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559653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리눅스 실무의 이해


1. 운영체제의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9월)
     1. Multi-user : 단일 시스템에서 여러 사용자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형태
     2. Multi-tasking : 한 사용자가 여러 개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시스템
     3. Single-tasking : 컴퓨터가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처리하는 형태
     4. Multi-switching : 다수의 작업이 동시 실행 되나 백그라운드 프로그램만 동작하는 형태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다중 교환(Multi-switching) : 다수의 작업이 동시 실행되나 포그라운드 프로그램만 동작.
[해설작성자 : skip]

2. 다음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을 순서에 맞게 나열한 것은?(2012년 03월)

   

     1. 압축(Compaction, Recompaction), 쓰레기 수집(Garbage Collection)
     2. 세그먼트 기법(Segmentation), 압축(Compaction, Recompaction)
     3. 쓰레기 수집(Garbage Collection), 세그먼트 기법(Segmentation)
     4. 베이스-경계 재배치(Base-Bound Relocation), 압축(Compaction, Recompaction)

     정답 : []
     정답률 : 54%

3. 다음 중 GNU 프로젝트에 의해 개발된 소프트웨어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KDE
     2. gcc
     3. GNOME
     4. emacs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KDE는 1996년 당시 튀빙엔 대학교 학생이었던 마티아스 에트리히가 개발하였다. 그는 당시의 유닉스 데스크톱 환경에 불만이 많았다. 그의 지적대로 어떠한 프로그램들도 비슷하게 보이지도, 느껴지지도, 작동하지도 않았다. 또한 그의 불만 가운데 하나는 그 당시의 데스크톱 프로그램들은 그의 여자 친구가 사용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그 글은 많은 인기를 끌었으며 KDE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해설작성자 : 위키 백과사전]

▶ KDE(K Desktop Environment)란?

KDE는 'K Desktop Environment'의 약자로, 1996년 Matthias Ettrich에 의해 시작돼 현재는 전세계 수천명의 개발자들로 이어진, 독립적이면서도 협력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이다.

KDE Project의 목적은 Unix계통 운영체제의 강력함과 현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리눅스 및 유닉스의 사용자 환경을 좀더 쉽고 편리하게 만들고자 하는데 있다.

KDE 팀은 작년 하반기에 객체지향 컴포넌트 베이스의 데스크탑 환경과 오피스 슈트를 제공하는 KDE 2.0을 발표한바 있으며, 리눅스의 데스크탑 환경을 일반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있는 상업적 데스크탑환경처럼 사용하기 쉽도록 만들기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KDE외에 대표적인 리눅스 데스크탑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는 GNOME(GNU Network Object Model Environment)을 들 수 있다.

[해설작성자 : ㄱㅇㄷ]

4. 다음 중 리눅스 운영체제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리눅스는 약간의 어셈블리와 대부분의 C언어로 작성되어 이식성이 뛰어나다.
     2. 하나의 시스템에 다중 사용자 접속 및 사용자별 다중 처리 시스템을 지원한다.
     3. 운영체제의 핵심인 커널(Kernel)을 제외한 나머지 프로그램들은 소스가 공개되었다.
     4. 고유 파일시스템 외 DOS, Windows, 상용 유닉스 등의 다양한 파일 시스템을 지원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핀란드의 대학원생 리누스 토발즈는 자신의 이름을 딴 리눅스 커널을 개발했고, 1991년 9월 17일에 커널의 소스코드를 포함하여 리눅스를 세상에 공개했습니다.
[해설작성자 : 반스트]

5. 다음 배포판 중에서 패키지를 .tar.gz로 배포하고 있으며 패키지 관리가 어려운 패키지는 무엇인가?(2007년 08월)
     1. 맨드레이크(Mandrake)
     2. 레드햇(RedHat)
     3. 슬랙웨어(Slackware)
     4. 페도라(Fedora)

     정답 : []
     정답률 : 55%

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RAID의 종류로 알맞은 것은?(2017년 03월)

   

     1. RAID-0
     2. RAID-1
     3. RAID-5
     4. RAID-6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RAID-5 : 최소 3개의 디스크로 구성되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7. 다음 중 파일시스템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슈퍼블록: 파일시스템의 크기 등과 같은 파일 시스템의 전체적인 정보를 갖는다.
     2. 아이노드 : 파일의 이름을 제외한 해당 파일의 모든 정보를 갖고 있다.
     3. 데이터 블록 : 파일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고 아이노드에 포함되어 있다.
     4. 간접블록 : 파일 이름과 아이노드 번호를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간접블록(Indirection Block)
추가적인 데이터 블록을 위한 포인터들이 사용할 동적으로 할당되는 공간. 아이노드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 블록보다 더 많은 데이터 블록이 필요한 경우 이를 지정하기 위해 포인터를 사용하는데, 그때 사용하기; 위한 동적인 블록.
[해설작성자 : 미카엘]

디렉토리 블록(Directiory Block) : 파일 이름과 아이노드 번호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블럭
[해설작성자 : 미카엘]

8.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디렉토리에 대한 설명 중 알맞은 것은?(2009년 09월)
     1. /sbin : rm, mount 등의 기본 명령어들이 모여 있는 디렉토리이다.
     2. /etc : 외부 장치들을 마운트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디렉토리이다.
     3. /boot : 리눅스 커널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 이다.
     4. /usr : 시스템 계정 사용자들의 정보와 접속을 하는 사용자들을 위한 공간이다.

     정답 : []
     정답률 : 41%

9. X 윈도우 시스템에서 다른 호스트에 윈도우를 띄우기 위해 필요한 X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옵션은?(2003년 01월)
     1. -display
     2. -geometry
     3. -xrm
     4. -bg

     정답 : []
     정답률 : 58%

10. 다음 중 각 쉘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08년 06월)
     1. ‘콘(Korn)쉘’은 ‘C 쉘’ 계열이다.
     2. 리눅스용 ‘배시(Bash) 쉘’의 기본 프로파일은 /etc/shells 이다.
     3. 리눅스에서 set 명령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Shell을 알 수 있다.
     4. 사용하는 Shell을 빠져나가기 위해서 out 명령어를 이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11. 본 쉘(Bourne shell)에서 사용하는 변수의 의미가 바르지 못한 것은?(2003년 06월)
     1. $0 : 프로그램의 이름
     2. $* : 명령 라인의 모든 인자(argument)
     3. $# : 종료 코드
     4. $$ : 현재 프로세스의 ID

     정답 : []
     정답률 : 57%

12. 다음 중 쉘의 종류가 아닌 것은?(2011년 03월)
     1. Bash
     2. Csh
     3. Korn shell
     4. Super shell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bash : 최초로 개발된 쉘
Csh    : C프로그램 스타일의 쉘
Korn Shell : ksh 일반적으로 유닉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

13. 다음 중 장치 파일명의 종류가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2020년 10월)
     1. IDE 디스크
     2. SCSI 디스크
     3. S-ATA 디스크
     4. SSD(Solid State Drive)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dev/hda : IDE
/dev/sda : SCSI/SATA/USB
[해설작성자 : 베리누나]

14. 다음 설명 중 (괄호)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2년 09월)

    

     1. fork
     2. getpid
     3. setpgid
     4. getpgrp

     정답 : []
     정답률 : 53%

15. 다음 중 프로세스의 시간 할당량 종료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인터럽트는 무엇인가?(2009년 03월)
     1. 시스템 호출 인터럽트(System Call Interrupt)
     2. 프로그램 검사 인터럽트(Program Check Interrupt)
     3. 콘솔 인터럽트(Console Interrupt)
     4. 클록 인터럽트(Clock Interrupt)

     정답 : []
     정답률 : 63%

16. TCP/IP 프로토콜 중 IP 주소와 네트워크 하드웨어 주소(MAC Adderss)를 서로 변환시켜주는 기능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은?(2003년 06월)
     1. ARP
     2. ICMP
     3. UDP
     4. IP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ICMP - 인터넷 제어 메세지 프로토콜
UDP -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IP - 인터넷 프로토콜
[해설작성자 : 디헤]

17. 다음 중 네트워크 장비인 허브(Hub)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9월)
     1. LAN이 보유한 대역폭을 PC의 대수만큼 나누어 제공하는 허브를 더미 허브라고 한다.
     2. 케이블이 연결되어 물려 있는 여러 노드간에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해준다.
     3. 네트워크 관리 기능이 추가된 허브를 스태커블 허브라고 부른다.
     4. 해당 데이터의 목적지 노드로만 직접 연결해 주는 허브를 스위칭 허브라고 부른다.

     정답 : []
     정답률 : 31%

18. 다음 중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9월)
     1. ISO, ANSI, ITU-T는 대표적인 프로토콜의 제정 기관이다.
     2. 프로토콜의 기능으로는 흐름제어, 오류제어, 동기화, 캡슐화 등이 있다.
     3. 프로토콜은 구문(Syntax), 의미(Semantics), 순서(Timing)으로 구성되어 있다.
     4. 대표적인 프로토콜인 TCP/IP는 ISO에서 제정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TCP/IP의 시초는 ARPANET이 맞으나
IETF(인터넷 표준화기구)에서 제정하고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합니다.
[해설작성자 : Dongry]

19. 다음 중 고정 IP를 사용하는 리눅스 환경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해야 하는 정보가 아닌 것은?(2007년 05월)
     1. IP 주소
     2. MAC 주소
     3. 기본 게이트웨이
     4. 서브넷 마스크

     정답 : []
     정답률 : 74%

2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관련 기구로 알맞은 것은?(2018년 09월)

    

     1. ISO
     2. EIA
     3. IEEE
     4. ICANN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ISO, EIA, IEEE -> 프로토콜 제정 기관
ICANN -> 인터넷 도메인 관리와 정책을 결정하는 국제기구
[해설작성자 : 니뽕내뽕]

2과목 : 리눅스 시스템 관리


21. 다음 리눅스 사용자 관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9월)
     1. 리눅스에서 모든 파일은 어떤 사용자에 의해 소유 되어야 한다.
     2. 사용자는 사용자 ID라 불리는 고유 식별자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3. 한 사용자는 여러 그룹에 동시에 속할 수 없다.
     4. 파일이나 프로그램에 대한 권한은 UID와 GID를 기반으로 검사된다.

     정답 : []
     정답률 : 60%

22. 다음 중 /etc/passwd 파일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3월)

    

     1. test1 사용자의 UID 는 500 이다.
     2. test2 홈디렉토리는 /data/test2 이다.
     3. test2 사용자의 로그인 쉘은 /bin/ksh 이다.
     4. test2 사용자의 GID 는 500 이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사용자명:패스워드:uid:gid:사용자설명:홈디렉토리:기본쉘
4.test2 사용자의GID는 500이다.
-> GID는 501이다.
[해설작성자 : 손수훈]

23. 리눅스에서 pci 버스와 설치한 pci카드, 그리고 pci 버스를 사용하는 다른 장치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으로 알맞은 것은?(2009년 03월)
     1. make mrproper 명령어를 실행한다.
     2. Ctrl + Alt + F1을 눌러 가상 터미널을 띄운다.
     3. /proc/pci 파일을 열어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4. /XF86Config 파일을 실행하여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5%

24. 커널 컴파일을 위한 커널 설정에 대한 문제이다.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07년 03월)

    

     1. make config
     2. make menuconfig
     3. make xconfig
     4. make transconfig

     정답 : []
     정답률 : 28%

25.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파일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1년 09월)
     1. 디렉토리: 다른 파일을 조직하고 액세스하는데 필요한 정보
     2. 일반파일: 텍스트파일이나 이진파일
     3. 실행파일: 명령어 실행을 위한 파일
     4. 특수파일: 리눅스가 자원을 관리하는 장치

     정답 : []
     정답률 : 43%

26. 현재 사용자 작업 디렉토리가 다음과 같을 때, 부모 디렉토리의 파일 리스트를 출력해 주기 위한 방법 중 알맞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cd /home 명령으로 디렉토리 변경 후 ls
     2. ls ../
     3. ls /home
     4. ls ./

     정답 : []
     정답률 : 50%

27. 다음 중 .kde란 파일을 보기 위해 ls명령어에 반드시 필요한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2005년 09월)
     1. -a
     2. -l
     3. -h
     4. -u

     정답 : []
     정답률 : 43%

28. 다음 각 파일의 특수 목적 접근 모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rwsr-xr-x: s는 SUID로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에는 프로세스가 파일의 소유자와 같은 권한으로 실행된다.
     2. -rwxr-xr-s: s는 OUID로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에는 프로세스가 others와 같은 권한으로 실행된다.
     3. drwxrwxrwt: t는 sticky bit로서 퍼미션에 관계없이 소유자만이 파일을 지울수 있다
     4. -rwxr-sr-x: s는 SGID로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에는 프로세스가 파일의 그룹과 같은 권한으로 실행된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SUID : Set-UID
GUID : Set-GID
OUID는 없음

29. 다음 중 스왑 관련 명령어의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3월)
     1. swapoff : 스왑으로 사용할 파일을 생성한다.
     2. swapon : 스왑을 비활성화 한다.
     3. mkswap : 스왑 파일시스템을 만든다.
     4. dd : 스왑을 활성화 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swapoff : 스왑 생성 안함
swapon : 스왑 생성
dd : 지정한 블록 크기만큼 파일 복사
[해설작성자 : :D]

30. 다음 중 /etc/xinetd.d 디렉터리를 현재 디렉터리에 x로 연결하여 손쉽게 디렉터리를 이동하려고 할 때 설정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20년 06월)
     1. ln x /etc/xinetd.d
     2. ln /etc/xinetd.d x
     3. ln -s x /etc/xinetd.d
     4. ln -s /etc/xinetd.d x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디렉터리를 쉽게 이동하기 위해 심볼릭링크 생성
ln 링크생성
옵션 -s 심볼릭 링크
ln [옵션] 원본파일 대상명
[해설작성자 : Kyunji]

현재 디렉터리에서 /etc/xinetd.d 로 접근 가능한 심볼릭링크 x를 생성한다는 의미입니다.

