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8일)(892177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식물병리학


1. 토마토 잎곰팡이병을 발생시키는 병원균은?(2016년 10월)
     1. Fulvia fulva
     2. Fusarium solani
     3. Alternaria alternata
     4. Agrobacterium tumefaciens

     정답 : []
     정답률 : 71%

2. 고온 다습한 여름 날씨에 많이 발생하는 병은?(2012년 09월)
     1. 사과 탄저병
     2. 배추 노균병
     3. 배나무 검은별무늬병
     4. 포도 새눈무늬병

     정답 : []
     정답률 : 79%

3. 바이로이드(viroid)에 의한 병은?(2002년 03월)
     1. 고구마털뿌리병
     2. 감자오갈병
     3. 벼오갈병
     4. 감자걀쭉병

     정답 : []
     정답률 : 85%

4. 생물적 방제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2011년 10월)
     1. 병이 발생한 후 치료효과가 매우 좋다.
     2. 환경보전과 지속적 농업에 잘 부합한다.
     3. 넓은 지역에 광범위하게 활용하기 쉽다.
     4. 효과가 신속하고 정확하다.

     정답 : []
     정답률 : 89%

5. 다음 중 비전염성 병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9년 09월)
     1. 적당한 온도
     2. 각종 화학물질
     3. 병원성 바이로이드
     4. 부적당한 토양조건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적당한 온도" => "1.부적당한 온도"로 수정되어야 합니다
ㅇ참고자료
(주)시대고시기획 2021년 식물보호기사/산업기사 한권으로 끝내기 기출문제집 발췌
[해설작성자 : 장천리]

[추가 오류 신고]
1번 부적당한 온도로 변경 필요
답은 3번 병원성 바이로이드= 생물성(전염성, 기생성)병원

농협 ksa한국표준협회 책에서 발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병원의 관점에서 적당한 온도라고 보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팩트폭행]

6. 붕소의 결핍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사과병은?(2012년 03월)
     1. 부란병
     2. 점무늬낙엽병
     3. 축과병
     4. 탄저병

     정답 : []
     정답률 : 84%

7. 경란전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5년 03월)
     1. 가벼운 알이 잘 전염된다.
     2. 전염이 어렵고 쉬운 정도를 말한다.
     3. 알 모양의 구근을 통해서 전염된다.
     4. 바이러스가 매개곤충의 알을 거쳐 다음 세대로 전해지는 현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84%

8. 벼 키다리병의 합리적인 방제법은?(2008년 03월)
     1. 약제살포
     2. 윤작
     3. 토양소독
     4. 종자소독

     정답 : []
     정답률 : 88%

9. 무생물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병은?(2016년 03월)
     1. 토마토 균핵병
     2. 토마토 풋마름병
     3. 토마토 점무늬병
     4. 토마토 배꼽썩음병

     정답 : []
     정답률 : 81%

10. 병원균이 주로 종자 전염하는 병은?(2015년 03월)
     1. 감자 역병
     2. 오이 노균병
     3. 보리 흰가루병
     4. 보리 겉깜부기병

     정답 : []
     정답률 : 72%

11. 감자 잎말림병의 병원체는?(2017년 03월)
     1. 세균
     2. 균류
     3. 선충
     4. 바이러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감자잎말림병은 괴경에서 월동한 바이러스가 씨감자로 하면 싹트고 줄기,잎번져 잎이 아래에서 위로 말림
1차전염원은 괴경월동 바이러스
매개충은 복숭아혹진딧물 영속감염
방제를 위해서는 무병증명 씨감자를 심어야함.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12. 고추에 발생하는 병으로 장마철이나 집중호우시 재배포장의 물빠짐이 불량한 경우 큰 피해를 초래하는 병은?(2012년 03월)
     1. 고추 역병
     2. 고추 흰가루병
     3. 고추 잘록병
     4. 고추 검은무늬병

     정답 : []
     정답률 : 82%

13. 맥류의 흰가루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자낭균에 의해 발생한다.
     2. 내병성 품종을 재배하여 방제한다.
     3. 주로 4~5월경부터 발생하기 시작한다.
     4. 잎에만 발생하고 잎집이나 줄기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잎,잎병,줄기,이삭 등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14. 매개충의 알을 통하여 다음 대까지 바이러스가 옮겨지는 병은?(2004년 09월)
     1. 벼 오갈병
     2. 감자 잎말림병
     3. 오이 모자이크병
     4. 오이 녹반모자이크병

     정답 : []
     정답률 : 67%

15. 병원균의 잠복기간이 가장 긴 것은?(2017년 09월)
     1. 벼 도열병
     2. 오이 노균병
     3. 고추 탄저병
     4. 보리 겉깜부기병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ㅇ잠복기간 : 병원체가 침입 후 초기 병징이 나타날때까지의 기간
ㅇ보리 겉깜부기병의 잠복기간은    7~21일간이다
[해설작성자 : 장천리]

16. 대추나무 빗자루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문제오류로 인하여 실제 시험에서는 1, 2,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2016년 10월)
     1. 마름무늬매미충에 의해 전염된다.
     2.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해 발병한다.
     3. 분주에 의해서는 전염되지 않는다.
     4. 병든 나무의 꽃은 염화현상이 나타나 열매가 열리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86%

17. 일반적으로 세균이 침입할 수 없는 부위는?(2016년 10월)
     1. 기공
     2. 각피
     3. 수공
     4. 상처

     정답 : []
     정답률 : 84%

18. 주로 종자로 전염되는 벼의 병이 아닌 것은?(2018년 03월)
     1. 도열병
     2. 키다리병
     3. 잎집무늬마름병
     4. 세균성벼알마름병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ㅇ잎집무늬마름병 : 토양이나 볏짚, 그루터기에서 월동
[해설작성자 : 장천리]

토양이나 그루터기에서 월동한 균핵이 써레질등으로 물위로 부유되면서 전염되는것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19. 표징으로 진단하기 용이한 식물병은?(2002년 09월)
     1. 보리겉깜부기병
     2. 각종 식물의 모잘록병
     3. 벼오갈병
     4. 배추무사마귀병

     정답 : []
     정답률 : 57%

20. 고추밭에 A 농약을 처리하였을때, 전체 고추열매 1000개중 100개가 탄저병에 감염된 것이 었으며, 살균제 무처리구에서는 전체 1250개 고추열매 중 500개가 감염된 것이었다. 이병과율로 계산하였을때 A 농약의 방제가는 얼마인가?(2008년 03월)
     1. 90%
     2. 75%
     3. 47%
     4. 25%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방제가를 구하는 식은 (무처리 이병과율-처리 이병과율)/무처리 이병과율 X100 으로 나타낸 백분율입니다.
이병과율을 구하는 식은 이병과율/총 과수 X100 이며 이 역시 백분율입니다.
따라서 문제의 방제가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처리 이병과율 = 100/1,000 X 100 = 10%
무처리 이병과율 = 500/1,250 X100 = 40%
방제가 = (40%-10%)/40% X100 =75%
답은 75%입니다.
[해설작성자 : 아기공룡 베이비]

