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인간공학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4573441)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인간공학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인간공학개론


1. 신호검출이론에서 판정기준(criterion)이 오른쪽으로 이동할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2021년 08월)
     1. 허위경보(false alarm)가 줄어든다.
     2. 신호(signal)의 수가 증가한다.
     3. 소음(noise)의 분포가 커진다.
     4. 적중 확률(실제 신호를 신호로 판단)이 높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반응기준의 오른쪽으로 이동할 경우
(β>1) : 판정자는 신호라고 판정하는 기회가 줄어들게 되므로 신호가 나타났을 때 신호의 정확한 판정은 적어지나 허위경보를 덜하게 됨.
[해설작성자 : 잭슨봉]

2. 다음 중 조종-반응 비율(Control-Response ratio)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8월)
     1. 조종-반응 비율이 낮을수록 둔감하다.
     2. 조종-반응 비율이 높을수록 조정시간은 증가한다.
     3. 표시장치의 이동거리를 조종장치의 이동거리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4. 회전 꼭지(knob)의 경우 조정-반응 비율은 손잡이 1회전에 상당하는 표시장치 이동거리의 역수이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C/R 비율
: 조종-반응 비율이 낮을수록 민감하다
: 조종-반응 비율이 높을수록 조정시간은 감소한다
: 조종장치의 이동거리를 표시장치의 이동거리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 회전 꼭지(knob)의 경우 조정-반응 비율은 손잡이 1회전에 상당하는 표시장치 이동거리의 역수이다
[해설작성자 : 이꽁치]

3. 인간 기억 체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단위시간당 영구 보관할 수 있는 정보량은 7bit/sec 이다.
     2. 감각 저장(sensory storage)에서는 정보에 코드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3. 장기 기억(long-term memory)내의 정보는 의미적으로 코드화된 정보이다.
     4. 작업 기억(working memory)은 현재 또는 최근의 정보를 장기간 기억하기 위한 저장소의 역할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단위시간당 영구 보관할 수 있는 정보량은 0.7bit/sec이다.
[해설작성자 : 나그네]

4. 인체의 감각기능 중 후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3월)
     1. 후각에 대한 순응은 느린 편이다.
     2. 후각은 훈련을 통해 식별능력을 기르지 못한다.
     3. 후각은 냄새 존재 여부보다 특정 자극을 식별하는데 효과적이다.
     4. 특정 냄새의 절대 식별 능력은 떨어지나 상대적 비교능력은 우수한 편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후각은 절대적인 식별능력보다 상대적인 식별능력이 우수하다. (냄새 존재 여부를 판정)
[해설작성자 : 신돈희]

5. 제품 디자인에 있어 인간공학적 고려대상이 아닌것은?(2005년 09월)
     1. 개인차를 고려한 설계
     2. 사용 편의성의 향상
     3. 학습효과를 고려한 설계
     4. 하드웨어 신뢰성 향상

     정답 : []
     정답률 : 81%

6. 연구조사에서 사용되는 기준척도의 요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8월)
     1. 타당성:반복 실험 시 재현성이 있어야 한다.
     2. 민감도:동일단위로 환산 가능한 척도여야 한다.
     3. 신뢰성:기준이 의도한 목적에 부합하여야 한다.
     4. 무오염성:기준 척도는 측정하고자 하는 변수 이외에 다른 변수의 영향을 받아서는 안된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평가척도 적절성, 무오염성, 신뢰성, 실제성
적절성 : 기준이 의도된 목적에 적당하다고 판단되는 정도
무오염성 : 기준 처고는 측정하고자 하는 변수 외의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받아서는 안됨
신뢰성 : 평가를 반복할 경우 일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
실제성 : 현실성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이요하기 쉬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음의 한 성분이 다른 성분에 대한 귀의 감수성을 감소시키는 상황을 무슨 효과라 하는가?(2010년 07월)
     1. 은폐(masking)
     2. 밀폐(sealing)
     3. 기피(avoid)
     4. 방해(interrupt)

     정답 : []
     정답률 : 90%

8. 다음 중 인간과 기계의 성능 비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8월)
     1. 장시간에 걸쳐 작업을 수행하는 데에는 기계가 인간보다 우수하다.
     2. 완전히 새로운 해결책을 찾아내는 데에는 기계가 인간보다 우수하다.
     3. 반복적인 작업을 신뢰성 있게 수행하는 데에는 인간이 기계보다 우수하다.
     4. 입력에 대하여 빠르고 일관되게 반응하는 데에는 인간이 기계보다 우수하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1. 장시간 작업하는건 기계가 인간보다 우수
[해설작성자 : 더블디스타]

9. 다음 중 경계 및 경보신호에 사용되는 청각적 표시장치가 가져야 할 특징으로 옳은 것은?(2015년 08월)
     1. 300m 이상의 장거리용 신호에서는 4kHz 이상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2. 경계신호는 가급적 통일해서 사용자에게 혼란을 야기하지 말아야 한다.
     3. 장애물이나 칸막이를 넘어가야 하는 신호는 1kHz 이상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4. 주의를 끄는 목적으로 신호를 사용할 때에는 변조신호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300m 이상 장거리 -> 저주파
2. 경계신호는 분리하여 개별 의미 부여
3. 칸막이 장애물    넘어가려면 1kHz 이하 저주파 사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인체측정치의 응용원칙으로 적합한 것은?(2019년 08월)
     1. 침대의 길이는 5퍼센타일 치수를 적용한다.
     2. 비상버튼까지의 거리는 5퍼센타일 치수를 적용한다.
     3. 의자의 좌판깊이는 95퍼센타일 치수를 적용한다.
     4. 지하철의 손잡이 높이는 95퍼센타일 치수를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최대집단값: 침대길이 95퍼센타일
최소집단값: 비상버튼, 의자좌판깊이, 지하철 손잡이 5퍼센타일
[해설작성자 : 밍이]

11. 시스템의 사용성 검증 시 고려되어야할 변인이 아닌 것은?(2017년 03월)
     1. 경제성
     2. 에러 빈도
     3. 효율성
     4. 기억용이성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변인종류: 학습용이성, 주관적만족도, 에러빈도, 효율성, 기억용이성
[해설작성자 : 산안기준비생]

12. 다음 중 인간의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시각 능력이 쇠퇴하여 근시력이 나빠지는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1년 08월)
     1. 수정체의 유연성이 감소하기 때문
     2. 시신경의 둔화로 동공의 반응이 느려지기 때문
     3. 세포의 위축으로 인하여 망막에 이상이 발생하기 때문
     4. 안구 내의 공막이 얇아져 안구내의 영양 공급이 잘되지 않기 때문

     정답 : []
     정답률 : 72%

13. 다음 중 손으로 작동시켜야 하는 조작공구로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경우는?(2013년 08월)
     1. 조작을 빠르게 하여야 하는 경우
     2. 힘을 적게 가할 필요가 있는 경우
     3. 조작을 정확하게 하여야 하는 경우
     4. 조작 중 누르고 있어야 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78%

14. 양립성에 적합하게 조종장치와 표시장치를 설계할 때 얻을 수 있는 결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인간실수 증가
     2. 반응시간의 감소
     3. 학습시간의 단축
     4. 사용자 만족도 향상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양립성에 적합하게 조종장치와 표시장치를 설계할 때 얻을 수 있는 결과
좋은 설계는 인간의 실수를 줄여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정상조명 하에서 5m 거리에서 볼 수 있는 원형 바늘 시계를 설계하고자 한다. 시계의 눈금단위를 1분 간격으로 표시하고자 할 때, 권장되는 눈금간의 간격은 최소 몇 mm정도인가?(2017년 08월)
     1. 9.15
     2. 18.31
     3. 45.75
     4. 91.55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71cm를 기준으로 정상조명에서 눈금간격은 1.3mm, 낮은 조명에서는 1.8mm이므로
71cm:1.3mm=500cm:Xmm
그러므로 X=9.15
[해설작성자 : 림미]

16. Wickens의 인간의 정보처리체계(human information processing) 모형에 의하면 외부자극으로 인한 정보가 처리될 때, 인간의 주의집중(attention resources)이 관여하지 않는 것은?(2018년 08월)
     1. 인식(perception)
     2. 감각저장(sensory storage)
     3. 작업기억(working memory)
     4. 장기기억(long-term memory)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감각저장이라는 용어는 없다
자극이 사라진 후에도 잠시동안 감각이 지속되는 임시보관장치인 ’감각기억‘ 이 있을 뿐이다
[해설작성자 : 제이제이]

17. 시(視)감각 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동공은 조도가 낮을 때는 많은 빛을 통과시키기 위해 확대된다.
     2. 1디옵터는 1미터 거리에 있는 물체를 보기 위해 요구되는 조절능력이다.
     3. 안구의 수정체는 모양체근으로 긴장을 하면 얇아져 가까운 물체만 볼 수 있다.
     4. 망막의 표면에는 빛을 감지하는 광수용기인 원추체와 간상체가 분포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긴장하면 수정체는 두꺼워져서 가까운 것만 볼 수 있음.
[해설작성자 : 숩니]

수정체 : 빛을 모아주는 렌즈의 역할로 모양체근에 의해 두께가 조절됨, 모양체가 긴장하면 수정체가 두꺼워지고, 이완되면 수정체가 얇아짐.
[해설작성자 : 커피콩]

18. 다음 중 제품, 공구, 장비의 설계시에 적용하는 인체계측 자료의 응용 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9년 03월)
     1. 조절식 설계
     2. 설비기준에 의한 설계
     3. 평균치를 이용한 설계
     4. 극단치를 이용한 설계