31. ps -u 명령에 의해 화면에 출력된 필드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2년 08월)
     1. RSS : 실제 메모리 사용량
     2. %MEM : 메모리 사용비율
     3. STAT : 프로세스의 우선 순위
     4. START : 프로세스가 시작한 시간

     정답 : []
     정답률 : 50%

32. 다음 중 조건에 맞는 crontab 설정으로 올바른 것은?(2018년 03월)

    

     1. 0 1 1 3,6,9,12 * /root/bin/backup.sh
     2. * 3,6,9,12 1 1 0 /root/bin/backup.sh
     3. 3,6,9,12 * 1 1 0 /root/bin/backup.sh
     4. 0 1 3,6,9,12 1 * /root/bin/backup.sh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분 시 일 월 요일 순서이며
1번 항목의 경우
0분 1시 1일 3월,6월,9월,12월 모든요일 백업을 수행한다는뜻
[해설작성자 : ks1]

33. 리눅스 파일시스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8년 01월)
     1. 파일 구조는 유형, 파일허가, 링크수, 소유자, 파일크기, 파일명 등으로 구성된다.
     2. 2진 데이터 파일은 파일의 종류 중 특수파일에 해당된다.
     3. 파일 링크를 통해 효율적인 파일 관리를 수행 할 수 있다.
     4. CD-ROM 드라이브도 파일시스템으로 인식한다.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파일 구조는 [유형, 허가권, 링크 수, 소유자, 소유 그룹, 파일 크기, 마지막 변경일, 마지막 변경 시간, 파일/폴더이름] 으로 구성되며, ls -al 명령어를 입력하면 알 수 있다.
2진 데이터파일은 실행파일을 의미하며 특수파일은 아니다.
파일 링크를 통해 파일의 중복을 최대한 방지하여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리눅스에서 모든 장치는 하나의 파일로써 관리 되므로 CD-ROM 드라이브도 파일시스템으로 인식한다.
[해설작성자 : 미나리나물]

34. 다음 중 rpm의 --force 옵션과 동일한 효과를 내는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03월)
     1. --replacepkgs, --noscripts, --percent
     2. --replacepkgs, --replacefiles, --oldpackage
     3. --replacepkgs, --replacefiles, --test
     4. --nodeps, --hash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RPM 설치 명령어와 같이 쓰이는 옵션들

--nodeps : 패키지 설치시 의존성 검사를 하지 않는다.
--force : 설치 도중 발생하는 에러를 무시하고 강제로 설치하는 옵션이다. --replacepkgs, --replacefiles, --oldpackage를 동시에 사용한 것과 같은 효과를 보여준다.
--oldpackage : 새로운 패키지를 지우고 구 버전을 설치할 때 사용한다.
--replacepkgs : 이미 같은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어도 다시 설치할 때 사용한다.
--root <directory> : RPM 패키지를 설치할 때 설정한 디렉토리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치가 된다.
--test : 패키지를 실제로 설치하지 않고 가상으로 설치해 본 뒤 충돌사항이 있는지 점검하고 보고한다.
--noscripts : preinstall, postinstall 스크립트를 실행하지 않는다.
--excludedocs : 문서 파일(man page, info page)를 설치하지 않는다.
-h, --hash : 해시(#) 마크를 사용하여 패키지 설치 진행 상황을 알려준다. -v를 함께 사용하면 조금 더 상세한 정보를 출력한다.
--percent : 패키지 설치 시 %로 완료를 표시한다. 이는 FTP 설치시 유용하다.
[해설작성자 : 보라곰아]

35. 다음 중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프로세스나 현재 중지된 프로세스의 목록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9월)
     1. bg
     2. fg
     3. jobs
     4. pgrep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jobs : 실행한 프로세스에 대하여 확인
fg : 현재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명령어를 포그라운드작업으로 전환
bg :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작업으로 전환
[해설작성자 : 쭝이]

36. rpm 데이터베이스를 다시 만드는 명령은?(2003년 06월)
     1. rpm --rebuild
     2. rpm --rebuilddb
     3. rpm --replace
     4. rpm --replacedb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rpm 데이터베으스 다시 만들려면
rpm --rebuilddb

37. 다음 중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변경과 가장 거리가 먼 명령은?(2020년 06월)
     1. jobs
     2. top
     3. nice
     4. renice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jobs는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는 작업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nice - 우선순위(NI)를 기존에 설정된 값에서 증감시킵니다.
renice - 기존의 NI 값과 상관없이 지정한 NI 값으로 즉시 설정합니다.
top - 사용자에게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포함한 시스템의 상태 정보를 보여줍니다.
[해설작성자 : 반스트]

top에 대한 추가 설명
top -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 모든 프로세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해설작성자 : daiboom]

38. rpm 명령어의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nodeps : 의존성 검사를 하지 않는다.
     2. --test : 실제 설치를 하지 않고 설치가 성공 할 지를 검사한다.
     3. -h : 도움말을 보여준다.
     4. --percent : 설치 상황의 진행률을 보여준다.

     정답 : []
     정답률 : 36%

39.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09월)

    

     1. zxvf
     2. jxvf
     3. Jxvf
     4. Zxvf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x = [extract] 압축을 해제합니다.
v = [verbose] 진행중인 파일을 나열합니다.
f = [file] 보통 압축파일을 지정하는데 사용합니다.
z = [gzip] gzip압축을 해제하는데 사용합니다, gz확장자에 사용합니다.
j = [bzip2] bzip2압축을 해제합니다, bz/bz2확장자에 사용합니다.
J = [xz] xz압축을 해제합니다, xz확장자에 사용합니다.
Z = compress로 압축합니다, 압축이나 해제까지 한번에 할 때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gdn]

40. 다음은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1. Zxvf
     2. zxvf
     3. jxvf
     4. Jxvf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xvf는 tar파일을 풀때 쓰이고
J는 *.tar.xz 형태 파일의 압축을 해제할때 쓰인다.

따라서 Jxvf는 *.tar.xz 파일의 압축을 풀때 쓰인다.
[해설작성자 : 시니]

41. 리눅스에서의 장치 설정 중 플러그 앤 플레이(PnP) 기능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모뎀과 네트워크 카드, 사운드 카드 등의 각종 하드웨어(장치)를 찾아낸 장소를 자동적으로 소프트웨어에 알려준다.
     2. 물리적 장치와 이것을 조작하는 소프트웨어(장치 드라이버)와 일치시킨다.
     3. 운영체제가 물리적 장치를 인식할 수 있게하는 소프트웨어이다.
     4. 장치와 드라이버 사이에 통신 채널을 만든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신고 내용]
이 문제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이 장치와 드라이버 사이에 통신 채널을 만드는 기능도 있지 않나요?
답이 4번이 아닌거 같아요
[해설작성자 : 답 오류?]

42. 특정 모듈을 제거하면서 의존성있는 모듈을 같이 제거하려고 할 때 ( 괄호 ) 안에 들어갈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2020년 10월)

    

     1. -a
     2. -d
     3. -e
     4. -r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제거옵션은 -r(remove)입니다.
참고로 의존성 모듈까지 제거하는지 여부에 따라 modprobe -r 을 사용할지 rmmod 사용할지 나뉩니다.
[해설작성자 : 또림아합격하자]

43. 다음은 e1000이라는 모듈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9년 09월)

    

     1. insmod
     2. rmmod
     3. depmod
     4. modprobe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ㅇ insmod : 커널에 모듈을 적재
ㅇ rmmod : 커널에 적재된 모듈을 제거, 사용중인 모듈은 제거 불가

ㅇ depmod : modules.dep과 맵 파일을 생성하는 프로그램
     # ll /lib/modules/*/modules.dep
     -rw-r--r--. 1 root root 270899 Oct 16 11:31 /lib/modules/3.10.0-1160.76.1.el7.x86_64/modules.dep
    
ㅇ modprobe : 커널에 모듈을 적재 또는 제거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ㅇ lsmod : 현재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모듈들의 목록을 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정추]

44. 다음 중 agent 라는 실행 파일을 foreground로 실행 후 background 실행으로 전환하는 방법에 대해 올바르게 기술한 것은 무엇인가?(2007년 03월)
     1. agent &를 이용하여 실행한다.
     2. agent를 실행한 후 CTRL - D를 이용하여 전환한다.
     3. agent를 실행한 후 CTRL - Z, bg를 입력한다.
     4. agent를 실행한 후 CTRL - C를 이용하여 종료한 후 bg를 입력한다.

     정답 : []
     정답률 : 32%

45. 아래에 설명된 리눅스 커널 모듈(Module) 관련 명령어가 순서대로 알맞게 나열된 것은?(2003년 10월)

    

     1. addmod, lsmod, delmod
     2. insmod, listmod, rmmod
     3. addmod, listmod, delmod
     4. insmod, lsmod, rmmod

     정답 : []
     정답률 : 69%

46. 커널 컴파일 시 make menuconfig 명령의 옵션중 Networking options에서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이 아닌 것은?(2004년 05월)
     1. 라우팅 관련 기능 통제
     2. 패킷 필터링 관련 기능 통제
     3. 소켓 필터링 관련 기능 통제
     4. 네트워크 디바이스 인식

     정답 : []
     정답률 : 40%

47. 리눅스 시스템의 파일 종류 세 가지가 아닌 것은?(2006년 09월)
     1. 정규파일 (Regular File)
     2. 디렉토리 (Directory)
     3. 보안파일 (Security File)
     4. 특수파일 (Special File)

     정답 : []
     정답률 : 54%

48. 다음 중 리눅스 부팅디스켓을 만들기 위해 플로피 디스크를 포맷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11년 09월)
     1. mkfs.ext3 /dev/fd0
     2. fsck.ext3 -f /dev/hdb1
     3. mount -t ext3 /dev/fd0 /mnt
     4. mkbootdisk --device /dev/fd0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포맷'하는 명령어다.
4) mkbootdisk 는 부팅디스켓을 만드는 명령어
[해설작성자 : KTH]

49. 다음 중 /etc/passwd 파일을 2매 출력하고자 할 때 ( 괄호 ) 안에 들어갈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2017년 03월)

    

     1. -d
     2. -n
     3. -P
     4. -t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system V 계열: lp -n 2 /etc/passwd
BSD 계열 : lpr -# 2 /etc/passwd
[해설작성자 : 1트합시다]

50. 다음 중 ihd.txt를 압축하기 위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08년 08월)
     1. gzip ihd.txt
     2. gzip -d ihd.txt
     3. gzip -h ihd.txt
     4. gzip -v ihd.txt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d 해제
-h help
-v 진행상황 자세히
-V 버전정보

51. 다음 로그 파일과 그에 대한 설명이 알맞게 짝지 어진 것은?(2009년 03월)
     1. 시스템 로그(/var/log/messages) - 리눅스 커널 로그 및 주된 로그
     2. 보안 로그(/var/log/secure) - 시스템 부팅 시 로그
     3. 부팅 로그(/var/log/boot.log) - 웹 사이트 방문 기록에 대한 로그
     4. 액세스 로그(/usr/local/apache/logs/access_log) - inetd에 의한 로그

     정답 : []
     정답률 : 67%

52. 다음 중 vi 와 같은 텍스트 편집기로 로그 내용을 살펴볼 수 없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2004년 10월)
     1. /var/log/wtmp
     2. /var/log/xferlog
     3. /var/log/dmesg
     4. /var/log/boot.log

     정답 : []
     정답률 : 14%

53. 다음 중 last 명령과 관련하여 틀린 것은?(2007년 03월)
     1. lastlog 파일의 내용을 보여준다.
     2. 마지막으로 로그인한 사용자 정보를 보여준다.
     3. 일반적으로 /var/log/wtmp 파일에 기록한다.
     4. 잘못된 로그인 시도는 lastb로 확인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18%
     <문제 해설>
/var/log/wtmp 로그를 보여준다.
[해설작성자 : 최금복 ]

54. 다음에서 설명하는 백업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19년 09월)

    

