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로, 입실론= 변형률(기호가 보통 입실론이란 뜻), 시그마= 응력(기호가 보통 시그마) [해설작성자 : 흠그정돈가]
2과목 : 측량학
21.
어떤 다각형의 전측선의 길이가 900m일 때 폐합비를 1/5,000로 하기 위해서는 축척 1/500의 도면에서 폐합오차는 얼마까지 허용되는가?(2006년 03월)
1.
0.26mm
2.
0.36mm
3.
0.46mm
4.
0.50mm
정답 : [
2
] 정답률 : 69%
22.
측점 M의 표고를 구하기 위하여 수준점 A, B, C로부터 수준측량을 실시하여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면 M의 표고는?(2017년 03월)
1.
13.09 m
2.
13.13 m
3.
13.17 m
4.
13.22 m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노선 길이에 반비례
23.
수평각관측법 중 가장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1등 삼각측량에 이용되는 방법은?(2012년 03월)
1.
조합각관측법
2.
방향각법
3.
배각법
4.
단각법
정답 : [
1
] 정답률 : 73%
24.
전진법에 의하여 6각형 토지를 측정하였다. 측점 A를 출발하여 B, C, D, E, F, A에 돌아왔을 때 폐합오차가 20cm 였다면 측점 D점의 오차분배량은? (단, AB=60m, BC=50m, CD=30m, DE=50m, EF=40m, FA=20m)(2009년 03월)
1.
0.033m
2.
0.056m
3.
0.112m
4.
0.156m
정답 : [
3
] 정답률 : 42%
25.
우리나라의 지형도에서 해안선의 기준은?(2004년 03월)
1.
만조시의 해안
2.
최저조위면
3.
평균해면
4.
평균조위면
정답 : [
1
] 정답률 : 29%
26.
다음 그림과 같이 고저측량을 실시한 경우 D점의 표고는 얼마인가? (단, A점의 표고는 300m이고, B와 C구간은 상호고저측량을 실시했다. A→ B = -0.567m, B→ C = -0.887m C→ B = +0.866m, C→ D = +0.357m)(2003년 05월)
1.
298.903m
2.
298.914m
3.
298.921m
4.
298.928m
정답 : [
2
] 정답률 : 47%
27.
지성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지성선은 지표면이 다수의 평면으로 구성되었다고 할 때 평면간 접합부, 즉 접선을 말하며 지세선이라고도한다.
2.
철(凸)선을 능선 또는 분수선이라 한다.
3.
경사변환선이란 동일 방향의 경사면에서 경사의 크기가 다른 두면의 접합선이다.
4.
요(凹)선은 지표의 경사가 최대로 되는 방향을 표시한 선으로 유하선이라고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최대경사선 : 지표의 경사가 최대로 되는 방향을 표시한 선으로 유하선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토목조랭이]
28.
도로의 종단곡선으로 주로 사용되는 곡선은?(2006년 09월)
1.
2차 포물선
2.
3차 포물선
3.
클로소이드
4.
렘니스케이트
정답 : [
1
] 정답률 : 52%
29.
하천측량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2011년 10월)
1.
하천측량 시 처음에 할 일은 도상조사로서 유로 상황, 지역면적, 지형지물, 토지이용 사황 등을 조사하여야 한다.
2.
심천측량은 하천의 수심 및 유수분의의 하저사항을 조사하고 횡단면도를 제작하는 측량을 말한다.
3.
하천측량에서 수준측량을 할 때의 거리표는 하천의 중심에 직각방향으로 설치한다.
4.
수위관측소의 위치는 지천의 합류점 및 분류점으로서 수위의 변화가 일어나기 쉬운 곳이 적당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83%
30.
4회 관측하여 최확값을 얻었다. 최확값의 정확도를 2배 높이려면 몇 회 관측하여야 하는가?(2011년 06월)
1.
32회
2.
16회
3.
8회
4.
2회
정답 : [
2
] 정답률 : 62%
31.
지형도의 이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20년 06월)
1.
저수량 및 토공량 산정
2.
유역면적의 도상 측정
3.
직접적인 지적도 작성
4.
등경사선 관측
정답 : [
3
] 정답률 : 66%
32.
트래버스 측량의 작업순서로 알맞은 것은?(2021년 05월)
1.
선점 – 계획 – 답사 – 조표 - 관측
2.
계획 – 답사 – 선점 – 조표 - 관측
3.
답사 – 계획 – 조표 – 선점 - 관측
4.
조표 – 답사 – 계획 – 선점 – 관측
정답 : [
2
] 정답률 : 79%
33.
노선측량에 대한 다음의 용어 설명 중 옳지 않은것은?(2011년 06월)
1.
교점-방향이 변하는 두 직선이 교차하는 점
2.
중심말뚝-노선의 시점, 종점 및 교점에 설치하는 말뚝
3.
복심곡선-반경이 서로 다른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원호가 연결된 곡선으로 공통접선의 같은 쪽에 원호의 중심이 있는 곡선
4.
완화곡선-고속으로 이동하는 차량이 직선부에서 곡선부로 진입할 때 차량의 격동을 완화하기 위해 직선과 원호 사이에 설치하는 곡선
정답 : [
2
] 정답률 : 65%
34.
직접고저측량을 실시한 결과가 그림과 같을 때, A점의 표고가 10m라면 C점의 표고는? (단, 그림 은 개략도로 실제 치수와 다를 수 있음)(2011년 03월)
1.
9.57m
2.
9.66m
3.
10.57m
4.
10.66m
정답 : [
1
] 정답률 : 72%
35.
A, B, C 각 점에서 P점까지 수준측량을 한 결과가 표와 같다. 거리에 대한 경중률을 고려한 P점의 표고 최확값은?(2014년 09월)
1.
135.529m
2.
135.551m
3.
135.563m
4.
135.570m
정답 : [
1
] 정답률 : 76%
36.
노선설치에서 곡선반지름 R, 교각 I인 단곡선을 설치할 때 곡선의 중앙종거(M)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65%
37.
사진의 특수3점에 대한 그림에서 N, J, M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3년 03월)
1.
N : 연직점, J : 등각점, M : 주점
2.
N : 주점, J : 등각점, M : 연직점
3.
N : 주점, J : 연직점, M : 등각점
4.
N : 등각점, J : 연직점, M : 주점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사진측량 관련 문제는 2022년 부터 시험 범위에서 제외 되었습니다.
38.
우리나라의 노선측량에서 철도에 주로 이용되는 완화곡선 은?(2003년 08월)
1.
1차 포물선
2.
3차 포물선
3.
렘니스케이트(lemniscate)
4.
클로소이드(clothoid)
정답 : [
2
] 정답률 : 36%
39.
다음의 각관측 방법 중 배각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여기서, α:시준오차, β:읽기오차, n:반복회수) (문제 오류로 현재 복원중입니다. 보기 내용을 아시는 분들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보기 작성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1번입니다.)(2005년 05월)
1.
수평각 관측법 중 가장 정확한 방법으로 1등 삼각 측량에 주로 이용된다.
2.
방향각법에 비하여 읽기 오차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3.
복원중
4.
1개의 각을 2회이상 반복관측하여 관측한 각도를 모두 더하여 평균을 구하는 방법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3%
40.
삼각수준측량의 관측값에서 대기의 굴절오차(기차)와 지구의 곡률오차(구차)의 조정방법중 옳은 것은?(2008년 03월)
1.
기차는 높게, 구차는 낮게 조정한다.
2.
기차는 낮게, 구차는 높게 조정한다.
3.
기차와 구차를 함께 높이 조정한다.
4.
기차와 구차를 함께 낮게 조정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3과목 : 수리학 및 수문학
41.
위어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9월)
1.
