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267117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기계열역학


1. 다음에 열거한 시스템의 상태량 중 종량적 상태량인 것은?(2017년 03월)
     1. 엔탈피
     2. 온도
     3. 압력
     4. 비체적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종량적 산태량: 해당 물질의 양에 따라 그 값의 크기가 변하는 상태량(Enthalpy)
[해설작성자 : 나대로]

2. 잘 단열된 노즐에서 공기가 0.45MPa에서 0.15 MPa로 팽창한다. 노즐 입구에서 공기의 속도는 50m/s, 온도는 150℃이며 출구에서의 온도는 45℃이다. 출구에서의 공기의 속도는? (단, 공기의 정압비열과 정적비열은 1.0035 kJ/kgㆍK, 0.7165 kJ/kgㆍK 이다.)(2010년 03월)
     1. 약 350 m/s
     2. 약 363 m/s
     3. 약 455 m/s
     4. 약 462 m/s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노즐의 에너지 보존법칙
h1 + (v1^2/ 2) = h2 + (v2^2 / 2)
h = CpT

좌변 = 1.0035*423* (50^2 / 2* 1000) = 약 425.88KJ/KG
우변 = 1.0035*318* (V2 / 2000) = 319.33 + (V2^2 / 2000)
415.88 = 319.33+(V2^2/2000)
V2 = 461.5m/s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용기 안에 있는 유체의 초기 내부에너지는 700kJ이다. 냉각과정 동안 250kJ의 열을 잃고, 용기내에 설치된 회전날개로 유체에 100kJ의 일을 한다. 최종상태의 유체의 내부에너지(kJ)는 얼마인가?(2020년 06월)
     1. 350
     2. 450
     3. 550
     4. 650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Q = △U + W = U2 - U1 + W 에서
-250 = U2 - 700 - 100

최종상태의 유체의 내부에너지(U2) = 700 - 250 + 100 = 550[kJ]
[해설작성자 : 기원]

4. 실제기체의 경우 압력이 0 에 가까워지면 Z=PV/RT 의 값은 어떻게 되는가?(2009년 07월)
     1. 1에 가까워진다.
     2. 0에 가까워진다.
     3. 무한대(∞)의 값을 갖는다.
     4. 온도에 따라 값이 달라진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Z=PV/RT는 압축인자를 나타내는 수치로, 실제 기체 부피 / 이상기체 부피를 의미한다.

이상기체에서는 PV=RT 이기 때문에, 이상기체 일수록 1에 가깝다. 따라서 압력이 0에 가까워질수록 이상기체에 가까워지므로 압축인자 자체는 1에 가까워진다.
[해설작성자 : 건전한자]

5. 냉매 R-134a를 사용하는 증기-압축 냉동사이클에서 냉매의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구간은 어디인가?(2011년 03월)
     1. 증발구간
     2. 압축구간
     3. 팽창구간
     4. 응축구간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응축구간에서는 냉매가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때문에 냉매가 액체로 변하면서 엔트로피는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건전한자]

6. 열역학 과정을 비가역으로 만드는 인자가 아닌 것은?(2006년 08월)
     1. 마찰
     2. 열의 일당량
     3. 유한한 온도 차에 의한 열전달
     4. 두 개의 서로 다른 물질의 혼합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열의 일당량은 일과 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상수, 즉 단위 변환 개념이므로 비가역과 관련이 없다.
참고) 3. 이상적인 가역 열전달을 위해서는 무한히 작은 온도차에서만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계(系)가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할 때 엔트로피의 변화는?(2011년 03월)
     1. 증가하거나 불변이다.
     2. 항상 증가한다.
     3. 감소하거나 불변이다.
     4. 증가, 감소할 수도 있으며 불변일 경우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39%

8. 10 냉동톤의 능력을 갖는 카르노 냉동기의 응축 온도가 25 ℃, 증발 온도가 -20 ℃ 이다. 이 냉동기를 운전하기 위하여 필요한 이론 동력은 몇 kW 인가?(단, 1 냉동톤은 3.85 kW 이다.)(2004년 08월)
     1. 6.85
     2. 4.65
     3. 2.63
     4. 1.37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cop=w/q
q=w/cop
cop=253/298-253
10*3.85/5.6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비열비가 k인 이상기체로 이루어진 시스템이 정압과정으로 부피가 2배로 팽창할 때 시스템이 한 일이 W, 시스템에 전달된 열이 Q일 때, W/Q는 얼마인가? (단, 비열은 일정하다.)(2016년 05월)
     1. k
     2. 1/k
     3. k/k-1
     4. k-1/k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W = m·R·(T2 - T1)
Q = m·Cp·(T2 - T1)
R = Cp - Cv
Cp/Cv = k
W/Q = R/Cp = (Cp - Cv)/Cp = 1 - Cv/Cp
= 1 - 1/k = (k - 1)/k
[해설작성자 : 나대로]

10. 이상디젤사이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3월)
     1. 두 개의 등엔트로피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2. 압축착화기관의 이상 사이클이다.
     3. 한 개의 등압과정과 한 개의 등온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4. 압축비가 동일 할 때 이상오토사이클 보다 열효율이 낮다.

     정답 : []
     정답률 : 46%

11. 랭킨(Rankine) 사이클에서 5 MPa, 500℃의 수증기가 터빈 안에서 5 kPa까지 단열 팽창할 때 이 사이클의 펌프 일은 약 몇 (kJ/kg)인가?(단, 물의 비체적은 0.001 m3/kg 이다.)(2008년 07월)
     1. 3
     2. 5
     3. 10
     4. 2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 실린더 내부에 기체가 채워져 있고 실린더에는 피스톤이 끼워져 있으며 피스톤 위에는 추가 놓여 있다. 초기 압력 100 kPa, 포기 체적 0.1m3인 기체를 버너로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가열하여 기체 체적이 0.5m3이 되었다면 이 과정 동안 시스템이 한 일은?(2010년 07월)
     1. 10 kJ
     2. 20 kJ
     3. 30 kJ
     4. 40 kJ

     정답 : []
     정답률 : 82%

13. 시간당 380ton의 물을 공급하여 수증기를 생산하는 보일러가 있다. 이 보일러에 공급하는 물의 엔탈피는 830kJ/kg이고, 생산되는 수증기의 엔탈피가 3230kJ/kg이라고 할 때, 발열량이 32000kJ/kg인 석탄을 시간당 34ton 씩 보일러에 공급한다면 이 보일러의 효율로 적절한 것은?(2014년 05월)
     1. 22.6%
     2. 39.5%
     3. 72.3%
     4. 83.8%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η = 열출력/(연료소비율*저위발열량)
η = 380000*(3230-830)/(34000*32000)
[해설작성자 : 8월4일 대비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발열량이 32000KJ/kG이 아닌 32000KJ/ton 으로 되어야함.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14. 어떤 물질 1kg이 20˚C에서 30˚C로 되기 위해 필요한 열량은 약 몇 kJ 인가? (단, 비열 (C, kJ/(kgㆍK))은 온도에 대한 함수로서 C=3.594+0.0372T이며, 여기서 온도(T)의 단위는 K이다.)(2017년 08월)
     1. 4
     2. 24
     3. 45
     4. 147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ΔQ = m·C·ΔT
Q = m x∫_T2~T1(3.594 + 0.0372T)dT
    = 1 x [3.594T + 0.0372T^2/2]_303~293
    = 3.594 x (303 - 293) + 0.0372/2 x (303^2 - 293^2)
    = 147kJ
[해설작성자 : 나대로]

15. 피스톤-실린더 장치 안에 300 kPa, 100℃의 이산화탄소 2 kg이 들어있다. 이 가스를 PV1.2=constant인 관계를 만족하도록 피스톤 위에 추를 더해가며 온도가 200℃가 될 때까지 압축하였다. 이 과정 동안의 열전달량은 약 몇 kJ인가? (단, 이산화탄소의 정적비열(Cv)=0.653 kJ/kgㆍK 이고, 정압비열(Cp)=0.842 kJ/kgㆍK 이며, 각각 일정하다.)(2010년 05월)
     1. -189
     2. -58
     3. -20
     4. -130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폴리트로픽 가열량 = m *    Cv * (n-k / n-1) (T2-T1)
k = Cp/Cv = 1.289
2*0.653*(1.2-1.289/1-0.8)(473-373) = -58.12KJ
[해설작성자 : 건전한자]

16. 이상기체에 관해서 맞는 것은?(2003년 08월)
     1. 내부에너지는 압력만의 함수이다.
     2. 내부에너지는 체적만의 함수이다.
     3. 내부에너지는 온도만의 함수이다.
     4. 내부에너지는 엔트로피만의 함수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17. 이상기체 공기가 안지름 0.1m인 관을 통하여 0.2m/s로 흐르고 있다. 공기의 온도는 20℃, 압력은 100kPa, 기체상수는 0.287kJ/(kg·K)라면 질량유량은 약 몇 kg/s인가?(2018년 03월)
     1. 0.0019
     2. 0.0099
     3. 0.0119
     4. 0.0199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Pv=RT
v=RT/P
ρ=P/RT     ρ=100/0.287*(273+20)=1.189
1.189*π*0.1^2/4*0.2 = 0.00187
[해설작성자 : 만년공학도]

18. 유체가 20 m/s의 속도로 단열 노즐에 들어가서 400 m/s의 속도로 나온다면 엔탈피의 증가량은 몇 kJ/kg인가?(2003년 03월)
     1. 79.8
     2. -79.8
     3. 79800
     4. -79800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20^2-400^2/2)*10^-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잘 단열된 축전지를 전압 12 V, 전류 3 A로 1시간 충전한다. 축전지를 시스템으로 삼아 1시간 동안 행한 일과 열을 구하면?(2004년 03월)
     1. 일 = 36.0 kJ, 열 = 0.0 kJ
     2. 일 = 0.0 kJ, 열 = 36.0 kJ
     3. 일 = 129.6 kJ, 열 = 0.0 kJ
     4. 일 = 0.0 kJ, 열 = 129.6 kJ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P=VI 12 x 3
1Wh=(60min X 60sec)J=3.6KJ
12X3X3.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질량이 m이고 한 변의 길이가 a인 정육면체 상자 안에 있는 기체의 밀도가 ρ이라면 질량이 2m이고 한 변의 길이가 2a인 정육면체 상자 안에 있는 기체의 밀도는?(2021년 08월)
     1. ρ
     2. (1/2)ρ
     3. (1/4)ρ
     4. (1/8)ρ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m/(a^3) = 로우
2m/(8a^3) = (1/4)로우
[해설작성자 : 튜니아로]

