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7614771)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워드프로세싱 일반


1.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 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색인(Index) : 문서에 사용된 단어나 어휘를 빠르게 찾기 위해서 페이지 번호를 표시해 두는 기능
     2. 프린터 버퍼(Printer Buffer) : 인쇄할 내용을 임시로 보관하는 기억장소
     3. 소수점 탭(Decimal Tab) : 수치 자료의 경우 소수점을 중심으로 정수와 소수부분을 정렬하는 기능
     4. 래그드(Ragged) : 단어가 줄의 끝에서 잘릴 경우 단어 전체를 다음 줄로 이동시키는 기능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4번은 워드랩에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콩이오빠]

래그드(Ragged) : 작성된 문서가 한쪽 끝이 정렬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
[해설작성자 : 11.1일 시험 합격기원!!]

4번은 워드랩에 관한 설명이며, 작성된 문서가 한쪽 끝이 정렬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래그드라고 합니다.
[해설작성자 : Azure]

[색인(Index) = 찾아보기]
문서나 책속에 있는 낱말이나 사항 등을 빠르고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일정한 순서대로 쪽 번호와 함께 수록한 목록으로 오름차순으로만 정렬되어 표시됩니다.

[프린터 버퍼(Printer buffer)]
인쇄할 준비가 되기까지 인쇄 출력을 보내서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기억장치입니다.
출력할 데이터를 컴퓨터에서 꺼내 프린터 버퍼에 두었다가 느린 프린터의 속도에 맞추어 전송하여 컴퓨터가 다른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2. 다음 중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문서의 결재 시 결재권자의 서명란에는 서명날짜를 함께 표시한다.
     2. 둘 이상의 행정기관장의 결재가 필요한 문서는 각각의 행정기관 모두가 기안하여야 한다.
     3. 위임전결하는 경우에는 전결하는 사람의 서명란에 “전결” 표시를 한 후 서명하여야 한다.
     4. 결재할 수 있는 사람이 휴가, 출장, 그 밖의 사유로 결재할 수 없을 때에는 그 직무를 대리하는 사람이 대결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둘이상의 행정기관장의 결재가 필요하더라도 기안은 한곳에서 해도 됩니다.
보통 그 문서의 처리를 주관하는 기관에서 기안을 해야함.

3. 다음 전자출판 용어 중 이미지 변형 작업으로 채도, 조명도, 명암 등을 조절해 주는 기능을 무엇이라 하는가?(2011년 06월)
     1. 트래킹(Tracking)
     2. 프레임(Frame)
     3. 초크(Choke)
     4. 엠보스(Emboss)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3. 초크 : 이미지 변형 작업으로 채도 , 조명도, 명암 등을 조절해 줍니다. 초크는 전자출판에서 빛과 관련된 설정을 합니다.

4. 다음 중 공문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지시 문서에서는 훈령, 지시, 예규, 일일 명령등이 있다.
     2. 기안문 또는 시행문의 결문에는 행정 기관명, 생산 등록 번호, 접수 등록 번호 등이 있다.
     3. 전자 문서 상의 서명에는 전자 문자 서명, 전자 이미지 서명, 행정 전자 서명 등이 있다.
     4. 조례, 규칙은 법규 문서이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행정기관명 : 두문에들어가는것
두문 : 행정기관명, 수신자를 기재하는곳
본문 : 붙임이나 제목, 혹은 내용이 들어가고, 나머지는 결문에적음

5. 다음 중 아래 보기의 내용이 설명하는 워드프로세서의 용어로 옳은 것은?(2016년 06월)

   

     1. 색인(Index)
     2. 스풀링(Spooling)
     3. 하드 카피(Hard Copy)
     4. 보일러 플레이트(Boiler Plate)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색인은 배열 내의 한 항목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나 숫자로서, 기호나 숫자를 검색하여 필요한 자료를 찾아낼 수 있는 기능을 말 하고 스풀링은 입출력할 내용물을 보조기억장치(주로 하드디스크) 등에 기록하여 두었다가 중앙처리장치가 쉬는 틈틈히 입출력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을 의미하고 하드 카피는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인쇄 매체를 사용하여 종이나 필름에 인쇄한 인쇄물을 말 하고 보일러 플레이트는 보충 설명이나 메모를 위해 따로 설정한 구역으로 예로는 각주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불량염소]

[색인(Index) = 찾아보기]
문서나 책속에 있는 낱말이나 사항 등을 빠르고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일정한 순서대로 쪽 번호와 함께 수록한 목록으로 오름차순으로만 정렬되어 표시됩니다.

[스풀링(Spooling)]
다중 프로그래밍 환경하에서 용량이 크고 신속한 액세스가 가능한 디스크(보조기억장치)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 프로그램이 입출력할 데이터를 직접 입출력 장치로 보내지 않고 디스크에 모았다가 나중에 한꺼번에 입출력함으로써 입출력장치의 공유 및 상대적으로 느린 입출력장치의 처리속도를 보완하는 기법입니다.
고속의 CPU와 저속의 입출력장치가 동시에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높은 효율로 여러작업을 동시 병행 작업할수 있게하여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켜 줍니다.

[하드 카피(Hard Copy)]
화면에 표시된 문서나 내용을 프린터와 같은 출력장치로 실제 물리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출력된 결과물에 수정이 불가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6.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저장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암호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2. 새 이름으로 저장하면 저장 위치 및 파일 이름, 저장 형식을 변경할 수 있다.
     3. 텍스트 파일 형식으로 저장하면 다른 워드프로세서에서 불러올 수 없다.
     4. 확장자가 .bak인 파일(백업파일)은 파일을 다시 저장하기 직전에 저장된 상태가 보관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텍스트 파일 형식으로 저장한 후 다른 워드프로세서에서도 불러올 수 있습니다. 한글의 경우도 불러오기에 형식을 텍스트(TXT)로 맞추면 불러올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셀리르]

7. 다음 중 공문서의 번호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1. 법규문서는 연도구분과 관계없이 누적되어 연속되는 누년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2. 지시문서 중 훈령 및 예규에는 누년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3. 공고문서는 연도표시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4. 일일명령, 지시는 연도별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일일명령은 연도별 일련번호를 사용하고, 지시는 연도표시 일련번호를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빠오]

일일명령에는 연도별로 구분하여 매년 새로 시작되는 일련번호로서 연도표시가 없는 번호(이하 "연도별 일련번호"라 한다)를 부여하며, 지시에는 연도표시와 연도별 일련번호를 붙임표(-)로 이은 번호(이하 "연도표시 일련번호"라 한다)를 부여한다.
[조문정보 | 국가법령정보센터]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8. 다음 중에서 조합 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다른 키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특정기능을 수행한다.
     2. 프로그램에서 단축키(Hot Key)의 형태로 사용된다.
     3. 한 개의 키가 두 가지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누를 때마다 기능이 전환된다.
     4. Alt, Shift, Ctrl 키가 조합키에 해당된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3번은 토글키에 대한 설명입니다.(Caps Lock, Num Lock, Scroll Lock 등)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9. 다음 중 스타일(Style)에서 지정할 수 없는 것은?(2008년 07월)
     1. 글자 모양
     2. 문단 모양
     3. 탭 설정
     4. 다단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다단은 [모양]-다단에서 설정한다

10. 다음 중 문서관리의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정확성 : 문서를 옮겨 적거나 다시 기재하는 것을 줄이고, 복사해서 사용한다.
     2. 용이성 : 문서를 쉽게 작성하고, 판단 사무를 작업 사무화 한다.
     3. 신속성 : 반복되고 계속되는 업무는 유사 관련 자료를 참고 하여 사무의 절차와 방법을 간소화한다.
     4. 경제성 : 문서의 집중 관리 및 처리를 통하여 경비를 절약 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신속성 : 문서 처리를 보다 빨리 수행하기 위한 것
다른건 첫글자에 문서가 들어가는데 신속성에만 문서가 들어가질 않네용
[해설작성자 : ㅎㅎ]

정확성: 문서를 착오 없이 올바르게 처리하기 위한 것 / 문서를 옮겨 적거나 다시 기재하는 것을 줄이고 복사해서 사용
신속성: 문서 처리를 보다 빨리 수행하기 위한 것 / 문서의 경유처를 최대한 줄이고, 문서가 정체되는 것을 방지함
용이성: 문서를 취급하는 주체인 사람이 업무를 간편히 처리하기 위한 것 / 반복되고 계속되는 업무는 유사 관련 자료를 참고하여 사무의 절차와 방법을 간소화함
경제성: 문서 처리에 관련된 모든 사무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것 / 문서의 집중 관리 및 처리를 통하여 결비를 절약함
[해설작성자 : 탁탁]

3번은 용이성에 해당하는 내용
신속성 : 문서 처리를 보다 빨리 수행하기 위한 것, 문서의 경유처를 최대한 줄이고, 문서가 정체되는 것을 방지함
용이성 : 문서를 취급하는 사람이 업무를 간편히 처리하기 위한 것, 반복되고 계속되는 업무는 유사 관련 자료를 참고하여 사무의 절차와 방법을 간소화함
[해설작성자 : Untitle]

11. 다음 중 한글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KS X 1001 완성형 한글코드는 한글 2350자, 한자 4888자, 특수문자 1128자 등을 표현할 수 있다.
     2. KS X 1001 조합형 한글코드는 정보 교환 시 제어문자와 충돌하지 않아 정보 교환용으로 주로 사용한다.
     3. KS X 1005-1 한글코드는 완성형을 토대로 조합형의 장점을 수용한 코드로 영문과 한글 모두를 2바이트로 표현한다.
     4. KS X 1001 조합형 한글코드는 한글 11172자를 표현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조합형 한글코드는 정보 교환 시 데이터의 충돌이 발생함, 정보처리용으로 사용한다.
완성형 한글코드는 정보 교환 시 데이터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음, 정보 교환용으로 사용한다.

12.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인쇄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기본 프린터의 드라이버는 새로 등록할 수 있다.
     2. 프린터 아이콘을 더블클릭하면 인쇄 대기 중인 문서의 목록을 볼 수 있다.
     3. 문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는 픽셀(Pixel)이며, 전각문자는 가로 폭과 세로 높이의 비율이 1:2 이다.
     4. 낱장 인쇄 용지의 A판과 B판의 가로:세로의 비율은 1: 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문자크기의 단위는 포인트(Point)입니다.
전각문자는 가로폭과 세로높이의 비율 또한 1:1 입니다.
가로 폭과 세로 높이의 비율이 1:2인 문자에는 '종배문자', '반각문자'가 있습니다.

13. 다음 중 고도의 압축기법을 통해 파일의 용량을 줄인 외곽선 형태의 글꼴로 주로 통신용으로 사용되는 글꼴 형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06년 08월)
     1. 오픈 타입(Open Type)
     2. 트루 타입(True Type)
     3. 포스트 스크립트(Post Script)
     4. 비트맵(Bitmap) 방식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압축된 글꼴-->오픈타입    윈도우 기본글꼴-->트루타입     확대했을경우 울퉁불퉁한 계단모양 표시->비트맵    세가지는 잘 외워두세요.