위어를 월류하는 흐름은 일반적으로 상류에서 사류로 변한다.
2.
위어를 월류하는 흐름이 사류일 경우 유량은 하류 수위의 영향을 받는다.
3.
위어는 개수로의 유량측정, 취수를 위한 수위증가 등의 목적으로 설치된다.
4.
작은 유량을 측정 할 경우 3각 위어가 효과적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43%
42.
다음 그림은 개수로 에서 동점성 계수가 일정하다고 할 때 수심 h와 유속 V에 대항 한계 레이놀즈수(Re)와 후르드수(Fr)를 전대수지에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4개의 영역으로 나눌 때 난류인 상류를 나타내는 영역은?(2006년 09월)
1.
A
2.
B
3.
C
4.
D
정답 : [
1
] 정답률 : 48%
43.
어떤 유역 내에 5대의 우량관측소에서 표와 같은 지배면적에 우량이 측정되었을 때 Thiessen법으로 산정한 유역의 평균우량은?(2010년 09월)
1.
31.81mm
2.
32.00mm
3.
32.72mm
4.
33.04mm
정답 : [
1
] 정답률 : 51%
44.
다음 물의 흐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수심은 깊으나 유속이 느린 흐름을 사류라 한다.
2.
물의 분자가 흩어지지 않고 질서 정연히 흐르는 흐름을 난류라 한다.
3.
모든 단면에 있어 유적과 유속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것을 정류라 한다.
4.
에너지선과 동수 경사선의 높이의 차는 일반적으로 V2/2g 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45.
임의의 면에 작용하는 정수압의 작용방향을 옳게 설명한 것은?(2005년 05월)
1.
정수압은 수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작용한다.
2.
정수압은 수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작용한다.
3.
정수압의 수직압은 존재하지 않는다.
4.
정수압은 임의의 면에 직각으로 작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46.
두 개의 수평한 판이 5mm 간격으로 놓여있고, 점성계수 0.01N•s/cm2인 유체로 채워져 있다. 하나의 판을 고정시키고 다른 하나의 판을 2m/s로 움직일 때 유체 내에서 발생되는 전단응력은?(2017년 05월)
<문제 해설> 비에너지 곡선 그래프에서 유량이 일정할 때 최소점이 되는 지점이 비에너지 최소가 되며 Fr=1(한계류) 상태이다. 이 상태는 dE/dy=0이고 이때 yc라 정의한다. 즉, 한계수심은 비에너지가 최소일 때의 수심이다. [해설작성자 : 단국대 토목공학과 학생]
48.
S-curve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2010년 05월)
1.
단위도의 지속시간
2.
평형 유출량
3.
등우 선도
4.
직접 유출 수문곡선
정답 : [
3
] 정답률 : 52%
49.
합성단위 유량도(synthetic unit hydrograph) 작성법이 아닌 것은?(2013년 03월)
1.
snyder 방법
2.
scs의 무차원 단위유량도 이용법
3.
nakayasu 방법
4.
순간 단위유량도법
정답 : [
4
] 정답률 : 61%
50.
수심이 10cm, 수로 폭이 20cm인 직사각형 개수로에서 유량 Q=80cm3/s가 흐를 때 동점성계수 v=1.0×10-2 cm2/s 이면 흐름은?(2020년 08월)
1.
난류, 사류
2.
층류, 사류
3.
난류, 상류
4.
층류, 상류
정답 : [
4
] 정답률 : 53%
51.
수로경사 , 조도계수 n = 0.013의 수로에 아래 그림과 같이 물이 흐르고 있다. 평균유속은 얼마인가? (단, 매닝(Manning)의 공식에 의해 풀 것.)(2003년 05월)
다음의 손실계수 중 특별한 형상이 아닌 경우, 일반적으로 그 값이 가장 큰 것은?(2016년 05월)
1.
입구 손실계수(fe)
2.
단면 급확대 손실계수(fse)
3.
단면 급축소 손실계수(fse)
4.
출구 손실계수(fo)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출구손실계수가 1로 가장 크다 [해설작성자 : 띠리링맨]
54.
강우로 인한 유수가 그 유역 내의 가장 먼 지점으로부터 유역출구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하는 것은?(2014년 09월)
1.
강우지속시간
2.
지체시간
3.
도달시간
4.
기저시간
정답 : [
3
] 정답률 : 74%
55.
단면적 20cm2인 원형 오리피스(orifice)가 수면에서 3m의 깊이에 있을 때, 유출수의 유량은? (단, 유량계수는 0.6이라 한다.)(2017년 05월)
1.
0.0014m3/s
2.
0.0092m3/s
3.
0.0119m3/s
4.
0.1524m3/s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Q=AV V=루트2gh [해설작성자 : 헤이즈지원]
56.
다음의 부체에 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2004년 09월)
1.
부심(B)과 부체의 중심(G)이 동일 연직선 상에 올 때 안정을 유지한다.
2.
중심(G)이 부심(B)보다 아래 쪽에 있으면 안정하다.
3.
경심(M)이 중심(G)보다 낮을 경우 안정하다.
4.
경심(M)이 중심(G)보다 높을 경우 복원 모멘트가 발생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57.
개수로 흐름에 대한 Manning 공식의 조도계수 값의 결정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3월)
1.
동수경사
2.
하상 물질
3.
하도 형상 및 선형
4.
식생
정답 : [
1
] 정답률 : 49%
58.
강우량자료를 분석하는 방법 중 이중누가곡선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평균강수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2.
강수의 지속기간을 구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3.
결측자료를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4.
강수량자료의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59.
두 개의 수평한 판이 5mm 간격으로 놓여 있고, 점성계수 0.01Nㆍs/cm2인 유체로 채워져 있다. 하나의 판을 고정시키고 다른 하나의 판을 2m/s로 움직일 때 유체 내에서 발생되는 전단응력은?(2020년 09월)
1.
1N/cm2
2.
2N/cm2
3.
3N/cm2
4.
4N/cm2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0.01*(200/0.5)=4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경심이 5m이고 동수경사가 1/200인 관로에서의 Reynolds 수가 1000인 흐름으로 흐를 때 관내의 평균유속은?(2014년 03월)
1.
7.5/s
2.
5.5/s
3.
3.5/s
4.
2.5/s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동수경사 1/2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V= C 루트 RI 층류 Re<2000 f= 64/1000 = 0.064 C= 루트 8g/f = 35 V= 35루트 5*1/200 = 5.53 m/s [해설작성자 : 계대해병]
4과목 :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61.
다음 그림의 고장력 볼트 마찰이음에서 필요한 볼트 수는 최소 몇 개인가? 9단, 볼트는 M22(=ø22mm), F10T를 사용하며, 마찰이음의 허용력은 48kN이다.)(2006년 09월)
1.
3개
2.
5개
3.
6개
4.
8개
정답 : [
3
] 정답률 : 50%
62.
경간이 8m인 단순 지지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에서 등분포하중(고정하중과 활하중의 합)이 w=40kN/m 작용할 때 중앙 단면 콘크리트 하연에서의 응력이 0이 되려면 PS강재에 작용되어야 할 프리스트레스 힘(P)은? (단, PS강재는 단면 중심에 배치되어 있다.)(2022년 04월)
1.
1250 kN
2.
1880 kN
3.
2650 kN
4.
