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식물보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219843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식물보호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식물병리학


1. 중간기주인배나무에서 향나무로 날아와 향나무 녹병을 발생시키는 포자는?(2014년 09월)
     1. 분생포자
     2. 동포자(겨울포자)
     3. 수포자(녹포자)
     4. 하포자(여름포자)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배나무에 전파된 병균은 기공을 통해 침입하여 병징이 발현되고 녹병포자와 녹포자를 형성한다.녹포자는 다시 비산하여 향나무로 날아가 침입하고 월동한다음 겨울포자퇴가 형성된다.
[해설작성자 : 요미]

2. 1845년 아일랜드에 큰 흉년을 가져오게 한 병은?(2009년 03월)
     1. 감자 탄저병
     2. 감자 역병
     3. 밀 줄기녹병
     4. 포도 노균병

     정답 : []
     정답률 : 86%

3. 다음 중 순활물기생체에 해당하는 것은?(2020년 08월)
     1. 보리 흰가루병균
     2. 감자 역병균
     3. 벼 깜부기병균
     4. 고구마 무름병균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절대기생체(순활물기생체)
녹병 흰가루병 노균병 무사마귀병 붉은별무늬병
인공배양가능: 목화 녹병, 맥류줄기녹병
표징은 관찰되지만 배양이 어려운 병해: 노균병,흰가루병

[추가 해설]
순활물 기생체
보리 흰가루병, 녹병, 잿빛곰팡이병, 노균병, 무사마귀병, 붉은별무늬병 등
감자 역병과 깜부기병은 임의 부생체
고구마 무름병은 임의 기생체
[해설작성자 : 이츠유]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추가해설 부분에서 잿빛곰팡이병은 임의기생체임. 순환물기새체 아님.
[해설작성자 : ㅁㅅㅇ]

[추가 오류 신고]
보리 흰가루병균이 순활물기생체이고 벼 깜부기병균이 임의부생체인데 정답이 잘못 기재되어 있음
[해설작성자 : 몰루]

4. 다음 중 복숭아나무 잎오갈병의 전형적인 병징은?(2020년 08월)
     1. 도장
     2. 천공
     3. 이상 비후
     4. 기공 계폐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복숭아나무 잎오갈병
자낭균류
24도 이하 저온에서 발병
발아전 디티아논 살포로 방제가능
주로 잎에 발생하며 꽃에도 발생
전형적 병징은 이상비후
분생포자 형태로 침입
*복숭아 잎오갈병, 소나무류 잎떨림병은 한해에 1차감염만 일어나고 2차감염은 일어나지 않는다

[추가 해설]
복숭아나무 잎오갈병은 파이토플라즈마가 아닌 진균 중 자낭균에 의한 병이고
그렇기에 병징이 존재한다
병징은 이상비후(대)

5. 배추 무름병(軟腐病)균의 병원성 검정을 위하여 실내에서 많이 사용하는 기주는?(2004년 05월)
     1. 당근
     2. 오이
     3. 고추
     4. 담배

     정답 : []
     정답률 : 55%

6. 다음 병 중 병원이 경란전염하는 것은?(2003년 05월)
     1. 벼오갈병
     2. 담배모자이크병
     3. 벼도열병
     4. 오이모자이크병

     정답 : []
     정답률 : 57%

7. 토마토 풋마름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10월)
     1. 단범성 병이다.
     2. 세균에 의한 병이다.
     3. 월동은 주로 종자에서 한다.
     4. 뿌리에 침입시 뿌리가 흰색으로 변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8.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2017년 03월)

   

     1. 혈청학적 진단
     2. 생물학적 진단
     3. 이화학적 진단
     4. 유전학적 진단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혈청학적 진단방법
바이러스 진단방법이며, ELISA(효소결합항체법), 슬라이드법, 형광항체병, 적혈구응집반응법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찌옹]

9. 인공 배지에서 배양이 가능한 식물 병원체는?(2019년 04월)
     1. 세균
     2. 선충
     3. 바이러스
     4. 파이토플라스마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세균의 동정방법
순수분리배양 후 감수성 기주 식물에 재접종, 병증상 재현
[해설작성자 : 내용추가]

바이러스, 파이토플라즈마는 인공배지에 배양불가
[해설작성자 : 부산대 농경제]

* 인공 배지에서 배양이 가능하며 균사체를 형성하지 않는 식물 병원균은? 세균 05.4

* 세포벽이 없는 원형생물로 인공배지에 배양이 되지 않으며 곤충에 매개되는 특성이 있고 세균과 바이러스의 중간 형태로 알려진 식물병원 미생물은? 파이토플라스마 10.1 16.1
[해설작성자 : 르망]

10. 저항성 품종을 이용한 방제방법의 가장 큰 문제점은?(2015년 03월)
     1. 비경제성
     2. 비효과성
     3. 약해 및 잔류독성
     4. 저항성 품종의 이병화 현상

     정답 :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저항성 품종을 이용한 방제 시 병원균의 새로운 레이스가 생기면 기존 저항성은 무너지게 된다.(이병화 현상)
[해설작성자 : 얀]

11. 병원체의 작용을 억제하는 기주의 능력은 ?(2005년 03월)
     1. 병원성
     2. 감수성
     3. 저항성
     4. 면역성

     정답 : []
     정답률 : 82%

12.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하는 작물이 노지작물보다 병이 적게 발생하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3월)
     1. 비닐하우스는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전염원을 차단한다.
     2. 비닐하우스는 노지보다 온도가 높다.
     3. 비닐하우스는 노지보다 수분 증발량이 많다.
     4. 비닐하우스는 물을 인위적으로 공급하여 재배 한다.

     정답 : []
     정답률 : 91%

13. 병원균이 포도 탄저병균(Glomerella cingulata)과 같은 것은?(2015년 03월)
     1. 콩 탄저병
     2. 사과 탄저병
     3. 수박 탄저병
     4. 목화 탄저병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고추탄저병 : 자낭균류로 고추 사과 포도가 기주 식물임, 자낭각 형태로 병든 열매나 나뭇가지에서 월동후 비바람에 전반
                     고온다습, 성숙기에 발생

14. 그램염색에서 나머지 셋과 다른 반응을 보이는 것은?(2016년 10월)
     1. Erwinia
     2. clavibacter
     3. acidovorax
     4. agrobacterium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그람양성 세균: Clavibacter 감자 둘레썩음병, Streptomyces 감자 더뎅이병
그람음성 세균: Erwinia 채소 세균성무름병, Agrobacterium 뿌리혹병
[해설작성자 : 부산대 농경제]

15. 기주 특이적 독소(host-specific toxin)는?(2008년 05월)
     1. Tabtoxin
     2. Victorin
     3. Fumaric acid
     4. Tentexin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기주특이적 독소는 Victorin, Alterine, HMT독소, HC독소, PC독소, AM독소, AL독소 가 있음

16. 비생물학적 병원에 의해 발생하는 생리병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2015년 05월)
     1. 병징만 나타난다
     2. 표징만 나타난다
     3. 병징과 표징이 모두 나타난다
     4. 환경적이 영향에 의해 표징이 나타날 수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비생물학적 요인: 물, 빛, 기온 등의 환경적 요인,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장애
[해설작성자 : 슈프림 박스로고 후드티]

17. 전형적인 벼 잎도열병의 병징은?(2007년 09월)
     1. 줄무늬
     2. 타원형
     3. 원형
     4. 방추형

     정답 : []
     정답률 : 65%

18. 사과나무 부란병균의 월동처는?(2016년 10월)
     1. 토양
     2. 병든과실
     3. 병든낙엽
     4. 병든 줄기 및 가지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사과나무 부란병
-진균(자냥균류)
-병든가지나 줄기에서 월동
-전정 시 상처를 통해 침입
-줄기나 나뭇가지 등에 발생
-껍질이 갈색으로 부풀어 벗겨지며,알코올냄새
[해설작성자 : 왼손쟁이호야]

19. 제한효소를 사용하여 DNA 특정 염기부위를 잘라 DNA절편 다양성을 통해 병원체를 동정하는 진단과 관련있는 용어는?(2014년 05월)
     1. TEM
     2. RFLP
     3. LEM
     4. PCR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RFLP(Restriction Length Polymorphism)란 DNA를 유전자 절단 제한효소로 절단했을 떄, 절단된 유전자의 길이가 다양하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하늘다람쥐2019]

20. 다음 중 감자 Y 바이러스의 주요 매개층은?(2021년 09월)
     1. 복숭아혹진딧물
     2. 번개매미충
     3. 끝동매미충
     4. 응애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PVY로 약기. 폭 12~13nm, 길이 730nm 크기의 끈모양 식물바이러스. 유전체의 (+)센스RNA는 약 9,500염기로 구성되고 5′말단에는 작은 단백질을 공유결합하며 3′말단에는 폴리(A)배열을 하고 있다. 유전체RNA에서는 폴리단백질로 분자량이 340,000인 단백질을 합성할 수 있다. 이후 폴리단백질에 내재하는 단백질분해효소에 의하여 폴리단백질을 8개의 단백질로 분해하게 된다. 즉, 바이러스는 8개의 유전자를 갖는 셈이다. PVY는 주로 가지과식물을 숙주로 하며, 진딧물이 전파하는 감자의 주요 병해의 원인이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감자바이러스Y [potato virus Y]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강영희)
[해설작성자 : 칩샷대마왕]

2과목 : 농림해충학


21. 토양생태계에 있어서 토양 곤충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2012년 05월)
     1. 생산자 역할
     2. 소비자 역할
     3. 분해자 역할
     4. 오염자 역할

     정답 : []
     정답률 : 85%

22. 우리나라에서 월동하지 못하는 비래 해충은?(2008년 05월)
     1. 애멸구
     2. 흰등멸구
     3. 끝동매미충
     4. 번개매미충

     정답 : []
     정답률 : 62%

23. 곤충 체벽의 진피층(epidermi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단층으로 되어 있다.
     2. 내원표피 아래에 위치한다.
     3. 외표피와 원표피로 구성되어 있다.
     4. 단백질, 지질, 키틴 화합물을 합성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외표피와 원표피는 외큐티클을 구성한다.
[해설작성자 : 강혜수]

진피층은 상피세포, 피부선, 특수세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gogo]

