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산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966644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산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조림학


1. 가지치기 작업 시 부후의 위험성이 가장 높은 수종은?(2020년 08월)
     1. Cedrus deodara
     2. Pinus densiflora
     3. Abies holophylla
     4. Prunus serrulata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개잎갈나무
2 소나무
3 전나무
4 벚나무
[해설작성자 : ㅇㅇㅇ]

단풍,느릅,벗,물프레나무는 상처 유합이 잘 안되 부후의 위험성이 높다.
[해설작성자 : 쾌걸조로]

2. 호두나무 및 측백나무 등의 생육에 적절한 토양산도의 범위는?(2015년 03월)
     1. pH 4.0 ~ 4.7
     2. pH 4.8 ∼ 5.5
     3. pH 5.6 ∼ 6.5
     4. pH 6.6 ∼ 7.3

     정답 : []
     정답률 : 52%

3. 증산계수(transpiration coefficient)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2007년 03월)
     1. 생육기간 중 식물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건물질 단위량당 소비된 물의 량
     2. 1㎏의 물 소비량에 대해서 생성된 건물질의 량
     3. 생성된 건물질량 대 소비한 물량의 비
     4. 단위 엽면적당 증산량

     정답 : []
     정답률 : 66%

4. 택벌림의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수고 분포는 상·하층 모두 양수 위주로 구성하여야 한다.
     2. 이상적인 택벌림은 소경급 중경급 대경급의 재적비율이 2:3:5을 기준으로 한다.
     3. 이상적인 택벌림은 소경급 중경급 대경급의 본수비율이 7:2:1을 기준으로 한다.
     4. 직경 분포는 직경이 커짐에 따라 본수가 줄어드는 지수감소형 분포를 유지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4%

5. 종자 발아능력 검사방법 중 생리적인 면을 다룰 수 없는 것은?(2014년 05월)
     1. 발아시험
     2. 배추출시험
     3. X선사진법
     4. 테트라졸리움시험

     정답 : []
     정답률 : 80%

6. 종자의 활력 검정방법(Viability test method)이 아닌 것은?(2013년 03월)
     1. 절단법
     2. X-선법
     3. 효소검출법
     4. 양건법

     정답 : []
     정답률 : 74%

7. 종자의 결실 주기가 2~3년인 수종은?(2019년 08월)
     1. Salix koreensis
     2. Picea jezoensis
     3. Larix kaempferi
     4. Quercus acutissima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Quercus acutissima = 상수리나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보충설명
1. 버드나무류
2. 가문비
3. 낙엽송(일본잎갈)
4. 상수리

8. 파종하기 전에 종자의 정착 및 발아, 그리고 어린묘목의 발육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하여 정지작업을 한다. 이 작업의 진행 순서는?(2013년 06월)
     1. 쇄토 → 밭갈이 → 작상
     2. 밭갈이 → 쇄토 → 작상
     3. 작상 → 쇄토 → 밭갈이
     4. 쇄토 → 작상 → 밭갈이

     정답 : []
     정답률 : 71%

9. 우량 묘목의 조건이 아닌 것은?(2018년 03월)
     1. T/R 값이 3 정도인 것
     2. 측아가 정아보다 우세한 것
     3. 발육이 왕성하고 조직이 충실한 것
     4. 가지와 잎이 골고루 분포하고 줄기가 굵은 것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2. 정아가 측아보다 우세한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조림 수종을 선택하는 요건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성장속도가 빠르고 재적성장량이 높은 것
     2. 지하고가 낮고 조림의 실패율이 적은 것
     3. 가지가 가늘고 짧으며, 줄기가 곧은 것
     4. 입지에 대하여 적응력이 큰 것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지하고가 높고 조림의 실패율이 적은 것
우선적 : 심을 곳의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수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묘목 곤포 작업의 정의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굴취한 묘목을 규격에 따라 나누는 일
     2. 포지에서 양성된 묘목을 식재될 산지까지 수송하는 일
     3. 묘목을 식재지까지 운반하기 위해 알맞은 크기로 다발 묶음하여 포장하는 일
     4. 묘목을 심기 전 일시적으로 도랑을 파서 그 안에 뿌리를 묻어 건조를 방지하고 생기를 회복시키는 일

     정답 : []
     정답률 : 87%

12. 편백과 화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편백과 화백은 측백나무과이다.
     2. 편백과 화백은 모두 암수딴그루이다.
     3. 편백은 잎 끝이 예리하고 화백의 잎은 비늘모양이다.
     4. 편백은 잎의 뒷면이 백색기공선이 Y자형이고 화백은 V 또는 W 자형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편백은 잎 끝이 둔한 둥근모양, 화백의 잎은 뾰족하다.
[해설작성자 : 산림킹]

13. 종자를 산파할 때 필요한 파종량을 산출하려고 한다. 1m2에 잔존본수 400그루, 득묘율 30%, 종자효율 70%, 1g당 종자알수 150개일 때 m2당 파종량은?(2014년 03월)
     1. 3.8g
     2. 8.8g
     3. 10.5g
     4. 12.7g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400)/(150*0.7*0.3) = 12.6984126984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동일한 수목 개체의 양엽(sun leaf)과 음엽(shade leaf)을 비교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양엽은 음엽보다 광포화점이 높다.
     2. 양엽은 음엽보다 책상조직이 빽빽하게 배열되어 있다.
     3. 음엽은 양엽보다 엽록소 함량이 더 많다.
     4. 음엽은 양엽보다 단위 면적당 잎의 무게가 크다.

     정답 : []
     정답률 : 46%

15. 수정이 되어서 종자가 성숙되어 가는 과정 가운데 배유안에서 분화되서 자엽, 유아, 배축, 유근 등을 형성한다. 이 때 다음 침엽수종 가운데 자엽의 수가 가장 많은 것은?(2013년 06월)
     1. 소나무
     2. 측백나무
     3. 향나무
     4. 주목

     정답 : []
     정답률 : 65%

16. 도태간벌시 줄기와 형상에 따라 임목을 구분하는데, 다른 나무로부터 피해를 받아 형상이 나쁜 수목을 무엇이라 하는가?(2006년 03월)
     1. 마찰목
     2. 유용목
     3. 압박목
     4. 회초리목

     정답 : []
     정답률 : 78%

17. 묘목 식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겨울철에는 동해나 한해를 고려하여야 한다.
     2. 주로 봄에 식재하지만 가을에 식재하기도 한다.
     3. 용기묘는 온실에서 키운 후 곧바로 산지에 식재한다.
     4. 봄철 식재는 서리의 피해가 우려되지 않을 때 심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용기묘는 묘목굳히기 과정을 거친후에 산지에 식재한다.

