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135007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리눅스 실무의 이해


1. 최근 안정적인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해 리눅스 클러스터링(Clustering)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클러스터링 시스템 기능 중 다수 접속서버-대용량 저장장치 기반의 파일 클러스터링 시스템에 가장 역점을 둔 시스템 성능 요소로 알맞은 것은?(2005년 03월)
     1. 처리능력(Throughput)
     2. 총 소요시간(Turnaround Time)
     3. 신뢰도(Reliability)
     4. 사용가능도(Availability)

     정답 : []
     정답률 : 19%

2. 다음 중 GNU 프로젝트의 자유 소프트웨어에서 보장하는 자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9월)
     1. 프로그램을 복제(Copying)하고 공유할 수 있는 자유
     2. 소스 코드를 원용하여 이를 개작(Modification) 할 수 있는 자유
     3. 개작된 프로그램을 배포(Distribution)할 수 있는 자유
     4. 배포된 GNU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직접 제작한 프로그램을 판매(Merchandising)할 수 있는 자유

     정답 : []
     정답률 : 80%

3. 다음 중 실시간 운영체제(RTOS)가 아닌 것은?(2007년 05월)
     1. VRTX
     2. pSOS
     3. VFAT
     4. VxWorks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VFAT은 윈도우95 이후에 나온 운영체계의 일부로서, 원래의 파일 할당표인 FAT에서는 다루지 못했던 긴 파일이름을 다룬다
[해설작성자 : 하이퍼동바]

4. 다음 중 BSD 라이선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무료로 이용 가능하고, 자유로운 배포도 가능하다.
     2. 소스 코드 취득 및 수정이 가능하다.
     3. 2차적 저작물의 소스코드를 비공개할 수 있다.
     4. 독점 소프트웨어와 결합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독점 소프트웨어와 결할할 수 없는 것은 GPL 라이선스 입니다.

ps. 2차적 저작물의 소스코드를 비공개 할 수 있는 라이선스는 BSD라이선스와 아파치 라이선스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학생1]

5. 리눅스 개발에 영향을 주었던 오픈소스 운영체제인 교육용 유닉스는?(2006년 09월)
     1. HP-UX
     2. MINIX
     3. XENIX
     4. MULTICS

     정답 : []
     정답률 : 67%

6. 다음 명령어는 현재 파일시스템 사용량을 현재 날짜와 시간의 이름으로 저장하는 내용이다. 빈칸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현재시간은 2014년 12월 31일 12시 정각이다)(2014년 09월)

   

     1. "date +$YY$m$d$H$M"
     2. `date +$YY$m$d$H$M`
     3. "date +%Y%m%d%H%M"
     4. `date +%Y%m%d%H%M`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 " 의 경우 문자 그대로 출력 하라는 의미이고, ' '의 경우 명령어 실행의 의미입니다.
date 의 경우 %Y는 Year, %m은 Month, %d는 day, %H는 Hour, %M은 Minute으로 연도,월,일,시,분을 의미하고 / 'date+%Y%m%d%H%M' 은 현재 날짜와 시간을 뒤의 형태로 출력되게 합니다.
[해설작성자 : kks]

7. 다음 SCSI 장치에 대한 설명 중 ( )안에 순서대로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05년 03월)

   

     1. 7, 160
     2. 10, 320
     3. 14, 160
     4. 21, 320

     정답 : []
     정답률 : 29%

8. 다음 쉘 상에서 실행한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알 맞은 것은?(2008년 08월)

   

     1.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는 log2 파일에 모두 기록 된다.
     2. 생성되는 파일은 log1, 2, log2가 된다.
     3. 프로그램 실행중 표준 출력은 log1 파일에, 표준 에러는 log2 파일에 기록된다.
     4. chkdsk를 실행하면 파일 log1의 내용을 log2로 전송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9. 리눅스 부트로더인 LILO/GRUB가 설치되는 영역으로 알맞은 것은?(2011년 09월)
     1. ROOT 영역
     2. MBR 영역
     3. Directory 영역
     4. 데이터 영역

     정답 : []
     정답률 : 79%

10. 다음 /etc 파일안에 존재하는 중요 디렉토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3월)
     1. /etc/rc.d : 시스템의 부팅과 시스템 실행 레벨 변경 시에 실행되는 스크립트들이 저장되어 있다.
     2. /etc/shadow : 사용자의 ID 및 사용자의 shell이 저장하는 파일이다.
     3. /etc/group : 시스템의 그룹에 대 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이다.
     4. /etc/issue : getty에 의해서 로그인을 위한 프롬프트가 뜨기 전에 출력되는 메시지를 설정하는 파일이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etc/shadow 는 계정에 대한 패스워드가 별도로 기록되어 있는 파일이다.
[해설작성자 : song]

1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용어로 알맞은 것은?(2020년 10월)

    

     1. exec
     2. inetd
     3. xinetd
     4. standalone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 부팅될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서비스들이 사용함
- 서버는 서비스 데몬을 준비한 상태로 운영됨
- 서비스가 메모리에 항상 상주하여 응답 속도가 빠름
- 서비스 요청이 많은 경우 효율적임
- '/etc/init.d'의 스크립트 파일로 관리
- sendmail, apache, mysql, name server, nfs 등의 서비스가 사용
위의 서비스 운영방식은 Standalone 방식에 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용아]

12. 리눅스에서 사용가능한 윈도 매니저에 대한 설명 중 알맞은 것은?(2007년 03월)
     1. twm : FVWM2.x를 기반으로 MS 윈도즈 95의 인터페이스와 비슷한 모양을 가지고 있다.
     2. WindowMaker : 넥스트스텝의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지 만 장 식 기능이 많지 않아 빠르다.
     3. FVWM : 가상윈 도 매니저를 실제로 가상 데스크톱을 지원하고, 마우스나 적절한 핫 키를 이용해서 가상 데스크톱을 오갈 수 있다.
     4. Blackbox : 탭 윈도 매니저이며, 최초의 ICCM 윈도 매니저이다.

     정답 : []
     정답률 : 31%

13. 다음 중 장치 파일명의 종류가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2020년 10월)
     1. IDE 디스크
     2. SCSI 디스크
     3. S-ATA 디스크
     4. SSD(Solid State Drive)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dev/hda : IDE
/dev/sda : SCSI/SATA/USB
[해설작성자 : 베리누나]

14. 다음 중 일반적인 /usr 디렉토리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8월)
     1. /usr 디렉토리는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가동되는데 필요한 명령이며 라이브러리 등이 있다.
     2. /usr/bin 디렉토리에는 /bin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이 복사되어 있다.
     3. /usr/include 디렉토리에는 C언어 헤더 파일들이 보관되어 있다.
     4. /usr/man 디렉토리에는 명령어로 볼 수 있는 man 페이지를 포함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28%

15. 다음 중 X 관련 프로그램의 종류가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2019년 03월)
     1. Xfce
     2. KWin
     3. Metacity
     4. Mutter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Xfce : GTK 프레임워크 사용하는 데스크톱 환경
KWin : KDE의 구성요소 중 윈도우 매니저를 Kwin이라고 한다.
Metacity, Mutter 도 KDE환경.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Metacity 는 GNOME 2 의 윈도우 매니저
Mutter 는 GNOME 3 의 윈도우 매니저
KWIN 은 KDE 의 윈도우 매니저

Xfce 는 DE 로 데스크탑 환경 입니다.
Xfce 는 유닉스 및 유닉스 계열 에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리마 공부하는사람]

+ 해설 추가
1. Xfce : 데스크톱 환경 (사례 : GNOME, KDE, XFCE, LXDE), Xfce의 Xfwm이 Xfce의 윈도우 매니저 사례
2. KWin : KDE 윈도우 매니저
3. Metacity : GNOME의 윈도우 매니저
4. Mutter : GNOME의 윈도우 매니저
[해설작성자 : 코딩 주머니]

16.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2004년 05월)

    

     1. Port Number
     2. Netmask
     3. Routing Table
     4. MAC Address

     정답 : []
     정답률 : 74%

17. 다음 중 라우터의 역할로 알맞은 것은?(2008년 08월)
     1. 장거리 전송시 전기적 신호의 증폭을 담당한다.
     2. 이더넷과 토큰 링을 연결할 때 사용한다.
     3. 패킷의 경로를 설정하여 통신량 분산을 수행 할 수 있다.
     4. 주로 응용 계층에서 동작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18. IP 주소를 실제로 컴퓨터상에서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구분하기 위하여 서브넷마스크(Subnet Mask)를 이용한다. B 클래스의 네트워크 주소를 구하기 위한 서브넷마스크에 해당하는 것은?(2010년 09월)
     1. 0.0.0.0
     2. 255.0.0.0
     3. 255.255.0.0
     4. 255.255.255.0

     정답 : []
     정답률 : 69%

19. TCP/IP 프로토콜중 TCP 헤더의 구성필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8년 01월)
     1. Source Port/Destination Port : SP는 보내는 측 포트번호, DP는 목적지 포트 번호이다.
     2. Sequence Number : TCP 세그먼트안에 데이터의 송신바이트 흐름의 위치를 나타낸다.
     3. HLEN : TCP 세그먼트의 길이를 정의한다.
     4. RESERVED : 세그먼트의 용도와 내용을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TCP 헤더의 구성 필드




Source Port : 송신(보내는)쪽 포트 번호 // Destination Port : 목적지 포트 번호
Sequence Number : 송신용 순서 번호
Acknowledgment number : 응답 확인 번호
Data offset(=HLEN) : 헤더 길이 // Reserved : 미래를 위한 예약필드 // CWR~FIN : 코드비트
// Window Size : 수신측이 TCP 제어를 위해 상대에게 통보하는 자신의 버퍼크기
Checksum : 헤더 및 데이터의 에러 확인을 위한 값
// Urgent pointer :    TCP 세그먼트에 포함된 긴급 데이터의 마지막 바이트에 대한 일련번호
Options : TCP 옵션

-출처 : TCP 위키백과

20. 네트워크 부하를 줄이기 위해 방화벽에서 ping과 traceroute관련 프로토콜을 차단하려고 한다. 다음 중 차단해야 하는 프로토콜로 가장 알맞은 것은?(2020년 06월)
     1. IP
     2. ARP
     3. UDP
     4. ICMP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에는 네트워크 제어를 위한 각종 메시지가 규정되어 있으며, ping(접속 가능 여부 확인)과 traceroute(경로추적)에 활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반스트]

2과목 : 리눅스 시스템 관리


21.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23년 03월)

    

     1. 4
     2. 5
     3. 6
     4. 7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root:x:0:0:root:/root:/bin/bash
                            ①    ②③④        ⑤        ⑥         ⑦                    
① 필드 1 : 사용자명
② 필드 2 : 패스워드(/etc/shadow 파일에 암호화되어 있음)
③ 필드 3 : 사용자 계정 uid
④ 필드 4 : 사용자 계정 gid
⑤ 필드 5 : 사용자 계정 이름(정보)
⑥ 필드 6 : 사용자 계정 홈 디렉토리
⑦ 필드 7 : 사용자 계정 로그인 쉘
[해설작성자 : 5만원 너무 비싸다 ]

22. 리눅스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계정의 ID, Path, shell, description등이 기록된 파일은?(2008년 06월)
     1. /etc/shadow
     2. /etc/passwd
     3. /etc/pam.d/login
     4. /etc/login.defs

     정답 : []
     정답률 : 60%

23. 다음 중 시스템 보안 관리 강화를 위한 조치로 틀린 것은?(2022년 03월)
     1. 불필요한 서비스를 최대한 제거한다
     2. /etc/issue와 같은 메시지 파일을 제거한다
     3. Set-UID와 같은 특수 권한 사용을 권장한다
     4. 로그인 서비스는 telnet 대신에 ssh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Set-UID는 특수 권한으로 root 권한이 없어도 실행 순간에는 root 권한으로 실행됩니다.
즉, Set-UID가 된 프로그램이 많아질수록 보안에 취약해질 수 밖에 없죠!
[해설작성자 : dhbang]

Set-UID 에서도 S일경우에는 실행 권한이 없음, 다만 잠제적 위험이 존재함
rws    > 일반 사용자도 root권한으로 실행가능
rwS    > 일반 사용자는 실행 불가. 단, 서버관리자가 chmod u+x를 하는 순간 'S > x'가 되는게 아니라 'S > s'로 되기 때문에 잠제적 위험
[해설작성자 : 2주남았다]

24. 다음 중 명령어의 사용법으로 틀린 것은?(2019년 09월)
     1. pgrep httpd
     2. nice -10 1222
     3. killall httpd
     4. renice 1 987 -u daemon root –p 1222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ㅇnice : 프로세스 우선순위 변경( 프로세스 이름으로 )
ㅇrenice : 프로세스 우선순위 변경( PID로 )
[해설작성자 : 보라매SO 탑클라스]

사용 예시
    ㅇ nice : nice -10 [process 명] : 10만큼 process 의 nice 값이 증가 된 상태로 process 실행
    ㅇ pgrep : 지정된 기준에 따라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프로세스 ID를 찾을 수 있는 명령 줄 유틸리티
    ㅇ killall : 특정 프로세스를 한번에 죽이는 명령어이다.
             즉, httpd 데몬 이 여러 개 실행되어 있을 경우 모두 종료하고자 한다면 killall httpd 를 사용하면 된다.
             -. killall의 주요 옵션
             -i : 프로세스 종료 전 물어보기(y,n)
             -v : 진행 현황 확인
             -w : 지정한 프로세스들이 모두 종료될 때 까지 종료 시도를 함
             -[signum] : 특정 시그널 지정하여 보내기
[해설작성자 : 정추]

25. 리눅스에서 많이 사용되는 쉘(Shell)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9월)
     1. 최초에 사용된 쉘은 본 쉘(Bourne Shell)이다.
     2. 본 쉘(Bourne Shell)을 확장하여 사용한 것은 콘 쉘(Korn Shell)이다.
     3. tcsh는 초기 C 쉘(C Shell)의 확장 버전이다.
     4. bash는 본 쉘(Bourne Shell)과는 달리 독자적인 명령어 세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본 쉘(Bourne Shell)로 작성한 스크립트를 재사용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2%

26. 명령어의 사용법과 의도가 잘못 기술된 것은?(2002년 08월)
     1. mkfs -t ext2 /dev/fd0 1440 : 플로피상에 ext2 파일시스템을 만든다.
     2. fsck -t ext2 /dev/hda2 : /dev/hda2 상의 ext2 파일시스템을 점검한다.
     3. mkswap -c /swap 8192 : /swap이라는 이름으로 8KB의 스왑(Swap) 공간을 만든다.
     4. mount -t iso9660 -r /dev/cdrom /mnt : CD-ROM 드라이브를 /mnt에 마운트 한다.

