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8일)(903127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기계열역학


1. 열전도계수 1.4W/(m·K), 두께 6mm 유리창의 내부 표면 온도는 27°C, 외부 표면 온도는 30°C이다. 외기 온도는 36°C이고 바깥에서 창문에 전달되는 총 복사열전달이 대류열전달의 50배라면, 외기에 의한 대류열전달계수[W/(m2·K)]는 약 얼마인가?(2021년 08월)
     1. 22.9
     2. 11.7
     3. 2.29
     4. 1.17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q''=1.4(30-27)/0.006=700
q''=q''대류+q''복사
q''대류*50=q''복사
q''/51=q''대류
q''대류=13.7
q''대류=h(대류열전달계수)(36-30)
h(대류열전달계수)=2.29
[해설작성자 : 부산대기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유리를 통한 열 유속 q^n = 700W/m^2 , q^n = 51q.conv
q.conv = 700/51 = 13.725W/m^2

대류열전달계수 h.conv = q.conv / (외부표면T - 외기T) = 13.725/-6 = 2.29
로 답은 3번 아닌가요?

2. 800 KPa, 350℃의 수증기를 200KPa로 교축한다. 이 과정에 대하여 운동 에너지의 변화를 무시할 수 있다고 할 때 이 수증기의 Joule-Thomson 계수(K/KPa)는 얼마인가? (단, 교축 후의 온도는 344℃이다.)(2019년 08월)
     1. 0.005
     2. 0.01
     3. 0.02
     4. 0.03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줄-톰슨계수=ΔT/ΔP, (350-344)/(800-200)=0.01
[해설작성자 : 트루러브]

3. 두께 1 cm, 면적 0.5 m2의 석고판의 뒤에 가열판이 부착되어 1000 W의 열을 전달한다. 가열판의 뒤는 완전히 단열되어 열은 앞면으로만 전달된다. 석고판 앞면의 온도는 100℃이다. 석고의 열전도율이 k = 0.79 W/mㆍK일 때 가열 판에 접하는 석고 면의 온도는 약 몇 ℃인가?(2015년 05월)
     1. 110
     2. 125
     3. 150
     4. 212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QL/KA + T     = 1000*0.01/0.79*0.5 = 25.3+100
[해설작성자 : 수험생]

4. 기본 Rankine 사이클의 터빈 출구 엔탈피 htc = 1200kJ/kg, 응축기 방열량 qL = 1000kJ/kg, 펌프 출구 엔탈피 hpe = 210kJ/kg, 보일러 가열량 qH = 1210kJ/kg이다. 이 사이클의 출력일은?(2015년 05월)
     1. 210 kJ/kg
     2. 220 kJ/kg
     3. 230 kJ/kg
     4. 420 kJ/kg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qH-qL=1210-1000= 210
[해설작성자 : 루루네아빠]

5. 100 kPa, 25℃ 상태의 공기가 있다. 이 공기의 엔탈피가 298.615 kJ/kg 이라면 내부에너지는 얼마인가?(단, 공기는 이상기체로 가정한다.)(2011년 08월)
     1. 213.99 kJ/kg
     2. 291.07 kJ/kg
     3. 298.15 kJ/kg
     4. 383.72 kJ/kg

     정답 : []
     정답률 : 49%

6. 카르노 사이클로 작동되는 열기관이 고온체에서 100 kJ 의 열을 받고 있다. 이 기관의 열효율이 30%라면 방출되는 열량은 약 몇 kJ 인가?(2019년 04월)
     1. 30
     2. 50
     3. 60
     4. 70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효율 = Q1-Q2 / Q1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3)x100=7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온도 150℃, 압력 0.5MPa의 공기 0.2kg이 압력이 일정한 과정에서 원래 체적의 2배로 늘어난다. 이 과정에서의 일은 약 몇 kJ인가? (단, 공기는 기체상수가 0.287kJ/(kgㆍK)인 이상기체로 가정한다.)(2018년 04월)
     1. 12.3kJ
     2. 16.5kJ
     3. 20.5kJ
     4. 24.3kJ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02*287*(150+273))/0.5=48.5604/2=24.2802
[해설작성자 : 천강북두]

8. 실린더 지름이 7.5 cm이고, 피스톤 행정이 10 cm인 압축기의 지압선도로부터 구한 평균유효압력이 200 kPa 일 때, 한 사이클당 압축일은 약 몇 J인가?(2012년 08월)
     1. 12.4
     2. 22.4
     3. 88.4
     4. 128.4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한 사이클당 압축일 = 평균유효압력 * 스트로크체적
스트로크체적 = (pi/4)*D^2*L = pi/4    * 0.075^2 *0.1
평균유효압력 * 스트로크체적 = 200000*0.00041786 = 88.4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어떤 냉동사이클의 T-s 선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2011년 06월)

   

     1. 1-2 과정 : 가역단열압축
     2. 2-3 과정 : 등온흡열
     3. 3-4 과정 : 교축과정
     4. 4-1 과정 : 증발기에서 과정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2-3과정은 등온방열 과정이다
[해설작성자 : Amd64]

10. 실린더 내부에 기체가 채워져 있고 실린더에는 피스톤이 끼워져 있다. 초기 압력 50 kPa, 초기 체적 0.05 m3의 기체를 버너로 PV1.4 = constant 가 되도록 가열하여 기체 의 체적이 0.2m3이 되었다면, 이 과정동안에 시스템이 한 일은?(2016년 03월)
     1. 1.33kJ
     2. 2.66kJ
     3. 3.99kJ
     4. 5.32kJ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PV^1.4 = constant <- Polytropic 과정
W = 1/(n-1) x (P1·V1 - P2·V2)
P1·V1^1.4 = P2·V2^1.4
P2 = P1 x (V1/V2)^1.4
= 50 x (0.05/0.2)^1.4 = 7.18[kPa]
W = 1/(1.4-1) x (50 x 0.05 - 7.18 x 0.2)
= 2.66[kJ]
[해설작성자 : 나대로]

11. 20℃의 공기(기체상수 R = 0.287 kJ/kgㆍK, 정압비열 Cp = 1.004 kJ/kgㆍK) 3kg이 압력 0.1MPa에서 등압 팽창하여 부피가 두 배로 되었다. 이 과정에서 공급된 열량은 대략 얼마인가?(2015년 03월)
     1. 약 252 kJ
     2. 약 883 kJ
     3. 약 441 kJ
     4. 약 1765 kJ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T2=T1*2이므로 T2-T1은 293이됨
따라서 3*1.004*293 = 882.51
[해설작성자 : 경험자]

1. Q = m*Cp*(T2 - T1) , T1 = 20℃, T2 = ?
2. T2/T1 = (V1/V2)^(n-1) 에서 등압 과정이므로 n = 0을 대입하면 T2/T1 = (V2/V1) = 2 , 즉, T2 = 2*T1
3. Q = 3 x 1.004 * (293) = 882.516 = 883 KJ
[해설작성자 : 꿀호떡]

12. 체적이 0.01m3인 밀폐용기에 대기압의 포화혼합물이 들어있다. 용기 체적의 반은 포화액체, 나머지반은 포화증기가 차지하고 있다면, 포화혼합물 전체의 질량과 건도는? (단, 대기압에서 포화액체와 포화증기의 비체적은 각각 0.001044 m3/kg, 1.6729m3/kg이다.)(2016년 03월)
     1. 전체질량 : 0.0119kg, 건도 : 0.50
     2. 전체질량 : 0.0119kg, 건도 : 0.00062
     3. 전체질량 : 4.792kg, 건도 : 0.50
     4. 전체질량 : 4.792kg, 건도 : 0.00062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질량 m = V/v
m_ℓ = 0.01 x 1/2 / 0.001044 = 4.7893[kg]
m_v = 0.01 x 1/2 / 1.6729 = 0.0030[kg]
m = 4.7893 + 0.0030 = 4.7923[kg]
건도 x = 증기질량/전체질량 = m_v/m
= 0.0030/4.7923 = 0.000626
[해설작성자 : 나대로]

13. 다음 관계식 중 옳은 것은? (단, 여기서 u는 내부에너지, h는 엔탈피, P는 압력, v는 비체적, T는 온도이다.)(2008년 05월)
     1. h = u + Pv
     2. h = u - Tv
     3. h = u - Pv
     4. h = u + Tv

     정답 : []
     정답률 : 71%

14. 20℃의 공기 5 kg이 정압 과정을 거쳐 체적이 2 배가 되었다. 공급한 열량은 몇 kJ인가? (단, 정압 비열은 1 kJ/kg.K 이다.)(2003년 03월)
     1. 1465
     2. 2465
     3. 3465
     4. 4465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5*29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환산 온도(Tr)와 환산 압력(Pr)을 이용하여 나타낸 다음과 같은 상태방정식이 있다. 어떤물질의 기체상수가 0.189 kJ/kg.K, 임계온도가 305K, 임계압력이 7380 kPa이다. 이 물질의 비체적을 위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20℃, 1000 kPa 상태에서 구하면?(2003년 08월)
     1. 0.0111 m3/kg
     2. 0.0443 m3/kg
     3. 0.0492 m3/kg
     4. 0.0554 m3/kg

     정답 : []
     정답률 : 41%

16. 자연계의 비가역 변화와 관련 있는 법칙은?(2015년 05월)
     1. 제 0법칙
     2. 제 1법칙
     3. 제 2법칙
     4. 제 3법칙

     정답 : []
     정답률 : 64%

17. 대기압하에서 20℃의 물 1kg을 가열하여 같은 압력의 150℃의 과열 증기로 만들었다면, 이때 물의 흡수한 열량은 20℃와 150℃에서 어떠한 양의 차이로 표시되겠는가?(2012년 03월)
     1. 내부에너지
     2. 엔탈피
     3. 엔트로피
     4.

     정답 : []
     정답률 : 47%

18. 다음 설명 중 맞는 것은?(2004년 05월)
     1. 열과 일은 열역학 제 1법칙에만 사용된다.
     2. 순수물질이란 균질하고 깨끗한 물질로 정의한다.
     3. 대기압하의 공기는 순수물질이다.
     4. 압축성계수는 실제 기체의 몰비체적에 대한 이상 기체의 몰비체적의 비율로 정의한다.

     정답 :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2. 순수물질은 내부 어디서나 화학적 조성이 단일, 균일한 물질이다.
3. 균질한 혼합물도 순수물질로 간주하는 해설도 있다. (단, 냉각된 공기 혼합물은 순수물질이 아니다.)
4. 압축성계수는 실제기체 몰비체적/이상기체 몰비체적, 따라서 이상기체 몰비체적에 대한 실제기체의 몰비체적 비율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반데발스(van der Waals)의 상태 방정식은 로 표시된다. 이 식에서 는 각각 무엇을 고려하는 상수인가?(2012년 08월)
     1. 분자간의 작용 인력, 분자간의 거리
     2. 분자간의 작용 인력, 분자 자체의 부피
     3. 분자 자체의 중량, 분자간의 거리
     4. 분자 자체의 중량, 분자 자체의 부피

     정답 : []
     정답률 : 59%

20. 8℃의 이상기체를 가역단열 압축하여 그 체적을 1/5로 하였을 때 기체의 온도는 약 몇 ℃인가? (단, 이 기체의 비열비는 1.4 이다.)(2017년 05월)
     1. -125℃
     2. 294℃
     3. 222℃
     4. 262℃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단열변화 식 T2/T1 = (V1/V2)^(k-1)에서
T2 = T1 x (V1/V2)^(k-1)
     = (8+273) x 5^(1.4-1) = 535[K] = 262[℃]
[해설작성자 : 나대로]

2과목 : 냉동공학


21. 물의 빙정과 비등점 사이에서 역카르노 사이클로 작동되는 냉동기와 열펌프의 성적계수는 각각 다음 중 어느 것인가? (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09년 07월)
     1. 냉동기(εc) : 1.00, 열펌프(εH) : 2.00
     2. 냉동기(εc) : 2.73, 열펌프(εH) : 3.73
     3. 냉동기(εc) : 3.52, 열펌프(εH) : 5.43
     4. 냉동기(εc) : 0.93, 열펌프(εH) : 0.82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냉동기 성적계수 = (273/373-273) = 2.73
열펌프 성적계수 = (373/373-273) = 3.73
정답 = [2]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싶다...]

