가?(2012년 02월)
     가. 4.0%
     나. 20%
     다. 25%
     라. 100%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5mm/20mm = 25/100
간단한 계산식입니다.
[해설작성자 : 수도공고 홍명헌]

31. 사용률이 60%인 교류 아크 용접기를 사용하여 정격전류로 6분 용접하였다면 휴식시간은 얼마인가?(2016년 04월)
     가. 2분
     나. 3분
     다. 4분
     라. 5분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사용률 = 아크발생시간/아크발생시간+휴식(정지)시간 x 1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사용률 = 아크발생시간/아크발생시간+휴식(정지)시간 x 100
60% = 6분/6분+?(정답) * 100 이므로
정답에 들어갈 정지시간(휴식시간)은 4분이다.
[해설작성자 : 해사고 학생입니당]

문제 풀이 간단 정리
1. 사용률 공식:
사용률(%) = 용접 시간 ÷ (용접 시간 + 휴식 시간) × 100
2. 주어진 값:
• 사용률 = 60%
• 용접 시간 = 6분
3. 휴식 시간 계산:
• 60% = 6 ÷ (6 + 휴식 시간) × 100
• 0.6 = 6 ÷ (6 + 휴식 시간)
• 6 + 휴식 시간 = 6 ÷ 0.6 = 10
• 휴식 시간 = 10 - 6 = 4분
[해설작성자 : 그래 열심히 공부해라]

32. 다음 중 두꺼운 강판, 주철, 강괴 등의 절단에 이용되는 절단법은?(2016년 01월)
     가. 산소창 절단
     나. 수중절단
     다. 분말 절단
     라. 포갬 절단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토치의 팁 대용으로 산소창이라는 가늘고, 긴 강관을 사용해서 절단용 산소를 큰 강괴의 심부에 송출시켜, 창 자체가 연소되면서 절단이 되는 방법이다. 아세틸렌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강소 등의 용강 래이들의 밑바닥에 남아 있는 강괴의 절단이나 강괴의 탕구절단에 사용되는것이 산소창 절단이다.
[해설작성자 : 홍성공고 2119]

33. 재료의 접합방법은 기계적 접합과 야금적 접합으로 분류하는데 야금적 접합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1년 02월)
     가. 리벳
     나. 융접
     다. 압접
     라. 납땜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리벳은 기계적 접합이다
[해설작성자 : 킴영광]

34. 35℃에서 150kgf/cm2으로 압축하여 내부용적 45.7리터의 산소 용기에 충전하였을 때, 용기속의 산소량은 몇 리터 인가?(2014년 07월)
     가. 6855
     나. 5250
     다. 6150
     라. 7005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50x45.7

35. 침몰선의 해체나 교량의 개조 시 사용되는 수중 절단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료 가스는?(2011년 04월)
     가. 아세톤
     나. 에틸렌
     다. 수소
     라. 질소

     정답 : []
     정답률 : 80%

2과목 : 용접재료


36. 교류피복 아크 용접기에서 아크발생 초기에 용접전류를 강하게 흘려보내는 장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4년 07월)
     가. 원격 제어장치
     나. 핫 스타트 장치
     다. 전격 방지기
     라. 고주파 발생장치

     정답 : []
     정답률 : 84%

37. 가스 용접에서 용제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가. 재료표면의 산화물을 제거한다.
     나. 용융금속의 산화ㆍ질화를 감소하게 한다.
     다. 청정작용으로 용착을 돕는다.
     라. 용접봉 심선의 유해성분을 제거한다.

