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447626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국어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음운의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2월)
     1. 소리의 강약이나 고저 등은 분절되지 않으므로 음운이라고 할 수 없다.
     2. 음운은 의미를 구별해 주는 최소의 단위이므로 최소대립쌍을 통해 한 언어의 음운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3. 음운은 몇 개의 변이음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실제로 들리는 소리가 다른 경우에도 하나의 음운으로 인정할수 있다.
     4. 음운은 실제적인 소리라기보다는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기호라고 보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2. 다음 중 <보기>의 설명에 해당되지 않는 단어는?(2015년 06월)

   

     1. 보기
     2. 낯섦
     3. 낮추다
     4. 꽃답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ㅁ,음,기 명사형 전성어미
보다 + 기
낯설다 + ㅁ
[해설작성자 : 코카콜라마시따]

3. 속담과 한자성어의 뜻이 가장 비슷한 것은?(2019년 02월)
     1. 이 없으면 잇몸으로 산다-순망치한(脣亡齒寒)
     2. 개똥도 약에 쓰려면 없다-하로동선(夏爐冬扇)
     3. 우물 안의 개구리-하충의빙(夏蟲疑氷)
     4. 굽은 나무가 선산을 지킨다-설중송백(雪中松柏)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3. 하충의빙: 여름에 벌레는 얼음을 안 믿는다.

1. 순망치한: 입술이 없어지면 이가 시림.
2. 하로동선: 여름 난로와 겨울 부채.
3. 설중동백: 눈 속의 소나무와 잣나무.
[해설작성자 : 에몽]

4. <보기>는 중세국어의 표기법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따른 표기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불휘 기픈
     2.
     3.
     4.

     정답 : []
     정답률 : 64%

5. <보기>에 제시된 소설의 시대적 배경을 시간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20년 06월)

   

     1. ㄱ→ㄷ→ㄹ→ㄴ
     2. ㄱ→ㄹ→ㄷ→ㄴ
     3. ㄹ→ㄱ→ㄴ→ㄷ
     4. ㄹ→ㄴ→ㄱ→ㄷ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삼대(1931 3.1운동 전후)-광장(1960 한국전쟁 후)-무기의그늘(1960~75 베트남전쟁)-소년이온다(1980 5.18~)
[해설작성자 : 창일]

6. <보기>의 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2월)

   

     1. 황조가와 더불어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서사시다.
     2. 한시와 함께 번역한 시가가 따로 전한다.
     3. ‘물’의 상징적 의미를 따라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4. 몇 번을 죽어도 충성의 마음이 변치 않음을 노래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53%

7. 다음 중 한글 맞춤법에 따라 바르게 표기된 것은?(2015년 06월)
     1. 철수는 우리 반에서 키가 열둘째이다.
     2. 요즘 재산을 떨어먹는 사람이 많다.
     3. 나는 집에 사흘 동안 머무를 예정이다.
     4. 숫병아리가 내게로 다가왔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열두번째-열두째(차례), 열둘째:열두개째
2. 털어먹는
4. 수평아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밑줄 친 단어의 형태가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2월)
     1. 멀리서 보기와 달리 산이 가팔라서 여러 번 쉬었다.
     2. 예산이 100만 원 이상 모잘라서 구입을 포기해야 했다.
     3. 영혼을 불살라서 이룬 깨달음이니 더욱 소중하다.
     4. 말이며 행동이 모두 올발라서 흠잡을 데 없는 사람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9. <보기>의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6월)

   

     1. ㉠은 예상보다 빠르게 닥쳐온 불행을 의미한다.
     2. ㉡은 친동기 관계라는 것을 의미한다.
     3. ㉢은 다른 향가 작품에서는 찾기 어려운 생생한 표현이다.
     4. ㉣은 불교적 세계관을 보여준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낙구(아아)는 향가의 특징임
[해설작성자 : 랄라]