2과목 : 냉동공학


21. 일반적으로 가정 냉장고용 압축기에서 하우징 내의 압력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06년 03월)
     1. 증발기 내의 압력
     2. 흡입압력
     3. 토출압력
     4. 응축압력

     정답 : []
     정답률 : 50%

22. 다음 냉동장치에서 수분의 영향을 열거한 것중 타당한 것들로 이루어진 것은?(2004년 05월)

    

     1. ①,④
     2. ①,②,③
     3. ②,③
     4. ①,③

     정답 : []
     정답률 : 53%

23. 냉동기에서 성적계수가 6.84 일 때 증발온도가 -15℃이다. 이 때 응축온도는 몇 ℃인가?(2013년 08월)
     1. 17.5
     2. 20.7
     3. 22.7
     4. 25.5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6.84 = (273-15) / T1 - (273-150)
[해설작성자 : 공조웃는사람]

24. 다음 응축기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6년 08월)
     1. 횡형 셀앤튜브식 응축기의 관내 수속은 5m/s 가 적당하다.
     2. 공냉식 응축기는 기온의 변동에 따라 응축능력이 변하지 않는다.
     3. 입형 셀앤튜브식 응축기는 운전중에 냉각관의 청소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주로 물의 감열로서 냉각하는 것이 증발식 응축기 이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1. 수속 1~2m/s가 적당하다.
2. 공냉식 응축기는 기온이 높아지면 응축능력이 떨어진다.
4. 감열(현열)이 아닌 (증발)잠열을 주로 이용한다.
[해설작성자 : 건전한자]

25. 다음 사항은 증발기의 구조와 작용에 대해 설명한 것이다 이 중 옳은 것은?(2003년 08월)
     1. 동일 운전상태에서는 만액식 증발기가 건식 증발기 보다 열통과율이 나쁘다.
     2. 만액식 증발기에서 부하가 커지면 냉매 순환량이 작아진다.
     3. 건식 증발기는 주로 온도식 팽창밸브와 모세관을 팽창밸브로 사용한다.
     4. 증발기의 냉각능력은 전열면적이 작을 수록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2번 부하가 커지면 냉매순환량은 많아진다 과열도가 커지면 냉매순환량은 적어진다
3번 건식증발기는 온도식,모세관,정압식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dalma2018]

26. 국소 대기압이 750mmHg이고 계기압력이 0.2 kgf/cm2 일 때, 절대압력은?(2015년 03월)
     1. 약 0.46kgf/cm2
     2. 약 0.96kgf/cm2
     3. 약 1.22kgf/cm2
     4. 약 1.36kgf/cm2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절대압력=대기압+게이지압
[해설작성자 : ㅇㅈ]

27. 증발기 정비에 대한 다음 각 사항중 옳은 것은?(2004년 03월)
     1. 공기로 냉각하는 저온용 증발기는 공기의 속도를 10m/sec 이상으로 하면 냉각관 표면에 서리가 전혀 끼이지 않는다.
     2. R - 22를 냉매로 한 증발기에서 오일은 냉매와 같이 순환하며 냉매 중에 함유되는 오일의 양은 관계없다.
     3. 살수식 제상은 보통 사용되는 물을 순환 시키는 경우가 많으며 물탱크에서 40℃ 이상으로 가온한다.
     4. 공기로 냉각하는 증발기는 액 순환식이나 만액식 모두 열 통과율은 대체로 비슷하다.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살수식 제상은 10~25도씨 정도이다
[해설작성자 : dalma2018]

28. 냉매가 누설되거나 냉매충전량이 부족시 발생할 수 있는 현상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2014년 05월)
     1. 토출압력이 너무 낮다.
     2. 흡입압력이 너무 낮다.
     3. 압축기의 정지시간이 길다.
     4. 압축기가 시동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냉매량이 부족하면 부하를 감당하기 위해 냉동기 가동시간이 길어진다
냉매가 부족하여 저압스위치가 작동한 후 설정압력이 회복되지 않아 재시동이 안된다
[해설작성자 : 트럼펫조율사]

냉매가 부족하게 되면 압축기의 정지시간이 짧게 되고 냉동능력이 저하한다.
[해설작성자 : 공조냉동기계기사]

29. 열통과율 900kcal/m2·h·℃, 전열면적 5m2인 아래 그림과 같은 대향류 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량(kcal/h)은? (단, t1 : 27℃, t2 : 13℃, tw1 : 5℃, tw2 : 10℃이다.)(2018년 08월)

    

     1. 26865
     2. 53730
     3. 45000
     4. 90245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대수평균온도차는
T1-tw2=17
반대쪽은 8이다
그걸 이용하면
(17-8)/ln(17/8)
이 대수평균온도차에서 900과 5를 곱하면됩니다
[해설작성자 : 깡군]

30. 펠티에(Peltier)효과를 이용한 냉동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펠티에 효과를 냉동에 이용한 것이 전자냉동 또는 열전기식 냉동법이다.
     2. 펠티에 효과를 냉동법으로 실용화에 어려운 점이 많았으나 반도체 기술이 발달하면서 실용화되었다.
     3. 이 냉동방법을 이용한 것으로는 휴대용 냉장고, 가정용 특수냉장고, 물 냉각기, 핵 잠수함 내의 냉난방장치이다.
     4. 이 냉동방법도 증기 압축식 냉동장치와 마찬가지로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등을 이용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펠티어효과는 직류전원을 이용하는것으로 압축기,응축기, 증발기가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ㄱㅁㄹ]

펠티에효과는 전기.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는 기계
[해설작성자 : 포브]

31. 다음 중 초저온 냉동기에 사용하기 적합한 냉매는?(2004년 03월)
     1. R - 11
     2. R - 13
     3. R - 21
     4. R - 502

     정답 : []
     정답률 : 35%

32. 다음은 증발기에 관한 내용이다. 잘못 설명된 것은?(2010년 05월)
     1. 냉매는 증발기속에서 습증기가 건포화 증기로 변한다.
     2. 건식 증발기는 유회수가 용이하다.
     3. 만액식 증발기는 리키드백을 방지하기 위해 액분리기를 설치한다.
     4. 액 순환식 증발기는 액 펌프나 저압수액기가 필요 없으므로 소형 냉동기에 유리하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액순환식 증발기는 대형냉동기에 유리함
[해설작성자 : 333]

33. 식품의 평균 초온이 0℃일 때 이것을 동결하여 온도중심점을 –15℃까지 내리는 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는 것은?(2019년 04월)
     1. 유효동결시간
     2. 유효냉각시간
     3. 공칭동결시간
     4. 시간상수

     정답 : []
     정답률 : 74%

34. 성적계수인 COP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냉동기의 성능을 표시하는 무차원수로서 압축일량과 냉동효과의 비를 말한다.
     2. 열펌프의 성적계수는 일반적으로1보다 작다.
     3. 실제 냉동기에서는 압축효율도 COP에 영향을 미친다.
     4. 냉동사이클에서는 응축온도가 가능한 한 낮고, 증발온도가 높을수록 성적계수는 크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열펌프의 성적계수는 일반적으로 3.0이상이며 냉동기의 성적계수보다 항상 1만큼 크다
[해설작성자 : 알과카]

35. 일원 냉동사이클과 다원 냉동사이클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2003년 08월)
     1. 압축기의 대수
     2. 증발기의 수
     3. 냉동장치내의 냉매 종류
     4. 중간냉각기의 유무(有無)

     정답 : []
     정답률 : 69%

36. 냉동기의 압축기 윤활목적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마찰을 감소시켜 마모를 적게 한다.
     2. 패킹재를 보호한다.
     3. 열을 발생시킨다.
     4. 피스톤, 스터핑박스 등에서 냉매누출을 방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윤활의 목적은 열을 제거 및 냉각입니다.
[해설작성자 : ㄱㅁㄹ]

37. 다음과 같이 운전되고 있는 열펌프의 성적계수는?(2014년 08월)

    

     1. 1.7
     2. 2.7
     3. 3.7
     4. 4.7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COPhp = Q_H / W = Q_H / (Q_H - Q_L)
Q_H = 157.5 - 115 = 42.5kcal/kg
Q_L = 148.5 - 115 = 33.5kcal/kg
따라서 COPhp = 42.5 / (42.5-33.5) = 4.72
[해설작성자 : 공조다람]

38. 모리엘(P-h)선도상에서 응축온도를 일정하게 하고, 증발온도를 저하시킬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잘못된 것은?(2009년 03월)
     1. 소요 동력이 증대한다.
     2. 압축비가 감소한다.
     3. 냉동능력이 감소한다.
     4. 플래쉬 가스 발생량이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39. 냉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4월)
     1. 냉매표기 R+xyz형태에서 xyz는 공비 혼합 냉매 경우 400번대, 비공비 혼합 냉매 경우 500번대로 표시한다.
     2. R502는 R22와 R113과의 공비혼합냉매이다.
     3. 흡수식 냉동기는 냉매로 NH3와 R-11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4. R1234yf는 HFO계열의 냉매로서 지구온난화지수(GWP)가 매우 낮아 R134a의 대체 냉매로 활용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공비혼합냉매= 500번대이다
R-500= 152+12
    501= 12+22
    502= 115+22
    503= 13+23
[해설작성자 : dalma2018]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502= 11+22
[해설작성자 : 판다]

40. 다음은 스크류(screw) 냉동기의 특징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2005년 05월)
     1. 동일용량의 왕복동식 냉동기에 비해 부품의 수가 적고 수명이 길다.
     2. 10∼100% 사이의 무단계 용량제어가 되므로 자동운전에 적합하다.
     3. 타 냉동기에 비해 오일 햄머의 발생이 적다.
     4. 소형 경량이긴 하나 진동이 많으므로 강고(强固)한 기초가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58%