3840 kN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f=P/A -+ P*e/I*y +- M_max/I*y 식을 이용해서 풀어줄 거예요 이런 문제는 하연 응력이 0이기 때문에, -+ +- 부분에서 뒷 부분인 -, +을 사용하여 식을 정리합니다 또한, 강재가 단면 중심에 있기 때문에 중앙 부분, (P*e/l*y) 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0=P/A-M_max/l*y 로 정리한 뒤, 차례차례 대입해주면 됩니다 P=A*M_max/l*y, M_max=wl^2/8 (마찬가지로 고정하중과 활하중의 합, 등분포하중이라 Pl/4 포함하지 않음) 문제에서 주어진 w=40kN/m, y=0.5/2=h/2, l=8m 대입해서 계산하기 [해설작성자 : 밍구]
인장응력 검토를 위한 L-150×90×12 인 형강(angle)의 전개 총폭 bg는 얼마인가?(2016년 05월)
1.
228mm
2.
232mm
3.
240mm
4.
252mm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50+90-1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8.
부분적 프리스트레싱(Partial Prestress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6년 03월)
1.
구조물에 부분적으로 PSC 부재를 사용하는것
2.
부재단면의 일부에만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것
3.
설계하중의 일부만 프리스트레스에 부담시키고 나머지는 긴장재에 부담시키는 것
4.
설계하중이 작용할 때 PSC 부재단면의 일부에 인장응력이 생기는 것
정답 : [
4
] 정답률 : 52%
79.
As=3600mm2, As′1200mm2로 배근된 그림과 같은 복철근 보의 탄성처짐이 12mm라 할 때 5년 후 지속하중에 의해 유발되는 추가 장기처짐은 얼마인가?(2020년 06월)
1.
6mm
2.
12mm
3.
18mm
4.
36mm
정답 : [
2
] 정답률 : 66%
80.
서로 다른 크기의 철근을 압축부에서 겹침이음하는 경우 이음길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3월)
1.
이음길이는 크기가 큰 철근의 정착길이와 크기가 작은 철근의 겹침이음길이 중 큰 값 이상이어야 한다.
2.
이음길이는 크기가 작은 철근의 정착길이와 크기가 큰 철근의 겹침이음길이 중 작은 값 이상이어야 한다.
3.
이음길이는 크기가 작은 철근의 정착길이와 크기가 큰 철근의 겹침이음길이의 평균값 이상이어야 한다.
4.
이음길이는 크기가 큰 철근의 정착길이와 크기가 작은 철근의 겹침이음길이를 합한 값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4%
5과목 : 토질 및 기초
81.
유효응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9월)
1.
지하수면에서 모관상승고까지의 영역에서는 유효응력은 감소한다.
2.
유효응력만의 흙덩이의 변형과 전단에 관계된다.
3.
유효응력은 대부분 물이 받는 응력을 말한다.
4.
유효응력은 전응력에 간극수압을 더한 값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1.지하수면은 모관상승고까지의 영역에서는 유효응역은 증가한다. 2.전단응력을 유효응력과 간극수압으로 나누는 이유는 흙덩이의 변형과 전단에 관계되기 때문이다. 3.유효응력은 흙입자만이 받는 압력이며, 흙입자만을 통해 받는 압력이다. 4.유효응력은 전응력에서 간극수압을 뺀 값이다. [해설작성자 : 베일리]
82.
함수비 14%의 흙 2218g이 있다. 이 흙의 함수비를 23%로 하려면 몇g의 물이 필요한가?(2012년 03월)
1.
199.6g
2.
187.3g
3.
175.1g
4.
251.2g
정답 : [
3
] 정답률 : 48%
83.
다음 그림과 같은 정방향 기초에서 안전율을 3으로 할 때 Terzaghi 공식을 사용하여 지지력을 구하고자 한다. 이 때 한 변의 최소길이는? (단, 흙의 전단강도 c=6t/m2, ∅=0°이고, 흙의 습윤 및 포화단위 중량은 각각 1.9t/m3, 2.0t/m3, Nc=5.7, Nq=1.0, Nr=0이다.)(2010년 09월)
1.
1.115m
2.
1.432m
3.
1.512m
4.
1.624m
정답 : [
1
] 정답률 : 40%
84.
지표면에 설치된 2m×2m의 정사각형 기초에 100kN/m2의 등분포 하중이 작용하고 있을 때 5m 깊이에 있어서의 연직응력 증가량을 2 : 1 분포법으로 계산 한 값은?(2020년 06월)
무게 300kg의 드롭햄머로 3m 높이에서 말뚝을 타입할 때 1회 타격당 최종 침하량이 1.5cm 발생하였다. Sander 공식을 이용하여 산정한 말뚝의 허용지지력은?(2015년 09월)
1.
7.50t
2.
8.61t
3.
9.37t
4.
15.67t
정답 : [
1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sander공식 (Wr*h)/8s [해설작성자 : 남이두]
87.
Terzaghi의 압밀 이론에서 2차 압밀이란 어느 것인가?(2007년 09월)
1.
과대하중에 의해 생기는 압밀
2.
과잉간극수압이 “0”이 되기 전의 압밀
3.
횡방향의 변형으로 인한 압밀
4.
과잉간극수압이 “0”이 된 후에도 계속되는 압밀
정답 : [
4
] 정답률 : 51%
88.
어느 지반 30cm×30cm 재하판을 이용하여 평판재하시험을 한 결과, 항복하중이 5t, 극한하중이 9t이었다. 이 지반의 허용지지력은?(2016년 10월)
1.
55.6t/m2
2.
27.8t/m2
3.
100t/m2
4.
33.3t/m2
정답 : [
2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항복하중의 1/2와 극한하중의 1/3 중 작은 값을 사용 허용지지력=2.5t/0.09m2=27.8t/m2 [해설작성자 : 크로꼬다일]
89.
표준관입시험(S.P.T)결과 N치가 25 이었고, 그때 채취한 교란시료로 입도시험을 한 결과 입자가 둥글고, 입도분포가 불량할 때 Dunham공식에 의해서 구한 내부 마찰각은?(2016년 05월)
1.
32.3°
2.
37.3°
3.
42.3°
4.
48.3°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2*25)^(1/2) + 15 = 32.3 [해설작성자 : 울ㄷ토목]
90.
다음은 전단시험을 한 응력경로이다. 어느 경우인가?(2014년 05월)
1.
초기단계의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같은 상태에서 시행한 삼축압축시험의 전응력 경로이다.
2.
초기단계의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같은 상태에서 시행한 일축압축시험의 전응력 경로이다.
3.
초기단계의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같은 상태에서 Ko=0.5인 조건에서 시행한 삼축압축시험의 전응력 경로이다.
4.
초기단계의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같은 상태에서 Ko=0.7인 조건에서 시행한 일축압축시험의 전응력 경로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5%
91.
유선망(Flow Net)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유선과 등수두선은 직교한다.
2.
동수경사(i)는 등수두선의 폭에 비례한다.
3.
유선망으로 되는 사각형은 이론상 정사각형이다.
4.
인접한 두 유선 사이, 즉 유로를 흐르는 침투수량은 동일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반비례한다 [해설작성자 : 헤이즈지원]
92.
단위중량(γt)=1.9t/m3, 내부마찰각( φ)=30°, 정지토압계수(Ko)=0.5인 균질한 사질토지반이 있다. 지하수위면이 지표면 아래 2m 지점에 있고 지하수위면 아래의 단위중량(γsat)=2.0t/m3이다. 지표면 아래 4m 지점에서 지반내 응력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14년 05월)
1.
간극수압(u)은 2.0t/m2이다.
2.
연직응력(σv)은 8.0t/m2이다.
3.
유효연직응력(σv)은 5.8t/m2이다.
4.
유효수평응력(σh)은 2.9t/m2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7%
93.
흙의 다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2년 04월)
1.
다짐에 의하여 간극이 작아지고 부착력이 커져서 역학적 강도 및 지지력은 증대하고, 압축성, 흡수성 및 투수성은 감소한다.
2.
점토를 최적함수비보다 약간 건조측의 함수비로 다지면 면모구조를 가지게 된다.
