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본부(거점소방서 포함)의 화재조사 전담부서에 갖추어야 할 감식ㆍ감정용기기의 기자재가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절연저항계
2.
멀티테스터기
3.
디지털온도ㆍ습도계
4.
복합가스측정기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디지털온도ㆍ습도계는 감식ㆍ감정용기기가 아니라 기록용기기 입니다. [해설작성자 : 아지에여]
5.
습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공기 중의 습도는 연소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정전기는 습한 환경에서 축적이 잘 되는 경향이 있다.
3.
절대습도는 대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을 (%)로 표기한다.
4.
가연물의 수분함량은 가연물 주변 공기의 습도와 상관관계가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3. 절대습도는 공기 1m3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을 g으로 나타낸다. -네이버 지식백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화재조사 범위와 관련된 내용 중 화재원인 조사 내용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발화원인 조사:발화지점, 발화열원, 발화요인, 최초착화물 및 발화관련기기 등
2.
소실피해 조사:열에 의한 탄화, 용융, 파손 등의 조사
3.
피난상황 조사:피난경로, 피난상의 장애요인 등
4.
소방ㆍ방화시설 등 조사:소방ㆍ방화시설의 활용 또는 작동 등의 상황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화재원인조사와 화재피해조사는 다르다. [해설작성자 : 광주소방대표]
7.
폭발의 발생 및 성장 원인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폭굉 한계 내의 가스가 어느 정도 다량으로 존재 할 때
2.
존재된 잔여가스에 방전이나 화염, 충격 등 점화원이 작용할 때
3.
폭발범위 내에 불활성가스가 존재할 때
4.
폭발 충격으로 인한 파이프 파열로 2차적 폭발이 일어날 때
정답 : [
3
] 정답률 : 76%
8.
탄화칼슘의 자연발화 방지대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열 축적이 어려운 장소에 저장
2.
온도가 낮은 곳에 저장
3.
습도가 높은 곳에 저장
4.
불활성가스를 주입하여 산소를 차단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탄화칼슘은 물과 작용하면 발열한다. [해설작성자 : 아무개]
9.
기화열이 원인이 되어 생성되는 유류화재의 패턴은?(2017년 09월)
1.
포어패턴
2.
레인보우패턴
3.
틈새연소패턴
4.
도넛 패턴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 도넛패턴 - 거친 고리모양으로 연소된 부분이 덜 연소된 부분을 둘러 싸고 있는 형태 - 가연성액체가 웅덩이처럼 고여 있을 경우 발생 - 고리처럼 보이는 주변부나 얕은 곳에서는 바닥이나 바닥재를 탄화시키는 반면에 비교적 깊은 중심부는 액체가 증발하면서 증발잠열에 의해 웅덩이 중심부를 냉각시키는 현상 때문에 기인
* 포어패턴(=퍼붓기 패턴) - 인화성책체 가연물이 바닥에 쏟아졌을 때 액체 가연물이 쏟아진 부분과 솓아지지 않은 부분의 탄화경계 흔적을 말한다. - 이런 형태는 화재가 진행되면서 액체가연물이 있는 곳은 다른 곳보다 연소가 강하기 때문에 탄화정도의 강, 약에 의해서 구분된다. -액체가 자연스럽게 낮은 곳으로 흐른 부드러운 곡선형태, 쏟아진 모양 그대로 불규칙한 형태를 나타내기도 함.(연소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에서 뚜렷한 경계선을 나타냄)
*틈새연소패턴 - 목재마루 및 타일 등의 틈새 및 모서리에 가연성액체가 흘려질 경우 틈새를 따라서 흘러가거나 더 많은 액체가 고이게 되는데, 이 액체가 연소하면서 타 부위에 비하여 더 강하게 연소하게 되므로 진화 후에는 탄화정도에 따라서 구별을 할 수 있음. -고스트 마크와 유사하나 단순히 가연성 액체의 연소라는 점, 콘크리트나 시멘트 바닥이 아니라 마감재 표면에서 보이는 패턴이라는 점, 화재 초기에 나타나며 플래시오버와 같은 강한 화염 속에서도 쉽게 사라질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 - 방화현장에 많이 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폭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분무폭발은 기상폭발의 한 종류이다.