3과목 : 공기조화


41. 다음은 공기조화기에 걸리는 열부하 요소에 대한 것이다. 적당하지 않은 것은?(2003년 08월)
     1. 외기부하
     2. 재열부하
     3. 덕트계통에서의 열부하
     4. 배관계통에서의 열부하

     정답 : []
     정답률 : 57%

42. 냉방시 실내부하에 속하지 않는 것은?(2020년 08월)
     1. 외기의 도입으로 인한 취득열량
     2. 극간풍에 의한 취득열량
     3. 벽체로부터의 취득열량
     4. 유리로부터의 취득열량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보기 1번은 외기부하의 내용이다.
[해설작성자 : amd64]

43. 에너지 절약의 효과 및 사무자동화(OA)에 의한 건물에서 내부발생열의 증가와 부하변동에 대한 제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대규모 사무실 건물에 적합한 공기조화 방식은?(2011년 08월)
     1. 정풍량(CAV) 단일덕트 방식
     2. 유인유닛 방식
     3. 룸 쿨러 방식
     4. 가변풍량(VAV) 단일덕트 방식

     정답 : []
     정답률 : 69%

44. 냉방부하의 종류에 따라 연관되는 열의 종류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인체의 발생열 - 현열, 잠열
     2. 극간풍에 의한 열량 - 현열, 잠열
     3. 조명부하 - 현열, 잠열
     4. 외기 도입량 - 현열, 잠열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조명은 현열만 있고 잠열은 없어요
[해설작성자 : 유누1]

45. 멀티조운 유닛방식의 특징은?(2003년 03월)
     1. 혼합손실이 없어서 에너지 소비가 적다.
     2. 정풍량 장치가 없으므로 각실의 송풍량에 불균형이 생길 염려가 있다.
     3. 개별식이므로 부분 운전 및 시간차 운전에 적합하다.
     4. 각 조운의 부하 변동에 따라 송풍량이 변하므로 년간 송풍 동력이 작다.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멀티존 유닛방식은 2중덕트 방식과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해설작성자 : dalma2018]

46. 공기조화설비의 개방식 축열수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태양열 이용식에서 열회수의 피크시와 난방부하의 피크시가 어긋날 때 이것을 조정할 수 있다.
     2. 값이 비교적 저렴한 심야전력을 이용할 수 있다.
     3. 호텔 등에서 생기는 심야의 부하에 열원의 가동없이 펌프운전만으로 대응할 수 있다.
     4. 공조기에 사용되는 냉수는 냉동기 출구측보다 다소 높게 되어 2차측의 온도차를 크게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4. 2차측의 온도차를 크게 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루루네아빠]

47. 냉수 코일설계 기준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7월)
     1. 코일의 설치는 관이 수평으로 놓이게 한다.
     2. 수속의 기준 설계 값은 1m/s 전후이다.
     3. 공기 냉각용 코일의 일 수는 4~8열이 많이 사용된다
     4. 냉수 입ㆍ출구 온도차는 10℃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냉수 입/출 온도차는 5℃이상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배나와찌]

48. 건구온도15℃의 습공기 300m3/h를 20℃까지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은 약 몇 kcal/h 인가?(2006년 08월)
     1. 265 kcal/h
     2. 325 kcal/h
     3. 435kcal/h
     4. 510kcal/h

     정답 : []
     정답률 : 58%

49. 물에 의한 보일러 장해 요인이 아닌 것은? (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09년 07월)
     1. 스케일 부착
     2. 부식
     3. 캐리오버
     4. 전열 촉진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전열이 촉진되면 보일러 가열 열량이 더욱 잘 전달 되는 것이므로, 장해 요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50. 다음 중 온수난방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저온 방열이므로 안전하고,양호한 온열환경을 얻는다
     2. 온수 온도를 중앙에서 집중적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다.
     3. 축열용량이 크므로 운전을 정지해도 금방 식지 않는 다.
     4. 방열량의 조절이 곤란하다.

     정답 : []
     정답률 : 72%

51. 진공 환수식 증기난방 배관에 관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3월)
     1. 방열기는 보일러보다 항상 높은 위치에 있어야 한다.
     2. 환수관 말단에 진공펌프를 설치하여 환수한다.
     3. 진공펌프에서 응축수 내의 공기를 배출한다.
     4. 환수관의 관경을 작게 취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1번 설명은 중력환수식이고, 진공환수식은 방열기 설치의 제한이 없다
[해설작성자 : dalma2018]

52. 다음 중 HEPA 필터의 설치가 요구되는 곳은?(2008년 05월)
     1. 방적공장
     2. 클린 룸
     3. 제분공장
     4. 호텔의 주방

     정답 : []
     정답률 : 74%

53. 냉각코일 또는 에어워셔의 용량으로 감당해야 할 부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0년 05월)
     1. 실내취득열량
     2. 기기취득열량
     3. 외기부하
     4. 펌프, 배관부하

     정답 : []
     정답률 : 61%

54. 다음 중 서로 상관이 없는 것끼리 짝지어진 것은?(2014년 08월)
     1. 순환수두 - 밀도차
     2. VAV - 변풍량방식
     3. 저압증기난방 - 팽창탱크
     4. MRT - 패널 표면온도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팽창탱크는 온수난방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Amd64]

55. 습공기의 수증기 분압을 Pv, 동일온도의 포화 수증기압을 Ps라 할 때 다음 중 잘못된 것은?(2010년 07월)
     1.
     2. Pυ<Ps 일 때 불포화습공기
     3. Pυ=Ps 일 때 포화습공기
     4. Pυ=0 일 때 건공기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성대습도 = Pv/Ps * 100
[해설작성자 : 만년공학도]

56. 다음 중 온수난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4월)
     1. 팽창탱크
     2. 공기빼기밸브
     3. 관말트랩
     4. 순환펌프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관말트랩 : 증기난방에서 응축수 회수용.
[해설작성자 : amd64]

57. 다음 냉방부하 요소 중 잠열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2019년 04월)
     1. 인체에서의 발생열
     2. 커피포트에서의 발생열
     3. 유리를 통과하는 복사열
     4. 틈새바람에 의한 취득열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보기3은 현열량이다.
[해설작성자 : amd64]

58. 고속덕트의 주덕트 풍속은 일반적으로 얼마인가?(2015년 05월)
     1. 5 ~ 7m/s
     2. 8 ~ 10m/s
     3. 12 ~ 14m/s
     4. 20 ~ 23m/s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저속<15m/s<고속
[해설작성자 : 정군]

59. 건물의 지하실, 대규모 조리장 등에 적합한 기계환기법(강제급기 + 강제배기)은?(2015년 08월)
     1. 제1종 환기
     2. 제2종 환기
     3. 제3종 환기
     4. 제4종 환기

     정답 : []
     정답률 : 77%

60. 취출온도를 일정하게 하여 부하에 따라 송풍량을 변화시켜 실온을 제어하는 방식은?(2021년 05월)
     1. 가변풍량방식
     2. 재열코일방식
     3. 정풍량방식
     4. 유인유닛방식

     정답 : []
     정답률 : 71%

4과목 : 전기제어공학


61. 조종사가 배치되어 있지 않는 엘리베이터의 자동제어는?(2003년 05월)
     1. 추종제어
     2. 프로그램제어
     3. 정치제어
     4. 프로세스제어

     정답 : []
     정답률 : 65%

62. 제어장치가 제어대상에 가하는 제어신호로 제어장치의 출력인 동시에 제어대상의 입력인 신호는?(2003년 05월)
     1. 동작신호
     2. 조작량
     3. 제어량
     4. 목표값

     정답 : []
     정답률 : 30%

63. 비행기 등과 같은 움직이는 목표값의 위치를 알아보기 위한 즉, 원뿔주사를 이용한 서보용 제어기는?(2016년 05월)
     1. 추적레이더
     2. 자동조타장치
     3. 공작기계의 제어
     4. 자동평형기록계

     정답 : []
     정답률 : 82%

64. 전류계와 병렬로 연결되어 전류계의 측정범위를 확대해주는 것은?(2009년 05월)
     1. 배율기
     2. 분류기
     3. 절연저항
     4. 접지저항

     정답 : []
     정답률 : 74%

65. 제어동작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2위치동작 : ON-OFF 동작이라고도 하며, 편차의 정부(+,-)에 따라 조작부를 전폐 또는 전개하는 것이다.
     2. 비례동작 : 편차의 제곱에 비례한 조작신호를 낸다.
     3. 적분동작 : 편차의 적분치에 비례한 조작신호를 낸다.
     4. 미분동작 : 조작신호가 편차의 증가속도에 비례하는 동작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66. 그림과 같은 피드백 회로의 종합 전달함수는?(2011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8%

67. 온도, 유량, 압력 등 공정제어의 제어량으로 하는 제어로 일반적으로 응답속도가 늦은 제어계는?(2011년 06월)
     1. 비율제어
     2. 프로그램제어
     3. 정치제어
     4. 프로세스제어

     정답 : []
     정답률 : 66%

68. 입력신호 x(t)와 출력신호 y(t)의 관계가 로 표현되는 것은 어떤 요소인가?(2021년 05월)
     1. 비례요소
     2. 미분요소
     3. 적분요소
     4. 지연요소

     정답 : []
     정답률 : 67%

69. 절연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측기는?(2010년 05월)
     1. 메거
     2. 휘스톤브리지
     3. 켈빈브리지
     4. 저항계

     정답 : []
     정답률 : 78%

70. 온도를 임피던스로 변환시키는 요소는?(2019년 08월)
     1. 측온 저항체
     2. 광전지
     3. 광전 다이오드
     4. 전자석

     정답 : []
     정답률 : 70%

71. 공작기계의 부품 가공을 위하여 주로 펄스를 이용한 프로그램 제어를 하는 것은?(2018년 04월)
     1. 수치 제어
     2. 속도 제어
     3. PLC 제어
     4. 계산기 제어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수치제어는 프로그램 제어로서 컴퓨터 등의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공작기계를 자동 제어한다.
[해설작성자 : 쩡]

72. 다음 중 엘리베이터에 적용하는 유도전동기에 인가되는 전압과 주파수를 동시에 변환시키는 제어방식은?(2009년 03월)
     1. 교류1단 속도제어방식
     2. 교류2단 속도제어방식
     3. VVVF 제어방식
     4. 교류 궤환제어방식