22. 전열면적 40m2, 냉각수량 300L/min, 열통과율 3140 kJ/m2ㆍhㆍ℃인 수냉식 응축기를 사용하며, 응축부하가 439614 kJ/h일 때 냉각수 입구 온도가 23℃이라면 응축온도(℃)는 얼마인가? (단, 냉각수의 비열은 4.186 kJ/kgㆍK이다.)(2019년 08월)
     1. 29.42℃
     2. 25.92℃
     3. 20.35℃
     4. 18.28℃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T2={응축부하/(열통과율*전열면적)}+입구온도+{응축부하/(2*시간당 냉각수량*냉각수비열)}
[해설작성자 : HJJIN]

23. 어떤 R-22 냉동장치에서 냉매 1kg이 팽창변을 통과하여 5℃의 포화증기로 될 때까지 약 40 kcal의 열을 흡수 하였다. 같은 조건에서 냉동능력이 25000 kcal/h이라면 증발 냉매량은 얼마인가?(2011년 03월)
     1. 387 kg/h
     2. 450 kg/h
     3. 525 kg/h
     4. 625 kg/h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시간당 냉매량 = 전체 냉동능력 / 1kg 당 흡수 열량 = 25000kcal/h / 40kcal / kg = 625kg/h
[해설작성자 : 건전한자]

24. 프레온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장치에 공기가 침입하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2017년 05월)
     1. 고압 압력이 높아지므로 냉매 순환량이 많아지고 냉동능력도 증가한다.
     2. 냉동톤당 소요동력이 증가한다.
     3. 고압 압력은 공기의 분압만큼 낮아진다.
     4. 배출가스의 온도가 상승하므로 응축기의 열통과율이 높아지고 냉동능력도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25. 다음 사항은 증발기의 구조와 작용에 대해 설명한 것이다 이 중 옳은 것은?(2003년 08월)
     1. 동일 운전상태에서는 만액식 증발기가 건식 증발기 보다 열통과율이 나쁘다.
     2. 만액식 증발기에서 부하가 커지면 냉매 순환량이 작아진다.
     3. 건식 증발기는 주로 온도식 팽창밸브와 모세관을 팽창밸브로 사용한다.
     4. 증발기의 냉각능력은 전열면적이 작을 수록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2번 부하가 커지면 냉매순환량은 많아진다 과열도가 커지면 냉매순환량은 적어진다
3번 건식증발기는 온도식,모세관,정압식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dalma2018]

26. 온도식 자동팽창 밸브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2014년 03월)
     1. 주로 암모니아 냉동장치에 사용한다.
     2. 감온통의 설치는 액가스 열교환기가 있을 경우에는 증발기 쪽에 밀착하여 설치한다.
     3. 부하변동에 따라 냉매유량 제어가 가능하다.
     4. 내부균압형과 외부균압형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온도식 자동팽창 밸브는 프레온 냉동장치에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ㄱㅁㄹ]

암모니아는 토출온도가 100도이상으로 감온통 설치 불가
[해설작성자 : 포브]

27. 고압가스 제상장치에서 필요 없는 것은?(2013년 06월)
     1. 압축기
     2. 팽창밸브
     3. 응축기
     4. 열교환기

     정답 : []
     정답률 : 54%

28. 40RT의 브라인 쿠울러에서 입구온도 -15℃일 때 브라인의 유량이 0.5m3/min이라면 출구의 온도는 몇℃인가? (단,브라인의 비중은 1.27,비열은 0.66kcal/kg℃이다.)(2003년 03월)
     1. -20.28
     2. -16.75
     3. -11.21
     4. -9.72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냉동능력=질량유량*비열*입출구온도차
40*3320=(0.5*60*1270)*0.66*입출구온도차
입출구온도차=5.28
-15-5.28=-20.28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9. 압축 냉동 사이클에서 응축온도가 일정할 때 증발온도가 낮아지면 일어나는 현상 중 틀린 것은?(2013년 03월)
     1. 압축일의 열당량 증가
     2. 압축기 토출가스 온도 상승
     3. 성적계수 감소
     4. 냉매순환량 증가

     정답 : []
     정답률 : 65%

30. 흡수식 냉동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8월)
     1. 흡수식 냉동기는 열의 공급과 냉각으로 냉매와 흡수제가 함께 분리되고 섞이는 형태로 사이클을 이룬다.
     2. 냉매가 암모니아일 경우에는 흡수제로 리튬브로마이드(LiBr)를 사용한다.
     3.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 사용 시 재료에 대한 부식성 문제로 용액에 미량의 부식억제제를 첨가한다.
     4. 압축식에 비해 열효율이 나쁘며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냉매가 Ammonia(NH3)일 경우 흡수제로 물(H2O)을 사용.
냉매가 물(H2O)일때 흡수제로 Lithium Bromide(LiBr)를 사용.
[해설작성자 : 나대로]

31. 스크류 압축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3월)
     1. 흡입밸브와 피스톤을 사용하지 않아 장시간의 연속운전이 가능하다.
     2. 압축기의 행정은 흡입, 압축, 토출행정의 3행정이다.
     3. 회전수가 3500rpm 정도의 고속회전임에도 소음이 적으며, 유지보수에 특별한 기술이 없어도 된다.
     4. 10~100%의 무단계 용량제어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0%

32. 냉동기유의 역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8월)
     1. 윤활 작용
     2. 냉각 작용
     3. 탄화 작용
     4. 밀봉 작용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냉동기유 역할
윤활작용 , 누설방지(밀봉)작용 , 냉각작용 , 방청작용 , 소음방지 , 청정작용
[해설작성자 : 공조웃는사람]

33. 암모니아 냉동기의 배관재료로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배관용 탄소강 강관
     2. 동합금관
     3. 압력배관용 탄소강 강관
     4. 스테인리스 강관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암모니아는 동을 부식 시킨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다음은 h-x(엔탈피 – 농도)선도에 흡수식 냉동기의 사이클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흡수사이클을 나타내는 것으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a - b - g - h - a
     2. a - c - f - h - a
     3. b - c - f - g - b
     4. b - d - e - g - b

     정답 : []
     정답률 : 62%

35. 일원 냉동사이클과 다원 냉동사이클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2003년 08월)
     1. 압축기의 대수
     2. 증발기의 수
     3. 냉동장치내의 냉매 종류
     4. 중간냉각기의 유무(有無)

     정답 : []
     정답률 : 69%

36. 10 US RT는 몇 kcal/h인가?(2006년 03월)
     1. 3024
     2. 3320
     3. 33200
     4. 30240

     정답 : []
     정답률 : 54%

37. R - 22를 사용하는 냉동장치에 R - 12를 사용하려 한다. 다음에서 틀린 것은?(2003년 08월)
     1. 냉매의 능력이 변하므로 전동기 용량이 충분한가 확인한다.
     2. 응축기, 증발기 용량이 충분한가 확인한다.
     3. 가스켓,시일 등의 패킹 선정에 유의해야 한다.
     4. 동일 탄화수소계 냉매이므로 그대로 운전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6%

38. 히트 파이프의 특징으로 들린 것은?(2009년 05월)
     1. 등온성이 풍부하고 온도상승이 빠르다.
     2. 국부 부하의 변동이 강하고 열 유속의 변동이 가능하다.
     3. 사용온도 영역에 제한이 없으며 압력손실이 크다.
     4. 적은 온도차에서 장거리 열수송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6%

39. 2원 냉동 사이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100℃정도의 저온을 얻고자 할 때 사용되며, 보통 저온측에는 임계점이 높은 냉매를, 고온측에는 임계점이 낮은 냉매를 사용한다.
     2. 저온부 냉동사이클의 응축기 방열량을 고온부 냉동 사이클의 증발기가 흡열하도록 되어있다.
     3. 일반적으로 저온측에 사용하는 냉매는 R-12, R-22, 프로판 등이다.
     4. 일반적으로 고온측에 사용하는 냉매는 R-13, R-14 등이다.

     정답 : []
     정답률 : 59%

40. 체적효율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 것은?(2008년 07월)
     1. 클리어런스(clearance)가 적음
     2. 흡입ㆍ토출밸브 누설
     3. 실린더 피스톤 과열
     4. 회전속도가 빨라질 경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과목 : 공기조화


41. 난방부하가 6500kcal/hr인 어떤 방에 대해 온수난방을 하고자 한다. 방열기의 상당방 열면적(m2)은?(2018년 04월)
     1. 6.7
     2. 8.4
     3. 10
     4. 14.4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온수난방의 표준발열량은 450kcal/m2h 이므로
6500/450 = 14.4m2

42. 환기와 배연설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8년 07월)
     1. 환기란 실내의 공기의 정화, 발생열의 제거, 산소의 공급 및 수증기 제거 등을 목적으로 한다.
     2. 환기는 급기 및 배기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3. 환기는 자연환기방식과 기계환기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4. 배연설비의 주 목적은 화재 후기에 발생하는 연기만을 제거하기 위한 설비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3. 실내 설계온도 26℃인 사무실의 실내유효 현열부하는 20.42kW, 실내유효 잠열부하는 4.27kW 이다. 냉각코일의 장치노점온도는 13.5℃, 바이패스 팩터가 0.1일 때, 송풍량(L/s)은? (단, 공기의 밀도는 1.2kg/m3, 정압비열은 1.006kJ/kgㆍK이다.)(2018년 04월)
     1. 1350
     2. 1503
     3. 12530
     4. 13532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송풍량Q = qs /(rho*Cp*delT*CF) = 20.42*10^3 / (1.2*1.006*(26-13.5)*(1-0.1)) = 1503
CF는 콘택트 팩터로 공기가 코일에 접촉한 비율이다.(CF = 1- BF)
[해설작성자 : 한기대 화이팅]

44. 다음의 냉방 부하 중 실내 취득 열량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8년 07월)
     1. 인체의 발생 열량
     2. 조영 기기에 의한 열량
     3. 송풍기에 의한 취득열량
     4. 벽체로부터의 취득열량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5. 덕트의 배치 방식 중 틀린 것은?(2004년 05월)
     1. 간선덕트 방식은 주덕트인 입상덕트로 부터 각 층에서 분기되어 각 취출구로 취출관을 연결한다.
     2. 개별 덕트 방식은 주덕트에서 각각의 취출구로 각각의 덕트를 통해 분산하여 송풍하는 방식으로 각실의 개별 제어성은 우수하다.
     3. 환상덕트 방식은 2개의 덕트말단을 루프(loop) 상태로 연결함으로써 덕트말단에 가까운 취출구에서 송풍량의 언밸런스가 발생될 수 있다.
     4. 각개 입상 덕트 방식은 호텔,오피스빌딩 등 공기. 수 방식인 덕트병용 팬코일 유닛방식이나 유인 유닛방식 등에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환상덕트 방식은 송풍량의 언밸런스를 개선한 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dalma2018]

46. 다음 그림과 같은 냉수 코일을 설계하고자 한다. 이때 대수평균 온도차 MTD는 얼마인가?(2012년 08월)