3.
점토를 최적함수비보다 약간 습윤측에서 다지면 투수계수가 감소하게 된다.
4.
면모구조를 파괴시키지 못할 정도의 작은 압력으로 점토시료를 압밀할 경우 건조측 다짐을 한 시료가 습윤측 다짐을 한 시료보다 압축성이 크게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건조측 다짐을 실시할 경우 흙의 강도증가나 압축성이 감소된다. [해설작성자 : 오엠지]
낮은 압력으로 다짐 할 경우는 습윤측이 건조측 보다 압축성 크다. 높은 압력으로 다짐 할 경우는 건조측이 습윤측 보다 압축성 크다. [해설작성자 : ㅇㅇ]
94.
말뚝을 지반에 박을 때 무진동, 무소음으로 위쪽에 공간이 적을 때 이용하면 좋은 공법은?(2005년 03월)
1.
수사법
2.
충격법
3.
진동법
4.
압입법
정답 : [
4
] 정답률 : 55%
95.
아래 그림에서 지표면에서 깊이 6m에서의 연직응력(бv)과 수평응력(бh)의 크기를 구하면? (단, 토압계수는 0.6이다.)(2013년 06월)
1.
бv=12.34t/m2, бh =7.4t/m2
2.
бv=8.73t/m2, бh=5.24t/m2
3.
бv=11.22t/m2, бh=6.73t/m2
4.
бv=9.52t/m2, бh=5.71t/m2
정답 : [
3
] 정답률 : 67%
96.
페이퍼 드레인공법의 설명중 틀린 것은?(2004년 05월)
1.
압밀촉진공법으로 시공속도가 빠르다.
2.
장기간 사용시 열화현상이 생겨 배수효과가 감소한다
3.
Sand drain 공법에 비해 초기 배수효과는 떨어진다.
4.
단면이 깊이에 대해 일정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49%
97.
간극율 n = 0.4, 비중 Gs = 2.65인 어느 사질토층의 한계 동수경사 icr은 얼마인가?(2004년 05월)
1.
0.99
2.
1.06
3.
1.34
4.
1.62
정답 : [
1
] 정답률 : 42%
98.
연속 기초에 대한 Terzaghi 의 극한지지력 공식은 qu = cNc + 0.5γ1BNγ + γ2DfNq 로 나타낼 수 있다. 아래 그림과 같은 경우 극한지지력 공식의 두 번째 항의 단위중량(γ1)의 값은? (단, 물의 단위중량은 9.81 kN/m3 이다.)(2021년 05월)
활성슬러지 공정의 설계에 있어 F/M비는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만일 유입수가 BOD가 2배 증가하고 반응조의 체류시간을 1.5배로 증가시키면 F/M비는?(2013년 03월)
1.
50% 증가
2.
33% 증가
3.
25% 감소
4.
33% 감소
정답 : [
2
] 정답률 : 52%
106.
정수처리 시 트리할로메탄 및 곰팡이 냄새의 생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침전지가 여과지 사이에 염소제를 주입하는 방법은?(2022년 04월)
1.
전염소처리
2.
중간염소처리
3.
후염소처리
4.
이중염소처리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중간염소처리 : 정수처리 시 트리할로메탄 및 곰팡이 냄새의 생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침전지와 여과지 사이에 염소제를 주입하는 과정 전염소처리 : 소독작용이 아닌 산화,분해 작용을 목적으로 침전지 이전에 염소를 투입하는 정수 처리 과정이다. 조루,세균,암모니아성 질소,아질산성 질소,황하수소(H2S),페놀류,철,망간,맛,냄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후염소처리 : 여과와 같은 최종 입자제거공정 이후에 살균소독을 목적으로 염소를 주입하여 실시하는 염소처리이다. [해설작성자 : 기사필기 합격하자]
107.
펌프의 공동현상(Cavitation)에 관한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4년 05월)
1.
흡입양정이 클수록 발생하기 쉽다.
2.
펌프의 급정지시 발생하기 쉽다.
3.
회전날개의 파손 또는 소음, 진동의 원인이 된다.
4.
회전날개입구의 압력이 포화증기압 이하일 때 발생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31%
108.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9월)
1.
BOD는 유기물이 호기성 상태에서 분해ㆍ안전화 되는데 요구되는 산소량이다.
2.
BOD는 보통 20℃에서 5일간 시료를 배양했을 때 소비된 용존산소량으로 표시된다.
3.
BOD가 과도하게 높으면 DO는 감소하며 악취가 발생된다.
4.
BOD, COD는 오염의 지표로서 하수 중의 용존산소량을 나타낸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109.
정수시설 중 배출수 및 슬러지처리시설의 설명이다. ㉠, ㉡에 알맞은 것은?(2012년 09월)
1.
㉠12~24, ㉡5~10
2.
㉠12~24, ㉡10~20
3.
㉠24~48, ㉡5~10
4.
㉠24~48, ㉡10~20
정답 : [
4
] 정답률 : 41%
110.
하수의 배제방식의 분류식과 합류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분류식은 오수만을 처리장으로 수송하는 방식으로 우천시에 오수를 수역으로 방류하는 일이 없으므로 수질오염 방지상 유리하다.
2.
분류식의 오수관거는 소구경이기 때문에 합류식에 비해 경사가 완만하고 매설깊이가 적어지는 장점이 있다.
3.
합류식은 단일관거로 오수와 우수를 배제하기 때문에 침수피해의 다발지역이나 우수배제 시설이 정비되어 있지 않은 지역에서 유리하다.
4.
합류식은 분류식에 비해 시공이 용이하나 우천시에 관거 내의 침전물이 일시에 유출되어 처리장에 큰 부담을 줄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39%
111.
그림과 같은 저수지에서 직경 500mm관으로 유량 0.2m3/s 를 저수지 수면에서 30m 되는 고지대로 압송한다. 고지대의 압력이 1.5kg/cm2를 유지하도록 하려면 펌프의 축마력은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단, 관의 길이는 2,000m, 마찰손실계수는 0.028, 펌프의 효율은 75%라고 함.)(2003년 03월)
처리수량 40500m3/day의 급속여과지의 최소 여과면적은? (단, 여과속도=150m/day, 총 급속여과지수(地數)=6개)(2010년 05월)
1.
39m2
2.
42m2
3.
45m2
4.
48m2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면적 = Q/V = 40500/150 = 270 여과지수가 6개 이므로 270/6 = 45 [해설작성자 : 토목기사도 해설 가득차길...]
117.
폭기조에 가해진 BOD부하 1kg당 100m3의 공기를 주입시켜야 한다면 BOD가 150mg/L인 하수 7570m3/day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얼마의 공기를 주입해야 하는가?(2005년 05월)
1.
7570m3/day
2.
11350m3/day
3.
75700m3/day
4.
113550m3/day
정답 : [
4
] 정답률 : 50%
118.
어떤 지역의 강수지속시간(t)과 강우강도 역수(1/I)와의 관계를 구해보니 그림과 같이 기울기가 1/3000, 절편이 1/150이 되었다. 이 지역의 강우강도를 Talbo형 으로 표시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4년 09월)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68%
119.
특정오염물의 제거가 필요하여 활성탄 흡착으로 제거 하고자한다. 연구결과 수량 대비 5%의 활성탄을 사용할 때 오염물질의 75%가 제거되며 10%의 활성탄을 사용한 때는 96.5%가 제거되었다. 이 특정오염물의 잔류농도를 처음농도의 0.5% 이하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활성탄을 수량대비 몇 %로 처리하여야 하는가? (단 흡착과정은 Freundlich 방정식 X=K • C/n만족한다.)(2017년 05월)
참고로, 입실론= 변형률(기호가 보통 입실론이란 뜻), 시그마= 응력(기호가 보통 시그마) [해설작성자 : 흠그정돈가]
2과목 : 측량학
21.