2.
감압폭발은 응상폭발의 한 종류이다.
3.
전선이 고상에서 급격히 액상을 거쳐 기상으로 전이할 때 발생되는 폭발은 전선폭발이다.
4.
고온의 용융금속이 물속에서 급속냉각 될 때 폭발은 과열액체 증기폭발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증기폭발 : 액화가스의 폭발적인 비등현상으로 인한 상변화에 따른 폭발현상 수증기폭발 : 액체의 폭바적인 비등현상으로 상변화에 따른 폭발현상 [해설작성자 : 119구조대]
11.
목재의 연소상황에 대한 다음 그림을 참고하여 화재가 진행된 방향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A → B
2.
B → A
3.
C → A
4.
C → B
정답 : [
2
] 정답률 : 71%
12.
건축물 화재 시 플래시 오버(Flash over)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개구부의 크기
2.
내장재료
3.
화원의 크기
4.
건물의 높이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4.건물의 높이가 아닌 건물내부의 천장 높이에 영향을 받음 천장이 너무 높으면 플래시오버가 잘 발생하지 않음
1.개구부가 너무 작거나 없으면 플래시오버 일어나기도전에 내부에 있는 산소를 전부 써버리기때문에 어느정도 필요 2.당연히 불연재료 일수록 잘안탐 3.당연히 화원이 클수록 복사열도 많이발생 [해설작성자 : free hongkong]
13.
다음 그림을 참고하여 연소의 상승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목조건축물에 해당한다.)(2020년 06월)
1.
그림(a) 단층 가옥 A에서 출화된 경우, 2층 가옥 B ②층으로 연소 확대된다.
2.
그림(b) 가옥 B의 ①에서 출화된 경우, B가옥 ②층과 함께 개구부를 통해 A가옥으로 확대된다.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문제와 보기는 원본과 동일하며 확정답안은 1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1. 성인 대퇴부(전,후)9%*2, 하퇴부(전,후)9%*2, 머리 9%, 흉부,하복부 9%*2, 배(상,하)부 9%*2,양팔 9%*2, 외음부 1% 입니다 [해설작성자 : 아론]
51.
방화에서 나타나는 물적증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연소된 시간에 비해 연소면적이 넓다.
2.
연소시간에 비해 탄화심도가 깊지 않다.
3.
방화도구가 물증으로 현장에 남는 경우가 많다.
4.
인화성 액체 사용 시 벽면에 삼각형 형태의 패턴보다 역삼각형 형태의 패턴을 띈다.
정답 : [
4
] 정답률 : 52%
52.
다음 중 증거물 수집과정에서 오염을 막기 위한 방법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2019년 04월)
1.
면장갑 대신 일회용 비닐장갑을 이용한다.
2.
빗자루, 부삽 등 증거수집도구는 오염이 되지 않도록 조치한 후에 사용한다.
3.
정확한 증거물의 수집을 위하여 무수(無水)성 또는 기타 형태의 클리너를 사용한다.
4.
증거물 수집용기의 금속 뚜껑을 수집도구로 활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53.
다음 중 화재증거물수집관리규칙상 증거물의 정의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화재와 관련 있는 가연물 및 개연성이 있는 모든 개체를 말한다.
2.
화재와 관련 있는 물건 및 필연성이 있는 모든 개체를 말한다.
3.
화재와 관련 있는 가연물 및 필연성이 있는 모든 개체를 말한다.
4.
화재와 관련 있는 물건 및 개연성이 있는 모든 개체를 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54.
화재현장 촬영 시 주요 촬영대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화재로 인한 사망자의 위치
2.
소방용 설비들의 사용 및 작동상황
3.
발화원으로 추정된 감식 및 감정대상물
4.
화재현장에 도착한 소방차들의 배치상황
정답 : [
4
] 정답률 : 73%
55.
화재현장 보존을 위한 조치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화재현장에 허가받지 않은 사람의 출입을 제한하여야 한다.
2.
화재현장 보존은 소방대 도착과 함께 시작하는 것이 좋다.
3.
화재진압대원은 증거를 불필요하게 훼손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4.
