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선박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7302659)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선박일반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선박의 6자유도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Surge는 선박의 길이방향 전후운동을 의미한다.
     2. Heave는 선박의 상하동요 운동을 의미한다.
     3. Yaw는 선박의 폭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운동을 의미한다.
     4. Roll은 선박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운동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2. 다음 중 상갑판의 좌우 끝점을 연결하여 얻는 직선을 기준으로 중심선에서 상갑판이 얼마나 올라가 있는지 나타내는 양을 의미하는 것은?(2016년 06월)
     1. 선저구배(deadrise)
     2. 캠버(camber)
     3. 플레어(flare)
     4. 텀블홈(tumblehome)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길이 20m, 폭 6m, 높이 4m, 자체질량 60ton의 직육면체 형태의 바지선이 잔잔한 강물에 떠 있다. 이 바지선 내부에 밀도가 2.5ton/m3인 화물을 바닥부터 평평하게 채운다고 가정했을 때, 바지선이 가라앉지 않기 위한 최대 화물 적재 높이로 가장 옳은 것은? (단, 강물의 밀도는 1ton/m3이고 중력가속도는 g=10m/s2로 한다.)(2020년 06월)
     1. 1.0m
     2. 1.2m
     3. 1.4m
     4. 1.6m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길이 20m 폭 6m 높이 4m 이고 자체질량 60ton 이므로 바지선 자체의 부력은 60ton/480m^3 이다. 강물의 밀도가 1ton/m^3 이고 중력가속도가 10m/s^2 라고 하였으므로 현재 바지선의 적재가 가능한 최대 무게를 계산해보면 1 - (60ton/480m^3) = 420ton/480m^3,
즉 420ton/m^3 의 밀도를 가지는 화물을 더 실을 수 있다. 화물의 밀도가 2.5ton/m^3 이라고 했으므로 420 나누기 2.5 를 하면 168이 나오는데 바지선의 밑면적은 120m^2 이므로 거기에 168m^3 만큼의 화물을 채우려면 168m^3/120m^2 이므로 1.4m 가 나온다.
[해설작성자 : 문현동]

4. 파나마운하를 통과할 수 없어 남아프리카의 희망봉을 돌아야 하는 철광석운반선 또는 석탄운반선을 일컫는 용어로 옳은 것은?(2016년 06월)
     1. 아프라맥스(Aframax)
     2. 케이프사이즈(Capesize)
     3. 핸디사이즈(Handysize)
     4. 수에즈맥스(Suezmax)

     정답 : []
     정답률 : 47%

5. 선도(lines)를 구성하는 도면 중 높이 방향의 특정 위치에서 선박의 수선면 형상을 보고 싶을 때 참조해야 할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6월)
     1. 일반 배치도
     2. 정면도
     3. 측면도
     4. 반폭도

     정답 : []
     정답률 : 50%

6. 선박의 저항추정 방법은 19세기 말 예인수조(towing tank)에서 수행하는 모형시험의 결과를 이용하는데 이를 고안한 사람은 누구인가?(2016년 06월)
     1. 프루드(Froude)
     2. 뉴턴(Newton)
     3. 오일러(Euler)
     4. 베르누이(Bernoulli)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 강을 운항하는 길이 20m, 폭 5m, 깊이 3m인 직육면체 형태의 선박이 있다. 운항 전 선박의 중앙부 바닥에는 30ton의 연료가 적재되어 있다. 운항을 마치고 연료를 모두 소모했다고 가정했을 때 운항 전 대비 선박 흘수의 변화량은? (단, 강물의 밀도는 1ton/m3라고 가정한다.)(2019년 06월)
     1. 0.1m 증가
     2. 0.1m 감소
     3. 0.3m 증가
     4. 0.3m 감소

     정답 : []
     정답률 : 40%

8. 선박의 조종 성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지그재그 시운전에서 정의되는 관성이탈각은 선회 성능의 지표로 사용된다.
     2. 침로 안정성과 선회 성능은 서로 반대 경향을 가진다.
     3. 프로펠러 추진을 하는 선박은 일반적으로 아주 작은 각도이지만 타를 틀어주어야 직진하게 된다.
     4. 선회지름이 작을수록 선수가 회전하는 각속도는 크며 선회 성능은 좋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35%

9. 선박 프로펠러가 한 번 회전했을 때 날개 단면이 축 방향으로 전진하는 거리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6월)
     1. 피치(pitch)
     2. 레이크(rake)
     3. 캐비테이션(cavitation)
     4. 스큐(skew)