     정답 : []
     정답률 : 74%

19. 다음 중 시식별에 영향을 주는 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8월)
     1. 조도
     2. 반사율
     3. 대비
     4. 온ㆍ습도

     정답 : []
     정답률 : 91%

20. 다음 중 인간의 후각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8월)
     1. 훈련을 통하면 식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특정한 냄새에 대한 절대적 식별 능력은 떨어진다.
     3. 후각은 특정 물질이나 개인에 따라 민감도의 차이가 있다.
     4. 훈련을 통하여 식별이 가능한 일상적인 냄새의 수는 최대 7가지 종류이다.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4. 훈련을 통하여 식별 가능한 일상적인 냄새의 수는 60종까지도 가능
[해설작성자 : 주주클럽]

2과목 : 작업생리학


21. 그림과 같은 심전도에서 나타나는 T파는 심장의 어떤 상태를 의미하는 것인가?(2014년 08월)

    

     1. 심방의 탈분극
     2. 심실의 재분극
     3. 심실의 탈분극
     4. 심방의 재분극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P파 : 심방탈분극, QRS파는 심실탈분극, T파는 심실재분극
[해설작성자 : 나그네]

22. 인체의 척추 구조에서 요추는 몇 개로 구성되어 있는가?(2007년 08월)
     1. 5개
     2. 7개
     3. 9개
     4. 12개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몸통의 지주를 이루는 [척추는 26개]의 뼈로 구성되며, [경추 7개], [흉추 12개], [요추 5개], [천골], [미골]로 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3. 다음 중 중추신경계의 피로 즉, 정신피로의 척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2008년 07월)
     1. 혈압(Blood pressure)
     2. 근전도(Electromyogram)
     3. 산소 소비량(Oxygen consumption)
     4. 점멸융합주파수(Flicker fusion frequency)

     정답 : []
     정답률 : 77%

24. 어떤 작업에 대한 5분간의 산소소비량을 측정한 결과 110L의 배기량에 산소는 15%, 이산화탄소는 5%로 분석되었다. 이때 분당 산소소비량은? (단, 공기 중 산소는 21%, 질소는 79%의 비율로 존재한다.)(2011년 08월)
     1. 1.35L/min
     2. 1.38L/min
     3. 1.44L/min
     4. 1.48L/min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 산소소비량
① 산소 1리터당 5kcal의 에너지가 소모
② 흡기량 = 배기량 × (100% - O2% - CO2% )/79%
③ 산소소비량 = 21% × 흡기부피 - O2% × 배기부피
④ 산소소비량으로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
⑤ 신체활동이 증가하면 산소소비량도 증가하나 일정수준에 이르면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음
⑥ 산소소비량 = (흡기 시 산소농도 × 흡기량) - (배기 시 산소농도 × 배기량)
⑦ 작업에너지(kcal) = 산소소모량 × 5kcal
⑧ 작업에너지가(kcal/min) = 분당 산소소모량 × 5kca

110/5 x (100-15-5) / 79 x 0.21 - 110/5 x 0.15 =1.378
[해설작성자 : charles]

25. 진동과 관련된 단위가 아닌 것은?(2016년 03월)
     1. nm
     2. gal
     3. cm/s
     4. sone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sone은 소음 관련 단위
[해설작성자 : ㅇㅇ]

26. 다음 중 진동방지 대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는 것은?(2013년 08월)
     1. 진동의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2. 작업자에게는 방진 장갑을 착용하도록 한다.
     3. 공장에서의 진동 발생원을 기계적으로 격리한다.
     4. 진동을 줄일 수 있는 충격흡수 장치들을 장착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27. 다음 중 육체적 강도가 높은 작업에 있어 혈액의 분포비율이 가장 높은 것은?(2015년 08월)
     1. 소화기관
     2. 골격
     3. 피부
     4. 근육

     정답 : []
     정답률 : 75%

28. 소음에 대한 청력손실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진동수는?(2009년 03월)
     1. 1,000Hz
     2. 2,000Hz
     3. 4,000Hz
     4. 8,000Hz

     정답 : []
     정답률 : 90%

29. 다음 중 육체적 작업부하의 주관적 평가방법으로 작업자들이 주관적으로 지각한 신체적 노력의 정도를 일정한 값 사이의 척도로 평정하는 것은?(2008년 07월)
     1. Borg의 RPE Scale
     2. Flicker 지수
     3. Body Map
     4. Lifting Index

     정답 : []
     정답률 : 75%

30. 나이에 따라 발생하는 청력손실은 다음 중 어떤 주파수의 음에서 가장 먼저 나타나는가?(2020년 06월)
     1. 500 Hz
     2. 1,000 Hz
     3. 2,000 Hz
     4. 4,000 Hz

     정답 : []
     정답률 : 81%

31. 소음 측정의 기준에 있어서 단위 작업장에서 소음발생 시간이 6시간 이내인 경우 발생시간 동안 등간격으로 나누어 몇 회 이상 측정하여야 하는가?(2008년 07월)
     1. 2회
     2. 3회
     3. 4회
     4. 6회

     정답 : []
     정답률 : 57%

32. 생리적 활동의 척도 중 Borg의 RPE(Ratings of Perceived Exertion) 척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육체적 작업부하의 주관적 평가방법이다.
     2. NASA-TLX와 동일한 평가척도를 사용한다.
     3. 척도의 양끝은 최소 심장 박동률과 최대 심장 박동률을 나타낸다.
     4. 작업자들이 주관적으로 지각한 신체적 노력의 정도를 6~20 사이의 척도로 평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2. NASA-TLX = 0~100, RPE = 6~20 사이의 평가척도 사용
[해설작성자 : 주주클럽]

33. 인체의 골격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9월)
     1. 전신의 뼈의 수는 관절 등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대소 206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이 모여서 골격 계통을 구성하고 있다.
     2. 인체의 골격계는 전신의 뼈, 연골, 관절 및 인대로 구성되어 있다.
     3. 뼈는 다시 골질(bone substance), 연골막(cartilage substance), 골막과 골수의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4. 인대는 뼈와 뼈를 연결하는 것으로 자세교정과 신경보호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34. 다음 중 점광원으로부터 어떤 물체나 표면에 도달하는 빛의 밀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옳은 것은?(2013년 03월)
     1. Lambert
     2. candela
     3. nit
     4. lumen/m2

     정답 : []
     정답률 : 81%

35. 다음 중 작업가동의 증가에 따른 순환기 반응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8월)
     1. 심박출량의 증가
     2. 혈액의 수송량 증가
     3. 혈압의 상승
     4. 적혈구의 감소

     정답 : []
     정답률 : 83%

36. 저온환경이 작업수행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근육강도와 내성이 감소하여 육체적 기능도가 줄어든다.
     2. 손 피부온도(HST)의 감소로 수작업 과업수행능력이 저하된다.
     3. 저온 환경에서는 체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근육의 대사율이 증가된다.
     4. 저온은 말초운동신경의 신경전도 속도를 감소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저온 환경(스트레스)의 생리적 영향과 신체반응
    ① 근육강도와 내성이 감소하여 육체적 기능도가 줄어든다.
  ② 손 피부온도(HST)의 감소로 수작업 과업수행능력이 저하된다.
  ❸ 저온 환경에서는 체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근육의 대사율이 감소 된다.
  ④ 저온은 말초운동신경의 신경전도 속도를 감소시킨다.
    ⑤ 저온은 조립이나 수리 작업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⑥ 추적과업의 수행은 저온에 의해 악영향을 받는다.
  ⑦ 저온 환경에 노출되면 혈관수축이 발생한다.
    ⑧ 저온 스트레스를 받으면 피부가 파랗게 보인다.
    ⑨ 저온 환경에 노출되면 떨기반사(shivering reflex)가 나타난다.
    ⑩ 체표면적이 감소한다.
    ⑪ 피부의 혈관이 수축된다.
    ⑫ 근육긴장의 증가와 떨림이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유능한]

추울땐 몸을 움추리죠 활동이 감소하고 근육의 대사량 감소
[해설작성자 : ㅏㅏㅏ]

37. 다음 중 근육피로의 1차적 원인으로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젖산 축적
     2. 글리코겐 축적
     3. 미오신 축적
     4. 피루브산 축적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운동이 격렬하여 근육에 산소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는 젖산(Lactic acid)이 생성되어 피곤함을 느낀다.
[해설작성자 : 유능한]

38. 산소 소비량과 에너지 대사를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산소 소비량은 에너지 소비량과 선형적인 관계를 가진다.
     2. 산소 소비량이 증가한다는 것은 육체적 부하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3. 에너지가의 계산에는 2kcal의 에너지 생성에 1리터의 산소가 소모되는 관계를 이용한다.
     4. 산소 소비량은 육체활동에 요구되는 에너지 대사량을 활동 시 소비된 산소량으로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산소 소비량과 에너지 대사에 대한 설명
  ① 산소 소비량은 에너지 소비량과 선형적인 관계를 가진다.
  ② 산소 소비량이 증가한다는 것은 육체적 부하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❸ 에너지가의 계산에는 5kcal의 에너지 생성에 1리터의 산소가 소모되는 관계를 이용한다.
  ④ 산소 소비량은 육체활동에 요구되는 에너지 대사량을 활동 시 소비된 산소량으로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⑤ 산소소비량과 심박수 사이에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⑥ 산소소비량은 에너지 소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⑦ 산소소비량은 단위 시간당 배기량을 측정한 것이다.
  ⑧ 심박수와 산소소비량 사이의 관계는 선형관계 이나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다.
[해설작성자 : 유능한]