18. 종자가 성숙한 후 가장 오랫동안 모수에 붙어 있는 수종은?(2017년 08월)
     1. 단풍나무
     2. 느티나무
     3. 양버즘나무
     4. 방크스소나무

     정답 : []
     정답률 : 77%

19. 발아촉진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08월)
     1. 수선법
     2. 침수법
     3. 열탕처리법
     4. 황산처리법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수선법 - 색, 광택, 무게 등의 차이를 이용하여 손으로 선별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오카리나고구마]

20. 풍매화에 해당하지 않는 수종은?(2017년 03월)
     1. 호두나무
     2. 자작나무
     3. 버드나무
     4. 이태리포플러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버드나무 충매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과목 : 산림보호학


21. 흡즙성 해충이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뽕나무이
     2. 버들잎벌레
     3. 분홍다리노린재
     4. 진달래방패벌레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성충과 유충이 버드나무, 포플러류의 잎을 식해한다. 묘목이나 어린 나무에 피해가 심하다.(네이버 지식백과)
[해설작성자 : 골프의신]

22. 임목에 군집하여 고사 시키는 조류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백로
     2. 왜가리
     3. 딱다구리
     4. 가마우지

     정답 : []
     정답률 : 81%

23. 병환부나 죽은 기주체 상에서 월동하는 병균이 아닌 것은?(2007년 08월)
     1. 밤나무줄기마름병균
     2. 오동나무탄저병균
     3. 낙엽송입떨립병균
     4. 잦나무털녹병균

     정답 : []
     정답률 : 54%

24. 종실을 가해하는 해충으로만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7년 08월)
     1. 밤나무혹벌, 굼벵이류
     2. 가루나무좀, 버들바구미
     3. 밤바구미, 복숭아명나방
     4. 미끈이하늘소, 미국흰불나방

     정답 : []
     정답률 : 84%

25. 다음 중 소나무좀 방제법이 아닌 것은?(2011년 08월)
     1. 6월 이전에 임내의 잡초를 없앤다.
     2. 성충을 산란하게 한 후 이목을 박피하여 소각한다.
     3. 동기 벌채목과 벌근은 다음해 5월 이전에 박피 한다.
     4. 수세가 쇠약한 나무, 설해목, 풍해목, 피해목은 껍질을 벗긴다.

     정답 : []
     정답률 : 64%

26. 밤나무 줄기마름병의 방제 방법으로 가장 효과적인 것은?(2018년 04월)
     1. 매개충을 구제한다.
     2. 중간기주를 제거한다.
     3. 병든 부위를 도려내고 도포제를 발라준다.
     4. 항생제 계통 약제로 나무주사를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밤나무 줄기마름병은 배수불량지나 쇠약목에 피해가 심하므로 나무를 튼튼하게 키운다.
상처부위로 병원균이 침입하므로 병든 부분을 도려내어 도포제를 발라준다.
[해설작성자 : 도전산림산업기사]

27. 해안지방에서 방풍림대를 조성할 때 주임목으로 가장 적당한 수종은?(2006년 03월)
     1. 전나무
     2. 삼나무
     3. 소나무
     4. 곰솔

     정답 : []
     정답률 : 90%

28. 다음 ()안에 들어갈 용어는?(2016년 05월)

    

     1. A : 잎, B : 줄기
     2. A : 잎, B : 열매
     3. A : 뿌리, B : 줄기
     4. A : 뿌리. B : 열매

     정답 : []
     정답률 : 82%

29. 유충이 버드나무, 단풍나무, 밤나무, 오동나무 등의 줄기에 먹어들어가 똥을 충공 밖에 실을 토하여 철하므로 혹같이 보이며, 인피부나 중심부에 갱도를 둟어 크게 피해를 주는 해충은?(2006년 03월)
     1. 어스렝이나방
     2. 차독나방
     3. 매미나방
     4. 박쥐나방

     정답 : []
     정답률 : 61%

30. 흡즙성 해충이 아닌 것은?(2009년 07월)
     1. 느티나무벼룩바구미
     2. 버즘나무방패벌레
     3. 솔껍질깍지벌레
     4. 소나무좀

     정답 : []
     정답률 : 66%

31. 다음 중 세균성 수목병은?(2011년 08월)
     1. 뿌리혹병(crown gall)
     2. 모잘록병
     3. 소나무혹병
     4. 오리나무갈색무늬병

     정답 : []
     정답률 : 72%

32. 방화선 설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나비는 보통의 경우 1~2m로 한다.
     2. 방화선 설치 시 가연물은 제거해야 한다.
     3. 산의 능선, 산림 구획선, 임도 등을 이용한다.
     4. 삽, 괭이 기계톰 등을 이용하여 방화선을 구축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산림구획선 경계선 도로 능선 암석지 하천등을 이용한다
보통 10m~20m의 폭으로 임목과 잡초 관목을 제거하여 만든다

33. 대추나무 빗자루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바이러스에 의한 수목병이다.
     2. 매개충은 마름무늬매미충이다.
     3. 병든 나무의 분주를 통해 전염될 수 있다.
     4. 꽃봉오리가 잎으로 변하는 엽화현상이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빗자루병 병원체:파이토플라스마

34. 잣나무 털녹병의 병징과 표징이 나타나는 시기와 병환부는?(2016년 03월)
     1. 7 ~ 8월에 잎에 나타난다.
     2. 3 ~ 5월에 뿌리에 나타난다.
     3. 4 ~ 6월에 줄기에 나타난다.
     4. 9 ~ 10월에 가지에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잣나무 털녹병】
잣나무털녹병은 잣나무를 감염시키는 주요 수목병 으로, Cronartium ribicola라는 녹병균에 의해 발생.
이 병균은 주로 잣나무의 잎 기공을 통해 침입하며, 감염된 나무는 황색의 반점과 갈변 현상을 보임.
감염된 나무는 2~4년의 잠복기를 거쳐 줄기에 병징을 나타내며,주로 15년생 이하의 잣나무에 영향을 미침.

※ 병징(Symptom)
식물체가 어떤 원인에 의하여 그 식물체의 세포, 조직, 기관에 이상이 생겨
외부형태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 현상.

※ 표징(Sign)
병원체가 병든 식물의 표면 여러형태로 나타나는 것.
[해설작성자 : 나그네]

35. 대추나무 빗자루병 방제에 가장 효과적인 약제는?(2018년 08월)
     1. 보르도액
     2. 페니실린
     3. 석회 황합제
     4.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정답 : []
     정답률 : 88%

36. 모잘록병의 임업적인 방제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살균제로 종자소독 후 파종한다.
     2. 파종시 흙덮기를 두껍게 하지 않는다.
     3. 석회를 사용하여 토양산도를 조절한다.
     4. 다른 수종으로 돌려짓기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0%

37. 경기도 가평에서 처음 발견된 병으로 줄기에 병징이 나타나면 어린나무는 대부분이 1~2년 내에 말라 죽고 20년생 이상의 큰 나무는 병이 수년간 지속되다가 마침내 말라 죽는 수병은?(문제와 보기 내용이 맞지 않은 것 같습니다. 정확한 문제와 보기 내용을 아시는분 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1번입니다.)(2010년 07월)
     1. 벌기령을 단축한다.
     2. 가지치기를 실시한다.
     3. 중간기주를 제거한다.
     4. 병든 나무를 제거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ㅇ 잣나무 털녹병 기출선지