어떤 다각형의 전측선의 길이가 900m일 때 폐합비를 1/5,000로 하기 위해서는 축척 1/500의 도면에서 폐합오차는 얼마까지 허용되는가?(2006년 03월)
1.
0.26mm
2.
0.36mm
3.
0.46mm
4.
0.50mm
정답 : [
2
] 정답률 : 69%
22.
측점 M의 표고를 구하기 위하여 수준점 A, B, C로부터 수준측량을 실시하여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면 M의 표고는?(2017년 03월)
1.
13.09 m
2.
13.13 m
3.
13.17 m
4.
13.22 m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노선 길이에 반비례
23.
수평각관측법 중 가장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1등 삼각측량에 이용되는 방법은?(2012년 03월)
1.
조합각관측법
2.
방향각법
3.
배각법
4.
단각법
정답 : [
1
] 정답률 : 73%
24.
전진법에 의하여 6각형 토지를 측정하였다. 측점 A를 출발하여 B, C, D, E, F, A에 돌아왔을 때 폐합오차가 20cm 였다면 측점 D점의 오차분배량은? (단, AB=60m, BC=50m, CD=30m, DE=50m, EF=40m, FA=20m)(2009년 03월)
1.
0.033m
2.
0.056m
3.
0.112m
4.
0.156m
정답 : [
3
] 정답률 : 42%
25.
우리나라의 지형도에서 해안선의 기준은?(2004년 03월)
1.
만조시의 해안
2.
최저조위면
3.
평균해면
4.
평균조위면
정답 : [
1
] 정답률 : 29%
26.
다음 그림과 같이 고저측량을 실시한 경우 D점의 표고는 얼마인가? (단, A점의 표고는 300m이고, B와 C구간은 상호고저측량을 실시했다. A→ B = -0.567m, B→ C = -0.887m C→ B = +0.866m, C→ D = +0.357m)(2003년 05월)
1.
298.903m
2.
298.914m
3.
298.921m
4.
298.928m
정답 : [
2
] 정답률 : 47%
27.
지성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지성선은 지표면이 다수의 평면으로 구성되었다고 할 때 평면간 접합부, 즉 접선을 말하며 지세선이라고도한다.
2.
철(凸)선을 능선 또는 분수선이라 한다.
3.
경사변환선이란 동일 방향의 경사면에서 경사의 크기가 다른 두면의 접합선이다.
4.
요(凹)선은 지표의 경사가 최대로 되는 방향을 표시한 선으로 유하선이라고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최대경사선 : 지표의 경사가 최대로 되는 방향을 표시한 선으로 유하선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토목조랭이]
28.
도로의 종단곡선으로 주로 사용되는 곡선은?(2006년 09월)
1.
2차 포물선
2.
3차 포물선
3.
클로소이드
4.
렘니스케이트
정답 : [
1
] 정답률 : 52%
29.
하천측량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2011년 10월)
1.
하천측량 시 처음에 할 일은 도상조사로서 유로 상황, 지역면적, 지형지물, 토지이용 사황 등을 조사하여야 한다.
2.
심천측량은 하천의 수심 및 유수분의의 하저사항을 조사하고 횡단면도를 제작하는 측량을 말한다.
3.
하천측량에서 수준측량을 할 때의 거리표는 하천의 중심에 직각방향으로 설치한다.
4.
수위관측소의 위치는 지천의 합류점 및 분류점으로서 수위의 변화가 일어나기 쉬운 곳이 적당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83%
30.
4회 관측하여 최확값을 얻었다. 최확값의 정확도를 2배 높이려면 몇 회 관측하여야 하는가?(2011년 06월)
1.
32회
2.
16회
3.
8회
4.
2회
정답 : [
2
] 정답률 : 62%
31.
지형도의 이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20년 06월)
1.
저수량 및 토공량 산정
2.
유역면적의 도상 측정
3.
직접적인 지적도 작성
4.
등경사선 관측
정답 : [
3
] 정답률 : 66%
32.
트래버스 측량의 작업순서로 알맞은 것은?(2021년 05월)
1.
선점 – 계획 – 답사 – 조표 - 관측
2.
계획 – 답사 – 선점 – 조표 - 관측
3.
답사 – 계획 – 조표 – 선점 - 관측
4.
조표 – 답사 – 계획 – 선점 – 관측
정답 : [
2
] 정답률 : 79%
33.
노선측량에 대한 다음의 용어 설명 중 옳지 않은것은?(2011년 06월)
1.
교점-방향이 변하는 두 직선이 교차하는 점
2.
중심말뚝-노선의 시점, 종점 및 교점에 설치하는 말뚝
3.
복심곡선-반경이 서로 다른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원호가 연결된 곡선으로 공통접선의 같은 쪽에 원호의 중심이 있는 곡선
4.
완화곡선-고속으로 이동하는 차량이 직선부에서 곡선부로 진입할 때 차량의 격동을 완화하기 위해 직선과 원호 사이에 설치하는 곡선
정답 : [
2
] 정답률 : 65%
34.
직접고저측량을 실시한 결과가 그림과 같을 때, A점의 표고가 10m라면 C점의 표고는? (단, 그림 은 개략도로 실제 치수와 다를 수 있음)(2011년 03월)
1.
9.57m
2.
9.66m
3.
10.57m
4.
10.66m
정답 : [
1
] 정답률 : 72%
35.
A, B, C 각 점에서 P점까지 수준측량을 한 결과가 표와 같다. 거리에 대한 경중률을 고려한 P점의 표고 최확값은?(2014년 09월)
1.
135.529m
2.
135.551m
3.
135.563m
4.
135.570m
정답 : [
1
] 정답률 : 76%
36.
노선설치에서 곡선반지름 R, 교각 I인 단곡선을 설치할 때 곡선의 중앙종거(M)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2020년 08월)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65%
37.
사진의 특수3점에 대한 그림에서 N, J, M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3년 03월)
1.
N : 연직점, J : 등각점, M : 주점
2.
N : 주점, J : 등각점, M : 연직점
3.
N : 주점, J : 연직점, M : 등각점
4.
N : 등각점, J : 연직점, M : 주점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사진측량 관련 문제는 2022년 부터 시험 범위에서 제외 되었습니다.
38.
우리나라의 노선측량에서 철도에 주로 이용되는 완화곡선 은?(2003년 08월)
1.
1차 포물선
2.
3차 포물선
3.
렘니스케이트(lemniscate)
4.
클로소이드(clothoid)
정답 : [
2
] 정답률 : 36%
39.
다음의 각관측 방법 중 배각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여기서, α:시준오차, β:읽기오차, n:반복회수) (문제 오류로 현재 복원중입니다. 보기 내용을 아시는 분들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보기 작성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1번입니다.)(2005년 05월)
1.
수평각 관측법 중 가장 정확한 방법으로 1등 삼각 측량에 주로 이용된다.
2.
방향각법에 비하여 읽기 오차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3.
복원중
4.
1개의 각을 2회이상 반복관측하여 관측한 각도를 모두 더하여 평균을 구하는 방법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3%
40.
삼각수준측량의 관측값에서 대기의 굴절오차(기차)와 지구의 곡률오차(구차)의 조정방법중 옳은 것은?(2008년 03월)
1.
기차는 높게, 구차는 낮게 조정한다.
2.
기차는 낮게, 구차는 높게 조정한다.
3.
기차와 구차를 함께 높이 조정한다.
4.
기차와 구차를 함께 낮게 조정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3과목 : 수리학 및 수문학
41.
