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530862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다음 유물이 만들어진 시대의 사회상으로 옳은 것은?(2014년 06월)

   

     1. 한자의 전래로 붓이 사용되었다.
     2. 무덤은 일반적으로 고인돌이 사용되었다.
     3. 조, 피 등을 재배하는 농경이 시작되었다.
     4. 반량전, 오수전 등의 중국 화폐가 사용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94%
     <문제 해설>
위의 보기는 신석기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1번은 철기
2번은 청동기
3번은 신석기
4번은 철기
[해설작성자 : 감 먹으러 곶감]

2. 다음과 같은 명을 내린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12월)

   

     1. 압록강과 두만강 지역에 4군 6진을 설치하였다.
     2. 훈구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사림을 적극 중용하였다.
     3. 「국조오례의」를 편찬하여 국가의 예법과 절차를 정하였다.
     4. 토지 등급을 대부분 하등으로 정하여 전세를 경감해 주었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삼강행실도 - 세종
압록강 두만강 4군6진 - 세종때 북방개척 결과물 -> 최윤덕장군이 압록강 유역의 여진족을 소탕하고 4군 설치, 김종서 이징옥 황보인이 함길도지방에 여진족을 물리쳐 두만강에 설치한 6진

2.훈구견제를 위해 성종때 사림 등용
3.국조오례의 - 성종 5년 1474년 신숙주와 정척이 왕의 명령으로 편찬한 예법책
4.영정과율법(永定課率法)(영정법)으로 1635년(인조 13)에 제정되었다.

3. 통일신라의 경제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시비법과 이앙법 등의 발달로 농민층에서 광작이 성행하였다.
     2. 촌락의 토지 결수, 인구 수, 소와 말의 수 등을 파악하였다.
     3. 어아주, 조하주 등 고급비단을 생산하여 당나라에 보냈다.
     4. 왕경에 서시전과 남시전이 설치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 시비법이 발달한 것은 통일신라가 아닌 고려말 이후이다.
[해설작성자 : 악어야]

1. 조선후기
2. 민정문서
3. 성덕왕(통신)
4. 효소왕
[해설작성자 : 유초유학청성성노]

4. 고려⋅조선시대 음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고려시대 향악은 주로 제례 때 연주되었다.
     2. 고려시대에는 동동, 대동강, 오관산 등이 창작 유행되었다.
     3. 조선시대에는 정간보를 만들어 음악의 원리와 역사를 체계화하였다.
     4. 조선시대 가사, 시조, 가곡 등은 아악을 발전시켜 연주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1. 향악 - 가사, 시조, 가곡으로 발전
3. 악학궤범
4. 아악 - 중국산. 궁중 제례 등에 사용
[해설작성자 : 연습생]

5. 다음 글에서 설명하고 있는 문화유산은?(2020년 06월)

   

     1. 경복궁
     2. 경희궁
     3. 창덕궁
     4. 덕수궁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4.덕수궁 석조전 - 경운궁
경운궁을 고종이 들어가면서 장수하라는 뜻으로 덕수궁으로 개명
아관파천으로 돌아온곳이 경운궁 = 덕수궁.

석조전 - 르네상스양식. 발코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고종이 강제 퇴위당하면서, 일본이 경운궁에서 덕수궁으로 격하시킨 것.
[해설작성자 : 훈공]

6. 다음은 조선 건국 후 법령을 집대성한「경국대전」서문의 일부이다. 이를 반포한 국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직전제 실시 이후 심해진 관리들의 수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수관급제를 시행하였다.
     2. 법전 편찬에 심혈을 기울여「조선경국전」,「경제육전」등도 간행하였다.
     3. 왕권을 안정시키고 사림정치의 기반을 조성하였다.
     4. 성균관에 존경각을 짓고 서적을 소장하게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조선 경국전 : 정도전 / 경제 육전 : 조준 -> 태조 이성계    
1,3,4 -> 성종
[해설작성자 : 공시생 N]

7. 다음과 같은 정치상황 하에서 나타난 현상으로 옳은 것은?(2009년 05월)

   

     1. 왕에게 모든 권력이 집중되었다.
     2. 남인, 소론, 지방선비들이 권력에서 배제되어 사회통합에 실패하였다.
     3. 공론이 중시되면서 이조 전랑의 권한이 강화되었다.
     4. 예송 논쟁이 일어나 붕당 간 대립이 격화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9세기부터 안동김씨의 세도정치가 시작되고
헌종 즉위 이후 풍양조씨가 세도정치의 정권을 잡는다.

