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한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471213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한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임의 구분


1. 다음 섬유 중 내일광성이 가장 좋은 것은?(2006년 10월)
     1. 아세테이트
     2. 폴리비닐알콜계 섬유
     3. 폴리아미드계 섬유
     4.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

     정답 : []
     정답률 : 66%

2. 다음중에서 섬유를 감별할 때 연소법으로 감별하기가 어려운 섬유는?(2005년 04월)
     1.
     2.
     3. 아세테이트
     4. 합성섬유

     정답 : []
     정답률 : 78%

3. 깨끼 저고리를 만드는데 가장 적당한 직물은?(2004년 04월)
     1. 양단
     2. 무명
     3. 항라
     4. 옥양목

     정답 : []
     정답률 : 86%

4. 다음 섬유 중 섬유자체가 수축되지 않고 가벼우므로 안감으로 가장 적당한 옷감은?(2004년 10월)
     1. 실크
     2. 아세테이트
     3. 레이온
     4. 린넨

     정답 : []
     정답률 : 24%

5. 천연섬유에 해당하는 것은?(2004년 02월)
     1. 명주섬유
     2. 나일론섬유
     3. 폴리에스테르섬유
     4. 재생섬유

     정답 : []
     정답률 : 62%

6. 레이온의 강도, 내수성을 증가시켜 면 섬유 대용으로 사용되는 섬유는?(2005년 01월)
     1. 비스코스 레이온
     2. 레이온 스테이플
     3. 아크릴
     4. 폴리노직 레이온

     정답 : []
     정답률 : 75%

7. 다음 섬유 중 반 합성섬유는?(2004년 04월)
     1. 아세테이트 섬유
     2. 알긴산 섬유
     3. 비스코스레이온 섬유
     4. 동암모니아레이온 섬유

     정답 : []
     정답률 : 50%

8. 다음 중 벌크 가공을 할 수 있는 섬유는?(2009년 01월)
     1.
     2.
     3. 양모
     4. 아크릴

     정답 : []
     정답률 : 52%

9. 산에는 강하나 알칼리에는 약하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하며 , 마찰에 대한 저항력이 약하여 너무 세게 비벼 빨거나 직사광선에 말려서는 안되는 옷감은?(2004년 10월)
     1. 모섬유
     2. 마 섬유
     3. 견섬유
     4. 면섬유

     정답 : []
     정답률 : 64%

10. 다음 조직 중 구김이 가장 잘 생기고 표면이 거칠고 광택이 적은 조직은?(2004년 10월)
     1. 평직
     2. 능직
     3. 바스켓직
     4. 수자직

     정답 : []
     정답률 : 67%

11. 전통적인 남자 어린이 한복의 색이 아닌 것은?(2009년 01월)
     1. 흰색 바지, 분홍색 저고리, 남색조끼
     2. 보라색 바지, 분홍색 저고리, 황색 조끼
     3. 흰색 바지, 연두색 저고리, 자주색 조끼
     4. 옥색바지, 분홍색 저고리, 연두색 조끼

     정답 : []
     정답률 : 57%

12. 신라시대의 반지(指環)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2004년 10월)
     1. 신라가 가장 절정기였고,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그다지 중요하게 여기지 않아 별로 사용하지 않았다.
     2. 신라에서는 남녀 구별없이 모두 반지를 꼈다.
     3. 모양은 금, 은 자체로 만든 단순한 형태와 작은 보석을 박은 것이다.
     4. 특징은 얇고 단순하며 조선의 가락지 같이 완전히 통형이 아니고 누구나 낄 수 있게 뒷쪽을 벌릴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7%

13. 전통적 여자 어린이 의복의 색은 어느 것인가?(2005년 04월)
     1. 노랑색 저고리, 다홍색 치마
     2. 노랑색 저고리, 초록색 치마
     3. 미색 저고리, 다홍색 치마
     4. 연분홍색 저고리, 꽃분홍색 치마

     정답 : []
     정답률 : 76%

14. 활옷에서 소매의 한삼은 무슨 색으로 배색 하는가?(2004년 02월)
     1. 노랑
     2. 흰색
     3. 남색
     4. 회색

     정답 : []
     정답률 : 59%

15. 한복의 전통적인 실루엣(silhouette)은?(2004년 10월)
     1. A-line
     2. 청자항아리
     3. H-line
     4. S-line

     정답 : []
     정답률 : 50%

16. 다음 중 키를 커 보이게 하는 디자인 방법이 아닌 것은?(2004년 04월)
     1. 하이웨이스트로 입는다.
     2. 벨트를 매지 않는다.
     3. 옷의 길이는 길지 않게 한다.
     4. 강한 수직선으로 분할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17. 조선시대의 복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9년 01월)
     1. 중국 명나라 제도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2. 유교사상에 의한 생활감정에 따라 사대부의 복식은 활수형으로 변천하였다.
     3. 어느 시대보다 예의 관념이 엄격하였다.
     4. 귀족과 서민의 의복에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정답 : []
     정답률 : 54%

18. 색동저고리나 무지기치마가 주는 형태상의 특징은 디자인의 원리 중 어디에 속하는가?(2005년 01월)
     1. 점진적인 강조
     2. 점진적인 균형
     3. 균일한 리듬
     4. 불규칙적인 비례

     정답 : []
     정답률 : 69%

19. 조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6년 10월)
     1. 우리나라에서 처음 사용된 것은 갑오경장 후 일본에서 영향을 받았다.
     2. 조끼는 겹조끼와 홀조끼가 있다.
     3. 주머니를 만들 때 좌우 일그러지지 않도록 정확하게 맞추어서 바느질을 하여야 한다.
     4. 본뜨기에서 필요한 치수는 가슴둘레와 등길이다.