     정답 : []
     정답률 : 35%

27. ihd라는 사용자를 일시적으로 로그인할 수 없도록 lock을 거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08년 03월)
     1. passwd -l ihd
     2. passwd -d ihd
     3. passwd -u ihd
     4. passwd -s ihd

     정답 : []
     정답률 : 65%

28. 다음 중 ( 괄호 ) 안에 들어갈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단, 명령어에 옵션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2018년 03월)

    

     1. id
     2. w
     3. who
     4. users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id - 사용자정보,uid,gid,소속그룹정보 등을 확인하는 명령어
w - 서버 정보와 함께 사용자 정보를 자세히 알려주는 명령어
who - 현재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 확인
users -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 이름 출력
[해설작성자 : 빈빈]

id
     uid=1000(abcd) gid=1000(abcd) groups=1000(abcd),10(wheel) context=unconfined_u:unconfined_r:unconfined_t:s0-s0:c0.c1023
    
w
     23:44:56 up 29 days, 12:59,    4 users,    load average: 0.01, 0.06, 0.08
    USER         TTY            FROM                         LOGIN@     IDLE     JCPU     PCPU WHAT
    abcd         pts/1        192.168.145.1        23:39        5:07     0.08s    0.08s -bash

who
    abcd    pts/1                2023-02-10 23:39 (192.168.145.1)
[해설작성자 : 정추]

29. 다음은 ihduser 사용자의 디스크 사용량을 제한하는 과정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7년 09월)

    

     1. quota
     2. edquota
     3. setquota
     4. quotaon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edquota 명령은 각 사용자 및 그룹의 현재 디스크 할당량을 포함하는 임시 파일을 작성합니다.
[해설작성자 : blog.naver.com/grunge26]

30. 모든 사용자와 모든 그룹은 파일을 읽을 수만 있고, 파일 소유자는 읽기, 쓰기, 실행을 할 수 있게 권한을 바꾸고자 할 때 사용하는 절대 모드의 값으로 알맞은 것은?(2009년 09월)
     1. 446
     2. 744
     3. 644
     4. 764

     정답 : []
     정답률 : 64%

31. 다음 파일 권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1월)

    

     1. 이 파일의 소유자는 root이다.
     2. 이 파일은 현재 실행 모드가 없다.
     3. 이 파일은 소유자만이 내용을 수정 할 수 있다.
     4. 파일 소유자 외 나머지 사용자들은 접근권한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ls 목록 표기 구분
#ls -al ihd.log
-rw-r--r-- 1 root root 47635 1월 2 20:10 ihd.log

맨 앞에 -는 파일과 디렉터리 구별 기호. -는 파일 d는 디렉터리
그 다음 9자리(rw-r--r--)는 파일 퍼미션이 나온다.
(3/3/3)으로 잘라서 (소유자/소유그룹/다른사용자)로 나눈다.
여기서는 (rw-r--r--)이므로 소유자는 읽고(r), 쓰기(w)가능하고 실행(x)은 안된다.
소유그룹과 다른사용자는 읽기만 가능하다.
그 다음(1)은 하드링크 번호이며 그 다음 문자와 그 다음 문자는 각각 소유자와 소유그룹을 보여준다.
그 다음 숫자(47635)는 파일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표시한 것이다.
다음(1월 2 20:10)은 파일이 만들어지거나 수정된 날짜와 시간을, 마지막 부분(ihd.log)는 파일의 이름을 표시한다.

[해설작성자 : 미나리나물]

32. 다음 설명과 관련 있는 파일명으로 알맞은 것은?(2020년 10월)

    

     1. /etc/skel
     2. /etc/passwd
     3. /etc/login.defs
     4. /etc/default/useradd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1. /etc/skel : 계정 생성시 홈 디렉터리에 복사될 파일들
2. /etc/passwd : 사용자 계정 정보
3. /etc/login.defs : 계정 생성시 두번째로 참조하는 파일 (비밀번호[만료일, 재변경 최소 일 수, 최소길이 등], UID 범위, 홈 디렉터리 생성여부, 암호화 방법 등)
4. /etc/default/useradd : 계정 생성시 첫번째로 참조하는 파일 (GID, 홈 디렉터리 경로, 비밀번호 유효기간 종료 후 설정, 계정 종료 일자, 셸, skel 경로 등)
[해설작성자 : Dongry]

아래는 /etc/default/useradd 파일 내용

    GROUP=100    # 계정 생성 시 기본 그룹 ID
    HOME=/home    # 홈 디렉터리
    INACTIVE=-1    # 계정 비활성화되는 기간, -1은 비활성화 기간 없음
    EXPIRE=    # 계정의 만료 날짜 설정, 빈 값은 만료 없음
    SHELL=/bin/bash    # 기본 쉘
    SKEL=/etc/skel    # 계정 생성 시 기본적으로 제공될 파일과 디렉터리 (스켈레톤)
    CREATE_MAIL_SPOOL=yes    # 메일 박스 생성 여부
[해설작성자 : 1트합시다]

33. 다음 중 yum을 이용해서 telnet이라는 문자열이 들어있는 패키지를 검색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20년 10월)
     1. yum -f telnet
     2. yum search telnet
     3. yum -search telnet
     4. yum --search telnet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no such option: -f 옵션이 존재하지 않음.
2.search                 Search package details for the given string
3.no such option: -search 옵션이 존재하지 않음.
4.no such option: --search 옵션이 존재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top 실행 중 사용하는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k : kill 명령
     2. q : top 프로그램 종료
     3. h : 명령어 목록보기
     4. r : 화면 갱신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r : renice
[해설작성자 : 해리팍]

이미 실행중인 프로그램의 우선순위를 바꾸는 명령어는 renice
프로그램 실행전에 우선순위를 바꾸는 명령어는 nice
nice명령어는 이미 실행중인 프로그램의 우선순위를 바꿀 수 없다.
[해설작성자 : DWSJH]

top 명령어 : r(Nice값을 변경),k(kill 명령),q(top을 종료),t(TIME값으로 정렬)
[해설작성자 : DWSJH]

35. 다음 리눅스 사용자 관리를 위한 명령어 중 사용자의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08년 08월)
     1. useradd
     2. userdel
     3. usermod
     4. userupdate

     정답 : []
     정답률 : 53%

36. rpm 명령어를 사용하여 sample.sh 파일이 속해 있는 패키지를 찾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03년 10월)
     1. rpm -qa | grep 'sample.sh'
     2. rpm -qi sample.sh
     3. rpm -qf sample.sh
     4. rpm -qp sample.sh

     정답 : []
     정답률 : 17%

37. 다음 중 yum 명령으로 music이라는 문자열이 포함된 패키지를 찾으려고 할 때 알맞은 것은?(2015년 09월)
     1. yum search music
     2. yum list music
     3. yum info music
     4. yum find music

     정답 : []
     정답률 : 53%

38. Makefile의 내부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Makefile의 기본규칙 3가지는 목표, 의존관계, 명령이다.
     2. Makefile의 명령부분에 정의된 명령어들은 bash에 기반한 쉘 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는다.
     3. Makefile의 목표부분은 명령이 수행되어 나온 결과 파일을 지정한다.
     4. Makefile의 명령부분에 정의된 명령어들은 일반적으로 쉘에서 쓸 수 있는 모든 명령어들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0%

39. 인터넷을 통하여 sample.tar.gz와 같은 파일을 다운받았다. 이와 같은 형식의 파일을 만드는 방법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2002년 05월)
     1. sample파일을 gzip명령으로 압축을 한다.
     2. sample파일을 tar명령으로 묶는다.
     3. sample파일을 gzip명령으로 묶은 후, tar명령으로 압축한다.
     4. sample파일을 tar명령으로 묶은 후, gzip명령으로 압축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40. umount 명령을 사용할 때 버전을 출력하고 종료 하려고 한다. 다음 중 올바른 명령어는 무엇인가?(2007년 03월)
     1. umount -V
     2. umount -v
     3. umount -a -v
     4. umount -a -V

     정답 : []
     정답률 : 15%

41. 다음 설명에 가장 적합한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22년 03월)

    

     1. passwd -r ihduser
     2. passwd -l ihduser
     3. passwd -d ihduser
     4. passwd -u ihduser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l, --lock : 지정한 사용자의 암호에 락(lock)을 지정한다.
-r, --repository REPOSITORY : 저장소(REPOSITORY)의 암호를 변경한다.
-d, --delete : 사용자의 암호를 삭제한다.
-u, --unlock : 사용자 암호의 락을 해제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다음은 커널 컴파일 과정을 순서 없이 나열한 것이다.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2003년 06월)

    

     1. (마)-(가)-(다)-(바)-(나)-(아)-(사)-(라)-(자)
     2. (마)-(가)-(바)-(다)-(나)-(아)-(사)-(라)-(자)
     3. (마)-(가)-(아)-(다)-(바)-(나)-(사)-(라)-(자)
     4. (마)-(가)-(나)-(다)-(바)-(아)-(사)-(라)-(자)

     정답 : []
     정답률 : 45%

43. 다음 장치 파일 중 사운드 장치와 관련이 없는 것은?(2004년 10월)
     1. /dev/dsp
     2. /dev/audio
     3. /dev/sndstat
     4. /dev/sndconf

     정답 : []
     정답률 : 23%

44. 다음 중 등록된 cron 관련 파일을 제거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22년 03월)
     1. crontab -e
     2. crontab -d
     3. crontab -l
     4. crontab -r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crontab 주요 옵션
---------------------
* crontab -l : crontab에 등록된 작업목록 보기
* crontab -e : crontab 편집
* crontab -r : crontab에 등록된 작업목록을 모두 삭제
[해설작성자 : dahl]

45. 다음 중 커널 컴파일의 순서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6년 09월)

    

     1. ㉠ → ㉥ → ㉡ → ㉢ → ㉤ → ㉣
     2. ㉠ → ㉣ → ㉤ → ㉡ → ㉢ → ㉥
     3. ㉣ → ㉡ → ㉢ → ㉤ → ㉥ → ㉠
     4. ㉣ → ㉠ → ㉡ → ㉢ → ㉤ → ㉥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make mrproper : 커널 파일 처음 가져왔을때 의존성을 깨끗이 제거.

make xconfig : 커널의 환경설정을 한다.(ex. 파일시스템은 어떤걸로?, 언어설정은? 등)
=> 설정 저장후 종료하면 .config 파일에 저장됨.

(make dep : 위에서 설정한 대로 다시 의존성 설정 작업을 한다.)

(make clean : 컴파일 위해 이전 컴파일 작업파일 깨끗이 삭제.)

make bzlmage : 커널 컴파일 파일 생성.

make modules : 커널에서 사용할 모듈을 컴파일.

make modules_install : 컴파일된 모듈을 설치한다.(/lib/modules/ 이하에 저장)

make install : 커널 등록 및 설치.

