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8일)(182409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물리해양학


1. 염분과 염소량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염소량 = 0.03+1.805×염분량
     2. 염소량 = 0.03×1.805×염분량
     3. 염분 = 1.80655×염소량
     4. 염분 = 0.03×1.80655×염소량

     정답 : []
     정답률 : 87%

2. 평형조석론(The Equilibrium Theory of Tides)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대조와 소조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2. 전 세계의 조차는 모두 같다.
     3. 조석파의 전파를 설명할 수 있다.
     4. Laplace의 이론이다.

     정답 : []
     정답률 : 87%

3. 다음 중 직접 해류측정이 가능한 기기는?(2007년 05월)
     1. ADCP
     2. CTD
     3. NOAA-11
     4. Echo-Sounder

     정답 : []
     정답률 : 93%

4. 해양에서 수심에 따른 밀도의 변화폭이 급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은?(2018년 04월)
     1. Halocline
     2. Pycnocline
     3. Thermocline
     4. SOFAR Chennel

     정답 : []
     정답률 : 79%

5. 파의 주기(T), 파장(L), 파속(C), 각주파수(W), 파수(wave number, K)의 관계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6%

6. 다음 해류관측 방법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6년 05월)
     1. 알고스(Argos) 부이를 이용하는 것은 오일러(Euler) 방법이다.
     2. 태평양에서는 라그랑즈(Largrange) 방법이 좋으나 대서양은 오일러 방법이 좋다.
     3. 심해중립 부이를 이용하는 것은 오일러 방법이다.
     4. 도플러효과(Doppler effect)의 원리를 이용하는 유속계는 오일러식 유속계이다.

     정답 : []
     정답률 : 88%

7. 다음 크롬웰 해류(cromwell current)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3년 05월)
     1. 북적도 해류 바로 밑에서 서향하며 흐르는 저층류이다.
     2. 그 두께는 약 200m이고 폭은 약 300km 이다.
     3. 북위 2° 에서 남위 2° 에 걸쳐 나타난다.
     4. 유속은 축에 있어서 최고 약 15cm/sec에 이른다.

     정답 : []
     정답률 : 73%

8. 대기압을 무시한다면 수심 20m에서의 기압은 약 얼마인가?(2006년 05월)
     1. 0.1기압
     2. 0.5기압
     3. 1기압
     4. 2기압

     정답 : []
     정답률 : 89%

9. 북반구에서 대양의 서측에 있는 남북방향 해안선에 평행한 바람(남풍)이 불고 있을 때 생기는 현상 중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용승
     2. 해면하강
     3. 표면수온상승
     4. 상층의 북향류 강화

     정답 : []
     정답률 : 59%

10. 파의 에너지는?(2008년 05월)
     1. 파고의 1/2승에 비례
     2. 파고에 1차적으로 비례
     3. 파고의 2승에 비례
     4. 파고의 3승에 비례

     정답 : []
     정답률 : 86%

11. 다음 중 조석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2012년 05월)
     1. 태양, 달, 지구와의 위치
     2. 지구와 달의 타원 궤도
     3. 자구와 자전
     4. 달의 자전

     정답 : []
     정답률 : 80%

12. 대양에서 해수의 성질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태평양의 표면평균염분은 대서양의 표면평균염분보다 낮다.
     2. 평균 용존산소농도는 태평양 심해가 대서양 심해보다 높다.
     3. 태평양의 위도별 평균 염분은 적도에서 최대이다.
     4. 해수의 투명도가 높다는 것은 생산성이 높다는 것을 뜻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13. 다음 중 검조계의 형식이 아닌 것은?(2002년 05월)
     1. 초음파식
     2. 압력식
     3. 부표식
     4. 중력식

     정답 : []
     정답률 : 74%

14. 다음 중 해양에서 수평적으로 온도나 염분의 변화가 가장 큰 곳은?(2009년 05월)
     1. 약층
     2. 전선
     3. 혼합층
     4. 심층

     정답 : []
     정답률 : 76%

15. 다음 조석 조화상수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2년 05월)
     1. 인천항의 평균해면은 조화상수를 계산하는 기준이다.
     2. 1910년 1월 1일 0시의 달의 적위는 조화상수를 계산하는 기준이다.
     3. 부산항의 M2 분조의 지각은 조화상수이다.
     4. 각국의 조화상수는 국제 수로국으로부터 부여받은 국가별 고유상수이다.

     정답 : []
     정답률 : 77%

16. 지형류(geostrophic current)의 방향은?(2019년 04월)
     1. 해안선에 평행
     2. 등고선에 수직
     3. 등압선에 평행
     4. 등압선에 수직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지형류 (Geostrophic current)는 바다에서 기압경도력(pressure gradient force)와 코리올리 힘(Coriolis force)가
균형을 이루는 흐름이다 이때 흐름은 기압경도력 방향으로 흐르지 않고, 코리올리 힘과 균형을 이루며 등압선에 평행하게 흐르게 된다
[해설작성자 : 다람쥐 대통령]

17. SOFAR channel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4년 05월)
     1. 태양광선의 산란이 극대인 층에서 형성된다.
     2. 음파전달 속도가 극소인 층에서 형성된다.
     3. 수온 4℃이하에서만 형성된다.
     4. 주로 수심이 얕은 해역에서 형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75%

18. 해류관측방법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알고스(Argos) 부이를 이용하는 것은 오일러(Euler) 방법이다.
     2. 태평양에서는 라그랑즈(Largrange)방법이 좋으나 대서양은 오일러 방법이 좋다.
     3. 심해 중립부이를 이용하는 것은 오일러 방법이다.
     4. 도플러효과(Doppler effect)의 원리를 이용하면 층별 유속관측을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6%

19. 태양의 기조력은 달의 기조력의 몇 % 정도인가?(2012년 05월)
     1. 약 36%
     2. 약 46%
     3. 약 56%
     4. 약 66%

     정답 : []
     정답률 : 81%

20. 파랑(wave)이 발생되는 곳에서는 해면이 불규칙하지만 이곳에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규칙적인 파인 너울(swell)이 보이는 이유는?(2002년 05월)
     1. 바람의 영향이 있기 때문
     2. 마찰로 인한 영향 때문
     3. 파의 분산효과 때문
     4. 다른 곳으로부터 아주 느리게 전파되어 왔기 때문

