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716937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목재이학


1. 치환법에 의하여 구한 목재의 진비중은?(2003년 08월)
     1. 1.36
     2. 1.46
     3. 1.56
     4. 1.66

     정답 : []
     정답률 : 78%

2. 목재무게가 80 g 되는 것을 건조한 결과 그 무게가 55 g으로 되었는데 그 함수율이 10 % 라고 하면 이 목재의 건조전 함수율은 몇 % 인가?(2004년 08월)
     1. 50
     2. 60
     3. 70
     4. 80

     정답 : []
     정답률 : 74%

3. 보통 건조재에 비교하여 고온건조재의 특성이 아닌 것은?(2004년 08월)
     1. 수축성이 개량된다.
     2. 평형함수율이 높아진다.
     3. 흡수성이 개량된다.
     4. 팽창성이 개량된다.

     정답 : []
     정답률 : 88%

4. 시험재의 전건무게가 1000g이고 건조 중에 시험재의 무게가 1300g일 때 건조 중 함수율은 얼마인가?(2012년 09월)
     1. 20%
     2. 25%
     3. 30%
     4. 35%

     정답 : []
     정답률 : 90%

5. 목재의 하중단면적이 A, 최대압축하중이 P이면 종압축강도는?(2018년 08월)
     1. P÷A
     2. P×A
     3. P×A2
     4. P÷A2

     정답 : []
     정답률 : 73%

6. 시험재의 초기중량이 1500g, 추정된 함수율이 50%일 때 전건중량은?(2019년 04월)
     1. 750g
     2. 1000g
     3. 1200g
     4. 1500g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함수율(%) = ((목재중량 - 전건상태시 중량)/전건상태시 중량) *100
[해설작성자 : 더포레]

7. 목재 내에 존재하는 결함수의 존재형태가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모관 응축수
     2. 단분자층 흡착수
     3. 다분자층 흡착수
     4. 세포내강 응축수

     정답 : []
     정답률 : 62%

8. 목재의 수분 흡착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침엽수와 활엽수간에는 차이가 크다.
     2. 변재와 심재의 흡착력 차이는 매우 작다.
     3. 수종 간에 흡착력 크기는 거의 차이가 없다.
     4. 흡습량은 친수성기의 수에 의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58%

9. 전건비중이 0.40인 목재의 공극율은?(2019년 04월)
     1. 약 63%
     2. 약 73%
     3. 약 83%
     4. 약 93%

     정답 : []
     정답률 : 53%

10. 목재가 함유하는 수분으로 세포내강이나 세포간극 등의 공극에 액상으로 존재하는 것은?(2017년 08월)
     1. 흡착수
     2. 자유수
     3. 화학수
     4. 결합수

     정답 : []
     정답률 : 86%

11. 목재의 탄성에 가장 적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2019년 04월)
     1. 옹이
     2. 함수율
     3. 변재의 색상
     4. 세포벽의 미세구조

     정답 : []
     정답률 : 88%

12. 목재의 수축 및 팽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세포내강의 용적변화가 크다.
     2. 결합수의 증감에 따라 발생한다.
     3. 이방적 구조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4. 정상적인 수축과 팽윤은 섬유포화점 이상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5%

13. 소리 방사에 중요 성질인 음파저항(W)을 나타내는데 틀린 것은 어느 식인가? (단, ρ = 밀도, V = 음속, E = 탄성계수임 )(2004년 08월)
     1. W = ρV
     2.
     3.
     4.

     정답 : []
     정답률 : 65%

14. 거문고, 가야금의 표판 부위에 주로 사용되며 비중에 비하여 탄성계수가 높은 수종은?(2017년 08월)
     1. 흑단
     2. 회양목
     3. 대나무
     4. 오동나무

     정답 : []
     정답률 : 82%

15. Fick의 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8월)
     1. 수분의 확산율은 단면적×농도경사에 비례한다.
     2. 수분의 확산율은 단면적÷농도경사에 비례한다.
     3. 수분의 확산율은 단면적×농도경사에 반비례한다.
     4. 수분의 확산율은 단면적÷농도경사에 반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16. 목재 음의 손실감쇠(damping of internal friction)를 나타내는 감쇠율(damping ratio)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목재세포의 크기 및 배열을 고려할 때 목재의 감쇠율은 대부분의 다른 재료에 비해 큰 편이다.
     2. 섬유포화점 이하에서 함수율이 상승할수록 목재의 감쇠비는 온도에 관계없이 상승한다.
     3. 횡진동에서의 대수감쇠율은 비틀림진동에서의 대수 감쇠율보다 일반적으로 작다.
     4. 진동의 위험이 있는 경우, 다른 강도적 성질이 충죽된다면 고손실감쇠능의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17. 목재의 수축과 팽윤의 영향인자로 볼 수 없는 것은?(2017년 08월)
     1. 목재비중
     2. 목리방향
     3. 탄성계수
     4. 건조속도

     정답 : []
     정답률 : 74%

18. 음파가 목재에 진입하면 회절하는 데 그때의 음속은 공기중에서 보다 몇 배 정도 빨라지는가?(2003년 08월)
     1. 1/10배
     2. 3배
     3. 5배
     4. 10배

     정답 : []
     정답률 : 20%

19. 목재 내의 함유수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세포내강 등의 빈 공간에 들어있는 물을 자유수라고 한다.
     2.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세포벽의 미세공극에 들어있는 수분을 모세관수라 한다.
     3. 수소결합 등을 통하여 목재의 구성성분들과 붙어있는 수분을 결합수라고 한다.
     4. 목재 성분의 화학적 조성을 완전히 분해 시켜야 분리할 수 있는 수분은 구조수이다.

     정답 : []
     정답률 : 50%

20. 전건비중이 1.0이고 진비중이 1.5인 목재의 실질율은?(2017년 08월)
     1. 0.22
     2. 0.33
     3. 0.44
     4. 0.66

     정답 : []
     정답률 : 60%

2과목 : 목재해부학


21. 활엽수재에서 관찰하기 가장 어려운 세포는?(2017년 08월)
     1. 가도관
     2. 방사가도관
     3. 방사유세포
     4. 축방향유조직

     정답 : []
     정답률 : 55%

22. 고무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8월)
     1. 온대산 수종에 특히 많다.
     2. 침엽수재에서만 형성된다.
     3. 침엽수와 활엽수에서 모두 관찰된다.
     4. 활엽수 특정 수종의 목재에 형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60%

23. 활엽수재의 나선비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산공재에서는 볼 수 없다.
     2. 목섬유의 세포간층에 주로 발달한다.
     3. 주로 도관의 세포내강쪽 벽에 발달한다.
     4. 환공재에서는 주로 조재부의 도관에서 관찰된다.

     정답 : []
     정답률 : 58%

24. 미국에서 참나무를 수입하였는데 백참나무류 (white oak)인지 아니면 적참나무류(red oak)인지 궁금하여 전문기관에 수종 식별을 의뢰하였다. 식별 결과 백참나무라고 밝혀졌는데 그 근거로 적합 하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춘재 관공으로부터 추재관공으로의 이행이 대개 급격하였다.
     2. 심재의 도관요소 내에 타일로시스(tylosis)가 거의 발달되어 있지 않았다.
     3. 크기가 큰 방사조직의 평균 높이가 1.3~3.2cm로써 높이가 3.8cm보다 큰 방사조직도 자주 관찰 되었다.
     4. 추재 관공의 세포벽이 얇으며 횡단면상의 모양은 다소각진 형상을 나타내고 있었다.