- 1936년 가평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ㅇ 방제법 기출선지

잣나무 털녹병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작업은 <중간기주의 제거>이다. 산림기사 2009.3회

- 중간기주인 송이풀을 제거한다.
- 병든 나무를 제거한다.
- 내병성 품종을 심는다.
- 풀베기와 간벌을 실시하여 숲에 통풍을 양호하게 해준다.
- 수고의 1/3까지의 가지치기는 발병률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38. 서식처로 수관층을 선호하는 조류는?(2012년 05월)
     1. 참새
     2. 노랑턱멧새
     3. 붉은머리오목눈이
     4. 산솔새

     정답 : []
     정답률 : 59%

39. 병충해의 기계적·물리적 방제로 해충 방제를 할 경우 나무좀·하늘소·바구미 등은 어느 방법이 가장 적당한가?(2009년 03월)
     1. 식이 유살법
     2. 잠복장소 유살법
     3. 뽕나무 유살법
     4. 등화유살법

     정답 : []
     정답률 : 21%

40. 아황산가스 피해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광도
     2. 온도
     3. 상대습도
     4. 식물의 내한성

     정답 : []
     정답률 : 83%

3과목 : 임업경영학


41. 임업조수익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자는?(2017년 08월)
     1. 감가상각액
     2. 현금지출액
     3. 임업외 현금수입액
     4. 미처분 임산물 증감액

     정답 : []
     정답률 : 64%

42. 흉고형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아닌 것은?(2013년 08월)
     1. 수고
     2. 지위
     3. 벌기령
     4. 수종과 품종

     정답 : []
     정답률 : 59%

43. 영림계획을 작성합에 있어 임반을 구분하기 위하여는 다음 중 무엇을 기준으로 하는가?(2006년 03월)
     1. 자연경계 및 고정적 시설
     2. 지종
     3. 임상 및 작업종
     4. 임령 및 운반계통

     정답 : []
     정답률 : 39%

44. 국유림경영계획의 산림구획에서 소반면적에 대한 설명으로 다음 (A)에 해당하는 것은?(2016년 05월)

    

     1. 0.1
     2. 0.5
     3. 1
     4. 100

     정답 : []
     정답률 : 71%

45. 일정한 벌기마다 같은 액수의 수입을 영구히 얻을 수 있는 수입 임지의 기망가를 구하려고 한다. 다음 중 어느 표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 한가?(2007년 08월)
     1. 무한정기수입의 전가 계수표
     2. 유한연년수입의 전가 계수표
     3. 무한연년수입의 전가 계수표
     4. 유한정기수입의 전가 계수표

     정답 : []
     정답률 : 64%

46. 산림의 관리경영에 소요되는 관리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09년 03월)
     1. 잡비
     2. 육림비
     3. 시무비
     4. 보험료

     정답 : []
     정답률 : 45%

47. 연년생장량과 평균생장량과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성장 초기에는 연년생장량이 더 크다.
     2. 평균 생장량의 극대점에서는 연년 생장량이 더 크다.
     3. 연년생장량은 평균생장량보다 빨리 극대점을 가진다.
     4. 평균생장량이 극대점에 이르기까지는 연년생장량이 항상 더 크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평균 생장량의 극대점에서는 두 성장량의 크기가 같게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산림생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8월)
     1. 총생장량은 일반적으로 누운 S자 형태를 나타낸다.
     2. 평균생장량은 수학적으로 총생장량을 수령 또는 임령으로 나눈 양에 해당한다.
     3. 시간의 흐름에 따른 평균생장량은 초반에 점차 증가하다가 최고점에 달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4. 평균생장량과 연년생장량은 최고점에 달하는 시점에 서로 같다.

     정답 : []
     정답률 : 72%

49. 임업경영의 성과를 나타내는 가장 정확한 지표는?(2009년 07월)
     1. 임업조수익
     2. 임업소득
     3. 임업 현금수입
     4. 임업총수입

     정답 : []
     정답률 : 77%

50. 개별원가계산 방법의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2010년 05월)
     1. 공정별 원가계산방법이라고도 한다.
     2. 주로 주문에 의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한다.
     3. 제품의 원가를 개개의 제품단위별로 직접 계산 하는 방법이다.
     4. 소비자에게 제품의 원가와 일정한 이익을 합계한 제품가격을 청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74%

51. 기계톱을 50만원에 구입하였다. 이 톱의 내용연수는 3년, 폐기시의 잔존가치를 5만원이라 하면 감가상각비는 얼마인가?(2008년 05월)
     1. 5만원
     2. 10만원
     3. 15만원
     4. 20만원

     정답 : []
     정답률 : 75%

52. 임지생산력(지위)의 평가방법이 아닌 것은?(2013년 06월)
     1. 토양인자를 종합하여 판단하는 방법
     2. 연령에 의한 방법
     3. 지표식물에 의한 방법
     4. 우세목 또는 준우세목 수고에 의한 방법

     정답 : []
     정답률 : 67%

53. 벌채목의 실적계수 크기에 관계없는 인자는?(2019년 03월)
     1. 수종
     2. 통나무의 형상
     3. 통나무의 크기
     4. 통나무의 입목도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벌채목의 실적계수는 수종, 모양과 크기, 쌓는 방법에 영향을 받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4. 육림비의 구성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2013년 08월)
     1. 지대
     2. 운재비
     3. 이자
     4. 노동비

     정답 : []
     정답률 : 72%

55. 산림수확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계획모형의 모든 변수들의 관계가 수학적으로 1차 함수로 표현되어야 한다는 전제조건은?(2016년 03월)
     1. 확정성
     2. 제한성
     3. 선형성
     4. 비부성

     정답 : []
     정답률 : 70%

56. 일반적으로 원가적 계산방법인 임목가의 최저 한도액을 나타낸다고 말하는 임목평가 방법은?(2008년 07월)
     1. 임목 기망가
     2. 임목 매매가
     3. 임목 재산가
     4. 임목 비용가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임목 비용가 = 원가, 최저 한도액

57. Moller의 항속림사상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2008년 05월)
     1. 합자연성의 원칙
     2. 환경보전의 원칙
     3. 수익성의 원칙
     4. 공공성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64%

58. 산림조사 결과 다음과 같을 때 평균임령은?(2019년 04월)

    

     1. 35년
     2. 36년
     3. 37.5년
     4. 38년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30*20+35*10+40*10+45*10 / 20+10+10+10) = 3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어떤 임분의 면적이 10ha이고 표준지 면적이 0.1ha이며 표준지 재적이 10m3이라면 임분재적(m3)은?(2016년 08월)
     1. 1
     2. 10
     3. 100
     4. 1000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임분재적 10/0.1 * 10 = 1,0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0.1ha : 10m3 = 10ha : x
x = 10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다음 임업 수입 중 주수입에 속하는 것은?(2010년 07월)
     1. 수피 생산
     2. 열매 생산
     3. 토석 채취
     4. 죽재 생산