    

     1. 10.24℃
     2. 13.36℃
     3. 14.28℃
     4. 15.14℃

     정답 : []
     정답률 : 73%

47. 덕트의 부속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댐퍼는 통과풍량의 조정 또는 개폐에 사용되는 기구이다.
     2. 분기덕트 내의 풍량제어용으로는 주로 익형 댐퍼를 사용한다.
     3. 덕트의 곡부에 있어서 덕트의 곡률 반지름이 덕트의 긴변의 1.5배 이내일 때는 가이드 베인을 설치하여 저항을 적게 한다.
     4. 가이드 베인은 곡부의 기류를 세분해서 와류의 크기를 적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분기덕트내 풍량제어용으로는 주로 스플릿 댐퍼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송풍량 600m3/min을 공급하여 다음의 공기선도와 같이 난방하는 실의 실내부하는? (단, 공기의 비중량은 1.2kg/m3, 비열은 0.24kcal/kgㆍ℃이다.)(2016년 03월)

    

     1. 31,100kcal/h
     2. 94,510kcal/h
     3. 129,600kcal/h
     4. 172,800kcal/h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Qr = G·(h5 - h2) = γ·Q·(h2 - h2)
= 1.2 x 600 x 60 x (13 - 9)
= 172800[kcal/h]
[해설작성자 : 나대로]

49. 고속 덕트의 설계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송풍기 동력이 과대해진다.
     2. 동력비가 증가된다.
     3. 공조용 덕트는 소음의 고려가 필요하지 않다.
     4. 리턴 덕트와 공조기에서는 저속방식과 같은 풍속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50. 온수난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8월)
     1. 온수의 체적팽창을 고려하여 팽창탱크를 설치한다.
     2. 보일러가 정지하여도 실내온도의 급격한 강하가 적다.
     3. 밀폐식일 경우 배관의 부식이 많아 수명이 짧다.
     4. 방열기에 공급되는 온수 온도와 유량 조절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6%

51. 송풍 덕트 내의 정압제어가 필요 없고, 소음발생이 적은 변풍량 유닛은?(2014년 08월)
     1. 유인형
     2. 슬롯형
     3. 바이패스형
     4. 노즐형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변풍량 바이패스유닛형은 실내의 부하 변동시 필요 풍량은 실내로 보내고 나머지는 되돌려 보내는 방식이므로 유니트내 및 덕트에 풍량 변화가 없어서 풍량 변화에 따른 유니트 소음 발생이 적고 덕트 내의 정압 변동이 없다.
[해설작성자 : 풍경소리]

52. 다음 원심송풍기의 풍향제어 방법 중 소요동력이 가장 최소인 방법은?(2006년 08월)
     1. 흡입구 베인 제어
     2. 스크롤 댐퍼제어
     3. 토출측 댐퍼 제어
     4. 회전수 제어

     정답 : []
     정답률 : 75%

53. 중앙공조기(AHU)에서 냉각코일의 용량 결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2011년 03월)
     1. 덕트 부하
     2. 외기 부하
     3. 냉수 배관 부하
     4. 재열 부하

     정답 : []
     정답률 : 58%

54. 실내 난방을 온풍기로 하고 있다. 이 때 실내 현열량 6.5kW, 송풍 공기온도 30℃, 외기온도 -10℃, 실내온도 20℃일 때, 온풍기의 풍량(m3/h)은 얼마인가? (단, 공기비열은 1.005kJ/kgㆍK, 밀도는 1.2kg/m3이다.)(2019년 08월)
     1. 1940.2
     2. 1882.1
     3. 1324.1
     4. 890.1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6.5*3600)/{1.005*1.2*(30-20)} = 1940.2
[해설작성자 : 냉동짱짱]

55. 덕트의 배치 방식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간선덕트 방식은 주덕트인 입상덕트로부터 각 층에서 분기되어 각 취출구로 취출관을 연결한다.
     2. 개별 덕트 방식은 주덕트에서 각개의 취출구로 각개의 덕트를 통해 분산하여 송풍하는 방식으로 각실의 개벽 제어성은 우수하다.
     3. 환상덕트의 방식은 2개의 덕트말단을 루프(loop) 상태로 연결함으로써 덕트말단에 가까운 취출구에서 송풍량의 언밸런스가 발생될 수 있다.
     4. 각개 입상 덕트 방식은 호텔, 오피스빌딩 등 공기ㆍ수 방식인 덕트병용 팬코일 유닛방식이나 유인 유닛방식등에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63%

56. 보일러의 성능과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증발계수는 실제증발량을 환산(상당)증발량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2. 보일러 마력은 매시 100℃의 물 15.65kg을 증기로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이다.
     3. 보일러 효율은 증기에 흡수된 열량과 연료의 발열량과의 비이다.
     4. 보일러 마력을 전열면적으로 표시할 때는 수관 보일러의 전열면적 0.929m2를 1보일러마력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증발계수는 환산증발량을 실제증발량으로 나눈값이다
[해설작성자 : 미스터론]

57. 다음 그림과 같은 외별의 열관류율 값은? (단, 표면 열전달률 ao=20W/m2ㆍK, 표면 열전달률 a1=7.5W/m2ㆍK 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4년 08월)

    

     1. 약 3.03W/m2ㆍK
     2. 약 10.1W/m2ㆍK
     3. 약 12.5W/m2ㆍK
     4. 약 17.7W/m2ㆍK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타일,모르타르,콘크리트,플라스틱의 단위가 잘못되어 있음
Kcal → w 로 바꿔 표시해야 1번으로 답이 나옴
[해설작성자 : 내일모레 공조다]

[관리자 입니다.
문제와 보기는 원본과 동일합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엔플북스,
단위나 문제 내용 다른 것 없이 똑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루루네아빠]

[추가 오류 신고]
이거 그림의 kCal/mh'C를 W/mK라고 생각하고 풀어야 답 1번이 나옵니다
k = 1 / (1/20W/m^2K + 1/7.5W/m^2K + 0.01m/0.76W/mK + 0.03m/1.2W/mK + 0.12m/1.4W/mK + 0.02m/1.2W/mK + 0.003m/0.53W/mK)
    = 3.03W/m^2K
그런데 kCal/mh'C를 W/mK로 환산하면 kCal/mh'C x 10^3W/860kCal/h = 1.16W/m'C = W/mK이라
환산하고 계산(길어서 생략)하면 3.23W/m^2K이 나옵니다.
따라서 그림의 단위가 수정되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8.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5월)
     1. 주철제 보일러는 섹션의 증감으로 용량 조절이 용이하다.
     2. 노통연관 보일러는 증기발생량이 크고, 고압증기를 얻을 수 있다.
     3. 주철제 보일러의 효율은 일반적으로 노통연관식 보일러에 비해 높다.
     4. 노통연관식 보일러는 효율이 높으며, 높이가 낮아서 높은 천장을 요구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48%

59. 부하계산 시 고려되는 지중온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3월)
     1. 지중온도는 지하실 또는 지중배관 등의 열손실을 구하기 위하여 주로 이용된다.
     2. 지중온도는 외기온도 및 일사의 영향에 의해 1일 또는 연간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변한다.
     3. 지중온도는 지표면의 상태변화, 지중의 수분에 따라 변화하나, 토질의 종류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다.
     4. 연간변화에 있어 불역층 이하의 지중온도는 1m 증가함에 따라 0.03~0.05℃씩 상승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60. 냉온수가 팬코일유닛에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역순환방식을 대신하여 설치하는 것은?(2013년 06월)
     1. 체크밸브
     2. 정유량밸브
     3. 앵글밸브
     4. 삼방밸브

     정답 : []
     정답률 : 59%

4과목 : 전기제어공학


61.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전달함수 를 구하면?(2020년 08월)

    

     1. R+Ls+Cs
     2.
     3.
     4.

     정답 : []
     정답률 : 65%

62. 처음에 충전되지 않은 커패시터에 그림과 같은 전류파형이 가해질 때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파형은?(2013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전하량 Q, 정전용량(커패시터 용량) C, 전압 V일 때, Q = C*V
양변을 시간 t에 대해 미분하면
dQ/dt = C * dV/dt
전류의 정의에 의해 전류 i = dQ/dt 이므로
i = C * dV/dt
즉, i값은 V의 시간 변화에 따른 기울기이다.
따라서, i값이 시간 T까지 일정하므로, V의 기울기가 시간 T까지 일정한 1번
(시간 T이후로는 i값이 0이므로, V의 기울기가 0이 된다.)
[해설작성자 : 공조다람]

63. 제동계수 중 최대 초과량이 가장 큰 것은?(2004년 03월)
     1. δ= 0.5
     2. δ= 1
     3. δ= 2
     4. δ= 3

     정답 : []
     정답률 : 62%

64. 그림과 같은 Y결선회로에서 X에 걸리는 전압은?(2011년 06월)

    

     1.
     2.
     3. 110[V]
     4. 220[V]

     정답 : []
     정답률 : 74%

65. 논리식 를 간단히 하면?(2004년 08월)
     1.
     2.
     3. x+y
     4.

     정답 : []
     정답률 : 54%

66. 제어기에 설명 중 틀린 것은?(2014년 03월)
     1. P 제어기 : 잔류편차 발생
     2. I 제어기 : 잔류편차 소멸
     3. D 제어기 : 오차예측제어
     4. PD 제어기 : 응답속도 지연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PD(비례미분) 제어기 : 응답 속응성을 개선
- PID(비례적분미분) 제어 : 가장 안정된 제어 방식
- ON-OFF 제어(2위치 제어) : 사이클링과 오프셋이 발생
[해설작성자 : 정군]

67. 단상변압기 2대를 사용하여 3상 전압을 얻고자하는 결선방법은?(2018년 04월)
     1. Y결선
     2. V결선
     3. Δ결선
     4. Y-Δ결선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단상 변압기 3대 : Δ 결선
단상 변압기 2대 : V 결선
[해설작성자 : amd64]

68. 전기력선의 기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전기력선의 방향은 그 점의 전계의 방향과 일치한다.
     2. 전기력선은 전위가 높은 점에서 낮은 점으로 향한다.
     3. 두 개의 전기력선은 전하가 없는 곳에서 교차한다.
     4. 전기력선의 밀도는 전계의 세기와 같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전기력선은 서로 교차하거나 소멸되지 않는다

69. 전200V에 접속하면 1kW의 전력을 소비하는 부하를 100V의 전원에 접속하면 소비전력은 몇 [W]가 되겠는가?(2014년 03월)
     1. 100
     2. 150
     3. 200
     4. 250

     정답 : []
     정답률 : 59%

70. 다음 중 옴의 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3월)
     1. 저항에 전류가 흐를 때, 전압, 전류, 저항의 관계를 설명해 준다.
     2. 옴의 법칙은 저항으로 전류의 크기를 조절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3. 옴의 법칙은 저항에 의한 전압강하를 설명해 준다.
     4. 옴의 법칙을 이용하여 임피던스에 의한 전압강하는 설명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3%

71. 정전용량이 같은 콘덴서 10개가 있다. 이것을 병렬로 접속할 때의 값은 직렬로 접속할 때의 몇 배가 되는가?(2003년 03월)
     1. 0.1
     2. 1
     3. 10
     4. 100

     정답 : []
     정답률 : 34%

72. 3상 유도전동기의 출력이 5kW, 전압 200V, 역률 80%, 효율이 90%일 때 유입되는 선전류는 약 몇 A인가?(2017년 03월)
     1. 14
     2. 17
     3. 20
     4. 25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3상 유도전동기 출력 P=루트3*V*I*COS세타*효율
I= P/(루트3*200*0.8*0.9)=20.05A
[해설작성자 : 재붐차]