1. 왕의 권력은 약해지고 하나의 가문에 권력이 집중된다.
3. 이조전랑은 18세기 영조 시기에 권한이 대폭 축소된다.
4. 예송 논쟁은 효종 사후 17세기 현종시기에 일어난다.
[해설작성자 : 형준형]

8. 다음 사건들이 일어난 시기를 <보기>에서 고르면?(2016년 03월)

   

     1. (가)
     2. (나)
     3. (다)
     4. (라)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923년 중국 상해에서 열린 국민 대표회의.

창조파 : 임정을 해체하고 새로운 정부를 조직
개조라 : 임정을 그대로 유지, 실정에 맞게 개편.
이후 개조파 만주대표들 사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다음은 조선 후기 집필된 역사서의 일부이다. 이 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6월)

   

     1. 우리 역사의 독자적 정통론을 세워 이를 체계화하였다.
     2. 단군-부여-고구려의 흐름에 중점을 두어 만주 수복을 희구하였다.
     3. 중국 및 일본의 자료를 망라한 기전체 사서로 민족사 인식의 폭을 넓혔다.
     4. 여러 영역을 항목별로 나눈 백과사전적 서술로 문화 인식의 폭을 확대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보기사료는 안정복의 동사강목.
안정복은 중국중심 역사관 탈피. 삼한정통론 주장.

2.이종휘 동사
3.한치윤 해동역사
4.이수광 지봉유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조선 숙종대의 정국에 대한 옳은 설명으로만 묶인 것은?(2008년 05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ㄴ,ㄹ은 숙종이 아닌 영조 다만 삼사의 언론 기능은 영조때도 남아있었음
[해설작성자 : ㅈㄷㅊ]

11. 밑줄 친 ‘그’의 저술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북학의」
     2. 「과농소초」
     3. 「의산문답」
     4. 「지봉유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양반전'의 저자는 박지원.

'북학의'는 박제가
'의산문답'은 홍대용
'지봉유설'은 이수광
[해설작성자 : 9급준비생]

12. 밑줄 친 ‘이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6월)

    

     1. 건원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2. 국학을 설립하여 유학을 교육하였다.
     3. 백성에게 처음으로 정전을 지급하였다.
     4. 진골 출신으로서 처음 왕위에 올랐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신문왕 만파식적
1. 법흥왕
3. 성덕왕
4. 무열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연호사용 헷갈리는 것: 건원=신라 법흥왕, 영락=광개토대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다음과 같은 조항을 직접 포함하고 있는 것은?(2011년 06월)

    

     1. 7⋅4 남북 공동 성명
     2. 남북 기본 합의서
     3. 6⋅5 남북 공동 선언
     4. 10⋅4 남북 정상 회담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991년 9월 남북이 UN에 동시에 가입한 이후
1991년 12월에 남북 기본 합의서를 발의한다.

남북 기본 합의서는 남북간의 화해, 교류, 불가침, 협력의 조항을 담고 있다.
[해설작성자 : 형준형]

14. 다음은 조선시대에 편찬된 어떤 책의 서문이다. 이 책이 편찬된 국왕 때에 일어난 일이 아닌 것은?(2012년 05월)

    

     1. 유향소를 다시 설치하고, 사창제를 폐지하였다.
     2. 서울의 원각사 안에 대리석 10층탑을 건립하였다.
     3. 재가녀 자손의 관리 등용을 제한하는 법을 공포하였다.
     4. 정읍사, 처용가 등이 한글로 수록된 악학궤범이 편찬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서거정 동문선. [동]쪽나라의 [문]예 [선]별집
서거정은 성종때의 인물.

1.3.4 모두 성종 관련 업적.