     정답 : []
     정답률 : 90%

10. 선박의 중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배수량은 배가 밀어낸 물의 중량이다.
     2. 만재배수량은 계획만재흘수선에서의 배수량이다.
     3. 경하중량은 건조가 완료된 상태의 선박 자체 중량이다.
     4. 재화중량은 선원, 연료, 식량 등을 뺀 화물의 중량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11. 파랑 중에 운동 중인 선박이 받는 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6월)
     1. 입사하는 파에 의해 선박에 가해지는 힘을 Froude-Krylov 힘이라고 한다.
     2. 선박이 물에서 운동할 때 선박 주위의 물이 선박을 따라 움직이며, 마치 선박의 질량이 증가된 효과를 주는 가상의 질량을 부가질량이라고 한다.
     3. 선박이 물 위에서 운동할 때 달라지는 부력의 변화량은 복원력으로 작용한다.
     4. 선박이 물 위에서 운동하면 선박은 스스로 파도를 만드는데, 이때 소모되는 힘을 에돌이(diffraction) 힘이라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 어떤 선박의 항해 속력은 10knots, 항해 거리는 3000NM, 상용 출력(NCR)은 2000kW, NCR에서의 연료 소비율 (SFOC: Specific Fuel Oil Consumption)은 100g/kW·h 이다. 이때 이 선박의 예상되는 연료 소모량은[단, NM은 해리(nautical mile)를 의미한다.](2019년 06월)
     1. 60ton
     2. 200ton
     3. 300ton
     4. 600ton

     정답 : []
     정답률 : 48%

13. 기진력의 진동수가 물체의 고유 진동수와 가까워질수록 작은 기진력에 의해서도 진동의 크기가 매우 커지는 현상은?(2022년 06월)
     1. 공진(resonance) 현상
     2. 녹수(green water) 현상
     3. 수격(water hammering) 현상
     4. 서징(surging) 현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4. 선박의 횡강도(transverse strength)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6월)
     1. 횡단면을 변형시키는 하중을 버텨내는 능력을 횡강도라 한다.
     2. 선체의 무게는 횡방향 하중에 포함되지 않는다.
     3. 일반적으로 횡강도는 화물창을 중심으로 해석, 명가한다.
     4. 내부선저 늑판은 선체의 주요 횡강도 부재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5. 선박을 안전하게 계류하는 원칙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계류삭은 배의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배치한다.
     2. 배의 전후 움직임을 막는 계류삭은 가능한 한 현측에 평행하게 배치한다.
     3. 계류삭이 계류지점에서 안벽과 이루는 각은 가능한 한 둔각을 이루도록 한다.
     4. 계류삭의 배치는 가능한 한 선수 선미 대칭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16. 다음 중 중앙횡단면적 Am과 수선간길이의 곱으로 체적이 주어지는 길이방향 주상체 속에 선체가 어느 정도 차 있는 가를 나타내는 계수를 의미하는 것은?(2016년 06월)
     1. 중앙단면계수(midship section coefficient, Cm)
     2. 수선면적계수(water plane area coefficient, Cw)
     3. 주형계수(prismatic coefficient, Cp)
     4. 방형계수(block coefficient, Cb)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 형폭과 형흘수로 만들어진 직사각형 속에, 중앙부의 최대 횡단면적이 어느 정도 차 있는가를 나타내는 계수
2. 수선간의 길이와 형폭이 만드는 직사각형 속에 흘수선면적이 어느정도 차 있는가를 나타는 계수
4. 선형을 직육면체로 간주하고 그 직육면체 상자 안에 실제의 선체가 어느 정도 차 있는가를 나타내는 계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선박법 상의 선박의 특성이 아닌 것은?(2016년 06월)
     1. 상업성
     2. 부양성
     3. 이동성
     4. 적재성

     정답 : []
     정답률 : 67%

18. 해상에서 선박 간 충돌 방지를 위해 만들어진 국제협약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6월)
     1. MARPOL
     2. SOLAS
     3. ICLL
     4. COLREGs

     정답 : []
     정답률 : 67%

19. 잔잔한 정수 중에 떠 있는 배가 운동을 하면서 발생시키는 파로 가장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스웰(swell)
     2. 입사파(incidence wave)
     3. 방사파(radiation wave)
     4. 산란파(scattered wave)