상큐티클-외큐티클-내큐티클(표피=진피)-기저막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감자나방의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2년 04월)
     1. 감자에 배설물이 나와 있다.
     2. 어린감자의 생장점을 파고 들어간다.
     3. 감자 잎의 표피를 뚫고 들어가 앞뒤 표피만 남긴다.
     4. 담배의 뿌리를 가해하고, 밖으로 배설물을 배출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감자,담배,가지,토마토 꽈리 등 가지과 식물을 가해한다..
잎,줄기,덩이줄기 등을 가해하는데, 잎은 유충이 엽육 속으로 들어가 껍질만 남기고 먹어버리므로 백색주머니처럼 되고,줄기 속으로 들어가면 똥을 밖느로 내보내므로 쉽게 발견된다.
실제 피해는 수확 후의 감자에 많으므로 수확 후 포장에 방치하지 말아야 하며, 수확 전에 약제를 뿌림으로써 산란을 막아야 한다. 출처 :NAVRT [지식백과]
[해설작성자 : 하 ㅇㅇ]

25. 말피기관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05월)
     1. 말피기관은 중장과 후장이 만나는 곳에서 후장과 연결되어 있다.
     2. 말피기관은 배설계에 속하는 기관이다.
     3. 말피기관은 혈액 속에서 물, 무기이온 등을 흡수하여 후장으로 이동시킨다.
     4. 말피기관은 진딧물에서 볼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8%

26. 곤충이 배설하는 물질이 아닌 것은?(2013년 09월)
     1. 초산
     2. 암모니아
     3. 요산
     4. allantic acid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곤충의 배설 물질: 암모니아, 요산, Allantoic Acid
수서곤충은 암모니아 배설, 지상곤충은 요산과 allantoin(알라토인)이 주배설물임.
[해설작성자 : 하늘다람쥐2019]

27. 현재 우리나라 소나무림에 가장 피해를 심하게 주는 소나무재선충을 애개하는 솔수염하늘소의 우화시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우리나라 남부지방)(2011년 10월)
     1. 2월 ~ 4월
     2. 5월 ~ 7월
     3. 8월 ~ 10월
     4. 11월 ~ 1월

     정답 : []
     정답률 : 74%

28. 발생예찰의 방법 중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서 다른 방법에 비하여 선행되는 것은?(2013년 09월)
     1. 실험적 방법
     2. 통계적 방법
     3. 야외조사 및 관찰방법
     4. 컴퓨터 이용방법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해충의 발생예찰 방법은 야외조사 및 관찰법, 통계적 예찰법,시뮬레이션 예찰법, 실험적 방법 등이 있다.
야외조사 및 관찰방법은 야외에서 직접 조사 및 관찰하는 것으로 가장 기본적인 방법
[해설작성자 : 하늘다람쥐2019]

29. 솔나방의 외부형태를 기술한 내용 중 틀린 것은?(2004년 05월)
     1. 성충의 길이가 암컷은 40mm 정도이다.
     2. 성충의 길이가 숫컷은 30mm 정도이다.
     3. 번데기는 방추형이고 백색이다.
     4. 고치는 긴타원형이고 황갈색이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번데기는 방추형이고 갈색이며 고치는 긴 타원형이고 황갈색이며 표면에 유충의 센털이 군데군데 박혀 있다.

30. 다음 중 초본류 혹은 목본류의 줄기 속을 식해하여 가해하는 해충은?(2020년 08월)
     1. 콩풍뎅이
     2. 거세미나방
     3. 숯검은밤나방
     4. 박쥐나방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초본류 목본류 줄기를 가해하는 것은 박쥐나방
그래서 수목 주변의 초본 잡초들을 제거하면 방제가 큰 것이 박쥐나방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콩풍뎅이: 주로 꽃잎
거세미나방: 뿌리, 새싹, 특히 줄기(지재부)
숯검은나방: 줄기(지재부)
[해설작성자 : 딸기를먹자]

31. 벼를 가해하여 오갈병을 매개하는 것은?(2018년 03월)
     1. 벼멸구
     2. 애멸구
     3. 흰둥멸구
     4. 끝동매미충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끝동매미충,번개매미충 -> 벼오갈병을 매개
[해설작성자 : kyum]

32. 일반적으로 곤충의 소화관은 세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그 중 내배엽에서 기원된 것은?(2004년 03월)
     1. 전장(fonegut)
     2. 중장(midgut)
     3. 후장(hindgut)
     4. 식도(esophagus)

     정답 : []
     정답률 : 76%

33. 각 종 해충의 공간 분포양식(mode of distribution)으로 자연계에서 실제 가장 많이 존재하는 분포양식은?(2013년 09월)
     1. 임의분포
     2. 균일분포
     3. 개별분포
     4. 집중분포

     정답 : []
     정답률 : 66%

34. 소나무굴깍지벌레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2007년 05월)
     1. 1년에 1회 발생한다.
     2. 1년에 2회 발생한다.
     3. 알로 월동한다.
     4. 가지나 줄기에서 즙액을 빨아먹는다.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소나무굴깍지벌레 : 매미목 깍지벌레과, 소나무 해송 스트로브잣나무 등에 성충과 약충이 잎에 기생하며 수액을 빨아먹어 피해입은 잎이 노랗게 변하고 부생성 그을음병을 유발한다. 연 2회 발생하며 암컷 성충으로 월동

35. 다음 중 땅강아지는 어느 목에 속하는 해충인가?(2019년 09월)
     1. 딱정벌레목
     2. 강도래목
     3. 잠자리목
     4. 메뚜기목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메뚜기목에는 메뚜기, 여치, 귀뚜라미, 땅강아지 등이 속한다.
[해설작성자 : gogo]

36. 진딧물, 깍지벌레, 응애류를 포식하는 이 곤충은 그 중에도 진딧물류를 가장 선호하는 순수익충이다. 외국에서는 이 곤충을 대량증식하여 천적으로 판매하는 일도 있다. 어떤 곤충인가?(2006년 05월)
     1. 혹파리의 일종
     2. 진딧벌의 일종
     3. 풀잠자리류
     4. 노린재류

     정답 : []
     정답률 : 66%

37. 종합적 해충관리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1년 10월)
     1. 농약의 합리적인 사용
     2. 천적이용 확대
     3. 해충군 보다 개개를 대상으로 한 효과적 방제
     4. 해충발생 예찰의 철저

     정답 : []
     정답률 : 88%

38. 종합적해충방제에서 방제를 실시해야 되는 해충의 밀도수준은?(2021년 09월)
     1. 경제적 소득수준
     2. 경제적 피해허용수준
     3. 물리적 피해수준
     4. 해충 밀도수준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해충 방제에서 경제적 피해수준이란 경제적 피해가 나타나는 해충의 최저밀도이다.
[해설작성자 : 네이버 블로거 몰랑이님]

39. 곤충의 상호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9월)
     1. 종내 상호작용은 개체군의 밀도와 관련이 없다.
     2. 개미와 진딧물의 관계, 식물과 화분매개충의 관계는 편리공생이다.
     3. 다른 두 종 이상이 먹이와 은신처 등 생활요구자원을 같이 할 때 종간경쟁이 일어난다.
     4. 곤충에 기생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하여 해충을 방제할 수 있으나 나비목은 효과가 미비하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2번. 개미와 진딧물의 관계, 식물과 화분매개충의 관계는 상리공생이다.
4번. 나비목도 효과가 있다.
[해설작성자 : 최에]

40. 다음 천적류 중 해충에 기생하는 천적이 아닌 것은?(2006년 03월)
     1. 노린재류
     2. 맵시벌류
     3. 알좀벌류
     4. 고치벌류

     정답 : []
     정답률 : 68%

3과목 : 재배학원론


41. 덩이줄기로 번식하는 작물은?(2004년 05월)
     1. 고구마
     2. 감자
     3. 생강
     4. 마늘

     정답 : []
     정답률 : 54%

42. 다음 중 작물의 주요온도에서 '최적온도'가 가장 낮은 작물은?(2019년 03월)
     1. 보리
     2. 오이
     3. 옥수수
     4. 멜론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보리<사탕무 밀 귀리 호밀 < 담배 <완두<옥수수,벼<오이<멜론,삼
최적온도 순서 암기: 리사의 밀리호는 담배를 수수하게 벼고 이론삼

43. 멀칭(mulching)의 효과로 올바른 것은?(2005년 09월)
     1. 생육촉진
     2. 비료절감
     3. 풍해유도
     4. 낙과방지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멀칭을 하게되면 지온상승에 의해 생육이 촉진된다.
[해설작성자 : ..]

멀칭의 효과: 생육촉진, 토양의 건조 방지, 지온변화의 억제, 토양의 침식 방지, 동해의 경감, 풍해 방지, 지온 상승
[해설작성자 : sseo]

44. 다음 중 종자의 수명이 가장 긴 것은?(2017년 05월)
     1. 메밀
     2. 가지
     3. 고추
     4. 양파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토마토, 가지, 수박, 녹두, 오이, 배추 등은 수명이 4~6년 또는 그 이상인 장명종자이다.
[해설작성자 : gogo]

03~17.2 기출 종자
* 단명종자 : 고추, 메밀, 양파, 콩, 옥수수, 당근
* 상명종자 : 밀, 벼, 배추, 완두, 목화, 쌀보리, 호박
* 장명종자 : 녹두, 오이, 가지, 수박, 토마토, 클로버, 사탕무, 비트, 데이지
[해설작성자 : 르망]

45. 탈질현상을 경감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은 시비법은?(2007년 03월)
     1. 질산태질소비료를 논의 산화층에 시비
     2. 질산태질소비료를 논의 환원층에 시비
     3. 암모늄태질소비료를 논의 산화층에 시비
     4. 암모늄태질소비료를 논의 환원층에 시비

     정답 : []
     정답률 : 58%

46. 다음 비료 종류 중 산성토양(酸性土壤)에 사용하기에 가장 알맞은 것은?(2008년 09월)
     1. 황산(黃酸)암모니아
     2. 용성인비(溶成燐肥)
     3. 중과석(重過石)
     4. 염화(鹽化)칼륨

     정답 : []
     정답률 : 73%

47. 토양과 식물체 및 대기 간의 수분이동에서 수분 포텐셜을 가장 높은 곳에서 가장 낮은 곳으로 바르게 표시한 것은?(2016년 03월)
     1. 대기 → 식물체 → 토양
     2. 식물체 → 대기 → 토양
     3. 대기 → 토양 → 식물체
     4. 토양 → 식물체 → 대기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수분포텐셜은 식물세포 사이에서의 물의 이동을 결정 하는 요인으로 수분포텐셜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확산 이동한다
[해설작성자 : 철성]