     정답 : []
     정답률 : 45%

38. 부탄가스의 화학 기호로 맞는 것은?(2014년 07월)
     가. C4H10
     나. C3H8
     다. C5H12
     라. C2H6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c3h8는 프로판입니다
c5h12는 펜탄(펜테인)입니다
c2h6는 에테인입니다
[해설작성자 : 나짱짱맨]

39. 텅스텐 전극과 모재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알루미늄, 마그네슘, 구리 및 구리합금, 스테인리스강 등의 절단에 사용되는 것은?(2013년 01월)
     가. TIG 절단
     나. MIG 절단
     다. 탄소 절단
     라. 산소 아크 절단

     정답 : []
     정답률 : 65%

40. 다음 중 물리적 표면경화법에 속하는 것은?(2012년 07월)
     가. 고주파 경화법
     나. 가스 침탄법
     다. 질화법
     라. 고체 침탄법

     정답 : []
     정답률 : 39%

41. 다음 중 베어링강의 구비조건으로 옳은 것은?(2012년 10월)
     가. 높은 탄성한도와 피로한도
     나. 낮은 탄성한도와 피로한도
     다. 높은 취성파괴와 연성파괴
     라. 낮은 내마모성과 내압성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베어링강은 베어링 특성상 고회전, 다회전을 필요로 하기때문에 높은 탄성한도와 피로한도가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고휴지]

42. 다음 중 강의 표면경화법에 있어 침탄법과 질화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10월)
     가. 침탄법은 경도가 질화법보다 높다.
     나. 질화법은 질화처리 후 열처리가 필요 없다.
     다. 침탄법은 고온가열시 뜨임되고, 경도는 낮아진다.
     라. 질화법은 침탄법에 비하여 경화에 의한 변형이 적다.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침탄법
1. 경도가 질화법보다 낮다.
2. 침탄 후의 열처리가 필요하다.
3. 침탄 후 수정 가능.
4. 고온으로 가열되면 뜨임이되고, 경도가 낮아진다.
5. 경화에 의한 변형이 생긴다.
6. 처리시간이 짧고, 처리비용이 싸다.

질화법
1. 경도가 침탄법보다 높다.
2. 질화 후 열처리가 필요없다.
3. 질화 후 수정 불가능.
4. 고온으로 가열되어도 경도 변화없다.
5. 경화에 의한 변형이 없다.
6. 처리시간이 길고, 처리비용이 비싸다.
[해설작성자 : 고휴지]

43. 온도의 상승에도 강도를 잃지 않는 재료로서 복잡한 모양의 성형가공도 용이하므로 항공기, 미사일 등의 기계부품으로 사용되어지는 PH형 스테인리스강은?(2011년 02월)
     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나.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라. 석출 경화형 스테인리스강

     정답 : []
     정답률 : 34%

44. 피복 아크 용접에서 용접성이 가장 우수한 용접 재료로 적당한 것은?(2011년 04월)
     가. 주철
     나. 저탄소강
     다. 고탄소강
     라. 니켈강

     정답 : []
     정답률 : 46%

45. 열과 전기의 전도율이 가장 좋은 금속은?(2015년 10월)
     가. Cu
     나. Al
     다. Ag
     라. Au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전기 전도율이 가장 좋은것은 Ag(은)이다.
Cu(구리)는 Ag(은) 다음으로 전기 전도율이 좋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마도현]

열전도 순서는     은 - 구리 - 금 - 알루미늄
[해설작성자 : jooswoo]

46. 구상흑연주철은 주조성, 가공성 및 내마멸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구상흑연주철 제조 시 구상화제로 첨가되는 원소로 옳은 것은?(2016년 04월)
     가. P, S
     나. O, N
     다. Pb, Zn
     라. Mg, Ca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구상 흑연 주철: 용융상태의 주철에 Mg(마그네슘), Ce(세륨), Ca(칼슘) 등을 첨가 편상으로 존재하는 흑연을 구상화 처리한 주철
바탕조직이 펄라이트이다
[해설작성자 : 냥장냥장]

47. 저합금강 중에서 연강에 비하여 고장력강의 사용 목적으로 틀린 것은?(2014년 04월)
     가. 재료가 절약된다.
     나. 구조물이 무거워진다.
     다. 용접공수가 절감된다.
     라. 내식성이 향상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고장력강이란 연강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합금원소를 소량으로 첨가한 것으로 인장강도가 50kgi/em? 이상인 강을 말하는데 보통 강보다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크기 때문에 구조물의 중량을 줄일 수 있다. 최근 자동차에 이와 같은 고장력강판의 사용 비율을 늘려서 충돌 시탑승자의 안전성을 높이면서도 연비를 줄였다는 광고를 자주 접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해운대공고 08박진한]

