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정보처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9478359)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정보처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데이터 베이스


1. 다음 자료에 대하여 삽입(insertion) 정렬 기법을 사용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자 한다. 1회전 후의 결과는?(2015년 05월)

   

     가. 4, 3, 2, 1, 5
     나. 3, 4, 5, 2, 1
     다. 4, 5, 3, 2, 1
     라. 1, 2, 3, 4, 5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pass
[5 4] 3 2 1 -> [4 5] 3 2 1
[해설작성자 : k]

insertion(삽입정렬) : 두 번 째 값 부터 시작! 본인보다 앞에 있는 값과 비교하여 정렬
=> 1pass : [5 4]3 2 1 -> [4 5] 3 2 1
=> 2pass : [4 5 3] 2 1 -> [3 4 5] 2 1 ...
bubble (버블정렬) : 바로 다음 자리 애랑 비교 !
=> 1pass : [5 4] 3 2 1 -> [4 5] 3 2 1 / 4 [5 3] 2 1 -> 4 [3 5] 2 1 / 4 3 [5 2] 1 -> 4 3 [2 5] 1 / 4 3 2 [5 1]-> 4 3 2 1 5
[해설작성자 : dahye]

2. 릴레이션 R1에 저장된 튜플이 릴레이션 R2에 있는 튜플을 참조하려면 참조되는 튜플이 반드시 R2에 존재해야 한다는 데이터 무결성 규칙은?(2004년 03월)
     가. 개체 무결성 규칙(Entity Integrity Rule)
     나. 참조 무결성 규칙(Referential Integrity Rule)
     다. 영역 무결성 규칙(Domain Integrity Rule)
     라. 트리거 규칙(Trigger Rule)

     정답 : []
     정답률 : 87%

3.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2016년 05월)

   

     가. Internal Schema
     나. External Schema
     다. Foreign Schema
     라. Conceptual Schema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외부 스키마(External    schema) : 프로그래머나 사용자의 입장에서 데이터베이스의 모습으로 조직의 일부분을 정의한 것
개념    스키마(Conceptual schema) : 모든 응용 시스템과 사용자들이 필요로하는 데이터를 통합한 조직 전체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논리적으로 정의한 것
내부 스키마(Internal schema) : 전체 데이터베스의 물리적 저장 형태를 기술하는 것
[해설작성자 : 열린]

4.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2005년 03월)
     가. 통합(integrated) 데이터
     나. 운영(operational) 데이터
     다. 저장(stored) 데이터
     라. 독점(exclusive) 데이터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독점이 아니라 공유(shared)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원자력펭귄]

5. 시스템 카탈로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9월)
     가. 사용자가 시스템 카탈로그를 직접 갱신할 수 있다.
     나. 일반 질의어를 이용해 그 내용을 검색할 수 있다.
     다. DBMS가 스스로 생성하고,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특별한 테이블의 집합체이다.
     라.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시스템 카탈로그는 시스템 자체에서 자동갱신 삭제죄어 사용자는 직접접적으로 갱신 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영화보는아이]

6.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데이터들이 불필요하게 중복되어 릴레이션 조작시 예기치 못한 곤란한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18년 03월)
     가. Normalization
     나. Bug
     다. Anomaly
     라. Error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이상(anomaly) 현상
데이터의 중복으로 인해 릴레이션을 처리할때 발생하는 곤란한 현상
데이터 베이스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다른데이터가 삽입 삭제 갱신되는 현상
[해설작성자 : 으이그으]

이상 Anomaly
- 데이터의 중복으로 인하여 관계 연산을 처리할 때 곤란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 <-
    여러 종속 관계를 하나의 릴레이션에 표현하기 때문에 발생
- 삽입 이상 : 불필요하고 원하지 않는 데이터도 함께 삽입해야 되거나 삽입이 되지 않는 경우
- 삭제 이상 : 한 튜플을 삭제함으로써 연쇄 삭제 현상으로 인한 정보의 손실
- 갱신 이상 : 튜플 중에서 일부 속성만을 갱신함으로써 정보의 모순성이 발생하는 현상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인데 불합격...]

7. 트랜잭션이 부분 완료(partial commit) 상태에 도달하였다가 실패(fail) 상태로 가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2005년 03월)
     가. 사용자의 인터럽트
     나. 교착상태(deadlock) 발생
     다. 트랜잭션 프로그램의 논리 오류
     라. 디스크 출력 도중의 하드웨어 장애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트랜잭션의 상태
* 부분 완료: 트랜잭션의 마지막 연산까지 실행했지만, Commit 연산이 실행되기 직전의 상태
* 실패: 트랜잭션 실행에 오류가 발생하여 중단된 상태
[해설작성자 : daeun]

8. 비선형 자료 구조에 해당하는 것은?(2004년 05월)
     가. 큐(Queue)
     나. 데크(Deque)
     다. 그래프(Graph)
     라. 리스트(List)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그래프는 비선형 자료구조입니다
[해설작성자 : 오내훈]

9. 다음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용어는?(2003년 08월)

   

     가. view
     나. index
     다. ISAM file
     라. data dictionary

     정답 : []
     정답률 : 67%

10. 분산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가.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이 접근하려는 데이터나 사이트의 위치를 알아야 한다.
     나. 중앙의 컴퓨터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다. 중앙 집중 시스템보다 구현하는데 복잡하고 처리 비용이 증가한다.
     라. 중앙 집중 시스템보다 시스템 확장이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장점
1. 장점
    - 공용성과 가용성이 뛰어남
    - 자치성이 높다
    - 추가와 폐쇄 용이, 적응성과 확장성이 뛰어남
    - 신뢰성, 융통성이 뛰어남
2. 단점
    - 필요 장비 많음, 구축 비용이 많음
    - 소프트웨어 개발이 복잡, 개발 비용 비쌈
    - 통신망에 제약 있음.
[해설작성자 : 세광컴퓨터학원(Dragon)]

11. 릴레이션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8월)
     가. 모든 튜플은 서로 다른 값을 갖는다.
     나. 속성은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원자 값을 저장해서는 안된다.
     다. 각 속성은 릴레이션 내에서 유일한 이름을 가진다.
     라.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 사이에는 순서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속성값은 쪼갤수 없는 원자 값이어야 한다.

12.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 중 데이터베이스에 표현된 개체 인스턴스를 처리하는 작업에 대한 명세로서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하는 기본 도구에 해당하는 것은?(2010년 09월)
     가. Operation
     나. Constraint
     다. Structure
     라. Relationship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
1.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Structure) : 데이터 모델을 기술 할때 데이터 사이의 관계성을 파악하고 논리적 구성 형태를 기술
2. 개체 인스턴스를 처리하는 연산(Operation) : 실제 데이터를 어떤 방법으로 삽입, 선정, 변경, 삭제할 것인가 하는 사항을 기술
3. 개체 인스턴스에 대한 논리적 제약 사항(Constraint) : 실제 데이터의 특징과 특성을 파악 어떤 데이터만을 받아들이며 어떤 관계만을 허용할 것인가를 기술
[해설작성자 : 세광컴퓨터학원(Dragon)]

13. 릴레이션의 특징으로 옳은 내용 모두를 나열한 것은?(2015년 05월)

    

     가. ㄷ, ㄹ
     나. ㄴ, ㄷ, ㄹ
     다. ㄱ, ㄴ, ㄹ
     라.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 릴레이션의 특징
-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들은 모두 상이하다.
-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 사이에는 순서가 없다.
- 한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속성의 이름은 유일해야 한다.
- 한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속성 사이에는 순서가 없다.
- 모든 속성값은 논리적으로 더 이상 분해할 수 없는 값인 원자값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Tekoa]

1.모든 튜플은 서로 다른값을 갖는다.
2.각 속성은 릴레이션 내에서 유일한 이름을 가진다.
3.하나의 릴레이션에서 튜플의 순서는 없다.
4. 모든속성 값은 원자 값이다.
모든 항목 정답
[해설작성자 : 감자치킨]

14. 다음 영문의 괄호에 가장 적합한 것은?(2005년 09월)

    

     가. array
     나. stack
     다. tree
     라. queue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모든 삽입이 한쪽 끝 (뒤쪽)에서 이루어지는 반면, 모든 삭제는 앞쪽의 다른쪽 끝에서 이루어지는 정렬된 목록
[해설작성자 : parkduke]

15. 스택의 자료 삭제 알고리즘이다. ( ) 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Top : 스택포인터 , S : 스택의 이름)(2009년 08월)

    

     가. Overflow
     나. Top = Top+1
     다. Underflow
     라. Top = Top-2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if Top -> Top pointer 가 0을 가지고 있다면 스택에는 삭제할 자료가 없기 때문에 Underflow 를 발생시킨다
[해설작성자 : 개창]

16. 내장 SQL(Embedded SQ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3월)
     가. 응용 프로그램 내에 SQL 문장을 내포하여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함께 실행되도록 호스트 프로그램 언어에 삽입된 SQL을 의미한다.
     나. 호스트변수와 데이터베이스 필드의 이름이 동일해서는 안된다.
     다. 호스트변수의 데이터 타입은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 필드의 SQL 데이터 타입과 일치해야 한다.
     라. 내장 SQL 실행문은 호스트 언어에서 실행문이 나타날 수 있는 곳이면 프로그램의 어느 곳에서나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17. 헤싱함수(Hashing Function)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9년 08월)
     가. 제곱법(mid-square)
     나. 숫자분석법(digit analysis)
     다. 체인법(chain)
     라. 제산법(division)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제곱법 : Key Value를 제곱한 후에 중간의 몇자를 선택하고 그 중간 값을 Address로 이용
2. 숫자분석법 : 각 숫자의 분포를 이용해서 균등한 분포의 숫자를 선택해서 사용
3. 제산법 : 나머지 연산자를 사용하여 주소를 계산, 어떤 양의 정수(또는 Hash Table Size)로 나눈 나머지를 주소 값으로 이용
[해설작성자 : 현이여친]

해싱함수의 종류에 제곱법, 숫자분석법, 제산법이 있는 것이고
체인법은 헤싱(헤싱함수에 따라 맵핑하는 행위)시 발생하는 오버플로우(해시충돌)를 처리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4회합격합시다]

18. 정규화 과정에서 A→B 이고 B→C 일 때 A→C 인 관계를 제거하는 단계는?(2018년 04월)
     가. 1NF → 2NF
     나. 2NF → 3NF
     다. 3NF → BCNF
     라. BCNF →4NF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NF : 1차 정규형은 각 로우마다 컬럼의 값이 1개씩만 있어야 함. 이를 컬럼이 원자값(Atomic Value)를 갖는다고 함.
2NF : 2차 정규형은 테이블의 모든 컬럼이 완전 함수적 종속을 만족함. 이게 무슨 말이냐면 기본키중에 특정 컬럼에만 종속된 컬럼(부분적 종속)이 없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부분 함수 종속 제거
3NF : 3차 정규형은 기본키를 제외한 속성들 간의 이행적 함수 종속이 없는 것. 풀어서 말하자면, 기본키 이외의 다른 컬럼이 그외 다른 컬럼을 결정할 수 없는 것.이행함수 종속 제거
BCNF : 결정자가 후보키가 아닌 함수종속 제거
4NF : 함수 종속이 아닌 다치종속성을 제거한 릴레이션
5NF : 후보키를 통하지 않은 조인종속 제거
[해설작성자 : 석영호]

19.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가. 질의에 대하여 실시간 처리 및 응답이 가능하도록 지원해 준다.
     나. 삽입, 삭제, 갱신으로 항상 최신의 데이터를 유지한다.
     다.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라. 데이터 참조 시 데이터 값에 의해서는 참조될 수 없으므로 위치나 주소에 의하여 데이터를 찾는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위치나 주소에 의해 데이터를 찾지 않고 그 데이터 내용에 의해 데이터를 찾는다

20. 개체-관계 모델의 E-R 다이어그램에서 사용되는 기호와 그 의미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가. 사각형 - 개체 타입
     나. 삼각형 - 속성
     다. 선 - 개체타입과 속성을 연결
     라. 마름모 - 관계 타입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사각형 - 개체
선 - 개체 타입과 속성을 연결
마름모 - 관계
타원 - 속성
[해설작성자 : 썬스프링]

E-R 다이어 그램
- 개체 간의 관계는 물론 시스템 내의 역할을 하는 모든 개체들, 즉 조직, 부서, 사용자, 프로그램, 데이터를 모두 표시
- 사각형 - 개체
- 타원 - 속성 <-
- 마름모 - 관계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인데 불합격...]

2과목 : 전자 계산기 구조


21.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명령어의 기능이 아닌 것은?(2004년 05월)
     가. 전달 기능
     나. 제어 기능
     다. 연산 기능
     라. 번역 기능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번역기능은 컴파일러입니다.
[해설작성자 : 벗겨보니바밤바]

22. 디지털 IC의 특성을 나타내는 내용 중 전달지연 시간이 가장 짧은 것부터 차례로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가. ECL - MOS - CMOS - TTL
     나. TTL - ECL - MOS - CMOS
     다. ECL - TTL - CMOS - MOS
     라. MOS - TTL - ECL - CMOS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암기방법]ET가 CM송을 부른다.(짧은순)
[해설작성자 : 삼수생뽀짱]

- ECL[emitter-coupled logic] : 전류 스위치형 논리
- TTL [Transistor Transistor Logic]
트랜지스터와 트랜지스터를 조합한 논리 회로(論理回路)를 말하며, DTL(diode- transistor logic)의 다이오드 대신에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것으로서, 컴퓨터에 의한 제어(制御)에서는 가장 흔히 사용되는 요소이다.
-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p 채널의 MOS 트랜지스터와 n 채널의 그것을 서로 절연하여 동일 칩에 만들어 넣어 양자가 상보적으로 동작하도록 한 것. 소비 전력은 μW 정도이고 동작은 고속, 잡음 배제성이 좋다. 전원 전압의 넓은 범위에서 동작하고, TTL에 적합하며 동일 회로 내에서 공존 가능하다. 팬아웃 용량도 크다.
-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 : 금속 산화막 반도체
[해설작성자 : 석영호]

ECL(2ns)-> TTL(9.5ns)-> CMOS(30ns)-> MOS(100ns)
[해설작성자 : 천천히 하나씩 ]

23. INTERRUPT의 발생 원인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가. 일방적인 인스트럭션 수행
     나. 수퍼바이저 콜
     다. 정전이나 자료 전달의 오류 발생
     라. 전압의 변화나 온도 변화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1. 일방적인 인스트럭션 수행 - 0으로 나누기 등의 잘못된 명령이나 프로그램을 수행한 경우. 내부 인터럽트.
2. 수퍼바이저 콜 - SVC(SuperVisor Call) 인터럽트. 소프트웨어 인터럽트에 해당.
3. 정전이나 자료 전달의 오류 - 외부 인터럽트 중 전원 이상 인터럽트, 입출력 인터럽트에 해당.
[해설작성자 : 반스트]

24. 일반적인 컴퓨터 시스템의 바이오스(BIOS)가 탑재되는 곳은?(2019년 08월)
     가. RAM
     나. I/O port
     다. ROM
     라. CPU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는
컴퓨터를 켰을 때 가장 먼저 실행되는 것으로 하드웨어 상태를 검사하거나 OS를 읽어오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비휘발성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어야 하므로 주로 ROM이나 플래시메모리를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미미미용실]

25. 인스트럭션 세트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2005년 03월)
     가. 기억 공간
     나. 사용빈도
     다. 레지스터의 종류
     라. 주기억장치 밴드폭 이용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인스트럭션 세트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려할 사항에는 기억 공간, 사용 빈도, 주기억장치 밴드폭 이용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대우5반]

