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661114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안전관리론


1. 다음의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 내 안전ㆍ보건 교육의 교육대상별 교육내용에 있어 관리감독자 정기 안전ㆍ보건교육에 해당하는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0년 09월)
     1.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2.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에 관한 사항
     3. 작업 개시 전 점검에 관한 사항
     4. 사고 발생시 긴급조치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보기 2번은 근로자 정기교육
보기 3, 4번은 채용시/작업 내용 변경 시 교육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년도 개정안에 따르면 4번은 정기교육 및 채용시 교육/작업내용 변경시 교육에 다 해당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관리자 교육 훈련(MTP)시간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6년 03월)
     1. 20시간(4시간×5회)
     2. 20시간(2시간×10회)
     3. 40시간(4시간×10회)
     4. 40시간(2시간×20회)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1.MTP : 10~15명으로 2시간씩 20회, 총 40시간
2.ATP : 매주 4일, 4시간씩 8주간, 총 128시간
3.ATT : 1차훈련과 2차 훈련으로 진행됨
        1) 1차과정 : 1일 8시간씩 2주간
        2) 2차과정 :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3.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검사 대상 유해ㆍ위험 기계에 해당하는 것은?(2022년 03월 08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2012년 03월)
     1. 크레인(정격 하중이 2톤 미만)
     2. 이동식 국소배기장치
     3. 밀폐형 롤러기
     4. 산업용 원심기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2022년 03월 08일 개정된 규정]
제78조(안전검사대상기계등)
① 법 제93조제1항 전단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1. 프레스
2. 전단기
3. 크레인(정격 하중이 2톤 미만인 것은 제외한다)
4. 리프트
5. 압력용기
6. 곤돌라
7. 국소 배기장치(이동식은 제외한다)
8. 원심기(산업용만 해당한다)
9. 롤러기(밀폐형 구조는 제외한다)
10. 사출성형기[형 체결력(型 締結力) 294킬로뉴턴(KN) 미만은 제외한다]
11. 고소작업대(「자동차관리법」 제3조제3호 또는 제4호에 따른 화물자동차 또는 특수자동차에 탑재한 고소작업대로 한정한다)
12. 컨베이어
13. 산업용 로봇
② 법 제93조제1항에 따른 안전검사대상기계등의 세부적인 종류, 규격 및 형식은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관리자 입니다.
2012년 실제 출제된 문제의 1번 보기는
"이동식 크레인" 이었지만 관련규정 개정으로 인하여 1번 보기를
크레인(정격 하중이 2톤 미만) 으로 변경하여
중복 답안이 될수 있는 것을 방지 하였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레빈(Lewin)의 법칙 B=f(PㆍE) 중 B가 의미하는 것은?(2018년 03월)
     1. 인간관계
     2. 행동
     3. 환경
     4. 함수

     정답 :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B : behavior(인간의 행동)
P : person(개체:연령, 경험, 심신 상태, 성격, 지능, 소질)
E : environment(심리적 환경-인간관계, 작업환경)
f : function함수관계(적성, 기타 P와 E에 영향을 주는 조건)
[해설작성자 : ysys9004]

5. 산업안전보건법상 특별안전보건교육에서 방사선 업무에 관계되는 작업을 할 때 교육내용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3월)
     1. 방사선의 유해·위험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
     2. 방사선 측정기기 기능의 점검에 관한 사항
     3. 비상 시 응급처리 및 보호구 착용에 관한 사항
     4. 산소농도측정 및 작업환경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5] 안전보건교육 교육대상별 교육내용(제26조제1항 등 관련)
라. 특별교육 대상 작업별 교육
33. 방사선 업무에 관계되는 작업(의료 및 실험용은 제외한다)
○ 방사선의 유해ㆍ위험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
○ 방사선의 측정기기 기능의 점검에 관한 사항
○ 방호거리ㆍ방호벽 및 방사선물질의 취급 요령에 관한 사항
○ 응급처치 및 보호구 착용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안전ㆍ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
[해설작성자 : iykim71]

6. 재해발생시 조치순서 중 재해조사 단계에서 실시하는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1년 03월)
     1. 현장보존
     2. 관계자에게 통보
     3. 잠재위험요인의 색출
     4. 피해자의 응급조치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산업재해발생
2.긴급처리: 이때 피재기계의 정지, 응급조치 ,관계자에게 통보, 2차재해방지, "현장보존"
3.재해조사: 6하원칙에 의거 사상자보고/" 잠재위험요인의 색출"
4.원인강구: 원인분석(사람,물체,관리)
5.대책수립
6.대책실시계획
7.실시
8.평가
[해설작성자 : 이태원동존잘러]

7. 다음 중 의무안전인증대상 안전모의 성능기준 항목이 아닌 것은?(2014년 05월)
     1. 내열성
     2. 턱끈풀림
     3. 내관통성
     4. 충격흡수성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성능기준항목
1. 내관통성
2. 충격흡수성
3. 내수성
4. 내전압성
5. 난연성
6. 턱끈풀림

8. 재해 사례 연구 순서가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2005년 03월)
     1. 재해상황 파악 - 문제점 발견 - 사실확인 - 근본 문제점 결정 - 대책수립
     2. 문제점 발견 - 재해상황 파악 - 사실확인 - 근본 문제점 결정 - 대책수립
     3. 재해상황 파악 - 사실확인 - 문제점 발견 - 근본 문제점 결정 - 대책수립
     4. 문제점 발견 - 재해상황 파악 - 대책수립 - 근본 문제점 결정 - 사실확인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암기팁]
재해상황 파"악" - 사실확 "인"        "악인"으로 외우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맑갑]

9.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 내 안전ㆍ보건교육에 있어 탱크 내 또는 환기가 극히 불량한 좁은 밀폐된 장소에서 용접작업을 하는 근로자에게 실시하여야하는 특별안전ㆍ보건교육의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기타 안전ㆍ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은 제외한다.)(2012년 03월)
     1. 환기설비에 관한 사항
     2. 작업환경 점검에 관한 사항
     3. 질식 시 응급조치에 관한 사항
     4. 안전기 및 보호구 취급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4. 전격 방지 및 보호구 착용에 관한 사항

10. 강의식 교육지도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단계는?(2021년 08월)
     1. 도입
     2. 제시
     3. 적용
     4. 확인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시간 소비 많은 단계
강의식 - 제시
토의식 - 적용
[해설작성자 : 비보험코스트코]

강제 토적(도적) 외우면 쉽습니당
[해설작성자 : 이걸 해야하나..]

11. 사업장의 안전 교육 훈련 특징이 아닌 것은?(2005년 09월)
     1. 기업의 목적에 따라 계획하고 실시하는 것이다.
     2. 교육 훈련에 의해 기업 이익을 기대한다.
     3. 필요할 때 집중적으로 실시한다.
     4.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보다 이해하는데 중점을 둔다.

     정답 : []
     정답률 : 41%

12. 도수율이 24.5 이고, 강도율이 1.15인 사업장이 있다. 이 사업장에서 한 근로자가 입사하여 퇴직할 때까지 몇 일간의 근로손실일수가 발생하겠는가?(2013년 08월)
     1. 2.45일
     2. 115일
     3. 215일
     4. 245일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환산강도율 : 강도율*100 = 1.15*100 =115일
[해설작성자 : 든다기]

13. 다음 중 위치, 순서, 패턴, 형상, 기억오류 등 외부적 요인에 의해 나타나는 것은?(2006년 05월)
     1. 메트로놈
     2. 리스크 테이킹
     3. 부주의
     4. 착오

     정답 : []
     정답률 : 75%

14. 안전 보건 표지의 종류와 형태가 잘못 짝지워진 것은?(2006년 03월)
     1. : 응급구호표지
     2. : 유해물질경고
     3. : 세안장치
     4. : 출입금지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1. 녹십자 표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응급구호표지는 원형이 아닌 사각형, 십자모양이 흰색이고 배경이 녹색
참고로 2번 유해물질경고는 비표준이므로 엄밀히 따지면 더 이상 의미 없는 문제라 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집에서는 공부가 안 돼]

15. 다음 중 관료주의의 중요한 4가지 차원이 아닌 것은?(2005년 09월)
     1. 조직도에 나타난 조직의 크기와 넓이
     2. 관리자가 책임질 수 있는 근로자 수
     3. 관리자를 대단위로 묶어 분산
     4. 작업의 단순화와 전문화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관료제는 명확한 계층구조와 중앙집중적 통제를 중시하는데 3번은 분권화나 탈관료적 조직(팀제 운영 등)에 가까운 개념입니다.
[해설작성자 : 2005년 이스탄불의 기적]

16. 레빈(Lewin)은 인간의 행동 특성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였다. 변수 “E"가 의미하는 것은?(2017년 05월)

    

     1. 연령
     2. 성격
     3. 작업환경
     4. 지능

     정답 : []
     정답률 : 93%
     <문제 해설>
인간의행동(B) = 함수(f)(P(연령/경험) * E(관계/환경))
[해설작성자 : 청라다중이]

B : Behavior 행동
P : Personality 성격
E : Environment 환경

17. 다음 중 적성의 기본요소라 할 수 있는 것은?(2011년 08월)
     1. 지능
     2. 교육수준
     3. 환경조건
     4. 가족관계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직무를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지능은 그 직무의 내용이나 수준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해설작성자 : 산안기가즈아]

적성의 기본요소
1. 인간성(성격)
2. 지능
3. 흥미
4. 직업적성
[해설작성자 : 팬더]

18. 매슬로우(Maslow)의 욕구 5단계 이론 중 자기보존에 관한 안전욕구는 몇 단계에 해당되는가?(2016년 08월)
     1. 제1단계
     2. 제2단계
     3. 제3단계
     4. 제4단계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매슬로우(Maslow)의 욕구 5단계
1단계 - 생리적 욕구 : 식욕, 갈증, 휴식등 기타 육체적 필요에 대한 욕구 (성욕 포함)
2단계 - 안전 욕구 : 신체적 또는 정서적 위협으로부터 안전과 보호
                                    오늘날 경제적 안정 욕구라는 강한 욕구로 남아있음
3단계 - 사회적 욕구(귀속 욕구) : 애정, 소속감, 수용, 우정등에 대한 욕구
                                     동료집단에 소속되고 싶어하며 동료애를 나누기 원함
                                     이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개인과 집단간 갈등이 생길수 있음
4단계 - 존경 욕구 : 자아 존중감, 자율성등 내적 자존감 요소와 지위, 인정등 외적 자존감 요소
                                    본인 스스로 중요하다고 느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으로 인정받아야 충족 (Ex. 명예, 명성)
5단계 - 자아실현 욕구 : 자신이 성취할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충동하는 욕구
                                                    창조적인 상태의 실현을 뜻하며 성취감과 자기만족을 줌
[출처] 매슬로우(Maslow)의 욕구 단계 이론 (needs hierarchy theory)|

19. 운동의 시지각(착각현상) 중 자동운동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2년 03월)
     1. 광점이 작은 것
     2. 대상이 단순한 것
     3. 광의 강도가 큰 것
     4. 시야의 다른 부분이 어두운 것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암실 내에 정지된 작은 광점이나 밤하늘의 별들을 응시하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
② 발생하기 쉬운 조건 - ⓐ 광점이 작을수록 ⓑ 시야의 다른 부분이 어두울수록 ⓒ 광의 강도가 작을수록 ⓓ 대상이 단순할수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광의 강도가 작은 것이 자동운동이 생기기 쉽다. 자동운동이란 암실 내에서 정지된 작은 빛을 응시하고 있으면 그 빛이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일단 하고 보자 콩]

20. 다음 중 안전점검 방법에서 육안점검과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2014년 08월)
     1. 테스트 해머 점검
     2. 부식.마모 점검
     3. 가스검지기 점검
     4. 온도계 점검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육안 점검
1. 오염상황의 점검
2. 부식.마모의 점검
3. 계어짐 균열의 점검
4. 액누출.가스누출의 점검
5. 윤활유의 점검
6. 이상한 음의 발생유무의 점검
7. 볼트.너트의 풀림 및 탈락.파손의 점검
[해설작성자 : 홍어낚시꾼]

2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다음 중 기계와 비교하여 인간이 정보처리 및 결정의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은?(2009년 05월)
     1. 연역적 추리
     2. 관찰을 통한 일반화
     3. 정량적 정보처리
     4. 정보의 신속한 보관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인간: 관찰을 통한 일반화하여 귀납적 추리
[해설작성자 : tjsgkr2002]

22. 시스템 수명주기 단계 중 마지막 단계인 것은?(2019년 03월)
     1. 구상단계
     2. 개발단계
     3. 운전단계
     4. 생산단계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시스템 구상
시스템 정의
시스템 개발
시스템 생산
시스템 운전
[해설작성자 : 킴현]

23. 다음 중 작동 중인 전자레인지의 문을 열면 작동이 자동으로 멈추는 기능과 가장 관련이 깊은 오류 방지 기능은?(2014년 08월)
     1. lock-in
     2. lock-out
     3. inter-lock
     4. shift-lock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인터록=연동제어
문과 작동을 연동시켜 제어
[해설작성자 : 사악미소]

24. 인간의 과오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법으로서 인간의 과오율 추정법 등 5개의 스텝으로 되어 있는 기법은?(2005년 09월)
     1. THERP
     2. FTA
     3. FMEA
     4. ETA

     정답 : []
     정답률 : 54%

25. 그림에서 나타내는 기호는 무슨 사상을 나타내는가?(2003년 08월)

    

     1. 결함사상
     2. 기본사상
     3. 통상사상
     4. 생략사상

     정답 : []
     정답률 : 68%

26. 다음 중 사정효과(Range Effect)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2006년 05월)
     1. 조작자가 움직일 수 있는 속도나 조종장치에 가할수 있는 힘에는 상한이 있다.
     2. 조작자는 작은 오차에는 과잉반응, 큰 오차에는 과소 반응한다.
     3. 조작자는 비우발적인 입력신호는 미리 알 수 있다.
     4. 조작자는 오차가 인식의 한계를 넘을 때 까지는 반응하지 못한다.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1.작은 오차: 큰 반응
2.큰 오차 : 과소 반응
*사정효과 : 눈으로 보지 않고 손을 수평면 위에서 움직이는 경우에 짧은 거리는 지나치고 긴 거리는 못미치는 경향

2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설비보전방식의 유형은?(2012년 03월)

    

     1. 개량 보전
     2. 사후 보전
     3. 일상 보전
     4. 보전 예방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개량보전:cm이라하고 기기부품의 수명연장 수리시간단축에 대한 개량대책세우는 방법
사후보전: 유해한 성능저하 이후에 수리하는 보전방식
보전예방:계획 설계하는 단계에서 보전정보나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신뢰성 보전성 경제성 조작성 안정성등을 고려하여
보전불요의설비를 목표로함
예방보전: 설비의 건강상태유지 그리고 열화방지위한 정기검사 또는 설비진단

예방보전과 보전예방은 헷갈리기 쉬우므로 포인트단어를 중심으로 암기해놓길 바래요~
[해설작성자 : ㅇㅌㅇㄷㅈㅈㄹ]

28. 어떠한 신호가 전달하려는 내용과 연관성이 있어야 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예로써 위험신호는 빨간색, 주의신호는 노란색, 안전신호는 파란색으로 표시하는 것은 다음 중 어떠한 양립성(compatibility)에 해당하는가?(2013년 03월)
     1. 공간양립성
     2. 개념양립성
     3. 동작양립성
     4. 형식양립성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개념 양립성 : 온수 손잡이는 빨간색, 냉수 손잡이는 파란색의 경우에 해당
[해설작성자 : 빵실00]

29. 다음 중 시스템안전 위험분석(SSHA)을 수행하기 위한 최초의 작업으로서 구상단계나 설계 및 발주의 극히 초기 에 실시되는 것은?(2005년 03월)
     1. 예비위험분석(PHA)
     2. 결함위험분석(FHA)
     3. 시스템안전성위험분석(SSHA)
     4. 결함수분석(FTA)

     정답 : []
     정답률 : 83%

30. 다음 중 인체에서 뼈의 주요 기능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0년 05월)
     1. 인체의 지주
     2. 장기의 보호
     3. 골수의 조혈기능
     4. 영양소의 대사작용

     정답 : []
     정답률 : 82%

31. 대안의 발생 확률이 동일한 경우에 64가지 대안에 대하여 얻을 수 있는 정보량은 얼마인가?(2005년 09월)
     1. 64bit
     2. 16bit
     3. 5bit
     4. 6bit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log264=6
[해설작성자 : 해바라기]

로그는 어려우니 2*2*2*2*2*2=64임 즉 2가6개
문제가 128가지 대안이라고 나오면 2가7개
[해설작성자 : 보라매 오키톡끼]

32. 다음 중 반응시간이 제일 빠른 감각기능은?(2011년 03월)
     1. 청각
     2. 촉각
     3. 시각
     4. 미각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청각 0.17sec
촉각 0.18
시각 0.20
미각 0.29
통각 0.7
[해설작성자 : 이태원동 존잘러]

33. 다음 중 Weber의 법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5월)
     1. Weber비는 분별의 질을 나타낸다.
     2. Weber비가 작을수록 분별력은 낮아진다.
     3. 변화감지역(JND)이 작을수록 그 자극차원의 변화를 쉽게 검출할 수 있다.
     4. 변화감지역(JND)은 사람이 50%를 검출할 수 있는 자극차원의 최소변화이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Weber비가 작을수록 분별력은 낮아진다 ---> 작을수록 좋음
[해설작성자 : lwj]

Weber비가 작을수록 분별력이 뛰어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다음 중 근골격계부담작업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3년 03월)
     1. 하루에 10회 이상 25kg 이상의 물체를 드는 작업
     2.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목, 어깨, 팔꿈치, 손목 또는 손을 사용하여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작업
     3.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쪼그리고 앉거나 무릎을 굽힌 자세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4.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시간당 5회 이상 손 또는 무릎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충격을 가하는 작업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4. 10회이상

35. 다음 중 정보의 전달에 있어서 청각장치보다 시각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로 옳은 것은?(2009년 03월)
     1. Message 가 간단할 때
     2. Message 가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하지 않을 때
     3. Message 가 후에 재참조되지 않을 때
     4. Message 가 시간적인 사상을 다룰 때

     정답 : []
     정답률 : 68%

36. 손이나 특정 신체부위에 발생하는 누적손상장애(CTDs)의 발생 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7년 05월)
     1. 무리한 힘
     2. 다습한 환경
     3. 장시간의 진동
     4. 반복도가 높은 작업

     정답 : []
     정답률 : 76%

37. 산업안전표지로서 경고표지는 삼각형, 안내표지는 사각형 지시표지는 원형 등으로 부호가 고안되어 있다. 이처럼 부호가 이미 고안되어 있으므로 이를 배워야 하는 부호는?(2005년 03월)
     1. 묘사적 부호
     2. 추상적 부호
     3. 임의적 부호
     4. 사실적 부호

     정답 : []
     정답률 : 57%

38. 다음 중 공기의 온열조건의 4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3년 08월)
     1. 대류
     2. 전도
     3. 반사
     4. 복사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대류        2:전도        3:복사        4:증발
[해설작성자 : 사니조아]

39. 안전교육을 받지 못한 신입직원이 작업 중 전극을 반대로 끼우려고 시도했으나, 플러그의 모양이 반대로는 끼울 수 없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다음 중 작업자가 범한 에러와 이와 같은 사고 예방을 위해 적용 된 안전설계 원칙으로 가장 적한 것은?(2013년 08월)
     1. 누락(Omission)오류, fool proof 설계원칙
     2. 누락(Omission)오류, fail safe 설계원칙
     3. 작위(Commission)오류, fool proof 설계원칙
     4. 작위(Commission)오류, fail safe 설계원칙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전극을 반대로 끼우려고합니다
->> 작위 commisstion 오류에 해당.