     정답 : []
     정답률 : 61%

61. 최대강유량이 50mm/hr, 집수면적이 50ha, 유출계수가 0.5일때의 유량(m3/sec)은?(2014년 08월)
     1. 3.21
     2. 3.47
     3. 4.86
     4. 5.12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유량은 0.002778 * 유출계수 * 면적 * 유량
= 0.002778 * 0.5 * 50 * 50 = 3.4725

62. 1 : 25000 지형도에서 양각기 계획법으로 임도망을 편성하려고 한다. 종단물매를 5%로 계획할 때 두 등고선 간의 도상거리는 몇 mm인가?(2008년 05월)
     1. 0.5
     2. 0.8
     3. 5
     4. 8

     정답 : []
     정답률 : 44%

63. 반지름이 다른 곡선이 같은 방향으로 연속되는 곡선은?(2007년 03월)
     1. 복심곡선
     2. 배향곡선
     3. 반향곡선
     4. 완화곡선

     정답 : []
     정답률 : 57%

64. 다음 중 임도의 설계순서로 맞는 것은?(2013년 06월)
     1. 예비조사→답사→예측→실측→설계
     2. 예측→예비조사→답사→실측→설계
     3. 답사→예비조사→예측→실측→설계
     4. 답사→예측→예비조사→실측→설계

     정답 : []
     정답률 : 88%

65. 벌목작업 시 벌도목이 인근 나무에 걸렸을 때 해결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4월)
     1. 걸려있는 인근 나무를 베도록 한다.
     2. 걸치고 있는 나무를 별도하여 함께 넘긴다.
     3. 걸린 나무에 올라간 흔들어 떨어뜨리도록 한다
     4. 지렛대를 사용하여 걸린 나무를 돌려 낙하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66. 임도 설치를 위한 현지측량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전체 구간에서 절토량은?(2020년 08월)

    

     1. 2,750m3
     2. 4,250m3
     3. 6,750m3
     4. 8,000m3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임도 설치를 위한 현지측량에서 측점 간격은 20m로 한다.
측점1 - 측점2        : ((100+200) /2) X 20 = 3,000
측점2 - 측점+5.0 : ((200+300) /2) X 5 = 1,250

합계 : 4,250m3

측점1 -- -- -- -- -- 측점2 -- 측점2+5.0 -- -- -- -- 측점3
    0m            (20m)             20m (5m)    25m             (15m)            40m
[해설작성자 : 도전산림산업기사]

67. 와이어로프의 안전계수를 바르게 나타낸 식은?(2015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0%

68. 산사태와 땅밀림의 차이점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2009년 07월)
     1. 산사태는 지하수에 의한 영향이 크다.
     2. 땅밀림은 계속 재발 가능성이 크다.
     3. 산사태는 땅밀림에 비해 규모가 작다.
     4. 산사태는 사질토로된 지점에서 많이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69. 다음 체인톱에 의한 벌채방법 중 틀린 것은?(2011년 08월)
     1. 수구는 흉고직경 40cm의 입목일 때는 수구길이를 벌채부위 직경의 1/4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2. 수구의 각도는 30~45°가 표준이다.
     3. 벌채부위의 높이는 대략 지상 20cm내외의 높이가 적당하다.
     4. 수구의 반대방향으로 나무가 넘어가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70. 황폐계천 사방공작물 중 종공작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1. 수제
     2. 둑쌓기
     3. 바닥막이
     4. 기슭막이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황폐계천 사방공작물 중 횡공작물 - 바닥막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1. 비탈면 붕괴에 관여하는 주요 요인이 아닌 것은?(2014년 08월)
     1. 임상
     2. 토질
     3. 임령
     4. 지형

     정답 : []
     정답률 : 69%

72. 트랙터의 구입가격이 5000만원이고 수명이 5000시간이며 잔존가치는 구입가격의 20%일 때 이 기계의 시간당 감가상각비는?(2016년 05월)
     1. 1,250원
     2. 8,000원
     3. 12,500원
     4. 80,000원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시간당 감가상각비 = (취득원가-잔존가치)/추정 총 작업시간
=[50,000,000-(50,000,000x0.2)]/5,000
=8,000
*작업시간비례법 = 실제작업시간x시간당감가상각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3. 임도 비탈면에 돌쌓기를 한 경우 지름 3cm 정도의 물빼기 구멍을 설치한다.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것은?(2015년 08월)
     1. 3 ~ 4m2에 1개 설치
     2. 2 ~ 3m2에 1개 설치
     3. 1.5 ~ 2m2에 1개 설치
     4. 1m2에 1개 설치

     정답 : []
     정답률 : 67%

74. 비탈면 녹화용 피복자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7년 05월)
     1. 그라우트
     2. 볏집거적
     3. 쥬트네트
     4. 코이어네트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그리우트는 토목공사에서 누수방지 공사나 토질 안정 등을 위하여 지반의 갈라진 틈,공동 등에 충전재를 주입하는 일이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75. 설계속도가 30km/h인 일반지형 임도의 경우에 종단기울기 설치 기준은?(2017년 08월)
     1. 7% 이하
     2. 8% 이하
     3. 10% 이하
     4. 12% 이하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일반지형    속도별 종단 기울기 설치 기준
40km    : 7% 이하
30km. : 8% 이하
20km : 9% 이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6. 일반적으로 기계를 도입하는 것이 경제적인지 혹은 동일한 역할을 가진 2종류 이상의 기계화 작업방식의 경제성을 비교하는 경우 임업기계화 적부판정에 이용되는 것은?(2011년 08월)
     1. 손익분기점
     2. 최적투자법
     3. 기계경비와 인건비
     4. 감가상각비

     정답 : []
     정답률 : 44%

77. 깍아 낸 보통 흙의 경우 일반적인 팽창율은 얼마인가?(2009년 03월)
     1. 5~10%
     2. 10~20%
     3. 20~30%
     4. 30~40%

     정답 : []
     정답률 : 64%

78. 임목수확작업 과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20년 06월)
     1. 간재
     2. 집재
     3. 조재
     4. 목재

     정답 : []
     정답률 : 46%

79. 중력댐의 안정조건이 아닌 것은?(2013년 08월)
     1. 기초지반의 지지력에 대한 안정
     2. 전도에 대한 안정
     3. 활동에 대한 안정
     4. 물매에 대한 안정

     정답 : []
     정답률 : 66%

80. 다음 ( )안에 들어갈 용어가 아닌 것은?(2017년 05월)

    

     1.
     2. 쇄석
     3. 자갈
     4. 콘크리트

     정답 : []
     정답률 : 79%


정 답 지

산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966644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산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조림학


1. 가지치기 작업 시 부후의 위험성이 가장 높은 수종은?(2020년 08월)
     1. Cedrus deodara
     2. Pinus densiflora
     3. Abies holophylla
     4. Prunus serrulata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개잎갈나무
2 소나무
3 전나무
4 벚나무
[해설작성자 : ㅇㅇㅇ]