2. 원각사지 10층석탑은 세조때.
원각사지 10층석탑 쌍둥이 탑 경천사 10층석탑
경천사는 고려말. 원각사는 세조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다음과 같은 강령을 발표한 조직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2019년 06월)

    

     1. 이승만을 대통령, 이시영을 부통령으로 선출하였다.
     2. 자유시 참변을 겪고 러시아 적군에 무장해제를 당하였다.
     3. 좌우합작위원회를 구성하고 좌우합작 7원칙을 발표하였다.
     4. 미군전략정보국(OSS) 지원 아래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보기는 균등(삼균주의) 대한민국임시정부 건국강령.
1941년.

1.48년 제헌헌법 이후 1대 대통령.
2.21년 간도독립군 무장해제사건. 실제로 자유시(스보보드니)가 아닌 수라세프카에서 발생.
3.46년 좌우합작 위원회 통일정부수립을 위해 조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밑줄 친 ㉠, ㉡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3월)

    

     1. ㉠-‘황국신민서사’를 아동은 물론 성인에게도 암송하도록 강요하였다.
     2. ㉠-‘궁성요배’라 하여 서울의 남산을 비롯하여 전국 각지의 중요한 장소에 신사를 세우고 예배하도록 하였다.
     3. ㉡-군 인력 보충을 위해 처음에 ‘징병 제도’를 실시했으나 이후에는 ‘지원병 제도’로 바꾸었다.
     4. ㉡-‘만보산 사건’을 일으키기 직전에 국가총동원법을 제정ㆍ공포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2.
신사참배 : 전국각지에 신사새우고 예배강요.
궁성요배 : 천황있는 궁의 방향으로 절

3.지원병->징병
4.만보산사건 31년 국가총동원법 38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황국 신민화 정책으로 황국신민서사를 '모든' 국민이 암송하도록 강요하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5월)

    

     1. 평양에서 열린 남북 협상 회의에 참석하였다.
     2. 조선민족혁명당을 조직하고 조선의용대를 이끌었다.
     3. 안재홍과 함께 조선건국준비위원회를 주도적으로 조직하였다.
     4. 대통령 직선제를 골자로 하는 발췌 개헌안을 국회에 제출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신민회 회원,안악사건,한국국민당 조직 - 김구.

1.김규식 김구는 평양에서 열린 남북 협상 회의 참석.

2.김원봉
3.여운형
4.이승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다음 금석문 중 신라 진흥왕대의 정복사업을 살피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만 묶인 것은?(2008년 05월)

    

     1. ㄱ, ㄹ
     2. ㄴ, ㄷ
     3. ㄴ, ㄹ
     4. ㄷ, ㄹ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6C 진흥왕
단양 적성비(551)[순수비는 아님]
북한산비(555)->최초 순수비
창녕비(561)
황초령비*마운령비(568)
[해설작성자 : 소환포에버]

19. 시대별 교육문화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미군정기:미국식 민주주의 교육과 6-3-3학제가 도입되었다.
     2. 1950년대: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초등학교 의무교육제가 시행되었다.
     3. 1960년대:입시과열을 막기 위해 중학교 무시험 추첨제가 도입되었다.
     4. 1970년대:국가주의 이념을 강조한 국민교육헌장이 제정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4.국민교육헌장 - 1968년.

20. 다음 합의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5월)

    

     1. 남북기본합의서와 동시에 작성된 문서이다.
     2. 남북조절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합의한 내용이 담겨 있다.
     3. 분단 후 최초로 열린 남북정상회담의 결과로 발표된 성명서이다.
     4. 금강산 관광사업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972 7.4남북 공동 성명

1. 남북 기본 합의서 1991
3. 2000 6.15 남북공동선언
4. 2000 6.15 남북공동선언
[해설작성자 : AB6IX 박우진]


정 답 지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530862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다음 유물이 만들어진 시대의 사회상으로 옳은 것은?(2014년 06월)

   

