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수능(윤리와사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553305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수능(윤리와사상)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다음 대화에서 스승이 강조하는 인간의 특성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4년 09월)

   

     1. 타고난 생존 본능에 충실하게 살아가는 존재이다.
     2. 다른 생명의 고통을 더불어 느낄 수 있는 존재이다.
     3. 선악의 분별을 넘어서는 절대적 경지를 추구하는 존재이다.
     4. 자신이 선택한 행위에 대해 도덕적 책임을 져야 하는 존재이다.
     5. 만물의 이치를 탐구하여 자연과의 합일을 지향하는 존재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인간의 특성 파악
대화의 ‘스승’은 정약용이다. 그에 따르면 인간은 누구나 스스로 행할 수있는 능력[自力(자력)]과 스스로 주인이 될 수 있는 권한[自主之權](자주지권)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능력과 권한을 사용해서 선을 택하여 실천하면 자신의 공이 되고 악을 택하여 행하면 자신의의 죄가 된다. 이처럼 정약용은 인간이 도덕적 자유 의지를 지니고 있는 존재라는 것과 자신의 선택한 행위에 대해 도덕적 책임을 져야 하는 존재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오답피하기]
①, ②, ③, ⑤ 대화의 내용에서 추론할 수 없으며, 정약용의 입장이라고 할 수도 없는 진술들이다.

2. 다음 사상에서 강조하는 삶의 태도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3년 09월)

   

     1. 만물의 상호 의존성을 깨달아 탐욕을 버려야 한다.
     2. 자아의 실체에 대한 믿음으로 해탈을 추구해야 한다.
     3. 열반의 경지에 이르기 위해 윤회의 법칙을 따라야 한다.
     4. 모든 현상의 주체인 마음과 외부의 대상을 구분해야 한다.
     5. 세속적 가치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대자연에 귀의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대승불교에서 강조하는 삶의 태도 파악
① 제시문은 공(空) 사상이 담겨 있는 “금강경”의 일부 내용이다. 공사상에 따르면 만물에는 고정된 실체가 없다. 이러한 공 사상을 중시하는 대승불교에서는 만물의 상호 의존성을 깨닫고 탐욕을 버릴 것을 강조한다.

오답 피하기
② 공 사상에 따르면 ‘자아의 실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고정된 자아가 있다고 믿고 그것에 집착하면 고통에서 벗어날 수 없다.
③ 열반의 경지에 이르려면 윤회의 법칙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윤회의 굴레에서 벗어나야 한다.
④ 대승불교에서는 주체인 마음과 외부 대상의 엄격한 구분을 반대한다. 마음과 대상은 별개로 구분되기 어려운 것이기 때문이다.
⑤ 대승불교는 세속에서 벗어나 대자연에 귀의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오히려 현실 세계에서 깨달음을 추구할 것을 강조한다.

3. 다음 조선 시대 사상가의 주장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2015년 07월)

   

     1. ㄱ, ㄴ
     2. ㄱ, ㄷ
     3. ㄷ, ㄹ
     4. ㄱ, ㄴ,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이황의 사상 이해하기
이황은 이기호발설의 입장에서 사단과 칠정의 엄격한 구분을 강조하여 각각의 연원이 다르다고 주장한다. 반면 이이는 사단과 칠정을 모두 기가 발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칠정이 사단을 포함한다고 본다. 이황과 이이는 모두 ‘현실에서 이와 기는 서로 떨어질 수 없다’는 것에 동의한다.

4. 갑, 을 모두가 반박할 주장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2013년 10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슈바이처와 요나스의 사상적 입장을 파악한다.
갑은 슈바이처, 을은 요나스이다. 생명의 내재적 가치를 중시하는 두 사상가는 베이컨과 데카르트의 인간 중심주의적 입장을 비판하였다. ㄱ은 데카르트, ㄷ은 베이컨의 주장이다.

[오답풀이]
ㄴ은 요나스, ㄹ은 슈바이처의 주장이다.

5. (가)의 갑, 을 사상가의 입장에서 볼 때, (나)의 (ㄱ)에 들어갈 공통된 진술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3년 11월)

   

     1. 정부에 대한 자발적인 복종과 권리의 포기에 합의하라
     2. 개인들 간의 가상적 계약을 통해 정부의 수립에 합의하라
     3. 다수결의 원리에 따른 공적인 결정에 이견 없이 합의하라
     4. 공론의 형성 과정을 방해하는 대화 참여자들의 배제에 합의하라
     5. 합리적 이성을 바탕으로 자유롭고 평등한 상황에서 합의하라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로크와 하버마스의 사상에 대한 이해
⑤ (가)의 갑은 사회계약론자인 로크이며, 을은 담론 윤리 사상가인 하버마스이다. 로크는 구성원들이 합리적 이성을 바탕으로 자유롭고 평등한 상황에서 계약을 맺어 국가를 수립해야 시민의 기본권을 보장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하버마스는 자유롭고 평등한 사람들이 이상적 담화 상황에 참여하여 합의할 때 보편적인 규범을 확립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오답 피하기
① 로크는 시민들이 ‘모든 권리’를 포기해야 한다고 보지 않았다. 또한 ‘자발적인 복종과 권리의 포기’는 담론 윤리의 입장과 거리가 멀다.
② 로크는 ‘가상적 계약’이 아니라 시민들의 명시적 동의와 묵시적 동의를 통해 국가가 수립된다고 보았다. ‘가상적 계약을 통한 정부의 수립’은 하버마스의 입장과도 거리가 멀다.
③ 하버마스에 따르면 도덕규범이 보편타당성을 얻기 위해서는 그 규범의 영향을 받는 모든 사람들이 동의해야 한다. 또한 타당한 규범은 모든 사람들에게 비강제적으로 수용되어야 한다.
④ 하버마스에 따르면 모든 보편적인 규범은 그 규범을 지켜야 할 모든 사람들이 합의해야만 타당성을 얻는다.