     1. tar
     2. cpio
     3. dump
     4. restore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ㅇ tar :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거나 풀 때 사용하는 명령
ㅇ cpio : cpio(copy in and out) 명령을 사용하여 개별 파일, 파일 그룹 또는 전체 파일 시스템을 복사
                    (*) 증분 백업을 지원하지 않음
ㅇ dump
        파일시스템 자체를 직접 읽어내는 방법을 사용하여 파일들이 아닌 파일시스템 전체를 백업한다.
        일반적으로 파티션 단위로 백업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며, 0-9단계의 레벨을 가지고 증분 백업을 지원하고 있다.
    - /etc/fstab 파일을 참조
    - increment(증분) 백업 지원
    - 파티션 단위 백업에 적합
ㅇ restore : 대화형 모드로 파일 복원
[해설작성자 : 정추]

55. 2일 전 로테이션이 실행되지 않는 시스템에 ihd사용자가 시스템에 로그인하여 시스템 일부를 수정하였다. 다음 중 ihd사용자가 로그인에 성공한 기록을 확인하기 위한 명령으로 틀린 것은?(2019년 03월)
     1. last
     2. last ihd
     3. lastb ihd
     4. lastlog -t 5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틀린것을 고르는 문제임
lastb 명령어는 로그인을 5번이상 실패한 경우를 조회하는 명령    -> 로그파일 btmp를 참조한다.
[해설작성자 : 몰라]

56. ssh가 telnet, rlogin, rcp 등에 비해서 보안성이 우수한 이유는 무엇인가?(2011년 03월)
     1. ssh는 호스트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IP주소를 사용하여 서버에 접속한다.
     2. telnet, rlogin, rcp 등의 패킷은 스니핑을 당해 패킷이 노출될 수 있지만, ssh의 패킷은 스니핑을 당하지 않는다.
     3. ssh는 암호화하여 패킷을 전송한다.
     4. ssh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료서비스에 가입을 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5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보안 도구로 알맞은 것은?(2018년 09월)

    

     1. Nessus
     2. GnuPG
     3. John the Ripper
     4. SELinux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John the Ripper : Unix passwrd crack tool
[해설작성자 : 쭝이]

John the Ripper를 크래킹 도구라고 외우셔서 보안 도구가 아니니까 넘어가셨을텐데
3과의 보안관련 이슈에서 방지도구로도 쓰인다는 것을 배우시게 되실겁니다.
[해설작성자 : 다망다려]

John the Ripper
귀신(Ripper)이 패스워드 대충설정한 놈 찾으러 가서 혼낸다고 생각하면 쉽게 외워짐
[해설작성자 : 5시간 뒤 시험]

58. 다음 중 백업 대상으로 고려할 디렉토리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3월)
     1. /etc
     2. /var
     3. /usr
     4. /proc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etc, /var, /usr, /tar 등
[해설작성자 : 수험생]

59. 다음에서 설명하는 백업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17년 03월)

    

     1. dd
     2. cpio
     3. dump
     4. rsync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dd : 파티션이나 디스크 단위 백업 시 사용. 사용하기는 쉬우나 많은 시간 소요
dump : 파일 시스템 전체를 백업할 때 사용. 증분 백업 지원
rsync : 네트워크로 연결된 원격지 파일들을 동기화하는 유틸리티
[해설작성자 : 자쿠야]

60. dum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6월)
     1. 여러 개의 tape 백업이 가능하다.
     2. 백업이 기존 파일에 내용을 더하면서 수행될 수 없다.
     3.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 등의 소유권에 대한 사항도 복구 가능하다.
     4. 어떤 타입의 파일도 백업, 복구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0%

61. ICMP, UDP, TCP의 데이터 패킷들을 사용해 서버에 많은 양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사이트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자원을 고갈시키는 공격을 무엇이라 하는가?(2006년 09월)
     1. worm 백도어
     2. DoS공격
     3. 트로이 목마
     4. Buffer overflow공격

     정답 : []
     정답률 : 48%

62. 현재 사용되어지는 웹서버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웹서버로 알맞은 것은?(2012년 09월)
     1. Apache
     2. IIS
     3. nginx
     4. GWS

     정답 : []
     정답률 : 72%

63. 여러 IP주소를 사용하여 아파치 웹 서버의 IP 기반 가상 호스팅 설정을 하려고 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5년 09월)
     1. httpd.conf 파일의 NameVirtualHost 항목을 주석 제거 후 설정 변경한다.
     2. 사용하는 랜카드에 부여받은 IP주소를 추가로 설정한다.
     3. 설정하려는 도메인의 수만큼 IP주소를 확보 한다.
     4. 각 IP 주소별로 도메인 설정하여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23%

64.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9월)

    

     1. ./mysqld_safe --user=root &
     2. ./mysqld_safe --initialize --user=root &
     3. ./mysql --initialize --user=root &
     4. ./mysqld --initialize --user=root &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mysqld —initialize : db생성
[해설작성자 : ㅊ황효ㅏㅇ]

65. Apache 웹 서버의 로그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3년 06월)
     1. access_log를 분석하여 접속한 시스템의 IP 주소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2. error_log를 분석하여 웹 서버의 구동 시간 및 종료 시간을 알아낼 수 있다.
     3. error_log를 분석하여 Nimda 바이러스에 감염된 시스템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4. agent_log는 Apache 설치 시 기본적으로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11%

66. 다음 중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1. (ㄱ) ypbind - (ㄴ) ypserv
     2. (ㄱ) ypbind - (ㄴ) ypxfrd
     3. (ㄱ) ypserv - (ㄴ) yppasswd
     4. (ㄱ) ypserv - (ㄴ) ypbind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NIS 서버에서 구동 : ypserv
NISA 클라이언트에서 구동 : ypbind (NIS/YP 클라이언트에서 실행되는 데몬으로 NIS 도메인을 바인드함)
[해설작성자 : 나나]

67. 다음 중 LDA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10월)
     1. X.500 Directory Access Protocol 기반으로 만들어진 통신 규약이다.
     2. RDBMS에 비교해서 검색 속도가 빠르다.
     3. 자주 변경되는 정보인 경우에 RDBMS보다 더욱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
     4. 읽기 위주의 검색 서비스에서 상당히 좋은 성능을 발휘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ㅇ 시험에 잘 나오는 LDAP의 특징
1. 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사용자, 시스템, 네트워크 서비스 정보 등의 디렉터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2. 다렉터리는 논리, 계급 등을 기준으로 조직화 되어 있다.
3. 일반적으로 RDBMS에 비해 검색 속도가 빨라서 읽기 위주의 서비스에 좋은 성능을 발휘한다.
     (*) "자주 변경되는 정보인 경우에"는 해당 안됨    
4. 이름, 주소와 같이 하나 이상의 속성을 가진 객체로 구성된다.
5. X.500 Directory Access Protocol 기반으로 만들어진 통신 규약이다.
6. 읽기 위주의 검색 서비스에서 상당히 좋은 성능을 발휘한다.
[해설작성자 : 정추]

68. 다음 samba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8년 01월)
     1. 기본적으로 삼바 서버를 서비스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전체 설정과 공유 정의로 나눌 수 있다.
     2. 환경 설정시 “#”는 주석을 가리킨다.
     3. 삼바 서버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삼바 데몬을 띄워야 한다.
     4. 환경 설정시 “;”는 문장의 끝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32%

69. SSL(Secure Socket Layer)을 이용하여 보안 가상 호스트를 정의하기 위한 지시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9월)
     1. SSLEngine on은 SSL을 부팅하는 modSSL 명령이다.
     2. SSLCertificateFile은 인증서 위치와 이름을 아파치에게 알려준다.
     3. SSLCACertificateFile은 Intermediate 인증서 위치를 알려주는 것으로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다.
     4. SSLCertificateKeyFile은 단지 루트에게만 읽기/쓰기 허가권이 주어져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SSLCACertificateFile 인증서의 종류에 따라 필요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해설작성자 : KTH]

70. 다음 중 삼바(Samba)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3월)
     1. SMB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CIFS로 표준화가 이루어진 상태이다.
     2. 윈도우 클라이언트와 리눅스 및 유닉스 서버와의 파일 및 프린터를 공유해준다.
     3. TCP/IP 프로토콜상에서 NetBIOS 프로토콜은 필요하지 않는다.
     4. 마이크로소프트의 LAN 매니저를 지원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삼바는 SMB를 이용하여 리눅스를 비롯한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와 윈도우 운영체제간의
자료 및 하드웨어를 공유할수 있도록 해준다.
현재 SMB 프로토콜은 유닉스와 윈도 환경을 동시에 지원하는 CIFS로 확장 되었다.
TCP/IP를 사용하며 NetBIOS 프로토콜을 지원, LanManager, 기능도 제공한다.
[해설작성자 : 빈빈]

71. SSL을 사용하기 위해 httpd.conf 파일의 보안 가상 호스트 관련 속성을 넣고자 할 때, 들어가야 할 속성과 그 내용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2004년 10월)
     1. SSLEngine : SSL을 구동하는 ModSSL 명령
     2. SSLCertificateFile : 인증서 위치와 그 이름을 아파치에게 알려준다.
     3. SSLCertificateKeyFile : 비밀키 이름과 그 위치를 아파치에게 알려주며, 이 곳에서 정의된 디렉토리는 루트와 해당 사용자에게 읽기/쓰기 허가권을 주어 비밀키 역할을 한다.
     4. SSLCACertificateFile : Intermediate(root) 인증서 위치를 아파치에 알려 준다.

     정답 : []
     정답률 : 41%

72. NF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9월)
     1. 분산 파일 공유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2. NFS는 FTP 기반의 파일 공유 서비스이다.
     3. NFS 서버-클라이언트 통신방법으로 RPC를 사용한다.
     4. NFS 파일 공유를 통한 디스크 공간 절약을 가져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9%

73. 스팸메일(SpamMail)로부터 센드메일(SendMail)을 보호하기 위한 /etc/mail/access 파일의 메일 릴레이 기능에 대한 설정 중 행동 양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Relay - 지정된도메인에서들어오는메일의중계허용
     2. Reject - 지정된 도메인에서 들어오는 메일을 거부 메시지 없이 폐기
     3. 501 - 지정된 메일 주소와 일치하는 메일 수신 거부
     4. 550 - 지정된 도메인과 관련된 모든 메일 수신 거부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REJECT : 메일을 거절하고 거부 메시지 보냄
DISCARD 메일을 거부 메시지 없이 무조건 거절
[해설작성자 : 자쿠야]

74. NFS 서버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옵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1년 09월)
     1. retrans : 재전송 시간을 지정
     2. wsize : 서버에 기록할 때 사용하는 바이트 수 지정
     3. hard : 타임아웃이 발생하면 메시지를 표시하고 계속 재시도
     4. soft : 타임아웃이 발생하면 I/O 에러 표시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retrans : 재전송 횟수
[해설작성자 : 김영대]

75. ProFTPD 서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서버 타입은 Standalone과 inetd로 선택할 수 있다.
     2. 환경설정파일은 proftpd.conf로 통합되어 있다.
     3. 일부 사용자의 ftp 접속을 제한할 수 있다.
     4. wu-ftp에 비해 보안상 취약하다.

     정답 : []
     정답률 : 57%

76. Samba 서버 구동시에 실행되는 nmbd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2005년 03월)
     1. 클라이언트들에게 NetBIOS를 준비하는 NetBIOS 네임서버 데몬이다.
     2. NetBIOS는 원거리 컴퓨터 간에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해 주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3. WINS(Windows Internet Name Service) 서버의 기능도 한다.
     4. 이 프로그램은 samba suite중의 일부이며 실행시 UDP 137번 포트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34%

77. 다음은 ProFTPD 서버의 설정 파일인 proftpd.conf 파일의 일부이다. 다음의 설정과 관련된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08년 06월)

    

     1. 192.168.4.5에서 접속하는 익명사용자는 하위의 incomming에 파일업로드가 가능하다.
     2. 192.168.2.5에서 접속하는 익명사용자는 홈디렉토리에 파일 업로드를 할 수 없다.
     3. 192.168.3.63에서 접속하는 익명사용자는 incomming에 파일업로드가 불가능하다.
     4. 접속한 IP주소에 상관없이 접속한 익명사용자는 홈디렉토리에 파일업로드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30%

78. Sendmail설정파일(sendmail.cf)의 일부이다. 다음설명 중 알맞은 것은?(2010년 03월)

    

     1. localhost로 들어오는 메일은 수신을 거부한다.
     2. /etc/mail/users파일에 등록된 사용자만 메일을 수신 할 수 있다.
     3. Sendmail은 nobody권한으로 실행된다.
     4. Sendmail이 에러 메시지를 보낼 때 사용하는 사용자 이름은 ihd이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Cwlocalhost
localhost를 w클래스로 정의 한겁니다.
localhost 로 들어오느 메일 정의

Fw/etc/mail/local-host-names
Cwlocalhost와 같이 w클래스를 정의하는데 문자열 대신 파일을 정의합니다.
/etc/mail/local-host-names 를 사용

Dn : MAILER-DAEMON
sendmail이 return 메일(에러 메일)을 보낼 때 사용하는 사용자 이름을 정의한다.
[해설작성자 : 강선균]

79.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0년 09월)

    

     1. alias
     2. pop3
     3. sendmail
     4. relay

     정답 : []
     정답률 : 30%

8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센드메일 관련 명령어는?(2004년 05월)

    

     1. build
     2. sendmail -bi
     3. m4
     4. makemap

     정답 : []
     정답률 : 40%

81. 센드메일의 newaliases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4년 05월)
     1. Mail Alias 파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재생성하는 명령어이다.
     2. newaliases 명령어가 참조하는 파일은 /etc/aliases 이다.
     3. newaliases 대신 'sendmail -bi' 명령을 사용할 수도 있다.
     4. 이 명령의 실행 결과로 생성되는 파일은 /etc/mail/virtusertable.db 이다.