인간의 실수가 있더라도 사고로 연결되지 않도록 하는 설계
->> fool proof 설계
[해설작성자 : 댕래]

풀프루프 = 인간
페일 세이프 = 기계
[해설작성자 : chatgpt]

40. 인체에는 23일 내지 28일 주기의 바이오리듬이 있는반면, 대뇌의 활동수준에도 1일 주기의 조석리듬이 존재한다. 다음 중 조석리듬 수준이 가장 낮아 재해사고의 가능성 이 가장 높은 시간대는?(2004년 03월)
     1. 오전 6시
     2. 오전 10시
     3. 오후 4시
     4. 오후 10시

     정답 : []
     정답률 : 38%

3과목 : 기계위험방지기술


4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롤러기의 방호장치 중 롤러의 앞면 표면 속도가 30m/min 이상 일 때 무부하 동작에서 급정지거리는?(2020년 09월)
     1. 앞면 롤러 원주의 1/2.5 이내
     2. 앞면 롤러 원주의 1/3 이내
     3. 앞면 롤러 원주의 1/3.5 이내
     4. 앞면 롤러 원주의 1/5.5 이내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롤러기 급정지 거리

30미만의 속도 - 앞면 롤러 원주의 1/3
30이상의 속도 - 앞면 롤러 원주의 1/2.5
[해설작성자 : 해내보자 안전기사자격증]

42. 목재가공용 둥근톱 작업에서 분할날과 톱날 원주면과의 간격은 얼마이내가 되도록 조정하는가?(2010년 03월)
     1. 10mm
     2. 12mm
     3. 14mm
     4. 16mm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분할날과 후면날과의 간격 : 12mm 이내
(참고) 분할날의 설치
1. 분할날의 두께는 톱두께의 1.1배이상, 치진폭보다 작을 것
2. 후면날과의 간격은 12mm 이내일 것
3. 후면날의 2/3 이상을 덮을 것
4. 톱날직경이 610mm를 넘는 경우 현수식 분할 날 사용

43. 산업안전보건법상의 승강기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6년 09월)
     1. 에스컬레이터
     2. 화물용승강기
     3. 인화공용승강기
     4. 리프트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산업안전산업기사 필답형] 승강기 종류를 4가지 쓰시오. (단 법령에서 정한 종류를 작성하시오.)
① 승용 승강기
② 인화 공용 승강기
③ 화물용 승강기
④ 에스컬레이터
[해설작성자 : 히둥]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5조
“리프트란 고정된 구조물 안에서 안내로를 따라 사람 또는 화물을 승하강시키는 설비”

즉, 리프트는 승강기의 일종으로 분류됩니다.
인화용 승강기'는 실제 산업안전보건법 또는 승강기 관련 규정에 존재하지 않는 용어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기계의 각 작동 부분 상호간을 전기적, 기구적, 유공압 장치 등으로 연결해서 기계의 각 작동 부분이 정상으로 작동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 되지 않을 경우 자동적으로 그 기계를 작동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은?(2010년 03월)
     1. 인터록기구
     2. 과부하방지장치
     3. 트립기구
     4. 오버런기구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인터록기구 - 정상작동 조건이 만족하지 않으면 작동하지 않음
예시) 엘리베이터 문이 닫히지 않으면 작동하지 않는다.
트립기구 - 신체가 위험영역에 접근 및 접촉시 기계가 정지하거나 복귀함
예시) 엘리베이터 문이 닫힐 때 신체가 접촉되면 문이 다시 열린다.
오버런기구 - 위험 상태나 요소가 해소가 되기 전까지 작동을 지연시킴
예시) 엘리베이터가 도착하더라도 완전히 정지되지 않으면 문이 열리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KIIK]

45. 연삭숫돌의 지름이 20cm이고, 원주속도가 250m/min일 때 연삭숫돌의 회전수는 약 얼마인가?(2012년 03월)
     1. 397.89 rpm
     2. 403.25 rpm
     3. 393.12 rpm
     4. 406.80 rpm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원주속도(V)=πDN/1000
*D(연삭숫돌의 지름), N(연삭숫돌의 회전수)
연삭숫돌의 회전수(N)=V*1000/πD
=(250*1000)/(π*(20*10))
=397.887 = 397.89
*연삭숫돌의 지름(Cm)와 원주속도에 사용된 단위(mm)의 일치를 위해 지름*10을 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는 해설과 다르게 mm가아닌 m로 표시되있음
[해설작성자 : 에어컨]

[오류신고 반론]
D 의 지름 값은 mm값을 넣어야 RPM의 각속도가 곱해져 원주속도 M/Min이 나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연삭 숫돌의 지름(N)=원주속도(V)*1000/파이*연삭숫돌 지름(D) 로 계산을 진행하게 되면
(250*1000)/(3.14*(20*10) 의 게산식이 나오게 됩니다.
이 계산식으로 계산을 하였을 떄, 397.89가 아닌 398.09 가 나오게 되어서 정답이 없다고 생각이 듭니다.

[오류신고 반론]
1000v                1000X 250
--------    =     ---------    = 정답 나옵니다    
3.14 X D            3.14X 20

개인생각 적는곳이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양평사나이]

[추가 오류 신고]
원주율을 3.14만 넣으면 398.09가 나오고 원주율을 3.1415926535 이하값까지 넣어야 397.89가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쿠얼]

4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프레스 및 전단기에서 안전 블록을 사용해야 하는 작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8월)
     1. 금형 가공작업
     2. 금형 해체작업
     3. 금형 부착작업
     4. 금형 조정작업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안전블럭]
프레스 금형의 부착, 해체, 조정, 수리 작업의 경우에 슬라이드의 낙하를 방지
(단, 금형의 가공작업은 사용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양파한망]

금형을 부착, 해체, 조정 작업할 때 신체 일부가 위험점 내에서 슬라이드 불시 하강으로 인한 위험을 방지할 목적으로 안전블럭을 설치한다.(금형 '수리'작업은 해당되지 않는다)
-구민사 주요핸드북 p.109 5. 금형의 안전화
[해설작성자 : 돈짓는쿠쿠]

프레스 및 전단기 안전블록-수조해부
[해설작성자 : 허찬]

47. 선반에서 일감의 길이가 지름에 비하여 상당히 길 때 사용하는 부속품으로 절삭 시 절삭저항에 의한 일감의 진동을 방지하는 장치는?(2021년 08월)
     1. 칩 브레이커
     2. 척 커버
     3. 방진구
     4. 실드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칩 브레이커 : 칩을 짧게 절단하는 장치
2.척 커버 : 기어 등을 복개하는 장치
3.방진구 : 일감의 길이가 지름에 비하여 상당히 길때 사용하는 부속품으로 절삭 시 절삭저항에 의한 진동을 방지
4.쉴드 : 침 및 절삭유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플라스틱 덮개
[해설작성자 : 궁금만땅]

문제의 진동을 방지하는 장치라는 해설을 참조하여
보기의 사전적 의미를 찾으면 쉽게 답을 찾을 수 있음.
ㄴ 방진 ... 진동을 방지
ㄴ 방진구 원 기능 ... 공작물이 처지거나 떨리는 현상을 줄여주는 장치
[해설작성자 : Bowlove]

48. 프레스의 방호장치 중 광전자식 방호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연속 운전작업에 사용할 수 있다.
     2. 핀클러치 구조의 프레스에 사용할 수 있다.
     3. 기계적 고장에 의한 2차 낙하에는 효과가 없다.
     4. 시계를 차단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광전자식 방호장치

핀클러치 (x)        마찰클러치 (o)
[해설작성자 : 리치꼬미]

광전자식 방호장치
1. 프레스의 광전자식 방호장치는 핀클러치 구조 프레스에는 사용할 수 없다.
2. 광원에 의한 분류 : 백열전구형, 발광 다이오드형
3. 수광방법에 의한 분류 : 반사형, 투과형
[해설작성자 : 빡고수박교수]

49. 다음 용접 중 불꽃 온도가 가장 높은 것은?(2019년 04월)
     1. 산소-메탄 용접
     2. 산소-수소 용접
     3. 산소-프로판 용접
     4. 산소-아세틸렌 용접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아세틸렌용접 3430° 프로판용접 2820° 메탄용접 2700° 수소용접 2900° 입니다
[해설작성자 : 공장노동자 이노쓰]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아세틸린 3000도입니다 (출처 나합격 24년판)
[해설작성자 : 하늘감자]

[오류신고 반론]
불꽃 온도는 가스의 순도, 혼합비, 가압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3430도가 틀리다고 볼 수도 없고 3000가 맞다고도 볼 수 없습니다.
온도 개념에 대한 오해로 해설이 기재되어 추가 해설 남깁니다.
산소-아세틸렌 용접은 조건에 따라 약 3,150~3,500°C 정도 까지도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수치가 중요한게 아니지만 근접한 수치는 알아두셔야 할 부분이네요.
[해설작성자 : 닥터김]

50. 선반작업시 사용되는 방진구는 일반적으로 공작물의 길이가 직경의 몇 배 이상일 때 사용하는가?(2015년 03월)
     1. 4배 이상
     2. 6배 이상
     3. 8배 이상
     4. 12배 이상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방진구: 공작물의 길이가 직경의 12~20배 이상인 가늘고 긴 가공물을 고정하는 장치
[해설작성자 : 큐넷접수노예]

51. 크레인의 사용 중 하중이 정격을 초과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상승이 정지되는 장치는?(2020년 08월)
     1. 해지장치
     2. 이탈방지장치
     3. 아우트리거
     4. 과부하방지장치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과부화방지장치 : 크레인의 사용 중 하중이 정격을 초과하였을 때 자동으로 상승이 정지되는 장치    
[해설작성자 : 제발따자]

52. 다음 중 소성가공을 열간가공과 냉간가공으로 분류하는 가공온도의 기준은?(2012년 05월)
     1. 융해점 온도
     2. 공석점 온도
     3. 공정점 온도
     4. 재결정 온도

     정답 : []
     정답률 : 68%

53. 무부하 상태에서 지게차 주행 시의 좌우 안정도 기준은? (단, V는 구내최고속도[km/h]이다.)(2010년 05월)
     1. (15+1.1×V)% 이내
     2. (15+1.5×V)% 이내
     3. (20+1.1×V)% 이내
     4. (20+1.5×V)% 이내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지게차의 안정도
1. 하역 작업시 전후 안정도 : 4% (5톤 이상은 3.5%)
2. 주행시의 전후 안정도 : 18%
3. 하역 작업시 좌우 안정도 : 6%
4. 주행시의 좌우 안정도 : (15+1.1*V)% 이내 (V : 최고속도)
5. 경사로의 안정도 = 높이 / 수평지면 X 100
[해설작성자 : 이승원]

54. 급정지기구가 부착되어 있지 않아도 유효한 프레스의 방호장치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양수기동식
     2. 가드식
     3. 손쳐내기식
     4. 양수조작식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급정지기구 부착되야만하는장치ㅡ양수조작식.감응식
급정기기구 부착되어있지않아도되는장치ㅡ양수기동식.게이트가드식.수인식.손쳐내기식

[추가 해설]
양수조작식(급정지기구를 가진 마찰식클러치 프레스) :
2개의 누름단추에서 손을 떼면
프레스의 급정지기구가 작동하여
손이 금형에 도달하기 전에 슬라이드를 정지하는 방식으로
안전 1행정 운전방식이 있는 마찰식 클러치에 부착한다.

양수기동식(급정지기구가 없는 확동식클러치 프레스) :
손을 누름단추에서 떼어 금형의 위험한계에 손이 도달하기 전에
슬라이드가 하사점에 도달하기 때문에
이 방법은 분당 행정수가 120이상인 프레스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iykim71]

양수기동식 미부착 외우는 법
양수가 게이트를 손으로 열려하자    성규가 손쳐내면서 막았다

이거제외한 나머지 부착해야하는 장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5. 다음 중 포터블 벨트 컨베이어(potable belt conveyor) 운전시 준수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2년 05월)
     1. 공회전하여 기계의 운전상태를 파악한다.
     2. 정해진 조작 스위치를 사용하여야 한다.
     3. 운전시작 전 주변 근로자에게 경고하여야 한다.
     4. 하물 적치 후 몇 번씩 시동, 정지를 반복 테스트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하물 적치 후 -> 하물를 적치하지 않은 상태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중대재해]

56. 숫돌 바깥지름이 150mm일 경우 평형 플랜지의 지름은 최소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 가?(2018년 04월)
     1. 25mm
     2. 50mm
     3. 75mm
     4. 100mm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⑤ 연삭숫돌의 고정법 : 플랜지는 연삭숫돌 지름의 1/3 크기
[해설작성자 : ㄱㅈㅂㄱ]

150mm * 1/3 = 50mm
[해설작성자 : 예린하린]

57. 회전축, 커플링에 사용하는 덮개는 다음 중 어떠한 위험점을 방호하기 위한 것인가?(2015년 03월)
     1. 협착점
     2. 접선물림점
     3. 절단점
     4. 회전말림점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협착점: 프레스기, 전단기, 성형기
2. 접선물림점: 벨트와 풀리, 체인과 스프로컷, 잭과 피니언
3. 절단점: 날, 커터를 가진 기계
[해설작성자 : 코로오롱]

58. 압력용기 등에 사용되는 압력방출장치에 관한 설명 중 맞는 것은?(2004년 09월)
     1. 사용시 월1회 이상 압력계(표준압력계)를 이용하여 토출 압력을 시험한다.
     2. 설치후 1주일에 1회이상 작동시험을 하여 성능이 유지될 수 있게 한다.
     3. 압력방출장치가 최고 사용압력 이후에 작동되게 설정한다.
     4. 직렬로 접속된 공기압축기에는 과압방지 압력 방출 장치를 각단마다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39%

59. 단면적이 1800mm2 인 알루미늄 봉의 파괴강도는 70MPa 이다. 안전율을 2.0으로 하였을 때 봉에 가해질 수 있는 최대하중은 얼마인가?(2013년 03월)
     1. 6.3kN
     2. 126kN
     3. 63kN
     4. 12.6kN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최대하중=(파괴강도*면적)/안전률
=[(70*10^3)*(1800*10^-6)]/2.0=63kN
[해설작성자 : 든다기]

파괴하중=파괴강도*단면적
안전율=파괴하중/최대하중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70*10^6)*(1800*10^-6)/2
[해설작성자 : ㅇㅇ]

70Mpa = 70N/mm^2
70N/mm^2 × 1800mm^2 = 63000N
63000N = 63KN
[해설작성자 : 쉽게쉽게]

70Mpa = 70N/mm^2
70N/mm^2(파괴강도) × 1800mm^2(단면적) / 2(안전율) = 63000N
63000N = 63KN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비파괴 검사 방법으로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인장 시험
     2. 음향 탐상 시험
     3. 와류 탐상 시험
     4. 초음파 탐상 시험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비파괴 시험의 종류(8)
1.육안검사 2.누설검사 3.침투탐상시험 4.초음파탐상시험 5.자분탐상시험
6.음향탐상시험 7.방사선투과시험 8.와류탐상시험
[해설작성자 : 오스카]

인장시험은 금속의 대표적인 '파괴 시험'이다.
[해설작성자 : 마텐이]

인장검사는 기계로 물체의 양쪽끝단을 잡고 서로 반대쪽으로 잡아당겨서 끊어지기 직전까지 얼마나 길게 늘어나냐(인장:한자로 길 장)를 검사하는겁니다
끊어질때까지 당기니까 당연히 파괴되겠죠ㅎ;
[해설작성자 : 건군]

4과목 : 전기위험방지기술


61. 다음 설명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2016년 05월)

    

     1. 충돌대전
     2. 박리대전
     3. 유동대전
     4. 분출대전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박리대전-밀착된 물체가 떨어지면서 자유전자의 이동으로 발생한다.
충돌대전-입자와 다른 고체와의 충돌과 급속한 분리에 의해 발생한다.
분출대전-기체,액체,분체류가 단면적이 작은 분출구를 통과할 때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62. 교류 아크용접기의 자동전격방지장치는 아크 발생이 중단된 후 출력측 무부하 전압을 몇 [V] 이하로 저하시켜야 하는가?(2011년 06월)
     1. 25~30
     2. 35~50
     3. 55~75
     4. 80~100

     정답 : []
     정답률 : 72%

63. 피뢰기의 설치장소가 아닌 것은? (단, 직접 접속하는 전선이 짧은 경우 및 피보호기기가 보호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가 아니다.)(2017년 03월)
     1. 저압을 공급 받는 수용장소의 인입구
     2. 지중전선로와 가공전선로가 접속되는 곳
     3. 가공전선로에 접속하는 배전용 변압기의 고압측
     4. 발전소 또는 변전소의 가공전선 인입구 및 인출구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전기화재및예방대책(피뢰설비)
- 피뢰기설치장소 : 발전소및변전소의 가공전선 인출입구, 가공전선로 배전용변압기의 고압측, 고압의 가공전선로로부터 수용장소의 인입구, 가공전선로와 지중전선로의 접속점
[해설작성자 : 나웅희]

64. 전기기기, 설비 및 전선로 등의 충전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장비는 어느 것인가?(2011년 03월)
     1. 위상 검출기
     2. 디스콘 스위치
     3. COS
     4. 저압 및 고압용 검전기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검전기 : 전원의 충전여부 확인하는 장비
[해설작성자 : 이태원동존잘러]

65. 인체가 감전되었을 때 그 위험성을 결정짓는 주요 인자와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8월)
     1. 통전시간
     2. 통전전류의 크기
     3. 감전전류가 흐르는 인체부위
     4. 교류 전원의 종류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크기>시간>경로>종류
[해설작성자 : 훈이랍니다.]