     정답 : []
     정답률 : 73%

2과목 : 화학해양학


21. 해수 중의 탄산염 침전을 촉진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2009년 05월)
     1. 수온의 상승
     2. 낮은 압력
     3. 광합성
     4. 호흡작용

     정답 : []
     정답률 : 35%

22. 해수에 용해되어 있는 이온 중 그 양이 가장 많은 것은?(2005년 05월)
     1. Na+
     2. Cl-
     3. Ca2+
     4. Br-

     정답 : []
     정답률 : 87%

23. 부영양화 해역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8년 05월)
     1. COD가 높다.
     2. 부영양화된 바다는 쉽게 회복되지 않는다.
     3. 깊이가 깊고 해류순환이 큰 바다일수록 심하다.
     4. 육지로부터 오·폐수의 유입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94%

24. 해수 중 원소의 평균체류시간을 계산하는 식은? (단, 유입/제거속도란 단위시간당 유입/제거되는 양을 말함)(2015년 05월)
     1. 유입속도 - 해수 중 농도
     2. 해수 중 농도 ÷ 제거속도
     3. 제거속도 ÷ 해수 중 농도
     4. 유입속도 × 해수 중 농도

     정답 : []
     정답률 : 79%

25. 윙클러(winkler)법에 의하여 해수중에 있는 용존산소량을 측정하고자 시료를 처리할 때 오차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시료의 염분
     2. 채수 시 발생하는 기포
     3. 시료 속에 존재하는 산화환원 물질
     4. 티오황산나트륨으로 적정 시 유리된 요오드의 증발

     정답 : []
     정답률 : 64%

26. 대양에서의 pH의 평균값은 얼마인가?(2003년 05월)
     1. 2.5
     2. 4.9
     3. 8.1
     4. 10.5

     정답 : []
     정답률 : 91%

27. 다음 중 해수의 ph에 직접적인 영향을 가장 주지 않는 인자는?(2012년 05월)
     1. 온도
     2. 염분
     3. CO2
     4. 산소의 농도

     정답 : []
     정답률 : 63%

28. 해저지질 속의 아황산(SO32-)을 황화수소(H2S)로 바꾸어 악취의 원인이 되게 하는 것은?(2008년 05월)
     1. 유공충
     2. 황산염박테리아
     3. 미소플랑크톤
     4. 코콜리스

     정답 : []
     정답률 : 93%

29. 수질의 총량규제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2012년 05월)
     1. 한 지역 전체를 한 단위로 하여 오염의 부하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2. 환경부장관이 오염물질을 총량으로 규제할 수 있다.
     3. 기준을 초과, 건강이나 재산 등에 위해의 우려가 있을 경우 규제할 수 있다.
     4.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법적 규제 조항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정답 : []
     정답률 : 93%

30. 화력발전소와 원자력발전소에서 냉각수로 이용되는 해수는 열오염(thermal pollution)을 일으키게 된다. 다음 중 열오염의 영향이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용존산소량 감소
     2. 해양 생태계 변화
     3. 부유물질의 반응속도 감소
     4. 저온기에 어패류의 성장 촉진

     정답 : []
     정답률 : 67%

31. 윙클러방법에 의하여 적정되는 해수 용존기체는?(2006년 05월)
     1. H2
     2. O2
     3. CO2
     4. NO2

     정답 : []
     정답률 : 69%

32. 해수중의 중금속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료는 어떻게 보존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가?(2002년 05월)
     1. pH를 산성으로 한다.
     2. pH를 알칼리성으로 한다.
     3. 동결시켜 버린다.
     4. 그대로 방치해도 된다.

     정답 : []
     정답률 : 57%

33. 해양의 유기물분해 과정은 아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식에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와 사용되는 산소의 분자비인 호흡률의 값은?(2014년 05월)

    

     1. 106
     2. 138
     3. 7.8
     4. 0.78

     정답 : []
     정답률 : 78%

34. 외양역에 있어서 용존산소의 전형적인 수직농도분포 특성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7년 05월)
     1. 용존산소는 표층부근에서 높고, 수심이 깊어질수록 계속적으로 감소한다.
     2. 용존산소 극소층은 수온약층 상부에 존재한다.
     3. 중층에서보다 광합성층에서 용존산소 농도가 낮아진다.
     4. 용존산소 극소층은 수온약층 바로 아래 수층에 존재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35. 대양의 평균 pH 값은?(2011년 06월)
     1. 약 4.0
     2. 약 6.0
     3. 약 8.0
     4. 약 9.0

     정답 : []
     정답률 : 91%

36. 해수에 용해되어 있는 이온 중 그 양이 가장 많은 것은?(2003년 05월)
     1. Na+
     2. Cl-
     3. Ca++
     4. Br-

     정답 : []
     정답률 : 72%

37. 일반 해양에서 탄소의 순환에 가장 영향을 적게 미치는 것은?(2014년 05월)
     1. 해양생물의 성장
     2. 유기물의 침강
     3. 유기물의 분해
     4. 표층 산소의 대기 방출

     정답 : []
     정답률 : 74%

38. 해수 조성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1. 해수의 화학적 성분의 상대적인 비는 염분이 변화해도 일정하다.
     2. 질소, 인, 규소 등 생물과 관련된 원소들은 표층수보다 저층수에 높에 분포한다.
     3. 알칼리금속은 98% 이상이 유리이온으로 존재한다.
     4.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의 평균체류시간은 극히 짧다.