화재진압 시 화재조사의 편의를 위해 기구 등 부피가 큰 물건들을 한쪽으로 치워주는 것이 좋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56.
물리적 증거물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결론으로 맞는 것은?(2020년 06월)
1.
물질의 질량손실을 통하여 화재의 시간과 강도를 추절할 수 있다.
2.
콘크리트 폭역이 있다는 것은 바로 아래가 발화지점임을 증명한다.
3.
동일한 대기에 노출되어 있었다면 오래된 건조목이 최근의 건조목보다 더 잘 탄다.
4.
탄화물에 반짝이는 기포(alligator char)가 존재한다는 것은 액체 촉진제가 사용되었음을 증명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39%
57.
다음의 화재증거물수집관리규칙상 화재현장 사진 및 비디오 촬영 시 유의사항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화재조사요원은 규모가 작은 화재는 사진촬영 등을 생략할 수 있다.
2.
최초 도착하였을 때의 원상태를 그대로 촬영하여야 한다.
3.
소재와 상태가 명백히 나타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구분이 용이하게 번호표 등을 넣어 촬영한다.
4.
연소 확대 경로 및 증거물 기록에 대한 번호표와 화살표를 표시한 후에 촬영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9%
58.
사진촬영을 위해 현장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선정 위치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발화가 개시된 건물 정면
2.
발화지점 내부
3.
발화지역 주변의 높은 곳
4.
화염이 강하게 출화한 곳
정답 : [
3
] 정답률 : 75%
59.
연소가스 중 고농도의 이것은 눈에 접촉되면 점막을 심하게 자극하여 결막부종 및 각막혼탁을 초래하고 시력장애의 후유증을 남기는 경우가 있으며, 흡입하면 폐수종을 일으키거나 호흡정지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주로 냉동시설의 냉매로 많이 쓰이고 있으므로 냉동창고 화재 시 누출가능성이 큰 가스는?(2017년 09월)
1.
아황산가스(SO2)
2.
시안화수소(HCN)
3.
암모니아(NH3)
4.
포스겐(COCL2)
정답 : [
3
] 정답률 : 66%
60.
화재현장 주요 사진촬영 대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발굴 전의 발화지점 부근
2.
소손현장의 전경
3.
관계자 진술에 언급된 지점
4.
연소경로
정답 : [
3
] 정답률 : 64%
61.
특수건물 소유자의 손해배상책임과 보험가입 의무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화재로 인한 재해보상과 보험가입에 관한 법률을 적용한다.)(2020년 06월)
1.
특수간물 소유자는 그 건물의 화재로 인하여 다른 사람이 사망하였을 때에는 과실이 없는 경우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없다.
2.
특수건물 소유자는 그 건물의 화재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을 이행하기 위하여 그 건물에 대하여 손해보험회사가 운영하는 신체손해배상특약부화재보험에 가입하여야 한다.
3.
특수건물 소유자는 그 건물의 종업원에 대하여 산업재해보상보험에 가입하고 있을 때에는 그 종업원에 대한 화재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을 담보하는 보험에 가입하지 아니할 수 있다.
4.
특수건물 소유자는 특약부화재보험에 부가하여 풍재(風災) 등으로 인한 손해를 담보하는 보험에 가입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화재로 인한 재해보상과 보험가입에 관한 법률 제4조(특수건물 소유자의 손해배상책임) ① 특수건물의 소유자는 그 특수건물의 화재로 인하여 다른 사람이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었을 때 또는 다른 사람의 재물에 손해가 발생한 때에는 과실이 없는 경우에도 제8조제1항제2호에 따른 보험금액의 범위에서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이 경우 「실화책임에 관한 법률」에도 불구하고 특수건물의 소유자에게 경과실(輕過失)이 있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해설작성자 : 아무개]
62.
화재피해액 산정기준에서의 화재피해액 산정 대상이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애완동물
2.
영업이익
3.
원재료
4.
식물
정답 : [
2
] 정답률 : 77%
63.
소방활동구역의 설정 및 현장보존에 대한 기준 중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소방활동구역의 설정은 필요한 최대의 범위로 한다.
2.
소방활동구역의 관리는 수사기관과 상호 협조하여야 한다.
3.