     정답 : []
     정답률 : 33%

20. 계선장치 중 선박의 필요에 따라 앵커 체인을 풀어 앵커를 내리거나 체인을 감아 앵커를 올리거나 체인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치는?(2022년 06월)
     1. 체인로커(chain locker)
     2. 윈드라스(windlass)
     3. 빨마우스(bell mouth)
     4. 호저파이프(hawse pipe)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정 답 지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선박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7302659)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선박일반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선박의 6자유도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Surge는 선박의 길이방향 전후운동을 의미한다.
     2. Heave는 선박의 상하동요 운동을 의미한다.
     3. Yaw는 선박의 폭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운동을 의미한다.
     4. Roll은 선박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운동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2. 다음 중 상갑판의 좌우 끝점을 연결하여 얻는 직선을 기준으로 중심선에서 상갑판이 얼마나 올라가 있는지 나타내는 양을 의미하는 것은?(2016년 06월)
     1. 선저구배(deadrise)
     2. 캠버(camber)
     3. 플레어(flare)
     4. 텀블홈(tumblehome)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길이 20m, 폭 6m, 높이 4m, 자체질량 60ton의 직육면체 형태의 바지선이 잔잔한 강물에 떠 있다. 이 바지선 내부에 밀도가 2.5ton/m3인 화물을 바닥부터 평평하게 채운다고 가정했을 때, 바지선이 가라앉지 않기 위한 최대 화물 적재 높이로 가장 옳은 것은? (단, 강물의 밀도는 1ton/m3이고 중력가속도는 g=10m/s2로 한다.)(2020년 06월)
     1. 1.0m
     2. 1.2m
     3. 1.4m
     4. 1.6m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길이 20m 폭 6m 높이 4m 이고 자체질량 60ton 이므로 바지선 자체의 부력은 60ton/480m^3 이다. 강물의 밀도가 1ton/m^3 이고 중력가속도가 10m/s^2 라고 하였으므로 현재 바지선의 적재가 가능한 최대 무게를 계산해보면 1 - (60ton/480m^3) = 420ton/480m^3,
즉 420ton/m^3 의 밀도를 가지는 화물을 더 실을 수 있다. 화물의 밀도가 2.5ton/m^3 이라고 했으므로 420 나누기 2.5 를 하면 168이 나오는데 바지선의 밑면적은 120m^2 이므로 거기에 168m^3 만큼의 화물을 채우려면 168m^3/120m^2 이므로 1.4m 가 나온다.
[해설작성자 : 문현동]

4. 파나마운하를 통과할 수 없어 남아프리카의 희망봉을 돌아야 하는 철광석운반선 또는 석탄운반선을 일컫는 용어로 옳은 것은?(2016년 06월)
     1. 아프라맥스(Aframax)
     2. 케이프사이즈(Capesize)
     3. 핸디사이즈(Handysize)
     4. 수에즈맥스(Suezmax)

     정답 : []
     정답률 : 47%

5. 선도(lines)를 구성하는 도면 중 높이 방향의 특정 위치에서 선박의 수선면 형상을 보고 싶을 때 참조해야 할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6월)
     1. 일반 배치도
     2. 정면도
     3. 측면도
     4. 반폭도

     정답 : []
     정답률 : 50%

6. 선박의 저항추정 방법은 19세기 말 예인수조(towing tank)에서 수행하는 모형시험의 결과를 이용하는데 이를 고안한 사람은 누구인가?(2016년 06월)
     1. 프루드(Froude)
     2. 뉴턴(Newton)
     3. 오일러(Euler)
     4. 베르누이(Bernoulli)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 강을 운항하는 길이 20m, 폭 5m, 깊이 3m인 직육면체 형태의 선박이 있다. 운항 전 선박의 중앙부 바닥에는 30ton의 연료가 적재되어 있다. 운항을 마치고 연료를 모두 소모했다고 가정했을 때 운항 전 대비 선박 흘수의 변화량은? (단, 강물의 밀도는 1ton/m3라고 가정한다.)(2019년 06월)
     1. 0.1m 증가
     2. 0.1m 감소
     3. 0.3m 증가
     4. 0.3m 감소

     정답 : []
     정답률 : 40%

8. 선박의 조종 성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지그재그 시운전에서 정의되는 관성이탈각은 선회 성능의 지표로 사용된다.
     2. 침로 안정성과 선회 성능은 서로 반대 경향을 가진다.
     3. 프로펠러 추진을 하는 선박은 일반적으로 아주 작은 각도이지만 타를 틀어주어야 직진하게 된다.
     4. 선회지름이 작을수록 선수가 회전하는 각속도는 크며 선회 성능은 좋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35%

9. 선박 프로펠러가 한 번 회전했을 때 날개 단면이 축 방향으로 전진하는 거리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6월)
     1. 피치(pitch)
     2. 레이크(rake)
     3. 캐비테이션(cavitation)
     4. 스큐(skew)