[해설작성자 : 김정환 대학노트]

46. 다음 중 리눅스에서 프린터 설정에 관련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08년 06월)
     1. lpd
     2. cups
     3. printconf
     4. lspci

     정답 : []
     정답률 : 58%

47. 다음 중 파일의 내용을 출력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의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2019년 03월)
     1. lp, lpr
     2. lp, lpq
     3. lpr, lpq
     4. lpr, lpstat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lp = root사용자 프린터 출력
lpr = 일반 사용자 프린터 출력
lpq        = 프린터 queue 상태 확인
lpstat = 프린터 queue 상태 확인
lpc = 프린터 Cancel 명령
실무에서 한번도 써본 기억이 없는데 문제는 맨날 나와서 열받음.
[해설작성자 : 카실]

48. 커널 패치가 성공했을 때 패치 대상이 된 파일의 원본 이름 끝에 붙는 것은?(2009년 09월)
     1. .rej
     2. .bak
     3. .org
     4. .orig

     정답 : []
     정답률 : 33%

49. 시스템에서 지원하지 않는 사운드카드를 사용하려고 할때 해야 하는 단계를 순서별로 알맞게 나열한 것은?(2007년 08월)

    

     1. 가-나-다-라-마
     2. 라-다-가-나-마
     3. 나-가-라-다-마
     4. 라-나-가-다-마

     정답 : []
     정답률 : 19%

50. 다음 중 리눅스 시스템 디렉토리 구조에 해당 되는 영역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1. /var 하위 디렉토리
     2. /sys 하위 디렉토리
     3. /dev 하위 디렉토리
     4. /home 하위 디렉토리

     정답 : []
     정답률 : 64%

51. 다음 중 /etc/rsyslog.conf 파일에서 ssh와 같이 인증이 필요한 프로그램에서 발생한 메시지를 처리하는 facility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5년 09월)
     1. auth
     2. authpriv
     3. daemon
     4. syslog

     정답 : []
     정답률 : 43%

52. 다음 중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9년 09월)

    

     1. ㉠ : 공개키 ㉡ : 비밀키 ㉢ : 복호화
     2. ㉠ : 비밀키 ㉡ : 개인키 ㉢ : 복호화
     3. ㉠ : 공개키 ㉡ : 개인키 ㉢ : 리스토어
     4. ㉠ : 비밀키 ㉡ : 특수키 ㉢ : 리스토어

     정답 : []
     정답률 : 68%

53. 언제, 누가, 어디에서, 어떻게 접속을 했는가에 대한 로그를 기록하고 있으며, 시스템에 불법 침입이 있었다고 의심이 될 때 반드시 확인해 봐야 할 로그파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02년 05월)
     1. /var/log/messages
     2. /var/log/secure
     3. /var/log/boot.log
     4. /usr/local/apache/logs/aeecss_log

     정답 : []
     정답률 : 39%

54. 다음 설명하는 내용에 알맞은 것은?(2018년 03월)

    

     1. asyslog
     2. rsyslog
     3. msyslog
     4. vsyslog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ㅇ 관련파일
    /etc/rc.d/init.rsyslog : rsyslogd 데몬을 동작시키는 스크립트
    /etc/rsyslog.conf : rsyslogd 데몬 환경 설정 파일
    
ㅇ /etc/rsyslog.conf :
     rsyslogd 데몬 환경 설정 파일
     로그 파일들을 어떻게, 어디에 저장할지 설정할 수 있다.
    /etc/sysconfig/rsyslog : rsyslogd 데몬 실행과 관련된 옵션 설정 파일
    /sbin/rsyslogd : 실제 rsyslogd 데몬 실행 명령
    
ㅇ rsyslog로 생성되는 로그의 저장 위치 : /var/log
[해설작성자 : 정추]

55. 다음 중 리눅스의 부팅 및 초기화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5년 09월)

    

     1. MBR 영역에는 lilo나 grub같은 로더가 저장 되어 있다.
     2. Device Check 과정은 리눅스 커널이 직접 수행한다.
     3. file system check는 fsck를 이용하여, 파일 시스템 체크를 진행한다.
     4. init process는 /etc/inittab파일을 로딩하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10%

56. 다음 중 가장 최근에 시스템이 재부팅된 정보를 하나만 출력하려 할 때 알맞은 명령은?(2018년 03월)
     1. last –1 reboot
     2. last –L 1 reboot
     3. lastb –1 reboot
     4. lastb –L 1 reboot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last -1 reboot : 가장 최근에 재부팅한 정보 하나만 출력합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 last -1 reboot 출력 예시
    reboot     system boot    3.10.0-1160.81.1 Mon Jan 16 10:56 - 13:51 (32+02:54)
    wtmp begins Sun Oct 16 23:21:49 2022
[해설작성자 : 정추]

57. 다음 중 SELinux의 상태와 관련된 모드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active
     2. disabled
     3. enforcing
     4. permissive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SELinux : 리눅스의 보안을 강화해주는 보안강화 커널

enabled : SELlinux 사용
disenabled : SElinux 해제
enforcing : SELilnux에 해당하는 규칙에 어긋나는 동작은 전부거부
permissive : 해당하는 규칙에 어긋나도 동작은 허용(단 감사로그는 남김 audit log)

[해설작성자 : 쭝이]

58. 시스템에 telnet 프로토콜로, 로그인 했을때 아래 화면과 같이 로그인 후, 간단한 보안관련 공지사항을 출력하고자 한다. 이때 설정해야할 파일로 알맞은 것은?(2005년 09월)

    

     1. /etc/issue
     2. /etc/motd
     3. /etc/issue.net
     4. /etc/messages

     정답 : []
     정답률 : 23%

59. 리눅스 시스템에서 자료의 백업을 위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명령어가 아닌 것은?(2003년 01월)
     1. sudo
     2. dump
     3. tar
     4. cpio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Backup 및 Restore(관련 명령어)
1.tar
2.cpio
3.dump 및 restore
4.dd
5.rsync

sudo : 특정 사용자 또는 특정 그룹에 root사용자 권한을 가질 수 있도록 일부 명령 또는 모든 명령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
[해설작성자 : 따식이]

60.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6년 03월)

    

     1. (ㄱ) if (ㄴ) of
     2. (ㄱ) of (ㄴ) if
     3. (ㄱ) iflag (ㄴ) oflag
     4. (ㄱ) oflag (ㄴ) ifag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if=file    표준 입력 대신 지정한 file을 입력 대상으로 한다.
of=file    표준     출력     대신에    지정한    file을    출력    대상으로    한다.

61. 웹 브라우저의 역할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4년 10월)
     1. 연결 작업과 데이터 전송 등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이다.
     2. 서버의 요청(Request)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응답(Response)이 기본 원리이다.
     3.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호스트들 중 사용자가 지정한 호스트로 접속한다.
     4. 지정한 호스트의 문서를 사용자의 호스트로 가져와서 보여준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클라이언트의 요청(Request)에 대한 서버의 응답(Response)이 기본 원리이다.
[해설작성자 : jy]

62. 웹서버 프로그램인 아파치 1.3버전과 아파치 2.x 버전에 대한 비교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6월)
     1. PHP연동 설치시 아파치 1.3버전은 정적, 동적 모듈 모두 지원하고, 아파치 2.x버전은 동적 모듈만 지원한다.
     2. 아파치 2.x버전이 아파치 1.3버전보다 다양한 형태의 프로세스 관리 기능을 지원한다.
     3. PHP를 정적 모듈형태로 지원하는 1.3버전이 아파치 2.0버전에 비해 처리속도가 느리다.
     4. PHP를 동적 모듈형태로 운영하는 것이 정적 모듈로 운영할 때 보다 메모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30%

63. 다음 중 LDAP 속성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3월)
     1. sn : 조직(회사) 이름
     2. ou : 조직의 부서 이름
     3. dc : 도로명 주소(지번)
     4. c : 주(우리나라의 도) 이름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o
3. street
4. st
[해설작성자 : 예나]

sn - 사용자의 성
dc - 도메인 구성요소의 이름
[해설작성자 : 빈빈]

ㅇ LDAP :
    1. 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사용자, 시스템, 네트워크 서비스 정보 등의 디렉터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 인증관련
    2. 다렉터리는 논리, 계급 등을 기준으로 조직화 되어 있다.
    3. 일반적으로 RDBMS에 비해 검색 속도가 빨라서 읽기 위주의 서비스에 좋은 성능을 발휘한다.
         (*) "자주 변경되는 정보인 경우에"는 해당 안됨
    4. 이름, 주소와 같이 하나 이상의 속성을 가진 객체로 구성된다.
    5. X.500 Directory Access Protocol 기반으로 만들어진 통신 규약이다.
    6. 읽기 위주의 검색 서비스에서 상당히 좋은 성능을 발휘한다.
    
ㅇ    LDAP 속성 추가
    c: contry name 국가이름
    cn : common name 이름+성
    dc - 도메인 구성요소의 이름    
    givenname : 이름        
[해설작성자 : 정추]

64. 다음 보기 중 아파치 웹서버의 소스 설치 순서로 알맞은 것은?(2013년 09월)

    

     1. 나-가-다-라
     2. 가-다-나-라
     3. 가-나-라-다
     4. 라-다-가-나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tar zxvf http-2.2.4.tar.gz - configure - make - make install
[해설작성자 : 수험생]

65. 웹 호스팅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아파치 웹 서버의 주소 기반 가상 호스팅(IP-based Virtual Hosting)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2004년 10월)
     1. http.conf 파일 안에서 NamevirtualHost 항목을 주석처리 한다.
     2. IP 주소 한 개로 여러 도메인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각각의 도메인들에 개별적으로 ServerName, DocumentRoot, CustomLog 등을 설정할 수 있다.
     3. 사설 IP를 사용하고 있는 인트라넷 환경에서 적합한 방법이다.
     4. 사용하는 랜카드에 ifconfig와 route를 이용하여 가상의 IP를 추가 설정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9%

66. 다음 보기의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13년 09월)

    

     1. CGI(Common Gateway Interface)
     2. AJP(Apache JServ Protocol)
     3. SSL(Secure Sockets Layer)
     4. SSH(Secure Shell)

     정답 : []
     정답률 : 48%

67. proftpd를 운영하고 있는 서버에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는 로그인이 가능하지만 anonymous 계정으로는 로그인되지 않는다. 다음 중 관련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설정 파일 안에 <Anonymous> ..</Anonymous> 지시자가 없다.
     2. RequireValidShell 지시자의 값이 Off이다.
     3. /etc/passwd 파일에 ftp 사용자에 대한 설정이 없다.
     4. ftp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에 대한 소유자나 권한이 잘못 설정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RequireValidShell On : /etc/shells에 나열된 쉘 바이너리가 없는
로그인을 허용하거나 거부하도록 서버, 가상 호스트 또는 익명 로그인을 구성합니다.

68. 아파치 웹서버 설정파일인 httpd.conf의 KeepAlive On이 되어있을 경우, 지속적인 접속 동안에 허용할 최대 요청횟수를 지정하는 지시자로 알맞은 것은?(2005년 03월)
     1. KeepAliveTimeout 15
     2. StartServer
     3. Timeout 300
     4. MaxKeepAliveRequests 100

     정답 : []
     정답률 : 58%

69. PostgreSQL의 특징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2004년 10월)
     1. 고수준 확장성
     2. 객체지향
     3. 관계형 모델
     4. 인텔리전트 에이전트 기능

     정답 : []
     정답률 : 60%

70. 다음 중 /etc/aliases의 정보를 읽어 들여 관련 DB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3월)
     1. mailq -Ac
     2. sendmail -bi
     3. sendmail -bp
     4. sendmail -bp -oQ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bi : /etc/mail/aliases 파일에 정의되는 정보에서 별명 데이터베이스를 빌드
-bp : 메일 큐의 리스트를 인쇄
-oO : 옵션의 변수를 설정
[해설작성자 : 쭝이]

71. 다음 중 smb.conf 파일에서 ihd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이 파일 생성 및 삭제가 가능하도록 지정하는 항목으로 알맞은 것은?(2017년 09월)
     1. writable = ihd
     2. writable = @ihd
     3. write list = ihd
     4. write list = @ihd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writable = yes, no로 쓰기 가능여부 설정입니다.
write list는 @를 사용하여 그룹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다망다려]

72. 현재 리눅스 가상화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KV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KVM은 CPU에서 가상화를 지원해야 한다.
     2. Kernel 2.6.20부터 리눅스 커널 메인라인에 들어간 커널 모듈 형태이다.
     3. KVM은 모든 장치에 대해 전가상화만을 제공한다.
     4. 호스트 서버에서 보면 게스트 서버는 하나의 프로세스로 간주되기 때문에 오버헤더가 거의 없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cpu만 반가상화 기술 지원 x
이더넷, Disk I/O, VGA그래픽 인터페이스는 반가상화 지원

73. 삼바(Samba)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못한 것은?(2002년 08월)
     1. smbd 데몬은 사용자 인증과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담당하는 데몬이다.
     2. nmbd 데몬은 WINS(Windows Internet Name Service)를 담당하는 데몬으로, 컴퓨터 이름과 IP 주소를 연결시킨다.
     3. 삼바 서버는 동시에 WINS 서버가 될 수 없다.
     4. SWAT은 웹을 기반으로 한 삼바 설정 도구로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설정할 수 있도록 편리한 입력폼을 제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74. 리눅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것은?(2012년 03월)
     1. MySQL
     2. PostgreSQL
     3. Informix
     4. MSSQL

     정답 : []
     정답률 : 66%

75. 다음 중 ihduser 사용자가 회사로 들어오는 메일을 외부의 다른 메일 서버로 전송하려고 할 때 가장 알맞은 것은?(2018년 09월)
     1. /etc/aliases 파일에 관련 정보를 등록한다.
     2. mailq 명령을 사용해서 관련 정보를 등록한다.
     3. /etc/mail/virtusertable에 관련 정보를 등록한다.
     4. 홈 디렉터리에 .forward 파일을 생성하여 등록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ㅇ /etc/aliases : 특정 계정으로 들어오는 메일을 다른 계정으로 전송되도록 설정한다.
    webmaster : ihduser, kaiuser, admin@ihd.or.kr
ㅇ mailq : 보내는 메일이 대기하는 디렉터리의 큐 상태를 출력
ㅇ /etc/mail/virtusertable : 가상 메일 유저 설정 파일
    # vi /etc/mail/virtusertable
    security@seoul.com twins
    security@busan.com giants
    [메일주소] [받을 유저]
[해설작성자 : 정추]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번, 2번, 4번 모두 가능한 설정인데 왜 정답이 4번이어야만 하는지 문제에 오류가 있다고 보입니다.
/etc/aliases의 경우 위에 분이 잘 설명해 주셨고,
/etc/mail/virtusertable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설정하면 될텐데 말입니다.
ihduser@ihd.or.kr ihduser@gmailx.com
[해설작성자 : 1트합시다]

[추가 오류 신고]
이 문제는 충분히 논란이 있을 수 있는 문제네요
1. ihduser 사용자가 설정파일(aliases, virtusertable)에 접근할 수 있는 관리자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지?
2. "회사로 들어오는 메일" 이라면, 외부에서 들어오는 메일일텐데, ihduser의 메일주소가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지?
* 보통 /etc/aliases는 로컬 시스템의 메일을 외부로 포워딩하는 경우에 설정하며, 로컬 시스템이 아닌 외부에서 들어오는 메일을 포워딩하려면 사용자(ihduser)에 대한 도메인과 메일 서버 설정이 별도로 필요.
3. /etc/mail/virtusertable 파일도 외부 이메일 주소로 메일을 포워딩하는 것도 가능하긴 함. 하지만 2번 설명처럼 각종 설정 필요

여기서 중요한것은 "ihduser가 일반 개인 사용자냐, 관리자냐" 가 첫번째로 중요하고, 두번째로는 문제의 요구대로 "가장 알맞은 것"을 골라야 한다는 점 입니다.