소방활동구역의 표시는 로프 등으로 범위를 한정하고 경고판을 부착하며 출입을 통제하는 등 현장보존에 최대한 노력하여야 한다.
4.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소화활동 시 현장물건 등의 이동 또는 파괴를 최소화하여 원활한 화재조사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현장보존에 노력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2%
64.
세대주, 건물의 소실면적 및 화재피해액의 산정에 관한 설명이 옳은 것은? (단,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을 적용한다.)(2020년 06월)
1.
소실면적의 산정은 소실 연면적을 기준으로 한다.
2.
화재피해 범위가 건물의 6면 중 2면 이하인 경우에는 6면 중의 피해면적의 합에 5분의 1을 더한 값을 소실면적으로 한다.
3.
건물 등 자산에 대한 잔가율은 건물ㆍ부대설비ㆍ가재도구는 20%로 하며, 그 이외의 자산은 10%로 정한다.
4.
세대수의 산정은 하나의 기구를 구성하여 살고 있는 독신자로서 자신의 주거에 사용되는 건물에 대하여 재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사람을 1세대로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1. 건물의 소실면적 산정은 소실 바닥면적으로 산정한다. 2. 다만, 화재피해 범위가 건물의 6면 중 2면 이하인 경우에는 6면 중의 피해면적의 합에 5분의 1을 곱한 값을 소실면적으로 한다. 3. 건물 등 자산에 대한 최종잔가율은 건물ㆍ부대설비ㆍ가재도구는 20%로 하며, 그 이외의 자산은 10%로 정한다. [해설작성자 : 아지에여]
65.
관할구역내의 화재에 대하여 조사책임을 가진 직책은? (단,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을 적용한다.)(2020년 06월)
1.
소방청장
2.
경찰서장
3.
지역자치단체의 장
4.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
정답 : [
4
] 정답률 : 74%
66.
5년 후 철거예정인 노숙자 쉼터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150m2가 소실된 경우 이 철거건물의 피해액은? (단, 이 건물은 철골조이며, m2당 재건축비는 730천원이고, 내용년수는 50년이다.)(2017년 09월)
화재피해액 산정에 있어서 재고자산의 현재시가를 정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구입시의 가격
2.
재구입 가격
3.
구입시의 가격에서 사용기간 감가액을 뺀 가격
4.
재구입 가격에서 사용기간 감가액을 뺀 가격
정답 : [
1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구입 시의 가격 : 재고자산, 즉 원재료, 부재료, 제품, 반제품, 저장품, 부산물 등 [해설작성자 : 돌도리]
68.
다음의 소방기본법에 관한 내용 중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국가는 화재, 재난ㆍ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으로부터 국민의 생명ㆍ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방업무에 관한 종합계획을 3년마다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2.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은 소방활동을 할 때에 긴급한 경우에는 이웃한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소방업무의 응원(應援)을 요청할 수 있으며, 소방업무의 응원 요청을 받은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정당한 사유가 없어도 그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3.
소방대는 화재, 재난ㆍ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한 현장에 신속하기 출동하기 위하여 긴급할 때라도 일반적인 통행에 쓰이지 아니하는 도로ㆍ빈터 또는 물 위로 통행하여서는 안된다.
4.
소방본부장, 소방서장 또는 소방대장은 화재, 재난ㆍ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한 현장에서 소방활동을 위하여 필요할 때에는 그 관할역에 사는 사람 또는 그 현장에 있는 사람으로 하여금 사람을 구출하는 일 또는 불을 끄거나 불이 번지지 아니하도록 하는 일을 하게 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69.
화재피해액 산정 시 건물에 포함하여 피해액을 산정하는 것은?(2020년 06월)
1.
건물의 소화설비
2.
건물의 가스설비
3.
건물의 승강기 설비
4.
건물에 부착된 간판
정답 : [
4
] 정답률 : 56%
70.
다음 중 질문기록서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쓰레기 화재
2.
가로등 화재
3.
전봇대 화재
4.
구조물 화재
정답 : [
4
] 정답률 : 74%
71.
화재현장 조사서의 화재발생 개요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을 적용한다.)(2020년 06월)
소방본부(거점소방서 포함)의 화재조사 전담부서에 갖추어야 할 감식ㆍ감정용기기의 기자재가 아닌 것은?(2020년 06월)
1.