2과목 : 농림해충학


21. 건축물의 목재(예:기둥, 문틀 등), 목가공품의 표면만 남기고 내부를 불규칙하게 식해한 후 표면에 구멍을 뚫고 성충이 고운 가루를 배출하며 탈출하는 해충이 있다. 다음 중 어떤 해충인가?(2012년 03월)
     1. 흰점박이바구미
     2. 가루나무좀
     3. 노랑무늬솔바구미
     4. 노랑애나무좀

     정답 : []
     정답률 : 84%

22. 소화와 흡수가 주로 이루어지는 기관은?(2009년 08월)
     1. 소낭
     2. 전위
     3. 중장
     4. 후장

     정답 : []
     정답률 : 82%

23. 곤충의 형태적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다리가 3쌍이다.
     2. 눈은 겹눈만 있고 홑눈이 없다.
     3. 대게 2쌍의 날개가 있고 탈바꿈을 하기로 한다.
     4. 몸이 머리, 가슴, 배의 3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곤충은 다리3쌍 5마디,3부분
겹눈과 홑눈 가지고 있다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24.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2016년 03월)

    

     1. 일반평형밀도
     2. 일반피해밀도
     3. 경제적 피해수준
     4. 경제적 피해허용수준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경제적 피해허용수준 : 경제적 피해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직접 방제수단을 사용해야 하는 병해충의 밀도
경제적 피해수준 : 경제적 피해가 나타나는 최저밀도 즉, 병해충에 의한 피해액과 방제비가 같은 수준의 밀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5. 흡즙성 해충으로 짝지어진 것은?(2005년 09월)
     1. 목화진딧물-담배거세미나방
     2. 조명나방-초록장님노린재
     3. 점박이응애-벼멸구
     4. 애풍뎅이-화랑곡나방

     정답 : []
     정답률 : 60%

26. 다음 중 점박이응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암컷의 길이가 수컷에 비해 짧다.
     2. 성충으로 월동한다.
     3. 숙주식물의 잎에서 즙액을 빨아 먹는다.
     4. 천적으로는 왕게응애와 신이리응애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73%

27. 기주이동을 하는 곤충은?(2010년 09월)
     1. 복숭아혹진딧물
     2. 배추좀나방
     3. 파밤나방
     4. 털두꺼비하늘소

     정답 : []
     정답률 : 72%

28. 곤충의 휴면을 유발시키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3월)
     1. 천적
     2. 먹이
     3. 온도
     4. 일장 조건

     정답 : []
     정답률 : 75%

29. 살충제의 사용은 해충방제의 효과적인 수단이지만 부작용도 있다. 다음 중 살충제의 부작용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2003년 03월)
     1. 약제 저항성 해충의 출현
     2. 자연계의 평형 파괴
     3. 동물상의 다양화
     4. 잠재곤충의 해충화

     정답 : []
     정답률 : 81%

30.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계가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앞가슴샘
     2. 알라타체
     3. 말피기소관
     4. 뇌신경세포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ㅇ말피기관
: 곤충체강 내에서 비틀림 운동을 하면서 pH나 무기이온농도 등을 조절하면서 배설작용
[해설작성자 : 장천리]

31. 다음 중 단식성인 해충은?(2004년 09월)
     1. 배추좀나방
     2. 파밤나방
     3. 쐐기나방
     4. 미국흰불나방

     정답 : []
     정답률 : 66%

32. 다음 곤충 중 번데기가 나용인 것은?(2006년 09월)
     1. 콩풍뎅이
     2. 풀색노린재
     3. 호랑나비
     4. 매미나방

     정답 : []
     정답률 : 55%

33. 주로 사과나무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멸강나방
     2. 은무늬굴나방
     3. 복숭아심식나방
     4. 조팝나무진딧물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멸강나방 - 벼, 보리, 밀, 조, 옥수수
유충이 잎을 폭식. 부화유충이 밤낮 없이 엽육을 가해하다가 3-4령부터는 밤에만 잎, 즐기, 이삭까지 폭식
국내월동이 불가능. 중국에서 매년 비래하는 돌발해충
펜토에이트 유제로 방제
[해설작성자 : 별향]

34. 거세미나방의 월동 충태는?(2006년 03월)
     1.
     2. 유충
     3. 번데기
     4. 성충

     정답 : []
     정답률 : 61%

35. 다음 해충 중에서 충영을 만드는 해충은?(2005년 03월)
     1. 밤바구미
     2. 소나무좀
     3. 솔잎혹파리
     4. 복숭아명나방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충영을 만드는 해충 : 솔잎혹파리, 밤나무혹벌
* 솔잎혹파리 유충은 솔잎 밑 부분에 벌레혹(충영)을 만들고 그 속에서 즙액을 빨아먹으므로 피해 잎은 생장이 중지
* 밤나무혹벌 밤나무의 잎눈에 기생하면 직경 10~15mm의 벌레혹이 형성되고 그 부위에 작은 잎이 밀생하고 새 가지가 자라지 못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다음 중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목은?(2012년 09월)
     1. 잠자리목
     2. 메뚜기목
     3. 노린재목
     4. 나비목

     정답 : []
     정답률 : 74%

37. 곤충 혈구의 기능이 아닌 것은?(2009년 08월)
     1. 식균작용
     2. 상처치유
     3. 해독작용
     4. 소리감지

     정답 : []
     정답률 : 82%

38. 곤충의 유충이 알에서 깨어나 두 번 탈피하였으면 몇 령의 유충이 되는가?(2008년 09월)
     1. 1령충
     2. 2령충
     3. 3령충
     4. 4령충

     정답 : []
     정답률 : 67%

39. 오이잎벌레는 어느 목에 속하는 곤충인가?(2005년 03월)
     1. 딱정벌레목
     2. 나비목
     3. 벌목
     4. 노린재목

     정답 : []
     정답률 : 55%

40. 참나무류의 종실인 도토리에 주둥이로 구멍을 뚫고 산란한 후 도토리가 달린 가지를 주둥이로 잘라 땅으로 떨어뜨리며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도토리의 과육을 식해하는 해충은 ?(2003년 08월)
     1. 왕바구미
     2. 도토리거위벌레
     3. 심식나방
     4. 도토리바구미

     정답 : []
     정답률 : 64%

3과목 : 농약학


41. 성유인 물질(sex attractant)의 특성이 아닌 것은?(2015년 03월)
     1. 종특이성(specificity)이 있다.
     2. 미량으로도 강한 유인능(potency)이 있다.
     3. 모두 천연산물(natural compound)이다.
     4. 원거리에서도 유효성(sffectiveness)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성유인물질은 합성 가능하다. ex) 복숭아심식나방의 성 페로몬을 합성한 봄비콜
[해설작성자 : .]