     정답 : []
     정답률 : 72%

39. 다음의 원소 중 해수에 가장 많이 녹아있는 성분은?(2010년 05월)
     1. 염소
     2. 나트륨
     3. 마그네슘
     4. 칼슘

     정답 : []
     정답률 : 83%

40. 증발이나 담수 유입이 해수중의 주요 이온의 상대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한다면, S = 35‰ 일 때, 해수의 Na+가 468 meg/kg이면 S=32‰일 때 Na+ 농도는?(2017년 05월)
     1. 428 meq/kg
     2. 468 meq/kg
     3. 512 meq/kg
     4. 320 meq/kg

     정답 : []
     정답률 : 80%

3과목 : 생물해양학


41. 해양 생태계의 에너지 흐름에 있어 영양단계별 생태학적 효율은?(2004년 05월)
     1. 약 1 - 5 %
     2. 약 10 - 20 %
     3. 약 20 - 30 %
     4. 약 30 - 40 %

     정답 : []
     정답률 : 80%

42. 다음 중 해역의 수괴지표종으로 잘 알려진 플랑크톤은?(2008년 05월)
     1. 화살벌레
     2. 키토세로스
     3. 오벨리아
     4. 비둘피아

     정답 : []
     정답률 : 87%

43. 다음 중 어류의 연령을 산정하기 위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질은?(2005년 05월)
     1. 항문
     2.
     3. 이빨
     4. 이석

     정답 : []
     정답률 : 90%

44. 발생과정에서 Nauplius, Zoea 및 Mysis기를 거치는 것은?(2005년 05월)
     1. 피조개
     2. 보리새우
     3. 해삼
     4. 우렁쉥이

     정답 : []
     정답률 : 94%

45. 다음 중 조간대 해수의 염분 변화에 가장 영향이 적은 것은?(2014년 05월)
     1. 계절
     2. 일조(日照)
     3. 강우(降雨)
     4. 퇴적물

     정답 : []
     정답률 : 84%

46. 일부 해양 동물플랑크톤에서 나타나는 일일수직회 유의 원인에 대하여 지금까지 주장된 생태적 해석으로 적합한 내용은?(2018년 04월)
     1. 낮에는 대사율을 낮추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수온이 낮은 저층으로 내려간다.
     2. 낮에는 포식자의 시각적 감지를 피해서 표층으로 올라온다.
     3. 밤에는 번식을 위해서 저층으로 내려간다.
     4. 밤에는 내재적 생체리듬에 따라 표층으로 올라온다.

     정답 : []
     정답률 : 73%

47. 다음 동물군의 발생과정 중 medusa stage를 거치지 않는 것은?(2005년 05월)
     1. 히드라충류(Hydrozoa)
     2. 빗살해파리류(Gtenophora)
     3. 말미잘류(Anthoza)
     4. 해파리류(Scyphozoa)

     정답 : []
     정답률 : 75%

48. 렙토세팔루스(leptocephalus)는 어느 동물의 유생인가?(2012년 05월)
     1. 갯가재
     2. 닭새우
     3. 뱀장어
     4. 왕게

     정답 : []
     정답률 : 77%

49. 바다에 있어서 생물의 분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5월)
     1. 한 대, 온대, 열대지방에 따라 생물의 분포가 다르다.
     2. 연안이나, 강의 하구 또는 먼바다에 따라 생물의 분포가 다르다.
     3. 모든 생물은 바다에 고르게 분포한다.
     4. 깊이에 따라 생물의 분포가 다르다.

     정답 : []
     정답률 : 86%

50. 뻘해안과 모래해안의 환경특성과 그곳에 서식하는 생물의 생태적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뻘해안의 표층 수~수십 cm 아래로 내려가면 퇴적물의 색이 검어지고 무산소층이 나타난다.
     2. 모래해안은 저층이 끊임없이 움직이므로 대형 저서식물이 서식하기 어렵다.
     3. 뻘해안은 모래해안에 비하여 유기물의 함량이 적다.
     4. 모래해안은 뻘해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쇄설물식자보다 여과식자가 많다.

     정답 : []
     정답률 : 82%

51. 썰물 대 대기에 노출되기도 하며, 광, 수온, 염분 등에 의한 환경변화가 심한 곳은?(2019년 04월)
     1. 조간대
     2. 조하대
     3. 대륙붕
     4. 심해

     정답 : []
     정답률 : 86%

52. 해양생물 군집을 구성하는 수많은 종들 중 몇몇 종들은 자신들의 존재 유무에 따라 군집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가 초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군집구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종은?(2017년 05월)
     1. 유사종
     2. 외래종
     3. 근연종
     4. 핵심종

     정답 : []
     정답률 : 95%

53. 수서생물을 그 생활양식에 따라 분휴(생태적 구분)할 때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부유생물
     2. 원양생물
     3. 유영생물
     4. 저서생물

     정답 : []
     정답률 : 91%

54. 극해역의 식물성 플랑크톤의 계절적 대번식기는?(2017년 05월)
     1.
     2. 여름
     3. 가을
     4. 겨울

     정답 : []
     정답률 : 94%

55. 유영동물의 환경 적응 약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5월)
     1. 형태저항을 줄이기 위해 유선형과 같은 모양을 한다.
     2. 부유를 위해 부레와 같은 기관을 가지고 있다.
     3. 대부분의 종류가 등 쪽이 짙은 색을 띄는 것은 체내조직의 변화를 통해 유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4. 어류의 표면에 점액질이 많은 것은 물에 대한 저항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85%

56. 온대지방에 있어서 식물성 플랑크톤이 가장 많이 번식하는 시기는?(2003년 05월)
     1. 겨울
     2.
     3. 여름
     4. 가을

     정답 : []
     정답률 : 73%

57. 다음 중 생태계의 정의에 가장 가까운 표현은?(2007년 05월)
     1. 먹이 연쇄를 구성하는 생물군
     2. 동물과 식물의 집단
     3. 생산자와 소비자의 공동체
     4. 생물권과 무생물권 사이에 물질과 에너지 교환이 일어나고 있는 생태학적 단위체

     정답 : []
     정답률 : 78%

58. 다음 그림 중 한대지방에서의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변화를 나타낸 곡선은?(2013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2%

59. 다음 중 해역의 수괴지표종으로 잘 알려진 플랑크톤은?(2014년 05월)
     1. 화살벌레
     2. 키토세로스
     3. 오벨리아
     4. 비둘피아

     정답 : []
     정답률 : 80%

60. 어류의 성장단계를 난기, 전자어기, 후자어기, 치어기, 미성어기, 성어기로 나눈다면 몸 표면의 반문과 색체 등을 제외하면 급속히 성어를 닮아가며 종의 생태학적 특징을 최초로 나타내는 시기는?(2005년 05월)
     1. 전자어기
     2. 후자어기
     3. 치어기
     4. 미성어기

     정답 : []
     정답률 : 85%

61. 다음 중 수심이 가장 깊은 곳은?(2015년 05월)
     1. 대륙사면
     2. 대륙대
     3. 심해저평원
     4. 중앙해령