절연저항계
2.
멀티테스터기
3.
디지털온도ㆍ습도계
4.
복합가스측정기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디지털온도ㆍ습도계는 감식ㆍ감정용기기가 아니라 기록용기기 입니다. [해설작성자 : 아지에여]
5.
습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공기 중의 습도는 연소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정전기는 습한 환경에서 축적이 잘 되는 경향이 있다.
3.
절대습도는 대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을 (%)로 표기한다.
4.
가연물의 수분함량은 가연물 주변 공기의 습도와 상관관계가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3. 절대습도는 공기 1m3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을 g으로 나타낸다. -네이버 지식백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화재조사 범위와 관련된 내용 중 화재원인 조사 내용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발화원인 조사:발화지점, 발화열원, 발화요인, 최초착화물 및 발화관련기기 등
2.
소실피해 조사:열에 의한 탄화, 용융, 파손 등의 조사
3.
피난상황 조사:피난경로, 피난상의 장애요인 등
4.
소방ㆍ방화시설 등 조사:소방ㆍ방화시설의 활용 또는 작동 등의 상황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화재원인조사와 화재피해조사는 다르다. [해설작성자 : 광주소방대표]
7.
폭발의 발생 및 성장 원인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폭굉 한계 내의 가스가 어느 정도 다량으로 존재 할 때
2.
존재된 잔여가스에 방전이나 화염, 충격 등 점화원이 작용할 때
3.
폭발범위 내에 불활성가스가 존재할 때
4.
폭발 충격으로 인한 파이프 파열로 2차적 폭발이 일어날 때
정답 : [
3
] 정답률 : 76%
8.
탄화칼슘의 자연발화 방지대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열 축적이 어려운 장소에 저장
2.
온도가 낮은 곳에 저장
3.
습도가 높은 곳에 저장
4.
불활성가스를 주입하여 산소를 차단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탄화칼슘은 물과 작용하면 발열한다. [해설작성자 : 아무개]
9.
기화열이 원인이 되어 생성되는 유류화재의 패턴은?(2017년 09월)
1.
포어패턴
2.
레인보우패턴
3.
틈새연소패턴
4.
도넛 패턴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 도넛패턴 - 거친 고리모양으로 연소된 부분이 덜 연소된 부분을 둘러 싸고 있는 형태 - 가연성액체가 웅덩이처럼 고여 있을 경우 발생 - 고리처럼 보이는 주변부나 얕은 곳에서는 바닥이나 바닥재를 탄화시키는 반면에 비교적 깊은 중심부는 액체가 증발하면서 증발잠열에 의해 웅덩이 중심부를 냉각시키는 현상 때문에 기인
* 포어패턴(=퍼붓기 패턴) - 인화성책체 가연물이 바닥에 쏟아졌을 때 액체 가연물이 쏟아진 부분과 솓아지지 않은 부분의 탄화경계 흔적을 말한다. - 이런 형태는 화재가 진행되면서 액체가연물이 있는 곳은 다른 곳보다 연소가 강하기 때문에 탄화정도의 강, 약에 의해서 구분된다. -액체가 자연스럽게 낮은 곳으로 흐른 부드러운 곡선형태, 쏟아진 모양 그대로 불규칙한 형태를 나타내기도 함.(연소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에서 뚜렷한 경계선을 나타냄)
*틈새연소패턴 - 목재마루 및 타일 등의 틈새 및 모서리에 가연성액체가 흘려질 경우 틈새를 따라서 흘러가거나 더 많은 액체가 고이게 되는데, 이 액체가 연소하면서 타 부위에 비하여 더 강하게 연소하게 되므로 진화 후에는 탄화정도에 따라서 구별을 할 수 있음. -고스트 마크와 유사하나 단순히 가연성 액체의 연소라는 점, 콘크리트나 시멘트 바닥이 아니라 마감재 표면에서 보이는 패턴이라는 점, 화재 초기에 나타나며 플래시오버와 같은 강한 화염 속에서도 쉽게 사라질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 - 방화현장에 많이 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폭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분무폭발은 기상폭발의 한 종류이다.
