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도매업을 영위하는 (주)한공의 본사 건물 화재보험증서의 일부이다. (주)한공은 화재보험 가입 시 보험료를 전액 현금으로 지급하였다. 화재보험료에 대하여 적절히 회계처리할 경우 (주)한공의 2015년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올바르게 지적한 사람은?(2015년 11월)
1.
현진
2.
지수
3.
유리
4.
찬호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회계처리(월할계산 시) (차) 보험료 2,000,000원(판매비와관리비의 증가) (대) 현금 2,400,000원(자산의 감소) 선급보험료 400,000원(자산의 증가) ➜ 당기순이익과 자본이 감소하고, 판매비와관리비는 증가한다. 화재보험료는 비용처리하므로 본사 건물 취득원가를 증가시키지 않으며, 감가상각누계액과도 무관하다.
2.
재무제표에 대한 신뢰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2월)
1.
외부 회계감사는 재무제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2.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은 재무제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3.
재무제표가 신뢰성을 갖기 위한 구성요소로는 표현의 충실성, 검증가능성, 중립성을 들 수 있다.
4.
유형자산을 공정가치로 평가하는 것이 역사적원가로 평가하는 것보다 신뢰성이 제고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3.
다음 중 판매자의 기말재고자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8년 06월)
1.
선적지인도기준으로 판매시 기말 현재 선적이 완료되지 않은 재고
2.
기말 이전에 매입자의 매입의사가 표시된 시송품
3.
기말 현재 수탁자가 판매하지 못한 위탁상품
4.
기말 현재 담보로 제공된 재고자산
정답 : [
2
] 정답률 : 70%
4.
다음은 2018년 매출채권과 대손충당금의 내역이다. 손익계산서에 계상될 대손상각비는 얼마인가?(2018년 08월)
1.
42,000원
2.
52,000원
3.
60,000원
4.
70,000원
정답 : [
1
] 정답률 : 21%
5.
다음의 지출항목에 해당하는 계정과목으로 옳은 것은?(순서대로 가, 나, 다)(2016년 06월)
<문제 해설> 결산정리사항 1. 상품, 제품 매출원가 계산 2. 수익, 비용의 이연과 예상(선급비용, 선수수익, 미지급비용, 미수수익) 3. 소모품 정리 4. 퇴직급여충당부채 설정 5. 대손충당금 설정 6. 외화환산 7. 감가상각누계액 설정 8. 단기매매증권, 매도가능증권평가손실, 매도가능증권평가이익 9. 현금과부족, 가지급금, 가수금 정리 10. 법인세 및 선납세금 정리 [해설작성자 : wlgjs]
7.
다음 대화의 거래를 모두 회계처리할 경우 손익계산서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2020년 10월)
1.
손익계산서에 미치는 영향 없음
2.
매출 100,000원 증가, 영업이익 100,000원 증가
3.
영업이익 100,000원 증가, 당기순이익 50,000원 증가
4.
매출 100,000원 증가, 당기순이익 50,000원 증가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예) 현금 100,000 / 상품매출 100,000 복리후생비 50,000 / 현금 100,000 상품'매출' 100,000원 증가 복리후생'비' 50,000원 발생 매출 100,000원 증가 당기순이익 50,000원 증가(복리후생비 매출에서 차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다음 중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기업은 내부고발자를 보호하는 프로그램을 갖추어야 한다.
2.
외부에 공시되는 재무제표의 신뢰성 확보를 주된 목적으로 한다.
3.
회계감사를 수행하는 외부감사인이 따라야 할 감사절차를 규정하고 있다.
4.
재고자산이 보관된 창고에 대한 물리적 접근을 통제하는 것도 내부회계관리제도 범위에 포함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내부회계관리제도는 외부감사인이 따라야 하는 절차가 아니라, 기업 내부의 구성원들에 의하여 운영되는 제도이다. [해설작성자 : 꿀귀지니]
9.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과세대상 재화의 공급에 해당하는 것은?(2021년 08월)
1.
자기가 주요자재의 일부를 부담하는 가공계약에 따라 재화를 인도하는 경우
2.
매입시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지 못한 상품을 거래처에 증정한 경우
3.
사업자가 아닌 개인이 사용하던 승용차를 중고차 매매상에게 판매한 경우
4.
사업을 위하여 대가를 받지 아니하고 다른 사업자에게 견본품을 인도하는 경우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2. 매입세액 공제된 상품 아니므로 재화의 간주공급으로 보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사업자가 매입세액공제를 받은 재화를 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부가가치세 과세거래에 해당하는 것은? (1점)(2014년 11월)
1.