*전원의 종류 (직류인지 교류인지)
참고로 교류가 직류보다 더 위험
[해설작성자 : 산안기가즈아]

아무리봐도 1차적 감젘위험과 2차적감전위험 설명인거같은데 1차적이 주요원인임
2차적감전위험요소로서 인체조건 전압 주파수 계절임
[해설작성자 : 이거틀림]

66. 고압 활선 작업시 조치 사항 중 잘못된 것은?(2004년 09월)
     1. 접근 한계거리 유지
     2. 절연용 보호구 착용
     3. 활선작업용 기구 사용
     4. 절연용 방호용구 설치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1번은 '충전전로 인근에서 작업'할 때의 조치사항
나머지 보기는 '충전전로를 취급'하는 것임
(용어 출처: 안전보건규칙)
[해설작성자 :바보인가봐 ♬]

67. 감전 사고시 전선이나 개폐기 터미널 등의 금속분자가 고열로 용융됨으로서 피부 속으로 녹아 들어가는 것은?(2012년 05월)
     1. 피부의 광성변화
     2. 전문
     3. 표피박탈
     4. 전류반점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피부의 광성 변화 : 감전사고시 전선로의 선간단락 또는 지락사고로 전선이나 단자 등의 금속 분자가 가열, 용융되어 인근 작업자의 피부속으로 녹아들어가게 되어 국지적으로 화상을 입게 된다.
[해설작성자 : 달구마미]

68. 전기용품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하고 있는 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는 정격감도전류 동작시간은 얼마 이하로 되어 있는가?(2004년 03월)
     1. 5mA 이하, 0.1초 이내
     2. 30mA 이하, 0.03초 이내
     3. 15mA 이하, 0.03초 이내
     4. 30mA 이하, 0.1초 이내

     정답 : []
     정답률 : 68%

69. 안전모의 “내전압성”이란 몇 [V] 이하의 전압에서 견딜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가?(2007년 05월)
     1. 4000
     2. 5000
     3. 6000
     4. 7000

     정답 : []
     정답률 : 61%

70. 다음 중 전기화재시 소화에 부적합한 소화기는?(2005년 05월)
     1. 사염화탄소 소화기
     2. 분말 소화기
     3. 산알칼리 소화기
     4. CO2 소화기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산알칼리 소화기는 a급 일반화재용(목재 등)
[해설작성자 : 기냥]

71. 다음 중 전기화재의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2021년 05월)
     1. 절연전선의 열화
     2. 정전기 발생
     3. 과전류 발생
     4. 절연저항값의 증가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절연저항값의 증가 → 감소
[해설작성자 : 지닝]

절연저항값의 발열

72. 폭발성 가스가 있는 위험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기설비의 방폭구조로서 내부에서 폭발하더라도 틈의 냉각효과로 인하여 외부의 폭발성 가스에 착화될 우려가 없는 방폭 구조는?(2012년 05월)
     1. 내압 방폭구조
     2. 유입 방폭구조
     3. 안전증 방폭구조
     4. 본질안전 방폭구조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내압 방폭 - 내부폭발 시 폭발압력을 견디며, 외부의 가스에 인화되지 않는 구조
유입 방폭 - 스파크, 고온 등 발생 부분을 기름 속에 넣어 표면 위 가스에 인화되지 않는 구조
안전증 방폭 - 점화원이 되는 스파크, 고온 등 방지를 위해 기계적, 전기적 안전도 증가. 사고(단선 등)는 고려하지 않음
본질안전 방폭 - 발생되는 스파크, 고온 등 가스의 점화 에너지를 충족하지 않는 구조. 정상상태, 사고 모두 고려함
[해설작성자 : KIIK]

73. 저압방폭전기의 배관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8월)
     1. 전선관용 부속품은 방폭구조에 정한 것을 사용한다.
     2. 전선관용 부속품은 유효 접속면의 깊이를 5mm 이상 되도록 한다.
     3. 배선에서 케이블의 표면온도가 대상하는 발화온도에 충분한 여유가 있도록 한다.
     4. 가요성 피팅(Fitting)은 방폭 구조를 이용하되 내측 반경을 5배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답은 2번이 맞고
전선관용 부속품은 관용 평형나사를 사용하며 5산 이상 결합되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공부자(황)]

74. 접지의 목적과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2019년 08월)
     1. 낙뢰에 의한 피해방지
     2. 송배전선에서 지락사고의 발생 시 보호계전기를 신속하게 작동시킴
     3. 설비의 절연물이 손상되었을 때 흐르는 누설전류에 의한 감전방지
     4. 송배전선로의 지락사고 시 대지전위의 상승을 억제하고 절연강도를 상승시킴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송배전선로의 지락사고시 대지전위의 상승을 유도하고
절연강도를 저하시킴
[해설작성자 : 남돌]

2번이 맞는 이유
전기기사 공부할 때 "접지를 하면 보호계전기의 동작을 확실화시킨다"는 내용이 나옵니다.

4번이 틀린 이유
절연레벨 경감 O
대지전위상승억제라는 말은 그만큼 전압상승을 억제시켰으니, 절연레벨도 낮출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감광보상율은보수율의역수]

기기 및 선로의 이상전압 발생시 대지전위 억제 및 절연강도 경감
변압기의 저고압 혼촉시감전방지
통신장애의 저감
상기건은 인터넷 검색 완료된 자료임
[해설작성자 : 허찬]

접지선에 전류감지기를 달아놓습니다. 어스폴트발생하면 신속하게 CB를 내립니다. 보호기능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조선소]

애초에 이 문제는 애매모호한 보기의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2번은 맞는 말입니다.
4번은 제대로만 적혀 있다면 그것도 맞는 말입니다.
그런대 우리가 알고 가야 할 부분은 대체 절연강도, 절연레벨 이것들이 높을수록 좋으냐? 낮을수록 좋으냐를
알아야 합니다. 절연레벨, 절연강도를 높일수록 그만큼 경비가 올라가게 됩니다. 결국 공사비 자재비 더 들어간다는거죠.
그러니까 쉽게 말해서 절연레벨이 낮아도 사람에게 위험한 일이 발생이 안된다면, 당연히 절연레벨이 낮은게 좋은 것이지,
공사비, 자재비가 더 올라가는 것이 좋은게 아니라는거죠.
접지를 하게되면 절연강도를 저하시킬수 있으니 좋은 것인대
4번의 보기는 절연강도를 올린다고 했으니까 틀린 보기를 낸 것입니다.
문제가 최종 요구하는 것은 틀린 답을 찾아 보라는 것이니 결국 4번이 될 수 밖에 없는 것이지요.
즉 쉽게말해서 1번2번3번 다 맞는 말이고 4번도 맞을뻔 했는대, 끝에 절연레벨을 올린다고 한게 틀리므로 4번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접지는 절연강도를 상승시킴 (X)
접지는 절연강도를 경감시킴(O)
접지 시 절연강도는 높아짐 (O)
[해설작성자 : 베네피셜보이]

75. 정전기 발생 방지책이 아닌 것은?(2005년 03월)
     1. 접지
     2. 가습
     3. 보호구의 착용
     4. 배관내 유속가속

     정답 : []
     정답률 : 56%

76. 다음 중 과전류에 의한 전선의 인화로부터 용단에 이르기 까지 각 단계별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전선전류 밀도는 A/mm2이다.)(2008년 09월)
     1. 인화단계 : 40 ~ 43A/mm2
     2. 착화단계 : 43 ~ 60A/mm2
     3. 발화단계 : 60 ~ 150A/mm2
     4. 용단단계 : 120A/mm2 이상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과전류에 의한 전선의 용단 전류밀도]
단위 : (A/mm^2)
인화 40~43
착화 43~60
발화 60~70
용단 120
[해설작성자 : 궁서최]

77. 전기기계ㆍ기구의 기능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8월)
     1. CB는 부하전류를 개폐(ON-Off)시킬 수 있다.
     2. ACB는 접촉스파크 소호를 진공상태로 한다.
     3. DS는 회로의 개폐(ON-Off) 및 대용량 부하를 개폐시킨다.
     4. LA는 피뢰침으로서 낙뢰 피해의 이상 전압을 낮추어 준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CB: Circuit Breaker, 차단기
ACB: Air Circuit Breker, 기중차단기
DS: Disconnecting Switch, 단로기
LA: Lightening Arrestor, 피뢰기
[해설작성자 : 그대로]

2. 기중차단기(ACB) : 공기 중에서 아크를 자연 소호하는 차단기
3. 단로기(DS) : 반드시 무부하시 개폐 조작을 하여야 한다
4. 피뢰기(LA) : 낙뢰에 의해 구내에 침입하는 이상 전압이나 부하 개폐 시 발생하는 개폐써지 등의 이상 전압을 억제하기 위해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어허]

78. 다음 중 이탈전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09년 03월)
     1. 충전부에 접촉했을 때 근육이 수축을 일으켜 자연히 이탈되는 전류의 크기이다.
     2. 손발을 움직여 충전부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전류를 말한다.
     3. 누전에 의해 전류가 선로로부터 이탈되는 전류로서 측정기를 통해 측정 가능한 전류를 말한다.
     4. 충전부에 사람이 접촉했을 때 누전차단기가 작동하도록 설정한 전류의 값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79. 누전된 전동기에 인체가 접촉하여 500mA의 누전전류가 흘렀고 정격감도전류 500mA인 누전차단기가 동작하였다. 이때 인체전류를 약 10mA로 제한하기 위해서는 전동기 외함에 설치할 접지저항의 크기는 약 몇 Ω인가?(단, 인체저항은 500Ω이며, 다른 저항은 무시한다)(2019년 04월)
     1. 5
     2. 10
     3. 50
     4. 100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병렬연결된 저항을 미지수 x

새로운 저항을 단 후의 전체 전압 = V = I*R = 0.5A*((500*x)/(500+x))ohm
인체에 흐르는 전류 = I' = V'/R' = V/500ohm // 병렬이라 V = V'
문제에서 I' = 10mA = 0.5A*((500*x)/(500+x))ohm/500ohm
x에 대해 계산하면 x=10.20108 ohm

x = 약 10ohm

[추가 해설]
전동기 외함의 접지는 인체를 통하는 회로와 병렬관계
병렬회로에서 전류의 크기는 저항에 반비례
인체저항 Rh = 500, 인체전류 Ih, 접지저항 Rg, 접지전류 Ig 라 하면
Ih + Ig = 500, Ig = 500 - Ih
Rh : Rg = Ih : Ig = Ih : 500 - Ih
Rh = 500 이므로 500 * Ih = Rg * (500 - Ih)
Rg = (500 * Ih) / (500 - Ih) 여기서 Ih = 10 이면 Rg = 5000 / 490 = 10.2 즉 약 10옴
[해설작성자 : iykim71]

저항하고 전류는 반비례 관계 이므로
Rh:Rg=1/Ih:1/Ig=Ig:Ih 입니다
Rh(인체저항)=500옴
Ih(인체전류)=10mA

비례식에서 내항과 외항의 곱은 같으므로,
RhxIh=RgxIg
500옴x10mA=Rgx(500-10)mA

즉, Rg=10.2040816----~=10
[해설작성자 : 아쿠아맨]

간단하게(인체저항×인체전류)/(누전전류-인체전류)
[해설작성자 : 전기기사]

80. 충전전로에 접근된 장소에서 시설물, 건설, 해체, 점검, 수리 또는 이동식 크레인, 콘트리트 펌프카, 항타기, 항발기등 작업시 감전 위험방지 조치 중 부적당한 것은?(2006년 03월)
     1. 해당 충전전로 이설
     2. 절연용 보호구 착용
     3. 절연용 방호구 설치
     4. 감시인 배치

     정답 : []
     정답률 : 26%

5과목 :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81. 다음 중 반응기의 구조 방식에 의한 분류에 해당하는 것은?(2013년 08월)
     1. 유동층형 반응기
     2. 연속식 반응기
     3. 반화분식 반응기
     4. 회분식 균일상반응기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조작방식 : 회분식,균일상,반회분식,연속식
구조방식 : 관형,탑형,교반조형,유동층형
[해설작성자 : 사니조아]

형을 구조해! (구조식에는 형이 붙어요)
[해설작성자 : 기영아살려줘]

8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위험물 또는 위험물이 발생하는 물질을 가열.건조하는 경우 내용적이 얼마인 건조설비는 건조실을 설치하는 건축물의 구조를 독립된 단층 건물로 하여야 하는가?(2014년 03월)
     1. 0.3m3 이하
     2. 0.3m3 ~ 0.5m3
     3. 0.5m3 ~ 0.75m3
     4. 1m3 이상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위험물 또는 위험물이 발생하는 물질을 가열,건조하는 경우 내용적이 1m3 이상인 건조설비
[해설작성자 : 난날알아9]

83. 폭발한계와 완전 연소 조정 관계인 Jones식을 이용하여 부탄(C4H10)의 폭발하한계를 구하면 몇 vol% 인가?(2022년 04월)
     1. 1.4
     2. 1.7
     3. 2.0
     4. 2.3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Jones: 연료몰수와 완전연소에 필요한 공기몰수를 이용하여 화학양론적계수(Cst)를 계산 후 이를 이용하여 폭발하한계와 폭발상한계를 추산하는 식
X1(LEL)=0.55Cst, X2(UEL)=3.50Cst
2C4H10+13O2=8C92+10H2O따라서, 2:3이 최적 산소 농도
산소는 공기중 21%만 있으므로Cst=1/(1+13/2/0.21)*0.55=0.0172따라서, 연소하한계가 1.7vol%
[해설작성자 : 안전의 달인자]

[쉽게 보충 설명]
C4H10의 연소 반응식은 아래와 같음
         2C4H10         +         13O2                    =         8C02         +         10H2O
(연료몰수 2개)    (산소몰수 13개)    
(폭팔하한계를 구하려면 일단 Cst를 구해야함)
Cst = 연료몰수/(연료몰수+공기몰수) X 100 => 2 / [ 2 + ( 13 / 0.21) ] X 100    = 3.129
(여기서 산소는 공기중의 21%이므로 13에 0.21를 나눠준다) -> 비슷한문제 하나씩 나오므로 외우기
Jones식 LFL(연소하한계) = Cst X 0.55    UFL(연소상한계) = Cst X 3.5
문제에서 폭발(연소)하한계를 구하라 했으니 3.129(Cst) X 0.55 = 1.72....
[해설작성자 : 노베이스산안기파이터]

공식 쉬운 거
1+4.773(탄소+수소/4)         했을시
1+4.773(4 + 10/4)        =            1+ 4.773 x 6.5    =     1 + 31.02 = 32.02
여기에 100을 32.2 로 나눕니다.    그러면 3.10559
이제 Cst 하한계 0.55 곱해줍니다. 0.55 x 3.10559    = 1.708
공식 100 /    1+4.773(탄소+수소/4)        값 나오면 Cst 하한계 0.55 곱해주면 끝. 상한계는 3.5    
[해설작성자 : 아기상어]

84. 열교환 탱크 외부를 두께 0.2m의 석면(k=0.037kcal/mhr℃)으로 보온하였더니 석면의 내면은 40℃, 외면은 20℃이었다. 면적 1m2 당 1시간에 손실되는 열량[kcal]은?(2005년 09월)
     1. 0.0037
     2. 0.037
     3. 1.37
     4. 3.7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0.037/02)*(40-20)=3.7
[해설작성자 : 꿀북이]

85. 산업안전보건법상 특수화학설비 설치시 반드시 필요한 장치가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원재료 공급의 긴급차단장치
     2.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예비동력원
     3. 화재시 긴급대응을 위한 자동소화장치
     4. 온도계・유량계・압력계 등의 계측장치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특수화학설비의 방호장치
1.계측장치
2.긴급차단장치
3.자동경보장치
4.예비동력원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86. 대기압하에서 인화점이 섭씨 23℃ 미만이고, 초기 끊는 점이 35℃ 이하인 물질이 아닌 것은?(2004년 05월)
     1. 메탄올
     2. 가솔린
     3. 산화프로필렌
     4. 에틸에테르

     정답 : []
     정답률 : 27%

87. 비점이 낮은 액체 저장탱크 주위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저장탱크 내부의 비등 현상으로 인한 압력 상승으로 탱크가 파열되어 그 내용물이 증발, 팽창하면서 발생되는 폭발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2009년 05월)
     1. UVCE
     2. BLEVE
     3. 개방계 폭발
     4. 중합 폭발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비등액체팽창증기폭발(BLEVE) : Boiling Liquid-Expanding Vapor Explosion
개방증기운폭발(UVCE) : Unconfined vapor cloud explosion
[해설작성자 : 쿠얼]

88.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비치 제외 대상이 아닌 것은?(2009년 05월)
     1. 원자력법에 의한 방사성 물질
     2. 농약관리법에 의한 농약
     3. 비료관리법에 의한 비료
     4. 관세법에 의해 수입되는 유기용제