2.
감압폭발은 응상폭발의 한 종류이다.
3.
전선이 고상에서 급격히 액상을 거쳐 기상으로 전이할 때 발생되는 폭발은 전선폭발이다.
4.
고온의 용융금속이 물속에서 급속냉각 될 때 폭발은 과열액체 증기폭발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증기폭발 : 액화가스의 폭발적인 비등현상으로 인한 상변화에 따른 폭발현상 수증기폭발 : 액체의 폭바적인 비등현상으로 상변화에 따른 폭발현상 [해설작성자 : 119구조대]
11.
목재의 연소상황에 대한 다음 그림을 참고하여 화재가 진행된 방향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A → B
2.
B → A
3.
C → A
4.
C → B
정답 : [
2
] 정답률 : 71%
12.
건축물 화재 시 플래시 오버(Flash over)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개구부의 크기
2.
내장재료
3.
화원의 크기
4.
건물의 높이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4.건물의 높이가 아닌 건물내부의 천장 높이에 영향을 받음 천장이 너무 높으면 플래시오버가 잘 발생하지 않음
1.개구부가 너무 작거나 없으면 플래시오버 일어나기도전에 내부에 있는 산소를 전부 써버리기때문에 어느정도 필요 2.당연히 불연재료 일수록 잘안탐 3.당연히 화원이 클수록 복사열도 많이발생 [해설작성자 : free hongkong]
13.
다음 그림을 참고하여 연소의 상승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목조건축물에 해당한다.)(2020년 06월)
1.
그림(a) 단층 가옥 A에서 출화된 경우, 2층 가옥 B ②층으로 연소 확대된다.
2.
그림(b) 가옥 B의 ①에서 출화된 경우, B가옥 ②층과 함께 개구부를 통해 A가옥으로 확대된다.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문제와 보기는 원본과 동일하며 확정답안은 1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1. 성인 대퇴부(전,후)9%*2, 하퇴부(전,후)9%*2, 머리 9%, 흉부,하복부 9%*2, 배(상,하)부 9%*2,양팔 9%*2, 외음부 1% 입니다 [해설작성자 : 아론]
51.
방화에서 나타나는 물적증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연소된 시간에 비해 연소면적이 넓다.
2.
연소시간에 비해 탄화심도가 깊지 않다.
3.
방화도구가 물증으로 현장에 남는 경우가 많다.
4.
인화성 액체 사용 시 벽면에 삼각형 형태의 패턴보다 역삼각형 형태의 패턴을 띈다.
정답 : [
4
] 정답률 : 52%
52.
다음 중 증거물 수집과정에서 오염을 막기 위한 방법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2019년 04월)
1.
면장갑 대신 일회용 비닐장갑을 이용한다.
2.
빗자루, 부삽 등 증거수집도구는 오염이 되지 않도록 조치한 후에 사용한다.
3.
정확한 증거물의 수집을 위하여 무수(無水)성 또는 기타 형태의 클리너를 사용한다.
4.
증거물 수집용기의 금속 뚜껑을 수집도구로 활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53.
다음 중 화재증거물수집관리규칙상 증거물의 정의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화재와 관련 있는 가연물 및 개연성이 있는 모든 개체를 말한다.
2.
화재와 관련 있는 물건 및 필연성이 있는 모든 개체를 말한다.
3.
화재와 관련 있는 가연물 및 필연성이 있는 모든 개체를 말한다.
4.
화재와 관련 있는 물건 및 개연성이 있는 모든 개체를 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54.
화재현장 촬영 시 주요 촬영대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화재로 인한 사망자의 위치
2.
소방용 설비들의 사용 및 작동상황
3.
발화원으로 추정된 감식 및 감정대상물
4.
화재현장에 도착한 소방차들의 배치상황
정답 : [
4
] 정답률 : 73%
55.
화재현장 보존을 위한 조치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화재현장에 허가받지 않은 사람의 출입을 제한하여야 한다.
2.
화재현장 보존은 소방대 도착과 함께 시작하는 것이 좋다.
3.
화재진압대원은 증거를 불필요하게 훼손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4.