14. 다음 중 글꼴(Font)의 구성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비트맵(Bitmap) : 점(Dot)으로 글꼴을 표현하는 방식이다.
     2. 포스트 스크립트(Post Script) : 글자의 외곽선 정보를 각종 그래픽 소프트웨어에 제공하며, 위지윅을 지원 할 수 있다.
     3. 오픈타입(Opentype) : 외곽선 글꼴 형태로 고도의 압축을 통해 용량을 줄여 통신을 이용한 폰트의 전송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4. 벡터(Vector) : 글자를 선, 곡선으로 처리한 글꼴로 확대하면 테두리 부분이 계단모양으로 변형되어 흐려진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확대하면 테두리 부분이 계단모양으로 변형되어 흐려지는 것은 비트맵이다.
백터는 문자의 좌표를 입력받아 점과 점을 연결하는 선분 또는 곡선으로 문자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플로터에서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덕일전자공업고등학교 배서진]

[벡터(Vector)]
하나의 화면에 위치하는 각 점과 점 사이를 직선이나 곡선으로 이어 그려주는 표시 방법입니다.
주어진 벡터 값 기반으로 이미지를 화면에 매번 그려주므로 이미지 사이즈가 변경 되더라도 해상도가 낮아지거나 선명도가 떨어지지 않습니다.
좌표 개념을 도입하여 이동, 회전과 같은 변경이 쉽습니다.
대표적으로 AI, DXF, WMF, 등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15. 다음 중 커닝(Kerning)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2008년 02월)
     1. 대상체의 색상이 약할 때 조정해 주는 기능
     2. 완성된 페이지를 미리 보는 기능
     3. 기존의 이미지를 다른 색조로 변형시키는 기능
     4. 문자나 단어 사이의 여백 조정 기능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시험칠때 옆친구 시험지 빼낄 때 쓴다고 기억하세요.
빼낄려면 친구와 나사이의 여백(간격)을 조절해서 봐야겠죠?
그래서 답은 4번입니다.

커닝의 정확한 뜻은
어간좁히기. 인쇄물의 조판에서 시각적으로 보기 좋게 하기 위해 단어들간의 간격(語間)을 보통의 경우보다 좁게 좁히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어둠그림자]

16. 다음 중 전자문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전자문서인 경우에 전자적 방법으로 쪽번호 또는 발급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2. 각급 행정기관에서는 전자문서에 사용하기 위하여 전자이미지관인을 가진다.
     3. 대체적으로 전자문서인 경우에는 처리과의 기안자나 문서의 수신·발신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이 전자이미지관인을 찍는다.
     4. 모든 전자문서는 개인 문서함에 보관하면 안 되고 공통 문서함에 보관하여 누구나 열람할 수 있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전자문서의 내용 및 송수신 여부를 증명해 주는 공신력있는 제3의 기관으로 공인전자문서보관소가 있다
[해설작성자 : sopi]

[전자 문서(Electronic Documents)] 
컴퓨터 등 정보 처리 능력을 가진 장치로 문서 작성기에 의하여 전자적인 형태로 작성, 송.수신 또는 저장되는 문서입니다.
공문서의 일반적인 기안 원칙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17. 다음 중 공문서에 대한 행정기관장의 역할이 아닌 것은?(2007년 05월)
     1. 일반적으로 공문서의 결재권자이다.
     2.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문서를 접수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한다.
     3. 이미지를 위조 또는 부정사용하지 못하도록 필요한 안전장치를 한다.
     4. 행정사무의 표준화를 위해 행정 전산망 공통행정코드를 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행정 전산망 공통행정코드는 행정안전부 장관이 정함.

18. 다음 중 하이퍼텍스트(Hypertext)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문서와 문서가 순차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관련된 내용을 차례대로 참조하는 기능이다.
     2. 하이퍼텍스트에서 다른 문서간의 연결을 링크 (Link)라고 한다.
     3. 링크를 이용하면 하나의 문서를 보다가 내용 중의 특정 부분과 관련된 다른 부분을 쉽게 참조할 수 있다.
     4. 이를 이용한 대표적인 것으로 Windows의 도움말이 나 인터넷 웹페이지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순차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순서대로만 참조할 수 있다는 뜻으로 '선형성'이라고도 한다.
하이퍼텍스트는    '비선형성'을 띠고 있으므로 원하는 부분을 무작위로 자유롭게 참조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NA]

19. <보기 1>의 문장이 <보기 2>의 문장으로 수정되기 위해 필요한 교정부호들로만 순서대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5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4. 들여쓰기→잘라내기→띄어쓰기→글자바꾸기
[해설작성자 : 독도는 한국땅]

20. 다음 중 교정부호 사용 시 유의할 점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교정부호를 표시하는 색은 눈에 잘 띄게 한다.
     2. 교정부호는 지정한 부호를 사용해서 교정한다.
     3. 한 번 교정된 부분은 다시 교정할 수 없다.
     4. 교정부호가 너무 복잡하거나 난해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교정취소 교정부호를 사용해서 다시 교정이 가능합니다.

2과목 : PC 운영 체제


21.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파일 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NTFS와 비교하여 FAT32는 보안 기능이 강화되었으며, 드라이브나 폴더의 압축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2. NTFS에서 FAT32로 변화하려면 드라이브 또는 파티션을 다시 포맷하여야 한다.
     3. NTFS는 플로피디스크에서 사용할 수 없다.
     4. FAT32에서 최대 파일 크기는 4GB이지만, NTFS에서 파일의 크기는 볼륨 크기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FAT32(Windows98)보다 NTFS(Windows 2000, Windows XP)가 나중에 나온 파일 시스템이므로 NTFS 가 보안 기능이 더 좋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22. 한글 Windows XP에서 [Windows 탐색기]의 사용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2월)
     1. [탐색기]의 왼쪽에 있는 폴더 탐색 창은 폴더 구조를 트리 형태로 보여준다.
     2. 화면 왼쪽의 폴더 탐색 창에서 [-]가 표시된 폴더를 클릭하면 선택된 폴더의 하위 폴더의 내용이 표시된다.
     3. [탐색기] 왼쪽의 폴더 탐색 창에 있는 폴더의 내용을 보려면 해당 폴더를 클릭하면 된다.
     4. 폴더 탐색 창의 경계선을 마우스로 드래그하면 창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표시를 클릭하면 [+]로 변하면서 하위 폴더를 다시 숨겨버리고 [+]기호를 클릭하면 [-]로 변하면서 하위 폴더를 열어 보여준다.

2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연결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문서나 그림 같은 특정한 데이터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파일의 확장자에 의해 결정된다.
     2. 특정한 데이터 파일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연결 프로그램]-[프로그램 선택]을 선택하면 연결 프로그램을 변경할 수 있다.
     3. 특정한 데이터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연결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Windows] 창이 표시되는데, 이는 현재 연결 프로그램이 지정되지 않았다는 의미이다.
     4. [연결 프로그램] 대화 상자에서 연결 프로그램을 삭제하면 연결된 데이터 파일도 삭제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연결 프로그램을 삭제한다고 해서 데이터 파일까지 삭제되지는 않습니다.
단지 연결되어있던 프로그램과의 연결이 끊기기만 하는거죠.
[해설작성자 : 카스타드~]

24.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파일 및 폴더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폴더 내에서 파일이나 하위 폴더의 이름을 바꿀 때는 항목을 선택한 후에 [파일] 메뉴의 [이름 바꾸기] 항목을 선택한다.
     2. 파일이나 폴더가 복사 또는 이동할 때 잠시 기억되는 임시 기억장소를 클립보드라고 한다.
     3.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복사할 때에는 마우스 포인터의 오른쪽 아래에 + 표시가 나타난다.
     4. 파일과 폴더는 계층적 구조로서 언제나 파일은 폴더들을 포함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파일과 폴더는 계층적 구조로서 언제나 파일은 폴더들을 포함한다고 나오는데
폴더안에 파일이있습니다.

25. 한글 Windows XP에서 [Windows 작업 관리자] 대화 상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8월)
     1. [Ctrl]+[Alt]+[Delete] 키를 동시에 누르면 표시된다.
     2. 현재 실행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작업 끝내기를 할 수 있다.
     3. [시작] 단추와 시계를 표시할 수 있다.
     4. 끄기, 다시 시작, 사용자 전환 등을 위한 [시스템 종료] 메뉴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작업 표시줄 및 시작 메뉴 속성]에서 알림 영역에 시계 표시를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이쁜아이♥]

26.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검색 결과] 창에서 파일 또는 폴더를 검색하는 방법으로 가능하지 않은 것은?(2008년 07월)
     1. 특정 기간 동안 수정된 파일을 모두 찾기
     2. 일정 횟수 이상 변경된 파일을 모두 찾기
     3. 일정 크기 이상의 파일을 모두 찾기
     4. 특정 문자열이 내용 중에 포함된 텍스트 파일을 모두 찾기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파일또는 검색은수정된날짜, 파일의 크기, 고급옵션, 파일에 들어있는 문자열, 찾는위치, 파일형식등으로 찾을수 있음.
횟수나 특성(속성)으로는 찾을수없음.
[해설작성자 : 인천미래컴]

27.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사용하는 바로 가기 키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윈도우 로고] 키 : [시작] 메뉴를 표시한다.
     2. [윈도우 로고] 키 + [D] : 열려 있는 모든 창을 최소화하거나 이전 크기로 복원한다.
     3. [윈도우 로고] 키 + [E] : Windows 탐색기를 실행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4. [윈도우 로고] 키+ [R] : [검색 결과] 창을 표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윈도우 로고] + [R] : [실행]창이 뜹니다!
[해설작성자: 시크한쌤 힘내요!]

4. [윈도우 로고]키 + [F3] : [검색결과] 창을 표시합니다
[해설작성자 : 두번의 기회]

4.윈도우 로고키+F: [검색결과] 창을 표시합니다.
[해설작성자 : 완전하자]

28. 한글 Windows XP에서 탐색기의 [도구]-[폴더 옵션] 창에서 설정할 수 없는 작업은?(2006년 11월)
     1. 폴더에 일반 작업 표시를 설정할 수 있다.
     2. 같은 창에서 폴더 열기를 설정할 수 있다.
     3. 마우스 한번 클릭으로 파일이나 폴더 열기를 설정할 수 있다.
     4. 폴더에 표시되는 글자의 폰트를 새로이 설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글꼴에 관한 것은 제어판-->글꼴에서 지정합니다.

29.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마우스 속성] 창에서 설정할 수 있는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1. 마우스 포인터의 지정
     2. 포인터와 휠의 생성 및 삭제
     3. 휠을 한 번 돌릴 때 스크롤할 양
     4. 두 번 클릭의 속도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포인터와 휠의 생성 및 삭제는 불가능합니다.