     정답 : []
     정답률 : 36%

82. 다음 중 /etc/named.conf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3년 03월)
     1. C 언어에서 사용되는 /* ~ */ 형식의 주석을 사용할 수 있다.
     2. C++ 언어에서 사용되는 // 형식의 주석을 사용할 수 있다.
     3.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 형식의 주석을 사용할 수 있다.
     4. 유닉스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 형식의 주석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 /etc/named.conf : DNS 서버의 전반적인 환경설정을 담당하는 파일, 서버에서 사용하는 zone을 지정한다.
        - 파일의 구성은 크게 주석문과 구문으로 구성되어있다.
        - 주석은 C에서 사용하는 /* */ , C++에서 사용하는 //, 유닉스 계열에서 사용하는 #등 모두 사용가능
        - 각 구문은 중괄호{} 로 둘러싸고, 끝날때는 세미콜론 ;을 사용한다.
        - include 지시자를 선언하여 별도의 파일에 추가정의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클클호ㅓ이팅]

83.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파일명으로 알맞은 것은?(2020년 06월)

    

     1. /etc/hosts
     2. /etc/yp.conf
     3. /etc/ypbind.conf
     4. /etc/sysconfig/network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etc/sysconfig/network
: 네트워크 관련 항목들을 설정하는 파일
- NIS 도메인 이름을 부팅 시에도 적용하기 위해 이 파일에 도메인을 등록
- NISDOMATIN = [도메인 이름] 을 추가 해주면 된다.
[해설작성자 : 또림아합격하자]

ㅇ 1. /etc/hosts
        용도 :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에 매핑하는 로컬 정적 테이블
        형식 : <IP_address> <host_name>
                     127.0.0.1     localhost
ㅇ 2. /etc/yp.conf : NIS 클라이언트에서 NIS 서버 및 도메인명을 지정
    domain OOPS-NIS
    server nis1.domain.com
    server nis2.domain.com
ㅇ 3. /etc/ypbind.conf : ypbind는 명령이 이며 설정파일은 yp.conf 임
[해설작성자 : 정추]

84. DNS로 운영 중인 현재 시스템 이외에는 네임 서버에 대한 질의를 허가하지 않으려고 한다.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6년 03월)

    

     1. only;
     2. forward only;
     3. forwards;
     4. localhost;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allow-query 안에 들어가는 내용은 3가지 : any , localhost, allow_user 임.
allow_user은 named.conf 맨 위에 정의 acl"allow_user" {@@@.@@@.@@@.@@@; xxx.xxx.xxx.xxx;};
[해설작성자 : 보라매SO 탑클라스]

85. Sendmail에서 사용하는 sendmail.cf의 작성 규칙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2003년 01월)
     1. 줄 단위로 작성한다.
     2. #으로 시작하는 줄은 주석으로 처리하여 무시한다.
     3. 줄의 시작은 공백이나 탭으로 시작할 수 없다.
     4. config에 사용하는 명령에는 C, D, F, H, P, R, S, V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48%

86. 다음 중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의 특징에 대한 설명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TCP/IP의 상위층 응용프로토콜의 하나이다.
     2. 인터넷에서 전자 우편 기능을 사용하는 프로토콜로 사용된다.
     3. RFC 822에 규정되어 있다.
     4. 최근에는 그림과 소리를 메일 메시지에 포함 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9%

87. /etc/mail/access 파일을 이용하여 스팸메일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장 적절하지 못한 것은?(2003년 06월)
     1. 특정 IP 주소로부터 발신된 메일 수신을 차단한다.
     2. 특정 URL로부터 발신된 메일 수신을 차단한다.
     3. 특정 이메일 주소로부터 발신된 메일 수신을 차단한다.
     4. 특정 문자열이 제목에 포함되어 있는 메일 수신을 차단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88. 다음에서 설명하는 인터넷서비스로 알맞은 것은?(2012년 09월)

    

     1. TCP/IP 프로토콜
     2. DNS
     3. WWW
     4. IP address

     정답 : []
     정답률 : 68%

89. xinetd에서 관리하는 telnet 서비스 설정의 일부이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9월)

    

     1. 호스트 203.237.190.3은 주어진 시간 동안 텔넷을 이용할 수 있다.
     2. 텔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최대 연결 수는 10이다.
     3. 한 호스트당 접속할 수 있는 연결 수는 2이다.
     4. 호스트 203.237.190.5는 09:00∼16:00 이외의 시간 동안 텔넷을 이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90.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란 인터넷상의 모든 호스트에 각자의 이름을 부여해 사람들이이해하기 쉽게 해주는 것이다. 다음은 DNS 서버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알맞지 않은 것은?(2004년 10월)
     1. Primary 서버
     2. Secondary 서버
     3. Caching-only 서버
     4. DMS (Domain Management System) 서버

     정답 : []
     정답률 : 59%

91. DNS 서비스의 zone 파일 영역의 세부항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3월)

    

     1. Serial : zone 파일의 작성된 시간을 표시하는 정보영역 데이터의 번호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조 DNS와 정보업데이트를 결정할 때 확인 하는 값이다.
     2. Refresh : 주DNS와 보조 DNS간에 정보 동기화를 위해 3시간(10800초)에 한번씩 요청한다.
     3. Retry : 보조 네임서버가 얼마간격으로 주 네임서버와 다시 접속할지를 설정하는 값으로 4시간(14400초)으로 설정되어 있다.
     4. Expire : 주 네임서버가 기존 정보를 파기하는 시간으로 1주(604800초)로 설정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Serial :    2차 네임서버가 1차 네임서버(현재서버) zone파일의 수정여부를 파악할수 있도록 최종 수정일을 기입하는 곳입니다.
                    이 날짜를 기준으로 2차 네임서버는 네임서버정보를 백업받을것d인지 판단합니다.    
Refresh :    1차 네임서버측의 zone 파일 DB의 수정여부를 2차 네임서버가 체크하는 주기입니다.
                     운영되는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가 많아(예를 들면 유동 IP를 이용하여 서버를 구축한 사용자) 잦은 수정이 필요하다면
                     3H(시간기준) 혹은 10800(초단위기준) 정도로 하면 될듯 합니다 ^^;
Retry : 2차 네임서버가 백업이나 체크를 위해 1차 네임서버에 접속을 시도하다 연결이 실패하였을 경우 재시도를 하는 주기입니다.
Expire : 1차네임서버가 어떠한 연유로 죽었을경우 2차 네임서버는 1차네임서버를 대신하여 활동을 지속하면서        
                 여기서 지정한 시간동안 1차 네임서버와의 교신에 성공하지 못했을경우 마지막으로 백업받은 도메인 매칭 정보가 더이상
                 쓸모없다고 판단을 내려 더이상 사용자들의 도메인 매칭 정보 요청에 대한 답변을 하지 않게됩니다.
Minimum : 타 네임서버 즉 다른 기관이나 서버가 운용하는 네임서버가 우리가 구축한 네임서버의 정보를 가져갔다고 했을때
                    그 자료에 대한 유효시간을 설정하는 곳입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이]

92. 다음 중 Proxy 서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2002년 05월)
     1. proxy 서버는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서핑할 때 느린 속도를 보완해주기 위한 방법이다.
     2. proxy 서버는 캐시 서버를 만들어 이미 방문한 웹사이트는 캐시에 미리 저장한 후 재접속 시 캐시 서버에 저장된 내용을 보여준다.
     3. Proxy 서버는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한 채 수행되므로 서버에 대한 IP를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4. 사용자가 캐시에 없는 내용을 요청할 경우에는 사용자 대신 자신의 IP를 이용해 외부의 인터넷에 있는 서버에 페이지를 요청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93. DHCP 클라이언트는 DHCP 서버에 요청을 하여 IP, 게이트웨이 정보, DNS 정보 등을 받아오는 역할을 한다. MAC 주소가 00:10:4B:D6:49:22이고, 요청하는 IP를 192.168.5.5로 요청한다고 하고, leasetime은 60초 그리고 호스트 이름을 ihd, 타임 아웃은 30초라고 설정했을 때 다음 ( )안에 알맞은 옵션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순서대로 (ㄱ) (ㄴ) (ㄷ) (ㄹ) (ㅁ))(2007년 05월)

    

     1. -I -s -l -t -h
     2. -i -r -l -t -h
     3. -i -s -l -o -h
     4. -I -r -l -o -h

     정답 : []
     정답률 : 23%

94. 소스코드의 백업 및 형상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CVS 서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여러 파일의 버전을 관리해 주는 도구이다.
     2. CVS를 이용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경우 코드의 버그를 자동으로 보여준다.
     3. 공동 프로젝트에서 효율적으로 버전 관리를 함으로써 파일의 중복이나 변경에 의한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4. 현재 GNU 그룹과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많이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95. 다음 중 네트워크 인증 구성 요소(network authentication scheme)로 틀린 것은?(2012년 03월)
     1. NIS
     2. LDAP
     3. PAM
     4. autofs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Autofs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서 공유한 자원을 사용 하려고 할때 mount란 명령을 사용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mount하는 방법. 접속시 해당 file system이 자동으로 mount되고 일정 시간동안 미사용시 umount된다.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CD-ROM, 플로피 등을 마운트 하는데 사용된다. Autofs는 클라이언트에서만 설정하면된다.
[해설작성자 : ㄱㅇㄷ]

96. iptables 명령의 '-j LOG' 옵션을 통해서 특정 호스트에 대한 로그를 기록하도록 정책을 설정 하였다. 다음 중 관련 로그가 기록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2019년 03월)
     1. /var/log/btmp
     2. /var/log/secure
     3. /var/log/iptables
     4. /var/log/messages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ㅇ /var/log/messages
        주로 접속 시 인증에 관한 것과 메일에 관한 내용, 시스템에 관한 변경사항 등
        시스템에 관한 전반적인 로그를 담고있는 파일
ㅇ /var/log/btmp : 실패한 로그인 정보를 담고있는 파일
ㅇ /var/log/secure : 보안 인증 관련 로그
     - 모든 접속과 관련하여 언제 어디서 어떤 서비스를 사용했는지 기록 한다.
     - timestamp, 호스트명, 응용프로그램명[pid], 메시지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 보통 login, tcp_wrappers, xinetd 관련 로그들이 남는다.
         #    tail -f /var/log/secure
                Feb 10 23:40:08 localhost sshd[14684]: pam_unix(sshd:session): session opened for user wisenut by (uid=0)
                Feb 10 23:40:30 localhost sshd[14806]: Accepted password for wisenut from 192.168.145.1 port 55108 ssh2
                Feb 10 23:40:30 localhost sshd[14806]: pam_unix(sshd:session): session opened for user wisenut by (uid=0)
[해설작성자 : 정추]

97. 다음의 C언어로 작성된 소스코드는 내부공격 방법 중의 하나이다. 어떤 공격을 하는 코드인가?(2010년 03월)

    

     1. 디스크 채우기
     2. 프로세스 대량 만들기
     3. 메모리 고갈
     4. 모든 프로세스 죽이기

     정답 : []
     정답률 : 58%

98. 다음 중 NIS 관련 명령어가 아닌 것은?(2006년 09월)
     1. ypwhich
     2. ypmatch
     3. yppoll
     4. ypmount

     정답 : []
     정답률 : 34%

99. 커널 수준에서 패킷필터기능을 가지고 있는 iptables 에서 아래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설정으로 알맞은 것은?(2008년 08월)

    

     1. iptables -t filter -A INPUT -s 10.10.0.10 -j DROP
     2. iptables -t filter -A INPUT -d 10.10.0.10 -j DROP
     3. iptables -t filter -A INPUT -s 10.10.0.10 --destination-port 80 -j DROP
     4. iptables -t filter -A INPUT -d 10.10.0.10 --destination-port 80 -j DROP

     정답 : []
     정답률 : 25%

100. 리눅스에서 패킷 필터링을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Iptable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3년 06월)
     1. 특정 IP 주소에 대한 접근을 거부할 수 있다.
     2.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거부할 수 있다.
     3. 모든 체인의 기본 정책은 INPUT으로 해야 하며, 접근 거부하고자 하는 것만 DENY 혹은 DROP으로 설정한다.
     4. 체인 정책을 이용하여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를 설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2%


정 답 지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559653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리눅스 실무의 이해


1. 운영체제의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9월)
     1. Multi-user : 단일 시스템에서 여러 사용자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형태
     2. Multi-tasking : 한 사용자가 여러 개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시스템
     3. Single-tasking : 컴퓨터가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처리하는 형태
     4. Multi-switching : 다수의 작업이 동시 실행 되나 백그라운드 프로그램만 동작하는 형태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다중 교환(Multi-switching) : 다수의 작업이 동시 실행되나 포그라운드 프로그램만 동작.
[해설작성자 : skip]

2. 다음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을 순서에 맞게 나열한 것은?(2012년 03월)

   

     1. 압축(Compaction, Recompaction), 쓰레기 수집(Garbage Collection)
     2. 세그먼트 기법(Segmentation), 압축(Compaction, Recompaction)
     3. 쓰레기 수집(Garbage Collection), 세그먼트 기법(Segmentation)
     4. 베이스-경계 재배치(Base-Bound Relocation), 압축(Compaction, Recompaction)

     정답 : []
     정답률 : 54%

3. 다음 중 GNU 프로젝트에 의해 개발된 소프트웨어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KDE
     2. gcc
     3. GNOME
     4. emacs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KDE는 1996년 당시 튀빙엔 대학교 학생이었던 마티아스 에트리히가 개발하였다. 그는 당시의 유닉스 데스크톱 환경에 불만이 많았다. 그의 지적대로 어떠한 프로그램들도 비슷하게 보이지도, 느껴지지도, 작동하지도 않았다. 또한 그의 불만 가운데 하나는 그 당시의 데스크톱 프로그램들은 그의 여자 친구가 사용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그 글은 많은 인기를 끌었으며 KDE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해설작성자 : 위키 백과사전]

▶ KDE(K Desktop Environment)란?