     정답 : []
     정답률 : 56%

20. 검정색과의 조화에 어색한 것은?(2004년 04월)
     1. 검정색은 순례자나 수녀의 의상이다.
     2. 여성의 곡선미에 명암을 드리워준다.
     3. 사소한 결함을 가려주기도 한다.
     4. 흑색은 유채색이라 백색과 전혀 다른 성격이다.

     정답 : []
     정답률 : 79%

2과목 : 임의 구분


21. 여자 저고리 원형제도에서 깃나비의 치수는?(2004년 02월)
     1. 섶나비×3/4
     2. 섶나비×1/4
     3. 섶나비×1/2
     4. 섶나비×2/3

     정답 : []
     정답률 : 29%

22. 남자 저고리를 만들려고 한다. 표준치수인 경우 70-75㎝ 너비라면 감은 얼마정도가 필요한가?(2004년 10월)
     1. 320 – 340㎝
     2. 270 - 280㎝
     3. 230 – 240㎝
     4. 210 - 220㎝

     정답 : []
     정답률 : 42%

23. 여자 마고자 치수는?(2004년 10월)
     1. 여자 저고리와 같게 해야 예쁘다.
     2. 여자 저고리보다 0.5㎝ 정도 크게 한다.
     3. 여자 저고리보다 0.5㎝ 정도 작게 한다.
     4. 저고리 치수와 상관없이 만든다.

     정답 : []
     정답률 : 75%

24. 삼합(三合)무지기란 무엇인가?(2004년 04월)
     1. 모시로 3층 단을 만든 속치마
     2. 치마 단에 창호지를 붙인 속치마
     3. 치마 폭수가 3배로 합친 치마
     4. 치마 단에 색단을 대어 배색이 잘 되게한 치마

     정답 : []
     정답률 : 69%

25. 다음 도면 중 고름달기가 옳게 된 것은?(2004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7%

26. 바지 대님의 적당한 길이와 나비는?(2004년 04월)
     1. 길이 75 - 80㎝, 나비 3.5㎝
     2. 길이 45 - 50㎝, 나비 3㎝
     3. 길이 75 - 80㎝, 나비 1.5㎝
     4. 길이 45 - 50㎝, 나비 4.5㎝

     정답 : []
     정답률 : 67%

27. 재봉기의 부품 중 다음 그림에 해당되는 것은?(문제 오류로 그림이 없습니다. 정확안 그림 내용을 아시는분께서는 자유게시판 또는 관리자 메일로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2번 입니다.)(2009년 01월)
     1. 바늘판
     2. 침판
     3. 각판
     4. 미끄럼판

     정답 : []
     정답률 : 57%

28. 한복의 바느질에 많이 사용되고 볼륨있는 선을 구성하며 바늘땀이 보이지 않은 깔끔한 솔기 바느질 방법은?(2004년 02월)
     1. 가름솔
     2. 통솔
     3. 쌈솔
     4. 홑솔

     정답 : []
     정답률 : 20%

29. 다음 중 삼회장저고리를 제도할 때 반드시 있어야 할 치수가 아니 것은?(2006년 10월)
     1. 화장
     2. 곁마기 치수
     3. 저고리 길이
     4. 가슴둘레

     정답 : []
     정답률 : 84%

30. 한복 세탁 방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6년 10월)
     1. 옷감과 오염의 종류에 따라 세탁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2. 비단옷은 반드시 드라이 클리닝을 하여야 한다.
     3. 모시는 물 빨래 한 후 풀을 먹여 다듬어야 한다.
     4. 세탁물을 헹굴 때는 반드시 뜨거운 물에 헹구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31. 저고리의 제도를 설명한 것으로 옳지 못한 것은?(2005년 04월)
     1. 삼회장 저고리는 진동선이 길 쪽으로 옮겨져 소매길이가 길다.
     2. 민저고리의 화장은 치수 그대로 사용한다.
     3. 곁마기는 제도를 해 옷감 위에 놓고 식서에 맞춰서 마름질한다.
     4. 깨끼저고리를 색동으로 제도할 때 색동선은 꼭 그려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32. 도련 박음질에 있어서 땀새에 주름이 지지 않는 경우는?(2004년 02월)
     1. 바늘, 옷감, 실의 조절이 나쁠 때
     2. 톱니의 조절이 나쁠 때
     3. 북에 실이 잘못 감겼을 때
     4. 옷감, 노루발 조절을 잘못했을 때