     정답 : []
     정답률 : 80%

62. 일반적인 해저지형을 육지에서 바다쪽으로 나열한 것 중 옳게 된 것은?(2003년 05월)
     1. 대륙붕 → 상부대륙대 → 대륙사면 → 하부대륙대
     2. 대륙붕 → 대륙사면 → 대륙대 → 심해평원
     3. 대륙붕 → 상부대륙대 → 하부대륙대 → 심해평원
     4. 대륙사면 → 대륙대 → 대륙붕 → 심해평원

     정답 : []
     정답률 : 83%

63. 다음 퇴적층 중에서 투수성이 가장 좋은 것은?(2005년 05월)
     1. 펄로만 되어 있는 경우
     2. 펄과 모래가 반씩 혼합 되었을 때
     3. 고운 모래로 되어 있을 때
     4. 굵은 모래로만 되어 있을 때

     정답 : []
     정답률 : 72%

64. 다음 중 베게너(Wegener)가 주장한 학설은?(2014년 05월)
     1. 판구조론
     2. 해저확장설
     3. 대륙이동설
     4. 지구수축설

     정답 : []
     정답률 : 73%

65. 다음 중 북대서양 심해저에 침몰한 타이타닉호를 찾는데 가장 적합하지 않은 장비는?(2012년 05월)
     1. 잠수정(submarine)
     2. 스파커(sparker)
     3. 측면주사음향탐사기(side scan sonar)
     4. 다중빔탐사기(multibeam echosounder)

     정답 : []
     정답률 : 81%

66. 다음 중 열점(hot spot)에 의해 만들어진 섬은?(2012년 05월)
     1. 몰디브
     2. 영국
     3. 타이완
     4. 하와이

     정답 : []
     정답률 : 90%

67. 퇴적물의 운반과정에 관한 설명 줄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퇴적물 운반은 해빈과 쇄파대에서 가장 크게 일어난다.
     2. 퇴적물의 조직과 배열은 운반의 요인인 동시에 결과이다.
     3. 연안류나 조류는 퇴적물을 연안에 평행한 방향으로 운반한다.
     4. 점토는 입자 크기가 작으므로 재운반시에는 실트보다 작은 유속이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72%

68. 대륙대(continental rise)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2019년 04월)
     1. 단층에 의한 것이다.
     2. 해저 확장이론과 관련된다.
     3. 해저 저탁류와 관계가 깊다.
     4. 해저 화산활동에 의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59%

69. 물이 담긴 1000mL 메스실런더에 직경 5ø(phi)인 구형의 석영입자를 떨어뜨린 후, 10cm 가라앉는데 2분이 걸렸다면, 같은 상황에서 직경 6ø인 구형 석영입자를 떨어뜨릴 때 같은 깊이까지 가라앉는데 걸리는 시간은? (단, Stokes 침강 법칙에 의거 계산하시오)(2013년 06월)
     1. 8분
     2. 4분
     3. 15초
     4. 7.5초

     정답 : []
     정답률 : 55%

70. 해양지각의 평균밀도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9년 04월)
     1. 약 2.9g/cm3
     2. 약 4.5g/cm3
     3. 약 11.8g/cm3
     4. 약 16.0g/cm3

     정답 : []
     정답률 : 57%

71. 퇴적물로 구성된 해빈 중 경사가 가장 급한 곳은?(2007년 05월)
     1. 고운 모래로 구성된 해빈
     2. 뻘로 구성된 해빈
     3. 자갈로 구성된 해빈
     4. 굵은 모래로 구성된 해빈

     정답 : []
     정답률 : 85%

72. 다음 중 조립퇴적물이 가장 많은 것은?(2009년 05월)
     1. 연안성 퇴적물
     2. 천해성 퇴적물
     3. 반원양성퇴적물
     4. 원양성 퇴적물

     정답 : []
     정답률 : 75%

73. 다음 중 수심이 가장 깊은 곳은?(2005년 05월)
     1. 대륙사면
     2. 대륙대
     3. 심해저평원
     4. 중앙해령

     정답 : []
     정답률 : 84%

74. 해저 하부 30m 정도의 깊이에 있는 퇴적물과 암층을 가장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지구 물리적인 탐사방법은?(2010년 05월)
     1. 해양중량탐사법
     2. 탄성파탐사법
     3. 자력탐사법
     4. 열류량 측정법

     정답 : []
     정답률 : 90%

75. 다음 중 열류량이 가장 낮은 곳은?(2019년 04월)
     1. 열점
     2. 해구
     3. 해저산맥
     4. 심해저평원

     정답 : []
     정답률 : 60%

76. 점이층리(Graded bedding) 형성에 가장 중요한 것은?(2009년 05월)
     1. 저탁류
     2. 빙하
     3. 하천수
     4. 바람

     정답 : []
     정답률 : 72%

77. 육상기원 쇄설성 해양 퇴적물의 근원을 가장 잘 반영시켜 주는 것은?(2017년 05월)
     1. 광물 성분
     2. 미고생물 조성
     3. 유기물의 함량
     4. 퇴적물의 구조

     정답 : []
     정답률 : 77%

78. 퇴적물로 구성된 해빈 중 경사가 가장 급한 곳은?(2011년 06월)
     1. 고운 모래로 구성된 해빈
     2. 펄로 구성된 해빈
     3. 자갈로 구성된 해빈
     4. 굵은 모래로 구성된 해빈

     정답 : []
     정답률 : 87%

79. 음파탐사 중 가장 음파의 산란작용이 많이 일어나는 퇴적층은 어떤 퇴적물로 구성된 것인가?(2005년 05월)
     1. 모래
     2. 자갈
     3.
     4. 펄과 모래의 혼합

     정답 : []
     정답률 : 84%

80. 다음 중 생물기원 퇴적물과 관련이 없는 것은?(2006년 05월)
     1. 석회질 연니
     2. 규산질 연니
     3. 해면류
     4. 불석

     정답 : []
     정답률 : 82%


정 답 지

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8일)(182409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물리해양학


1. 염분과 염소량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염소량 = 0.03+1.805×염분량
     2. 염소량 = 0.03×1.805×염분량
     3. 염분 = 1.80655×염소량
     4. 염분 = 0.03×1.80655×염소량

     정답 : []
     정답률 : 87%

2. 평형조석론(The Equilibrium Theory of Tides)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대조와 소조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2. 전 세계의 조차는 모두 같다.
     3. 조석파의 전파를 설명할 수 있다.
     4. Laplace의 이론이다.