39. 빛의 측정치를 나타내는 단위의 관계가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1 fc=10lux
     2. 반사율=휘도/조도
     3. 1candela=10lumen
     4. 조도=광도/단위면적(m2)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 candeia=4π
[해설작성자 :    냐옹]

1candela=12.57lumen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0. 다음 중 생리적 스트레인의 척도에 대한 측정 단위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8월)
     1. 1N이란 1kg의 질량에 1m/s2의 가속도가 생기게 하는 힘이다.
     2. 1J이란 1kg을 작용하여 1m를 움직이는데 필요한 에너지이다.
     3. 1kcal이란 물 1kg을 0℃에서 100℃까지 올리는데 필요한 열이다.
     4. 동력이란 단위시간당의 일로서 단위는 dyne이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2. 1J이란 1N의 물체를 1m를 이동시키는 데 하는 일이다.
3. 1kcal란 물 1kg을 0℃에서 1℃까지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이다.
4. 동력이란 단위시간당의 일로서 단위는 W가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나그네]

3과목 : 산업심리학 및 관계법규


41. 피들러(F.E.Fiedler)의 상황적합적 리더십 특성이론에서 리더에게 호의성 여부를 결정하는 리더십 상황이 아닌 것은?(2012년 08월)
     1. 리더-구성원 관계
     2. 과업구조
     3. 리더의 직위권한
     4. 부하의 수

     정답 : []
     정답률 : 67%

42. 다음 중 개인의 성격을 건강과 관련시켜 연구하는 성격 유형에 있어 B형 성격 소유자의 특성과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2014년 08월)
     1. 수치계산에 민감하다.
     2. 공격적이며 경쟁적이다.
     3. 문제의식을 느끼지 않는다.
     4. 시간에 강박관념을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77%

43. 허츠버그(Herzberg)가 제시한 근로자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9년 07월)
     1. 되도록 쉬운 임무를 부여한다.
     2. 완전하고 자연스러운 작업단위를 제공한다.
     3. 직무에 부가되는 자유와 권위를 준다.
     4. 특정 직무에 있어서 고도의 전문화된 임무를 배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44. 다음 중 민주적 리더십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3월)
     1. 생산성과 사기가 높게 나타난다.
     2. 맥그리거의 Y 이론에 근거를 둔다.
     3. 구성원에게 최대의 자유를 허용한다.
     4. 모든 정책이 집단 토의나 결정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위임적 리더십 : 자유방임주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5. 다음의 휴먼에러에 대한 분류로 가장 적절한 것은?(2009년 03월)

    

     1. omission error이며, skill-based error로 분류할 수 있다.
     2. omission error이며, knowledgeb-based mistake로 분류할 수 있다.
     3. commission error이며, skill-based error로 분류할 수 있다.
     4. commission error이며, knowle-dgebased mistake로 분류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6%

46. 재해 원인을 불안전한 행동과 불안전한 상태로 구분할 때 불안전한 상태에 해당하는 것은?(2021년 03월)
     1. 규칙의 무시
     2. 안전장치 결함
     3. 보호구 미착용
     4. 불안전한 조작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불안전한 행동 : 규칙의 무시, 불안전한 조작, 권한없이 행한 조작, 보호구 미착용, 안전장치의 기능제거
불안전한 상태 : 언전장치의 결함, 방호조치의 결함, 보호구 및 복장의 결함, 작업환경으 결함, 숙련도 부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다음 중 레빈(Lewin)의 행동방정식 B=f(P, E)에서 E가 나타내는 것은?(2015년 08월)
     1. Environment
     2. Energy
     3. Emotion
     4. Education

     정답 : []
     정답률 : 83%

48. 인간의 불안전행동을 예방하기 위해 Harvey에 의해 제안된 안전대책의 3E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3월)
     1. Education
     2. Enforcement
     3. Engineering
     4. Environment

     정답 : []
     정답률 : 84%

49. 다음 중 산업재해방지를 위한 대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3년 08월)
     1.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안전관리체계를 자율화하고, 안전관리자의 직무권한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2. 사고와 원인간의 관계는 우연이라기보다 필연적 인과 관계가 있으므로 사고의 원인분석을 통한 적절한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
     3. 재해방지에 있어 근본적으로 중요한 것은 손실의 유무에 관계없이 아차사고(near accident)의 발생을 미리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4. 불안전한 행동의 방지를 위해서는 적성배치, 동기부여와 심리적 대책과 함께 인간공학적 작업장 설계 등과 같은 공학적 대책이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1. 직무권한 강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0. 다음 중 재해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3월)
     1. 강도율은 근로시간, 출근율과는 상관관계가 거의 없다.
     2. 도수율은 산업재해의 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된다.
     3. 연천인율은 1000명당 1년 동안 발생한 근로손실일수를 나타낸 것이다.
     4. 연간총근로시간의 정확한 산출이 곤란한 경우에는 1일 8시간, 연간 2400시간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강도율 : 근로시간 1000 시간당 재해에 의해 상실된 근로손실일수
                 근로손실일수 / 연노동시간수 x 1000

도수율 : 100만시간당 사고 발생 횟수
                 재해건수 / 연근로시간 x 1,000,000


연천인율 : 근로자 1000명당 1년에 발생하는 사상자 수
                        1년간 사상사 수 / 1년간 평균 근로자 수 x 10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제조물책임법상 결함의 종류는?(2012년 08월)

    

     1. 제조상의 결함
     2. 설계상의 결함
     3. 표시상의 결함
     4. 검사상의 결함

     정답 : []
     정답률 : 84%

52. 다음 중 제조물책임법상 결함의 종류가 아닌 것은?(2010년 07월)
     1. 제조상의 결함
     2. 설계상의 결함
     3. 사용상의 결함
     4. 표시상의 결함

     정답 : []
     정답률 : 84%

53. 인간의 수면은 일반적으로 하루 밤에 몇 분 간격의 사이클로 이루어지는가?(2015년 08월)
     1. 60분
     2. 90분
     3. 120분
     4. 150분

     정답 : []
     정답률 : 69%

54. 뇌파의 유형에 따라 인간의 의식수준을 단계별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 중 의식이 명료하며 가장 적극적인 활동이 이루어지고 실수의 확률이 가장 낮은 단계는?(2014년 03월)
     1. Ⅰ단계
     2. Ⅱ단계
     3. Ⅲ단계
     4. Ⅳ단계

     정답 : []
     정답률 : 82%

55. 하인리히의 사고예방 대책의 5가지 기본원리를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20년 08월)
     1. 사실의 발견 → 안전조직 → 분석평가 → 시정책 선정 → 시정책 적용
     2. 안전조직 → 사실의 발견 → 분석평가 → 시정책 선정 → 시정책 적용
     3. 안전조직 → 분석평가 → 사실의 발견 → 시정책 선정 → 시정책 적용
     4. 사실의 발견 → 분석평가 → 안전조직 → 시정책 선정 → 시정책 적용

     정답 : []
     정답률 : 67%

56. 다음 중 하인리히(H.W. Heinrich)의 재해예방의 원리 5단계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3년 03월)
     1. 평가분석 → 사실의 발견 → 조직 → 시정책의 선정 → 시정책의 적용
     2. 조직 → 사실의 발견 → 평가분석 → 시정책의 선정 → 시정책의 적용
     3. 조직 → 평가분석 → 사실의 발견 → 시정책의 선정 → 시정책의 적용
     4. 평가분석 → 조직 → 사실의 발견 → 시정책의 선정 → 시정책의 적용

     정답 : []
     정답률 : 83%

57. 제조물 책임법령상 제조업자가 제조물에 대해 충분한 설명, 지시, 경고 등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 피해가 발생하였다면 이것은 어떤 결함 때문인가?(2020년 08월)
     1. 표시상의 결함
     2. 제조상의 결함
     3. 설계상의 결함
     4. 고지의무의 결함

     정답 : []
     정답률 : 77%

58. 다음 중 하인리히(Heinrich)가 제시한 재해발생 과정의 도미노 이론 5단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1년 03월)
     1. 사고
     2. 개인적 결함
     3. 기본원인
     4. 불안전한 행동 및 불안전한 상태

     정답 : []
     정답률 : 79%

59. 미사일을 탐지하는 경보 시스템이 있다. 조작자는 한 시간마다 일련의 스위치를 작동해야 하는 데 휴먼에러 확률(HEP)은 0.01이다. 2시간에서 5시간까지의 인간 신뢰도는 약 얼마인가?(2018년 08월)
     1. 0.9412
     2. 0.9510
     3. 0.9606
     4. 0.9703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e^(-0.01x3)
[해설작성자 : 효자김종현]

(1-HEP)n=(1-0,01)5-2
[해설작성자 : 엘리아]

60. 게스탈트 지각원리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근접성의 원리
     2. 유사성의 원리
     3. 부분우세의 원리
     4. 대칭성 원리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게스탈트의 지각원리
1. 근접성
2. 유사성
3. 연속성
4. 폐쇄성
5. 단순성
6. 공동 운명성
7. 대칭성
[해설작성자 : 게스탈트]

[게스탈트 지각원리] 사물이나 현상을 지각할 때 기본적으로 떠오르는 어떤 형태를 보는 원리
[해설작성자 : 주주클럽]

61. 다음 중 RULA에서 사용하는 그룹 A의 평가 대상으로 옳은 것은?(2013년 03월)
     1. 목, 손목, 발목
     2. 목, 몸통, 다리
     3. 목, 팔, 다리
     4. 윗팔, 아래팔, 손목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RULA는 상지를 측정하므로 다리 발목제외하면 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마니장]

