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9일)(721752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탄성계수 E값이 3.9GPa이고, 포아송비(Poisson‘s ratio)가 0.3인 재료의 전단탄성계수 G값은 얼마인가?(2016년 06월)
     1. 1GPa
     2. 1.5GPa
     3. 2GPa
     4. 3GPa

     정답 : []
     정답률 : 77%

2. 서울시에서 장경간의 문서수장고 용도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계획하고 있다. 수장고 바닥을 지지하는 보의 장기 처짐량을 저감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장 효율적인 것은?(2018년 06월)
     1. 고강도 철근을 사용한다.
     2.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한다.
     3. 복근보로 설계한다.
     4. 표피철근을 배근한다.

     정답 : []
     정답률 : 91%

3.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따른 건축구조물에 적용하는 기본등분포활하중의 용도별 최솟값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6월)
     1. 총 중량 30kN 이하의 차량에 대한 옥내 주차장과 옥외 주차장의 기본등분포활하중은 서로 다르다.
     2. 공동주택의 공용실과 주거용 건축물의 거실의 기본등분포활하중은 서로 다르다.
     3. 사무실 건물에서, 1층 외의 모든 층 복도와 일반 사무실의 기본등분포활하중은 서로 다르다.
     4. 집회 및 유흥장에서, 집회장(이동 좌석)과 연회장의 기본등분포활하중은 서로 다르다.

     정답 : []
     정답률 : 65%

4. <보기>와 같이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진 변단면 구조물이 100N의 인장력을 받아 1mm 늘어났을 때, 이 구조물을 이루는 재료의 탄성계수는? (단, 괄호 안의 값은 단면적이다.)(2018년 03월)

   

     1. 5,000N/mm2
     2. 10,000N/mm2
     3. 15,000N/mm2
     4. 20,000N/mm2

     정답 : []
     정답률 : 74%

5. 「건축물강구조설계기준(KDS 41 31 00)」에서 충전형 합성기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2월)
     1. 강관의 단면적은 합성기둥 총단면적의 1% 이상으로 한다.
     2. 압축력을 받는 각형강관 충전형합성부재의 강재요소의 최대폭두께비가 이하이면 조밀로 분류 한다.
     3. 실험 또는 해석으로 검증되지 않을 경우, 합성기둥에 사용되는 구조용 강재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700MPa를 초과할 수 없다.
     4. 실험 또는 해석으로 검증되지 않을 경우, 합성기둥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는 70MPa를 초과할 수 없다(경량콘크리트 제외).

     정답 : []
     정답률 : 46%

6.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따른 철골부재의 이음부 설계 세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응력을 전달하는 필릿용접 이음부의 길이는 필릿 사이즈의 10배 이상이며, 또한 30mm 이상이다.
     2. 겹침길이는 얇은 쪽 판 두께의 5배 이상이며, 또한 25mm 이상 겹치게 한다.
     3. 응력을 전달하는 겹침이음은 2열 이상의 필릿용접을 원칙으로 한다.
     4. 고장력볼트의 구멍 중심 간 거리는 공칭직경의 1.5배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7. 건축구조물의 기초를 선정할 때, 상부 건물의 구조와 지반 상태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정하여야 한다. 기초선정과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연속기초(wall footing)는 상부하중이 편심되게 작용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2. 온통기초(mat footing)는 지반의 지내력이 약한 곳에서 적합하다.
     3. 복합기초(combined footing)는 외부기둥이 대지 경계선에 가까이 있을 때나 기둥이 서로 가까이 있을 때 적합하다.
     4. 독립기초(isolated footing)는 지반이 비교적 견고하거나 상부하중이 작을 때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53%

8. 「건축구조기준(KBC2016)」에서 풍동실험에 따라 특별풍 하중을 산정하여야 하는 조건이 아닌 것은?(2018년 06월)
     1. 평면이 원형인 건축물로 형상비 H/d(H : 건축물의 기준높이, d : 높이 2H/3에서의 외경)가 7 미만인 경우
     2. 장경간의 현수, 사장, 공기막 지붕 등 경량이며 강성이 낮은 지붕골조
     3. 국지적인 지형 및 지물의 영향으로 골바람 효과가 발생하는 곳에 위치한 건축물
     4. 인접효과가 우려되는 건축물