73. 제어 결과로 사이클링(cycling)과 옵셋(offset)을 발생시키는 동작은?(2014년 08월)
     1. on-off 동작
     2. P 동작
     3. I 동작
     4. PI 동작

     정답 : []
     정답률 : 76%

74. 변압기 내부의 저항과 누설리액턴스의 %강하는 3% 및 4% 이다. 부하역률이 지상 60%일 때 이 변압기의 전압변동률은 몇 % 인가?(2012년 03월)
     1. 1.4
     2. 4
     3. 4.8
     4. 5

     정답 : []
     정답률 : 28%

75. 3상 교류에서 a, b, c상에 대한 전압을 기호법으로 표시하면, 로 표시된다. 여기서 라는 페이저 연산자를 이용하면 Ec는 어떻게 표시되는가?(2016년 05월)
     1. Ec = E
     2. Ec = a2E
     3. Ec = aE
     4. Ec = (1/a)E

     정답 : []
     정답률 : 51%

76. r=2Ω인 저항을 그림과 같이 무한히 길게 연결할 때 ab 사이의 합성저항은 몇 Ω 인가?(2003년 08월)

    

     1. 0
     2.
     3. 2
     4. 2(1+√3)

     정답 : []
     정답률 : 44%

77. 그림과 같이 직류 전력을 측정하였다. 가장 정확하게 측정한 전력은? (단, Ri : 전류계의 내부저항, Re : 전압계의 내부저항이다.)(2014년 05월)

    

     1.
     2.
     3. P=EI-2ReI[W]
     4. P=EI-2RiI[W]

     정답 : []
     정답률 : 57%

78. 입력으로 단위계단함수 u(t)를 가했을 때, 출력이 그림과 같은 조절계는?(2003년 03월)

    

     1. 2위치 동작
     2. P 동작
     3. PI동작
     4. PD 동작

     정답 : []
     정답률 : 46%

79. 다음의 중 공정제어(프로세스제어)에 속하지 않는 제어량은?(2014년 03월)
     1. 온도
     2. 압력
     3. 유량
     4. 방위

     정답 : []
     정답률 : 75%

80. 그림에서 3개의 입력단자 모두 1을 입력하면 출력단자 A와 B의 출력은?(2019년 08월)

    

     1. A=0, B=0
     2. A=0, B=1
     3. A=1, B=0
     4. A=1, B=1

     정답 : []
     정답률 : 67%

81. 펌프의 양수량 60m3/min, 전양정 20m일 때, 펌프의 효율이 60%인 벌류트펌프(volute pump)로 구동할 경우 필요한 동력은 약 kW인가?(2014년 05월)
     1. 196.1kW
     2. 200kW
     3. 326.8kW
     4. 405.8kW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000 * 20 * 60 / (102 * 60 * 0.6)
[해설작성자 : 수험생1]

82. 급탕 배관에서 설치되는 팽창관의 설치위치로 적당한 것은?(2017년 05월)
     1. 순환펌프와 가열장치 사이
     2. 가열장치와 고가탱크 사이
     3. 급탕관과 환수관 사이
     4. 반탕관과 순환펌프 사이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급탕 가열로 부피가 늘어난 물이나 공기를 고가탱크로 올려 빼줘야 하므로
급탕배관에서 팽창관의 설치위치는
가열장치〓〓〓〓고가탱크 사이 에 있어야함.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83. 관경 300mm, 배관길이 500m의 중압가스수송관에서 공급압력과 도착압력이 게이지 압력으로 각각 3kgf/cm2, 2kgf/cm2인 경우 가스유량(m3/h)은 얼마인가? (단, 가스비중 0.64, 유량계수 52.31 이다.)(2021년 08월)
     1. 10238
     2. 20583
     3. 38317
     4. 40153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Q=K√((P1^2 - P2^2)D^5 / (SL))
절대압력= 대기압력+게이지압력
P1= 1atm+3kgf/cm2 =4.033227 kgf/cm2
P2    1atm+2kgf/cm2 =3.033227 kgf/cm2
P1^2 - P2^2 = 7.066454
7.066454 x D^5 = 171714832.2
171714832.2/SL = 536608.850625     SL=0.64x500=320
√536608.850625 = 732.5359
K=52.31 K x 732.5359 = 38318.953137
따라서 답은 38317
[해설작성자 : 기계기사 박건호 ]

84. 다음 중 밸브몸통 내에 밸브대를 축으로 하여 원판형태의 디스크가 회전함에 따라 개폐하는 밸브는 무엇인가?(2020년 06월)
     1. 버터플라이 밸브
     2. 슬루스밸브
     3. 앵글밸브
     4. 볼밸브

     정답 : []
     정답률 : 67%

85. 강관의 나사이음 시 관을 절단한 후 관 단면의 안쪽에 생기는 거스러미를 제거할 때 사용하는 공구는?(2020년 06월)
     1. 파이프 바이스
     2. 파이프 리머
     3. 파이프 렌치
     4. 파이프 커터

     정답 : []
     정답률 : 81%

86. 배관 관련 설비 중 공기조화 설비의 구성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8월)
     1. 열원장치
     2. 공기조화기
     3. 환기장치
     4. 트랩장치

     정답 : []
     정답률 : 69%

87. 강관작업에서 아래 그림처럼 15A 나사용 90° 엘보2개를 사용하여 길이가 200mm가 되게 연결작업을 하려고 한다. 이때 실제 15A 강관의 길이는 얼마안가? (단, a : 나사가 물리는 최소길이는 11mm, A : 이음쇠의 중심에서 단면까지의 길이는 27mm로 한다.)(2008년 05월)

    

     1. 142mm
     2. 158mm
     3. 168mm
     4. 176mm

     정답 : []
     정답률 : 60%

88. 강관의 용접 접합법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2021년 05월)
     1. 맞대기용접
     2. 슬리브용접
     3. 플랜지용접
     4. 플라스틴용접

     정답 : []
     정답률 : 73%

89. 증기난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4월)
     1. 저압 증기난방에 사용하는 증기의 압력은 0.15 ~ 0.35kg/cm2정도이다.
     2. 단관 중력 환수식의 경우 증기와 응축수가 역류하지 않도록 선단 하향 구배로 한다.
     3. 환수주관을 보일러 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관한 것은 습식환수관식이다.
     4. 증기의 순환이 가장 빠르며 방열기, 보일러 등의 설치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고 대규모 난방용으로 주로 채택되는 방식은 진공환수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습식환수관식이 아닌 건식환수관식 이다
[해설작성자 : 공조존]

건높 습낮
(건식은 높게, 습식은 낮게)
[해설작성자 : 영진]

90. 온수배관에 대한 기술 중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2004년 05월)
     1. 팽창관에는 밸브를 달지 않는다.
     2. 배관의 최저부에는 배수 밸브를 부착하는 것이 좋다.
     3. 공기밸브는 순환펌프의 흡입측에 부착하는 것이 좋다
     4. 수평관은 팽창탱크를 향하여 올림구배가 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91. 캐비테이션(Cavitation)현상의 발생하는 조건이 아닌 것은?(2014년 03월)
     1. 흡입양정이 지나치게 클 경우
     2. 흡입관의 저항이 증대될 경우
     3. 흡입 유체의 온도가 높은 경우
     4. 흡입관의 압력이 양압인 경우

     정답 : []
     정답률 : 66%

92. 배관계통 중 펌프에서의 공동현상(cavitation)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8월)
     1. 펌프의 설치 위치를 낮춘다.
     2. 회전수를 줄인다.
     3. 양 흡입을 단 흡입으로 바꾼다.
     4. 굴곡부를 적게 하여 흡입관의 마찰손실수두를 작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단흡입을 양흡입으로 바꿔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윤소정]

93. 온수배관 시공 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17년 08월)
     1. 일반적으로 팽창관에는 밸브를 달지 않는다.
     2. 배관의 최저부에는 배수밸브를 부착하는 것이 좋다.
     3. 공기밸브는 순환펌프의 흡입측에 부착하는 것이 좋다.
     4. 수평관은 팽창탱크를 향하여 올림구배가 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온수난방에서 순환펌프의 흡입측은 되도록 밸브를 달지 않는 것이 좋다.
[해설작성자 : 둘리가 좋아]

공기빼기 밸브는 팽창탱크가 공기 배출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 설치한다. 순환펌프 흡입측에는 팽창관과 연결되므로 공기빼기 밸브를 설치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amd64]

#공기밸브를 폄프 흡입측에 부착하면 공기가 유입되므로 토출측에 부착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풍경소리]

94. 루프통기방식에 의해 등가 할 수 있는 기구수와 통기수직관과 최상류 기구까지의 거리로 맞는 것은?(2010년 07월)
     1. 10개 이내, 8.5m 이내
     2. 8개 이내, 7.5m 이내
     3. 10개 이내, 7.5m 이내
     4. 8개 이내, 8.5m 이내

     정답 : []
     정답률 : 44%

95.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급수공급 방식은?(2015년 08월)

    

     1. 층별식 급수 조닝방식
     2. 고가수조방식
     3. 압력수조방식
     4. 부스터방식

     정답 : []
     정답률 : 66%

96. 테이퍼 관용나사의 테이퍼와 나사산의 각도는?(2008년 07월)
     1. 1/32, 60°
     2. 1/32. 55°
     3. 1/16 60°
     4. 1/16, 55"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7. 도시가스의 제조소 및 공급소 밖의 배관 표시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가스배관을 지상에 설치할 경우에는 배관의 표면색상을 황색으로 표시한다.
     2. 최고사용압력이 중압인 가스배관을 매설할 경우에는 황색으로 표시한다.
     3. 배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그 배관이 매설되어 있음을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표시한다.
     4. 배관의 외부에 사용가스명, 최고사용압력 및 가스의 흐름발향을 표시하여야 한다. 다만,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흐름방향을 표시하지 아니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도시가스 배관을 매설하는 경우 최고사용압력이 저압인 가스배관은 황색, 중압인 가스배관은 적색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정군]

98. 동일한 특성을 갖는 원심펌프를 병렬로 연결 운전시 증가하는 것은? (단, 배관의 마찰 저항은 무시한다)(2009년 07월)
     1. 효율
     2. 양정
     3. 유량
     4. 회전수

     정답 : []
     정답률 : 42%

99. 관의 탄성을 이용하여 신축을 흡수하며 옥외 고압배관에 가장 적합한 신축관이음쇠는?(2005년 05월)
     1. 루프 (loop)형
     2. 슬리브 (sleeve)형
     3. 벨로우즈(bellows)형
     4. 스위블조인트(swivel joint)형

     정답 : []
     정답률 : 56%

100. 부하변동에 따라 밸브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만액식 증발기의 액면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2020년 08월)
     1. 에어벤트
     2. 온도식 자동팽창밸브
     3. 감압밸브
     4. 플로트밸브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일단 플로트는 변기의 물 수위 잡아 주는 부레 같은 거라고 생각하면 된다.
만액식 증발기라는건 언제나 증발기 내의 액체가 증발 강도에 따라 일정 수위를 계속 유지시켜야 한다.
[해설작성자 : 나볼라고]


정 답 지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8일)(903127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기계열역학


1. 열전도계수 1.4W/(m·K), 두께 6mm 유리창의 내부 표면 온도는 27°C, 외부 표면 온도는 30°C이다. 외기 온도는 36°C이고 바깥에서 창문에 전달되는 총 복사열전달이 대류열전달의 50배라면, 외기에 의한 대류열전달계수[W/(m2·K)]는 약 얼마인가?(2021년 08월)
     1. 22.9
     2. 11.7
     3. 2.29
     4. 1.17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q''=1.4(30-27)/0.006=700
q''=q''대류+q''복사
q''대류*50=q''복사
q''/51=q''대류
q''대류=13.7
q''대류=h(대류열전달계수)(36-30)
h(대류열전달계수)=2.29
[해설작성자 : 부산대기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유리를 통한 열 유속 q^n = 700W/m^2 , q^n = 51q.conv
q.conv = 700/51 = 13.725W/m^2

대류열전달계수 h.conv = q.conv / (외부표면T - 외기T) = 13.725/-6 = 2.29
로 답은 3번 아닌가요?