화재진압 시 화재조사의 편의를 위해 기구 등 부피가 큰 물건들을 한쪽으로 치워주는 것이 좋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56.
물리적 증거물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결론으로 맞는 것은?(2020년 06월)
1.
물질의 질량손실을 통하여 화재의 시간과 강도를 추절할 수 있다.
2.
콘크리트 폭역이 있다는 것은 바로 아래가 발화지점임을 증명한다.
3.
동일한 대기에 노출되어 있었다면 오래된 건조목이 최근의 건조목보다 더 잘 탄다.
4.
탄화물에 반짝이는 기포(alligator char)가 존재한다는 것은 액체 촉진제가 사용되었음을 증명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39%
57.
다음의 화재증거물수집관리규칙상 화재현장 사진 및 비디오 촬영 시 유의사항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화재조사요원은 규모가 작은 화재는 사진촬영 등을 생략할 수 있다.
2.
최초 도착하였을 때의 원상태를 그대로 촬영하여야 한다.
3.
소재와 상태가 명백히 나타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구분이 용이하게 번호표 등을 넣어 촬영한다.
4.
연소 확대 경로 및 증거물 기록에 대한 번호표와 화살표를 표시한 후에 촬영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9%
58.
사진촬영을 위해 현장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선정 위치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발화가 개시된 건물 정면
2.
발화지점 내부
3.
발화지역 주변의 높은 곳
4.
화염이 강하게 출화한 곳
정답 : [
3
] 정답률 : 75%
59.
연소가스 중 고농도의 이것은 눈에 접촉되면 점막을 심하게 자극하여 결막부종 및 각막혼탁을 초래하고 시력장애의 후유증을 남기는 경우가 있으며, 흡입하면 폐수종을 일으키거나 호흡정지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주로 냉동시설의 냉매로 많이 쓰이고 있으므로 냉동창고 화재 시 누출가능성이 큰 가스는?(2017년 09월)
1.
아황산가스(SO2)
2.
시안화수소(HCN)
3.
암모니아(NH3)
4.
포스겐(COCL2)
정답 : [
3
] 정답률 : 66%
60.
화재현장 주요 사진촬영 대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발굴 전의 발화지점 부근
2.
소손현장의 전경
3.
관계자 진술에 언급된 지점
4.
연소경로
정답 : [
3
] 정답률 : 64%
61.
특수건물 소유자의 손해배상책임과 보험가입 의무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화재로 인한 재해보상과 보험가입에 관한 법률을 적용한다.)(2020년 06월)
1.
특수간물 소유자는 그 건물의 화재로 인하여 다른 사람이 사망하였을 때에는 과실이 없는 경우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없다.
2.
특수건물 소유자는 그 건물의 화재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을 이행하기 위하여 그 건물에 대하여 손해보험회사가 운영하는 신체손해배상특약부화재보험에 가입하여야 한다.
3.
특수건물 소유자는 그 건물의 종업원에 대하여 산업재해보상보험에 가입하고 있을 때에는 그 종업원에 대한 화재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을 담보하는 보험에 가입하지 아니할 수 있다.
4.
특수건물 소유자는 특약부화재보험에 부가하여 풍재(風災) 등으로 인한 손해를 담보하는 보험에 가입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화재로 인한 재해보상과 보험가입에 관한 법률 제4조(특수건물 소유자의 손해배상책임) ① 특수건물의 소유자는 그 특수건물의 화재로 인하여 다른 사람이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었을 때 또는 다른 사람의 재물에 손해가 발생한 때에는 과실이 없는 경우에도 제8조제1항제2호에 따른 보험금액의 범위에서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이 경우 「실화책임에 관한 법률」에도 불구하고 특수건물의 소유자에게 경과실(輕過失)이 있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해설작성자 : 아무개]
62.
화재피해액 산정기준에서의 화재피해액 산정 대상이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애완동물
2.
영업이익
3.
원재료
4.
식물
정답 : [
2
] 정답률 : 77%
63.
소방활동구역의 설정 및 현장보존에 대한 기준 중 틀린 것은?(2017년 09월)
1.
소방활동구역의 설정은 필요한 최대의 범위로 한다.
2.
소방활동구역의 관리는 수사기관과 상호 협조하여야 한다.