6.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11월)

   

     1. 갑은 사단과 칠정의 연원[所從걐]이 서로 다르다고 본다.
     2. 을은 본연지성은 발하는 과정에서 선악으로 나뉜다고 본다.
     3. 갑은 을과 달리 이와 기는 서로 떨어지지 않는다고 본다.
     4. 을은 갑과 달리 기질지성이 본연지성으로 변화될 수 있다고 본다.
     5. 갑, 을은 기가 발할 때에는 항상 이가 기를 탄다[乘]고 본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이황과 이이의 사단칠정론의 비교 이해
갑은 이이이고, 을은 이황이다. 이이는 사단(四端)은 칠정(七情)에 포함되며, 사단과 칠정은 모두 기(氣)가 발하여 이(理)가 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에 비해 이황은 사단과 칠정의 연원이 다르며, 사단은 이가 발하여 기가 따른 것이 고, 칠정은 기가 발하여 이가 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므로 기가 발할 때 이가 기를 탄다고 본 것은 양자의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다.

[오답피하기]
① 이이는 사단과 칠정의 연원이 모두 기라고 보았다.
② 이황은 본연지성이 발하면 순선한 정인 사단이 된다고 보았다.
③ 이황과 이이는 모두 이와 기는 사물에서 서로 떨어질 수 없다고 보았다.
④ 이황과 이이는 모두 기질지성은 본연지성으로 변화될 수 없다고 보았다.

7. 그림은 한국 불교 사상가와의 가상 인터뷰 장면이다.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3년 10월)

   

     1. 선정(禪定)과 지혜를 함께 닦아야 합니다.
     2. 세속에서 벗어나 중도(中道)를 실천해야 합니다.
     3. 관심(觀心)을 통해 고정된 실체를 파악해야 합니다.
     4. 좌망(坐忘)과 심재(心齋)를 통해 마음을 비워야 합니다.
     5. 거경(居敬)을 바탕으로 사물의 이치를 탐구해야 합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지눌이 제시하는 수양 방법을 파악한다. 그림의 스님은 지눌이다. 그는 돈오 이후에 점수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지눌은 점수의 내용으로 선정과 지혜를 함께 닦아야 한다는 정혜쌍수를 주장하였다.

8. 그림은 신문 사설의 일부이다. (ㄱ)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3년 03월)

   

     1. 인간 존엄성을 바탕으로 민의를 중시한다.
     2. 자유와 평등을 주요 정치 이념으로 추구한다.
     3. 사회 구성원들의 기본권을 동등하게 인정한다.
     4. 사회 구성원들을 권력 유지의 수단으로 삼는다.
     5. 대표자를 직접 선출하는 선거 제도를 중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출제의도] 민본주의와 민주주의의 공통점을 파악한다.
우리의 민본주의와 서구의 민주주의는 인간 존엄성을 바탕으로 민의를 중시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9. 고대 서양 사상가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9월)

   

     1. 갑은 의지의 나약함을 극복해야 유덕한 사람이 될 수 있다고 본다.
     2. 갑은 행복한 삶을 사는 데 지성적 덕이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3. 을은 영혼의 탁월함만으로 행복한 삶을 얻을 수 있다고 본다.
     4. 을은 덕이 무엇인지 알면서 실천하지 않는 경우는 없다고 본다.
     5. 갑, 을은 도덕적 삶에는 시민으로서의 훌륭한 삶이 포함된다고 본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소크라테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 이해
갑은 아리스토텔레스이고, 을은 소크라테스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덕을 갖추어야 하며, 품성적 덕을 갖추기 위해서는 실천적 지혜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실천적 지혜는 인간에게 좋은 것과 나쁜 것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게 해 주며, 구체적인 상황에서 어떻게 하는 것이 중용의 상태인지를 알려주는 지성적 덕이다.

[오답피하기]
①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우리는 선을 알면서도 의지의 나역함으로 인해 악을 저지를 수도 있다. 그러므로 유덕한 사람이 되려면 의지의 나약함을 극복해야 한다.
③ 소크라테스는 영혼의 탁월함, 즉 덕(arete)을 갖추면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다고 보았다.
④ 소크라테스에 따르면 덕이 무엇인지 알면서 고의로 악을 저지르는 사람은 없다.
⑤ 소크라테스와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두 공동체적 삶을 중시하였다. 그래서 그들은 시민으로서의 훌륭한 삶이 도덕적 삶에 포함된다고 보았다.

10. 그림의 A, B에 들어갈 질문으로 옳은 것은? [3점](2013년 07월)

    

     1. A: 구성원들의 계약에 의해 국가가 형성되는가?
     2. A: 인격과 지혜를 갖춘 철인(哲人)이 국가를 통치해야 하는가?
     3. A: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분배받는 사회를 지향하는가?
     4. B: 단자(單子)가 조화를 이룬 사회를 지향하는가?
     5. B: 최소수혜자를 우선적으로 배려하는 사회를 지향하는가?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마르크스와 헤겔 사상 비교하기
갑은 마르크스, 을은 헤겔이다. 마르크스는 사적 소유로 인해 계급이 발생하고, 국가란 유산 계급이 무산계급을 착취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거쳐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분배받는 공산사회를 이상사회로 제시한다. 헤겔에 있어서 인륜은 개인적 차원의 도덕과 구별되는 공동체 윤리이다. 여기서 국가는 가족의 원리와 시민 사회의 원리를 변증법적으로 결합시킨 최고의 인륜형태이고, 개인과 보편적 공동체인 국가는 서로 대립되지 않고 조화를 이룰 수 있다고 보았다.

