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8일)(937500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임의 구분


1. 평균제곱근오차(표준편차)σ, 확률오차 r 이라 할 때 σ와 r 사이의 관계식은?(2008년 07월)
     1. r=±0.6745σ
     2. r=±0.674/σ
     3. r=±0.5σ
     4. r=±σ/0.5

     정답 : []
     정답률 : 57%

2. A점과 B점의 거리를 왕복 측량한 결과 88.53m 와 88.59m를 얻었다면, 정밀도는?(2007년 01월)
     1. 1/1478
     2. 1/3326
     3. 1/2952
     4. 1/8856

     정답 : []
     정답률 : 38%

3. 다음 평판 측량 방법 중에서 복전진법에 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2004년 02월)
     1. 모든 측점에 차례대로 평판을 세운다.
     2. 복도선법이라고도 한다.
     3. 한 점에서 많은 측점을 시준할 수 없을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4. 시가지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정답 : []
     정답률 : 50%

4. 수준측량에 관한 용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10월)
     1. 연직선이란 지표면의 어느 점으로부터 지구 중심에 이르는 선이다.
     2. 지평선이란 연직선에 직교하는 직선이다.
     3. 기준면은 일반적으로 여러 해 동안 관측한 평균 해수면을 사용한다.
     4. 기준면에서부터 어떤 점까지의 수평거리를 표고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5. 지반고가 50.000m 인 A점이 B.M인 고차식 야장 기입에서 후시의 합이 5.789m, 전시의 합이 3.716m 일 때 B점의 지반고는?(2007년 01월)
     1. 47.927m
     2. 52.073m
     3. 55.789m
     4. 58.175m

     정답 : []
     정답률 : 76%

6. 토털스테이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10월)
     1. 인공위성을 이용하므로 정확하다.
     2.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3. 레코드 모듈 (record module)에 성과값을 저장, 기록할 수 있다.
     4. 컴퓨터와 카드 리더(care reader)를 이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4%

7. 2점 사이의 연직각과 수평거리 또는 경사거리를 측정하여 삼각법에 의하여 고저차를 구하는 측량방법은?(2002년 04월)
     1. 삼각 수준측량
     2. 스타디아 측량
     3. 기압 수준측량
     4. 항공사진 측량

     정답 : []
     정답률 : 64%

8. 삼각망의 제2조정각 54°56′15″에 대한 표차 값은?(2008년 02월)
     1. 11.54
     2. 12.81
     3. 13.45
     4. 14.77

     정답 : []
     정답률 : 27%

9. 삼각망의 조정 계산에 필요한 3가지 조건이 아닌 것은?(2011년 10월)
     1. 측점 조건
     2. 지형 조건
     3. 각 조건
     4. 변 조건

     정답 : []
     정답률 : 76%

10. 종단 및 횡단수준측량에서 중간점(I.P)이 많은 경우 편리한 방법은?(2005년 10월)
     1. 기고식
     2. 고차식
     3. 승강식
     4. 교호수준식

     정답 : []
     정답률 : 73%

11. 수준측량에 대한 관측자의 주의 사항 중 틀린 것은?(2011년 07월)
     1. 측정할 때에는 항상 기포가 중앙에 오도록 한다.
     2. 표척과 기계와의 거리는 60m 내외를 표준으로 한다.
     3. 표척의 눈금은 이기점에서는 1mm까지 읽는다.
     4. 수준측량은 반드시 편도 측량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12. 표준자보다 2.5cm 긴 50m 줄자로 거리를 잰 결과가 205m 이었다면 실제거리는 몇 m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2년 02월)
     1. 204.898m
     2. 204.975m
     3. 205.000m
     4. 205.103m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오차 계산
50000 / 25 = 1.0005

실제거리
205000 / 1.0005 = 204.898

정답은 1번
[해설작성자 : 송감귤]

13. 트랜싯으로 수평각을 측정할 때 시준축 오차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2003년 01월)
     1. 배각법으로 측정하여 평균을 취한다.
     2. 시계와 반시계방향으로 측정하여 평균을 취한다.
     3. 양쪽 버어니어에서 읽은 값의 평균을 취한다.
     4. 망원경의 정.반위 위치에서 측정하여 평균을 취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14. 인공 위성을 이용한 위치 측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좌표계는?(2003년 03월)
     1. 평면 직각 좌표계
     2. 3차원 직각 좌표계
     3. TM투영법
     4. UTM좌표계

     정답 : []
     정답률 : 64%

15. 각 관측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조합각 관측법은 관측할 여러 개의 방향선 사이의 각을 차례로 방향각법으로 관측하여 최소제곱법에 의하여 각각의 최확값을 구한다.
     2. 단측법은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지 않을 경우에 사용하며 정ㆍ반위 관측하여 평균을 한다.
     3. 배각법은 반복 관측으로 한 측점에서 한 개의 각을 높은 정밀도로 측정할 때 사용한다.
     4. 방향각법은 수평각 관측법 중 가장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1등 삼각측량에서 주로 이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4번의 해설은 조합각 관측법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광주공고 합격왕]