즉, 문제 출제자는 이러한 논란이 발생할 가능성을 미리 예지하고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라고 명시한것일 수 있습니다.
문제에서 ihduser가 관리자라고 명시하지 않은점을 고려해서 단편적으로 봤을때, 4번이 "가장 알맞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aliases, virtusertable 는 시스템 전역에 작용하는 설정파일이기때문에, 일개 사용자가 단순히 메일을 포워딩하는 목적으로 설정하기에는 시스템 전역에 미치는 영향, 보안을 고려했을때 적절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76. 시스템 관리자 홍길동은 사용 중인 NFS 서버의 /home/ihd 디렉토리를 192.1.2.×의 IP를 가지는 모든 클라이언트가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 할 수 있도록 설정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nfs 설정 파일에 추가해야 할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03년 06월)
     1. /home/ihd 192.1.2.1 ∼ 192.1.2.254(ro)
     2. /home/ihd 192.1.2.0/255.255.255.0(ro)
     3. /home/ihd 192.1.2.×(ro)
     4. /home/ihd 192.1.2.0 ∼ 192.1.2.254(ro)

     정답 : []
     정답률 : 58%

77. 발신자가 spammer@aol.com인 메일의 수신을 거부하는 설정을 /etc/mail/access에 등록하려고 한다. 다음 설정 중에 가장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1. Connect:spammer@aol.com REJECT
     2. From:spammer@aol.com REJECT
     3. Connect:spammer@aol.com RELAY
     4. From:spammer@aol.com RELAY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첫 번째 필드에 도메인명, IP 주소, 메일 계정 기입
두 번째 필드에는 정책을 적으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78. 다음은 ProFTPd의 설정 파일 중 일부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4년 05월)

    

     1. /etc/shells 파일에 정의되지 않은 Shell을 사용하는 유저에게 FTP 접속을 허락하거나 거절 하는 것에 대한 설정이다.
     2. 일반적으로 ProFTP는 on 상태를 기본값으로 설치된다.
     3. 설정값이 on 일 때는 사용자의 쉘이 /etc/shells 파일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Login을 할 수 없다.
     4. Anonymous User로 접속하려면 값을 off로 설정 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2%

79. NFS서버에 연결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에서 마운트 할 때 사용하는 옵션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6년 09월)
     1. rsize : NFS서버에 기록할 때 사용하는 바이트 수를 지정한다.
     2. timeo : 타임아웃이 발생하면 I/O 에러 표시 한다.
     3. fg : NFS 서버에 타임아웃이 발생되면 즉각 접속을 중지한다.
     4. soft : 타임아웃이 발생하면 “server not responding” 메시지를 표시하고 계속 재시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80.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09월)

    

     1. .mail
     2. .email
     3. .forward
     4. .procmail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forward : 각 사용자 개인이 자신에게 들어오는 메일을 다른 메일 주소로 포워딩할 때 사용하는 파일입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81. 다음 NTP 서버에서 계층을 나타내는 용어로 알맞은 것은?(2020년 10월)
     1. Layer
     2. Frame
     3. Class
     4. Stratum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ㅇ NTP 계층 (Stratum)
- Stratum 0 (PRC) : 세슘 원자시계,GPS,표준주파수 방송국 등 (Primary Reference Clock)
- Stratum 1             : 위 Stratum 0 (PRC)에 동기화시킨 시간 서버(Primary Time Server)
- Stratum 2 ~ 15    : NTP 서버를 경유할 때 마다 Stratum이 1씩 증가
[해설작성자 : 정추]

82. 다음 중 DNS zone 설정의 레코드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SOA : zone의 전체설정으로 반드시 첫 번째 레코드로 지정되어야 함
     2. A : 호스트 이름에 대응하는 IP주소
     3. PTR : IP주소에 대응하는 호스트 이름
     4. MX : 해당 zone을 담당하는 네임 서버 주소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MX : 해당 호스트의 메일 라우팅 경로를 조절하는 레코더
[해설작성자 : KTH]

83. 다음은 존 파일 설정의 일부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6년 03월)

    

     1. A
     2. MX
     3. HINFO
     4. CNAME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zone 파일은 네임서버 설정시 가장 중요한 도메인 데이터 베이스 파일이고 네임서버 가동시에    zone 파일을 읽어 들여서 네임서버 서비스가 가동된다. zone 파일은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역할을 한다

A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로 매핑할 때 사용한다. 즉 A 레코드의 data는 IP 주소를 설정해야 된다.
CNAME 호스트의 alias(엘리어스)를 정의한다.

84. 다음 중 전자우편 관련 프로토콜인 POP3(Post Office Protocol 3)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2년 05월)
     1. 인터넷 서버가 사용자를 위해 전자우편을 수신하고 그 내용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이다.
     2. 전자우편을 수신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다.
     3. 로컬서버에서 전자우편을 액세스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며 원격지 파일서버이다.
     4. POP3(Post Office Protocol 3)의 대안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은 IMAP이다.

     정답 : []
     정답률 : 35%

85. DNS서버에 다음과 같은 zone파일을 생성하여 DNS를 운영하려고 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07년 05월)

    

     1. 주 DNS 서버와 보조 DNS 서버간의 정보 동기화를 위한 시간 간격은 15분이다.
     2. 마스터 서버와의 정보 동기화를 위해 통신이 실패하였을 때 다음 시도를 위한 대기 시간은 3시간이다.
     3. 동기화를 하려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일정 시간동안 접속이 실패하여 작업을 진행하지 못했을 때 보조 DNS서버가 기존의 정보를 파기하는 시간은 일주일이다.
     4. 메일은 192.168.1.5서버에서 수신한다.

     정답 : []
     정답률 : 25%

86. 다음에서 설명하는 가상화 기능으로 알맞은 것은?(2016년 03월)

    

     1. 공유
     2. 절연(Insulation)
     3. 단일화
     4. 에뮬레이션

     정답 : []
     정답률 : 44%

87. 다음에서 설명하는 내용 중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08년 03월)

    

     1. DNS 서버
     2. proxy 서버
     3. CVS 서버
     4. DHCP 서버

     정답 : []
     정답률 : 55%

88.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9월)

    

     1. ㉠ named ㉡ named
     2. ㉠ named ㉡ bind
     3. ㉠ bind ㉡ named
     4. ㉠ bind ㉡ bind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ㅇDNS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 설치해야 할 프로그램
    Bind : Berkeley Internet Name Domain
        - DNS서버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서버에 데몬 프로그램이 필요하게
            되는데,BIND는 구성이 쉽고 표준을 따르는 도구로서 리눅스,Unix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DNS 프로그램
    named
        - 시스템에서 DNS(Domain Name System)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몬
[해설작성자 : 정추]

89. DNS서버를 테스트할 수 있는 도구로 알맞은 것은?(2011년 09월)
     1. dig
     2. host
     3. netstat
     4. nslookup

     정답 : []
     정답률 : 51%

90. 프록시 서버 squid의 설정 파일(squid.conf) 설정에서 캐시에 사용될 메모리의 최대 크기를 100M로 설정하려고 한다. 설정을 하기 위해 필요한 지시자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11년 03월)
     1. memory_size 100 MB
     2. cache_memory 100 MB
     3. cache_mem 100 MB
     4. max_mem_size 100 MB

     정답 : []
     정답률 : 40%

91. sendmail에서 스팸메일 차단을 위해 /etc/mail/access 파일에 사용되는 옵션에 대한 설명이 바르게 된것은?(2006년 09월)
     1. DISCARD : 지정된 도메인에게서 무조건 메일 수신 후 RELAY
     2. 501 : 발신자 주소에 호스트 이름이 없을 경우 메일 수신 거부
     3. 533 : 지정된 메일 주소와 일치하는 메일 수신 거부
     4. 550 : 지정된 도메인과 관련된 모든 메일 수신 거부

     정답 : []
     정답률 : 38%

92. DHCP 서버의 설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 하지 못한 것은?(2003년 01월)
     1. DHCP 서버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커널에서 MULTICAST 기능이 지원되어야 한다.
     2. 일부 DHCP 클라이언트에서 문제의 소지가 있어 255.255.255.255를 위한 라우팅을 추가해 주는 것이 좋다.
     3. 설정 파일의 option subnet-mask 옵션을 통하여 각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사용할 서브넷 마스크를 알려준다.
     4. 클라이언트에서 DHCP 서버를 찾을 수 있도록 설정 파일의 fixed-address 항목에 서버 자신의 IP 주소를 기재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29%

93. 다음 중 DHC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2003년 06월)
     1. dhcp
     2. dhcpcd
     3. init.d
     4. dhcpd

     정답 : []
     정답률 : 31%

94. 다음 CV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프로젝트 추가 : cvs import -m "log" project_name vendor_tag release_tag
     2. 프로젝트 갱신 : cvs checkout project_name
     3. 변경내용의 저장 : cvs commit -m "log"
     4. 폴더 추가 : cvs addfolder folder_name

     정답 : []
     정답률 : 25%

95. 다음 중 CVS에서 사용하는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6월)
     1. import: CVS로부터 소스를 가져올 때 사용한다.
     2. update: 자신의 작업 내용을 서버에 업로드 한다.
     3. log: 작업 내용을 확인할 때 사용한다.
     4. diff: 변경된 내용을 확인할 때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96. 시스템이나 네트워크는 한정된 자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자원을 많은 양의 데이터로 채워 자원의 여분을 고갈시켜서 서버가 정상적인 동작을 할 수 없도록 하는 해킹 유형은?(2003년 10월)
     1. 트로이목마
     2. IP 스푸핑
     3. 서비스거부 공격
     4. 백도어

     정답 : []
     정답률 : 32%

97.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2013년 03월)

    

     1. Buffer Overflow
     2. SYN Flooding
     3. Back Door
     4. IP Spoofing

     정답 : []
     정답률 : 55%

98. 다음 설명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3월)

    

     1. L2TP
     2. IPsec
     3. SOCKS V5
     4. NAT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VPN (Virtual Private Network)는 광역 네트워크인 WAN(Wide Area Network) 구축을 위해서 이용된다.
IPsec은 IETF에 의해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는 암호화 통신 규격으로 AH, ESP 2개의 프로토콜이 사용되고 있다.
[해설작성자 : 나나]

99. 방화벽의 부가적인 기능이 아닌 것은?(2011년 03월)
     1. VPN
     2. NAT
     3. NMS
     4. DMZ

     정답 : []
     정답률 : 30%

100. VPN의 대표적인 기술인 터널링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2011년 09월)
     1. PPTP
     2. L2TP
     3. IPsec
     4. MD5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대표적    VPN 터널링 프로토콜 : PPTP(Point-to-Point Tunneling Protocol),
                                 L2TP(Layer 2 Tunneling Protocol), IPsec(IP Security)

PPTP : PPP(Point-to-Point) 접속을 확장하여 원격 사용자와 사설망 사이의 보안 접속을 제공하는 Layer 2 터널링 프로토콜

L2TP : Microsoft가 제안한 PPTP와 Cisco가 제안한 L2F(Layer 2 Forwarding) 프로토콜을 결합한 것으로 PPTP의 장점과 L2F의 장점을 하나로 모으자는 의도로 개발된 프로토콜

IPsec : VPN 터널링의 업계 표준 프로토콜로 강력한 사용자 인증과 암호화를 제공하는 Layer 3 프로토콜

MD5(Message-Digest algorithm 5) : 128비트 암호화 해시 함수
[해설작성자 : 김영대]


정 답 지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135007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리눅스 실무의 이해


1. 최근 안정적인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해 리눅스 클러스터링(Clustering)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클러스터링 시스템 기능 중 다수 접속서버-대용량 저장장치 기반의 파일 클러스터링 시스템에 가장 역점을 둔 시스템 성능 요소로 알맞은 것은?(2005년 03월)
     1. 처리능력(Throughput)
     2. 총 소요시간(Turnaround Time)
     3. 신뢰도(Reliability)
     4. 사용가능도(Availability)