48. 납땜에서 연납땜과 경납땜을 구분하는 기준온도는 몇 도인가?(2009년 07월)
     가. 300℃
     나. 350℃
     다. 400℃
     라. 450℃

     정답 : []
     정답률 : 62%

49. 다음 중 담금질에서 나타나는 조직으로 경도와 강도가 가장 높은 조직은?(2014년 07월)
     가. 시멘타이트
     나. 오스테나이트
     다. 소르바이트
     라. 마텐자이트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금속 조직의 강도와 경도가 높은 순서
페라이트 < 오스테나이트 < 펄라이트 < 소르바이트 < 베이나이트 < 트루스타이트 < 마텐자이트 < 시멘타이트
(페 오 펄 소 베 트 마 시)

[추가 오류 신고]
시멘타이트가 가장 강도와 경도가 높은데 답은 4번으로 되있습니다 답은 1번입니다

[추가 오류 신고]

분명 해설로는 시멘타이트가 제일 강도와 경도가 높다고 나와있는데 아무래도 문제가 있는것 같습니다
답은 1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순천공고 기계과]

[추가 오류 신고]
시멘타이트가 경도와 강도가 가장 높습니다. 바꿔주세요

[오류신고 반론]
강의 표준 조직에는 페라이트, 펄라이트, 시멘타이트가 있다.
열처리 조직에 마텐자이트, 트루스타이트, 오스테나이트, 소르바이트 등이 있어 이번 문제의 정답은 4번 마텐자이트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김해 영진직업전문학교]

[추가 오류 신고]

책에서는 시멘타이트가 가장 높고 그담에가 마텐자이트가 높다고 나와있습니다! 책이 정확하기 때문에 답은 4번이아닌 1번 시멘타이트입니다
[해설작성자 : 경기도기술학교 특수용접과]

[오류신고 반론]
위에 있는 사람들이 말하고 있는 것은 강의 표준 조직입니다. 강의 표준 조직중 가장 경도와 강도가 높은것을 찾는다면 시멘타이트가 맞겠죠. 하지만 문제에서는 담금질에서 나타나는 조직을 물어보고 있습니다. 담금질에 의해서 나오는 조직은 마텐자이트(martensite), 트루스타이트(troostite), 소르바이트(sorbite), 오스테나이트(austenite) 이렇게 4가지가 있습니다. 또한 담금질 조직의 경도순서는    A<M>T>S>P입니다. 이것을 봤을때 마텐자이트가 가장 높습니다         궁금하신분은 기계일반 (위을복저) 이 책의 P50~51, 또는 P263을 참고해주시길 바라겠습니다
[해설작성자 : 나라사랑 기계일반 사랑]

[오류신고 반론]
M(마텐자이트)>T(트루스타이트)>S(소르바이트)>P(펄라이트)>A(오스테나이트)>F(페라이트)
마텐자이트가 젤 높습니다 그러므로 답은4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용접15트]

50. 다음 가공법 중 소성가공이 아닌 것은?(2011년 07월)
     가. 선반가공
     나. 압연가공
     다. 단조가공
     라. 인발가공

     정답 : []
     정답률 : 53%

51. 그림과 같은 도면의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2013년 10월)

    

     가. 전체 길이가 660㎜이다.
     나. 드릴 가공 구멍의 지름은 20㎜이다.
     다. 드릴 가공 구멍의 수는 30개이다.
     라. 드릴 가공 구멍의 피치는 30㎜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구멍의 수는 12, 지름은 20입니다!