단풍,느릅,벗,물프레나무는 상처 유합이 잘 안되 부후의 위험성이 높다.
[해설작성자 : 쾌걸조로]

2. 호두나무 및 측백나무 등의 생육에 적절한 토양산도의 범위는?(2015년 03월)
     1. pH 4.0 ~ 4.7
     2. pH 4.8 ∼ 5.5
     3. pH 5.6 ∼ 6.5
     4. pH 6.6 ∼ 7.3

     정답 : []
     정답률 : 52%

3. 증산계수(transpiration coefficient)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2007년 03월)
     1. 생육기간 중 식물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건물질 단위량당 소비된 물의 량
     2. 1㎏의 물 소비량에 대해서 생성된 건물질의 량
     3. 생성된 건물질량 대 소비한 물량의 비
     4. 단위 엽면적당 증산량

     정답 : []
     정답률 : 66%

4. 택벌림의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수고 분포는 상·하층 모두 양수 위주로 구성하여야 한다.
     2. 이상적인 택벌림은 소경급 중경급 대경급의 재적비율이 2:3:5을 기준으로 한다.
     3. 이상적인 택벌림은 소경급 중경급 대경급의 본수비율이 7:2:1을 기준으로 한다.
     4. 직경 분포는 직경이 커짐에 따라 본수가 줄어드는 지수감소형 분포를 유지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4%

5. 종자 발아능력 검사방법 중 생리적인 면을 다룰 수 없는 것은?(2014년 05월)
     1. 발아시험
     2. 배추출시험
     3. X선사진법
     4. 테트라졸리움시험

     정답 : []
     정답률 : 80%

6. 종자의 활력 검정방법(Viability test method)이 아닌 것은?(2013년 03월)
     1. 절단법
     2. X-선법
     3. 효소검출법
     4. 양건법

     정답 : []
     정답률 : 74%

7. 종자의 결실 주기가 2~3년인 수종은?(2019년 08월)
     1. Salix koreensis
     2. Picea jezoensis
     3. Larix kaempferi
     4. Quercus acutissima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Quercus acutissima = 상수리나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보충설명
1. 버드나무류
2. 가문비
3. 낙엽송(일본잎갈)
4. 상수리

8. 파종하기 전에 종자의 정착 및 발아, 그리고 어린묘목의 발육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하여 정지작업을 한다. 이 작업의 진행 순서는?(2013년 06월)
     1. 쇄토 → 밭갈이 → 작상
     2. 밭갈이 → 쇄토 → 작상
     3. 작상 → 쇄토 → 밭갈이
     4. 쇄토 → 작상 → 밭갈이

     정답 : []
     정답률 : 71%

9. 우량 묘목의 조건이 아닌 것은?(2018년 03월)
     1. T/R 값이 3 정도인 것
     2. 측아가 정아보다 우세한 것
     3. 발육이 왕성하고 조직이 충실한 것
     4. 가지와 잎이 골고루 분포하고 줄기가 굵은 것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2. 정아가 측아보다 우세한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조림 수종을 선택하는 요건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성장속도가 빠르고 재적성장량이 높은 것
     2. 지하고가 낮고 조림의 실패율이 적은 것
     3. 가지가 가늘고 짧으며, 줄기가 곧은 것
     4. 입지에 대하여 적응력이 큰 것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지하고가 높고 조림의 실패율이 적은 것
우선적 : 심을 곳의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수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묘목 곤포 작업의 정의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굴취한 묘목을 규격에 따라 나누는 일
     2. 포지에서 양성된 묘목을 식재될 산지까지 수송하는 일
     3. 묘목을 식재지까지 운반하기 위해 알맞은 크기로 다발 묶음하여 포장하는 일
     4. 묘목을 심기 전 일시적으로 도랑을 파서 그 안에 뿌리를 묻어 건조를 방지하고 생기를 회복시키는 일

     정답 : []
     정답률 : 87%

12. 편백과 화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편백과 화백은 측백나무과이다.
     2. 편백과 화백은 모두 암수딴그루이다.
     3. 편백은 잎 끝이 예리하고 화백의 잎은 비늘모양이다.
     4. 편백은 잎의 뒷면이 백색기공선이 Y자형이고 화백은 V 또는 W 자형이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편백은 잎 끝이 둔한 둥근모양, 화백의 잎은 뾰족하다.
[해설작성자 : 산림킹]

13. 종자를 산파할 때 필요한 파종량을 산출하려고 한다. 1m2에 잔존본수 400그루, 득묘율 30%, 종자효율 70%, 1g당 종자알수 150개일 때 m2당 파종량은?(2014년 03월)
     1. 3.8g
     2. 8.8g
     3. 10.5g
     4. 12.7g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400)/(150*0.7*0.3) = 12.6984126984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동일한 수목 개체의 양엽(sun leaf)과 음엽(shade leaf)을 비교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양엽은 음엽보다 광포화점이 높다.
     2. 양엽은 음엽보다 책상조직이 빽빽하게 배열되어 있다.
     3. 음엽은 양엽보다 엽록소 함량이 더 많다.
     4. 음엽은 양엽보다 단위 면적당 잎의 무게가 크다.

     정답 : []
     정답률 : 46%

15. 수정이 되어서 종자가 성숙되어 가는 과정 가운데 배유안에서 분화되서 자엽, 유아, 배축, 유근 등을 형성한다. 이 때 다음 침엽수종 가운데 자엽의 수가 가장 많은 것은?(2013년 06월)
     1. 소나무
     2. 측백나무
     3. 향나무
     4. 주목

     정답 : []
     정답률 : 65%

16. 도태간벌시 줄기와 형상에 따라 임목을 구분하는데, 다른 나무로부터 피해를 받아 형상이 나쁜 수목을 무엇이라 하는가?(2006년 03월)
     1. 마찰목
     2. 유용목
     3. 압박목
     4. 회초리목

     정답 : []
     정답률 : 78%

17. 묘목 식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겨울철에는 동해나 한해를 고려하여야 한다.
     2. 주로 봄에 식재하지만 가을에 식재하기도 한다.
     3. 용기묘는 온실에서 키운 후 곧바로 산지에 식재한다.
     4. 봄철 식재는 서리의 피해가 우려되지 않을 때 심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용기묘는 묘목굳히기 과정을 거친후에 산지에 식재한다.