30.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사용하는 클립보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복사나 이동을 위하여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임시 기억 공간이다.
     2. 클립보드는 여러 번 사용이 가능하지만 가장 최근에 지정된 데이터만을 기억한다.
     3. 클립보드에 저장된 내용은 시스템을 재부팅한 후에도 재사용할 수 있다.
     4. [실행] 창에서 'clipbrd.exe'를 입력하여 클립북 뷰어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클립보드는 임시로 저장되는 임시기억장소이며 전원이 꺼졌다 켜졌을 경우에는 사라집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1.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Windows 보안 센터]에서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2013년 10월)
     1. 네트워크 연결
     2. 자동 업데이트
     3. 방화벽
     4. 바이러스 백신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Windows XP의 <Windows보안센터>에서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에 접근하기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방화벽이다.
방화벽은 컴퓨터에 외부로 부터 들어오는 바이러스를 막아주기도 한다.

32.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네트워크 설정 마법사]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설정하는 과정에서 수행 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프린터 공유, 파일 및 폴더 공유를 설정할 수 있다.
     2. 네트워크 설치 디스크를 만들 수 있다.
     3. Windows 방화벽을 설정할 수 있다.
     4.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은 탐색기 - 도구 -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항목으로 할 수 있다.

33.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사용하는 [휴지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USB 메모리에 있는 파일을 선택한 후 키를 눌러 삭제하면 휴지통으로 가지 않고 완전히 지워진다.
     2. 지정된 휴지통의 용량을 초과하면 가장 최근에 삭제된 파일부터 자동으로 지워진다.
     3. 삭제할 파일을 선택하고 키를 누르면 해당 파일이 휴지통으로 이동한다.
     4. 휴지통의 크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를 KB 단위로 지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USB 메모리에 있는 파일을 선택한 후 Delete 키를 눌러 삭제하면 휴지통으로 가지 않고 완전히 지워집니다.

※ 휴지통에 저장되지 않고 바로 삭제되는 경우
- USB 메모리에 있는 파일을 선택한 후 Delete 키를 눌러 삭제하면 휴지통으로 가지 않고
완전히 지워집니다. (USB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삭제하는 것입니다.)

- 삭제할 파일 선택 후 Shift + Delete 키를 누르면 휴지통으로 가지 않고 바로 삭제됩니다.
- 네트워크상의 다른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삭제한 경우입니다.
- 휴지통 비우기를 실행한 경우입니다.
- 휴지통 속성 의 [파일을 휴지통에 버리지 않고 삭제할 때 바로 제거] 를 선택한 경우입니다.
- 휴지통 속성 에서 휴지통의 크기를 0%로 설정한 경우입니다.
- 플로피 디스크나 USB 메모리, DOS 모드, 네트워크 드라이브에서 삭제한 경우입니다.
- 같은 이름의 항목을 복사 이동 작업으로 덮어 쓴 경우입니다.

2번 : 지정된 휴지통의 용량을 초과하면 가장 나중에(오래된) 삭제된 파일부터 자동으로 지워집니다.
3번 : 삭제할 파일을 선택하고 Shift + Delete 키를 누르면 휴지통으로 이동되지 않고 바로 삭제됩니다.
4번 : 휴지통의 크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를 MB 단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34.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할 수 있는 디스크 포맷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디스크를 포맷하면 디스크의 모든 데이터가 지워진다.
     2. 빠른 포맷은 디스크의 불량 섹터를 검색하지 않고 디스크에서 파일을 제거한다.
     3. 디스크 포맷 창에서 용량, 파일 시스템, 할당 단위 크기, 볼륨 레이블 등의 확인도 가능하다.
     4. 로컬 디스크 (C:)의 포맷 창에서 MS-DOS 시동 디스크를 만들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④ MS-DOS 시동디스크는 플로피디스크에만 만들수 있습니다.
그외 USB(이동식 저장장치),로컬디스크등에는 만들수 없습니다.
요즘은 거의 플로피디스크를 사용하지 않으니, 필요없는 기능이라고 생각하네요^^;;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프로그래머(여러분의 합격을 기원합니당!)]

35.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부팅 메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Windows를 시작할 때 <F2> 키를 누르면 고급 부팅 옵션 창이 표시된다.
     2. [컴퓨터 복구] 항목은 부팅에 문제가 있거나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때 시스템의 초기 상태나 최적의 상태로 복원시키고자 사용한다,
     3. [안전 모드] 항목을 선택하면 컴퓨터 작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장치만을 설정하여 부팅한다.
     4. [표준 모드로 Windows 시작] 항목은 한글 Windows7 의 기본 부팅 방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F2는 폴더 파일이름 바꾸기이다

고급 부팅 옵션은 F8

36.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제공하는 [Windows 방화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1. 해커나 악성 소프트웨어가 네트워크나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에 액세스 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기능이다.
     2. [인바운드 규칙] 사용을 설정하면 방화벽은 내부에서 사용자 컴퓨터로 나가는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3. Windows 방화벽이 새 프로그램을 차단할 때 알림을 표시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4. 연결 보안 규칙의 종류에는 격리, 인증 예외, 서버 간, 터널, 사용자 지정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인바운드는 들어오는 것
아웃바운드는 나가는 것입니다

금 밟고 나가면 아웃
[해설작성자 : 김강]

37. 한글 Windows XP에서 시스템 도구인 [디스크 조각 모음] 프로그램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저장 매체는?(2006년 08월)
     1. CD-ROM 드라이브
     2. 네트워크 드라이브
     3. Windows가 지원하지 않는 디스크 압축 프로그램에 의해 압축된 드라이브
     4. 파티션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파티션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란
1개의 물리적 하드디스크를 1개의 논리드라이브 즉 C드라이브하나만 설정하던지
아니면 1개의 물리적 하드 디스크를 2개이상의 논리적 드라이브로 설정하는 것
즉, C드라이브, D드라브 형태로 분할하는것을 말합니다.
결론적으로 여러분들이 사용하는 모든 하드디스크는 파티션된 드라이브로써 [디스크 조각 모음]이 가능합니다.

38.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창에서 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활성 네트워크 보기에서는 연결된 네트워크 이름, 액세스 형식, 연결 상태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 무선, 광대역, 전화접속 연결 등을 설정하거나 라우터 또는 액세스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3. 다른 네트워크 컴퓨터에 있는 파일이나 프린터에 액세스하거나 공유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4. 연결에 사용할 네트워크 드라이브와 폴더를 지정하고,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및 끊기를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컴퓨터]의 바로가기 메뉴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을 클릭하여, 네트워크 드라이브와 폴더를 설정하고,
[네크워크 드라이브 연결 끊기]를 클릭하여 네트워크 드라이브의 연결을 끊을 수 있습니다.
즉, 1,2,3번은 [네트워크] 아이콘의 바로가기 메뉴-[속성]에서, 4번은 [컴퓨터]의 바로가기 메뉴-[속성]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세종 송쌤]

39. 한글 Windows XP에서 [검색 결과] 창의 파일이나 폴더 검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파일이나 폴더의 읽기 전용 또는 숨김 등의 특성을 조건으로 검색할 수 있다.
     2. 바뀐 날짜의 이전 몇 일 이라는 조건으로 검색할 수 있다.
     3. 포함하는 문자열을 조건으로 검색할 수 있다.
     4. 파일 크기의 조건으로 검색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숨긴 파일 및 폴더'의 조건으로는 검색이 가능하나, '읽기 전용'의 조건으로는 검색할 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TjsTjs]

40.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파일이나 폴더의 복사와 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복사(Ctrl+C)나 잘라내기(Ctrl+X)를 사용하면 정보가 클립보드에 기억된다.
     2. 같은 드라이브에서 파일이나 폴더를 드래그 앤 드롭하면 복사가 된다.
     3. 복사(Ctrl+C)나 잘라내기(Ctrl+X)를 선택한 후에는 붙여넣기를 실행해야 한다.
     4. 복사는 원본이 그대로 있고, 이동은 원본이 새로운 장소로 옮겨진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같은 드라이브에서는 이동이 되고 다른 드라이브에서는 복사가 된다.
[해설작성자 : 곧 시험]

41. 다음 중 컴퓨터의 수치 데이터 표현에서 고정 소수점 방식과 비교하여 부동 소수점 방식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연산 속도가 매우 빠르며 수의 표현 범위가 넓다.
     2. 부호, 지수부, 가수부로 구성되어 있다.
     3. 소수점이 포함된 실수를 표현하는데 사용한다.
     4. 양수와 음수 모두 표현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연산 속도가 느리며 수의 표현 범위가 넓다. 예를 들면, -638,020,000을 -6.3802×10의8승(10을 8번 곱한것) 과 같이 표시한다.
[해설작성자 : 불량염소]

[고정 소수점 & 부동 소수점]
고정 소수점 : 연산시 소수점의 위치가 정해져 있는 방식으로 소수점을 가상적으로 연산 데이터의 가장 오른쪽 끝에 두고 수치를 모두 정수 취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동 소수점 : 컴퓨터에서 실수를 표시하는 것으로 소수점의 위치가 움직인다하여 부동(浮 : 뜰 부 , 動 : 움직일 동)소수점이라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2. 다음 중 사용하는 데이터 형태에 따라 컴퓨터를 분류하고자 할 때, 아래의 설명과 같은 특징을 가지는 컴퓨터로 옳은 것은?(2016년 06월)

    

     1. 하이브리드 컴퓨터
     2. 디지털 컴퓨터
     3. 아날로그 컴퓨터
     4. 범용 컴퓨터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하이브리드 컴퓨터는 아날로그 컴퓨터와 디지털 컴퓨터의 장점만을 모아놓은 컴퓨터이고 디지털 컴퓨터는 우리가 흔하게 사용하는 컴퓨터이고 아날로그 컴퓨터는 병원에서 보는 심장박동 표시하는 기계(저도 몰랐지만 아날로그 컴퓨터의 일종이라네요..;;)로 생각하시면 되고 범용 컴퓨터는 컴퓨터의 사용 목적이 지정되지 않고, 운영체제(OS)와 여러가지 응용 소프트웨어가 준비되어 있어서, 무엇이든 필요한 작업을 처리할 수 있게 설계된 대형 컴퓨터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불량염소]

범용은 디지털컴퓨터
특수목적용은 아날로그컴퓨터
[해설작성자 : jy]

43. 다음은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장단점을 설명한 것이다. 단점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인가?(2012년 03월)
     1. 데이터의 무결성이 증가한다.
     2. 데이터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된다.
     3. 질의어를 통하여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다.
     4. 데이터의 복구가 어려워진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2,3,번은 장점
4번은 단점, 데이터 복구가 어렵다는것은 단점에 해당
[해설작성자 : 유제석]

44. 다음 중 멀티미디어 활용분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VCS : 전화, TV를 컴퓨터와 연결해 각종 정보를 얻는 뉴 미디어
     2. VOD :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정보를 원하는 시간에 볼 수 있도록 전송
     3. VR : 컴퓨터그래픽과 시뮬레이션 기능을 이용해 가상세계 체험
     4. Kiosk : 백화점, 서점, 터미널 등에서 사용하는 무인안내 시스템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VCS는 화상회의시스템입니다
[해설작성자 : 내일 꼭 합격! ]

VCS는 화상회의시스템 입니다 예를 들자면, zoom(줌)같은거 말이죠.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이다... 조진거 같다..]