11. 그림의 A, B에 들어갈 옳은 질문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2013년 06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마르크스, 스미스, 롤스의 기본 관점 파악
③ 갑은 마르크스, 을은 스미스, 병은 롤스이다. 그러므로 A에는 마르크스는 긍정, 스미스는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 들어가야 하며, B에는 스미스는 긍정, 롤스는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 들어가야 한다. 마르크스는 계급 투쟁을 통한 평등한 사회의 실현을 추구하였다. 그러나 스미스는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생산과 분배의 조화가 이루어지는 사회를 지향하였으며, 정부의 시장 개입을 비판하는 자유방임주의를 표방하였다. 이에 비해 롤스는 정의의 실현을 위해 정부의 적절한 개입을 통한 재화의 재분배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오답피하기
ㄱ. 스미스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스미스의 자본주의는 개인주의에 바탕을 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질문은 A에 들어갈 수 없다.
ㄷ. 롤스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롤스의 정의론은 개인주의에 바탕을 둔 자유주의를 기본 축으로 하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질문은 B에 들어갈 수 없다.

12. 다음을 주장한 한국 사상가가 을에게 제기할 수 있는 적절한 반론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2015년 11월)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정약용이 주자의 입장에 대해 제기할 수 있는 반론 내용 파악
제시문은 정약용의 주장이다. ㄱ. 정약용은 예(禮)를 비롯한 사덕이 인간의 본성에 내재한다고 본 주자와 달리 사덕이 실천을 통해 형성된다고 주장하였다.
ㄹ. 또한 정약용은 인간을 비롯한 만물의 본성이 동일하다고 본 주자와 달리 인간만이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는 성향[嗜好]를 본성으로 부여받았다고 주장하였다.

[오답피하기]
ㄴ. 주자와 정약용은 모두 기질의 욕구를 따름으로써 악이 형성된다고 보았다.
ㄷ. 주자는 마음이 본성과 감정을 움직이는 주체[心統性情]라고 주장하였으며, 정약용 또한 기호를 선택할 수 있는 자주적 권한[自主之權]이 마음에 주어져 있다고 보았다.

13. 다음을 주장한 고대 서양 사상가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으로 옳은 것은? [3점](2016년 03월)

    

     1. 진정한 행복 실현을 위해 모든 욕구를 제거해야 하는가?
     2. 필수적이지 않은 욕구를 버리고 절제하며 살아야 하는가?
     3. 감각적 쾌락을 누리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하는가?
     4. 은둔 생활이 아니라 공적인 삶에서 행복을 도모해야 하는가?
     5. 개인의 쾌락보다 사회 구성원 전체의 쾌락을 추구해야 하는가?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에피쿠로스의 사상적 입장을 파악한다.
제시문은 에피쿠로스의 주장이다. 그는 자연적이지만 필수적이지 않은 욕구, 자연적이지도 않고 필수적이지도 않은 욕구를 버리고 소박하고 절제 있게 살아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14. 갑, 을은 한국 사상가들이다. 갑은 긍정, 을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2015년 09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ㄹ
     5. ㄱ,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이황과 이이의 사단칠정론 이해
갑은 이황, 을은 이이이다. 이황은 사단은 이가 발한 것이고 칠정은 기가 발한 것이라는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제시하였다. 이에 비해 이이는 사단과 칠정은 모두 기가 발하여 이가 탄 것이라는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주장하였다. 즉, 이황이 사단의 연원은 이이고 칠정의 연원은 기라고 본 데 비해 이이는 사단과 칠정 모두의 연원이 기라고 보았다(ㄴ). 다시 말해 이황은 이이와 달리 사단을 이의 작용으로 생기는 것으로 보았다(ㄷ).

[오답피하기]
ㄱ. ‘칠정에도 선이 존재하는가?’라는 것은 이이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ㄹ. ‘칠정은 기의 능동적 움직임으로 드러나는 감정인가?’라는 것은 이황과 이이 모두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15. 그림은 서양 사상가 갑, 을의 가상 대화이다.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2014년 09월)

    

     1. 갑은 의무이기 때문에 하는 행위는 도덕적 가치가 없다고 본다.
     2. 갑은 행위자의 의지를 행위의 도덕성을 판단하는 중요 요소로 본다.
     3. 을은 도덕적 삶에는 행위자의 성품보다 행위가 중요하다고 본다.
     4. 을은 도덕적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단일한 원리가 존재한다고 본다.
     5. 갑, 을은 도덕적 실천에서는 이성보다 감정이 더 중요하다고 본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칸트와 매킨타이어의 입장 이해
갑은 보편타당한 도덕 법칙을 중시한 칸트이고, 을은 현대 덕 윤리 사상가인 매킨타이어이다. 칸트는 그 자체로서 유일하게 선한 선의지의 지배를 받는 행위를 도덕적인 행위로 보았다. 선의지의 지배를 받는 행위는 의무 의식에서 비롯된 행위이기도 하다. 요컨대 칸트는 행위자의 의지를 행위의 도덕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로 보았다.