견본품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경우
2.
면세사업을 위하여 사용하는 경우
3.
작업복 ㆍ 작업모 ㆍ 작업화로 사용하는 경우
4.
자기사업상의 기술개발을 위하여 시험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②는 재화의 공급으로 보나, 그 밖의 것은 재화의 공급으로 보지 아니한다.
11.
다음은 개인사업자인 한공기업(페인트 제조업)의 거래내용이다. 2017년 제1기 부가가치세 매출세액에서 공제받을 수 없는 매입세액은 모두 얼마인가? 단, 필요한 세금계산서는 적법하게 수취하였다.(2017년 10월)
1.
50,000,000원
2.
51,000,000원
3.
52,000,000원
4.
53,000,000원
정답 : [
4
] 정답률 : 7%
12.
다음 중 금융소득의 과세방법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하고 있는 사람은?(2018년 06월)
1.
승훈
2.
상화
3.
지섭
4.
은희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승훈 : 소득세는 부부합산이 아니라 개별과세 상화 : 무조건 종합과세 대상 은희 : 금융소득의 필요경비는 인정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현]
13.
종합소득공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2월)
1.
기본공제대상자가 부녀자공제와 한부모공제에 모두 해당하는 경우 둘 다 적용한다.
2.
계부 ㆍ 계모는 직계존속이 아니므로 실제 부양하는 경우에도 기본공제대상이 아니다.
3.
장애인은 나이와 소득에 관계없이 기본공제대상이다.
4.
해당 과세기간에 사망한 자도 기본공제대상이 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① 기본공제대상자가 부녀자공제와 한부모공제에 모두 해당되는 경우 한부모공제를 적용한다. ② 계부・계모는 직계존속과 동일하게 보아 기본공제대상인지 판정한다. ③ 장애인은 나이의 제한이 없으나, 소득금액의 제한은 있다. ④ 해당 과세기간에 사망한 자는 사망일 전 날의 상황에 따라 기본공제여부를 판단하므로 기본공제대상이 될 수 있다.
14.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거주자 김한공 씨의 2020년도 귀속 종합소득금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세법에서 규정된 원천징수는 적법하게 이루어졌으며, 필요경비는 확인되지 않는다.)(2020년 12월)
다음은 도매업을 영위하는 (주)한공의 본사 건물 화재보험증서의 일부이다. (주)한공은 화재보험 가입 시 보험료를 전액 현금으로 지급하였다. 화재보험료에 대하여 적절히 회계처리할 경우 (주)한공의 2015년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올바르게 지적한 사람은?(2015년 11월)
1.
현진
2.
지수
3.
유리
4.
찬호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회계처리(월할계산 시) (차) 보험료 2,000,000원(판매비와관리비의 증가) (대) 현금 2,400,000원(자산의 감소) 선급보험료 400,000원(자산의 증가) ➜ 당기순이익과 자본이 감소하고, 판매비와관리비는 증가한다. 화재보험료는 비용처리하므로 본사 건물 취득원가를 증가시키지 않으며, 감가상각누계액과도 무관하다.
2.
재무제표에 대한 신뢰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2월)
1.
외부 회계감사는 재무제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2.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은 재무제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3.
재무제표가 신뢰성을 갖기 위한 구성요소로는 표현의 충실성, 검증가능성, 중립성을 들 수 있다.
4.
유형자산을 공정가치로 평가하는 것이 역사적원가로 평가하는 것보다 신뢰성이 제고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3.
다음 중 판매자의 기말재고자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8년 06월)
1.
선적지인도기준으로 판매시 기말 현재 선적이 완료되지 않은 재고
2.
기말 이전에 매입자의 매입의사가 표시된 시송품
3.
기말 현재 수탁자가 판매하지 못한 위탁상품
4.
기말 현재 담보로 제공된 재고자산
정답 : [
2
] 정답률 : 70%
4.
다음은 2018년 매출채권과 대손충당금의 내역이다. 손익계산서에 계상될 대손상각비는 얼마인가?(2018년 08월)
1.
42,000원
2.
52,000원
3.
60,000원
4.
70,000원
정답 : [
1
] 정답률 : 21%
5.