26. 오퍼레이터(operator)나 타이머(timer)에 의해 의도적으로 프로그램이 중단된 경우 발생하는 인터럽트(interrupt)는?(2015년 05월)
     가. 기계착오
     나. 입출력
     다. 외부
     라. 프로그램 검사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기계착오 - 기계 고장이나 CPU 내에서 에러 발생
입출력 - 데이터 입출력 조작의 종료 및 입출력 착오에 의해 발생
[해설작성자 : 라이프르]

27. 10진수 3은 3-초과 코드(Excess-3 Code)에서 어떻게 표현되는가?(2018년 08월)
     가. 0011
     나. 0110
     다. 0101
     라. 0100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3+3=6
10진수 6->2진법 0110

2|6
2|3 ... 0
    1 ... 1

[해설작성자 : 아이엠그루트]

[추가해설]
    - 문제 : 3 초과코드 + 10진수 3
        = 3 + 3
        = 6
    
    - 10진수 6을 2진수로 표현하자면
                        -----------
    [10진수]     8    4    2    1
    ---------------------
    [2 진수]     0    1    1    0

    ※ 10진수에서 6은 4 + 2 의 조합으로 2진수 0110 으로 표현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봉담필준이아빠]

28. 인터럽트의 발생 원인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04년 03월)
     가. SuperVisor Call
     나. 정전
     다. 분기 명령의 실행
     라. 데이터 에러

     정답 : []
     정답률 : 52%

29.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CPU 내의 레지스터와 플래그의 상태 변환을 일으키는 작업은 무엇인가?(2016년 03월)
     가. Common operation
     나. Axis operation
     다. Micro operation
     라. Count operation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 명령어 수행을 위해 중앙처리장치가 의미있는 상태 변환을 하도록 하는 오퍼레이션을 원시적 오퍼레이션 ,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해설작성자 : 양긍정]

30. 연산자 코드(operation code)의 기능이 아닌 것은?(2005년 03월)
     가. 입ㆍ출력 명령 수행
     나. 제어 명령 수행
     다. 유효 주소 지정 기능
     라. 산술 연산 명령 수행

     정답 : []
     정답률 : 53%

31. 데이터 처리 명령어 중 SHL은 누산기의 내용을 좌측으로 1bit 이동하는 명령어이다. 이와 같은 명령어의 주소지정방식은?(2007년 03월)
     가. 직접 주소지정방식
     나. 간접 주소지정방식
     다. 묵시적 주소지정방식
     라. 레지스터 주소지정방식

     정답 : []
     정답률 : 36%

32. 다음 인터럽트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2017년 05월)
     가.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 CPU의 상태는 보존하지 않아도 된다.
     나. 인터럽트가 발생하게 되면 CPU는 인터럽트 사이클이 끝날 때까지 동작을 멈춘다.
     다.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실행할 때 인터럽트 플래그(IF)를 0으로 하면 인터럽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라.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처리를 수행한 후 이전에 수행 중이던 프로그램의 처음상태로 복귀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1.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 CPU의 상태를 보존해야만 인터럽트 요청을 처리한 후 본래의 작업을 다시 수행할 수 있습니다.
2.인터럽트가 발생하게 되면 인터럽트 벡터에 의해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이 수행되는 동안 CPU는 다른 작업을 계속 수행합니다.
4.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 CPU의 상태를 보존하므로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처리를 수행한 후 이전에 수행중이던 프로그램의 바로 다음 작업으로 복귀합니다.
[해설작성자 : 경기인력개발원]

33. 어느 컴퓨터의 기억 용량이 1M byte이다. 이 때 필요한 주소선의 수는?(2003년 05월)
     가. 8개
     나. 16개
     다. 20개
     라. 24개

     정답 : []
     정답률 : 46%

34. 다음과 같은 조건값에서 각 명령어를 모두 수행한 후의 R1값과 두 번째 오퍼랜드의 유효 주소는?(단, #은 직접모드, @는 간접모드를 의미하며 레지스터값은 R1=10, R2=20)(2009년 05월)

    

     가. R1=100, 유효주소=70
     나. R1=200, 유효주소=70
     다. R1=100, 유효주소=60
     라. R1=200, 유효주소=60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R1=10, R2=20
(1) MOV R1, #50 : 50을 R1에 저장함 → R1=50, R2=20
(2) MOV R1, R2 : R2값을 R1에 저장함 → R1=20, R2=20
(3) MOV R1, 100 (직접주소모드) : 100번지 값 200을 R1에 저장함 → R1=200, R2=20
(4) MOV R1, @100 : 100번지에 저장된 200은 유효주소이므로 200번지의 값 300을 R1에 저장함 → R1=300, R2=20
(5) MOV R1, --(R2) : R2의 값 20을 1 감소(선감소)시켜 19가 되고, 19가 유효주소이므로 19번지의 값 60을 R1에 저장함 → R1=60, R2=19
(6) MOV R1, (R2)++ : R2의 값 19는 유효주소이므로 19번지의 값 60을 R1에 저장한 후에 R2의 값을 1 증가(후증가)시켜 20이 됨 → R1=60, R2=20
(7) MOV R1, 50(R2) : R2의 값 20에 50을 더한 70이 유효주소이므로, 70번지의 값 100을 R1에 저장함 → R1=100, R2=20

35. 컴퓨터에서 명령어를 처리하기 위해서 명령어를 CPU에 옮긴 후 명령 레지스터(IR)에 셋(set)시켜 해독하는 단계는?(2011년 06월)
     가. Fetch Cycle
     나. Indirect Cycle
     다. Execute Cycle
     라. Interrupt Cycle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처리
1.Fetch Cycle(명령어 인출주기):모든 명령이 시작되는 단계이며, PC의 내용을 MAR에 전달하고, 명령어를 MBR로 전달하기 위하여 메모리 읽기 동작을 수행한다.
2.Indirect Cycle(주소 변환주기):메모리로부터 읽은 명령이 간접주소 지정 방식일 경우에 오퍼랜드를 주소 값으로 하여 기억 장치로부터 내용을 다시 읽어온다.
3.Execute Cycle(명령어 실행주기):명령어가 명령레지스터에 들어오면 OP-code가 해독된 후, 해독된 내용에따라 동작이 순서대로 실행된다.
4.Interrupt Cycle(인터럽트 주기):대부분의 컴퓨터는 CPU의 정상적인 작업 처리 중 외부에서 끼어드는 인터럽트를 허용한다.
[해설작성자 : 이찬형]

36. 명령 사이클의 명령어 인출 과정에서 DMA(Direct Memory Access) 요청이 있었다면 CPU는 어느 지점에서 요청 사실을 아는가?(2008년 09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DMA의 요청도 명령어라고 생각하시면 DMA 요청을 알수 있는 시간은 명령어 해석을 통해서 알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37. 프로그램 카운터가 명령어의 번지와 더해져서 유효번지를 결정하는 어드레싱 모드(addressing mode)는?(2003년 08월)
     가. 레지스터 모드
     나. 상대번지 모드
     다. 간접번지 모드
     라. 인덱스 어드레싱 모드

     정답 : []
     정답률 : 53%

38. 병렬처리컴퓨터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2년 05월)
     가. 일부 하드웨어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전체 시스템은 동작할 수 있다.
     나. 처리기(processor)를 N개 사용하면 처리속도가 정확히 N배 빨라진다.
     다. 프로그램작성이 어려워진다.
     라. 기억장치를 공유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병렬처리를 하려면 여러개의 프로세서가 동시에 처리할수있도록 한개의 프로글매을 프로세서 수만큼 여러개로 잘라야 하며, 잘라진 부분을 처리하는 프로세서들은 데이터를 주고받기위해 프로세서 간 동신을 해야한다. 프로세서 수가 많아지면 그에 따라 프로세서간 통신을 제어하는 소프트 웨어에 오버헤드가 발생하고 하드웨어상의 지연 시간 때문에 통신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져 시스템의 성능 향상에 한계가 있게 된다. 즉 처리기를 N개 사용하여 병렬처리를 한다고 해서 처리속도가 정확히N배 빨라지는것이 아니다.
[해설작성자 : 정아]

39. CPU 또는 메모리와 입출력장치의 속도 차이에서 오는 성능 저하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가. 버퍼
     나. 채널
     다. 오프라인
     라. DMA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 CPU/메모리와 입출력 장치간의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스풀링(Spooling) : 입출력할 데이터를 직접 입출력 장치로 보내지 않고 디스크에 모았다가 나중에 한꺼번에 입출력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느린 입출력장치의 처리속도를 보완하는 기법.
-버퍼링(Buffering) : 버퍼링도 CPU와 입출력장치간의 속도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은 스풀링과 같지만 저장위치, 운영방식, 구현방식면에서 스풀링과 차이가 있음.
-DMA(Direct Memory Access) : 입출력장치가 직접 주기억장치에 접근하여 입출력하는 방식으로 CPU의 레지스터를 경유하지 않고 수행되기 때문에 CPU의 부담이 없어 보다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함.
-채널(Channel) : 채널은 DMA방법으로 입출력을 수행하므로 DMA의 확장된 개념으로 볼 수 있음. DMA는 한 개의 명령에 의해 한 개의 Block만을 입출력, 채널은 한 개의 명령에 의해 여러개의 Block을 입출력 한다는 점에서 DMA와 차이가 있다.
[해설작성자 : 최예소라]

40. 동기고정식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제어의 특성이 아닌 것은?(2010년 03월)
     가. 제어장치의 구현이 간단하다.
     나. 여러 종류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수행시 CPU사이클 타임이 실제적인 오퍼레이션 시간보다 길다.
     다.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들의 수행 시간의 차이가 큰 경우에 적합한 제어이다.
     라. 중앙처리장치의 시간이용이 비효율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들의 수행 시간의 차이가 큰 경우에는 동기 가변식을 사용

3과목 : 운영체제


41. 4개의 페이지를 수용할 수 있는 주기억장치가 있으며, 초기에는 모두 비어 있다고 가정한다. 다음의 순서로 페이지 참조가 발생할 때, FIFO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을 사용할 경우 페이지 결함의 발생 횟수는?(2019년 03월)

    

     가. 6회
     나. 7회
     다. 8회
     라. 9회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페이지에 숫자가 입력 될때 카운터
FIFO : 빈자리가 없을경우 가장 먼저 입력된 수를 변경 (빈자리를 X로 표시)
XXX -> 1XX -> 12X -> 123 -> 423 -> 453 -> 451 -> 251
1입력 -> 2입력 -> 3입력 -> 1 페이지에 존재 -> 2 페이지에 존재 -> 4입력 -> 5입력 -> 1입력 -> 2입력
총 입력된 횟수
[해설작성자 : choi]

[추가 해설]
빈 페이지가 4개인데
빈자리수를 3개로 지정하여 계산하였음
XXXX -> 1XXX -> 12XX -> 123X -> 1234 -> 5234 -> 5134 -> 5124
1입력/2입력/3입력/<<1 페이지 존재/2 페이지 존재>>/4입력/제일먼저입력된 1아웃 5입력/제일먼저입력된 2아웃 1입력/제일먼저입력된 3아웃 4입력/
총입력된 횟수 = 7회
[해설작성자 : 14MiNwoo]

1입력/2입력/3입력/<<1 페이지 존재/2 페이지 존재>>/4입력/제일먼저입력된 1아웃 5입력/제일먼저입력된 2아웃 1입력/제일먼저입력된 3아웃 2입력/
총입력된 횟수 = 7회
[해설작성자 : 지나가다가]

42. 디렉토리 구조 중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MFD와 각 사용자별로 만들어지는 UFD로 구성되며, MFD는 각 사용자의 이름이나 계정 번호 및 UFD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갖고 있으며, UFD는 오직 한 사용자가 갖고 있는 파일들에 대한 파일 정보만 갖고 있는 것은?(2016년 05월)
     가. 트리 디렉토리 구조
     나. 일반적인 그래프 디렉토리 구조
     다. 2단계 디렉토리 구조
     라. 비순환 그래프 디렉토리 구조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트리단계 디렉터리 : 운영체제에 사용되는 디렉터리구조
2. 일반적인 그래프 디렉터리 : 사이클이 허용되고, 불필요한 파일을 제거하기 위해 참조 카운터가 필요한 디렉터리 구조
3. 2단계 디렉터리 : (정답)
4. 비순환 그래프 디렉토리 구조 : 부 디렉터리의 공동 사용이 가능, 공유된 파일을 삭제할 경우 고아 포인터가 발생 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황징위]

43. 사용자가 요청한 디스크 입, 출력 내용이 다음과 같은 순서로 큐에 들어 있다. 이 때 SSTF 스케쥴링을 사용한 경우의 처리 순서는?(단, 현재 헤드 위치는 53 이고, 제일 안쪽이 1번, 바깥쪽이 200번 트랙이다.(2017년 03월)

    

     가. 53-65-67-37-14-98-122-124-183
     나. 53-98-183-37-122-14-124-65-67
     다. 53-37-14-65-67-98-122-124-183
     라. 53-67-65-124-14-122-37-183-98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SSTF(Shortest Seek Time First)는 탐색 거리가 가장 짧은 요청을 먼저 서비스하는 기법입니다.
[해설작성자 : JK]

추가해설
쉽게 설명하자면 53이 기준인데 53에서 제일 가까운 숫자 순서대로 표기한것임
53에서 65까지는 12, 53에서 67까지는 14, 53에서 37까지는 16임 그래서 53-65-67 이순입니다.
[해설작성자 : 이해를]

44. 3개의 페이지 프레임(Frame)을 가진 기억장치에서 페이지 요청을 다음과 같은 페이지 번호 순으로 요청했을 때 교체 알고리즘으로 FIFO 방법을 사용한다면 몇 번의 페이지 부재(Fault)가 발생하는가?(단, 현재 기억장치는 모두 비어 있다고 가정한다.)(2007년 09월)

    

     가. 7번
     나. 8번
     다. 9번
     라. 10번

     정답 : []
     정답률 : 50%

45. 스레드(Thread)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가. 한 개의 프로세스는 여러 개의 스레드를 가질 수 없다.
     나. 커널 스레드의 경우 운영체제에 의해 스레드를 운용한다.
     다. 사용자 스레드의 경우 사용자가 만든 라이브러리를 사용 하여 스레드를 운용한다.
     라. 스레드를 사용함으로써 하드웨어, 운영체제의 성능과 응용 프로그램의 처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한 프로세스는 여러개의 스레드를 가질수 있고
이를 다중 스레드 라고 하며 하나의 스레드를 가질경우 단일 스레드 라고합니다.
[해설작성자 : 신원섭]

46. UNIX에서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시스템 호출문은?(2003년 03월)
     가. exec
     나. fork
     다. pipe
     라. signal

     정답 : []
     정답률 : 69%

47. 가상메모리의 교체정책 중 LRU(Least Recently Used) 알고리즘으로 구현할 때 그림에서 D 페이지가 참조될 때의 적재되는 프레임으로 옳은 것은? (단, 고정 프레임이 적용되어 프로세스에 3개의 프레임이 배정되어 있고, 4개의 서로 다른 페이지(A, B, C, D)를 B, C, B, A, D 순서로 참조한다고 가정한다.)(2017년 05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LRU -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 교체 방법으로
B -> C -> B -> A -> D
=> A순서 때 B, C, A 에서 D 페이지를 프레임에 배정 시키기 위해서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C페이지에 D페이지를 삽입하여,
B, D, A 가 된다.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설명에 오해가 있을것 같아서 부연 설명합니다.
LRU는 사실 순서가 중요합니다. 순서에서 가장 먼 것을 교체하 나간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만약 순서가 2 -> 4 ->    6 -> 4 -> 3 이고 frame 3개로 교체해 나간다면, 마지막 3이 순서라면 직전 4와 직직전 6이 가장 최근 것이므로 2가 교체 대상이 된다.
[해설작성자 : 석영호]

48. 마스터 파일 디렉토리와 각 사용자별로 만들어지는 사용자 파일 디렉토리로 구성되는 디렉토리 구조는?(2010년 05월)
     가. 트리 디렉토리 구조
     나. 비순환 그래프 디렉토리 구조
     다. 1단계 디렉토리 구조
     라. 2단계 디렉토리 구조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마스터 + 사용자 = 2단계 디렉토리 구조
[해설작성자 : 이돌람바]

49. 분산 운영체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파일이나 데이터베이스, 프린터 등의 자원들이 지역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 내의 다른 원격지 컴퓨터에 존재하더라도 위치에 관계없이 그의 사용을 보장하는 개념은?(2015년 05월)
     가. 위치 투명성
     나. 접근 투명성
     다. 복사 투명성
     라. 접근 독립성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위치에 관계없이 사용을 보장하니까 위치투명성!