[오답피하기]
① 칸트는 의무 의식에서 비롯된 행위를 도덕적인 행위로 보았다.
③ 매킨타이어에 따르면 도덕적 삶에서는 행위자의 성품이 중요하다.
④ 매킨타이어에 따르면 인간의 도덕적 삶은 매우 복잡하고 풍부하며,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단일한 원리는 존재하지 않는다.
⑤ 매킨타이어는 이성적 추론과 보편적 원칙을 중시한 칸트와 달리 인간의 자연스런 감정이나 욕구를 중시한다. 즉, 도덕적 실천에 있어서는 이성보다 감정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16. 그림에서 학생들이 모두 적절한 대답을 했다고 할 때, A 사상가의 입장으로 옳은 것은? [3점](2015년 03월)

    

     1. 경전에 통달해야 불성(佛性)을 깨우칠 수 있다.
     2. 삼독(三毒)을 제거해도 악한 본성은 변화되지 않는다.
     3. 점수(漸修)는 온전한 부처가 되기 위한 필수적 과정이다.
     4. 수행을 함에 있어 정(定)과 혜(慧)를 함께 닦으면 안 된다.
     5. 만물의 독자적 실체는 연기(緣起)의 법칙을 통해 형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지눌의 사상적 입장을 파악한다.
A 사상가는 지눌이다. 지눌은 점수의 구체적인 내용으로 정과 혜를 함께 닦을 것을 강조하였다. 그는 돈오(頓悟)하더라도 점수의 과정을 거쳐야만 온전한 부처가 된다고 보았다.

17. 갑, 을은 서양 사상가들이다. 갑이 을에게 제기할 비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2016년 10월)

    

     1. 도덕의 가치는 그것이 행복 실현에 기여하는 정도에 달려있다.
     2. 쾌락을 추구하려는 자연적 경향성은 도덕의 기반이 될 수 없다.
     3. 개인적 쾌락과 사회적 쾌락의 조화 실현이 도덕의 목적이다.
     4. 감각적 쾌락보다 질적으로 수준 높은 쾌락을 추구해야 한다.
     5. 다수의 고통 감소에 기여하지 못하는 행위는 바람직하지 않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칸트와 벤담의 입장을 이해한다.
갑은 칸트, 을은 벤담이다. 칸트는 자연적 경향성이 도덕의 기반이 될 수 없다고 본 반면, 벤담은 쾌락을 증진시키고 고통을 감소시키려는 자연적 경향성을 따르는 것이 도덕의 기반이 된다고 보았다.

18. 갑의 관점에서 을에게 제기할 수 있는 비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5년 07월)

    

     1. 과도한 욕망을 절제해야 함을 모르고 있다.
     2. 타고난 도덕성[仁]을 확충해야 함을 간과하고 있다.
     3. 오직 상벌로만 백성을 다스려야 함을 간과하고 있다.
     4. 인위[僞]에서 벗어나 소박하게 살아야 함을 간과하고 있다.
     5. 사덕을 실현하는 것이 자연에 순응하는 것임을 모르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노자와 공자의 이상사회 비교하기
갑은 소국과민(小國寡民)을 주장한 노자, 을은 대동사회(大同社會)를 지향한 공자이다. 노자는 인위를 거부하고 ‘작은 나라 적은 백성’을 지향한다. 공자는 큰 도(道)가 행해지고 현명하고 유능한 자가 등용되며 가족주의에 얽매이지 않고 모두가 조화롭게 어울려 사는 사회를 지향한다.

19. 그림의 이야기를 쓴 고대 중국 사상가의 입장으로 옳은 것은? [3점](2014년 04월)

    

     1. 오감(五感)을 통해 체득한 지식을 추구한다.
     2. 다양한 경험을 축적하여 자신의 주관을 확립한다.
     3. 시비(是非)를 판단하기 위한 분별적 지혜를 중시한다.
     4. 예(禮)를 실천하기 위해 외물(外物)의 속박에서 벗어난다.
     5. 일체의 차별에서 벗어나 사물의 자연스러운 본성을 존중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장자의 사상 이해하기
그림의 이야기는 장자의 글이다. 장자는 시비(是非), 선악(善惡), 자타(自他), 미추(美醜) 등의 분별은 무의미하다고 보았으며, 좌망(坐忘)과 심재(心齋)를 통해 분별에서 벗어나 자연과 하나가 되는 정신적 절대 자유의 경지를 추구하였다. 또한 일체의 차별과 편견에서 벗어나 사물의 자연스러운 본성을 존중할 것을 강조하였다.

20. 다음을 주장한 서양 사상가의 입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7월)

    

     1. 편협한 인간중심주의적 가치관에서 벗어나야 한다.
     2. 모든 생명체를 존중하고 두려워하며 사랑해야 한다.
     3. 인간은 자연의 주인으로서 모든 생명을 보전해야 한다.
     4. 모든 생명이 내재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5. 모든 생명체는 가치의 위계에 따라 평가되어서는 안 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슈바이처의 생명윤리 이해하기
제시문은 슈바이처의 생명외경사상이다. 그는 모든 생명체가 내재적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생명처럼 사랑하고 자비를 베풀 것을 강조 하였으며, 근대 이후의 인간중심적인 가치관과 과학기술 만능주의를 비판하였다.