     정답 : []
     정답률 : 67%

89. 사업주는 특수화학설비를 설치할 때 내부의 이상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기 위하여 필요한 계측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음 중 이에 해당하는 특수화학설비가 아닌 것은?(2017년 03월)
     1. 발열 반응이 일어나는 반응장치
     2. 증류, 증발 등 분리를 행하는 장치
     3. 가열로 또는 가열기
     4. 액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방유장치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기준 중
제273조(계측장치 등의 설치) 사업주는 별표 9에 따른 위험물을 같은 표에서 정한 기준량 이상으로 제조하거나 취급하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화학설비(이하 “특수화학설비”라 한다)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내부의 이상 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기 위하여 필요한 온도계·유량계·압력계 등의 계측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1.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반응장치
2. 증류·정류·증발·추출 등 분리를 하는 장치
3. 가열시켜 주는 물질의 온도가 가열되는 위험물질의 분해온도 또는 발화점보다 높은 상태에서 운전되는 설비
4. 반응폭주 등 이상 화학반응에 의하여 위험물질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설비
5. 온도가 섭씨 350도 이상이거나 게이지 압력이 980킬로파스칼 이상인 상태에서 운전되는 설비
6. 가열로 또는 가열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방유장치는 특수화학설비가 아닌 위험물을 액체상태로 저장할 때 위험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황병만]

90. 다음 중 금속 산(acid)과 접촉하여 수소를 가장 잘 방출시키는 원소는?(2017년 05월)
     1. 칼륨
     2. 구리
     3. 수은
     4. 백금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주기율표 상에서 1족 원소, 리튬, 나트륨(소듐), 칼륨, 스트론튬 등등등

91. 다음의 2가지 물질을 혼합 또는 접촉하였을 때 발화 또는 폭발의 위험성이 가장 낮은 것은?(2017년 08월)
     1. 니트로셀룰로오스와 물
     2. 나트륨과 물
     3. 염소산칼륨과 유황
     4. 황화인과 무기과산화물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니트로셀룰로오스는 다량의 주수에 의한 냉각소화를 하므로 물과 혼합 시 발화의 위험이 낮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니트로셀룰로스는 물,알콜로 습면시켜서 냉암소에 보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2. 폭발을 기상폭발과 응상폭발로 분류할 때 다음 중 기상폭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7년 08월)
     1. 분진폭발
     2. 혼합가스폭발
     3. 분무폭발
     4. 수증기폭발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기상폭발 : 가스 분진 분무 증기운 가스분해 폭발
응상폭발 : 수증기, 증기 폭발
[해설작성자 : 쿠라니]

응상폭발 : (수증기, 전선 , 증기, 고상간전이 )폭발 수전증!고
[해설작성자 : 모를 수 있다고 생각해]

93. 물과의 반응으로 유독한 포스핀가스를 발생하는 것은?(2022년 03월)
     1. HCl
     2. NaCl
     3. Ca3P2
     4. Al(OH)3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포스핀가스=PH3
인(P)이 들어있는 Ca3P2 3번이 답
[해설작성자 : 합격 가즈아]

물과 인화칼슘이 만나면 포스핀가스가 생성된다.
[해설작성자 : 북삼고노경환]

94.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공정안전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5월)
     1. 공정안전자료
     2. 비상조치계획
     3. 평균안전율
     4. 공정위험성 평가서

     정답 : []
     정답률 : 57%

95. 공기 중 아세톤의 농도가 200ppm(TLV 500ppm), 메틸에틸케톤(MEK)의 농도가 100ppm(TLV 200ppm)일 때 혼합물질의 허용농도(ppm)는? (단, 두 물질은 서로 상가작용을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2021년 03월)
     1. 150
     2. 200
     3. 270
     4. 333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혼합물질의 허용농도
200/500+100/200=0.9
유해물질 농도 합계 200+100=300ppm

300ppm/0.9 = 333.3333
[해설작성자 : 윤서아빠]

96. 다음 중 분진폭발의 특징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2012년 05월)
     1. 가스폭발보다 발생에너지가 작다.
     2. 폭발압력과 연소속도는 가스폭발보다 크다.
     3. 불완전연소로 인한 가스중독의 위험성이 적다.
     4. 화염의 파급속도보다 압력의 파급속도가 크다.

     정답 : []
     정답률 : 69%

97. 다음 중 유류화재나 전기화재시 사용할 수 있는 소화기는 어느 것인가?(2003년 05월)
     1. 산⋅알칼리소화기
     2. 분말소화기
     3. 강화액소화기
     4. 방화수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1. A급화재(냉각) : 방화수
2. B급화재(질식) : 포말, CO2, 분말, 할로겐
3. C급화재(질식,냉각) : 유기성, CO2, 분말, 할로겐
4. D급화재(질식) : 건조사, 팽창 진주암
[해설작성자 : 맑갑]

98.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사업주가 특수화학설비를 설치하는 때에 그 내부의 이상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기 위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장치는?(2008년 03월)
     1. 자동경보장치
     2. 안전감시장치
     3. 자동문개폐장치
     4. 스크러버개방장치

     정답 : []
     정답률 : 66%

99. 포화탄화수소계의 가스에서는 폭발하한계의 농도 X(vol%)와 그의 연소열(kcal/mol)Q의 곱은 일정하게 된다는 Burgess-Wheeler의 법칙이 있다. 연소열이 635.4kcal/mol인 포화탄화수소 가스의 하한계는 약 얼마인가?(2013년 03월)
     1. 1.73%
     2. 1.95%
     3. 2.68%
     4. 3.20%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Burgess-Wheeler의 법칙 :    X(vol%) * Q(kJ/mol)= 4600(vol% kJ/mol)
kJ을 kcal로 변환 (4.2로 나누어줌)
X(vol%) * Q(kcal/mol)= 1100(vol% kcal/mol)
X=1100/Q=1100/635.4=1.73%

[해설작성자 : 든다기]

100. 다음 중 가연성 물질과 산화성 고체가 혼합하고 있을 때 연소에 미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2021년 08월)
     1. 착화온도(발화점)가 높아진다.
     2. 최소점화에너지가 감소하며, 폭발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3. 가스나 가연성 증기의 경우 공기혼합보다 연소범위가 축소된다.
     4. 공기 중에서보다 산화작용이 약하게 발생하여 화염온도가 감소하며 연소속도가 늦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산화성 고체는 반응성이 강하고 가열, 충격, 마찰에 의해 산소를 방출하기 쉽다.
[해설작성자 : 1004빈]

최소점화에너지감소(착화온도는 내려간다.)
인화성 기체 또는 액체의 발생속도가 열의 일상속도를 상회하는 현상
[해설작성자 : 토티]

101. 다음 중 달비계 또는 높이 5m 이상의 비계를 조립ㆍ해체하거나 변경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의 준수사항이다. 빈칸에 알맞은 숫자는?(2015년 05월)

    

     1. 15
     2. 20
     3. 25
     4. 30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비계재료의 연결ㆍ해체작업 폭 20cm이상
슬레이트,선라이트등 강도가 약한 지붕위에서작업 폭30cm이상
높이가 2m이상인 작업 폭40cm이상
[해설작성자 : 남돌]

102. 강관비계의 수직방향 벽이음 조립간격(m)으로 옳은 것은? (단, 틀비계이며 높이는 10m 이다.)(2012년 03월)
     1. 2m
     2. 4m
     3. 6m
     4. 9m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틀비계 수직 6M 수평8M
[해설작성자 : tjsgkr2002]

단관비계 수직 5 , 수평 5
통나무 수직 5.5 , 수평 7.5
[해설작성자 : 보라매 오키톡끼]

103. 압쇄기를 사용하여 건물해체 시 그 순서로 옳은 것은?(2014년 05월)

    

     1. A-B-C-D
     2. A-C-B-D
     3. C-A-D-B
     4. D-C-B-A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바닥(슬래브) → 보 → 벽 → 기둥
[해설작성자 : .]

104. 롤러의 표면에 돌기를 만들어 부착한 것으로 돌기가 전압층에 매입되어 풍화암을 파쇄하고 흙 속의 간극수압을 제거하는 롤러는?(2011년 06월)
     1. 머캐덤롤러
     2. 탠덤롤러
     3. 탬핑롤러
     4. 진동롤러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머캐덤: 도로공사 자갈 압착하여 다짐
탠덤: 도로 공사 아스팔트 포장 마무리
진동: 작은 도로공사 등 사용
[해설작성자 : 하기]

105. 달비계의 최대 적재하중을 정함에 있어서 활용하는 안전계수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곤돌라의 달비계를 제외한다.)(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8년 03월)
     1. 달기 와이어로프 : 5 이상
     2. 달기 강선 : 5 이상
     3. 달기 체인 : 3 이상
     4. 달기 훅 : 5 이상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달기 와이어로프/강선 : 10 이상
달기 체인/훅 : 5 이상
달기 강대,달비계 상하부 : 강재는 2.5 이상 목재는 5 이상
[해설작성자 : 어훌러어훌러]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규칙 제55조(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
사업주는 비계의 구조 및 재료에 따라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을 정하고, 이를 초과하여 실어서는 안 된다.[전문개정 2024.6.28.]
기존 달비계 안전계수 항목이 삭제되었음(규정된 답이 없음)

106. 다음 보기의 ( ) 안에 알맞은 내용은?(2018년 03월)

    

     1. 3
     2. 3.5
     3. 4
     4. 4.5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동바리로 사용하는 강관(파이프서포트를 제외)에 대하여는 다음 각 목의 정하는 바에 의할 것
1. 높이 2m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만들고 수평연결재의 변위를 방지할 것으로 되어있습니다.

문제의 경우 파이프서포트이므로 위 내용은 해당이 안되니
3.5m를 초과할 경우 2m 이내마다 수평연결재 2개방향으로 설치해줍니다.
[해설작성자 : 기계과 기붕이]

107. 다음은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시스템 비계의 구조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1년 05월)

    

     1. 2분의 1
     2. 3분의 1
     3. 4분의 1
     4. 5분의 1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시스템 안전규칙 제69조
1. 수직재,수평재,가새재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구조가 되도록할것.
2. 비계 및단의 수직재와 받침철물은 밀착되도록 설치, 수직재와 받침철물의 연결부의 겹침길이는 받침철물 전체길이의 3분의 1이상이 되도록 할것.
3. 수평재는 수직재와 직각으로 설치, 체결후 흔들림 없도록 고정.
4. 수직재와 수직재의 연결철물은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한 구조.
5. 벽 연결재의 설치간격은 제조사가 정한 기준에 따라 설치.
[해설작성자 : 가보자구]

108. 터널지보공을 설치할 때 수시로 점검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04년 09월)
     1. 부재의 긴압 정도
     2. 기둥침하의 유무 및 상태
     3. 부재의 접속부 및 교차부 상태
     4. 부재의 강도

     정답 : []
     정답률 : 48%

109. 다음 중 터널 굴착 작업시 시공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3월)
     1. 굴착의 방법
     2. 터널 지보공 및 복공의 시공 방법과 용수의 처리 방법
     3. 환기 또는 조명시설을 하는 때에는 그 방법
     4. 계기의 이상 유무 점검

     정답 : []
     정답률 : 52%

110. 잠함 또는 우물통의 내부에서 굴착작업을 할 때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8월)
     1. 굴착깊이가 10m 를 초과하는 때에는 해당 작업장소와 외부와의 연락을 위한 통신설비 등을 설치한다.
     2. 산소결핍의 우려가 있는 때에는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자를 지명하여 측정하도록 한다.
     3. 근로자가 안전하게 승강하기 위한 설비를 설치한다,
     4. 측정결과 산소의 결핍이 인정될 때에는 송기를 위한 설비를 설치하여 필요한 양의 공기를 송급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굴착 깊이가 20미터를 초과하는 때에는 당해작업장소와 외부와의 연락을 위한 통신설비 등을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111. 중량물을 운반할 때의 바른 자세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허리를 구부리고 양손으로 들어올린다.
     2. 중량은 보통 체중의 60%가 적당하다.
     3. 물건은 최대한 몸에서 멀리 떼어서 들어올린다.
     4. 길이가 긴 물건은 앞쪽을 높게 하여 운반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앞쪽을 높게하고 뒷부분을 끌면서 이동한다

[추가 해설]

1.허리를 피고 다리만 움직여 일어난다, 이동한다
2.남자는 40%, 여자는 24%
3.물거은 가급적 몸에서 가깝게 들어올린다
[해설작성자 : 윤쁘]

112. 일반건설공사(갑)로서 대상액이 5억원 이상 50억원 미만인 경우에 사업안전보건관리비의 비율 (가) 및 기초액 (나)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6년 08월)
     1. (가)1.86%, (나)5,349,000원
     2. (가)1.99%, (나)5,499,000원
     3. (가)2.35%, (나)5,400,000원
     4. (가)1.57%, (나)4,411,000원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5억 이하 일반건설공사는 2.93, 철도, 궤도 신설공사는 2.45%
[해설작성자 : 공사 종류도 바야대냐?!ㅠ]

5억 이하는 2.93, 5억 이상~50억은 1.86 공사비가 증가할수록 안전보건관리비 비율은 낮아짐.
[해설작성자 : 산안기요정]

23년 10월에 법 개정되서 공사종류에 일반건설공사(갑)없음
[해설작성자 : 24.4 해설]

113. 다음 중 토사붕괴의 예방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9월)
     1. 적절한 경사면의 기울기를 계획한다.
     2. 활동할 가능성이 있는 토석은 제거하여야 한다.
     3. 지하수위를 높인다.
     4. 말뚝(강관, H형강, 철근 콘크리트)을 타입하여 지반을 강화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74%

114. 양중작업에 사용되는 와이어로프의 안전계수에 관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5월)
     1. 와이어로프의 안전계수는 그 절단하중의 값을 와이어로프에 걸리는 하중의 평균값으로 나눈 값이다.
     2. 근로자가 탑승하는 운반구를 지지하는 경우의 안전계수는 10 이상이어야 한다.
     3. 화물의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경우의 안전계수는 5이상 이어야 한다.
     4. 근로자가 탑승하는 운반구를 지지하거나 화물의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경우 외의 와이어로프 안전계수는 4 이상 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와이어로프의 안전계수는 그 절단하중의 값을 와이어로프에 걸리는 하중의 최대값으로 나눈 값이다(평균값 아님)
[해설작성자 : 기냥]

안전계수 기준:
근로자가 탑승하는 운반구를 지지하는 경우: 안전계수 10 이상
화물의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경우: 안전계수 5 이상
기타 그 외의 경우: 안전계수 4 이상이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기냥]

115.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 측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타설속도가 빠를수록 측압이 커진다.
     2. 거푸집의 투수성이 낮을수록 측압은 커진다.
     3. 타설높이가 높을수록 측압이 커진다.
     4. 콘크리트의 온도가 높을수록 측압이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콘크리트의 온도가 낮을수록 측압이 커진다.
[해설작성자 : 이정석]

116.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사다리식 통로를 설치하는 경우 준수하여야 하는 사항으로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재료는 심한 손상, 부식 등이 없는 것으로 할 것
     2. 폭은 30센티미터 이상으로 할 것
     3. 발판의 간격은 동일하게 할 것
     4. 사다리 기둥과 수평면과의 각도는 85도 이하로 할 것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75도
[해설작성자 : 내일이다]

117. 항타기?항발기에서 사용하는 권상용 와이어로프 안전계수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2005년 09월)
     1. 5 이상
     2. 7 이상
     3. 10 이상
     4. 15 이상

     정답 : []
     정답률 : 44%

118.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체를 위한 장비가 아닌 것은?(2014년 03월)
     1. 램머(Rammer)
     2. 압쇄기
     3. 철제 해머
     4. 핸드 브레이커(Hand Breaker)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기통 2사이클의 가솔린 엔진에 의해 기계를 튕겨 올리고 자중과 충격에 의해 지반, 말뚝을 박거나 다지는 것. 보통 소형의 핸드 래머 외에 대형의 프로그 래머가 있다.
[해설작성자 : jun]

램머 : 지반다짐용기계
[해설작성자 : 다니엘]

119. 법면붕괴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성토법면의 붕괴는 성토직후에 발생되기 쉽다.
     2. 법면붕괴를 방지하려면 법면구배를 증가시켜야 한다.
     3. 지표수와 지하수는 법면붕괴의 원인이 된다.
     4. 법면의 붕괴는 토질과 깊은 관계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64%

120. 사면 보호 공법 중 구조물에 의한 보호 공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8년 04월)
     1. 식생구멍공
     2. 블럭공
     3. 돌쌓기공
     4. 현장타설 콘크리트 격자공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구조물에 의한 보호 공법 - 돌붙임공, 블럭붙임공, 콘크리트 붙임공, 돌 및 블럭 쌓기공, 콘크리트 블럭 격자공, 현장 타설 콘크리트 격자공,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뿜어 붙이기 공법 등    주로 붙임공, 블럭 쌓기 등의 형태의 공법이고

식생구멍공은 비탈면 보호공법 중 식생공법에 해당함.
식생공법 - 종자뿜어붙이기, 식생매트공법, 평떼심기공, 줄떼심기공, 식생띠공, 식생판공, 식생자루공, 식생구멍공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고속도로 지나다니면 옆에 볼 수 있는 비탈면에 돌이나 콘크리트구조물 채워 놓은게 (경)사면보호공법입니다. 식생구멍공은 식물들을 이용해서 경사면의 흙이 안흐르게 방지하는 거고 나머지는 구조물을 설치하는 공법입니다
[해설작성자 : 식생은 식물이라는 뜻]


정 답 지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661114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안전관리론