위어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9월)
1.
위어를 월류하는 흐름은 일반적으로 상류에서 사류로 변한다.
2.
위어를 월류하는 흐름이 사류일 경우 유량은 하류 수위의 영향을 받는다.
3.
위어는 개수로의 유량측정, 취수를 위한 수위증가 등의 목적으로 설치된다.
4.
작은 유량을 측정 할 경우 3각 위어가 효과적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43%
42.
다음 그림은 개수로 에서 동점성 계수가 일정하다고 할 때 수심 h와 유속 V에 대항 한계 레이놀즈수(Re)와 후르드수(Fr)를 전대수지에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4개의 영역으로 나눌 때 난류인 상류를 나타내는 영역은?(2006년 09월)
1.
A
2.
B
3.
C
4.
D
정답 : [
1
] 정답률 : 48%
43.
어떤 유역 내에 5대의 우량관측소에서 표와 같은 지배면적에 우량이 측정되었을 때 Thiessen법으로 산정한 유역의 평균우량은?(2010년 09월)
1.
31.81mm
2.
32.00mm
3.
32.72mm
4.
33.04mm
정답 : [
1
] 정답률 : 51%
44.
다음 물의 흐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수심은 깊으나 유속이 느린 흐름을 사류라 한다.
2.
물의 분자가 흩어지지 않고 질서 정연히 흐르는 흐름을 난류라 한다.
3.
모든 단면에 있어 유적과 유속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것을 정류라 한다.
4.
에너지선과 동수 경사선의 높이의 차는 일반적으로 V2/2g 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45.
임의의 면에 작용하는 정수압의 작용방향을 옳게 설명한 것은?(2005년 05월)
1.
정수압은 수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작용한다.
2.
정수압은 수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작용한다.
3.
정수압의 수직압은 존재하지 않는다.
4.
정수압은 임의의 면에 직각으로 작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46.
두 개의 수평한 판이 5mm 간격으로 놓여있고, 점성계수 0.01N•s/cm2인 유체로 채워져 있다. 하나의 판을 고정시키고 다른 하나의 판을 2m/s로 움직일 때 유체 내에서 발생되는 전단응력은?(2017년 05월)
<문제 해설> 비에너지 곡선 그래프에서 유량이 일정할 때 최소점이 되는 지점이 비에너지 최소가 되며 Fr=1(한계류) 상태이다. 이 상태는 dE/dy=0이고 이때 yc라 정의한다. 즉, 한계수심은 비에너지가 최소일 때의 수심이다. [해설작성자 : 단국대 토목공학과 학생]
48.
S-curve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2010년 05월)
1.
단위도의 지속시간
2.
평형 유출량
3.
등우 선도
4.
직접 유출 수문곡선
정답 : [
3
] 정답률 : 52%
49.
합성단위 유량도(synthetic unit hydrograph) 작성법이 아닌 것은?(2013년 03월)
1.
snyder 방법
2.
scs의 무차원 단위유량도 이용법
3.
nakayasu 방법
4.
순간 단위유량도법
정답 : [
4
] 정답률 : 61%
50.
수심이 10cm, 수로 폭이 20cm인 직사각형 개수로에서 유량 Q=80cm3/s가 흐를 때 동점성계수 v=1.0×10-2 cm2/s 이면 흐름은?(2020년 08월)
1.
난류, 사류
2.
층류, 사류
3.
난류, 상류
4.
층류, 상류
정답 : [
4
] 정답률 : 53%
51.
수로경사 , 조도계수 n = 0.013의 수로에 아래 그림과 같이 물이 흐르고 있다. 평균유속은 얼마인가? (단, 매닝(Manning)의 공식에 의해 풀 것.)(2003년 05월)
다음의 손실계수 중 특별한 형상이 아닌 경우, 일반적으로 그 값이 가장 큰 것은?(2016년 05월)
1.
입구 손실계수(fe)
2.
단면 급확대 손실계수(fse)
3.
단면 급축소 손실계수(fse)
4.
출구 손실계수(fo)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출구손실계수가 1로 가장 크다 [해설작성자 : 띠리링맨]
54.
강우로 인한 유수가 그 유역 내의 가장 먼 지점으로부터 유역출구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하는 것은?(2014년 09월)
1.
강우지속시간
2.
지체시간
3.
도달시간
4.
기저시간
정답 : [
3
] 정답률 : 74%
55.
단면적 20cm2인 원형 오리피스(orifice)가 수면에서 3m의 깊이에 있을 때, 유출수의 유량은? (단, 유량계수는 0.6이라 한다.)(2017년 05월)
1.
0.0014m3/s
2.
0.0092m3/s
3.
0.0119m3/s
4.
0.1524m3/s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Q=AV V=루트2gh [해설작성자 : 헤이즈지원]
56.
다음의 부체에 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2004년 09월)
1.
부심(B)과 부체의 중심(G)이 동일 연직선 상에 올 때 안정을 유지한다.
2.
중심(G)이 부심(B)보다 아래 쪽에 있으면 안정하다.
3.
경심(M)이 중심(G)보다 낮을 경우 안정하다.
4.
경심(M)이 중심(G)보다 높을 경우 복원 모멘트가 발생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57.
개수로 흐름에 대한 Manning 공식의 조도계수 값의 결정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3월)
1.
동수경사
2.
하상 물질
3.
하도 형상 및 선형
4.
식생
정답 : [
1
] 정답률 : 49%
58.
강우량자료를 분석하는 방법 중 이중누가곡선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평균강수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2.
강수의 지속기간을 구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3.
결측자료를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4.
강수량자료의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59.
두 개의 수평한 판이 5mm 간격으로 놓여 있고, 점성계수 0.01Nㆍs/cm2인 유체로 채워져 있다. 하나의 판을 고정시키고 다른 하나의 판을 2m/s로 움직일 때 유체 내에서 발생되는 전단응력은?(2020년 09월)
1.
1N/cm2
2.
2N/cm2
3.
3N/cm2
4.
4N/cm2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0.01*(200/0.5)=4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0.
경심이 5m이고 동수경사가 1/200인 관로에서의 Reynolds 수가 1000인 흐름으로 흐를 때 관내의 평균유속은?(2014년 03월)
1.
7.5/s
2.
5.5/s
3.
3.5/s
4.
2.5/s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동수경사 1/2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V= C 루트 RI 층류 Re<2000 f= 64/1000 = 0.064 C= 루트 8g/f = 35 V= 35루트 5*1/200 = 5.53 m/s [해설작성자 : 계대해병]
4과목 :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61.
다음 그림의 고장력 볼트 마찰이음에서 필요한 볼트 수는 최소 몇 개인가? 9단, 볼트는 M22(=ø22mm), F10T를 사용하며, 마찰이음의 허용력은 48kN이다.)(2006년 09월)
1.
3개
2.
5개
3.
6개
4.
8개
정답 : [
3
] 정답률 : 50%
62.
경간이 8m인 단순 지지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에서 등분포하중(고정하중과 활하중의 합)이 w=40kN/m 작용할 때 중앙 단면 콘크리트 하연에서의 응력이 0이 되려면 PS강재에 작용되어야 할 프리스트레스 힘(P)은? (단, PS강재는 단면 중심에 배치되어 있다.)(2022년 04월)
1.
1250 kN
2.
1880 kN
3.
2650 kN
4.