     정답 : []
     정답률 : 68%

73. 동일한 저항에 교류와 직류를 동일시간 동안 먼가하였을 때 소비되는 전력량(발열량)이 같은 경우, 이때의 직류값을 정현파 교류의 무엇이라 하는가?(2011년 08월)
     1. 실효값
     2. 파고값
     3. 평균값
     4. 파형률

     정답 : []
     정답률 : 62%

74. 다음의 브리지 중 예비전원으로 사용되는 축전지의 내부 저항을 측정할 때 가장 적절한 것은?(2014년 05월)
     1. 캠벨 브리지
     2. 맥스웰 브리지
     3. 휘트스톤 브리지
     4. 코올라시 브리지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코올라시 브리지는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축전지의 내부저항, 전해액의 저항을 측정한다.
[해설작성자 : 쩡]

75. 리니어 전동기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2006년 03월)
     1. 구조가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다
     2. 기어, 벨트 등 동력변환기구가 필요 없다
     3. 마찰을 거쳐서 추진력이 얻어진다.
     4. 원심력에 의한 가속 제한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마찰하게되면 간섭이 일어나 리니어 샤프트, 모터 등 부품에 문제가 된다.
[해설작성자 : 루루네아빠]

76. 전원전압을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이오드로 가장 옳은 것은?(2017년 03월)
     1. 제너 다이오드
     2. 터널 다이오드
     3. 보드형 다이오드
     4. 바랙터 다이오드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제너 다이오드 - 정전압 다이오드
[해설작성자 : amd64]

77. 전기기의 전로의 누전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되는 계측기는?(2020년 09월)
     1. 메거
     2. 전압계
     3. 전류계
     4. 검전기

     정답 : []
     정답률 : 58%

78.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가 나타내는 식은?(2003년 08월)

    

     1. X=AB+BA
     2. X=AB+(A+B)
     3.
     4.

     정답 : []
     정답률 : 49%

79. 온도를 임피던스로 변환시키는 요소는?(2009년 03월)
     1. 측온 저항
     2. 광전지
     3. 광전 다이오드
     4. 전자석

     정답 : []
     정답률 : 69%

80. 다음 회로도를 보고 진리표를 채우고자 한다. 빈칸에 알맞은 값은?(2020년 09월)

    

     1. ⓐ 1, ⓑ 1, ⓒ 0, ⓓ 0
     2. ⓐ 0, ⓑ 0, ⓒ 1, ⓓ 1
     3. ⓐ 0, ⓑ 1, ⓒ 0, ⓓ 1
     4. ⓐ 1, ⓑ 0, ⓒ 1, ⓓ 0

     정답 : []
     정답률 : 50%

81. 강관 접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3년 08월)
     1. 나사접합
     2. 플랜지접합
     3. 용접접합
     4. 몰코접합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몰코접합(SR Joint)--스테인리스 강관이음 방법
[해설작성자 : 풍경소리]

82. 도시가스 배관을 매설하는 경우이다.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배관을 철도부지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배관의 외면으로부터 궤도 중심까지 거리는 4m이상 일 것
     2. 배관을 철도부지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배관의 외면으로부터 철도부지 경계까지 거리는 0.6m 이상일 것
     3. 배관을 철도부지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지표면으로부터 배관의 외면까지의 깊이는 1.2m이상으로 할 것
     4. 배관을 산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지표면으로부터 배관의 외면까지의 깊이는 1m이상으로 할 것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철도부지 경계까지 1m 이상
[해설작성자 : 포도아빠]

83. 다음 배관지지 장치 중 변위가 큰 개소에 사용하기에 가장 적절한 행거(hanger)는?(2021년 03월)
     1. 리지드 행거
     2. 콘스탄트 행거
     3. 베리어블 행거
     4. 스프링 행거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리지드 : 턴버클을 이용하여 중량 지지, 변위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곳에 사용
스프링 : 스프링을 이용하여 중량, 열팽창에 의한 변영 지지, 작은 수직 변위만 허용
콘스탄트 : 수직, 수평 모두 사용 가능
[해설작성자 : 건전한자]

84. 동관의 이음에서 기계의 분해, 점검, 보수를 고려하여 사용하는 이음법은?(2010년 03월)
     1. 납땜이음
     2. 플라스턴이음
     3. 플레어이음
     4. 소켓이음

     정답 : []
     정답률 : 62%

85. 덕트의 단위길이 당 마찰손실이 일정하도록 치수를 결정하는 덕트 설계법은?(2015년 05월)
     1. 등마찰손실법
     2. 정속법
     3. 등온법
     4. 정압재취득법

     정답 : []
     정답률 : 75%

86. 다음 냉매액관 중에 플래시가스 발생 원인이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과냉각도가 클 때
     2. 관경이 매우 작거나 현저히 입상할 경우
     3. 여과망이나 드라이어가 막혔을 때
     4. 온도가 높은 장소를 통과 시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 발생원인이 아닌 해결 방법
[해설작성자 : 김경태]

87. 급수배관에서 수격작용을 방지하는 방법은?(2003년 03월)
     1. 적당한 배관구배를 준다.
     2. 수압을 높인다.
     3. 급폐쇄형 밸브 근처에 공기실을 설치한다.
     4. 보온을 철저히 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88. 최고 사용압력이 38㎏/㎝2인 배관은 SPP - 38이다. 안전율을 4로 하였을 때 적당한 관의 스케줄 번호는?(2003년 03월)
     1. 10
     2. 20
     3. 40
     4. 60

     정답 : []
     정답률 : 42%

89. 관의 종류와 이음방법의 연결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강관 - 나사이음
     2. 동관 - 압축이음
     3. 주철관 - 칼라이음
     4. 스테인리스강관 –몰코이음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칼라이음은 콘크리트 이음의 한 종류로 칼라, 소켓, 삽입이 있다.
[해설작성자 : 한철]

90. 저압가스배관에서 관 내경이 25mm에서 압력손실이 320mmAq이라면, 관 내경이 50mm로 2배로 되었을 때 압력손실은 얼마인가?(2017년 05월)
     1. 160mmAq
     2. 80mmAq
     3. 32mmAq
     4. 10mmAq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압력손실은 관경의 5제곱에 반비례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합격]

91. 대ㆍ소변기 및 이와 유사한 용도를 갖는 기구로부터 배수 등 인간의 분뇨를 포함하는 배수의 종류는?(2015년 03월)
     1. 우수
     2. 오수
     3. 잡배수
     4. 특수배수

     정답 : []
     정답률 : 79%

92. 다음 중 복사난방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3년 05월)
     1. 방열기의 설치공간이 따로 필요 없다.
     2. 시설비가 비교적 비싸다.
     3. 대류가 적으므로 바닥면의 먼지가 상승이 적다.
     4. 열용량이 크므로 예열시간이 짧다.

     정답 : []
     정답률 : 50%

93. 가스 배관내의 유량이 2배로 증가하면 압력손실은 어떻게 되는가?(2010년 03월)
     1. 압력손실은 2배로 된다.
     2. 압력손실은 4배로 된다.
     3. 압력손실은 8배로 된다.
     4. 압력손실은 16배로 된다.

     정답 : []
     정답률 : 61%

94. 덕트의 단위 길이당 마찰저항이 일정하도록 치수를 결정하는 덕트 설계법은?(2010년 05월)
     1. 등마찰손실법
     2. 정속법
     3. 등온법
     4. 정압재취득법

     정답 : []
     정답률 : 76%

95. 다음 중 열을 잘 반사하고 확산하여 방열기 표면 등의 도장용으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도료는?(2021년 05월)
     1. 광명단
     2. 산화철
     3. 합성수지
     4. 알루미늄

     정답 : []
     정답률 : 70%

96. 저압 증기배관에 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증기와 응축수의 흐름방향이 동일한 경우 증기관배관은 1/250 이상의 내림구배를 준다.
     2. 주관에서 지관을 분기하는 경우에는 배관의 신축을 고려하여 스위블이음으로 한다.
     3. 진공환수식의 환수관에서 리프트이음 1단 높이는 1.5m 이하로 하고, 리프트관의 지름은 환수관보다 한 치수 적은 것으로 한다.
     4. 버킷형 트랩은 저압증기에 사용되면 수평 또는 수직 어느 쪽으로 설치해도 지장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40%

97. 보온재의 선정 조건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04년 05월)
     1. 열전달률이 작아야 한다.
     2. 불연성이 있는 것이 좋다.
     3. 물리적 화학적 강도가 커야 한다.
     4. 내용 년수는 작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98. 다음은 플랜지 이음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5월)
     1. 배관의 점검이나 보수를 위하여 관을 해체할 필요가 있는 곳에 적용한다.
     2. 강관인 경우 플랜지이음은 특별한 규약이 없으면 최소 호칭지름 100A이상에 적용한다.
     3. 플랜지를 설치하는 위치는 볼트를 체결하기 용이한 곳으로 한다.
     4. 여러개가 통과하는 배관에는 플랜지가 서로 어긋나도록 위치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35%

99. 증기난방 방식을 온수난방 방식과 비교하여 장점이 아닌것은?(2004년 08월)
     1. 예열시간이 짧다.
     2. 한냉지에서 동결의 우려가 적다.
     3. 용량제어가 용이하다.
     4. 방열기 방열면적이 적다.