16. 트래버스 측량에서 다음 결과를 얻었을 때 측선 EA의 거리는? (단, 폐합이며 오차는 없음)(2011년 10월)

    

     1. 134.6m
     2. 143.6m
     3. 154.4m
     4. 153.5m

     정답 : []
     정답률 : 45%

17. 『삼각망 중의 임의의 한 변의 길이는 계산해 가는 순서와는 관계없이 같은 값을 갖는다.』는 것은 삼각망의 기하학적 조건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2007년 01월)
     1. 변조건
     2. 측점조건
     3. 각조건
     4. 다항조건

     정답 : []
     정답률 : 72%

18. 측선의 방위가 S 60°, W 일 때 이 측선의 방위각은?(2005년 10월)
     1. 60°
     2. 120°
     3. 180°
     4. 240°

     정답 : []
     정답률 : 48%

19. 수준측량시 한 측점에서 동시에 전시와 후시를 모두 취하는 점을 무엇이라 하는가?(2005년 01월)
     1. 전시점
     2. 후시점
     3. 중간점
     4. 이기점

     정답 : []
     정답률 : 69%

20. 평판측량의 교회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2월)
     1. 측량구역 내에서 적당한 기준점을 두 점 이상 취한다.
     2. 기지점으로부터 미지점을 시준하여 방향선을 교차시켜 도면상에서 미지점의 위치를 결정한다.
     3. 미지점까지의 거리측정이 필요하고, 평판설치 횟수가 많아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4. 복잡한 지형에서는 도상에 많은 방향선을 긋게 되므로 부적당하다.

     정답 : []
     정답률 : 43%

2과목 : 임의 구분


21. 목표물과 +자 교선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때 생기는 오차는?(2004년 02월)
     1. 수평축 오차
     2. 시준 오차
     3. 구심 오차
     4. 연직축 오차

     정답 : []
     정답률 : 47%

22. 트랜싯의 수평각 측정방법 중 아래 그림과 같이 측정하는 방법은?(2005년 07월)

    

     1. 방향각법
     2. 방위각법
     3. 배각법
     4. 단각법

     정답 : []
     정답률 : 80%

23. 교호 수준측량 결과가 각각 A점에서 a1=0.95m, a2=1.60m, B점에서 b1=0.34m, b2=1.25m 일 때 B점의 표고는? (단, A점의 표고는 60.00m 임)(2004년 07월)
     1. 46.24m
     2. 58.44m
     3. 60.48m
     4. 62.84m

     정답 : []
     정답률 : 45%

24. 수준측량에서 왕복측량의 제한을 2㎞ 거리에 대하여 1.6㎝로 할 때 8㎞ 거리를 왕복할 경우 오차는 얼마까지 허용하는가?(2006년 10월)
     1. 16㎜
     2. 32㎜
     3. 48㎜
     4. 64㎜

     정답 : []
     정답률 : 41%

25. 수평각의 관측방법에서 1대회 관측이란?(2005년 07월)
     1. 망원경의 정위로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2. 망원경의 반위로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3. 망원경의 정위와 반위로 한번씩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4. 망원경의 정위와 반위로 2회 반복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26. 전자파 거리 측정기 등을 이용한 높은 정확도로 중ㆍ장거리를 정확히 관측하여 삼각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측량방법은?(2013년 01월)
     1. 삼각측량
     2. 삼변측량
     3. 삼각수준측량
     4. 수준측량

     정답 : []
     정답률 : 46%

27. A점에 평판을 세우고 B점에 세운 2m의 표척을 앨리데이드로 시준하니 상시준선의 눈금이 6.5, 하시준선의 눈금이 4.0 이었다. 이 때 A, B간의 거리는?(2002년 07월)
     1. 40m
     2. 80m
     3. 120m
     4. 160m

     정답 : []
     정답률 : 43%

28. 수준측량에서 표고라 함은 일반적으로 어느 면으로 부터의 연직거리를 말하는가?(2002년 01월)
     1. 기준면
     2. 수평면
     3. 지평면
     4. 해면

     정답 : []
     정답률 : 45%

29. 삼각점의 선점에 관한 설명 중에서 틀린 것은?(2004년 07월)
     1. 삼각점의 선점은 측량의 목적, 정확도 등을 고려하여 실시한다.
     2. 삼각점은 오래 보존하는 일이 많고 정확한 관측을 필요로 하므로 지반이 견고하여야 하고 침하 및 동결 지반은 피한다.
     3. 삼각형 내각의 크기는 30~120° 가 되게 한다.
     4. 삼각형은 가능한 직각삼각형에 가깝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30. 거리 1km에서 각도 오차가 1분이라면 위치오차는?(2012년 02월)
     1. 0.1m
     2. 0.2m
     3. 0.3m
     4. 0.4m

     정답 : []
     정답률 : 36%

31. 레벨측량시 취급상의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2년 04월)
     1. 표척을 세울 장소는 지반이 견고한 장소를 선택한다.
     2. 수준측량은 반드시 왕복측량을 원칙으로 한다.
     3. 레벨을 상자에 보관할 때에는 고정나사를 느슨하게 한다.
     4. 표척이 전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의 읽음값은 최대값을 취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32. 완화곡선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7년 07월)
     1. 3차 포물선
     2. 클로소이드 곡선
     3. 2차 포물선
     4. 렘니스케이트 곡선