50. 파일 디스크립터(File Descripto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8월)
     가. 파일 관리를 위한 파일 제어 블록이다.
     나. 시스템에 따라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다가 파일이 개방될 때 주기억 장치로 옮겨진다.
     라. 사용자의 직접 참조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파일 디스크립터
-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파일에 대한 정보를 갖는 제어 블록
- 파일이 엑세스 되는 동안 운영체제가 관리 목적으로 알아야 할 정보를 모아 놓은 자료구조이다.
- 파일마다 독립적으로 존재, 시스템마다 다른 구조를 가진다.
- 보통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었다가 파일이 오픈 될 때 주기억 장치로 전달
- 사용자 직접 참조, 파일 작성자, 오류에 대한 수정방법, 파일의 백업 방법 => X
[해설 작성자 : enaaan]

51. 절대(Absolute) 로더의 경우 기억장소 할당 및 연결 작업의 주체는 ?(2009년 08월)
     가. 에디터
     나. 로더
     다. 언어번역프로그램
     라. 프로그래머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절대(Absolute)로더
기억장소 할당이나 연결을 프로그래머가 직접 지정하며 한번 지정한 주기억장소의 위치는 변경이 어렵다
-compile And Go 로더
별도의 로더 없이 언어번역 프로그램이 로더의 기능까지 수행하는 방식이다

52. 여러명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컴퓨터가 사용자들의 프로그램을 번갈아 가며 처리해 줌으로써 각 사용자들은 각자 독립된 컴퓨터를 사용하는 느낌을 갖는 시스템은?(2004년 05월)
     가. on-line system
     나. batch file system
     다. dual system
     라. time sharing system

     정답 : []
     정답률 : 65%

53. 주기억장치 관리기법으로 최악 적합(Worst-fit) 방법을 이용할 경우 10K 크기의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이 분할되어 있는 주기억장치 중 어느 부분에 할당되어야 하는가?(2011년 08월)

    

     가. 영역번호 ①
     나. 영역번호 ②
     다. 영역번호③
     라. 영역번호 ④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최악 적합(Worst-fit)은 영역크기가 가장큰것이다
분할이 10k이니까    영역 1번은 10k보다 작은 9k이니깐 어떤 fit 방법에도 해당되지 않는다
영역크기가 가장 큰 최악 적합(Worst-fit)은    35k 이다
[해설작성자 : 동서대 정보통신 허간지]

54. 분산 운영체제 구조 중 다음의 특징을 갖는 것은?(2010년 05월)

    

     가. 링 연결구조(RING)
     나. 다중접근 버스 연결구조(MULTI ACCESS BUS)
     다. 계층 연결구조(HIERARCHY)
     라. 성형 연결구조(STAR)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ㅁ                ㅁ                        성형(STAR)형 구조 이며, 중앙 컴퓨터 장애시 모든 사이트가 통신이 불가한 점이 있습니다.
    ↖        ↗
         ■
    ↙        ↘
ㅁ                ㅁ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행인]

성형 연결구조 : 중앙에 호스트 컴퓨터가 있고 이를 중심으로 사이트들이 연결
                                /모든 사이트는 하나의 호스트에 직접 연결
                                /중앙 컴퓨터 장애 시 통신 불가
[해설작성자 : 떤더?]

55. HRN방식으로 스케줄링 할 경우, 입력된 작업이 다음과같을 때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은?(2010년 05월)

    

     가. A
     나. B
     다. C
     라. D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우선순위 = (대기시간+서비스받을 시간)/서비스받을 시간

56. 보안 유지 기법 중 하드웨어나 운영체제에 내장된 기능으로 프로그램의 신뢰성 있는 운영과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능과 관련된 것은?(2009년 05월)
     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
     나. 내부 보안
     다. 외부 보안
     라. 시설 보안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외부보안 - 종류는 2가지로 시설보안(천재지변이나 외부 침입자로부터 보안)과 운용보안(전산소 관리 및 경영자들의 정채고가 통제에 의해 이루어지는 보안 )이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보안 - 운영체제가 사용자 신원 확인 후 이용가능
내부보안 - 하드웨어나 운영체제의 내장된 보안 기능을 이용하여 시스템 신뢰성 유지
[해설작성자 : 다잘될꺼야]

57.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 동안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의 집합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07년 03월)
     가. Working Set
     나. Locality
     다. Thrashing
     라. Prepaging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 Locality(구역성) :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 주기억장치를 참조할 때 일부 페이지만 집중적으로 참조하는 성질이 있다는 이론
- 스래싱(Thrashing) : 프로세스의 처리 시간보다 페이지 교체 시간이 더 많아지는 현상
- 프리페이징(Prepaging) : 프리페이징은 처음의 과도한 페이지 부재를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할 것 같은 모든 페이지를 한꺼번에 페이지 프레임에 적재하는 기법
[해설작성자 : 쌈구]

58. RR(Round-Robin) 스케줄링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가. 시간 할당이 작아지면 프로세스 문맥 교환이 자주 일어난다.
     나. Time Sharing System을 위해 고안된 방식이다.
     다.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에게 먼저 CPU를 할당한다.
     라. 시간 할당이 커지면 FCFS 스케줄링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RR(Round Robin)
-시분할 시스템을 위해 고안된 방식으로, FCFS 알고리즘을 선점 형태로 변형한 기법
-FCFS(FIFO) 기법과 같이 준비상태 큐에 먼저 들어온 프로세스가 먼저 CPU를 할당 받지만 각 프로세스는 할달된 시간 동안만 실행하 후 실행이 완료 되지 않으면 다음 프로세스에게 CPU를 넘겨주고 준비상태 큐릐 가장 뒤로 배치됨
-할당되는 시간이 클 경우 FCFS 기법과 같아지고, 할당되는 시간이 작을 경우 문맥 교환 및 오버헤드가 자주 발생됨.
[해설작성자 : 강호일]

59. 보안의 메커니즘 중 데이터를 송수신한 자가 송수신 사실을 부인할 수 없도록 송수신 증거를 제공하는 것은?(2016년 05월)
     가. Authentication
     나. Encryption
     다. Non-repudiation
     라. Decryption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1.Authenticaion - 인증
2.Encryption - 부호 매김
3.Non-repudiation - 부인방지
4.Decryption - 해독(복호화)
[해설작성자 : 쁘띠첼푸딩]

[추가 해설]
2.Encryption - 암호화
4.Decryption - 복호화
가 더 자연스러울듯
[해설작성자 : 갸갸갸갸]

60. NUR 기법은 호출 비트와 변형 비트를 가진다. 다음 중 가장 나중에 교체될 페이지는?(2006년 03월)
     가. 호출 비트 : 0, 변형 비트 : 0
     나. 호출 비트 : 0, 변형 비트 : 1
     다. 호출 비트 : 1, 변형 비트 : 0
     라. 호출 비트 : 1, 변형 비트 : 1

     정답 : []
     정답률 : 62%

4과목 : 소프트웨어 공학


61. 모듈을 이루고 있는 각 요소들이 공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얼마나 관련이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03년 03월)
     가. 결합도(coupling)
     나. 응집도(cohesion)
     다. 구조도(structure)
     라. 일치도(unity)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결합도 - 여러 모듈 간의 상호 의존도, 모듈 간에 상호 의존하는 정도 또는 두 모듈 사이의 연관 관계
응집도 - 하나의 모듈 안에서 구성요소 간의 관련 정도, 정보 은닉 개념을 확장한 것, 모듈이 독립적인 기능으로 정의되어 있는 정도

문제는 모듈을 이루고 있는 각 요소들을 언급했으므로 응집도가 맞다.
[해설작성자 : 인하대08학번박성민]

62. CPM(Critical Path Metho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가. 프로젝트 내에서 각 작업이 수행되는 시간과 각 작업 사이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나. 작업 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해주며 막대 그래프의 형태로 표현한다.
     다. 경영층의 과학적인 의사 결정을 지원한다.
     라. 효과적인 프로젝트의 통제를 가능하게 해 준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2번은 간트차트에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묘니]

63. 소프트웨어의 재사용(reusability)에 대한 효과와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3월)
     가. 사용자의 책임과 권한부여
     나. 소프트웨어의 품질향상
     다. 생산성 향상
     라. 구축 방법에 대한 지식의 공유

     정답 : []
     정답률 : 71%

64. 최종 사용자가 여러 장소의 고객 위치에서 소프트웨어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검증 검사 기법의 종류는?(2013년 08월)
     가. 베타 검사
     나. 알파 검사
     다. 형상 검사
     라. 복구 검사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베타 검사 : 선정된 최종 사용자가 여러 명의 사용자 앞에서 행하는 검사
2. 알파 검사 : 사용자와 개발자가 1:1로 행하는 검사
3. 형상 검사 :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목록, 유지 보수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이 제대로 표현되었는지 검사
4. 복구 검사 : 제대로 복구 되는지 확인하는 검사

*검증 검사 : 형상 검사, 알파 검사, 베타 검사
*시스템 검사 : 복구 검사, 보안 검사, 강도 검사
[해설작성자 : 밍쪼]

65. DFD(Data Flow Diagram)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3월)
     가. 단말(Terminator)은 원으로 표기한다.
     나. 구조적 분석 기법에 이용된다.
     다. 자료 흐름과 기능을 자세히 표현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세분화된다.
     라. 자료 흐름 그래프 또는 버블(Bubble) 차트라고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자료 흐름도의 구성 요소는
자료 흐름(Data Flow)    - 화살표
처리(Process) - 타원
데이터 저장소 (Data Store) - 이중선
단말,종착지(Terminator) - 사각형
[해설작성자 : RedChani ]

66. 제어흐름 그래프가 다음과 같을 때 McCabed의 cyclomatic 수는 얼마인가?(2009년 03월)

    

     가. 3
     나. 4
     다. 5
     라. 6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A-B-C 사이의 공간 1개.
C-D 사이의 공간 1개.
A-C-D 사이의 공간 1개.
그리고 전체의 공간 1개.
토탈: 4개.
[해설작성자 : palddook012]
복잡도 V(G) = 화살표개수 - 노드의 수 + 2
[해설작성자 : 이돌람바]

67. 소프트웨어 재공학의 필요성이 대두된 가장 주된 이유는?(2013년 03월)
     가. 요구사항 분석의 문제
     나. 설계의 문제
     다. 구현의 문제
     라. 유지보수의 문제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소프트웨어 재공학은 유지보수 비용이 소프트웨어 개발 비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문제로 인해 생겨난 기술
한마디로, 유지보수 비용이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만드는것과 비슷하거나 크게 되어버리니까 기존에 있는 소프트웨어를 다시 재공학(Reengineering)해서 쓰겠다는 취지로 나온 것
[해설작성자 : 빠르게 바르게 공부기]

68. 소프트웨어 재공학은 어떤 유지보수 측면에서 소프트웨어 위기를 해결하려고 하는 방법인가?(2012년 08월)
     가. 수정 유지보수
     나. 적응 유지보수
     다. 완전화 유지보수
     라. 예방 유지보수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소프트웨어 재공학은 '예방 유지보수' 측면에서 하는것! 재공학이라고해서 수정이라고 생각하지 말것! ^^
[해설작성자 : 초록색외계인]

69. Putnam 모형을 기초로 해서 만든 자동화 추정 도구는?(2017년 08월)
     가. BYL
     나. SLIM
     다. ESTIMACS
     라. PERT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Putam 모형 : SW개발 프로젝트의 생명주기 전 과정동안에 노력의 특수한 분포를 가정해주는 동적 다변수 모델
[해설작성자 : 할마시]

1. Putnam 모형 :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의 전 과정 동안 사용될 노력의 분포를 가정하는 모형
2. 기능점수(FP) 모형 : Albrecht가 제안한 것,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증대시키는 요인별로 가중치를 부여하고,
요인별 가중치를 합산하여 총 기능을 점수를 산출함.
총 기능 점수와 영향도를 이용하여 기능 점수(FP)를 구한 후, 이를 이용해서 비용을 산정하는 기법
3. 자동화 추정 도구
비용 산정의 자동화를 위해 개발된 도구로는 SLIM과 ESTIMACS가 있다.
    * SLIM : Rayleigh - Norden 곡선과 Putnam 예측 모델을 기초로 하여 개발된 자동화 추정 도구
    * ESTIMACS : 다양한 프로젝트와 개인별 요소를 수용하도록 FP 모형을 기초로 하여 개발된 자동화 추정 도구
출처: http://yimma.tistory.com/104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

70. 소프트웨어 유지보수의 부작용 중 자료코드에 대한 변경이 설계문서나 사용자가 사용하는 메뉴얼에 적용되지 않을 때에 발생하는 부작용은 무엇인가?(2004년 09월)
     가. 코딩 부작용
     나. 자료 부작용
     다. 문서화 부작용
     라. 유지보수 부작용

     정답 : []
     정답률 : 53%

71. 구조적 분석에서 자료 사전(Data Dictionary)작성 시 고려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가. 갱신하기 쉬워야 한다.
     나. 이름이 중복되어야 한다.
     다. 이름으로 정의를 쉽게 찾을 수 있어야 한다.
     라. 정의하는 방식이 명확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쉽게 생각해서 저희가 흔히 보는 사전도 이름이 중복되면 원하는 것을 찾기가 힘들죠.