     정답 : []
     정답률 : 71%

25. 천공판(perforation plate)이 특별히 발달되어 있는 세포는?(2013년 09월)
     1. 도관
     2. 가도관
     3. 목섬유
     4. 방사조직

     정답 : []
     정답률 : 59%

26. 소나무와 잣나무의 목재를 현미경으로 식별코자 한다. 검경(檢鏡)해야 할 세포는?(2004년 08월)
     1. 가도관
     2. 수지구
     3. 방사가도관
     4. 목섬유

     정답 : []
     정답률 : 52%

27. 형성층의 원주 증대를 하기 위한 방추형시원세포의 분열방식으로 맞는 것은?(2013년 09월)
     1. 병층분열
     2. 횡분열
     3. 수층분열
     4. 접선분열

     정답 : []
     정답률 : 47%

28. 활엽수재에서 축방향 유세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횡면분열을 하지 않는다.
     2. 유세포 스트랜드로 구성된다.
     3. 일반적으로 박벽과 단벽공이 존재한다.
     4. 양분을 저장하고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29. 열대 활엽수재의 대부분과 국내 활엽수재의 60% 이상이 갖는 판공의 형태는?(2016년 10월)
     1. 환공재
     2. 산공재
     3. 방사공재
     4. 문양공재

     정답 : []
     정답률 : 53%

30. 가도관이나 목섬유의 세포벽층 가운데 리그닌이 가장 많은 양으로 존재하는 곳은?(2016년 10월)
     1. 1차벽
     2. 2차벽
     3. 세포간층
     4. 세포내강

     정답 : []
     정답률 : 52%

31. 활엽수재에서 도관의 배열이 나이테 전체에 걸쳐 고루 분포하는 산공재를 가지는 수종으로만 나열한 것은?(2018년 08월)
     1. 팽나무, 느티나무
     2. 신갈나무, 떡갈나무
     3. 오리나무, 자작나무
     4. 회화나무, 느릅나무

     정답 : []
     정답률 : 52%

32. 주로 양분을 저장하는 세포의 하나인 스트렌드유세포(Wood parenchyma strand)가 가장 많이 존재하는 수종은?(2004년 08월)
     1. 자작나무
     2. 소나무
     3. 잎갈나무
     4. 가래나무

     정답 : []
     정답률 : 46%

33. 집합방사조직이 주로 관찰되는 수종은?(2017년 08월)
     1. 오리나무
     2. 구상나무
     3. 갈참나무
     4. 물푸레나무

     정답 : []
     정답률 : 49%

34. 나선비후를 관찰하기 가장 어려운 수종은?(2017년 08월)
     1. 주목
     2. 미송
     3. 소나무
     4. 비자나무

     정답 : []
     정답률 : 37%

35. 활엽수재 방사조직의 함유량은?(2016년 10월)
     1. 5% 미만
     2. 5~15%
     3. 20~30%
     4. 30% 이상

     정답 : []
     정답률 : 43%

36. 침엽수재 형성층의 방추형 시원세포가 성숙해서 된 목부세포는?(2016년 10월)
     1. 방사유세포
     2. 방사가도관
     3. 수평수지구
     4. 축방향가도관

     정답 : []
     정답률 : 43%

37. 활엽수재를 횡단면에 나타난 세포 배열에 따라 산공재, 환공재 등으로 나누는데 어떤 세포의 배열에 따라 분류하는 것인가?(2016년 10월)
     1. 도관
     2. 유세포
     3. 수지구
     4. 목섬유

     정답 : []
     정답률 : 58%

38. 정상 심재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심재부는 색소, 고무질, 수지 등이 축적되어 재색이 일반적으로 짙다.
     2. 입목시에 수분의 함유량이 많다.
     3. 모든 세포가 생리적 기능이 상실되어 있다.
     4. 그 목재의 중량이나 내후성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9%

39. 활엽수재의 도관에 인접한 유세포가 벽공벽을 파괴하여 도관 내강 속으로 생장하여 형성되는 조직은?(2016년 10월)
     1. 검물질
     2. 크라슐래
     3. 타이로시스
     4. 타일로소이드

     정답 : []
     정답률 : 57%

40. 세포내강이 좁고 세포벽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운 섬유로서 흡습성이 풍부하며, 인장이상재에 나타나는 목섬유는?(2019년 04월)
     1. 격막목섬유
     2. 젤라틴섬유
     3. 진정목섬유
     4. 섬유상가도관

     정답 : []
     정답률 : 68%

3과목 : 목재화학


41. 셀룰로오스 분자의 단위포(單位胞, unit cel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4년 08월)
     1. 단사정계(單斜晶系)모형이며 β = 84° 이다.
     2. 포도당 단위가 2개 결합한 셀로비오스의 주기로 나타난다.
     3. 단위포의 4구석과 중앙주쇄의 분자방향은 동일하게 배열되어 있다.
     4. 분자상호간에는 glucoside 결합, 수소결합, vander waals 인력이 작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42. C6-C3-C5 의 골격을 갖고 있는 황색의 색소 화합물을 무엇이라 하는가?(2012년 09월)
     1. 퀴논
     2. 리그닌
     3. 터어페노이드
     4. 플라보노이드

     정답 : []
     정답률 : 62%

43. 다음 중 Flavonoid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3년 09월)
     1. Chalcone
     2. Catechin
     3. Leucoanthocyanidin
     4. β-glycerol

     정답 : []
     정답률 : 64%

44. 셀룰로오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천연 셀룰로오스는 마이크로피브릴로 구성되어 있다.
     2. 셀룰로오스는 양 단말기를 제하고는 각 환(環)에 3개의 수산기가 존재한다.
     3. 셀룰로오스는 아세톤, 클로로포름에 용해된다.
     4. Glucopyranose의 1번 탄소와 다른 Glucopyranose의 4번 탄소가 에테르 결합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54%

45. Wiesner의 정색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9월)
     1. 리그닌 중의 coniferyl aldehyde는 c-HCl 중의 phloroglucionl과 반응하여 자주색을 나타낸다.
     2. 리그닌 중의 syringyl aldehyde는 c-HCl 중의 phloroglucionl과 반응하여 자주색을 나타낸다.
     3. 리그닌 중의 coniferyl aldehyde는 c-HCl 중의 phloroglucionl과 반응하여 적색을 나타낸다.
     4. 리그닌 중의 syringyl aldehyde는 c-HCl 중의 phloroglucionl과 반응하여 적색을 나타낸다.

     정답 : []
     정답률 : 33%

46. 다음 구조식의 물질 이름은?(2003년 08월)

    

     1. Uridine
     2. Guanosine
     3. Alanine
     4. Pyrimidine

     정답 : []
     정답률 : 68%

47. 다음 셀룰로우스 유도체 중 반응 메커니즘이 다르게 제조된 것은?(2013년 09월)
     1. 질산셀룰로오스
     2. 메틸셀룰로오스
     3. 에틸셀룰로오스
     4.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정답 : []
     정답률 : 45%

48. 다음 구조식의 명칭은?(2004년 08월)

    

     1. aurone
     2. flavone
     3. flavonol
     4. antocyanidin

     정답 : []
     정답률 : 72%

49. Cell-ONa + ClCH2COONa → Cell-OCH2COONa + NaCl 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셀룰로오스의 유도체는?(2003년 08월)
     1. Carboxymethyl cellulose
     2. Hydroxyethyl cellulose
     3. Acethylpropionyl cellulose
     4. Cyanoethyl cellulose

     정답 : []
     정답률 : 64%

50. 침엽수재 리그닌을 니트로벤젠(nitrobenzene)으로 산화시켰을 때 주로 얻을 수 있는 성분은?(2013년 09월)
     1. 바닐린(Vanillin)
     2. 시린갈데히드(Syringaldehyde)
     3. p-히드록시벤잘데히드(p-Hydroxybenzaldehyde)
     4. 페놀(phenol)

     정답 : []
     정답률 : 61%

51. D-glucose는 분자 내 헤미아세탈을 형성하여 pyranose환으로 전환된다. 이때 분자 내 결합에 참여하는 glucose의 탄소 번호는?(2016년 10월)
     1. 1번 탄소와 6번 탄소의 에테르 결합
     2. 1번 탄소와 5번 탄소의 에테르 결합
     3. 3번 탄소와 5번 탄소의 에테르 결합
     4. 1번 탄소와 4번 탄소의 에테르 결합

     정답 : []
     정답률 : 55%

52. 셀룰로오스의 구조 및 성질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2017년 08월)
     1. 양말단기를 제하고는 글루코오스 단위당 3개의 수산기가 있다.
     2. 글루코오스의 1과 4번 탄소의 수산기가 탈수 축합된 구조이다.
     3. 용해용 용매로는 다이옥산(Dioxane)이 이용된다.
     4. 목재 셀룰로오스의 평균 중합도는 면 셀룰로오스의 평균 중합도보다 낮다.