52. KS에서 기계제도에 관한 일반사항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10월)
     가. 치수는 참고치수, 이론적으로 정확한 치수를 기입할 수도 있다.
     나. 도형의 크기와 대상물의 크기와의 사이에는 올바른 비례 관계를 보유하도록 그린다. 다만 잘못 볼 염려가 없다고 생각되는 도면은 도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이 비례 관계는 지키지 않아도 좋다.
     다. 기능상의 요구, 호환성, 제작 기술 수준 등을 기본으로 불가결의 경우만 기하공차를 지시한다.
     라. 길이치수는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그 대상물의 측정을 3점 측정에 따라 행한 것으로 하여 지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길이치수는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그 대상물의 측정을 2점 측정에 따라 행한 것으로 하여 지시한다.
[해설작성자 : 오구기]

53. 그림과 같은 제3각 투상도에 가장 적합한 입체도는?(2013년 04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74%

54. 치수 기입법에서 지름, 반지름, 구의 지름 및 반지름, 모떼기, 두께 등을 표시할 때 사용되는 보조기호 표시가 잘못된 것은?(2012년 10월)
     가. 두께 : D6
     나. 반지름 : R3
     다. 모떼기 : C3
     라. 구의 반지름 : SR6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흔히 용접 모재를 고를때 몇T이냐? 라고 묻거나하죠? 그때 T가 바로 용접 모재의 두께입니다.
6T이면 6mm의 두께를 의미해요. 9T이면 9mm의 두께이고요.
[해설작성자 : 해사고 학생입니당]

55. 그림과 같은 평면도와 정면도에 가장 적합한 우측면도는?(2012년 07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신고 내용]
이거 답2번 아니에요???
[해설작성자 : 기계겅고]

[추가 오류 신고]

2번인둣?
[해설작성자 : 쓰리썬]

[오류신고 반론]
1번맞아요 육면체중 오른쪽위뒤에꼭지점에서
앞에 오른쪽아래꼭지점으로 비스듬하게 잘린모양이라
삼각형변이랑 평행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2수]

[추가 오류 신고]
왼쪽 위 앞 꼭지점에서 오른쪽 아래 뒤 꼭지점이니깐 2번이 맞습니다.

[오류신고 반론]
비스듬하게 잘려있는 형태라서 2번이 아니라 1번이 맞습니다. 생각 잘해보세요.
[해설작성자 : 생각 좀 하고 살자]

56. 도면에 리벳의 호칭이 "KS B 1102 보일러용 둥근 머리 리벳 13 × 30 SV 400" 로 표시된 경우 올바른 설명은?(2014년 01월)
     가. 리벳의 수량 13개
     나. 리벳의 길이 30㎜
     다. 최대 인장강도 400kPa
     라. 리벳의 호칭 지름 30㎜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규격번호         종류                            호칭지름x길이 재료
KS B 1102    보일러용둥근머리리벳    13x30            SV400
[해설작성자 : 하이텍고[찡긋)]

57. 그림과 같이 제3각법으로 정면도와 우측면도를 작도할 때 누락된 평면도로 적합한 것은?(2014년 04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64%

58. 다음 배관도 중 "P"가 의미하는 것은?(2011년 02월)

    

     가. 온도계
     나. 압력계
     다. 유량계
     라. 핀구멍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압력(Pressure)의 P를 따서 나타냄
[해설작성자 :  ]

59. 그림과 같은 제3각법 정투상도에서 누락된 우측면도를 가장 적합하게 투상한 것은?(2013년 01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55%

60. 다음 중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의 KS 재료 기호는?(2016년 04월)
     가. SPP
     나. SPS
     다. SKH
     라. STK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철강 및 비철금속 기계 재료의 기호
SPP ; 배관용 탄소 강관
SPS ; 스프링 강재
SKH ; 고속도 공구강 강재
STK ;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
[해설작성자 : 쯔와이스 트위]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639087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용접기능사, 기출문제, 용접, 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84 대기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7937395) 좋은아빠되기 2025.11.06 4
58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582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4759124) 좋은아빠되기 2025.11.06 4
581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7591634)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 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6390878)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57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기계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2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578 소음진동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577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5
576 경비지도사 2차(소방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2394278)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575 콘크리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8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574 변리사 1차(3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2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573 소방공무원(공개,경력) 국어(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9323409) 좋은아빠되기 2025.11.06 5
572 용접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3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5
571 잠수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9216950)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570 시각디자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9402485) 좋은아빠되기 2025.11.06 4
569 산림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8313856)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568 식품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8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567 수능(화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5671589) 좋은아빠되기 2025.11.06 5
566 수능(생활과윤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9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4
565 방사선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9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3 Next
/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