자료 사전은 자료를 더 자세히 정의하고 기록한 것인데, 이름이 중복되면 문제가 되겠죠?
[해설작성자 : 팝스테이지]

72.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5월)
     가. 제한된 자원과 일정에 대한 최적의 방법을 찾고자 노력해야 한다.
     나. 계획에 따라 소프트웨어 품질이 결정되기도 한다.
     다. 비용 추정에 관한 문제는 계획 단계에 포함되지 않는다.
     라. 계획 단계에서 프로젝트 관리자의 임무는 매우 중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각 작업과 결과물에 대한 대략적인 비용(최소, 평균, 최악)을 알아야 효율적인 작업을 순서를 정할 수 있고 종료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인하대08학번박성민]

73. 자료 사전에서 기호 “ { } ”의 의미는?(2017년 03월)
     가. 정의
     나. 생략
     다. 반복
     라. 선택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정의 =
연결 +
생략 optional ()
선택 []
반복 {}
설명 **
[해설작성자 : 말줄임표]

74. 소프트웨어 품질 목표 중 소프트웨어를 얼마만큼 쉽게 수정 할 수 있는가의 정도를 의미하는 것은?(2014년 05월)
     가. Correctness
     나. Integrity
     다. Flexibility
     라. Portability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Correctness(정확성): 사용자의 요구 기능을 충족시키는 정도
Integrity(무결성): 허용되지 않는 사용이나 자료의 변경을 제어하는 정도
Portability(이식성): 다양한 하드웨어 환경에서도 운용 가능하도록 쉽게 수정될 수 있는 정도.
[해설작성자 : 공기태]

유연성(Flexibility)
소프트웨어를 얼마만큼 쉽게 수정할 수 있는가 하는 정도
[해설작성자 : 묵사랑 합격하자]

75. 좋은 모듈이 되기 위한 응집도와 결합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7년 05월)
     가. 모듈의 응집도와 결합도 모두가 높아야 한다.
     나. 모듈의 응집도는 높아야 하고 결합도는 낮아야 한다.
     다. 모듈의 응집도는 낮아야 하고 결합도는 높아야 한다.
     라. 모듈의 응집도와 결합도 모두가 낮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76. 소프트웨어를 재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3월)
     가. 새로운 개발 방법론 도입용이
     나. 생산성 증가
     다. 소프트웨어 품질 향상
     라. 소프트웨어 문서 공유

     정답 : []
     정답률 : 67%

77. 브룩스(Brooks)의 법칙에 해당하는 것은?(2011년 08월)
     가. 소프트웨어 개발 인력은 초기에 많이 투입하고 후기에 점차 감소시켜야 한다.
     나. 소프트웨어 개발 노력은 40 - 20 - 40 으로 해야한다.
     다. 소프트웨어 개발은 소수의 정예요원으로 시작한 후 점차 증원해야 한다.
     라. 소프트웨어 개발 일정이 지연된다고 해서 말기에 새로운 인원을 투입하면 일정은 더욱 지연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브룩스(brooks)법칙: 프로젝트 진행 중에 새로운 인력을 투입할 경우 작업 적응 기간과 부작용으로 인해 일정을 더욱 지연시키고, 프로젝트에 혼란을 가져오게 된다는 법칙

78. 소프트웨어 공학의 기본 원칙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2004년 03월)
     가. 현대적인 프로그래밍 기술 적용
     나. 지속적인 검증 시행
     다. 결과에 대한 명확한 기록 유지
     라. 충분한 인력 투입

     정답 : []
     정답률 : 57%

79. 정형 기술 검토(FTR)의 지침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가. 의제를 제한한다.
     나. 논쟁과 반박을 제한한다.
     다. 문제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한다.
     라. 참가자의 수를 제한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문제 영역, 의제를 명확히 표현하고, 사전준비를 강요한다. 논쟁과 반박, 의제, 참가자수를 제한한다. 그래서 제춤의 검토에만 집중한다.
[해설작성자 : 연이윤이]

80. 객체지향 기법 중 다음 설명이 의미하는 것은?(2012년 03월)

    

     가. Inheritance
     나. Abstraction
     다. Polymorphism
     라. Encapsulation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불필요한 부분을 생략하는 것은 추상화(Abstraction)이다.
[해설작성자 : 170305 필기준비]

81. 한 개의 프레임을 전송하고, 수신측으로부터 ACK 및 NAK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정보 전송을 중지하고 기다리는 ARQ(automatic repeat request) 방식은?(2004년 09월)
     가. CRC 방식
     나. Go-back-N 방식
     다. stop-and-wait 방식
     라. selective repeat 방식

     정답 : []
     정답률 : 75%

82. 다중접속방식 중 CDMA 방식에 대한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4년 08월)
     가. 시스템의 포화 상태로 인한 통화 단절 및 혼선이 적다.
     나. 실내 또는 실외에서 넓은 서비스 권역을 제공한다.
     다. 배경 잡음을 방지하고 감쇄시킴으로써 우수한 통화 품질을 제공한다.
     라. 산악 지형 또는 혼잡한 도심 지역에서는 품질이 떨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CDMA는 산악지형 또는 혼잡한 도심지역에서 품질이 떨어지지않는다.
[해설작성자 : 수영사는96년생]

83. OSI 7계층 중 네트워크 가상 터미널(network virtual terminal)이 존재하여 서로 상이한 프로토콜에 의해 발생하는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는 계층은?(2013년 08월)
     가.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나. 세션 계층(session layer)
     다.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라.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프로토콜에 의해 발생되는 호환성 문제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문제임
즉, 응용계층의 기능
[해설작성자 : alsdud]

84. OSI-7계층 중 물리 주소를 지정하고 흐름 제어 및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계층은?(2018년 08월)
     가. 물리 계층
     나. 데이터 링크 계층
     다. 세션 계층
     라. 응용 계층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다른 부분보다 물리주소 지정을보자(이걸못봐서 틀릴줄은 몰랐다)
물리주소 지정은 2계층인 데이터링크계층에서 ARP를 스위치가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뿌려 IP주소를 주변 단말장치에 뿌리면
단말장치가 드랍하거나 자기와 맞다면 Reply를 하여 맥주소를 함께 보내고 스위치는 맥 테이블에 물리주소를 알아낸다.
[해설작성자 : 찬이네사진관]

85. 프로토콜의 변환이나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기는?(2005년 03월)
     가. 변복조기
     나. 허브
     다. 게이트웨이
     라. 브리지

     정답 : []
     정답률 : 55%

86.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방식에서 4개의 위상과 2개의 진폭으로 구성되고 2400baud일 때 전송 속도(bps)는?(2019년 03월)
     가. 300
     나. 4800
     다. 7200
     라. 19200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4위상 = 2^2 = 2비트
2진폭 = 2^1 = 1비트
4위상 2진폭 변조는 한 번에 3비트씩 전송가능
2400*3 = 7200
[해설작성자 : 오늘도태연하게]

[통신 속도와 통신용량] / [신호 변환 방식 - 디지털 변조]
신호속도 구하는 공식
데이터 신호 속도(bps) = 번조속도(baud) * 변조 시 상태 변화 수
변조속도(baud) = 데이터 신호 속도(bps) / 변조시 상태 변화 수

QAM 직교 진폭 변조
4위상 2진폭 -> 3bit씩 전송
8위상 2진폭 -> 4bit씩 전송
16위상 2진폭 -> 5bit씩 전송

**변조 시 상태 변화 수
모노비트(Monobit) : 1비트
디비트(Dibit) : 2비트
트리비트(Tribit) : 3비트
쿼드비트(Quadbit) : 4비트

4위상 2진폭 변조 는 3비트
2400baud

2400*3 = 7200
[해설작성자 : 워녕구리]

87. 디지털전송(Digital Transmission)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2006년 09월)
     가. 신호에 포함된 잡음도 증폭기에서 같이 증폭되므로 왜곡 현상이 심하다.
     나. 아날로그 전송보다 훨씬 작은 대역폭을 필요로 한다.
     다. 아날로그 전송과 비교하여 유지비용이 훨씬 더 요구 된다.
     라. 장거리 전송시 데이터의 감쇠 및 왜곡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리피터(Repeater)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88.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채널만 차례로 시간 슬롯을 이용하여 데이터와 함께 주소정보를 헤더로 붙여 전송하는 다중화 방식은?(2011년 06월)
     가. 주파수 분할 다중화
     나. 역 다중화
     다. 예약 시분할 다중화
     라.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 (Statistical Time Division Multiplexer) -> STDM
타임 슬롯을 동적으로 할당하여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터미널만 채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앱준클라스]

89. 패킷교환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8월)
     가. 데이터그램과 가상회선 방식으로 구분된다.
     나. 저장 전달 방식을 사용한다.
     다. 전송하려는 패킷에 헤더가 부착된다.
     라. 노드와 노드 간에 물리적으로 전용통신로를 설정하여 데이터를 교환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노드와 노드 간에 물리적으로 전용 통신로를 설정해야 하는 방식은 회선 교환 방식이며, 패킷 교환방식은 축적 교환 방식 중 하나이다.
[해설작성자 : 할마시]

회선교환(Circuit switching) 패킷교환(Packet switching)
회선교환은 전용 통신로가있어야만 하고 그 통신로를 통해서만 교환할수있다(직진으로 연결되어있으면 직진으로만)
패킷교환은 우회해서갈수가있어서 전용 통신로가 필요없다(직진하다가 우회전해도되고 좌회전해서 갈수도있음)
[해설작성자 : WannaCry]

90. 다음 OSI 7계층과 이와 관련된 표준으로 서로 옳지 않게 연결된 것은?(2004년 05월)
     가. 물리 계층 : RS-232C
     나. 데이터 링크 계층 : HDLC
     다. 네트워크 계층 : X.25
     라. 수송 계층 : ISDN

     정답 : []
     정답률 : 52%

91. B-ISDN/ATM 프로토콜에 있어서 ATM계층의 기능은?(2015년 08월)
     가. 가변길이의 셀로 모든 정보 운반
     나. 셀 경계 식별
     다. 셀 헤더 생성 및 추출
     라. 비트 타이밍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ATM 계층 기능
    ㅇ ATM 셀의 다중, 분리(역다중) (Multiplexing)
    ㅇ ATM 연결의 설정 (VPI 및 VCI의 분석과 변환)
    ㅇ ATM 연결을 위하여 연결에 대한 서비스 파라미터의 협상 (ATM QoS parameters)
    ㅇ 가상채널 및 가상경로의 경로선택 (Routing)
    ㅇ ATM 셀 헤더의 생성 및 삭제 (ATM Cell Format)
[해설작성자 : 관회팝]

92. 동기전송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8월)
     가. 송신기와 수신기가 동일한 클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이다.
     나. 송신기에서는 데이터 비트열을 전송하는 데 사용한 클록 신호를 수신기가 사용하여 타이밍 오류 없이 정확한 데이터 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이다.
     다. 수신기가 데이터 블록의 시작과 끝을 정확히 인식하기 위한 프레임 레벨 동기화를 요구한다.
     라. 동기전송에서 사용되는 문자 위주의 프레임 중 전송제어 문자인 STX는 프레임 시작과 끝을 나타낸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frame 동기식전송
통신제어문자
TRS:송신 /    CTS:수신 / STX:본문시작 / ETX:본문끝 / ACK:긍정적응답 / NaK:부정적응답
syn:동기유지 / DLE:링크해제,문자역변환,투과성 / ENQ:응답요구
[해설작성자 : 정보처리화이팅]

93. HDLC에서 피기백킹(piggybacking) 기법을 통해 데이터에 대한 확인 응답을 보낼 때 사용되는 프레임은?(2013년 03월)
     가. I-프레임
     나. S-프레임
     다. U-프레임
     라. A-프레임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피기백킹이란 ACk를 따로 보내지 않고, 혹시 보낼데이터가 있을때 같이 얹혀서 보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데이터 프레임에 보내야하므로 I-프레임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Ronny]

94. 보오(baud) 속도가 1400이고, 한 번에 3개의 비트를 전송할 때 데이터 신호속도(bps)는 얼마인가 ?(2009년 08월)
     가. 1200
     나. 2800
     다. 4200
     라. 5600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모뎀의 속도 = 변조속도(baud) X 단위 신호당 비트수
즉, 1400*3=4200
[해설작성자 : RAN]

95. OSI 7계층 중 암호화, 코드변환, 데이터 압축 등의 역할을 담당하는 계층은?(2008년 05월)
     가. Data link Layer
     나. Application Layer
     다. Presentation Layer
     라. Session Layer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 Data link Layer : 오류 검출과 회복을 위한 제어 기능 수행
2. Application Layer : 서비스 제공
3. Presentation Layer : 변환, 암호화, 압축 등
4. Session Layer : 대화 구성 및 동기 제어, 데이터 교환 관리
[해설작성자 : 효낭]

96.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는 프로토콜은?(2015년 05월)

    

     가. RTCP
     나. RTP
     다. UDP
     라. TCP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TCP
OSI 7 계층의 트랜스포트(전송)계층에 해당
신뢰성(안정성) 있는 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함
패킷의 다중화, 순서제어, 오류제어, 흐름제어 기능을 제공함
스트림 전송기능을 제공함
TCP헤더에는 긴급 포인터, 순서번호, 체크섬이 포함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응용 계층 서비스 : FTP, SMTP, TELNET, DNS, HTTP 등
[해설작성자 : 리카리카에리카]

RTP (real-time transport protocol) ;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RTCP (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 : RTP의 QoS를 유지하기 위해 함께 쓰이는 프로토콜
UDP (User Datagram Protocol)
[해설작성자 : 관회팝]

97.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전송기술은?(2011년 06월)

    

     가. 다중화
     나. 부호화
     다. 양자화
     라. 압축화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다중화 (Multiplexing)
멀티플렉싱 정의가 하나의 통신로를 통하여 여러개의 독립된 신호를 전송한다 라는 건데요
말 그대로 그 뜻입니다.
[해설작성자 : 앱준클라스]

98.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것은?(2016년 05월)

    

     가. Carrier
     나. Manchester
     다. Keying
     라. Converter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모뎀에서는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회선으로 전송하기 위해 변조가 필요합니다.

진폭 편이 변조(ASK, Amplitude Shift Keying)
진폭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로 변조하는 방식
간단하지만 잡음에 약하다.

주파수 편이 변조(FSK, Frequency Shift Keying)
주파수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로 변조하는 방식
비동기식 모뎀에서 사용
잡음에 강하지만 넓은 대역폭을 요구한다.

위상 편이 변조(PSK, Phase Shift Keying)
위상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로 변조하는 방식
동기식 모뎀에서 사용
잡음에 강하지만 넓은 대역폭을 요구한다.
[해설작성자 : http://blog.naver.com/wsdcaptain/220606542805]

추가
맨체스터(Manchester): 베이스밴드 전송방식 중의 하나임
- 입력데이타가 1이면 하나의 데이타폭을 1/2로 나누어 양(+v)->음(-V)으로
- 입력데이타가 0이면 하나의 데이타폭을 1/2로 나누어 음(-V)->양(+v)으로 표현
[해설작성자 : setpby515]

99. stop-and-wait 흐름제어방식보다 sliding windows 흐름제어방식을 적용하는데 가장 적당한 선로 환경은?(2014년 08월)
     가. 에러가 많은 선로
     나. 데이터의 전송이 많은 선로
     다. 전송 지연이 긴 선로
     라. 고속이 요구되는 선로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트래픽 제어의 흐름제어 방식에는 두가지가 존재한다
1. 정지대기 방식 - 수신측의 ACK를 받고 다음패킷 전송. 한번에 한개의 패킷만 전송
2.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 - 수신측의 확인신호를 받지 않더라도 미리 정해진 패킷의 수만큼 연속적으로 전송. 한번에 여러개의 패킷 전송가능 -> 전송효율 좋음
(윈도크기 = 수신측의 신호 없이도 전송할 수 있는 패킷의 개수로 상황에 따라 변함)

따라서 데이터의 전송이 많은 선로에서도 유용하지만 전송지연이 커지게 되면 정지대기 방식으로는 치명적이므로 답은 3번이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개미양만만]

100. 다음 베이스 밴드 전송 방식중 비트 간격의 시작점에서는 항상 천이가 발생하며, “1”의 경우에는 비트 간격의 중간에서 천이가 발생하고 “0”의 경우에는 비트 간격의 중간에서 천이가 없는 방식은?(2009년 05월)
     가. NRZ-L 방식
     나. NRZ-M 방식
     다. NRZ-S 방식
     라. NRZ-I 방식

     정답 : []
     정답률 : 40%


정 답 지

정보처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9478359)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정보처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데이터 베이스


1. 다음 자료에 대하여 삽입(insertion) 정렬 기법을 사용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자 한다. 1회전 후의 결과는?(2015년 05월)

   