     정답 : []
     정답률 : 75%

33. 사진측량에서 평판한 지면으로부터 표고차가 있는 물체는 중심 투영인 사진의 특성 때문에, 연직으로 촬영하여도 사진면 상에는 사진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방사성의 변위가 생기게 되는데 이를 무슨 변위라 하는가?(2007년 09월)
     1. 기복 변위
     2. 표고 변위
     3. 연직 변위
     4. 수정 변위

     정답 : []
     정답률 : 41%

34. 삼각 측량의 작업순서로 옳은 것은?(2016년 01월)
     1. 조표-선점-각 관측-계산-성과표작성-기선측량-삼각망도 작성
     2. 선점-조표-기선측량-각 관측-계산-성과표작성-삼각망도 작성
     3. 선점-조표-각 관측-계산-기선측량-성과표 작성-삼각망도 작성
     4. 조표-선점-기선측량-각 관측-성과표작성-계산-삼각망도 작성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삼각측량의 작업순서
계획 및 준비 - 답사 - 선점 - 조표 - 관측 - 계산 - 정리
[해설작성자 : 아싸루비아]

35. 수준측량에서 거리 7km에 대하여 왕복 오차의 제한이 ±25mm일 때 거리 2km에 대한 왕복 오차의 제한 값은?(2015년 10월)
     1. ±7mm
     2. ±13mm
     3. ±15mm
     4. ±17mm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7km를 왕복하면 7km*2=14km, 2km를 왕복하면 2km*2=4km
오차는 노선 거리의 제곱근에 비례하기 때문에
√14 : ±25 = √4 : x
x = √4/√14*25 = ±13mm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사람]

36. 노선을 선정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2012년 02월)
     1. 노선은 될 수 있는 대로 직선으로 한다.
     2. 배수가 잘 되는 곳이어야 한다.
     3. 절토 및 성토의 운반거리가 길어야 한다.
     4. 토공량이 적고, 절토와 성토가 균형을 이루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37. A, B두점의 표고가 각각 34.6m, 69.0m, AB 사이의 거리 D=120m일 때 AB사이를 10m간격으로 등고선을 넣을 때 40m 등고선이 지나는 점까지의 거리는 A에서부터 얼마 거리에 있는가?(2003년 01월)
     1. 10.2m
     2. 15.6m
     3. 18.8m
     4. 21.3m

     정답 : []
     정답률 : 44%

38. 사진측량에서 촬영한 수직 사진은 일반적으로 광축이 연직선과 몇 도 이내의 경사로서 촬영된 사진인가?(2004년 07월)
     1. ± 1°
     2. ± 3°
     3. ± 5°
     4. ± 7°

     정답 : []
     정답률 : 49%

39. 철도, 도로, 수로, 등과 같이 긴 노선의 성토량, 절토량을 계산할 경우에 주로 이용되는 체적 계산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7년 07월)
     1. 단면법
     2. 점고법
     3. 지거법
     4. 횡거법

     정답 : []
     정답률 : 26%

40. 다음 그림과 같은 사변형의 면적은?(2003년 03월)

    

     1. 914.98m2
     2. 826.15m2
     3. 634.38m2
     4. 371.35m2

     정답 : []
     정답률 : 36%

41. 윗면적=11m2, 아래면적=29m2, 높이=8m인 4각 뿔대의 토량을 양 단면 평균법으로 구한 값은?(2015년 07월)
     1. 80m3
     2. 120m3
     3. 160m3
     4. 600m3

     정답 : []
     정답률 : 50%

42. 단곡선 설치에서 편각계산을 할 때 사용하는 1718.87(분) 값은?(2002년 01월)
     1. 360°/π
     2. 180°/π
     3. 90°/π
     4. 45°/π

     정답 : []
     정답률 : 36%

43. GIS 구축과정에서 복잡한 현실세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자료를 추상화하여 단순하게 하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07년 09월)
     1. 자료관리
     2. 변환
     3. 분석
     4. 모델링

     정답 : []
     정답률 : 53%

44. 사진측량에서 촬영고도 2㎞에서 촬영한 탑의 윗부분이 연직점으로부터 100㎜ 떨어져 사진 상에 나타나고 탑의 변위가 5㎜일 때 탑의 높이는?(2006년 10월)
     1. 50m
     2. 100m
     3. 200m
     4. 500m

     정답 : []
     정답률 : 50%

45. 노선을 선정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2016년 01월)
     1. 노선은 곡선을 많이 적용하여 지루함이 없도록 한다.
     2. 토공량이 적고, 절토와 성토가 균형을 이루게 한다.
     3. 절토 및 성토의 운반거리가 짧아야 한다.
     4. 배수가 잘되는 곳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노선은 가능한 한 직선을 많이 적용하고, 경사가 완만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주희]