     정답 : []
     정답률 : 19%

2. 다음 중 GNU 프로젝트의 자유 소프트웨어에서 보장하는 자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9월)
     1. 프로그램을 복제(Copying)하고 공유할 수 있는 자유
     2. 소스 코드를 원용하여 이를 개작(Modification) 할 수 있는 자유
     3. 개작된 프로그램을 배포(Distribution)할 수 있는 자유
     4. 배포된 GNU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직접 제작한 프로그램을 판매(Merchandising)할 수 있는 자유

     정답 : []
     정답률 : 80%

3. 다음 중 실시간 운영체제(RTOS)가 아닌 것은?(2007년 05월)
     1. VRTX
     2. pSOS
     3. VFAT
     4. VxWorks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VFAT은 윈도우95 이후에 나온 운영체계의 일부로서, 원래의 파일 할당표인 FAT에서는 다루지 못했던 긴 파일이름을 다룬다
[해설작성자 : 하이퍼동바]

4. 다음 중 BSD 라이선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3월)
     1. 무료로 이용 가능하고, 자유로운 배포도 가능하다.
     2. 소스 코드 취득 및 수정이 가능하다.
     3. 2차적 저작물의 소스코드를 비공개할 수 있다.
     4. 독점 소프트웨어와 결합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독점 소프트웨어와 결할할 수 없는 것은 GPL 라이선스 입니다.

ps. 2차적 저작물의 소스코드를 비공개 할 수 있는 라이선스는 BSD라이선스와 아파치 라이선스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학생1]

5. 리눅스 개발에 영향을 주었던 오픈소스 운영체제인 교육용 유닉스는?(2006년 09월)
     1. HP-UX
     2. MINIX
     3. XENIX
     4. MULTICS

     정답 : []
     정답률 : 67%

6. 다음 명령어는 현재 파일시스템 사용량을 현재 날짜와 시간의 이름으로 저장하는 내용이다. 빈칸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현재시간은 2014년 12월 31일 12시 정각이다)(2014년 09월)

   

     1. "date +$YY$m$d$H$M"
     2. `date +$YY$m$d$H$M`
     3. "date +%Y%m%d%H%M"
     4. `date +%Y%m%d%H%M`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 " 의 경우 문자 그대로 출력 하라는 의미이고, ' '의 경우 명령어 실행의 의미입니다.
date 의 경우 %Y는 Year, %m은 Month, %d는 day, %H는 Hour, %M은 Minute으로 연도,월,일,시,분을 의미하고 / 'date+%Y%m%d%H%M' 은 현재 날짜와 시간을 뒤의 형태로 출력되게 합니다.
[해설작성자 : kks]

7. 다음 SCSI 장치에 대한 설명 중 ( )안에 순서대로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05년 03월)

   

     1. 7, 160
     2. 10, 320
     3. 14, 160
     4. 21, 320

     정답 : []
     정답률 : 29%

8. 다음 쉘 상에서 실행한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알 맞은 것은?(2008년 08월)

   

     1.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는 log2 파일에 모두 기록 된다.
     2. 생성되는 파일은 log1, 2, log2가 된다.
     3. 프로그램 실행중 표준 출력은 log1 파일에, 표준 에러는 log2 파일에 기록된다.
     4. chkdsk를 실행하면 파일 log1의 내용을 log2로 전송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9. 리눅스 부트로더인 LILO/GRUB가 설치되는 영역으로 알맞은 것은?(2011년 09월)
     1. ROOT 영역
     2. MBR 영역
     3. Directory 영역
     4. 데이터 영역

     정답 : []
     정답률 : 79%

10. 다음 /etc 파일안에 존재하는 중요 디렉토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3월)
     1. /etc/rc.d : 시스템의 부팅과 시스템 실행 레벨 변경 시에 실행되는 스크립트들이 저장되어 있다.
     2. /etc/shadow : 사용자의 ID 및 사용자의 shell이 저장하는 파일이다.
     3. /etc/group : 시스템의 그룹에 대 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이다.
     4. /etc/issue : getty에 의해서 로그인을 위한 프롬프트가 뜨기 전에 출력되는 메시지를 설정하는 파일이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etc/shadow 는 계정에 대한 패스워드가 별도로 기록되어 있는 파일이다.
[해설작성자 : song]

1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용어로 알맞은 것은?(2020년 10월)

    

     1. exec
     2. inetd
     3. xinetd
     4. standalone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 부팅될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서비스들이 사용함
- 서버는 서비스 데몬을 준비한 상태로 운영됨
- 서비스가 메모리에 항상 상주하여 응답 속도가 빠름
- 서비스 요청이 많은 경우 효율적임
- '/etc/init.d'의 스크립트 파일로 관리
- sendmail, apache, mysql, name server, nfs 등의 서비스가 사용
위의 서비스 운영방식은 Standalone 방식에 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용아]

12. 리눅스에서 사용가능한 윈도 매니저에 대한 설명 중 알맞은 것은?(2007년 03월)
     1. twm : FVWM2.x를 기반으로 MS 윈도즈 95의 인터페이스와 비슷한 모양을 가지고 있다.
     2. WindowMaker : 넥스트스텝의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지 만 장 식 기능이 많지 않아 빠르다.
     3. FVWM : 가상윈 도 매니저를 실제로 가상 데스크톱을 지원하고, 마우스나 적절한 핫 키를 이용해서 가상 데스크톱을 오갈 수 있다.
     4. Blackbox : 탭 윈도 매니저이며, 최초의 ICCM 윈도 매니저이다.

     정답 : []
     정답률 : 31%

13. 다음 중 장치 파일명의 종류가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2020년 10월)
     1. IDE 디스크
     2. SCSI 디스크
     3. S-ATA 디스크
     4. SSD(Solid State Drive)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dev/hda : IDE
/dev/sda : SCSI/SATA/USB
[해설작성자 : 베리누나]

14. 다음 중 일반적인 /usr 디렉토리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8월)
     1. /usr 디렉토리는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가동되는데 필요한 명령이며 라이브러리 등이 있다.
     2. /usr/bin 디렉토리에는 /bin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이 복사되어 있다.
     3. /usr/include 디렉토리에는 C언어 헤더 파일들이 보관되어 있다.
     4. /usr/man 디렉토리에는 명령어로 볼 수 있는 man 페이지를 포함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28%

15. 다음 중 X 관련 프로그램의 종류가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2019년 03월)
     1. Xfce
     2. KWin
     3. Metacity
     4. Mutter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Xfce : GTK 프레임워크 사용하는 데스크톱 환경
KWin : KDE의 구성요소 중 윈도우 매니저를 Kwin이라고 한다.
Metacity, Mutter 도 KDE환경.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Metacity 는 GNOME 2 의 윈도우 매니저
Mutter 는 GNOME 3 의 윈도우 매니저
KWIN 은 KDE 의 윈도우 매니저

Xfce 는 DE 로 데스크탑 환경 입니다.
Xfce 는 유닉스 및 유닉스 계열 에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리마 공부하는사람]

+ 해설 추가
1. Xfce : 데스크톱 환경 (사례 : GNOME, KDE, XFCE, LXDE), Xfce의 Xfwm이 Xfce의 윈도우 매니저 사례
2. KWin : KDE 윈도우 매니저
3. Metacity : GNOME의 윈도우 매니저
4. Mutter : GNOME의 윈도우 매니저
[해설작성자 : 코딩 주머니]

16.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2004년 05월)

    

     1. Port Number
     2. Netmask
     3. Routing Table
     4. MAC Address

     정답 : []
     정답률 : 74%

17. 다음 중 라우터의 역할로 알맞은 것은?(2008년 08월)
     1. 장거리 전송시 전기적 신호의 증폭을 담당한다.
     2. 이더넷과 토큰 링을 연결할 때 사용한다.
     3. 패킷의 경로를 설정하여 통신량 분산을 수행 할 수 있다.
     4. 주로 응용 계층에서 동작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18. IP 주소를 실제로 컴퓨터상에서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구분하기 위하여 서브넷마스크(Subnet Mask)를 이용한다. B 클래스의 네트워크 주소를 구하기 위한 서브넷마스크에 해당하는 것은?(2010년 09월)
     1. 0.0.0.0
     2. 255.0.0.0
     3. 255.255.0.0
     4. 255.255.255.0

     정답 : []
     정답률 : 69%

19. TCP/IP 프로토콜중 TCP 헤더의 구성필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8년 01월)
     1. Source Port/Destination Port : SP는 보내는 측 포트번호, DP는 목적지 포트 번호이다.
     2. Sequence Number : TCP 세그먼트안에 데이터의 송신바이트 흐름의 위치를 나타낸다.
     3. HLEN : TCP 세그먼트의 길이를 정의한다.
     4. RESERVED : 세그먼트의 용도와 내용을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TCP 헤더의 구성 필드




Source Port : 송신(보내는)쪽 포트 번호 // Destination Port : 목적지 포트 번호
Sequence Number : 송신용 순서 번호
Acknowledgment number : 응답 확인 번호
Data offset(=HLEN) : 헤더 길이 // Reserved : 미래를 위한 예약필드 // CWR~FIN : 코드비트
// Window Size : 수신측이 TCP 제어를 위해 상대에게 통보하는 자신의 버퍼크기
Checksum : 헤더 및 데이터의 에러 확인을 위한 값
// Urgent pointer :    TCP 세그먼트에 포함된 긴급 데이터의 마지막 바이트에 대한 일련번호
Options : TCP 옵션

-출처 : TCP 위키백과

20. 네트워크 부하를 줄이기 위해 방화벽에서 ping과 traceroute관련 프로토콜을 차단하려고 한다. 다음 중 차단해야 하는 프로토콜로 가장 알맞은 것은?(2020년 06월)
     1. IP
     2. ARP
     3. UDP
     4. ICMP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에는 네트워크 제어를 위한 각종 메시지가 규정되어 있으며, ping(접속 가능 여부 확인)과 traceroute(경로추적)에 활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반스트]

2과목 : 리눅스 시스템 관리


21.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23년 03월)

    

     1. 4
     2. 5
     3. 6
     4. 7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root:x:0:0:root:/root:/bin/bash
                            ①    ②③④        ⑤        ⑥         ⑦                    
① 필드 1 : 사용자명
② 필드 2 : 패스워드(/etc/shadow 파일에 암호화되어 있음)
③ 필드 3 : 사용자 계정 uid
④ 필드 4 : 사용자 계정 gid
⑤ 필드 5 : 사용자 계정 이름(정보)
⑥ 필드 6 : 사용자 계정 홈 디렉토리
⑦ 필드 7 : 사용자 계정 로그인 쉘
[해설작성자 : 5만원 너무 비싸다 ]

22. 리눅스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계정의 ID, Path, shell, description등이 기록된 파일은?(2008년 06월)
     1. /etc/shadow
     2. /etc/passwd
     3. /etc/pam.d/login
     4. /etc/login.defs

     정답 : []
     정답률 : 60%

23. 다음 중 시스템 보안 관리 강화를 위한 조치로 틀린 것은?(2022년 03월)
     1. 불필요한 서비스를 최대한 제거한다
     2. /etc/issue와 같은 메시지 파일을 제거한다
     3. Set-UID와 같은 특수 권한 사용을 권장한다
     4. 로그인 서비스는 telnet 대신에 ssh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Set-UID는 특수 권한으로 root 권한이 없어도 실행 순간에는 root 권한으로 실행됩니다.
즉, Set-UID가 된 프로그램이 많아질수록 보안에 취약해질 수 밖에 없죠!
[해설작성자 : dhbang]

Set-UID 에서도 S일경우에는 실행 권한이 없음, 다만 잠제적 위험이 존재함
rws    > 일반 사용자도 root권한으로 실행가능
rwS    > 일반 사용자는 실행 불가. 단, 서버관리자가 chmod u+x를 하는 순간 'S > x'가 되는게 아니라 'S > s'로 되기 때문에 잠제적 위험
[해설작성자 : 2주남았다]

24. 다음 중 명령어의 사용법으로 틀린 것은?(2019년 09월)
     1. pgrep httpd
     2. nice -10 1222
     3. killall httpd
     4. renice 1 987 -u daemon root –p 1222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ㅇnice : 프로세스 우선순위 변경( 프로세스 이름으로 )
ㅇrenice : 프로세스 우선순위 변경( PID로 )
[해설작성자 : 보라매SO 탑클라스]

사용 예시
    ㅇ nice : nice -10 [process 명] : 10만큼 process 의 nice 값이 증가 된 상태로 process 실행
    ㅇ pgrep : 지정된 기준에 따라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프로세스 ID를 찾을 수 있는 명령 줄 유틸리티
    ㅇ killall : 특정 프로세스를 한번에 죽이는 명령어이다.
             즉, httpd 데몬 이 여러 개 실행되어 있을 경우 모두 종료하고자 한다면 killall httpd 를 사용하면 된다.
             -. killall의 주요 옵션
             -i : 프로세스 종료 전 물어보기(y,n)
             -v : 진행 현황 확인
             -w : 지정한 프로세스들이 모두 종료될 때 까지 종료 시도를 함
             -[signum] : 특정 시그널 지정하여 보내기
[해설작성자 : 정추]

25. 리눅스에서 많이 사용되는 쉘(Shell)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9월)
     1. 최초에 사용된 쉘은 본 쉘(Bourne Shell)이다.
     2. 본 쉘(Bourne Shell)을 확장하여 사용한 것은 콘 쉘(Korn Shell)이다.
     3. tcsh는 초기 C 쉘(C Shell)의 확장 버전이다.
     4. bash는 본 쉘(Bourne Shell)과는 달리 독자적인 명령어 세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본 쉘(Bourne Shell)로 작성한 스크립트를 재사용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2%

26. 명령어의 사용법과 의도가 잘못 기술된 것은?(2002년 08월)
     1. mkfs -t ext2 /dev/fd0 1440 : 플로피상에 ext2 파일시스템을 만든다.
     2. fsck -t ext2 /dev/hda2 : /dev/hda2 상의 ext2 파일시스템을 점검한다.
     3. mkswap -c /swap 8192 : /swap이라는 이름으로 8KB의 스왑(Swap) 공간을 만든다.
     4. mount -t iso9660 -r /dev/cdrom /mnt : CD-ROM 드라이브를 /mnt에 마운트 한다.