48. 작물의 동상해대책이 아닌 것은?(2004년 09월)
     1. 배수를 하여 생육을 건실하게 한다.
     2. 칼리 비료 시용량을 높힌다.
     3. 퇴비 시용량을 높힌다.
     4. 뿌림골을 얕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49. 하부의 낡은 잎을 따서 통풍과 투광을 조장하는 적엽摘葉의 효과가 가장 큰 작물은?(2014년 09월)
     1. 담배
     2. 옥수수
     3. 토마토
     4. 포도나무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토마토 적엽의 목적은 광투과와 공기순환 등 군락환경 개선, 병해충 회피, 영양생장 및 생식생장 균형 유지 등이다.
[해설작성자 : gogo]

50. 이랑을 세우고 낮은 골에 파종하는 방식은?(2018년 09월)
     1. 휴랍휴파법
     2. 성휴법
     3. 평휴법
     4. 휴립구파법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휴립휴파법 - 이랑을 세우고 이랑에 파종하는 방식
성휴법 - 이랑을 보통보다 넓고 크게 만드는 방식
평휴법 - 이랑을 평평하게 하여 이랑과 고랑의 높이가 같게 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주녕이]

51. 영양번식을 주로 하는 작물은?(2006년 05월)
     1. 고구마
     2. 옥수수
     3.
     4. 대마

     정답 : []
     정답률 : 70%

52. 다음 중 내습성이 가장 강한 과수류는?(2011년 06월)
     1. 무화과
     2. 복숭아
     3. 밀감
     4. 포도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과수의 내습성 정도 : 올리브 >포도> 밀감> 감,배 >밤,복숭아,무화과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53. 춘화처리의 농업적 이용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6월)
     1. 대파 할 수 있다.
     2. 성전환이 가능하다.
     3. 채종에 이용될 수 있다.
     4. 촉성재배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춘화(vernalization) : 일정기간 저온처리를 하여 작물의 개화를 유도하는 것
1. 추파맥류의 춘파, 대파가 가능함
2. 채종에 이용될 수 있음
3. 화아분화를 촉진시켜 촉성재배 가능
4. 육종연한을 단축시킴
※ 성전환/ 휴면타파/ 감광형 벼의 조기재배는 일장처리에 관한 내용
[해설작성자 : hyeonys]

54. 다음 중 괴경으로 번식을 하는 것은?(2005년 09월)
     1. 감자, 토란, 뚱딴지
     2. 다알리아, 고구마, 마
     3. 백합, 마늘, 부추
     4. 생강, 박하, 호프

     정답 : []
     정답률 : 73%

55. 작물재배에서 배토작업의 이점은 ?(2005년 03월)
     1. 신근 발생의 억제
     2. 도복의 경감
     3. 분얼 촉진
     4. 덩이줄기의 발육 억제

     정답 : []
     정답률 : 54%

56. 논갈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3월)
     1. 유기물이 많은 논은 추경을 한다.
     2. 겨울에 강수량이 많은 곳은 춘경을 한다.
     3. 추경이 건토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4. 벼의 만식재배시 심경을 하면 등숙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4. 등숙이 불량해진다( 누수와 비료손실이 큼)

57. 맥류의 전면전층파 재배에 이롭지 못한 방법인 것은?(2004년 03월)
     1. 내도복성 품종의 선택
     2. 파종량의 감소
     3. 시비량의 증대
     4. 제초제의 이용

     정답 : []
     정답률 : 63%

58. 다음 중 내습성이 가장 강한 과수류는?(2021년 05월)
     1. 무화과
     2. 복숭아
     3. 밀감
     4. 포도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내습성이 강한 작물은 벼(밭벼), 미나리 > 옥수수 > 토란, 고구마 >    보리, 밀 > 고추 > 메밀 > 파, 양파이며 과실 중에서는 포도가 내습성이 강하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 싶은 자]

59. 다음 분 장과류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2018년 03월)
     1. 배, 사과
     2. 복숭아, 앵두
     3. 딸기, 무화과류
     4. 감, 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인과류 : 배, 사과, 비파
-준인과류 : 감, 귤
-핵과류 : 복숭아, 자두, 살구, 앵두
-장과류 : 포도, 딸기, 무화과
-곡과류 : 밤, 호두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인과류 - 꽃턱이 발달해 과육부를 형성<사과 배>
준인과류 - 씨방이 발달해 과육이 됨 <귤 감>
핵과류 - 내과피가 단단한 핵을 이루고 그 속에 씨앗. 중과피가 과육을 이룸<복숭아 매실 살구 앵두>
장과류 - 꽃받침이 두꺼운 주머니 모양 육질이 부드러우면 즙이 많은 과일류<포도 딸기 무화과류>
견과류(곡과류) - 외피가 단단 식용부위는 곡류나 두류처럼 떡잎으로 된 것<밤 호두 잣>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광합성에 가장 효과적인 광은?(2010년 09월)
     1. 녹색광
     2. 황색광
     3. 적색광
     4. 주황색광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제일 좋은건 2개이며 종류는 적생광,청생광이다
[해설작성자 : 서울대학교 응용생물학과]

4과목 : 농약학


61. 95%인 원제 2kg으로 2% 분제를 만들려할 때, 소요되는 증량제의 양(kg)은?(2020년 06월)
     1. 73
     2. 83
     3. 93
     4. 103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95%/2% - 1) x 2kg = 93
[해설작성자 : Basirel]

62. 메프유제 50%를 0.05%로 희석하여 10a당 100L를 살포하려고 할 때 소요약량은 몇 mL인가?(비중-1.008)(2011년 06월)
     1. 99.2
     2. 109.2
     3. 119.2
     4. 129.2

     정답 : []
     정답률 : 54%

63. 비교적 무거운 점토광물로 흡유가가 천연의 증량제 중 가장 높은 증량제는?(2004년 03월)
     1. 활석(탈크)
     2. 카오린
     3. 벤토나이트
     4. 규산류

     정답 : []
     정답률 : 68%

64. 농약 저항성 해충의 가능한 저항성기작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8월)
     1. 약제를 살포한 곳의 기피를 위한 식별능력이 증가된다.
     2. 살충제의 피부투과성이 증대된다.
     3. 살충제의 충체 침투를 막기 위한 피부 두께가 증가한다.
     4. 체내에서 흡수된 살충제의 해독작용이증대된다

     정답 : []
     정답률 : 72%

65. 다음 중 농약의 약효를 증진시키는 방법이 아닌 것은?(2004년 03월)
     1. 알맞은 농약의 선택
     2. 방제적기에 농약 살포
     3. 적정농도, 정량살포
     4. 동일 농약의 지속 사용

     정답 : []
     정답률 : 84%

66. 다음 중 디티오카바믹산(dithiocarbamic acid)기를 가지고 있는 농약은?(2009년 05월)
     1. 에틸브로마이드
     2. 석회유황합제
     3. 포리옥신
     4. 만코제브

     정답 : []
     정답률 : 67%

67. 다음 농약중 도열병에 효과가 없는 농약은?(2004년 09월)
     1. 아이비유제(키타진)
     2. 베나솔입제(오리자)
     3. 부라딘액제(부라에스)
     4. 메프유제(스미치온)

     정답 : []
     정답률 : 40%

68. 농약의 안전성 평가항목 중 일반독성 평가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3년 03월)
     1. 변이원성
     2. 만성독성
     3. 신경독성
     4. 어독성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변이원성(발암성),신경독성은 특수독성에 해당.
어독성은 환경생물에 대한 독성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69. 저장 곡류(穀類)에 주로 사용되는 훈증제(fumigant)는?(2022년 04월)
     1. Triclopyr-TEA
     2. Procymidone
     3. Methyl bromide
     4. Alpha-cypermethrin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메틸브로마이드는 현미, 소맥 등의 방충 목적으로 가스훈증에 이용한다.
[해설작성자 : 똠슬]

70. 다음 농약과 관련한 용어 중 영문 약어가 올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2006년 05월)
     1. 잔류허용기준-MRL
     2. 일일섭취허용량-ADL
     3. 최대무작용량-NOEL
     4. 질적위해성-QRA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ADI=noel*안전계수 0.01
[해설작성자 : 나야나나]

71. 다음 수화제(WP)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유제에 비하여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이 많기 때문에 원료가 비싸다.
     2. 제제가 고체이기 때문에 뒤처리가 용이하다.
     3. 약액 조제시 가루가 비산하여 작업자에게 위험성이 있다.
     4. 살포액을 조제할 때 소요량을 평량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72. 분제의 물리적 성질에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2017년 05월)
     1. 현수성. 유화성
     2. 습전성, 표면장력
     3. 수화성, 접촉각
     4. 용적비중, 비산성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물리적성질 : 비산성, 부착성, 토분성, 고착성, 분산성, 안정성, 용적비중, 가비중,
물리적 성질이 아닌것 : 수화성, 연무성, 유화성, 습전성, 표면장력, 접촉각, 가용성, 현수성
[해설작성자 : 2022 식보]

73. 살포액의 조제 시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7년 09월)
     1. 농약의 이화학적 특성
     2. 희석용수의 선택
     3. 소정의 희석배수 준수
     4. 충분한 혼화

     정답 : []
     정답률 : 49%

74. 다음 중 소나무에서 발생하는 솔나방을 방제하는데 주로 사용할 수 있는 약제는?(2017년 09월)
     1. 트리포린 유제
     2. 페니트로티온 유제
     3. 크로로탈로닐 수화제
     4. 글루포시네이트 암모늄액제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페니트로티온 유제 : 유기인계 살충제로 식물체 속에 잘 흡수되어 식물체 내에서 갉아먹는 유충에 대하여도 효과적이며, 해충에 대하여 접촉독, 식독효과가 우수하다.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75. 유기유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4년 03월)
     1. 유기유황제 중 Thiram 은 흰가루병에 특효이다.
     2. 수도용 살균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3. 무기황제보다 가격이 싸다.
     4. 주요 약제로는 propineb, mancozeb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64%

76. 보호살균제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균사체에 대하여 강력한 살균작용을 나타낸다.
     2. 살포 후 작물체 표면에서의 부착성과 고착성이 우수하다.
     3. 강력한 포자발아 억제작용을 나타낸다.
     4. 약효가 일정기간 유지되는 지효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보호살균제 : 식물체에 병원균이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해 살포하는 약제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77. 농약은 사용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제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살포액으로 사용될 수 없는 것은?(2018년 04월)
     1. 유제
     2. 수화제
     3. 수용제
     4. 입제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농약 제품은 포장에서 사용할 때

    ㉠물에 희석하여 살포하는 형태(희석살포제형),
    ㉡포장지 개봉 후 직접 살포하는 형태(직접살포제형) 및
    ㉢살포하지 않는 특수한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1~3은 ㉠에 속한다.
1.유제:액상, 물에 희석시 유화
2.수화제:분상, 물에 희석시 수화
3.수용제:분상, 물에 희석시 용해

4는 ㉡에 속한다.