46. 곡선부를 주행하는 자동차의 뒷바퀴는 앞바퀴보다 항상 안쪽을 지나게 되므로 곡선부에서는 직선부보다 넓은 도로 폭이 필요한데 이 때 넓히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2002년 07월)
     1. 고도
     2. 편거
     3. 슬랙
     4. 확폭

     정답 : []
     정답률 : 44%

47. 기존의 도면을 이용하여 자료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어느 정도 훼손된 도면도 입력이 가능하며 불필요한 속성, 주기는 선택하여 입력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은?(2007년 01월)
     1. 디지타이저
     2. 스캐너
     3. GPS
     4. 위성영상

     정답 : []
     정답률 : 49%

48. 다음 중 완화곡선이 아닌 것은?(2002년 01월)
     1. 3차 포물선
     2. 클로소이드 곡선
     3. 렘니스케이트 곡선
     4. 단곡선

     정답 : []
     정답률 : 70%

49. 스타디아 측량의 장점이 아닌 것은?(2003년 03월)
     1. 작업이 간편하다.
     2. 수평거리와 고저차를 모두 측정할 수 있다.
     3. 높은 정확도를 요하는 곳에 쓰인다.
     4. 지형의 기복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39%

50. 실제 면적 36km2를 지도 상에 900cm2으로 나타내려면 필요한 지도의 축척은?(2006년 10월)
     1. 1/200
     2. 1/2000
     3. 1/20000
     4. 1/200000

     정답 : []
     정답률 : 46%

51. 축척 1:50000의 지형도에서 주곡선의 간격은?(2013년 01월)
     1. 5m
     2. 10m
     3. 15m
     4. 20m

     정답 : []
     정답률 : 51%

52. 건설교통부장관은 공공측량의 계획기관에 대하여 공공측량의 장기계획서 또는 년간 계획서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는데 그 목적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2007년 01월)
     1. 공공측량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2. 공공측량의 정확을 기하고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3. 작업 완료 후 성과를 고시하기 위하여
     4. 지형 지물의 변동사항을 확인하기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52%

53. 지형 측량의 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1년 02월)
     1. 세부 측량 → 측량 계획 작성 → 골조 측량 → 측량 원도 작성
     2. 측량 계획 작성 → 세부 측량 → 골조 측량 → 측량 원도 작성
     3. 세부 측량 → 골조 측량 → 측량 계획 작성 → 측량 원도 작성
     4. 측량 계획 작성 → 골조 측량 → 세부 측량 → 측량 원도 작성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지형측량 순서
계획->골조->세부->원도작성
[해설작성자 : 왕귀]

54. 대한민국 수준 원점은 인천만 평균해면상의 높이로부터 그 수치를 지정하고 있다. 수준원점의 수치로 옳은 것은?(2007년 07월)
     1. 26.6781m
     2. 26.8671m
     3. 26.6871m
     4. 26.7871m

     정답 : []
     정답률 : 63%

55. 다음 중 중장지명위원회의 위원을 추천할 수 없는 자는?(2008년 02월)
     1.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2. 과학기술부장관
     3. 행정자치주장관
     4. 문화관광부장관

     정답 : []
     정답률 : 43%

56. GPS 측량에서 위성 궤도의 고도는 약 몇 km 인가?(2011년 10월)
     1. 40400km
     2. 30300km
     3. 20200km
     4. 10100km

     정답 : []
     정답률 : 77%

57. 다음중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닌 것은?(2005년 07월)
     1. 정당한 사유없이 측량의 실시를 방해한 자
     2. 측량업의 등록증·등록수첩을 대여한 자 및 그 상대방
     3. 무단으로 측량성과 또는 측량기록을 복제한 자
     4. 규정에 의한 등록을 하지 아니하고 성능검사를 대행한 자

     정답 : []
     정답률 : 33%

58.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은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관할구역안에 있는 영구표지 또는 일시표지의 현황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시ㆍ도지사를 거쳐 건설교통부 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하는데 그 기간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2007년 07월)
     1. 2년에 1회 이상 보고한다.
     2. 매년 1회 이상 보고한다.
     3. 3년마다 보고한다.
     4. 보고는 손실, 파손된 사실을 발견했을 때만 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59. GPS 위성 궤도의 고도는 약 얼마인가?(2012년 02월)
     1. 12200km
     2. 16400km
     3. 20200km
     4. 24000km

     정답 : []
     정답률 : 78%

60. 측량법상 우리나라 측량의 원점은?(2008년 02월)
     1. 대한민국 경위도원정 및 수준원정
     2. 대한민국 위도원정
     3. 대한민국 수준원정
     4. 대한민국 경위원정

     정답 : []
     정답률 : 48%


정 답 지

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8일)(937500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임의 구분


1. 평균제곱근오차(표준편차)σ, 확률오차 r 이라 할 때 σ와 r 사이의 관계식은?(2008년 07월)
     1. r=±0.6745σ
     2. r=±0.674/σ
     3. r=±0.5σ
     4. r=±σ/0.5