42. 병균의 포자 발아를 억제시켜 감염을 예방하는 보호살균제(保護殺菌劑)는?(2018년 03월)
     1. 만코지
     2. 파라티온
     3. 스미치온
     4. 다이아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유기유황제이며 보호살균제
[해설작성자 : 강민지]

43. 어류에 대한 독성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감수성에 차이가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8월)
     1. 독성은 제형에 따라 다른데 분제가 가장 강하다.
     2. 수온이 높으면 농약에 대한 저항성이 낮아진다.
     3. 어류는 알(卵)일 때 농약에 대하여 감수성이 가장 낮다.
     4. 수생 생물에 대한 독성은 잉어와 물벼룩으로 평가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어류에 대한 독성은 제제형태별로
유제    > 수화제 > 수용제 순으로 크다.
[해설작성자 : 강민지]

44. B.H.C 농약이 폐지된 이유로서 가장 합당한 것은?(2003년 08월)
     1. 불임성
     2. 잔류성
     3. 발암성
     4. 독성

     정답 : []
     정답률 : 59%

45. 다음 중 낙엽 촉진제는?(2019년 09월)
     1. 아세트산
     2. 카이네틴
     3. 아브사이신 Ⅱ
     4. 지베렐린

     정답 : []
     정답률 : 59%

46. 분제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살충, 살균제에 많이 사용된다.
     2. 고착성이 우수하여 잔효성이 요구되는 과수방제용으로 적당하다.
     3. 수도 병해충방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4. 표류비산에 의한 살포구역 이외의 환경오염이 클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분제는 비산성이 강해 과수 재배의 이용에는 부적합하다.
[해설작성자 : .]

47. 포자의 침입 및 발아를 저지하고 균사의 생육을 저해하여 병반의 확대, 진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예방과 치료효과를 동시에 발휘하는 생합성 저해제 농약은?(2020년 08월)
     1. Polyoxin B
     2. Captan
     3. Cypermethrin
     4. Simazine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폴리옥신(polyoxin)은 세포벽 형성 저해제로 포자의 침입 및 발아를 저지한다.
[해설작성자 : 게리셔]

48. 저장하고 있는 곡물이나 종자 등에 발생하는 해충을 방제하는데 주로 쓰이는 제형은?(2019년 09월)
     1. 유제(乳劑)
     2. 액제(液劑)
     3. 수화제(水和劑)
     4. 훈증제(薰蒸劑)

     정답 : []
     정답률 : 84%

49. 농약의 살포방법 중 토양 내에 서식하고 있는 병원균이나 해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약제를 농작물의 뿌리 근처에 주입한다든가 또는 토양전면에 30 ~ 60cm의 간격으로 약제를 주입한 후에 흙으로 덮는 방법은?(2008년 03월)
     1. 토양 혼화법
     2. 관주법
     3. 침지법
     4. 분의법

     정답 : []
     정답률 : 46%

50. 예방이나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약제로 침투성살균제(systemic fungicide)가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IBP제
     2. Carboxin제
     3. Benomyl
     4. Mancozeb

     정답 : []
     정답률 : 50%

51. 우리나라의 독성 구분 기준에서 저독성(Ⅳ) 고체농약에 대한 경구독성의 반수치사량(㎎/㎏체중)은?(2004년 03월)
     1. 5미만
     2. 5 ~ 50
     3. 50 ~ 500
     4. 500이상

     정답 : []
     정답률 : 49%

52. 다음 중 응애방지 약제로서 염소(Cl)는 함유하지 않고 탄소, 수소, 황을 함유한 약제는?(2004년 03월)
     1. 디코폴 유제
     2. 프로파가이트(프로지) 수화제
     3. 테트라디폰(테디온) 유제
     4. 클로펜테진 수화제

     정답 : []
     정답률 : 22%

53. 다음 중 보호살균제 농약의 잔효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인 성질은 어느 것인가?(2009년 08월)
     1. 유화성
     2. 현수성
     3. 부착성과 고착성
     4. 침투성

     정답 : []
     정답률 : 73%

54. 유기인계 살충제의 공통적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3월)
     1. 접촉제로 강력하게 작용하며 훈증작용도 하고 소화 중독작용도 크다.
     2. 식물체에 흡수침투되어 살충작용을 한다.
     3. 낮은 농도로도 큰 살충효과를 낸다.
     4. 사람이나 가축에 대한 독성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유기인게 살충제*
인축에 대한 독성이 강하다.
알칼리에 용이하게 분해된다.
동물의 체내에서 분해가 빠르다.
광선에 의한 분해시 소실우려가 있다.
[해설작성자 : 가요니]

55. 다음 중 Pyrethrin 의 효력증진제(Synergist)는?(2017년 03월)
     1. Alkyl sulrhate
     2. Piperonyl butoxide
     3. Ethylene dibromide
     4. Methyldithiocarbamate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협력제 : 메틸렌 다이옥시페닐,피페로닐 뷰톡사이드
[해설작성자 : Lee]

피레로닐부톡사이드 : 제충국-피레트린과 데리스-로테논의 협력제 / 황백색
설포사이드 : 피레트린의 협력제 / 황갈색
황산아연 : 결정석회황 합제의 협력제
[해설작성자 : .]

56. 유기인계 농약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9월)
     1. 잔류성이 길다.
     2. 알칼리에 분해되기 쉽다.
     3. 인축에 대한 독성이 강한 약제가 많다.
     4. 살충력이 강하고 적용해충 범위가 넓다.

     정답 : []
     정답률 : 56%

57. 다음 농약의 약해 증상 중 급성적 약해 증상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2006년 03월)
     1. 괴사 반점
     2. 발근 저해
     3. 개화 지연
     4. 비대 지연

     정답 : []
     정답률 : 60%

58. 농약의 약해증상 중 경엽에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2007년 03월)
     1. 백화
     2. 괴사
     3. 낙엽 및 기형잎
     4. 발근저해

     정답 : []
     정답률 : 71%

59. 농양관리법에서 규정한 토양잔류성농약의 토양 중 반감기는?(2019년 04월)
     1. 30일
     2. 90일
     3. 180일
     4. 365일

     정답 : []
     정답률 : 70%

60. 도열병에 쓰이는 키타진(아이비)은?(2005년 09월)
     1. 유기염소
     2. 유기비소
     3. 유기인
     4. 유기유황