18. 종자가 성숙한 후 가장 오랫동안 모수에 붙어 있는 수종은?(2017년 08월)
     1. 단풍나무
     2. 느티나무
     3. 양버즘나무
     4. 방크스소나무

     정답 : []
     정답률 : 77%

19. 발아촉진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08월)
     1. 수선법
     2. 침수법
     3. 열탕처리법
     4. 황산처리법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수선법 - 색, 광택, 무게 등의 차이를 이용하여 손으로 선별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오카리나고구마]

20. 풍매화에 해당하지 않는 수종은?(2017년 03월)
     1. 호두나무
     2. 자작나무
     3. 버드나무
     4. 이태리포플러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버드나무 충매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과목 : 산림보호학


21. 흡즙성 해충이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뽕나무이
     2. 버들잎벌레
     3. 분홍다리노린재
     4. 진달래방패벌레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성충과 유충이 버드나무, 포플러류의 잎을 식해한다. 묘목이나 어린 나무에 피해가 심하다.(네이버 지식백과)
[해설작성자 : 골프의신]

22. 임목에 군집하여 고사 시키는 조류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백로
     2. 왜가리
     3. 딱다구리
     4. 가마우지

     정답 : []
     정답률 : 81%

23. 병환부나 죽은 기주체 상에서 월동하는 병균이 아닌 것은?(2007년 08월)
     1. 밤나무줄기마름병균
     2. 오동나무탄저병균
     3. 낙엽송입떨립병균
     4. 잦나무털녹병균

     정답 : []
     정답률 : 54%

24. 종실을 가해하는 해충으로만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7년 08월)
     1. 밤나무혹벌, 굼벵이류
     2. 가루나무좀, 버들바구미
     3. 밤바구미, 복숭아명나방
     4. 미끈이하늘소, 미국흰불나방

     정답 : []
     정답률 : 84%

25. 다음 중 소나무좀 방제법이 아닌 것은?(2011년 08월)
     1. 6월 이전에 임내의 잡초를 없앤다.
     2. 성충을 산란하게 한 후 이목을 박피하여 소각한다.
     3. 동기 벌채목과 벌근은 다음해 5월 이전에 박피 한다.
     4. 수세가 쇠약한 나무, 설해목, 풍해목, 피해목은 껍질을 벗긴다.

     정답 : []
     정답률 : 64%

26. 밤나무 줄기마름병의 방제 방법으로 가장 효과적인 것은?(2018년 04월)
     1. 매개충을 구제한다.
     2. 중간기주를 제거한다.
     3. 병든 부위를 도려내고 도포제를 발라준다.
     4. 항생제 계통 약제로 나무주사를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밤나무 줄기마름병은 배수불량지나 쇠약목에 피해가 심하므로 나무를 튼튼하게 키운다.
상처부위로 병원균이 침입하므로 병든 부분을 도려내어 도포제를 발라준다.
[해설작성자 : 도전산림산업기사]

27. 해안지방에서 방풍림대를 조성할 때 주임목으로 가장 적당한 수종은?(2006년 03월)
     1. 전나무
     2. 삼나무
     3. 소나무
     4. 곰솔

     정답 : []
     정답률 : 90%

28. 다음 ()안에 들어갈 용어는?(2016년 05월)

    

     1. A : 잎, B : 줄기
     2. A : 잎, B : 열매
     3. A : 뿌리, B : 줄기
     4. A : 뿌리. B : 열매

     정답 : []
     정답률 : 82%

29. 유충이 버드나무, 단풍나무, 밤나무, 오동나무 등의 줄기에 먹어들어가 똥을 충공 밖에 실을 토하여 철하므로 혹같이 보이며, 인피부나 중심부에 갱도를 둟어 크게 피해를 주는 해충은?(2006년 03월)
     1. 어스렝이나방
     2. 차독나방
     3. 매미나방
     4. 박쥐나방

     정답 : []
     정답률 : 61%

30. 흡즙성 해충이 아닌 것은?(2009년 07월)
     1. 느티나무벼룩바구미
     2. 버즘나무방패벌레
     3. 솔껍질깍지벌레
     4. 소나무좀

     정답 : []
     정답률 : 66%

31. 다음 중 세균성 수목병은?(2011년 08월)
     1. 뿌리혹병(crown gall)
     2. 모잘록병
     3. 소나무혹병
     4. 오리나무갈색무늬병

     정답 : []
     정답률 : 72%

32. 방화선 설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나비는 보통의 경우 1~2m로 한다.
     2. 방화선 설치 시 가연물은 제거해야 한다.
     3. 산의 능선, 산림 구획선, 임도 등을 이용한다.
     4. 삽, 괭이 기계톰 등을 이용하여 방화선을 구축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산림구획선 경계선 도로 능선 암석지 하천등을 이용한다
보통 10m~20m의 폭으로 임목과 잡초 관목을 제거하여 만든다

33. 대추나무 빗자루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8월)
     1. 바이러스에 의한 수목병이다.
     2. 매개충은 마름무늬매미충이다.
     3. 병든 나무의 분주를 통해 전염될 수 있다.
     4. 꽃봉오리가 잎으로 변하는 엽화현상이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빗자루병 병원체:파이토플라스마

34. 잣나무 털녹병의 병징과 표징이 나타나는 시기와 병환부는?(2016년 03월)
     1. 7 ~ 8월에 잎에 나타난다.
     2. 3 ~ 5월에 뿌리에 나타난다.
     3. 4 ~ 6월에 줄기에 나타난다.
     4. 9 ~ 10월에 가지에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잣나무 털녹병】
잣나무털녹병은 잣나무를 감염시키는 주요 수목병 으로, Cronartium ribicola라는 녹병균에 의해 발생.
이 병균은 주로 잣나무의 잎 기공을 통해 침입하며, 감염된 나무는 황색의 반점과 갈변 현상을 보임.
감염된 나무는 2~4년의 잠복기를 거쳐 줄기에 병징을 나타내며,주로 15년생 이하의 잣나무에 영향을 미침.

※ 병징(Symptom)
식물체가 어떤 원인에 의하여 그 식물체의 세포, 조직, 기관에 이상이 생겨
외부형태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 현상.

※ 표징(Sign)
병원체가 병든 식물의 표면 여러형태로 나타나는 것.
[해설작성자 : 나그네]

35. 대추나무 빗자루병 방제에 가장 효과적인 약제는?(2018년 08월)
     1. 보르도액
     2. 페니실린
     3. 석회 황합제
     4.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정답 : []
     정답률 : 88%

36. 모잘록병의 임업적인 방제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살균제로 종자소독 후 파종한다.
     2. 파종시 흙덮기를 두껍게 하지 않는다.
     3. 석회를 사용하여 토양산도를 조절한다.
     4. 다른 수종으로 돌려짓기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0%

37. 경기도 가평에서 처음 발견된 병으로 줄기에 병징이 나타나면 어린나무는 대부분이 1~2년 내에 말라 죽고 20년생 이상의 큰 나무는 병이 수년간 지속되다가 마침내 말라 죽는 수병은?(문제와 보기 내용이 맞지 않은 것 같습니다. 정확한 문제와 보기 내용을 아시는분 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1번입니다.)(2010년 07월)
     1. 벌기령을 단축한다.
     2. 가지치기를 실시한다.
     3. 중간기주를 제거한다.
     4. 병든 나무를 제거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ㅇ 잣나무 털녹병 기출선지

- 1936년 가평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ㅇ 방제법 기출선지

잣나무 털녹병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작업은 <중간기주의 제거>이다. 산림기사 2009.3회