     정답 : []
     정답률 : 57%

2. A점과 B점의 거리를 왕복 측량한 결과 88.53m 와 88.59m를 얻었다면, 정밀도는?(2007년 01월)
     1. 1/1478
     2. 1/3326
     3. 1/2952
     4. 1/8856

     정답 : []
     정답률 : 38%

3. 다음 평판 측량 방법 중에서 복전진법에 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2004년 02월)
     1. 모든 측점에 차례대로 평판을 세운다.
     2. 복도선법이라고도 한다.
     3. 한 점에서 많은 측점을 시준할 수 없을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4. 시가지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정답 : []
     정답률 : 50%

4. 수준측량에 관한 용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10월)
     1. 연직선이란 지표면의 어느 점으로부터 지구 중심에 이르는 선이다.
     2. 지평선이란 연직선에 직교하는 직선이다.
     3. 기준면은 일반적으로 여러 해 동안 관측한 평균 해수면을 사용한다.
     4. 기준면에서부터 어떤 점까지의 수평거리를 표고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5. 지반고가 50.000m 인 A점이 B.M인 고차식 야장 기입에서 후시의 합이 5.789m, 전시의 합이 3.716m 일 때 B점의 지반고는?(2007년 01월)
     1. 47.927m
     2. 52.073m
     3. 55.789m
     4. 58.175m

     정답 : []
     정답률 : 76%

6. 토털스테이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10월)
     1. 인공위성을 이용하므로 정확하다.
     2.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3. 레코드 모듈 (record module)에 성과값을 저장, 기록할 수 있다.
     4. 컴퓨터와 카드 리더(care reader)를 이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4%

7. 2점 사이의 연직각과 수평거리 또는 경사거리를 측정하여 삼각법에 의하여 고저차를 구하는 측량방법은?(2002년 04월)
     1. 삼각 수준측량
     2. 스타디아 측량
     3. 기압 수준측량
     4. 항공사진 측량

     정답 : []
     정답률 : 64%

8. 삼각망의 제2조정각 54°56′15″에 대한 표차 값은?(2008년 02월)
     1. 11.54
     2. 12.81
     3. 13.45
     4. 14.77

     정답 : []
     정답률 : 27%

9. 삼각망의 조정 계산에 필요한 3가지 조건이 아닌 것은?(2011년 10월)
     1. 측점 조건
     2. 지형 조건
     3. 각 조건
     4. 변 조건

     정답 : []
     정답률 : 76%

10. 종단 및 횡단수준측량에서 중간점(I.P)이 많은 경우 편리한 방법은?(2005년 10월)
     1. 기고식
     2. 고차식
     3. 승강식
     4. 교호수준식

     정답 : []
     정답률 : 73%

11. 수준측량에 대한 관측자의 주의 사항 중 틀린 것은?(2011년 07월)
     1. 측정할 때에는 항상 기포가 중앙에 오도록 한다.
     2. 표척과 기계와의 거리는 60m 내외를 표준으로 한다.
     3. 표척의 눈금은 이기점에서는 1mm까지 읽는다.
     4. 수준측량은 반드시 편도 측량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12. 표준자보다 2.5cm 긴 50m 줄자로 거리를 잰 결과가 205m 이었다면 실제거리는 몇 m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2년 02월)
     1. 204.898m
     2. 204.975m
     3. 205.000m
     4. 205.103m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오차 계산
50000 / 25 = 1.0005

실제거리
205000 / 1.0005 = 204.898

정답은 1번
[해설작성자 : 송감귤]

13. 트랜싯으로 수평각을 측정할 때 시준축 오차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2003년 01월)
     1. 배각법으로 측정하여 평균을 취한다.
     2. 시계와 반시계방향으로 측정하여 평균을 취한다.
     3. 양쪽 버어니어에서 읽은 값의 평균을 취한다.
     4. 망원경의 정.반위 위치에서 측정하여 평균을 취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14. 인공 위성을 이용한 위치 측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좌표계는?(2003년 03월)
     1. 평면 직각 좌표계
     2. 3차원 직각 좌표계
     3. TM투영법
     4. UTM좌표계

     정답 : []
     정답률 : 64%

15. 각 관측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조합각 관측법은 관측할 여러 개의 방향선 사이의 각을 차례로 방향각법으로 관측하여 최소제곱법에 의하여 각각의 최확값을 구한다.
     2. 단측법은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지 않을 경우에 사용하며 정ㆍ반위 관측하여 평균을 한다.
     3. 배각법은 반복 관측으로 한 측점에서 한 개의 각을 높은 정밀도로 측정할 때 사용한다.
     4. 방향각법은 수평각 관측법 중 가장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1등 삼각측량에서 주로 이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4번의 해설은 조합각 관측법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광주공고 합격왕]

16. 트래버스 측량에서 다음 결과를 얻었을 때 측선 EA의 거리는? (단, 폐합이며 오차는 없음)(2011년 10월)

    

     1. 134.6m
     2. 143.6m
     3. 154.4m
     4. 153.5m

     정답 : []
     정답률 : 45%

17. 『삼각망 중의 임의의 한 변의 길이는 계산해 가는 순서와는 관계없이 같은 값을 갖는다.』는 것은 삼각망의 기하학적 조건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2007년 01월)
     1. 변조건
     2. 측점조건
     3. 각조건
     4. 다항조건