1. 다음의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 내 안전ㆍ보건 교육의 교육대상별 교육내용에 있어 관리감독자 정기 안전ㆍ보건교육에 해당하는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0년 09월)
     1.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2.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에 관한 사항
     3. 작업 개시 전 점검에 관한 사항
     4. 사고 발생시 긴급조치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보기 2번은 근로자 정기교육
보기 3, 4번은 채용시/작업 내용 변경 시 교육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년도 개정안에 따르면 4번은 정기교육 및 채용시 교육/작업내용 변경시 교육에 다 해당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관리자 교육 훈련(MTP)시간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6년 03월)
     1. 20시간(4시간×5회)
     2. 20시간(2시간×10회)
     3. 40시간(4시간×10회)
     4. 40시간(2시간×20회)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1.MTP : 10~15명으로 2시간씩 20회, 총 40시간
2.ATP : 매주 4일, 4시간씩 8주간, 총 128시간
3.ATT : 1차훈련과 2차 훈련으로 진행됨
        1) 1차과정 : 1일 8시간씩 2주간
        2) 2차과정 :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3.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검사 대상 유해ㆍ위험 기계에 해당하는 것은?(2022년 03월 08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2012년 03월)
     1. 크레인(정격 하중이 2톤 미만)
     2. 이동식 국소배기장치
     3. 밀폐형 롤러기
     4. 산업용 원심기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2022년 03월 08일 개정된 규정]
제78조(안전검사대상기계등)
① 법 제93조제1항 전단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1. 프레스
2. 전단기
3. 크레인(정격 하중이 2톤 미만인 것은 제외한다)
4. 리프트
5. 압력용기
6. 곤돌라
7. 국소 배기장치(이동식은 제외한다)
8. 원심기(산업용만 해당한다)
9. 롤러기(밀폐형 구조는 제외한다)
10. 사출성형기[형 체결력(型 締結力) 294킬로뉴턴(KN) 미만은 제외한다]
11. 고소작업대(「자동차관리법」 제3조제3호 또는 제4호에 따른 화물자동차 또는 특수자동차에 탑재한 고소작업대로 한정한다)
12. 컨베이어
13. 산업용 로봇
② 법 제93조제1항에 따른 안전검사대상기계등의 세부적인 종류, 규격 및 형식은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관리자 입니다.
2012년 실제 출제된 문제의 1번 보기는
"이동식 크레인" 이었지만 관련규정 개정으로 인하여 1번 보기를
크레인(정격 하중이 2톤 미만) 으로 변경하여
중복 답안이 될수 있는 것을 방지 하였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레빈(Lewin)의 법칙 B=f(PㆍE) 중 B가 의미하는 것은?(2018년 03월)
     1. 인간관계
     2. 행동
     3. 환경
     4. 함수

     정답 :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B : behavior(인간의 행동)
P : person(개체:연령, 경험, 심신 상태, 성격, 지능, 소질)
E : environment(심리적 환경-인간관계, 작업환경)
f : function함수관계(적성, 기타 P와 E에 영향을 주는 조건)
[해설작성자 : ysys9004]

5. 산업안전보건법상 특별안전보건교육에서 방사선 업무에 관계되는 작업을 할 때 교육내용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9년 03월)
     1. 방사선의 유해·위험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
     2. 방사선 측정기기 기능의 점검에 관한 사항
     3. 비상 시 응급처리 및 보호구 착용에 관한 사항
     4. 산소농도측정 및 작업환경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5] 안전보건교육 교육대상별 교육내용(제26조제1항 등 관련)
라. 특별교육 대상 작업별 교육
33. 방사선 업무에 관계되는 작업(의료 및 실험용은 제외한다)
○ 방사선의 유해ㆍ위험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
○ 방사선의 측정기기 기능의 점검에 관한 사항
○ 방호거리ㆍ방호벽 및 방사선물질의 취급 요령에 관한 사항
○ 응급처치 및 보호구 착용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안전ㆍ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
[해설작성자 : iykim71]

6. 재해발생시 조치순서 중 재해조사 단계에서 실시하는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1년 03월)
     1. 현장보존
     2. 관계자에게 통보
     3. 잠재위험요인의 색출
     4. 피해자의 응급조치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산업재해발생
2.긴급처리: 이때 피재기계의 정지, 응급조치 ,관계자에게 통보, 2차재해방지, "현장보존"
3.재해조사: 6하원칙에 의거 사상자보고/" 잠재위험요인의 색출"
4.원인강구: 원인분석(사람,물체,관리)
5.대책수립
6.대책실시계획
7.실시
8.평가
[해설작성자 : 이태원동존잘러]

7. 다음 중 의무안전인증대상 안전모의 성능기준 항목이 아닌 것은?(2014년 05월)
     1. 내열성
     2. 턱끈풀림
     3. 내관통성
     4. 충격흡수성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성능기준항목
1. 내관통성
2. 충격흡수성
3. 내수성
4. 내전압성
5. 난연성
6. 턱끈풀림

8. 재해 사례 연구 순서가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2005년 03월)
     1. 재해상황 파악 - 문제점 발견 - 사실확인 - 근본 문제점 결정 - 대책수립
     2. 문제점 발견 - 재해상황 파악 - 사실확인 - 근본 문제점 결정 - 대책수립
     3. 재해상황 파악 - 사실확인 - 문제점 발견 - 근본 문제점 결정 - 대책수립
     4. 문제점 발견 - 재해상황 파악 - 대책수립 - 근본 문제점 결정 - 사실확인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암기팁]
재해상황 파"악" - 사실확 "인"        "악인"으로 외우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맑갑]

9.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 내 안전ㆍ보건교육에 있어 탱크 내 또는 환기가 극히 불량한 좁은 밀폐된 장소에서 용접작업을 하는 근로자에게 실시하여야하는 특별안전ㆍ보건교육의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기타 안전ㆍ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은 제외한다.)(2012년 03월)
     1. 환기설비에 관한 사항
     2. 작업환경 점검에 관한 사항
     3. 질식 시 응급조치에 관한 사항
     4. 안전기 및 보호구 취급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4. 전격 방지 및 보호구 착용에 관한 사항

10. 강의식 교육지도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단계는?(2021년 08월)
     1. 도입
     2. 제시
     3. 적용
     4. 확인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시간 소비 많은 단계
강의식 - 제시
토의식 - 적용
[해설작성자 : 비보험코스트코]

강제 토적(도적) 외우면 쉽습니당
[해설작성자 : 이걸 해야하나..]

11. 사업장의 안전 교육 훈련 특징이 아닌 것은?(2005년 09월)
     1. 기업의 목적에 따라 계획하고 실시하는 것이다.
     2. 교육 훈련에 의해 기업 이익을 기대한다.
     3. 필요할 때 집중적으로 실시한다.
     4.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보다 이해하는데 중점을 둔다.

     정답 : []
     정답률 : 41%

12. 도수율이 24.5 이고, 강도율이 1.15인 사업장이 있다. 이 사업장에서 한 근로자가 입사하여 퇴직할 때까지 몇 일간의 근로손실일수가 발생하겠는가?(2013년 08월)
     1. 2.45일
     2. 115일
     3. 215일
     4. 245일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환산강도율 : 강도율*100 = 1.15*100 =115일
[해설작성자 : 든다기]

13. 다음 중 위치, 순서, 패턴, 형상, 기억오류 등 외부적 요인에 의해 나타나는 것은?(2006년 05월)
     1. 메트로놈
     2. 리스크 테이킹
     3. 부주의
     4. 착오

     정답 : []
     정답률 : 75%

14. 안전 보건 표지의 종류와 형태가 잘못 짝지워진 것은?(2006년 03월)
     1. : 응급구호표지
     2. : 유해물질경고
     3. : 세안장치
     4. : 출입금지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1. 녹십자 표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응급구호표지는 원형이 아닌 사각형, 십자모양이 흰색이고 배경이 녹색
참고로 2번 유해물질경고는 비표준이므로 엄밀히 따지면 더 이상 의미 없는 문제라 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집에서는 공부가 안 돼]

15. 다음 중 관료주의의 중요한 4가지 차원이 아닌 것은?(2005년 09월)
     1. 조직도에 나타난 조직의 크기와 넓이
     2. 관리자가 책임질 수 있는 근로자 수
     3. 관리자를 대단위로 묶어 분산
     4. 작업의 단순화와 전문화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관료제는 명확한 계층구조와 중앙집중적 통제를 중시하는데 3번은 분권화나 탈관료적 조직(팀제 운영 등)에 가까운 개념입니다.
[해설작성자 : 2005년 이스탄불의 기적]

16. 레빈(Lewin)은 인간의 행동 특성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였다. 변수 “E"가 의미하는 것은?(2017년 05월)

    

     1. 연령
     2. 성격
     3. 작업환경
     4. 지능

     정답 : []
     정답률 : 93%
     <문제 해설>
인간의행동(B) = 함수(f)(P(연령/경험) * E(관계/환경))
[해설작성자 : 청라다중이]

B : Behavior 행동
P : Personality 성격
E : Environment 환경

17. 다음 중 적성의 기본요소라 할 수 있는 것은?(2011년 08월)
     1. 지능
     2. 교육수준
     3. 환경조건
     4. 가족관계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직무를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지능은 그 직무의 내용이나 수준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해설작성자 : 산안기가즈아]

적성의 기본요소
1. 인간성(성격)
2. 지능
3. 흥미
4. 직업적성
[해설작성자 : 팬더]

18. 매슬로우(Maslow)의 욕구 5단계 이론 중 자기보존에 관한 안전욕구는 몇 단계에 해당되는가?(2016년 08월)
     1. 제1단계
     2. 제2단계
     3. 제3단계
     4. 제4단계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매슬로우(Maslow)의 욕구 5단계
1단계 - 생리적 욕구 : 식욕, 갈증, 휴식등 기타 육체적 필요에 대한 욕구 (성욕 포함)
2단계 - 안전 욕구 : 신체적 또는 정서적 위협으로부터 안전과 보호
                                    오늘날 경제적 안정 욕구라는 강한 욕구로 남아있음
3단계 - 사회적 욕구(귀속 욕구) : 애정, 소속감, 수용, 우정등에 대한 욕구
                                     동료집단에 소속되고 싶어하며 동료애를 나누기 원함
                                     이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개인과 집단간 갈등이 생길수 있음
4단계 - 존경 욕구 : 자아 존중감, 자율성등 내적 자존감 요소와 지위, 인정등 외적 자존감 요소
                                    본인 스스로 중요하다고 느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으로 인정받아야 충족 (Ex. 명예, 명성)
5단계 - 자아실현 욕구 : 자신이 성취할수 있는 존재가 되도록 충동하는 욕구
                                                    창조적인 상태의 실현을 뜻하며 성취감과 자기만족을 줌
[출처] 매슬로우(Maslow)의 욕구 단계 이론 (needs hierarchy theory)|

19. 운동의 시지각(착각현상) 중 자동운동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2년 03월)
     1. 광점이 작은 것
     2. 대상이 단순한 것
     3. 광의 강도가 큰 것
     4. 시야의 다른 부분이 어두운 것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암실 내에 정지된 작은 광점이나 밤하늘의 별들을 응시하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
② 발생하기 쉬운 조건 - ⓐ 광점이 작을수록 ⓑ 시야의 다른 부분이 어두울수록 ⓒ 광의 강도가 작을수록 ⓓ 대상이 단순할수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광의 강도가 작은 것이 자동운동이 생기기 쉽다. 자동운동이란 암실 내에서 정지된 작은 빛을 응시하고 있으면 그 빛이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일단 하고 보자 콩]

20. 다음 중 안전점검 방법에서 육안점검과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2014년 08월)
     1. 테스트 해머 점검
     2. 부식.마모 점검
     3. 가스검지기 점검
     4. 온도계 점검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육안 점검
1. 오염상황의 점검
2. 부식.마모의 점검
3. 계어짐 균열의 점검
4. 액누출.가스누출의 점검
5. 윤활유의 점검
6. 이상한 음의 발생유무의 점검
7. 볼트.너트의 풀림 및 탈락.파손의 점검
[해설작성자 : 홍어낚시꾼]

2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다음 중 기계와 비교하여 인간이 정보처리 및 결정의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은?(2009년 05월)
     1. 연역적 추리
     2. 관찰을 통한 일반화
     3. 정량적 정보처리
     4. 정보의 신속한 보관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인간: 관찰을 통한 일반화하여 귀납적 추리
[해설작성자 : tjsgkr2002]

22. 시스템 수명주기 단계 중 마지막 단계인 것은?(2019년 03월)
     1. 구상단계
     2. 개발단계
     3. 운전단계
     4. 생산단계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시스템 구상
시스템 정의
시스템 개발
시스템 생산
시스템 운전
[해설작성자 : 킴현]

23. 다음 중 작동 중인 전자레인지의 문을 열면 작동이 자동으로 멈추는 기능과 가장 관련이 깊은 오류 방지 기능은?(2014년 08월)
     1. lock-in
     2. lock-out
     3. inter-lock
     4. shift-lock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인터록=연동제어
문과 작동을 연동시켜 제어
[해설작성자 : 사악미소]

24. 인간의 과오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법으로서 인간의 과오율 추정법 등 5개의 스텝으로 되어 있는 기법은?(2005년 09월)
     1. THERP
     2. FTA
     3. FMEA
     4. ETA

     정답 : []
     정답률 : 54%

25. 그림에서 나타내는 기호는 무슨 사상을 나타내는가?(2003년 08월)

    

     1. 결함사상
     2. 기본사상
     3. 통상사상
     4. 생략사상

     정답 : []
     정답률 : 68%

26. 다음 중 사정효과(Range Effect)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2006년 05월)
     1. 조작자가 움직일 수 있는 속도나 조종장치에 가할수 있는 힘에는 상한이 있다.
     2. 조작자는 작은 오차에는 과잉반응, 큰 오차에는 과소 반응한다.
     3. 조작자는 비우발적인 입력신호는 미리 알 수 있다.
     4. 조작자는 오차가 인식의 한계를 넘을 때 까지는 반응하지 못한다.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1.작은 오차: 큰 반응
2.큰 오차 : 과소 반응
*사정효과 : 눈으로 보지 않고 손을 수평면 위에서 움직이는 경우에 짧은 거리는 지나치고 긴 거리는 못미치는 경향

2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설비보전방식의 유형은?(2012년 03월)

    

     1. 개량 보전
     2. 사후 보전
     3. 일상 보전
     4. 보전 예방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개량보전:cm이라하고 기기부품의 수명연장 수리시간단축에 대한 개량대책세우는 방법
사후보전: 유해한 성능저하 이후에 수리하는 보전방식
보전예방:계획 설계하는 단계에서 보전정보나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신뢰성 보전성 경제성 조작성 안정성등을 고려하여
보전불요의설비를 목표로함
예방보전: 설비의 건강상태유지 그리고 열화방지위한 정기검사 또는 설비진단

예방보전과 보전예방은 헷갈리기 쉬우므로 포인트단어를 중심으로 암기해놓길 바래요~
[해설작성자 : ㅇㅌㅇㄷㅈㅈㄹ]

28. 어떠한 신호가 전달하려는 내용과 연관성이 있어야 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예로써 위험신호는 빨간색, 주의신호는 노란색, 안전신호는 파란색으로 표시하는 것은 다음 중 어떠한 양립성(compatibility)에 해당하는가?(2013년 03월)
     1. 공간양립성
     2. 개념양립성
     3. 동작양립성
     4. 형식양립성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개념 양립성 : 온수 손잡이는 빨간색, 냉수 손잡이는 파란색의 경우에 해당
[해설작성자 : 빵실00]

29. 다음 중 시스템안전 위험분석(SSHA)을 수행하기 위한 최초의 작업으로서 구상단계나 설계 및 발주의 극히 초기 에 실시되는 것은?(2005년 03월)
     1. 예비위험분석(PHA)
     2. 결함위험분석(FHA)
     3. 시스템안전성위험분석(SSHA)
     4. 결함수분석(FTA)

     정답 : []
     정답률 : 83%

30. 다음 중 인체에서 뼈의 주요 기능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0년 05월)
     1. 인체의 지주
     2. 장기의 보호
     3. 골수의 조혈기능
     4. 영양소의 대사작용

     정답 : []
     정답률 : 82%

31. 대안의 발생 확률이 동일한 경우에 64가지 대안에 대하여 얻을 수 있는 정보량은 얼마인가?(2005년 09월)
     1. 64bit
     2. 16bit
     3. 5bit
     4. 6bit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log264=6
[해설작성자 : 해바라기]

로그는 어려우니 2*2*2*2*2*2=64임 즉 2가6개
문제가 128가지 대안이라고 나오면 2가7개
[해설작성자 : 보라매 오키톡끼]

32. 다음 중 반응시간이 제일 빠른 감각기능은?(2011년 03월)
     1. 청각
     2. 촉각
     3. 시각
     4. 미각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청각 0.17sec
촉각 0.18
시각 0.20
미각 0.29
통각 0.7
[해설작성자 : 이태원동 존잘러]

33. 다음 중 Weber의 법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5월)
     1. Weber비는 분별의 질을 나타낸다.
     2. Weber비가 작을수록 분별력은 낮아진다.
     3. 변화감지역(JND)이 작을수록 그 자극차원의 변화를 쉽게 검출할 수 있다.
     4. 변화감지역(JND)은 사람이 50%를 검출할 수 있는 자극차원의 최소변화이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Weber비가 작을수록 분별력은 낮아진다 ---> 작을수록 좋음
[해설작성자 : lwj]

Weber비가 작을수록 분별력이 뛰어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다음 중 근골격계부담작업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3년 03월)
     1. 하루에 10회 이상 25kg 이상의 물체를 드는 작업
     2.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목, 어깨, 팔꿈치, 손목 또는 손을 사용하여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작업
     3.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쪼그리고 앉거나 무릎을 굽힌 자세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4.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시간당 5회 이상 손 또는 무릎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충격을 가하는 작업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4. 10회이상

35. 다음 중 정보의 전달에 있어서 청각장치보다 시각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로 옳은 것은?(2009년 03월)
     1. Message 가 간단할 때
     2. Message 가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하지 않을 때
     3. Message 가 후에 재참조되지 않을 때
     4. Message 가 시간적인 사상을 다룰 때

     정답 : []
     정답률 : 68%

36. 손이나 특정 신체부위에 발생하는 누적손상장애(CTDs)의 발생 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7년 05월)
     1. 무리한 힘
     2. 다습한 환경
     3. 장시간의 진동
     4. 반복도가 높은 작업

     정답 : []
     정답률 : 76%

37. 산업안전표지로서 경고표지는 삼각형, 안내표지는 사각형 지시표지는 원형 등으로 부호가 고안되어 있다. 이처럼 부호가 이미 고안되어 있으므로 이를 배워야 하는 부호는?(2005년 03월)
     1. 묘사적 부호
     2. 추상적 부호
     3. 임의적 부호
     4. 사실적 부호

     정답 : []
     정답률 : 57%

38. 다음 중 공기의 온열조건의 4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3년 08월)
     1. 대류
     2. 전도
     3. 반사
     4. 복사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대류        2:전도        3:복사        4:증발
[해설작성자 : 사니조아]

39. 안전교육을 받지 못한 신입직원이 작업 중 전극을 반대로 끼우려고 시도했으나, 플러그의 모양이 반대로는 끼울 수 없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다음 중 작업자가 범한 에러와 이와 같은 사고 예방을 위해 적용 된 안전설계 원칙으로 가장 적한 것은?(2013년 08월)
     1. 누락(Omission)오류, fool proof 설계원칙
     2. 누락(Omission)오류, fail safe 설계원칙
     3. 작위(Commission)오류, fool proof 설계원칙
     4. 작위(Commission)오류, fail safe 설계원칙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전극을 반대로 끼우려고합니다
->> 작위 commisstion 오류에 해당.