2. 800 KPa, 350℃의 수증기를 200KPa로 교축한다. 이 과정에 대하여 운동 에너지의 변화를 무시할 수 있다고 할 때 이 수증기의 Joule-Thomson 계수(K/KPa)는 얼마인가? (단, 교축 후의 온도는 344℃이다.)(2019년 08월)
     1. 0.005
     2. 0.01
     3. 0.02
     4. 0.03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줄-톰슨계수=ΔT/ΔP, (350-344)/(800-200)=0.01
[해설작성자 : 트루러브]

3. 두께 1 cm, 면적 0.5 m2의 석고판의 뒤에 가열판이 부착되어 1000 W의 열을 전달한다. 가열판의 뒤는 완전히 단열되어 열은 앞면으로만 전달된다. 석고판 앞면의 온도는 100℃이다. 석고의 열전도율이 k = 0.79 W/mㆍK일 때 가열 판에 접하는 석고 면의 온도는 약 몇 ℃인가?(2015년 05월)
     1. 110
     2. 125
     3. 150
     4. 212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QL/KA + T     = 1000*0.01/0.79*0.5 = 25.3+100
[해설작성자 : 수험생]

4. 기본 Rankine 사이클의 터빈 출구 엔탈피 htc = 1200kJ/kg, 응축기 방열량 qL = 1000kJ/kg, 펌프 출구 엔탈피 hpe = 210kJ/kg, 보일러 가열량 qH = 1210kJ/kg이다. 이 사이클의 출력일은?(2015년 05월)
     1. 210 kJ/kg
     2. 220 kJ/kg
     3. 230 kJ/kg
     4. 420 kJ/kg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qH-qL=1210-1000= 210
[해설작성자 : 루루네아빠]

5. 100 kPa, 25℃ 상태의 공기가 있다. 이 공기의 엔탈피가 298.615 kJ/kg 이라면 내부에너지는 얼마인가?(단, 공기는 이상기체로 가정한다.)(2011년 08월)
     1. 213.99 kJ/kg
     2. 291.07 kJ/kg
     3. 298.15 kJ/kg
     4. 383.72 kJ/kg

     정답 : []
     정답률 : 49%

6. 카르노 사이클로 작동되는 열기관이 고온체에서 100 kJ 의 열을 받고 있다. 이 기관의 열효율이 30%라면 방출되는 열량은 약 몇 kJ 인가?(2019년 04월)
     1. 30
     2. 50
     3. 60
     4. 70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효율 = Q1-Q2 / Q1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3)x100=7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온도 150℃, 압력 0.5MPa의 공기 0.2kg이 압력이 일정한 과정에서 원래 체적의 2배로 늘어난다. 이 과정에서의 일은 약 몇 kJ인가? (단, 공기는 기체상수가 0.287kJ/(kgㆍK)인 이상기체로 가정한다.)(2018년 04월)
     1. 12.3kJ
     2. 16.5kJ
     3. 20.5kJ
     4. 24.3kJ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02*287*(150+273))/0.5=48.5604/2=24.2802
[해설작성자 : 천강북두]

8. 실린더 지름이 7.5 cm이고, 피스톤 행정이 10 cm인 압축기의 지압선도로부터 구한 평균유효압력이 200 kPa 일 때, 한 사이클당 압축일은 약 몇 J인가?(2012년 08월)
     1. 12.4
     2. 22.4
     3. 88.4
     4. 128.4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한 사이클당 압축일 = 평균유효압력 * 스트로크체적
스트로크체적 = (pi/4)*D^2*L = pi/4    * 0.075^2 *0.1
평균유효압력 * 스트로크체적 = 200000*0.00041786 = 88.4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어떤 냉동사이클의 T-s 선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2011년 06월)

   

     1. 1-2 과정 : 가역단열압축
     2. 2-3 과정 : 등온흡열
     3. 3-4 과정 : 교축과정
     4. 4-1 과정 : 증발기에서 과정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2-3과정은 등온방열 과정이다
[해설작성자 : Amd64]

10. 실린더 내부에 기체가 채워져 있고 실린더에는 피스톤이 끼워져 있다. 초기 압력 50 kPa, 초기 체적 0.05 m3의 기체를 버너로 PV1.4 = constant 가 되도록 가열하여 기체 의 체적이 0.2m3이 되었다면, 이 과정동안에 시스템이 한 일은?(2016년 03월)
     1. 1.33kJ
     2. 2.66kJ
     3. 3.99kJ
     4. 5.32kJ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PV^1.4 = constant <- Polytropic 과정
W = 1/(n-1) x (P1·V1 - P2·V2)
P1·V1^1.4 = P2·V2^1.4
P2 = P1 x (V1/V2)^1.4
= 50 x (0.05/0.2)^1.4 = 7.18[kPa]
W = 1/(1.4-1) x (50 x 0.05 - 7.18 x 0.2)
= 2.66[kJ]
[해설작성자 : 나대로]

11. 20℃의 공기(기체상수 R = 0.287 kJ/kgㆍK, 정압비열 Cp = 1.004 kJ/kgㆍK) 3kg이 압력 0.1MPa에서 등압 팽창하여 부피가 두 배로 되었다. 이 과정에서 공급된 열량은 대략 얼마인가?(2015년 03월)
     1. 약 252 kJ
     2. 약 883 kJ
     3. 약 441 kJ
     4. 약 1765 kJ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T2=T1*2이므로 T2-T1은 293이됨
따라서 3*1.004*293 = 882.51
[해설작성자 : 경험자]

1. Q = m*Cp*(T2 - T1) , T1 = 20℃, T2 = ?
2. T2/T1 = (V1/V2)^(n-1) 에서 등압 과정이므로 n = 0을 대입하면 T2/T1 = (V2/V1) = 2 , 즉, T2 = 2*T1
3. Q = 3 x 1.004 * (293) = 882.516 = 883 KJ
[해설작성자 : 꿀호떡]

12. 체적이 0.01m3인 밀폐용기에 대기압의 포화혼합물이 들어있다. 용기 체적의 반은 포화액체, 나머지반은 포화증기가 차지하고 있다면, 포화혼합물 전체의 질량과 건도는? (단, 대기압에서 포화액체와 포화증기의 비체적은 각각 0.001044 m3/kg, 1.6729m3/kg이다.)(2016년 03월)
     1. 전체질량 : 0.0119kg, 건도 : 0.50
     2. 전체질량 : 0.0119kg, 건도 : 0.00062
     3. 전체질량 : 4.792kg, 건도 : 0.50
     4. 전체질량 : 4.792kg, 건도 : 0.00062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질량 m = V/v
m_ℓ = 0.01 x 1/2 / 0.001044 = 4.7893[kg]
m_v = 0.01 x 1/2 / 1.6729 = 0.0030[kg]
m = 4.7893 + 0.0030 = 4.7923[kg]
건도 x = 증기질량/전체질량 = m_v/m
= 0.0030/4.7923 = 0.000626
[해설작성자 : 나대로]

13. 다음 관계식 중 옳은 것은? (단, 여기서 u는 내부에너지, h는 엔탈피, P는 압력, v는 비체적, T는 온도이다.)(2008년 05월)
     1. h = u + Pv
     2. h = u - Tv
     3. h = u - Pv
     4. h = u + Tv

     정답 : []
     정답률 : 71%

14. 20℃의 공기 5 kg이 정압 과정을 거쳐 체적이 2 배가 되었다. 공급한 열량은 몇 kJ인가? (단, 정압 비열은 1 kJ/kg.K 이다.)(2003년 03월)
     1. 1465
     2. 2465
     3. 3465
     4. 4465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5*29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환산 온도(Tr)와 환산 압력(Pr)을 이용하여 나타낸 다음과 같은 상태방정식이 있다. 어떤물질의 기체상수가 0.189 kJ/kg.K, 임계온도가 305K, 임계압력이 7380 kPa이다. 이 물질의 비체적을 위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20℃, 1000 kPa 상태에서 구하면?(2003년 08월)
     1. 0.0111 m3/kg
     2. 0.0443 m3/kg
     3. 0.0492 m3/kg
     4. 0.0554 m3/kg

     정답 : []
     정답률 : 41%

16. 자연계의 비가역 변화와 관련 있는 법칙은?(2015년 05월)
     1. 제 0법칙
     2. 제 1법칙
     3. 제 2법칙
     4. 제 3법칙

     정답 : []
     정답률 : 64%

17. 대기압하에서 20℃의 물 1kg을 가열하여 같은 압력의 150℃의 과열 증기로 만들었다면, 이때 물의 흡수한 열량은 20℃와 150℃에서 어떠한 양의 차이로 표시되겠는가?(2012년 03월)
     1. 내부에너지
     2. 엔탈피
     3. 엔트로피
     4.

     정답 : []
     정답률 : 47%

18. 다음 설명 중 맞는 것은?(2004년 05월)
     1. 열과 일은 열역학 제 1법칙에만 사용된다.
     2. 순수물질이란 균질하고 깨끗한 물질로 정의한다.
     3. 대기압하의 공기는 순수물질이다.
     4. 압축성계수는 실제 기체의 몰비체적에 대한 이상 기체의 몰비체적의 비율로 정의한다.

     정답 :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2. 순수물질은 내부 어디서나 화학적 조성이 단일, 균일한 물질이다.
3. 균질한 혼합물도 순수물질로 간주하는 해설도 있다. (단, 냉각된 공기 혼합물은 순수물질이 아니다.)
4. 압축성계수는 실제기체 몰비체적/이상기체 몰비체적, 따라서 이상기체 몰비체적에 대한 실제기체의 몰비체적 비율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반데발스(van der Waals)의 상태 방정식은 로 표시된다. 이 식에서 는 각각 무엇을 고려하는 상수인가?(2012년 08월)
     1. 분자간의 작용 인력, 분자간의 거리
     2. 분자간의 작용 인력, 분자 자체의 부피
     3. 분자 자체의 중량, 분자간의 거리
     4. 분자 자체의 중량, 분자 자체의 부피

     정답 : []
     정답률 : 59%

20. 8℃의 이상기체를 가역단열 압축하여 그 체적을 1/5로 하였을 때 기체의 온도는 약 몇 ℃인가? (단, 이 기체의 비열비는 1.4 이다.)(2017년 05월)
     1. -125℃
     2. 294℃
     3. 222℃
     4. 262℃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단열변화 식 T2/T1 = (V1/V2)^(k-1)에서
T2 = T1 x (V1/V2)^(k-1)
     = (8+273) x 5^(1.4-1) = 535[K] = 262[℃]
[해설작성자 : 나대로]

2과목 : 냉동공학


21. 물의 빙정과 비등점 사이에서 역카르노 사이클로 작동되는 냉동기와 열펌프의 성적계수는 각각 다음 중 어느 것인가? (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09년 07월)
     1. 냉동기(εc) : 1.00, 열펌프(εH) : 2.00
     2. 냉동기(εc) : 2.73, 열펌프(εH) : 3.73
     3. 냉동기(εc) : 3.52, 열펌프(εH) : 5.43
     4. 냉동기(εc) : 0.93, 열펌프(εH) : 0.82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냉동기 성적계수 = (273/373-273) = 2.73
열펌프 성적계수 = (373/373-273) = 3.73
정답 = [2]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싶다...]