     정답 : []
     정답률 : 60%

9.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따른 콘크리트 공시체의 제작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6월)
     1. 압축강도용 공시체는 ø100×200mm를 기준으로 한다.
     2. 습윤양생 시 온도는 21~25℃ 정도로 유지한다.
     3. 임의의 1개 운반차로부터 채취한 시료에서 3개의 공시체를 제작하여 시험한 시험값의 평균값을 이용한다.
     4. 공시체는 28일 동안 습윤양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10. 다음 그림과 같은 단면을 가지는 단순 지지보의 최대 인장응력의 크기는?(2015년 06월)

    

     1. 4.3N/mm2
     2. 8.3N/mm2
     3. 12.3N/mm2
     4. 16.3N/mm2

     정답 : []
     정답률 : 62%

11. 지진력에 저항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는 21MPa 이상이어야 한다.
     2. 지진력에 의한 휨모멘트 및 축력을 받는 특수모멘트 골조에 사용하는 주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600MPa까지 허용된다.
     3. 강재를 제작한 공장에서 계측한 실제 항복강도가 공칭항복강도를 120MPa 이상 초과해야 한다.
     4. 실제 항복강도에 대한 실제 극한인장강도의 비가 1.25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12. 목공사에 사용되는 구조용 합판의 품질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접착성은 내수 인장 전단 접착력이 0.7N/mm2 이상인 것이어야 한다.
     2. 함수율은 20% 이하인 것이어야 한다.
     3. 못접합부의 전단내력은 못접합부의 최대 전단내력의 40%에 해당하는 값이 700N 이상인 것이어야 한다.
     4. 못뽑기 강도는 못접합부의 최대 못뽑기 강도가 90N 이상인 것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13. 지진에 저항하는 구조물을 설계할 때, 지반과 구조물을 분리함으로써 지진동이 지반으로부터 구조물에 최소한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수평진동을 감소시키는 건축구조기술에 해당하는 것은?(2018년 03월)
     1. 면진구조
     2. 내진구조
     3. 복합구조
     4. 제진구조

     정답 : []
     정답률 : 73%

14. 등가정적해석법을 사용하여 중량이 동일한 건물의 밑면전단력을 산정할 때, 밑면전단력의 크기가 가장 큰 경우는 다음 중 어떠한 경우인가?(2016년 06월)
     1. 강성이 크고 반응수정계수가 큰 구조물
     2. 강성이 작고 반응수정계수가 큰 구조물
     3. 강성이 크고 반응수정계수가 작은 구조물
     4. 강성이 작고 반응수정계수가 작은 구조물

     정답 : []
     정답률 : 60%

15. 정정구조와 비교하였을 때 부정정구조의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부정정구조는 부재에 발생하는 응력과 처짐이 작다.
     2. 부정정구조는 모멘트재분배 효과로 보다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3. 부정정구조는 강성이 작아 사용성능에서 불리하다.
     4. 부정정구조는 온도변화 및 제작오차로 인해 추가적 변형이 일어난다.

     정답 : []
     정답률 : 74%

16. 강재기둥의 좌굴거동에 대하여 기술한 내용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횡이동이 있는 기둥의 경우 유효좌굴길이(KL)는 항상 길이(L) 이상이다.
     2. 세장비가 한계세장비보다 작은 기둥은 비탄성좌굴에 의해 파괴될 수 있다.
     3. 접선탄성계수 이론은 비탄성좌굴에 대한 이론이다.
     4. 수평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기둥의 좌굴은 횡이동을 수반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42%