45. 다음 중 아래의 보기에서 설명하는 네트워크 관련 용어로 옳은 것은?(2018년 09월)

    

     1. DNS(Domain Name System)
     2.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3.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4. 게이트웨이(Gateway)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DNS : 문자로 된 도메인 네임을 숫자로 된 IP주소로 바꿔주는 시스템
3. NAT : 사설 IP주소를 공인 IP주소로 바꿔주는데 사용하는 통신망의 주소 변환기
4. 게이트웨이 : 다른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출입구 역할을 하는 장치
[해설작성자 : 0321]

[DNS(Domain Name Service)]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문자로 되어 있는 도메인이나 호스트 이름을 숫자로 된 IP주소로 해석해주는 TCP/IP 네트워크 서비스입니다.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공인 IP주소를 사설 IP주소로 바꿔주는 주소 변환기입니다.
공인 IP주소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공인 IP를 사설 IP로 상호 변환할 수 있도록 하여 공인 IP를 다수가 함께 사용 할수 있게끔합니다.
공인IP로 외부 침입자가 있어도 내부 사설 IP에 관하여는 알기 어려우므로 이를 통해 네트워크를 보호 할 수 있습니다.

[게이트 웨이(Gate Way)]
통신 네트워크의 출입문으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통신망과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로 데이터 형식 변환, 주소 변환, 프로토콜 변환등을 수행합니다.
네트워크 사이에 IP패킷을 라우팅하거나 전달하는 장치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6. 인터넷을 통한 해킹과 관련하여 데이터의 무결성(integrity)에 대한 위협 요소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2009년 10월)
     1. 사용자 데이터 변조
     2. 메모리 훼손
     3. 전송 메시지 변조
     4. 네트워크 구성 정보 유출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무결성이란 데이터의 결점이 없다는 뜻입니다.
인터넷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때 데이터가 이상하게 바뀐다거나 누출될 경우 무결성에 문제가 생겼다라고 합니다. 즉 데이터가 훼손되거나 누출되는것이 해당하는 것이지 실제 물리적(하드웨어) 기억장치인 메모리 훼손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47. 다음 중에서 주소 대신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는 기억장치는?(2007년 07월)
     1. 가상(Virtual) 기억장치
     2. 연상(Associative) 기억장치
     3. 캐시(Cache) 기억장치
     4. 보조(Auxiliary) 기억장치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기억되어 있는~~ 하면 기억을 더듬는 연상을 떠올리세요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접근하는 것은 연상기억장치입니다.
[해설작성자: 원주 조민아^^]

48. 비트맵 이미지(Bitmap Image)는 픽셀(Pixel) 단위로 처리되기 때문에 저해상도에서 곡선이나 사선을 표현할 때에는 계단 현상이 발생한다. 이 때 가장자리의 픽셀들을 주변 색상과 혼합한 중간 색상을 넣어 외형을 부드럽게 만드는 방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07년 03월)
     1. 클로닝(Cloning)
     2. 디더링(Dithering)
     3. 리터칭(Ritouching)
     4. 앤티앨리어싱(Anti-aliasing)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외형을 부드럽게 만든다 라는 표현이 있으면 앤티앨리어싱 이 답.

49. 다음 중 컴퓨터 네트워크의 장점과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7월)
     1.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증가할수록 전송 속도가 빨라진다.
     2.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정보를 수집하고 교환할 수 있다.
     3. 여러 컴퓨터의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4. 컴퓨터 자원이 연결되어 있는 위치에 관계없이 프로그램, 데이터, 각종 주변기기 등을 공유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증가할수록 전송 속도가 느려집니다.

50. 다음에서 설명하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 형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9년 08월)

    

     1. WAVE
     2. RA/RM
     3. MP3
     4. MIDI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악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영어: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줄여서 MIDI(미디, /ˈmɪdi/))는 전자 악기끼리 디지털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해 각 신호를 규칙화한 일종의 규약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전자 악기끼리 디지털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해 각 신호를 규칙화한 일종의 규약입니다.
악기와 컴퓨터, 악기와 악기끼리 주고 받을 수 있는 언어와 통로의 신호 체계 표준입니다.
음성이나 효과음은 저장이 불가능하고 연주 정보만 저장하기에 용량이 작습니다.
음악에서 사용되는 음의 특성을 기호로 정의하여 이의 내용을 정의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1. 네트워크상에서 물리적인 네트워크 주소(MAC : Media Access Control)를 IP주소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어느 것인가?(2010년 03월)
     1. RARP
     2. ARP
     3. SLIP
     4. SNMP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RARP =    MAC(Media Access Control) --> IP(Internet Protocol)
ARP    =    IP(Internet Protocol) --> MAC(Media Access Control)
SLIP = 디지털망에서 디지털 신호의 한 비트 또는 여러 연속된 비트들이 손실되거나 중복되는 현상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 IETF가 망관리를 위해 규약화한 것으로,    UDP / IP 상에서 동작하는 비교적 단순한 형태의 메시지 교환형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뉠쌤]

52. 다음 중 단방향 통신만 가능한 시스템 버스는?(2007년 10월)
     1. 주소 버스
     2. 데이터 버스
     3. 로컬 버스
     4. 제어 버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주소버스는 CPU가 메모리나 입출력기기의 주소를 지정할때 사용하는 단방향전송선입니다. 답만 암기하세요.

53. 다음 중 멀티미디어 PC의 주변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2월)
     1. DVD는 기존 CD와 같은 크기로 한 면에 4.7GB의 정보를 담을 수 있다.
     2. CD-R은 기록은 할 수 없고, 단지 읽기만 가능한 CD이다.
     3. CD-RW는 여러번 삭제와 기록이 가능한 CD이다.
     4. 비디오 오버레이 보드는 외부 비디오 신호를 컴퓨터 화면에 보여주는 기기이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2. CD-R은 한번 기록이 가능한 장치
     읽기만 가능한 CD는 CD-ROM이다.

54. 다음 중 압축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일반적으로 텍스트 파일에 비해 그림 파일의 압축률이 좋다.
     2. 압축이 된 파일 여러 개를 모아 다시 한꺼번에 압축하면 압축률이 별로 좋지 않다.
     3. 압축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파일의 크기를 줄여준다.
     4. 텍스트 파일의 압축은 100% 원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가역적 압축이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그림파일 보다는 텍스트 파일 압축율이 높습니다.
보통 그림파일은 자체적으로 압축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번 압축한 파일을 다시 압축 한다고 하여 압축율이 높아 지지는 않습니다.

55. 다음 중 운영체제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1.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은 데이터나 파일의 표준적인 관리 및 전송을 관리한다.
     2. 사용자가 일을 시스템에 의뢰하고 나서 그 결과를 얻을 때까지 걸린 시간을 응답 시간이라 한다.
     3. 언어번역 프로그램에는 컴파일러, 인터프리터, 어셈블러 등이 있다.
     4.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이나 파일을 주기억 장치로 이동시키는 프로그램을 링커(Linker)라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링커란 두 개 이상의 목적 프로그램을 합쳐서 실행 가능한 한 개의 프로그램으로 만드는 작업을 하는 프로그램 입니다. 나머지 3개는 맞는 설명입니다.

56. 다음 중 처리할 데이터를 일정량 또는 일정기간 모아 두었다가 필요할 때 한 번에 처리하는 시스템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06년 11월)
     1. 분산(Distributed) 시스템
     2. 실시간 처리(Real Time Processing) 시스템
     3. 시분할(Time Sharing) 시스템
     4. 일괄처리(Batch Processing) 시스템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 분산 처리 시스템 :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작업과 자원을 분산시켜 처리하는방식
2. 실시간 처리 시스템: 자료가 입력되는 즉시 처리하는 시스템(좌석예약, 은행 업무 등등)
3. 시분할 처리 시스템 : CPU의 처리시간을 나누어 여러 개의 일을 반복 처리하도록 하여 중앙의 컴퓨터를 다수의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4. 일괄 처리 시스템 : 일정량 또는 일정기간 모아 두었다가 한꺼번에 처리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qkralsrb]

57.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해서 해킹을 통한 컴퓨터 범죄가 급증하고 있다.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비밀 번호를 수시로 변경한다.
     2. 해킹 방지를 위한 보안 관련 프로그램을 보급한다.
     3. 사용자에 대한 보안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4. 해킹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 네트워크 서비스를 중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구더기 무서워서 장 못담그랴 라는 말이 있습니다.
해킹을 방지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중지 한다는 것은 무리가 있는 이야기 입니다.
그보다는 네트워크를 통한 해킹 방지를 위하여 방화벽 설치 및 백신 설치를 하여 해킹으로부터 컴퓨터를 보호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58. PC를 업그레이드하려고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하드 디스크의 경우 E-IDE, SATA 또는 SCSI 방식인지 알아보아야 한다.
     2. 586을 Core2Duo로 업그레이드하려면, CPU만 교체해 주면 된다.
     3. 메모리를 업그레이드하는 경우 자신의 PC의 메모리가 몇 핀(Pin)짜리인지 살펴보고 적당한 것을 선택한다.
     4. 자신의 컴퓨터를 업그레이드할 때 어떤 이득이 있는지 면밀히 검토해 보고 업그레이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586과 Core2Duo의 CPU는 꼽는 방식이(핀수가) 다르므로 메인보드를 교체하여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59. 다음 중 인터넷 서비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FTP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는 원격 파일 전송 프로토콜이다.
     2. Telnet은 원격지에 위치한 컴퓨터를 접속하여 자신의 컴퓨터처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3. Ping은 전자 우편을 위하여 메일 내용의 보안성을 보장하는 프로토콜이다.
     4. WWW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하이퍼텍스트를 기반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3. PING : 원격지에 있는 컴퓨터가 현재 인터넷에 연결되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해설작성자 : s]

3. PING :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다른 호스트에 IP 데이터 프로그램이 도착할 수 있는지 검사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정확한 설명~]

[ping]
원격 컴퓨터가 현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정보의 작은 단위를 전송하여 응답시간을 확인해 접속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해당 컴퓨터의 이름과 IP주소, 전송 신호의 손실 률 및 응답시간이 표시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60. 다음 중 아웃룩(Outlook) 2007에서 전자 메일에 대한 규칙 및 알림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제목에 특정 단어가 들어 있는 메시지를 특정 폴더로 이동시킬 수 있게 지정할 수 있다.
     2. 특정인으로부터 메일을 받으면 특정 소리를 재생할 수 있게 지정할 수 있다.
     3. 제목에 특정 단어가 있는 메시지가 삭제되도록 지정할 수 있다.
     4. 받은 사람 란에 내 이름이 없을 경우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게 지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Outlook 2007에서 받은 사람 란에 내 이름이 없을 경우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게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은 없다.
[해설작성자 : 이아니스]


정 답 지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7614771)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워드프로세싱 일반


1.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 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색인(Index) : 문서에 사용된 단어나 어휘를 빠르게 찾기 위해서 페이지 번호를 표시해 두는 기능
     2. 프린터 버퍼(Printer Buffer) : 인쇄할 내용을 임시로 보관하는 기억장소
     3. 소수점 탭(Decimal Tab) : 수치 자료의 경우 소수점을 중심으로 정수와 소수부분을 정렬하는 기능
     4. 래그드(Ragged) : 단어가 줄의 끝에서 잘릴 경우 단어 전체를 다음 줄로 이동시키는 기능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4번은 워드랩에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콩이오빠]

래그드(Ragged) : 작성된 문서가 한쪽 끝이 정렬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
[해설작성자 : 11.1일 시험 합격기원!!]