     정답 : []
     정답률 : 48%

61. 2년생 광엽잡초에서 줄기 및 윗부분에서 1차 예취를 하고 재생 후 아주 낮게 2차 예취를 해주면 효과적인 제초가 가능하다. 이것은 식물의 어떤 특성을 이용한 것인가?(2019년 09월)
     1. 발아현상
     2. 정아우세 현상
     3. 2차 휴면
     4. 체질적 다형성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정아우세 현상이란 정아에서 생성된 옥신이 아래로 향하며 측아의 발달을 억제하는 현상이다. 정아는 줄기의 상단부에 위치해 있으므로 줄 기 윗부분을 제거하면 정아의 옥신형성이 억제되고 측아가 발달(넓이가 넓어짐)하게 된다. 측아가 발달한 상태에서 한 번 더 낮게 예초(측아의 억제)를 해주면 효과적인 제초가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

62. 화본과 잡초로서 피 종류의 하나인 돌피의 학명은?(2006년 09월)
     1. Echinochloa crus-galli
     2. Cyperus difformis
     3. Monochoria vaginalis
     4. Leersia japonica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돌피는 Echinochloa crus-galli 이고 변종명에 의해
Praticola(돌피) oryzicola(강피) caudata(물피)로 구분된다

63. 제초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9월)
     1. 2,4-D는 화본과 잡초에 효과적이다.
     2. 알라클로르(alachlor)유제는 일년생 잡초에 효과적이다.
     3. 리뉴론(linuron) 수화제는 일년생 화본과 잡초에 효과적이다.
     4. 시마진(simazine)은 바랭이, 쇠비름에 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2,4-D는 화본과 식물에 독성이 적고, 광엽식물에 독성이 큰 선택성 제초제이다
[해설작성자 : 이용자]

64. 광엽 다년생 잡초인 것은?(2007년 03월)
     1. 올미
     2. 자귀풀
     3. 마디꽃
     4. 여뀌

     정답 : []
     정답률 : 70%

65. 잡초의 경종적 방제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2003년 03월)
     1. 논가을갈이(추경)
     2. 윤작재배
     3. 소각
     4. 비닐피복재배

     정답 : []
     정답률 : 61%

66. 다음 중 수면에 떠다니는 부유성 잡초에 해당하는 것은?(2015년 09월)
     1. 가래
     2. 등에풀
     3. 생이가래
     4. 물달개비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부유성잡초
생이가래,부레옥잠,개구리밥,좀개구리밥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67. 잡초경합 한계기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9월)
     1. 철저한 잡초 방제가 요구되는 시기이다.
     2. 작물 생육기의 초기 1/4~1/3 정도의 기간이다.
     3. 잡초와 작물이 경합하지만 작물의 피해는 없는 한계기간이다.
     4. 한계기간 이후에는 잡초 방제를 더 하여도 작물 피해는 큰 변화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59%

68. 5.0% 유효성분을 함유한 A제초제 입제를 유효성분량으로 1ha당 100g을 살포하려고 할 때 필요한 제품량은?(2011년 10월)
     1. 2.5kg
     2. 3.0kg
     3. 2.0kg
     4. 1.5kg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제품량 = 성분량 * 100 / 희석률
제품량 = 100g * 100 / 5 = 2000g = 2kg

69. 종자휴면의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종피가 너무 두껍다.
     2. 발아억제물질이 많이 들어있다.
     3. 배가 미숙하거나 후숙되지 않았다.
     4. 발아촉진물질이 많이 들어있다.

     정답 : []
     정답률 : 72%

70. 잡초의 번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9월)
     1. 종자에 의한 번식을 하는 잡초에는 돌피, 별꽃, 알방동사니가 있다.
     2. 경운과 같은 농경지의 교란이 증가하면 영양번식체에 의한 번식이 증가한다.
     3. 영양번식체에 의한 번식을 하는 잡초종은 대부분 종자에 의한 번식은 하지 않는다.
     4. 잡초의 휴면은 종자에서만 일어나므로 올방개나 벗풀의 괴경에는 휴면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53%

71. 종자번식을 하는 잡초는?(2005년 03월)
     1. 올방개, 보풀
     2. 메꽃, 벗풀
     3. 나도겨풀, 올방개
     4. 바랭이, 명아주

     정답 : []
     정답률 : 49%

72. 작물과 잡초의 경합에 관여하는 요인들 중에서 가장 경미한 경합인자는?(2011년 10월)
     1.
     2. CO2
     3. 수분
     4. 영양분

     정답 : []
     정답률 : 82%

73. 잡초군락의 천이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2017년 09월)
     1. 시비방법
     2. 경운방법
     3. 제초방법
     4. 물관리방법

     정답 : []
     정답률 : 63%

74. 다음 잡초 중 기주식물에서 기생하는 잡초는?(2020년 08월)
     1.
     2. 물달개비
     3. 명아주
     4. 새삼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새삼은 다른식물의 영양을 빨아먹는 덩굴성 기생식물이다
[해설작성자 : 흥덕]

75. 논에서 발생하는 우점 다년생 잡초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9월)
     1. 가래
     2. 올미
     3. 메꽃
     4. 너도방동사니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메꽃 = 밭에서 발생하는 다년생광엽잡초
[해설작성자 : 설악단]

76. 제초제를 분류하고자 할 때 처리시기와 처리방법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다음 중 처리시기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는 것은?(2012년 09월)
     1. 발아 전 처리제
     2. 선택성 제초제
     3. 접촉형 제초제
     4. 토양처리형 제초제

     정답 : []
     정답률 : 75%

77. 논에 오리를 방사하여 잡초를 방제하는 방법은?(2009년 08월)
     1. 경종적 방제법
     2. 생물적 방제법
     3. 화학적 방제법
     4. 기계적 방제법

     정답 : []
     정답률 : 83%

78. 제초제의 광분해와 가장 관계가 높은 것은?(2016년 10월)
     1. 자외선
     2. 적외선
     3. 가시광성
     4. 관계없음

     정답 : []
     정답률 : 74%

79. 잡초 방제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돌려짓기
     2. 다비 재배
     3. 작물 종자 정선
     4. 육묘 이식 재배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ㅇ다비 재배 : 비료를 많이 줄 경우 초기 생육이 빠른 잡초가
                            유리해져 방제가 어려워진다.
[해설작성자 : 장천리]

80. 잡초발생이 물 관리에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2002년 03월)
     1. 물의 흐름을 방해한다.
     2. 용존산소의 농도를 저하시킨다.
     3. 관배수로에서 증발량과 지하침투량이 저하된다.
     4. 잡초고사체에 의한 오염이 문제가 된다.

