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475912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재무회계


1. 합계시산표나 잔액시산표의 차변과 대변의 합계액이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분개장의 분개로부터 시산표를 작성할 때까지의 절차를 거슬러 조사하여 불일치 원인을 가려내야 한다. 다음 중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시산표의 대변, 차변의 합계액 계산에 틀림이 없는가를 검산한다.
     2. 분개장에서 각 거래별 계정과목 사용에 오류가 없는지 확인한다.
     3. 분개장으로부터 총계정원장의 전기에 잘못이 없는가를 확인한다.
     4. 총계정원장의 각 계정합계액과 잔액의 계산에 틀림이 없는지 검산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거래 발생 ------> 분개장에 기입 ------> 총계정원장에 전기 ---------->시산표 작성

1,3,4 는 차변과 대변의 금액이 맞는지 아닌지 알 수 있지만
2번의 내용은 계정과목 사용이 잘못되어도 금액과는 상관이 없기 때문에
문제의 시산표 차, 대변 합계액익 일치하지 않는 상황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

2. 시산표의 작성과정에서 발생한 다음의 오류 중에서 시산표의 작성만으로 발견할 수 있는 오류는?(2018년 05월)
     1. 총매출액 ₩5,280을 시산표에 표기하는 과정에서 ₩5,200으로 옮겨 적었다.
     2. 고객에게 ₩2,250에 용역을 외상으로 제공하고 미수금계정에 ₩2,250을 차기하고 매출계정의 대변에 ₩2,250을 기록하였다.
     3. 원가 ₩820인 자동차를 외상으로 구입하고 판관비의 차변에, 매입채무의 대변에 기록하였다.
     4. 판매용 건물의 1년치 임대료로 현금 ₩1,200을 지급하고 기타비용계정에 ₩1,200을 차기하고 현금계정의 대변에 ₩1,200을 기록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시산표는 결산 확정 전에 분개장에서 총계정원장의 각 계정으로 정확히 전기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대차평균 원리를 이용하는 표이므로
차대변 금액이 같은 경우 시산표 작성만으로 발견 가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합계시산표나 잔액시산표의 차변과 대변의 합계액이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분개장의 분개로부터 시산표를 작성할 때까지의 절차를 거슬러 조사하여 불일치 원인을 가려내야 한다. 다음 중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시산표의 대변, 차변의 합계액 계산에 틀림이 없는가를 검산한다.
     2. 분개장에서 각 거래별 계정과목 사용에 오류가 없는지 확인한다.
     3. 분개장으로부터 총계정원장의 전기에 잘못이 없는가를 확인한다.
     4. 총계정원장의 각 계정합계액과 잔액의 계산에 틀림이 없는 지를 검산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4. 다음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1007호에 따른 현금흐름표에 대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 무엇인가?(2015년 05월)
     1. 현금흐름표상의 현금성자산이란 보유 현금과 요구불예금을 말한다.
     2. 은행으로부터의 차입은 일반적으로 재무활동으로 간주된다.
     3. 현금흐름표는 회계기간 동안 발생한 현금흐름을 영업활동, 투자활동 및 재무활동으로 분류하여 보고한다.
     4. 이자와 차입금을 상환하는 경우, 이자지급은 영업활동으로 분류될 수 있고, 원금상환은 재무활동으로 분류된다.

     정답 : []
     정답률 : 29%

5. 2015.12.31 기준으로 은행계정조정표를 작성하기 위해 다음 자료를 이용하는 경우, 회사 측 당좌예금계정의 수정 후 올바른 잔액은 얼마인가? (단, 아래 언급된 내용 이외에 미반영사항은 없다고 가정한다.)(2015년 05월)

   

     1. ₩5,080,000
     2. ₩5,100,000
     3. ₩5,330,000
     4. ₩5,380,000

     정답 : []
     정답률 : 31%

6. ㈜갑은 20X1년초에 임대목적으로 건물을 ₩1,000,000에 취득하였다. 감가상각을 적용한다면 상각방법은 정액법, 내용연수는 5년, 잔존가치는 없다고 가정한다. 당해 건물의 공정가치는 20X1년 말 ₩1,100,000, 20X2년 말 ₩1,050,000이다. ㈜갑은 당해 건물을 투자부동산으로 분류하고 공정가치모형을 적용한다고 할 때,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2018년 05월)
     1. 20X1년도 감가상각비는 ₩200,000이다.
     2. 20X1년도 투자부동산평가이익은 ₩300,000으로 기타포괄이익으로 인식한다.
     3. 20X1년도 투자부동산평가이익은 ₩100,000으로 기타포괄이익으로 인식한다.
     4. 20X2년도 투자부동산평가손실은 ₩50,000으로 당기손실로 인식한다.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문제에서 공정가치모형을 적용한다고 하였으니, 감가상각은 하지 않고 평가만 합니다.
따라서, 1번과 2번은 감가상각을 했을 때 정답으로 고를 수 있는 것이고,
3번 같은 경우에는 100,000원은 맞으니 당기손익으로 인식해야 맞는 것 입니다.
[해설작성자 : 오늘전운사1급시험보러간다합격기원]

7. 다음 자료를 바탕으로 당기순이익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아래 내용 이외의 거래는 없다고 가정한다.)(2017년 09월)

   

     1. ₩150
     2. ₩200
     3. ₩250
     4. ₩300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당기순이익 : 매출액 1,000 - 매출원가 600 - 종업원급여 200 + 미수수익 50 = 250
소모품, 선급보험료, 기초이익잉여금은 자산, 자본관련 계정이므로 당기순이익에 영향이 없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8. 다음 중 현금흐름표의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에 해당하는 거래는?(2017년 09월)

   

     1. 가, 나, 다
     2. 나, 다, 라
     3. 가, 다
     4. 가, 라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재무활동 : 영업활동과 관계 없는 부채와 자본의 증감내역
가 : 재무활동
나 : 투자활동
다 : 재무활동
라 : 투자활동
[해설작성자 : 다희쌤♡]

투자활동 : 비유동자산에 영향을 미치는 거래
나. 차)대여금                         대)현금
라. 차)기계장치                     대)현금
             (자산증가)

재무활동 : 부채,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거래
가. 차)차입금                                         대)현금
다. 차)금융리스부채 또는 미지급금        대)현금
[해설작성자 : 나는짱아맘]

9. 다음 중 취득원가 ₩1,800,000의 토지를 ₩2,000,000에 외상으로 처분한 거래를 올바르게 분개한 것은?(2020년 05월)
     1.
     2.
     3. (차) 미 수 금 1,800,000 (대) 토 지 1,800,000
     4. (차) 미지급금 2,000,000 (대) 토 지 2,000,000

     정답 : []
     정답률 : 58%

10. ㈜갑은 A회사 주식을 20X1년 중에 ₩10,000에 구입하였으며, 매입부대비용으로 ₩500을 현금으로 지급하였다. A회사 주식의 20X1연말 공정가치는 ₩11,000 이다. ㈜갑이 A주식을 '매도 가능금융자산'으로 분류하였다고 할 때, 20X1년말 당기손익과 기타포괄손익에 미치는 영향으로 올바른 것은?(2017년 09월)
     1. (당기손익) ₩500 가산 (기타포괄손익) 변화 없음
     2. (당기손익) ₩500 감산 (기타포괄손익) ₩1,000 가산
     3. (당기손익) 변화 없음 (기타포괄손익) ₩500 가산
     4. (당기손익) 변화 없음 (기타포괄손익) ₩1,000 가산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매도가능금융자산 구입 시 부대비용은 자산금액에 가산하므로 당초 구입시 주식의 매입가액은 10,500원이다.
기말 재평가시 11,000원과의 차이금액은 500이며, 매도가능금융자산의 평가손익은 기타포괄손익이므로 기타포괄손익이 500원만큼 증가한다. 이 때 당기손익은 변화가 없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11.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의하면 상각후원가측정 금융부채는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하여 상각후원가로 후속측정한다. 이와 관련된 설명 중 옳은 것은?(2018년 09월)
     1. 할인발행 또는 할증발행에 따른 발행차금의 상각액은 매년 감소한다.
     2. 할증발행된 경우 이자비용은 매년 증가한다.
     3. 사채발행비는 사채기간에 걸쳐 정액법으로 상각한다.
     4. 사채발행 시점에서 사채발행비가 지출된 경우 발행당시의 유효이자율은 발행당시의 시장이자율보다 높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4번 보기 : 유효이자율은 시장이자율과는 다른 개념이다. 사채발행비가 지출된 경우 이는 할증발행/할인발행차금에서 조정이 되므로 발행당시 시장이자율보다 유효이자율이 높아지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맞는 지문이다.

1번 보기 : 할인발행의 경우 발행차금의 상각액은 점차 증가하게 되며, 할증발행의 경우에만 상각액이 매년 감소한다.
2번 보기 : 할증발행 된 경우 이자비용은 매년 감소하게 된다.
3번 보기 : 사채발행비는 유효이자율법으로 상각하는 것이 원칙이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12. 유형자산의 감가상각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유형자산을 구성하는 일부의 원가가 당해 유형자산의 전체 원가에 비교하여 유의적이라면, 해당 유형자산을 감가상각할 때 그 부분은 별도로 구분하여 감가상각한다.
     2. 유형자산의 원가는 그 유형자산을 구성하고 있는 유의적인 부분에 배분하여 각 부분별로 감가상각한다.
     3. 유형자산의 전체원가에 비교하여 해당 원가가 유의적이지 않은 부분은 반드시 함께 감가상각하여야 한다.
     4. 각 기간의 감가상각액은 일반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유형자산에 내재된 미래경제적효익이 다른 자산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유형자산의 감가상각액은 해당 자산의 원가의 일부가 된다.

     정답 : []
     정답률 : 42%

13. 다음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중 내용연수가 유한한 무형자산의 상각방법과 관련된 내용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말은?(2015년 05월)

    

     1. 정액법
     2. 정률법
     3. 이중체감법
     4. 연수합계법

     정답 : []
     정답률 : 62%

14. (주)전산은 20X1년 1월 1일에 회사채(액면가액 ₩200,000,000, 만기일 20X3년 12월 31일, 액면이자율 연10%, 이자지급일 매년 12월 31일)를 ₩195,112,200에 발행하였다. 사채발행 당시의 유효이자율이 연11%이고 사채발행차금을 이자지급 시에 유효이자율법으로 상각한다고 한다. 20X1년 12월 31일에 (주)전산은 위 사채(액면가액 ₩100,000,000)를 ₩97,500,000에 취득하였다. 20X1년 12월 31일 사채이자 지급 후 자기사채 취득과 관련한 사채상환손익은 얼마인가?(2018년 05월)
     1. 사채상환손실 ₩448,780
     2. 사채상환이익 ₩56,250
     3. 사채상환손실 ₩758,533
     4. 사채상환이익 ₩787,271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X1.12.31의 사채가액 = 195,112,200 + 1,462,342 = 196,574,542
(할인발행차금상각액 1,462,342 = 195,112,200 × 11% - 200,000,000 × 10% (액면이자와 유효이자의 차이))
이 중 50%의 금액인 98,287,271원을 97,500,000원에 상환하였으므로 (주)전산은 787,271원의 사채상환손익이 발생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15. 다음 중 결산 시 수정분개 내용으로 옳은 것은? (단, 3월 1일의 1년분 임대료 \120,000을 수령하였으며, 7월 1일의 1년분 보험금 지급액은 \150,000이고, 결산일은 12월 31일이다.)(2016년 10월)
     1. 7월 1일에 보험금지급액을 선급보험료로 계상하였다면, 12월 31일에는 비용 \75,000을 계상하는 수정분개가 필요하다.
     2. 3월 1일에 임대료수령액을 수익으로 계상하였다면, 12월 31일에는 자산 \100,000을 증가시키는 수정분개가 필요하다.
     3. 7월 1일에 보험금지급액을 보험료비용으로 계상하였다면, 12월 31일에는 부채 \75,000을 증가시키는 수정분개가 필요하다.
     4. 3월 1일에 임대료수령액을 선수임대료로 계상하였다면, 12월 31일에는 수익 \20,000을 증가시키는 수정분개가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50%