- 중간기주인 송이풀을 제거한다.
- 병든 나무를 제거한다.
- 내병성 품종을 심는다.
- 풀베기와 간벌을 실시하여 숲에 통풍을 양호하게 해준다.
- 수고의 1/3까지의 가지치기는 발병률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38. 서식처로 수관층을 선호하는 조류는?(2012년 05월)
     1. 참새
     2. 노랑턱멧새
     3. 붉은머리오목눈이
     4. 산솔새

     정답 : []
     정답률 : 59%

39. 병충해의 기계적·물리적 방제로 해충 방제를 할 경우 나무좀·하늘소·바구미 등은 어느 방법이 가장 적당한가?(2009년 03월)
     1. 식이 유살법
     2. 잠복장소 유살법
     3. 뽕나무 유살법
     4. 등화유살법

     정답 : []
     정답률 : 21%

40. 아황산가스 피해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광도
     2. 온도
     3. 상대습도
     4. 식물의 내한성

     정답 : []
     정답률 : 83%

3과목 : 임업경영학


41. 임업조수익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자는?(2017년 08월)
     1. 감가상각액
     2. 현금지출액
     3. 임업외 현금수입액
     4. 미처분 임산물 증감액

     정답 : []
     정답률 : 64%

42. 흉고형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아닌 것은?(2013년 08월)
     1. 수고
     2. 지위
     3. 벌기령
     4. 수종과 품종

     정답 : []
     정답률 : 59%

43. 영림계획을 작성합에 있어 임반을 구분하기 위하여는 다음 중 무엇을 기준으로 하는가?(2006년 03월)
     1. 자연경계 및 고정적 시설
     2. 지종
     3. 임상 및 작업종
     4. 임령 및 운반계통

     정답 : []
     정답률 : 39%

44. 국유림경영계획의 산림구획에서 소반면적에 대한 설명으로 다음 (A)에 해당하는 것은?(2016년 05월)

    

     1. 0.1
     2. 0.5
     3. 1
     4. 100

     정답 : []
     정답률 : 71%

45. 일정한 벌기마다 같은 액수의 수입을 영구히 얻을 수 있는 수입 임지의 기망가를 구하려고 한다. 다음 중 어느 표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 한가?(2007년 08월)
     1. 무한정기수입의 전가 계수표
     2. 유한연년수입의 전가 계수표
     3. 무한연년수입의 전가 계수표
     4. 유한정기수입의 전가 계수표

     정답 : []
     정답률 : 64%

46. 산림의 관리경영에 소요되는 관리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09년 03월)
     1. 잡비
     2. 육림비
     3. 시무비
     4. 보험료

     정답 : []
     정답률 : 45%

47. 연년생장량과 평균생장량과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성장 초기에는 연년생장량이 더 크다.
     2. 평균 생장량의 극대점에서는 연년 생장량이 더 크다.
     3. 연년생장량은 평균생장량보다 빨리 극대점을 가진다.
     4. 평균생장량이 극대점에 이르기까지는 연년생장량이 항상 더 크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평균 생장량의 극대점에서는 두 성장량의 크기가 같게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산림생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8월)
     1. 총생장량은 일반적으로 누운 S자 형태를 나타낸다.
     2. 평균생장량은 수학적으로 총생장량을 수령 또는 임령으로 나눈 양에 해당한다.
     3. 시간의 흐름에 따른 평균생장량은 초반에 점차 증가하다가 최고점에 달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4. 평균생장량과 연년생장량은 최고점에 달하는 시점에 서로 같다.

     정답 : []
     정답률 : 72%

49. 임업경영의 성과를 나타내는 가장 정확한 지표는?(2009년 07월)
     1. 임업조수익
     2. 임업소득
     3. 임업 현금수입
     4. 임업총수입

     정답 : []
     정답률 : 77%

50. 개별원가계산 방법의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2010년 05월)
     1. 공정별 원가계산방법이라고도 한다.
     2. 주로 주문에 의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한다.
     3. 제품의 원가를 개개의 제품단위별로 직접 계산 하는 방법이다.
     4. 소비자에게 제품의 원가와 일정한 이익을 합계한 제품가격을 청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74%

51. 기계톱을 50만원에 구입하였다. 이 톱의 내용연수는 3년, 폐기시의 잔존가치를 5만원이라 하면 감가상각비는 얼마인가?(2008년 05월)
     1. 5만원
     2. 10만원
     3. 15만원
     4. 20만원

     정답 : []
     정답률 : 75%

52. 임지생산력(지위)의 평가방법이 아닌 것은?(2013년 06월)
     1. 토양인자를 종합하여 판단하는 방법
     2. 연령에 의한 방법
     3. 지표식물에 의한 방법
     4. 우세목 또는 준우세목 수고에 의한 방법

     정답 : []
     정답률 : 67%

53. 벌채목의 실적계수 크기에 관계없는 인자는?(2019년 03월)
     1. 수종
     2. 통나무의 형상
     3. 통나무의 크기
     4. 통나무의 입목도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벌채목의 실적계수는 수종, 모양과 크기, 쌓는 방법에 영향을 받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4. 육림비의 구성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2013년 08월)
     1. 지대
     2. 운재비
     3. 이자
     4. 노동비

     정답 : []
     정답률 : 72%

55. 산림수확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계획모형의 모든 변수들의 관계가 수학적으로 1차 함수로 표현되어야 한다는 전제조건은?(2016년 03월)
     1. 확정성
     2. 제한성
     3. 선형성
     4. 비부성

     정답 : []
     정답률 : 70%

56. 일반적으로 원가적 계산방법인 임목가의 최저 한도액을 나타낸다고 말하는 임목평가 방법은?(2008년 07월)
     1. 임목 기망가
     2. 임목 매매가
     3. 임목 재산가
     4. 임목 비용가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임목 비용가 = 원가, 최저 한도액

57. Moller의 항속림사상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2008년 05월)
     1. 합자연성의 원칙
     2. 환경보전의 원칙
     3. 수익성의 원칙
     4. 공공성의 원칙

     정답 : []
     정답률 : 64%

58. 산림조사 결과 다음과 같을 때 평균임령은?(2019년 04월)

    

     1. 35년
     2. 36년
     3. 37.5년
     4. 38년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30*20+35*10+40*10+45*10 / 20+10+10+10) = 3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어떤 임분의 면적이 10ha이고 표준지 면적이 0.1ha이며 표준지 재적이 10m3이라면 임분재적(m3)은?(2016년 08월)
     1. 1
     2. 10
     3. 100
     4. 1000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임분재적 10/0.1 * 10 = 1,0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0.1ha : 10m3 = 10ha : x
x = 10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다음 임업 수입 중 주수입에 속하는 것은?(2010년 07월)
     1. 수피 생산
     2. 열매 생산
     3. 토석 채취
     4. 죽재 생산