62. 표준자료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7년 08월)
     1. 표준 자료 작성은 초기 비용이 적기 때문에 생산량이 적은 경우에 유리하다.
     2. 일단 한번 작성되면 유사한 작업에 대한 신속한 표준시간 설정이 가능하다.
     3. 작업조건이 불안정하거나 표준화가 곤란한 경우에는 표준자료 설정이 곤란하다.
     4. 정미시간을 종속변수, 작업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독립변수를 취급하여 두 변수 사이의 함수관계를 바탕으로 표준시간을 구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표준자료법의 단점
●표준시간의 정도가 떨어짐
●작업개선의 기회나 의욕이 떨어짐
●초기 비용이 크기 때문에 생산량이 적거나, 제품이 큰 경우 부적합
[해설작성자 : 커피콩]

63. 다음 중 작업대상물의 품질 확인이나 수량의 조사, 검사 등에 사용되는 공정도시기호에 해당하는 것은?(2013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1.가공 2.검사 3.없음 4. 이동,운반
[해설작성자 : zzangjji]

64. 서블릭(Therblig)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조립(A)은 효율적 서블릭이다.
     2. 검사(I)는 비효율적 서블릭이다.
     3. 빈손이동(TE)은 효율적 서블릭이다.
     4. 미리놓기(PP)는 비효율적 서블릭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미리놓기(PP)는 효율적 서블릭이다.
[해설작성자 : 커피콩]

65. 요소작업이 여러 개인 경우의 관측횟수를 결정하고자 한다. 표본의 표준편차는 0.6이고, 신뢰도 계수는 2인 추정의 오차범위 ±5%를 만족시키는 관측횟수(N)는 몇 번인가?(2019년 03월)
     1. 24번
     2. 66번
     3. 144번
     4. 576번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관측횟수
=(t*s/e)2=(신뢰도계수*표준편차/오차범위)^2=(2*0.6/0.05)^2=576
[해설작성자 : 냐옹]

66. 워크샘플링에 대한 장ㆍ단점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시간연구법보다 더 자세하다.
     2. 특별한 측정 장치가 필요 없다.
     3. 관측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져 작업에 방해가 적다.
     4. 자료수집이나 분석에 필요한 순수시간이 다른 시간연구방법에 비하여 짧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장점
- 관측을 순간적으로 하기 때문에 작업자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작업 진행
- 조사기간을 길게 하여 평상시의 작업상황 그대로 반영시킬 수 있음
- 사정에 의해 연구를 일시 중지하였다가 다시 계속할 수도 있음
- 한 사람의 평가자가 동시에 여러 작업 동시 측정 가능, 또한 여러명의 관측자가 동시에 관측할 수 있음
- 분석자에 의해 소비되는 총 작업시간이 훨씬 적은 편이다
- 특별한 시간측정 장비가 필요 없다

단점
- 한 명의 작업자나 한 대의 기계만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경우 비용이 커진다.
- Time study(시간연구법)보다 덜 자세하다.
- 짧은 주기나 반복작업인 경우 적당치 않다.
- 작업방법 변화 시 전체적인 연구를 새로 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덕윤형님의 포터]

67. 유해요인 조사 방법 중 RULA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3월)
     1. 각 작업 자세는 신체 부위별로 A와 B그룹으로 나누어진다.
     2. 전신 자세를 평가할 목적으로 개발된 유해요인 조사방법이다.
     3. 작업에 대한 평가는 1점에서 7점 사이의 총점으로 나타내어, 점수에 따라 4개의 조치단계로 분류된다.
     4. RULA를 평가하는 작업부하인자는 동작의 횟수, 정적의 근육작업, 힘, 작업 자세 등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는
어깨, 팔목, 손목, 목 등 상지에 초점을 맞추어 작업자세로 인한
작업부하를 쉽고 빠르게 평가하기 위해 개발하였다.
[해설작성자 : 푸른하늘]

68. 다음 중 근골격계질환의 예방에서 단기적 관리방안이 아닌 것은?(2014년 08월)
     1. 교대근무에 대한 고려
     2. 안전한 작업방법 교육
     3.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도입
     4. 관리자, 작업자, 보건관리자 등에 인간공학 교육

     정답 : []
     정답률 : 75%

69. WF(Work Factor)법의 표준 요소가 아닌 것은?(2016년 03월)
     1. 쥐기(Grasp, Gr)
     2. 결정(Decide, Dc)
     3. 조립(Assemble, Asy)
     4. 정신과정(Mental Process, MP)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WF법 8가지 표준요소
1. 동작-이동
2. 쥐기
3. 미리놓기
4. 조립
5. 사용
6. 분해
7. 내려놓기
8. 정신과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0. 다음 중 5 TMU(Time Measurement Unit)를 초 단위로 환산하면 몇 초인가?(2011년 08월)
     1. 0.00036초
     2. 0.036초
     3. 0.18초
     4. 1.8초

     정답 : []
     정답률 : 70%

71. 수공구의 설계 원리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손목을 곧게 펼 수 있도록 한다.
     2. 지속적인 정적 근육부하를 피하도록 한다.
     3. 특정 손가락의 반복적인 동작을 피하도록 한다.
     4. 가능하면 손바닥으로 잡는 power grip보다는 손가락으로 잡는 pinch grip을 이용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72. 다음 중 근골격계부담작업의 유해요인조사 및 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3월)
     1. 조사항목으로는 작업장의 상황, 작업조건 등이 있다.
     2. 정기 유해요인조사는 수시유해요인조사와는 별도로 2년마다 행한다.
     3. 신설되는 사업장의 경우에는 신설일로부터 1년 이내 최초의 유해요인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4. 사업주는 개선계획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외부의 전문기관이나 전문가로부터 지도ㆍ조언을 들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0%

73. 다음 중 공정도(Process Chart)에 사용되는 기호와 명칭이 잘못 연결된 것은?(2009년 07월)
     1. : 저장
     2. : 운반
     3. : 검사
     4. : 작업

     정답 : []
     정답률 : 85%

74. 근골격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기본 원칙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8년 03월)
     1. 인식의 원칙
     2. 시스템 접근의 원칙
     3. 일시적인 문제 해결의 원칙
     4. 사업장 내 자율적 해결 원칙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3번, 일시적인 문제 해결의 원칙은 근골격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기본 원칙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는 프로그램의 지속 가능하고 장기적인 목표와 상반되는 접근입니다.
[해설작성자 : 더블디스타]

75. 어느 회사의 컨베이어 라인에서 작업순서가 다음 표의 번호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2013년 08월)

    

     1. 공정 손실은 15% 이다.
     2. 애로작업은 검사작업이다.
     3. 라인의 주기시간은 7초이다.
     4. 라인의 시간당 생산량은 6개이다.

     정답 : []
     정답률 : 80%

76. 작업수행도 평가 시 사용되는 레이팅 계수(rating scal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관측시간치의 평균값을 레이팅 계수로 보정하여 보통속도로 변환시켜준 개념을 표준시간이라 한다.
     2. 정상기준 작업속도를 100%로 보고 100%보다 큰 경우 표준보다 빠르고, 100%보다 작은 경우 느린 것을 의미한다.
     3. 레이팅 계수(%)가 125일 경우 동작이 매우 숙달된 속도, 장시간 계속 작업 시 피로할 것 같은 작업속도로 판정할 수 있다.
     4. 속도 평가법에서의 레이팅 계수는 기준속도를 실제속도로 나누어 계산하고 레이팅 시 작업속도만을 고려하므로 적용하기가 쉬워 보편적으로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1. 관측시간치의 평균값을 레이팅 계수로 보정하여 보통속도로 변환시켜준 개념을 "정미시간"이라 한다.
[해설작성자 : 희구]

77. 동작경제의 원칙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6년 03월)
     1. 공정 개선의 원칙
     2. 신체의 사용에 관한 원칙
     3. 작업장의 배치에 관한 원칙
     4. 공구 및 설비의 디자인에 관한 원칙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동작경제의 원칙
●신체사용에 관한 원칙
●작업장의 배치에 관한 원칙
●공구 및 설비 디자인에 관한 원칙
[해설작성자 : 커피콩]

78. 다음 중 근골격계질환의 관리방안에 있어 공학적 개선방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2년 08월)
     1. 작업속도의 조절
     2. 작업 공구의 개선
     3. 작업대 높이의 조절
     4. 자재 운반시 동력기계장치의 사용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 관리적 개선방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9. 작업관리의 문제분석 도구로서 시간 축 위에 수행할 활동에 대한 필요한 시간과 일정을 표시한 것은?(2012년 03월)
     1. 특성요인도
     2. 파레토차트
     3. PERT차트
     4. 간트차트

     정답 : []
     정답률 : 72%

80. 문제분석을 위한 기법 중 원과 직선을 이용하여 아이디어 문제, 개념 등을 개괄적으로 빠르게 설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연연적 추론 기법에 해당하는 것은?(2018년 08월)
     1. 공정도(process chart)
     2. 마인트 맵핑(mind maping)
     3. 파레토 차트(pareto chart)
     4. 특성요인도(cause and effect diagram)

     정답 : []
     정답률 : 79%


정 답 지

인간공학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4573441)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인간공학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인간공학개론