KDE는 'K Desktop Environment'의 약자로, 1996년 Matthias Ettrich에 의해 시작돼 현재는 전세계 수천명의 개발자들로 이어진, 독립적이면서도 협력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이다.

KDE Project의 목적은 Unix계통 운영체제의 강력함과 현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리눅스 및 유닉스의 사용자 환경을 좀더 쉽고 편리하게 만들고자 하는데 있다.

KDE 팀은 작년 하반기에 객체지향 컴포넌트 베이스의 데스크탑 환경과 오피스 슈트를 제공하는 KDE 2.0을 발표한바 있으며, 리눅스의 데스크탑 환경을 일반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있는 상업적 데스크탑환경처럼 사용하기 쉽도록 만들기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KDE외에 대표적인 리눅스 데스크탑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는 GNOME(GNU Network Object Model Environment)을 들 수 있다.

[해설작성자 : ㄱㅇㄷ]

4. 다음 중 리눅스 운영체제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리눅스는 약간의 어셈블리와 대부분의 C언어로 작성되어 이식성이 뛰어나다.
     2. 하나의 시스템에 다중 사용자 접속 및 사용자별 다중 처리 시스템을 지원한다.
     3. 운영체제의 핵심인 커널(Kernel)을 제외한 나머지 프로그램들은 소스가 공개되었다.
     4. 고유 파일시스템 외 DOS, Windows, 상용 유닉스 등의 다양한 파일 시스템을 지원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핀란드의 대학원생 리누스 토발즈는 자신의 이름을 딴 리눅스 커널을 개발했고, 1991년 9월 17일에 커널의 소스코드를 포함하여 리눅스를 세상에 공개했습니다.
[해설작성자 : 반스트]

5. 다음 배포판 중에서 패키지를 .tar.gz로 배포하고 있으며 패키지 관리가 어려운 패키지는 무엇인가?(2007년 08월)
     1. 맨드레이크(Mandrake)
     2. 레드햇(RedHat)
     3. 슬랙웨어(Slackware)
     4. 페도라(Fedora)

     정답 : []
     정답률 : 55%

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RAID의 종류로 알맞은 것은?(2017년 03월)

   

     1. RAID-0
     2. RAID-1
     3. RAID-5
     4. RAID-6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RAID-5 : 최소 3개의 디스크로 구성되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7. 다음 중 파일시스템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슈퍼블록: 파일시스템의 크기 등과 같은 파일 시스템의 전체적인 정보를 갖는다.
     2. 아이노드 : 파일의 이름을 제외한 해당 파일의 모든 정보를 갖고 있다.
     3. 데이터 블록 : 파일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고 아이노드에 포함되어 있다.
     4. 간접블록 : 파일 이름과 아이노드 번호를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간접블록(Indirection Block)
추가적인 데이터 블록을 위한 포인터들이 사용할 동적으로 할당되는 공간. 아이노드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 블록보다 더 많은 데이터 블록이 필요한 경우 이를 지정하기 위해 포인터를 사용하는데, 그때 사용하기; 위한 동적인 블록.
[해설작성자 : 미카엘]

디렉토리 블록(Directiory Block) : 파일 이름과 아이노드 번호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블럭
[해설작성자 : 미카엘]

8.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디렉토리에 대한 설명 중 알맞은 것은?(2009년 09월)
     1. /sbin : rm, mount 등의 기본 명령어들이 모여 있는 디렉토리이다.
     2. /etc : 외부 장치들을 마운트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디렉토리이다.
     3. /boot : 리눅스 커널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 이다.
     4. /usr : 시스템 계정 사용자들의 정보와 접속을 하는 사용자들을 위한 공간이다.

     정답 : []
     정답률 : 41%

9. X 윈도우 시스템에서 다른 호스트에 윈도우를 띄우기 위해 필요한 X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옵션은?(2003년 01월)
     1. -display
     2. -geometry
     3. -xrm
     4. -bg

     정답 : []
     정답률 : 58%

10. 다음 중 각 쉘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08년 06월)
     1. ‘콘(Korn)쉘’은 ‘C 쉘’ 계열이다.
     2. 리눅스용 ‘배시(Bash) 쉘’의 기본 프로파일은 /etc/shells 이다.
     3. 리눅스에서 set 명령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Shell을 알 수 있다.
     4. 사용하는 Shell을 빠져나가기 위해서 out 명령어를 이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11. 본 쉘(Bourne shell)에서 사용하는 변수의 의미가 바르지 못한 것은?(2003년 06월)
     1. $0 : 프로그램의 이름
     2. $* : 명령 라인의 모든 인자(argument)
     3. $# : 종료 코드
     4. $$ : 현재 프로세스의 ID

     정답 : []
     정답률 : 57%

12. 다음 중 쉘의 종류가 아닌 것은?(2011년 03월)
     1. Bash
     2. Csh
     3. Korn shell
     4. Super shell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bash : 최초로 개발된 쉘
Csh    : C프로그램 스타일의 쉘
Korn Shell : ksh 일반적으로 유닉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

13. 다음 중 장치 파일명의 종류가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2020년 10월)
     1. IDE 디스크
     2. SCSI 디스크
     3. S-ATA 디스크
     4. SSD(Solid State Drive)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dev/hda : IDE
/dev/sda : SCSI/SATA/USB
[해설작성자 : 베리누나]

14. 다음 설명 중 (괄호)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2년 09월)

    

     1. fork
     2. getpid
     3. setpgid
     4. getpgrp

     정답 : []
     정답률 : 53%

15. 다음 중 프로세스의 시간 할당량 종료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인터럽트는 무엇인가?(2009년 03월)
     1. 시스템 호출 인터럽트(System Call Interrupt)
     2. 프로그램 검사 인터럽트(Program Check Interrupt)
     3. 콘솔 인터럽트(Console Interrupt)
     4. 클록 인터럽트(Clock Interrupt)

     정답 : []
     정답률 : 63%

16. TCP/IP 프로토콜 중 IP 주소와 네트워크 하드웨어 주소(MAC Adderss)를 서로 변환시켜주는 기능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은?(2003년 06월)
     1. ARP
     2. ICMP
     3. UDP
     4. IP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ICMP - 인터넷 제어 메세지 프로토콜
UDP -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IP - 인터넷 프로토콜
[해설작성자 : 디헤]

17. 다음 중 네트워크 장비인 허브(Hub)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9월)
     1. LAN이 보유한 대역폭을 PC의 대수만큼 나누어 제공하는 허브를 더미 허브라고 한다.
     2. 케이블이 연결되어 물려 있는 여러 노드간에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해준다.
     3. 네트워크 관리 기능이 추가된 허브를 스태커블 허브라고 부른다.
     4. 해당 데이터의 목적지 노드로만 직접 연결해 주는 허브를 스위칭 허브라고 부른다.

     정답 : []
     정답률 : 31%

18. 다음 중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9월)
     1. ISO, ANSI, ITU-T는 대표적인 프로토콜의 제정 기관이다.
     2. 프로토콜의 기능으로는 흐름제어, 오류제어, 동기화, 캡슐화 등이 있다.
     3. 프로토콜은 구문(Syntax), 의미(Semantics), 순서(Timing)으로 구성되어 있다.
     4. 대표적인 프로토콜인 TCP/IP는 ISO에서 제정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TCP/IP의 시초는 ARPANET이 맞으나
IETF(인터넷 표준화기구)에서 제정하고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합니다.
[해설작성자 : Dongry]

19. 다음 중 고정 IP를 사용하는 리눅스 환경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해야 하는 정보가 아닌 것은?(2007년 05월)
     1. IP 주소
     2. MAC 주소
     3. 기본 게이트웨이
     4. 서브넷 마스크

     정답 : []
     정답률 : 74%

2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관련 기구로 알맞은 것은?(2018년 09월)

    

     1. ISO
     2. EIA
     3. IEEE
     4. ICANN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ISO, EIA, IEEE -> 프로토콜 제정 기관
ICANN -> 인터넷 도메인 관리와 정책을 결정하는 국제기구
[해설작성자 : 니뽕내뽕]

2과목 : 리눅스 시스템 관리


21. 다음 리눅스 사용자 관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9월)
     1. 리눅스에서 모든 파일은 어떤 사용자에 의해 소유 되어야 한다.
     2. 사용자는 사용자 ID라 불리는 고유 식별자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3. 한 사용자는 여러 그룹에 동시에 속할 수 없다.
     4. 파일이나 프로그램에 대한 권한은 UID와 GID를 기반으로 검사된다.

     정답 : []
     정답률 : 60%

22. 다음 중 /etc/passwd 파일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3월)

    

     1. test1 사용자의 UID 는 500 이다.
     2. test2 홈디렉토리는 /data/test2 이다.
     3. test2 사용자의 로그인 쉘은 /bin/ksh 이다.
     4. test2 사용자의 GID 는 500 이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사용자명:패스워드:uid:gid:사용자설명:홈디렉토리:기본쉘
4.test2 사용자의GID는 500이다.
-> GID는 501이다.
[해설작성자 : 손수훈]

23. 리눅스에서 pci 버스와 설치한 pci카드, 그리고 pci 버스를 사용하는 다른 장치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으로 알맞은 것은?(2009년 03월)
     1. make mrproper 명령어를 실행한다.
     2. Ctrl + Alt + F1을 눌러 가상 터미널을 띄운다.
     3. /proc/pci 파일을 열어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4. /XF86Config 파일을 실행하여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5%

24. 커널 컴파일을 위한 커널 설정에 대한 문제이다.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07년 03월)

    

     1. make config
     2. make menuconfig
     3. make xconfig
     4. make transconfig

     정답 : []
     정답률 : 28%

25.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파일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1년 09월)
     1. 디렉토리: 다른 파일을 조직하고 액세스하는데 필요한 정보
     2. 일반파일: 텍스트파일이나 이진파일
     3. 실행파일: 명령어 실행을 위한 파일
     4. 특수파일: 리눅스가 자원을 관리하는 장치

     정답 : []
     정답률 : 43%

26. 현재 사용자 작업 디렉토리가 다음과 같을 때, 부모 디렉토리의 파일 리스트를 출력해 주기 위한 방법 중 알맞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cd /home 명령으로 디렉토리 변경 후 ls
     2. ls ../
     3. ls /home
     4. ls ./

     정답 : []
     정답률 : 50%

27. 다음 중 .kde란 파일을 보기 위해 ls명령어에 반드시 필요한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2005년 09월)
     1. -a
     2. -l
     3. -h
     4. -u

     정답 : []
     정답률 : 43%

28. 다음 각 파일의 특수 목적 접근 모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rwsr-xr-x: s는 SUID로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에는 프로세스가 파일의 소유자와 같은 권한으로 실행된다.
     2. -rwxr-xr-s: s는 OUID로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에는 프로세스가 others와 같은 권한으로 실행된다.
     3. drwxrwxrwt: t는 sticky bit로서 퍼미션에 관계없이 소유자만이 파일을 지울수 있다
     4. -rwxr-sr-x: s는 SGID로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에는 프로세스가 파일의 그룹과 같은 권한으로 실행된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SUID : Set-UID
GUID : Set-GID
OUID는 없음

29. 다음 중 스왑 관련 명령어의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3월)
     1. swapoff : 스왑으로 사용할 파일을 생성한다.
     2. swapon : 스왑을 비활성화 한다.
     3. mkswap : 스왑 파일시스템을 만든다.
     4. dd : 스왑을 활성화 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swapoff : 스왑 생성 안함
swapon : 스왑 생성
dd : 지정한 블록 크기만큼 파일 복사
[해설작성자 : :D]

30. 다음 중 /etc/xinetd.d 디렉터리를 현재 디렉터리에 x로 연결하여 손쉽게 디렉터리를 이동하려고 할 때 설정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20년 06월)
     1. ln x /etc/xinetd.d
     2. ln /etc/xinetd.d x
     3. ln -s x /etc/xinetd.d
     4. ln -s /etc/xinetd.d x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디렉터리를 쉽게 이동하기 위해 심볼릭링크 생성
ln 링크생성
옵션 -s 심볼릭 링크
ln [옵션] 원본파일 대상명
[해설작성자 : Kyunji]

현재 디렉터리에서 /etc/xinetd.d 로 접근 가능한 심볼릭링크 x를 생성한다는 의미입니다.