인간의 실수가 있더라도 사고로 연결되지 않도록 하는 설계
->> fool proof 설계
[해설작성자 : 댕래]

풀프루프 = 인간
페일 세이프 = 기계
[해설작성자 : chatgpt]

40. 인체에는 23일 내지 28일 주기의 바이오리듬이 있는반면, 대뇌의 활동수준에도 1일 주기의 조석리듬이 존재한다. 다음 중 조석리듬 수준이 가장 낮아 재해사고의 가능성 이 가장 높은 시간대는?(2004년 03월)
     1. 오전 6시
     2. 오전 10시
     3. 오후 4시
     4. 오후 10시

     정답 : []
     정답률 : 38%

3과목 : 기계위험방지기술


4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롤러기의 방호장치 중 롤러의 앞면 표면 속도가 30m/min 이상 일 때 무부하 동작에서 급정지거리는?(2020년 09월)
     1. 앞면 롤러 원주의 1/2.5 이내
     2. 앞면 롤러 원주의 1/3 이내
     3. 앞면 롤러 원주의 1/3.5 이내
     4. 앞면 롤러 원주의 1/5.5 이내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롤러기 급정지 거리

30미만의 속도 - 앞면 롤러 원주의 1/3
30이상의 속도 - 앞면 롤러 원주의 1/2.5
[해설작성자 : 해내보자 안전기사자격증]

42. 목재가공용 둥근톱 작업에서 분할날과 톱날 원주면과의 간격은 얼마이내가 되도록 조정하는가?(2010년 03월)
     1. 10mm
     2. 12mm
     3. 14mm
     4. 16mm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분할날과 후면날과의 간격 : 12mm 이내
(참고) 분할날의 설치
1. 분할날의 두께는 톱두께의 1.1배이상, 치진폭보다 작을 것
2. 후면날과의 간격은 12mm 이내일 것
3. 후면날의 2/3 이상을 덮을 것
4. 톱날직경이 610mm를 넘는 경우 현수식 분할 날 사용

43. 산업안전보건법상의 승강기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6년 09월)
     1. 에스컬레이터
     2. 화물용승강기
     3. 인화공용승강기
     4. 리프트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산업안전산업기사 필답형] 승강기 종류를 4가지 쓰시오. (단 법령에서 정한 종류를 작성하시오.)
① 승용 승강기
② 인화 공용 승강기
③ 화물용 승강기
④ 에스컬레이터
[해설작성자 : 히둥]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5조
“리프트란 고정된 구조물 안에서 안내로를 따라 사람 또는 화물을 승하강시키는 설비”

즉, 리프트는 승강기의 일종으로 분류됩니다.
인화용 승강기'는 실제 산업안전보건법 또는 승강기 관련 규정에 존재하지 않는 용어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기계의 각 작동 부분 상호간을 전기적, 기구적, 유공압 장치 등으로 연결해서 기계의 각 작동 부분이 정상으로 작동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 되지 않을 경우 자동적으로 그 기계를 작동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은?(2010년 03월)
     1. 인터록기구
     2. 과부하방지장치
     3. 트립기구
     4. 오버런기구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인터록기구 - 정상작동 조건이 만족하지 않으면 작동하지 않음
예시) 엘리베이터 문이 닫히지 않으면 작동하지 않는다.
트립기구 - 신체가 위험영역에 접근 및 접촉시 기계가 정지하거나 복귀함
예시) 엘리베이터 문이 닫힐 때 신체가 접촉되면 문이 다시 열린다.
오버런기구 - 위험 상태나 요소가 해소가 되기 전까지 작동을 지연시킴
예시) 엘리베이터가 도착하더라도 완전히 정지되지 않으면 문이 열리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KIIK]

45. 연삭숫돌의 지름이 20cm이고, 원주속도가 250m/min일 때 연삭숫돌의 회전수는 약 얼마인가?(2012년 03월)
     1. 397.89 rpm
     2. 403.25 rpm
     3. 393.12 rpm
     4. 406.80 rpm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원주속도(V)=πDN/1000
*D(연삭숫돌의 지름), N(연삭숫돌의 회전수)
연삭숫돌의 회전수(N)=V*1000/πD
=(250*1000)/(π*(20*10))
=397.887 = 397.89
*연삭숫돌의 지름(Cm)와 원주속도에 사용된 단위(mm)의 일치를 위해 지름*10을 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는 해설과 다르게 mm가아닌 m로 표시되있음
[해설작성자 : 에어컨]

[오류신고 반론]
D 의 지름 값은 mm값을 넣어야 RPM의 각속도가 곱해져 원주속도 M/Min이 나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연삭 숫돌의 지름(N)=원주속도(V)*1000/파이*연삭숫돌 지름(D) 로 계산을 진행하게 되면
(250*1000)/(3.14*(20*10) 의 게산식이 나오게 됩니다.
이 계산식으로 계산을 하였을 떄, 397.89가 아닌 398.09 가 나오게 되어서 정답이 없다고 생각이 듭니다.

[오류신고 반론]
1000v                1000X 250
--------    =     ---------    = 정답 나옵니다    
3.14 X D            3.14X 20

개인생각 적는곳이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양평사나이]

[추가 오류 신고]
원주율을 3.14만 넣으면 398.09가 나오고 원주율을 3.1415926535 이하값까지 넣어야 397.89가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쿠얼]

4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프레스 및 전단기에서 안전 블록을 사용해야 하는 작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8월)
     1. 금형 가공작업
     2. 금형 해체작업
     3. 금형 부착작업
     4. 금형 조정작업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안전블럭]
프레스 금형의 부착, 해체, 조정, 수리 작업의 경우에 슬라이드의 낙하를 방지
(단, 금형의 가공작업은 사용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양파한망]

금형을 부착, 해체, 조정 작업할 때 신체 일부가 위험점 내에서 슬라이드 불시 하강으로 인한 위험을 방지할 목적으로 안전블럭을 설치한다.(금형 '수리'작업은 해당되지 않는다)
-구민사 주요핸드북 p.109 5. 금형의 안전화
[해설작성자 : 돈짓는쿠쿠]

프레스 및 전단기 안전블록-수조해부
[해설작성자 : 허찬]

47. 선반에서 일감의 길이가 지름에 비하여 상당히 길 때 사용하는 부속품으로 절삭 시 절삭저항에 의한 일감의 진동을 방지하는 장치는?(2021년 08월)
     1. 칩 브레이커
     2. 척 커버
     3. 방진구
     4. 실드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칩 브레이커 : 칩을 짧게 절단하는 장치
2.척 커버 : 기어 등을 복개하는 장치
3.방진구 : 일감의 길이가 지름에 비하여 상당히 길때 사용하는 부속품으로 절삭 시 절삭저항에 의한 진동을 방지
4.쉴드 : 침 및 절삭유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플라스틱 덮개
[해설작성자 : 궁금만땅]

문제의 진동을 방지하는 장치라는 해설을 참조하여
보기의 사전적 의미를 찾으면 쉽게 답을 찾을 수 있음.
ㄴ 방진 ... 진동을 방지
ㄴ 방진구 원 기능 ... 공작물이 처지거나 떨리는 현상을 줄여주는 장치
[해설작성자 : Bowlove]

48. 프레스의 방호장치 중 광전자식 방호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연속 운전작업에 사용할 수 있다.
     2. 핀클러치 구조의 프레스에 사용할 수 있다.
     3. 기계적 고장에 의한 2차 낙하에는 효과가 없다.
     4. 시계를 차단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광전자식 방호장치

핀클러치 (x)        마찰클러치 (o)
[해설작성자 : 리치꼬미]

광전자식 방호장치
1. 프레스의 광전자식 방호장치는 핀클러치 구조 프레스에는 사용할 수 없다.
2. 광원에 의한 분류 : 백열전구형, 발광 다이오드형
3. 수광방법에 의한 분류 : 반사형, 투과형
[해설작성자 : 빡고수박교수]

49. 다음 용접 중 불꽃 온도가 가장 높은 것은?(2019년 04월)
     1. 산소-메탄 용접
     2. 산소-수소 용접
     3. 산소-프로판 용접
     4. 산소-아세틸렌 용접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아세틸렌용접 3430° 프로판용접 2820° 메탄용접 2700° 수소용접 2900° 입니다
[해설작성자 : 공장노동자 이노쓰]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아세틸린 3000도입니다 (출처 나합격 24년판)
[해설작성자 : 하늘감자]

[오류신고 반론]
불꽃 온도는 가스의 순도, 혼합비, 가압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3430도가 틀리다고 볼 수도 없고 3000가 맞다고도 볼 수 없습니다.
온도 개념에 대한 오해로 해설이 기재되어 추가 해설 남깁니다.
산소-아세틸렌 용접은 조건에 따라 약 3,150~3,500°C 정도 까지도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수치가 중요한게 아니지만 근접한 수치는 알아두셔야 할 부분이네요.
[해설작성자 : 닥터김]

50. 선반작업시 사용되는 방진구는 일반적으로 공작물의 길이가 직경의 몇 배 이상일 때 사용하는가?(2015년 03월)
     1. 4배 이상
     2. 6배 이상
     3. 8배 이상
     4. 12배 이상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방진구: 공작물의 길이가 직경의 12~20배 이상인 가늘고 긴 가공물을 고정하는 장치
[해설작성자 : 큐넷접수노예]

51. 크레인의 사용 중 하중이 정격을 초과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상승이 정지되는 장치는?(2020년 08월)
     1. 해지장치
     2. 이탈방지장치
     3. 아우트리거
     4. 과부하방지장치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과부화방지장치 : 크레인의 사용 중 하중이 정격을 초과하였을 때 자동으로 상승이 정지되는 장치    
[해설작성자 : 제발따자]

52. 다음 중 소성가공을 열간가공과 냉간가공으로 분류하는 가공온도의 기준은?(2012년 05월)
     1. 융해점 온도
     2. 공석점 온도
     3. 공정점 온도
     4. 재결정 온도

     정답 : []
     정답률 : 68%

53. 무부하 상태에서 지게차 주행 시의 좌우 안정도 기준은? (단, V는 구내최고속도[km/h]이다.)(2010년 05월)
     1. (15+1.1×V)% 이내
     2. (15+1.5×V)% 이내
     3. (20+1.1×V)% 이내
     4. (20+1.5×V)% 이내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지게차의 안정도
1. 하역 작업시 전후 안정도 : 4% (5톤 이상은 3.5%)
2. 주행시의 전후 안정도 : 18%
3. 하역 작업시 좌우 안정도 : 6%
4. 주행시의 좌우 안정도 : (15+1.1*V)% 이내 (V : 최고속도)
5. 경사로의 안정도 = 높이 / 수평지면 X 100
[해설작성자 : 이승원]

54. 급정지기구가 부착되어 있지 않아도 유효한 프레스의 방호장치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양수기동식
     2. 가드식
     3. 손쳐내기식
     4. 양수조작식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급정지기구 부착되야만하는장치ㅡ양수조작식.감응식
급정기기구 부착되어있지않아도되는장치ㅡ양수기동식.게이트가드식.수인식.손쳐내기식

[추가 해설]
양수조작식(급정지기구를 가진 마찰식클러치 프레스) :
2개의 누름단추에서 손을 떼면
프레스의 급정지기구가 작동하여
손이 금형에 도달하기 전에 슬라이드를 정지하는 방식으로
안전 1행정 운전방식이 있는 마찰식 클러치에 부착한다.

양수기동식(급정지기구가 없는 확동식클러치 프레스) :
손을 누름단추에서 떼어 금형의 위험한계에 손이 도달하기 전에
슬라이드가 하사점에 도달하기 때문에
이 방법은 분당 행정수가 120이상인 프레스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iykim71]

양수기동식 미부착 외우는 법
양수가 게이트를 손으로 열려하자    성규가 손쳐내면서 막았다

이거제외한 나머지 부착해야하는 장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5. 다음 중 포터블 벨트 컨베이어(potable belt conveyor) 운전시 준수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2년 05월)
     1. 공회전하여 기계의 운전상태를 파악한다.
     2. 정해진 조작 스위치를 사용하여야 한다.
     3. 운전시작 전 주변 근로자에게 경고하여야 한다.
     4. 하물 적치 후 몇 번씩 시동, 정지를 반복 테스트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하물 적치 후 -> 하물를 적치하지 않은 상태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중대재해]

56. 숫돌 바깥지름이 150mm일 경우 평형 플랜지의 지름은 최소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 가?(2018년 04월)
     1. 25mm
     2. 50mm
     3. 75mm
     4. 100mm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⑤ 연삭숫돌의 고정법 : 플랜지는 연삭숫돌 지름의 1/3 크기
[해설작성자 : ㄱㅈㅂㄱ]

150mm * 1/3 = 50mm
[해설작성자 : 예린하린]

57. 회전축, 커플링에 사용하는 덮개는 다음 중 어떠한 위험점을 방호하기 위한 것인가?(2015년 03월)
     1. 협착점
     2. 접선물림점
     3. 절단점
     4. 회전말림점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협착점: 프레스기, 전단기, 성형기
2. 접선물림점: 벨트와 풀리, 체인과 스프로컷, 잭과 피니언
3. 절단점: 날, 커터를 가진 기계
[해설작성자 : 코로오롱]

58. 압력용기 등에 사용되는 압력방출장치에 관한 설명 중 맞는 것은?(2004년 09월)
     1. 사용시 월1회 이상 압력계(표준압력계)를 이용하여 토출 압력을 시험한다.
     2. 설치후 1주일에 1회이상 작동시험을 하여 성능이 유지될 수 있게 한다.
     3. 압력방출장치가 최고 사용압력 이후에 작동되게 설정한다.
     4. 직렬로 접속된 공기압축기에는 과압방지 압력 방출 장치를 각단마다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39%

59. 단면적이 1800mm2 인 알루미늄 봉의 파괴강도는 70MPa 이다. 안전율을 2.0으로 하였을 때 봉에 가해질 수 있는 최대하중은 얼마인가?(2013년 03월)
     1. 6.3kN
     2. 126kN
     3. 63kN
     4. 12.6kN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최대하중=(파괴강도*면적)/안전률
=[(70*10^3)*(1800*10^-6)]/2.0=63kN
[해설작성자 : 든다기]

파괴하중=파괴강도*단면적
안전율=파괴하중/최대하중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70*10^6)*(1800*10^-6)/2
[해설작성자 : ㅇㅇ]

70Mpa = 70N/mm^2
70N/mm^2 × 1800mm^2 = 63000N
63000N = 63KN
[해설작성자 : 쉽게쉽게]

70Mpa = 70N/mm^2
70N/mm^2(파괴강도) × 1800mm^2(단면적) / 2(안전율) = 63000N
63000N = 63KN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비파괴 검사 방법으로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인장 시험
     2. 음향 탐상 시험
     3. 와류 탐상 시험
     4. 초음파 탐상 시험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비파괴 시험의 종류(8)
1.육안검사 2.누설검사 3.침투탐상시험 4.초음파탐상시험 5.자분탐상시험
6.음향탐상시험 7.방사선투과시험 8.와류탐상시험
[해설작성자 : 오스카]

인장시험은 금속의 대표적인 '파괴 시험'이다.
[해설작성자 : 마텐이]

인장검사는 기계로 물체의 양쪽끝단을 잡고 서로 반대쪽으로 잡아당겨서 끊어지기 직전까지 얼마나 길게 늘어나냐(인장:한자로 길 장)를 검사하는겁니다
끊어질때까지 당기니까 당연히 파괴되겠죠ㅎ;
[해설작성자 : 건군]

4과목 : 전기위험방지기술


61. 다음 설명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2016년 05월)

    

     1. 충돌대전
     2. 박리대전
     3. 유동대전
     4. 분출대전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박리대전-밀착된 물체가 떨어지면서 자유전자의 이동으로 발생한다.
충돌대전-입자와 다른 고체와의 충돌과 급속한 분리에 의해 발생한다.
분출대전-기체,액체,분체류가 단면적이 작은 분출구를 통과할 때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62. 교류 아크용접기의 자동전격방지장치는 아크 발생이 중단된 후 출력측 무부하 전압을 몇 [V] 이하로 저하시켜야 하는가?(2011년 06월)
     1. 25~30
     2. 35~50
     3. 55~75
     4. 80~100

     정답 : []
     정답률 : 72%

63. 피뢰기의 설치장소가 아닌 것은? (단, 직접 접속하는 전선이 짧은 경우 및 피보호기기가 보호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가 아니다.)(2017년 03월)
     1. 저압을 공급 받는 수용장소의 인입구
     2. 지중전선로와 가공전선로가 접속되는 곳
     3. 가공전선로에 접속하는 배전용 변압기의 고압측
     4. 발전소 또는 변전소의 가공전선 인입구 및 인출구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전기화재및예방대책(피뢰설비)
- 피뢰기설치장소 : 발전소및변전소의 가공전선 인출입구, 가공전선로 배전용변압기의 고압측, 고압의 가공전선로로부터 수용장소의 인입구, 가공전선로와 지중전선로의 접속점
[해설작성자 : 나웅희]

64. 전기기기, 설비 및 전선로 등의 충전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장비는 어느 것인가?(2011년 03월)
     1. 위상 검출기
     2. 디스콘 스위치
     3. COS
     4. 저압 및 고압용 검전기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검전기 : 전원의 충전여부 확인하는 장비
[해설작성자 : 이태원동존잘러]

65. 인체가 감전되었을 때 그 위험성을 결정짓는 주요 인자와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8월)
     1. 통전시간
     2. 통전전류의 크기
     3. 감전전류가 흐르는 인체부위
     4. 교류 전원의 종류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크기>시간>경로>종류
[해설작성자 : 훈이랍니다.]