     정답 : []
     정답률 : 60%

53. 리그닌에 대한 다음 설명중 옳은 것은?(2018년 08월)
     1. 화학적으로는 phenylpropane C6-C3 구성단위가 탄소-탄소 또는 에테르 결합으로 구성된 물질이다.
     2. 리그닌은 72% 황산 용액에 의하여 분해된다.
     3. 리그닌의 농도는 루멘(lumen) 부근이 가장 높고 세포 외부로 이행함에 따라 감소한다.
     4. 리그린은 지방족화합물이다.

     정답 : []
     정답률 : 47%

54. 비스코스(Viscose) 제조와 관계가 없는 것은?(2004년 08월)
     1. NaOH
     2. Cellulose
     3. CS2
     4. Cadoxen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비스코스는 알칼리셀룰로오스에 이황화탄소를 반응시켜 생기는 셀룰로오스크산토겐산나트륨을 묽은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녹인것으로 투명한 황적색의 점성도가 높은 콜로이드 용액이다.
[해설작성자 : 얌냠냠]

55. 셀룰로오스 유도체 중 알칼리 셀룰로우스를 모노클로로아세트산(monochloroacetic acid)에 침적시킨 후 NaOH를 첨가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의약, 화장품 및 식품의 유화 안정제 등으로 이용되는 것은?(2017년 08월)
     1. Methyl cellulose
     2. Carboxymethyl cellulose
     3. Ethyl cellulose
     4. Hydroxyethyl cellulose

     정답 : []
     정답률 : 82%

56. 목재의 펜토산(pentosan) 정량에 관련되는 성분은?(2013년 09월)
     1. galactoglucomannan
     2. glucomannan
     3. Holocellulose
     4. Xylan

     정답 : []
     정답률 : 53%

57. 갈란탄 정량 시 점액산의 양이 20g 이었다면 갈락탄의 양은 얼마인가?(2012년 09월)
     1. 12.4g
     2. 22.4g
     3. 32.4g
     4. 42.4g

     정답 : []
     정답률 : 80%

58. 인장 이상재의 리그닌 함량에 관하여 기술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7년 08월)
     1. 정상재의 리그닌 함량보다 높다.
     2. 정상재의 리그닌 함량보다 낮다.
     3. 정상재의 리그닌 함량과 같다.
     4. 리그닌 함량과는 관계 없다.

     정답 : []
     정답률 : 64%

59. 리그닌의 기본단위는?(2012년 09월)
     1. 2개의 isoprene
     2. 2개의 glycerol
     3. 2개의 resin acid
     4. 2개의 phenylpropane

     정답 : []
     정답률 : 81%

60. 침엽수재 리그닌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기본 단위를 나타내는 그림은?(2016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6%

4과목 : 임산제조학


61. 함수율이 60%인 소나무 관재의 무게가 2500g이다. 건량기준 함수율 12%가 되게 건조하려면 시험재의 무게는 몇 g이 될 때까지 건조시켜야 하는가?(2016년 10월)
     1. 1700g
     2. 1750g
     3. 1800g
     4. 1850g

     정답 : []
     정답률 : 48%

62. 다음은 열경화성 수지와 열가소성 수지를 짝지워 놓은 것이다. 이중 잘못된 것은?(2004년 08월)
     1. 요소계, 폴리비닐알코올
     2. 에폭시수지, 아크릴 수지
     3. 폐놀계, 네오프렌
     4. 멜라민계, 니트로셀룰로오스

     정답 : []
     정답률 : 40%

63. 파아티클 보오드 제조시 포밍(forming)할 때 쓰이는 분배기구 중 옳지 않은 것은?(2004년 08월)
     1. 장망식 기구
     2. 진동피더(feeder)
     3. 공기 분배기구
     4. 롤러산포기

     정답 : []
     정답률 : 60%

64. 목재 열기건조(kiln drying)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9월)
     1. 예비건조로서 효과가 크다.
     2. 자본의 회전기간이 짧다.
     3. 건조시간이 단축된다.
     4. 건조결함을 최대한 예방한다.

     정답 : []
     정답률 : 42%

65. 통기(通氣)카울(ventilated caul)은 어느 건조법에 사용하는 기구인가?(2013년 09월)
     1. 고온건조
     2. 열판건조
     3. 고주파건조
     4. 제습건조

     정답 : []
     정답률 : 49%

66. 목질폐재의 미생물 이용방법 중에서 숙도(熟度)를 판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12년 09월)
     1. 양이온치환량(CEC)의 증가에 의한 판정방법
     2. C/N률의 감소에 의한 판정방법
     3. 종자의 발아, 생장상태 등의 생물시험에 의한 판정방법
     4. 탄소량이 처음보다 10% 정도 증가되는 것을 보아 판정하는 방법

     정답 : []
     정답률 : 59%

67. 목재추출 성분 중에 수용성의 폴리페놀은?(2016년 10월)
     1. 정유
     2. 탄닌
     3. 수지
     4. 유지

     정답 : []
     정답률 : 39%

68. 합성수지 접착제로 열가소성 수지(A)와 열경화성 수지(B)의 종류가 잘못 나열한 것은?(2017년 08월)
     1. A : 아크릴수지, B : 멜라민수지
     2. A : 초산비닐수지, B : 페놀수지
     3. A : 염화비닐수지, B : 에폭시수지
     4. A : 요소수지, B : 폴리아미드수지

     정답 : []
     정답률 : 59%

69. 제지 과정에서 사용되는 공정이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정선
     2. 착색
     3. 마쇄
     4. 충전

     정답 : []
     정답률 : 41%

70. 펄프표백 중 염소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9월)
     1. pH2 이하로 반응시킨다.
     2. 리그닌을 저분자화 또는 염소화하기 위한 방법이다.
     3. 물과 반응하여 아염소산을 만들기 위함이다.
     4. 낮은 온도에서는 대체로 20~60분으로 반응이 완료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71. 목재의 제재방법에서 접선단면 제재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정목판을 얻을 수 있다.
     2. 경단면 제재법에 비하여 제재가 수월하다.
     3. 경단면 제재법에 비하여 품질이 떨어진다.
     4. 나이테에 접선방향 또는 방사방향이 직각이 되도록 제재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48%

72. 접착제의 습윤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접착제의 응집력이 클수록 좋다.
     2. 피착제 표면에서 접촉각이 클수록 좋다.
     3. 접착제 분자와 피착제 표면 사이에 인력이 강할수록 좋다.
     4. 고체표면에 액체인 접착제가 밀접하게 접촉되는 공정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73. 크라프트 펄프화에 있어서 수산화나트륨이 셀룰로오스 및 헤미셀룰로오스 용출반응과 전혀 관계가 없는 것은?(2012년 09월)
     1. 알칼리성 가수분해
     2. 알칼리성 필링(peeling) 반응
     3. 메틸 메르갑탄 생성
     4. 용출된 헤미셀룰로오스의 재결합

     정답 : []
     정답률 : 63%

74. 다음 목판 품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9월)
     1. 백탄은 수피가 없어야 한다.
     2. 흑탄은 수피가 완전해야 한다.
     3. 파쇄면은 금속광택이 없어야 한다.
     4. 비중이 커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75. 파티클보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이방성이 없다.
     2. 폐기 목질재료 등을 이용해서 제조한다.
     3. 펄프용 칩 크기의 원료를 이용하여 제조한다.
     4. 목재의 결함인 휨, 할렬, 옹이, 부후 등이 제거된다.