*출처: 농촌진흥청-국립농업과학원-농약정보서비스-안전정보-농약에대한이해-농약의분류-제형에따른분류
*출저가면 매우자세한 내용 확인 가능
[해설작성자 : 일상노루]

78. 다음 중 Ziram의 구조식은?(2017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8%

79. 농약의 토양 잔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유기염소계 농약은 환경에서 매우 안정하므로 토양 중에 오래 잔류한다.
     2. 아닐린유도제는 토양 중에서 토양입자에 강하게 흡착되므로 오래 잔류한다.
     3. 수화제나 유제와 같이 물에 희석해서 사용된 약제는 분제나 입제보다 토양에서 분해가 빨라진다.
     4. 일반적으로 유기물함량이 높은 토양에서 농약의 분해가 촉진된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분해속도는 입제가 수화제 유제보다 빠르다

80. 농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살포액 조제방법은?(2015년 05월)
     1. 비중 조제법
     2. 배액 조제법
     3. 퍼센트액 조제법
     4. 피피엠(ppm)액 조제법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영농현장에서는 배액 조제법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하늘다람쥐2019]

81. 작물과 잡초간의 주요 경합 대상이 아닌 것은?(2007년 03월)
     1. 광선
     2. 산소
     3. 양분
     4. 수분

     정답 : []
     정답률 : 80%

82. 벼와 광경합이 가장 크게 일어나는 잡초는?(2017년 05월)
     1. 강피
     2. 올미
     3. 쇠털골
     4. 논뚝외풀

     정답 : []
     정답률 : 82%

83. 식물의 종간경합에 해당하는 것은?(2015년 05월)
     1. 식물과 식물의 경합
     2. 서로 다른 종간의 경합
     3. 같은 종간의 경합
     4. 같은 종내의 개체간의 경합

     정답 : []
     정답률 : 72%

84. 잡초의 식물학적 분류순서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9월)
     1. 계-문-강-목-과-속-종
     2. 계-속-문-강-목-과-종
     3. 과-계-속-문-강-목-종
     4. 속-문-강-과-계-목-종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 재배학 기출
♣ 어떤 잡초를 분류하고자 할 때 식물분류학적 분류 순서로 올바른 것은? 2004.4 2007.1
다음 중 식물의 분류체계에 맞는 것은? 2006.1

문(門)→ 강(綱)→ 목(目)→ 과(科)→ 속(屬)→ 종(種)
문-강-목-과-속-종
[해설작성자 : 르망]

* 방제학 관련 기출
♣ 어떤 잡초를 분류하고자 할 때 식물분류학적 분류 순서로 올바른 것은? 2004.4 2007.1
다음 중 식물의 분류체계에 맞는 것은? 2006.1

문(門)→ 강(綱)→ 목(目)→ 과(科)→ 속(屬)→ 종(種)
문-강-목-과-속-종

♣ 토양에 처리한 요소(Urea)계 제초제가 작용점까지 이르는 경로를 순서대로 가장 잘 설명한 것은? 2003.2
뿌리 - 사부 - 잎 - 세포 - 색소체

♣ 아래 보기 중 잡초방제방법의 발달 순서로 맞는 것은? 2003.1 2009.4 2014.2
① 축력 -> ② 기계적 방제 -> ③ 선택적 제초제 개발 -> ④ 종합적 방제
[해설작성자 : 르망]

85. 기계이앙 재배에서 이앙직후에 토양처리형 제초제를 살포할 경우 벼에는 안전하나 잡초는 발아하지 못하고 고사시키는 것은?(2004년 03월)
     1. 잡초와 벼와의 생육기 차이에 의해서
     2. 잡초와 벼와의 수분흡수 차이에 의해서
     3. 잡초와 벼와의 생리학적 차이에 의해서
     4. 잡초와 벼와의 화학적 차이에 의해서

     정답 : []
     정답률 : 48%

86. 분해과정이 없을 경우 극성이 낮은 제초제를 토양처리 하였을 때 제초효과가 가장 낮게 나타날 수 있는 지역은?(2006년 09월)
     1. 토양유기물이 풍부한 점질토양의 지역
     2. 유기물이 없는 사질토양의 지역
     3. 유기물이 어느 정도 있는 사질토양의 지역
     4. 유기물이 전혀 없는 점질토양의 지역

     정답 : []
     정답률 : 49%

87. 다음 잡초 중 종자의 천립중이 가장 가벼운 것은?(2007년 03월)
     1. 명아주
     2. 강아지풀
     3. 단풍잎돼지풀
     4. 메귀리

     정답 : []
     정답률 : 46%

88. 생활사에 따른 잡초의 분류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1년생
     2. 월년생
     3. 4년생
     4. 다년생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4년생이라는건 없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9. 월년생 잡초로만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8년 03월)
     1. 피, 냉이, 뚝새풀
     2. 별꽃, 냉이, 벼룩나물
     3. 냉이, 쇠비름, 벼룩나물
     4. 쇠비름, 뚝새풀, 벌꽃아재비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관련기출문제
♣ 월년생(동계1년생) 밭잡초가 아닌 것은?
냉이
별꽃
벼룩나물

x-명아주 2014.4
♧ 명아주는 1년생 밭잡초이다.
[해설작성자 : 르망]

월년생 잡초는 가을. 초겨울에 발생하여 월동후 다음해 여름까지결실및 고사하는 것으로 둑새풀,냉이,망초,별곷, 벼룩나물 등이있다.
[해설작성자 : 요미]

90.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최초의 신물질 제초제로 pyrimidinyloxysalicylic acid계 제초제는?(2013년 09월)
     1. pyrazolate
     2. pyrazoxyfen
     3. pyribenzoxim
     4. Bentazon

     정답 : []
     정답률 : 52%

91. 작물과 잡초의 경합 중 양분경합에서 수량에 가장 크게 관여하는 비료성분은?(2010년 03월)
     1. 마그네슘(Mg)
     2. 질소(N)
     3. 칼슘(Ca)
     4. 황(S)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경합이 강할때 작물수량은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농과 18학번]

92. 명아주 잡초 종자를 휴면 타파시켜 실험에 사용코자 할경우 바람직한 방법은?(2004년 03월)
     1. 종피파상법
     2. 저온처리법
     3. 호르몬처리법
     4. 변온처리법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명아주과 종자에서 나타나는 휴면성의 원인은 종피의 낮은 수분투과성이기 때문에 종피 파상법을 이용하면 수분 흡수가 원활해져 휴면 타파가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스마일퐁퐁]

93. 잡초에는 경합력이 저하 되도록 유도하는 대신 작물에는 경합력이 높아지도록 재배하는 잡초 방제법은?(2006년 09월)
     1. 기계적 방제법
     2. 생태적 방제법
     3. 화학적 방제법
     4. 생물적 방제법

     정답 : []
     정답률 : 77%

94. 잡초의 생물학적 방제용으로 도입되는 곤충이 구비하여야할 조건이 아닌 것은?(2013년 09월)
     1. 대상 잡초에만 피해를 주는 것
     2. 대상 잡초의 적응지역에 잘 적응할 수 있는 것
     3. 인공적으로 배양 또는 증식이 용이한 것
     4. 영구적으로 소멸되지 않는 것

     정답 : []
     정답률 : 85%

95. 잡초방제에서 제초제 사용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7년 03월)
     1. 생산비 절감
     2. 노동경합 문제 해결
     3. 기계화 용이
     4. 병해충의 발생량 증가

     정답 : []
     정답률 : 79%

96. 잡초를 형태적 특성에 따라 분류한 것은?(2007년 03월)
     1. 화본과류, 방동사니류, 광엽류
     2. 일년생, 월년생, 다년생
     3. 일년생, 화본과류, 다년생
     4. 화본과류, 방동사니류, 다년생

     정답 : []
     정답률 : 73%

97. 잡초의 유익성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3월)
     1. 토양에 많은 종자제공
     2. 토양침식 방지
     3. 토양물리 환경개선
     4. 자원으로 이용 가능

     정답 : []
     정답률 : 69%

98. 잡초와 작물과의 경합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3월)
     1. 같은 초종 중에서 개체간에 일어나는 경합을 종내경합이라고 한다.
     2. 식물경합은 둘 이상의 식물이 각각 어느 특정요인이나 물질이 필요량보다 부족할 때 일어난다
     3. 잡초와 작물간에 경합이 심할 때 작물수량은 증가 한다.
     4. 초종이 다른 식물들 간에 일어나는 경합을 종간경합이라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99. 농경지에서 일어나는 식생천이에 관여하는 가장 큰 천이 발생요인은?(2008년 03월)
     1. 제초방법
     2. 물관리법
     3. 작부체계
     4. 시비법

     정답 : []
     정답률 : 49%

100. 두 제초제를 혼합처리시 상승작용이란 어떤 것을 의미하는 가?(2009년 03월)
     1. 두 제초제를 혼합처리시 보다 단독처리가 더 효과적인 것을 의미함
     2. 두 제초제를 혼합처리시 단독처리 때보다 효과가 큰 것을 의미함
     3. 두 제초제를 혼합처리시 단독처리와 효과가 같은 것을 의미함
     4. 두 제초제를 혼합처리시 식물의 생리적 장애 현상을 의미함

     정답 : []
     정답률 : 78%


정 답 지

식물보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219843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식물보호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식물병리학


1. 중간기주인배나무에서 향나무로 날아와 향나무 녹병을 발생시키는 포자는?(2014년 09월)
     1. 분생포자
     2. 동포자(겨울포자)
     3. 수포자(녹포자)
     4. 하포자(여름포자)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배나무에 전파된 병균은 기공을 통해 침입하여 병징이 발현되고 녹병포자와 녹포자를 형성한다.녹포자는 다시 비산하여 향나무로 날아가 침입하고 월동한다음 겨울포자퇴가 형성된다.
[해설작성자 : 요미]