     1. 한자의 전래로 붓이 사용되었다.
     2. 무덤은 일반적으로 고인돌이 사용되었다.
     3. 조, 피 등을 재배하는 농경이 시작되었다.
     4. 반량전, 오수전 등의 중국 화폐가 사용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94%
     <문제 해설>
위의 보기는 신석기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1번은 철기
2번은 청동기
3번은 신석기
4번은 철기
[해설작성자 : 감 먹으러 곶감]

2. 다음과 같은 명을 내린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12월)

   

     1. 압록강과 두만강 지역에 4군 6진을 설치하였다.
     2. 훈구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사림을 적극 중용하였다.
     3. 「국조오례의」를 편찬하여 국가의 예법과 절차를 정하였다.
     4. 토지 등급을 대부분 하등으로 정하여 전세를 경감해 주었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삼강행실도 - 세종
압록강 두만강 4군6진 - 세종때 북방개척 결과물 -> 최윤덕장군이 압록강 유역의 여진족을 소탕하고 4군 설치, 김종서 이징옥 황보인이 함길도지방에 여진족을 물리쳐 두만강에 설치한 6진

2.훈구견제를 위해 성종때 사림 등용
3.국조오례의 - 성종 5년 1474년 신숙주와 정척이 왕의 명령으로 편찬한 예법책
4.영정과율법(永定課率法)(영정법)으로 1635년(인조 13)에 제정되었다.

3. 통일신라의 경제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시비법과 이앙법 등의 발달로 농민층에서 광작이 성행하였다.
     2. 촌락의 토지 결수, 인구 수, 소와 말의 수 등을 파악하였다.
     3. 어아주, 조하주 등 고급비단을 생산하여 당나라에 보냈다.
     4. 왕경에 서시전과 남시전이 설치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 시비법이 발달한 것은 통일신라가 아닌 고려말 이후이다.
[해설작성자 : 악어야]

1. 조선후기
2. 민정문서
3. 성덕왕(통신)
4. 효소왕
[해설작성자 : 유초유학청성성노]

4. 고려⋅조선시대 음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고려시대 향악은 주로 제례 때 연주되었다.
     2. 고려시대에는 동동, 대동강, 오관산 등이 창작 유행되었다.
     3. 조선시대에는 정간보를 만들어 음악의 원리와 역사를 체계화하였다.
     4. 조선시대 가사, 시조, 가곡 등은 아악을 발전시켜 연주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1. 향악 - 가사, 시조, 가곡으로 발전
3. 악학궤범
4. 아악 - 중국산. 궁중 제례 등에 사용
[해설작성자 : 연습생]

5. 다음 글에서 설명하고 있는 문화유산은?(2020년 06월)

   

     1. 경복궁
     2. 경희궁
     3. 창덕궁
     4. 덕수궁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4.덕수궁 석조전 - 경운궁
경운궁을 고종이 들어가면서 장수하라는 뜻으로 덕수궁으로 개명
아관파천으로 돌아온곳이 경운궁 = 덕수궁.

석조전 - 르네상스양식. 발코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고종이 강제 퇴위당하면서, 일본이 경운궁에서 덕수궁으로 격하시킨 것.
[해설작성자 : 훈공]

6. 다음은 조선 건국 후 법령을 집대성한「경국대전」서문의 일부이다. 이를 반포한 국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직전제 실시 이후 심해진 관리들의 수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수관급제를 시행하였다.
     2. 법전 편찬에 심혈을 기울여「조선경국전」,「경제육전」등도 간행하였다.
     3. 왕권을 안정시키고 사림정치의 기반을 조성하였다.
     4. 성균관에 존경각을 짓고 서적을 소장하게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조선 경국전 : 정도전 / 경제 육전 : 조준 -> 태조 이성계    
1,3,4 -> 성종
[해설작성자 : 공시생 N]

7. 다음과 같은 정치상황 하에서 나타난 현상으로 옳은 것은?(2009년 05월)

   

     1. 왕에게 모든 권력이 집중되었다.
     2. 남인, 소론, 지방선비들이 권력에서 배제되어 사회통합에 실패하였다.
     3. 공론이 중시되면서 이조 전랑의 권한이 강화되었다.
     4. 예송 논쟁이 일어나 붕당 간 대립이 격화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9세기부터 안동김씨의 세도정치가 시작되고
헌종 즉위 이후 풍양조씨가 세도정치의 정권을 잡는다.