     가. 4, 3, 2, 1, 5
     나. 3, 4, 5, 2, 1
     다. 4, 5, 3, 2, 1
     라. 1, 2, 3, 4, 5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pass
[5 4] 3 2 1 -> [4 5] 3 2 1
[해설작성자 : k]

insertion(삽입정렬) : 두 번 째 값 부터 시작! 본인보다 앞에 있는 값과 비교하여 정렬
=> 1pass : [5 4]3 2 1 -> [4 5] 3 2 1
=> 2pass : [4 5 3] 2 1 -> [3 4 5] 2 1 ...
bubble (버블정렬) : 바로 다음 자리 애랑 비교 !
=> 1pass : [5 4] 3 2 1 -> [4 5] 3 2 1 / 4 [5 3] 2 1 -> 4 [3 5] 2 1 / 4 3 [5 2] 1 -> 4 3 [2 5] 1 / 4 3 2 [5 1]-> 4 3 2 1 5
[해설작성자 : dahye]

2. 릴레이션 R1에 저장된 튜플이 릴레이션 R2에 있는 튜플을 참조하려면 참조되는 튜플이 반드시 R2에 존재해야 한다는 데이터 무결성 규칙은?(2004년 03월)
     가. 개체 무결성 규칙(Entity Integrity Rule)
     나. 참조 무결성 규칙(Referential Integrity Rule)
     다. 영역 무결성 규칙(Domain Integrity Rule)
     라. 트리거 규칙(Trigger Rule)

     정답 : []
     정답률 : 87%

3.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2016년 05월)

   

     가. Internal Schema
     나. External Schema
     다. Foreign Schema
     라. Conceptual Schema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외부 스키마(External    schema) : 프로그래머나 사용자의 입장에서 데이터베이스의 모습으로 조직의 일부분을 정의한 것
개념    스키마(Conceptual schema) : 모든 응용 시스템과 사용자들이 필요로하는 데이터를 통합한 조직 전체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논리적으로 정의한 것
내부 스키마(Internal schema) : 전체 데이터베스의 물리적 저장 형태를 기술하는 것
[해설작성자 : 열린]

4.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2005년 03월)
     가. 통합(integrated) 데이터
     나. 운영(operational) 데이터
     다. 저장(stored) 데이터
     라. 독점(exclusive) 데이터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독점이 아니라 공유(shared)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원자력펭귄]

5. 시스템 카탈로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9월)
     가. 사용자가 시스템 카탈로그를 직접 갱신할 수 있다.
     나. 일반 질의어를 이용해 그 내용을 검색할 수 있다.
     다. DBMS가 스스로 생성하고,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특별한 테이블의 집합체이다.
     라.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시스템 카탈로그는 시스템 자체에서 자동갱신 삭제죄어 사용자는 직접접적으로 갱신 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영화보는아이]

6.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데이터들이 불필요하게 중복되어 릴레이션 조작시 예기치 못한 곤란한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18년 03월)
     가. Normalization
     나. Bug
     다. Anomaly
     라. Error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이상(anomaly) 현상
데이터의 중복으로 인해 릴레이션을 처리할때 발생하는 곤란한 현상
데이터 베이스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다른데이터가 삽입 삭제 갱신되는 현상
[해설작성자 : 으이그으]

이상 Anomaly
- 데이터의 중복으로 인하여 관계 연산을 처리할 때 곤란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 <-
    여러 종속 관계를 하나의 릴레이션에 표현하기 때문에 발생
- 삽입 이상 : 불필요하고 원하지 않는 데이터도 함께 삽입해야 되거나 삽입이 되지 않는 경우
- 삭제 이상 : 한 튜플을 삭제함으로써 연쇄 삭제 현상으로 인한 정보의 손실
- 갱신 이상 : 튜플 중에서 일부 속성만을 갱신함으로써 정보의 모순성이 발생하는 현상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인데 불합격...]

7. 트랜잭션이 부분 완료(partial commit) 상태에 도달하였다가 실패(fail) 상태로 가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2005년 03월)
     가. 사용자의 인터럽트
     나. 교착상태(deadlock) 발생
     다. 트랜잭션 프로그램의 논리 오류
     라. 디스크 출력 도중의 하드웨어 장애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트랜잭션의 상태
* 부분 완료: 트랜잭션의 마지막 연산까지 실행했지만, Commit 연산이 실행되기 직전의 상태
* 실패: 트랜잭션 실행에 오류가 발생하여 중단된 상태
[해설작성자 : daeun]

8. 비선형 자료 구조에 해당하는 것은?(2004년 05월)
     가. 큐(Queue)
     나. 데크(Deque)
     다. 그래프(Graph)
     라. 리스트(List)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그래프는 비선형 자료구조입니다
[해설작성자 : 오내훈]

9. 다음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용어는?(2003년 08월)

   

     가. view
     나. index
     다. ISAM file
     라. data dictionary

     정답 : []
     정답률 : 67%

10. 분산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가.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이 접근하려는 데이터나 사이트의 위치를 알아야 한다.
     나. 중앙의 컴퓨터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다. 중앙 집중 시스템보다 구현하는데 복잡하고 처리 비용이 증가한다.
     라. 중앙 집중 시스템보다 시스템 확장이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장점
1. 장점
    - 공용성과 가용성이 뛰어남
    - 자치성이 높다
    - 추가와 폐쇄 용이, 적응성과 확장성이 뛰어남
    - 신뢰성, 융통성이 뛰어남
2. 단점
    - 필요 장비 많음, 구축 비용이 많음
    - 소프트웨어 개발이 복잡, 개발 비용 비쌈
    - 통신망에 제약 있음.
[해설작성자 : 세광컴퓨터학원(Dragon)]

11. 릴레이션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8월)
     가. 모든 튜플은 서로 다른 값을 갖는다.
     나. 속성은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원자 값을 저장해서는 안된다.
     다. 각 속성은 릴레이션 내에서 유일한 이름을 가진다.
     라.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 사이에는 순서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속성값은 쪼갤수 없는 원자 값이어야 한다.

12.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 중 데이터베이스에 표현된 개체 인스턴스를 처리하는 작업에 대한 명세로서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하는 기본 도구에 해당하는 것은?(2010년 09월)
     가. Operation
     나. Constraint
     다. Structure
     라. Relationship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
1.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Structure) : 데이터 모델을 기술 할때 데이터 사이의 관계성을 파악하고 논리적 구성 형태를 기술
2. 개체 인스턴스를 처리하는 연산(Operation) : 실제 데이터를 어떤 방법으로 삽입, 선정, 변경, 삭제할 것인가 하는 사항을 기술
3. 개체 인스턴스에 대한 논리적 제약 사항(Constraint) : 실제 데이터의 특징과 특성을 파악 어떤 데이터만을 받아들이며 어떤 관계만을 허용할 것인가를 기술
[해설작성자 : 세광컴퓨터학원(Dragon)]

13. 릴레이션의 특징으로 옳은 내용 모두를 나열한 것은?(2015년 05월)

    

     가. ㄷ, ㄹ
     나. ㄴ, ㄷ, ㄹ
     다. ㄱ, ㄴ, ㄹ
     라.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 릴레이션의 특징
-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들은 모두 상이하다.
-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 사이에는 순서가 없다.
- 한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속성의 이름은 유일해야 한다.
- 한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속성 사이에는 순서가 없다.
- 모든 속성값은 논리적으로 더 이상 분해할 수 없는 값인 원자값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Tekoa]

1.모든 튜플은 서로 다른값을 갖는다.
2.각 속성은 릴레이션 내에서 유일한 이름을 가진다.
3.하나의 릴레이션에서 튜플의 순서는 없다.
4. 모든속성 값은 원자 값이다.
모든 항목 정답
[해설작성자 : 감자치킨]

14. 다음 영문의 괄호에 가장 적합한 것은?(2005년 09월)

    

     가. array
     나. stack
     다. tree
     라. queue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모든 삽입이 한쪽 끝 (뒤쪽)에서 이루어지는 반면, 모든 삭제는 앞쪽의 다른쪽 끝에서 이루어지는 정렬된 목록
[해설작성자 : parkduke]

15. 스택의 자료 삭제 알고리즘이다. ( ) 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Top : 스택포인터 , S : 스택의 이름)(2009년 08월)

    

     가. Overflow
     나. Top = Top+1
     다. Underflow
     라. Top = Top-2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if Top -> Top pointer 가 0을 가지고 있다면 스택에는 삭제할 자료가 없기 때문에 Underflow 를 발생시킨다
[해설작성자 : 개창]

16. 내장 SQL(Embedded SQ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3월)
     가. 응용 프로그램 내에 SQL 문장을 내포하여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함께 실행되도록 호스트 프로그램 언어에 삽입된 SQL을 의미한다.
     나. 호스트변수와 데이터베이스 필드의 이름이 동일해서는 안된다.
     다. 호스트변수의 데이터 타입은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 필드의 SQL 데이터 타입과 일치해야 한다.
     라. 내장 SQL 실행문은 호스트 언어에서 실행문이 나타날 수 있는 곳이면 프로그램의 어느 곳에서나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17. 헤싱함수(Hashing Function)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9년 08월)
     가. 제곱법(mid-square)
     나. 숫자분석법(digit analysis)
     다. 체인법(chain)
     라. 제산법(division)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제곱법 : Key Value를 제곱한 후에 중간의 몇자를 선택하고 그 중간 값을 Address로 이용
2. 숫자분석법 : 각 숫자의 분포를 이용해서 균등한 분포의 숫자를 선택해서 사용
3. 제산법 : 나머지 연산자를 사용하여 주소를 계산, 어떤 양의 정수(또는 Hash Table Size)로 나눈 나머지를 주소 값으로 이용
[해설작성자 : 현이여친]

해싱함수의 종류에 제곱법, 숫자분석법, 제산법이 있는 것이고
체인법은 헤싱(헤싱함수에 따라 맵핑하는 행위)시 발생하는 오버플로우(해시충돌)를 처리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4회합격합시다]

18. 정규화 과정에서 A→B 이고 B→C 일 때 A→C 인 관계를 제거하는 단계는?(2018년 04월)
     가. 1NF → 2NF
     나. 2NF → 3NF
     다. 3NF → BCNF
     라. BCNF →4NF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NF : 1차 정규형은 각 로우마다 컬럼의 값이 1개씩만 있어야 함. 이를 컬럼이 원자값(Atomic Value)를 갖는다고 함.
2NF : 2차 정규형은 테이블의 모든 컬럼이 완전 함수적 종속을 만족함. 이게 무슨 말이냐면 기본키중에 특정 컬럼에만 종속된 컬럼(부분적 종속)이 없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부분 함수 종속 제거
3NF : 3차 정규형은 기본키를 제외한 속성들 간의 이행적 함수 종속이 없는 것. 풀어서 말하자면, 기본키 이외의 다른 컬럼이 그외 다른 컬럼을 결정할 수 없는 것.이행함수 종속 제거
BCNF : 결정자가 후보키가 아닌 함수종속 제거
4NF : 함수 종속이 아닌 다치종속성을 제거한 릴레이션
5NF : 후보키를 통하지 않은 조인종속 제거
[해설작성자 : 석영호]

19.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가. 질의에 대하여 실시간 처리 및 응답이 가능하도록 지원해 준다.
     나. 삽입, 삭제, 갱신으로 항상 최신의 데이터를 유지한다.
     다.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라. 데이터 참조 시 데이터 값에 의해서는 참조될 수 없으므로 위치나 주소에 의하여 데이터를 찾는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위치나 주소에 의해 데이터를 찾지 않고 그 데이터 내용에 의해 데이터를 찾는다

20. 개체-관계 모델의 E-R 다이어그램에서 사용되는 기호와 그 의미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가. 사각형 - 개체 타입
     나. 삼각형 - 속성
     다. 선 - 개체타입과 속성을 연결
     라. 마름모 - 관계 타입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사각형 - 개체
선 - 개체 타입과 속성을 연결
마름모 - 관계
타원 - 속성
[해설작성자 : 썬스프링]

E-R 다이어 그램
- 개체 간의 관계는 물론 시스템 내의 역할을 하는 모든 개체들, 즉 조직, 부서, 사용자, 프로그램, 데이터를 모두 표시
- 사각형 - 개체
- 타원 - 속성 <-
- 마름모 - 관계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인데 불합격...]

2과목 : 전자 계산기 구조


21.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명령어의 기능이 아닌 것은?(2004년 05월)
     가. 전달 기능
     나. 제어 기능
     다. 연산 기능
     라. 번역 기능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번역기능은 컴파일러입니다.
[해설작성자 : 벗겨보니바밤바]

22. 디지털 IC의 특성을 나타내는 내용 중 전달지연 시간이 가장 짧은 것부터 차례로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가. ECL - MOS - CMOS - TTL
     나. TTL - ECL - MOS - CMOS
     다. ECL - TTL - CMOS - MOS
     라. MOS - TTL - ECL - CMOS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암기방법]ET가 CM송을 부른다.(짧은순)
[해설작성자 : 삼수생뽀짱]

- ECL[emitter-coupled logic] : 전류 스위치형 논리
- TTL [Transistor Transistor Logic]
트랜지스터와 트랜지스터를 조합한 논리 회로(論理回路)를 말하며, DTL(diode- transistor logic)의 다이오드 대신에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것으로서, 컴퓨터에 의한 제어(制御)에서는 가장 흔히 사용되는 요소이다.
-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p 채널의 MOS 트랜지스터와 n 채널의 그것을 서로 절연하여 동일 칩에 만들어 넣어 양자가 상보적으로 동작하도록 한 것. 소비 전력은 μW 정도이고 동작은 고속, 잡음 배제성이 좋다. 전원 전압의 넓은 범위에서 동작하고, TTL에 적합하며 동일 회로 내에서 공존 가능하다. 팬아웃 용량도 크다.
-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 : 금속 산화막 반도체
[해설작성자 : 석영호]

ECL(2ns)-> TTL(9.5ns)-> CMOS(30ns)-> MOS(100ns)
[해설작성자 : 천천히 하나씩 ]

23. INTERRUPT의 발생 원인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가. 일방적인 인스트럭션 수행
     나. 수퍼바이저 콜
     다. 정전이나 자료 전달의 오류 발생
     라. 전압의 변화나 온도 변화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1. 일방적인 인스트럭션 수행 - 0으로 나누기 등의 잘못된 명령이나 프로그램을 수행한 경우. 내부 인터럽트.
2. 수퍼바이저 콜 - SVC(SuperVisor Call) 인터럽트. 소프트웨어 인터럽트에 해당.
3. 정전이나 자료 전달의 오류 - 외부 인터럽트 중 전원 이상 인터럽트, 입출력 인터럽트에 해당.
[해설작성자 : 반스트]

24. 일반적인 컴퓨터 시스템의 바이오스(BIOS)가 탑재되는 곳은?(2019년 08월)
     가. RAM
     나. I/O port
     다. ROM
     라. CPU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는
컴퓨터를 켰을 때 가장 먼저 실행되는 것으로 하드웨어 상태를 검사하거나 OS를 읽어오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비휘발성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어야 하므로 주로 ROM이나 플래시메모리를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미미미용실]

25. 인스트럭션 세트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2005년 03월)
     가. 기억 공간
     나. 사용빈도
     다. 레지스터의 종류
     라. 주기억장치 밴드폭 이용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인스트럭션 세트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려할 사항에는 기억 공간, 사용 빈도, 주기억장치 밴드폭 이용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대우5반]

26. 오퍼레이터(operator)나 타이머(timer)에 의해 의도적으로 프로그램이 중단된 경우 발생하는 인터럽트(interrupt)는?(2015년 05월)
     가. 기계착오
     나. 입출력
     다. 외부
     라. 프로그램 검사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기계착오 - 기계 고장이나 CPU 내에서 에러 발생
입출력 - 데이터 입출력 조작의 종료 및 입출력 착오에 의해 발생
[해설작성자 : 라이프르]