정 답 지

수능(윤리와사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553305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수능(윤리와사상)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다음 대화에서 스승이 강조하는 인간의 특성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4년 09월)

   

     1. 타고난 생존 본능에 충실하게 살아가는 존재이다.
     2. 다른 생명의 고통을 더불어 느낄 수 있는 존재이다.
     3. 선악의 분별을 넘어서는 절대적 경지를 추구하는 존재이다.
     4. 자신이 선택한 행위에 대해 도덕적 책임을 져야 하는 존재이다.
     5. 만물의 이치를 탐구하여 자연과의 합일을 지향하는 존재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인간의 특성 파악
대화의 ‘스승’은 정약용이다. 그에 따르면 인간은 누구나 스스로 행할 수있는 능력[自力(자력)]과 스스로 주인이 될 수 있는 권한[自主之權](자주지권)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능력과 권한을 사용해서 선을 택하여 실천하면 자신의 공이 되고 악을 택하여 행하면 자신의의 죄가 된다. 이처럼 정약용은 인간이 도덕적 자유 의지를 지니고 있는 존재라는 것과 자신의 선택한 행위에 대해 도덕적 책임을 져야 하는 존재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오답피하기]
①, ②, ③, ⑤ 대화의 내용에서 추론할 수 없으며, 정약용의 입장이라고 할 수도 없는 진술들이다.

2. 다음 사상에서 강조하는 삶의 태도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3년 09월)

   

     1. 만물의 상호 의존성을 깨달아 탐욕을 버려야 한다.
     2. 자아의 실체에 대한 믿음으로 해탈을 추구해야 한다.
     3. 열반의 경지에 이르기 위해 윤회의 법칙을 따라야 한다.
     4. 모든 현상의 주체인 마음과 외부의 대상을 구분해야 한다.
     5. 세속적 가치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대자연에 귀의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대승불교에서 강조하는 삶의 태도 파악
① 제시문은 공(空) 사상이 담겨 있는 “금강경”의 일부 내용이다. 공사상에 따르면 만물에는 고정된 실체가 없다. 이러한 공 사상을 중시하는 대승불교에서는 만물의 상호 의존성을 깨닫고 탐욕을 버릴 것을 강조한다.

오답 피하기
② 공 사상에 따르면 ‘자아의 실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고정된 자아가 있다고 믿고 그것에 집착하면 고통에서 벗어날 수 없다.
③ 열반의 경지에 이르려면 윤회의 법칙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윤회의 굴레에서 벗어나야 한다.
④ 대승불교에서는 주체인 마음과 외부 대상의 엄격한 구분을 반대한다. 마음과 대상은 별개로 구분되기 어려운 것이기 때문이다.
⑤ 대승불교는 세속에서 벗어나 대자연에 귀의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오히려 현실 세계에서 깨달음을 추구할 것을 강조한다.

3. 다음 조선 시대 사상가의 주장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2015년 07월)

   

     1. ㄱ, ㄴ
     2. ㄱ, ㄷ
     3. ㄷ, ㄹ
     4. ㄱ, ㄴ,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이황의 사상 이해하기
이황은 이기호발설의 입장에서 사단과 칠정의 엄격한 구분을 강조하여 각각의 연원이 다르다고 주장한다. 반면 이이는 사단과 칠정을 모두 기가 발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칠정이 사단을 포함한다고 본다. 이황과 이이는 모두 ‘현실에서 이와 기는 서로 떨어질 수 없다’는 것에 동의한다.

4. 갑, 을 모두가 반박할 주장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2013년 10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슈바이처와 요나스의 사상적 입장을 파악한다.
갑은 슈바이처, 을은 요나스이다. 생명의 내재적 가치를 중시하는 두 사상가는 베이컨과 데카르트의 인간 중심주의적 입장을 비판하였다. ㄱ은 데카르트, ㄷ은 베이컨의 주장이다.

[오답풀이]
ㄴ은 요나스, ㄹ은 슈바이처의 주장이다.

5. (가)의 갑, 을 사상가의 입장에서 볼 때, (나)의 (ㄱ)에 들어갈 공통된 진술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3년 11월)

   

     1. 정부에 대한 자발적인 복종과 권리의 포기에 합의하라
     2. 개인들 간의 가상적 계약을 통해 정부의 수립에 합의하라
     3. 다수결의 원리에 따른 공적인 결정에 이견 없이 합의하라
     4. 공론의 형성 과정을 방해하는 대화 참여자들의 배제에 합의하라
     5. 합리적 이성을 바탕으로 자유롭고 평등한 상황에서 합의하라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로크와 하버마스의 사상에 대한 이해
⑤ (가)의 갑은 사회계약론자인 로크이며, 을은 담론 윤리 사상가인 하버마스이다. 로크는 구성원들이 합리적 이성을 바탕으로 자유롭고 평등한 상황에서 계약을 맺어 국가를 수립해야 시민의 기본권을 보장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하버마스는 자유롭고 평등한 사람들이 이상적 담화 상황에 참여하여 합의할 때 보편적인 규범을 확립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오답 피하기
① 로크는 시민들이 ‘모든 권리’를 포기해야 한다고 보지 않았다. 또한 ‘자발적인 복종과 권리의 포기’는 담론 윤리의 입장과 거리가 멀다.
② 로크는 ‘가상적 계약’이 아니라 시민들의 명시적 동의와 묵시적 동의를 통해 국가가 수립된다고 보았다. ‘가상적 계약을 통한 정부의 수립’은 하버마스의 입장과도 거리가 멀다.
③ 하버마스에 따르면 도덕규범이 보편타당성을 얻기 위해서는 그 규범의 영향을 받는 모든 사람들이 동의해야 한다. 또한 타당한 규범은 모든 사람들에게 비강제적으로 수용되어야 한다.
④ 하버마스에 따르면 모든 보편적인 규범은 그 규범을 지켜야 할 모든 사람들이 합의해야만 타당성을 얻는다.