     정답 : []
     정답률 : 36%

33. 옥양목 바지 저고리를 제작하는데 면사 60수를 사용시 1㎝속의 땀수는 얼마정도가 적당한가?(2004년 04월)
     1. 5 ~ 6
     2. 3 ~ 4
     3. 8 ~ 9
     4. 2 ~ 4

     정답 : []
     정답률 : 62%

34. 노방 치마 저고리를 재봉할 때 알맞는 실과 바늘의 호수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2004년 04월)
     1. 견사 21D/4× 3, 바늘 - 9호
     2. 견사 30D/4× 3, 바늘 - 13호
     3. 면사 80번수, 바늘 - 9호
     4. 합성사 50D/3, 바늘 - 11호

     정답 : []
     정답률 : 44%

35. 재봉틀에서 최후에 실을 끼는 것은?(2005년 04월)
     1. 실채기
     2. 바늘
     3.
     4. 실조절기

     정답 : []
     정답률 : 87%

36. 세탁 준비로서 잘못된 것은?(2004년 02월)
     1. 주머니 속의 먼지를 털어낸다.
     2. 얼룩진 부분은 얼룩을 뺀다.
     3. 터진 부분이나 올이 풀린 곳은 세탁 후 깨끗하게 보수한다.
     4. 수축되기 쉬운 스웨터류는 치수를 측정하여 두었다가 건조할 때 치수에 맞추어 건조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50%

37. 모직물의 다림질 온도로 적합한 것은?(2006년 10월)
     1. 120~150℃
     2. 180~220℃
     3. 150~180℃
     4. 80~120℃

     정답 : []
     정답률 : 42%

38. 다음 중 얼룩빼기에 있어서 주의할 점이 아닌 것은?(2004년 04월)
     1. 오염을 발견하면 즉시 처리해야 하며 시일이 경과하면 곤란하다.
     2. 섬유의 종류, 염색물의 성질, 얼룩의 종류와 정도를 고려하여야 한다.
     3. 얼룩빼기 전에 일부 예비실험을 한후에 실시 하여야 한다.
     4. 표면을 빡빡 문질러 그 부분을 중점적으로 닦아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39. 섬유를 장기간 보관시 취화(脆化)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2004년 02월)
     1. 때때로 세탁을 한다.
     2. 외기의 습기나 열에 영향을 받지 않은 장소를 선택하여 보관한다.
     3. 초산나트륨의 1% 용액에 담갔다가 건조시켜 보관한다
     4. 햇빛을 쪼여 습기를 없애고, 살균을 하여 보관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40. 옥양목에 가장 적합한 실의 굵기와 재봉틀 바늘의 종류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2006년 10월)
     1. 견사 : 21D3×4, 바늘 : 11~13호
     2. 면사 : 40~50번수/3, 바늘 : 11~13호
     3. 면사 : 60~80번수/3, 바늘 : 11~13호
     4. 폴리에스테르 : 40~50D, 바늘 : 11~13호

     정답 : []
     정답률 : 54%

41. 옷 보관법이 잘못된 것은?(2005년 01월)
     1. 습도(상대습도)가 60% 정도로 건조시켜 보관했다.
     2. 때때로 바람을 쐬고 마른 다림질을 했다.
     3. 방충제와 방습제를 넣고 밀폐한 뒤 정리 카아드를 붙였다.
     4. 금박이나 금사 은사로 수놓은 옷은 헝겊이나 종이를 사이에 끼워 보관했다.

     정답 : []
     정답률 : 73%

42. 옷을 장기간 보관시 푸새를 하지 않는 이유는 ?(2005년 04월)
     1. 구김살을 막기 위해
     2. 접는 부분이 부러지는 것을 막기 위해
     3. 빳빳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4. 해충의 피해를 막기 위해

     정답 : []
     정답률 : 82%

43. 한복을 마름질할 때 잘못된 것은?(2005년 01월)
     1. 옷감의 날실과 씨실이 90°가 되도록 바로 잡는다.
     2. 옷감의 안쪽에서 올 방향에 맞추어 큰 원형부터 배치하고, 작은 것을 배치한다.
     3. 올이 잘 풀리는 옷감은 시접분이 풀리지 않도록 휘감치거나 불로 지져서 처리한다.
     4. 곡선으로 나타나는 부분은 모두 곡선으로 마름질 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44. 가슴둘레 84cm, 길이 115cm인 여자두루마기의 진동치수는 얼마 정도인가?(2004년 10월)
     1. 26cm
     2. 24cm
     3. 21cm
     4. 저고리 진동 - 1cm

     정답 : []
     정답률 : 59%

45. 여자 저고리의 진동치수로 맞는 것은?(2004년 04월)
     1. 가슴둘레/4 + 1.5cm
     2. 가슴둘레/4
     3. 등길이 – 15
     4. 가슴둘레/4 - 2

     정답 : []
     정답률 : 44%

46. 여자속치마의 일종으로 하체를 크게 과장하여 입었던 것으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착용되었던 것은?(2004년 04월)
     1. 고려-스란 치마, 조선 - 선군
     2. 고려-선군, 조선 - 무지기 치마
     3. 고려-무지기 치마, 조선 - 스란 치마
     4. 고려-스란 치마, 조선 - 무지기 치마

     정답 : []
     정답률 : 64%

47. 조선시대 여성 장신구 사요법이 잘못된 것은?(2006년 10월)
     1. 8월 추석에는 단작노리개를 찼다.
     2. 장도는 호신용으로도 사용했다.
     3. 노리개는 궁중에서는 물론 평민에 이르기까지 많은 여성들이 애용했다.
     4. 일반 부녀자들은 괴불을 만들어서 차기도 했다.