1. 왕의 권력은 약해지고 하나의 가문에 권력이 집중된다.
3. 이조전랑은 18세기 영조 시기에 권한이 대폭 축소된다.
4. 예송 논쟁은 효종 사후 17세기 현종시기에 일어난다.
[해설작성자 : 형준형]

8. 다음 사건들이 일어난 시기를 <보기>에서 고르면?(2016년 03월)

   

     1. (가)
     2. (나)
     3. (다)
     4. (라)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923년 중국 상해에서 열린 국민 대표회의.

창조파 : 임정을 해체하고 새로운 정부를 조직
개조라 : 임정을 그대로 유지, 실정에 맞게 개편.
이후 개조파 만주대표들 사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다음은 조선 후기 집필된 역사서의 일부이다. 이 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6월)

   

     1. 우리 역사의 독자적 정통론을 세워 이를 체계화하였다.
     2. 단군-부여-고구려의 흐름에 중점을 두어 만주 수복을 희구하였다.
     3. 중국 및 일본의 자료를 망라한 기전체 사서로 민족사 인식의 폭을 넓혔다.
     4. 여러 영역을 항목별로 나눈 백과사전적 서술로 문화 인식의 폭을 확대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보기사료는 안정복의 동사강목.
안정복은 중국중심 역사관 탈피. 삼한정통론 주장.

2.이종휘 동사
3.한치윤 해동역사
4.이수광 지봉유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조선 숙종대의 정국에 대한 옳은 설명으로만 묶인 것은?(2008년 05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ㄴ,ㄹ은 숙종이 아닌 영조 다만 삼사의 언론 기능은 영조때도 남아있었음
[해설작성자 : ㅈㄷㅊ]

11. 밑줄 친 ‘그’의 저술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북학의」
     2. 「과농소초」
     3. 「의산문답」
     4. 「지봉유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양반전'의 저자는 박지원.

'북학의'는 박제가
'의산문답'은 홍대용
'지봉유설'은 이수광
[해설작성자 : 9급준비생]

12. 밑줄 친 ‘이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6월)

    

     1. 건원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2. 국학을 설립하여 유학을 교육하였다.
     3. 백성에게 처음으로 정전을 지급하였다.
     4. 진골 출신으로서 처음 왕위에 올랐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신문왕 만파식적
1. 법흥왕
3. 성덕왕
4. 무열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연호사용 헷갈리는 것: 건원=신라 법흥왕, 영락=광개토대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다음과 같은 조항을 직접 포함하고 있는 것은?(2011년 06월)

    

     1. 7⋅4 남북 공동 성명
     2. 남북 기본 합의서
     3. 6⋅5 남북 공동 선언
     4. 10⋅4 남북 정상 회담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991년 9월 남북이 UN에 동시에 가입한 이후
1991년 12월에 남북 기본 합의서를 발의한다.

남북 기본 합의서는 남북간의 화해, 교류, 불가침, 협력의 조항을 담고 있다.
[해설작성자 : 형준형]

14. 다음은 조선시대에 편찬된 어떤 책의 서문이다. 이 책이 편찬된 국왕 때에 일어난 일이 아닌 것은?(2012년 05월)

    

     1. 유향소를 다시 설치하고, 사창제를 폐지하였다.
     2. 서울의 원각사 안에 대리석 10층탑을 건립하였다.
     3. 재가녀 자손의 관리 등용을 제한하는 법을 공포하였다.
     4. 정읍사, 처용가 등이 한글로 수록된 악학궤범이 편찬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서거정 동문선. [동]쪽나라의 [문]예 [선]별집
서거정은 성종때의 인물.

1.3.4 모두 성종 관련 업적.