16. 다음 중 단기종업원급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종업원이 관련 근무용역을 제공하는 연차보고기간 이후 12개월 이전에 전부 결제될 것으로 예상되는 종업원급여이다.
     2. 보험수리적손익이 발생하지 않으며, 현재가치로 할인하지도 않아 측정이 단순하다.
     3. 이익분배제도와 상여금제도로 인한 의제의무를 측정할 때에는 일부 종업원의 퇴사할 가능성을 고려한다.
     4. 화폐성 급여만을 포함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17. 20X1년 초에 설립된 ㈜상공의 20X1년 말 포괄손익계산서상 법인세비용은 ₩500,000이었다. 세무조정 후 당기법인세부채는 ₩460,000으로 기록되었다. 이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옳은 것은? (단, 회계이익과 과세소득 간 차이는 모두 일시적 차이가 그 원인이라고 가정한다.)(2020년 10월)
     1. 법인세비용이 ₩40,000 감소하였다.
     2. 법인세비용이 ₩10,000 증가하였다.
     3. 이연법인세부채 계정(부채)의 잔액이 ₩40,000 증가하였다.
     4. 이연법인세부채 계정(부채)의 잔액이 ₩40,000 감소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법인세비용 500,000 = 이연법인세부채 40,000 + 당기법인세부채 460,000
[해설작성자 : CPA 준비생]

18. 다음 중 회계추정의 변경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6년 05월)
     1. 유형자산을 원가모형에서 재평가모형으로 변경하는 경우
     2. 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추정률을 변경하는 경우
     3. 설비의 내용연수를 변경하는 경우
     4. 제품보증비용에 대한 추정률을 변경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1. 정책변경: 재고자산 단가결정방법 변경, 유형자산 평가방법 변경 등
ex.선입선출에서 평균법, 원가모형에서 재평가모형으로 변경
소급법 적용. 비교가능성 높으나 신뢰성 저하 문제.
추정변경과 구분 어려운 경우 추정변경으로 간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의한 수익인식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5월)
     1. 주문개발하는 소프트웨어의 대가로 수취하는 수수료는 개발완료 시점에 계약금액 전액을 수익으로 인식한다.
     2. 수익과 관련된 비용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없다면 수익을 인식할 수 없다. 이 경우에 재화의 판매로 이미 받은 대가는 부채로 인식한다.
     3. 구두를 제조하는 (주)금은제화는 매출 향상을 위하여 상품권을 현금으로 판매하지만 수익은 고객이 상품권으로 구두를 구입하는 시점에 인식한다.
     4. 제품판매가격에 포함된 용역수수료는 제공할 용역에 대한 식별가능한 금액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금액을 이연하여 용역수행기간에 걸쳐 수익으로 인식한다.

     정답 : []
     정답률 : 21%
     <문제 해설>
용역의 수익인식은 발생기준과 진행기준에 의하여 인식하게 되므로, 개발 완료시점에 수익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인식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20. 다음은 재무제표분석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재무제표분석 기법에는 추세분석(수평적분석), 수직적분석, 재무비율분석 등이 있다.
     2. 재무비율분석은 재무제표상의 개별항목간 비율을 산출하여 기업의 재무상태나 재무성과를 분석하는 기법이다.
     3. 추세분석은 재무제표를 구성하고 있는 각 재무제표항목의 상대적 크기를 백분율로 표시하여 분석하는 것으로 재무제표 각 구성 요소들이 차지하는 상대적 중요성을 비교하는데 유용하다.
     4. 재무제표분석이란 기업의 과거 재무성과와 현재의 재무상태를 평가하고 미래 수익 잠재력과 관련 위험을 예측하기 위하여 기업이 작성한 재무제표를 기초로 회계적 분석을 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2과목 : 원가관리회계


21. 제조활동과의 관련성에 따라서 원가는 제조원가와 비제조원가로 구분된다. 다음 중 비제조원가의 예로 적절한 것은 어느 것인가?(2019년 05월)
     1. 관리비
     2. 재료원가
     3. 노무원가
     4. 제조경비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관리비는 제조원가에 포함되는 원가가 아니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22. 다음이 설명하는 용어로 옳은 것은? 이것은 과거 자료를 기초로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원가를 추정하고자 할 때 설명변수(독립변수)의 변화가 피설명변수(종속변수)의 변화를 얼마나 설명하는지를 측정하는 회귀 분석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값이다.(2016년 10월)

    

     1. 상관계수
     2. 결정계수
     3. 적합계수
     4. 최소자승계수

     정답 : []
     정답률 : 25%

23. 다음 중 원가행태에 따른 원가의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원가행태란 조업도수준의 변동에 따른 원가의 변동양상을 의미한다.
     2. 원가행태분석은 원가를 변동원가와 고정원가로 분해하는 것을 포함한다.
     3. 조업도는 일정기간 동안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생산수단의 이용정도를 의미한다.
     4. 행태별 분류는 계획과 통제를 위한 원가정보의 출발점으로서 관리적 목적보다는 제품원가계산의 목적으로 더욱 중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45%

24. 다음은 원가의 개념과 관련된 내용들이다. 그 내용이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5월)
     1. 원가(cost)란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생하거나 잠재적으로 발생할 경제적 희생을 화폐적으로 측정한 것을 의미한다.
     2. 원가 중에서 미소멸된 부분을 자산이라고 하고, 소멸된 원가 중에서 수익의 실현에 기여한 부분은 비용(expense), 수익의 실현에 기여하지 못한 부분을 손실(loss)이라고 한다.
     3. 판매관리비는 각 기간별로 자원이 즉각적으로 사용되므로 재고가능원가(inventoriable cost)가 아닌 재고불가능원가 (non-inventoriable cost)로 분류된다.
     4. 직접원가와 간접원가는 원가의 행태(cost behavior)에 따른 분류이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추적가능성: 직접,간접원가
원가의행태: 고정,변동원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5. (주)상공은 직접노동시간을 기준으로 제조간접원가를 배부하고 있다. 10월의 제조간접원가 실제발생액은 ₩1,620,000이고 실제직접노동시간은 6,200시간이다. 추정 제조간접원가 총액은 ₩1,740,000이고 추정 직접노무시간은 6,000시간이다. 10월 한 달 동안 제조간접원가 과소(대)배부는 얼마인가?(2020년 10월)
     1. ₩135,000 과대배부
     2. ₩135,000 과소배부
     3. ₩103,000 과대배부
     4. ₩178,000 과대배부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추정: 1,740,000/6,000=290
290*6,200 = 1,798,000
1,798,000-1,620,000 = 178,000 과대배부
[해설작성자 : 공부중]

26. 보조부문의 원가를 배분하는 목적과 관련 없는 것은?(2015년 05월)
     1. 부문 간 상호통제와 내·외부보고
     2. 합리적인 방법에 따른 재고자산의 평가
     3. 보수적인 당기순이익의 계산
     4.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의 제공

     정답 : []
     정답률 : 38%

27. 다음 중 제조원가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5월)
     1. 본사 전산팀이 사용하는 컴퓨터의 감가상각비
     2. 공장감독자에 대한 급여
     3. 생산인력에 대한 복리후생비
     4. 공장 지게차에 사용하는 연료비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본사 전산팀의 감가상각비는 판매관리비로서 비제조원가이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28. (주)대한은 등급품 A, B를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다. 가공원가 배분을 위한 등급품 A, B의 등가계수는 작업시간을 기준으로 3 : 1이다. 다음은 10월 중 자료이다.

10월 중 총가공원가가 ₩400,000이라면 등급품 A의 단위당 제조원가는 얼마인가?
(2020년 10월)
     1. ₩4,400
     2. ₩4,100
     3. ₩3,500
     4. ₩3,000

     정답 : []
     정답률 : 14%
     <문제 해설>
가공원가의 배부기준
A : 작업시간*등가계수 = (100*2)*3 = 600(60%)
B : 작업시간*등가계수 = (400*1)*1 = 400(40%)

A의 제조원가 : 직접재료원가 + 가공원가 배부액 = 200,000 + (400,000*0.6) = 440,000

A의 단위당제조원가 : 440,000/100 = 4,4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29. 종합원가계산 과정에서 공손이 공정의 제일 마지막 시점에서 발생하고 있다면, 정상공손원가는 어떻게 부담시키는 것이 합리적인가?(2020년 10월)
     1. 완성품원가에 포함시킨다.
     2. 기말재공품원가에 포함시킨다.
     3. 기말재공품의 완성도에 따라 다르게 된다.
     4. 완성품과 기말재공품에 수량을 기준으로 나누어준다.

     정답 : []
     정답률 : 21%

30. 제품의 단위당 판매가격이 ₩100이고 단위당 변동원가가 ₩60이며, 총 고정원가가 ₩1,000원인 (주)한국의 단위당 공헌이익과 공헌 이익률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2017년 05월)

    

     1. ₩40, 40%
     2. ₩40, 60%
     3. ₩60, 40%
     4. ₩60, 60%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공헌이익= 매출액-변동비
단위당 공헌이익= 단위당 판매가격-단위당 변동원가
즉, 100-60= \40 은 단위당 공헌이익

공헌이익률= 공헌이익/매출액
단위당으로 계산하였으니 즉, 40/100= 40%
[해설작성자 : 쿠키사랑]

31. 다음은 (주)경기의 20X1 회계년도 제품제조원가 및 손익계산서의 내용이다. 공헌이익은 얼마인가?(2019년 05월)

    

     1. ₩10,000
     2. ₩9,000
     3. ₩8,000
     4. ₩6,0000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공헌이익계산서를 그려보면,

    매출액 12,000원
- 변동비 (2,000원+600원+400원)
-------------------------------
    공헌이익 9,000원

임을 알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32. 다음은 20×1년도 (주)한강의 변동제조간접원가에 대한 표준원가 및 차이분석자료이다. (주)한강의 20×1년도 실제 제품생산량은 몇 개인가? (단, 재공품은 없다.)(2018년 09월)

    

     1. 50개
     2. 60개
     3. 62개
     4. 68개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120/5 = 24
24/2 = 12(초과생산)

100/2+12 = 62
[해설작성자 : 공부중]

33. 다음 조별 종합원가계산에 대한 설명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5월)
     1.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을 혼합한 원가계산이다.
     2. 조별 종합원가계산은 단일한 종류의 제품을 연속하여 생산하는 형태에 적용한다.
     3. 당해기간의 조 직접비는 각조에 직접부과 한다.
     4. 조 간접비는 일정한 배부기준에 의하여 각 조별로 배부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조별 원가계산은 다른제품의 연속적 대량생산 종류벌 조/반 설정해서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재료는 공정의 초기에 전량투입되고 가공비는 공정의 진행에 따라 균일하게 발생한다. 기초재공품 완성도는 40%, 기말재공품 완성도는 70%이다. 평균법과 선입선출법의 가공비 완성품 환산량은? (순서대로 평균법 / 선입선출법)(2018년 05월)