2. 1845년 아일랜드에 큰 흉년을 가져오게 한 병은?(2009년 03월)
     1. 감자 탄저병
     2. 감자 역병
     3. 밀 줄기녹병
     4. 포도 노균병

     정답 : []
     정답률 : 86%

3. 다음 중 순활물기생체에 해당하는 것은?(2020년 08월)
     1. 보리 흰가루병균
     2. 감자 역병균
     3. 벼 깜부기병균
     4. 고구마 무름병균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절대기생체(순활물기생체)
녹병 흰가루병 노균병 무사마귀병 붉은별무늬병
인공배양가능: 목화 녹병, 맥류줄기녹병
표징은 관찰되지만 배양이 어려운 병해: 노균병,흰가루병

[추가 해설]
순활물 기생체
보리 흰가루병, 녹병, 잿빛곰팡이병, 노균병, 무사마귀병, 붉은별무늬병 등
감자 역병과 깜부기병은 임의 부생체
고구마 무름병은 임의 기생체
[해설작성자 : 이츠유]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추가해설 부분에서 잿빛곰팡이병은 임의기생체임. 순환물기새체 아님.
[해설작성자 : ㅁㅅㅇ]

[추가 오류 신고]
보리 흰가루병균이 순활물기생체이고 벼 깜부기병균이 임의부생체인데 정답이 잘못 기재되어 있음
[해설작성자 : 몰루]

4. 다음 중 복숭아나무 잎오갈병의 전형적인 병징은?(2020년 08월)
     1. 도장
     2. 천공
     3. 이상 비후
     4. 기공 계폐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복숭아나무 잎오갈병
자낭균류
24도 이하 저온에서 발병
발아전 디티아논 살포로 방제가능
주로 잎에 발생하며 꽃에도 발생
전형적 병징은 이상비후
분생포자 형태로 침입
*복숭아 잎오갈병, 소나무류 잎떨림병은 한해에 1차감염만 일어나고 2차감염은 일어나지 않는다

[추가 해설]
복숭아나무 잎오갈병은 파이토플라즈마가 아닌 진균 중 자낭균에 의한 병이고
그렇기에 병징이 존재한다
병징은 이상비후(대)

5. 배추 무름병(軟腐病)균의 병원성 검정을 위하여 실내에서 많이 사용하는 기주는?(2004년 05월)
     1. 당근
     2. 오이
     3. 고추
     4. 담배

     정답 : []
     정답률 : 55%

6. 다음 병 중 병원이 경란전염하는 것은?(2003년 05월)
     1. 벼오갈병
     2. 담배모자이크병
     3. 벼도열병
     4. 오이모자이크병

     정답 : []
     정답률 : 57%

7. 토마토 풋마름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10월)
     1. 단범성 병이다.
     2. 세균에 의한 병이다.
     3. 월동은 주로 종자에서 한다.
     4. 뿌리에 침입시 뿌리가 흰색으로 변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8.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2017년 03월)

   

     1. 혈청학적 진단
     2. 생물학적 진단
     3. 이화학적 진단
     4. 유전학적 진단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혈청학적 진단방법
바이러스 진단방법이며, ELISA(효소결합항체법), 슬라이드법, 형광항체병, 적혈구응집반응법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찌옹]

9. 인공 배지에서 배양이 가능한 식물 병원체는?(2019년 04월)
     1. 세균
     2. 선충
     3. 바이러스
     4. 파이토플라스마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세균의 동정방법
순수분리배양 후 감수성 기주 식물에 재접종, 병증상 재현
[해설작성자 : 내용추가]

바이러스, 파이토플라즈마는 인공배지에 배양불가
[해설작성자 : 부산대 농경제]

* 인공 배지에서 배양이 가능하며 균사체를 형성하지 않는 식물 병원균은? 세균 05.4

* 세포벽이 없는 원형생물로 인공배지에 배양이 되지 않으며 곤충에 매개되는 특성이 있고 세균과 바이러스의 중간 형태로 알려진 식물병원 미생물은? 파이토플라스마 10.1 16.1
[해설작성자 : 르망]

10. 저항성 품종을 이용한 방제방법의 가장 큰 문제점은?(2015년 03월)
     1. 비경제성
     2. 비효과성
     3. 약해 및 잔류독성
     4. 저항성 품종의 이병화 현상

     정답 :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저항성 품종을 이용한 방제 시 병원균의 새로운 레이스가 생기면 기존 저항성은 무너지게 된다.(이병화 현상)
[해설작성자 : 얀]

11. 병원체의 작용을 억제하는 기주의 능력은 ?(2005년 03월)
     1. 병원성
     2. 감수성
     3. 저항성
     4. 면역성

     정답 : []
     정답률 : 82%

12.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하는 작물이 노지작물보다 병이 적게 발생하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3월)
     1. 비닐하우스는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전염원을 차단한다.
     2. 비닐하우스는 노지보다 온도가 높다.
     3. 비닐하우스는 노지보다 수분 증발량이 많다.
     4. 비닐하우스는 물을 인위적으로 공급하여 재배 한다.

     정답 : []
     정답률 : 91%

13. 병원균이 포도 탄저병균(Glomerella cingulata)과 같은 것은?(2015년 03월)
     1. 콩 탄저병
     2. 사과 탄저병
     3. 수박 탄저병
     4. 목화 탄저병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고추탄저병 : 자낭균류로 고추 사과 포도가 기주 식물임, 자낭각 형태로 병든 열매나 나뭇가지에서 월동후 비바람에 전반
                     고온다습, 성숙기에 발생

14. 그램염색에서 나머지 셋과 다른 반응을 보이는 것은?(2016년 10월)
     1. Erwinia
     2. clavibacter
     3. acidovorax
     4. agrobacterium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그람양성 세균: Clavibacter 감자 둘레썩음병, Streptomyces 감자 더뎅이병
그람음성 세균: Erwinia 채소 세균성무름병, Agrobacterium 뿌리혹병
[해설작성자 : 부산대 농경제]

15. 기주 특이적 독소(host-specific toxin)는?(2008년 05월)
     1. Tabtoxin
     2. Victorin
     3. Fumaric acid
     4. Tentexin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기주특이적 독소는 Victorin, Alterine, HMT독소, HC독소, PC독소, AM독소, AL독소 가 있음

16. 비생물학적 병원에 의해 발생하는 생리병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2015년 05월)
     1. 병징만 나타난다
     2. 표징만 나타난다
     3. 병징과 표징이 모두 나타난다
     4. 환경적이 영향에 의해 표징이 나타날 수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비생물학적 요인: 물, 빛, 기온 등의 환경적 요인,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장애
[해설작성자 : 슈프림 박스로고 후드티]

17. 전형적인 벼 잎도열병의 병징은?(2007년 09월)
     1. 줄무늬
     2. 타원형
     3. 원형
     4. 방추형

     정답 : []
     정답률 : 65%

18. 사과나무 부란병균의 월동처는?(2016년 10월)
     1. 토양
     2. 병든과실
     3. 병든낙엽
     4. 병든 줄기 및 가지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사과나무 부란병
-진균(자냥균류)
-병든가지나 줄기에서 월동
-전정 시 상처를 통해 침입
-줄기나 나뭇가지 등에 발생
-껍질이 갈색으로 부풀어 벗겨지며,알코올냄새
[해설작성자 : 왼손쟁이호야]

19. 제한효소를 사용하여 DNA 특정 염기부위를 잘라 DNA절편 다양성을 통해 병원체를 동정하는 진단과 관련있는 용어는?(2014년 05월)
     1. TEM
     2. RFLP
     3. LEM
     4. PCR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RFLP(Restriction Length Polymorphism)란 DNA를 유전자 절단 제한효소로 절단했을 떄, 절단된 유전자의 길이가 다양하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하늘다람쥐2019]

20. 다음 중 감자 Y 바이러스의 주요 매개층은?(2021년 09월)
     1. 복숭아혹진딧물
     2. 번개매미충
     3. 끝동매미충
     4. 응애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PVY로 약기. 폭 12~13nm, 길이 730nm 크기의 끈모양 식물바이러스. 유전체의 (+)센스RNA는 약 9,500염기로 구성되고 5′말단에는 작은 단백질을 공유결합하며 3′말단에는 폴리(A)배열을 하고 있다. 유전체RNA에서는 폴리단백질로 분자량이 340,000인 단백질을 합성할 수 있다. 이후 폴리단백질에 내재하는 단백질분해효소에 의하여 폴리단백질을 8개의 단백질로 분해하게 된다. 즉, 바이러스는 8개의 유전자를 갖는 셈이다. PVY는 주로 가지과식물을 숙주로 하며, 진딧물이 전파하는 감자의 주요 병해의 원인이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감자바이러스Y [potato virus Y]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강영희)
[해설작성자 : 칩샷대마왕]

2과목 : 농림해충학


21. 토양생태계에 있어서 토양 곤충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2012년 05월)
     1. 생산자 역할
     2. 소비자 역할
     3. 분해자 역할
     4. 오염자 역할

     정답 : []
     정답률 : 85%

22. 우리나라에서 월동하지 못하는 비래 해충은?(2008년 05월)
     1. 애멸구
     2. 흰등멸구
     3. 끝동매미충
     4. 번개매미충

     정답 : []
     정답률 : 62%

23. 곤충 체벽의 진피층(epidermi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단층으로 되어 있다.
     2. 내원표피 아래에 위치한다.
     3. 외표피와 원표피로 구성되어 있다.
     4. 단백질, 지질, 키틴 화합물을 합성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외표피와 원표피는 외큐티클을 구성한다.
[해설작성자 : 강혜수]

진피층은 상피세포, 피부선, 특수세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gogo]

상큐티클-외큐티클-내큐티클(표피=진피)-기저막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감자나방의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2년 04월)
     1. 감자에 배설물이 나와 있다.
     2. 어린감자의 생장점을 파고 들어간다.
     3. 감자 잎의 표피를 뚫고 들어가 앞뒤 표피만 남긴다.
     4. 담배의 뿌리를 가해하고, 밖으로 배설물을 배출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감자,담배,가지,토마토 꽈리 등 가지과 식물을 가해한다..
잎,줄기,덩이줄기 등을 가해하는데, 잎은 유충이 엽육 속으로 들어가 껍질만 남기고 먹어버리므로 백색주머니처럼 되고,줄기 속으로 들어가면 똥을 밖느로 내보내므로 쉽게 발견된다.
실제 피해는 수확 후의 감자에 많으므로 수확 후 포장에 방치하지 말아야 하며, 수확 전에 약제를 뿌림으로써 산란을 막아야 한다. 출처 :NAVRT [지식백과]
[해설작성자 : 하 ㅇㅇ]