3840 kN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f=P/A -+ P*e/I*y +- M_max/I*y 식을 이용해서 풀어줄 거예요 이런 문제는 하연 응력이 0이기 때문에, -+ +- 부분에서 뒷 부분인 -, +을 사용하여 식을 정리합니다 또한, 강재가 단면 중심에 있기 때문에 중앙 부분, (P*e/l*y) 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0=P/A-M_max/l*y 로 정리한 뒤, 차례차례 대입해주면 됩니다 P=A*M_max/l*y, M_max=wl^2/8 (마찬가지로 고정하중과 활하중의 합, 등분포하중이라 Pl/4 포함하지 않음) 문제에서 주어진 w=40kN/m, y=0.5/2=h/2, l=8m 대입해서 계산하기 [해설작성자 : 밍구]
인장응력 검토를 위한 L-150×90×12 인 형강(angle)의 전개 총폭 bg는 얼마인가?(2016년 05월)
1.
228mm
2.
232mm
3.
240mm
4.
252mm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50+90-1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8.
부분적 프리스트레싱(Partial Prestress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6년 03월)
1.
구조물에 부분적으로 PSC 부재를 사용하는것
2.
부재단면의 일부에만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것
3.
설계하중의 일부만 프리스트레스에 부담시키고 나머지는 긴장재에 부담시키는 것
4.
설계하중이 작용할 때 PSC 부재단면의 일부에 인장응력이 생기는 것
정답 : [
4
] 정답률 : 52%
79.
As=3600mm2, As′1200mm2로 배근된 그림과 같은 복철근 보의 탄성처짐이 12mm라 할 때 5년 후 지속하중에 의해 유발되는 추가 장기처짐은 얼마인가?(2020년 06월)
1.
6mm
2.
12mm
3.
18mm
4.
36mm
정답 : [
2
] 정답률 : 66%
80.
서로 다른 크기의 철근을 압축부에서 겹침이음하는 경우 이음길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3월)
1.
이음길이는 크기가 큰 철근의 정착길이와 크기가 작은 철근의 겹침이음길이 중 큰 값 이상이어야 한다.
2.
이음길이는 크기가 작은 철근의 정착길이와 크기가 큰 철근의 겹침이음길이 중 작은 값 이상이어야 한다.
3.
이음길이는 크기가 작은 철근의 정착길이와 크기가 큰 철근의 겹침이음길이의 평균값 이상이어야 한다.
4.
이음길이는 크기가 큰 철근의 정착길이와 크기가 작은 철근의 겹침이음길이를 합한 값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4%
5과목 : 토질 및 기초
81.
유효응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9월)
1.
지하수면에서 모관상승고까지의 영역에서는 유효응력은 감소한다.
2.
유효응력만의 흙덩이의 변형과 전단에 관계된다.
3.
유효응력은 대부분 물이 받는 응력을 말한다.
4.
유효응력은 전응력에 간극수압을 더한 값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1.지하수면은 모관상승고까지의 영역에서는 유효응역은 증가한다. 2.전단응력을 유효응력과 간극수압으로 나누는 이유는 흙덩이의 변형과 전단에 관계되기 때문이다. 3.유효응력은 흙입자만이 받는 압력이며, 흙입자만을 통해 받는 압력이다. 4.유효응력은 전응력에서 간극수압을 뺀 값이다. [해설작성자 : 베일리]
82.
함수비 14%의 흙 2218g이 있다. 이 흙의 함수비를 23%로 하려면 몇g의 물이 필요한가?(2012년 03월)
1.
199.6g
2.
187.3g
3.
175.1g
4.
251.2g
정답 : [
3
] 정답률 : 48%
83.
다음 그림과 같은 정방향 기초에서 안전율을 3으로 할 때 Terzaghi 공식을 사용하여 지지력을 구하고자 한다. 이 때 한 변의 최소길이는? (단, 흙의 전단강도 c=6t/m2, ∅=0°이고, 흙의 습윤 및 포화단위 중량은 각각 1.9t/m3, 2.0t/m3, Nc=5.7, Nq=1.0, Nr=0이다.)(2010년 09월)
1.
1.115m
2.
1.432m
3.
1.512m
4.
1.624m
정답 : [
1
] 정답률 : 40%
84.
지표면에 설치된 2m×2m의 정사각형 기초에 100kN/m2의 등분포 하중이 작용하고 있을 때 5m 깊이에 있어서의 연직응력 증가량을 2 : 1 분포법으로 계산 한 값은?(2020년 06월)
무게 300kg의 드롭햄머로 3m 높이에서 말뚝을 타입할 때 1회 타격당 최종 침하량이 1.5cm 발생하였다. Sander 공식을 이용하여 산정한 말뚝의 허용지지력은?(2015년 09월)
1.
7.50t
2.
8.61t
3.
9.37t
4.
15.67t
정답 : [
1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sander공식 (Wr*h)/8s [해설작성자 : 남이두]
87.
Terzaghi의 압밀 이론에서 2차 압밀이란 어느 것인가?(2007년 09월)
1.
과대하중에 의해 생기는 압밀
2.
과잉간극수압이 “0”이 되기 전의 압밀
3.
횡방향의 변형으로 인한 압밀
4.
과잉간극수압이 “0”이 된 후에도 계속되는 압밀
정답 : [
4
] 정답률 : 51%
88.
어느 지반 30cm×30cm 재하판을 이용하여 평판재하시험을 한 결과, 항복하중이 5t, 극한하중이 9t이었다. 이 지반의 허용지지력은?(2016년 10월)
1.
55.6t/m2
2.
27.8t/m2
3.
100t/m2
4.
33.3t/m2
정답 : [
2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항복하중의 1/2와 극한하중의 1/3 중 작은 값을 사용 허용지지력=2.5t/0.09m2=27.8t/m2 [해설작성자 : 크로꼬다일]
89.
표준관입시험(S.P.T)결과 N치가 25 이었고, 그때 채취한 교란시료로 입도시험을 한 결과 입자가 둥글고, 입도분포가 불량할 때 Dunham공식에 의해서 구한 내부 마찰각은?(2016년 05월)
1.
32.3°
2.
37.3°
3.
42.3°
4.
48.3°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2*25)^(1/2) + 15 = 32.3 [해설작성자 : 울ㄷ토목]
90.
다음은 전단시험을 한 응력경로이다. 어느 경우인가?(2014년 05월)
1.
초기단계의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같은 상태에서 시행한 삼축압축시험의 전응력 경로이다.
2.
초기단계의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같은 상태에서 시행한 일축압축시험의 전응력 경로이다.
3.
초기단계의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같은 상태에서 Ko=0.5인 조건에서 시행한 삼축압축시험의 전응력 경로이다.
4.
초기단계의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같은 상태에서 Ko=0.7인 조건에서 시행한 일축압축시험의 전응력 경로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5%
91.
유선망(Flow Net)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유선과 등수두선은 직교한다.
2.
동수경사(i)는 등수두선의 폭에 비례한다.
3.
유선망으로 되는 사각형은 이론상 정사각형이다.
4.
인접한 두 유선 사이, 즉 유로를 흐르는 침투수량은 동일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반비례한다 [해설작성자 : 헤이즈지원]
92.
단위중량(γt)=1.9t/m3, 내부마찰각( φ)=30°, 정지토압계수(Ko)=0.5인 균질한 사질토지반이 있다. 지하수위면이 지표면 아래 2m 지점에 있고 지하수위면 아래의 단위중량(γsat)=2.0t/m3이다. 지표면 아래 4m 지점에서 지반내 응력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14년 05월)
1.
간극수압(u)은 2.0t/m2이다.
2.
연직응력(σv)은 8.0t/m2이다.
3.
유효연직응력(σv)은 5.8t/m2이다.
4.
유효수평응력(σh)은 2.9t/m2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7%
93.
흙의 다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2년 04월)
1.
다짐에 의하여 간극이 작아지고 부착력이 커져서 역학적 강도 및 지지력은 증대하고, 압축성, 흡수성 및 투수성은 감소한다.
2.