     정답 : []
     정답률 : 35%

48. 조선시대 활옷에 수 놓은 모란 문양이 상징하는 뜻은?(2006년 10월)
     1. 부귀영화를 누리고자 하는 염원의 표출이다
     2. 소박한 자연주의의 표출이다.
     3. 지배층의 권위를 상징하는 길상의 뜻이다.
     4. 현세에서 오래 살기를 염원하는 장수사상의 뜻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75%

49. 신분계층에 구별없이 가장 광범위하게 쓰여진 조선시대의 여자 예복은?(2005년 01월)
     1. 장삼
     2. 단삼
     3. 대삼
     4. 원삼

     정답 : []
     정답률 : 70%

50. 다음 중 조선시대 왕의 상복(常服)은?(2004년 02월)
     1. 면류관과 곤복
     2. 원유관과 강사포
     3. 익선관과 곤룡포
     4. 금관과 적초의

     정답 : []
     정답률 : 62%

51. 조선시대 때 여자복식의 설명이 옳지 못한 것은?(2005년 01월)
     1. 저고리는 가슴이 보일 정도로 짧아졌다.
     2. 예복에는 스란치마, 대란치마를 입었다.
     3. 외출시에는 장옷, 쓰개치마, 너울 등을 썼다.
     4. 적의, 당의 등을 서민의 혼례복으로 사용했다.

     정답 : []
     정답률 : 60%

52. 조선시대 여인들의 장신구 중 중기부터 거의 자취를 감추게 된 것은?(2004년 02월)
     1. 비녀
     2. 첩지
     3. 지환
     4. 귀고리

     정답 : []
     정답률 : 55%

53. 다음 중 두루치에 대한 설명은?(2004년 04월)
     1. 회장저고리의 다른 명칭
     2. 폭이 좁고 짧은 치마
     3. 속바지의 일종
     4. 폭이 넓고 짧은 치마

     정답 : []
     정답률 : 50%

54. "설문에 경의(脛衣)라 하고, 석명에 두다리 가랭이가 각각 걸터앉게 나누어져 있는 것이다." 이것은 무엇을 지칭하는 말인가?(2004년 04월)
     1. 포(袍)
     2. 상(裳)
     3. 고(袴)
     4. 대(帶)

     정답 : []
     정답률 : 63%

55. 전통속옷 중 겉치마를 풍만하게 하기 위하여 입었던 것으로 여러층으로 된 것은?(2004년 02월)
     1. 단속곳
     2. 무지기치마
     3. 스란치마
     4. 속속곳

     정답 : []
     정답률 : 73%

56. 조선시대의 노리개는 어떤 것인가?(2005년 01월)
     1. 금랑
     2. 염랑
     3. 수향낭
     4. 귀주머니

     정답 : []
     정답률 : 70%

57. 전통적인 한복의 배색이 아닌 것은?(2005년 04월)
     1. 다홍색 치마에 초록색 저고리
     2. 남색 치마에 분홍색 저고리
     3. 자주색 치마에 옥색 저고리
     4. 초록색 치마에 노랑 저고리

     정답 : []
     정답률 : 50%

58. 홍색의 길에 화려한 무늬의 수를 놓은 옷으로, 조선시대 상류 계층의 예복으로 쓰였던 것은?(2004년 04월)
     1. 활옷
     2. 당의
     3. 원삼
     4. 장삼

     정답 : []
     정답률 : 62%

59. 고구려 복식의 설명 중 틀린 것은?(2004년 04월)
     1. 왕은 오채복(五采服)을 착용하였다.
     2. 저고리의 길이는 둔부선까지 내려오는 긴 것이었다.
     3. 여자는 바지를 입지 않았다.
     4. 저고리의 깃, 도련, 수구에는 선이 둘러져 있었다.