4번은 워드랩에 관한 설명이며, 작성된 문서가 한쪽 끝이 정렬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래그드라고 합니다.
[해설작성자 : Azure]

[색인(Index) = 찾아보기]
문서나 책속에 있는 낱말이나 사항 등을 빠르고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일정한 순서대로 쪽 번호와 함께 수록한 목록으로 오름차순으로만 정렬되어 표시됩니다.

[프린터 버퍼(Printer buffer)]
인쇄할 준비가 되기까지 인쇄 출력을 보내서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기억장치입니다.
출력할 데이터를 컴퓨터에서 꺼내 프린터 버퍼에 두었다가 느린 프린터의 속도에 맞추어 전송하여 컴퓨터가 다른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2. 다음 중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문서의 결재 시 결재권자의 서명란에는 서명날짜를 함께 표시한다.
     2. 둘 이상의 행정기관장의 결재가 필요한 문서는 각각의 행정기관 모두가 기안하여야 한다.
     3. 위임전결하는 경우에는 전결하는 사람의 서명란에 “전결” 표시를 한 후 서명하여야 한다.
     4. 결재할 수 있는 사람이 휴가, 출장, 그 밖의 사유로 결재할 수 없을 때에는 그 직무를 대리하는 사람이 대결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둘이상의 행정기관장의 결재가 필요하더라도 기안은 한곳에서 해도 됩니다.
보통 그 문서의 처리를 주관하는 기관에서 기안을 해야함.

3. 다음 전자출판 용어 중 이미지 변형 작업으로 채도, 조명도, 명암 등을 조절해 주는 기능을 무엇이라 하는가?(2011년 06월)
     1. 트래킹(Tracking)
     2. 프레임(Frame)
     3. 초크(Choke)
     4. 엠보스(Emboss)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3. 초크 : 이미지 변형 작업으로 채도 , 조명도, 명암 등을 조절해 줍니다. 초크는 전자출판에서 빛과 관련된 설정을 합니다.

4. 다음 중 공문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지시 문서에서는 훈령, 지시, 예규, 일일 명령등이 있다.
     2. 기안문 또는 시행문의 결문에는 행정 기관명, 생산 등록 번호, 접수 등록 번호 등이 있다.
     3. 전자 문서 상의 서명에는 전자 문자 서명, 전자 이미지 서명, 행정 전자 서명 등이 있다.
     4. 조례, 규칙은 법규 문서이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행정기관명 : 두문에들어가는것
두문 : 행정기관명, 수신자를 기재하는곳
본문 : 붙임이나 제목, 혹은 내용이 들어가고, 나머지는 결문에적음

5. 다음 중 아래 보기의 내용이 설명하는 워드프로세서의 용어로 옳은 것은?(2016년 06월)

   

     1. 색인(Index)
     2. 스풀링(Spooling)
     3. 하드 카피(Hard Copy)
     4. 보일러 플레이트(Boiler Plate)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색인은 배열 내의 한 항목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나 숫자로서, 기호나 숫자를 검색하여 필요한 자료를 찾아낼 수 있는 기능을 말 하고 스풀링은 입출력할 내용물을 보조기억장치(주로 하드디스크) 등에 기록하여 두었다가 중앙처리장치가 쉬는 틈틈히 입출력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을 의미하고 하드 카피는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인쇄 매체를 사용하여 종이나 필름에 인쇄한 인쇄물을 말 하고 보일러 플레이트는 보충 설명이나 메모를 위해 따로 설정한 구역으로 예로는 각주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불량염소]

[색인(Index) = 찾아보기]
문서나 책속에 있는 낱말이나 사항 등을 빠르고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일정한 순서대로 쪽 번호와 함께 수록한 목록으로 오름차순으로만 정렬되어 표시됩니다.

[스풀링(Spooling)]
다중 프로그래밍 환경하에서 용량이 크고 신속한 액세스가 가능한 디스크(보조기억장치)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 프로그램이 입출력할 데이터를 직접 입출력 장치로 보내지 않고 디스크에 모았다가 나중에 한꺼번에 입출력함으로써 입출력장치의 공유 및 상대적으로 느린 입출력장치의 처리속도를 보완하는 기법입니다.
고속의 CPU와 저속의 입출력장치가 동시에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높은 효율로 여러작업을 동시 병행 작업할수 있게하여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켜 줍니다.

[하드 카피(Hard Copy)]
화면에 표시된 문서나 내용을 프린터와 같은 출력장치로 실제 물리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출력된 결과물에 수정이 불가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6.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저장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암호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2. 새 이름으로 저장하면 저장 위치 및 파일 이름, 저장 형식을 변경할 수 있다.
     3. 텍스트 파일 형식으로 저장하면 다른 워드프로세서에서 불러올 수 없다.
     4. 확장자가 .bak인 파일(백업파일)은 파일을 다시 저장하기 직전에 저장된 상태가 보관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텍스트 파일 형식으로 저장한 후 다른 워드프로세서에서도 불러올 수 있습니다. 한글의 경우도 불러오기에 형식을 텍스트(TXT)로 맞추면 불러올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셀리르]

7. 다음 중 공문서의 번호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1. 법규문서는 연도구분과 관계없이 누적되어 연속되는 누년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2. 지시문서 중 훈령 및 예규에는 누년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3. 공고문서는 연도표시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4. 일일명령, 지시는 연도별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일일명령은 연도별 일련번호를 사용하고, 지시는 연도표시 일련번호를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빠오]

일일명령에는 연도별로 구분하여 매년 새로 시작되는 일련번호로서 연도표시가 없는 번호(이하 "연도별 일련번호"라 한다)를 부여하며, 지시에는 연도표시와 연도별 일련번호를 붙임표(-)로 이은 번호(이하 "연도표시 일련번호"라 한다)를 부여한다.
[조문정보 | 국가법령정보센터]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8. 다음 중에서 조합 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다른 키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특정기능을 수행한다.
     2. 프로그램에서 단축키(Hot Key)의 형태로 사용된다.
     3. 한 개의 키가 두 가지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누를 때마다 기능이 전환된다.
     4. Alt, Shift, Ctrl 키가 조합키에 해당된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3번은 토글키에 대한 설명입니다.(Caps Lock, Num Lock, Scroll Lock 등)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9. 다음 중 스타일(Style)에서 지정할 수 없는 것은?(2008년 07월)
     1. 글자 모양
     2. 문단 모양
     3. 탭 설정
     4. 다단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다단은 [모양]-다단에서 설정한다

10. 다음 중 문서관리의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정확성 : 문서를 옮겨 적거나 다시 기재하는 것을 줄이고, 복사해서 사용한다.
     2. 용이성 : 문서를 쉽게 작성하고, 판단 사무를 작업 사무화 한다.
     3. 신속성 : 반복되고 계속되는 업무는 유사 관련 자료를 참고 하여 사무의 절차와 방법을 간소화한다.
     4. 경제성 : 문서의 집중 관리 및 처리를 통하여 경비를 절약 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신속성 : 문서 처리를 보다 빨리 수행하기 위한 것
다른건 첫글자에 문서가 들어가는데 신속성에만 문서가 들어가질 않네용
[해설작성자 : ㅎㅎ]

정확성: 문서를 착오 없이 올바르게 처리하기 위한 것 / 문서를 옮겨 적거나 다시 기재하는 것을 줄이고 복사해서 사용
신속성: 문서 처리를 보다 빨리 수행하기 위한 것 / 문서의 경유처를 최대한 줄이고, 문서가 정체되는 것을 방지함
용이성: 문서를 취급하는 주체인 사람이 업무를 간편히 처리하기 위한 것 / 반복되고 계속되는 업무는 유사 관련 자료를 참고하여 사무의 절차와 방법을 간소화함
경제성: 문서 처리에 관련된 모든 사무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것 / 문서의 집중 관리 및 처리를 통하여 결비를 절약함
[해설작성자 : 탁탁]

3번은 용이성에 해당하는 내용
신속성 : 문서 처리를 보다 빨리 수행하기 위한 것, 문서의 경유처를 최대한 줄이고, 문서가 정체되는 것을 방지함
용이성 : 문서를 취급하는 사람이 업무를 간편히 처리하기 위한 것, 반복되고 계속되는 업무는 유사 관련 자료를 참고하여 사무의 절차와 방법을 간소화함
[해설작성자 : Untitle]

11. 다음 중 한글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KS X 1001 완성형 한글코드는 한글 2350자, 한자 4888자, 특수문자 1128자 등을 표현할 수 있다.
     2. KS X 1001 조합형 한글코드는 정보 교환 시 제어문자와 충돌하지 않아 정보 교환용으로 주로 사용한다.
     3. KS X 1005-1 한글코드는 완성형을 토대로 조합형의 장점을 수용한 코드로 영문과 한글 모두를 2바이트로 표현한다.
     4. KS X 1001 조합형 한글코드는 한글 11172자를 표현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조합형 한글코드는 정보 교환 시 데이터의 충돌이 발생함, 정보처리용으로 사용한다.
완성형 한글코드는 정보 교환 시 데이터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음, 정보 교환용으로 사용한다.

12.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인쇄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기본 프린터의 드라이버는 새로 등록할 수 있다.
     2. 프린터 아이콘을 더블클릭하면 인쇄 대기 중인 문서의 목록을 볼 수 있다.
     3. 문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는 픽셀(Pixel)이며, 전각문자는 가로 폭과 세로 높이의 비율이 1:2 이다.
     4. 낱장 인쇄 용지의 A판과 B판의 가로:세로의 비율은 1: 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문자크기의 단위는 포인트(Point)입니다.
전각문자는 가로폭과 세로높이의 비율 또한 1:1 입니다.
가로 폭과 세로 높이의 비율이 1:2인 문자에는 '종배문자', '반각문자'가 있습니다.

13. 다음 중 고도의 압축기법을 통해 파일의 용량을 줄인 외곽선 형태의 글꼴로 주로 통신용으로 사용되는 글꼴 형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06년 08월)
     1. 오픈 타입(Open Type)
     2. 트루 타입(True Type)
     3. 포스트 스크립트(Post Script)
     4. 비트맵(Bitmap) 방식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압축된 글꼴-->오픈타입    윈도우 기본글꼴-->트루타입     확대했을경우 울퉁불퉁한 계단모양 표시->비트맵    세가지는 잘 외워두세요.