     정답 : []
     정답률 : 59%


정 답 지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8일)(892177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식물병리학


1. 토마토 잎곰팡이병을 발생시키는 병원균은?(2016년 10월)
     1. Fulvia fulva
     2. Fusarium solani
     3. Alternaria alternata
     4. Agrobacterium tumefaciens

     정답 : []
     정답률 : 71%

2. 고온 다습한 여름 날씨에 많이 발생하는 병은?(2012년 09월)
     1. 사과 탄저병
     2. 배추 노균병
     3. 배나무 검은별무늬병
     4. 포도 새눈무늬병

     정답 : []
     정답률 : 79%

3. 바이로이드(viroid)에 의한 병은?(2002년 03월)
     1. 고구마털뿌리병
     2. 감자오갈병
     3. 벼오갈병
     4. 감자걀쭉병

     정답 : []
     정답률 : 85%

4. 생물적 방제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2011년 10월)
     1. 병이 발생한 후 치료효과가 매우 좋다.
     2. 환경보전과 지속적 농업에 잘 부합한다.
     3. 넓은 지역에 광범위하게 활용하기 쉽다.
     4. 효과가 신속하고 정확하다.

     정답 : []
     정답률 : 89%

5. 다음 중 비전염성 병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9년 09월)
     1. 적당한 온도
     2. 각종 화학물질
     3. 병원성 바이로이드
     4. 부적당한 토양조건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적당한 온도" => "1.부적당한 온도"로 수정되어야 합니다
ㅇ참고자료
(주)시대고시기획 2021년 식물보호기사/산업기사 한권으로 끝내기 기출문제집 발췌
[해설작성자 : 장천리]

[추가 오류 신고]
1번 부적당한 온도로 변경 필요
답은 3번 병원성 바이로이드= 생물성(전염성, 기생성)병원

농협 ksa한국표준협회 책에서 발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병원의 관점에서 적당한 온도라고 보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팩트폭행]

6. 붕소의 결핍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사과병은?(2012년 03월)
     1. 부란병
     2. 점무늬낙엽병
     3. 축과병
     4. 탄저병

     정답 : []
     정답률 : 84%

7. 경란전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5년 03월)
     1. 가벼운 알이 잘 전염된다.
     2. 전염이 어렵고 쉬운 정도를 말한다.
     3. 알 모양의 구근을 통해서 전염된다.
     4. 바이러스가 매개곤충의 알을 거쳐 다음 세대로 전해지는 현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84%

8. 벼 키다리병의 합리적인 방제법은?(2008년 03월)
     1. 약제살포
     2. 윤작
     3. 토양소독
     4. 종자소독

     정답 : []
     정답률 : 88%

9. 무생물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병은?(2016년 03월)
     1. 토마토 균핵병
     2. 토마토 풋마름병
     3. 토마토 점무늬병
     4. 토마토 배꼽썩음병

     정답 : []
     정답률 : 81%

10. 병원균이 주로 종자 전염하는 병은?(2015년 03월)
     1. 감자 역병
     2. 오이 노균병
     3. 보리 흰가루병
     4. 보리 겉깜부기병

     정답 : []
     정답률 : 72%

11. 감자 잎말림병의 병원체는?(2017년 03월)
     1. 세균
     2. 균류
     3. 선충
     4. 바이러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감자잎말림병은 괴경에서 월동한 바이러스가 씨감자로 하면 싹트고 줄기,잎번져 잎이 아래에서 위로 말림
1차전염원은 괴경월동 바이러스
매개충은 복숭아혹진딧물 영속감염
방제를 위해서는 무병증명 씨감자를 심어야함.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12. 고추에 발생하는 병으로 장마철이나 집중호우시 재배포장의 물빠짐이 불량한 경우 큰 피해를 초래하는 병은?(2012년 03월)
     1. 고추 역병
     2. 고추 흰가루병
     3. 고추 잘록병
     4. 고추 검은무늬병

     정답 : []
     정답률 : 82%

13. 맥류의 흰가루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자낭균에 의해 발생한다.
     2. 내병성 품종을 재배하여 방제한다.
     3. 주로 4~5월경부터 발생하기 시작한다.
     4. 잎에만 발생하고 잎집이나 줄기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잎,잎병,줄기,이삭 등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14. 매개충의 알을 통하여 다음 대까지 바이러스가 옮겨지는 병은?(2004년 09월)
     1. 벼 오갈병
     2. 감자 잎말림병
     3. 오이 모자이크병
     4. 오이 녹반모자이크병

     정답 : []
     정답률 : 67%

15. 병원균의 잠복기간이 가장 긴 것은?(2017년 09월)
     1. 벼 도열병
     2. 오이 노균병
     3. 고추 탄저병
     4. 보리 겉깜부기병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ㅇ잠복기간 : 병원체가 침입 후 초기 병징이 나타날때까지의 기간
ㅇ보리 겉깜부기병의 잠복기간은    7~21일간이다
[해설작성자 : 장천리]

16. 대추나무 빗자루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문제오류로 인하여 실제 시험에서는 1, 2,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2016년 10월)
     1. 마름무늬매미충에 의해 전염된다.
     2.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해 발병한다.
     3. 분주에 의해서는 전염되지 않는다.
     4. 병든 나무의 꽃은 염화현상이 나타나 열매가 열리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86%

17. 일반적으로 세균이 침입할 수 없는 부위는?(2016년 10월)
     1. 기공
     2. 각피
     3. 수공
     4. 상처

     정답 : []
     정답률 : 84%

18. 주로 종자로 전염되는 벼의 병이 아닌 것은?(2018년 03월)
     1. 도열병
     2. 키다리병
     3. 잎집무늬마름병
     4. 세균성벼알마름병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ㅇ잎집무늬마름병 : 토양이나 볏짚, 그루터기에서 월동
[해설작성자 : 장천리]

토양이나 그루터기에서 월동한 균핵이 써레질등으로 물위로 부유되면서 전염되는것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19. 표징으로 진단하기 용이한 식물병은?(2002년 09월)
     1. 보리겉깜부기병
     2. 각종 식물의 모잘록병
     3. 벼오갈병
     4. 배추무사마귀병

     정답 : []
     정답률 : 57%

20. 고추밭에 A 농약을 처리하였을때, 전체 고추열매 1000개중 100개가 탄저병에 감염된 것이 었으며, 살균제 무처리구에서는 전체 1250개 고추열매 중 500개가 감염된 것이었다. 이병과율로 계산하였을때 A 농약의 방제가는 얼마인가?(2008년 03월)
     1. 90%
     2. 75%
     3. 47%
     4. 25%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방제가를 구하는 식은 (무처리 이병과율-처리 이병과율)/무처리 이병과율 X100 으로 나타낸 백분율입니다.
이병과율을 구하는 식은 이병과율/총 과수 X100 이며 이 역시 백분율입니다.
따라서 문제의 방제가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처리 이병과율 = 100/1,000 X 100 = 10%
무처리 이병과율 = 500/1,250 X100 = 40%
방제가 = (40%-10%)/40% X100 =75%
답은 75%입니다.
[해설작성자 : 아기공룡 베이비]