2. 원각사지 10층석탑은 세조때.
원각사지 10층석탑 쌍둥이 탑 경천사 10층석탑
경천사는 고려말. 원각사는 세조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다음과 같은 강령을 발표한 조직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2019년 06월)

    

     1. 이승만을 대통령, 이시영을 부통령으로 선출하였다.
     2. 자유시 참변을 겪고 러시아 적군에 무장해제를 당하였다.
     3. 좌우합작위원회를 구성하고 좌우합작 7원칙을 발표하였다.
     4. 미군전략정보국(OSS) 지원 아래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보기는 균등(삼균주의) 대한민국임시정부 건국강령.
1941년.

1.48년 제헌헌법 이후 1대 대통령.
2.21년 간도독립군 무장해제사건. 실제로 자유시(스보보드니)가 아닌 수라세프카에서 발생.
3.46년 좌우합작 위원회 통일정부수립을 위해 조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밑줄 친 ㉠, ㉡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3월)

    

     1. ㉠-‘황국신민서사’를 아동은 물론 성인에게도 암송하도록 강요하였다.
     2. ㉠-‘궁성요배’라 하여 서울의 남산을 비롯하여 전국 각지의 중요한 장소에 신사를 세우고 예배하도록 하였다.
     3. ㉡-군 인력 보충을 위해 처음에 ‘징병 제도’를 실시했으나 이후에는 ‘지원병 제도’로 바꾸었다.
     4. ㉡-‘만보산 사건’을 일으키기 직전에 국가총동원법을 제정ㆍ공포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2.
신사참배 : 전국각지에 신사새우고 예배강요.
궁성요배 : 천황있는 궁의 방향으로 절

3.지원병->징병
4.만보산사건 31년 국가총동원법 38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황국 신민화 정책으로 황국신민서사를 '모든' 국민이 암송하도록 강요하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5월)

    

     1. 평양에서 열린 남북 협상 회의에 참석하였다.
     2. 조선민족혁명당을 조직하고 조선의용대를 이끌었다.
     3. 안재홍과 함께 조선건국준비위원회를 주도적으로 조직하였다.
     4. 대통령 직선제를 골자로 하는 발췌 개헌안을 국회에 제출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신민회 회원,안악사건,한국국민당 조직 - 김구.

1.김규식 김구는 평양에서 열린 남북 협상 회의 참석.

2.김원봉
3.여운형
4.이승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다음 금석문 중 신라 진흥왕대의 정복사업을 살피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만 묶인 것은?(2008년 05월)

    

     1. ㄱ, ㄹ
     2. ㄴ, ㄷ
     3. ㄴ, ㄹ
     4. ㄷ, ㄹ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6C 진흥왕
단양 적성비(551)[순수비는 아님]
북한산비(555)->최초 순수비
창녕비(561)
황초령비*마운령비(568)
[해설작성자 : 소환포에버]

19. 시대별 교육문화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미군정기:미국식 민주주의 교육과 6-3-3학제가 도입되었다.
     2. 1950년대: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초등학교 의무교육제가 시행되었다.
     3. 1960년대:입시과열을 막기 위해 중학교 무시험 추첨제가 도입되었다.
     4. 1970년대:국가주의 이념을 강조한 국민교육헌장이 제정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4.국민교육헌장 - 1968년.

20. 다음 합의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5월)

    

     1. 남북기본합의서와 동시에 작성된 문서이다.
     2. 남북조절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합의한 내용이 담겨 있다.
     3. 분단 후 최초로 열린 남북정상회담의 결과로 발표된 성명서이다.
     4. 금강산 관광사업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972 7.4남북 공동 성명

1. 남북 기본 합의서 1991
3. 2000 6.15 남북공동선언
4. 2000 6.15 남북공동선언
[해설작성자 : AB6IX 박우진]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5308625)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5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의료관계법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849 9급 지방직 공무원 화학공학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48 초음파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47 FAT 2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11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46 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1월27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45 시각디자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4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전자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843 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4월01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42 전자부품장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7월15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1841 가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4170963)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84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간호관리(8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3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회계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3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6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5308625)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36 전자계산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9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35 9급 국가직 공무원 공직선거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834 계리직공무원 컴퓨터 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10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33 전기철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7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7
1832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8907142) 좋은아빠되기 2025.11.11 3
1831 어로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6035638)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Board Pagination Prev 1 ...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 192 Next
/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