14. 다음 중 글꼴(Font)의 구성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비트맵(Bitmap) : 점(Dot)으로 글꼴을 표현하는 방식이다.
     2. 포스트 스크립트(Post Script) : 글자의 외곽선 정보를 각종 그래픽 소프트웨어에 제공하며, 위지윅을 지원 할 수 있다.
     3. 오픈타입(Opentype) : 외곽선 글꼴 형태로 고도의 압축을 통해 용량을 줄여 통신을 이용한 폰트의 전송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4. 벡터(Vector) : 글자를 선, 곡선으로 처리한 글꼴로 확대하면 테두리 부분이 계단모양으로 변형되어 흐려진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확대하면 테두리 부분이 계단모양으로 변형되어 흐려지는 것은 비트맵이다.
백터는 문자의 좌표를 입력받아 점과 점을 연결하는 선분 또는 곡선으로 문자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플로터에서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덕일전자공업고등학교 배서진]

[벡터(Vector)]
하나의 화면에 위치하는 각 점과 점 사이를 직선이나 곡선으로 이어 그려주는 표시 방법입니다.
주어진 벡터 값 기반으로 이미지를 화면에 매번 그려주므로 이미지 사이즈가 변경 되더라도 해상도가 낮아지거나 선명도가 떨어지지 않습니다.
좌표 개념을 도입하여 이동, 회전과 같은 변경이 쉽습니다.
대표적으로 AI, DXF, WMF, 등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15. 다음 중 커닝(Kerning)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2008년 02월)
     1. 대상체의 색상이 약할 때 조정해 주는 기능
     2. 완성된 페이지를 미리 보는 기능
     3. 기존의 이미지를 다른 색조로 변형시키는 기능
     4. 문자나 단어 사이의 여백 조정 기능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시험칠때 옆친구 시험지 빼낄 때 쓴다고 기억하세요.
빼낄려면 친구와 나사이의 여백(간격)을 조절해서 봐야겠죠?
그래서 답은 4번입니다.

커닝의 정확한 뜻은
어간좁히기. 인쇄물의 조판에서 시각적으로 보기 좋게 하기 위해 단어들간의 간격(語間)을 보통의 경우보다 좁게 좁히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어둠그림자]

16. 다음 중 전자문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전자문서인 경우에 전자적 방법으로 쪽번호 또는 발급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2. 각급 행정기관에서는 전자문서에 사용하기 위하여 전자이미지관인을 가진다.
     3. 대체적으로 전자문서인 경우에는 처리과의 기안자나 문서의 수신·발신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이 전자이미지관인을 찍는다.
     4. 모든 전자문서는 개인 문서함에 보관하면 안 되고 공통 문서함에 보관하여 누구나 열람할 수 있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전자문서의 내용 및 송수신 여부를 증명해 주는 공신력있는 제3의 기관으로 공인전자문서보관소가 있다
[해설작성자 : sopi]

[전자 문서(Electronic Documents)] 
컴퓨터 등 정보 처리 능력을 가진 장치로 문서 작성기에 의하여 전자적인 형태로 작성, 송.수신 또는 저장되는 문서입니다.
공문서의 일반적인 기안 원칙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17. 다음 중 공문서에 대한 행정기관장의 역할이 아닌 것은?(2007년 05월)
     1. 일반적으로 공문서의 결재권자이다.
     2.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문서를 접수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한다.
     3. 이미지를 위조 또는 부정사용하지 못하도록 필요한 안전장치를 한다.
     4. 행정사무의 표준화를 위해 행정 전산망 공통행정코드를 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행정 전산망 공통행정코드는 행정안전부 장관이 정함.

18. 다음 중 하이퍼텍스트(Hypertext)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문서와 문서가 순차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관련된 내용을 차례대로 참조하는 기능이다.
     2. 하이퍼텍스트에서 다른 문서간의 연결을 링크 (Link)라고 한다.
     3. 링크를 이용하면 하나의 문서를 보다가 내용 중의 특정 부분과 관련된 다른 부분을 쉽게 참조할 수 있다.
     4. 이를 이용한 대표적인 것으로 Windows의 도움말이 나 인터넷 웹페이지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순차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순서대로만 참조할 수 있다는 뜻으로 '선형성'이라고도 한다.
하이퍼텍스트는    '비선형성'을 띠고 있으므로 원하는 부분을 무작위로 자유롭게 참조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NA]

19. <보기 1>의 문장이 <보기 2>의 문장으로 수정되기 위해 필요한 교정부호들로만 순서대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5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4. 들여쓰기→잘라내기→띄어쓰기→글자바꾸기
[해설작성자 : 독도는 한국땅]

20. 다음 중 교정부호 사용 시 유의할 점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교정부호를 표시하는 색은 눈에 잘 띄게 한다.
     2. 교정부호는 지정한 부호를 사용해서 교정한다.
     3. 한 번 교정된 부분은 다시 교정할 수 없다.
     4. 교정부호가 너무 복잡하거나 난해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교정취소 교정부호를 사용해서 다시 교정이 가능합니다.

2과목 : PC 운영 체제


21.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파일 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NTFS와 비교하여 FAT32는 보안 기능이 강화되었으며, 드라이브나 폴더의 압축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2. NTFS에서 FAT32로 변화하려면 드라이브 또는 파티션을 다시 포맷하여야 한다.
     3. NTFS는 플로피디스크에서 사용할 수 없다.
     4. FAT32에서 최대 파일 크기는 4GB이지만, NTFS에서 파일의 크기는 볼륨 크기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FAT32(Windows98)보다 NTFS(Windows 2000, Windows XP)가 나중에 나온 파일 시스템이므로 NTFS 가 보안 기능이 더 좋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22. 한글 Windows XP에서 [Windows 탐색기]의 사용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2월)
     1. [탐색기]의 왼쪽에 있는 폴더 탐색 창은 폴더 구조를 트리 형태로 보여준다.
     2. 화면 왼쪽의 폴더 탐색 창에서 [-]가 표시된 폴더를 클릭하면 선택된 폴더의 하위 폴더의 내용이 표시된다.
     3. [탐색기] 왼쪽의 폴더 탐색 창에 있는 폴더의 내용을 보려면 해당 폴더를 클릭하면 된다.
     4. 폴더 탐색 창의 경계선을 마우스로 드래그하면 창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표시를 클릭하면 [+]로 변하면서 하위 폴더를 다시 숨겨버리고 [+]기호를 클릭하면 [-]로 변하면서 하위 폴더를 열어 보여준다.

2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연결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문서나 그림 같은 특정한 데이터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파일의 확장자에 의해 결정된다.
     2. 특정한 데이터 파일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연결 프로그램]-[프로그램 선택]을 선택하면 연결 프로그램을 변경할 수 있다.
     3. 특정한 데이터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연결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Windows] 창이 표시되는데, 이는 현재 연결 프로그램이 지정되지 않았다는 의미이다.
     4. [연결 프로그램] 대화 상자에서 연결 프로그램을 삭제하면 연결된 데이터 파일도 삭제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연결 프로그램을 삭제한다고 해서 데이터 파일까지 삭제되지는 않습니다.
단지 연결되어있던 프로그램과의 연결이 끊기기만 하는거죠.
[해설작성자 : 카스타드~]

24.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파일 및 폴더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폴더 내에서 파일이나 하위 폴더의 이름을 바꿀 때는 항목을 선택한 후에 [파일] 메뉴의 [이름 바꾸기] 항목을 선택한다.
     2. 파일이나 폴더가 복사 또는 이동할 때 잠시 기억되는 임시 기억장소를 클립보드라고 한다.
     3.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복사할 때에는 마우스 포인터의 오른쪽 아래에 + 표시가 나타난다.
     4. 파일과 폴더는 계층적 구조로서 언제나 파일은 폴더들을 포함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파일과 폴더는 계층적 구조로서 언제나 파일은 폴더들을 포함한다고 나오는데
폴더안에 파일이있습니다.

25. 한글 Windows XP에서 [Windows 작업 관리자] 대화 상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8월)
     1. [Ctrl]+[Alt]+[Delete] 키를 동시에 누르면 표시된다.
     2. 현재 실행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작업 끝내기를 할 수 있다.
     3. [시작] 단추와 시계를 표시할 수 있다.
     4. 끄기, 다시 시작, 사용자 전환 등을 위한 [시스템 종료] 메뉴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작업 표시줄 및 시작 메뉴 속성]에서 알림 영역에 시계 표시를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이쁜아이♥]

26.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검색 결과] 창에서 파일 또는 폴더를 검색하는 방법으로 가능하지 않은 것은?(2008년 07월)
     1. 특정 기간 동안 수정된 파일을 모두 찾기
     2. 일정 횟수 이상 변경된 파일을 모두 찾기
     3. 일정 크기 이상의 파일을 모두 찾기
     4. 특정 문자열이 내용 중에 포함된 텍스트 파일을 모두 찾기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파일또는 검색은수정된날짜, 파일의 크기, 고급옵션, 파일에 들어있는 문자열, 찾는위치, 파일형식등으로 찾을수 있음.
횟수나 특성(속성)으로는 찾을수없음.
[해설작성자 : 인천미래컴]

27.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사용하는 바로 가기 키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윈도우 로고] 키 : [시작] 메뉴를 표시한다.
     2. [윈도우 로고] 키 + [D] : 열려 있는 모든 창을 최소화하거나 이전 크기로 복원한다.
     3. [윈도우 로고] 키 + [E] : Windows 탐색기를 실행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4. [윈도우 로고] 키+ [R] : [검색 결과] 창을 표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윈도우 로고] + [R] : [실행]창이 뜹니다!
[해설작성자: 시크한쌤 힘내요!]

4. [윈도우 로고]키 + [F3] : [검색결과] 창을 표시합니다
[해설작성자 : 두번의 기회]

4.윈도우 로고키+F: [검색결과] 창을 표시합니다.
[해설작성자 : 완전하자]

28. 한글 Windows XP에서 탐색기의 [도구]-[폴더 옵션] 창에서 설정할 수 없는 작업은?(2006년 11월)
     1. 폴더에 일반 작업 표시를 설정할 수 있다.
     2. 같은 창에서 폴더 열기를 설정할 수 있다.
     3. 마우스 한번 클릭으로 파일이나 폴더 열기를 설정할 수 있다.
     4. 폴더에 표시되는 글자의 폰트를 새로이 설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글꼴에 관한 것은 제어판-->글꼴에서 지정합니다.

29.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마우스 속성] 창에서 설정할 수 있는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1. 마우스 포인터의 지정
     2. 포인터와 휠의 생성 및 삭제
     3. 휠을 한 번 돌릴 때 스크롤할 양
     4. 두 번 클릭의 속도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포인터와 휠의 생성 및 삭제는 불가능합니다.

30.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사용하는 클립보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복사나 이동을 위하여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임시 기억 공간이다.
     2. 클립보드는 여러 번 사용이 가능하지만 가장 최근에 지정된 데이터만을 기억한다.
     3. 클립보드에 저장된 내용은 시스템을 재부팅한 후에도 재사용할 수 있다.
     4. [실행] 창에서 'clipbrd.exe'를 입력하여 클립북 뷰어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클립보드는 임시로 저장되는 임시기억장소이며 전원이 꺼졌다 켜졌을 경우에는 사라집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1.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Windows 보안 센터]에서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2013년 10월)
     1. 네트워크 연결
     2. 자동 업데이트
     3. 방화벽
     4. 바이러스 백신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Windows XP의 <Windows보안센터>에서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에 접근하기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방화벽이다.
방화벽은 컴퓨터에 외부로 부터 들어오는 바이러스를 막아주기도 한다.