    

     1. 13,600개 / 12,800개
     2. 13,700개 / 12,800개
     3. 13,700개 / 12,900개
     4. 13,600개 / 12,900개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완성품 환산량 = 개수 × 완성도(진척도)
평균법하에서의 가공비 완성품 환산량 : 완성품 13,000개 + 기말재공품 700개 = 13,700개
선입선출법하에서의 가공비 완성품 환산량 : 완성품 13,000개 + 기말재공품 700개 - 기초재공품 800개 = 12,900개
[해설작성자 : 다희쌤♡]

35. (주)대한은 A제품을 단위당 ₩200에 판매하고자 한다. A제품의 공헌이익률은 25%이며, 손익분기점 판매수량이 5,000단위라면 총고정비는 얼마인가?(2017년 05월)
     1. ₩100,000
     2. ₩250,000
     3. ₩500,000
     4. ₩1,000,000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손익분기점 판매액= 손익분기점 판매수량*단가 = 5000*200 = 100만
손익분기점 판매액 = 총고정비/공헌이익률 → 100만 = X/0.25 → X = 25만
[해설작성자 : 큐트]

36. (주)대한의 제16기 영업성과는 다음과 같다. 제16기 중 고정비는 얼마인가?(2020년 05월)

    

     1. ₩200,000
     2. ₩185,000
     3. ₩175,000
     4. ₩160,000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 = 당기순이익/(1-법인세율) = 100,000/(1-0.2) = 125,000
총비용 = 매출액 -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 = 1,500,000-125,000 = 1,375,000
고정비 = 총비용*(1-변동비율) = 1,375,000*(1-0.8) = 275,0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3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매출액:            1,500,000
변동비(80%): 1,200,000
공헌이익(20%): 300,000
고정비 :            
영업익:            125,000(당익순이익100,000/0.8(1-법인세율))
결과:고정비: 175,000
<빠른풀이> 변동비 80% 이므로, 공헌이익률 20% 이므로 공헌이익 300,000 영업이익은 당기순이익에 법인세 차감액 이므로
300,000 - 고정비 =125,000
따라서 고벙비:175,000
[해설작성자 : 수험생]

37. (주)한강은 표준원가계산제도를 도입하였다. (주)한강의 고정제조간접비 실제 발생액은 ₩46,000이며, 고정제조간접비 예산차이(소비차이)는 ₩6,000 불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고정제조간접비 조업도차이는 ₩10,000 불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한강의 고정제조간접비 표준원가는 제품생산량당 2시간, 시간당 ₩5이다. 실제로 3,000개의 제품을 생산하였다. (주)한강의 기준조업도를 구하면?(2018년 05월)
     1. 4,000시간
     2. 6,000시간
     3. 8,000시간
     4. 10,000시간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실제        기준조업도x예정배부
46000원        8000                    5
                        (6000불리)40000                        
답 40000 / 5 =8000시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다음 중 표준원가계산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종합원가계산뿐만 아니라 개별원가계산에도 적용할 수 있다.
     2. 전부원가계산에는 적용가능하나, 변동원가계산에는 적용할 수 없다.
     3. 원가관리 및 통제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4. 장부기입 업무를 간소화 할 수 있으며, 원가차이조정을 통하여 외부보고용 재무제표를 작성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8%

39. (주)한국의 20X1년도 목표이익을 달성하기 위한 매출액은 ₩500,000이다. (주)한국의 제품 단위당 가격은 ₩500이며, 단위당 변동원가는 ₩250이다. 총 고정원가가 ₩200,000일 때 (주)한국의 20X1년도 목표 이익은 얼마인가?(2018년 09월)
     1. ₩0
     2. ₩50,000
     3. ₩100,000
     4. ₩200,000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매출액이 500,000이므로 이 때의 판매량은 500,000 ÷ 500 = 1,000개 이다.
따라서 수량을 넣어 공헌이익계산서를 그려보면,

매출액 : 500 × 1,000
변동원가 : 250 × 1,000
--------------------------
공헌이익 : 250 × 1,000
고정원가 : 200,000
-------------------------
목표이익 : 50,000 이므로, 답은 2번이 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40. 다음 중 여러 종류의 제품을 고객의 다양한 주문 사양에 맞추어 생산하는 회사의 상황에 가장 적합한 원가계산시스템은?(2016년 05월)
     1. 종합원가계산
     2. 개별원가계산
     3. 표준원가계산
     4. 소매재고법

     정답 : []
     정답률 : 73%

41. 다음 중 현실적인 퇴직에 속하는 경우는?(2020년 05월)
     1. 종업원이 임원이 된 경우
     2. 합병·분할 등 조직변경, 사업양도, 직접·간접으로 출자관계에 있는 법인으로의 전출이 이루어진 경우
     3. 법인의 상근임원이 비상근임원이 된 경우
     4. 근로자가 주택구입 등 긴급한 자금이 필요한 사유로 퇴직금을 퇴직하기 전에 미리 중간정산하여 지급받은 경우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현실적인 퇴직
- 종업원이 임원이 된 경우
- 상근임원이 비상근임원이 된 경우
- 퇴직급여 중간정산을 받은 경우
비현실적 퇴직
- 특수관계인 법인으로 전출이 이루어진경우 원칙적으로 퇴직으로 보나, 특수관계인법인에 근무한 기간을 합산하여 퇴직급여를 지급하는 경우 현실적인 퇴직으로 보지 아니한다.

문제가 틀린것 같습니다.



[오류신고 반론]
법인세법 시행령 44조 2항1호에 보면 현실적인 퇴직 사유 중 법인의 직원이 해당 법인의 임원으로 취임한 때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회계쟁이 비르]

42. 다음 중 거주자 김갑동씨의 2018년 이자소득금액을 바르게 계산한 것은? (단, 종합과세나 분리과세 여부는 고려하지 않는다.)(2018년 09월)

    

     1. ₩8,000,000
     2. ₩10,900,000
     3. ₩11,000,000
     4. ₩21,000,000

     정답 : []
     정답률 : 35%

43.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 상의 사업장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10월)
     1. 부동산임대업의 사업장은 부동산의 등기부상 소재지이다.
     2. 직매장은 사업장으로 보지 않는다.
     3. 하치장은 사업장으로 본다.
     4. 주사업장 총괄납부 사업자는 주된 사업장에서 총괄하여 신고·납부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부동산임대업- 부동산등기부상 소재지
하치장- 단순한보관관리만 한다 사업자 아니다
직매장- 사업장에해당(사업자등록을 해야함)
주사업장총괄납부 사업자- 주된 사업장에서 일괄하여 납부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위내용중 다른건 다맞는데
주사업장 총괄납부 사업자는 주된사업장에서 총괄하여 신고납부(X)-> 납부환급(O)할수 있다
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법인세법상 기부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특수관계 없는 자에게 정당한 사유 없이 자산을 정상가액보다 낮은 가액으로 양도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증여한 것으로 인정되는 금액은 기부금으로 본다. (단, 여기서 정상가액이란 시가의 30%를 차감한 범위의 가액을 의미함)
     2. 기부금은 발생주의에 따라서 손금을 계상한다.
     3. 지정기부금한도초과액은 그 다음 사업연도의 개시일로부터 5 년 이내(2009년 12월 31일 이전은 3년)에 종료하는 각 사업 연도에 이월하여 차기 이후 연도의 지정기부금한도 미달분의 범위 내에서 손금에 산입한다.
     4. 현물기부금이 법정기부금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기부 당시의 장부금액으로 평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21%

45. 내국법인인 (주)상공은 물품을 중국 거래처로 국제운송을 통하여 배송하고자 한다. 국제운송에서 과세거래로 인정할 수 있는 용역발생의 장소로 옳은 것은?(2019년 05월)
     1. 물품이 생산된 공장
     2. 물품이 적재된 항공기
     3. 물품이 도착한 국제공항
     4. 물품을 뜯어서 사용한 중국 현지거래처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부가가치세법 제20조(용역의 공급장소)
① 용역이 공급되는 장소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곳으로 한다.
1. 역무가 제공되거나 시설물, 권리 등 재화가 사용되는 장소
2. 국내 및 국외에 걸쳐 용역이 제공되는 국제운송의 경우 사업자가 비거주자 또는 외국법인이면 여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이 적재되는 장소
② 제1항에서 규정한 사항 외의 용역이 공급되는 장소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부가가치세법에 따른 영세율과 면세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5월)
     1. 영세율 적용대상자는 부가가치세법에 따른 납세의무자 이지만, 면세 적용대상자는 부가가치세법에 따른 납부세 의무자가 아니다.
     2. 영세율 적용의 목적은 소비지국 과세원칙의 구현 등에 있고, 면세의 경우는 부가가치세의 역진성 완화 등에 있다.
     3. 영세율 적용대상자와 면세 적용대상자는 부가가치세법에 따른 제반의무를 반드시 이행하여야 한다.
     4. 영세율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매입세액을 환급받을 수 있는 반면, 면세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매입세액을 환급받을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면세적용대상자는 부가가치세법상 사업자가 아니므로 부가가치세법에 따른 제반의무를 이행할 필요는 없으나, 다만 사업장현황신고시 소득세법에 따라 협력의무를 제공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47. 다음은 2017.10.31 퇴사한 거주자 박대한 과장에 대한 자료이다. 퇴직소득금액은 얼마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7년 05월)

    

     1. ₩65,000,000
     2. ₩71,000,000
     3. ₩115,000,000
     4. ₩125,000,000

     정답 : []
     정답률 : 1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퇴직소득금액 : 가, 나
퇴직급여지급규정에 없는 퇴직공로금은 근로소득

100,000,000+15,000,000 = 115,000,0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4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48. 영세한 사업자들에게 납세의무이행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간이과세제도를 두고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20년 10월)
     1. 둘 이상의 업종을 겸영하는 경우에는 수입금액이 큰 업종의 업종별 부가가치율에 세율 10%를 적용하여 납부세액을 계산한다.
     2. 일반과세자가 간이과세자로 변경되는 경우 재고품 및 감가상각자산에 대하여 일반과세자로서 이미 공제받은 매입세액에 대한 정산을 하여야 한다.
     3. 법인사업자는 간이과세자가 될 수 없다.
     4. 간이과세자에게는 세금계산서미교부가산세, 매출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 미제출 가산세 등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정답 :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공급대가(VAT포함)*업종별부가가치율*10%
[해설작성자 :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1년 세법 개정으로 세금계산서 발급 의무가 있는 간이과세자가 세금계산서를 미발행, 매출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 미제출하면 가산세가 부과됨.
4번도 정답으로 수정 필요함.
[해설작성자 : 1트 합격 기원]

49. 부가가치세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5월)
     1. 부가가치세는 원칙적으로 전단계세액공제법을 적용하고 있다.
     2. 부가가치세는 간접세에 해당한다.
     3. 음식점업은 재화의 공급을 주요 사업 내용으로 한다.
     4. 누진세율을 적용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음식점업 면세의제매입세액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제3조(용역의 범위) ① 법 제2조제2호에 따른 용역은 재화 외에 재산 가치가 있는 다음 각 호의 사업에 해당하는 모든 역무(役務)와 그 밖의 행위로 한다. <개정 2019. 2. 12., 2020. 2. 11.>

1. 건설업
2. 숙박 및 음식점업
3. 운수 및 창고업
4. 정보통신업(출판업과 영상ㆍ오디오 기록물 제작 및 배급업은 제외한다)
5. 금융 및 보험업
6. 부동산업. 다만, 다음 각 목의 사업은 제외한다.
가. 전ㆍ답ㆍ과수원ㆍ목장용지ㆍ임야 또는 염전 임대업
나.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른 공익사업과 관련해 지역권ㆍ지상권(지하 또는 공중에 설정된 권리를 포함한다)을 설정하거나 대여하는 사업
7.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과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서비스업
8.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9. 교육 서비스업
10.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11.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12.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과 제조업 중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3. 가구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소비 생산활동
14. 국제 및 외국기관의 사업
② 제1항제1호 및 제6호에도 불구하고 건설업과 부동산업 중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사업은 재화(財貨)를 공급하는 사업으로 본다.