27. 10진수 3은 3-초과 코드(Excess-3 Code)에서 어떻게 표현되는가?(2018년 08월)
     가. 0011
     나. 0110
     다. 0101
     라. 0100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3+3=6
10진수 6->2진법 0110

2|6
2|3 ... 0
    1 ... 1

[해설작성자 : 아이엠그루트]

[추가해설]
    - 문제 : 3 초과코드 + 10진수 3
        = 3 + 3
        = 6
    
    - 10진수 6을 2진수로 표현하자면
                        -----------
    [10진수]     8    4    2    1
    ---------------------
    [2 진수]     0    1    1    0

    ※ 10진수에서 6은 4 + 2 의 조합으로 2진수 0110 으로 표현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봉담필준이아빠]

28. 인터럽트의 발생 원인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04년 03월)
     가. SuperVisor Call
     나. 정전
     다. 분기 명령의 실행
     라. 데이터 에러

     정답 : []
     정답률 : 52%

29.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CPU 내의 레지스터와 플래그의 상태 변환을 일으키는 작업은 무엇인가?(2016년 03월)
     가. Common operation
     나. Axis operation
     다. Micro operation
     라. Count operation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 명령어 수행을 위해 중앙처리장치가 의미있는 상태 변환을 하도록 하는 오퍼레이션을 원시적 오퍼레이션 ,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해설작성자 : 양긍정]

30. 연산자 코드(operation code)의 기능이 아닌 것은?(2005년 03월)
     가. 입ㆍ출력 명령 수행
     나. 제어 명령 수행
     다. 유효 주소 지정 기능
     라. 산술 연산 명령 수행

     정답 : []
     정답률 : 53%

31. 데이터 처리 명령어 중 SHL은 누산기의 내용을 좌측으로 1bit 이동하는 명령어이다. 이와 같은 명령어의 주소지정방식은?(2007년 03월)
     가. 직접 주소지정방식
     나. 간접 주소지정방식
     다. 묵시적 주소지정방식
     라. 레지스터 주소지정방식

     정답 : []
     정답률 : 36%

32. 다음 인터럽트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2017년 05월)
     가.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 CPU의 상태는 보존하지 않아도 된다.
     나. 인터럽트가 발생하게 되면 CPU는 인터럽트 사이클이 끝날 때까지 동작을 멈춘다.
     다.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실행할 때 인터럽트 플래그(IF)를 0으로 하면 인터럽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라.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처리를 수행한 후 이전에 수행 중이던 프로그램의 처음상태로 복귀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1.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 CPU의 상태를 보존해야만 인터럽트 요청을 처리한 후 본래의 작업을 다시 수행할 수 있습니다.
2.인터럽트가 발생하게 되면 인터럽트 벡터에 의해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이 수행되는 동안 CPU는 다른 작업을 계속 수행합니다.
4.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 CPU의 상태를 보존하므로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처리를 수행한 후 이전에 수행중이던 프로그램의 바로 다음 작업으로 복귀합니다.
[해설작성자 : 경기인력개발원]

33. 어느 컴퓨터의 기억 용량이 1M byte이다. 이 때 필요한 주소선의 수는?(2003년 05월)
     가. 8개
     나. 16개
     다. 20개
     라. 24개

     정답 : []
     정답률 : 46%

34. 다음과 같은 조건값에서 각 명령어를 모두 수행한 후의 R1값과 두 번째 오퍼랜드의 유효 주소는?(단, #은 직접모드, @는 간접모드를 의미하며 레지스터값은 R1=10, R2=20)(2009년 05월)

    

     가. R1=100, 유효주소=70
     나. R1=200, 유효주소=70
     다. R1=100, 유효주소=60
     라. R1=200, 유효주소=60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R1=10, R2=20
(1) MOV R1, #50 : 50을 R1에 저장함 → R1=50, R2=20
(2) MOV R1, R2 : R2값을 R1에 저장함 → R1=20, R2=20
(3) MOV R1, 100 (직접주소모드) : 100번지 값 200을 R1에 저장함 → R1=200, R2=20
(4) MOV R1, @100 : 100번지에 저장된 200은 유효주소이므로 200번지의 값 300을 R1에 저장함 → R1=300, R2=20
(5) MOV R1, --(R2) : R2의 값 20을 1 감소(선감소)시켜 19가 되고, 19가 유효주소이므로 19번지의 값 60을 R1에 저장함 → R1=60, R2=19
(6) MOV R1, (R2)++ : R2의 값 19는 유효주소이므로 19번지의 값 60을 R1에 저장한 후에 R2의 값을 1 증가(후증가)시켜 20이 됨 → R1=60, R2=20
(7) MOV R1, 50(R2) : R2의 값 20에 50을 더한 70이 유효주소이므로, 70번지의 값 100을 R1에 저장함 → R1=100, R2=20

35. 컴퓨터에서 명령어를 처리하기 위해서 명령어를 CPU에 옮긴 후 명령 레지스터(IR)에 셋(set)시켜 해독하는 단계는?(2011년 06월)
     가. Fetch Cycle
     나. Indirect Cycle
     다. Execute Cycle
     라. Interrupt Cycle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처리
1.Fetch Cycle(명령어 인출주기):모든 명령이 시작되는 단계이며, PC의 내용을 MAR에 전달하고, 명령어를 MBR로 전달하기 위하여 메모리 읽기 동작을 수행한다.
2.Indirect Cycle(주소 변환주기):메모리로부터 읽은 명령이 간접주소 지정 방식일 경우에 오퍼랜드를 주소 값으로 하여 기억 장치로부터 내용을 다시 읽어온다.
3.Execute Cycle(명령어 실행주기):명령어가 명령레지스터에 들어오면 OP-code가 해독된 후, 해독된 내용에따라 동작이 순서대로 실행된다.
4.Interrupt Cycle(인터럽트 주기):대부분의 컴퓨터는 CPU의 정상적인 작업 처리 중 외부에서 끼어드는 인터럽트를 허용한다.
[해설작성자 : 이찬형]

36. 명령 사이클의 명령어 인출 과정에서 DMA(Direct Memory Access) 요청이 있었다면 CPU는 어느 지점에서 요청 사실을 아는가?(2008년 09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DMA의 요청도 명령어라고 생각하시면 DMA 요청을 알수 있는 시간은 명령어 해석을 통해서 알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37. 프로그램 카운터가 명령어의 번지와 더해져서 유효번지를 결정하는 어드레싱 모드(addressing mode)는?(2003년 08월)
     가. 레지스터 모드
     나. 상대번지 모드
     다. 간접번지 모드
     라. 인덱스 어드레싱 모드

     정답 : []
     정답률 : 53%

38. 병렬처리컴퓨터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2년 05월)
     가. 일부 하드웨어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전체 시스템은 동작할 수 있다.
     나. 처리기(processor)를 N개 사용하면 처리속도가 정확히 N배 빨라진다.
     다. 프로그램작성이 어려워진다.
     라. 기억장치를 공유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병렬처리를 하려면 여러개의 프로세서가 동시에 처리할수있도록 한개의 프로글매을 프로세서 수만큼 여러개로 잘라야 하며, 잘라진 부분을 처리하는 프로세서들은 데이터를 주고받기위해 프로세서 간 동신을 해야한다. 프로세서 수가 많아지면 그에 따라 프로세서간 통신을 제어하는 소프트 웨어에 오버헤드가 발생하고 하드웨어상의 지연 시간 때문에 통신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져 시스템의 성능 향상에 한계가 있게 된다. 즉 처리기를 N개 사용하여 병렬처리를 한다고 해서 처리속도가 정확히N배 빨라지는것이 아니다.
[해설작성자 : 정아]

39. CPU 또는 메모리와 입출력장치의 속도 차이에서 오는 성능 저하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2019년 04월)
     가. 버퍼
     나. 채널
     다. 오프라인
     라. DMA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 CPU/메모리와 입출력 장치간의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스풀링(Spooling) : 입출력할 데이터를 직접 입출력 장치로 보내지 않고 디스크에 모았다가 나중에 한꺼번에 입출력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느린 입출력장치의 처리속도를 보완하는 기법.
-버퍼링(Buffering) : 버퍼링도 CPU와 입출력장치간의 속도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은 스풀링과 같지만 저장위치, 운영방식, 구현방식면에서 스풀링과 차이가 있음.
-DMA(Direct Memory Access) : 입출력장치가 직접 주기억장치에 접근하여 입출력하는 방식으로 CPU의 레지스터를 경유하지 않고 수행되기 때문에 CPU의 부담이 없어 보다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함.
-채널(Channel) : 채널은 DMA방법으로 입출력을 수행하므로 DMA의 확장된 개념으로 볼 수 있음. DMA는 한 개의 명령에 의해 한 개의 Block만을 입출력, 채널은 한 개의 명령에 의해 여러개의 Block을 입출력 한다는 점에서 DMA와 차이가 있다.
[해설작성자 : 최예소라]

40. 동기고정식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제어의 특성이 아닌 것은?(2010년 03월)
     가. 제어장치의 구현이 간단하다.
     나. 여러 종류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수행시 CPU사이클 타임이 실제적인 오퍼레이션 시간보다 길다.
     다.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들의 수행 시간의 차이가 큰 경우에 적합한 제어이다.
     라. 중앙처리장치의 시간이용이 비효율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들의 수행 시간의 차이가 큰 경우에는 동기 가변식을 사용

3과목 : 운영체제


41. 4개의 페이지를 수용할 수 있는 주기억장치가 있으며, 초기에는 모두 비어 있다고 가정한다. 다음의 순서로 페이지 참조가 발생할 때, FIFO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을 사용할 경우 페이지 결함의 발생 횟수는?(2019년 03월)

    

     가. 6회
     나. 7회
     다. 8회
     라. 9회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페이지에 숫자가 입력 될때 카운터
FIFO : 빈자리가 없을경우 가장 먼저 입력된 수를 변경 (빈자리를 X로 표시)
XXX -> 1XX -> 12X -> 123 -> 423 -> 453 -> 451 -> 251
1입력 -> 2입력 -> 3입력 -> 1 페이지에 존재 -> 2 페이지에 존재 -> 4입력 -> 5입력 -> 1입력 -> 2입력
총 입력된 횟수
[해설작성자 : choi]

[추가 해설]
빈 페이지가 4개인데
빈자리수를 3개로 지정하여 계산하였음
XXXX -> 1XXX -> 12XX -> 123X -> 1234 -> 5234 -> 5134 -> 5124
1입력/2입력/3입력/<<1 페이지 존재/2 페이지 존재>>/4입력/제일먼저입력된 1아웃 5입력/제일먼저입력된 2아웃 1입력/제일먼저입력된 3아웃 4입력/
총입력된 횟수 = 7회
[해설작성자 : 14MiNwoo]

1입력/2입력/3입력/<<1 페이지 존재/2 페이지 존재>>/4입력/제일먼저입력된 1아웃 5입력/제일먼저입력된 2아웃 1입력/제일먼저입력된 3아웃 2입력/
총입력된 횟수 = 7회
[해설작성자 : 지나가다가]

42. 디렉토리 구조 중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MFD와 각 사용자별로 만들어지는 UFD로 구성되며, MFD는 각 사용자의 이름이나 계정 번호 및 UFD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갖고 있으며, UFD는 오직 한 사용자가 갖고 있는 파일들에 대한 파일 정보만 갖고 있는 것은?(2016년 05월)
     가. 트리 디렉토리 구조
     나. 일반적인 그래프 디렉토리 구조
     다. 2단계 디렉토리 구조
     라. 비순환 그래프 디렉토리 구조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트리단계 디렉터리 : 운영체제에 사용되는 디렉터리구조
2. 일반적인 그래프 디렉터리 : 사이클이 허용되고, 불필요한 파일을 제거하기 위해 참조 카운터가 필요한 디렉터리 구조
3. 2단계 디렉터리 : (정답)
4. 비순환 그래프 디렉토리 구조 : 부 디렉터리의 공동 사용이 가능, 공유된 파일을 삭제할 경우 고아 포인터가 발생 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황징위]

43. 사용자가 요청한 디스크 입, 출력 내용이 다음과 같은 순서로 큐에 들어 있다. 이 때 SSTF 스케쥴링을 사용한 경우의 처리 순서는?(단, 현재 헤드 위치는 53 이고, 제일 안쪽이 1번, 바깥쪽이 200번 트랙이다.(2017년 03월)

    

     가. 53-65-67-37-14-98-122-124-183
     나. 53-98-183-37-122-14-124-65-67
     다. 53-37-14-65-67-98-122-124-183
     라. 53-67-65-124-14-122-37-183-98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SSTF(Shortest Seek Time First)는 탐색 거리가 가장 짧은 요청을 먼저 서비스하는 기법입니다.
[해설작성자 : JK]

추가해설
쉽게 설명하자면 53이 기준인데 53에서 제일 가까운 숫자 순서대로 표기한것임
53에서 65까지는 12, 53에서 67까지는 14, 53에서 37까지는 16임 그래서 53-65-67 이순입니다.
[해설작성자 : 이해를]

44. 3개의 페이지 프레임(Frame)을 가진 기억장치에서 페이지 요청을 다음과 같은 페이지 번호 순으로 요청했을 때 교체 알고리즘으로 FIFO 방법을 사용한다면 몇 번의 페이지 부재(Fault)가 발생하는가?(단, 현재 기억장치는 모두 비어 있다고 가정한다.)(2007년 09월)

    

     가. 7번
     나. 8번
     다. 9번
     라. 10번

     정답 : []
     정답률 : 50%

45. 스레드(Thread)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가. 한 개의 프로세스는 여러 개의 스레드를 가질 수 없다.
     나. 커널 스레드의 경우 운영체제에 의해 스레드를 운용한다.
     다. 사용자 스레드의 경우 사용자가 만든 라이브러리를 사용 하여 스레드를 운용한다.
     라. 스레드를 사용함으로써 하드웨어, 운영체제의 성능과 응용 프로그램의 처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한 프로세스는 여러개의 스레드를 가질수 있고
이를 다중 스레드 라고 하며 하나의 스레드를 가질경우 단일 스레드 라고합니다.
[해설작성자 : 신원섭]

46. UNIX에서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시스템 호출문은?(2003년 03월)
     가. exec
     나. fork
     다. pipe
     라. signal

     정답 : []
     정답률 : 69%

47. 가상메모리의 교체정책 중 LRU(Least Recently Used) 알고리즘으로 구현할 때 그림에서 D 페이지가 참조될 때의 적재되는 프레임으로 옳은 것은? (단, 고정 프레임이 적용되어 프로세스에 3개의 프레임이 배정되어 있고, 4개의 서로 다른 페이지(A, B, C, D)를 B, C, B, A, D 순서로 참조한다고 가정한다.)(2017년 05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LRU -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 교체 방법으로
B -> C -> B -> A -> D
=> A순서 때 B, C, A 에서 D 페이지를 프레임에 배정 시키기 위해서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C페이지에 D페이지를 삽입하여,
B, D, A 가 된다.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설명에 오해가 있을것 같아서 부연 설명합니다.
LRU는 사실 순서가 중요합니다. 순서에서 가장 먼 것을 교체하 나간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만약 순서가 2 -> 4 ->    6 -> 4 -> 3 이고 frame 3개로 교체해 나간다면, 마지막 3이 순서라면 직전 4와 직직전 6이 가장 최근 것이므로 2가 교체 대상이 된다.
[해설작성자 : 석영호]

48. 마스터 파일 디렉토리와 각 사용자별로 만들어지는 사용자 파일 디렉토리로 구성되는 디렉토리 구조는?(2010년 05월)
     가. 트리 디렉토리 구조
     나. 비순환 그래프 디렉토리 구조
     다. 1단계 디렉토리 구조
     라. 2단계 디렉토리 구조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마스터 + 사용자 = 2단계 디렉토리 구조
[해설작성자 : 이돌람바]

49. 분산 운영체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파일이나 데이터베이스, 프린터 등의 자원들이 지역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 내의 다른 원격지 컴퓨터에 존재하더라도 위치에 관계없이 그의 사용을 보장하는 개념은?(2015년 05월)
     가. 위치 투명성
     나. 접근 투명성
     다. 복사 투명성
     라. 접근 독립성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위치에 관계없이 사용을 보장하니까 위치투명성!