17. 강구조의 인장재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총단면의 항복한계상태를 계산할 때의 인장저항 계수(øt)는 0.9이다.
     2. 인장재의 설계인장강도는 총단면의 항복한계상태와 유효순단면의 파단한계상태에 대해 산정된 값 중 큰 값으로 한다.
     3. 유효순단면의 파단한계상태를 계산할 때의 인장저항계수(øt)는 0.75이다.
     4. 유효순단면적을 계산할 때 단일ㄱ형강, 쌍ㄱ형강, T형강 부재의 접합부는 전단지연계수가 0.6 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편심효과를 고려하여 설계하는 경우 0.6보다 작은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18. 단면 필릿용접의 총 용접 길이가 1,000mm, 필릿사이즈가 20mm인 경우 필릿용접의 유효단면적은?(2018년 06월)
     1. 9,600mm2
     2. 13,440mm2
     3. 19,200mm2
     4. 26,880mm2

     정답 : []
     정답률 : 71%

19. 건축물 및 공작물이 안전한 구조를 갖기 위해서는 설계단계에서 시공, 감리 및 유지 ㆍ 관리단계에 이르기까지 구조안전의 확인이 매우 중요하다. 시공과정에서 구조안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책임구조기술자가 수행하여야 할 업무가 아닌 것은?(2015년 06월)
     1. 구조물 규격에 관한 검토 ㆍ 확인
     2. 설계변경에 관한 사항의 구조검토 ㆍ 확인
     3. 시공하자에 대한 구조내력검토 및 보강방안
     4. 용도변경을 위한 구조검토

     정답 : []
     정답률 : 75%

20. 철골조에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를 타설할 경우, 철골보와 슬래브간의 전단력을 적절하게 전달하게 하는 철물은?(2015년 06월)
     1. 턴 버클(turn buckle)
     2. 스티프너(stiffener)
     3.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
     4. 시어 커넥터(shear connector)

     정답 : []
     정답률 : 74%


정 답 지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9일)(721752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탄성계수 E값이 3.9GPa이고, 포아송비(Poisson‘s ratio)가 0.3인 재료의 전단탄성계수 G값은 얼마인가?(2016년 06월)
     1. 1GPa
     2. 1.5GPa
     3. 2GPa
     4. 3GPa

     정답 : []
     정답률 : 77%

2. 서울시에서 장경간의 문서수장고 용도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계획하고 있다. 수장고 바닥을 지지하는 보의 장기 처짐량을 저감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장 효율적인 것은?(2018년 06월)
     1. 고강도 철근을 사용한다.
     2.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한다.
     3. 복근보로 설계한다.
     4. 표피철근을 배근한다.

     정답 : []
     정답률 : 91%

3.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따른 건축구조물에 적용하는 기본등분포활하중의 용도별 최솟값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6월)
     1. 총 중량 30kN 이하의 차량에 대한 옥내 주차장과 옥외 주차장의 기본등분포활하중은 서로 다르다.
     2. 공동주택의 공용실과 주거용 건축물의 거실의 기본등분포활하중은 서로 다르다.
     3. 사무실 건물에서, 1층 외의 모든 층 복도와 일반 사무실의 기본등분포활하중은 서로 다르다.
     4. 집회 및 유흥장에서, 집회장(이동 좌석)과 연회장의 기본등분포활하중은 서로 다르다.

     정답 : []
     정답률 : 65%

4. <보기>와 같이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진 변단면 구조물이 100N의 인장력을 받아 1mm 늘어났을 때, 이 구조물을 이루는 재료의 탄성계수는? (단, 괄호 안의 값은 단면적이다.)(2018년 03월)

   

     1. 5,000N/mm2
     2. 10,000N/mm2
     3. 15,000N/mm2
     4. 20,000N/mm2

     정답 : []
     정답률 : 74%

5. 「건축물강구조설계기준(KDS 41 31 00)」에서 충전형 합성기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2월)
     1. 강관의 단면적은 합성기둥 총단면적의 1% 이상으로 한다.
     2. 압축력을 받는 각형강관 충전형합성부재의 강재요소의 최대폭두께비가 이하이면 조밀로 분류 한다.
     3. 실험 또는 해석으로 검증되지 않을 경우, 합성기둥에 사용되는 구조용 강재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700MPa를 초과할 수 없다.
     4. 실험 또는 해석으로 검증되지 않을 경우, 합성기둥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는 70MPa를 초과할 수 없다(경량콘크리트 제외).