     정답 : []
     정답률 : 93%

60. 조선 말기 궁중에서 사용하던 예복용 치마로 대란치마 위에 덧입었던 치마는?(2009년 01월)
     1. 무지기 치마
     2. 대슘치마
     3. 스란치마
     4. 전행웃치마

     정답 : []
     정답률 : 31%


정 답 지

한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471213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한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임의 구분


1. 다음 섬유 중 내일광성이 가장 좋은 것은?(2006년 10월)
     1. 아세테이트
     2. 폴리비닐알콜계 섬유
     3. 폴리아미드계 섬유
     4.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

     정답 : []
     정답률 : 66%

2. 다음중에서 섬유를 감별할 때 연소법으로 감별하기가 어려운 섬유는?(2005년 04월)
     1.
     2.
     3. 아세테이트
     4. 합성섬유

     정답 : []
     정답률 : 78%

3. 깨끼 저고리를 만드는데 가장 적당한 직물은?(2004년 04월)
     1. 양단
     2. 무명
     3. 항라
     4. 옥양목

     정답 : []
     정답률 : 86%

4. 다음 섬유 중 섬유자체가 수축되지 않고 가벼우므로 안감으로 가장 적당한 옷감은?(2004년 10월)
     1. 실크
     2. 아세테이트
     3. 레이온
     4. 린넨

     정답 : []
     정답률 : 24%

5. 천연섬유에 해당하는 것은?(2004년 02월)
     1. 명주섬유
     2. 나일론섬유
     3. 폴리에스테르섬유
     4. 재생섬유

     정답 : []
     정답률 : 62%

6. 레이온의 강도, 내수성을 증가시켜 면 섬유 대용으로 사용되는 섬유는?(2005년 01월)
     1. 비스코스 레이온
     2. 레이온 스테이플
     3. 아크릴
     4. 폴리노직 레이온

     정답 : []
     정답률 : 75%

7. 다음 섬유 중 반 합성섬유는?(2004년 04월)
     1. 아세테이트 섬유
     2. 알긴산 섬유
     3. 비스코스레이온 섬유
     4. 동암모니아레이온 섬유

     정답 : []
     정답률 : 50%

8. 다음 중 벌크 가공을 할 수 있는 섬유는?(2009년 01월)
     1.
     2.
     3. 양모
     4. 아크릴

     정답 : []
     정답률 : 52%

9. 산에는 강하나 알칼리에는 약하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하며 , 마찰에 대한 저항력이 약하여 너무 세게 비벼 빨거나 직사광선에 말려서는 안되는 옷감은?(2004년 10월)
     1. 모섬유
     2. 마 섬유
     3. 견섬유
     4. 면섬유

     정답 : []
     정답률 : 64%

10. 다음 조직 중 구김이 가장 잘 생기고 표면이 거칠고 광택이 적은 조직은?(2004년 10월)
     1. 평직
     2. 능직
     3. 바스켓직
     4. 수자직

     정답 : []
     정답률 : 67%

11. 전통적인 남자 어린이 한복의 색이 아닌 것은?(2009년 01월)
     1. 흰색 바지, 분홍색 저고리, 남색조끼
     2. 보라색 바지, 분홍색 저고리, 황색 조끼
     3. 흰색 바지, 연두색 저고리, 자주색 조끼
     4. 옥색바지, 분홍색 저고리, 연두색 조끼

     정답 : []
     정답률 : 57%

12. 신라시대의 반지(指環)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2004년 10월)
     1. 신라가 가장 절정기였고,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그다지 중요하게 여기지 않아 별로 사용하지 않았다.
     2. 신라에서는 남녀 구별없이 모두 반지를 꼈다.
     3. 모양은 금, 은 자체로 만든 단순한 형태와 작은 보석을 박은 것이다.
     4. 특징은 얇고 단순하며 조선의 가락지 같이 완전히 통형이 아니고 누구나 낄 수 있게 뒷쪽을 벌릴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7%

13. 전통적 여자 어린이 의복의 색은 어느 것인가?(2005년 04월)
     1. 노랑색 저고리, 다홍색 치마
     2. 노랑색 저고리, 초록색 치마
     3. 미색 저고리, 다홍색 치마
     4. 연분홍색 저고리, 꽃분홍색 치마

     정답 : []
     정답률 : 76%

14. 활옷에서 소매의 한삼은 무슨 색으로 배색 하는가?(2004년 02월)
     1. 노랑
     2. 흰색
     3. 남색
     4. 회색

     정답 : []
     정답률 : 59%

15. 한복의 전통적인 실루엣(silhouette)은?(2004년 10월)
     1. A-line
     2. 청자항아리
     3. H-line
     4. S-line

     정답 : []
     정답률 : 50%

16. 다음 중 키를 커 보이게 하는 디자인 방법이 아닌 것은?(2004년 04월)
     1. 하이웨이스트로 입는다.
     2. 벨트를 매지 않는다.
     3. 옷의 길이는 길지 않게 한다.
     4. 강한 수직선으로 분할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17. 조선시대의 복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9년 01월)
     1. 중국 명나라 제도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2. 유교사상에 의한 생활감정에 따라 사대부의 복식은 활수형으로 변천하였다.
     3. 어느 시대보다 예의 관념이 엄격하였다.
     4. 귀족과 서민의 의복에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정답 : []
     정답률 : 54%

18. 색동저고리나 무지기치마가 주는 형태상의 특징은 디자인의 원리 중 어디에 속하는가?(2005년 01월)
     1. 점진적인 강조
     2. 점진적인 균형
     3. 균일한 리듬
     4. 불규칙적인 비례

     정답 : []
     정답률 : 69%

19. 조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6년 10월)
     1. 우리나라에서 처음 사용된 것은 갑오경장 후 일본에서 영향을 받았다.
     2. 조끼는 겹조끼와 홀조끼가 있다.
     3. 주머니를 만들 때 좌우 일그러지지 않도록 정확하게 맞추어서 바느질을 하여야 한다.
     4. 본뜨기에서 필요한 치수는 가슴둘레와 등길이다.