22. 전열면적 40m2, 냉각수량 300L/min, 열통과율 3140 kJ/m2ㆍhㆍ℃인 수냉식 응축기를 사용하며, 응축부하가 439614 kJ/h일 때 냉각수 입구 온도가 23℃이라면 응축온도(℃)는 얼마인가? (단, 냉각수의 비열은 4.186 kJ/kgㆍK이다.)(2019년 08월)
     1. 29.42℃
     2. 25.92℃
     3. 20.35℃
     4. 18.28℃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T2={응축부하/(열통과율*전열면적)}+입구온도+{응축부하/(2*시간당 냉각수량*냉각수비열)}
[해설작성자 : HJJIN]

23. 어떤 R-22 냉동장치에서 냉매 1kg이 팽창변을 통과하여 5℃의 포화증기로 될 때까지 약 40 kcal의 열을 흡수 하였다. 같은 조건에서 냉동능력이 25000 kcal/h이라면 증발 냉매량은 얼마인가?(2011년 03월)
     1. 387 kg/h
     2. 450 kg/h
     3. 525 kg/h
     4. 625 kg/h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시간당 냉매량 = 전체 냉동능력 / 1kg 당 흡수 열량 = 25000kcal/h / 40kcal / kg = 625kg/h
[해설작성자 : 건전한자]

24. 프레온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장치에 공기가 침입하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2017년 05월)
     1. 고압 압력이 높아지므로 냉매 순환량이 많아지고 냉동능력도 증가한다.
     2. 냉동톤당 소요동력이 증가한다.
     3. 고압 압력은 공기의 분압만큼 낮아진다.
     4. 배출가스의 온도가 상승하므로 응축기의 열통과율이 높아지고 냉동능력도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25. 다음 사항은 증발기의 구조와 작용에 대해 설명한 것이다 이 중 옳은 것은?(2003년 08월)
     1. 동일 운전상태에서는 만액식 증발기가 건식 증발기 보다 열통과율이 나쁘다.
     2. 만액식 증발기에서 부하가 커지면 냉매 순환량이 작아진다.
     3. 건식 증발기는 주로 온도식 팽창밸브와 모세관을 팽창밸브로 사용한다.
     4. 증발기의 냉각능력은 전열면적이 작을 수록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2번 부하가 커지면 냉매순환량은 많아진다 과열도가 커지면 냉매순환량은 적어진다
3번 건식증발기는 온도식,모세관,정압식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dalma2018]

26. 온도식 자동팽창 밸브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2014년 03월)
     1. 주로 암모니아 냉동장치에 사용한다.
     2. 감온통의 설치는 액가스 열교환기가 있을 경우에는 증발기 쪽에 밀착하여 설치한다.
     3. 부하변동에 따라 냉매유량 제어가 가능하다.
     4. 내부균압형과 외부균압형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온도식 자동팽창 밸브는 프레온 냉동장치에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ㄱㅁㄹ]

암모니아는 토출온도가 100도이상으로 감온통 설치 불가
[해설작성자 : 포브]

27. 고압가스 제상장치에서 필요 없는 것은?(2013년 06월)
     1. 압축기
     2. 팽창밸브
     3. 응축기
     4. 열교환기

     정답 : []
     정답률 : 54%

28. 40RT의 브라인 쿠울러에서 입구온도 -15℃일 때 브라인의 유량이 0.5m3/min이라면 출구의 온도는 몇℃인가? (단,브라인의 비중은 1.27,비열은 0.66kcal/kg℃이다.)(2003년 03월)
     1. -20.28
     2. -16.75
     3. -11.21
     4. -9.72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냉동능력=질량유량*비열*입출구온도차
40*3320=(0.5*60*1270)*0.66*입출구온도차
입출구온도차=5.28
-15-5.28=-20.28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9. 압축 냉동 사이클에서 응축온도가 일정할 때 증발온도가 낮아지면 일어나는 현상 중 틀린 것은?(2013년 03월)
     1. 압축일의 열당량 증가
     2. 압축기 토출가스 온도 상승
     3. 성적계수 감소
     4. 냉매순환량 증가

     정답 : []
     정답률 : 65%

30. 흡수식 냉동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8월)
     1. 흡수식 냉동기는 열의 공급과 냉각으로 냉매와 흡수제가 함께 분리되고 섞이는 형태로 사이클을 이룬다.
     2. 냉매가 암모니아일 경우에는 흡수제로 리튬브로마이드(LiBr)를 사용한다.
     3.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 사용 시 재료에 대한 부식성 문제로 용액에 미량의 부식억제제를 첨가한다.
     4. 압축식에 비해 열효율이 나쁘며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냉매가 Ammonia(NH3)일 경우 흡수제로 물(H2O)을 사용.
냉매가 물(H2O)일때 흡수제로 Lithium Bromide(LiBr)를 사용.
[해설작성자 : 나대로]

31. 스크류 압축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3월)
     1. 흡입밸브와 피스톤을 사용하지 않아 장시간의 연속운전이 가능하다.
     2. 압축기의 행정은 흡입, 압축, 토출행정의 3행정이다.
     3. 회전수가 3500rpm 정도의 고속회전임에도 소음이 적으며, 유지보수에 특별한 기술이 없어도 된다.
     4. 10~100%의 무단계 용량제어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0%

32. 냉동기유의 역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8월)
     1. 윤활 작용
     2. 냉각 작용
     3. 탄화 작용
     4. 밀봉 작용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냉동기유 역할
윤활작용 , 누설방지(밀봉)작용 , 냉각작용 , 방청작용 , 소음방지 , 청정작용
[해설작성자 : 공조웃는사람]

33. 암모니아 냉동기의 배관재료로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배관용 탄소강 강관
     2. 동합금관
     3. 압력배관용 탄소강 강관
     4. 스테인리스 강관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암모니아는 동을 부식 시킨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다음은 h-x(엔탈피 – 농도)선도에 흡수식 냉동기의 사이클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흡수사이클을 나타내는 것으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a - b - g - h - a
     2. a - c - f - h - a
     3. b - c - f - g - b
     4. b - d - e - g - b

     정답 : []
     정답률 : 62%

35. 일원 냉동사이클과 다원 냉동사이클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2003년 08월)
     1. 압축기의 대수
     2. 증발기의 수
     3. 냉동장치내의 냉매 종류
     4. 중간냉각기의 유무(有無)

     정답 : []
     정답률 : 69%

36. 10 US RT는 몇 kcal/h인가?(2006년 03월)
     1. 3024
     2. 3320
     3. 33200
     4. 30240

     정답 : []
     정답률 : 54%

37. R - 22를 사용하는 냉동장치에 R - 12를 사용하려 한다. 다음에서 틀린 것은?(2003년 08월)
     1. 냉매의 능력이 변하므로 전동기 용량이 충분한가 확인한다.
     2. 응축기, 증발기 용량이 충분한가 확인한다.
     3. 가스켓,시일 등의 패킹 선정에 유의해야 한다.
     4. 동일 탄화수소계 냉매이므로 그대로 운전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6%

38. 히트 파이프의 특징으로 들린 것은?(2009년 05월)
     1. 등온성이 풍부하고 온도상승이 빠르다.
     2. 국부 부하의 변동이 강하고 열 유속의 변동이 가능하다.
     3. 사용온도 영역에 제한이 없으며 압력손실이 크다.
     4. 적은 온도차에서 장거리 열수송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6%

39. 2원 냉동 사이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100℃정도의 저온을 얻고자 할 때 사용되며, 보통 저온측에는 임계점이 높은 냉매를, 고온측에는 임계점이 낮은 냉매를 사용한다.
     2. 저온부 냉동사이클의 응축기 방열량을 고온부 냉동 사이클의 증발기가 흡열하도록 되어있다.
     3. 일반적으로 저온측에 사용하는 냉매는 R-12, R-22, 프로판 등이다.
     4. 일반적으로 고온측에 사용하는 냉매는 R-13, R-14 등이다.

     정답 : []
     정답률 : 59%

40. 체적효율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 것은?(2008년 07월)
     1. 클리어런스(clearance)가 적음
     2. 흡입ㆍ토출밸브 누설
     3. 실린더 피스톤 과열
     4. 회전속도가 빨라질 경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과목 : 공기조화


41. 난방부하가 6500kcal/hr인 어떤 방에 대해 온수난방을 하고자 한다. 방열기의 상당방 열면적(m2)은?(2018년 04월)
     1. 6.7
     2. 8.4
     3. 10
     4. 14.4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온수난방의 표준발열량은 450kcal/m2h 이므로
6500/450 = 14.4m2

42. 환기와 배연설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8년 07월)
     1. 환기란 실내의 공기의 정화, 발생열의 제거, 산소의 공급 및 수증기 제거 등을 목적으로 한다.
     2. 환기는 급기 및 배기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3. 환기는 자연환기방식과 기계환기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4. 배연설비의 주 목적은 화재 후기에 발생하는 연기만을 제거하기 위한 설비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3. 실내 설계온도 26℃인 사무실의 실내유효 현열부하는 20.42kW, 실내유효 잠열부하는 4.27kW 이다. 냉각코일의 장치노점온도는 13.5℃, 바이패스 팩터가 0.1일 때, 송풍량(L/s)은? (단, 공기의 밀도는 1.2kg/m3, 정압비열은 1.006kJ/kgㆍK이다.)(2018년 04월)
     1. 1350
     2. 1503
     3. 12530
     4. 13532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송풍량Q = qs /(rho*Cp*delT*CF) = 20.42*10^3 / (1.2*1.006*(26-13.5)*(1-0.1)) = 1503
CF는 콘택트 팩터로 공기가 코일에 접촉한 비율이다.(CF = 1- BF)
[해설작성자 : 한기대 화이팅]

44. 다음의 냉방 부하 중 실내 취득 열량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8년 07월)
     1. 인체의 발생 열량
     2. 조영 기기에 의한 열량
     3. 송풍기에 의한 취득열량
     4. 벽체로부터의 취득열량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5. 덕트의 배치 방식 중 틀린 것은?(2004년 05월)
     1. 간선덕트 방식은 주덕트인 입상덕트로 부터 각 층에서 분기되어 각 취출구로 취출관을 연결한다.
     2. 개별 덕트 방식은 주덕트에서 각각의 취출구로 각각의 덕트를 통해 분산하여 송풍하는 방식으로 각실의 개별 제어성은 우수하다.
     3. 환상덕트 방식은 2개의 덕트말단을 루프(loop) 상태로 연결함으로써 덕트말단에 가까운 취출구에서 송풍량의 언밸런스가 발생될 수 있다.
     4. 각개 입상 덕트 방식은 호텔,오피스빌딩 등 공기. 수 방식인 덕트병용 팬코일 유닛방식이나 유인 유닛방식 등에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환상덕트 방식은 송풍량의 언밸런스를 개선한 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dalma2018]

46. 다음 그림과 같은 냉수 코일을 설계하고자 한다. 이때 대수평균 온도차 MTD는 얼마인가?(2012년 08월)

    