25. 말피기관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05월)
     1. 말피기관은 중장과 후장이 만나는 곳에서 후장과 연결되어 있다.
     2. 말피기관은 배설계에 속하는 기관이다.
     3. 말피기관은 혈액 속에서 물, 무기이온 등을 흡수하여 후장으로 이동시킨다.
     4. 말피기관은 진딧물에서 볼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8%

26. 곤충이 배설하는 물질이 아닌 것은?(2013년 09월)
     1. 초산
     2. 암모니아
     3. 요산
     4. allantic acid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곤충의 배설 물질: 암모니아, 요산, Allantoic Acid
수서곤충은 암모니아 배설, 지상곤충은 요산과 allantoin(알라토인)이 주배설물임.
[해설작성자 : 하늘다람쥐2019]

27. 현재 우리나라 소나무림에 가장 피해를 심하게 주는 소나무재선충을 애개하는 솔수염하늘소의 우화시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우리나라 남부지방)(2011년 10월)
     1. 2월 ~ 4월
     2. 5월 ~ 7월
     3. 8월 ~ 10월
     4. 11월 ~ 1월

     정답 : []
     정답률 : 74%

28. 발생예찰의 방법 중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서 다른 방법에 비하여 선행되는 것은?(2013년 09월)
     1. 실험적 방법
     2. 통계적 방법
     3. 야외조사 및 관찰방법
     4. 컴퓨터 이용방법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해충의 발생예찰 방법은 야외조사 및 관찰법, 통계적 예찰법,시뮬레이션 예찰법, 실험적 방법 등이 있다.
야외조사 및 관찰방법은 야외에서 직접 조사 및 관찰하는 것으로 가장 기본적인 방법
[해설작성자 : 하늘다람쥐2019]

29. 솔나방의 외부형태를 기술한 내용 중 틀린 것은?(2004년 05월)
     1. 성충의 길이가 암컷은 40mm 정도이다.
     2. 성충의 길이가 숫컷은 30mm 정도이다.
     3. 번데기는 방추형이고 백색이다.
     4. 고치는 긴타원형이고 황갈색이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번데기는 방추형이고 갈색이며 고치는 긴 타원형이고 황갈색이며 표면에 유충의 센털이 군데군데 박혀 있다.

30. 다음 중 초본류 혹은 목본류의 줄기 속을 식해하여 가해하는 해충은?(2020년 08월)
     1. 콩풍뎅이
     2. 거세미나방
     3. 숯검은밤나방
     4. 박쥐나방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초본류 목본류 줄기를 가해하는 것은 박쥐나방
그래서 수목 주변의 초본 잡초들을 제거하면 방제가 큰 것이 박쥐나방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콩풍뎅이: 주로 꽃잎
거세미나방: 뿌리, 새싹, 특히 줄기(지재부)
숯검은나방: 줄기(지재부)
[해설작성자 : 딸기를먹자]

31. 벼를 가해하여 오갈병을 매개하는 것은?(2018년 03월)
     1. 벼멸구
     2. 애멸구
     3. 흰둥멸구
     4. 끝동매미충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끝동매미충,번개매미충 -> 벼오갈병을 매개
[해설작성자 : kyum]

32. 일반적으로 곤충의 소화관은 세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그 중 내배엽에서 기원된 것은?(2004년 03월)
     1. 전장(fonegut)
     2. 중장(midgut)
     3. 후장(hindgut)
     4. 식도(esophagus)

     정답 : []
     정답률 : 76%

33. 각 종 해충의 공간 분포양식(mode of distribution)으로 자연계에서 실제 가장 많이 존재하는 분포양식은?(2013년 09월)
     1. 임의분포
     2. 균일분포
     3. 개별분포
     4. 집중분포

     정답 : []
     정답률 : 66%

34. 소나무굴깍지벌레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2007년 05월)
     1. 1년에 1회 발생한다.
     2. 1년에 2회 발생한다.
     3. 알로 월동한다.
     4. 가지나 줄기에서 즙액을 빨아먹는다.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소나무굴깍지벌레 : 매미목 깍지벌레과, 소나무 해송 스트로브잣나무 등에 성충과 약충이 잎에 기생하며 수액을 빨아먹어 피해입은 잎이 노랗게 변하고 부생성 그을음병을 유발한다. 연 2회 발생하며 암컷 성충으로 월동

35. 다음 중 땅강아지는 어느 목에 속하는 해충인가?(2019년 09월)
     1. 딱정벌레목
     2. 강도래목
     3. 잠자리목
     4. 메뚜기목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메뚜기목에는 메뚜기, 여치, 귀뚜라미, 땅강아지 등이 속한다.
[해설작성자 : gogo]

36. 진딧물, 깍지벌레, 응애류를 포식하는 이 곤충은 그 중에도 진딧물류를 가장 선호하는 순수익충이다. 외국에서는 이 곤충을 대량증식하여 천적으로 판매하는 일도 있다. 어떤 곤충인가?(2006년 05월)
     1. 혹파리의 일종
     2. 진딧벌의 일종
     3. 풀잠자리류
     4. 노린재류

     정답 : []
     정답률 : 66%

37. 종합적 해충관리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1년 10월)
     1. 농약의 합리적인 사용
     2. 천적이용 확대
     3. 해충군 보다 개개를 대상으로 한 효과적 방제
     4. 해충발생 예찰의 철저

     정답 : []
     정답률 : 88%

38. 종합적해충방제에서 방제를 실시해야 되는 해충의 밀도수준은?(2021년 09월)
     1. 경제적 소득수준
     2. 경제적 피해허용수준
     3. 물리적 피해수준
     4. 해충 밀도수준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해충 방제에서 경제적 피해수준이란 경제적 피해가 나타나는 해충의 최저밀도이다.
[해설작성자 : 네이버 블로거 몰랑이님]

39. 곤충의 상호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9월)
     1. 종내 상호작용은 개체군의 밀도와 관련이 없다.
     2. 개미와 진딧물의 관계, 식물과 화분매개충의 관계는 편리공생이다.
     3. 다른 두 종 이상이 먹이와 은신처 등 생활요구자원을 같이 할 때 종간경쟁이 일어난다.
     4. 곤충에 기생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하여 해충을 방제할 수 있으나 나비목은 효과가 미비하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2번. 개미와 진딧물의 관계, 식물과 화분매개충의 관계는 상리공생이다.
4번. 나비목도 효과가 있다.
[해설작성자 : 최에]

40. 다음 천적류 중 해충에 기생하는 천적이 아닌 것은?(2006년 03월)
     1. 노린재류
     2. 맵시벌류
     3. 알좀벌류
     4. 고치벌류

     정답 : []
     정답률 : 68%

3과목 : 재배학원론


41. 덩이줄기로 번식하는 작물은?(2004년 05월)
     1. 고구마
     2. 감자
     3. 생강
     4. 마늘

     정답 : []
     정답률 : 54%

42. 다음 중 작물의 주요온도에서 '최적온도'가 가장 낮은 작물은?(2019년 03월)
     1. 보리
     2. 오이
     3. 옥수수
     4. 멜론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보리<사탕무 밀 귀리 호밀 < 담배 <완두<옥수수,벼<오이<멜론,삼
최적온도 순서 암기: 리사의 밀리호는 담배를 수수하게 벼고 이론삼

43. 멀칭(mulching)의 효과로 올바른 것은?(2005년 09월)
     1. 생육촉진
     2. 비료절감
     3. 풍해유도
     4. 낙과방지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멀칭을 하게되면 지온상승에 의해 생육이 촉진된다.
[해설작성자 : ..]

멀칭의 효과: 생육촉진, 토양의 건조 방지, 지온변화의 억제, 토양의 침식 방지, 동해의 경감, 풍해 방지, 지온 상승
[해설작성자 : sseo]

44. 다음 중 종자의 수명이 가장 긴 것은?(2017년 05월)
     1. 메밀
     2. 가지
     3. 고추
     4. 양파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토마토, 가지, 수박, 녹두, 오이, 배추 등은 수명이 4~6년 또는 그 이상인 장명종자이다.
[해설작성자 : gogo]

03~17.2 기출 종자
* 단명종자 : 고추, 메밀, 양파, 콩, 옥수수, 당근
* 상명종자 : 밀, 벼, 배추, 완두, 목화, 쌀보리, 호박
* 장명종자 : 녹두, 오이, 가지, 수박, 토마토, 클로버, 사탕무, 비트, 데이지
[해설작성자 : 르망]

45. 탈질현상을 경감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은 시비법은?(2007년 03월)
     1. 질산태질소비료를 논의 산화층에 시비
     2. 질산태질소비료를 논의 환원층에 시비
     3. 암모늄태질소비료를 논의 산화층에 시비
     4. 암모늄태질소비료를 논의 환원층에 시비

     정답 : []
     정답률 : 58%

46. 다음 비료 종류 중 산성토양(酸性土壤)에 사용하기에 가장 알맞은 것은?(2008년 09월)
     1. 황산(黃酸)암모니아
     2. 용성인비(溶成燐肥)
     3. 중과석(重過石)
     4. 염화(鹽化)칼륨

     정답 : []
     정답률 : 73%

47. 토양과 식물체 및 대기 간의 수분이동에서 수분 포텐셜을 가장 높은 곳에서 가장 낮은 곳으로 바르게 표시한 것은?(2016년 03월)
     1. 대기 → 식물체 → 토양
     2. 식물체 → 대기 → 토양
     3. 대기 → 토양 → 식물체
     4. 토양 → 식물체 → 대기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수분포텐셜은 식물세포 사이에서의 물의 이동을 결정 하는 요인으로 수분포텐셜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확산 이동한다
[해설작성자 : 철성]