1. 신호검출이론에서 판정기준(criterion)이 오른쪽으로 이동할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2021년 08월)
     1. 허위경보(false alarm)가 줄어든다.
     2. 신호(signal)의 수가 증가한다.
     3. 소음(noise)의 분포가 커진다.
     4. 적중 확률(실제 신호를 신호로 판단)이 높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반응기준의 오른쪽으로 이동할 경우
(β>1) : 판정자는 신호라고 판정하는 기회가 줄어들게 되므로 신호가 나타났을 때 신호의 정확한 판정은 적어지나 허위경보를 덜하게 됨.
[해설작성자 : 잭슨봉]

2. 다음 중 조종-반응 비율(Control-Response ratio)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8월)
     1. 조종-반응 비율이 낮을수록 둔감하다.
     2. 조종-반응 비율이 높을수록 조정시간은 증가한다.
     3. 표시장치의 이동거리를 조종장치의 이동거리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4. 회전 꼭지(knob)의 경우 조정-반응 비율은 손잡이 1회전에 상당하는 표시장치 이동거리의 역수이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C/R 비율
: 조종-반응 비율이 낮을수록 민감하다
: 조종-반응 비율이 높을수록 조정시간은 감소한다
: 조종장치의 이동거리를 표시장치의 이동거리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 회전 꼭지(knob)의 경우 조정-반응 비율은 손잡이 1회전에 상당하는 표시장치 이동거리의 역수이다
[해설작성자 : 이꽁치]

3. 인간 기억 체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단위시간당 영구 보관할 수 있는 정보량은 7bit/sec 이다.
     2. 감각 저장(sensory storage)에서는 정보에 코드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3. 장기 기억(long-term memory)내의 정보는 의미적으로 코드화된 정보이다.
     4. 작업 기억(working memory)은 현재 또는 최근의 정보를 장기간 기억하기 위한 저장소의 역할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단위시간당 영구 보관할 수 있는 정보량은 0.7bit/sec이다.
[해설작성자 : 나그네]

4. 인체의 감각기능 중 후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3월)
     1. 후각에 대한 순응은 느린 편이다.
     2. 후각은 훈련을 통해 식별능력을 기르지 못한다.
     3. 후각은 냄새 존재 여부보다 특정 자극을 식별하는데 효과적이다.
     4. 특정 냄새의 절대 식별 능력은 떨어지나 상대적 비교능력은 우수한 편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후각은 절대적인 식별능력보다 상대적인 식별능력이 우수하다. (냄새 존재 여부를 판정)
[해설작성자 : 신돈희]

5. 제품 디자인에 있어 인간공학적 고려대상이 아닌것은?(2005년 09월)
     1. 개인차를 고려한 설계
     2. 사용 편의성의 향상
     3. 학습효과를 고려한 설계
     4. 하드웨어 신뢰성 향상

     정답 : []
     정답률 : 81%

6. 연구조사에서 사용되는 기준척도의 요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8월)
     1. 타당성:반복 실험 시 재현성이 있어야 한다.
     2. 민감도:동일단위로 환산 가능한 척도여야 한다.
     3. 신뢰성:기준이 의도한 목적에 부합하여야 한다.
     4. 무오염성:기준 척도는 측정하고자 하는 변수 이외에 다른 변수의 영향을 받아서는 안된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평가척도 적절성, 무오염성, 신뢰성, 실제성
적절성 : 기준이 의도된 목적에 적당하다고 판단되는 정도
무오염성 : 기준 처고는 측정하고자 하는 변수 외의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받아서는 안됨
신뢰성 : 평가를 반복할 경우 일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
실제성 : 현실성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이요하기 쉬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음의 한 성분이 다른 성분에 대한 귀의 감수성을 감소시키는 상황을 무슨 효과라 하는가?(2010년 07월)
     1. 은폐(masking)
     2. 밀폐(sealing)
     3. 기피(avoid)
     4. 방해(interrupt)

     정답 : []
     정답률 : 90%

8. 다음 중 인간과 기계의 성능 비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8월)
     1. 장시간에 걸쳐 작업을 수행하는 데에는 기계가 인간보다 우수하다.
     2. 완전히 새로운 해결책을 찾아내는 데에는 기계가 인간보다 우수하다.
     3. 반복적인 작업을 신뢰성 있게 수행하는 데에는 인간이 기계보다 우수하다.
     4. 입력에 대하여 빠르고 일관되게 반응하는 데에는 인간이 기계보다 우수하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1. 장시간 작업하는건 기계가 인간보다 우수
[해설작성자 : 더블디스타]

9. 다음 중 경계 및 경보신호에 사용되는 청각적 표시장치가 가져야 할 특징으로 옳은 것은?(2015년 08월)
     1. 300m 이상의 장거리용 신호에서는 4kHz 이상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2. 경계신호는 가급적 통일해서 사용자에게 혼란을 야기하지 말아야 한다.
     3. 장애물이나 칸막이를 넘어가야 하는 신호는 1kHz 이상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4. 주의를 끄는 목적으로 신호를 사용할 때에는 변조신호를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300m 이상 장거리 -> 저주파
2. 경계신호는 분리하여 개별 의미 부여
3. 칸막이 장애물    넘어가려면 1kHz 이하 저주파 사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인체측정치의 응용원칙으로 적합한 것은?(2019년 08월)
     1. 침대의 길이는 5퍼센타일 치수를 적용한다.
     2. 비상버튼까지의 거리는 5퍼센타일 치수를 적용한다.
     3. 의자의 좌판깊이는 95퍼센타일 치수를 적용한다.
     4. 지하철의 손잡이 높이는 95퍼센타일 치수를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최대집단값: 침대길이 95퍼센타일
최소집단값: 비상버튼, 의자좌판깊이, 지하철 손잡이 5퍼센타일
[해설작성자 : 밍이]

11. 시스템의 사용성 검증 시 고려되어야할 변인이 아닌 것은?(2017년 03월)
     1. 경제성
     2. 에러 빈도
     3. 효율성
     4. 기억용이성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변인종류: 학습용이성, 주관적만족도, 에러빈도, 효율성, 기억용이성
[해설작성자 : 산안기준비생]

12. 다음 중 인간의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시각 능력이 쇠퇴하여 근시력이 나빠지는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1년 08월)
     1. 수정체의 유연성이 감소하기 때문
     2. 시신경의 둔화로 동공의 반응이 느려지기 때문
     3. 세포의 위축으로 인하여 망막에 이상이 발생하기 때문
     4. 안구 내의 공막이 얇아져 안구내의 영양 공급이 잘되지 않기 때문

     정답 : []
     정답률 : 72%

13. 다음 중 손으로 작동시켜야 하는 조작공구로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경우는?(2013년 08월)
     1. 조작을 빠르게 하여야 하는 경우
     2. 힘을 적게 가할 필요가 있는 경우
     3. 조작을 정확하게 하여야 하는 경우
     4. 조작 중 누르고 있어야 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78%

14. 양립성에 적합하게 조종장치와 표시장치를 설계할 때 얻을 수 있는 결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인간실수 증가
     2. 반응시간의 감소
     3. 학습시간의 단축
     4. 사용자 만족도 향상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양립성에 적합하게 조종장치와 표시장치를 설계할 때 얻을 수 있는 결과
좋은 설계는 인간의 실수를 줄여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정상조명 하에서 5m 거리에서 볼 수 있는 원형 바늘 시계를 설계하고자 한다. 시계의 눈금단위를 1분 간격으로 표시하고자 할 때, 권장되는 눈금간의 간격은 최소 몇 mm정도인가?(2017년 08월)
     1. 9.15
     2. 18.31
     3. 45.75
     4. 91.55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71cm를 기준으로 정상조명에서 눈금간격은 1.3mm, 낮은 조명에서는 1.8mm이므로
71cm:1.3mm=500cm:Xmm
그러므로 X=9.15
[해설작성자 : 림미]

16. Wickens의 인간의 정보처리체계(human information processing) 모형에 의하면 외부자극으로 인한 정보가 처리될 때, 인간의 주의집중(attention resources)이 관여하지 않는 것은?(2018년 08월)
     1. 인식(perception)
     2. 감각저장(sensory storage)
     3. 작업기억(working memory)
     4. 장기기억(long-term memory)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감각저장이라는 용어는 없다
자극이 사라진 후에도 잠시동안 감각이 지속되는 임시보관장치인 ’감각기억‘ 이 있을 뿐이다
[해설작성자 : 제이제이]

17. 시(視)감각 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동공은 조도가 낮을 때는 많은 빛을 통과시키기 위해 확대된다.
     2. 1디옵터는 1미터 거리에 있는 물체를 보기 위해 요구되는 조절능력이다.
     3. 안구의 수정체는 모양체근으로 긴장을 하면 얇아져 가까운 물체만 볼 수 있다.
     4. 망막의 표면에는 빛을 감지하는 광수용기인 원추체와 간상체가 분포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긴장하면 수정체는 두꺼워져서 가까운 것만 볼 수 있음.
[해설작성자 : 숩니]

수정체 : 빛을 모아주는 렌즈의 역할로 모양체근에 의해 두께가 조절됨, 모양체가 긴장하면 수정체가 두꺼워지고, 이완되면 수정체가 얇아짐.
[해설작성자 : 커피콩]

18. 다음 중 제품, 공구, 장비의 설계시에 적용하는 인체계측 자료의 응용 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9년 03월)
     1. 조절식 설계
     2. 설비기준에 의한 설계
     3. 평균치를 이용한 설계
     4. 극단치를 이용한 설계

     정답 : []
     정답률 : 74%

19. 다음 중 시식별에 영향을 주는 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8월)
     1. 조도
     2. 반사율
     3. 대비
     4. 온ㆍ습도