6.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11월)

   

     1. 갑은 사단과 칠정의 연원[所從걐]이 서로 다르다고 본다.
     2. 을은 본연지성은 발하는 과정에서 선악으로 나뉜다고 본다.
     3. 갑은 을과 달리 이와 기는 서로 떨어지지 않는다고 본다.
     4. 을은 갑과 달리 기질지성이 본연지성으로 변화될 수 있다고 본다.
     5. 갑, 을은 기가 발할 때에는 항상 이가 기를 탄다[乘]고 본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이황과 이이의 사단칠정론의 비교 이해
갑은 이이이고, 을은 이황이다. 이이는 사단(四端)은 칠정(七情)에 포함되며, 사단과 칠정은 모두 기(氣)가 발하여 이(理)가 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에 비해 이황은 사단과 칠정의 연원이 다르며, 사단은 이가 발하여 기가 따른 것이 고, 칠정은 기가 발하여 이가 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므로 기가 발할 때 이가 기를 탄다고 본 것은 양자의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다.

[오답피하기]
① 이이는 사단과 칠정의 연원이 모두 기라고 보았다.
② 이황은 본연지성이 발하면 순선한 정인 사단이 된다고 보았다.
③ 이황과 이이는 모두 이와 기는 사물에서 서로 떨어질 수 없다고 보았다.
④ 이황과 이이는 모두 기질지성은 본연지성으로 변화될 수 없다고 보았다.

7. 그림은 한국 불교 사상가와의 가상 인터뷰 장면이다.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3년 10월)

   

     1. 선정(禪定)과 지혜를 함께 닦아야 합니다.
     2. 세속에서 벗어나 중도(中道)를 실천해야 합니다.
     3. 관심(觀心)을 통해 고정된 실체를 파악해야 합니다.
     4. 좌망(坐忘)과 심재(心齋)를 통해 마음을 비워야 합니다.
     5. 거경(居敬)을 바탕으로 사물의 이치를 탐구해야 합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지눌이 제시하는 수양 방법을 파악한다. 그림의 스님은 지눌이다. 그는 돈오 이후에 점수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지눌은 점수의 내용으로 선정과 지혜를 함께 닦아야 한다는 정혜쌍수를 주장하였다.

8. 그림은 신문 사설의 일부이다. (ㄱ)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3년 03월)

   

     1. 인간 존엄성을 바탕으로 민의를 중시한다.
     2. 자유와 평등을 주요 정치 이념으로 추구한다.
     3. 사회 구성원들의 기본권을 동등하게 인정한다.
     4. 사회 구성원들을 권력 유지의 수단으로 삼는다.
     5. 대표자를 직접 선출하는 선거 제도를 중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출제의도] 민본주의와 민주주의의 공통점을 파악한다.
우리의 민본주의와 서구의 민주주의는 인간 존엄성을 바탕으로 민의를 중시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9. 고대 서양 사상가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9월)

   

     1. 갑은 의지의 나약함을 극복해야 유덕한 사람이 될 수 있다고 본다.
     2. 갑은 행복한 삶을 사는 데 지성적 덕이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3. 을은 영혼의 탁월함만으로 행복한 삶을 얻을 수 있다고 본다.
     4. 을은 덕이 무엇인지 알면서 실천하지 않는 경우는 없다고 본다.
     5. 갑, 을은 도덕적 삶에는 시민으로서의 훌륭한 삶이 포함된다고 본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소크라테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 이해
갑은 아리스토텔레스이고, 을은 소크라테스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덕을 갖추어야 하며, 품성적 덕을 갖추기 위해서는 실천적 지혜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실천적 지혜는 인간에게 좋은 것과 나쁜 것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게 해 주며, 구체적인 상황에서 어떻게 하는 것이 중용의 상태인지를 알려주는 지성적 덕이다.

[오답피하기]
①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우리는 선을 알면서도 의지의 나역함으로 인해 악을 저지를 수도 있다. 그러므로 유덕한 사람이 되려면 의지의 나약함을 극복해야 한다.
③ 소크라테스는 영혼의 탁월함, 즉 덕(arete)을 갖추면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다고 보았다.
④ 소크라테스에 따르면 덕이 무엇인지 알면서 고의로 악을 저지르는 사람은 없다.
⑤ 소크라테스와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두 공동체적 삶을 중시하였다. 그래서 그들은 시민으로서의 훌륭한 삶이 도덕적 삶에 포함된다고 보았다.

10. 그림의 A, B에 들어갈 질문으로 옳은 것은? [3점](2013년 07월)

    

     1. A: 구성원들의 계약에 의해 국가가 형성되는가?
     2. A: 인격과 지혜를 갖춘 철인(哲人)이 국가를 통치해야 하는가?
     3. A: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분배받는 사회를 지향하는가?
     4. B: 단자(單子)가 조화를 이룬 사회를 지향하는가?
     5. B: 최소수혜자를 우선적으로 배려하는 사회를 지향하는가?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마르크스와 헤겔 사상 비교하기
갑은 마르크스, 을은 헤겔이다. 마르크스는 사적 소유로 인해 계급이 발생하고, 국가란 유산 계급이 무산계급을 착취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거쳐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분배받는 공산사회를 이상사회로 제시한다. 헤겔에 있어서 인륜은 개인적 차원의 도덕과 구별되는 공동체 윤리이다. 여기서 국가는 가족의 원리와 시민 사회의 원리를 변증법적으로 결합시킨 최고의 인륜형태이고, 개인과 보편적 공동체인 국가는 서로 대립되지 않고 조화를 이룰 수 있다고 보았다.