     정답 : []
     정답률 : 26%

100. 가스 공급방식으로 저압 공급방식의 특징 중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수요량의 변동과 거리에 따라 공급압력이 변동한다.
     2. 홀더압력을 이용해 저압배관만으로 공급하므로 공급계통이 비교적 간단하다.
     3. 공급구역이 좁고 공급량이 적은 경우에 적합하다.
     4. 가스의 공급압력은 0.2~0.5Mpa(2~5kgf/cm2)정도 이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가스 공급방식
- 저압 : 1kgf/cm2 미만
- 중압 : 1~10kgf/cm2 미만
- 고압 : 10kgf/cm2 이상
[해설작성자 : 정군]


정 답 지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267117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기계열역학


1. 다음에 열거한 시스템의 상태량 중 종량적 상태량인 것은?(2017년 03월)
     1. 엔탈피
     2. 온도
     3. 압력
     4. 비체적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종량적 산태량: 해당 물질의 양에 따라 그 값의 크기가 변하는 상태량(Enthalpy)
[해설작성자 : 나대로]

2. 잘 단열된 노즐에서 공기가 0.45MPa에서 0.15 MPa로 팽창한다. 노즐 입구에서 공기의 속도는 50m/s, 온도는 150℃이며 출구에서의 온도는 45℃이다. 출구에서의 공기의 속도는? (단, 공기의 정압비열과 정적비열은 1.0035 kJ/kgㆍK, 0.7165 kJ/kgㆍK 이다.)(2010년 03월)
     1. 약 350 m/s
     2. 약 363 m/s
     3. 약 455 m/s
     4. 약 462 m/s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노즐의 에너지 보존법칙
h1 + (v1^2/ 2) = h2 + (v2^2 / 2)
h = CpT

좌변 = 1.0035*423* (50^2 / 2* 1000) = 약 425.88KJ/KG
우변 = 1.0035*318* (V2 / 2000) = 319.33 + (V2^2 / 2000)
415.88 = 319.33+(V2^2/2000)
V2 = 461.5m/s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용기 안에 있는 유체의 초기 내부에너지는 700kJ이다. 냉각과정 동안 250kJ의 열을 잃고, 용기내에 설치된 회전날개로 유체에 100kJ의 일을 한다. 최종상태의 유체의 내부에너지(kJ)는 얼마인가?(2020년 06월)
     1. 350
     2. 450
     3. 550
     4. 650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Q = △U + W = U2 - U1 + W 에서
-250 = U2 - 700 - 100

최종상태의 유체의 내부에너지(U2) = 700 - 250 + 100 = 550[kJ]
[해설작성자 : 기원]

4. 실제기체의 경우 압력이 0 에 가까워지면 Z=PV/RT 의 값은 어떻게 되는가?(2009년 07월)
     1. 1에 가까워진다.
     2. 0에 가까워진다.
     3. 무한대(∞)의 값을 갖는다.
     4. 온도에 따라 값이 달라진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Z=PV/RT는 압축인자를 나타내는 수치로, 실제 기체 부피 / 이상기체 부피를 의미한다.

이상기체에서는 PV=RT 이기 때문에, 이상기체 일수록 1에 가깝다. 따라서 압력이 0에 가까워질수록 이상기체에 가까워지므로 압축인자 자체는 1에 가까워진다.
[해설작성자 : 건전한자]

5. 냉매 R-134a를 사용하는 증기-압축 냉동사이클에서 냉매의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구간은 어디인가?(2011년 03월)
     1. 증발구간
     2. 압축구간
     3. 팽창구간
     4. 응축구간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응축구간에서는 냉매가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때문에 냉매가 액체로 변하면서 엔트로피는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건전한자]

6. 열역학 과정을 비가역으로 만드는 인자가 아닌 것은?(2006년 08월)
     1. 마찰
     2. 열의 일당량
     3. 유한한 온도 차에 의한 열전달
     4. 두 개의 서로 다른 물질의 혼합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열의 일당량은 일과 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상수, 즉 단위 변환 개념이므로 비가역과 관련이 없다.
참고) 3. 이상적인 가역 열전달을 위해서는 무한히 작은 온도차에서만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계(系)가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할 때 엔트로피의 변화는?(2011년 03월)
     1. 증가하거나 불변이다.
     2. 항상 증가한다.
     3. 감소하거나 불변이다.
     4. 증가, 감소할 수도 있으며 불변일 경우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39%

8. 10 냉동톤의 능력을 갖는 카르노 냉동기의 응축 온도가 25 ℃, 증발 온도가 -20 ℃ 이다. 이 냉동기를 운전하기 위하여 필요한 이론 동력은 몇 kW 인가?(단, 1 냉동톤은 3.85 kW 이다.)(2004년 08월)
     1. 6.85
     2. 4.65
     3. 2.63
     4. 1.37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cop=w/q
q=w/cop
cop=253/298-253
10*3.85/5.6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비열비가 k인 이상기체로 이루어진 시스템이 정압과정으로 부피가 2배로 팽창할 때 시스템이 한 일이 W, 시스템에 전달된 열이 Q일 때, W/Q는 얼마인가? (단, 비열은 일정하다.)(2016년 05월)
     1. k
     2. 1/k
     3. k/k-1
     4. k-1/k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W = m·R·(T2 - T1)
Q = m·Cp·(T2 - T1)
R = Cp - Cv
Cp/Cv = k
W/Q = R/Cp = (Cp - Cv)/Cp = 1 - Cv/Cp
= 1 - 1/k = (k - 1)/k
[해설작성자 : 나대로]

10. 이상디젤사이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3월)
     1. 두 개의 등엔트로피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2. 압축착화기관의 이상 사이클이다.
     3. 한 개의 등압과정과 한 개의 등온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4. 압축비가 동일 할 때 이상오토사이클 보다 열효율이 낮다.

     정답 : []
     정답률 : 46%

11. 랭킨(Rankine) 사이클에서 5 MPa, 500℃의 수증기가 터빈 안에서 5 kPa까지 단열 팽창할 때 이 사이클의 펌프 일은 약 몇 (kJ/kg)인가?(단, 물의 비체적은 0.001 m3/kg 이다.)(2008년 07월)
     1. 3
     2. 5
     3. 10
     4. 2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 실린더 내부에 기체가 채워져 있고 실린더에는 피스톤이 끼워져 있으며 피스톤 위에는 추가 놓여 있다. 초기 압력 100 kPa, 포기 체적 0.1m3인 기체를 버너로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가열하여 기체 체적이 0.5m3이 되었다면 이 과정 동안 시스템이 한 일은?(2010년 07월)
     1. 10 kJ
     2. 20 kJ
     3. 30 kJ
     4. 40 kJ

     정답 : []
     정답률 : 82%

13. 시간당 380ton의 물을 공급하여 수증기를 생산하는 보일러가 있다. 이 보일러에 공급하는 물의 엔탈피는 830kJ/kg이고, 생산되는 수증기의 엔탈피가 3230kJ/kg이라고 할 때, 발열량이 32000kJ/kg인 석탄을 시간당 34ton 씩 보일러에 공급한다면 이 보일러의 효율로 적절한 것은?(2014년 05월)
     1. 22.6%
     2. 39.5%
     3. 72.3%
     4. 83.8%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η = 열출력/(연료소비율*저위발열량)
η = 380000*(3230-830)/(34000*32000)
[해설작성자 : 8월4일 대비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발열량이 32000KJ/kG이 아닌 32000KJ/ton 으로 되어야함.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14. 어떤 물질 1kg이 20˚C에서 30˚C로 되기 위해 필요한 열량은 약 몇 kJ 인가? (단, 비열 (C, kJ/(kgㆍK))은 온도에 대한 함수로서 C=3.594+0.0372T이며, 여기서 온도(T)의 단위는 K이다.)(2017년 08월)
     1. 4
     2. 24
     3. 45
     4. 147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ΔQ = m·C·ΔT
Q = m x∫_T2~T1(3.594 + 0.0372T)dT
    = 1 x [3.594T + 0.0372T^2/2]_303~293
    = 3.594 x (303 - 293) + 0.0372/2 x (303^2 - 293^2)
    = 147kJ
[해설작성자 : 나대로]

15. 피스톤-실린더 장치 안에 300 kPa, 100℃의 이산화탄소 2 kg이 들어있다. 이 가스를 PV1.2=constant인 관계를 만족하도록 피스톤 위에 추를 더해가며 온도가 200℃가 될 때까지 압축하였다. 이 과정 동안의 열전달량은 약 몇 kJ인가? (단, 이산화탄소의 정적비열(Cv)=0.653 kJ/kgㆍK 이고, 정압비열(Cp)=0.842 kJ/kgㆍK 이며, 각각 일정하다.)(2010년 05월)
     1. -189
     2. -58
     3. -20
     4. -130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폴리트로픽 가열량 = m *    Cv * (n-k / n-1) (T2-T1)
k = Cp/Cv = 1.289
2*0.653*(1.2-1.289/1-0.8)(473-373) = -58.12KJ
[해설작성자 : 건전한자]

16. 이상기체에 관해서 맞는 것은?(2003년 08월)
     1. 내부에너지는 압력만의 함수이다.
     2. 내부에너지는 체적만의 함수이다.
     3. 내부에너지는 온도만의 함수이다.
     4. 내부에너지는 엔트로피만의 함수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17. 이상기체 공기가 안지름 0.1m인 관을 통하여 0.2m/s로 흐르고 있다. 공기의 온도는 20℃, 압력은 100kPa, 기체상수는 0.287kJ/(kg·K)라면 질량유량은 약 몇 kg/s인가?(2018년 03월)
     1. 0.0019
     2. 0.0099
     3. 0.0119
     4. 0.0199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Pv=RT
v=RT/P
ρ=P/RT     ρ=100/0.287*(273+20)=1.189
1.189*π*0.1^2/4*0.2 = 0.00187
[해설작성자 : 만년공학도]

18. 유체가 20 m/s의 속도로 단열 노즐에 들어가서 400 m/s의 속도로 나온다면 엔탈피의 증가량은 몇 kJ/kg인가?(2003년 03월)
     1. 79.8
     2. -79.8
     3. 79800
     4. -79800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20^2-400^2/2)*10^-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잘 단열된 축전지를 전압 12 V, 전류 3 A로 1시간 충전한다. 축전지를 시스템으로 삼아 1시간 동안 행한 일과 열을 구하면?(2004년 03월)
     1. 일 = 36.0 kJ, 열 = 0.0 kJ
     2. 일 = 0.0 kJ, 열 = 36.0 kJ
     3. 일 = 129.6 kJ, 열 = 0.0 kJ
     4. 일 = 0.0 kJ, 열 = 129.6 kJ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P=VI 12 x 3
1Wh=(60min X 60sec)J=3.6KJ
12X3X3.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질량이 m이고 한 변의 길이가 a인 정육면체 상자 안에 있는 기체의 밀도가 ρ이라면 질량이 2m이고 한 변의 길이가 2a인 정육면체 상자 안에 있는 기체의 밀도는?(2021년 08월)
     1. ρ
     2. (1/2)ρ
     3. (1/4)ρ
     4. (1/8)ρ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m/(a^3) = 로우
2m/(8a^3) = (1/4)로우
[해설작성자 : 튜니아로]