[오류 신고]
음식점업의 면제의제매입세액은 본 문제와 무관해보입니다.
면세의제매입세액은 면세농산물 등을 원재료로 하여 제조, 가공한 재화 또는 창출한 용역의 공급 중 부가세 과세되는 경우(예. 쌀(면세)로 떡을 만드는 개인 사업자 등) 면세농산물 등을 공급 또는 수입 시에 매입세액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공제하는 것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0. 다음 기타소득에 대한 자료를 보고 소득금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7년 09월)

    

     1. 6,700,000원
     2. 6,200,000원
     3. 2,200,000원
     4. 1,700,000원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세법이 변경되어 현재 이 문제의 답은 190만 원이다.
강연료 : 필요경비 60% 인정이므로 소득금액 40만 원
골동품양도소득 : 10년이상 보유하였으므로 필요경비 90% 인정, 수입금액 100만 원
원고료 : 필요경비 60% 인정이나 필제 필요경비가 450만 원이므로 수입금액 50만 원
[해설작성자 : 다희쌤♡]

51. 다음 중 우리나라 부가가치세법상 납세의무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사업목적이 비영리인 사업자가 독립적으로 재화나 용역을 공급하는 경우 부가가치세 납부의무가 없다.
     2. 재화나 용역을 소비하는 소비자는 부가가치세법상 납세의무가 있다.
     3. 사업자인 개인, 법인, 국가, 지방자치단체, 법인격 없는 사단법인 모두는 국가에 부가가치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다.
     4. 법인격이 없는 재단이 국외로부터 재화를 수입하는 경우 부가가치세 납세의무자에 해당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43%

52. 부가가치세법 상 영세율 적용과 면세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8년 05월)
     1. 영세율 적용 사업자와 면세사업자는 부가가치세법 상 거의 동일한 의무를 이행한다.
     2. 면세 대상 재화와 영세율 적용 대상 재화의 부가가치세율은 동일하다.
     3. 부가가치세법에 영세율 포기 제도는 존재하나, 면세포기제도는 없다.
     4. 영세율 적용 사업자는 매입세액을 환급받을 수 있으나, 면세 사업자는 매입세액을 환급받을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번 보기 : 영세율적용사업자는 일반과세자로서 부가가치세법상 사업자이므로 모든 제반의무를 이행하여야 하나, 면세사업자는 부가가치세법상 사업자가 아니라 소득세법/법인세법상 사업자이므로 협력의무만 지닌다.
2번 보기 : 면세 재화는 세금이 면제되는 것이고, 영세율 재화는 세금이 0%인 것이다.
3번 보기 : 면세포기제도도 존재한다(영세율을 적용받고자 할 때 수출분에 대하여서만 면세포기, 3년간 다시 면세 적용받지 못함).
[해설작성자 : 다희쌤♡]

53. 우리나라의 보세구역 내에서 부품제조업을 하고 있는 사업자 한상공씨는 외국에서 도착한 물품을 원재료로 하여 생산한 제품을 보세구역 밖에서 사업을 하고 있는 박길동씨에게 ₩20,000,000(부가가치세 제외)에 공급하였다. 그 관세의 과세가격이 ₩3,000,000, 관세가 ₩2,000,000이라고 할 때 세관장이 징수할 부가가치세는 얼마인가?(2018년 05월)
     1. ₩600,000
     2. ₩700,000
     3. ₩500,000
     4. ₩800,000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세관장이 발행하는 수입세금계산서의 공급가액 = 관세의 과세가격 + 관세 + 개별소비세/주세/농특세 등 부가세
(3,000,000 + 2,000,000)×10% = 500,000원이 부가가치세가 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54.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간이과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간이과세자는 과세표준에 당해 업종의 부가가치율을 적용 하고 이 금액에 세율을 곱하여 계산한 금액을 납부세액 으로 한다.
     2. 간이과세자가 다른 사업자로부터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아 매입처별 세금계산서합계표를 제출하는 경우에는 매입세액을 전액 공제받을 수 있다.
     3. 간이과세자의 과세표준은 부가가치세가 포함된 공급대가의 합계액이다.
     4. 간이과세자는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의 경우 세금계산서 발급이 가능한 간이과세자는 다른 사업자로부터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아 매입처별 세금계산서 합계표를 제출하는 경우 매입세액을 전액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일반과세자와 달리 환급이 불가능합니다. 그러므로 2번은 맞는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조모모]

[추가 오류 신고]
4번 간이과세자는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없다고 나오는데 부가가치세법시행령 68조 1항을 보면 " 직전 연도의 사업장별 재화 및 용역의 공급가액(면세공급가액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의 합계액이 8천만원 이상인 개인사업자(그 이후 직전 연도의 사업장별 재화 및 용역의 공급가액이 8천만원 미만이 된 개인사업자를 포함하며, 이하 이 조에서 “전자세금계산서 의무발급 개인사업자”라 한다." 라고 나와있는데 8,000만원을 초과하는 개인사업자도 부가가치세법 61조에 따라 일부 간이과세짇가 될 수 있으므로 4번 답이 정답이 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나마비루]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55. 과세사업과 면세사업을 겸영하고 있는 (주)한양의 부가가치세 신고 시 과세표준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5월)
     1. (주)한양이 과세사업과 면세사업에 공통으로 사용하던 재화를 공급하는 경우, 원칙적으로 그 대가로서 받는 금액 중 면세사업과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는 부가가치세를 면제하고 과세사업과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는 부가가치세를 거래 징수하여야 한다.
     2. 그 대가로서 받는 금액 중 과세사업 관련 부분과 면세사업 관련 부분이 불분명한 경우 공급일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공급가액을 기준으로 안분계산하여 과세사업 관련 부분에 대하여 부가가치세를 징수한다.
     3. 그 대가로서 받는 금액 중 과세사업 관련 부분과 면세사업 관련 부분이 불분명한 경우일지라도 재화의 공급가액이 50만 원 미만인 경우에는 안분계산을 생략하고 공급가액 전체를 과세표준으로 한다.
     4. (주)한양이 과세사업에만 사용하던 재화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공급가액 전체를 과세표준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과면세 겸영사업자의 공통사용재화의 공급시 '직전과세기간'의 공급가액을 기준으로 안분하여 부가가치세를 징수한다.
공통사용재화의 매입시에는 '해당과세기간'의 공급가액, 매입가액, 예정공급가액 순으로 기준하여 안분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56. 일반과세사업자인 (주)상공은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상가건물을 임대하고, 보증금 없이 1년 임대료 ₩12,000,000을 1월 1일에 선불로 받았다. 동 임대용역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8년 05월)
     1. 1기에 신고할 공급가액은 ₩12,000,000이다.
     2. 2기에 신고할 공급가액은 없다.
     3. 2기에 신고할 공급가액은 ₩6,000,000이다.
     4. 1기에 신고할 공급가액은 없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부동산임대용역의 선수임대료에 대하여서는 진행기준으로 안분하여야 하기 때문에 1기에 600만원, 2기에 600만원이 신고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57. 부가가치세법상 과세유형의 전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간이과세자가 간이과세 적용이 배제되는 사업을 신규로 겸영 하는 경우에는 당해 사업의 개시일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다음 과세기간부터 간이과세자에 관한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2. 과세유형이 변경되는 경우에 당해 사업자의 관할세무서장은 그 변경되는 과세기간 개시 20일전까지 그 사실을 통지하여야 하며, 사업자등록증을 정정하여 과세기간 개시당일까지 발급하여야 한다.
     3. 소매업을 영위하는 사업자가 일반과세자에서 간이과세자로 변경될 경우 과세관청의 과세유형전환사실에 대한 통지가 없으면 간이과세자로 전환되지 않는다.
     4. 간이과세자에서 일반과세자로 변경되어 간이과세가 적용되지 않게 되는 사업자에 대하여는 그 통지를 받은 날이 속하는 과세기간까지는 간이과세를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32%

58. (주)상공은 2017년 2기에 건물과 토지를 공급하였으며 건물의 공급가액은 ₩10,000,000으로 하고 토지의 공급가액은 ₩20,000,000으로 하여 총 ₩30,000,000으로 공급하였다. 부가 가치세 과세대상이 되는 공급가액은 얼마인가?(2017년 05월)
     1. \10,000,000
     2. \20,000,000
     3. \30,000,000
     4. \40,000,000

     정답 : []
     정답률 : 60%

59.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 김대한(남, 52세)씨의 인적공제액(기본공제와 추가공제)은 얼마인가?(2018년 05월)

    

     1. ₩5,000,000
     2. ₩6,000,000
     3. ₩7,000,000
     4. ₩8,000,000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배우자 : 기본공제 150만원 + 장애인추가공제 200만원 = 350만원
자녀 1 : 기본공제 150만원(이자소득 200만원은 분리과세 대상임)
자녀 2 : 기본공제 150만원
본인 : 기본공제 150만원
합계 : 800만원
[해설작성자 : 다희쌤♡]

60. 다음 자료에 의하여 연간 근로소득금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20년 10월)

    

     1. ₩8,350,000
     2. ₩8,860,000
     3. ₩9,880,000
     4. ₩10,000,000

     정답 : []
     정답률 : 16%
     <문제 해설>
총급여액                                             근로소득공제액
500만원 이하                                     총급여액 X 70%
500만원 초과 1,500만원 이하        350만원 + (총급여액 - 500만원) X 40%
1,500만원 초과 4,500만원 이하    750만원 + (총급여액 - 1,500만원) X 15%
4,500만원 초과 1억원 이하            1,200만원 + (총급여액 - 4,500만원) X 5%

계산>
→350+(1500-500)*40%= 750
→750+(1660-1500)*15%= 24
=750+24= 774
=1660-774= 886만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급여 100만원    12개월, 연간상여 400만원, 월식대 비과세 10만원 제외 5만원의 12개월
* 총급여 16,600,000원 - 근로소득공제금액 7,740,000원 : 750만원 + ((총급여액 - 1,500만원) X 15%)
= 근로소득금액 8,860,000원
[해설작성자 : 나그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세법 개정으로 23년도부터 식대 비과세 금액 10만원 → 20만원 변경됨.