     정답 : []
     정답률 : 35%

27. ihd라는 사용자를 일시적으로 로그인할 수 없도록 lock을 거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08년 03월)
     1. passwd -l ihd
     2. passwd -d ihd
     3. passwd -u ihd
     4. passwd -s ihd

     정답 : []
     정답률 : 65%

28. 다음 중 ( 괄호 ) 안에 들어갈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단, 명령어에 옵션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2018년 03월)

    

     1. id
     2. w
     3. who
     4. users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id - 사용자정보,uid,gid,소속그룹정보 등을 확인하는 명령어
w - 서버 정보와 함께 사용자 정보를 자세히 알려주는 명령어
who - 현재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 확인
users -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 이름 출력
[해설작성자 : 빈빈]

id
     uid=1000(abcd) gid=1000(abcd) groups=1000(abcd),10(wheel) context=unconfined_u:unconfined_r:unconfined_t:s0-s0:c0.c1023
    
w
     23:44:56 up 29 days, 12:59,    4 users,    load average: 0.01, 0.06, 0.08
    USER         TTY            FROM                         LOGIN@     IDLE     JCPU     PCPU WHAT
    abcd         pts/1        192.168.145.1        23:39        5:07     0.08s    0.08s -bash

who
    abcd    pts/1                2023-02-10 23:39 (192.168.145.1)
[해설작성자 : 정추]

29. 다음은 ihduser 사용자의 디스크 사용량을 제한하는 과정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7년 09월)

    

     1. quota
     2. edquota
     3. setquota
     4. quotaon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edquota 명령은 각 사용자 및 그룹의 현재 디스크 할당량을 포함하는 임시 파일을 작성합니다.
[해설작성자 : blog.naver.com/grunge26]

30. 모든 사용자와 모든 그룹은 파일을 읽을 수만 있고, 파일 소유자는 읽기, 쓰기, 실행을 할 수 있게 권한을 바꾸고자 할 때 사용하는 절대 모드의 값으로 알맞은 것은?(2009년 09월)
     1. 446
     2. 744
     3. 644
     4. 764

     정답 : []
     정답률 : 64%

31. 다음 파일 권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1월)

    

     1. 이 파일의 소유자는 root이다.
     2. 이 파일은 현재 실행 모드가 없다.
     3. 이 파일은 소유자만이 내용을 수정 할 수 있다.
     4. 파일 소유자 외 나머지 사용자들은 접근권한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ls 목록 표기 구분
#ls -al ihd.log
-rw-r--r-- 1 root root 47635 1월 2 20:10 ihd.log

맨 앞에 -는 파일과 디렉터리 구별 기호. -는 파일 d는 디렉터리
그 다음 9자리(rw-r--r--)는 파일 퍼미션이 나온다.
(3/3/3)으로 잘라서 (소유자/소유그룹/다른사용자)로 나눈다.
여기서는 (rw-r--r--)이므로 소유자는 읽고(r), 쓰기(w)가능하고 실행(x)은 안된다.
소유그룹과 다른사용자는 읽기만 가능하다.
그 다음(1)은 하드링크 번호이며 그 다음 문자와 그 다음 문자는 각각 소유자와 소유그룹을 보여준다.
그 다음 숫자(47635)는 파일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표시한 것이다.
다음(1월 2 20:10)은 파일이 만들어지거나 수정된 날짜와 시간을, 마지막 부분(ihd.log)는 파일의 이름을 표시한다.

[해설작성자 : 미나리나물]

32. 다음 설명과 관련 있는 파일명으로 알맞은 것은?(2020년 10월)

    

     1. /etc/skel
     2. /etc/passwd
     3. /etc/login.defs
     4. /etc/default/useradd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1. /etc/skel : 계정 생성시 홈 디렉터리에 복사될 파일들
2. /etc/passwd : 사용자 계정 정보
3. /etc/login.defs : 계정 생성시 두번째로 참조하는 파일 (비밀번호[만료일, 재변경 최소 일 수, 최소길이 등], UID 범위, 홈 디렉터리 생성여부, 암호화 방법 등)
4. /etc/default/useradd : 계정 생성시 첫번째로 참조하는 파일 (GID, 홈 디렉터리 경로, 비밀번호 유효기간 종료 후 설정, 계정 종료 일자, 셸, skel 경로 등)
[해설작성자 : Dongry]

아래는 /etc/default/useradd 파일 내용

    GROUP=100    # 계정 생성 시 기본 그룹 ID
    HOME=/home    # 홈 디렉터리
    INACTIVE=-1    # 계정 비활성화되는 기간, -1은 비활성화 기간 없음
    EXPIRE=    # 계정의 만료 날짜 설정, 빈 값은 만료 없음
    SHELL=/bin/bash    # 기본 쉘
    SKEL=/etc/skel    # 계정 생성 시 기본적으로 제공될 파일과 디렉터리 (스켈레톤)
    CREATE_MAIL_SPOOL=yes    # 메일 박스 생성 여부
[해설작성자 : 1트합시다]

33. 다음 중 yum을 이용해서 telnet이라는 문자열이 들어있는 패키지를 검색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20년 10월)
     1. yum -f telnet
     2. yum search telnet
     3. yum -search telnet
     4. yum --search telnet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no such option: -f 옵션이 존재하지 않음.
2.search                 Search package details for the given string
3.no such option: -search 옵션이 존재하지 않음.
4.no such option: --search 옵션이 존재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top 실행 중 사용하는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k : kill 명령
     2. q : top 프로그램 종료
     3. h : 명령어 목록보기
     4. r : 화면 갱신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r : renice
[해설작성자 : 해리팍]

이미 실행중인 프로그램의 우선순위를 바꾸는 명령어는 renice
프로그램 실행전에 우선순위를 바꾸는 명령어는 nice
nice명령어는 이미 실행중인 프로그램의 우선순위를 바꿀 수 없다.
[해설작성자 : DWSJH]

top 명령어 : r(Nice값을 변경),k(kill 명령),q(top을 종료),t(TIME값으로 정렬)
[해설작성자 : DWSJH]

35. 다음 리눅스 사용자 관리를 위한 명령어 중 사용자의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2008년 08월)
     1. useradd
     2. userdel
     3. usermod
     4. userupdate

     정답 : []
     정답률 : 53%

36. rpm 명령어를 사용하여 sample.sh 파일이 속해 있는 패키지를 찾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03년 10월)
     1. rpm -qa | grep 'sample.sh'
     2. rpm -qi sample.sh
     3. rpm -qf sample.sh
     4. rpm -qp sample.sh

     정답 : []
     정답률 : 17%

37. 다음 중 yum 명령으로 music이라는 문자열이 포함된 패키지를 찾으려고 할 때 알맞은 것은?(2015년 09월)
     1. yum search music
     2. yum list music
     3. yum info music
     4. yum find music

     정답 : []
     정답률 : 53%

38. Makefile의 내부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Makefile의 기본규칙 3가지는 목표, 의존관계, 명령이다.
     2. Makefile의 명령부분에 정의된 명령어들은 bash에 기반한 쉘 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는다.
     3. Makefile의 목표부분은 명령이 수행되어 나온 결과 파일을 지정한다.
     4. Makefile의 명령부분에 정의된 명령어들은 일반적으로 쉘에서 쓸 수 있는 모든 명령어들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0%

39. 인터넷을 통하여 sample.tar.gz와 같은 파일을 다운받았다. 이와 같은 형식의 파일을 만드는 방법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2002년 05월)
     1. sample파일을 gzip명령으로 압축을 한다.
     2. sample파일을 tar명령으로 묶는다.
     3. sample파일을 gzip명령으로 묶은 후, tar명령으로 압축한다.
     4. sample파일을 tar명령으로 묶은 후, gzip명령으로 압축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40. umount 명령을 사용할 때 버전을 출력하고 종료 하려고 한다. 다음 중 올바른 명령어는 무엇인가?(2007년 03월)
     1. umount -V
     2. umount -v
     3. umount -a -v
     4. umount -a -V

     정답 : []
     정답률 : 15%

41. 다음 설명에 가장 적합한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22년 03월)

    

     1. passwd -r ihduser
     2. passwd -l ihduser
     3. passwd -d ihduser
     4. passwd -u ihduser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l, --lock : 지정한 사용자의 암호에 락(lock)을 지정한다.
-r, --repository REPOSITORY : 저장소(REPOSITORY)의 암호를 변경한다.
-d, --delete : 사용자의 암호를 삭제한다.
-u, --unlock : 사용자 암호의 락을 해제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다음은 커널 컴파일 과정을 순서 없이 나열한 것이다.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2003년 06월)

    

     1. (마)-(가)-(다)-(바)-(나)-(아)-(사)-(라)-(자)
     2. (마)-(가)-(바)-(다)-(나)-(아)-(사)-(라)-(자)
     3. (마)-(가)-(아)-(다)-(바)-(나)-(사)-(라)-(자)
     4. (마)-(가)-(나)-(다)-(바)-(아)-(사)-(라)-(자)

     정답 : []
     정답률 : 45%

43. 다음 장치 파일 중 사운드 장치와 관련이 없는 것은?(2004년 10월)
     1. /dev/dsp
     2. /dev/audio
     3. /dev/sndstat
     4. /dev/sndconf

     정답 : []
     정답률 : 23%

44. 다음 중 등록된 cron 관련 파일을 제거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22년 03월)
     1. crontab -e
     2. crontab -d
     3. crontab -l
     4. crontab -r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crontab 주요 옵션
---------------------
* crontab -l : crontab에 등록된 작업목록 보기
* crontab -e : crontab 편집
* crontab -r : crontab에 등록된 작업목록을 모두 삭제
[해설작성자 : dahl]

45. 다음 중 커널 컴파일의 순서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6년 09월)

    

     1. ㉠ → ㉥ → ㉡ → ㉢ → ㉤ → ㉣
     2. ㉠ → ㉣ → ㉤ → ㉡ → ㉢ → ㉥
     3. ㉣ → ㉡ → ㉢ → ㉤ → ㉥ → ㉠
     4. ㉣ → ㉠ → ㉡ → ㉢ → ㉤ → ㉥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make mrproper : 커널 파일 처음 가져왔을때 의존성을 깨끗이 제거.

make xconfig : 커널의 환경설정을 한다.(ex. 파일시스템은 어떤걸로?, 언어설정은? 등)
=> 설정 저장후 종료하면 .config 파일에 저장됨.

(make dep : 위에서 설정한 대로 다시 의존성 설정 작업을 한다.)

(make clean : 컴파일 위해 이전 컴파일 작업파일 깨끗이 삭제.)

make bzlmage : 커널 컴파일 파일 생성.

make modules : 커널에서 사용할 모듈을 컴파일.

make modules_install : 컴파일된 모듈을 설치한다.(/lib/modules/ 이하에 저장)

make install : 커널 등록 및 설치.