     정답 : []
     정답률 : 63%

76. 동일 수종, 동일 재종의 건조재를 120m3 사용하는 공장이 있다. 건조 소요일수는 평균 6일이라 하면 어느 정도의 용량에 건조실을 만들면 좋은가?(2013년 09월)
     1. 12m3, 2실
     2. 20m3, 1실
     3. 30m3, 1실
     4. 10m3, 3실

     정답 : []
     정답률 : 44%

77. 비중 0.45인 소나무재의 중성 아황산 반화학펄프 수율이 80 % 일 때 이 펄프 1톤 생산에 소요되는 원목은 몇 m3인가?(2003년 08월)
     1. 2.0
     2. 2.4
     3. 2.8
     4. 3.2

     정답 : []
     정답률 : 39%

78. 고송지(rosin)의 주요 화학성분은?(2013년 09월)
     1. turpemtine
     2. abietic acid
     3. alpha-pinenes
     4. champene

     정답 : []
     정답률 : 33%

79. 요소소지 접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임의로 중량이 가능하다.
     2. 빛깔이 무색이거나 투명한 편이다.
     3. 경화 과정에서 용적 수축이 거의 없다.
     4. 옥내용 합판, 집성재, 파티클보드 제조 등에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56%

80. 백탄의 제조에 관한 기술 중 옳은 것은?(2003년 08월)
     1. 숯가마를 만들어 그 가마 밖에서 불을 꺼서 만든 것
     2. 숯가마를 만들어 그 가마 안에서 불을 끈 것
     3. 퇴적한 숯가마에서 만든 것
     4. 숯가마를 만들어 그 안에서 고온도로 구은 것

     정답 : []
     정답률 : 37%

81. 낱개 상품의 방부 목재에 대한 품질표시 기재사항이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사용 방부제
     2. 사용환경범주
     3. 방부 목재의 수종
     4. 방부 목재의 유효기간

     정답 : []
     정답률 : 55%

82. 방부 처리를 하는데 가압 주입 방법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침지법
     2. 뤼핑법
     3. 공세포법
     4. 로우리법

     정답 : []
     정답률 : 53%

83. 수용성 방부제 성분을 목재 내에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목재의 환원성을 이용하여 난용성으로 변화시키는 방법
     2. 목재 내에서 중합 또는 축합반응을 촉진시키는 방법
     3. 목재의 조성분과 화합시키는 방법
     4. 목재주성분의 화학변화에 의한 방법

     정답 : []
     정답률 : 57%

84. 목재 연부후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리그닌을 주로 분해한다.
     2. 부후균에 의한 목재가해 형태와 동일하지 않다.
     3. 헤미셀룰로오스보다 글루칸을 더 빨리 분해시킨다.
     4. 피해를 받은 목재는 표면이 종횡으로 할렬이 일어난다.

     정답 : []
     정답률 : 42%

85. 세균에 의한 부후에서 세포벽의 공격양식에 따른 3가지 형태로 옳은 것은?(2013년 09월)
     1. 터널형, 공동형, 침식형
     2. 다이아몬드형, 터널형, 방망이형
     3. 공동형, 방망이형, 천공형
     4. 침식형, 곤본형, 부채형

     정답 : []
     정답률 : 65%

86. 기상열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8월)
     1. 환경오염 물질인 산성비와 무관하다.
     2. 태양광선 중에서 자외선은 목재 표면 광열화의 주된 인자이다.
     3. 재색의 변화는 셀룰로오스의 광열화 결과로 발색단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4. 화학적, 물리적, 광 에너지의 복합적인 영향에 의해 진행되나 목재 조직은 변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0%

87. 목재의 방부ㆍ방충처리 기준에서 사용환경 범주 H4에 사용할 수 없는 목재방부제는?(2019년 04월)
     1. A
     2. ACQ
     3. CuAz
     4. IPBCP

     정답 : []
     정답률 : 54%

88.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용어는?(2017년 08월)

    

     1.
     2. 유충
     3. 성충
     4. 번데기

     정답 : []
     정답률 : 69%

89. 목재의 가소화 처리에 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2004년 08월)
     1. 증기처리로 가소화한 후 치구에 의하여 목재의 파단을 최소로 줄인다.
     2. 요소의 농축 용액을 주입하고 가온하면 쉽게 가소화 시킬 수 있다.
     3. 액체 암모니아 처리로 매우 적은 목재라도 쉽게 가 소화 시킬 수 있다.
     4. 보통 침엽수가 활엽수보다 더 쉽게 구부러진다.

     정답 : []
     정답률 : 55%

90. 내후성이 큰 변재에 해당되는 수종은?(2016년 10월)
     1. 잎갈나우
     2. 오리나무
     3. 계수나무
     4. 박달나무

     정답 : []
     정답률 : 28%

91. 다음 중 목재의 초기 부후 진단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부후 목재의 육안적 고나찰
     2. 목재 박편의 현미경 검사
     3. 해섬 조직의 현미경 검사
     4. 부후 목재로부터 부후균 분리

     정답 : []
     정답률 : 62%

92. 목재보존 전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전처리에는 기계적 가공과 처리 전 목재의 건조 등이 있다.
     2. 건조에는 천연건조, 인공건조, 증기처리, 감압처리 등이 있다.
     3. 확산법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목재를 인공건조하여야 한다.
     4. 기계적 가공에는 박피, 인사이징, 프리커팅, 프리프레이밍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1%

93. 목재부후균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목재 방부 처리
     2. 건조 목재 사용
     3. 목재의 자외선 노출 억제
     4. 목재의 토양 접촉 사용 방식

     정답 : []
     정답률 : 48%

94. 다음에 해당하는 가압처리법은?(2013년 09월)

    

     1. 공세포법 중 뤼핑법
     2. 공세포법 중 로리법
     3. 온냉욕법
     4. 충세포법

     정답 : []
     정답률 : 43%

95. 항상 젖어있는 고함수율의 냉각탑 부재를 가해하여 강도를 감소시키는 균류는?(2012년 09월)
     1. 표면오염균
     2. 갈색부후균
     3. 연부후균
     4. 백색부후균

     정답 : []
     정답률 : 75%

96. 목재를 방부처리하는 주요 목적은?(2018년 08월)
     1. 변색 방지
     2. 물리적 강도 증가
     3. 균류에 의한 피해 방지
     4. 불에 대한 저항성 증가

     정답 : []
     정답률 : 67%

97. 목재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재생 가능한 생물자원이다.
     2. 인간에게 친근감을 주는 소재이다.
     3. 다른 재료에 비해 중량대비 상대적 강도가 낮다.
     4. 수분환경에 노출되면 수축 또는 팽윤이 되어 치수가 변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98. 목재의 치수안정을 위해 분자구조 단위 사이에 화학결합을 하는 것으로 치수안정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2016년 10월)
     1. 가교결합
     2. 피복처리
     3. 직교적층
     4. 열안정화처리

     정답 : []
     정답률 : 40%

99. 목재 변색균의 방지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수입된 소나무는 물 속에 저장한다.
     2. 생재의 경우 건조하지 않는 것이 좋다.
     3. 벌채 후 야적할 경우 곧바로 박피를 한다.
     4. 비를 피할 수 있으며 통풍이 잘되는 곳에 잔적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100. 인체에 해가 가장 적은 방충제는?(2017년 08월)
     1. BHC
     2. 클로로덴
     3. 피레스로이드
     4. 메틸브로마이드

     정답 : []
     정답률 : 53%


정 답 지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716937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목재이학


1. 치환법에 의하여 구한 목재의 진비중은?(2003년 08월)
     1. 1.36
     2. 1.46
     3. 1.56
     4. 1.66

     정답 : []
     정답률 : 78%

2. 목재무게가 80 g 되는 것을 건조한 결과 그 무게가 55 g으로 되었는데 그 함수율이 10 % 라고 하면 이 목재의 건조전 함수율은 몇 % 인가?(2004년 08월)
     1. 50
     2. 60
     3. 70
     4. 80

     정답 : []
     정답률 : 74%

3. 보통 건조재에 비교하여 고온건조재의 특성이 아닌 것은?(2004년 08월)
     1. 수축성이 개량된다.
     2. 평형함수율이 높아진다.
     3. 흡수성이 개량된다.
     4. 팽창성이 개량된다.