     정답 : []
     정답률 : 46%

6.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따른 철골부재의 이음부 설계 세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응력을 전달하는 필릿용접 이음부의 길이는 필릿 사이즈의 10배 이상이며, 또한 30mm 이상이다.
     2. 겹침길이는 얇은 쪽 판 두께의 5배 이상이며, 또한 25mm 이상 겹치게 한다.
     3. 응력을 전달하는 겹침이음은 2열 이상의 필릿용접을 원칙으로 한다.
     4. 고장력볼트의 구멍 중심 간 거리는 공칭직경의 1.5배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7. 건축구조물의 기초를 선정할 때, 상부 건물의 구조와 지반 상태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정하여야 한다. 기초선정과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연속기초(wall footing)는 상부하중이 편심되게 작용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2. 온통기초(mat footing)는 지반의 지내력이 약한 곳에서 적합하다.
     3. 복합기초(combined footing)는 외부기둥이 대지 경계선에 가까이 있을 때나 기둥이 서로 가까이 있을 때 적합하다.
     4. 독립기초(isolated footing)는 지반이 비교적 견고하거나 상부하중이 작을 때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53%

8. 「건축구조기준(KBC2016)」에서 풍동실험에 따라 특별풍 하중을 산정하여야 하는 조건이 아닌 것은?(2018년 06월)
     1. 평면이 원형인 건축물로 형상비 H/d(H : 건축물의 기준높이, d : 높이 2H/3에서의 외경)가 7 미만인 경우
     2. 장경간의 현수, 사장, 공기막 지붕 등 경량이며 강성이 낮은 지붕골조
     3. 국지적인 지형 및 지물의 영향으로 골바람 효과가 발생하는 곳에 위치한 건축물
     4. 인접효과가 우려되는 건축물

     정답 : []
     정답률 : 60%

9.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따른 콘크리트 공시체의 제작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6월)
     1. 압축강도용 공시체는 ø100×200mm를 기준으로 한다.
     2. 습윤양생 시 온도는 21~25℃ 정도로 유지한다.
     3. 임의의 1개 운반차로부터 채취한 시료에서 3개의 공시체를 제작하여 시험한 시험값의 평균값을 이용한다.
     4. 공시체는 28일 동안 습윤양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10. 다음 그림과 같은 단면을 가지는 단순 지지보의 최대 인장응력의 크기는?(2015년 06월)

    

     1. 4.3N/mm2
     2. 8.3N/mm2
     3. 12.3N/mm2
     4. 16.3N/mm2

     정답 : []
     정답률 : 62%

11. 지진력에 저항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는 21MPa 이상이어야 한다.
     2. 지진력에 의한 휨모멘트 및 축력을 받는 특수모멘트 골조에 사용하는 주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600MPa까지 허용된다.
     3. 강재를 제작한 공장에서 계측한 실제 항복강도가 공칭항복강도를 120MPa 이상 초과해야 한다.
     4. 실제 항복강도에 대한 실제 극한인장강도의 비가 1.25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12. 목공사에 사용되는 구조용 합판의 품질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접착성은 내수 인장 전단 접착력이 0.7N/mm2 이상인 것이어야 한다.
     2. 함수율은 20% 이하인 것이어야 한다.
     3. 못접합부의 전단내력은 못접합부의 최대 전단내력의 40%에 해당하는 값이 700N 이상인 것이어야 한다.
     4. 못뽑기 강도는 못접합부의 최대 못뽑기 강도가 90N 이상인 것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13. 지진에 저항하는 구조물을 설계할 때, 지반과 구조물을 분리함으로써 지진동이 지반으로부터 구조물에 최소한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수평진동을 감소시키는 건축구조기술에 해당하는 것은?(2018년 03월)
     1. 면진구조
     2. 내진구조
     3. 복합구조
     4. 제진구조