2과목 : 냉동공학


21. 일반적으로 가정 냉장고용 압축기에서 하우징 내의 압력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06년 03월)
     1. 증발기 내의 압력
     2. 흡입압력
     3. 토출압력
     4. 응축압력

     정답 : []
     정답률 : 50%

22. 다음 냉동장치에서 수분의 영향을 열거한 것중 타당한 것들로 이루어진 것은?(2004년 05월)

    

     1. ①,④
     2. ①,②,③
     3. ②,③
     4. ①,③

     정답 : []
     정답률 : 53%

23. 냉동기에서 성적계수가 6.84 일 때 증발온도가 -15℃이다. 이 때 응축온도는 몇 ℃인가?(2013년 08월)
     1. 17.5
     2. 20.7
     3. 22.7
     4. 25.5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6.84 = (273-15) / T1 - (273-150)
[해설작성자 : 공조웃는사람]

24. 다음 응축기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6년 08월)
     1. 횡형 셀앤튜브식 응축기의 관내 수속은 5m/s 가 적당하다.
     2. 공냉식 응축기는 기온의 변동에 따라 응축능력이 변하지 않는다.
     3. 입형 셀앤튜브식 응축기는 운전중에 냉각관의 청소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주로 물의 감열로서 냉각하는 것이 증발식 응축기 이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1. 수속 1~2m/s가 적당하다.
2. 공냉식 응축기는 기온이 높아지면 응축능력이 떨어진다.
4. 감열(현열)이 아닌 (증발)잠열을 주로 이용한다.
[해설작성자 : 건전한자]

25. 다음 사항은 증발기의 구조와 작용에 대해 설명한 것이다 이 중 옳은 것은?(2003년 08월)
     1. 동일 운전상태에서는 만액식 증발기가 건식 증발기 보다 열통과율이 나쁘다.
     2. 만액식 증발기에서 부하가 커지면 냉매 순환량이 작아진다.
     3. 건식 증발기는 주로 온도식 팽창밸브와 모세관을 팽창밸브로 사용한다.
     4. 증발기의 냉각능력은 전열면적이 작을 수록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2번 부하가 커지면 냉매순환량은 많아진다 과열도가 커지면 냉매순환량은 적어진다
3번 건식증발기는 온도식,모세관,정압식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dalma2018]

26. 국소 대기압이 750mmHg이고 계기압력이 0.2 kgf/cm2 일 때, 절대압력은?(2015년 03월)
     1. 약 0.46kgf/cm2
     2. 약 0.96kgf/cm2
     3. 약 1.22kgf/cm2
     4. 약 1.36kgf/cm2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절대압력=대기압+게이지압
[해설작성자 : ㅇㅈ]

27. 증발기 정비에 대한 다음 각 사항중 옳은 것은?(2004년 03월)
     1. 공기로 냉각하는 저온용 증발기는 공기의 속도를 10m/sec 이상으로 하면 냉각관 표면에 서리가 전혀 끼이지 않는다.
     2. R - 22를 냉매로 한 증발기에서 오일은 냉매와 같이 순환하며 냉매 중에 함유되는 오일의 양은 관계없다.
     3. 살수식 제상은 보통 사용되는 물을 순환 시키는 경우가 많으며 물탱크에서 40℃ 이상으로 가온한다.
     4. 공기로 냉각하는 증발기는 액 순환식이나 만액식 모두 열 통과율은 대체로 비슷하다.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살수식 제상은 10~25도씨 정도이다
[해설작성자 : dalma2018]

28. 냉매가 누설되거나 냉매충전량이 부족시 발생할 수 있는 현상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2014년 05월)
     1. 토출압력이 너무 낮다.
     2. 흡입압력이 너무 낮다.
     3. 압축기의 정지시간이 길다.
     4. 압축기가 시동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냉매량이 부족하면 부하를 감당하기 위해 냉동기 가동시간이 길어진다
냉매가 부족하여 저압스위치가 작동한 후 설정압력이 회복되지 않아 재시동이 안된다
[해설작성자 : 트럼펫조율사]

냉매가 부족하게 되면 압축기의 정지시간이 짧게 되고 냉동능력이 저하한다.
[해설작성자 : 공조냉동기계기사]

29. 열통과율 900kcal/m2·h·℃, 전열면적 5m2인 아래 그림과 같은 대향류 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량(kcal/h)은? (단, t1 : 27℃, t2 : 13℃, tw1 : 5℃, tw2 : 10℃이다.)(2018년 08월)

    

     1. 26865
     2. 53730
     3. 45000
     4. 90245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대수평균온도차는
T1-tw2=17
반대쪽은 8이다
그걸 이용하면
(17-8)/ln(17/8)
이 대수평균온도차에서 900과 5를 곱하면됩니다
[해설작성자 : 깡군]

30. 펠티에(Peltier)효과를 이용한 냉동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펠티에 효과를 냉동에 이용한 것이 전자냉동 또는 열전기식 냉동법이다.
     2. 펠티에 효과를 냉동법으로 실용화에 어려운 점이 많았으나 반도체 기술이 발달하면서 실용화되었다.
     3. 이 냉동방법을 이용한 것으로는 휴대용 냉장고, 가정용 특수냉장고, 물 냉각기, 핵 잠수함 내의 냉난방장치이다.
     4. 이 냉동방법도 증기 압축식 냉동장치와 마찬가지로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등을 이용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펠티어효과는 직류전원을 이용하는것으로 압축기,응축기, 증발기가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ㄱㅁㄹ]

펠티에효과는 전기.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는 기계
[해설작성자 : 포브]

31. 다음 중 초저온 냉동기에 사용하기 적합한 냉매는?(2004년 03월)
     1. R - 11
     2. R - 13
     3. R - 21
     4. R - 502

     정답 : []
     정답률 : 35%

32. 다음은 증발기에 관한 내용이다. 잘못 설명된 것은?(2010년 05월)
     1. 냉매는 증발기속에서 습증기가 건포화 증기로 변한다.
     2. 건식 증발기는 유회수가 용이하다.
     3. 만액식 증발기는 리키드백을 방지하기 위해 액분리기를 설치한다.
     4. 액 순환식 증발기는 액 펌프나 저압수액기가 필요 없으므로 소형 냉동기에 유리하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액순환식 증발기는 대형냉동기에 유리함
[해설작성자 : 333]

33. 식품의 평균 초온이 0℃일 때 이것을 동결하여 온도중심점을 –15℃까지 내리는 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는 것은?(2019년 04월)
     1. 유효동결시간
     2. 유효냉각시간
     3. 공칭동결시간
     4. 시간상수

     정답 : []
     정답률 : 74%

34. 성적계수인 COP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냉동기의 성능을 표시하는 무차원수로서 압축일량과 냉동효과의 비를 말한다.
     2. 열펌프의 성적계수는 일반적으로1보다 작다.
     3. 실제 냉동기에서는 압축효율도 COP에 영향을 미친다.
     4. 냉동사이클에서는 응축온도가 가능한 한 낮고, 증발온도가 높을수록 성적계수는 크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열펌프의 성적계수는 일반적으로 3.0이상이며 냉동기의 성적계수보다 항상 1만큼 크다
[해설작성자 : 알과카]

35. 일원 냉동사이클과 다원 냉동사이클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2003년 08월)
     1. 압축기의 대수
     2. 증발기의 수
     3. 냉동장치내의 냉매 종류
     4. 중간냉각기의 유무(有無)

     정답 : []
     정답률 : 69%

36. 냉동기의 압축기 윤활목적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마찰을 감소시켜 마모를 적게 한다.
     2. 패킹재를 보호한다.
     3. 열을 발생시킨다.
     4. 피스톤, 스터핑박스 등에서 냉매누출을 방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윤활의 목적은 열을 제거 및 냉각입니다.
[해설작성자 : ㄱㅁㄹ]

37. 다음과 같이 운전되고 있는 열펌프의 성적계수는?(2014년 08월)

    

     1. 1.7
     2. 2.7
     3. 3.7
     4. 4.7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COPhp = Q_H / W = Q_H / (Q_H - Q_L)
Q_H = 157.5 - 115 = 42.5kcal/kg
Q_L = 148.5 - 115 = 33.5kcal/kg
따라서 COPhp = 42.5 / (42.5-33.5) = 4.72
[해설작성자 : 공조다람]

38. 모리엘(P-h)선도상에서 응축온도를 일정하게 하고, 증발온도를 저하시킬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잘못된 것은?(2009년 03월)
     1. 소요 동력이 증대한다.
     2. 압축비가 감소한다.
     3. 냉동능력이 감소한다.
     4. 플래쉬 가스 발생량이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39. 냉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4월)
     1. 냉매표기 R+xyz형태에서 xyz는 공비 혼합 냉매 경우 400번대, 비공비 혼합 냉매 경우 500번대로 표시한다.
     2. R502는 R22와 R113과의 공비혼합냉매이다.
     3. 흡수식 냉동기는 냉매로 NH3와 R-11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4. R1234yf는 HFO계열의 냉매로서 지구온난화지수(GWP)가 매우 낮아 R134a의 대체 냉매로 활용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공비혼합냉매= 500번대이다
R-500= 152+12
    501= 12+22
    502= 115+22
    503= 13+23
[해설작성자 : dalma2018]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502= 11+22
[해설작성자 : 판다]

40. 다음은 스크류(screw) 냉동기의 특징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2005년 05월)
     1. 동일용량의 왕복동식 냉동기에 비해 부품의 수가 적고 수명이 길다.
     2. 10∼100% 사이의 무단계 용량제어가 되므로 자동운전에 적합하다.
     3. 타 냉동기에 비해 오일 햄머의 발생이 적다.
     4. 소형 경량이긴 하나 진동이 많으므로 강고(强固)한 기초가 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58%

3과목 : 공기조화


41. 다음은 공기조화기에 걸리는 열부하 요소에 대한 것이다. 적당하지 않은 것은?(2003년 08월)
     1. 외기부하
     2. 재열부하
     3. 덕트계통에서의 열부하
     4. 배관계통에서의 열부하

     정답 : []
     정답률 : 57%

42. 냉방시 실내부하에 속하지 않는 것은?(2020년 08월)
     1. 외기의 도입으로 인한 취득열량
     2. 극간풍에 의한 취득열량
     3. 벽체로부터의 취득열량
     4. 유리로부터의 취득열량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보기 1번은 외기부하의 내용이다.
[해설작성자 : amd64]