     정답 : []
     정답률 : 88%

4. 시험재의 전건무게가 1000g이고 건조 중에 시험재의 무게가 1300g일 때 건조 중 함수율은 얼마인가?(2012년 09월)
     1. 20%
     2. 25%
     3. 30%
     4. 35%

     정답 : []
     정답률 : 90%

5. 목재의 하중단면적이 A, 최대압축하중이 P이면 종압축강도는?(2018년 08월)
     1. P÷A
     2. P×A
     3. P×A2
     4. P÷A2

     정답 : []
     정답률 : 73%

6. 시험재의 초기중량이 1500g, 추정된 함수율이 50%일 때 전건중량은?(2019년 04월)
     1. 750g
     2. 1000g
     3. 1200g
     4. 1500g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함수율(%) = ((목재중량 - 전건상태시 중량)/전건상태시 중량) *100
[해설작성자 : 더포레]

7. 목재 내에 존재하는 결함수의 존재형태가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모관 응축수
     2. 단분자층 흡착수
     3. 다분자층 흡착수
     4. 세포내강 응축수

     정답 : []
     정답률 : 62%

8. 목재의 수분 흡착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침엽수와 활엽수간에는 차이가 크다.
     2. 변재와 심재의 흡착력 차이는 매우 작다.
     3. 수종 간에 흡착력 크기는 거의 차이가 없다.
     4. 흡습량은 친수성기의 수에 의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58%

9. 전건비중이 0.40인 목재의 공극율은?(2019년 04월)
     1. 약 63%
     2. 약 73%
     3. 약 83%
     4. 약 93%

     정답 : []
     정답률 : 53%

10. 목재가 함유하는 수분으로 세포내강이나 세포간극 등의 공극에 액상으로 존재하는 것은?(2017년 08월)
     1. 흡착수
     2. 자유수
     3. 화학수
     4. 결합수

     정답 : []
     정답률 : 86%

11. 목재의 탄성에 가장 적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2019년 04월)
     1. 옹이
     2. 함수율
     3. 변재의 색상
     4. 세포벽의 미세구조

     정답 : []
     정답률 : 88%

12. 목재의 수축 및 팽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세포내강의 용적변화가 크다.
     2. 결합수의 증감에 따라 발생한다.
     3. 이방적 구조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4. 정상적인 수축과 팽윤은 섬유포화점 이상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5%

13. 소리 방사에 중요 성질인 음파저항(W)을 나타내는데 틀린 것은 어느 식인가? (단, ρ = 밀도, V = 음속, E = 탄성계수임 )(2004년 08월)
     1. W = ρV
     2.
     3.
     4.

     정답 : []
     정답률 : 65%

14. 거문고, 가야금의 표판 부위에 주로 사용되며 비중에 비하여 탄성계수가 높은 수종은?(2017년 08월)
     1. 흑단
     2. 회양목
     3. 대나무
     4. 오동나무

     정답 : []
     정답률 : 82%

15. Fick의 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8월)
     1. 수분의 확산율은 단면적×농도경사에 비례한다.
     2. 수분의 확산율은 단면적÷농도경사에 비례한다.
     3. 수분의 확산율은 단면적×농도경사에 반비례한다.
     4. 수분의 확산율은 단면적÷농도경사에 반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16. 목재 음의 손실감쇠(damping of internal friction)를 나타내는 감쇠율(damping ratio)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목재세포의 크기 및 배열을 고려할 때 목재의 감쇠율은 대부분의 다른 재료에 비해 큰 편이다.
     2. 섬유포화점 이하에서 함수율이 상승할수록 목재의 감쇠비는 온도에 관계없이 상승한다.
     3. 횡진동에서의 대수감쇠율은 비틀림진동에서의 대수 감쇠율보다 일반적으로 작다.
     4. 진동의 위험이 있는 경우, 다른 강도적 성질이 충죽된다면 고손실감쇠능의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17. 목재의 수축과 팽윤의 영향인자로 볼 수 없는 것은?(2017년 08월)
     1. 목재비중
     2. 목리방향
     3. 탄성계수
     4. 건조속도

     정답 : []
     정답률 : 74%

18. 음파가 목재에 진입하면 회절하는 데 그때의 음속은 공기중에서 보다 몇 배 정도 빨라지는가?(2003년 08월)
     1. 1/10배
     2. 3배
     3. 5배
     4. 10배

     정답 : []
     정답률 : 20%

19. 목재 내의 함유수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세포내강 등의 빈 공간에 들어있는 물을 자유수라고 한다.
     2.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세포벽의 미세공극에 들어있는 수분을 모세관수라 한다.
     3. 수소결합 등을 통하여 목재의 구성성분들과 붙어있는 수분을 결합수라고 한다.
     4. 목재 성분의 화학적 조성을 완전히 분해 시켜야 분리할 수 있는 수분은 구조수이다.

     정답 : []
     정답률 : 50%

20. 전건비중이 1.0이고 진비중이 1.5인 목재의 실질율은?(2017년 08월)
     1. 0.22
     2. 0.33
     3. 0.44
     4. 0.66

     정답 : []
     정답률 : 60%

2과목 : 목재해부학


21. 활엽수재에서 관찰하기 가장 어려운 세포는?(2017년 08월)
     1. 가도관
     2. 방사가도관
     3. 방사유세포
     4. 축방향유조직

     정답 : []
     정답률 : 55%

22. 고무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8월)
     1. 온대산 수종에 특히 많다.
     2. 침엽수재에서만 형성된다.
     3. 침엽수와 활엽수에서 모두 관찰된다.
     4. 활엽수 특정 수종의 목재에 형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60%

23. 활엽수재의 나선비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산공재에서는 볼 수 없다.
     2. 목섬유의 세포간층에 주로 발달한다.
     3. 주로 도관의 세포내강쪽 벽에 발달한다.
     4. 환공재에서는 주로 조재부의 도관에서 관찰된다.

     정답 : []
     정답률 : 58%

24. 미국에서 참나무를 수입하였는데 백참나무류 (white oak)인지 아니면 적참나무류(red oak)인지 궁금하여 전문기관에 수종 식별을 의뢰하였다. 식별 결과 백참나무라고 밝혀졌는데 그 근거로 적합 하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춘재 관공으로부터 추재관공으로의 이행이 대개 급격하였다.
     2. 심재의 도관요소 내에 타일로시스(tylosis)가 거의 발달되어 있지 않았다.
     3. 크기가 큰 방사조직의 평균 높이가 1.3~3.2cm로써 높이가 3.8cm보다 큰 방사조직도 자주 관찰 되었다.
     4. 추재 관공의 세포벽이 얇으며 횡단면상의 모양은 다소각진 형상을 나타내고 있었다.