     정답 : []
     정답률 : 72%

18. 측선의 방위가 S 60°, W 일 때 이 측선의 방위각은?(2005년 10월)
     1. 60°
     2. 120°
     3. 180°
     4. 240°

     정답 : []
     정답률 : 48%

19. 수준측량시 한 측점에서 동시에 전시와 후시를 모두 취하는 점을 무엇이라 하는가?(2005년 01월)
     1. 전시점
     2. 후시점
     3. 중간점
     4. 이기점

     정답 : []
     정답률 : 69%

20. 평판측량의 교회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2월)
     1. 측량구역 내에서 적당한 기준점을 두 점 이상 취한다.
     2. 기지점으로부터 미지점을 시준하여 방향선을 교차시켜 도면상에서 미지점의 위치를 결정한다.
     3. 미지점까지의 거리측정이 필요하고, 평판설치 횟수가 많아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4. 복잡한 지형에서는 도상에 많은 방향선을 긋게 되므로 부적당하다.

     정답 : []
     정답률 : 43%

2과목 : 임의 구분


21. 목표물과 +자 교선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때 생기는 오차는?(2004년 02월)
     1. 수평축 오차
     2. 시준 오차
     3. 구심 오차
     4. 연직축 오차

     정답 : []
     정답률 : 47%

22. 트랜싯의 수평각 측정방법 중 아래 그림과 같이 측정하는 방법은?(2005년 07월)

    

     1. 방향각법
     2. 방위각법
     3. 배각법
     4. 단각법

     정답 : []
     정답률 : 80%

23. 교호 수준측량 결과가 각각 A점에서 a1=0.95m, a2=1.60m, B점에서 b1=0.34m, b2=1.25m 일 때 B점의 표고는? (단, A점의 표고는 60.00m 임)(2004년 07월)
     1. 46.24m
     2. 58.44m
     3. 60.48m
     4. 62.84m

     정답 : []
     정답률 : 45%

24. 수준측량에서 왕복측량의 제한을 2㎞ 거리에 대하여 1.6㎝로 할 때 8㎞ 거리를 왕복할 경우 오차는 얼마까지 허용하는가?(2006년 10월)
     1. 16㎜
     2. 32㎜
     3. 48㎜
     4. 64㎜

     정답 : []
     정답률 : 41%

25. 수평각의 관측방법에서 1대회 관측이란?(2005년 07월)
     1. 망원경의 정위로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2. 망원경의 반위로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3. 망원경의 정위와 반위로 한번씩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4. 망원경의 정위와 반위로 2회 반복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26. 전자파 거리 측정기 등을 이용한 높은 정확도로 중ㆍ장거리를 정확히 관측하여 삼각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측량방법은?(2013년 01월)
     1. 삼각측량
     2. 삼변측량
     3. 삼각수준측량
     4. 수준측량

     정답 : []
     정답률 : 46%

27. A점에 평판을 세우고 B점에 세운 2m의 표척을 앨리데이드로 시준하니 상시준선의 눈금이 6.5, 하시준선의 눈금이 4.0 이었다. 이 때 A, B간의 거리는?(2002년 07월)
     1. 40m
     2. 80m
     3. 120m
     4. 160m

     정답 : []
     정답률 : 43%

28. 수준측량에서 표고라 함은 일반적으로 어느 면으로 부터의 연직거리를 말하는가?(2002년 01월)
     1. 기준면
     2. 수평면
     3. 지평면
     4. 해면

     정답 : []
     정답률 : 45%

29. 삼각점의 선점에 관한 설명 중에서 틀린 것은?(2004년 07월)
     1. 삼각점의 선점은 측량의 목적, 정확도 등을 고려하여 실시한다.
     2. 삼각점은 오래 보존하는 일이 많고 정확한 관측을 필요로 하므로 지반이 견고하여야 하고 침하 및 동결 지반은 피한다.
     3. 삼각형 내각의 크기는 30~120° 가 되게 한다.
     4. 삼각형은 가능한 직각삼각형에 가깝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30. 거리 1km에서 각도 오차가 1분이라면 위치오차는?(2012년 02월)
     1. 0.1m
     2. 0.2m
     3. 0.3m
     4. 0.4m

     정답 : []
     정답률 : 36%

31. 레벨측량시 취급상의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2년 04월)
     1. 표척을 세울 장소는 지반이 견고한 장소를 선택한다.
     2. 수준측량은 반드시 왕복측량을 원칙으로 한다.
     3. 레벨을 상자에 보관할 때에는 고정나사를 느슨하게 한다.
     4. 표척이 전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의 읽음값은 최대값을 취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32. 완화곡선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7년 07월)
     1. 3차 포물선
     2. 클로소이드 곡선
     3. 2차 포물선
     4. 렘니스케이트 곡선