11. 그림의 A, B에 들어갈 옳은 질문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2013년 06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마르크스, 스미스, 롤스의 기본 관점 파악
③ 갑은 마르크스, 을은 스미스, 병은 롤스이다. 그러므로 A에는 마르크스는 긍정, 스미스는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 들어가야 하며, B에는 스미스는 긍정, 롤스는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 들어가야 한다. 마르크스는 계급 투쟁을 통한 평등한 사회의 실현을 추구하였다. 그러나 스미스는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생산과 분배의 조화가 이루어지는 사회를 지향하였으며, 정부의 시장 개입을 비판하는 자유방임주의를 표방하였다. 이에 비해 롤스는 정의의 실현을 위해 정부의 적절한 개입을 통한 재화의 재분배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오답피하기
ㄱ. 스미스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스미스의 자본주의는 개인주의에 바탕을 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질문은 A에 들어갈 수 없다.
ㄷ. 롤스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롤스의 정의론은 개인주의에 바탕을 둔 자유주의를 기본 축으로 하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질문은 B에 들어갈 수 없다.

12. 다음을 주장한 한국 사상가가 을에게 제기할 수 있는 적절한 반론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2015년 11월)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정약용이 주자의 입장에 대해 제기할 수 있는 반론 내용 파악
제시문은 정약용의 주장이다. ㄱ. 정약용은 예(禮)를 비롯한 사덕이 인간의 본성에 내재한다고 본 주자와 달리 사덕이 실천을 통해 형성된다고 주장하였다.
ㄹ. 또한 정약용은 인간을 비롯한 만물의 본성이 동일하다고 본 주자와 달리 인간만이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는 성향[嗜好]를 본성으로 부여받았다고 주장하였다.

[오답피하기]
ㄴ. 주자와 정약용은 모두 기질의 욕구를 따름으로써 악이 형성된다고 보았다.
ㄷ. 주자는 마음이 본성과 감정을 움직이는 주체[心統性情]라고 주장하였으며, 정약용 또한 기호를 선택할 수 있는 자주적 권한[自主之權]이 마음에 주어져 있다고 보았다.

13. 다음을 주장한 고대 서양 사상가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으로 옳은 것은? [3점](2016년 03월)

    

     1. 진정한 행복 실현을 위해 모든 욕구를 제거해야 하는가?
     2. 필수적이지 않은 욕구를 버리고 절제하며 살아야 하는가?
     3. 감각적 쾌락을 누리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하는가?
     4. 은둔 생활이 아니라 공적인 삶에서 행복을 도모해야 하는가?
     5. 개인의 쾌락보다 사회 구성원 전체의 쾌락을 추구해야 하는가?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에피쿠로스의 사상적 입장을 파악한다.
제시문은 에피쿠로스의 주장이다. 그는 자연적이지만 필수적이지 않은 욕구, 자연적이지도 않고 필수적이지도 않은 욕구를 버리고 소박하고 절제 있게 살아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14. 갑, 을은 한국 사상가들이다. 갑은 긍정, 을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2015년 09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ㄹ
     5. ㄱ,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이황과 이이의 사단칠정론 이해
갑은 이황, 을은 이이이다. 이황은 사단은 이가 발한 것이고 칠정은 기가 발한 것이라는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제시하였다. 이에 비해 이이는 사단과 칠정은 모두 기가 발하여 이가 탄 것이라는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주장하였다. 즉, 이황이 사단의 연원은 이이고 칠정의 연원은 기라고 본 데 비해 이이는 사단과 칠정 모두의 연원이 기라고 보았다(ㄴ). 다시 말해 이황은 이이와 달리 사단을 이의 작용으로 생기는 것으로 보았다(ㄷ).

[오답피하기]
ㄱ. ‘칠정에도 선이 존재하는가?’라는 것은 이이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ㄹ. ‘칠정은 기의 능동적 움직임으로 드러나는 감정인가?’라는 것은 이황과 이이 모두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15. 그림은 서양 사상가 갑, 을의 가상 대화이다.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2014년 09월)

    

     1. 갑은 의무이기 때문에 하는 행위는 도덕적 가치가 없다고 본다.
     2. 갑은 행위자의 의지를 행위의 도덕성을 판단하는 중요 요소로 본다.
     3. 을은 도덕적 삶에는 행위자의 성품보다 행위가 중요하다고 본다.
     4. 을은 도덕적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단일한 원리가 존재한다고 본다.
     5. 갑, 을은 도덕적 실천에서는 이성보다 감정이 더 중요하다고 본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칸트와 매킨타이어의 입장 이해
갑은 보편타당한 도덕 법칙을 중시한 칸트이고, 을은 현대 덕 윤리 사상가인 매킨타이어이다. 칸트는 그 자체로서 유일하게 선한 선의지의 지배를 받는 행위를 도덕적인 행위로 보았다. 선의지의 지배를 받는 행위는 의무 의식에서 비롯된 행위이기도 하다. 요컨대 칸트는 행위자의 의지를 행위의 도덕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로 보았다.