43. 에너지 절약의 효과 및 사무자동화(OA)에 의한 건물에서 내부발생열의 증가와 부하변동에 대한 제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대규모 사무실 건물에 적합한 공기조화 방식은?(2011년 08월)
     1. 정풍량(CAV) 단일덕트 방식
     2. 유인유닛 방식
     3. 룸 쿨러 방식
     4. 가변풍량(VAV) 단일덕트 방식

     정답 : []
     정답률 : 69%

44. 냉방부하의 종류에 따라 연관되는 열의 종류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인체의 발생열 - 현열, 잠열
     2. 극간풍에 의한 열량 - 현열, 잠열
     3. 조명부하 - 현열, 잠열
     4. 외기 도입량 - 현열, 잠열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조명은 현열만 있고 잠열은 없어요
[해설작성자 : 유누1]

45. 멀티조운 유닛방식의 특징은?(2003년 03월)
     1. 혼합손실이 없어서 에너지 소비가 적다.
     2. 정풍량 장치가 없으므로 각실의 송풍량에 불균형이 생길 염려가 있다.
     3. 개별식이므로 부분 운전 및 시간차 운전에 적합하다.
     4. 각 조운의 부하 변동에 따라 송풍량이 변하므로 년간 송풍 동력이 작다.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멀티존 유닛방식은 2중덕트 방식과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해설작성자 : dalma2018]

46. 공기조화설비의 개방식 축열수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태양열 이용식에서 열회수의 피크시와 난방부하의 피크시가 어긋날 때 이것을 조정할 수 있다.
     2. 값이 비교적 저렴한 심야전력을 이용할 수 있다.
     3. 호텔 등에서 생기는 심야의 부하에 열원의 가동없이 펌프운전만으로 대응할 수 있다.
     4. 공조기에 사용되는 냉수는 냉동기 출구측보다 다소 높게 되어 2차측의 온도차를 크게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4. 2차측의 온도차를 크게 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루루네아빠]

47. 냉수 코일설계 기준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7월)
     1. 코일의 설치는 관이 수평으로 놓이게 한다.
     2. 수속의 기준 설계 값은 1m/s 전후이다.
     3. 공기 냉각용 코일의 일 수는 4~8열이 많이 사용된다
     4. 냉수 입ㆍ출구 온도차는 10℃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냉수 입/출 온도차는 5℃이상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배나와찌]

48. 건구온도15℃의 습공기 300m3/h를 20℃까지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은 약 몇 kcal/h 인가?(2006년 08월)
     1. 265 kcal/h
     2. 325 kcal/h
     3. 435kcal/h
     4. 510kcal/h

     정답 : []
     정답률 : 58%

49. 물에 의한 보일러 장해 요인이 아닌 것은? (문제 오류로 정답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지를 찾지못하여 임의 정답 1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정답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정답 입력 부탁 드립니다.)(2009년 07월)
     1. 스케일 부착
     2. 부식
     3. 캐리오버
     4. 전열 촉진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전열이 촉진되면 보일러 가열 열량이 더욱 잘 전달 되는 것이므로, 장해 요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50. 다음 중 온수난방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저온 방열이므로 안전하고,양호한 온열환경을 얻는다
     2. 온수 온도를 중앙에서 집중적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다.
     3. 축열용량이 크므로 운전을 정지해도 금방 식지 않는 다.
     4. 방열량의 조절이 곤란하다.

     정답 : []
     정답률 : 72%

51. 진공 환수식 증기난방 배관에 관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3월)
     1. 방열기는 보일러보다 항상 높은 위치에 있어야 한다.
     2. 환수관 말단에 진공펌프를 설치하여 환수한다.
     3. 진공펌프에서 응축수 내의 공기를 배출한다.
     4. 환수관의 관경을 작게 취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1번 설명은 중력환수식이고, 진공환수식은 방열기 설치의 제한이 없다
[해설작성자 : dalma2018]

52. 다음 중 HEPA 필터의 설치가 요구되는 곳은?(2008년 05월)
     1. 방적공장
     2. 클린 룸
     3. 제분공장
     4. 호텔의 주방

     정답 : []
     정답률 : 74%

53. 냉각코일 또는 에어워셔의 용량으로 감당해야 할 부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0년 05월)
     1. 실내취득열량
     2. 기기취득열량
     3. 외기부하
     4. 펌프, 배관부하

     정답 : []
     정답률 : 61%

54. 다음 중 서로 상관이 없는 것끼리 짝지어진 것은?(2014년 08월)
     1. 순환수두 - 밀도차
     2. VAV - 변풍량방식
     3. 저압증기난방 - 팽창탱크
     4. MRT - 패널 표면온도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팽창탱크는 온수난방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Amd64]

55. 습공기의 수증기 분압을 Pv, 동일온도의 포화 수증기압을 Ps라 할 때 다음 중 잘못된 것은?(2010년 07월)
     1.
     2. Pυ<Ps 일 때 불포화습공기
     3. Pυ=Ps 일 때 포화습공기
     4. Pυ=0 일 때 건공기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성대습도 = Pv/Ps * 100
[해설작성자 : 만년공학도]

56. 다음 중 온수난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4월)
     1. 팽창탱크
     2. 공기빼기밸브
     3. 관말트랩
     4. 순환펌프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관말트랩 : 증기난방에서 응축수 회수용.
[해설작성자 : amd64]

57. 다음 냉방부하 요소 중 잠열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2019년 04월)
     1. 인체에서의 발생열
     2. 커피포트에서의 발생열
     3. 유리를 통과하는 복사열
     4. 틈새바람에 의한 취득열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보기3은 현열량이다.
[해설작성자 : amd64]

58. 고속덕트의 주덕트 풍속은 일반적으로 얼마인가?(2015년 05월)
     1. 5 ~ 7m/s
     2. 8 ~ 10m/s
     3. 12 ~ 14m/s
     4. 20 ~ 23m/s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저속<15m/s<고속
[해설작성자 : 정군]

59. 건물의 지하실, 대규모 조리장 등에 적합한 기계환기법(강제급기 + 강제배기)은?(2015년 08월)
     1. 제1종 환기
     2. 제2종 환기
     3. 제3종 환기
     4. 제4종 환기

     정답 : []
     정답률 : 77%

60. 취출온도를 일정하게 하여 부하에 따라 송풍량을 변화시켜 실온을 제어하는 방식은?(2021년 05월)
     1. 가변풍량방식
     2. 재열코일방식
     3. 정풍량방식
     4. 유인유닛방식

     정답 : []
     정답률 : 71%

4과목 : 전기제어공학


61. 조종사가 배치되어 있지 않는 엘리베이터의 자동제어는?(2003년 05월)
     1. 추종제어
     2. 프로그램제어
     3. 정치제어
     4. 프로세스제어

     정답 : []
     정답률 : 65%

62. 제어장치가 제어대상에 가하는 제어신호로 제어장치의 출력인 동시에 제어대상의 입력인 신호는?(2003년 05월)
     1. 동작신호
     2. 조작량
     3. 제어량
     4. 목표값

     정답 : []
     정답률 : 30%

63. 비행기 등과 같은 움직이는 목표값의 위치를 알아보기 위한 즉, 원뿔주사를 이용한 서보용 제어기는?(2016년 05월)
     1. 추적레이더
     2. 자동조타장치
     3. 공작기계의 제어
     4. 자동평형기록계

     정답 : []
     정답률 : 82%

64. 전류계와 병렬로 연결되어 전류계의 측정범위를 확대해주는 것은?(2009년 05월)
     1. 배율기
     2. 분류기
     3. 절연저항
     4. 접지저항

     정답 : []
     정답률 : 74%

65. 제어동작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2위치동작 : ON-OFF 동작이라고도 하며, 편차의 정부(+,-)에 따라 조작부를 전폐 또는 전개하는 것이다.
     2. 비례동작 : 편차의 제곱에 비례한 조작신호를 낸다.
     3. 적분동작 : 편차의 적분치에 비례한 조작신호를 낸다.
     4. 미분동작 : 조작신호가 편차의 증가속도에 비례하는 동작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66. 그림과 같은 피드백 회로의 종합 전달함수는?(2011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8%

67. 온도, 유량, 압력 등 공정제어의 제어량으로 하는 제어로 일반적으로 응답속도가 늦은 제어계는?(2011년 06월)
     1. 비율제어
     2. 프로그램제어
     3. 정치제어
     4. 프로세스제어

     정답 : []
     정답률 : 66%

68. 입력신호 x(t)와 출력신호 y(t)의 관계가 로 표현되는 것은 어떤 요소인가?(2021년 05월)
     1. 비례요소
     2. 미분요소
     3. 적분요소
     4. 지연요소

     정답 : []
     정답률 : 67%

69. 절연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측기는?(2010년 05월)
     1. 메거
     2. 휘스톤브리지
     3. 켈빈브리지
     4. 저항계

     정답 : []
     정답률 : 78%

70. 온도를 임피던스로 변환시키는 요소는?(2019년 08월)
     1. 측온 저항체
     2. 광전지
     3. 광전 다이오드
     4. 전자석

     정답 : []
     정답률 : 70%

71. 공작기계의 부품 가공을 위하여 주로 펄스를 이용한 프로그램 제어를 하는 것은?(2018년 04월)
     1. 수치 제어
     2. 속도 제어
     3. PLC 제어
     4. 계산기 제어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수치제어는 프로그램 제어로서 컴퓨터 등의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공작기계를 자동 제어한다.
[해설작성자 : 쩡]

72. 다음 중 엘리베이터에 적용하는 유도전동기에 인가되는 전압과 주파수를 동시에 변환시키는 제어방식은?(2009년 03월)
     1. 교류1단 속도제어방식
     2. 교류2단 속도제어방식
     3. VVVF 제어방식
     4. 교류 궤환제어방식

     정답 : []
     정답률 : 68%

73. 동일한 저항에 교류와 직류를 동일시간 동안 먼가하였을 때 소비되는 전력량(발열량)이 같은 경우, 이때의 직류값을 정현파 교류의 무엇이라 하는가?(2011년 08월)
     1. 실효값
     2. 파고값
     3. 평균값
     4. 파형률