     정답 : []
     정답률 : 87%

3. 다음 중 직접 해류측정이 가능한 기기는?(2007년 05월)
     1. ADCP
     2. CTD
     3. NOAA-11
     4. Echo-Sounder

     정답 : []
     정답률 : 93%

4. 해양에서 수심에 따른 밀도의 변화폭이 급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은?(2018년 04월)
     1. Halocline
     2. Pycnocline
     3. Thermocline
     4. SOFAR Chennel

     정답 : []
     정답률 : 79%

5. 파의 주기(T), 파장(L), 파속(C), 각주파수(W), 파수(wave number, K)의 관계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6%

6. 다음 해류관측 방법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6년 05월)
     1. 알고스(Argos) 부이를 이용하는 것은 오일러(Euler) 방법이다.
     2. 태평양에서는 라그랑즈(Largrange) 방법이 좋으나 대서양은 오일러 방법이 좋다.
     3. 심해중립 부이를 이용하는 것은 오일러 방법이다.
     4. 도플러효과(Doppler effect)의 원리를 이용하는 유속계는 오일러식 유속계이다.

     정답 : []
     정답률 : 88%

7. 다음 크롬웰 해류(cromwell current)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3년 05월)
     1. 북적도 해류 바로 밑에서 서향하며 흐르는 저층류이다.
     2. 그 두께는 약 200m이고 폭은 약 300km 이다.
     3. 북위 2° 에서 남위 2° 에 걸쳐 나타난다.
     4. 유속은 축에 있어서 최고 약 15cm/sec에 이른다.

     정답 : []
     정답률 : 73%

8. 대기압을 무시한다면 수심 20m에서의 기압은 약 얼마인가?(2006년 05월)
     1. 0.1기압
     2. 0.5기압
     3. 1기압
     4. 2기압

     정답 : []
     정답률 : 89%

9. 북반구에서 대양의 서측에 있는 남북방향 해안선에 평행한 바람(남풍)이 불고 있을 때 생기는 현상 중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용승
     2. 해면하강
     3. 표면수온상승
     4. 상층의 북향류 강화

     정답 : []
     정답률 : 59%

10. 파의 에너지는?(2008년 05월)
     1. 파고의 1/2승에 비례
     2. 파고에 1차적으로 비례
     3. 파고의 2승에 비례
     4. 파고의 3승에 비례

     정답 : []
     정답률 : 86%

11. 다음 중 조석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2012년 05월)
     1. 태양, 달, 지구와의 위치
     2. 지구와 달의 타원 궤도
     3. 자구와 자전
     4. 달의 자전

     정답 : []
     정답률 : 80%

12. 대양에서 해수의 성질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태평양의 표면평균염분은 대서양의 표면평균염분보다 낮다.
     2. 평균 용존산소농도는 태평양 심해가 대서양 심해보다 높다.
     3. 태평양의 위도별 평균 염분은 적도에서 최대이다.
     4. 해수의 투명도가 높다는 것은 생산성이 높다는 것을 뜻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13. 다음 중 검조계의 형식이 아닌 것은?(2002년 05월)
     1. 초음파식
     2. 압력식
     3. 부표식
     4. 중력식

     정답 : []
     정답률 : 74%

14. 다음 중 해양에서 수평적으로 온도나 염분의 변화가 가장 큰 곳은?(2009년 05월)
     1. 약층
     2. 전선
     3. 혼합층
     4. 심층

     정답 : []
     정답률 : 76%

15. 다음 조석 조화상수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2년 05월)
     1. 인천항의 평균해면은 조화상수를 계산하는 기준이다.
     2. 1910년 1월 1일 0시의 달의 적위는 조화상수를 계산하는 기준이다.
     3. 부산항의 M2 분조의 지각은 조화상수이다.
     4. 각국의 조화상수는 국제 수로국으로부터 부여받은 국가별 고유상수이다.

     정답 : []
     정답률 : 77%

16. 지형류(geostrophic current)의 방향은?(2019년 04월)
     1. 해안선에 평행
     2. 등고선에 수직
     3. 등압선에 평행
     4. 등압선에 수직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지형류 (Geostrophic current)는 바다에서 기압경도력(pressure gradient force)와 코리올리 힘(Coriolis force)가
균형을 이루는 흐름이다 이때 흐름은 기압경도력 방향으로 흐르지 않고, 코리올리 힘과 균형을 이루며 등압선에 평행하게 흐르게 된다
[해설작성자 : 다람쥐 대통령]

17. SOFAR channel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4년 05월)
     1. 태양광선의 산란이 극대인 층에서 형성된다.
     2. 음파전달 속도가 극소인 층에서 형성된다.
     3. 수온 4℃이하에서만 형성된다.
     4. 주로 수심이 얕은 해역에서 형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75%

18. 해류관측방법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알고스(Argos) 부이를 이용하는 것은 오일러(Euler) 방법이다.
     2. 태평양에서는 라그랑즈(Largrange)방법이 좋으나 대서양은 오일러 방법이 좋다.
     3. 심해 중립부이를 이용하는 것은 오일러 방법이다.
     4. 도플러효과(Doppler effect)의 원리를 이용하면 층별 유속관측을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6%

19. 태양의 기조력은 달의 기조력의 몇 % 정도인가?(2012년 05월)
     1. 약 36%
     2. 약 46%
     3. 약 56%
     4. 약 66%

     정답 : []
     정답률 : 81%

20. 파랑(wave)이 발생되는 곳에서는 해면이 불규칙하지만 이곳에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규칙적인 파인 너울(swell)이 보이는 이유는?(2002년 05월)
     1. 바람의 영향이 있기 때문
     2. 마찰로 인한 영향 때문
     3. 파의 분산효과 때문
     4. 다른 곳으로부터 아주 느리게 전파되어 왔기 때문

     정답 : []
     정답률 : 73%

2과목 : 화학해양학


21. 해수 중의 탄산염 침전을 촉진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2009년 05월)
     1. 수온의 상승
     2. 낮은 압력
     3. 광합성
     4. 호흡작용