총급여=(1,000,000x12)+4,000,000=16,000,000
근로소득공제액=7,500,000+(1600만원-1500만원)x15%=7,650,000
근로소득금액=16,000,000-7,650,000=8,350,000
[해설작성자 : 1트 합격 기원]


정 답 지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475912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재무회계


1. 합계시산표나 잔액시산표의 차변과 대변의 합계액이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분개장의 분개로부터 시산표를 작성할 때까지의 절차를 거슬러 조사하여 불일치 원인을 가려내야 한다. 다음 중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시산표의 대변, 차변의 합계액 계산에 틀림이 없는가를 검산한다.
     2. 분개장에서 각 거래별 계정과목 사용에 오류가 없는지 확인한다.
     3. 분개장으로부터 총계정원장의 전기에 잘못이 없는가를 확인한다.
     4. 총계정원장의 각 계정합계액과 잔액의 계산에 틀림이 없는지 검산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거래 발생 ------> 분개장에 기입 ------> 총계정원장에 전기 ---------->시산표 작성

1,3,4 는 차변과 대변의 금액이 맞는지 아닌지 알 수 있지만
2번의 내용은 계정과목 사용이 잘못되어도 금액과는 상관이 없기 때문에
문제의 시산표 차, 대변 합계액익 일치하지 않는 상황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

2. 시산표의 작성과정에서 발생한 다음의 오류 중에서 시산표의 작성만으로 발견할 수 있는 오류는?(2018년 05월)
     1. 총매출액 ₩5,280을 시산표에 표기하는 과정에서 ₩5,200으로 옮겨 적었다.
     2. 고객에게 ₩2,250에 용역을 외상으로 제공하고 미수금계정에 ₩2,250을 차기하고 매출계정의 대변에 ₩2,250을 기록하였다.
     3. 원가 ₩820인 자동차를 외상으로 구입하고 판관비의 차변에, 매입채무의 대변에 기록하였다.
     4. 판매용 건물의 1년치 임대료로 현금 ₩1,200을 지급하고 기타비용계정에 ₩1,200을 차기하고 현금계정의 대변에 ₩1,200을 기록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시산표는 결산 확정 전에 분개장에서 총계정원장의 각 계정으로 정확히 전기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대차평균 원리를 이용하는 표이므로
차대변 금액이 같은 경우 시산표 작성만으로 발견 가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합계시산표나 잔액시산표의 차변과 대변의 합계액이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분개장의 분개로부터 시산표를 작성할 때까지의 절차를 거슬러 조사하여 불일치 원인을 가려내야 한다. 다음 중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시산표의 대변, 차변의 합계액 계산에 틀림이 없는가를 검산한다.
     2. 분개장에서 각 거래별 계정과목 사용에 오류가 없는지 확인한다.
     3. 분개장으로부터 총계정원장의 전기에 잘못이 없는가를 확인한다.
     4. 총계정원장의 각 계정합계액과 잔액의 계산에 틀림이 없는 지를 검산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4. 다음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1007호에 따른 현금흐름표에 대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 무엇인가?(2015년 05월)
     1. 현금흐름표상의 현금성자산이란 보유 현금과 요구불예금을 말한다.
     2. 은행으로부터의 차입은 일반적으로 재무활동으로 간주된다.
     3. 현금흐름표는 회계기간 동안 발생한 현금흐름을 영업활동, 투자활동 및 재무활동으로 분류하여 보고한다.
     4. 이자와 차입금을 상환하는 경우, 이자지급은 영업활동으로 분류될 수 있고, 원금상환은 재무활동으로 분류된다.

     정답 : []
     정답률 : 29%

5. 2015.12.31 기준으로 은행계정조정표를 작성하기 위해 다음 자료를 이용하는 경우, 회사 측 당좌예금계정의 수정 후 올바른 잔액은 얼마인가? (단, 아래 언급된 내용 이외에 미반영사항은 없다고 가정한다.)(2015년 05월)

   

     1. ₩5,080,000
     2. ₩5,100,000
     3. ₩5,330,000
     4. ₩5,380,000

     정답 : []
     정답률 : 31%

6. ㈜갑은 20X1년초에 임대목적으로 건물을 ₩1,000,000에 취득하였다. 감가상각을 적용한다면 상각방법은 정액법, 내용연수는 5년, 잔존가치는 없다고 가정한다. 당해 건물의 공정가치는 20X1년 말 ₩1,100,000, 20X2년 말 ₩1,050,000이다. ㈜갑은 당해 건물을 투자부동산으로 분류하고 공정가치모형을 적용한다고 할 때,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2018년 05월)
     1. 20X1년도 감가상각비는 ₩200,000이다.
     2. 20X1년도 투자부동산평가이익은 ₩300,000으로 기타포괄이익으로 인식한다.
     3. 20X1년도 투자부동산평가이익은 ₩100,000으로 기타포괄이익으로 인식한다.
     4. 20X2년도 투자부동산평가손실은 ₩50,000으로 당기손실로 인식한다.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문제에서 공정가치모형을 적용한다고 하였으니, 감가상각은 하지 않고 평가만 합니다.
따라서, 1번과 2번은 감가상각을 했을 때 정답으로 고를 수 있는 것이고,
3번 같은 경우에는 100,000원은 맞으니 당기손익으로 인식해야 맞는 것 입니다.
[해설작성자 : 오늘전운사1급시험보러간다합격기원]

7. 다음 자료를 바탕으로 당기순이익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아래 내용 이외의 거래는 없다고 가정한다.)(2017년 09월)

   

     1. ₩150
     2. ₩200
     3. ₩250
     4. ₩300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당기순이익 : 매출액 1,000 - 매출원가 600 - 종업원급여 200 + 미수수익 50 = 250
소모품, 선급보험료, 기초이익잉여금은 자산, 자본관련 계정이므로 당기순이익에 영향이 없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8. 다음 중 현금흐름표의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에 해당하는 거래는?(2017년 09월)

   

     1. 가, 나, 다
     2. 나, 다, 라
     3. 가, 다
     4. 가, 라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재무활동 : 영업활동과 관계 없는 부채와 자본의 증감내역
가 : 재무활동
나 : 투자활동
다 : 재무활동
라 : 투자활동
[해설작성자 : 다희쌤♡]

투자활동 : 비유동자산에 영향을 미치는 거래
나. 차)대여금                         대)현금
라. 차)기계장치                     대)현금
             (자산증가)

재무활동 : 부채,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거래
가. 차)차입금                                         대)현금
다. 차)금융리스부채 또는 미지급금        대)현금
[해설작성자 : 나는짱아맘]

9. 다음 중 취득원가 ₩1,800,000의 토지를 ₩2,000,000에 외상으로 처분한 거래를 올바르게 분개한 것은?(2020년 05월)
     1.
     2.
     3. (차) 미 수 금 1,800,000 (대) 토 지 1,800,000
     4. (차) 미지급금 2,000,000 (대) 토 지 2,000,000

     정답 : []
     정답률 : 58%

10. ㈜갑은 A회사 주식을 20X1년 중에 ₩10,000에 구입하였으며, 매입부대비용으로 ₩500을 현금으로 지급하였다. A회사 주식의 20X1연말 공정가치는 ₩11,000 이다. ㈜갑이 A주식을 '매도 가능금융자산'으로 분류하였다고 할 때, 20X1년말 당기손익과 기타포괄손익에 미치는 영향으로 올바른 것은?(2017년 09월)
     1. (당기손익) ₩500 가산 (기타포괄손익) 변화 없음
     2. (당기손익) ₩500 감산 (기타포괄손익) ₩1,000 가산
     3. (당기손익) 변화 없음 (기타포괄손익) ₩500 가산
     4. (당기손익) 변화 없음 (기타포괄손익) ₩1,000 가산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매도가능금융자산 구입 시 부대비용은 자산금액에 가산하므로 당초 구입시 주식의 매입가액은 10,500원이다.
기말 재평가시 11,000원과의 차이금액은 500이며, 매도가능금융자산의 평가손익은 기타포괄손익이므로 기타포괄손익이 500원만큼 증가한다. 이 때 당기손익은 변화가 없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11.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의하면 상각후원가측정 금융부채는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하여 상각후원가로 후속측정한다. 이와 관련된 설명 중 옳은 것은?(2018년 09월)
     1. 할인발행 또는 할증발행에 따른 발행차금의 상각액은 매년 감소한다.
     2. 할증발행된 경우 이자비용은 매년 증가한다.
     3. 사채발행비는 사채기간에 걸쳐 정액법으로 상각한다.
     4. 사채발행 시점에서 사채발행비가 지출된 경우 발행당시의 유효이자율은 발행당시의 시장이자율보다 높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4번 보기 : 유효이자율은 시장이자율과는 다른 개념이다. 사채발행비가 지출된 경우 이는 할증발행/할인발행차금에서 조정이 되므로 발행당시 시장이자율보다 유효이자율이 높아지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맞는 지문이다.

1번 보기 : 할인발행의 경우 발행차금의 상각액은 점차 증가하게 되며, 할증발행의 경우에만 상각액이 매년 감소한다.
2번 보기 : 할증발행 된 경우 이자비용은 매년 감소하게 된다.
3번 보기 : 사채발행비는 유효이자율법으로 상각하는 것이 원칙이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12. 유형자산의 감가상각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유형자산을 구성하는 일부의 원가가 당해 유형자산의 전체 원가에 비교하여 유의적이라면, 해당 유형자산을 감가상각할 때 그 부분은 별도로 구분하여 감가상각한다.
     2. 유형자산의 원가는 그 유형자산을 구성하고 있는 유의적인 부분에 배분하여 각 부분별로 감가상각한다.
     3. 유형자산의 전체원가에 비교하여 해당 원가가 유의적이지 않은 부분은 반드시 함께 감가상각하여야 한다.
     4. 각 기간의 감가상각액은 일반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유형자산에 내재된 미래경제적효익이 다른 자산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유형자산의 감가상각액은 해당 자산의 원가의 일부가 된다.

     정답 : []
     정답률 : 42%

13. 다음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중 내용연수가 유한한 무형자산의 상각방법과 관련된 내용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말은?(2015년 05월)

    

     1. 정액법
     2. 정률법
     3. 이중체감법
     4. 연수합계법

     정답 : []
     정답률 : 62%

14. (주)전산은 20X1년 1월 1일에 회사채(액면가액 ₩200,000,000, 만기일 20X3년 12월 31일, 액면이자율 연10%, 이자지급일 매년 12월 31일)를 ₩195,112,200에 발행하였다. 사채발행 당시의 유효이자율이 연11%이고 사채발행차금을 이자지급 시에 유효이자율법으로 상각한다고 한다. 20X1년 12월 31일에 (주)전산은 위 사채(액면가액 ₩100,000,000)를 ₩97,500,000에 취득하였다. 20X1년 12월 31일 사채이자 지급 후 자기사채 취득과 관련한 사채상환손익은 얼마인가?(2018년 05월)
     1. 사채상환손실 ₩448,780
     2. 사채상환이익 ₩56,250
     3. 사채상환손실 ₩758,533
     4. 사채상환이익 ₩787,271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X1.12.31의 사채가액 = 195,112,200 + 1,462,342 = 196,574,542
(할인발행차금상각액 1,462,342 = 195,112,200 × 11% - 200,000,000 × 10% (액면이자와 유효이자의 차이))
이 중 50%의 금액인 98,287,271원을 97,500,000원에 상환하였으므로 (주)전산은 787,271원의 사채상환손익이 발생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15. 다음 중 결산 시 수정분개 내용으로 옳은 것은? (단, 3월 1일의 1년분 임대료 \120,000을 수령하였으며, 7월 1일의 1년분 보험금 지급액은 \150,000이고, 결산일은 12월 31일이다.)(2016년 10월)
     1. 7월 1일에 보험금지급액을 선급보험료로 계상하였다면, 12월 31일에는 비용 \75,000을 계상하는 수정분개가 필요하다.
     2. 3월 1일에 임대료수령액을 수익으로 계상하였다면, 12월 31일에는 자산 \100,000을 증가시키는 수정분개가 필요하다.
     3. 7월 1일에 보험금지급액을 보험료비용으로 계상하였다면, 12월 31일에는 부채 \75,000을 증가시키는 수정분개가 필요하다.
     4. 3월 1일에 임대료수령액을 선수임대료로 계상하였다면, 12월 31일에는 수익 \20,000을 증가시키는 수정분개가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50%