     정답 : []
     정답률 : 62%

74. 다음의 브리지 중 예비전원으로 사용되는 축전지의 내부 저항을 측정할 때 가장 적절한 것은?(2014년 05월)
     1. 캠벨 브리지
     2. 맥스웰 브리지
     3. 휘트스톤 브리지
     4. 코올라시 브리지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코올라시 브리지는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축전지의 내부저항, 전해액의 저항을 측정한다.
[해설작성자 : 쩡]

75. 리니어 전동기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2006년 03월)
     1. 구조가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다
     2. 기어, 벨트 등 동력변환기구가 필요 없다
     3. 마찰을 거쳐서 추진력이 얻어진다.
     4. 원심력에 의한 가속 제한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마찰하게되면 간섭이 일어나 리니어 샤프트, 모터 등 부품에 문제가 된다.
[해설작성자 : 루루네아빠]

76. 전원전압을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이오드로 가장 옳은 것은?(2017년 03월)
     1. 제너 다이오드
     2. 터널 다이오드
     3. 보드형 다이오드
     4. 바랙터 다이오드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제너 다이오드 - 정전압 다이오드
[해설작성자 : amd64]

77. 전기기의 전로의 누전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되는 계측기는?(2020년 09월)
     1. 메거
     2. 전압계
     3. 전류계
     4. 검전기

     정답 : []
     정답률 : 58%

78.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가 나타내는 식은?(2003년 08월)

    

     1. X=AB+BA
     2. X=AB+(A+B)
     3.
     4.

     정답 : []
     정답률 : 49%

79. 온도를 임피던스로 변환시키는 요소는?(2009년 03월)
     1. 측온 저항
     2. 광전지
     3. 광전 다이오드
     4. 전자석

     정답 : []
     정답률 : 69%

80. 다음 회로도를 보고 진리표를 채우고자 한다. 빈칸에 알맞은 값은?(2020년 09월)

    

     1. ⓐ 1, ⓑ 1, ⓒ 0, ⓓ 0
     2. ⓐ 0, ⓑ 0, ⓒ 1, ⓓ 1
     3. ⓐ 0, ⓑ 1, ⓒ 0, ⓓ 1
     4. ⓐ 1, ⓑ 0, ⓒ 1, ⓓ 0

     정답 : []
     정답률 : 50%

81. 강관 접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3년 08월)
     1. 나사접합
     2. 플랜지접합
     3. 용접접합
     4. 몰코접합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몰코접합(SR Joint)--스테인리스 강관이음 방법
[해설작성자 : 풍경소리]

82. 도시가스 배관을 매설하는 경우이다.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배관을 철도부지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배관의 외면으로부터 궤도 중심까지 거리는 4m이상 일 것
     2. 배관을 철도부지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배관의 외면으로부터 철도부지 경계까지 거리는 0.6m 이상일 것
     3. 배관을 철도부지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지표면으로부터 배관의 외면까지의 깊이는 1.2m이상으로 할 것
     4. 배관을 산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지표면으로부터 배관의 외면까지의 깊이는 1m이상으로 할 것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철도부지 경계까지 1m 이상
[해설작성자 : 포도아빠]

83. 다음 배관지지 장치 중 변위가 큰 개소에 사용하기에 가장 적절한 행거(hanger)는?(2021년 03월)
     1. 리지드 행거
     2. 콘스탄트 행거
     3. 베리어블 행거
     4. 스프링 행거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리지드 : 턴버클을 이용하여 중량 지지, 변위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곳에 사용
스프링 : 스프링을 이용하여 중량, 열팽창에 의한 변영 지지, 작은 수직 변위만 허용
콘스탄트 : 수직, 수평 모두 사용 가능
[해설작성자 : 건전한자]

84. 동관의 이음에서 기계의 분해, 점검, 보수를 고려하여 사용하는 이음법은?(2010년 03월)
     1. 납땜이음
     2. 플라스턴이음
     3. 플레어이음
     4. 소켓이음

     정답 : []
     정답률 : 62%

85. 덕트의 단위길이 당 마찰손실이 일정하도록 치수를 결정하는 덕트 설계법은?(2015년 05월)
     1. 등마찰손실법
     2. 정속법
     3. 등온법
     4. 정압재취득법

     정답 : []
     정답률 : 75%

86. 다음 냉매액관 중에 플래시가스 발생 원인이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과냉각도가 클 때
     2. 관경이 매우 작거나 현저히 입상할 경우
     3. 여과망이나 드라이어가 막혔을 때
     4. 온도가 높은 장소를 통과 시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 발생원인이 아닌 해결 방법
[해설작성자 : 김경태]

87. 급수배관에서 수격작용을 방지하는 방법은?(2003년 03월)
     1. 적당한 배관구배를 준다.
     2. 수압을 높인다.
     3. 급폐쇄형 밸브 근처에 공기실을 설치한다.
     4. 보온을 철저히 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88. 최고 사용압력이 38㎏/㎝2인 배관은 SPP - 38이다. 안전율을 4로 하였을 때 적당한 관의 스케줄 번호는?(2003년 03월)
     1. 10
     2. 20
     3. 40
     4. 60

     정답 : []
     정답률 : 42%

89. 관의 종류와 이음방법의 연결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강관 - 나사이음
     2. 동관 - 압축이음
     3. 주철관 - 칼라이음
     4. 스테인리스강관 –몰코이음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칼라이음은 콘크리트 이음의 한 종류로 칼라, 소켓, 삽입이 있다.
[해설작성자 : 한철]

90. 저압가스배관에서 관 내경이 25mm에서 압력손실이 320mmAq이라면, 관 내경이 50mm로 2배로 되었을 때 압력손실은 얼마인가?(2017년 05월)
     1. 160mmAq
     2. 80mmAq
     3. 32mmAq
     4. 10mmAq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압력손실은 관경의 5제곱에 반비례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합격]

91. 대ㆍ소변기 및 이와 유사한 용도를 갖는 기구로부터 배수 등 인간의 분뇨를 포함하는 배수의 종류는?(2015년 03월)
     1. 우수
     2. 오수
     3. 잡배수
     4. 특수배수

     정답 : []
     정답률 : 79%

92. 다음 중 복사난방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3년 05월)
     1. 방열기의 설치공간이 따로 필요 없다.
     2. 시설비가 비교적 비싸다.
     3. 대류가 적으므로 바닥면의 먼지가 상승이 적다.
     4. 열용량이 크므로 예열시간이 짧다.

     정답 : []
     정답률 : 50%

93. 가스 배관내의 유량이 2배로 증가하면 압력손실은 어떻게 되는가?(2010년 03월)
     1. 압력손실은 2배로 된다.
     2. 압력손실은 4배로 된다.
     3. 압력손실은 8배로 된다.
     4. 압력손실은 16배로 된다.

     정답 : []
     정답률 : 61%

94. 덕트의 단위 길이당 마찰저항이 일정하도록 치수를 결정하는 덕트 설계법은?(2010년 05월)
     1. 등마찰손실법
     2. 정속법
     3. 등온법
     4. 정압재취득법

     정답 : []
     정답률 : 76%

95. 다음 중 열을 잘 반사하고 확산하여 방열기 표면 등의 도장용으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도료는?(2021년 05월)
     1. 광명단
     2. 산화철
     3. 합성수지
     4. 알루미늄

     정답 : []
     정답률 : 70%

96. 저압 증기배관에 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2008년 05월)
     1. 증기와 응축수의 흐름방향이 동일한 경우 증기관배관은 1/250 이상의 내림구배를 준다.
     2. 주관에서 지관을 분기하는 경우에는 배관의 신축을 고려하여 스위블이음으로 한다.
     3. 진공환수식의 환수관에서 리프트이음 1단 높이는 1.5m 이하로 하고, 리프트관의 지름은 환수관보다 한 치수 적은 것으로 한다.
     4. 버킷형 트랩은 저압증기에 사용되면 수평 또는 수직 어느 쪽으로 설치해도 지장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40%

97. 보온재의 선정 조건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04년 05월)
     1. 열전달률이 작아야 한다.
     2. 불연성이 있는 것이 좋다.
     3. 물리적 화학적 강도가 커야 한다.
     4. 내용 년수는 작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98. 다음은 플랜지 이음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5월)
     1. 배관의 점검이나 보수를 위하여 관을 해체할 필요가 있는 곳에 적용한다.
     2. 강관인 경우 플랜지이음은 특별한 규약이 없으면 최소 호칭지름 100A이상에 적용한다.
     3. 플랜지를 설치하는 위치는 볼트를 체결하기 용이한 곳으로 한다.
     4. 여러개가 통과하는 배관에는 플랜지가 서로 어긋나도록 위치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35%

99. 증기난방 방식을 온수난방 방식과 비교하여 장점이 아닌것은?(2004년 08월)
     1. 예열시간이 짧다.
     2. 한냉지에서 동결의 우려가 적다.
     3. 용량제어가 용이하다.
     4. 방열기 방열면적이 적다.

     정답 : []
     정답률 : 26%

100. 가스 공급방식으로 저압 공급방식의 특징 중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수요량의 변동과 거리에 따라 공급압력이 변동한다.
     2. 홀더압력을 이용해 저압배관만으로 공급하므로 공급계통이 비교적 간단하다.
     3. 공급구역이 좁고 공급량이 적은 경우에 적합하다.
     4. 가스의 공급압력은 0.2~0.5Mpa(2~5kgf/cm2)정도 이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가스 공급방식
- 저압 : 1kgf/cm2 미만
- 중압 : 1~10kgf/cm2 미만
- 고압 : 10kgf/cm2 이상
[해설작성자 : 정군]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267117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9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유공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2290 종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4914478)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2289 소방공무원(경력) 소방관계법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2288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2287 인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10월05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2286 9급 지방직 공무원 정보보호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2285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2284 경찰공무원(순경) 형사소송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2283 화공기사(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8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2282 사회복지사 1급(3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1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2281 잠수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2280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8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227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임업경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6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2278 컬러리스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 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2671178)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2276 어로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5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2275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역사회간호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3
2274 어로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6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2273 농작업안전보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2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227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2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Board Pagination Prev 1 ...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 196 Next
/ 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