     정답 : []
     정답률 : 91%

20. 다음 중 인간의 후각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8월)
     1. 훈련을 통하면 식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특정한 냄새에 대한 절대적 식별 능력은 떨어진다.
     3. 후각은 특정 물질이나 개인에 따라 민감도의 차이가 있다.
     4. 훈련을 통하여 식별이 가능한 일상적인 냄새의 수는 최대 7가지 종류이다.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4. 훈련을 통하여 식별 가능한 일상적인 냄새의 수는 60종까지도 가능
[해설작성자 : 주주클럽]

2과목 : 작업생리학


21. 그림과 같은 심전도에서 나타나는 T파는 심장의 어떤 상태를 의미하는 것인가?(2014년 08월)

    

     1. 심방의 탈분극
     2. 심실의 재분극
     3. 심실의 탈분극
     4. 심방의 재분극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P파 : 심방탈분극, QRS파는 심실탈분극, T파는 심실재분극
[해설작성자 : 나그네]

22. 인체의 척추 구조에서 요추는 몇 개로 구성되어 있는가?(2007년 08월)
     1. 5개
     2. 7개
     3. 9개
     4. 12개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몸통의 지주를 이루는 [척추는 26개]의 뼈로 구성되며, [경추 7개], [흉추 12개], [요추 5개], [천골], [미골]로 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3. 다음 중 중추신경계의 피로 즉, 정신피로의 척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2008년 07월)
     1. 혈압(Blood pressure)
     2. 근전도(Electromyogram)
     3. 산소 소비량(Oxygen consumption)
     4. 점멸융합주파수(Flicker fusion frequency)

     정답 : []
     정답률 : 77%

24. 어떤 작업에 대한 5분간의 산소소비량을 측정한 결과 110L의 배기량에 산소는 15%, 이산화탄소는 5%로 분석되었다. 이때 분당 산소소비량은? (단, 공기 중 산소는 21%, 질소는 79%의 비율로 존재한다.)(2011년 08월)
     1. 1.35L/min
     2. 1.38L/min
     3. 1.44L/min
     4. 1.48L/min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 산소소비량
① 산소 1리터당 5kcal의 에너지가 소모
② 흡기량 = 배기량 × (100% - O2% - CO2% )/79%
③ 산소소비량 = 21% × 흡기부피 - O2% × 배기부피
④ 산소소비량으로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
⑤ 신체활동이 증가하면 산소소비량도 증가하나 일정수준에 이르면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음
⑥ 산소소비량 = (흡기 시 산소농도 × 흡기량) - (배기 시 산소농도 × 배기량)
⑦ 작업에너지(kcal) = 산소소모량 × 5kcal
⑧ 작업에너지가(kcal/min) = 분당 산소소모량 × 5kca

110/5 x (100-15-5) / 79 x 0.21 - 110/5 x 0.15 =1.378
[해설작성자 : charles]

25. 진동과 관련된 단위가 아닌 것은?(2016년 03월)
     1. nm
     2. gal
     3. cm/s
     4. sone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sone은 소음 관련 단위
[해설작성자 : ㅇㅇ]

26. 다음 중 진동방지 대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는 것은?(2013년 08월)
     1. 진동의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2. 작업자에게는 방진 장갑을 착용하도록 한다.
     3. 공장에서의 진동 발생원을 기계적으로 격리한다.
     4. 진동을 줄일 수 있는 충격흡수 장치들을 장착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27. 다음 중 육체적 강도가 높은 작업에 있어 혈액의 분포비율이 가장 높은 것은?(2015년 08월)
     1. 소화기관
     2. 골격
     3. 피부
     4. 근육

     정답 : []
     정답률 : 75%

28. 소음에 대한 청력손실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진동수는?(2009년 03월)
     1. 1,000Hz
     2. 2,000Hz
     3. 4,000Hz
     4. 8,000Hz

     정답 : []
     정답률 : 90%

29. 다음 중 육체적 작업부하의 주관적 평가방법으로 작업자들이 주관적으로 지각한 신체적 노력의 정도를 일정한 값 사이의 척도로 평정하는 것은?(2008년 07월)
     1. Borg의 RPE Scale
     2. Flicker 지수
     3. Body Map
     4. Lifting Index

     정답 : []
     정답률 : 75%

30. 나이에 따라 발생하는 청력손실은 다음 중 어떤 주파수의 음에서 가장 먼저 나타나는가?(2020년 06월)
     1. 500 Hz
     2. 1,000 Hz
     3. 2,000 Hz
     4. 4,000 Hz

     정답 : []
     정답률 : 81%

31. 소음 측정의 기준에 있어서 단위 작업장에서 소음발생 시간이 6시간 이내인 경우 발생시간 동안 등간격으로 나누어 몇 회 이상 측정하여야 하는가?(2008년 07월)
     1. 2회
     2. 3회
     3. 4회
     4. 6회

     정답 : []
     정답률 : 57%

32. 생리적 활동의 척도 중 Borg의 RPE(Ratings of Perceived Exertion) 척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육체적 작업부하의 주관적 평가방법이다.
     2. NASA-TLX와 동일한 평가척도를 사용한다.
     3. 척도의 양끝은 최소 심장 박동률과 최대 심장 박동률을 나타낸다.
     4. 작업자들이 주관적으로 지각한 신체적 노력의 정도를 6~20 사이의 척도로 평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2. NASA-TLX = 0~100, RPE = 6~20 사이의 평가척도 사용
[해설작성자 : 주주클럽]

33. 인체의 골격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9월)
     1. 전신의 뼈의 수는 관절 등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대소 206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이 모여서 골격 계통을 구성하고 있다.
     2. 인체의 골격계는 전신의 뼈, 연골, 관절 및 인대로 구성되어 있다.
     3. 뼈는 다시 골질(bone substance), 연골막(cartilage substance), 골막과 골수의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4. 인대는 뼈와 뼈를 연결하는 것으로 자세교정과 신경보호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34. 다음 중 점광원으로부터 어떤 물체나 표면에 도달하는 빛의 밀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옳은 것은?(2013년 03월)
     1. Lambert
     2. candela
     3. nit
     4. lumen/m2

     정답 : []
     정답률 : 81%

35. 다음 중 작업가동의 증가에 따른 순환기 반응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8월)
     1. 심박출량의 증가
     2. 혈액의 수송량 증가
     3. 혈압의 상승
     4. 적혈구의 감소

     정답 : []
     정답률 : 83%

36. 저온환경이 작업수행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근육강도와 내성이 감소하여 육체적 기능도가 줄어든다.
     2. 손 피부온도(HST)의 감소로 수작업 과업수행능력이 저하된다.
     3. 저온 환경에서는 체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근육의 대사율이 증가된다.
     4. 저온은 말초운동신경의 신경전도 속도를 감소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저온 환경(스트레스)의 생리적 영향과 신체반응
    ① 근육강도와 내성이 감소하여 육체적 기능도가 줄어든다.
  ② 손 피부온도(HST)의 감소로 수작업 과업수행능력이 저하된다.
  ❸ 저온 환경에서는 체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근육의 대사율이 감소 된다.
  ④ 저온은 말초운동신경의 신경전도 속도를 감소시킨다.
    ⑤ 저온은 조립이나 수리 작업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⑥ 추적과업의 수행은 저온에 의해 악영향을 받는다.
  ⑦ 저온 환경에 노출되면 혈관수축이 발생한다.
    ⑧ 저온 스트레스를 받으면 피부가 파랗게 보인다.
    ⑨ 저온 환경에 노출되면 떨기반사(shivering reflex)가 나타난다.
    ⑩ 체표면적이 감소한다.
    ⑪ 피부의 혈관이 수축된다.
    ⑫ 근육긴장의 증가와 떨림이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유능한]

추울땐 몸을 움추리죠 활동이 감소하고 근육의 대사량 감소
[해설작성자 : ㅏㅏㅏ]

37. 다음 중 근육피로의 1차적 원인으로 옳은 것은?(2022년 03월)
     1. 젖산 축적
     2. 글리코겐 축적
     3. 미오신 축적
     4. 피루브산 축적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운동이 격렬하여 근육에 산소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는 젖산(Lactic acid)이 생성되어 피곤함을 느낀다.
[해설작성자 : 유능한]

38. 산소 소비량과 에너지 대사를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산소 소비량은 에너지 소비량과 선형적인 관계를 가진다.
     2. 산소 소비량이 증가한다는 것은 육체적 부하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3. 에너지가의 계산에는 2kcal의 에너지 생성에 1리터의 산소가 소모되는 관계를 이용한다.
     4. 산소 소비량은 육체활동에 요구되는 에너지 대사량을 활동 시 소비된 산소량으로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산소 소비량과 에너지 대사에 대한 설명
  ① 산소 소비량은 에너지 소비량과 선형적인 관계를 가진다.
  ② 산소 소비량이 증가한다는 것은 육체적 부하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❸ 에너지가의 계산에는 5kcal의 에너지 생성에 1리터의 산소가 소모되는 관계를 이용한다.
  ④ 산소 소비량은 육체활동에 요구되는 에너지 대사량을 활동 시 소비된 산소량으로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⑤ 산소소비량과 심박수 사이에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⑥ 산소소비량은 에너지 소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⑦ 산소소비량은 단위 시간당 배기량을 측정한 것이다.
  ⑧ 심박수와 산소소비량 사이의 관계는 선형관계 이나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다.
[해설작성자 : 유능한]

39. 빛의 측정치를 나타내는 단위의 관계가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1 fc=10lux
     2. 반사율=휘도/조도
     3. 1candela=10lumen
     4. 조도=광도/단위면적(m2)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 candeia=4π
[해설작성자 :    냐옹]