16. 다음 중 단기종업원급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종업원이 관련 근무용역을 제공하는 연차보고기간 이후 12개월 이전에 전부 결제될 것으로 예상되는 종업원급여이다.
     2. 보험수리적손익이 발생하지 않으며, 현재가치로 할인하지도 않아 측정이 단순하다.
     3. 이익분배제도와 상여금제도로 인한 의제의무를 측정할 때에는 일부 종업원의 퇴사할 가능성을 고려한다.
     4. 화폐성 급여만을 포함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17. 20X1년 초에 설립된 ㈜상공의 20X1년 말 포괄손익계산서상 법인세비용은 ₩500,000이었다. 세무조정 후 당기법인세부채는 ₩460,000으로 기록되었다. 이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옳은 것은? (단, 회계이익과 과세소득 간 차이는 모두 일시적 차이가 그 원인이라고 가정한다.)(2020년 10월)
     1. 법인세비용이 ₩40,000 감소하였다.
     2. 법인세비용이 ₩10,000 증가하였다.
     3. 이연법인세부채 계정(부채)의 잔액이 ₩40,000 증가하였다.
     4. 이연법인세부채 계정(부채)의 잔액이 ₩40,000 감소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법인세비용 500,000 = 이연법인세부채 40,000 + 당기법인세부채 460,000
[해설작성자 : CPA 준비생]

18. 다음 중 회계추정의 변경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6년 05월)
     1. 유형자산을 원가모형에서 재평가모형으로 변경하는 경우
     2. 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추정률을 변경하는 경우
     3. 설비의 내용연수를 변경하는 경우
     4. 제품보증비용에 대한 추정률을 변경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1. 정책변경: 재고자산 단가결정방법 변경, 유형자산 평가방법 변경 등
ex.선입선출에서 평균법, 원가모형에서 재평가모형으로 변경
소급법 적용. 비교가능성 높으나 신뢰성 저하 문제.
추정변경과 구분 어려운 경우 추정변경으로 간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의한 수익인식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5월)
     1. 주문개발하는 소프트웨어의 대가로 수취하는 수수료는 개발완료 시점에 계약금액 전액을 수익으로 인식한다.
     2. 수익과 관련된 비용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없다면 수익을 인식할 수 없다. 이 경우에 재화의 판매로 이미 받은 대가는 부채로 인식한다.
     3. 구두를 제조하는 (주)금은제화는 매출 향상을 위하여 상품권을 현금으로 판매하지만 수익은 고객이 상품권으로 구두를 구입하는 시점에 인식한다.
     4. 제품판매가격에 포함된 용역수수료는 제공할 용역에 대한 식별가능한 금액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금액을 이연하여 용역수행기간에 걸쳐 수익으로 인식한다.

     정답 : []
     정답률 : 21%
     <문제 해설>
용역의 수익인식은 발생기준과 진행기준에 의하여 인식하게 되므로, 개발 완료시점에 수익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인식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20. 다음은 재무제표분석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재무제표분석 기법에는 추세분석(수평적분석), 수직적분석, 재무비율분석 등이 있다.
     2. 재무비율분석은 재무제표상의 개별항목간 비율을 산출하여 기업의 재무상태나 재무성과를 분석하는 기법이다.
     3. 추세분석은 재무제표를 구성하고 있는 각 재무제표항목의 상대적 크기를 백분율로 표시하여 분석하는 것으로 재무제표 각 구성 요소들이 차지하는 상대적 중요성을 비교하는데 유용하다.
     4. 재무제표분석이란 기업의 과거 재무성과와 현재의 재무상태를 평가하고 미래 수익 잠재력과 관련 위험을 예측하기 위하여 기업이 작성한 재무제표를 기초로 회계적 분석을 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2과목 : 원가관리회계


21. 제조활동과의 관련성에 따라서 원가는 제조원가와 비제조원가로 구분된다. 다음 중 비제조원가의 예로 적절한 것은 어느 것인가?(2019년 05월)
     1. 관리비
     2. 재료원가
     3. 노무원가
     4. 제조경비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관리비는 제조원가에 포함되는 원가가 아니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22. 다음이 설명하는 용어로 옳은 것은? 이것은 과거 자료를 기초로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원가를 추정하고자 할 때 설명변수(독립변수)의 변화가 피설명변수(종속변수)의 변화를 얼마나 설명하는지를 측정하는 회귀 분석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값이다.(2016년 10월)

    

     1. 상관계수
     2. 결정계수
     3. 적합계수
     4. 최소자승계수

     정답 : []
     정답률 : 25%

23. 다음 중 원가행태에 따른 원가의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원가행태란 조업도수준의 변동에 따른 원가의 변동양상을 의미한다.
     2. 원가행태분석은 원가를 변동원가와 고정원가로 분해하는 것을 포함한다.
     3. 조업도는 일정기간 동안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생산수단의 이용정도를 의미한다.
     4. 행태별 분류는 계획과 통제를 위한 원가정보의 출발점으로서 관리적 목적보다는 제품원가계산의 목적으로 더욱 중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45%

24. 다음은 원가의 개념과 관련된 내용들이다. 그 내용이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5월)
     1. 원가(cost)란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생하거나 잠재적으로 발생할 경제적 희생을 화폐적으로 측정한 것을 의미한다.
     2. 원가 중에서 미소멸된 부분을 자산이라고 하고, 소멸된 원가 중에서 수익의 실현에 기여한 부분은 비용(expense), 수익의 실현에 기여하지 못한 부분을 손실(loss)이라고 한다.
     3. 판매관리비는 각 기간별로 자원이 즉각적으로 사용되므로 재고가능원가(inventoriable cost)가 아닌 재고불가능원가 (non-inventoriable cost)로 분류된다.
     4. 직접원가와 간접원가는 원가의 행태(cost behavior)에 따른 분류이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추적가능성: 직접,간접원가
원가의행태: 고정,변동원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5. (주)상공은 직접노동시간을 기준으로 제조간접원가를 배부하고 있다. 10월의 제조간접원가 실제발생액은 ₩1,620,000이고 실제직접노동시간은 6,200시간이다. 추정 제조간접원가 총액은 ₩1,740,000이고 추정 직접노무시간은 6,000시간이다. 10월 한 달 동안 제조간접원가 과소(대)배부는 얼마인가?(2020년 10월)
     1. ₩135,000 과대배부
     2. ₩135,000 과소배부
     3. ₩103,000 과대배부
     4. ₩178,000 과대배부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추정: 1,740,000/6,000=290
290*6,200 = 1,798,000
1,798,000-1,620,000 = 178,000 과대배부
[해설작성자 : 공부중]

26. 보조부문의 원가를 배분하는 목적과 관련 없는 것은?(2015년 05월)
     1. 부문 간 상호통제와 내·외부보고
     2. 합리적인 방법에 따른 재고자산의 평가
     3. 보수적인 당기순이익의 계산
     4.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의 제공

     정답 : []
     정답률 : 38%

27. 다음 중 제조원가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5월)
     1. 본사 전산팀이 사용하는 컴퓨터의 감가상각비
     2. 공장감독자에 대한 급여
     3. 생산인력에 대한 복리후생비
     4. 공장 지게차에 사용하는 연료비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본사 전산팀의 감가상각비는 판매관리비로서 비제조원가이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28. (주)대한은 등급품 A, B를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다. 가공원가 배분을 위한 등급품 A, B의 등가계수는 작업시간을 기준으로 3 : 1이다. 다음은 10월 중 자료이다.

10월 중 총가공원가가 ₩400,000이라면 등급품 A의 단위당 제조원가는 얼마인가?
(2020년 10월)
     1. ₩4,400
     2. ₩4,100
     3. ₩3,500
     4. ₩3,000

     정답 : []
     정답률 : 14%
     <문제 해설>
가공원가의 배부기준
A : 작업시간*등가계수 = (100*2)*3 = 600(60%)
B : 작업시간*등가계수 = (400*1)*1 = 400(40%)

A의 제조원가 : 직접재료원가 + 가공원가 배부액 = 200,000 + (400,000*0.6) = 440,000

A의 단위당제조원가 : 440,000/100 = 4,4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29. 종합원가계산 과정에서 공손이 공정의 제일 마지막 시점에서 발생하고 있다면, 정상공손원가는 어떻게 부담시키는 것이 합리적인가?(2020년 10월)
     1. 완성품원가에 포함시킨다.
     2. 기말재공품원가에 포함시킨다.
     3. 기말재공품의 완성도에 따라 다르게 된다.
     4. 완성품과 기말재공품에 수량을 기준으로 나누어준다.

     정답 : []
     정답률 : 21%

30. 제품의 단위당 판매가격이 ₩100이고 단위당 변동원가가 ₩60이며, 총 고정원가가 ₩1,000원인 (주)한국의 단위당 공헌이익과 공헌 이익률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2017년 05월)

    

     1. ₩40, 40%
     2. ₩40, 60%
     3. ₩60, 40%
     4. ₩60, 60%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공헌이익= 매출액-변동비
단위당 공헌이익= 단위당 판매가격-단위당 변동원가
즉, 100-60= \40 은 단위당 공헌이익

공헌이익률= 공헌이익/매출액
단위당으로 계산하였으니 즉, 40/100= 40%
[해설작성자 : 쿠키사랑]

31. 다음은 (주)경기의 20X1 회계년도 제품제조원가 및 손익계산서의 내용이다. 공헌이익은 얼마인가?(2019년 05월)

    

     1. ₩10,000
     2. ₩9,000
     3. ₩8,000
     4. ₩6,0000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공헌이익계산서를 그려보면,

    매출액 12,000원
- 변동비 (2,000원+600원+400원)
-------------------------------
    공헌이익 9,000원

임을 알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32. 다음은 20×1년도 (주)한강의 변동제조간접원가에 대한 표준원가 및 차이분석자료이다. (주)한강의 20×1년도 실제 제품생산량은 몇 개인가? (단, 재공품은 없다.)(2018년 09월)

    

     1. 50개
     2. 60개
     3. 62개
     4. 68개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120/5 = 24
24/2 = 12(초과생산)

100/2+12 = 62
[해설작성자 : 공부중]

33. 다음 조별 종합원가계산에 대한 설명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5월)
     1.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을 혼합한 원가계산이다.
     2. 조별 종합원가계산은 단일한 종류의 제품을 연속하여 생산하는 형태에 적용한다.
     3. 당해기간의 조 직접비는 각조에 직접부과 한다.
     4. 조 간접비는 일정한 배부기준에 의하여 각 조별로 배부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조별 원가계산은 다른제품의 연속적 대량생산 종류벌 조/반 설정해서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재료는 공정의 초기에 전량투입되고 가공비는 공정의 진행에 따라 균일하게 발생한다. 기초재공품 완성도는 40%, 기말재공품 완성도는 70%이다. 평균법과 선입선출법의 가공비 완성품 환산량은? (순서대로 평균법 / 선입선출법)(2018년 05월)

    

     1. 13,600개 / 12,800개
     2. 13,700개 / 12,800개
     3. 13,700개 / 12,900개
     4. 13,600개 / 12,900개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완성품 환산량 = 개수 × 완성도(진척도)
평균법하에서의 가공비 완성품 환산량 : 완성품 13,000개 + 기말재공품 700개 = 13,700개
선입선출법하에서의 가공비 완성품 환산량 : 완성품 13,000개 + 기말재공품 700개 - 기초재공품 800개 = 12,900개
[해설작성자 : 다희쌤♡]