     정답 : []
     정답률 : 71%

25. 천공판(perforation plate)이 특별히 발달되어 있는 세포는?(2013년 09월)
     1. 도관
     2. 가도관
     3. 목섬유
     4. 방사조직

     정답 : []
     정답률 : 59%

26. 소나무와 잣나무의 목재를 현미경으로 식별코자 한다. 검경(檢鏡)해야 할 세포는?(2004년 08월)
     1. 가도관
     2. 수지구
     3. 방사가도관
     4. 목섬유

     정답 : []
     정답률 : 52%

27. 형성층의 원주 증대를 하기 위한 방추형시원세포의 분열방식으로 맞는 것은?(2013년 09월)
     1. 병층분열
     2. 횡분열
     3. 수층분열
     4. 접선분열

     정답 : []
     정답률 : 47%

28. 활엽수재에서 축방향 유세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횡면분열을 하지 않는다.
     2. 유세포 스트랜드로 구성된다.
     3. 일반적으로 박벽과 단벽공이 존재한다.
     4. 양분을 저장하고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29. 열대 활엽수재의 대부분과 국내 활엽수재의 60% 이상이 갖는 판공의 형태는?(2016년 10월)
     1. 환공재
     2. 산공재
     3. 방사공재
     4. 문양공재

     정답 : []
     정답률 : 53%

30. 가도관이나 목섬유의 세포벽층 가운데 리그닌이 가장 많은 양으로 존재하는 곳은?(2016년 10월)
     1. 1차벽
     2. 2차벽
     3. 세포간층
     4. 세포내강

     정답 : []
     정답률 : 52%

31. 활엽수재에서 도관의 배열이 나이테 전체에 걸쳐 고루 분포하는 산공재를 가지는 수종으로만 나열한 것은?(2018년 08월)
     1. 팽나무, 느티나무
     2. 신갈나무, 떡갈나무
     3. 오리나무, 자작나무
     4. 회화나무, 느릅나무

     정답 : []
     정답률 : 52%

32. 주로 양분을 저장하는 세포의 하나인 스트렌드유세포(Wood parenchyma strand)가 가장 많이 존재하는 수종은?(2004년 08월)
     1. 자작나무
     2. 소나무
     3. 잎갈나무
     4. 가래나무

     정답 : []
     정답률 : 46%

33. 집합방사조직이 주로 관찰되는 수종은?(2017년 08월)
     1. 오리나무
     2. 구상나무
     3. 갈참나무
     4. 물푸레나무

     정답 : []
     정답률 : 49%

34. 나선비후를 관찰하기 가장 어려운 수종은?(2017년 08월)
     1. 주목
     2. 미송
     3. 소나무
     4. 비자나무

     정답 : []
     정답률 : 37%

35. 활엽수재 방사조직의 함유량은?(2016년 10월)
     1. 5% 미만
     2. 5~15%
     3. 20~30%
     4. 30% 이상

     정답 : []
     정답률 : 43%

36. 침엽수재 형성층의 방추형 시원세포가 성숙해서 된 목부세포는?(2016년 10월)
     1. 방사유세포
     2. 방사가도관
     3. 수평수지구
     4. 축방향가도관

     정답 : []
     정답률 : 43%

37. 활엽수재를 횡단면에 나타난 세포 배열에 따라 산공재, 환공재 등으로 나누는데 어떤 세포의 배열에 따라 분류하는 것인가?(2016년 10월)
     1. 도관
     2. 유세포
     3. 수지구
     4. 목섬유

     정답 : []
     정답률 : 58%

38. 정상 심재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심재부는 색소, 고무질, 수지 등이 축적되어 재색이 일반적으로 짙다.
     2. 입목시에 수분의 함유량이 많다.
     3. 모든 세포가 생리적 기능이 상실되어 있다.
     4. 그 목재의 중량이나 내후성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9%

39. 활엽수재의 도관에 인접한 유세포가 벽공벽을 파괴하여 도관 내강 속으로 생장하여 형성되는 조직은?(2016년 10월)
     1. 검물질
     2. 크라슐래
     3. 타이로시스
     4. 타일로소이드

     정답 : []
     정답률 : 57%

40. 세포내강이 좁고 세포벽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운 섬유로서 흡습성이 풍부하며, 인장이상재에 나타나는 목섬유는?(2019년 04월)
     1. 격막목섬유
     2. 젤라틴섬유
     3. 진정목섬유
     4. 섬유상가도관

     정답 : []
     정답률 : 68%

3과목 : 목재화학


41. 셀룰로오스 분자의 단위포(單位胞, unit cel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4년 08월)
     1. 단사정계(單斜晶系)모형이며 β = 84° 이다.
     2. 포도당 단위가 2개 결합한 셀로비오스의 주기로 나타난다.
     3. 단위포의 4구석과 중앙주쇄의 분자방향은 동일하게 배열되어 있다.
     4. 분자상호간에는 glucoside 결합, 수소결합, vander waals 인력이 작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42. C6-C3-C5 의 골격을 갖고 있는 황색의 색소 화합물을 무엇이라 하는가?(2012년 09월)
     1. 퀴논
     2. 리그닌
     3. 터어페노이드
     4. 플라보노이드

     정답 : []
     정답률 : 62%

43. 다음 중 Flavonoid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3년 09월)
     1. Chalcone
     2. Catechin
     3. Leucoanthocyanidin
     4. β-glycerol

     정답 : []
     정답률 : 64%

44. 셀룰로오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천연 셀룰로오스는 마이크로피브릴로 구성되어 있다.
     2. 셀룰로오스는 양 단말기를 제하고는 각 환(環)에 3개의 수산기가 존재한다.
     3. 셀룰로오스는 아세톤, 클로로포름에 용해된다.
     4. Glucopyranose의 1번 탄소와 다른 Glucopyranose의 4번 탄소가 에테르 결합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54%

45. Wiesner의 정색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9월)
     1. 리그닌 중의 coniferyl aldehyde는 c-HCl 중의 phloroglucionl과 반응하여 자주색을 나타낸다.
     2. 리그닌 중의 syringyl aldehyde는 c-HCl 중의 phloroglucionl과 반응하여 자주색을 나타낸다.
     3. 리그닌 중의 coniferyl aldehyde는 c-HCl 중의 phloroglucionl과 반응하여 적색을 나타낸다.
     4. 리그닌 중의 syringyl aldehyde는 c-HCl 중의 phloroglucionl과 반응하여 적색을 나타낸다.

     정답 : []
     정답률 : 33%

46. 다음 구조식의 물질 이름은?(2003년 08월)

    

     1. Uridine
     2. Guanosine
     3. Alanine
     4. Pyrimidine

     정답 : []
     정답률 : 68%

47. 다음 셀룰로우스 유도체 중 반응 메커니즘이 다르게 제조된 것은?(2013년 09월)
     1. 질산셀룰로오스
     2. 메틸셀룰로오스
     3. 에틸셀룰로오스
     4.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정답 : []
     정답률 : 45%

48. 다음 구조식의 명칭은?(2004년 08월)

    

     1. aurone
     2. flavone
     3. flavonol
     4. antocyanidin

     정답 : []
     정답률 : 72%

49. Cell-ONa + ClCH2COONa → Cell-OCH2COONa + NaCl 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셀룰로오스의 유도체는?(2003년 08월)
     1. Carboxymethyl cellulose
     2. Hydroxyethyl cellulose
     3. Acethylpropionyl cellulose
     4. Cyanoethyl cellulose

     정답 : []
     정답률 : 64%

50. 침엽수재 리그닌을 니트로벤젠(nitrobenzene)으로 산화시켰을 때 주로 얻을 수 있는 성분은?(2013년 09월)
     1. 바닐린(Vanillin)
     2. 시린갈데히드(Syringaldehyde)
     3. p-히드록시벤잘데히드(p-Hydroxybenzaldehyde)
     4. 페놀(phenol)

     정답 : []
     정답률 : 61%

51. D-glucose는 분자 내 헤미아세탈을 형성하여 pyranose환으로 전환된다. 이때 분자 내 결합에 참여하는 glucose의 탄소 번호는?(2016년 10월)
     1. 1번 탄소와 6번 탄소의 에테르 결합
     2. 1번 탄소와 5번 탄소의 에테르 결합
     3. 3번 탄소와 5번 탄소의 에테르 결합
     4. 1번 탄소와 4번 탄소의 에테르 결합

     정답 : []
     정답률 : 55%

52. 셀룰로오스의 구조 및 성질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2017년 08월)
     1. 양말단기를 제하고는 글루코오스 단위당 3개의 수산기가 있다.
     2. 글루코오스의 1과 4번 탄소의 수산기가 탈수 축합된 구조이다.
     3. 용해용 용매로는 다이옥산(Dioxane)이 이용된다.
     4. 목재 셀룰로오스의 평균 중합도는 면 셀룰로오스의 평균 중합도보다 낮다.