1candela=12.57lumen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0. 다음 중 생리적 스트레인의 척도에 대한 측정 단위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8월)
     1. 1N이란 1kg의 질량에 1m/s2의 가속도가 생기게 하는 힘이다.
     2. 1J이란 1kg을 작용하여 1m를 움직이는데 필요한 에너지이다.
     3. 1kcal이란 물 1kg을 0℃에서 100℃까지 올리는데 필요한 열이다.
     4. 동력이란 단위시간당의 일로서 단위는 dyne이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2. 1J이란 1N의 물체를 1m를 이동시키는 데 하는 일이다.
3. 1kcal란 물 1kg을 0℃에서 1℃까지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이다.
4. 동력이란 단위시간당의 일로서 단위는 W가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나그네]

3과목 : 산업심리학 및 관계법규


41. 피들러(F.E.Fiedler)의 상황적합적 리더십 특성이론에서 리더에게 호의성 여부를 결정하는 리더십 상황이 아닌 것은?(2012년 08월)
     1. 리더-구성원 관계
     2. 과업구조
     3. 리더의 직위권한
     4. 부하의 수

     정답 : []
     정답률 : 67%

42. 다음 중 개인의 성격을 건강과 관련시켜 연구하는 성격 유형에 있어 B형 성격 소유자의 특성과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2014년 08월)
     1. 수치계산에 민감하다.
     2. 공격적이며 경쟁적이다.
     3. 문제의식을 느끼지 않는다.
     4. 시간에 강박관념을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77%

43. 허츠버그(Herzberg)가 제시한 근로자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9년 07월)
     1. 되도록 쉬운 임무를 부여한다.
     2. 완전하고 자연스러운 작업단위를 제공한다.
     3. 직무에 부가되는 자유와 권위를 준다.
     4. 특정 직무에 있어서 고도의 전문화된 임무를 배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44. 다음 중 민주적 리더십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3월)
     1. 생산성과 사기가 높게 나타난다.
     2. 맥그리거의 Y 이론에 근거를 둔다.
     3. 구성원에게 최대의 자유를 허용한다.
     4. 모든 정책이 집단 토의나 결정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위임적 리더십 : 자유방임주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5. 다음의 휴먼에러에 대한 분류로 가장 적절한 것은?(2009년 03월)

    

     1. omission error이며, skill-based error로 분류할 수 있다.
     2. omission error이며, knowledgeb-based mistake로 분류할 수 있다.
     3. commission error이며, skill-based error로 분류할 수 있다.
     4. commission error이며, knowle-dgebased mistake로 분류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6%

46. 재해 원인을 불안전한 행동과 불안전한 상태로 구분할 때 불안전한 상태에 해당하는 것은?(2021년 03월)
     1. 규칙의 무시
     2. 안전장치 결함
     3. 보호구 미착용
     4. 불안전한 조작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불안전한 행동 : 규칙의 무시, 불안전한 조작, 권한없이 행한 조작, 보호구 미착용, 안전장치의 기능제거
불안전한 상태 : 언전장치의 결함, 방호조치의 결함, 보호구 및 복장의 결함, 작업환경으 결함, 숙련도 부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다음 중 레빈(Lewin)의 행동방정식 B=f(P, E)에서 E가 나타내는 것은?(2015년 08월)
     1. Environment
     2. Energy
     3. Emotion
     4. Education

     정답 : []
     정답률 : 83%

48. 인간의 불안전행동을 예방하기 위해 Harvey에 의해 제안된 안전대책의 3E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3월)
     1. Education
     2. Enforcement
     3. Engineering
     4. Environment

     정답 : []
     정답률 : 84%

49. 다음 중 산업재해방지를 위한 대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3년 08월)
     1.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안전관리체계를 자율화하고, 안전관리자의 직무권한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2. 사고와 원인간의 관계는 우연이라기보다 필연적 인과 관계가 있으므로 사고의 원인분석을 통한 적절한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
     3. 재해방지에 있어 근본적으로 중요한 것은 손실의 유무에 관계없이 아차사고(near accident)의 발생을 미리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4. 불안전한 행동의 방지를 위해서는 적성배치, 동기부여와 심리적 대책과 함께 인간공학적 작업장 설계 등과 같은 공학적 대책이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1. 직무권한 강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0. 다음 중 재해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3월)
     1. 강도율은 근로시간, 출근율과는 상관관계가 거의 없다.
     2. 도수율은 산업재해의 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된다.
     3. 연천인율은 1000명당 1년 동안 발생한 근로손실일수를 나타낸 것이다.
     4. 연간총근로시간의 정확한 산출이 곤란한 경우에는 1일 8시간, 연간 2400시간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강도율 : 근로시간 1000 시간당 재해에 의해 상실된 근로손실일수
                 근로손실일수 / 연노동시간수 x 1000

도수율 : 100만시간당 사고 발생 횟수
                 재해건수 / 연근로시간 x 1,000,000


연천인율 : 근로자 1000명당 1년에 발생하는 사상자 수
                        1년간 사상사 수 / 1년간 평균 근로자 수 x 10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제조물책임법상 결함의 종류는?(2012년 08월)

    

     1. 제조상의 결함
     2. 설계상의 결함
     3. 표시상의 결함
     4. 검사상의 결함

     정답 : []
     정답률 : 84%

52. 다음 중 제조물책임법상 결함의 종류가 아닌 것은?(2010년 07월)
     1. 제조상의 결함
     2. 설계상의 결함
     3. 사용상의 결함
     4. 표시상의 결함

     정답 : []
     정답률 : 84%

53. 인간의 수면은 일반적으로 하루 밤에 몇 분 간격의 사이클로 이루어지는가?(2015년 08월)
     1. 60분
     2. 90분
     3. 120분
     4. 150분

     정답 : []
     정답률 : 69%

54. 뇌파의 유형에 따라 인간의 의식수준을 단계별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 중 의식이 명료하며 가장 적극적인 활동이 이루어지고 실수의 확률이 가장 낮은 단계는?(2014년 03월)
     1. Ⅰ단계
     2. Ⅱ단계
     3. Ⅲ단계
     4. Ⅳ단계

     정답 : []
     정답률 : 82%

55. 하인리히의 사고예방 대책의 5가지 기본원리를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20년 08월)
     1. 사실의 발견 → 안전조직 → 분석평가 → 시정책 선정 → 시정책 적용
     2. 안전조직 → 사실의 발견 → 분석평가 → 시정책 선정 → 시정책 적용
     3. 안전조직 → 분석평가 → 사실의 발견 → 시정책 선정 → 시정책 적용
     4. 사실의 발견 → 분석평가 → 안전조직 → 시정책 선정 → 시정책 적용

     정답 : []
     정답률 : 67%

56. 다음 중 하인리히(H.W. Heinrich)의 재해예방의 원리 5단계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3년 03월)
     1. 평가분석 → 사실의 발견 → 조직 → 시정책의 선정 → 시정책의 적용
     2. 조직 → 사실의 발견 → 평가분석 → 시정책의 선정 → 시정책의 적용
     3. 조직 → 평가분석 → 사실의 발견 → 시정책의 선정 → 시정책의 적용
     4. 평가분석 → 조직 → 사실의 발견 → 시정책의 선정 → 시정책의 적용

     정답 : []
     정답률 : 83%

57. 제조물 책임법령상 제조업자가 제조물에 대해 충분한 설명, 지시, 경고 등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 피해가 발생하였다면 이것은 어떤 결함 때문인가?(2020년 08월)
     1. 표시상의 결함
     2. 제조상의 결함
     3. 설계상의 결함
     4. 고지의무의 결함

     정답 : []
     정답률 : 77%

58. 다음 중 하인리히(Heinrich)가 제시한 재해발생 과정의 도미노 이론 5단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1년 03월)
     1. 사고
     2. 개인적 결함
     3. 기본원인
     4. 불안전한 행동 및 불안전한 상태

     정답 : []
     정답률 : 79%

59. 미사일을 탐지하는 경보 시스템이 있다. 조작자는 한 시간마다 일련의 스위치를 작동해야 하는 데 휴먼에러 확률(HEP)은 0.01이다. 2시간에서 5시간까지의 인간 신뢰도는 약 얼마인가?(2018년 08월)
     1. 0.9412
     2. 0.9510
     3. 0.9606
     4. 0.9703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e^(-0.01x3)
[해설작성자 : 효자김종현]

(1-HEP)n=(1-0,01)5-2
[해설작성자 : 엘리아]

60. 게스탈트 지각원리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근접성의 원리
     2. 유사성의 원리
     3. 부분우세의 원리
     4. 대칭성 원리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게스탈트의 지각원리
1. 근접성
2. 유사성
3. 연속성
4. 폐쇄성
5. 단순성
6. 공동 운명성
7. 대칭성
[해설작성자 : 게스탈트]

[게스탈트 지각원리] 사물이나 현상을 지각할 때 기본적으로 떠오르는 어떤 형태를 보는 원리
[해설작성자 : 주주클럽]

61. 다음 중 RULA에서 사용하는 그룹 A의 평가 대상으로 옳은 것은?(2013년 03월)
     1. 목, 손목, 발목
     2. 목, 몸통, 다리
     3. 목, 팔, 다리
     4. 윗팔, 아래팔, 손목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RULA는 상지를 측정하므로 다리 발목제외하면 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마니장]