     1. 10.24℃
     2. 13.36℃
     3. 14.28℃
     4. 15.14℃

     정답 : []
     정답률 : 73%

47. 덕트의 부속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댐퍼는 통과풍량의 조정 또는 개폐에 사용되는 기구이다.
     2. 분기덕트 내의 풍량제어용으로는 주로 익형 댐퍼를 사용한다.
     3. 덕트의 곡부에 있어서 덕트의 곡률 반지름이 덕트의 긴변의 1.5배 이내일 때는 가이드 베인을 설치하여 저항을 적게 한다.
     4. 가이드 베인은 곡부의 기류를 세분해서 와류의 크기를 적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분기덕트내 풍량제어용으로는 주로 스플릿 댐퍼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송풍량 600m3/min을 공급하여 다음의 공기선도와 같이 난방하는 실의 실내부하는? (단, 공기의 비중량은 1.2kg/m3, 비열은 0.24kcal/kgㆍ℃이다.)(2016년 03월)

    

     1. 31,100kcal/h
     2. 94,510kcal/h
     3. 129,600kcal/h
     4. 172,800kcal/h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Qr = G·(h5 - h2) = γ·Q·(h2 - h2)
= 1.2 x 600 x 60 x (13 - 9)
= 172800[kcal/h]
[해설작성자 : 나대로]

49. 고속 덕트의 설계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송풍기 동력이 과대해진다.
     2. 동력비가 증가된다.
     3. 공조용 덕트는 소음의 고려가 필요하지 않다.
     4. 리턴 덕트와 공조기에서는 저속방식과 같은 풍속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50. 온수난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8월)
     1. 온수의 체적팽창을 고려하여 팽창탱크를 설치한다.
     2. 보일러가 정지하여도 실내온도의 급격한 강하가 적다.
     3. 밀폐식일 경우 배관의 부식이 많아 수명이 짧다.
     4. 방열기에 공급되는 온수 온도와 유량 조절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6%

51. 송풍 덕트 내의 정압제어가 필요 없고, 소음발생이 적은 변풍량 유닛은?(2014년 08월)
     1. 유인형
     2. 슬롯형
     3. 바이패스형
     4. 노즐형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변풍량 바이패스유닛형은 실내의 부하 변동시 필요 풍량은 실내로 보내고 나머지는 되돌려 보내는 방식이므로 유니트내 및 덕트에 풍량 변화가 없어서 풍량 변화에 따른 유니트 소음 발생이 적고 덕트 내의 정압 변동이 없다.
[해설작성자 : 풍경소리]

52. 다음 원심송풍기의 풍향제어 방법 중 소요동력이 가장 최소인 방법은?(2006년 08월)
     1. 흡입구 베인 제어
     2. 스크롤 댐퍼제어
     3. 토출측 댐퍼 제어
     4. 회전수 제어

     정답 : []
     정답률 : 75%

53. 중앙공조기(AHU)에서 냉각코일의 용량 결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2011년 03월)
     1. 덕트 부하
     2. 외기 부하
     3. 냉수 배관 부하
     4. 재열 부하

     정답 : []
     정답률 : 58%

54. 실내 난방을 온풍기로 하고 있다. 이 때 실내 현열량 6.5kW, 송풍 공기온도 30℃, 외기온도 -10℃, 실내온도 20℃일 때, 온풍기의 풍량(m3/h)은 얼마인가? (단, 공기비열은 1.005kJ/kgㆍK, 밀도는 1.2kg/m3이다.)(2019년 08월)
     1. 1940.2
     2. 1882.1
     3. 1324.1
     4. 890.1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6.5*3600)/{1.005*1.2*(30-20)} = 1940.2
[해설작성자 : 냉동짱짱]

55. 덕트의 배치 방식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간선덕트 방식은 주덕트인 입상덕트로부터 각 층에서 분기되어 각 취출구로 취출관을 연결한다.
     2. 개별 덕트 방식은 주덕트에서 각개의 취출구로 각개의 덕트를 통해 분산하여 송풍하는 방식으로 각실의 개벽 제어성은 우수하다.
     3. 환상덕트의 방식은 2개의 덕트말단을 루프(loop) 상태로 연결함으로써 덕트말단에 가까운 취출구에서 송풍량의 언밸런스가 발생될 수 있다.
     4. 각개 입상 덕트 방식은 호텔, 오피스빌딩 등 공기ㆍ수 방식인 덕트병용 팬코일 유닛방식이나 유인 유닛방식등에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63%

56. 보일러의 성능과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증발계수는 실제증발량을 환산(상당)증발량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2. 보일러 마력은 매시 100℃의 물 15.65kg을 증기로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이다.
     3. 보일러 효율은 증기에 흡수된 열량과 연료의 발열량과의 비이다.
     4. 보일러 마력을 전열면적으로 표시할 때는 수관 보일러의 전열면적 0.929m2를 1보일러마력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증발계수는 환산증발량을 실제증발량으로 나눈값이다
[해설작성자 : 미스터론]

57. 다음 그림과 같은 외별의 열관류율 값은? (단, 표면 열전달률 ao=20W/m2ㆍK, 표면 열전달률 a1=7.5W/m2ㆍK 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4년 08월)

    

     1. 약 3.03W/m2ㆍK
     2. 약 10.1W/m2ㆍK
     3. 약 12.5W/m2ㆍK
     4. 약 17.7W/m2ㆍK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타일,모르타르,콘크리트,플라스틱의 단위가 잘못되어 있음
Kcal → w 로 바꿔 표시해야 1번으로 답이 나옴
[해설작성자 : 내일모레 공조다]

[관리자 입니다.
문제와 보기는 원본과 동일합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엔플북스,
단위나 문제 내용 다른 것 없이 똑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루루네아빠]

[추가 오류 신고]
이거 그림의 kCal/mh'C를 W/mK라고 생각하고 풀어야 답 1번이 나옵니다
k = 1 / (1/20W/m^2K + 1/7.5W/m^2K + 0.01m/0.76W/mK + 0.03m/1.2W/mK + 0.12m/1.4W/mK + 0.02m/1.2W/mK + 0.003m/0.53W/mK)
    = 3.03W/m^2K
그런데 kCal/mh'C를 W/mK로 환산하면 kCal/mh'C x 10^3W/860kCal/h = 1.16W/m'C = W/mK이라
환산하고 계산(길어서 생략)하면 3.23W/m^2K이 나옵니다.
따라서 그림의 단위가 수정되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8.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5월)
     1. 주철제 보일러는 섹션의 증감으로 용량 조절이 용이하다.
     2. 노통연관 보일러는 증기발생량이 크고, 고압증기를 얻을 수 있다.
     3. 주철제 보일러의 효율은 일반적으로 노통연관식 보일러에 비해 높다.
     4. 노통연관식 보일러는 효율이 높으며, 높이가 낮아서 높은 천장을 요구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48%

59. 부하계산 시 고려되는 지중온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3월)
     1. 지중온도는 지하실 또는 지중배관 등의 열손실을 구하기 위하여 주로 이용된다.
     2. 지중온도는 외기온도 및 일사의 영향에 의해 1일 또는 연간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변한다.
     3. 지중온도는 지표면의 상태변화, 지중의 수분에 따라 변화하나, 토질의 종류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다.
     4. 연간변화에 있어 불역층 이하의 지중온도는 1m 증가함에 따라 0.03~0.05℃씩 상승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60. 냉온수가 팬코일유닛에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역순환방식을 대신하여 설치하는 것은?(2013년 06월)
     1. 체크밸브
     2. 정유량밸브
     3. 앵글밸브
     4. 삼방밸브

     정답 : []
     정답률 : 59%

4과목 : 전기제어공학


61.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전달함수 를 구하면?(2020년 08월)

    

     1. R+Ls+Cs
     2.
     3.
     4.

     정답 : []
     정답률 : 65%

62. 처음에 충전되지 않은 커패시터에 그림과 같은 전류파형이 가해질 때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파형은?(2013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전하량 Q, 정전용량(커패시터 용량) C, 전압 V일 때, Q = C*V
양변을 시간 t에 대해 미분하면
dQ/dt = C * dV/dt
전류의 정의에 의해 전류 i = dQ/dt 이므로
i = C * dV/dt
즉, i값은 V의 시간 변화에 따른 기울기이다.
따라서, i값이 시간 T까지 일정하므로, V의 기울기가 시간 T까지 일정한 1번
(시간 T이후로는 i값이 0이므로, V의 기울기가 0이 된다.)
[해설작성자 : 공조다람]

63. 제동계수 중 최대 초과량이 가장 큰 것은?(2004년 03월)
     1. δ= 0.5
     2. δ= 1
     3. δ= 2
     4. δ= 3

     정답 : []
     정답률 : 62%

64. 그림과 같은 Y결선회로에서 X에 걸리는 전압은?(2011년 06월)

    

     1.
     2.
     3. 110[V]
     4. 220[V]

     정답 : []
     정답률 : 74%

65. 논리식 를 간단히 하면?(2004년 08월)
     1.
     2.
     3. x+y
     4.

     정답 : []
     정답률 : 54%

66. 제어기에 설명 중 틀린 것은?(2014년 03월)
     1. P 제어기 : 잔류편차 발생
     2. I 제어기 : 잔류편차 소멸
     3. D 제어기 : 오차예측제어
     4. PD 제어기 : 응답속도 지연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PD(비례미분) 제어기 : 응답 속응성을 개선
- PID(비례적분미분) 제어 : 가장 안정된 제어 방식
- ON-OFF 제어(2위치 제어) : 사이클링과 오프셋이 발생
[해설작성자 : 정군]

67. 단상변압기 2대를 사용하여 3상 전압을 얻고자하는 결선방법은?(2018년 04월)
     1. Y결선
     2. V결선
     3. Δ결선
     4. Y-Δ결선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단상 변압기 3대 : Δ 결선
단상 변압기 2대 : V 결선
[해설작성자 : amd64]

68. 전기력선의 기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전기력선의 방향은 그 점의 전계의 방향과 일치한다.
     2. 전기력선은 전위가 높은 점에서 낮은 점으로 향한다.
     3. 두 개의 전기력선은 전하가 없는 곳에서 교차한다.
     4. 전기력선의 밀도는 전계의 세기와 같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전기력선은 서로 교차하거나 소멸되지 않는다

69. 전200V에 접속하면 1kW의 전력을 소비하는 부하를 100V의 전원에 접속하면 소비전력은 몇 [W]가 되겠는가?(2014년 03월)
     1. 100
     2. 150
     3. 200
     4. 250

     정답 : []
     정답률 : 59%

70. 다음 중 옴의 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3월)
     1. 저항에 전류가 흐를 때, 전압, 전류, 저항의 관계를 설명해 준다.
     2. 옴의 법칙은 저항으로 전류의 크기를 조절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3. 옴의 법칙은 저항에 의한 전압강하를 설명해 준다.
     4. 옴의 법칙을 이용하여 임피던스에 의한 전압강하는 설명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3%

71. 정전용량이 같은 콘덴서 10개가 있다. 이것을 병렬로 접속할 때의 값은 직렬로 접속할 때의 몇 배가 되는가?(2003년 03월)
     1. 0.1
     2. 1
     3. 10
     4. 100

     정답 : []
     정답률 : 34%

72. 3상 유도전동기의 출력이 5kW, 전압 200V, 역률 80%, 효율이 90%일 때 유입되는 선전류는 약 몇 A인가?(2017년 03월)
     1. 14
     2. 17
     3. 20
     4. 25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3상 유도전동기 출력 P=루트3*V*I*COS세타*효율
I= P/(루트3*200*0.8*0.9)=20.05A
[해설작성자 : 재붐차]

73. 제어 결과로 사이클링(cycling)과 옵셋(offset)을 발생시키는 동작은?(2014년 08월)
     1. on-off 동작
     2. P 동작
     3. I 동작
     4. PI 동작