     정답 : []
     정답률 : 61%

61. 최대강유량이 50mm/hr, 집수면적이 50ha, 유출계수가 0.5일때의 유량(m3/sec)은?(2014년 08월)
     1. 3.21
     2. 3.47
     3. 4.86
     4. 5.12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유량은 0.002778 * 유출계수 * 면적 * 유량
= 0.002778 * 0.5 * 50 * 50 = 3.4725

62. 1 : 25000 지형도에서 양각기 계획법으로 임도망을 편성하려고 한다. 종단물매를 5%로 계획할 때 두 등고선 간의 도상거리는 몇 mm인가?(2008년 05월)
     1. 0.5
     2. 0.8
     3. 5
     4. 8

     정답 : []
     정답률 : 44%

63. 반지름이 다른 곡선이 같은 방향으로 연속되는 곡선은?(2007년 03월)
     1. 복심곡선
     2. 배향곡선
     3. 반향곡선
     4. 완화곡선

     정답 : []
     정답률 : 57%

64. 다음 중 임도의 설계순서로 맞는 것은?(2013년 06월)
     1. 예비조사→답사→예측→실측→설계
     2. 예측→예비조사→답사→실측→설계
     3. 답사→예비조사→예측→실측→설계
     4. 답사→예측→예비조사→실측→설계

     정답 : []
     정답률 : 88%

65. 벌목작업 시 벌도목이 인근 나무에 걸렸을 때 해결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8년 04월)
     1. 걸려있는 인근 나무를 베도록 한다.
     2. 걸치고 있는 나무를 별도하여 함께 넘긴다.
     3. 걸린 나무에 올라간 흔들어 떨어뜨리도록 한다
     4. 지렛대를 사용하여 걸린 나무를 돌려 낙하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66. 임도 설치를 위한 현지측량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전체 구간에서 절토량은?(2020년 08월)

    

     1. 2,750m3
     2. 4,250m3
     3. 6,750m3
     4. 8,000m3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임도 설치를 위한 현지측량에서 측점 간격은 20m로 한다.
측점1 - 측점2        : ((100+200) /2) X 20 = 3,000
측점2 - 측점+5.0 : ((200+300) /2) X 5 = 1,250

합계 : 4,250m3

측점1 -- -- -- -- -- 측점2 -- 측점2+5.0 -- -- -- -- 측점3
    0m            (20m)             20m (5m)    25m             (15m)            40m
[해설작성자 : 도전산림산업기사]

67. 와이어로프의 안전계수를 바르게 나타낸 식은?(2015년 08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0%

68. 산사태와 땅밀림의 차이점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2009년 07월)
     1. 산사태는 지하수에 의한 영향이 크다.
     2. 땅밀림은 계속 재발 가능성이 크다.
     3. 산사태는 땅밀림에 비해 규모가 작다.
     4. 산사태는 사질토로된 지점에서 많이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69. 다음 체인톱에 의한 벌채방법 중 틀린 것은?(2011년 08월)
     1. 수구는 흉고직경 40cm의 입목일 때는 수구길이를 벌채부위 직경의 1/4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2. 수구의 각도는 30~45°가 표준이다.
     3. 벌채부위의 높이는 대략 지상 20cm내외의 높이가 적당하다.
     4. 수구의 반대방향으로 나무가 넘어가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70. 황폐계천 사방공작물 중 종공작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1. 수제
     2. 둑쌓기
     3. 바닥막이
     4. 기슭막이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황폐계천 사방공작물 중 횡공작물 - 바닥막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1. 비탈면 붕괴에 관여하는 주요 요인이 아닌 것은?(2014년 08월)
     1. 임상
     2. 토질
     3. 임령
     4. 지형

     정답 : []
     정답률 : 69%

72. 트랙터의 구입가격이 5000만원이고 수명이 5000시간이며 잔존가치는 구입가격의 20%일 때 이 기계의 시간당 감가상각비는?(2016년 05월)
     1. 1,250원
     2. 8,000원
     3. 12,500원
     4. 80,000원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시간당 감가상각비 = (취득원가-잔존가치)/추정 총 작업시간
=[50,000,000-(50,000,000x0.2)]/5,000
=8,000
*작업시간비례법 = 실제작업시간x시간당감가상각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3. 임도 비탈면에 돌쌓기를 한 경우 지름 3cm 정도의 물빼기 구멍을 설치한다.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것은?(2015년 08월)
     1. 3 ~ 4m2에 1개 설치
     2. 2 ~ 3m2에 1개 설치
     3. 1.5 ~ 2m2에 1개 설치
     4. 1m2에 1개 설치

     정답 : []
     정답률 : 67%

74. 비탈면 녹화용 피복자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7년 05월)
     1. 그라우트
     2. 볏집거적
     3. 쥬트네트
     4. 코이어네트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그리우트는 토목공사에서 누수방지 공사나 토질 안정 등을 위하여 지반의 갈라진 틈,공동 등에 충전재를 주입하는 일이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75. 설계속도가 30km/h인 일반지형 임도의 경우에 종단기울기 설치 기준은?(2017년 08월)
     1. 7% 이하
     2. 8% 이하
     3. 10% 이하
     4. 12% 이하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일반지형    속도별 종단 기울기 설치 기준
40km    : 7% 이하
30km. : 8% 이하
20km : 9% 이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6. 일반적으로 기계를 도입하는 것이 경제적인지 혹은 동일한 역할을 가진 2종류 이상의 기계화 작업방식의 경제성을 비교하는 경우 임업기계화 적부판정에 이용되는 것은?(2011년 08월)
     1. 손익분기점
     2. 최적투자법
     3. 기계경비와 인건비
     4. 감가상각비

     정답 : []
     정답률 : 44%

77. 깍아 낸 보통 흙의 경우 일반적인 팽창율은 얼마인가?(2009년 03월)
     1. 5~10%
     2. 10~20%
     3. 20~30%
     4. 30~40%

     정답 : []
     정답률 : 64%

78. 임목수확작업 과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20년 06월)
     1. 간재
     2. 집재
     3. 조재
     4. 목재

     정답 : []
     정답률 : 46%

79. 중력댐의 안정조건이 아닌 것은?(2013년 08월)
     1. 기초지반의 지지력에 대한 안정
     2. 전도에 대한 안정
     3. 활동에 대한 안정
     4. 물매에 대한 안정

     정답 : []
     정답률 : 66%

80. 다음 ( )안에 들어갈 용어가 아닌 것은?(2017년 05월)

    

     1.
     2. 쇄석
     3. 자갈
     4. 콘크리트

     정답 : []
     정답률 : 79%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산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9666447)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21 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7월31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1920 양화장치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20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919 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8298149)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1918 제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4월04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917 수능(법과정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3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916 소방시설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9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915 건설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10월10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914 농기계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7월20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913 9급 지방직 공무원 임업경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912 사회복지사 1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2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3
1911 수능(지구과학I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6346594)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 산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9666447)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1909 물류관리사 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8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908 통신설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3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907 실내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8608522)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1906 디지털영상편집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11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905 종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7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904 굴삭기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7월13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1 3
1903 청소년상담사 1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0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902 9급 지방직 공무원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184 Next
/ 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