     정답 : []
     정답률 : 90%

10. 선박의 중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배수량은 배가 밀어낸 물의 중량이다.
     2. 만재배수량은 계획만재흘수선에서의 배수량이다.
     3. 경하중량은 건조가 완료된 상태의 선박 자체 중량이다.
     4. 재화중량은 선원, 연료, 식량 등을 뺀 화물의 중량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11. 파랑 중에 운동 중인 선박이 받는 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6월)
     1. 입사하는 파에 의해 선박에 가해지는 힘을 Froude-Krylov 힘이라고 한다.
     2. 선박이 물에서 운동할 때 선박 주위의 물이 선박을 따라 움직이며, 마치 선박의 질량이 증가된 효과를 주는 가상의 질량을 부가질량이라고 한다.
     3. 선박이 물 위에서 운동할 때 달라지는 부력의 변화량은 복원력으로 작용한다.
     4. 선박이 물 위에서 운동하면 선박은 스스로 파도를 만드는데, 이때 소모되는 힘을 에돌이(diffraction) 힘이라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 어떤 선박의 항해 속력은 10knots, 항해 거리는 3000NM, 상용 출력(NCR)은 2000kW, NCR에서의 연료 소비율 (SFOC: Specific Fuel Oil Consumption)은 100g/kW·h 이다. 이때 이 선박의 예상되는 연료 소모량은[단, NM은 해리(nautical mile)를 의미한다.](2019년 06월)
     1. 60ton
     2. 200ton
     3. 300ton
     4. 600ton

     정답 : []
     정답률 : 48%

13. 기진력의 진동수가 물체의 고유 진동수와 가까워질수록 작은 기진력에 의해서도 진동의 크기가 매우 커지는 현상은?(2022년 06월)
     1. 공진(resonance) 현상
     2. 녹수(green water) 현상
     3. 수격(water hammering) 현상
     4. 서징(surging) 현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4. 선박의 횡강도(transverse strength)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6월)
     1. 횡단면을 변형시키는 하중을 버텨내는 능력을 횡강도라 한다.
     2. 선체의 무게는 횡방향 하중에 포함되지 않는다.
     3. 일반적으로 횡강도는 화물창을 중심으로 해석, 명가한다.
     4. 내부선저 늑판은 선체의 주요 횡강도 부재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5. 선박을 안전하게 계류하는 원칙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계류삭은 배의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배치한다.
     2. 배의 전후 움직임을 막는 계류삭은 가능한 한 현측에 평행하게 배치한다.
     3. 계류삭이 계류지점에서 안벽과 이루는 각은 가능한 한 둔각을 이루도록 한다.
     4. 계류삭의 배치는 가능한 한 선수 선미 대칭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16. 다음 중 중앙횡단면적 Am과 수선간길이의 곱으로 체적이 주어지는 길이방향 주상체 속에 선체가 어느 정도 차 있는 가를 나타내는 계수를 의미하는 것은?(2016년 06월)
     1. 중앙단면계수(midship section coefficient, Cm)
     2. 수선면적계수(water plane area coefficient, Cw)
     3. 주형계수(prismatic coefficient, Cp)
     4. 방형계수(block coefficient, Cb)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 형폭과 형흘수로 만들어진 직사각형 속에, 중앙부의 최대 횡단면적이 어느 정도 차 있는가를 나타내는 계수
2. 수선간의 길이와 형폭이 만드는 직사각형 속에 흘수선면적이 어느정도 차 있는가를 나타는 계수
4. 선형을 직육면체로 간주하고 그 직육면체 상자 안에 실제의 선체가 어느 정도 차 있는가를 나타내는 계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선박법 상의 선박의 특성이 아닌 것은?(2016년 06월)
     1. 상업성
     2. 부양성
     3. 이동성
     4. 적재성

     정답 : []
     정답률 : 67%

18. 해상에서 선박 간 충돌 방지를 위해 만들어진 국제협약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6월)
     1. MARPOL
     2. SOLAS
     3. ICLL
     4. COLREGs

     정답 : []
     정답률 : 67%

19. 잔잔한 정수 중에 떠 있는 배가 운동을 하면서 발생시키는 파로 가장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스웰(swell)
     2. 입사파(incidence wave)
     3. 방사파(radiation wave)
     4. 산란파(scattered wave)

     정답 : []
     정답률 : 33%

20. 계선장치 중 선박의 필요에 따라 앵커 체인을 풀어 앵커를 내리거나 체인을 감아 앵커를 올리거나 체인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치는?(2022년 06월)
     1. 체인로커(chain locker)
     2. 윈드라스(windlass)
     3. 빨마우스(bell mouth)
     4. 호저파이프(hawse pipe)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선박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7302659)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9 수능(경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10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2
168 철도신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8월1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5
167 경비지도사 2차(경비업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11월1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4
166 9급 국가직 공무원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4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4
165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153043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2
164 청소년상담사 3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2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4
16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3
16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계획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2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5
»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선박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730265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2
160 전파통신기능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4월03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5
15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기계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4
15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4
157 어로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6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2
156 가구제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2월01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5
155 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8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4
154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3204707)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4
153 실내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5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3
152 웹디자인개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4월01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4
151 컴활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7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3
150 초음파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5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45 Next
/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