62. 표준자료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7년 08월)
     1. 표준 자료 작성은 초기 비용이 적기 때문에 생산량이 적은 경우에 유리하다.
     2. 일단 한번 작성되면 유사한 작업에 대한 신속한 표준시간 설정이 가능하다.
     3. 작업조건이 불안정하거나 표준화가 곤란한 경우에는 표준자료 설정이 곤란하다.
     4. 정미시간을 종속변수, 작업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독립변수를 취급하여 두 변수 사이의 함수관계를 바탕으로 표준시간을 구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표준자료법의 단점
●표준시간의 정도가 떨어짐
●작업개선의 기회나 의욕이 떨어짐
●초기 비용이 크기 때문에 생산량이 적거나, 제품이 큰 경우 부적합
[해설작성자 : 커피콩]

63. 다음 중 작업대상물의 품질 확인이나 수량의 조사, 검사 등에 사용되는 공정도시기호에 해당하는 것은?(2013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1.가공 2.검사 3.없음 4. 이동,운반
[해설작성자 : zzangjji]

64. 서블릭(Therblig)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조립(A)은 효율적 서블릭이다.
     2. 검사(I)는 비효율적 서블릭이다.
     3. 빈손이동(TE)은 효율적 서블릭이다.
     4. 미리놓기(PP)는 비효율적 서블릭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미리놓기(PP)는 효율적 서블릭이다.
[해설작성자 : 커피콩]

65. 요소작업이 여러 개인 경우의 관측횟수를 결정하고자 한다. 표본의 표준편차는 0.6이고, 신뢰도 계수는 2인 추정의 오차범위 ±5%를 만족시키는 관측횟수(N)는 몇 번인가?(2019년 03월)
     1. 24번
     2. 66번
     3. 144번
     4. 576번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관측횟수
=(t*s/e)2=(신뢰도계수*표준편차/오차범위)^2=(2*0.6/0.05)^2=576
[해설작성자 : 냐옹]

66. 워크샘플링에 대한 장ㆍ단점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시간연구법보다 더 자세하다.
     2. 특별한 측정 장치가 필요 없다.
     3. 관측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져 작업에 방해가 적다.
     4. 자료수집이나 분석에 필요한 순수시간이 다른 시간연구방법에 비하여 짧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장점
- 관측을 순간적으로 하기 때문에 작업자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작업 진행
- 조사기간을 길게 하여 평상시의 작업상황 그대로 반영시킬 수 있음
- 사정에 의해 연구를 일시 중지하였다가 다시 계속할 수도 있음
- 한 사람의 평가자가 동시에 여러 작업 동시 측정 가능, 또한 여러명의 관측자가 동시에 관측할 수 있음
- 분석자에 의해 소비되는 총 작업시간이 훨씬 적은 편이다
- 특별한 시간측정 장비가 필요 없다

단점
- 한 명의 작업자나 한 대의 기계만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경우 비용이 커진다.
- Time study(시간연구법)보다 덜 자세하다.
- 짧은 주기나 반복작업인 경우 적당치 않다.
- 작업방법 변화 시 전체적인 연구를 새로 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덕윤형님의 포터]

67. 유해요인 조사 방법 중 RULA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3월)
     1. 각 작업 자세는 신체 부위별로 A와 B그룹으로 나누어진다.
     2. 전신 자세를 평가할 목적으로 개발된 유해요인 조사방법이다.
     3. 작업에 대한 평가는 1점에서 7점 사이의 총점으로 나타내어, 점수에 따라 4개의 조치단계로 분류된다.
     4. RULA를 평가하는 작업부하인자는 동작의 횟수, 정적의 근육작업, 힘, 작업 자세 등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는
어깨, 팔목, 손목, 목 등 상지에 초점을 맞추어 작업자세로 인한
작업부하를 쉽고 빠르게 평가하기 위해 개발하였다.
[해설작성자 : 푸른하늘]

68. 다음 중 근골격계질환의 예방에서 단기적 관리방안이 아닌 것은?(2014년 08월)
     1. 교대근무에 대한 고려
     2. 안전한 작업방법 교육
     3.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도입
     4. 관리자, 작업자, 보건관리자 등에 인간공학 교육

     정답 : []
     정답률 : 75%

69. WF(Work Factor)법의 표준 요소가 아닌 것은?(2016년 03월)
     1. 쥐기(Grasp, Gr)
     2. 결정(Decide, Dc)
     3. 조립(Assemble, Asy)
     4. 정신과정(Mental Process, MP)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WF법 8가지 표준요소
1. 동작-이동
2. 쥐기
3. 미리놓기
4. 조립
5. 사용
6. 분해
7. 내려놓기
8. 정신과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0. 다음 중 5 TMU(Time Measurement Unit)를 초 단위로 환산하면 몇 초인가?(2011년 08월)
     1. 0.00036초
     2. 0.036초
     3. 0.18초
     4. 1.8초

     정답 : []
     정답률 : 70%

71. 수공구의 설계 원리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6년 08월)
     1. 손목을 곧게 펼 수 있도록 한다.
     2. 지속적인 정적 근육부하를 피하도록 한다.
     3. 특정 손가락의 반복적인 동작을 피하도록 한다.
     4. 가능하면 손바닥으로 잡는 power grip보다는 손가락으로 잡는 pinch grip을 이용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72. 다음 중 근골격계부담작업의 유해요인조사 및 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3월)
     1. 조사항목으로는 작업장의 상황, 작업조건 등이 있다.
     2. 정기 유해요인조사는 수시유해요인조사와는 별도로 2년마다 행한다.
     3. 신설되는 사업장의 경우에는 신설일로부터 1년 이내 최초의 유해요인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4. 사업주는 개선계획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외부의 전문기관이나 전문가로부터 지도ㆍ조언을 들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0%

73. 다음 중 공정도(Process Chart)에 사용되는 기호와 명칭이 잘못 연결된 것은?(2009년 07월)
     1. : 저장
     2. : 운반
     3. : 검사
     4. : 작업

     정답 : []
     정답률 : 85%

74. 근골격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기본 원칙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8년 03월)
     1. 인식의 원칙
     2. 시스템 접근의 원칙
     3. 일시적인 문제 해결의 원칙
     4. 사업장 내 자율적 해결 원칙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3번, 일시적인 문제 해결의 원칙은 근골격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기본 원칙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는 프로그램의 지속 가능하고 장기적인 목표와 상반되는 접근입니다.
[해설작성자 : 더블디스타]

75. 어느 회사의 컨베이어 라인에서 작업순서가 다음 표의 번호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2013년 08월)

    

     1. 공정 손실은 15% 이다.
     2. 애로작업은 검사작업이다.
     3. 라인의 주기시간은 7초이다.
     4. 라인의 시간당 생산량은 6개이다.

     정답 : []
     정답률 : 80%

76. 작업수행도 평가 시 사용되는 레이팅 계수(rating scal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3월)
     1. 관측시간치의 평균값을 레이팅 계수로 보정하여 보통속도로 변환시켜준 개념을 표준시간이라 한다.
     2. 정상기준 작업속도를 100%로 보고 100%보다 큰 경우 표준보다 빠르고, 100%보다 작은 경우 느린 것을 의미한다.
     3. 레이팅 계수(%)가 125일 경우 동작이 매우 숙달된 속도, 장시간 계속 작업 시 피로할 것 같은 작업속도로 판정할 수 있다.
     4. 속도 평가법에서의 레이팅 계수는 기준속도를 실제속도로 나누어 계산하고 레이팅 시 작업속도만을 고려하므로 적용하기가 쉬워 보편적으로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1. 관측시간치의 평균값을 레이팅 계수로 보정하여 보통속도로 변환시켜준 개념을 "정미시간"이라 한다.
[해설작성자 : 희구]

77. 동작경제의 원칙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6년 03월)
     1. 공정 개선의 원칙
     2. 신체의 사용에 관한 원칙
     3. 작업장의 배치에 관한 원칙
     4. 공구 및 설비의 디자인에 관한 원칙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동작경제의 원칙
●신체사용에 관한 원칙
●작업장의 배치에 관한 원칙
●공구 및 설비 디자인에 관한 원칙
[해설작성자 : 커피콩]

78. 다음 중 근골격계질환의 관리방안에 있어 공학적 개선방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2년 08월)
     1. 작업속도의 조절
     2. 작업 공구의 개선
     3. 작업대 높이의 조절
     4. 자재 운반시 동력기계장치의 사용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 관리적 개선방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9. 작업관리의 문제분석 도구로서 시간 축 위에 수행할 활동에 대한 필요한 시간과 일정을 표시한 것은?(2012년 03월)
     1. 특성요인도
     2. 파레토차트
     3. PERT차트
     4. 간트차트

     정답 : []
     정답률 : 72%

80. 문제분석을 위한 기법 중 원과 직선을 이용하여 아이디어 문제, 개념 등을 개괄적으로 빠르게 설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연연적 추론 기법에 해당하는 것은?(2018년 08월)
     1. 공정도(process chart)
     2. 마인트 맵핑(mind maping)
     3. 파레토 차트(pareto chart)
     4. 특성요인도(cause and effect diagram)

     정답 : []
     정답률 : 79%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인간공학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4573441)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87 위험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4월03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2086 FAT 1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2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2085 용접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8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2084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2083 자기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4459493)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2082 웹디자인개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1월26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2081 수능(지구과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2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2080 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2079 환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10월06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2078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3060998)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2077 방송통신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7753201)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2076 소비자전문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2075 9급 지방직 공무원 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 인간공학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4573441)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2073 생산자동화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2142842)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2072 9급 국가직 공무원 노동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2071 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9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2070 수능(생활과윤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11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2069 가스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2068 수산양식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8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 203 Next
/ 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