     정답 : []
     정답률 : 56%

20. 검정색과의 조화에 어색한 것은?(2004년 04월)
     1. 검정색은 순례자나 수녀의 의상이다.
     2. 여성의 곡선미에 명암을 드리워준다.
     3. 사소한 결함을 가려주기도 한다.
     4. 흑색은 유채색이라 백색과 전혀 다른 성격이다.

     정답 : []
     정답률 : 79%

2과목 : 임의 구분


21. 여자 저고리 원형제도에서 깃나비의 치수는?(2004년 02월)
     1. 섶나비×3/4
     2. 섶나비×1/4
     3. 섶나비×1/2
     4. 섶나비×2/3

     정답 : []
     정답률 : 29%

22. 남자 저고리를 만들려고 한다. 표준치수인 경우 70-75㎝ 너비라면 감은 얼마정도가 필요한가?(2004년 10월)
     1. 320 – 340㎝
     2. 270 - 280㎝
     3. 230 – 240㎝
     4. 210 - 220㎝

     정답 : []
     정답률 : 42%

23. 여자 마고자 치수는?(2004년 10월)
     1. 여자 저고리와 같게 해야 예쁘다.
     2. 여자 저고리보다 0.5㎝ 정도 크게 한다.
     3. 여자 저고리보다 0.5㎝ 정도 작게 한다.
     4. 저고리 치수와 상관없이 만든다.

     정답 : []
     정답률 : 75%

24. 삼합(三合)무지기란 무엇인가?(2004년 04월)
     1. 모시로 3층 단을 만든 속치마
     2. 치마 단에 창호지를 붙인 속치마
     3. 치마 폭수가 3배로 합친 치마
     4. 치마 단에 색단을 대어 배색이 잘 되게한 치마

     정답 : []
     정답률 : 69%

25. 다음 도면 중 고름달기가 옳게 된 것은?(2004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7%

26. 바지 대님의 적당한 길이와 나비는?(2004년 04월)
     1. 길이 75 - 80㎝, 나비 3.5㎝
     2. 길이 45 - 50㎝, 나비 3㎝
     3. 길이 75 - 80㎝, 나비 1.5㎝
     4. 길이 45 - 50㎝, 나비 4.5㎝

     정답 : []
     정답률 : 67%

27. 재봉기의 부품 중 다음 그림에 해당되는 것은?(문제 오류로 그림이 없습니다. 정확안 그림 내용을 아시는분께서는 자유게시판 또는 관리자 메일로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2번 입니다.)(2009년 01월)
     1. 바늘판
     2. 침판
     3. 각판
     4. 미끄럼판

     정답 : []
     정답률 : 57%

28. 한복의 바느질에 많이 사용되고 볼륨있는 선을 구성하며 바늘땀이 보이지 않은 깔끔한 솔기 바느질 방법은?(2004년 02월)
     1. 가름솔
     2. 통솔
     3. 쌈솔
     4. 홑솔

     정답 : []
     정답률 : 20%

29. 다음 중 삼회장저고리를 제도할 때 반드시 있어야 할 치수가 아니 것은?(2006년 10월)
     1. 화장
     2. 곁마기 치수
     3. 저고리 길이
     4. 가슴둘레

     정답 : []
     정답률 : 84%

30. 한복 세탁 방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6년 10월)
     1. 옷감과 오염의 종류에 따라 세탁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2. 비단옷은 반드시 드라이 클리닝을 하여야 한다.
     3. 모시는 물 빨래 한 후 풀을 먹여 다듬어야 한다.
     4. 세탁물을 헹굴 때는 반드시 뜨거운 물에 헹구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31. 저고리의 제도를 설명한 것으로 옳지 못한 것은?(2005년 04월)
     1. 삼회장 저고리는 진동선이 길 쪽으로 옮겨져 소매길이가 길다.
     2. 민저고리의 화장은 치수 그대로 사용한다.
     3. 곁마기는 제도를 해 옷감 위에 놓고 식서에 맞춰서 마름질한다.
     4. 깨끼저고리를 색동으로 제도할 때 색동선은 꼭 그려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32. 도련 박음질에 있어서 땀새에 주름이 지지 않는 경우는?(2004년 02월)
     1. 바늘, 옷감, 실의 조절이 나쁠 때
     2. 톱니의 조절이 나쁠 때
     3. 북에 실이 잘못 감겼을 때
     4. 옷감, 노루발 조절을 잘못했을 때

     정답 : []
     정답률 : 36%

33. 옥양목 바지 저고리를 제작하는데 면사 60수를 사용시 1㎝속의 땀수는 얼마정도가 적당한가?(2004년 04월)
     1. 5 ~ 6
     2. 3 ~ 4
     3. 8 ~ 9
     4. 2 ~ 4