48. 작물의 동상해대책이 아닌 것은?(2004년 09월)
     1. 배수를 하여 생육을 건실하게 한다.
     2. 칼리 비료 시용량을 높힌다.
     3. 퇴비 시용량을 높힌다.
     4. 뿌림골을 얕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49. 하부의 낡은 잎을 따서 통풍과 투광을 조장하는 적엽摘葉의 효과가 가장 큰 작물은?(2014년 09월)
     1. 담배
     2. 옥수수
     3. 토마토
     4. 포도나무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토마토 적엽의 목적은 광투과와 공기순환 등 군락환경 개선, 병해충 회피, 영양생장 및 생식생장 균형 유지 등이다.
[해설작성자 : gogo]

50. 이랑을 세우고 낮은 골에 파종하는 방식은?(2018년 09월)
     1. 휴랍휴파법
     2. 성휴법
     3. 평휴법
     4. 휴립구파법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휴립휴파법 - 이랑을 세우고 이랑에 파종하는 방식
성휴법 - 이랑을 보통보다 넓고 크게 만드는 방식
평휴법 - 이랑을 평평하게 하여 이랑과 고랑의 높이가 같게 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주녕이]

51. 영양번식을 주로 하는 작물은?(2006년 05월)
     1. 고구마
     2. 옥수수
     3.
     4. 대마

     정답 : []
     정답률 : 70%

52. 다음 중 내습성이 가장 강한 과수류는?(2011년 06월)
     1. 무화과
     2. 복숭아
     3. 밀감
     4. 포도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과수의 내습성 정도 : 올리브 >포도> 밀감> 감,배 >밤,복숭아,무화과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53. 춘화처리의 농업적 이용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6월)
     1. 대파 할 수 있다.
     2. 성전환이 가능하다.
     3. 채종에 이용될 수 있다.
     4. 촉성재배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춘화(vernalization) : 일정기간 저온처리를 하여 작물의 개화를 유도하는 것
1. 추파맥류의 춘파, 대파가 가능함
2. 채종에 이용될 수 있음
3. 화아분화를 촉진시켜 촉성재배 가능
4. 육종연한을 단축시킴
※ 성전환/ 휴면타파/ 감광형 벼의 조기재배는 일장처리에 관한 내용
[해설작성자 : hyeonys]

54. 다음 중 괴경으로 번식을 하는 것은?(2005년 09월)
     1. 감자, 토란, 뚱딴지
     2. 다알리아, 고구마, 마
     3. 백합, 마늘, 부추
     4. 생강, 박하, 호프

     정답 : []
     정답률 : 73%

55. 작물재배에서 배토작업의 이점은 ?(2005년 03월)
     1. 신근 발생의 억제
     2. 도복의 경감
     3. 분얼 촉진
     4. 덩이줄기의 발육 억제

     정답 : []
     정답률 : 54%

56. 논갈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3월)
     1. 유기물이 많은 논은 추경을 한다.
     2. 겨울에 강수량이 많은 곳은 춘경을 한다.
     3. 추경이 건토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4. 벼의 만식재배시 심경을 하면 등숙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4. 등숙이 불량해진다( 누수와 비료손실이 큼)

57. 맥류의 전면전층파 재배에 이롭지 못한 방법인 것은?(2004년 03월)
     1. 내도복성 품종의 선택
     2. 파종량의 감소
     3. 시비량의 증대
     4. 제초제의 이용

     정답 : []
     정답률 : 63%

58. 다음 중 내습성이 가장 강한 과수류는?(2021년 05월)
     1. 무화과
     2. 복숭아
     3. 밀감
     4. 포도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내습성이 강한 작물은 벼(밭벼), 미나리 > 옥수수 > 토란, 고구마 >    보리, 밀 > 고추 > 메밀 > 파, 양파이며 과실 중에서는 포도가 내습성이 강하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 싶은 자]

59. 다음 분 장과류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2018년 03월)
     1. 배, 사과
     2. 복숭아, 앵두
     3. 딸기, 무화과류
     4. 감, 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인과류 : 배, 사과, 비파
-준인과류 : 감, 귤
-핵과류 : 복숭아, 자두, 살구, 앵두
-장과류 : 포도, 딸기, 무화과
-곡과류 : 밤, 호두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인과류 - 꽃턱이 발달해 과육부를 형성<사과 배>
준인과류 - 씨방이 발달해 과육이 됨 <귤 감>
핵과류 - 내과피가 단단한 핵을 이루고 그 속에 씨앗. 중과피가 과육을 이룸<복숭아 매실 살구 앵두>
장과류 - 꽃받침이 두꺼운 주머니 모양 육질이 부드러우면 즙이 많은 과일류<포도 딸기 무화과류>
견과류(곡과류) - 외피가 단단 식용부위는 곡류나 두류처럼 떡잎으로 된 것<밤 호두 잣>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광합성에 가장 효과적인 광은?(2010년 09월)
     1. 녹색광
     2. 황색광
     3. 적색광
     4. 주황색광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제일 좋은건 2개이며 종류는 적생광,청생광이다
[해설작성자 : 서울대학교 응용생물학과]

4과목 : 농약학


61. 95%인 원제 2kg으로 2% 분제를 만들려할 때, 소요되는 증량제의 양(kg)은?(2020년 06월)
     1. 73
     2. 83
     3. 93
     4. 103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95%/2% - 1) x 2kg = 93
[해설작성자 : Basirel]

62. 메프유제 50%를 0.05%로 희석하여 10a당 100L를 살포하려고 할 때 소요약량은 몇 mL인가?(비중-1.008)(2011년 06월)
     1. 99.2
     2. 109.2
     3. 119.2
     4. 129.2

     정답 : []
     정답률 : 54%

63. 비교적 무거운 점토광물로 흡유가가 천연의 증량제 중 가장 높은 증량제는?(2004년 03월)
     1. 활석(탈크)
     2. 카오린
     3. 벤토나이트
     4. 규산류

     정답 : []
     정답률 : 68%

64. 농약 저항성 해충의 가능한 저항성기작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8월)
     1. 약제를 살포한 곳의 기피를 위한 식별능력이 증가된다.
     2. 살충제의 피부투과성이 증대된다.
     3. 살충제의 충체 침투를 막기 위한 피부 두께가 증가한다.
     4. 체내에서 흡수된 살충제의 해독작용이증대된다

     정답 : []
     정답률 : 72%

65. 다음 중 농약의 약효를 증진시키는 방법이 아닌 것은?(2004년 03월)
     1. 알맞은 농약의 선택
     2. 방제적기에 농약 살포
     3. 적정농도, 정량살포
     4. 동일 농약의 지속 사용

     정답 : []
     정답률 : 84%

66. 다음 중 디티오카바믹산(dithiocarbamic acid)기를 가지고 있는 농약은?(2009년 05월)
     1. 에틸브로마이드
     2. 석회유황합제
     3. 포리옥신
     4. 만코제브

     정답 : []
     정답률 : 67%

67. 다음 농약중 도열병에 효과가 없는 농약은?(2004년 09월)
     1. 아이비유제(키타진)
     2. 베나솔입제(오리자)
     3. 부라딘액제(부라에스)
     4. 메프유제(스미치온)

     정답 : []
     정답률 : 40%

68. 농약의 안전성 평가항목 중 일반독성 평가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3년 03월)
     1. 변이원성
     2. 만성독성
     3. 신경독성
     4. 어독성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변이원성(발암성),신경독성은 특수독성에 해당.
어독성은 환경생물에 대한 독성
[해설작성자 : 강이아빠]

69. 저장 곡류(穀類)에 주로 사용되는 훈증제(fumigant)는?(2022년 04월)
     1. Triclopyr-TEA
     2. Procymidone
     3. Methyl bromide
     4. Alpha-cypermethrin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메틸브로마이드는 현미, 소맥 등의 방충 목적으로 가스훈증에 이용한다.
[해설작성자 : 똠슬]

70. 다음 농약과 관련한 용어 중 영문 약어가 올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2006년 05월)
     1. 잔류허용기준-MRL
     2. 일일섭취허용량-ADL
     3. 최대무작용량-NOEL
     4. 질적위해성-QRA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ADI=noel*안전계수 0.01
[해설작성자 : 나야나나]

71. 다음 수화제(WP)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유제에 비하여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이 많기 때문에 원료가 비싸다.
     2. 제제가 고체이기 때문에 뒤처리가 용이하다.
     3. 약액 조제시 가루가 비산하여 작업자에게 위험성이 있다.
     4. 살포액을 조제할 때 소요량을 평량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72. 분제의 물리적 성질에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2017년 05월)
     1. 현수성. 유화성
     2. 습전성, 표면장력
     3. 수화성, 접촉각
     4. 용적비중, 비산성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물리적성질 : 비산성, 부착성, 토분성, 고착성, 분산성, 안정성, 용적비중, 가비중,
물리적 성질이 아닌것 : 수화성, 연무성, 유화성, 습전성, 표면장력, 접촉각, 가용성, 현수성
[해설작성자 : 2022 식보]

73. 살포액의 조제 시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7년 09월)
     1. 농약의 이화학적 특성
     2. 희석용수의 선택
     3. 소정의 희석배수 준수
     4. 충분한 혼화

     정답 : []
     정답률 : 49%

74. 다음 중 소나무에서 발생하는 솔나방을 방제하는데 주로 사용할 수 있는 약제는?(2017년 09월)
     1. 트리포린 유제
     2. 페니트로티온 유제
     3. 크로로탈로닐 수화제
     4. 글루포시네이트 암모늄액제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페니트로티온 유제 : 유기인계 살충제로 식물체 속에 잘 흡수되어 식물체 내에서 갉아먹는 유충에 대하여도 효과적이며, 해충에 대하여 접촉독, 식독효과가 우수하다.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75. 유기유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4년 03월)
     1. 유기유황제 중 Thiram 은 흰가루병에 특효이다.
     2. 수도용 살균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3. 무기황제보다 가격이 싸다.
     4. 주요 약제로는 propineb, mancozeb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64%

76. 보호살균제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균사체에 대하여 강력한 살균작용을 나타낸다.
     2. 살포 후 작물체 표면에서의 부착성과 고착성이 우수하다.
     3. 강력한 포자발아 억제작용을 나타낸다.
     4. 약효가 일정기간 유지되는 지효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보호살균제 : 식물체에 병원균이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해 살포하는 약제
[해설작성자 : 동과니 >ㅡ<]

77. 농약은 사용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제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살포액으로 사용될 수 없는 것은?(2018년 04월)
     1. 유제
     2. 수화제
     3. 수용제
     4. 입제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농약 제품은 포장에서 사용할 때

    ㉠물에 희석하여 살포하는 형태(희석살포제형),
    ㉡포장지 개봉 후 직접 살포하는 형태(직접살포제형) 및
    ㉢살포하지 않는 특수한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1~3은 ㉠에 속한다.
1.유제:액상, 물에 희석시 유화
2.수화제:분상, 물에 희석시 수화
3.수용제:분상, 물에 희석시 용해

4는 ㉡에 속한다.