50. 파일 디스크립터(File Descripto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8월)
     가. 파일 관리를 위한 파일 제어 블록이다.
     나. 시스템에 따라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다가 파일이 개방될 때 주기억 장치로 옮겨진다.
     라. 사용자의 직접 참조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파일 디스크립터
-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파일에 대한 정보를 갖는 제어 블록
- 파일이 엑세스 되는 동안 운영체제가 관리 목적으로 알아야 할 정보를 모아 놓은 자료구조이다.
- 파일마다 독립적으로 존재, 시스템마다 다른 구조를 가진다.
- 보통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었다가 파일이 오픈 될 때 주기억 장치로 전달
- 사용자 직접 참조, 파일 작성자, 오류에 대한 수정방법, 파일의 백업 방법 => X
[해설 작성자 : enaaan]

51. 절대(Absolute) 로더의 경우 기억장소 할당 및 연결 작업의 주체는 ?(2009년 08월)
     가. 에디터
     나. 로더
     다. 언어번역프로그램
     라. 프로그래머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절대(Absolute)로더
기억장소 할당이나 연결을 프로그래머가 직접 지정하며 한번 지정한 주기억장소의 위치는 변경이 어렵다
-compile And Go 로더
별도의 로더 없이 언어번역 프로그램이 로더의 기능까지 수행하는 방식이다

52. 여러명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컴퓨터가 사용자들의 프로그램을 번갈아 가며 처리해 줌으로써 각 사용자들은 각자 독립된 컴퓨터를 사용하는 느낌을 갖는 시스템은?(2004년 05월)
     가. on-line system
     나. batch file system
     다. dual system
     라. time sharing system

     정답 : []
     정답률 : 65%

53. 주기억장치 관리기법으로 최악 적합(Worst-fit) 방법을 이용할 경우 10K 크기의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이 분할되어 있는 주기억장치 중 어느 부분에 할당되어야 하는가?(2011년 08월)

    

     가. 영역번호 ①
     나. 영역번호 ②
     다. 영역번호③
     라. 영역번호 ④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최악 적합(Worst-fit)은 영역크기가 가장큰것이다
분할이 10k이니까    영역 1번은 10k보다 작은 9k이니깐 어떤 fit 방법에도 해당되지 않는다
영역크기가 가장 큰 최악 적합(Worst-fit)은    35k 이다
[해설작성자 : 동서대 정보통신 허간지]

54. 분산 운영체제 구조 중 다음의 특징을 갖는 것은?(2010년 05월)

    

     가. 링 연결구조(RING)
     나. 다중접근 버스 연결구조(MULTI ACCESS BUS)
     다. 계층 연결구조(HIERARCHY)
     라. 성형 연결구조(STAR)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ㅁ                ㅁ                        성형(STAR)형 구조 이며, 중앙 컴퓨터 장애시 모든 사이트가 통신이 불가한 점이 있습니다.
    ↖        ↗
         ■
    ↙        ↘
ㅁ                ㅁ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행인]

성형 연결구조 : 중앙에 호스트 컴퓨터가 있고 이를 중심으로 사이트들이 연결
                                /모든 사이트는 하나의 호스트에 직접 연결
                                /중앙 컴퓨터 장애 시 통신 불가
[해설작성자 : 떤더?]

55. HRN방식으로 스케줄링 할 경우, 입력된 작업이 다음과같을 때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은?(2010년 05월)

    

     가. A
     나. B
     다. C
     라. D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우선순위 = (대기시간+서비스받을 시간)/서비스받을 시간

56. 보안 유지 기법 중 하드웨어나 운영체제에 내장된 기능으로 프로그램의 신뢰성 있는 운영과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능과 관련된 것은?(2009년 05월)
     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
     나. 내부 보안
     다. 외부 보안
     라. 시설 보안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외부보안 - 종류는 2가지로 시설보안(천재지변이나 외부 침입자로부터 보안)과 운용보안(전산소 관리 및 경영자들의 정채고가 통제에 의해 이루어지는 보안 )이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보안 - 운영체제가 사용자 신원 확인 후 이용가능
내부보안 - 하드웨어나 운영체제의 내장된 보안 기능을 이용하여 시스템 신뢰성 유지
[해설작성자 : 다잘될꺼야]

57.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 동안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의 집합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07년 03월)
     가. Working Set
     나. Locality
     다. Thrashing
     라. Prepaging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 Locality(구역성) :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 주기억장치를 참조할 때 일부 페이지만 집중적으로 참조하는 성질이 있다는 이론
- 스래싱(Thrashing) : 프로세스의 처리 시간보다 페이지 교체 시간이 더 많아지는 현상
- 프리페이징(Prepaging) : 프리페이징은 처음의 과도한 페이지 부재를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할 것 같은 모든 페이지를 한꺼번에 페이지 프레임에 적재하는 기법
[해설작성자 : 쌈구]

58. RR(Round-Robin) 스케줄링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가. 시간 할당이 작아지면 프로세스 문맥 교환이 자주 일어난다.
     나. Time Sharing System을 위해 고안된 방식이다.
     다.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에게 먼저 CPU를 할당한다.
     라. 시간 할당이 커지면 FCFS 스케줄링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RR(Round Robin)
-시분할 시스템을 위해 고안된 방식으로, FCFS 알고리즘을 선점 형태로 변형한 기법
-FCFS(FIFO) 기법과 같이 준비상태 큐에 먼저 들어온 프로세스가 먼저 CPU를 할당 받지만 각 프로세스는 할달된 시간 동안만 실행하 후 실행이 완료 되지 않으면 다음 프로세스에게 CPU를 넘겨주고 준비상태 큐릐 가장 뒤로 배치됨
-할당되는 시간이 클 경우 FCFS 기법과 같아지고, 할당되는 시간이 작을 경우 문맥 교환 및 오버헤드가 자주 발생됨.
[해설작성자 : 강호일]

59. 보안의 메커니즘 중 데이터를 송수신한 자가 송수신 사실을 부인할 수 없도록 송수신 증거를 제공하는 것은?(2016년 05월)
     가. Authentication
     나. Encryption
     다. Non-repudiation
     라. Decryption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1.Authenticaion - 인증
2.Encryption - 부호 매김
3.Non-repudiation - 부인방지
4.Decryption - 해독(복호화)
[해설작성자 : 쁘띠첼푸딩]

[추가 해설]
2.Encryption - 암호화
4.Decryption - 복호화
가 더 자연스러울듯
[해설작성자 : 갸갸갸갸]

60. NUR 기법은 호출 비트와 변형 비트를 가진다. 다음 중 가장 나중에 교체될 페이지는?(2006년 03월)
     가. 호출 비트 : 0, 변형 비트 : 0
     나. 호출 비트 : 0, 변형 비트 : 1
     다. 호출 비트 : 1, 변형 비트 : 0
     라. 호출 비트 : 1, 변형 비트 : 1

     정답 : []
     정답률 : 62%

4과목 : 소프트웨어 공학


61. 모듈을 이루고 있는 각 요소들이 공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얼마나 관련이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03년 03월)
     가. 결합도(coupling)
     나. 응집도(cohesion)
     다. 구조도(structure)
     라. 일치도(unity)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결합도 - 여러 모듈 간의 상호 의존도, 모듈 간에 상호 의존하는 정도 또는 두 모듈 사이의 연관 관계
응집도 - 하나의 모듈 안에서 구성요소 간의 관련 정도, 정보 은닉 개념을 확장한 것, 모듈이 독립적인 기능으로 정의되어 있는 정도

문제는 모듈을 이루고 있는 각 요소들을 언급했으므로 응집도가 맞다.
[해설작성자 : 인하대08학번박성민]

62. CPM(Critical Path Metho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가. 프로젝트 내에서 각 작업이 수행되는 시간과 각 작업 사이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나. 작업 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해주며 막대 그래프의 형태로 표현한다.
     다. 경영층의 과학적인 의사 결정을 지원한다.
     라. 효과적인 프로젝트의 통제를 가능하게 해 준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2번은 간트차트에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묘니]

63. 소프트웨어의 재사용(reusability)에 대한 효과와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3월)
     가. 사용자의 책임과 권한부여
     나. 소프트웨어의 품질향상
     다. 생산성 향상
     라. 구축 방법에 대한 지식의 공유

     정답 : []
     정답률 : 71%

64. 최종 사용자가 여러 장소의 고객 위치에서 소프트웨어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검증 검사 기법의 종류는?(2013년 08월)
     가. 베타 검사
     나. 알파 검사
     다. 형상 검사
     라. 복구 검사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베타 검사 : 선정된 최종 사용자가 여러 명의 사용자 앞에서 행하는 검사
2. 알파 검사 : 사용자와 개발자가 1:1로 행하는 검사
3. 형상 검사 :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목록, 유지 보수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이 제대로 표현되었는지 검사
4. 복구 검사 : 제대로 복구 되는지 확인하는 검사

*검증 검사 : 형상 검사, 알파 검사, 베타 검사
*시스템 검사 : 복구 검사, 보안 검사, 강도 검사
[해설작성자 : 밍쪼]

65. DFD(Data Flow Diagram)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3월)
     가. 단말(Terminator)은 원으로 표기한다.
     나. 구조적 분석 기법에 이용된다.
     다. 자료 흐름과 기능을 자세히 표현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세분화된다.
     라. 자료 흐름 그래프 또는 버블(Bubble) 차트라고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자료 흐름도의 구성 요소는
자료 흐름(Data Flow)    - 화살표
처리(Process) - 타원
데이터 저장소 (Data Store) - 이중선
단말,종착지(Terminator) - 사각형
[해설작성자 : RedChani ]

66. 제어흐름 그래프가 다음과 같을 때 McCabed의 cyclomatic 수는 얼마인가?(2009년 03월)

    

     가. 3
     나. 4
     다. 5
     라. 6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A-B-C 사이의 공간 1개.
C-D 사이의 공간 1개.
A-C-D 사이의 공간 1개.
그리고 전체의 공간 1개.
토탈: 4개.
[해설작성자 : palddook012]
복잡도 V(G) = 화살표개수 - 노드의 수 + 2
[해설작성자 : 이돌람바]

67. 소프트웨어 재공학의 필요성이 대두된 가장 주된 이유는?(2013년 03월)
     가. 요구사항 분석의 문제
     나. 설계의 문제
     다. 구현의 문제
     라. 유지보수의 문제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소프트웨어 재공학은 유지보수 비용이 소프트웨어 개발 비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문제로 인해 생겨난 기술
한마디로, 유지보수 비용이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만드는것과 비슷하거나 크게 되어버리니까 기존에 있는 소프트웨어를 다시 재공학(Reengineering)해서 쓰겠다는 취지로 나온 것
[해설작성자 : 빠르게 바르게 공부기]

68. 소프트웨어 재공학은 어떤 유지보수 측면에서 소프트웨어 위기를 해결하려고 하는 방법인가?(2012년 08월)
     가. 수정 유지보수
     나. 적응 유지보수
     다. 완전화 유지보수
     라. 예방 유지보수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소프트웨어 재공학은 '예방 유지보수' 측면에서 하는것! 재공학이라고해서 수정이라고 생각하지 말것! ^^
[해설작성자 : 초록색외계인]

69. Putnam 모형을 기초로 해서 만든 자동화 추정 도구는?(2017년 08월)
     가. BYL
     나. SLIM
     다. ESTIMACS
     라. PERT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Putam 모형 : SW개발 프로젝트의 생명주기 전 과정동안에 노력의 특수한 분포를 가정해주는 동적 다변수 모델
[해설작성자 : 할마시]

1. Putnam 모형 :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의 전 과정 동안 사용될 노력의 분포를 가정하는 모형
2. 기능점수(FP) 모형 : Albrecht가 제안한 것,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증대시키는 요인별로 가중치를 부여하고,
요인별 가중치를 합산하여 총 기능을 점수를 산출함.
총 기능 점수와 영향도를 이용하여 기능 점수(FP)를 구한 후, 이를 이용해서 비용을 산정하는 기법
3. 자동화 추정 도구
비용 산정의 자동화를 위해 개발된 도구로는 SLIM과 ESTIMACS가 있다.
    * SLIM : Rayleigh - Norden 곡선과 Putnam 예측 모델을 기초로 하여 개발된 자동화 추정 도구
    * ESTIMACS : 다양한 프로젝트와 개인별 요소를 수용하도록 FP 모형을 기초로 하여 개발된 자동화 추정 도구
출처: http://yimma.tistory.com/104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

70. 소프트웨어 유지보수의 부작용 중 자료코드에 대한 변경이 설계문서나 사용자가 사용하는 메뉴얼에 적용되지 않을 때에 발생하는 부작용은 무엇인가?(2004년 09월)
     가. 코딩 부작용
     나. 자료 부작용
     다. 문서화 부작용
     라. 유지보수 부작용

     정답 : []
     정답률 : 53%

71. 구조적 분석에서 자료 사전(Data Dictionary)작성 시 고려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가. 갱신하기 쉬워야 한다.
     나. 이름이 중복되어야 한다.
     다. 이름으로 정의를 쉽게 찾을 수 있어야 한다.
     라. 정의하는 방식이 명확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쉽게 생각해서 저희가 흔히 보는 사전도 이름이 중복되면 원하는 것을 찾기가 힘들죠.