31. ps -u 명령에 의해 화면에 출력된 필드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2년 08월)
     1. RSS : 실제 메모리 사용량
     2. %MEM : 메모리 사용비율
     3. STAT : 프로세스의 우선 순위
     4. START : 프로세스가 시작한 시간

     정답 : []
     정답률 : 50%

32. 다음 중 조건에 맞는 crontab 설정으로 올바른 것은?(2018년 03월)

    

     1. 0 1 1 3,6,9,12 * /root/bin/backup.sh
     2. * 3,6,9,12 1 1 0 /root/bin/backup.sh
     3. 3,6,9,12 * 1 1 0 /root/bin/backup.sh
     4. 0 1 3,6,9,12 1 * /root/bin/backup.sh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분 시 일 월 요일 순서이며
1번 항목의 경우
0분 1시 1일 3월,6월,9월,12월 모든요일 백업을 수행한다는뜻
[해설작성자 : ks1]

33. 리눅스 파일시스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8년 01월)
     1. 파일 구조는 유형, 파일허가, 링크수, 소유자, 파일크기, 파일명 등으로 구성된다.
     2. 2진 데이터 파일은 파일의 종류 중 특수파일에 해당된다.
     3. 파일 링크를 통해 효율적인 파일 관리를 수행 할 수 있다.
     4. CD-ROM 드라이브도 파일시스템으로 인식한다.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파일 구조는 [유형, 허가권, 링크 수, 소유자, 소유 그룹, 파일 크기, 마지막 변경일, 마지막 변경 시간, 파일/폴더이름] 으로 구성되며, ls -al 명령어를 입력하면 알 수 있다.
2진 데이터파일은 실행파일을 의미하며 특수파일은 아니다.
파일 링크를 통해 파일의 중복을 최대한 방지하여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리눅스에서 모든 장치는 하나의 파일로써 관리 되므로 CD-ROM 드라이브도 파일시스템으로 인식한다.
[해설작성자 : 미나리나물]

34. 다음 중 rpm의 --force 옵션과 동일한 효과를 내는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03월)
     1. --replacepkgs, --noscripts, --percent
     2. --replacepkgs, --replacefiles, --oldpackage
     3. --replacepkgs, --replacefiles, --test
     4. --nodeps, --hash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RPM 설치 명령어와 같이 쓰이는 옵션들

--nodeps : 패키지 설치시 의존성 검사를 하지 않는다.
--force : 설치 도중 발생하는 에러를 무시하고 강제로 설치하는 옵션이다. --replacepkgs, --replacefiles, --oldpackage를 동시에 사용한 것과 같은 효과를 보여준다.
--oldpackage : 새로운 패키지를 지우고 구 버전을 설치할 때 사용한다.
--replacepkgs : 이미 같은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어도 다시 설치할 때 사용한다.
--root <directory> : RPM 패키지를 설치할 때 설정한 디렉토리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치가 된다.
--test : 패키지를 실제로 설치하지 않고 가상으로 설치해 본 뒤 충돌사항이 있는지 점검하고 보고한다.
--noscripts : preinstall, postinstall 스크립트를 실행하지 않는다.
--excludedocs : 문서 파일(man page, info page)를 설치하지 않는다.
-h, --hash : 해시(#) 마크를 사용하여 패키지 설치 진행 상황을 알려준다. -v를 함께 사용하면 조금 더 상세한 정보를 출력한다.
--percent : 패키지 설치 시 %로 완료를 표시한다. 이는 FTP 설치시 유용하다.
[해설작성자 : 보라곰아]

35. 다음 중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프로세스나 현재 중지된 프로세스의 목록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9월)
     1. bg
     2. fg
     3. jobs
     4. pgrep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jobs : 실행한 프로세스에 대하여 확인
fg : 현재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명령어를 포그라운드작업으로 전환
bg :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작업으로 전환
[해설작성자 : 쭝이]

36. rpm 데이터베이스를 다시 만드는 명령은?(2003년 06월)
     1. rpm --rebuild
     2. rpm --rebuilddb
     3. rpm --replace
     4. rpm --replacedb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rpm 데이터베으스 다시 만들려면
rpm --rebuilddb

37. 다음 중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변경과 가장 거리가 먼 명령은?(2020년 06월)
     1. jobs
     2. top
     3. nice
     4. renice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jobs는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는 작업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nice - 우선순위(NI)를 기존에 설정된 값에서 증감시킵니다.
renice - 기존의 NI 값과 상관없이 지정한 NI 값으로 즉시 설정합니다.
top - 사용자에게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포함한 시스템의 상태 정보를 보여줍니다.
[해설작성자 : 반스트]

top에 대한 추가 설명
top -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 모든 프로세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해설작성자 : daiboom]

38. rpm 명령어의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nodeps : 의존성 검사를 하지 않는다.
     2. --test : 실제 설치를 하지 않고 설치가 성공 할 지를 검사한다.
     3. -h : 도움말을 보여준다.
     4. --percent : 설치 상황의 진행률을 보여준다.

     정답 : []
     정답률 : 36%

39.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09월)

    

     1. zxvf
     2. jxvf
     3. Jxvf
     4. Zxvf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x = [extract] 압축을 해제합니다.
v = [verbose] 진행중인 파일을 나열합니다.
f = [file] 보통 압축파일을 지정하는데 사용합니다.
z = [gzip] gzip압축을 해제하는데 사용합니다, gz확장자에 사용합니다.
j = [bzip2] bzip2압축을 해제합니다, bz/bz2확장자에 사용합니다.
J = [xz] xz압축을 해제합니다, xz확장자에 사용합니다.
Z = compress로 압축합니다, 압축이나 해제까지 한번에 할 때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gdn]

40. 다음은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1. Zxvf
     2. zxvf
     3. jxvf
     4. Jxvf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xvf는 tar파일을 풀때 쓰이고
J는 *.tar.xz 형태 파일의 압축을 해제할때 쓰인다.

따라서 Jxvf는 *.tar.xz 파일의 압축을 풀때 쓰인다.
[해설작성자 : 시니]

41. 리눅스에서의 장치 설정 중 플러그 앤 플레이(PnP) 기능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모뎀과 네트워크 카드, 사운드 카드 등의 각종 하드웨어(장치)를 찾아낸 장소를 자동적으로 소프트웨어에 알려준다.
     2. 물리적 장치와 이것을 조작하는 소프트웨어(장치 드라이버)와 일치시킨다.
     3. 운영체제가 물리적 장치를 인식할 수 있게하는 소프트웨어이다.
     4. 장치와 드라이버 사이에 통신 채널을 만든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신고 내용]
이 문제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이 장치와 드라이버 사이에 통신 채널을 만드는 기능도 있지 않나요?
답이 4번이 아닌거 같아요
[해설작성자 : 답 오류?]

42. 특정 모듈을 제거하면서 의존성있는 모듈을 같이 제거하려고 할 때 ( 괄호 ) 안에 들어갈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2020년 10월)

    

     1. -a
     2. -d
     3. -e
     4. -r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제거옵션은 -r(remove)입니다.
참고로 의존성 모듈까지 제거하는지 여부에 따라 modprobe -r 을 사용할지 rmmod 사용할지 나뉩니다.
[해설작성자 : 또림아합격하자]

43. 다음은 e1000이라는 모듈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9년 09월)

    

     1. insmod
     2. rmmod
     3. depmod
     4. modprobe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ㅇ insmod : 커널에 모듈을 적재
ㅇ rmmod : 커널에 적재된 모듈을 제거, 사용중인 모듈은 제거 불가

ㅇ depmod : modules.dep과 맵 파일을 생성하는 프로그램
     # ll /lib/modules/*/modules.dep
     -rw-r--r--. 1 root root 270899 Oct 16 11:31 /lib/modules/3.10.0-1160.76.1.el7.x86_64/modules.dep
    
ㅇ modprobe : 커널에 모듈을 적재 또는 제거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ㅇ lsmod : 현재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모듈들의 목록을 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정추]

44. 다음 중 agent 라는 실행 파일을 foreground로 실행 후 background 실행으로 전환하는 방법에 대해 올바르게 기술한 것은 무엇인가?(2007년 03월)
     1. agent &를 이용하여 실행한다.
     2. agent를 실행한 후 CTRL - D를 이용하여 전환한다.
     3. agent를 실행한 후 CTRL - Z, bg를 입력한다.
     4. agent를 실행한 후 CTRL - C를 이용하여 종료한 후 bg를 입력한다.

     정답 : []
     정답률 : 32%

45. 아래에 설명된 리눅스 커널 모듈(Module) 관련 명령어가 순서대로 알맞게 나열된 것은?(2003년 10월)

    

     1. addmod, lsmod, delmod
     2. insmod, listmod, rmmod
     3. addmod, listmod, delmod
     4. insmod, lsmod, rmmod

     정답 : []
     정답률 : 69%

46. 커널 컴파일 시 make menuconfig 명령의 옵션중 Networking options에서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이 아닌 것은?(2004년 05월)
     1. 라우팅 관련 기능 통제
     2. 패킷 필터링 관련 기능 통제
     3. 소켓 필터링 관련 기능 통제
     4. 네트워크 디바이스 인식

     정답 : []
     정답률 : 40%

47. 리눅스 시스템의 파일 종류 세 가지가 아닌 것은?(2006년 09월)
     1. 정규파일 (Regular File)
     2. 디렉토리 (Directory)
     3. 보안파일 (Security File)
     4. 특수파일 (Special File)

     정답 : []
     정답률 : 54%

48. 다음 중 리눅스 부팅디스켓을 만들기 위해 플로피 디스크를 포맷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11년 09월)
     1. mkfs.ext3 /dev/fd0
     2. fsck.ext3 -f /dev/hdb1
     3. mount -t ext3 /dev/fd0 /mnt
     4. mkbootdisk --device /dev/fd0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포맷'하는 명령어다.
4) mkbootdisk 는 부팅디스켓을 만드는 명령어
[해설작성자 : KTH]

49. 다음 중 /etc/passwd 파일을 2매 출력하고자 할 때 ( 괄호 ) 안에 들어갈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2017년 03월)

    

     1. -d
     2. -n
     3. -P
     4. -t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system V 계열: lp -n 2 /etc/passwd
BSD 계열 : lpr -# 2 /etc/passwd
[해설작성자 : 1트합시다]

50. 다음 중 ihd.txt를 압축하기 위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08년 08월)
     1. gzip ihd.txt
     2. gzip -d ihd.txt
     3. gzip -h ihd.txt
     4. gzip -v ihd.txt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d 해제
-h help
-v 진행상황 자세히
-V 버전정보

51. 다음 로그 파일과 그에 대한 설명이 알맞게 짝지 어진 것은?(2009년 03월)
     1. 시스템 로그(/var/log/messages) - 리눅스 커널 로그 및 주된 로그
     2. 보안 로그(/var/log/secure) - 시스템 부팅 시 로그
     3. 부팅 로그(/var/log/boot.log) - 웹 사이트 방문 기록에 대한 로그
     4. 액세스 로그(/usr/local/apache/logs/access_log) - inetd에 의한 로그

     정답 : []
     정답률 : 67%

52. 다음 중 vi 와 같은 텍스트 편집기로 로그 내용을 살펴볼 수 없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2004년 10월)
     1. /var/log/wtmp
     2. /var/log/xferlog
     3. /var/log/dmesg
     4. /var/log/boot.log

     정답 : []
     정답률 : 14%

53. 다음 중 last 명령과 관련하여 틀린 것은?(2007년 03월)
     1. lastlog 파일의 내용을 보여준다.
     2. 마지막으로 로그인한 사용자 정보를 보여준다.
     3. 일반적으로 /var/log/wtmp 파일에 기록한다.
     4. 잘못된 로그인 시도는 lastb로 확인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18%
     <문제 해설>
/var/log/wtmp 로그를 보여준다.
[해설작성자 : 최금복 ]

54. 다음에서 설명하는 백업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19년 09월)

    

     1. tar
     2. cpio
     3. dump
     4. restore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ㅇ tar :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거나 풀 때 사용하는 명령
ㅇ cpio : cpio(copy in and out) 명령을 사용하여 개별 파일, 파일 그룹 또는 전체 파일 시스템을 복사
                    (*) 증분 백업을 지원하지 않음
ㅇ dump
        파일시스템 자체를 직접 읽어내는 방법을 사용하여 파일들이 아닌 파일시스템 전체를 백업한다.
        일반적으로 파티션 단위로 백업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며, 0-9단계의 레벨을 가지고 증분 백업을 지원하고 있다.
    - /etc/fstab 파일을 참조
    - increment(증분) 백업 지원
    - 파티션 단위 백업에 적합
ㅇ restore : 대화형 모드로 파일 복원
[해설작성자 : 정추]