     정답 : []
     정답률 : 35%

22. 해수에 용해되어 있는 이온 중 그 양이 가장 많은 것은?(2005년 05월)
     1. Na+
     2. Cl-
     3. Ca2+
     4. Br-

     정답 : []
     정답률 : 87%

23. 부영양화 해역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8년 05월)
     1. COD가 높다.
     2. 부영양화된 바다는 쉽게 회복되지 않는다.
     3. 깊이가 깊고 해류순환이 큰 바다일수록 심하다.
     4. 육지로부터 오·폐수의 유입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94%

24. 해수 중 원소의 평균체류시간을 계산하는 식은? (단, 유입/제거속도란 단위시간당 유입/제거되는 양을 말함)(2015년 05월)
     1. 유입속도 - 해수 중 농도
     2. 해수 중 농도 ÷ 제거속도
     3. 제거속도 ÷ 해수 중 농도
     4. 유입속도 × 해수 중 농도

     정답 : []
     정답률 : 79%

25. 윙클러(winkler)법에 의하여 해수중에 있는 용존산소량을 측정하고자 시료를 처리할 때 오차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4월)
     1. 시료의 염분
     2. 채수 시 발생하는 기포
     3. 시료 속에 존재하는 산화환원 물질
     4. 티오황산나트륨으로 적정 시 유리된 요오드의 증발

     정답 : []
     정답률 : 64%

26. 대양에서의 pH의 평균값은 얼마인가?(2003년 05월)
     1. 2.5
     2. 4.9
     3. 8.1
     4. 10.5

     정답 : []
     정답률 : 91%

27. 다음 중 해수의 ph에 직접적인 영향을 가장 주지 않는 인자는?(2012년 05월)
     1. 온도
     2. 염분
     3. CO2
     4. 산소의 농도

     정답 : []
     정답률 : 63%

28. 해저지질 속의 아황산(SO32-)을 황화수소(H2S)로 바꾸어 악취의 원인이 되게 하는 것은?(2008년 05월)
     1. 유공충
     2. 황산염박테리아
     3. 미소플랑크톤
     4. 코콜리스

     정답 : []
     정답률 : 93%

29. 수질의 총량규제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2012년 05월)
     1. 한 지역 전체를 한 단위로 하여 오염의 부하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2. 환경부장관이 오염물질을 총량으로 규제할 수 있다.
     3. 기준을 초과, 건강이나 재산 등에 위해의 우려가 있을 경우 규제할 수 있다.
     4.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법적 규제 조항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정답 : []
     정답률 : 93%

30. 화력발전소와 원자력발전소에서 냉각수로 이용되는 해수는 열오염(thermal pollution)을 일으키게 된다. 다음 중 열오염의 영향이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용존산소량 감소
     2. 해양 생태계 변화
     3. 부유물질의 반응속도 감소
     4. 저온기에 어패류의 성장 촉진

     정답 : []
     정답률 : 67%

31. 윙클러방법에 의하여 적정되는 해수 용존기체는?(2006년 05월)
     1. H2
     2. O2
     3. CO2
     4. NO2

     정답 : []
     정답률 : 69%

32. 해수중의 중금속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료는 어떻게 보존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가?(2002년 05월)
     1. pH를 산성으로 한다.
     2. pH를 알칼리성으로 한다.
     3. 동결시켜 버린다.
     4. 그대로 방치해도 된다.

     정답 : []
     정답률 : 57%

33. 해양의 유기물분해 과정은 아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식에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와 사용되는 산소의 분자비인 호흡률의 값은?(2014년 05월)

    

     1. 106
     2. 138
     3. 7.8
     4. 0.78

     정답 : []
     정답률 : 78%

34. 외양역에 있어서 용존산소의 전형적인 수직농도분포 특성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7년 05월)
     1. 용존산소는 표층부근에서 높고, 수심이 깊어질수록 계속적으로 감소한다.
     2. 용존산소 극소층은 수온약층 상부에 존재한다.
     3. 중층에서보다 광합성층에서 용존산소 농도가 낮아진다.
     4. 용존산소 극소층은 수온약층 바로 아래 수층에 존재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35. 대양의 평균 pH 값은?(2011년 06월)
     1. 약 4.0
     2. 약 6.0
     3. 약 8.0
     4. 약 9.0

     정답 : []
     정답률 : 91%

36. 해수에 용해되어 있는 이온 중 그 양이 가장 많은 것은?(2003년 05월)
     1. Na+
     2. Cl-
     3. Ca++
     4. Br-

     정답 : []
     정답률 : 72%

37. 일반 해양에서 탄소의 순환에 가장 영향을 적게 미치는 것은?(2014년 05월)
     1. 해양생물의 성장
     2. 유기물의 침강
     3. 유기물의 분해
     4. 표층 산소의 대기 방출

     정답 : []
     정답률 : 74%

38. 해수 조성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1. 해수의 화학적 성분의 상대적인 비는 염분이 변화해도 일정하다.
     2. 질소, 인, 규소 등 생물과 관련된 원소들은 표층수보다 저층수에 높에 분포한다.
     3. 알칼리금속은 98% 이상이 유리이온으로 존재한다.
     4.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의 평균체류시간은 극히 짧다.

     정답 : []
     정답률 : 72%

39. 다음의 원소 중 해수에 가장 많이 녹아있는 성분은?(2010년 05월)
     1. 염소
     2. 나트륨
     3. 마그네슘
     4. 칼슘

     정답 : []
     정답률 : 83%

40. 증발이나 담수 유입이 해수중의 주요 이온의 상대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한다면, S = 35‰ 일 때, 해수의 Na+가 468 meg/kg이면 S=32‰일 때 Na+ 농도는?(2017년 05월)
     1. 428 meq/kg
     2. 468 meq/kg
     3. 512 meq/kg
     4. 320 meq/kg

     정답 : []
     정답률 : 80%

3과목 : 생물해양학


41. 해양 생태계의 에너지 흐름에 있어 영양단계별 생태학적 효율은?(2004년 05월)
     1. 약 1 - 5 %
     2. 약 10 - 20 %
     3. 약 20 - 30 %
     4. 약 30 - 40 %

     정답 : []
     정답률 : 80%

42. 다음 중 해역의 수괴지표종으로 잘 알려진 플랑크톤은?(2008년 05월)
     1. 화살벌레
     2. 키토세로스
     3. 오벨리아
     4. 비둘피아