     정답 : []
     정답률 : 73%

14. 등가정적해석법을 사용하여 중량이 동일한 건물의 밑면전단력을 산정할 때, 밑면전단력의 크기가 가장 큰 경우는 다음 중 어떠한 경우인가?(2016년 06월)
     1. 강성이 크고 반응수정계수가 큰 구조물
     2. 강성이 작고 반응수정계수가 큰 구조물
     3. 강성이 크고 반응수정계수가 작은 구조물
     4. 강성이 작고 반응수정계수가 작은 구조물

     정답 : []
     정답률 : 60%

15. 정정구조와 비교하였을 때 부정정구조의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부정정구조는 부재에 발생하는 응력과 처짐이 작다.
     2. 부정정구조는 모멘트재분배 효과로 보다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3. 부정정구조는 강성이 작아 사용성능에서 불리하다.
     4. 부정정구조는 온도변화 및 제작오차로 인해 추가적 변형이 일어난다.

     정답 : []
     정답률 : 74%

16. 강재기둥의 좌굴거동에 대하여 기술한 내용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횡이동이 있는 기둥의 경우 유효좌굴길이(KL)는 항상 길이(L) 이상이다.
     2. 세장비가 한계세장비보다 작은 기둥은 비탄성좌굴에 의해 파괴될 수 있다.
     3. 접선탄성계수 이론은 비탄성좌굴에 대한 이론이다.
     4. 수평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기둥의 좌굴은 횡이동을 수반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42%

17. 강구조의 인장재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총단면의 항복한계상태를 계산할 때의 인장저항 계수(øt)는 0.9이다.
     2. 인장재의 설계인장강도는 총단면의 항복한계상태와 유효순단면의 파단한계상태에 대해 산정된 값 중 큰 값으로 한다.
     3. 유효순단면의 파단한계상태를 계산할 때의 인장저항계수(øt)는 0.75이다.
     4. 유효순단면적을 계산할 때 단일ㄱ형강, 쌍ㄱ형강, T형강 부재의 접합부는 전단지연계수가 0.6 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편심효과를 고려하여 설계하는 경우 0.6보다 작은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18. 단면 필릿용접의 총 용접 길이가 1,000mm, 필릿사이즈가 20mm인 경우 필릿용접의 유효단면적은?(2018년 06월)
     1. 9,600mm2
     2. 13,440mm2
     3. 19,200mm2
     4. 26,880mm2

     정답 : []
     정답률 : 71%

19. 건축물 및 공작물이 안전한 구조를 갖기 위해서는 설계단계에서 시공, 감리 및 유지 ㆍ 관리단계에 이르기까지 구조안전의 확인이 매우 중요하다. 시공과정에서 구조안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책임구조기술자가 수행하여야 할 업무가 아닌 것은?(2015년 06월)
     1. 구조물 규격에 관한 검토 ㆍ 확인
     2. 설계변경에 관한 사항의 구조검토 ㆍ 확인
     3. 시공하자에 대한 구조내력검토 및 보강방안
     4. 용도변경을 위한 구조검토

     정답 : []
     정답률 : 75%

20. 철골조에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를 타설할 경우, 철골보와 슬래브간의 전단력을 적절하게 전달하게 하는 철물은?(2015년 06월)
     1. 턴 버클(turn buckle)
     2. 스티프너(stiffener)
     3.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
     4. 시어 커넥터(shear connector)

     정답 : []
     정답률 : 74%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9일)(7217527)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93 건설기계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992 9급 국가직 공무원 형사소송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6
991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6
990 농기계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7월22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9 4
989 건설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9일)(4830722) 좋은아빠되기 2025.11.09 6
98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영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9일)(2638032)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98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986 수능(경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9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985 위험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4월04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9 6
984 수능(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3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9일)(7217527)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982 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7월31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981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제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9일)(9979958) 좋은아빠되기 2025.11.09 6
980 관광통역안내사 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9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4
979 농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1월26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9 6
978 청소년상담사 3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977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9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976 FAT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2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4
975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9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974 9급 국가직 공무원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20 Next
/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