     정답 : []
     정답률 : 62%

34. 노방 치마 저고리를 재봉할 때 알맞는 실과 바늘의 호수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2004년 04월)
     1. 견사 21D/4× 3, 바늘 - 9호
     2. 견사 30D/4× 3, 바늘 - 13호
     3. 면사 80번수, 바늘 - 9호
     4. 합성사 50D/3, 바늘 - 11호

     정답 : []
     정답률 : 44%

35. 재봉틀에서 최후에 실을 끼는 것은?(2005년 04월)
     1. 실채기
     2. 바늘
     3.
     4. 실조절기

     정답 : []
     정답률 : 87%

36. 세탁 준비로서 잘못된 것은?(2004년 02월)
     1. 주머니 속의 먼지를 털어낸다.
     2. 얼룩진 부분은 얼룩을 뺀다.
     3. 터진 부분이나 올이 풀린 곳은 세탁 후 깨끗하게 보수한다.
     4. 수축되기 쉬운 스웨터류는 치수를 측정하여 두었다가 건조할 때 치수에 맞추어 건조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50%

37. 모직물의 다림질 온도로 적합한 것은?(2006년 10월)
     1. 120~150℃
     2. 180~220℃
     3. 150~180℃
     4. 80~120℃

     정답 : []
     정답률 : 42%

38. 다음 중 얼룩빼기에 있어서 주의할 점이 아닌 것은?(2004년 04월)
     1. 오염을 발견하면 즉시 처리해야 하며 시일이 경과하면 곤란하다.
     2. 섬유의 종류, 염색물의 성질, 얼룩의 종류와 정도를 고려하여야 한다.
     3. 얼룩빼기 전에 일부 예비실험을 한후에 실시 하여야 한다.
     4. 표면을 빡빡 문질러 그 부분을 중점적으로 닦아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39. 섬유를 장기간 보관시 취화(脆化)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2004년 02월)
     1. 때때로 세탁을 한다.
     2. 외기의 습기나 열에 영향을 받지 않은 장소를 선택하여 보관한다.
     3. 초산나트륨의 1% 용액에 담갔다가 건조시켜 보관한다
     4. 햇빛을 쪼여 습기를 없애고, 살균을 하여 보관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40. 옥양목에 가장 적합한 실의 굵기와 재봉틀 바늘의 종류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2006년 10월)
     1. 견사 : 21D3×4, 바늘 : 11~13호
     2. 면사 : 40~50번수/3, 바늘 : 11~13호
     3. 면사 : 60~80번수/3, 바늘 : 11~13호
     4. 폴리에스테르 : 40~50D, 바늘 : 11~13호

     정답 : []
     정답률 : 54%

41. 옷 보관법이 잘못된 것은?(2005년 01월)
     1. 습도(상대습도)가 60% 정도로 건조시켜 보관했다.
     2. 때때로 바람을 쐬고 마른 다림질을 했다.
     3. 방충제와 방습제를 넣고 밀폐한 뒤 정리 카아드를 붙였다.
     4. 금박이나 금사 은사로 수놓은 옷은 헝겊이나 종이를 사이에 끼워 보관했다.

     정답 : []
     정답률 : 73%

42. 옷을 장기간 보관시 푸새를 하지 않는 이유는 ?(2005년 04월)
     1. 구김살을 막기 위해
     2. 접는 부분이 부러지는 것을 막기 위해
     3. 빳빳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4. 해충의 피해를 막기 위해

     정답 : []
     정답률 : 82%

43. 한복을 마름질할 때 잘못된 것은?(2005년 01월)
     1. 옷감의 날실과 씨실이 90°가 되도록 바로 잡는다.
     2. 옷감의 안쪽에서 올 방향에 맞추어 큰 원형부터 배치하고, 작은 것을 배치한다.
     3. 올이 잘 풀리는 옷감은 시접분이 풀리지 않도록 휘감치거나 불로 지져서 처리한다.
     4. 곡선으로 나타나는 부분은 모두 곡선으로 마름질 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44. 가슴둘레 84cm, 길이 115cm인 여자두루마기의 진동치수는 얼마 정도인가?(2004년 10월)
     1. 26cm
     2. 24cm
     3. 21cm
     4. 저고리 진동 - 1cm

     정답 : []
     정답률 : 59%

45. 여자 저고리의 진동치수로 맞는 것은?(2004년 04월)
     1. 가슴둘레/4 + 1.5cm
     2. 가슴둘레/4
     3. 등길이 – 15
     4. 가슴둘레/4 - 2

     정답 : []
     정답률 : 44%

46. 여자속치마의 일종으로 하체를 크게 과장하여 입었던 것으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착용되었던 것은?(2004년 04월)
     1. 고려-스란 치마, 조선 - 선군
     2. 고려-선군, 조선 - 무지기 치마
     3. 고려-무지기 치마, 조선 - 스란 치마
     4. 고려-스란 치마, 조선 - 무지기 치마

     정답 : []
     정답률 : 64%

47. 조선시대 여성 장신구 사요법이 잘못된 것은?(2006년 10월)
     1. 8월 추석에는 단작노리개를 찼다.
     2. 장도는 호신용으로도 사용했다.
     3. 노리개는 궁중에서는 물론 평민에 이르기까지 많은 여성들이 애용했다.
     4. 일반 부녀자들은 괴불을 만들어서 차기도 했다.