다음의 지출항목에 해당하는 계정과목으로 옳은 것은?(순서대로 가, 나, 다)(2016년 06월)
<문제 해설> 결산정리사항 1. 상품, 제품 매출원가 계산 2. 수익, 비용의 이연과 예상(선급비용, 선수수익, 미지급비용, 미수수익) 3. 소모품 정리 4. 퇴직급여충당부채 설정 5. 대손충당금 설정 6. 외화환산 7. 감가상각누계액 설정 8. 단기매매증권, 매도가능증권평가손실, 매도가능증권평가이익 9. 현금과부족, 가지급금, 가수금 정리 10. 법인세 및 선납세금 정리 [해설작성자 : wlgjs]
7.
다음 대화의 거래를 모두 회계처리할 경우 손익계산서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2020년 10월)
1.
손익계산서에 미치는 영향 없음
2.
매출 100,000원 증가, 영업이익 100,000원 증가
3.
영업이익 100,000원 증가, 당기순이익 50,000원 증가
4.
매출 100,000원 증가, 당기순이익 50,000원 증가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예) 현금 100,000 / 상품매출 100,000 복리후생비 50,000 / 현금 100,000 상품'매출' 100,000원 증가 복리후생'비' 50,000원 발생 매출 100,000원 증가 당기순이익 50,000원 증가(복리후생비 매출에서 차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다음 중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기업은 내부고발자를 보호하는 프로그램을 갖추어야 한다.
2.
외부에 공시되는 재무제표의 신뢰성 확보를 주된 목적으로 한다.
3.
회계감사를 수행하는 외부감사인이 따라야 할 감사절차를 규정하고 있다.
4.
재고자산이 보관된 창고에 대한 물리적 접근을 통제하는 것도 내부회계관리제도 범위에 포함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내부회계관리제도는 외부감사인이 따라야 하는 절차가 아니라, 기업 내부의 구성원들에 의하여 운영되는 제도이다. [해설작성자 : 꿀귀지니]
9.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과세대상 재화의 공급에 해당하는 것은?(2021년 08월)
1.
자기가 주요자재의 일부를 부담하는 가공계약에 따라 재화를 인도하는 경우
2.
매입시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지 못한 상품을 거래처에 증정한 경우
3.
사업자가 아닌 개인이 사용하던 승용차를 중고차 매매상에게 판매한 경우
4.
사업을 위하여 대가를 받지 아니하고 다른 사업자에게 견본품을 인도하는 경우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2. 매입세액 공제된 상품 아니므로 재화의 간주공급으로 보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사업자가 매입세액공제를 받은 재화를 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부가가치세 과세거래에 해당하는 것은? (1점)(2014년 11월)
1.
견본품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경우
2.
면세사업을 위하여 사용하는 경우
3.
작업복 ㆍ 작업모 ㆍ 작업화로 사용하는 경우
4.
자기사업상의 기술개발을 위하여 시험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②는 재화의 공급으로 보나, 그 밖의 것은 재화의 공급으로 보지 아니한다.
11.
다음은 개인사업자인 한공기업(페인트 제조업)의 거래내용이다. 2017년 제1기 부가가치세 매출세액에서 공제받을 수 없는 매입세액은 모두 얼마인가? 단, 필요한 세금계산서는 적법하게 수취하였다.(2017년 10월)
1.
50,000,000원
2.
51,000,000원
3.
52,000,000원
4.
53,000,000원
정답 : [
4
] 정답률 : 7%
12.
다음 중 금융소득의 과세방법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하고 있는 사람은?(2018년 06월)
1.
승훈
2.
상화
3.
지섭
4.
은희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승훈 : 소득세는 부부합산이 아니라 개별과세 상화 : 무조건 종합과세 대상 은희 : 금융소득의 필요경비는 인정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현]
13.
종합소득공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2월)
1.
기본공제대상자가 부녀자공제와 한부모공제에 모두 해당하는 경우 둘 다 적용한다.
2.
계부 ㆍ 계모는 직계존속이 아니므로 실제 부양하는 경우에도 기본공제대상이 아니다.
3.
장애인은 나이와 소득에 관계없이 기본공제대상이다.
4.
해당 과세기간에 사망한 자도 기본공제대상이 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① 기본공제대상자가 부녀자공제와 한부모공제에 모두 해당되는 경우 한부모공제를 적용한다. ② 계부・계모는 직계존속과 동일하게 보아 기본공제대상인지 판정한다. ③ 장애인은 나이의 제한이 없으나, 소득금액의 제한은 있다. ④ 해당 과세기간에 사망한 자는 사망일 전 날의 상황에 따라 기본공제여부를 판단하므로 기본공제대상이 될 수 있다.
14.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거주자 김한공 씨의 2020년도 귀속 종합소득금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세법에서 규정된 원천징수는 적법하게 이루어졌으며, 필요경비는 확인되지 않는다.)(2020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