35. (주)대한은 A제품을 단위당 ₩200에 판매하고자 한다. A제품의 공헌이익률은 25%이며, 손익분기점 판매수량이 5,000단위라면 총고정비는 얼마인가?(2017년 05월)
     1. ₩100,000
     2. ₩250,000
     3. ₩500,000
     4. ₩1,000,000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손익분기점 판매액= 손익분기점 판매수량*단가 = 5000*200 = 100만
손익분기점 판매액 = 총고정비/공헌이익률 → 100만 = X/0.25 → X = 25만
[해설작성자 : 큐트]

36. (주)대한의 제16기 영업성과는 다음과 같다. 제16기 중 고정비는 얼마인가?(2020년 05월)

    

     1. ₩200,000
     2. ₩185,000
     3. ₩175,000
     4. ₩160,000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 = 당기순이익/(1-법인세율) = 100,000/(1-0.2) = 125,000
총비용 = 매출액 -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 = 1,500,000-125,000 = 1,375,000
고정비 = 총비용*(1-변동비율) = 1,375,000*(1-0.8) = 275,0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3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매출액:            1,500,000
변동비(80%): 1,200,000
공헌이익(20%): 300,000
고정비 :            
영업익:            125,000(당익순이익100,000/0.8(1-법인세율))
결과:고정비: 175,000
<빠른풀이> 변동비 80% 이므로, 공헌이익률 20% 이므로 공헌이익 300,000 영업이익은 당기순이익에 법인세 차감액 이므로
300,000 - 고정비 =125,000
따라서 고벙비:175,000
[해설작성자 : 수험생]

37. (주)한강은 표준원가계산제도를 도입하였다. (주)한강의 고정제조간접비 실제 발생액은 ₩46,000이며, 고정제조간접비 예산차이(소비차이)는 ₩6,000 불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고정제조간접비 조업도차이는 ₩10,000 불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한강의 고정제조간접비 표준원가는 제품생산량당 2시간, 시간당 ₩5이다. 실제로 3,000개의 제품을 생산하였다. (주)한강의 기준조업도를 구하면?(2018년 05월)
     1. 4,000시간
     2. 6,000시간
     3. 8,000시간
     4. 10,000시간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실제        기준조업도x예정배부
46000원        8000                    5
                        (6000불리)40000                        
답 40000 / 5 =8000시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다음 중 표준원가계산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종합원가계산뿐만 아니라 개별원가계산에도 적용할 수 있다.
     2. 전부원가계산에는 적용가능하나, 변동원가계산에는 적용할 수 없다.
     3. 원가관리 및 통제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4. 장부기입 업무를 간소화 할 수 있으며, 원가차이조정을 통하여 외부보고용 재무제표를 작성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8%

39. (주)한국의 20X1년도 목표이익을 달성하기 위한 매출액은 ₩500,000이다. (주)한국의 제품 단위당 가격은 ₩500이며, 단위당 변동원가는 ₩250이다. 총 고정원가가 ₩200,000일 때 (주)한국의 20X1년도 목표 이익은 얼마인가?(2018년 09월)
     1. ₩0
     2. ₩50,000
     3. ₩100,000
     4. ₩200,000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매출액이 500,000이므로 이 때의 판매량은 500,000 ÷ 500 = 1,000개 이다.
따라서 수량을 넣어 공헌이익계산서를 그려보면,

매출액 : 500 × 1,000
변동원가 : 250 × 1,000
--------------------------
공헌이익 : 250 × 1,000
고정원가 : 200,000
-------------------------
목표이익 : 50,000 이므로, 답은 2번이 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40. 다음 중 여러 종류의 제품을 고객의 다양한 주문 사양에 맞추어 생산하는 회사의 상황에 가장 적합한 원가계산시스템은?(2016년 05월)
     1. 종합원가계산
     2. 개별원가계산
     3. 표준원가계산
     4. 소매재고법

     정답 : []
     정답률 : 73%

41. 다음 중 현실적인 퇴직에 속하는 경우는?(2020년 05월)
     1. 종업원이 임원이 된 경우
     2. 합병·분할 등 조직변경, 사업양도, 직접·간접으로 출자관계에 있는 법인으로의 전출이 이루어진 경우
     3. 법인의 상근임원이 비상근임원이 된 경우
     4. 근로자가 주택구입 등 긴급한 자금이 필요한 사유로 퇴직금을 퇴직하기 전에 미리 중간정산하여 지급받은 경우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현실적인 퇴직
- 종업원이 임원이 된 경우
- 상근임원이 비상근임원이 된 경우
- 퇴직급여 중간정산을 받은 경우
비현실적 퇴직
- 특수관계인 법인으로 전출이 이루어진경우 원칙적으로 퇴직으로 보나, 특수관계인법인에 근무한 기간을 합산하여 퇴직급여를 지급하는 경우 현실적인 퇴직으로 보지 아니한다.

문제가 틀린것 같습니다.



[오류신고 반론]
법인세법 시행령 44조 2항1호에 보면 현실적인 퇴직 사유 중 법인의 직원이 해당 법인의 임원으로 취임한 때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회계쟁이 비르]

42. 다음 중 거주자 김갑동씨의 2018년 이자소득금액을 바르게 계산한 것은? (단, 종합과세나 분리과세 여부는 고려하지 않는다.)(2018년 09월)

    

     1. ₩8,000,000
     2. ₩10,900,000
     3. ₩11,000,000
     4. ₩21,000,000

     정답 : []
     정답률 : 35%

43.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 상의 사업장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10월)
     1. 부동산임대업의 사업장은 부동산의 등기부상 소재지이다.
     2. 직매장은 사업장으로 보지 않는다.
     3. 하치장은 사업장으로 본다.
     4. 주사업장 총괄납부 사업자는 주된 사업장에서 총괄하여 신고·납부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부동산임대업- 부동산등기부상 소재지
하치장- 단순한보관관리만 한다 사업자 아니다
직매장- 사업장에해당(사업자등록을 해야함)
주사업장총괄납부 사업자- 주된 사업장에서 일괄하여 납부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위내용중 다른건 다맞는데
주사업장 총괄납부 사업자는 주된사업장에서 총괄하여 신고납부(X)-> 납부환급(O)할수 있다
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법인세법상 기부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특수관계 없는 자에게 정당한 사유 없이 자산을 정상가액보다 낮은 가액으로 양도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증여한 것으로 인정되는 금액은 기부금으로 본다. (단, 여기서 정상가액이란 시가의 30%를 차감한 범위의 가액을 의미함)
     2. 기부금은 발생주의에 따라서 손금을 계상한다.
     3. 지정기부금한도초과액은 그 다음 사업연도의 개시일로부터 5 년 이내(2009년 12월 31일 이전은 3년)에 종료하는 각 사업 연도에 이월하여 차기 이후 연도의 지정기부금한도 미달분의 범위 내에서 손금에 산입한다.
     4. 현물기부금이 법정기부금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기부 당시의 장부금액으로 평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21%

45. 내국법인인 (주)상공은 물품을 중국 거래처로 국제운송을 통하여 배송하고자 한다. 국제운송에서 과세거래로 인정할 수 있는 용역발생의 장소로 옳은 것은?(2019년 05월)
     1. 물품이 생산된 공장
     2. 물품이 적재된 항공기
     3. 물품이 도착한 국제공항
     4. 물품을 뜯어서 사용한 중국 현지거래처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부가가치세법 제20조(용역의 공급장소)
① 용역이 공급되는 장소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곳으로 한다.
1. 역무가 제공되거나 시설물, 권리 등 재화가 사용되는 장소
2. 국내 및 국외에 걸쳐 용역이 제공되는 국제운송의 경우 사업자가 비거주자 또는 외국법인이면 여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이 적재되는 장소
② 제1항에서 규정한 사항 외의 용역이 공급되는 장소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부가가치세법에 따른 영세율과 면세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5월)
     1. 영세율 적용대상자는 부가가치세법에 따른 납세의무자 이지만, 면세 적용대상자는 부가가치세법에 따른 납부세 의무자가 아니다.
     2. 영세율 적용의 목적은 소비지국 과세원칙의 구현 등에 있고, 면세의 경우는 부가가치세의 역진성 완화 등에 있다.
     3. 영세율 적용대상자와 면세 적용대상자는 부가가치세법에 따른 제반의무를 반드시 이행하여야 한다.
     4. 영세율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매입세액을 환급받을 수 있는 반면, 면세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매입세액을 환급받을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면세적용대상자는 부가가치세법상 사업자가 아니므로 부가가치세법에 따른 제반의무를 이행할 필요는 없으나, 다만 사업장현황신고시 소득세법에 따라 협력의무를 제공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47. 다음은 2017.10.31 퇴사한 거주자 박대한 과장에 대한 자료이다. 퇴직소득금액은 얼마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7년 05월)

    

     1. ₩65,000,000
     2. ₩71,000,000
     3. ₩115,000,000
     4. ₩125,000,000

     정답 : []
     정답률 : 1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퇴직소득금액 : 가, 나
퇴직급여지급규정에 없는 퇴직공로금은 근로소득

100,000,000+15,000,000 = 115,000,0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4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48. 영세한 사업자들에게 납세의무이행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간이과세제도를 두고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20년 10월)
     1. 둘 이상의 업종을 겸영하는 경우에는 수입금액이 큰 업종의 업종별 부가가치율에 세율 10%를 적용하여 납부세액을 계산한다.
     2. 일반과세자가 간이과세자로 변경되는 경우 재고품 및 감가상각자산에 대하여 일반과세자로서 이미 공제받은 매입세액에 대한 정산을 하여야 한다.
     3. 법인사업자는 간이과세자가 될 수 없다.
     4. 간이과세자에게는 세금계산서미교부가산세, 매출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 미제출 가산세 등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정답 :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공급대가(VAT포함)*업종별부가가치율*10%
[해설작성자 :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1년 세법 개정으로 세금계산서 발급 의무가 있는 간이과세자가 세금계산서를 미발행, 매출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 미제출하면 가산세가 부과됨.
4번도 정답으로 수정 필요함.
[해설작성자 : 1트 합격 기원]

49. 부가가치세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20년 05월)
     1. 부가가치세는 원칙적으로 전단계세액공제법을 적용하고 있다.
     2. 부가가치세는 간접세에 해당한다.
     3. 음식점업은 재화의 공급을 주요 사업 내용으로 한다.
     4. 누진세율을 적용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음식점업 면세의제매입세액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제3조(용역의 범위) ① 법 제2조제2호에 따른 용역은 재화 외에 재산 가치가 있는 다음 각 호의 사업에 해당하는 모든 역무(役務)와 그 밖의 행위로 한다. <개정 2019. 2. 12., 2020. 2. 11.>

1. 건설업
2. 숙박 및 음식점업
3. 운수 및 창고업
4. 정보통신업(출판업과 영상ㆍ오디오 기록물 제작 및 배급업은 제외한다)
5. 금융 및 보험업
6. 부동산업. 다만, 다음 각 목의 사업은 제외한다.
가. 전ㆍ답ㆍ과수원ㆍ목장용지ㆍ임야 또는 염전 임대업
나.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른 공익사업과 관련해 지역권ㆍ지상권(지하 또는 공중에 설정된 권리를 포함한다)을 설정하거나 대여하는 사업
7.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과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서비스업
8.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9. 교육 서비스업
10.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11.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12.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과 제조업 중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3. 가구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소비 생산활동
14. 국제 및 외국기관의 사업
② 제1항제1호 및 제6호에도 불구하고 건설업과 부동산업 중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사업은 재화(財貨)를 공급하는 사업으로 본다.