2과목 : 농림해충학


21. 건축물의 목재(예:기둥, 문틀 등), 목가공품의 표면만 남기고 내부를 불규칙하게 식해한 후 표면에 구멍을 뚫고 성충이 고운 가루를 배출하며 탈출하는 해충이 있다. 다음 중 어떤 해충인가?(2012년 03월)
     1. 흰점박이바구미
     2. 가루나무좀
     3. 노랑무늬솔바구미
     4. 노랑애나무좀

     정답 : []
     정답률 : 84%

22. 소화와 흡수가 주로 이루어지는 기관은?(2009년 08월)
     1. 소낭
     2. 전위
     3. 중장
     4. 후장

     정답 : []
     정답률 : 82%

23. 곤충의 형태적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다리가 3쌍이다.
     2. 눈은 겹눈만 있고 홑눈이 없다.
     3. 대게 2쌍의 날개가 있고 탈바꿈을 하기로 한다.
     4. 몸이 머리, 가슴, 배의 3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곤충은 다리3쌍 5마디,3부분
겹눈과 홑눈 가지고 있다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24.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2016년 03월)

    

     1. 일반평형밀도
     2. 일반피해밀도
     3. 경제적 피해수준
     4. 경제적 피해허용수준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경제적 피해허용수준 : 경제적 피해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직접 방제수단을 사용해야 하는 병해충의 밀도
경제적 피해수준 : 경제적 피해가 나타나는 최저밀도 즉, 병해충에 의한 피해액과 방제비가 같은 수준의 밀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5. 흡즙성 해충으로 짝지어진 것은?(2005년 09월)
     1. 목화진딧물-담배거세미나방
     2. 조명나방-초록장님노린재
     3. 점박이응애-벼멸구
     4. 애풍뎅이-화랑곡나방

     정답 : []
     정답률 : 60%

26. 다음 중 점박이응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암컷의 길이가 수컷에 비해 짧다.
     2. 성충으로 월동한다.
     3. 숙주식물의 잎에서 즙액을 빨아 먹는다.
     4. 천적으로는 왕게응애와 신이리응애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73%

27. 기주이동을 하는 곤충은?(2010년 09월)
     1. 복숭아혹진딧물
     2. 배추좀나방
     3. 파밤나방
     4. 털두꺼비하늘소

     정답 : []
     정답률 : 72%

28. 곤충의 휴면을 유발시키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3월)
     1. 천적
     2. 먹이
     3. 온도
     4. 일장 조건

     정답 : []
     정답률 : 75%

29. 살충제의 사용은 해충방제의 효과적인 수단이지만 부작용도 있다. 다음 중 살충제의 부작용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2003년 03월)
     1. 약제 저항성 해충의 출현
     2. 자연계의 평형 파괴
     3. 동물상의 다양화
     4. 잠재곤충의 해충화

     정답 : []
     정답률 : 81%

30.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계가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앞가슴샘
     2. 알라타체
     3. 말피기소관
     4. 뇌신경세포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ㅇ말피기관
: 곤충체강 내에서 비틀림 운동을 하면서 pH나 무기이온농도 등을 조절하면서 배설작용
[해설작성자 : 장천리]

31. 다음 중 단식성인 해충은?(2004년 09월)
     1. 배추좀나방
     2. 파밤나방
     3. 쐐기나방
     4. 미국흰불나방

     정답 : []
     정답률 : 66%

32. 다음 곤충 중 번데기가 나용인 것은?(2006년 09월)
     1. 콩풍뎅이
     2. 풀색노린재
     3. 호랑나비
     4. 매미나방

     정답 : []
     정답률 : 55%

33. 주로 사과나무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멸강나방
     2. 은무늬굴나방
     3. 복숭아심식나방
     4. 조팝나무진딧물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멸강나방 - 벼, 보리, 밀, 조, 옥수수
유충이 잎을 폭식. 부화유충이 밤낮 없이 엽육을 가해하다가 3-4령부터는 밤에만 잎, 즐기, 이삭까지 폭식
국내월동이 불가능. 중국에서 매년 비래하는 돌발해충
펜토에이트 유제로 방제
[해설작성자 : 별향]

34. 거세미나방의 월동 충태는?(2006년 03월)
     1.
     2. 유충
     3. 번데기
     4. 성충

     정답 : []
     정답률 : 61%

35. 다음 해충 중에서 충영을 만드는 해충은?(2005년 03월)
     1. 밤바구미
     2. 소나무좀
     3. 솔잎혹파리
     4. 복숭아명나방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충영을 만드는 해충 : 솔잎혹파리, 밤나무혹벌
* 솔잎혹파리 유충은 솔잎 밑 부분에 벌레혹(충영)을 만들고 그 속에서 즙액을 빨아먹으므로 피해 잎은 생장이 중지
* 밤나무혹벌 밤나무의 잎눈에 기생하면 직경 10~15mm의 벌레혹이 형성되고 그 부위에 작은 잎이 밀생하고 새 가지가 자라지 못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다음 중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목은?(2012년 09월)
     1. 잠자리목
     2. 메뚜기목
     3. 노린재목
     4. 나비목

     정답 : []
     정답률 : 74%

37. 곤충 혈구의 기능이 아닌 것은?(2009년 08월)
     1. 식균작용
     2. 상처치유
     3. 해독작용
     4. 소리감지

     정답 : []
     정답률 : 82%

38. 곤충의 유충이 알에서 깨어나 두 번 탈피하였으면 몇 령의 유충이 되는가?(2008년 09월)
     1. 1령충
     2. 2령충
     3. 3령충
     4. 4령충

     정답 : []
     정답률 : 67%

39. 오이잎벌레는 어느 목에 속하는 곤충인가?(2005년 03월)
     1. 딱정벌레목
     2. 나비목
     3. 벌목
     4. 노린재목

     정답 : []
     정답률 : 55%

40. 참나무류의 종실인 도토리에 주둥이로 구멍을 뚫고 산란한 후 도토리가 달린 가지를 주둥이로 잘라 땅으로 떨어뜨리며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도토리의 과육을 식해하는 해충은 ?(2003년 08월)
     1. 왕바구미
     2. 도토리거위벌레
     3. 심식나방
     4. 도토리바구미

     정답 : []
     정답률 : 64%

3과목 : 농약학


41. 성유인 물질(sex attractant)의 특성이 아닌 것은?(2015년 03월)
     1. 종특이성(specificity)이 있다.
     2. 미량으로도 강한 유인능(potency)이 있다.
     3. 모두 천연산물(natural compound)이다.
     4. 원거리에서도 유효성(sffectiveness)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성유인물질은 합성 가능하다. ex) 복숭아심식나방의 성 페로몬을 합성한 봄비콜
[해설작성자 : .]