     정답 : []
     정답률 : 76%

74. 변압기 내부의 저항과 누설리액턴스의 %강하는 3% 및 4% 이다. 부하역률이 지상 60%일 때 이 변압기의 전압변동률은 몇 % 인가?(2012년 03월)
     1. 1.4
     2. 4
     3. 4.8
     4. 5

     정답 : []
     정답률 : 28%

75. 3상 교류에서 a, b, c상에 대한 전압을 기호법으로 표시하면, 로 표시된다. 여기서 라는 페이저 연산자를 이용하면 Ec는 어떻게 표시되는가?(2016년 05월)
     1. Ec = E
     2. Ec = a2E
     3. Ec = aE
     4. Ec = (1/a)E

     정답 : []
     정답률 : 51%

76. r=2Ω인 저항을 그림과 같이 무한히 길게 연결할 때 ab 사이의 합성저항은 몇 Ω 인가?(2003년 08월)

    

     1. 0
     2.
     3. 2
     4. 2(1+√3)

     정답 : []
     정답률 : 44%

77. 그림과 같이 직류 전력을 측정하였다. 가장 정확하게 측정한 전력은? (단, Ri : 전류계의 내부저항, Re : 전압계의 내부저항이다.)(2014년 05월)

    

     1.
     2.
     3. P=EI-2ReI[W]
     4. P=EI-2RiI[W]

     정답 : []
     정답률 : 57%

78. 입력으로 단위계단함수 u(t)를 가했을 때, 출력이 그림과 같은 조절계는?(2003년 03월)

    

     1. 2위치 동작
     2. P 동작
     3. PI동작
     4. PD 동작

     정답 : []
     정답률 : 46%

79. 다음의 중 공정제어(프로세스제어)에 속하지 않는 제어량은?(2014년 03월)
     1. 온도
     2. 압력
     3. 유량
     4. 방위

     정답 : []
     정답률 : 75%

80. 그림에서 3개의 입력단자 모두 1을 입력하면 출력단자 A와 B의 출력은?(2019년 08월)

    

     1. A=0, B=0
     2. A=0, B=1
     3. A=1, B=0
     4. A=1, B=1

     정답 : []
     정답률 : 67%

81. 펌프의 양수량 60m3/min, 전양정 20m일 때, 펌프의 효율이 60%인 벌류트펌프(volute pump)로 구동할 경우 필요한 동력은 약 kW인가?(2014년 05월)
     1. 196.1kW
     2. 200kW
     3. 326.8kW
     4. 405.8kW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000 * 20 * 60 / (102 * 60 * 0.6)
[해설작성자 : 수험생1]

82. 급탕 배관에서 설치되는 팽창관의 설치위치로 적당한 것은?(2017년 05월)
     1. 순환펌프와 가열장치 사이
     2. 가열장치와 고가탱크 사이
     3. 급탕관과 환수관 사이
     4. 반탕관과 순환펌프 사이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급탕 가열로 부피가 늘어난 물이나 공기를 고가탱크로 올려 빼줘야 하므로
급탕배관에서 팽창관의 설치위치는
가열장치〓〓〓〓고가탱크 사이 에 있어야함.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83. 관경 300mm, 배관길이 500m의 중압가스수송관에서 공급압력과 도착압력이 게이지 압력으로 각각 3kgf/cm2, 2kgf/cm2인 경우 가스유량(m3/h)은 얼마인가? (단, 가스비중 0.64, 유량계수 52.31 이다.)(2021년 08월)
     1. 10238
     2. 20583
     3. 38317
     4. 40153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Q=K√((P1^2 - P2^2)D^5 / (SL))
절대압력= 대기압력+게이지압력
P1= 1atm+3kgf/cm2 =4.033227 kgf/cm2
P2    1atm+2kgf/cm2 =3.033227 kgf/cm2
P1^2 - P2^2 = 7.066454
7.066454 x D^5 = 171714832.2
171714832.2/SL = 536608.850625     SL=0.64x500=320
√536608.850625 = 732.5359
K=52.31 K x 732.5359 = 38318.953137
따라서 답은 38317
[해설작성자 : 기계기사 박건호 ]

84. 다음 중 밸브몸통 내에 밸브대를 축으로 하여 원판형태의 디스크가 회전함에 따라 개폐하는 밸브는 무엇인가?(2020년 06월)
     1. 버터플라이 밸브
     2. 슬루스밸브
     3. 앵글밸브
     4. 볼밸브

     정답 : []
     정답률 : 67%

85. 강관의 나사이음 시 관을 절단한 후 관 단면의 안쪽에 생기는 거스러미를 제거할 때 사용하는 공구는?(2020년 06월)
     1. 파이프 바이스
     2. 파이프 리머
     3. 파이프 렌치
     4. 파이프 커터

     정답 : []
     정답률 : 81%

86. 배관 관련 설비 중 공기조화 설비의 구성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8월)
     1. 열원장치
     2. 공기조화기
     3. 환기장치
     4. 트랩장치

     정답 : []
     정답률 : 69%

87. 강관작업에서 아래 그림처럼 15A 나사용 90° 엘보2개를 사용하여 길이가 200mm가 되게 연결작업을 하려고 한다. 이때 실제 15A 강관의 길이는 얼마안가? (단, a : 나사가 물리는 최소길이는 11mm, A : 이음쇠의 중심에서 단면까지의 길이는 27mm로 한다.)(2008년 05월)

    

     1. 142mm
     2. 158mm
     3. 168mm
     4. 176mm

     정답 : []
     정답률 : 60%

88. 강관의 용접 접합법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2021년 05월)
     1. 맞대기용접
     2. 슬리브용접
     3. 플랜지용접
     4. 플라스틴용접

     정답 : []
     정답률 : 73%

89. 증기난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4월)
     1. 저압 증기난방에 사용하는 증기의 압력은 0.15 ~ 0.35kg/cm2정도이다.
     2. 단관 중력 환수식의 경우 증기와 응축수가 역류하지 않도록 선단 하향 구배로 한다.
     3. 환수주관을 보일러 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관한 것은 습식환수관식이다.
     4. 증기의 순환이 가장 빠르며 방열기, 보일러 등의 설치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고 대규모 난방용으로 주로 채택되는 방식은 진공환수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습식환수관식이 아닌 건식환수관식 이다
[해설작성자 : 공조존]

건높 습낮
(건식은 높게, 습식은 낮게)
[해설작성자 : 영진]

90. 온수배관에 대한 기술 중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2004년 05월)
     1. 팽창관에는 밸브를 달지 않는다.
     2. 배관의 최저부에는 배수 밸브를 부착하는 것이 좋다.
     3. 공기밸브는 순환펌프의 흡입측에 부착하는 것이 좋다
     4. 수평관은 팽창탱크를 향하여 올림구배가 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91. 캐비테이션(Cavitation)현상의 발생하는 조건이 아닌 것은?(2014년 03월)
     1. 흡입양정이 지나치게 클 경우
     2. 흡입관의 저항이 증대될 경우
     3. 흡입 유체의 온도가 높은 경우
     4. 흡입관의 압력이 양압인 경우

     정답 : []
     정답률 : 66%

92. 배관계통 중 펌프에서의 공동현상(cavitation)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8월)
     1. 펌프의 설치 위치를 낮춘다.
     2. 회전수를 줄인다.
     3. 양 흡입을 단 흡입으로 바꾼다.
     4. 굴곡부를 적게 하여 흡입관의 마찰손실수두를 작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단흡입을 양흡입으로 바꿔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윤소정]

93. 온수배관 시공 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17년 08월)
     1. 일반적으로 팽창관에는 밸브를 달지 않는다.
     2. 배관의 최저부에는 배수밸브를 부착하는 것이 좋다.
     3. 공기밸브는 순환펌프의 흡입측에 부착하는 것이 좋다.
     4. 수평관은 팽창탱크를 향하여 올림구배가 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온수난방에서 순환펌프의 흡입측은 되도록 밸브를 달지 않는 것이 좋다.
[해설작성자 : 둘리가 좋아]

공기빼기 밸브는 팽창탱크가 공기 배출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 설치한다. 순환펌프 흡입측에는 팽창관과 연결되므로 공기빼기 밸브를 설치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amd64]

#공기밸브를 폄프 흡입측에 부착하면 공기가 유입되므로 토출측에 부착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풍경소리]

94. 루프통기방식에 의해 등가 할 수 있는 기구수와 통기수직관과 최상류 기구까지의 거리로 맞는 것은?(2010년 07월)
     1. 10개 이내, 8.5m 이내
     2. 8개 이내, 7.5m 이내
     3. 10개 이내, 7.5m 이내
     4. 8개 이내, 8.5m 이내

     정답 : []
     정답률 : 44%

95.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급수공급 방식은?(2015년 08월)

    

     1. 층별식 급수 조닝방식
     2. 고가수조방식
     3. 압력수조방식
     4. 부스터방식

     정답 : []
     정답률 : 66%

96. 테이퍼 관용나사의 테이퍼와 나사산의 각도는?(2008년 07월)
     1. 1/32, 60°
     2. 1/32. 55°
     3. 1/16 60°
     4. 1/16, 55"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7. 도시가스의 제조소 및 공급소 밖의 배관 표시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가스배관을 지상에 설치할 경우에는 배관의 표면색상을 황색으로 표시한다.
     2. 최고사용압력이 중압인 가스배관을 매설할 경우에는 황색으로 표시한다.
     3. 배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그 배관이 매설되어 있음을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표시한다.
     4. 배관의 외부에 사용가스명, 최고사용압력 및 가스의 흐름발향을 표시하여야 한다. 다만,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흐름방향을 표시하지 아니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도시가스 배관을 매설하는 경우 최고사용압력이 저압인 가스배관은 황색, 중압인 가스배관은 적색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정군]

98. 동일한 특성을 갖는 원심펌프를 병렬로 연결 운전시 증가하는 것은? (단, 배관의 마찰 저항은 무시한다)(2009년 07월)
     1. 효율
     2. 양정
     3. 유량
     4. 회전수

     정답 : []
     정답률 : 42%

99. 관의 탄성을 이용하여 신축을 흡수하며 옥외 고압배관에 가장 적합한 신축관이음쇠는?(2005년 05월)
     1. 루프 (loop)형
     2. 슬리브 (sleeve)형
     3. 벨로우즈(bellows)형
     4. 스위블조인트(swivel joint)형

     정답 : []
     정답률 : 56%

100. 부하변동에 따라 밸브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만액식 증발기의 액면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2020년 08월)
     1. 에어벤트
     2. 온도식 자동팽창밸브
     3. 감압밸브
     4. 플로트밸브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일단 플로트는 변기의 물 수위 잡아 주는 부레 같은 거라고 생각하면 된다.
만액식 증발기라는건 언제나 증발기 내의 액체가 증발 강도에 따라 일정 수위를 계속 유지시켜야 한다.
[해설작성자 : 나볼라고]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8일)(9031274)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68 응용지질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9일)(81269) 좋은아빠되기 2025.11.09 3
126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12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6
1266 수능(한국근ㆍ현대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4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4
126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2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4
1264 한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9일)(1316701) 좋은아빠되기 2025.11.09 6
1263 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4
1262 생산자동화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7월16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9 2
1261 전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10월10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9 4
1260 산업보건지도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3월2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2
1259 항공장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1년04월29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9 4
1258 9급 국가직 공무원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7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4
1257 제과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3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1256 방송통신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9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4
1255 9급 지방직 공무원 영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1254 설비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10월20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9 3
1253 경찰공무원(순경) 영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4
1252 사회복지사 1급(3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1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4
125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동차구조원리(유공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3
125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유공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3
1249 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1월30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5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103 Next
/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