자료 사전은 자료를 더 자세히 정의하고 기록한 것인데, 이름이 중복되면 문제가 되겠죠?
[해설작성자 : 팝스테이지]

72.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5월)
     가. 제한된 자원과 일정에 대한 최적의 방법을 찾고자 노력해야 한다.
     나. 계획에 따라 소프트웨어 품질이 결정되기도 한다.
     다. 비용 추정에 관한 문제는 계획 단계에 포함되지 않는다.
     라. 계획 단계에서 프로젝트 관리자의 임무는 매우 중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각 작업과 결과물에 대한 대략적인 비용(최소, 평균, 최악)을 알아야 효율적인 작업을 순서를 정할 수 있고 종료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인하대08학번박성민]

73. 자료 사전에서 기호 “ { } ”의 의미는?(2017년 03월)
     가. 정의
     나. 생략
     다. 반복
     라. 선택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정의 =
연결 +
생략 optional ()
선택 []
반복 {}
설명 **
[해설작성자 : 말줄임표]

74. 소프트웨어 품질 목표 중 소프트웨어를 얼마만큼 쉽게 수정 할 수 있는가의 정도를 의미하는 것은?(2014년 05월)
     가. Correctness
     나. Integrity
     다. Flexibility
     라. Portability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Correctness(정확성): 사용자의 요구 기능을 충족시키는 정도
Integrity(무결성): 허용되지 않는 사용이나 자료의 변경을 제어하는 정도
Portability(이식성): 다양한 하드웨어 환경에서도 운용 가능하도록 쉽게 수정될 수 있는 정도.
[해설작성자 : 공기태]

유연성(Flexibility)
소프트웨어를 얼마만큼 쉽게 수정할 수 있는가 하는 정도
[해설작성자 : 묵사랑 합격하자]

75. 좋은 모듈이 되기 위한 응집도와 결합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7년 05월)
     가. 모듈의 응집도와 결합도 모두가 높아야 한다.
     나. 모듈의 응집도는 높아야 하고 결합도는 낮아야 한다.
     다. 모듈의 응집도는 낮아야 하고 결합도는 높아야 한다.
     라. 모듈의 응집도와 결합도 모두가 낮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76. 소프트웨어를 재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3월)
     가. 새로운 개발 방법론 도입용이
     나. 생산성 증가
     다. 소프트웨어 품질 향상
     라. 소프트웨어 문서 공유

     정답 : []
     정답률 : 67%

77. 브룩스(Brooks)의 법칙에 해당하는 것은?(2011년 08월)
     가. 소프트웨어 개발 인력은 초기에 많이 투입하고 후기에 점차 감소시켜야 한다.
     나. 소프트웨어 개발 노력은 40 - 20 - 40 으로 해야한다.
     다. 소프트웨어 개발은 소수의 정예요원으로 시작한 후 점차 증원해야 한다.
     라. 소프트웨어 개발 일정이 지연된다고 해서 말기에 새로운 인원을 투입하면 일정은 더욱 지연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브룩스(brooks)법칙: 프로젝트 진행 중에 새로운 인력을 투입할 경우 작업 적응 기간과 부작용으로 인해 일정을 더욱 지연시키고, 프로젝트에 혼란을 가져오게 된다는 법칙

78. 소프트웨어 공학의 기본 원칙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2004년 03월)
     가. 현대적인 프로그래밍 기술 적용
     나. 지속적인 검증 시행
     다. 결과에 대한 명확한 기록 유지
     라. 충분한 인력 투입

     정답 : []
     정답률 : 57%

79. 정형 기술 검토(FTR)의 지침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가. 의제를 제한한다.
     나. 논쟁과 반박을 제한한다.
     다. 문제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한다.
     라. 참가자의 수를 제한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문제 영역, 의제를 명확히 표현하고, 사전준비를 강요한다. 논쟁과 반박, 의제, 참가자수를 제한한다. 그래서 제춤의 검토에만 집중한다.
[해설작성자 : 연이윤이]

80. 객체지향 기법 중 다음 설명이 의미하는 것은?(2012년 03월)

    

     가. Inheritance
     나. Abstraction
     다. Polymorphism
     라. Encapsulation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불필요한 부분을 생략하는 것은 추상화(Abstraction)이다.
[해설작성자 : 170305 필기준비]

81. 한 개의 프레임을 전송하고, 수신측으로부터 ACK 및 NAK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정보 전송을 중지하고 기다리는 ARQ(automatic repeat request) 방식은?(2004년 09월)
     가. CRC 방식
     나. Go-back-N 방식
     다. stop-and-wait 방식
     라. selective repeat 방식

     정답 : []
     정답률 : 75%

82. 다중접속방식 중 CDMA 방식에 대한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4년 08월)
     가. 시스템의 포화 상태로 인한 통화 단절 및 혼선이 적다.
     나. 실내 또는 실외에서 넓은 서비스 권역을 제공한다.
     다. 배경 잡음을 방지하고 감쇄시킴으로써 우수한 통화 품질을 제공한다.
     라. 산악 지형 또는 혼잡한 도심 지역에서는 품질이 떨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CDMA는 산악지형 또는 혼잡한 도심지역에서 품질이 떨어지지않는다.
[해설작성자 : 수영사는96년생]

83. OSI 7계층 중 네트워크 가상 터미널(network virtual terminal)이 존재하여 서로 상이한 프로토콜에 의해 발생하는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는 계층은?(2013년 08월)
     가.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나. 세션 계층(session layer)
     다.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라.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프로토콜에 의해 발생되는 호환성 문제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문제임
즉, 응용계층의 기능
[해설작성자 : alsdud]

84. OSI-7계층 중 물리 주소를 지정하고 흐름 제어 및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계층은?(2018년 08월)
     가. 물리 계층
     나. 데이터 링크 계층
     다. 세션 계층
     라. 응용 계층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다른 부분보다 물리주소 지정을보자(이걸못봐서 틀릴줄은 몰랐다)
물리주소 지정은 2계층인 데이터링크계층에서 ARP를 스위치가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뿌려 IP주소를 주변 단말장치에 뿌리면
단말장치가 드랍하거나 자기와 맞다면 Reply를 하여 맥주소를 함께 보내고 스위치는 맥 테이블에 물리주소를 알아낸다.
[해설작성자 : 찬이네사진관]

85. 프로토콜의 변환이나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기는?(2005년 03월)
     가. 변복조기
     나. 허브
     다. 게이트웨이
     라. 브리지

     정답 : []
     정답률 : 55%

86.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방식에서 4개의 위상과 2개의 진폭으로 구성되고 2400baud일 때 전송 속도(bps)는?(2019년 03월)
     가. 300
     나. 4800
     다. 7200
     라. 19200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4위상 = 2^2 = 2비트
2진폭 = 2^1 = 1비트
4위상 2진폭 변조는 한 번에 3비트씩 전송가능
2400*3 = 7200
[해설작성자 : 오늘도태연하게]

[통신 속도와 통신용량] / [신호 변환 방식 - 디지털 변조]
신호속도 구하는 공식
데이터 신호 속도(bps) = 번조속도(baud) * 변조 시 상태 변화 수
변조속도(baud) = 데이터 신호 속도(bps) / 변조시 상태 변화 수

QAM 직교 진폭 변조
4위상 2진폭 -> 3bit씩 전송
8위상 2진폭 -> 4bit씩 전송
16위상 2진폭 -> 5bit씩 전송

**변조 시 상태 변화 수
모노비트(Monobit) : 1비트
디비트(Dibit) : 2비트
트리비트(Tribit) : 3비트
쿼드비트(Quadbit) : 4비트

4위상 2진폭 변조 는 3비트
2400baud

2400*3 = 7200
[해설작성자 : 워녕구리]

87. 디지털전송(Digital Transmission)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2006년 09월)
     가. 신호에 포함된 잡음도 증폭기에서 같이 증폭되므로 왜곡 현상이 심하다.
     나. 아날로그 전송보다 훨씬 작은 대역폭을 필요로 한다.
     다. 아날로그 전송과 비교하여 유지비용이 훨씬 더 요구 된다.
     라. 장거리 전송시 데이터의 감쇠 및 왜곡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리피터(Repeater)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88.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채널만 차례로 시간 슬롯을 이용하여 데이터와 함께 주소정보를 헤더로 붙여 전송하는 다중화 방식은?(2011년 06월)
     가. 주파수 분할 다중화
     나. 역 다중화
     다. 예약 시분할 다중화
     라.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 (Statistical Time Division Multiplexer) -> STDM
타임 슬롯을 동적으로 할당하여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터미널만 채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앱준클라스]

89. 패킷교환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8월)
     가. 데이터그램과 가상회선 방식으로 구분된다.
     나. 저장 전달 방식을 사용한다.
     다. 전송하려는 패킷에 헤더가 부착된다.
     라. 노드와 노드 간에 물리적으로 전용통신로를 설정하여 데이터를 교환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노드와 노드 간에 물리적으로 전용 통신로를 설정해야 하는 방식은 회선 교환 방식이며, 패킷 교환방식은 축적 교환 방식 중 하나이다.
[해설작성자 : 할마시]

회선교환(Circuit switching) 패킷교환(Packet switching)
회선교환은 전용 통신로가있어야만 하고 그 통신로를 통해서만 교환할수있다(직진으로 연결되어있으면 직진으로만)
패킷교환은 우회해서갈수가있어서 전용 통신로가 필요없다(직진하다가 우회전해도되고 좌회전해서 갈수도있음)
[해설작성자 : WannaCry]

90. 다음 OSI 7계층과 이와 관련된 표준으로 서로 옳지 않게 연결된 것은?(2004년 05월)
     가. 물리 계층 : RS-232C
     나. 데이터 링크 계층 : HDLC
     다. 네트워크 계층 : X.25
     라. 수송 계층 : ISDN

     정답 : []
     정답률 : 52%

91. B-ISDN/ATM 프로토콜에 있어서 ATM계층의 기능은?(2015년 08월)
     가. 가변길이의 셀로 모든 정보 운반
     나. 셀 경계 식별
     다. 셀 헤더 생성 및 추출
     라. 비트 타이밍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ATM 계층 기능
    ㅇ ATM 셀의 다중, 분리(역다중) (Multiplexing)
    ㅇ ATM 연결의 설정 (VPI 및 VCI의 분석과 변환)
    ㅇ ATM 연결을 위하여 연결에 대한 서비스 파라미터의 협상 (ATM QoS parameters)
    ㅇ 가상채널 및 가상경로의 경로선택 (Routing)
    ㅇ ATM 셀 헤더의 생성 및 삭제 (ATM Cell Format)
[해설작성자 : 관회팝]

92. 동기전송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8월)
     가. 송신기와 수신기가 동일한 클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이다.
     나. 송신기에서는 데이터 비트열을 전송하는 데 사용한 클록 신호를 수신기가 사용하여 타이밍 오류 없이 정확한 데이터 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이다.
     다. 수신기가 데이터 블록의 시작과 끝을 정확히 인식하기 위한 프레임 레벨 동기화를 요구한다.
     라. 동기전송에서 사용되는 문자 위주의 프레임 중 전송제어 문자인 STX는 프레임 시작과 끝을 나타낸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frame 동기식전송
통신제어문자
TRS:송신 /    CTS:수신 / STX:본문시작 / ETX:본문끝 / ACK:긍정적응답 / NaK:부정적응답
syn:동기유지 / DLE:링크해제,문자역변환,투과성 / ENQ:응답요구
[해설작성자 : 정보처리화이팅]

93. HDLC에서 피기백킹(piggybacking) 기법을 통해 데이터에 대한 확인 응답을 보낼 때 사용되는 프레임은?(2013년 03월)
     가. I-프레임
     나. S-프레임
     다. U-프레임
     라. A-프레임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피기백킹이란 ACk를 따로 보내지 않고, 혹시 보낼데이터가 있을때 같이 얹혀서 보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데이터 프레임에 보내야하므로 I-프레임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Ronny]

94. 보오(baud) 속도가 1400이고, 한 번에 3개의 비트를 전송할 때 데이터 신호속도(bps)는 얼마인가 ?(2009년 08월)
     가. 1200
     나. 2800
     다. 4200
     라. 5600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모뎀의 속도 = 변조속도(baud) X 단위 신호당 비트수
즉, 1400*3=4200
[해설작성자 : RAN]

95. OSI 7계층 중 암호화, 코드변환, 데이터 압축 등의 역할을 담당하는 계층은?(2008년 05월)
     가. Data link Layer
     나. Application Layer
     다. Presentation Layer
     라. Session Layer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 Data link Layer : 오류 검출과 회복을 위한 제어 기능 수행
2. Application Layer : 서비스 제공
3. Presentation Layer : 변환, 암호화, 압축 등
4. Session Layer : 대화 구성 및 동기 제어, 데이터 교환 관리
[해설작성자 : 효낭]

96.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는 프로토콜은?(2015년 05월)

    

     가. RTCP
     나. RTP
     다. UDP
     라. TCP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TCP
OSI 7 계층의 트랜스포트(전송)계층에 해당
신뢰성(안정성) 있는 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함
패킷의 다중화, 순서제어, 오류제어, 흐름제어 기능을 제공함
스트림 전송기능을 제공함
TCP헤더에는 긴급 포인터, 순서번호, 체크섬이 포함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응용 계층 서비스 : FTP, SMTP, TELNET, DNS, HTTP 등
[해설작성자 : 리카리카에리카]

RTP (real-time transport protocol) ;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RTCP (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 : RTP의 QoS를 유지하기 위해 함께 쓰이는 프로토콜
UDP (User Datagram Protocol)
[해설작성자 : 관회팝]

97.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전송기술은?(2011년 06월)

    

     가. 다중화
     나. 부호화
     다. 양자화
     라. 압축화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다중화 (Multiplexing)
멀티플렉싱 정의가 하나의 통신로를 통하여 여러개의 독립된 신호를 전송한다 라는 건데요
말 그대로 그 뜻입니다.
[해설작성자 : 앱준클라스]

98.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것은?(2016년 05월)

    

     가. Carrier
     나. Manchester
     다. Keying
     라. Converter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모뎀에서는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회선으로 전송하기 위해 변조가 필요합니다.

진폭 편이 변조(ASK, Amplitude Shift Keying)
진폭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로 변조하는 방식
간단하지만 잡음에 약하다.

주파수 편이 변조(FSK, Frequency Shift Keying)
주파수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로 변조하는 방식
비동기식 모뎀에서 사용
잡음에 강하지만 넓은 대역폭을 요구한다.

위상 편이 변조(PSK, Phase Shift Keying)
위상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로 변조하는 방식
동기식 모뎀에서 사용
잡음에 강하지만 넓은 대역폭을 요구한다.
[해설작성자 : http://blog.naver.com/wsdcaptain/220606542805]

추가
맨체스터(Manchester): 베이스밴드 전송방식 중의 하나임
- 입력데이타가 1이면 하나의 데이타폭을 1/2로 나누어 양(+v)->음(-V)으로
- 입력데이타가 0이면 하나의 데이타폭을 1/2로 나누어 음(-V)->양(+v)으로 표현
[해설작성자 : setpby515]

99. stop-and-wait 흐름제어방식보다 sliding windows 흐름제어방식을 적용하는데 가장 적당한 선로 환경은?(2014년 08월)
     가. 에러가 많은 선로
     나. 데이터의 전송이 많은 선로
     다. 전송 지연이 긴 선로
     라. 고속이 요구되는 선로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트래픽 제어의 흐름제어 방식에는 두가지가 존재한다
1. 정지대기 방식 - 수신측의 ACK를 받고 다음패킷 전송. 한번에 한개의 패킷만 전송
2.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 - 수신측의 확인신호를 받지 않더라도 미리 정해진 패킷의 수만큼 연속적으로 전송. 한번에 여러개의 패킷 전송가능 -> 전송효율 좋음
(윈도크기 = 수신측의 신호 없이도 전송할 수 있는 패킷의 개수로 상황에 따라 변함)

따라서 데이터의 전송이 많은 선로에서도 유용하지만 전송지연이 커지게 되면 정지대기 방식으로는 치명적이므로 답은 3번이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개미양만만]

100. 다음 베이스 밴드 전송 방식중 비트 간격의 시작점에서는 항상 천이가 발생하며, “1”의 경우에는 비트 간격의 중간에서 천이가 발생하고 “0”의 경우에는 비트 간격의 중간에서 천이가 없는 방식은?(2009년 05월)
     가. NRZ-L 방식
     나. NRZ-M 방식
     다. NRZ-S 방식
     라. NRZ-I 방식

     정답 : []
     정답률 : 40%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정보처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9478359)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정보처리, 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07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28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1906 PC정비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4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1905 에너지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10월0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904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8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903 에너지관리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4112244)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 정보처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9478359)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901 9급 지방직 공무원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6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900 기계가공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4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899 9급 국가직 공무원 통계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898 수능(생명과학I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7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97 금속재료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7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7
1896 FAT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6169040)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95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894 종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8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893 경비지도사 2차(범죄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11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1892 전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10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9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료조직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1890 청소년상담사 3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0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89 경찰공무원(순경) 영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888 운전면허 학과시험(필기) 1종 2종(2020년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00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98 Next
/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