*출처: 농촌진흥청-국립농업과학원-농약정보서비스-안전정보-농약에대한이해-농약의분류-제형에따른분류
*출저가면 매우자세한 내용 확인 가능
[해설작성자 : 일상노루]

78. 다음 중 Ziram의 구조식은?(2017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8%

79. 농약의 토양 잔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유기염소계 농약은 환경에서 매우 안정하므로 토양 중에 오래 잔류한다.
     2. 아닐린유도제는 토양 중에서 토양입자에 강하게 흡착되므로 오래 잔류한다.
     3. 수화제나 유제와 같이 물에 희석해서 사용된 약제는 분제나 입제보다 토양에서 분해가 빨라진다.
     4. 일반적으로 유기물함량이 높은 토양에서 농약의 분해가 촉진된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분해속도는 입제가 수화제 유제보다 빠르다

80. 농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살포액 조제방법은?(2015년 05월)
     1. 비중 조제법
     2. 배액 조제법
     3. 퍼센트액 조제법
     4. 피피엠(ppm)액 조제법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영농현장에서는 배액 조제법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하늘다람쥐2019]

81. 작물과 잡초간의 주요 경합 대상이 아닌 것은?(2007년 03월)
     1. 광선
     2. 산소
     3. 양분
     4. 수분

     정답 : []
     정답률 : 80%

82. 벼와 광경합이 가장 크게 일어나는 잡초는?(2017년 05월)
     1. 강피
     2. 올미
     3. 쇠털골
     4. 논뚝외풀

     정답 : []
     정답률 : 82%

83. 식물의 종간경합에 해당하는 것은?(2015년 05월)
     1. 식물과 식물의 경합
     2. 서로 다른 종간의 경합
     3. 같은 종간의 경합
     4. 같은 종내의 개체간의 경합

     정답 : []
     정답률 : 72%

84. 잡초의 식물학적 분류순서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9월)
     1. 계-문-강-목-과-속-종
     2. 계-속-문-강-목-과-종
     3. 과-계-속-문-강-목-종
     4. 속-문-강-과-계-목-종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 재배학 기출
♣ 어떤 잡초를 분류하고자 할 때 식물분류학적 분류 순서로 올바른 것은? 2004.4 2007.1
다음 중 식물의 분류체계에 맞는 것은? 2006.1

문(門)→ 강(綱)→ 목(目)→ 과(科)→ 속(屬)→ 종(種)
문-강-목-과-속-종
[해설작성자 : 르망]

* 방제학 관련 기출
♣ 어떤 잡초를 분류하고자 할 때 식물분류학적 분류 순서로 올바른 것은? 2004.4 2007.1
다음 중 식물의 분류체계에 맞는 것은? 2006.1

문(門)→ 강(綱)→ 목(目)→ 과(科)→ 속(屬)→ 종(種)
문-강-목-과-속-종

♣ 토양에 처리한 요소(Urea)계 제초제가 작용점까지 이르는 경로를 순서대로 가장 잘 설명한 것은? 2003.2
뿌리 - 사부 - 잎 - 세포 - 색소체

♣ 아래 보기 중 잡초방제방법의 발달 순서로 맞는 것은? 2003.1 2009.4 2014.2
① 축력 -> ② 기계적 방제 -> ③ 선택적 제초제 개발 -> ④ 종합적 방제
[해설작성자 : 르망]

85. 기계이앙 재배에서 이앙직후에 토양처리형 제초제를 살포할 경우 벼에는 안전하나 잡초는 발아하지 못하고 고사시키는 것은?(2004년 03월)
     1. 잡초와 벼와의 생육기 차이에 의해서
     2. 잡초와 벼와의 수분흡수 차이에 의해서
     3. 잡초와 벼와의 생리학적 차이에 의해서
     4. 잡초와 벼와의 화학적 차이에 의해서

     정답 : []
     정답률 : 48%

86. 분해과정이 없을 경우 극성이 낮은 제초제를 토양처리 하였을 때 제초효과가 가장 낮게 나타날 수 있는 지역은?(2006년 09월)
     1. 토양유기물이 풍부한 점질토양의 지역
     2. 유기물이 없는 사질토양의 지역
     3. 유기물이 어느 정도 있는 사질토양의 지역
     4. 유기물이 전혀 없는 점질토양의 지역

     정답 : []
     정답률 : 49%

87. 다음 잡초 중 종자의 천립중이 가장 가벼운 것은?(2007년 03월)
     1. 명아주
     2. 강아지풀
     3. 단풍잎돼지풀
     4. 메귀리

     정답 : []
     정답률 : 46%

88. 생활사에 따른 잡초의 분류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1년생
     2. 월년생
     3. 4년생
     4. 다년생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4년생이라는건 없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9. 월년생 잡초로만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8년 03월)
     1. 피, 냉이, 뚝새풀
     2. 별꽃, 냉이, 벼룩나물
     3. 냉이, 쇠비름, 벼룩나물
     4. 쇠비름, 뚝새풀, 벌꽃아재비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관련기출문제
♣ 월년생(동계1년생) 밭잡초가 아닌 것은?
냉이
별꽃
벼룩나물

x-명아주 2014.4
♧ 명아주는 1년생 밭잡초이다.
[해설작성자 : 르망]

월년생 잡초는 가을. 초겨울에 발생하여 월동후 다음해 여름까지결실및 고사하는 것으로 둑새풀,냉이,망초,별곷, 벼룩나물 등이있다.
[해설작성자 : 요미]

90.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최초의 신물질 제초제로 pyrimidinyloxysalicylic acid계 제초제는?(2013년 09월)
     1. pyrazolate
     2. pyrazoxyfen
     3. pyribenzoxim
     4. Bentazon

     정답 : []
     정답률 : 52%

91. 작물과 잡초의 경합 중 양분경합에서 수량에 가장 크게 관여하는 비료성분은?(2010년 03월)
     1. 마그네슘(Mg)
     2. 질소(N)
     3. 칼슘(Ca)
     4. 황(S)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경합이 강할때 작물수량은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농과 18학번]

92. 명아주 잡초 종자를 휴면 타파시켜 실험에 사용코자 할경우 바람직한 방법은?(2004년 03월)
     1. 종피파상법
     2. 저온처리법
     3. 호르몬처리법
     4. 변온처리법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명아주과 종자에서 나타나는 휴면성의 원인은 종피의 낮은 수분투과성이기 때문에 종피 파상법을 이용하면 수분 흡수가 원활해져 휴면 타파가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스마일퐁퐁]

93. 잡초에는 경합력이 저하 되도록 유도하는 대신 작물에는 경합력이 높아지도록 재배하는 잡초 방제법은?(2006년 09월)
     1. 기계적 방제법
     2. 생태적 방제법
     3. 화학적 방제법
     4. 생물적 방제법

     정답 : []
     정답률 : 77%

94. 잡초의 생물학적 방제용으로 도입되는 곤충이 구비하여야할 조건이 아닌 것은?(2013년 09월)
     1. 대상 잡초에만 피해를 주는 것
     2. 대상 잡초의 적응지역에 잘 적응할 수 있는 것
     3. 인공적으로 배양 또는 증식이 용이한 것
     4. 영구적으로 소멸되지 않는 것

     정답 : []
     정답률 : 85%

95. 잡초방제에서 제초제 사용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7년 03월)
     1. 생산비 절감
     2. 노동경합 문제 해결
     3. 기계화 용이
     4. 병해충의 발생량 증가

     정답 : []
     정답률 : 79%

96. 잡초를 형태적 특성에 따라 분류한 것은?(2007년 03월)
     1. 화본과류, 방동사니류, 광엽류
     2. 일년생, 월년생, 다년생
     3. 일년생, 화본과류, 다년생
     4. 화본과류, 방동사니류, 다년생

     정답 : []
     정답률 : 73%

97. 잡초의 유익성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3월)
     1. 토양에 많은 종자제공
     2. 토양침식 방지
     3. 토양물리 환경개선
     4. 자원으로 이용 가능

     정답 : []
     정답률 : 69%

98. 잡초와 작물과의 경합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3월)
     1. 같은 초종 중에서 개체간에 일어나는 경합을 종내경합이라고 한다.
     2. 식물경합은 둘 이상의 식물이 각각 어느 특정요인이나 물질이 필요량보다 부족할 때 일어난다
     3. 잡초와 작물간에 경합이 심할 때 작물수량은 증가 한다.
     4. 초종이 다른 식물들 간에 일어나는 경합을 종간경합이라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99. 농경지에서 일어나는 식생천이에 관여하는 가장 큰 천이 발생요인은?(2008년 03월)
     1. 제초방법
     2. 물관리법
     3. 작부체계
     4. 시비법

     정답 : []
     정답률 : 49%

100. 두 제초제를 혼합처리시 상승작용이란 어떤 것을 의미하는 가?(2009년 03월)
     1. 두 제초제를 혼합처리시 보다 단독처리가 더 효과적인 것을 의미함
     2. 두 제초제를 혼합처리시 단독처리 때보다 효과가 큰 것을 의미함
     3. 두 제초제를 혼합처리시 단독처리와 효과가 같은 것을 의미함
     4. 두 제초제를 혼합처리시 식물의 생리적 장애 현상을 의미함

     정답 : []
     정답률 : 78%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식물보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2198430)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7591634)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35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4759124) 좋은아빠되기 2025.11.06 4
3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33 대기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7937395) 좋은아빠되기 2025.11.06 4
32 자기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4
31 원예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2179080)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30 유기농업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3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4
29 소방시설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5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2
28 초음파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36722)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27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8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26 버섯종균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4768524) 좋은아빠되기 2025.11.06 4
25 9급 국가직 공무원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24 품질경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3379077)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23 정밀측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5
22 9급 지방직 공무원 영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8862646) 좋은아빠되기 2025.11.06 4
21 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110561)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20 정보기기운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4월04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1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생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8443166) 좋은아빠되기 2025.11.06 2
» 식물보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2198430) 좋은아빠되기 2025.11.06 4
17 전자부품장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20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6 1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ext
/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