[오답피하기]
① 칸트는 의무 의식에서 비롯된 행위를 도덕적인 행위로 보았다.
③ 매킨타이어에 따르면 도덕적 삶에서는 행위자의 성품이 중요하다.
④ 매킨타이어에 따르면 인간의 도덕적 삶은 매우 복잡하고 풍부하며,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단일한 원리는 존재하지 않는다.
⑤ 매킨타이어는 이성적 추론과 보편적 원칙을 중시한 칸트와 달리 인간의 자연스런 감정이나 욕구를 중시한다. 즉, 도덕적 실천에 있어서는 이성보다 감정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16. 그림에서 학생들이 모두 적절한 대답을 했다고 할 때, A 사상가의 입장으로 옳은 것은? [3점](2015년 03월)

    

     1. 경전에 통달해야 불성(佛性)을 깨우칠 수 있다.
     2. 삼독(三毒)을 제거해도 악한 본성은 변화되지 않는다.
     3. 점수(漸修)는 온전한 부처가 되기 위한 필수적 과정이다.
     4. 수행을 함에 있어 정(定)과 혜(慧)를 함께 닦으면 안 된다.
     5. 만물의 독자적 실체는 연기(緣起)의 법칙을 통해 형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지눌의 사상적 입장을 파악한다.
A 사상가는 지눌이다. 지눌은 점수의 구체적인 내용으로 정과 혜를 함께 닦을 것을 강조하였다. 그는 돈오(頓悟)하더라도 점수의 과정을 거쳐야만 온전한 부처가 된다고 보았다.

17. 갑, 을은 서양 사상가들이다. 갑이 을에게 제기할 비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2016년 10월)

    

     1. 도덕의 가치는 그것이 행복 실현에 기여하는 정도에 달려있다.
     2. 쾌락을 추구하려는 자연적 경향성은 도덕의 기반이 될 수 없다.
     3. 개인적 쾌락과 사회적 쾌락의 조화 실현이 도덕의 목적이다.
     4. 감각적 쾌락보다 질적으로 수준 높은 쾌락을 추구해야 한다.
     5. 다수의 고통 감소에 기여하지 못하는 행위는 바람직하지 않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칸트와 벤담의 입장을 이해한다.
갑은 칸트, 을은 벤담이다. 칸트는 자연적 경향성이 도덕의 기반이 될 수 없다고 본 반면, 벤담은 쾌락을 증진시키고 고통을 감소시키려는 자연적 경향성을 따르는 것이 도덕의 기반이 된다고 보았다.

18. 갑의 관점에서 을에게 제기할 수 있는 비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5년 07월)

    

     1. 과도한 욕망을 절제해야 함을 모르고 있다.
     2. 타고난 도덕성[仁]을 확충해야 함을 간과하고 있다.
     3. 오직 상벌로만 백성을 다스려야 함을 간과하고 있다.
     4. 인위[僞]에서 벗어나 소박하게 살아야 함을 간과하고 있다.
     5. 사덕을 실현하는 것이 자연에 순응하는 것임을 모르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노자와 공자의 이상사회 비교하기
갑은 소국과민(小國寡民)을 주장한 노자, 을은 대동사회(大同社會)를 지향한 공자이다. 노자는 인위를 거부하고 ‘작은 나라 적은 백성’을 지향한다. 공자는 큰 도(道)가 행해지고 현명하고 유능한 자가 등용되며 가족주의에 얽매이지 않고 모두가 조화롭게 어울려 사는 사회를 지향한다.

19. 그림의 이야기를 쓴 고대 중국 사상가의 입장으로 옳은 것은? [3점](2014년 04월)

    

     1. 오감(五感)을 통해 체득한 지식을 추구한다.
     2. 다양한 경험을 축적하여 자신의 주관을 확립한다.
     3. 시비(是非)를 판단하기 위한 분별적 지혜를 중시한다.
     4. 예(禮)를 실천하기 위해 외물(外物)의 속박에서 벗어난다.
     5. 일체의 차별에서 벗어나 사물의 자연스러운 본성을 존중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장자의 사상 이해하기
그림의 이야기는 장자의 글이다. 장자는 시비(是非), 선악(善惡), 자타(自他), 미추(美醜) 등의 분별은 무의미하다고 보았으며, 좌망(坐忘)과 심재(心齋)를 통해 분별에서 벗어나 자연과 하나가 되는 정신적 절대 자유의 경지를 추구하였다. 또한 일체의 차별과 편견에서 벗어나 사물의 자연스러운 본성을 존중할 것을 강조하였다.

20. 다음을 주장한 서양 사상가의 입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7월)

    

     1. 편협한 인간중심주의적 가치관에서 벗어나야 한다.
     2. 모든 생명체를 존중하고 두려워하며 사랑해야 한다.
     3. 인간은 자연의 주인으로서 모든 생명을 보전해야 한다.
     4. 모든 생명이 내재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5. 모든 생명체는 가치의 위계에 따라 평가되어서는 안 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출제의도] 슈바이처의 생명윤리 이해하기
제시문은 슈바이처의 생명외경사상이다. 그는 모든 생명체가 내재적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생명처럼 사랑하고 자비를 베풀 것을 강조 하였으며, 근대 이후의 인간중심적인 가치관과 과학기술 만능주의를 비판하였다.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수능(윤리와사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5533057)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 윤리와사상, 모의평가,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76 전파전자기능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11월28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0 5
1775 식품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6596389)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774 잠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6
1773 남성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7월17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0 3
1772 정보통신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3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5
1771 PSAT 헌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2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770 9급 국가직 공무원 기계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6
1769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9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5
1768 9급 국가직 공무원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767 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5
1766 설비보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3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5
1765 <h2>양식조리기능사 필기 시험문제 및 CBT 2005년10월02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0 11
1764 가맹거래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6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7
1763 <h2>복어조리기능사 필기 시험문제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4446051) 좋은아빠되기 2025.11.10 7
» 수능(윤리와사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5533057) 좋은아빠되기 2025.11.10 5
1761 특수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4월08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76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회계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6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3
175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6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758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6
1757 지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5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Board Pagination Prev 1 ...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178 Next
/ 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