[오류 신고]
음식점업의 면제의제매입세액은 본 문제와 무관해보입니다.
면세의제매입세액은 면세농산물 등을 원재료로 하여 제조, 가공한 재화 또는 창출한 용역의 공급 중 부가세 과세되는 경우(예. 쌀(면세)로 떡을 만드는 개인 사업자 등) 면세농산물 등을 공급 또는 수입 시에 매입세액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공제하는 것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0. 다음 기타소득에 대한 자료를 보고 소득금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7년 09월)

    

     1. 6,700,000원
     2. 6,200,000원
     3. 2,200,000원
     4. 1,700,000원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세법이 변경되어 현재 이 문제의 답은 190만 원이다.
강연료 : 필요경비 60% 인정이므로 소득금액 40만 원
골동품양도소득 : 10년이상 보유하였으므로 필요경비 90% 인정, 수입금액 100만 원
원고료 : 필요경비 60% 인정이나 필제 필요경비가 450만 원이므로 수입금액 50만 원
[해설작성자 : 다희쌤♡]

51. 다음 중 우리나라 부가가치세법상 납세의무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사업목적이 비영리인 사업자가 독립적으로 재화나 용역을 공급하는 경우 부가가치세 납부의무가 없다.
     2. 재화나 용역을 소비하는 소비자는 부가가치세법상 납세의무가 있다.
     3. 사업자인 개인, 법인, 국가, 지방자치단체, 법인격 없는 사단법인 모두는 국가에 부가가치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다.
     4. 법인격이 없는 재단이 국외로부터 재화를 수입하는 경우 부가가치세 납세의무자에 해당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43%

52. 부가가치세법 상 영세율 적용과 면세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8년 05월)
     1. 영세율 적용 사업자와 면세사업자는 부가가치세법 상 거의 동일한 의무를 이행한다.
     2. 면세 대상 재화와 영세율 적용 대상 재화의 부가가치세율은 동일하다.
     3. 부가가치세법에 영세율 포기 제도는 존재하나, 면세포기제도는 없다.
     4. 영세율 적용 사업자는 매입세액을 환급받을 수 있으나, 면세 사업자는 매입세액을 환급받을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번 보기 : 영세율적용사업자는 일반과세자로서 부가가치세법상 사업자이므로 모든 제반의무를 이행하여야 하나, 면세사업자는 부가가치세법상 사업자가 아니라 소득세법/법인세법상 사업자이므로 협력의무만 지닌다.
2번 보기 : 면세 재화는 세금이 면제되는 것이고, 영세율 재화는 세금이 0%인 것이다.
3번 보기 : 면세포기제도도 존재한다(영세율을 적용받고자 할 때 수출분에 대하여서만 면세포기, 3년간 다시 면세 적용받지 못함).
[해설작성자 : 다희쌤♡]

53. 우리나라의 보세구역 내에서 부품제조업을 하고 있는 사업자 한상공씨는 외국에서 도착한 물품을 원재료로 하여 생산한 제품을 보세구역 밖에서 사업을 하고 있는 박길동씨에게 ₩20,000,000(부가가치세 제외)에 공급하였다. 그 관세의 과세가격이 ₩3,000,000, 관세가 ₩2,000,000이라고 할 때 세관장이 징수할 부가가치세는 얼마인가?(2018년 05월)
     1. ₩600,000
     2. ₩700,000
     3. ₩500,000
     4. ₩800,000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세관장이 발행하는 수입세금계산서의 공급가액 = 관세의 과세가격 + 관세 + 개별소비세/주세/농특세 등 부가세
(3,000,000 + 2,000,000)×10% = 500,000원이 부가가치세가 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54.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간이과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간이과세자는 과세표준에 당해 업종의 부가가치율을 적용 하고 이 금액에 세율을 곱하여 계산한 금액을 납부세액 으로 한다.
     2. 간이과세자가 다른 사업자로부터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아 매입처별 세금계산서합계표를 제출하는 경우에는 매입세액을 전액 공제받을 수 있다.
     3. 간이과세자의 과세표준은 부가가치세가 포함된 공급대가의 합계액이다.
     4. 간이과세자는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번의 경우 세금계산서 발급이 가능한 간이과세자는 다른 사업자로부터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아 매입처별 세금계산서 합계표를 제출하는 경우 매입세액을 전액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일반과세자와 달리 환급이 불가능합니다. 그러므로 2번은 맞는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조모모]

[추가 오류 신고]
4번 간이과세자는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없다고 나오는데 부가가치세법시행령 68조 1항을 보면 " 직전 연도의 사업장별 재화 및 용역의 공급가액(면세공급가액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의 합계액이 8천만원 이상인 개인사업자(그 이후 직전 연도의 사업장별 재화 및 용역의 공급가액이 8천만원 미만이 된 개인사업자를 포함하며, 이하 이 조에서 “전자세금계산서 의무발급 개인사업자”라 한다." 라고 나와있는데 8,000만원을 초과하는 개인사업자도 부가가치세법 61조에 따라 일부 간이과세짇가 될 수 있으므로 4번 답이 정답이 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나마비루]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55. 과세사업과 면세사업을 겸영하고 있는 (주)한양의 부가가치세 신고 시 과세표준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5월)
     1. (주)한양이 과세사업과 면세사업에 공통으로 사용하던 재화를 공급하는 경우, 원칙적으로 그 대가로서 받는 금액 중 면세사업과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는 부가가치세를 면제하고 과세사업과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는 부가가치세를 거래 징수하여야 한다.
     2. 그 대가로서 받는 금액 중 과세사업 관련 부분과 면세사업 관련 부분이 불분명한 경우 공급일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공급가액을 기준으로 안분계산하여 과세사업 관련 부분에 대하여 부가가치세를 징수한다.
     3. 그 대가로서 받는 금액 중 과세사업 관련 부분과 면세사업 관련 부분이 불분명한 경우일지라도 재화의 공급가액이 50만 원 미만인 경우에는 안분계산을 생략하고 공급가액 전체를 과세표준으로 한다.
     4. (주)한양이 과세사업에만 사용하던 재화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공급가액 전체를 과세표준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과면세 겸영사업자의 공통사용재화의 공급시 '직전과세기간'의 공급가액을 기준으로 안분하여 부가가치세를 징수한다.
공통사용재화의 매입시에는 '해당과세기간'의 공급가액, 매입가액, 예정공급가액 순으로 기준하여 안분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56. 일반과세사업자인 (주)상공은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상가건물을 임대하고, 보증금 없이 1년 임대료 ₩12,000,000을 1월 1일에 선불로 받았다. 동 임대용역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8년 05월)
     1. 1기에 신고할 공급가액은 ₩12,000,000이다.
     2. 2기에 신고할 공급가액은 없다.
     3. 2기에 신고할 공급가액은 ₩6,000,000이다.
     4. 1기에 신고할 공급가액은 없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부동산임대용역의 선수임대료에 대하여서는 진행기준으로 안분하여야 하기 때문에 1기에 600만원, 2기에 600만원이 신고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57. 부가가치세법상 과세유형의 전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간이과세자가 간이과세 적용이 배제되는 사업을 신규로 겸영 하는 경우에는 당해 사업의 개시일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다음 과세기간부터 간이과세자에 관한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2. 과세유형이 변경되는 경우에 당해 사업자의 관할세무서장은 그 변경되는 과세기간 개시 20일전까지 그 사실을 통지하여야 하며, 사업자등록증을 정정하여 과세기간 개시당일까지 발급하여야 한다.
     3. 소매업을 영위하는 사업자가 일반과세자에서 간이과세자로 변경될 경우 과세관청의 과세유형전환사실에 대한 통지가 없으면 간이과세자로 전환되지 않는다.
     4. 간이과세자에서 일반과세자로 변경되어 간이과세가 적용되지 않게 되는 사업자에 대하여는 그 통지를 받은 날이 속하는 과세기간까지는 간이과세를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32%

58. (주)상공은 2017년 2기에 건물과 토지를 공급하였으며 건물의 공급가액은 ₩10,000,000으로 하고 토지의 공급가액은 ₩20,000,000으로 하여 총 ₩30,000,000으로 공급하였다. 부가 가치세 과세대상이 되는 공급가액은 얼마인가?(2017년 05월)
     1. \10,000,000
     2. \20,000,000
     3. \30,000,000
     4. \40,000,000

     정답 : []
     정답률 : 60%

59.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 김대한(남, 52세)씨의 인적공제액(기본공제와 추가공제)은 얼마인가?(2018년 05월)

    

     1. ₩5,000,000
     2. ₩6,000,000
     3. ₩7,000,000
     4. ₩8,000,000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배우자 : 기본공제 150만원 + 장애인추가공제 200만원 = 350만원
자녀 1 : 기본공제 150만원(이자소득 200만원은 분리과세 대상임)
자녀 2 : 기본공제 150만원
본인 : 기본공제 150만원
합계 : 800만원
[해설작성자 : 다희쌤♡]

60. 다음 자료에 의하여 연간 근로소득금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20년 10월)

    

     1. ₩8,350,000
     2. ₩8,860,000
     3. ₩9,880,000
     4. ₩10,000,000

     정답 : []
     정답률 : 16%
     <문제 해설>
총급여액                                             근로소득공제액
500만원 이하                                     총급여액 X 70%
500만원 초과 1,500만원 이하        350만원 + (총급여액 - 500만원) X 40%
1,500만원 초과 4,500만원 이하    750만원 + (총급여액 - 1,500만원) X 15%
4,500만원 초과 1억원 이하            1,200만원 + (총급여액 - 4,500만원) X 5%

계산>
→350+(1500-500)*40%= 750
→750+(1660-1500)*15%= 24
=750+24= 774
=1660-774= 886만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급여 100만원    12개월, 연간상여 400만원, 월식대 비과세 10만원 제외 5만원의 12개월
* 총급여 16,600,000원 - 근로소득공제금액 7,740,000원 : 750만원 + ((총급여액 - 1,500만원) X 15%)
= 근로소득금액 8,860,000원
[해설작성자 : 나그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세법 개정으로 23년도부터 식대 비과세 금액 10만원 → 20만원 변경됨.

총급여=(1,000,000x12)+4,000,000=16,000,000
근로소득공제액=7,500,000+(1600만원-1500만원)x15%=7,650,000
근로소득금액=16,000,000-7,650,000=8,350,000
[해설작성자 : 1트 합격 기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4759124)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7591634)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4759124) 좋은아빠되기 2025.11.06 4
3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33 대기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7937395) 좋은아빠되기 2025.11.06 4
32 자기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4
31 원예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2179080)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30 유기농업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3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4
29 소방시설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5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2
28 초음파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36722)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27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8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26 버섯종균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4768524) 좋은아빠되기 2025.11.06 4
25 9급 국가직 공무원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24 품질경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3379077)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23 정밀측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5
22 9급 지방직 공무원 영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8862646) 좋은아빠되기 2025.11.06 4
21 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110561)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20 정보기기운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4월04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1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생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8443166) 좋은아빠되기 2025.11.06 2
18 식물보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2198430) 좋은아빠되기 2025.11.06 4
17 전자부품장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20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6 1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ext
/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