*전원의 종류 (직류인지 교류인지)
참고로 교류가 직류보다 더 위험
[해설작성자 : 산안기가즈아]

아무리봐도 1차적 감젘위험과 2차적감전위험 설명인거같은데 1차적이 주요원인임
2차적감전위험요소로서 인체조건 전압 주파수 계절임
[해설작성자 : 이거틀림]

66. 고압 활선 작업시 조치 사항 중 잘못된 것은?(2004년 09월)
     1. 접근 한계거리 유지
     2. 절연용 보호구 착용
     3. 활선작업용 기구 사용
     4. 절연용 방호용구 설치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1번은 '충전전로 인근에서 작업'할 때의 조치사항
나머지 보기는 '충전전로를 취급'하는 것임
(용어 출처: 안전보건규칙)
[해설작성자 :바보인가봐 ♬]

67. 감전 사고시 전선이나 개폐기 터미널 등의 금속분자가 고열로 용융됨으로서 피부 속으로 녹아 들어가는 것은?(2012년 05월)
     1. 피부의 광성변화
     2. 전문
     3. 표피박탈
     4. 전류반점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피부의 광성 변화 : 감전사고시 전선로의 선간단락 또는 지락사고로 전선이나 단자 등의 금속 분자가 가열, 용융되어 인근 작업자의 피부속으로 녹아들어가게 되어 국지적으로 화상을 입게 된다.
[해설작성자 : 달구마미]

68. 전기용품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하고 있는 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는 정격감도전류 동작시간은 얼마 이하로 되어 있는가?(2004년 03월)
     1. 5mA 이하, 0.1초 이내
     2. 30mA 이하, 0.03초 이내
     3. 15mA 이하, 0.03초 이내
     4. 30mA 이하, 0.1초 이내

     정답 : []
     정답률 : 68%

69. 안전모의 “내전압성”이란 몇 [V] 이하의 전압에서 견딜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가?(2007년 05월)
     1. 4000
     2. 5000
     3. 6000
     4. 7000

     정답 : []
     정답률 : 61%

70. 다음 중 전기화재시 소화에 부적합한 소화기는?(2005년 05월)
     1. 사염화탄소 소화기
     2. 분말 소화기
     3. 산알칼리 소화기
     4. CO2 소화기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산알칼리 소화기는 a급 일반화재용(목재 등)
[해설작성자 : 기냥]

71. 다음 중 전기화재의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2021년 05월)
     1. 절연전선의 열화
     2. 정전기 발생
     3. 과전류 발생
     4. 절연저항값의 증가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절연저항값의 증가 → 감소
[해설작성자 : 지닝]

절연저항값의 발열

72. 폭발성 가스가 있는 위험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기설비의 방폭구조로서 내부에서 폭발하더라도 틈의 냉각효과로 인하여 외부의 폭발성 가스에 착화될 우려가 없는 방폭 구조는?(2012년 05월)
     1. 내압 방폭구조
     2. 유입 방폭구조
     3. 안전증 방폭구조
     4. 본질안전 방폭구조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내압 방폭 - 내부폭발 시 폭발압력을 견디며, 외부의 가스에 인화되지 않는 구조
유입 방폭 - 스파크, 고온 등 발생 부분을 기름 속에 넣어 표면 위 가스에 인화되지 않는 구조
안전증 방폭 - 점화원이 되는 스파크, 고온 등 방지를 위해 기계적, 전기적 안전도 증가. 사고(단선 등)는 고려하지 않음
본질안전 방폭 - 발생되는 스파크, 고온 등 가스의 점화 에너지를 충족하지 않는 구조. 정상상태, 사고 모두 고려함
[해설작성자 : KIIK]

73. 저압방폭전기의 배관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8월)
     1. 전선관용 부속품은 방폭구조에 정한 것을 사용한다.
     2. 전선관용 부속품은 유효 접속면의 깊이를 5mm 이상 되도록 한다.
     3. 배선에서 케이블의 표면온도가 대상하는 발화온도에 충분한 여유가 있도록 한다.
     4. 가요성 피팅(Fitting)은 방폭 구조를 이용하되 내측 반경을 5배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답은 2번이 맞고
전선관용 부속품은 관용 평형나사를 사용하며 5산 이상 결합되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공부자(황)]

74. 접지의 목적과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2019년 08월)
     1. 낙뢰에 의한 피해방지
     2. 송배전선에서 지락사고의 발생 시 보호계전기를 신속하게 작동시킴
     3. 설비의 절연물이 손상되었을 때 흐르는 누설전류에 의한 감전방지
     4. 송배전선로의 지락사고 시 대지전위의 상승을 억제하고 절연강도를 상승시킴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송배전선로의 지락사고시 대지전위의 상승을 유도하고
절연강도를 저하시킴
[해설작성자 : 남돌]

2번이 맞는 이유
전기기사 공부할 때 "접지를 하면 보호계전기의 동작을 확실화시킨다"는 내용이 나옵니다.

4번이 틀린 이유
절연레벨 경감 O
대지전위상승억제라는 말은 그만큼 전압상승을 억제시켰으니, 절연레벨도 낮출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감광보상율은보수율의역수]

기기 및 선로의 이상전압 발생시 대지전위 억제 및 절연강도 경감
변압기의 저고압 혼촉시감전방지
통신장애의 저감
상기건은 인터넷 검색 완료된 자료임
[해설작성자 : 허찬]

접지선에 전류감지기를 달아놓습니다. 어스폴트발생하면 신속하게 CB를 내립니다. 보호기능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조선소]

애초에 이 문제는 애매모호한 보기의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2번은 맞는 말입니다.
4번은 제대로만 적혀 있다면 그것도 맞는 말입니다.
그런대 우리가 알고 가야 할 부분은 대체 절연강도, 절연레벨 이것들이 높을수록 좋으냐? 낮을수록 좋으냐를
알아야 합니다. 절연레벨, 절연강도를 높일수록 그만큼 경비가 올라가게 됩니다. 결국 공사비 자재비 더 들어간다는거죠.
그러니까 쉽게 말해서 절연레벨이 낮아도 사람에게 위험한 일이 발생이 안된다면, 당연히 절연레벨이 낮은게 좋은 것이지,
공사비, 자재비가 더 올라가는 것이 좋은게 아니라는거죠.
접지를 하게되면 절연강도를 저하시킬수 있으니 좋은 것인대
4번의 보기는 절연강도를 올린다고 했으니까 틀린 보기를 낸 것입니다.
문제가 최종 요구하는 것은 틀린 답을 찾아 보라는 것이니 결국 4번이 될 수 밖에 없는 것이지요.
즉 쉽게말해서 1번2번3번 다 맞는 말이고 4번도 맞을뻔 했는대, 끝에 절연레벨을 올린다고 한게 틀리므로 4번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접지는 절연강도를 상승시킴 (X)
접지는 절연강도를 경감시킴(O)
접지 시 절연강도는 높아짐 (O)
[해설작성자 : 베네피셜보이]

75. 정전기 발생 방지책이 아닌 것은?(2005년 03월)
     1. 접지
     2. 가습
     3. 보호구의 착용
     4. 배관내 유속가속

     정답 : []
     정답률 : 56%

76. 다음 중 과전류에 의한 전선의 인화로부터 용단에 이르기 까지 각 단계별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전선전류 밀도는 A/mm2이다.)(2008년 09월)
     1. 인화단계 : 40 ~ 43A/mm2
     2. 착화단계 : 43 ~ 60A/mm2
     3. 발화단계 : 60 ~ 150A/mm2
     4. 용단단계 : 120A/mm2 이상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과전류에 의한 전선의 용단 전류밀도]
단위 : (A/mm^2)
인화 40~43
착화 43~60
발화 60~70
용단 120
[해설작성자 : 궁서최]

77. 전기기계ㆍ기구의 기능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8월)
     1. CB는 부하전류를 개폐(ON-Off)시킬 수 있다.
     2. ACB는 접촉스파크 소호를 진공상태로 한다.
     3. DS는 회로의 개폐(ON-Off) 및 대용량 부하를 개폐시킨다.
     4. LA는 피뢰침으로서 낙뢰 피해의 이상 전압을 낮추어 준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CB: Circuit Breaker, 차단기
ACB: Air Circuit Breker, 기중차단기
DS: Disconnecting Switch, 단로기
LA: Lightening Arrestor, 피뢰기
[해설작성자 : 그대로]

2. 기중차단기(ACB) : 공기 중에서 아크를 자연 소호하는 차단기
3. 단로기(DS) : 반드시 무부하시 개폐 조작을 하여야 한다
4. 피뢰기(LA) : 낙뢰에 의해 구내에 침입하는 이상 전압이나 부하 개폐 시 발생하는 개폐써지 등의 이상 전압을 억제하기 위해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어허]

78. 다음 중 이탈전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09년 03월)
     1. 충전부에 접촉했을 때 근육이 수축을 일으켜 자연히 이탈되는 전류의 크기이다.
     2. 손발을 움직여 충전부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전류를 말한다.
     3. 누전에 의해 전류가 선로로부터 이탈되는 전류로서 측정기를 통해 측정 가능한 전류를 말한다.
     4. 충전부에 사람이 접촉했을 때 누전차단기가 작동하도록 설정한 전류의 값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79. 누전된 전동기에 인체가 접촉하여 500mA의 누전전류가 흘렀고 정격감도전류 500mA인 누전차단기가 동작하였다. 이때 인체전류를 약 10mA로 제한하기 위해서는 전동기 외함에 설치할 접지저항의 크기는 약 몇 Ω인가?(단, 인체저항은 500Ω이며, 다른 저항은 무시한다)(2019년 04월)
     1. 5
     2. 10
     3. 50
     4. 100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병렬연결된 저항을 미지수 x

새로운 저항을 단 후의 전체 전압 = V = I*R = 0.5A*((500*x)/(500+x))ohm
인체에 흐르는 전류 = I' = V'/R' = V/500ohm // 병렬이라 V = V'
문제에서 I' = 10mA = 0.5A*((500*x)/(500+x))ohm/500ohm
x에 대해 계산하면 x=10.20108 ohm

x = 약 10ohm

[추가 해설]
전동기 외함의 접지는 인체를 통하는 회로와 병렬관계
병렬회로에서 전류의 크기는 저항에 반비례
인체저항 Rh = 500, 인체전류 Ih, 접지저항 Rg, 접지전류 Ig 라 하면
Ih + Ig = 500, Ig = 500 - Ih
Rh : Rg = Ih : Ig = Ih : 500 - Ih
Rh = 500 이므로 500 * Ih = Rg * (500 - Ih)
Rg = (500 * Ih) / (500 - Ih) 여기서 Ih = 10 이면 Rg = 5000 / 490 = 10.2 즉 약 10옴
[해설작성자 : iykim71]

저항하고 전류는 반비례 관계 이므로
Rh:Rg=1/Ih:1/Ig=Ig:Ih 입니다
Rh(인체저항)=500옴
Ih(인체전류)=10mA

비례식에서 내항과 외항의 곱은 같으므로,
RhxIh=RgxIg
500옴x10mA=Rgx(500-10)mA

즉, Rg=10.2040816----~=10
[해설작성자 : 아쿠아맨]

간단하게(인체저항×인체전류)/(누전전류-인체전류)
[해설작성자 : 전기기사]

80. 충전전로에 접근된 장소에서 시설물, 건설, 해체, 점검, 수리 또는 이동식 크레인, 콘트리트 펌프카, 항타기, 항발기등 작업시 감전 위험방지 조치 중 부적당한 것은?(2006년 03월)
     1. 해당 충전전로 이설
     2. 절연용 보호구 착용
     3. 절연용 방호구 설치
     4. 감시인 배치

     정답 : []
     정답률 : 26%

5과목 :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81. 다음 중 반응기의 구조 방식에 의한 분류에 해당하는 것은?(2013년 08월)
     1. 유동층형 반응기
     2. 연속식 반응기
     3. 반화분식 반응기
     4. 회분식 균일상반응기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조작방식 : 회분식,균일상,반회분식,연속식
구조방식 : 관형,탑형,교반조형,유동층형
[해설작성자 : 사니조아]

형을 구조해! (구조식에는 형이 붙어요)
[해설작성자 : 기영아살려줘]

8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위험물 또는 위험물이 발생하는 물질을 가열.건조하는 경우 내용적이 얼마인 건조설비는 건조실을 설치하는 건축물의 구조를 독립된 단층 건물로 하여야 하는가?(2014년 03월)
     1. 0.3m3 이하
     2. 0.3m3 ~ 0.5m3
     3. 0.5m3 ~ 0.75m3
     4. 1m3 이상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위험물 또는 위험물이 발생하는 물질을 가열,건조하는 경우 내용적이 1m3 이상인 건조설비
[해설작성자 : 난날알아9]

83. 폭발한계와 완전 연소 조정 관계인 Jones식을 이용하여 부탄(C4H10)의 폭발하한계를 구하면 몇 vol% 인가?(2022년 04월)
     1. 1.4
     2. 1.7
     3. 2.0
     4. 2.3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Jones: 연료몰수와 완전연소에 필요한 공기몰수를 이용하여 화학양론적계수(Cst)를 계산 후 이를 이용하여 폭발하한계와 폭발상한계를 추산하는 식
X1(LEL)=0.55Cst, X2(UEL)=3.50Cst
2C4H10+13O2=8C92+10H2O따라서, 2:3이 최적 산소 농도
산소는 공기중 21%만 있으므로Cst=1/(1+13/2/0.21)*0.55=0.0172따라서, 연소하한계가 1.7vol%
[해설작성자 : 안전의 달인자]

[쉽게 보충 설명]
C4H10의 연소 반응식은 아래와 같음
         2C4H10         +         13O2                    =         8C02         +         10H2O
(연료몰수 2개)    (산소몰수 13개)    
(폭팔하한계를 구하려면 일단 Cst를 구해야함)
Cst = 연료몰수/(연료몰수+공기몰수) X 100 => 2 / [ 2 + ( 13 / 0.21) ] X 100    = 3.129
(여기서 산소는 공기중의 21%이므로 13에 0.21를 나눠준다) -> 비슷한문제 하나씩 나오므로 외우기
Jones식 LFL(연소하한계) = Cst X 0.55    UFL(연소상한계) = Cst X 3.5
문제에서 폭발(연소)하한계를 구하라 했으니 3.129(Cst) X 0.55 = 1.72....
[해설작성자 : 노베이스산안기파이터]

공식 쉬운 거
1+4.773(탄소+수소/4)         했을시
1+4.773(4 + 10/4)        =            1+ 4.773 x 6.5    =     1 + 31.02 = 32.02
여기에 100을 32.2 로 나눕니다.    그러면 3.10559
이제 Cst 하한계 0.55 곱해줍니다. 0.55 x 3.10559    = 1.708
공식 100 /    1+4.773(탄소+수소/4)        값 나오면 Cst 하한계 0.55 곱해주면 끝. 상한계는 3.5    
[해설작성자 : 아기상어]

84. 열교환 탱크 외부를 두께 0.2m의 석면(k=0.037kcal/mhr℃)으로 보온하였더니 석면의 내면은 40℃, 외면은 20℃이었다. 면적 1m2 당 1시간에 손실되는 열량[kcal]은?(2005년 09월)
     1. 0.0037
     2. 0.037
     3. 1.37
     4. 3.7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0.037/02)*(40-20)=3.7
[해설작성자 : 꿀북이]

85. 산업안전보건법상 특수화학설비 설치시 반드시 필요한 장치가 아닌 것은?(2009년 03월)
     1. 원재료 공급의 긴급차단장치
     2.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예비동력원
     3. 화재시 긴급대응을 위한 자동소화장치
     4. 온도계・유량계・압력계 등의 계측장치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특수화학설비의 방호장치
1.계측장치
2.긴급차단장치
3.자동경보장치
4.예비동력원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86. 대기압하에서 인화점이 섭씨 23℃ 미만이고, 초기 끊는 점이 35℃ 이하인 물질이 아닌 것은?(2004년 05월)
     1. 메탄올
     2. 가솔린
     3. 산화프로필렌
     4. 에틸에테르

     정답 : []
     정답률 : 27%

87. 비점이 낮은 액체 저장탱크 주위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저장탱크 내부의 비등 현상으로 인한 압력 상승으로 탱크가 파열되어 그 내용물이 증발, 팽창하면서 발생되는 폭발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2009년 05월)
     1. UVCE
     2. BLEVE
     3. 개방계 폭발
     4. 중합 폭발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비등액체팽창증기폭발(BLEVE) : Boiling Liquid-Expanding Vapor Explosion
개방증기운폭발(UVCE) : Unconfined vapor cloud explosion
[해설작성자 : 쿠얼]

88.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비치 제외 대상이 아닌 것은?(2009년 05월)
     1. 원자력법에 의한 방사성 물질
     2. 농약관리법에 의한 농약
     3. 비료관리법에 의한 비료
     4. 관세법에 의해 수입되는 유기용제