     정답 : []
     정답률 : 75%

33. 사진측량에서 평판한 지면으로부터 표고차가 있는 물체는 중심 투영인 사진의 특성 때문에, 연직으로 촬영하여도 사진면 상에는 사진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방사성의 변위가 생기게 되는데 이를 무슨 변위라 하는가?(2007년 09월)
     1. 기복 변위
     2. 표고 변위
     3. 연직 변위
     4. 수정 변위

     정답 : []
     정답률 : 41%

34. 삼각 측량의 작업순서로 옳은 것은?(2016년 01월)
     1. 조표-선점-각 관측-계산-성과표작성-기선측량-삼각망도 작성
     2. 선점-조표-기선측량-각 관측-계산-성과표작성-삼각망도 작성
     3. 선점-조표-각 관측-계산-기선측량-성과표 작성-삼각망도 작성
     4. 조표-선점-기선측량-각 관측-성과표작성-계산-삼각망도 작성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삼각측량의 작업순서
계획 및 준비 - 답사 - 선점 - 조표 - 관측 - 계산 - 정리
[해설작성자 : 아싸루비아]

35. 수준측량에서 거리 7km에 대하여 왕복 오차의 제한이 ±25mm일 때 거리 2km에 대한 왕복 오차의 제한 값은?(2015년 10월)
     1. ±7mm
     2. ±13mm
     3. ±15mm
     4. ±17mm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7km를 왕복하면 7km*2=14km, 2km를 왕복하면 2km*2=4km
오차는 노선 거리의 제곱근에 비례하기 때문에
√14 : ±25 = √4 : x
x = √4/√14*25 = ±13mm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사람]

36. 노선을 선정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2012년 02월)
     1. 노선은 될 수 있는 대로 직선으로 한다.
     2. 배수가 잘 되는 곳이어야 한다.
     3. 절토 및 성토의 운반거리가 길어야 한다.
     4. 토공량이 적고, 절토와 성토가 균형을 이루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37. A, B두점의 표고가 각각 34.6m, 69.0m, AB 사이의 거리 D=120m일 때 AB사이를 10m간격으로 등고선을 넣을 때 40m 등고선이 지나는 점까지의 거리는 A에서부터 얼마 거리에 있는가?(2003년 01월)
     1. 10.2m
     2. 15.6m
     3. 18.8m
     4. 21.3m

     정답 : []
     정답률 : 44%

38. 사진측량에서 촬영한 수직 사진은 일반적으로 광축이 연직선과 몇 도 이내의 경사로서 촬영된 사진인가?(2004년 07월)
     1. ± 1°
     2. ± 3°
     3. ± 5°
     4. ± 7°

     정답 : []
     정답률 : 49%

39. 철도, 도로, 수로, 등과 같이 긴 노선의 성토량, 절토량을 계산할 경우에 주로 이용되는 체적 계산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7년 07월)
     1. 단면법
     2. 점고법
     3. 지거법
     4. 횡거법

     정답 : []
     정답률 : 26%

40. 다음 그림과 같은 사변형의 면적은?(2003년 03월)

    

     1. 914.98m2
     2. 826.15m2
     3. 634.38m2
     4. 371.35m2

     정답 : []
     정답률 : 36%

41. 윗면적=11m2, 아래면적=29m2, 높이=8m인 4각 뿔대의 토량을 양 단면 평균법으로 구한 값은?(2015년 07월)
     1. 80m3
     2. 120m3
     3. 160m3
     4. 600m3

     정답 : []
     정답률 : 50%

42. 단곡선 설치에서 편각계산을 할 때 사용하는 1718.87(분) 값은?(2002년 01월)
     1. 360°/π
     2. 180°/π
     3. 90°/π
     4. 45°/π

     정답 : []
     정답률 : 36%

43. GIS 구축과정에서 복잡한 현실세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자료를 추상화하여 단순하게 하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07년 09월)
     1. 자료관리
     2. 변환
     3. 분석
     4. 모델링

     정답 : []
     정답률 : 53%

44. 사진측량에서 촬영고도 2㎞에서 촬영한 탑의 윗부분이 연직점으로부터 100㎜ 떨어져 사진 상에 나타나고 탑의 변위가 5㎜일 때 탑의 높이는?(2006년 10월)
     1. 50m
     2. 100m
     3. 200m
     4. 500m

     정답 : []
     정답률 : 50%

45. 노선을 선정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2016년 01월)
     1. 노선은 곡선을 많이 적용하여 지루함이 없도록 한다.
     2. 토공량이 적고, 절토와 성토가 균형을 이루게 한다.
     3. 절토 및 성토의 운반거리가 짧아야 한다.
     4. 배수가 잘되는 곳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노선은 가능한 한 직선을 많이 적용하고, 경사가 완만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주희]

46. 곡선부를 주행하는 자동차의 뒷바퀴는 앞바퀴보다 항상 안쪽을 지나게 되므로 곡선부에서는 직선부보다 넓은 도로 폭이 필요한데 이 때 넓히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2002년 07월)
     1. 고도
     2. 편거
     3. 슬랙
     4. 확폭