55. 2일 전 로테이션이 실행되지 않는 시스템에 ihd사용자가 시스템에 로그인하여 시스템 일부를 수정하였다. 다음 중 ihd사용자가 로그인에 성공한 기록을 확인하기 위한 명령으로 틀린 것은?(2019년 03월)
     1. last
     2. last ihd
     3. lastb ihd
     4. lastlog -t 5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틀린것을 고르는 문제임
lastb 명령어는 로그인을 5번이상 실패한 경우를 조회하는 명령    -> 로그파일 btmp를 참조한다.
[해설작성자 : 몰라]

56. ssh가 telnet, rlogin, rcp 등에 비해서 보안성이 우수한 이유는 무엇인가?(2011년 03월)
     1. ssh는 호스트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IP주소를 사용하여 서버에 접속한다.
     2. telnet, rlogin, rcp 등의 패킷은 스니핑을 당해 패킷이 노출될 수 있지만, ssh의 패킷은 스니핑을 당하지 않는다.
     3. ssh는 암호화하여 패킷을 전송한다.
     4. ssh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료서비스에 가입을 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5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보안 도구로 알맞은 것은?(2018년 09월)

    

     1. Nessus
     2. GnuPG
     3. John the Ripper
     4. SELinux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John the Ripper : Unix passwrd crack tool
[해설작성자 : 쭝이]

John the Ripper를 크래킹 도구라고 외우셔서 보안 도구가 아니니까 넘어가셨을텐데
3과의 보안관련 이슈에서 방지도구로도 쓰인다는 것을 배우시게 되실겁니다.
[해설작성자 : 다망다려]

John the Ripper
귀신(Ripper)이 패스워드 대충설정한 놈 찾으러 가서 혼낸다고 생각하면 쉽게 외워짐
[해설작성자 : 5시간 뒤 시험]

58. 다음 중 백업 대상으로 고려할 디렉토리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3월)
     1. /etc
     2. /var
     3. /usr
     4. /proc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etc, /var, /usr, /tar 등
[해설작성자 : 수험생]

59. 다음에서 설명하는 백업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17년 03월)

    

     1. dd
     2. cpio
     3. dump
     4. rsync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dd : 파티션이나 디스크 단위 백업 시 사용. 사용하기는 쉬우나 많은 시간 소요
dump : 파일 시스템 전체를 백업할 때 사용. 증분 백업 지원
rsync : 네트워크로 연결된 원격지 파일들을 동기화하는 유틸리티
[해설작성자 : 자쿠야]

60. dum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6월)
     1. 여러 개의 tape 백업이 가능하다.
     2. 백업이 기존 파일에 내용을 더하면서 수행될 수 없다.
     3.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 등의 소유권에 대한 사항도 복구 가능하다.
     4. 어떤 타입의 파일도 백업, 복구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0%

61. ICMP, UDP, TCP의 데이터 패킷들을 사용해 서버에 많은 양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사이트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자원을 고갈시키는 공격을 무엇이라 하는가?(2006년 09월)
     1. worm 백도어
     2. DoS공격
     3. 트로이 목마
     4. Buffer overflow공격

     정답 : []
     정답률 : 48%

62. 현재 사용되어지는 웹서버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웹서버로 알맞은 것은?(2012년 09월)
     1. Apache
     2. IIS
     3. nginx
     4. GWS

     정답 : []
     정답률 : 72%

63. 여러 IP주소를 사용하여 아파치 웹 서버의 IP 기반 가상 호스팅 설정을 하려고 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5년 09월)
     1. httpd.conf 파일의 NameVirtualHost 항목을 주석 제거 후 설정 변경한다.
     2. 사용하는 랜카드에 부여받은 IP주소를 추가로 설정한다.
     3. 설정하려는 도메인의 수만큼 IP주소를 확보 한다.
     4. 각 IP 주소별로 도메인 설정하여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23%

64.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9월)

    

     1. ./mysqld_safe --user=root &
     2. ./mysqld_safe --initialize --user=root &
     3. ./mysql --initialize --user=root &
     4. ./mysqld --initialize --user=root &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mysqld —initialize : db생성
[해설작성자 : ㅊ황효ㅏㅇ]

65. Apache 웹 서버의 로그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3년 06월)
     1. access_log를 분석하여 접속한 시스템의 IP 주소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2. error_log를 분석하여 웹 서버의 구동 시간 및 종료 시간을 알아낼 수 있다.
     3. error_log를 분석하여 Nimda 바이러스에 감염된 시스템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4. agent_log는 Apache 설치 시 기본적으로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11%

66. 다음 중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1. (ㄱ) ypbind - (ㄴ) ypserv
     2. (ㄱ) ypbind - (ㄴ) ypxfrd
     3. (ㄱ) ypserv - (ㄴ) yppasswd
     4. (ㄱ) ypserv - (ㄴ) ypbind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NIS 서버에서 구동 : ypserv
NISA 클라이언트에서 구동 : ypbind (NIS/YP 클라이언트에서 실행되는 데몬으로 NIS 도메인을 바인드함)
[해설작성자 : 나나]

67. 다음 중 LDA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10월)
     1. X.500 Directory Access Protocol 기반으로 만들어진 통신 규약이다.
     2. RDBMS에 비교해서 검색 속도가 빠르다.
     3. 자주 변경되는 정보인 경우에 RDBMS보다 더욱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
     4. 읽기 위주의 검색 서비스에서 상당히 좋은 성능을 발휘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ㅇ 시험에 잘 나오는 LDAP의 특징
1. 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사용자, 시스템, 네트워크 서비스 정보 등의 디렉터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2. 다렉터리는 논리, 계급 등을 기준으로 조직화 되어 있다.
3. 일반적으로 RDBMS에 비해 검색 속도가 빨라서 읽기 위주의 서비스에 좋은 성능을 발휘한다.
     (*) "자주 변경되는 정보인 경우에"는 해당 안됨    
4. 이름, 주소와 같이 하나 이상의 속성을 가진 객체로 구성된다.
5. X.500 Directory Access Protocol 기반으로 만들어진 통신 규약이다.
6. 읽기 위주의 검색 서비스에서 상당히 좋은 성능을 발휘한다.
[해설작성자 : 정추]

68. 다음 samba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8년 01월)
     1. 기본적으로 삼바 서버를 서비스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전체 설정과 공유 정의로 나눌 수 있다.
     2. 환경 설정시 “#”는 주석을 가리킨다.
     3. 삼바 서버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삼바 데몬을 띄워야 한다.
     4. 환경 설정시 “;”는 문장의 끝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32%

69. SSL(Secure Socket Layer)을 이용하여 보안 가상 호스트를 정의하기 위한 지시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9월)
     1. SSLEngine on은 SSL을 부팅하는 modSSL 명령이다.
     2. SSLCertificateFile은 인증서 위치와 이름을 아파치에게 알려준다.
     3. SSLCACertificateFile은 Intermediate 인증서 위치를 알려주는 것으로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다.
     4. SSLCertificateKeyFile은 단지 루트에게만 읽기/쓰기 허가권이 주어져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SSLCACertificateFile 인증서의 종류에 따라 필요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해설작성자 : KTH]

70. 다음 중 삼바(Samba)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3월)
     1. SMB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CIFS로 표준화가 이루어진 상태이다.
     2. 윈도우 클라이언트와 리눅스 및 유닉스 서버와의 파일 및 프린터를 공유해준다.
     3. TCP/IP 프로토콜상에서 NetBIOS 프로토콜은 필요하지 않는다.
     4. 마이크로소프트의 LAN 매니저를 지원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삼바는 SMB를 이용하여 리눅스를 비롯한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와 윈도우 운영체제간의
자료 및 하드웨어를 공유할수 있도록 해준다.
현재 SMB 프로토콜은 유닉스와 윈도 환경을 동시에 지원하는 CIFS로 확장 되었다.
TCP/IP를 사용하며 NetBIOS 프로토콜을 지원, LanManager, 기능도 제공한다.
[해설작성자 : 빈빈]

71. SSL을 사용하기 위해 httpd.conf 파일의 보안 가상 호스트 관련 속성을 넣고자 할 때, 들어가야 할 속성과 그 내용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2004년 10월)
     1. SSLEngine : SSL을 구동하는 ModSSL 명령
     2. SSLCertificateFile : 인증서 위치와 그 이름을 아파치에게 알려준다.
     3. SSLCertificateKeyFile : 비밀키 이름과 그 위치를 아파치에게 알려주며, 이 곳에서 정의된 디렉토리는 루트와 해당 사용자에게 읽기/쓰기 허가권을 주어 비밀키 역할을 한다.
     4. SSLCACertificateFile : Intermediate(root) 인증서 위치를 아파치에 알려 준다.

     정답 : []
     정답률 : 41%

72. NF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9월)
     1. 분산 파일 공유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2. NFS는 FTP 기반의 파일 공유 서비스이다.
     3. NFS 서버-클라이언트 통신방법으로 RPC를 사용한다.
     4. NFS 파일 공유를 통한 디스크 공간 절약을 가져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9%

73. 스팸메일(SpamMail)로부터 센드메일(SendMail)을 보호하기 위한 /etc/mail/access 파일의 메일 릴레이 기능에 대한 설정 중 행동 양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Relay - 지정된도메인에서들어오는메일의중계허용
     2. Reject - 지정된 도메인에서 들어오는 메일을 거부 메시지 없이 폐기
     3. 501 - 지정된 메일 주소와 일치하는 메일 수신 거부
     4. 550 - 지정된 도메인과 관련된 모든 메일 수신 거부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REJECT : 메일을 거절하고 거부 메시지 보냄
DISCARD 메일을 거부 메시지 없이 무조건 거절
[해설작성자 : 자쿠야]

74. NFS 서버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옵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1년 09월)
     1. retrans : 재전송 시간을 지정
     2. wsize : 서버에 기록할 때 사용하는 바이트 수 지정
     3. hard : 타임아웃이 발생하면 메시지를 표시하고 계속 재시도
     4. soft : 타임아웃이 발생하면 I/O 에러 표시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retrans : 재전송 횟수
[해설작성자 : 김영대]

75. ProFTPD 서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서버 타입은 Standalone과 inetd로 선택할 수 있다.
     2. 환경설정파일은 proftpd.conf로 통합되어 있다.
     3. 일부 사용자의 ftp 접속을 제한할 수 있다.
     4. wu-ftp에 비해 보안상 취약하다.

     정답 : []
     정답률 : 57%

76. Samba 서버 구동시에 실행되는 nmbd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2005년 03월)
     1. 클라이언트들에게 NetBIOS를 준비하는 NetBIOS 네임서버 데몬이다.
     2. NetBIOS는 원거리 컴퓨터 간에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해 주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3. WINS(Windows Internet Name Service) 서버의 기능도 한다.
     4. 이 프로그램은 samba suite중의 일부이며 실행시 UDP 137번 포트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34%

77. 다음은 ProFTPD 서버의 설정 파일인 proftpd.conf 파일의 일부이다. 다음의 설정과 관련된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08년 06월)

    

     1. 192.168.4.5에서 접속하는 익명사용자는 하위의 incomming에 파일업로드가 가능하다.
     2. 192.168.2.5에서 접속하는 익명사용자는 홈디렉토리에 파일 업로드를 할 수 없다.
     3. 192.168.3.63에서 접속하는 익명사용자는 incomming에 파일업로드가 불가능하다.
     4. 접속한 IP주소에 상관없이 접속한 익명사용자는 홈디렉토리에 파일업로드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30%

78. Sendmail설정파일(sendmail.cf)의 일부이다. 다음설명 중 알맞은 것은?(2010년 03월)

    

     1. localhost로 들어오는 메일은 수신을 거부한다.
     2. /etc/mail/users파일에 등록된 사용자만 메일을 수신 할 수 있다.
     3. Sendmail은 nobody권한으로 실행된다.
     4. Sendmail이 에러 메시지를 보낼 때 사용하는 사용자 이름은 ihd이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Cwlocalhost
localhost를 w클래스로 정의 한겁니다.
localhost 로 들어오느 메일 정의

Fw/etc/mail/local-host-names
Cwlocalhost와 같이 w클래스를 정의하는데 문자열 대신 파일을 정의합니다.
/etc/mail/local-host-names 를 사용

Dn : MAILER-DAEMON
sendmail이 return 메일(에러 메일)을 보낼 때 사용하는 사용자 이름을 정의한다.
[해설작성자 : 강선균]

79.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0년 09월)

    

     1. alias
     2. pop3
     3. sendmail
     4. relay

     정답 : []
     정답률 : 30%

8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센드메일 관련 명령어는?(2004년 05월)

    

     1. build
     2. sendmail -bi
     3. m4
     4. makemap

     정답 : []
     정답률 : 40%

81. 센드메일의 newaliases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4년 05월)
     1. Mail Alias 파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재생성하는 명령어이다.
     2. newaliases 명령어가 참조하는 파일은 /etc/aliases 이다.
     3. newaliases 대신 'sendmail -bi' 명령을 사용할 수도 있다.
     4. 이 명령의 실행 결과로 생성되는 파일은 /etc/mail/virtusertable.db 이다.