     정답 : []
     정답률 : 60%

53. 리그닌에 대한 다음 설명중 옳은 것은?(2018년 08월)
     1. 화학적으로는 phenylpropane C6-C3 구성단위가 탄소-탄소 또는 에테르 결합으로 구성된 물질이다.
     2. 리그닌은 72% 황산 용액에 의하여 분해된다.
     3. 리그닌의 농도는 루멘(lumen) 부근이 가장 높고 세포 외부로 이행함에 따라 감소한다.
     4. 리그린은 지방족화합물이다.

     정답 : []
     정답률 : 47%

54. 비스코스(Viscose) 제조와 관계가 없는 것은?(2004년 08월)
     1. NaOH
     2. Cellulose
     3. CS2
     4. Cadoxen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비스코스는 알칼리셀룰로오스에 이황화탄소를 반응시켜 생기는 셀룰로오스크산토겐산나트륨을 묽은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녹인것으로 투명한 황적색의 점성도가 높은 콜로이드 용액이다.
[해설작성자 : 얌냠냠]

55. 셀룰로오스 유도체 중 알칼리 셀룰로우스를 모노클로로아세트산(monochloroacetic acid)에 침적시킨 후 NaOH를 첨가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의약, 화장품 및 식품의 유화 안정제 등으로 이용되는 것은?(2017년 08월)
     1. Methyl cellulose
     2. Carboxymethyl cellulose
     3. Ethyl cellulose
     4. Hydroxyethyl cellulose

     정답 : []
     정답률 : 82%

56. 목재의 펜토산(pentosan) 정량에 관련되는 성분은?(2013년 09월)
     1. galactoglucomannan
     2. glucomannan
     3. Holocellulose
     4. Xylan

     정답 : []
     정답률 : 53%

57. 갈란탄 정량 시 점액산의 양이 20g 이었다면 갈락탄의 양은 얼마인가?(2012년 09월)
     1. 12.4g
     2. 22.4g
     3. 32.4g
     4. 42.4g

     정답 : []
     정답률 : 80%

58. 인장 이상재의 리그닌 함량에 관하여 기술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7년 08월)
     1. 정상재의 리그닌 함량보다 높다.
     2. 정상재의 리그닌 함량보다 낮다.
     3. 정상재의 리그닌 함량과 같다.
     4. 리그닌 함량과는 관계 없다.

     정답 : []
     정답률 : 64%

59. 리그닌의 기본단위는?(2012년 09월)
     1. 2개의 isoprene
     2. 2개의 glycerol
     3. 2개의 resin acid
     4. 2개의 phenylpropane

     정답 : []
     정답률 : 81%

60. 침엽수재 리그닌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기본 단위를 나타내는 그림은?(2016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6%

4과목 : 임산제조학


61. 함수율이 60%인 소나무 관재의 무게가 2500g이다. 건량기준 함수율 12%가 되게 건조하려면 시험재의 무게는 몇 g이 될 때까지 건조시켜야 하는가?(2016년 10월)
     1. 1700g
     2. 1750g
     3. 1800g
     4. 1850g

     정답 : []
     정답률 : 48%

62. 다음은 열경화성 수지와 열가소성 수지를 짝지워 놓은 것이다. 이중 잘못된 것은?(2004년 08월)
     1. 요소계, 폴리비닐알코올
     2. 에폭시수지, 아크릴 수지
     3. 폐놀계, 네오프렌
     4. 멜라민계, 니트로셀룰로오스

     정답 : []
     정답률 : 40%

63. 파아티클 보오드 제조시 포밍(forming)할 때 쓰이는 분배기구 중 옳지 않은 것은?(2004년 08월)
     1. 장망식 기구
     2. 진동피더(feeder)
     3. 공기 분배기구
     4. 롤러산포기

     정답 : []
     정답률 : 60%

64. 목재 열기건조(kiln drying)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9월)
     1. 예비건조로서 효과가 크다.
     2. 자본의 회전기간이 짧다.
     3. 건조시간이 단축된다.
     4. 건조결함을 최대한 예방한다.

     정답 : []
     정답률 : 42%

65. 통기(通氣)카울(ventilated caul)은 어느 건조법에 사용하는 기구인가?(2013년 09월)
     1. 고온건조
     2. 열판건조
     3. 고주파건조
     4. 제습건조

     정답 : []
     정답률 : 49%

66. 목질폐재의 미생물 이용방법 중에서 숙도(熟度)를 판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12년 09월)
     1. 양이온치환량(CEC)의 증가에 의한 판정방법
     2. C/N률의 감소에 의한 판정방법
     3. 종자의 발아, 생장상태 등의 생물시험에 의한 판정방법
     4. 탄소량이 처음보다 10% 정도 증가되는 것을 보아 판정하는 방법

     정답 : []
     정답률 : 59%

67. 목재추출 성분 중에 수용성의 폴리페놀은?(2016년 10월)
     1. 정유
     2. 탄닌
     3. 수지
     4. 유지

     정답 : []
     정답률 : 39%

68. 합성수지 접착제로 열가소성 수지(A)와 열경화성 수지(B)의 종류가 잘못 나열한 것은?(2017년 08월)
     1. A : 아크릴수지, B : 멜라민수지
     2. A : 초산비닐수지, B : 페놀수지
     3. A : 염화비닐수지, B : 에폭시수지
     4. A : 요소수지, B : 폴리아미드수지

     정답 : []
     정답률 : 59%

69. 제지 과정에서 사용되는 공정이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정선
     2. 착색
     3. 마쇄
     4. 충전

     정답 : []
     정답률 : 41%

70. 펄프표백 중 염소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9월)
     1. pH2 이하로 반응시킨다.
     2. 리그닌을 저분자화 또는 염소화하기 위한 방법이다.
     3. 물과 반응하여 아염소산을 만들기 위함이다.
     4. 낮은 온도에서는 대체로 20~60분으로 반응이 완료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71. 목재의 제재방법에서 접선단면 제재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정목판을 얻을 수 있다.
     2. 경단면 제재법에 비하여 제재가 수월하다.
     3. 경단면 제재법에 비하여 품질이 떨어진다.
     4. 나이테에 접선방향 또는 방사방향이 직각이 되도록 제재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48%

72. 접착제의 습윤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접착제의 응집력이 클수록 좋다.
     2. 피착제 표면에서 접촉각이 클수록 좋다.
     3. 접착제 분자와 피착제 표면 사이에 인력이 강할수록 좋다.
     4. 고체표면에 액체인 접착제가 밀접하게 접촉되는 공정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73. 크라프트 펄프화에 있어서 수산화나트륨이 셀룰로오스 및 헤미셀룰로오스 용출반응과 전혀 관계가 없는 것은?(2012년 09월)
     1. 알칼리성 가수분해
     2. 알칼리성 필링(peeling) 반응
     3. 메틸 메르갑탄 생성
     4. 용출된 헤미셀룰로오스의 재결합

     정답 : []
     정답률 : 63%

74. 다음 목판 품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9월)
     1. 백탄은 수피가 없어야 한다.
     2. 흑탄은 수피가 완전해야 한다.
     3. 파쇄면은 금속광택이 없어야 한다.
     4. 비중이 커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75. 파티클보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이방성이 없다.
     2. 폐기 목질재료 등을 이용해서 제조한다.
     3. 펄프용 칩 크기의 원료를 이용하여 제조한다.
     4. 목재의 결함인 휨, 할렬, 옹이, 부후 등이 제거된다.