32.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네트워크 설정 마법사]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설정하는 과정에서 수행 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프린터 공유, 파일 및 폴더 공유를 설정할 수 있다.
     2. 네트워크 설치 디스크를 만들 수 있다.
     3. Windows 방화벽을 설정할 수 있다.
     4.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은 탐색기 - 도구 -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항목으로 할 수 있다.

33.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사용하는 [휴지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USB 메모리에 있는 파일을 선택한 후 키를 눌러 삭제하면 휴지통으로 가지 않고 완전히 지워진다.
     2. 지정된 휴지통의 용량을 초과하면 가장 최근에 삭제된 파일부터 자동으로 지워진다.
     3. 삭제할 파일을 선택하고 키를 누르면 해당 파일이 휴지통으로 이동한다.
     4. 휴지통의 크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를 KB 단위로 지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USB 메모리에 있는 파일을 선택한 후 Delete 키를 눌러 삭제하면 휴지통으로 가지 않고 완전히 지워집니다.

※ 휴지통에 저장되지 않고 바로 삭제되는 경우
- USB 메모리에 있는 파일을 선택한 후 Delete 키를 눌러 삭제하면 휴지통으로 가지 않고
완전히 지워집니다. (USB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삭제하는 것입니다.)

- 삭제할 파일 선택 후 Shift + Delete 키를 누르면 휴지통으로 가지 않고 바로 삭제됩니다.
- 네트워크상의 다른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삭제한 경우입니다.
- 휴지통 비우기를 실행한 경우입니다.
- 휴지통 속성 의 [파일을 휴지통에 버리지 않고 삭제할 때 바로 제거] 를 선택한 경우입니다.
- 휴지통 속성 에서 휴지통의 크기를 0%로 설정한 경우입니다.
- 플로피 디스크나 USB 메모리, DOS 모드, 네트워크 드라이브에서 삭제한 경우입니다.
- 같은 이름의 항목을 복사 이동 작업으로 덮어 쓴 경우입니다.

2번 : 지정된 휴지통의 용량을 초과하면 가장 나중에(오래된) 삭제된 파일부터 자동으로 지워집니다.
3번 : 삭제할 파일을 선택하고 Shift + Delete 키를 누르면 휴지통으로 이동되지 않고 바로 삭제됩니다.
4번 : 휴지통의 크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를 MB 단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34.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할 수 있는 디스크 포맷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디스크를 포맷하면 디스크의 모든 데이터가 지워진다.
     2. 빠른 포맷은 디스크의 불량 섹터를 검색하지 않고 디스크에서 파일을 제거한다.
     3. 디스크 포맷 창에서 용량, 파일 시스템, 할당 단위 크기, 볼륨 레이블 등의 확인도 가능하다.
     4. 로컬 디스크 (C:)의 포맷 창에서 MS-DOS 시동 디스크를 만들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④ MS-DOS 시동디스크는 플로피디스크에만 만들수 있습니다.
그외 USB(이동식 저장장치),로컬디스크등에는 만들수 없습니다.
요즘은 거의 플로피디스크를 사용하지 않으니, 필요없는 기능이라고 생각하네요^^;;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프로그래머(여러분의 합격을 기원합니당!)]

35.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부팅 메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Windows를 시작할 때 <F2> 키를 누르면 고급 부팅 옵션 창이 표시된다.
     2. [컴퓨터 복구] 항목은 부팅에 문제가 있거나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때 시스템의 초기 상태나 최적의 상태로 복원시키고자 사용한다,
     3. [안전 모드] 항목을 선택하면 컴퓨터 작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장치만을 설정하여 부팅한다.
     4. [표준 모드로 Windows 시작] 항목은 한글 Windows7 의 기본 부팅 방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F2는 폴더 파일이름 바꾸기이다

고급 부팅 옵션은 F8

36.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제공하는 [Windows 방화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1. 해커나 악성 소프트웨어가 네트워크나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에 액세스 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기능이다.
     2. [인바운드 규칙] 사용을 설정하면 방화벽은 내부에서 사용자 컴퓨터로 나가는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3. Windows 방화벽이 새 프로그램을 차단할 때 알림을 표시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4. 연결 보안 규칙의 종류에는 격리, 인증 예외, 서버 간, 터널, 사용자 지정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인바운드는 들어오는 것
아웃바운드는 나가는 것입니다

금 밟고 나가면 아웃
[해설작성자 : 김강]

37. 한글 Windows XP에서 시스템 도구인 [디스크 조각 모음] 프로그램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저장 매체는?(2006년 08월)
     1. CD-ROM 드라이브
     2. 네트워크 드라이브
     3. Windows가 지원하지 않는 디스크 압축 프로그램에 의해 압축된 드라이브
     4. 파티션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파티션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란
1개의 물리적 하드디스크를 1개의 논리드라이브 즉 C드라이브하나만 설정하던지
아니면 1개의 물리적 하드 디스크를 2개이상의 논리적 드라이브로 설정하는 것
즉, C드라이브, D드라브 형태로 분할하는것을 말합니다.
결론적으로 여러분들이 사용하는 모든 하드디스크는 파티션된 드라이브로써 [디스크 조각 모음]이 가능합니다.

38.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창에서 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활성 네트워크 보기에서는 연결된 네트워크 이름, 액세스 형식, 연결 상태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 무선, 광대역, 전화접속 연결 등을 설정하거나 라우터 또는 액세스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3. 다른 네트워크 컴퓨터에 있는 파일이나 프린터에 액세스하거나 공유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4. 연결에 사용할 네트워크 드라이브와 폴더를 지정하고,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및 끊기를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컴퓨터]의 바로가기 메뉴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을 클릭하여, 네트워크 드라이브와 폴더를 설정하고,
[네크워크 드라이브 연결 끊기]를 클릭하여 네트워크 드라이브의 연결을 끊을 수 있습니다.
즉, 1,2,3번은 [네트워크] 아이콘의 바로가기 메뉴-[속성]에서, 4번은 [컴퓨터]의 바로가기 메뉴-[속성]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세종 송쌤]

39. 한글 Windows XP에서 [검색 결과] 창의 파일이나 폴더 검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파일이나 폴더의 읽기 전용 또는 숨김 등의 특성을 조건으로 검색할 수 있다.
     2. 바뀐 날짜의 이전 몇 일 이라는 조건으로 검색할 수 있다.
     3. 포함하는 문자열을 조건으로 검색할 수 있다.
     4. 파일 크기의 조건으로 검색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숨긴 파일 및 폴더'의 조건으로는 검색이 가능하나, '읽기 전용'의 조건으로는 검색할 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TjsTjs]

40.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파일이나 폴더의 복사와 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복사(Ctrl+C)나 잘라내기(Ctrl+X)를 사용하면 정보가 클립보드에 기억된다.
     2. 같은 드라이브에서 파일이나 폴더를 드래그 앤 드롭하면 복사가 된다.
     3. 복사(Ctrl+C)나 잘라내기(Ctrl+X)를 선택한 후에는 붙여넣기를 실행해야 한다.
     4. 복사는 원본이 그대로 있고, 이동은 원본이 새로운 장소로 옮겨진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같은 드라이브에서는 이동이 되고 다른 드라이브에서는 복사가 된다.
[해설작성자 : 곧 시험]

41. 다음 중 컴퓨터의 수치 데이터 표현에서 고정 소수점 방식과 비교하여 부동 소수점 방식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연산 속도가 매우 빠르며 수의 표현 범위가 넓다.
     2. 부호, 지수부, 가수부로 구성되어 있다.
     3. 소수점이 포함된 실수를 표현하는데 사용한다.
     4. 양수와 음수 모두 표현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연산 속도가 느리며 수의 표현 범위가 넓다. 예를 들면, -638,020,000을 -6.3802×10의8승(10을 8번 곱한것) 과 같이 표시한다.
[해설작성자 : 불량염소]

[고정 소수점 & 부동 소수점]
고정 소수점 : 연산시 소수점의 위치가 정해져 있는 방식으로 소수점을 가상적으로 연산 데이터의 가장 오른쪽 끝에 두고 수치를 모두 정수 취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동 소수점 : 컴퓨터에서 실수를 표시하는 것으로 소수점의 위치가 움직인다하여 부동(浮 : 뜰 부 , 動 : 움직일 동)소수점이라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2. 다음 중 사용하는 데이터 형태에 따라 컴퓨터를 분류하고자 할 때, 아래의 설명과 같은 특징을 가지는 컴퓨터로 옳은 것은?(2016년 06월)

    

     1. 하이브리드 컴퓨터
     2. 디지털 컴퓨터
     3. 아날로그 컴퓨터
     4. 범용 컴퓨터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하이브리드 컴퓨터는 아날로그 컴퓨터와 디지털 컴퓨터의 장점만을 모아놓은 컴퓨터이고 디지털 컴퓨터는 우리가 흔하게 사용하는 컴퓨터이고 아날로그 컴퓨터는 병원에서 보는 심장박동 표시하는 기계(저도 몰랐지만 아날로그 컴퓨터의 일종이라네요..;;)로 생각하시면 되고 범용 컴퓨터는 컴퓨터의 사용 목적이 지정되지 않고, 운영체제(OS)와 여러가지 응용 소프트웨어가 준비되어 있어서, 무엇이든 필요한 작업을 처리할 수 있게 설계된 대형 컴퓨터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불량염소]

범용은 디지털컴퓨터
특수목적용은 아날로그컴퓨터
[해설작성자 : jy]

43. 다음은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장단점을 설명한 것이다. 단점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인가?(2012년 03월)
     1. 데이터의 무결성이 증가한다.
     2. 데이터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된다.
     3. 질의어를 통하여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다.
     4. 데이터의 복구가 어려워진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2,3,번은 장점
4번은 단점, 데이터 복구가 어렵다는것은 단점에 해당
[해설작성자 : 유제석]

44. 다음 중 멀티미디어 활용분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VCS : 전화, TV를 컴퓨터와 연결해 각종 정보를 얻는 뉴 미디어
     2. VOD :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정보를 원하는 시간에 볼 수 있도록 전송
     3. VR : 컴퓨터그래픽과 시뮬레이션 기능을 이용해 가상세계 체험
     4. Kiosk : 백화점, 서점, 터미널 등에서 사용하는 무인안내 시스템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VCS는 화상회의시스템입니다
[해설작성자 : 내일 꼭 합격! ]

VCS는 화상회의시스템 입니다 예를 들자면, zoom(줌)같은거 말이죠.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이다... 조진거 같다..]