42. 병균의 포자 발아를 억제시켜 감염을 예방하는 보호살균제(保護殺菌劑)는?(2018년 03월)
     1. 만코지
     2. 파라티온
     3. 스미치온
     4. 다이아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유기유황제이며 보호살균제
[해설작성자 : 강민지]

43. 어류에 대한 독성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감수성에 차이가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8월)
     1. 독성은 제형에 따라 다른데 분제가 가장 강하다.
     2. 수온이 높으면 농약에 대한 저항성이 낮아진다.
     3. 어류는 알(卵)일 때 농약에 대하여 감수성이 가장 낮다.
     4. 수생 생물에 대한 독성은 잉어와 물벼룩으로 평가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어류에 대한 독성은 제제형태별로
유제    > 수화제 > 수용제 순으로 크다.
[해설작성자 : 강민지]

44. B.H.C 농약이 폐지된 이유로서 가장 합당한 것은?(2003년 08월)
     1. 불임성
     2. 잔류성
     3. 발암성
     4. 독성

     정답 : []
     정답률 : 59%

45. 다음 중 낙엽 촉진제는?(2019년 09월)
     1. 아세트산
     2. 카이네틴
     3. 아브사이신 Ⅱ
     4. 지베렐린

     정답 : []
     정답률 : 59%

46. 분제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살충, 살균제에 많이 사용된다.
     2. 고착성이 우수하여 잔효성이 요구되는 과수방제용으로 적당하다.
     3. 수도 병해충방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4. 표류비산에 의한 살포구역 이외의 환경오염이 클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분제는 비산성이 강해 과수 재배의 이용에는 부적합하다.
[해설작성자 : .]

47. 포자의 침입 및 발아를 저지하고 균사의 생육을 저해하여 병반의 확대, 진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예방과 치료효과를 동시에 발휘하는 생합성 저해제 농약은?(2020년 08월)
     1. Polyoxin B
     2. Captan
     3. Cypermethrin
     4. Simazine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폴리옥신(polyoxin)은 세포벽 형성 저해제로 포자의 침입 및 발아를 저지한다.
[해설작성자 : 게리셔]

48. 저장하고 있는 곡물이나 종자 등에 발생하는 해충을 방제하는데 주로 쓰이는 제형은?(2019년 09월)
     1. 유제(乳劑)
     2. 액제(液劑)
     3. 수화제(水和劑)
     4. 훈증제(薰蒸劑)

     정답 : []
     정답률 : 84%

49. 농약의 살포방법 중 토양 내에 서식하고 있는 병원균이나 해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약제를 농작물의 뿌리 근처에 주입한다든가 또는 토양전면에 30 ~ 60cm의 간격으로 약제를 주입한 후에 흙으로 덮는 방법은?(2008년 03월)
     1. 토양 혼화법
     2. 관주법
     3. 침지법
     4. 분의법

     정답 : []
     정답률 : 46%

50. 예방이나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약제로 침투성살균제(systemic fungicide)가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IBP제
     2. Carboxin제
     3. Benomyl
     4. Mancozeb

     정답 : []
     정답률 : 50%

51. 우리나라의 독성 구분 기준에서 저독성(Ⅳ) 고체농약에 대한 경구독성의 반수치사량(㎎/㎏체중)은?(2004년 03월)
     1. 5미만
     2. 5 ~ 50
     3. 50 ~ 500
     4. 500이상

     정답 : []
     정답률 : 49%

52. 다음 중 응애방지 약제로서 염소(Cl)는 함유하지 않고 탄소, 수소, 황을 함유한 약제는?(2004년 03월)
     1. 디코폴 유제
     2. 프로파가이트(프로지) 수화제
     3. 테트라디폰(테디온) 유제
     4. 클로펜테진 수화제

     정답 : []
     정답률 : 22%

53. 다음 중 보호살균제 농약의 잔효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인 성질은 어느 것인가?(2009년 08월)
     1. 유화성
     2. 현수성
     3. 부착성과 고착성
     4. 침투성

     정답 : []
     정답률 : 73%

54. 유기인계 살충제의 공통적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3월)
     1. 접촉제로 강력하게 작용하며 훈증작용도 하고 소화 중독작용도 크다.
     2. 식물체에 흡수침투되어 살충작용을 한다.
     3. 낮은 농도로도 큰 살충효과를 낸다.
     4. 사람이나 가축에 대한 독성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유기인게 살충제*
인축에 대한 독성이 강하다.
알칼리에 용이하게 분해된다.
동물의 체내에서 분해가 빠르다.
광선에 의한 분해시 소실우려가 있다.
[해설작성자 : 가요니]

55. 다음 중 Pyrethrin 의 효력증진제(Synergist)는?(2017년 03월)
     1. Alkyl sulrhate
     2. Piperonyl butoxide
     3. Ethylene dibromide
     4. Methyldithiocarbamate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협력제 : 메틸렌 다이옥시페닐,피페로닐 뷰톡사이드
[해설작성자 : Lee]

피레로닐부톡사이드 : 제충국-피레트린과 데리스-로테논의 협력제 / 황백색
설포사이드 : 피레트린의 협력제 / 황갈색
황산아연 : 결정석회황 합제의 협력제
[해설작성자 : .]

56. 유기인계 농약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9월)
     1. 잔류성이 길다.
     2. 알칼리에 분해되기 쉽다.
     3. 인축에 대한 독성이 강한 약제가 많다.
     4. 살충력이 강하고 적용해충 범위가 넓다.

     정답 : []
     정답률 : 56%

57. 다음 농약의 약해 증상 중 급성적 약해 증상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2006년 03월)
     1. 괴사 반점
     2. 발근 저해
     3. 개화 지연
     4. 비대 지연

     정답 : []
     정답률 : 60%

58. 농약의 약해증상 중 경엽에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2007년 03월)
     1. 백화
     2. 괴사
     3. 낙엽 및 기형잎
     4. 발근저해

     정답 : []
     정답률 : 71%

59. 농양관리법에서 규정한 토양잔류성농약의 토양 중 반감기는?(2019년 04월)
     1. 30일
     2. 90일
     3. 180일
     4. 365일

     정답 : []
     정답률 : 70%

60. 도열병에 쓰이는 키타진(아이비)은?(2005년 09월)
     1. 유기염소
     2. 유기비소
     3. 유기인
     4. 유기유황

     정답 : []
     정답률 : 48%

61. 2년생 광엽잡초에서 줄기 및 윗부분에서 1차 예취를 하고 재생 후 아주 낮게 2차 예취를 해주면 효과적인 제초가 가능하다. 이것은 식물의 어떤 특성을 이용한 것인가?(2019년 09월)
     1. 발아현상
     2. 정아우세 현상
     3. 2차 휴면
     4. 체질적 다형성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정아우세 현상이란 정아에서 생성된 옥신이 아래로 향하며 측아의 발달을 억제하는 현상이다. 정아는 줄기의 상단부에 위치해 있으므로 줄 기 윗부분을 제거하면 정아의 옥신형성이 억제되고 측아가 발달(넓이가 넓어짐)하게 된다. 측아가 발달한 상태에서 한 번 더 낮게 예초(측아의 억제)를 해주면 효과적인 제초가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