     정답 : []
     정답률 : 63%

76. 동일 수종, 동일 재종의 건조재를 120m3 사용하는 공장이 있다. 건조 소요일수는 평균 6일이라 하면 어느 정도의 용량에 건조실을 만들면 좋은가?(2013년 09월)
     1. 12m3, 2실
     2. 20m3, 1실
     3. 30m3, 1실
     4. 10m3, 3실

     정답 : []
     정답률 : 44%

77. 비중 0.45인 소나무재의 중성 아황산 반화학펄프 수율이 80 % 일 때 이 펄프 1톤 생산에 소요되는 원목은 몇 m3인가?(2003년 08월)
     1. 2.0
     2. 2.4
     3. 2.8
     4. 3.2

     정답 : []
     정답률 : 39%

78. 고송지(rosin)의 주요 화학성분은?(2013년 09월)
     1. turpemtine
     2. abietic acid
     3. alpha-pinenes
     4. champene

     정답 : []
     정답률 : 33%

79. 요소소지 접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임의로 중량이 가능하다.
     2. 빛깔이 무색이거나 투명한 편이다.
     3. 경화 과정에서 용적 수축이 거의 없다.
     4. 옥내용 합판, 집성재, 파티클보드 제조 등에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56%

80. 백탄의 제조에 관한 기술 중 옳은 것은?(2003년 08월)
     1. 숯가마를 만들어 그 가마 밖에서 불을 꺼서 만든 것
     2. 숯가마를 만들어 그 가마 안에서 불을 끈 것
     3. 퇴적한 숯가마에서 만든 것
     4. 숯가마를 만들어 그 안에서 고온도로 구은 것

     정답 : []
     정답률 : 37%

81. 낱개 상품의 방부 목재에 대한 품질표시 기재사항이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사용 방부제
     2. 사용환경범주
     3. 방부 목재의 수종
     4. 방부 목재의 유효기간

     정답 : []
     정답률 : 55%

82. 방부 처리를 하는데 가압 주입 방법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침지법
     2. 뤼핑법
     3. 공세포법
     4. 로우리법

     정답 : []
     정답률 : 53%

83. 수용성 방부제 성분을 목재 내에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목재의 환원성을 이용하여 난용성으로 변화시키는 방법
     2. 목재 내에서 중합 또는 축합반응을 촉진시키는 방법
     3. 목재의 조성분과 화합시키는 방법
     4. 목재주성분의 화학변화에 의한 방법

     정답 : []
     정답률 : 57%

84. 목재 연부후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리그닌을 주로 분해한다.
     2. 부후균에 의한 목재가해 형태와 동일하지 않다.
     3. 헤미셀룰로오스보다 글루칸을 더 빨리 분해시킨다.
     4. 피해를 받은 목재는 표면이 종횡으로 할렬이 일어난다.

     정답 : []
     정답률 : 42%

85. 세균에 의한 부후에서 세포벽의 공격양식에 따른 3가지 형태로 옳은 것은?(2013년 09월)
     1. 터널형, 공동형, 침식형
     2. 다이아몬드형, 터널형, 방망이형
     3. 공동형, 방망이형, 천공형
     4. 침식형, 곤본형, 부채형

     정답 : []
     정답률 : 65%

86. 기상열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8월)
     1. 환경오염 물질인 산성비와 무관하다.
     2. 태양광선 중에서 자외선은 목재 표면 광열화의 주된 인자이다.
     3. 재색의 변화는 셀룰로오스의 광열화 결과로 발색단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4. 화학적, 물리적, 광 에너지의 복합적인 영향에 의해 진행되나 목재 조직은 변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0%

87. 목재의 방부ㆍ방충처리 기준에서 사용환경 범주 H4에 사용할 수 없는 목재방부제는?(2019년 04월)
     1. A
     2. ACQ
     3. CuAz
     4. IPBCP

     정답 : []
     정답률 : 54%

88.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용어는?(2017년 08월)

    

     1.
     2. 유충
     3. 성충
     4. 번데기

     정답 : []
     정답률 : 69%

89. 목재의 가소화 처리에 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2004년 08월)
     1. 증기처리로 가소화한 후 치구에 의하여 목재의 파단을 최소로 줄인다.
     2. 요소의 농축 용액을 주입하고 가온하면 쉽게 가소화 시킬 수 있다.
     3. 액체 암모니아 처리로 매우 적은 목재라도 쉽게 가 소화 시킬 수 있다.
     4. 보통 침엽수가 활엽수보다 더 쉽게 구부러진다.

     정답 : []
     정답률 : 55%

90. 내후성이 큰 변재에 해당되는 수종은?(2016년 10월)
     1. 잎갈나우
     2. 오리나무
     3. 계수나무
     4. 박달나무

     정답 : []
     정답률 : 28%

91. 다음 중 목재의 초기 부후 진단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부후 목재의 육안적 고나찰
     2. 목재 박편의 현미경 검사
     3. 해섬 조직의 현미경 검사
     4. 부후 목재로부터 부후균 분리

     정답 : []
     정답률 : 62%

92. 목재보존 전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전처리에는 기계적 가공과 처리 전 목재의 건조 등이 있다.
     2. 건조에는 천연건조, 인공건조, 증기처리, 감압처리 등이 있다.
     3. 확산법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목재를 인공건조하여야 한다.
     4. 기계적 가공에는 박피, 인사이징, 프리커팅, 프리프레이밍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1%

93. 목재부후균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목재 방부 처리
     2. 건조 목재 사용
     3. 목재의 자외선 노출 억제
     4. 목재의 토양 접촉 사용 방식

     정답 : []
     정답률 : 48%

94. 다음에 해당하는 가압처리법은?(2013년 09월)

    

     1. 공세포법 중 뤼핑법
     2. 공세포법 중 로리법
     3. 온냉욕법
     4. 충세포법

     정답 : []
     정답률 : 43%

95. 항상 젖어있는 고함수율의 냉각탑 부재를 가해하여 강도를 감소시키는 균류는?(2012년 09월)
     1. 표면오염균
     2. 갈색부후균
     3. 연부후균
     4. 백색부후균

     정답 : []
     정답률 : 75%

96. 목재를 방부처리하는 주요 목적은?(2018년 08월)
     1. 변색 방지
     2. 물리적 강도 증가
     3. 균류에 의한 피해 방지
     4. 불에 대한 저항성 증가

     정답 : []
     정답률 : 67%

97. 목재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재생 가능한 생물자원이다.
     2. 인간에게 친근감을 주는 소재이다.
     3. 다른 재료에 비해 중량대비 상대적 강도가 낮다.
     4. 수분환경에 노출되면 수축 또는 팽윤이 되어 치수가 변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98. 목재의 치수안정을 위해 분자구조 단위 사이에 화학결합을 하는 것으로 치수안정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2016년 10월)
     1. 가교결합
     2. 피복처리
     3. 직교적층
     4. 열안정화처리

     정답 : []
     정답률 : 40%

99. 목재 변색균의 방지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수입된 소나무는 물 속에 저장한다.
     2. 생재의 경우 건조하지 않는 것이 좋다.
     3. 벌채 후 야적할 경우 곧바로 박피를 한다.
     4. 비를 피할 수 있으며 통풍이 잘되는 곳에 잔적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100. 인체에 해가 가장 적은 방충제는?(2017년 08월)
     1. BHC
     2. 클로로덴
     3. 피레스로이드
     4. 메틸브로마이드

     정답 : []
     정답률 : 53%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7169374)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3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복지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6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6
1632 수능(세계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7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631 9급 국가직 공무원 전기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4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7
1630 가스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7169374) 좋은아빠되기 2025.11.10 6
1628 소비자전문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62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응용역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6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5
1626 수능(물리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4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6
1625 9급 국가직 공무원 교육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3357452)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624 경찰공무원(순경) 형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9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5
1623 자동차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622 인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7월31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0 5
162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회계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62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619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618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3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6
1617 가스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5
1616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3
1615 9급 국가직 공무원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614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소방학개론(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Board Pagination Prev 1 ...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 165 Next
/ 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