     정답 : []
     정답률 : 87%

43. 다음 중 어류의 연령을 산정하기 위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질은?(2005년 05월)
     1. 항문
     2.
     3. 이빨
     4. 이석

     정답 : []
     정답률 : 90%

44. 발생과정에서 Nauplius, Zoea 및 Mysis기를 거치는 것은?(2005년 05월)
     1. 피조개
     2. 보리새우
     3. 해삼
     4. 우렁쉥이

     정답 : []
     정답률 : 94%

45. 다음 중 조간대 해수의 염분 변화에 가장 영향이 적은 것은?(2014년 05월)
     1. 계절
     2. 일조(日照)
     3. 강우(降雨)
     4. 퇴적물

     정답 : []
     정답률 : 84%

46. 일부 해양 동물플랑크톤에서 나타나는 일일수직회 유의 원인에 대하여 지금까지 주장된 생태적 해석으로 적합한 내용은?(2018년 04월)
     1. 낮에는 대사율을 낮추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수온이 낮은 저층으로 내려간다.
     2. 낮에는 포식자의 시각적 감지를 피해서 표층으로 올라온다.
     3. 밤에는 번식을 위해서 저층으로 내려간다.
     4. 밤에는 내재적 생체리듬에 따라 표층으로 올라온다.

     정답 : []
     정답률 : 73%

47. 다음 동물군의 발생과정 중 medusa stage를 거치지 않는 것은?(2005년 05월)
     1. 히드라충류(Hydrozoa)
     2. 빗살해파리류(Gtenophora)
     3. 말미잘류(Anthoza)
     4. 해파리류(Scyphozoa)

     정답 : []
     정답률 : 75%

48. 렙토세팔루스(leptocephalus)는 어느 동물의 유생인가?(2012년 05월)
     1. 갯가재
     2. 닭새우
     3. 뱀장어
     4. 왕게

     정답 : []
     정답률 : 77%

49. 바다에 있어서 생물의 분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5월)
     1. 한 대, 온대, 열대지방에 따라 생물의 분포가 다르다.
     2. 연안이나, 강의 하구 또는 먼바다에 따라 생물의 분포가 다르다.
     3. 모든 생물은 바다에 고르게 분포한다.
     4. 깊이에 따라 생물의 분포가 다르다.

     정답 : []
     정답률 : 86%

50. 뻘해안과 모래해안의 환경특성과 그곳에 서식하는 생물의 생태적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뻘해안의 표층 수~수십 cm 아래로 내려가면 퇴적물의 색이 검어지고 무산소층이 나타난다.
     2. 모래해안은 저층이 끊임없이 움직이므로 대형 저서식물이 서식하기 어렵다.
     3. 뻘해안은 모래해안에 비하여 유기물의 함량이 적다.
     4. 모래해안은 뻘해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쇄설물식자보다 여과식자가 많다.

     정답 : []
     정답률 : 82%

51. 썰물 대 대기에 노출되기도 하며, 광, 수온, 염분 등에 의한 환경변화가 심한 곳은?(2019년 04월)
     1. 조간대
     2. 조하대
     3. 대륙붕
     4. 심해

     정답 : []
     정답률 : 86%

52. 해양생물 군집을 구성하는 수많은 종들 중 몇몇 종들은 자신들의 존재 유무에 따라 군집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가 초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군집구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종은?(2017년 05월)
     1. 유사종
     2. 외래종
     3. 근연종
     4. 핵심종

     정답 : []
     정답률 : 95%

53. 수서생물을 그 생활양식에 따라 분휴(생태적 구분)할 때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부유생물
     2. 원양생물
     3. 유영생물
     4. 저서생물

     정답 : []
     정답률 : 91%

54. 극해역의 식물성 플랑크톤의 계절적 대번식기는?(2017년 05월)
     1.
     2. 여름
     3. 가을
     4. 겨울

     정답 : []
     정답률 : 94%

55. 유영동물의 환경 적응 약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5월)
     1. 형태저항을 줄이기 위해 유선형과 같은 모양을 한다.
     2. 부유를 위해 부레와 같은 기관을 가지고 있다.
     3. 대부분의 종류가 등 쪽이 짙은 색을 띄는 것은 체내조직의 변화를 통해 유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4. 어류의 표면에 점액질이 많은 것은 물에 대한 저항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85%

56. 온대지방에 있어서 식물성 플랑크톤이 가장 많이 번식하는 시기는?(2003년 05월)
     1. 겨울
     2.
     3. 여름
     4. 가을

     정답 : []
     정답률 : 73%

57. 다음 중 생태계의 정의에 가장 가까운 표현은?(2007년 05월)
     1. 먹이 연쇄를 구성하는 생물군
     2. 동물과 식물의 집단
     3. 생산자와 소비자의 공동체
     4. 생물권과 무생물권 사이에 물질과 에너지 교환이 일어나고 있는 생태학적 단위체

     정답 : []
     정답률 : 78%

58. 다음 그림 중 한대지방에서의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변화를 나타낸 곡선은?(2013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2%

59. 다음 중 해역의 수괴지표종으로 잘 알려진 플랑크톤은?(2014년 05월)
     1. 화살벌레
     2. 키토세로스
     3. 오벨리아
     4. 비둘피아

     정답 : []
     정답률 : 80%

60. 어류의 성장단계를 난기, 전자어기, 후자어기, 치어기, 미성어기, 성어기로 나눈다면 몸 표면의 반문과 색체 등을 제외하면 급속히 성어를 닮아가며 종의 생태학적 특징을 최초로 나타내는 시기는?(2005년 05월)
     1. 전자어기
     2. 후자어기
     3. 치어기
     4. 미성어기

     정답 : []
     정답률 : 85%

61. 다음 중 수심이 가장 깊은 곳은?(2015년 05월)
     1. 대륙사면
     2. 대륙대
     3. 심해저평원
     4. 중앙해령

     정답 : []
     정답률 : 80%

62. 일반적인 해저지형을 육지에서 바다쪽으로 나열한 것 중 옳게 된 것은?(2003년 05월)
     1. 대륙붕 → 상부대륙대 → 대륙사면 → 하부대륙대
     2. 대륙붕 → 대륙사면 → 대륙대 → 심해평원
     3. 대륙붕 → 상부대륙대 → 하부대륙대 → 심해평원
     4. 대륙사면 → 대륙대 → 대륙붕 → 심해평원