[해설작성자 : 김정환 대학노트]

46. 다음 중 리눅스에서 프린터 설정에 관련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08년 06월)
     1. lpd
     2. cups
     3. printconf
     4. lspci

     정답 : []
     정답률 : 58%

47. 다음 중 파일의 내용을 출력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의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2019년 03월)
     1. lp, lpr
     2. lp, lpq
     3. lpr, lpq
     4. lpr, lpstat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lp = root사용자 프린터 출력
lpr = 일반 사용자 프린터 출력
lpq        = 프린터 queue 상태 확인
lpstat = 프린터 queue 상태 확인
lpc = 프린터 Cancel 명령
실무에서 한번도 써본 기억이 없는데 문제는 맨날 나와서 열받음.
[해설작성자 : 카실]

48. 커널 패치가 성공했을 때 패치 대상이 된 파일의 원본 이름 끝에 붙는 것은?(2009년 09월)
     1. .rej
     2. .bak
     3. .org
     4. .orig

     정답 : []
     정답률 : 33%

49. 시스템에서 지원하지 않는 사운드카드를 사용하려고 할때 해야 하는 단계를 순서별로 알맞게 나열한 것은?(2007년 08월)

    

     1. 가-나-다-라-마
     2. 라-다-가-나-마
     3. 나-가-라-다-마
     4. 라-나-가-다-마

     정답 : []
     정답률 : 19%

50. 다음 중 리눅스 시스템 디렉토리 구조에 해당 되는 영역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1. /var 하위 디렉토리
     2. /sys 하위 디렉토리
     3. /dev 하위 디렉토리
     4. /home 하위 디렉토리

     정답 : []
     정답률 : 64%

51. 다음 중 /etc/rsyslog.conf 파일에서 ssh와 같이 인증이 필요한 프로그램에서 발생한 메시지를 처리하는 facility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5년 09월)
     1. auth
     2. authpriv
     3. daemon
     4. syslog

     정답 : []
     정답률 : 43%

52. 다음 중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9년 09월)

    

     1. ㉠ : 공개키 ㉡ : 비밀키 ㉢ : 복호화
     2. ㉠ : 비밀키 ㉡ : 개인키 ㉢ : 복호화
     3. ㉠ : 공개키 ㉡ : 개인키 ㉢ : 리스토어
     4. ㉠ : 비밀키 ㉡ : 특수키 ㉢ : 리스토어

     정답 : []
     정답률 : 68%

53. 언제, 누가, 어디에서, 어떻게 접속을 했는가에 대한 로그를 기록하고 있으며, 시스템에 불법 침입이 있었다고 의심이 될 때 반드시 확인해 봐야 할 로그파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02년 05월)
     1. /var/log/messages
     2. /var/log/secure
     3. /var/log/boot.log
     4. /usr/local/apache/logs/aeecss_log

     정답 : []
     정답률 : 39%

54. 다음 설명하는 내용에 알맞은 것은?(2018년 03월)

    

     1. asyslog
     2. rsyslog
     3. msyslog
     4. vsyslog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ㅇ 관련파일
    /etc/rc.d/init.rsyslog : rsyslogd 데몬을 동작시키는 스크립트
    /etc/rsyslog.conf : rsyslogd 데몬 환경 설정 파일
    
ㅇ /etc/rsyslog.conf :
     rsyslogd 데몬 환경 설정 파일
     로그 파일들을 어떻게, 어디에 저장할지 설정할 수 있다.
    /etc/sysconfig/rsyslog : rsyslogd 데몬 실행과 관련된 옵션 설정 파일
    /sbin/rsyslogd : 실제 rsyslogd 데몬 실행 명령
    
ㅇ rsyslog로 생성되는 로그의 저장 위치 : /var/log
[해설작성자 : 정추]

55. 다음 중 리눅스의 부팅 및 초기화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5년 09월)

    

     1. MBR 영역에는 lilo나 grub같은 로더가 저장 되어 있다.
     2. Device Check 과정은 리눅스 커널이 직접 수행한다.
     3. file system check는 fsck를 이용하여, 파일 시스템 체크를 진행한다.
     4. init process는 /etc/inittab파일을 로딩하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10%

56. 다음 중 가장 최근에 시스템이 재부팅된 정보를 하나만 출력하려 할 때 알맞은 명령은?(2018년 03월)
     1. last –1 reboot
     2. last –L 1 reboot
     3. lastb –1 reboot
     4. lastb –L 1 reboot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last -1 reboot : 가장 최근에 재부팅한 정보 하나만 출력합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 last -1 reboot 출력 예시
    reboot     system boot    3.10.0-1160.81.1 Mon Jan 16 10:56 - 13:51 (32+02:54)
    wtmp begins Sun Oct 16 23:21:49 2022
[해설작성자 : 정추]

57. 다음 중 SELinux의 상태와 관련된 모드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active
     2. disabled
     3. enforcing
     4. permissive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SELinux : 리눅스의 보안을 강화해주는 보안강화 커널

enabled : SELlinux 사용
disenabled : SElinux 해제
enforcing : SELilnux에 해당하는 규칙에 어긋나는 동작은 전부거부
permissive : 해당하는 규칙에 어긋나도 동작은 허용(단 감사로그는 남김 audit log)

[해설작성자 : 쭝이]

58. 시스템에 telnet 프로토콜로, 로그인 했을때 아래 화면과 같이 로그인 후, 간단한 보안관련 공지사항을 출력하고자 한다. 이때 설정해야할 파일로 알맞은 것은?(2005년 09월)

    

     1. /etc/issue
     2. /etc/motd
     3. /etc/issue.net
     4. /etc/messages

     정답 : []
     정답률 : 23%

59. 리눅스 시스템에서 자료의 백업을 위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명령어가 아닌 것은?(2003년 01월)
     1. sudo
     2. dump
     3. tar
     4. cpio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Backup 및 Restore(관련 명령어)
1.tar
2.cpio
3.dump 및 restore
4.dd
5.rsync

sudo : 특정 사용자 또는 특정 그룹에 root사용자 권한을 가질 수 있도록 일부 명령 또는 모든 명령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
[해설작성자 : 따식이]

60.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6년 03월)

    

     1. (ㄱ) if (ㄴ) of
     2. (ㄱ) of (ㄴ) if
     3. (ㄱ) iflag (ㄴ) oflag
     4. (ㄱ) oflag (ㄴ) ifag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if=file    표준 입력 대신 지정한 file을 입력 대상으로 한다.
of=file    표준     출력     대신에    지정한    file을    출력    대상으로    한다.

61. 웹 브라우저의 역할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4년 10월)
     1. 연결 작업과 데이터 전송 등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이다.
     2. 서버의 요청(Request)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응답(Response)이 기본 원리이다.
     3.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호스트들 중 사용자가 지정한 호스트로 접속한다.
     4. 지정한 호스트의 문서를 사용자의 호스트로 가져와서 보여준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클라이언트의 요청(Request)에 대한 서버의 응답(Response)이 기본 원리이다.
[해설작성자 : jy]

62. 웹서버 프로그램인 아파치 1.3버전과 아파치 2.x 버전에 대한 비교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6월)
     1. PHP연동 설치시 아파치 1.3버전은 정적, 동적 모듈 모두 지원하고, 아파치 2.x버전은 동적 모듈만 지원한다.
     2. 아파치 2.x버전이 아파치 1.3버전보다 다양한 형태의 프로세스 관리 기능을 지원한다.
     3. PHP를 정적 모듈형태로 지원하는 1.3버전이 아파치 2.0버전에 비해 처리속도가 느리다.
     4. PHP를 동적 모듈형태로 운영하는 것이 정적 모듈로 운영할 때 보다 메모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30%

63. 다음 중 LDAP 속성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3월)
     1. sn : 조직(회사) 이름
     2. ou : 조직의 부서 이름
     3. dc : 도로명 주소(지번)
     4. c : 주(우리나라의 도) 이름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o
3. street
4. st
[해설작성자 : 예나]

sn - 사용자의 성
dc - 도메인 구성요소의 이름
[해설작성자 : 빈빈]

ㅇ LDAP :
    1. 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사용자, 시스템, 네트워크 서비스 정보 등의 디렉터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 인증관련
    2. 다렉터리는 논리, 계급 등을 기준으로 조직화 되어 있다.
    3. 일반적으로 RDBMS에 비해 검색 속도가 빨라서 읽기 위주의 서비스에 좋은 성능을 발휘한다.
         (*) "자주 변경되는 정보인 경우에"는 해당 안됨
    4. 이름, 주소와 같이 하나 이상의 속성을 가진 객체로 구성된다.
    5. X.500 Directory Access Protocol 기반으로 만들어진 통신 규약이다.
    6. 읽기 위주의 검색 서비스에서 상당히 좋은 성능을 발휘한다.
    
ㅇ    LDAP 속성 추가
    c: contry name 국가이름
    cn : common name 이름+성
    dc - 도메인 구성요소의 이름    
    givenname : 이름        
[해설작성자 : 정추]

64. 다음 보기 중 아파치 웹서버의 소스 설치 순서로 알맞은 것은?(2013년 09월)

    

     1. 나-가-다-라
     2. 가-다-나-라
     3. 가-나-라-다
     4. 라-다-가-나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tar zxvf http-2.2.4.tar.gz - configure - make - make install
[해설작성자 : 수험생]

65. 웹 호스팅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아파치 웹 서버의 주소 기반 가상 호스팅(IP-based Virtual Hosting)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2004년 10월)
     1. http.conf 파일 안에서 NamevirtualHost 항목을 주석처리 한다.
     2. IP 주소 한 개로 여러 도메인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각각의 도메인들에 개별적으로 ServerName, DocumentRoot, CustomLog 등을 설정할 수 있다.
     3. 사설 IP를 사용하고 있는 인트라넷 환경에서 적합한 방법이다.
     4. 사용하는 랜카드에 ifconfig와 route를 이용하여 가상의 IP를 추가 설정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9%

66. 다음 보기의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13년 09월)

    

     1. CGI(Common Gateway Interface)
     2. AJP(Apache JServ Protocol)
     3. SSL(Secure Sockets Layer)
     4. SSH(Secure Shell)

     정답 : []
     정답률 : 48%

67. proftpd를 운영하고 있는 서버에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는 로그인이 가능하지만 anonymous 계정으로는 로그인되지 않는다. 다음 중 관련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설정 파일 안에 <Anonymous> ..</Anonymous> 지시자가 없다.
     2. RequireValidShell 지시자의 값이 Off이다.
     3. /etc/passwd 파일에 ftp 사용자에 대한 설정이 없다.
     4. ftp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에 대한 소유자나 권한이 잘못 설정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RequireValidShell On : /etc/shells에 나열된 쉘 바이너리가 없는
로그인을 허용하거나 거부하도록 서버, 가상 호스트 또는 익명 로그인을 구성합니다.

68. 아파치 웹서버 설정파일인 httpd.conf의 KeepAlive On이 되어있을 경우, 지속적인 접속 동안에 허용할 최대 요청횟수를 지정하는 지시자로 알맞은 것은?(2005년 03월)
     1. KeepAliveTimeout 15
     2. StartServer
     3. Timeout 300
     4. MaxKeepAliveRequests 100

     정답 : []
     정답률 : 58%

69. PostgreSQL의 특징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2004년 10월)
     1. 고수준 확장성
     2. 객체지향
     3. 관계형 모델
     4. 인텔리전트 에이전트 기능

     정답 : []
     정답률 : 60%

70. 다음 중 /etc/aliases의 정보를 읽어 들여 관련 DB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3월)
     1. mailq -Ac
     2. sendmail -bi
     3. sendmail -bp
     4. sendmail -bp -oQ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bi : /etc/mail/aliases 파일에 정의되는 정보에서 별명 데이터베이스를 빌드
-bp : 메일 큐의 리스트를 인쇄
-oO : 옵션의 변수를 설정
[해설작성자 : 쭝이]

71. 다음 중 smb.conf 파일에서 ihd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이 파일 생성 및 삭제가 가능하도록 지정하는 항목으로 알맞은 것은?(2017년 09월)
     1. writable = ihd
     2. writable = @ihd
     3. write list = ihd
     4. write list = @ihd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writable = yes, no로 쓰기 가능여부 설정입니다.
write list는 @를 사용하여 그룹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다망다려]

72. 현재 리눅스 가상화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KV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KVM은 CPU에서 가상화를 지원해야 한다.
     2. Kernel 2.6.20부터 리눅스 커널 메인라인에 들어간 커널 모듈 형태이다.
     3. KVM은 모든 장치에 대해 전가상화만을 제공한다.
     4. 호스트 서버에서 보면 게스트 서버는 하나의 프로세스로 간주되기 때문에 오버헤더가 거의 없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cpu만 반가상화 기술 지원 x
이더넷, Disk I/O, VGA그래픽 인터페이스는 반가상화 지원

73. 삼바(Samba)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못한 것은?(2002년 08월)
     1. smbd 데몬은 사용자 인증과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담당하는 데몬이다.
     2. nmbd 데몬은 WINS(Windows Internet Name Service)를 담당하는 데몬으로, 컴퓨터 이름과 IP 주소를 연결시킨다.
     3. 삼바 서버는 동시에 WINS 서버가 될 수 없다.
     4. SWAT은 웹을 기반으로 한 삼바 설정 도구로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설정할 수 있도록 편리한 입력폼을 제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74. 리눅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것은?(2012년 03월)
     1. MySQL
     2. PostgreSQL
     3. Informix
     4. MSSQL

     정답 : []
     정답률 : 66%

75. 다음 중 ihduser 사용자가 회사로 들어오는 메일을 외부의 다른 메일 서버로 전송하려고 할 때 가장 알맞은 것은?(2018년 09월)
     1. /etc/aliases 파일에 관련 정보를 등록한다.
     2. mailq 명령을 사용해서 관련 정보를 등록한다.
     3. /etc/mail/virtusertable에 관련 정보를 등록한다.
     4. 홈 디렉터리에 .forward 파일을 생성하여 등록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ㅇ /etc/aliases : 특정 계정으로 들어오는 메일을 다른 계정으로 전송되도록 설정한다.
    webmaster : ihduser, kaiuser, admin@ihd.or.kr
ㅇ mailq : 보내는 메일이 대기하는 디렉터리의 큐 상태를 출력
ㅇ /etc/mail/virtusertable : 가상 메일 유저 설정 파일
    # vi /etc/mail/virtusertable
    security@seoul.com twins
    security@busan.com giants
    [메일주소] [받을 유저]
[해설작성자 : 정추]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번, 2번, 4번 모두 가능한 설정인데 왜 정답이 4번이어야만 하는지 문제에 오류가 있다고 보입니다.
/etc/aliases의 경우 위에 분이 잘 설명해 주셨고,
/etc/mail/virtusertable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설정하면 될텐데 말입니다.
ihduser@ihd.or.kr ihduser@gmailx.com
[해설작성자 : 1트합시다]

[추가 오류 신고]
이 문제는 충분히 논란이 있을 수 있는 문제네요
1. ihduser 사용자가 설정파일(aliases, virtusertable)에 접근할 수 있는 관리자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지?
2. "회사로 들어오는 메일" 이라면, 외부에서 들어오는 메일일텐데, ihduser의 메일주소가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지?
* 보통 /etc/aliases는 로컬 시스템의 메일을 외부로 포워딩하는 경우에 설정하며, 로컬 시스템이 아닌 외부에서 들어오는 메일을 포워딩하려면 사용자(ihduser)에 대한 도메인과 메일 서버 설정이 별도로 필요.
3. /etc/mail/virtusertable 파일도 외부 이메일 주소로 메일을 포워딩하는 것도 가능하긴 함. 하지만 2번 설명처럼 각종 설정 필요

여기서 중요한것은 "ihduser가 일반 개인 사용자냐, 관리자냐" 가 첫번째로 중요하고, 두번째로는 문제의 요구대로 "가장 알맞은 것"을 골라야 한다는 점 입니다.