점토를 최적함수비보다 약간 건조측의 함수비로 다지면 면모구조를 가지게 된다.
3.
점토를 최적함수비보다 약간 습윤측에서 다지면 투수계수가 감소하게 된다.
4.
면모구조를 파괴시키지 못할 정도의 작은 압력으로 점토시료를 압밀할 경우 건조측 다짐을 한 시료가 습윤측 다짐을 한 시료보다 압축성이 크게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건조측 다짐을 실시할 경우 흙의 강도증가나 압축성이 감소된다. [해설작성자 : 오엠지]
낮은 압력으로 다짐 할 경우는 습윤측이 건조측 보다 압축성 크다. 높은 압력으로 다짐 할 경우는 건조측이 습윤측 보다 압축성 크다. [해설작성자 : ㅇㅇ]
94.
말뚝을 지반에 박을 때 무진동, 무소음으로 위쪽에 공간이 적을 때 이용하면 좋은 공법은?(2005년 03월)
1.
수사법
2.
충격법
3.
진동법
4.
압입법
정답 : [
4
] 정답률 : 55%
95.
아래 그림에서 지표면에서 깊이 6m에서의 연직응력(бv)과 수평응력(бh)의 크기를 구하면? (단, 토압계수는 0.6이다.)(2013년 06월)
1.
бv=12.34t/m2, бh =7.4t/m2
2.
бv=8.73t/m2, бh=5.24t/m2
3.
бv=11.22t/m2, бh=6.73t/m2
4.
бv=9.52t/m2, бh=5.71t/m2
정답 : [
3
] 정답률 : 67%
96.
페이퍼 드레인공법의 설명중 틀린 것은?(2004년 05월)
1.
압밀촉진공법으로 시공속도가 빠르다.
2.
장기간 사용시 열화현상이 생겨 배수효과가 감소한다
3.
Sand drain 공법에 비해 초기 배수효과는 떨어진다.
4.
단면이 깊이에 대해 일정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49%
97.
간극율 n = 0.4, 비중 Gs = 2.65인 어느 사질토층의 한계 동수경사 icr은 얼마인가?(2004년 05월)
1.
0.99
2.
1.06
3.
1.34
4.
1.62
정답 : [
1
] 정답률 : 42%
98.
연속 기초에 대한 Terzaghi 의 극한지지력 공식은 qu = cNc + 0.5γ1BNγ + γ2DfNq 로 나타낼 수 있다. 아래 그림과 같은 경우 극한지지력 공식의 두 번째 항의 단위중량(γ1)의 값은? (단, 물의 단위중량은 9.81 kN/m3 이다.)(2021년 05월)
활성슬러지 공정의 설계에 있어 F/M비는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만일 유입수가 BOD가 2배 증가하고 반응조의 체류시간을 1.5배로 증가시키면 F/M비는?(2013년 03월)
1.
50% 증가
2.
33% 증가
3.
25% 감소
4.
33% 감소
정답 : [
2
] 정답률 : 52%
106.
정수처리 시 트리할로메탄 및 곰팡이 냄새의 생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침전지가 여과지 사이에 염소제를 주입하는 방법은?(2022년 04월)
1.
전염소처리
2.
중간염소처리
3.
후염소처리
4.
이중염소처리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중간염소처리 : 정수처리 시 트리할로메탄 및 곰팡이 냄새의 생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침전지와 여과지 사이에 염소제를 주입하는 과정 전염소처리 : 소독작용이 아닌 산화,분해 작용을 목적으로 침전지 이전에 염소를 투입하는 정수 처리 과정이다. 조루,세균,암모니아성 질소,아질산성 질소,황하수소(H2S),페놀류,철,망간,맛,냄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후염소처리 : 여과와 같은 최종 입자제거공정 이후에 살균소독을 목적으로 염소를 주입하여 실시하는 염소처리이다. [해설작성자 : 기사필기 합격하자]
107.
펌프의 공동현상(Cavitation)에 관한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4년 05월)
1.
흡입양정이 클수록 발생하기 쉽다.
2.
펌프의 급정지시 발생하기 쉽다.
3.
회전날개의 파손 또는 소음, 진동의 원인이 된다.
4.
회전날개입구의 압력이 포화증기압 이하일 때 발생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31%
108.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9월)
1.
BOD는 유기물이 호기성 상태에서 분해ㆍ안전화 되는데 요구되는 산소량이다.
2.
BOD는 보통 20℃에서 5일간 시료를 배양했을 때 소비된 용존산소량으로 표시된다.
3.
BOD가 과도하게 높으면 DO는 감소하며 악취가 발생된다.
4.
BOD, COD는 오염의 지표로서 하수 중의 용존산소량을 나타낸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109.
정수시설 중 배출수 및 슬러지처리시설의 설명이다. ㉠, ㉡에 알맞은 것은?(2012년 09월)
1.
㉠12~24, ㉡5~10
2.
㉠12~24, ㉡10~20
3.
㉠24~48, ㉡5~10
4.
㉠24~48, ㉡10~20
정답 : [
4
] 정답률 : 41%
110.
하수의 배제방식의 분류식과 합류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분류식은 오수만을 처리장으로 수송하는 방식으로 우천시에 오수를 수역으로 방류하는 일이 없으므로 수질오염 방지상 유리하다.
2.
분류식의 오수관거는 소구경이기 때문에 합류식에 비해 경사가 완만하고 매설깊이가 적어지는 장점이 있다.
3.
합류식은 단일관거로 오수와 우수를 배제하기 때문에 침수피해의 다발지역이나 우수배제 시설이 정비되어 있지 않은 지역에서 유리하다.
4.
합류식은 분류식에 비해 시공이 용이하나 우천시에 관거 내의 침전물이 일시에 유출되어 처리장에 큰 부담을 줄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39%
111.
그림과 같은 저수지에서 직경 500mm관으로 유량 0.2m3/s 를 저수지 수면에서 30m 되는 고지대로 압송한다. 고지대의 압력이 1.5kg/cm2를 유지하도록 하려면 펌프의 축마력은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단, 관의 길이는 2,000m, 마찰손실계수는 0.028, 펌프의 효율은 75%라고 함.)(2003년 03월)
처리수량 40500m3/day의 급속여과지의 최소 여과면적은? (단, 여과속도=150m/day, 총 급속여과지수(地數)=6개)(2010년 05월)
1.
39m2
2.
42m2
3.
45m2
4.
48m2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면적 = Q/V = 40500/150 = 270 여과지수가 6개 이므로 270/6 = 45 [해설작성자 : 토목기사도 해설 가득차길...]
117.
폭기조에 가해진 BOD부하 1kg당 100m3의 공기를 주입시켜야 한다면 BOD가 150mg/L인 하수 7570m3/day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얼마의 공기를 주입해야 하는가?(2005년 05월)
1.
7570m3/day
2.
11350m3/day
3.
75700m3/day
4.
113550m3/day
정답 : [
4
] 정답률 : 50%
118.
어떤 지역의 강수지속시간(t)과 강우강도 역수(1/I)와의 관계를 구해보니 그림과 같이 기울기가 1/3000, 절편이 1/150이 되었다. 이 지역의 강우강도를 Talbo형 으로 표시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4년 09월)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68%
119.
특정오염물의 제거가 필요하여 활성탄 흡착으로 제거 하고자한다. 연구결과 수량 대비 5%의 활성탄을 사용할 때 오염물질의 75%가 제거되며 10%의 활성탄을 사용한 때는 96.5%가 제거되었다. 이 특정오염물의 잔류농도를 처음농도의 0.5% 이하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활성탄을 수량대비 몇 %로 처리하여야 하는가? (단 흡착과정은 Freundlich 방정식 X=K • C/n만족한다.)(2017년 05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