3.
소방활동구역의 표시는 로프 등으로 범위를 한정하고 경고판을 부착하며 출입을 통제하는 등 현장보존에 최대한 노력하여야 한다.
4.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소화활동 시 현장물건 등의 이동 또는 파괴를 최소화하여 원활한 화재조사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현장보존에 노력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2%
64.
세대주, 건물의 소실면적 및 화재피해액의 산정에 관한 설명이 옳은 것은? (단,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을 적용한다.)(2020년 06월)
1.
소실면적의 산정은 소실 연면적을 기준으로 한다.
2.
화재피해 범위가 건물의 6면 중 2면 이하인 경우에는 6면 중의 피해면적의 합에 5분의 1을 더한 값을 소실면적으로 한다.
3.
건물 등 자산에 대한 잔가율은 건물ㆍ부대설비ㆍ가재도구는 20%로 하며, 그 이외의 자산은 10%로 정한다.
4.
세대수의 산정은 하나의 기구를 구성하여 살고 있는 독신자로서 자신의 주거에 사용되는 건물에 대하여 재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사람을 1세대로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1. 건물의 소실면적 산정은 소실 바닥면적으로 산정한다. 2. 다만, 화재피해 범위가 건물의 6면 중 2면 이하인 경우에는 6면 중의 피해면적의 합에 5분의 1을 곱한 값을 소실면적으로 한다. 3. 건물 등 자산에 대한 최종잔가율은 건물ㆍ부대설비ㆍ가재도구는 20%로 하며, 그 이외의 자산은 10%로 정한다. [해설작성자 : 아지에여]
65.
관할구역내의 화재에 대하여 조사책임을 가진 직책은? (단,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을 적용한다.)(2020년 06월)
1.
소방청장
2.
경찰서장
3.
지역자치단체의 장
4.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
정답 : [
4
] 정답률 : 74%
66.
5년 후 철거예정인 노숙자 쉼터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150m2가 소실된 경우 이 철거건물의 피해액은? (단, 이 건물은 철골조이며, m2당 재건축비는 730천원이고, 내용년수는 50년이다.)(2017년 09월)
화재피해액 산정에 있어서 재고자산의 현재시가를 정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2020년 06월)
1.
구입시의 가격
2.
재구입 가격
3.
구입시의 가격에서 사용기간 감가액을 뺀 가격
4.
재구입 가격에서 사용기간 감가액을 뺀 가격
정답 : [
1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구입 시의 가격 : 재고자산, 즉 원재료, 부재료, 제품, 반제품, 저장품, 부산물 등 [해설작성자 : 돌도리]
68.
다음의 소방기본법에 관한 내용 중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국가는 화재, 재난ㆍ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으로부터 국민의 생명ㆍ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방업무에 관한 종합계획을 3년마다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2.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은 소방활동을 할 때에 긴급한 경우에는 이웃한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소방업무의 응원(應援)을 요청할 수 있으며, 소방업무의 응원 요청을 받은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정당한 사유가 없어도 그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3.
소방대는 화재, 재난ㆍ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한 현장에 신속하기 출동하기 위하여 긴급할 때라도 일반적인 통행에 쓰이지 아니하는 도로ㆍ빈터 또는 물 위로 통행하여서는 안된다.
4.
소방본부장, 소방서장 또는 소방대장은 화재, 재난ㆍ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한 현장에서 소방활동을 위하여 필요할 때에는 그 관할역에 사는 사람 또는 그 현장에 있는 사람으로 하여금 사람을 구출하는 일 또는 불을 끄거나 불이 번지지 아니하도록 하는 일을 하게 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69.
화재피해액 산정 시 건물에 포함하여 피해액을 산정하는 것은?(2020년 06월)
1.
건물의 소화설비
2.
건물의 가스설비
3.
건물의 승강기 설비
4.
건물에 부착된 간판
정답 : [
4
] 정답률 : 56%
70.
다음 중 질문기록서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쓰레기 화재
2.
가로등 화재
3.
전봇대 화재
4.
구조물 화재
정답 : [
4
] 정답률 : 74%
71.
화재현장 조사서의 화재발생 개요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을 적용한다.)(2020년 06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