     정답 : []
     정답률 : 67%

89. 사업주는 특수화학설비를 설치할 때 내부의 이상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기 위하여 필요한 계측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음 중 이에 해당하는 특수화학설비가 아닌 것은?(2017년 03월)
     1. 발열 반응이 일어나는 반응장치
     2. 증류, 증발 등 분리를 행하는 장치
     3. 가열로 또는 가열기
     4. 액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방유장치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기준 중
제273조(계측장치 등의 설치) 사업주는 별표 9에 따른 위험물을 같은 표에서 정한 기준량 이상으로 제조하거나 취급하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화학설비(이하 “특수화학설비”라 한다)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내부의 이상 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기 위하여 필요한 온도계·유량계·압력계 등의 계측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1.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반응장치
2. 증류·정류·증발·추출 등 분리를 하는 장치
3. 가열시켜 주는 물질의 온도가 가열되는 위험물질의 분해온도 또는 발화점보다 높은 상태에서 운전되는 설비
4. 반응폭주 등 이상 화학반응에 의하여 위험물질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설비
5. 온도가 섭씨 350도 이상이거나 게이지 압력이 980킬로파스칼 이상인 상태에서 운전되는 설비
6. 가열로 또는 가열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방유장치는 특수화학설비가 아닌 위험물을 액체상태로 저장할 때 위험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황병만]

90. 다음 중 금속 산(acid)과 접촉하여 수소를 가장 잘 방출시키는 원소는?(2017년 05월)
     1. 칼륨
     2. 구리
     3. 수은
     4. 백금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주기율표 상에서 1족 원소, 리튬, 나트륨(소듐), 칼륨, 스트론튬 등등등

91. 다음의 2가지 물질을 혼합 또는 접촉하였을 때 발화 또는 폭발의 위험성이 가장 낮은 것은?(2017년 08월)
     1. 니트로셀룰로오스와 물
     2. 나트륨과 물
     3. 염소산칼륨과 유황
     4. 황화인과 무기과산화물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니트로셀룰로오스는 다량의 주수에 의한 냉각소화를 하므로 물과 혼합 시 발화의 위험이 낮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니트로셀룰로스는 물,알콜로 습면시켜서 냉암소에 보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2. 폭발을 기상폭발과 응상폭발로 분류할 때 다음 중 기상폭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7년 08월)
     1. 분진폭발
     2. 혼합가스폭발
     3. 분무폭발
     4. 수증기폭발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기상폭발 : 가스 분진 분무 증기운 가스분해 폭발
응상폭발 : 수증기, 증기 폭발
[해설작성자 : 쿠라니]

응상폭발 : (수증기, 전선 , 증기, 고상간전이 )폭발 수전증!고
[해설작성자 : 모를 수 있다고 생각해]

93. 물과의 반응으로 유독한 포스핀가스를 발생하는 것은?(2022년 03월)
     1. HCl
     2. NaCl
     3. Ca3P2
     4. Al(OH)3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포스핀가스=PH3
인(P)이 들어있는 Ca3P2 3번이 답
[해설작성자 : 합격 가즈아]

물과 인화칼슘이 만나면 포스핀가스가 생성된다.
[해설작성자 : 북삼고노경환]

94.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공정안전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5월)
     1. 공정안전자료
     2. 비상조치계획
     3. 평균안전율
     4. 공정위험성 평가서

     정답 : []
     정답률 : 57%

95. 공기 중 아세톤의 농도가 200ppm(TLV 500ppm), 메틸에틸케톤(MEK)의 농도가 100ppm(TLV 200ppm)일 때 혼합물질의 허용농도(ppm)는? (단, 두 물질은 서로 상가작용을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2021년 03월)
     1. 150
     2. 200
     3. 270
     4. 333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혼합물질의 허용농도
200/500+100/200=0.9
유해물질 농도 합계 200+100=300ppm

300ppm/0.9 = 333.3333
[해설작성자 : 윤서아빠]

96. 다음 중 분진폭발의 특징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2012년 05월)
     1. 가스폭발보다 발생에너지가 작다.
     2. 폭발압력과 연소속도는 가스폭발보다 크다.
     3. 불완전연소로 인한 가스중독의 위험성이 적다.
     4. 화염의 파급속도보다 압력의 파급속도가 크다.

     정답 : []
     정답률 : 69%

97. 다음 중 유류화재나 전기화재시 사용할 수 있는 소화기는 어느 것인가?(2003년 05월)
     1. 산⋅알칼리소화기
     2. 분말소화기
     3. 강화액소화기
     4. 방화수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1. A급화재(냉각) : 방화수
2. B급화재(질식) : 포말, CO2, 분말, 할로겐
3. C급화재(질식,냉각) : 유기성, CO2, 분말, 할로겐
4. D급화재(질식) : 건조사, 팽창 진주암
[해설작성자 : 맑갑]

98.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사업주가 특수화학설비를 설치하는 때에 그 내부의 이상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기 위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장치는?(2008년 03월)
     1. 자동경보장치
     2. 안전감시장치
     3. 자동문개폐장치
     4. 스크러버개방장치

     정답 : []
     정답률 : 66%

99. 포화탄화수소계의 가스에서는 폭발하한계의 농도 X(vol%)와 그의 연소열(kcal/mol)Q의 곱은 일정하게 된다는 Burgess-Wheeler의 법칙이 있다. 연소열이 635.4kcal/mol인 포화탄화수소 가스의 하한계는 약 얼마인가?(2013년 03월)
     1. 1.73%
     2. 1.95%
     3. 2.68%
     4. 3.20%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Burgess-Wheeler의 법칙 :    X(vol%) * Q(kJ/mol)= 4600(vol% kJ/mol)
kJ을 kcal로 변환 (4.2로 나누어줌)
X(vol%) * Q(kcal/mol)= 1100(vol% kcal/mol)
X=1100/Q=1100/635.4=1.73%

[해설작성자 : 든다기]

100. 다음 중 가연성 물질과 산화성 고체가 혼합하고 있을 때 연소에 미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2021년 08월)
     1. 착화온도(발화점)가 높아진다.
     2. 최소점화에너지가 감소하며, 폭발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3. 가스나 가연성 증기의 경우 공기혼합보다 연소범위가 축소된다.
     4. 공기 중에서보다 산화작용이 약하게 발생하여 화염온도가 감소하며 연소속도가 늦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산화성 고체는 반응성이 강하고 가열, 충격, 마찰에 의해 산소를 방출하기 쉽다.
[해설작성자 : 1004빈]

최소점화에너지감소(착화온도는 내려간다.)
인화성 기체 또는 액체의 발생속도가 열의 일상속도를 상회하는 현상
[해설작성자 : 토티]

101. 다음 중 달비계 또는 높이 5m 이상의 비계를 조립ㆍ해체하거나 변경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의 준수사항이다. 빈칸에 알맞은 숫자는?(2015년 05월)

    

     1. 15
     2. 20
     3. 25
     4. 30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비계재료의 연결ㆍ해체작업 폭 20cm이상
슬레이트,선라이트등 강도가 약한 지붕위에서작업 폭30cm이상
높이가 2m이상인 작업 폭40cm이상
[해설작성자 : 남돌]

102. 강관비계의 수직방향 벽이음 조립간격(m)으로 옳은 것은? (단, 틀비계이며 높이는 10m 이다.)(2012년 03월)
     1. 2m
     2. 4m
     3. 6m
     4. 9m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틀비계 수직 6M 수평8M
[해설작성자 : tjsgkr2002]

단관비계 수직 5 , 수평 5
통나무 수직 5.5 , 수평 7.5
[해설작성자 : 보라매 오키톡끼]

103. 압쇄기를 사용하여 건물해체 시 그 순서로 옳은 것은?(2014년 05월)

    

     1. A-B-C-D
     2. A-C-B-D
     3. C-A-D-B
     4. D-C-B-A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바닥(슬래브) → 보 → 벽 → 기둥
[해설작성자 : .]

104. 롤러의 표면에 돌기를 만들어 부착한 것으로 돌기가 전압층에 매입되어 풍화암을 파쇄하고 흙 속의 간극수압을 제거하는 롤러는?(2011년 06월)
     1. 머캐덤롤러
     2. 탠덤롤러
     3. 탬핑롤러
     4. 진동롤러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머캐덤: 도로공사 자갈 압착하여 다짐
탠덤: 도로 공사 아스팔트 포장 마무리
진동: 작은 도로공사 등 사용
[해설작성자 : 하기]

105. 달비계의 최대 적재하중을 정함에 있어서 활용하는 안전계수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곤돌라의 달비계를 제외한다.)(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8년 03월)
     1. 달기 와이어로프 : 5 이상
     2. 달기 강선 : 5 이상
     3. 달기 체인 : 3 이상
     4. 달기 훅 : 5 이상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달기 와이어로프/강선 : 10 이상
달기 체인/훅 : 5 이상
달기 강대,달비계 상하부 : 강재는 2.5 이상 목재는 5 이상
[해설작성자 : 어훌러어훌러]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규칙 제55조(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
사업주는 비계의 구조 및 재료에 따라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을 정하고, 이를 초과하여 실어서는 안 된다.[전문개정 2024.6.28.]
기존 달비계 안전계수 항목이 삭제되었음(규정된 답이 없음)

106. 다음 보기의 ( ) 안에 알맞은 내용은?(2018년 03월)

    

     1. 3
     2. 3.5
     3. 4
     4. 4.5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동바리로 사용하는 강관(파이프서포트를 제외)에 대하여는 다음 각 목의 정하는 바에 의할 것
1. 높이 2m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만들고 수평연결재의 변위를 방지할 것으로 되어있습니다.

문제의 경우 파이프서포트이므로 위 내용은 해당이 안되니
3.5m를 초과할 경우 2m 이내마다 수평연결재 2개방향으로 설치해줍니다.
[해설작성자 : 기계과 기붕이]

107. 다음은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시스템 비계의 구조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1년 05월)

    

     1. 2분의 1
     2. 3분의 1
     3. 4분의 1
     4. 5분의 1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시스템 안전규칙 제69조
1. 수직재,수평재,가새재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구조가 되도록할것.
2. 비계 및단의 수직재와 받침철물은 밀착되도록 설치, 수직재와 받침철물의 연결부의 겹침길이는 받침철물 전체길이의 3분의 1이상이 되도록 할것.
3. 수평재는 수직재와 직각으로 설치, 체결후 흔들림 없도록 고정.
4. 수직재와 수직재의 연결철물은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한 구조.
5. 벽 연결재의 설치간격은 제조사가 정한 기준에 따라 설치.
[해설작성자 : 가보자구]

108. 터널지보공을 설치할 때 수시로 점검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04년 09월)
     1. 부재의 긴압 정도
     2. 기둥침하의 유무 및 상태
     3. 부재의 접속부 및 교차부 상태
     4. 부재의 강도

     정답 : []
     정답률 : 48%

109. 다음 중 터널 굴착 작업시 시공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3월)
     1. 굴착의 방법
     2. 터널 지보공 및 복공의 시공 방법과 용수의 처리 방법
     3. 환기 또는 조명시설을 하는 때에는 그 방법
     4. 계기의 이상 유무 점검

     정답 : []
     정답률 : 52%

110. 잠함 또는 우물통의 내부에서 굴착작업을 할 때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8월)
     1. 굴착깊이가 10m 를 초과하는 때에는 해당 작업장소와 외부와의 연락을 위한 통신설비 등을 설치한다.
     2. 산소결핍의 우려가 있는 때에는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자를 지명하여 측정하도록 한다.
     3. 근로자가 안전하게 승강하기 위한 설비를 설치한다,
     4. 측정결과 산소의 결핍이 인정될 때에는 송기를 위한 설비를 설치하여 필요한 양의 공기를 송급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굴착 깊이가 20미터를 초과하는 때에는 당해작업장소와 외부와의 연락을 위한 통신설비 등을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111. 중량물을 운반할 때의 바른 자세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허리를 구부리고 양손으로 들어올린다.
     2. 중량은 보통 체중의 60%가 적당하다.
     3. 물건은 최대한 몸에서 멀리 떼어서 들어올린다.
     4. 길이가 긴 물건은 앞쪽을 높게 하여 운반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앞쪽을 높게하고 뒷부분을 끌면서 이동한다

[추가 해설]

1.허리를 피고 다리만 움직여 일어난다, 이동한다
2.남자는 40%, 여자는 24%
3.물거은 가급적 몸에서 가깝게 들어올린다
[해설작성자 : 윤쁘]

112. 일반건설공사(갑)로서 대상액이 5억원 이상 50억원 미만인 경우에 사업안전보건관리비의 비율 (가) 및 기초액 (나)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6년 08월)
     1. (가)1.86%, (나)5,349,000원
     2. (가)1.99%, (나)5,499,000원
     3. (가)2.35%, (나)5,400,000원
     4. (가)1.57%, (나)4,411,000원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5억 이하 일반건설공사는 2.93, 철도, 궤도 신설공사는 2.45%
[해설작성자 : 공사 종류도 바야대냐?!ㅠ]

5억 이하는 2.93, 5억 이상~50억은 1.86 공사비가 증가할수록 안전보건관리비 비율은 낮아짐.
[해설작성자 : 산안기요정]

23년 10월에 법 개정되서 공사종류에 일반건설공사(갑)없음
[해설작성자 : 24.4 해설]

113. 다음 중 토사붕괴의 예방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9월)
     1. 적절한 경사면의 기울기를 계획한다.
     2. 활동할 가능성이 있는 토석은 제거하여야 한다.
     3. 지하수위를 높인다.
     4. 말뚝(강관, H형강, 철근 콘크리트)을 타입하여 지반을 강화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74%

114. 양중작업에 사용되는 와이어로프의 안전계수에 관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5월)
     1. 와이어로프의 안전계수는 그 절단하중의 값을 와이어로프에 걸리는 하중의 평균값으로 나눈 값이다.
     2. 근로자가 탑승하는 운반구를 지지하는 경우의 안전계수는 10 이상이어야 한다.
     3. 화물의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경우의 안전계수는 5이상 이어야 한다.
     4. 근로자가 탑승하는 운반구를 지지하거나 화물의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경우 외의 와이어로프 안전계수는 4 이상 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와이어로프의 안전계수는 그 절단하중의 값을 와이어로프에 걸리는 하중의 최대값으로 나눈 값이다(평균값 아님)
[해설작성자 : 기냥]

안전계수 기준:
근로자가 탑승하는 운반구를 지지하는 경우: 안전계수 10 이상
화물의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경우: 안전계수 5 이상
기타 그 외의 경우: 안전계수 4 이상이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기냥]

115.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 측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타설속도가 빠를수록 측압이 커진다.
     2. 거푸집의 투수성이 낮을수록 측압은 커진다.
     3. 타설높이가 높을수록 측압이 커진다.
     4. 콘크리트의 온도가 높을수록 측압이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콘크리트의 온도가 낮을수록 측압이 커진다.
[해설작성자 : 이정석]

116.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사다리식 통로를 설치하는 경우 준수하여야 하는 사항으로 틀린 것은?(2008년 03월)
     1. 재료는 심한 손상, 부식 등이 없는 것으로 할 것
     2. 폭은 30센티미터 이상으로 할 것
     3. 발판의 간격은 동일하게 할 것
     4. 사다리 기둥과 수평면과의 각도는 85도 이하로 할 것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75도
[해설작성자 : 내일이다]

117. 항타기?항발기에서 사용하는 권상용 와이어로프 안전계수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2005년 09월)
     1. 5 이상
     2. 7 이상
     3. 10 이상
     4. 15 이상

     정답 : []
     정답률 : 44%

118.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체를 위한 장비가 아닌 것은?(2014년 03월)
     1. 램머(Rammer)
     2. 압쇄기
     3. 철제 해머
     4. 핸드 브레이커(Hand Breaker)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기통 2사이클의 가솔린 엔진에 의해 기계를 튕겨 올리고 자중과 충격에 의해 지반, 말뚝을 박거나 다지는 것. 보통 소형의 핸드 래머 외에 대형의 프로그 래머가 있다.
[해설작성자 : jun]

램머 : 지반다짐용기계
[해설작성자 : 다니엘]

119. 법면붕괴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성토법면의 붕괴는 성토직후에 발생되기 쉽다.
     2. 법면붕괴를 방지하려면 법면구배를 증가시켜야 한다.
     3. 지표수와 지하수는 법면붕괴의 원인이 된다.
     4. 법면의 붕괴는 토질과 깊은 관계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64%

120. 사면 보호 공법 중 구조물에 의한 보호 공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8년 04월)
     1. 식생구멍공
     2. 블럭공
     3. 돌쌓기공
     4. 현장타설 콘크리트 격자공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구조물에 의한 보호 공법 - 돌붙임공, 블럭붙임공, 콘크리트 붙임공, 돌 및 블럭 쌓기공, 콘크리트 블럭 격자공, 현장 타설 콘크리트 격자공,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뿜어 붙이기 공법 등    주로 붙임공, 블럭 쌓기 등의 형태의 공법이고

식생구멍공은 비탈면 보호공법 중 식생공법에 해당함.
식생공법 - 종자뿜어붙이기, 식생매트공법, 평떼심기공, 줄떼심기공, 식생띠공, 식생판공, 식생자루공, 식생구멍공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고속도로 지나다니면 옆에 볼 수 있는 비탈면에 돌이나 콘크리트구조물 채워 놓은게 (경)사면보호공법입니다. 식생구멍공은 식물들을 이용해서 경사면의 흙이 안흐르게 방지하는 거고 나머지는 구조물을 설치하는 공법입니다
[해설작성자 : 식생은 식물이라는 뜻]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6611145)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산업, 안전, 기사,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61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8574129)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960 9급 국가직 공무원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4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959 전기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958 수능(국어영역)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8955254)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957 ERP 인사 2급 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6453668) 좋은아빠되기 2025.11.11 8
1956 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5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955 가맹거래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6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954 의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9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8
1953 화공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2232296)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1952 온실가스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9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951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2610020)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950 에너지관리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4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7
1949 9급 국가직 공무원 영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948 9급 지방직 공무원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94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2608226)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946 9급 국가직 공무원 전기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7338821)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945 소방공무원(경력) 생활영어(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0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944 전파통신기능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4월03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943 전산세무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078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6611145) 좋은아빠되기 2025.11.11 11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190 Next
/ 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