즉, 문제 출제자는 이러한 논란이 발생할 가능성을 미리 예지하고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라고 명시한것일 수 있습니다.
문제에서 ihduser가 관리자라고 명시하지 않은점을 고려해서 단편적으로 봤을때, 4번이 "가장 알맞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aliases, virtusertable 는 시스템 전역에 작용하는 설정파일이기때문에, 일개 사용자가 단순히 메일을 포워딩하는 목적으로 설정하기에는 시스템 전역에 미치는 영향, 보안을 고려했을때 적절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76. 시스템 관리자 홍길동은 사용 중인 NFS 서버의 /home/ihd 디렉토리를 192.1.2.×의 IP를 가지는 모든 클라이언트가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 할 수 있도록 설정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nfs 설정 파일에 추가해야 할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03년 06월)
     1. /home/ihd 192.1.2.1 ∼ 192.1.2.254(ro)
     2. /home/ihd 192.1.2.0/255.255.255.0(ro)
     3. /home/ihd 192.1.2.×(ro)
     4. /home/ihd 192.1.2.0 ∼ 192.1.2.254(ro)

     정답 : []
     정답률 : 58%

77. 발신자가 spammer@aol.com인 메일의 수신을 거부하는 설정을 /etc/mail/access에 등록하려고 한다. 다음 설정 중에 가장 알맞은 것은?(2014년 09월)
     1. Connect:spammer@aol.com REJECT
     2. From:spammer@aol.com REJECT
     3. Connect:spammer@aol.com RELAY
     4. From:spammer@aol.com RELAY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첫 번째 필드에 도메인명, IP 주소, 메일 계정 기입
두 번째 필드에는 정책을 적으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78. 다음은 ProFTPd의 설정 파일 중 일부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4년 05월)

    

     1. /etc/shells 파일에 정의되지 않은 Shell을 사용하는 유저에게 FTP 접속을 허락하거나 거절 하는 것에 대한 설정이다.
     2. 일반적으로 ProFTP는 on 상태를 기본값으로 설치된다.
     3. 설정값이 on 일 때는 사용자의 쉘이 /etc/shells 파일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Login을 할 수 없다.
     4. Anonymous User로 접속하려면 값을 off로 설정 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2%

79. NFS서버에 연결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에서 마운트 할 때 사용하는 옵션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6년 09월)
     1. rsize : NFS서버에 기록할 때 사용하는 바이트 수를 지정한다.
     2. timeo : 타임아웃이 발생하면 I/O 에러 표시 한다.
     3. fg : NFS 서버에 타임아웃이 발생되면 즉각 접속을 중지한다.
     4. soft : 타임아웃이 발생하면 “server not responding” 메시지를 표시하고 계속 재시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80.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5년 09월)

    

     1. .mail
     2. .email
     3. .forward
     4. .procmail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forward : 각 사용자 개인이 자신에게 들어오는 메일을 다른 메일 주소로 포워딩할 때 사용하는 파일입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81. 다음 NTP 서버에서 계층을 나타내는 용어로 알맞은 것은?(2020년 10월)
     1. Layer
     2. Frame
     3. Class
     4. Stratum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ㅇ NTP 계층 (Stratum)
- Stratum 0 (PRC) : 세슘 원자시계,GPS,표준주파수 방송국 등 (Primary Reference Clock)
- Stratum 1             : 위 Stratum 0 (PRC)에 동기화시킨 시간 서버(Primary Time Server)
- Stratum 2 ~ 15    : NTP 서버를 경유할 때 마다 Stratum이 1씩 증가
[해설작성자 : 정추]

82. 다음 중 DNS zone 설정의 레코드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SOA : zone의 전체설정으로 반드시 첫 번째 레코드로 지정되어야 함
     2. A : 호스트 이름에 대응하는 IP주소
     3. PTR : IP주소에 대응하는 호스트 이름
     4. MX : 해당 zone을 담당하는 네임 서버 주소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MX : 해당 호스트의 메일 라우팅 경로를 조절하는 레코더
[해설작성자 : KTH]

83. 다음은 존 파일 설정의 일부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6년 03월)

    

     1. A
     2. MX
     3. HINFO
     4. CNAME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zone 파일은 네임서버 설정시 가장 중요한 도메인 데이터 베이스 파일이고 네임서버 가동시에    zone 파일을 읽어 들여서 네임서버 서비스가 가동된다. zone 파일은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역할을 한다

A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로 매핑할 때 사용한다. 즉 A 레코드의 data는 IP 주소를 설정해야 된다.
CNAME 호스트의 alias(엘리어스)를 정의한다.

84. 다음 중 전자우편 관련 프로토콜인 POP3(Post Office Protocol 3)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2년 05월)
     1. 인터넷 서버가 사용자를 위해 전자우편을 수신하고 그 내용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이다.
     2. 전자우편을 수신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다.
     3. 로컬서버에서 전자우편을 액세스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며 원격지 파일서버이다.
     4. POP3(Post Office Protocol 3)의 대안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은 IMAP이다.

     정답 : []
     정답률 : 35%

85. DNS서버에 다음과 같은 zone파일을 생성하여 DNS를 운영하려고 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2007년 05월)

    

     1. 주 DNS 서버와 보조 DNS 서버간의 정보 동기화를 위한 시간 간격은 15분이다.
     2. 마스터 서버와의 정보 동기화를 위해 통신이 실패하였을 때 다음 시도를 위한 대기 시간은 3시간이다.
     3. 동기화를 하려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일정 시간동안 접속이 실패하여 작업을 진행하지 못했을 때 보조 DNS서버가 기존의 정보를 파기하는 시간은 일주일이다.
     4. 메일은 192.168.1.5서버에서 수신한다.

     정답 : []
     정답률 : 25%

86. 다음에서 설명하는 가상화 기능으로 알맞은 것은?(2016년 03월)

    

     1. 공유
     2. 절연(Insulation)
     3. 단일화
     4. 에뮬레이션

     정답 : []
     정답률 : 44%

87. 다음에서 설명하는 내용 중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08년 03월)

    

     1. DNS 서버
     2. proxy 서버
     3. CVS 서버
     4. DHCP 서버

     정답 : []
     정답률 : 55%

88.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8년 09월)

    

     1. ㉠ named ㉡ named
     2. ㉠ named ㉡ bind
     3. ㉠ bind ㉡ named
     4. ㉠ bind ㉡ bind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ㅇDNS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 설치해야 할 프로그램
    Bind : Berkeley Internet Name Domain
        - DNS서버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서버에 데몬 프로그램이 필요하게
            되는데,BIND는 구성이 쉽고 표준을 따르는 도구로서 리눅스,Unix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DNS 프로그램
    named
        - 시스템에서 DNS(Domain Name System)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몬
[해설작성자 : 정추]

89. DNS서버를 테스트할 수 있는 도구로 알맞은 것은?(2011년 09월)
     1. dig
     2. host
     3. netstat
     4. nslookup

     정답 : []
     정답률 : 51%

90. 프록시 서버 squid의 설정 파일(squid.conf) 설정에서 캐시에 사용될 메모리의 최대 크기를 100M로 설정하려고 한다. 설정을 하기 위해 필요한 지시자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11년 03월)
     1. memory_size 100 MB
     2. cache_memory 100 MB
     3. cache_mem 100 MB
     4. max_mem_size 100 MB

     정답 : []
     정답률 : 40%

91. sendmail에서 스팸메일 차단을 위해 /etc/mail/access 파일에 사용되는 옵션에 대한 설명이 바르게 된것은?(2006년 09월)
     1. DISCARD : 지정된 도메인에게서 무조건 메일 수신 후 RELAY
     2. 501 : 발신자 주소에 호스트 이름이 없을 경우 메일 수신 거부
     3. 533 : 지정된 메일 주소와 일치하는 메일 수신 거부
     4. 550 : 지정된 도메인과 관련된 모든 메일 수신 거부

     정답 : []
     정답률 : 38%

92. DHCP 서버의 설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 하지 못한 것은?(2003년 01월)
     1. DHCP 서버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커널에서 MULTICAST 기능이 지원되어야 한다.
     2. 일부 DHCP 클라이언트에서 문제의 소지가 있어 255.255.255.255를 위한 라우팅을 추가해 주는 것이 좋다.
     3. 설정 파일의 option subnet-mask 옵션을 통하여 각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사용할 서브넷 마스크를 알려준다.
     4. 클라이언트에서 DHCP 서버를 찾을 수 있도록 설정 파일의 fixed-address 항목에 서버 자신의 IP 주소를 기재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29%

93. 다음 중 DHC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2003년 06월)
     1. dhcp
     2. dhcpcd
     3. init.d
     4. dhcpd

     정답 : []
     정답률 : 31%

94. 다음 CV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프로젝트 추가 : cvs import -m "log" project_name vendor_tag release_tag
     2. 프로젝트 갱신 : cvs checkout project_name
     3. 변경내용의 저장 : cvs commit -m "log"
     4. 폴더 추가 : cvs addfolder folder_name

     정답 : []
     정답률 : 25%

95. 다음 중 CVS에서 사용하는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6월)
     1. import: CVS로부터 소스를 가져올 때 사용한다.
     2. update: 자신의 작업 내용을 서버에 업로드 한다.
     3. log: 작업 내용을 확인할 때 사용한다.
     4. diff: 변경된 내용을 확인할 때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96. 시스템이나 네트워크는 한정된 자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자원을 많은 양의 데이터로 채워 자원의 여분을 고갈시켜서 서버가 정상적인 동작을 할 수 없도록 하는 해킹 유형은?(2003년 10월)
     1. 트로이목마
     2. IP 스푸핑
     3. 서비스거부 공격
     4. 백도어

     정답 : []
     정답률 : 32%

97.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2013년 03월)

    

     1. Buffer Overflow
     2. SYN Flooding
     3. Back Door
     4. IP Spoofing

     정답 : []
     정답률 : 55%

98. 다음 설명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2014년 03월)

    

     1. L2TP
     2. IPsec
     3. SOCKS V5
     4. NAT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VPN (Virtual Private Network)는 광역 네트워크인 WAN(Wide Area Network) 구축을 위해서 이용된다.
IPsec은 IETF에 의해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는 암호화 통신 규격으로 AH, ESP 2개의 프로토콜이 사용되고 있다.
[해설작성자 : 나나]

99. 방화벽의 부가적인 기능이 아닌 것은?(2011년 03월)
     1. VPN
     2. NAT
     3. NMS
     4. DMZ

     정답 : []
     정답률 : 30%

100. VPN의 대표적인 기술인 터널링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2011년 09월)
     1. PPTP
     2. L2TP
     3. IPsec
     4. MD5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대표적    VPN 터널링 프로토콜 : PPTP(Point-to-Point Tunneling Protocol),
                                 L2TP(Layer 2 Tunneling Protocol), IPsec(IP Security)

PPTP : PPP(Point-to-Point) 접속을 확장하여 원격 사용자와 사설망 사이의 보안 접속을 제공하는 Layer 2 터널링 프로토콜

L2TP : Microsoft가 제안한 PPTP와 Cisco가 제안한 L2F(Layer 2 Forwarding) 프로토콜을 결합한 것으로 PPTP의 장점과 L2F의 장점을 하나로 모으자는 의도로 개발된 프로토콜

IPsec : VPN 터널링의 업계 표준 프로토콜로 강력한 사용자 인증과 암호화를 제공하는 Layer 3 프로토콜

MD5(Message-Digest algorithm 5) : 128비트 암호화 해시 함수
[해설작성자 : 김영대]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1350074)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리눅스마스터, 1급, 리눅스, 마스터,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24 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3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6
1623 9급 국가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3756912) 좋은아빠되기 2025.11.10 5
1622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3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8
1621 침투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9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5
1620 9급 지방직 공무원 기계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5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619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5
1618 양화장치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7월12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0 6
1617 잠수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6
1616 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7월21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615 수능(동아시아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9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6
1614 기계설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613 양화장치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7월18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0 5
1612 9급 국가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4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611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8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7
1610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2661143) 좋은아빠되기 2025.11.10 5
160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생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608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28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0 7
1607 9급 지방직 공무원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1350074) 좋은아빠되기 2025.11.10 7
1605 식물보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9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6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53 Next
/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