45. 다음 중 아래의 보기에서 설명하는 네트워크 관련 용어로 옳은 것은?(2018년 09월)

    

     1. DNS(Domain Name System)
     2.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3.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4. 게이트웨이(Gateway)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 DNS : 문자로 된 도메인 네임을 숫자로 된 IP주소로 바꿔주는 시스템
3. NAT : 사설 IP주소를 공인 IP주소로 바꿔주는데 사용하는 통신망의 주소 변환기
4. 게이트웨이 : 다른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출입구 역할을 하는 장치
[해설작성자 : 0321]

[DNS(Domain Name Service)]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문자로 되어 있는 도메인이나 호스트 이름을 숫자로 된 IP주소로 해석해주는 TCP/IP 네트워크 서비스입니다.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공인 IP주소를 사설 IP주소로 바꿔주는 주소 변환기입니다.
공인 IP주소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공인 IP를 사설 IP로 상호 변환할 수 있도록 하여 공인 IP를 다수가 함께 사용 할수 있게끔합니다.
공인IP로 외부 침입자가 있어도 내부 사설 IP에 관하여는 알기 어려우므로 이를 통해 네트워크를 보호 할 수 있습니다.

[게이트 웨이(Gate Way)]
통신 네트워크의 출입문으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통신망과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로 데이터 형식 변환, 주소 변환, 프로토콜 변환등을 수행합니다.
네트워크 사이에 IP패킷을 라우팅하거나 전달하는 장치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6. 인터넷을 통한 해킹과 관련하여 데이터의 무결성(integrity)에 대한 위협 요소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2009년 10월)
     1. 사용자 데이터 변조
     2. 메모리 훼손
     3. 전송 메시지 변조
     4. 네트워크 구성 정보 유출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무결성이란 데이터의 결점이 없다는 뜻입니다.
인터넷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때 데이터가 이상하게 바뀐다거나 누출될 경우 무결성에 문제가 생겼다라고 합니다. 즉 데이터가 훼손되거나 누출되는것이 해당하는 것이지 실제 물리적(하드웨어) 기억장치인 메모리 훼손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47. 다음 중에서 주소 대신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는 기억장치는?(2007년 07월)
     1. 가상(Virtual) 기억장치
     2. 연상(Associative) 기억장치
     3. 캐시(Cache) 기억장치
     4. 보조(Auxiliary) 기억장치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기억되어 있는~~ 하면 기억을 더듬는 연상을 떠올리세요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접근하는 것은 연상기억장치입니다.
[해설작성자: 원주 조민아^^]

48. 비트맵 이미지(Bitmap Image)는 픽셀(Pixel) 단위로 처리되기 때문에 저해상도에서 곡선이나 사선을 표현할 때에는 계단 현상이 발생한다. 이 때 가장자리의 픽셀들을 주변 색상과 혼합한 중간 색상을 넣어 외형을 부드럽게 만드는 방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07년 03월)
     1. 클로닝(Cloning)
     2. 디더링(Dithering)
     3. 리터칭(Ritouching)
     4. 앤티앨리어싱(Anti-aliasing)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외형을 부드럽게 만든다 라는 표현이 있으면 앤티앨리어싱 이 답.

49. 다음 중 컴퓨터 네트워크의 장점과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7월)
     1.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증가할수록 전송 속도가 빨라진다.
     2.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정보를 수집하고 교환할 수 있다.
     3. 여러 컴퓨터의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4. 컴퓨터 자원이 연결되어 있는 위치에 관계없이 프로그램, 데이터, 각종 주변기기 등을 공유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증가할수록 전송 속도가 느려집니다.

50. 다음에서 설명하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 형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9년 08월)

    

     1. WAVE
     2. RA/RM
     3. MP3
     4. MIDI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악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영어: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줄여서 MIDI(미디, /ˈmɪdi/))는 전자 악기끼리 디지털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해 각 신호를 규칙화한 일종의 규약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전자 악기끼리 디지털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해 각 신호를 규칙화한 일종의 규약입니다.
악기와 컴퓨터, 악기와 악기끼리 주고 받을 수 있는 언어와 통로의 신호 체계 표준입니다.
음성이나 효과음은 저장이 불가능하고 연주 정보만 저장하기에 용량이 작습니다.
음악에서 사용되는 음의 특성을 기호로 정의하여 이의 내용을 정의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1. 네트워크상에서 물리적인 네트워크 주소(MAC : Media Access Control)를 IP주소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어느 것인가?(2010년 03월)
     1. RARP
     2. ARP
     3. SLIP
     4. SNMP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RARP =    MAC(Media Access Control) --> IP(Internet Protocol)
ARP    =    IP(Internet Protocol) --> MAC(Media Access Control)
SLIP = 디지털망에서 디지털 신호의 한 비트 또는 여러 연속된 비트들이 손실되거나 중복되는 현상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 IETF가 망관리를 위해 규약화한 것으로,    UDP / IP 상에서 동작하는 비교적 단순한 형태의 메시지 교환형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뉠쌤]

52. 다음 중 단방향 통신만 가능한 시스템 버스는?(2007년 10월)
     1. 주소 버스
     2. 데이터 버스
     3. 로컬 버스
     4. 제어 버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주소버스는 CPU가 메모리나 입출력기기의 주소를 지정할때 사용하는 단방향전송선입니다. 답만 암기하세요.

53. 다음 중 멀티미디어 PC의 주변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2월)
     1. DVD는 기존 CD와 같은 크기로 한 면에 4.7GB의 정보를 담을 수 있다.
     2. CD-R은 기록은 할 수 없고, 단지 읽기만 가능한 CD이다.
     3. CD-RW는 여러번 삭제와 기록이 가능한 CD이다.
     4. 비디오 오버레이 보드는 외부 비디오 신호를 컴퓨터 화면에 보여주는 기기이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2. CD-R은 한번 기록이 가능한 장치
     읽기만 가능한 CD는 CD-ROM이다.

54. 다음 중 압축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일반적으로 텍스트 파일에 비해 그림 파일의 압축률이 좋다.
     2. 압축이 된 파일 여러 개를 모아 다시 한꺼번에 압축하면 압축률이 별로 좋지 않다.
     3. 압축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파일의 크기를 줄여준다.
     4. 텍스트 파일의 압축은 100% 원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가역적 압축이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그림파일 보다는 텍스트 파일 압축율이 높습니다.
보통 그림파일은 자체적으로 압축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번 압축한 파일을 다시 압축 한다고 하여 압축율이 높아 지지는 않습니다.

55. 다음 중 운영체제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1.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은 데이터나 파일의 표준적인 관리 및 전송을 관리한다.
     2. 사용자가 일을 시스템에 의뢰하고 나서 그 결과를 얻을 때까지 걸린 시간을 응답 시간이라 한다.
     3. 언어번역 프로그램에는 컴파일러, 인터프리터, 어셈블러 등이 있다.
     4.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이나 파일을 주기억 장치로 이동시키는 프로그램을 링커(Linker)라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링커란 두 개 이상의 목적 프로그램을 합쳐서 실행 가능한 한 개의 프로그램으로 만드는 작업을 하는 프로그램 입니다. 나머지 3개는 맞는 설명입니다.

56. 다음 중 처리할 데이터를 일정량 또는 일정기간 모아 두었다가 필요할 때 한 번에 처리하는 시스템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06년 11월)
     1. 분산(Distributed) 시스템
     2. 실시간 처리(Real Time Processing) 시스템
     3. 시분할(Time Sharing) 시스템
     4. 일괄처리(Batch Processing) 시스템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 분산 처리 시스템 :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작업과 자원을 분산시켜 처리하는방식
2. 실시간 처리 시스템: 자료가 입력되는 즉시 처리하는 시스템(좌석예약, 은행 업무 등등)
3. 시분할 처리 시스템 : CPU의 처리시간을 나누어 여러 개의 일을 반복 처리하도록 하여 중앙의 컴퓨터를 다수의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4. 일괄 처리 시스템 : 일정량 또는 일정기간 모아 두었다가 한꺼번에 처리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qkralsrb]

57.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해서 해킹을 통한 컴퓨터 범죄가 급증하고 있다.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비밀 번호를 수시로 변경한다.
     2. 해킹 방지를 위한 보안 관련 프로그램을 보급한다.
     3. 사용자에 대한 보안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4. 해킹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 네트워크 서비스를 중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구더기 무서워서 장 못담그랴 라는 말이 있습니다.
해킹을 방지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중지 한다는 것은 무리가 있는 이야기 입니다.
그보다는 네트워크를 통한 해킹 방지를 위하여 방화벽 설치 및 백신 설치를 하여 해킹으로부터 컴퓨터를 보호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58. PC를 업그레이드하려고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하드 디스크의 경우 E-IDE, SATA 또는 SCSI 방식인지 알아보아야 한다.
     2. 586을 Core2Duo로 업그레이드하려면, CPU만 교체해 주면 된다.
     3. 메모리를 업그레이드하는 경우 자신의 PC의 메모리가 몇 핀(Pin)짜리인지 살펴보고 적당한 것을 선택한다.
     4. 자신의 컴퓨터를 업그레이드할 때 어떤 이득이 있는지 면밀히 검토해 보고 업그레이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586과 Core2Duo의 CPU는 꼽는 방식이(핀수가) 다르므로 메인보드를 교체하여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59. 다음 중 인터넷 서비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FTP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는 원격 파일 전송 프로토콜이다.
     2. Telnet은 원격지에 위치한 컴퓨터를 접속하여 자신의 컴퓨터처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3. Ping은 전자 우편을 위하여 메일 내용의 보안성을 보장하는 프로토콜이다.
     4. WWW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하이퍼텍스트를 기반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3. PING : 원격지에 있는 컴퓨터가 현재 인터넷에 연결되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해설작성자 : s]

3. PING :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다른 호스트에 IP 데이터 프로그램이 도착할 수 있는지 검사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정확한 설명~]

[ping]
원격 컴퓨터가 현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정보의 작은 단위를 전송하여 응답시간을 확인해 접속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해당 컴퓨터의 이름과 IP주소, 전송 신호의 손실 률 및 응답시간이 표시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60. 다음 중 아웃룩(Outlook) 2007에서 전자 메일에 대한 규칙 및 알림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제목에 특정 단어가 들어 있는 메시지를 특정 폴더로 이동시킬 수 있게 지정할 수 있다.
     2. 특정인으로부터 메일을 받으면 특정 소리를 재생할 수 있게 지정할 수 있다.
     3. 제목에 특정 단어가 있는 메시지가 삭제되도록 지정할 수 있다.
     4. 받은 사람 란에 내 이름이 없을 경우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게 지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Outlook 2007에서 받은 사람 란에 내 이름이 없을 경우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게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은 없다.
[해설작성자 : 이아니스]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7614771)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워드프로세서, 워드(구 1급)필기, 워드1급,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50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5227482) 좋은아빠되기 2025.11.11 7
1849 9급 지방직 공무원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848 건축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47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소방학개론(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846 생산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845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9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44 9급 지방직 공무원 교육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843 9급 국가직 공무원 교육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4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1842 원예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4월08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841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40 사회복지사 1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1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9
1839 소방공무원(공개) 소방관계법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838 인간공학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1837 경찰공무원(순경) 형사소송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2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36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5536854)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835 정보통신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1834 워드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10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183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환경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7614771)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1831 비서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5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Board Pagination Prev 1 ...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204 Next
/ 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