     정답 : []
     정답률 : 36%

82. 다음 중 /etc/named.conf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3년 03월)
     1. C 언어에서 사용되는 /* ~ */ 형식의 주석을 사용할 수 있다.
     2. C++ 언어에서 사용되는 // 형식의 주석을 사용할 수 있다.
     3.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 형식의 주석을 사용할 수 있다.
     4. 유닉스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 형식의 주석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 /etc/named.conf : DNS 서버의 전반적인 환경설정을 담당하는 파일, 서버에서 사용하는 zone을 지정한다.
        - 파일의 구성은 크게 주석문과 구문으로 구성되어있다.
        - 주석은 C에서 사용하는 /* */ , C++에서 사용하는 //, 유닉스 계열에서 사용하는 #등 모두 사용가능
        - 각 구문은 중괄호{} 로 둘러싸고, 끝날때는 세미콜론 ;을 사용한다.
        - include 지시자를 선언하여 별도의 파일에 추가정의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클클호ㅓ이팅]

83.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파일명으로 알맞은 것은?(2020년 06월)

    

     1. /etc/hosts
     2. /etc/yp.conf
     3. /etc/ypbind.conf
     4. /etc/sysconfig/network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etc/sysconfig/network
: 네트워크 관련 항목들을 설정하는 파일
- NIS 도메인 이름을 부팅 시에도 적용하기 위해 이 파일에 도메인을 등록
- NISDOMATIN = [도메인 이름] 을 추가 해주면 된다.
[해설작성자 : 또림아합격하자]

ㅇ 1. /etc/hosts
        용도 :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에 매핑하는 로컬 정적 테이블
        형식 : <IP_address> <host_name>
                     127.0.0.1     localhost
ㅇ 2. /etc/yp.conf : NIS 클라이언트에서 NIS 서버 및 도메인명을 지정
    domain OOPS-NIS
    server nis1.domain.com
    server nis2.domain.com
ㅇ 3. /etc/ypbind.conf : ypbind는 명령이 이며 설정파일은 yp.conf 임
[해설작성자 : 정추]

84. DNS로 운영 중인 현재 시스템 이외에는 네임 서버에 대한 질의를 허가하지 않으려고 한다.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6년 03월)

    

     1. only;
     2. forward only;
     3. forwards;
     4. localhost;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allow-query 안에 들어가는 내용은 3가지 : any , localhost, allow_user 임.
allow_user은 named.conf 맨 위에 정의 acl"allow_user" {@@@.@@@.@@@.@@@; xxx.xxx.xxx.xxx;};
[해설작성자 : 보라매SO 탑클라스]

85. Sendmail에서 사용하는 sendmail.cf의 작성 규칙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2003년 01월)
     1. 줄 단위로 작성한다.
     2. #으로 시작하는 줄은 주석으로 처리하여 무시한다.
     3. 줄의 시작은 공백이나 탭으로 시작할 수 없다.
     4. config에 사용하는 명령에는 C, D, F, H, P, R, S, V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48%

86. 다음 중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의 특징에 대한 설명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TCP/IP의 상위층 응용프로토콜의 하나이다.
     2. 인터넷에서 전자 우편 기능을 사용하는 프로토콜로 사용된다.
     3. RFC 822에 규정되어 있다.
     4. 최근에는 그림과 소리를 메일 메시지에 포함 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9%

87. /etc/mail/access 파일을 이용하여 스팸메일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장 적절하지 못한 것은?(2003년 06월)
     1. 특정 IP 주소로부터 발신된 메일 수신을 차단한다.
     2. 특정 URL로부터 발신된 메일 수신을 차단한다.
     3. 특정 이메일 주소로부터 발신된 메일 수신을 차단한다.
     4. 특정 문자열이 제목에 포함되어 있는 메일 수신을 차단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88. 다음에서 설명하는 인터넷서비스로 알맞은 것은?(2012년 09월)

    

     1. TCP/IP 프로토콜
     2. DNS
     3. WWW
     4. IP address

     정답 : []
     정답률 : 68%

89. xinetd에서 관리하는 telnet 서비스 설정의 일부이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9월)

    

     1. 호스트 203.237.190.3은 주어진 시간 동안 텔넷을 이용할 수 있다.
     2. 텔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최대 연결 수는 10이다.
     3. 한 호스트당 접속할 수 있는 연결 수는 2이다.
     4. 호스트 203.237.190.5는 09:00∼16:00 이외의 시간 동안 텔넷을 이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90.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란 인터넷상의 모든 호스트에 각자의 이름을 부여해 사람들이이해하기 쉽게 해주는 것이다. 다음은 DNS 서버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알맞지 않은 것은?(2004년 10월)
     1. Primary 서버
     2. Secondary 서버
     3. Caching-only 서버
     4. DMS (Domain Management System) 서버

     정답 : []
     정답률 : 59%

91. DNS 서비스의 zone 파일 영역의 세부항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3월)

    

     1. Serial : zone 파일의 작성된 시간을 표시하는 정보영역 데이터의 번호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조 DNS와 정보업데이트를 결정할 때 확인 하는 값이다.
     2. Refresh : 주DNS와 보조 DNS간에 정보 동기화를 위해 3시간(10800초)에 한번씩 요청한다.
     3. Retry : 보조 네임서버가 얼마간격으로 주 네임서버와 다시 접속할지를 설정하는 값으로 4시간(14400초)으로 설정되어 있다.
     4. Expire : 주 네임서버가 기존 정보를 파기하는 시간으로 1주(604800초)로 설정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Serial :    2차 네임서버가 1차 네임서버(현재서버) zone파일의 수정여부를 파악할수 있도록 최종 수정일을 기입하는 곳입니다.
                    이 날짜를 기준으로 2차 네임서버는 네임서버정보를 백업받을것d인지 판단합니다.    
Refresh :    1차 네임서버측의 zone 파일 DB의 수정여부를 2차 네임서버가 체크하는 주기입니다.
                     운영되는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가 많아(예를 들면 유동 IP를 이용하여 서버를 구축한 사용자) 잦은 수정이 필요하다면
                     3H(시간기준) 혹은 10800(초단위기준) 정도로 하면 될듯 합니다 ^^;
Retry : 2차 네임서버가 백업이나 체크를 위해 1차 네임서버에 접속을 시도하다 연결이 실패하였을 경우 재시도를 하는 주기입니다.
Expire : 1차네임서버가 어떠한 연유로 죽었을경우 2차 네임서버는 1차네임서버를 대신하여 활동을 지속하면서        
                 여기서 지정한 시간동안 1차 네임서버와의 교신에 성공하지 못했을경우 마지막으로 백업받은 도메인 매칭 정보가 더이상
                 쓸모없다고 판단을 내려 더이상 사용자들의 도메인 매칭 정보 요청에 대한 답변을 하지 않게됩니다.
Minimum : 타 네임서버 즉 다른 기관이나 서버가 운용하는 네임서버가 우리가 구축한 네임서버의 정보를 가져갔다고 했을때
                    그 자료에 대한 유효시간을 설정하는 곳입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이]

92. 다음 중 Proxy 서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2002년 05월)
     1. proxy 서버는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서핑할 때 느린 속도를 보완해주기 위한 방법이다.
     2. proxy 서버는 캐시 서버를 만들어 이미 방문한 웹사이트는 캐시에 미리 저장한 후 재접속 시 캐시 서버에 저장된 내용을 보여준다.
     3. Proxy 서버는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한 채 수행되므로 서버에 대한 IP를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4. 사용자가 캐시에 없는 내용을 요청할 경우에는 사용자 대신 자신의 IP를 이용해 외부의 인터넷에 있는 서버에 페이지를 요청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93. DHCP 클라이언트는 DHCP 서버에 요청을 하여 IP, 게이트웨이 정보, DNS 정보 등을 받아오는 역할을 한다. MAC 주소가 00:10:4B:D6:49:22이고, 요청하는 IP를 192.168.5.5로 요청한다고 하고, leasetime은 60초 그리고 호스트 이름을 ihd, 타임 아웃은 30초라고 설정했을 때 다음 ( )안에 알맞은 옵션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순서대로 (ㄱ) (ㄴ) (ㄷ) (ㄹ) (ㅁ))(2007년 05월)

    

     1. -I -s -l -t -h
     2. -i -r -l -t -h
     3. -i -s -l -o -h
     4. -I -r -l -o -h

     정답 : []
     정답률 : 23%

94. 소스코드의 백업 및 형상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CVS 서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여러 파일의 버전을 관리해 주는 도구이다.
     2. CVS를 이용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경우 코드의 버그를 자동으로 보여준다.
     3. 공동 프로젝트에서 효율적으로 버전 관리를 함으로써 파일의 중복이나 변경에 의한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4. 현재 GNU 그룹과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많이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95. 다음 중 네트워크 인증 구성 요소(network authentication scheme)로 틀린 것은?(2012년 03월)
     1. NIS
     2. LDAP
     3. PAM
     4. autofs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Autofs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서 공유한 자원을 사용 하려고 할때 mount란 명령을 사용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mount하는 방법. 접속시 해당 file system이 자동으로 mount되고 일정 시간동안 미사용시 umount된다.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CD-ROM, 플로피 등을 마운트 하는데 사용된다. Autofs는 클라이언트에서만 설정하면된다.
[해설작성자 : ㄱㅇㄷ]

96. iptables 명령의 '-j LOG' 옵션을 통해서 특정 호스트에 대한 로그를 기록하도록 정책을 설정 하였다. 다음 중 관련 로그가 기록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2019년 03월)
     1. /var/log/btmp
     2. /var/log/secure
     3. /var/log/iptables
     4. /var/log/messages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ㅇ /var/log/messages
        주로 접속 시 인증에 관한 것과 메일에 관한 내용, 시스템에 관한 변경사항 등
        시스템에 관한 전반적인 로그를 담고있는 파일
ㅇ /var/log/btmp : 실패한 로그인 정보를 담고있는 파일
ㅇ /var/log/secure : 보안 인증 관련 로그
     - 모든 접속과 관련하여 언제 어디서 어떤 서비스를 사용했는지 기록 한다.
     - timestamp, 호스트명, 응용프로그램명[pid], 메시지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 보통 login, tcp_wrappers, xinetd 관련 로그들이 남는다.
         #    tail -f /var/log/secure
                Feb 10 23:40:08 localhost sshd[14684]: pam_unix(sshd:session): session opened for user wisenut by (uid=0)
                Feb 10 23:40:30 localhost sshd[14806]: Accepted password for wisenut from 192.168.145.1 port 55108 ssh2
                Feb 10 23:40:30 localhost sshd[14806]: pam_unix(sshd:session): session opened for user wisenut by (uid=0)
[해설작성자 : 정추]

97. 다음의 C언어로 작성된 소스코드는 내부공격 방법 중의 하나이다. 어떤 공격을 하는 코드인가?(2010년 03월)

    

     1. 디스크 채우기
     2. 프로세스 대량 만들기
     3. 메모리 고갈
     4. 모든 프로세스 죽이기

     정답 : []
     정답률 : 58%

98. 다음 중 NIS 관련 명령어가 아닌 것은?(2006년 09월)
     1. ypwhich
     2. ypmatch
     3. yppoll
     4. ypmount

     정답 : []
     정답률 : 34%

99. 커널 수준에서 패킷필터기능을 가지고 있는 iptables 에서 아래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설정으로 알맞은 것은?(2008년 08월)

    

     1. iptables -t filter -A INPUT -s 10.10.0.10 -j DROP
     2. iptables -t filter -A INPUT -d 10.10.0.10 -j DROP
     3. iptables -t filter -A INPUT -s 10.10.0.10 --destination-port 80 -j DROP
     4. iptables -t filter -A INPUT -d 10.10.0.10 --destination-port 80 -j DROP

     정답 : []
     정답률 : 25%

100. 리눅스에서 패킷 필터링을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Iptable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3년 06월)
     1. 특정 IP 주소에 대한 접근을 거부할 수 있다.
     2. 특정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거부할 수 있다.
     3. 모든 체인의 기본 정책은 INPUT으로 해야 하며, 접근 거부하고자 하는 것만 DENY 혹은 DROP으로 설정한다.
     4. 체인 정책을 이용하여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를 설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2%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5596534)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리눅스마스터, 1급, 리눅스, 마스터,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29 9급 국가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7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6
928 전파통신기능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4월04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7 6
927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5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6
926 도자기공예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10월06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7 6
»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5596534) 좋은아빠되기 2025.11.07 8
924 용접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8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6
923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4월04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7 6
922 전산회계운용사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3011944) 좋은아빠되기 2025.11.07 6
921 무선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4851380) 좋은아빠되기 2025.11.07 4
920 인간공학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7
919 9급 지방직 공무원 화학공학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6
918 실내건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1월24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7 6
917 계리직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7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6
916 RFID-GL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5월3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6
915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5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7
914 사회복지사 1급(3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2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6
913 <h2>전기기능사 필기 시험문제 및 CBT 2009년07월12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7 8
912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3월0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7
911 농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10월01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7 6
910 위험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5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4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76 Next
/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