     정답 : []
     정답률 : 35%

48. 조선시대 활옷에 수 놓은 모란 문양이 상징하는 뜻은?(2006년 10월)
     1. 부귀영화를 누리고자 하는 염원의 표출이다
     2. 소박한 자연주의의 표출이다.
     3. 지배층의 권위를 상징하는 길상의 뜻이다.
     4. 현세에서 오래 살기를 염원하는 장수사상의 뜻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75%

49. 신분계층에 구별없이 가장 광범위하게 쓰여진 조선시대의 여자 예복은?(2005년 01월)
     1. 장삼
     2. 단삼
     3. 대삼
     4. 원삼

     정답 : []
     정답률 : 70%

50. 다음 중 조선시대 왕의 상복(常服)은?(2004년 02월)
     1. 면류관과 곤복
     2. 원유관과 강사포
     3. 익선관과 곤룡포
     4. 금관과 적초의

     정답 : []
     정답률 : 62%

51. 조선시대 때 여자복식의 설명이 옳지 못한 것은?(2005년 01월)
     1. 저고리는 가슴이 보일 정도로 짧아졌다.
     2. 예복에는 스란치마, 대란치마를 입었다.
     3. 외출시에는 장옷, 쓰개치마, 너울 등을 썼다.
     4. 적의, 당의 등을 서민의 혼례복으로 사용했다.

     정답 : []
     정답률 : 60%

52. 조선시대 여인들의 장신구 중 중기부터 거의 자취를 감추게 된 것은?(2004년 02월)
     1. 비녀
     2. 첩지
     3. 지환
     4. 귀고리

     정답 : []
     정답률 : 55%

53. 다음 중 두루치에 대한 설명은?(2004년 04월)
     1. 회장저고리의 다른 명칭
     2. 폭이 좁고 짧은 치마
     3. 속바지의 일종
     4. 폭이 넓고 짧은 치마

     정답 : []
     정답률 : 50%

54. "설문에 경의(脛衣)라 하고, 석명에 두다리 가랭이가 각각 걸터앉게 나누어져 있는 것이다." 이것은 무엇을 지칭하는 말인가?(2004년 04월)
     1. 포(袍)
     2. 상(裳)
     3. 고(袴)
     4. 대(帶)

     정답 : []
     정답률 : 63%

55. 전통속옷 중 겉치마를 풍만하게 하기 위하여 입었던 것으로 여러층으로 된 것은?(2004년 02월)
     1. 단속곳
     2. 무지기치마
     3. 스란치마
     4. 속속곳

     정답 : []
     정답률 : 73%

56. 조선시대의 노리개는 어떤 것인가?(2005년 01월)
     1. 금랑
     2. 염랑
     3. 수향낭
     4. 귀주머니

     정답 : []
     정답률 : 70%

57. 전통적인 한복의 배색이 아닌 것은?(2005년 04월)
     1. 다홍색 치마에 초록색 저고리
     2. 남색 치마에 분홍색 저고리
     3. 자주색 치마에 옥색 저고리
     4. 초록색 치마에 노랑 저고리

     정답 : []
     정답률 : 50%

58. 홍색의 길에 화려한 무늬의 수를 놓은 옷으로, 조선시대 상류 계층의 예복으로 쓰였던 것은?(2004년 04월)
     1. 활옷
     2. 당의
     3. 원삼
     4. 장삼

     정답 : []
     정답률 : 62%

59. 고구려 복식의 설명 중 틀린 것은?(2004년 04월)
     1. 왕은 오채복(五采服)을 착용하였다.
     2. 저고리의 길이는 둔부선까지 내려오는 긴 것이었다.
     3. 여자는 바지를 입지 않았다.
     4. 저고리의 깃, 도련, 수구에는 선이 둘러져 있었다.

     정답 : []
     정답률 : 93%

60. 조선 말기 궁중에서 사용하던 예복용 치마로 대란치마 위에 덧입었던 치마는?(2009년 01월)
     1. 무지기 치마
     2. 대슘치마
     3. 스란치마
     4. 전행웃치마

     정답 : []
     정답률 : 31%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한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471213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72 전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9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71 가구제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8662437) 좋은아빠되기 2025.11.11 8
1870 인터넷보안전문가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69 RFID-GL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11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868 9급 지방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867 패션머천다이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8246797)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66 건설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04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865 건축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5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 한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4712132)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63 소방공무원(공개) 수학(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86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수학(지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61 수능(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10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60 금속재료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9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859 소방공무원(공개) 수학(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4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58 토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5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857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13
1856 용접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855 수능(화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2949237)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54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8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5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료조직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6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95 Next
/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