62. 화본과 잡초로서 피 종류의 하나인 돌피의 학명은?(2006년 09월)
     1. Echinochloa crus-galli
     2. Cyperus difformis
     3. Monochoria vaginalis
     4. Leersia japonica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돌피는 Echinochloa crus-galli 이고 변종명에 의해
Praticola(돌피) oryzicola(강피) caudata(물피)로 구분된다

63. 제초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9월)
     1. 2,4-D는 화본과 잡초에 효과적이다.
     2. 알라클로르(alachlor)유제는 일년생 잡초에 효과적이다.
     3. 리뉴론(linuron) 수화제는 일년생 화본과 잡초에 효과적이다.
     4. 시마진(simazine)은 바랭이, 쇠비름에 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2,4-D는 화본과 식물에 독성이 적고, 광엽식물에 독성이 큰 선택성 제초제이다
[해설작성자 : 이용자]

64. 광엽 다년생 잡초인 것은?(2007년 03월)
     1. 올미
     2. 자귀풀
     3. 마디꽃
     4. 여뀌

     정답 : []
     정답률 : 70%

65. 잡초의 경종적 방제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2003년 03월)
     1. 논가을갈이(추경)
     2. 윤작재배
     3. 소각
     4. 비닐피복재배

     정답 : []
     정답률 : 61%

66. 다음 중 수면에 떠다니는 부유성 잡초에 해당하는 것은?(2015년 09월)
     1. 가래
     2. 등에풀
     3. 생이가래
     4. 물달개비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부유성잡초
생이가래,부레옥잠,개구리밥,좀개구리밥
[해설작성자 : 피라칸사]

67. 잡초경합 한계기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9월)
     1. 철저한 잡초 방제가 요구되는 시기이다.
     2. 작물 생육기의 초기 1/4~1/3 정도의 기간이다.
     3. 잡초와 작물이 경합하지만 작물의 피해는 없는 한계기간이다.
     4. 한계기간 이후에는 잡초 방제를 더 하여도 작물 피해는 큰 변화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59%

68. 5.0% 유효성분을 함유한 A제초제 입제를 유효성분량으로 1ha당 100g을 살포하려고 할 때 필요한 제품량은?(2011년 10월)
     1. 2.5kg
     2. 3.0kg
     3. 2.0kg
     4. 1.5kg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제품량 = 성분량 * 100 / 희석률
제품량 = 100g * 100 / 5 = 2000g = 2kg

69. 종자휴면의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종피가 너무 두껍다.
     2. 발아억제물질이 많이 들어있다.
     3. 배가 미숙하거나 후숙되지 않았다.
     4. 발아촉진물질이 많이 들어있다.

     정답 : []
     정답률 : 72%

70. 잡초의 번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9월)
     1. 종자에 의한 번식을 하는 잡초에는 돌피, 별꽃, 알방동사니가 있다.
     2. 경운과 같은 농경지의 교란이 증가하면 영양번식체에 의한 번식이 증가한다.
     3. 영양번식체에 의한 번식을 하는 잡초종은 대부분 종자에 의한 번식은 하지 않는다.
     4. 잡초의 휴면은 종자에서만 일어나므로 올방개나 벗풀의 괴경에는 휴면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53%

71. 종자번식을 하는 잡초는?(2005년 03월)
     1. 올방개, 보풀
     2. 메꽃, 벗풀
     3. 나도겨풀, 올방개
     4. 바랭이, 명아주

     정답 : []
     정답률 : 49%

72. 작물과 잡초의 경합에 관여하는 요인들 중에서 가장 경미한 경합인자는?(2011년 10월)
     1.
     2. CO2
     3. 수분
     4. 영양분

     정답 : []
     정답률 : 82%

73. 잡초군락의 천이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2017년 09월)
     1. 시비방법
     2. 경운방법
     3. 제초방법
     4. 물관리방법

     정답 : []
     정답률 : 63%

74. 다음 잡초 중 기주식물에서 기생하는 잡초는?(2020년 08월)
     1.
     2. 물달개비
     3. 명아주
     4. 새삼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새삼은 다른식물의 영양을 빨아먹는 덩굴성 기생식물이다
[해설작성자 : 흥덕]

75. 논에서 발생하는 우점 다년생 잡초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9월)
     1. 가래
     2. 올미
     3. 메꽃
     4. 너도방동사니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메꽃 = 밭에서 발생하는 다년생광엽잡초
[해설작성자 : 설악단]

76. 제초제를 분류하고자 할 때 처리시기와 처리방법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다음 중 처리시기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는 것은?(2012년 09월)
     1. 발아 전 처리제
     2. 선택성 제초제
     3. 접촉형 제초제
     4. 토양처리형 제초제

     정답 : []
     정답률 : 75%

77. 논에 오리를 방사하여 잡초를 방제하는 방법은?(2009년 08월)
     1. 경종적 방제법
     2. 생물적 방제법
     3. 화학적 방제법
     4. 기계적 방제법

     정답 : []
     정답률 : 83%

78. 제초제의 광분해와 가장 관계가 높은 것은?(2016년 10월)
     1. 자외선
     2. 적외선
     3. 가시광성
     4. 관계없음

     정답 : []
     정답률 : 74%

79. 잡초 방제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돌려짓기
     2. 다비 재배
     3. 작물 종자 정선
     4. 육묘 이식 재배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ㅇ다비 재배 : 비료를 많이 줄 경우 초기 생육이 빠른 잡초가
                            유리해져 방제가 어려워진다.
[해설작성자 : 장천리]

80. 잡초발생이 물 관리에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2002년 03월)
     1. 물의 흐름을 방해한다.
     2. 용존산소의 농도를 저하시킨다.
     3. 관배수로에서 증발량과 지하침투량이 저하된다.
     4. 잡초고사체에 의한 오염이 문제가 된다.

     정답 : []
     정답률 : 59%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8일)(8921775)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55 초음파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1월27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5
1154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8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3
1153 품질경영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5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5
1152 폐기물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3
1151 변리사 1차(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2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3
1150 기계조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3
1149 경찰공무원(순경) 사회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3
1148 사회복지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1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3
1147 9급 국가직 공무원 수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8일)(2864078)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3
1146 컨벤션기획사 2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5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6
1145 9급 지방직 공무원 영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3
1144 수능(생활과윤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11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4
1143 전산세무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06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3
1142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0
1141 컴활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10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5
1140 초음파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1월26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5
1139 워드프로세서 3급(폐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9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3
1138 9급 국가직 공무원 형사소송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3
1137 경찰공무원(순경)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4
1136 초음파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7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5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97 Next
/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