     정답 : []
     정답률 : 44%

47. 기존의 도면을 이용하여 자료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어느 정도 훼손된 도면도 입력이 가능하며 불필요한 속성, 주기는 선택하여 입력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은?(2007년 01월)
     1. 디지타이저
     2. 스캐너
     3. GPS
     4. 위성영상

     정답 : []
     정답률 : 49%

48. 다음 중 완화곡선이 아닌 것은?(2002년 01월)
     1. 3차 포물선
     2. 클로소이드 곡선
     3. 렘니스케이트 곡선
     4. 단곡선

     정답 : []
     정답률 : 70%

49. 스타디아 측량의 장점이 아닌 것은?(2003년 03월)
     1. 작업이 간편하다.
     2. 수평거리와 고저차를 모두 측정할 수 있다.
     3. 높은 정확도를 요하는 곳에 쓰인다.
     4. 지형의 기복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39%

50. 실제 면적 36km2를 지도 상에 900cm2으로 나타내려면 필요한 지도의 축척은?(2006년 10월)
     1. 1/200
     2. 1/2000
     3. 1/20000
     4. 1/200000

     정답 : []
     정답률 : 46%

51. 축척 1:50000의 지형도에서 주곡선의 간격은?(2013년 01월)
     1. 5m
     2. 10m
     3. 15m
     4. 20m

     정답 : []
     정답률 : 51%

52. 건설교통부장관은 공공측량의 계획기관에 대하여 공공측량의 장기계획서 또는 년간 계획서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는데 그 목적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2007년 01월)
     1. 공공측량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2. 공공측량의 정확을 기하고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3. 작업 완료 후 성과를 고시하기 위하여
     4. 지형 지물의 변동사항을 확인하기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52%

53. 지형 측량의 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1년 02월)
     1. 세부 측량 → 측량 계획 작성 → 골조 측량 → 측량 원도 작성
     2. 측량 계획 작성 → 세부 측량 → 골조 측량 → 측량 원도 작성
     3. 세부 측량 → 골조 측량 → 측량 계획 작성 → 측량 원도 작성
     4. 측량 계획 작성 → 골조 측량 → 세부 측량 → 측량 원도 작성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지형측량 순서
계획->골조->세부->원도작성
[해설작성자 : 왕귀]

54. 대한민국 수준 원점은 인천만 평균해면상의 높이로부터 그 수치를 지정하고 있다. 수준원점의 수치로 옳은 것은?(2007년 07월)
     1. 26.6781m
     2. 26.8671m
     3. 26.6871m
     4. 26.7871m

     정답 : []
     정답률 : 63%

55. 다음 중 중장지명위원회의 위원을 추천할 수 없는 자는?(2008년 02월)
     1.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2. 과학기술부장관
     3. 행정자치주장관
     4. 문화관광부장관

     정답 : []
     정답률 : 43%

56. GPS 측량에서 위성 궤도의 고도는 약 몇 km 인가?(2011년 10월)
     1. 40400km
     2. 30300km
     3. 20200km
     4. 10100km

     정답 : []
     정답률 : 77%

57. 다음중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닌 것은?(2005년 07월)
     1. 정당한 사유없이 측량의 실시를 방해한 자
     2. 측량업의 등록증·등록수첩을 대여한 자 및 그 상대방
     3. 무단으로 측량성과 또는 측량기록을 복제한 자
     4. 규정에 의한 등록을 하지 아니하고 성능검사를 대행한 자

     정답 : []
     정답률 : 33%

58.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은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관할구역안에 있는 영구표지 또는 일시표지의 현황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시ㆍ도지사를 거쳐 건설교통부 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하는데 그 기간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2007년 07월)
     1. 2년에 1회 이상 보고한다.
     2. 매년 1회 이상 보고한다.
     3. 3년마다 보고한다.
     4. 보고는 손실, 파손된 사실을 발견했을 때만 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59. GPS 위성 궤도의 고도는 약 얼마인가?(2012년 02월)
     1. 12200km
     2. 16400km
     3. 20200km
     4. 24000km

     정답 : []
     정답률 : 78%

60. 측량법상 우리나라 측량의 원점은?(2008년 02월)
     1. 대한민국 경위도원정 및 수준원정
     2. 대한민국 위도원정
     3. 대한민국 수준원정
     4. 대한민국 경위원정

     정답 : []
     정답률 : 48%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8일)(9375004)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1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물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3
1118 소방공무원(공개) 행정법총론(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4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3
1117 <h2>네트워크관리사 1급 필기 시험문제 및 CBT 2006년09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6
1116 수능(생활과윤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11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4
1115 사회복지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1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4
1114 위험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8일)(1655412)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3
1113 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1월25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4
111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1
1111 9급 국가직 공무원 네트워크보안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8일)(4946610)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4
111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계획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4
1109 생산자동화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10월11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4
1108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3
1107 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7월13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5
1106 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1월30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5
110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3
1104 식품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8일)(3085026)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4
1103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8일)(8921775)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3
1102 9급 국가직 공무원 안전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3
1101 경비지도사 2차(경비업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11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4
1100 건설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10월10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3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95 Next
/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