     정답 : []
     정답률 : 83%

63. 다음 퇴적층 중에서 투수성이 가장 좋은 것은?(2005년 05월)
     1. 펄로만 되어 있는 경우
     2. 펄과 모래가 반씩 혼합 되었을 때
     3. 고운 모래로 되어 있을 때
     4. 굵은 모래로만 되어 있을 때

     정답 : []
     정답률 : 72%

64. 다음 중 베게너(Wegener)가 주장한 학설은?(2014년 05월)
     1. 판구조론
     2. 해저확장설
     3. 대륙이동설
     4. 지구수축설

     정답 : []
     정답률 : 73%

65. 다음 중 북대서양 심해저에 침몰한 타이타닉호를 찾는데 가장 적합하지 않은 장비는?(2012년 05월)
     1. 잠수정(submarine)
     2. 스파커(sparker)
     3. 측면주사음향탐사기(side scan sonar)
     4. 다중빔탐사기(multibeam echosounder)

     정답 : []
     정답률 : 81%

66. 다음 중 열점(hot spot)에 의해 만들어진 섬은?(2012년 05월)
     1. 몰디브
     2. 영국
     3. 타이완
     4. 하와이

     정답 : []
     정답률 : 90%

67. 퇴적물의 운반과정에 관한 설명 줄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퇴적물 운반은 해빈과 쇄파대에서 가장 크게 일어난다.
     2. 퇴적물의 조직과 배열은 운반의 요인인 동시에 결과이다.
     3. 연안류나 조류는 퇴적물을 연안에 평행한 방향으로 운반한다.
     4. 점토는 입자 크기가 작으므로 재운반시에는 실트보다 작은 유속이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72%

68. 대륙대(continental rise)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2019년 04월)
     1. 단층에 의한 것이다.
     2. 해저 확장이론과 관련된다.
     3. 해저 저탁류와 관계가 깊다.
     4. 해저 화산활동에 의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59%

69. 물이 담긴 1000mL 메스실런더에 직경 5ø(phi)인 구형의 석영입자를 떨어뜨린 후, 10cm 가라앉는데 2분이 걸렸다면, 같은 상황에서 직경 6ø인 구형 석영입자를 떨어뜨릴 때 같은 깊이까지 가라앉는데 걸리는 시간은? (단, Stokes 침강 법칙에 의거 계산하시오)(2013년 06월)
     1. 8분
     2. 4분
     3. 15초
     4. 7.5초

     정답 : []
     정답률 : 55%

70. 해양지각의 평균밀도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9년 04월)
     1. 약 2.9g/cm3
     2. 약 4.5g/cm3
     3. 약 11.8g/cm3
     4. 약 16.0g/cm3

     정답 : []
     정답률 : 57%

71. 퇴적물로 구성된 해빈 중 경사가 가장 급한 곳은?(2007년 05월)
     1. 고운 모래로 구성된 해빈
     2. 뻘로 구성된 해빈
     3. 자갈로 구성된 해빈
     4. 굵은 모래로 구성된 해빈

     정답 : []
     정답률 : 85%

72. 다음 중 조립퇴적물이 가장 많은 것은?(2009년 05월)
     1. 연안성 퇴적물
     2. 천해성 퇴적물
     3. 반원양성퇴적물
     4. 원양성 퇴적물

     정답 : []
     정답률 : 75%

73. 다음 중 수심이 가장 깊은 곳은?(2005년 05월)
     1. 대륙사면
     2. 대륙대
     3. 심해저평원
     4. 중앙해령

     정답 : []
     정답률 : 84%

74. 해저 하부 30m 정도의 깊이에 있는 퇴적물과 암층을 가장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지구 물리적인 탐사방법은?(2010년 05월)
     1. 해양중량탐사법
     2. 탄성파탐사법
     3. 자력탐사법
     4. 열류량 측정법

     정답 : []
     정답률 : 90%

75. 다음 중 열류량이 가장 낮은 곳은?(2019년 04월)
     1. 열점
     2. 해구
     3. 해저산맥
     4. 심해저평원

     정답 : []
     정답률 : 60%

76. 점이층리(Graded bedding) 형성에 가장 중요한 것은?(2009년 05월)
     1. 저탁류
     2. 빙하
     3. 하천수
     4. 바람

     정답 : []
     정답률 : 72%

77. 육상기원 쇄설성 해양 퇴적물의 근원을 가장 잘 반영시켜 주는 것은?(2017년 05월)
     1. 광물 성분
     2. 미고생물 조성
     3. 유기물의 함량
     4. 퇴적물의 구조

     정답 : []
     정답률 : 77%

78. 퇴적물로 구성된 해빈 중 경사가 가장 급한 곳은?(2011년 06월)
     1. 고운 모래로 구성된 해빈
     2. 펄로 구성된 해빈
     3. 자갈로 구성된 해빈
     4. 굵은 모래로 구성된 해빈

     정답 : []
     정답률 : 87%

79. 음파탐사 중 가장 음파의 산란작용이 많이 일어나는 퇴적층은 어떤 퇴적물로 구성된 것인가?(2005년 05월)
     1. 모래
     2. 자갈
     3.
     4. 펄과 모래의 혼합

     정답 : []
     정답률 : 84%

80. 다음 중 생물기원 퇴적물과 관련이 없는 것은?(2006년 05월)
     1. 석회질 연니
     2. 규산질 연니
     3. 해면류
     4. 불석

     정답 : []
     정답률 : 82%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8일)(182409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58 9급 국가직 공무원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7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1257 제과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3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1256 방송통신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9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6
1255 9급 지방직 공무원 영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1254 설비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10월20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1253 경찰공무원(순경) 영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4
1252 사회복지사 1급(3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1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4
125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동차구조원리(유공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3
125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유공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3
1249 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1월30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5
1248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영어(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4
1247 화약취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1월30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5
1246 청소년상담사 1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9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5
1245 계리직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2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4
1244 조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30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4
» 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8일)(1824098)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6
1242 자연생태복원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5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4
1241 DIAT 정보통신상식(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8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3
124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역사회간호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3
1239 무선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2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109 Next
/ 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