10. 맞춤법 사용이 올바르지 않은 것으로만 묶인 것은?(2019년 06월)
     1. 웃어른, 사흗날, 베갯잇
     2. 닐리리, 남존녀비, 헤택
     3. 적잖은, 생각건대, 하마터면
     4. 홑몸, 밋밋하다, 선율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2. 늴리리, 남존여비, 혜택
[해설작성자 : 행인]

11. 문장 성분 간의 호응이 가장 옳은 것은?(2018년 03월)
     1. 왜냐하면 한국이 빠른 속도로 경제적 발전을 이루었다는 것이다.
     2. 그 사람이 우리에게 중요한 까닭은 우리가 합격했다는 사실이다.
     3. 내가 그 분을 처음 뵌 것은 호텔에서 내 친구하고 만나 이야기하고 있을 때였다.
     4. 학계에서는 국어 문법에 관심과 조명을 해 나가고 근대 국어에도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정답 : []
     정답률 : 79%

12. <보기>의 설명 중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사례가 아닌 것은?(2023년 06월)

    

     1. 잇다 → 이으니
     2. 묻다(間) → 물어서
     3. 이르다(至) → 이르러
     4. 낫다 → 나으니

     정답 : []
     정답률 : 60%

13. <보기>의 밑줄 친 시어를 현대어로 옮길 때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 : 채찍
     2. ㉡ : 마침내
     3. ㉢ : 그 위
     4. ㉣ : 재껴 디딜

     정답 : []
     정답률 : 72%

14. <보기> 작품의 전체 맥락을 고려할 때 ㉠에 들어갈 구절로 가장 적절한 것은?(2022년 06월)

    

     1. 숲은 푸르다
     2. 숲은 출렁거린다
     3. 바다는 조용하다
     4. 바다는 깊다

     정답 : []
     정답률 : 79%

15. 밑줄 친 단어의 성격이 다른 것은?(2022년 06월)
     1.
     2. 갖은 양념
     3. 이런 사람
     4. 외딴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2,4번은 관형사이고 3번은 서술성이 있는, (본말: 이렇다) 형용사의 관형사형이다.
[해설작성자 : 벼락기사 쟉센]

16. <보기>에 나타난 작품 감상의 관점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8년 06월)

    

     1. 반영론적 관점
     2. 효용론적 관점
     3. 표현론적 관점
     4. 객관론적 관점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반영론적 : 작품이 쓰여진 사회상황
2. 효용론적 : 작품이 독자에게 주는 영향, 작품과 독자와의 관계
3. 표현론적 : 작가의 감정이나 체험
4. 객관론적 : 작품 자체를 중시
[해설작성자 : 창일]

17. <보기 1>의 (가)~(다)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문장을 <보기 2>에서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23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9%

18. 훈민정음 해례본에 나오는 한글의 제자 원리로 가장 옳은 것은?(2016년 06월)
     1. 초성은 발음기관을 본떠 만들었는데 'ㄱ'은 혀가 윗잇몸에 닿는 모양을 본뜬 것이다.
     2. 'ㄱ, ㄴ, ㅁ, ㅅ, ㅇ' 5개의 기본 문자에 가획의 원리로 'ㅋ, ㄷ, ㅌ, ㄹ, ㅂ, ㅈ, ㅊ, ㅎ' 총 8개의 문자를 만들었다.
     3. 문자의 수는 초성 10자, 중성 10자, 종성 8자로 모두 28자이다.
     4. 연서(連書)는 'ㅇ'을 이용한 것으로서 예로는 'ㅸ'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아음)
*혀가 윗잇몸에 닿는 모양은 'ㄴ'(설음)
*입의 모양'ㅁ'(순음)
*이의 모양 'ㅅ'(치음)
*목구멍의 모양'ㅇ'(후음)
[해설작성자 : 창일]

19. 밑줄 친 단어의 품사가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2023년 06월)
     1. 여기에 다섯 명이 있다.
     2. 하나에 하나를 더하면 이다.
     3. 선생님께서 번이나 말씀하셨다.
     4. 사람이 할 일을 그 혼자 해냈다.

     정답 : []
     정답률 : 56%

20. 복합어의 조어법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2023년 06월)
     1. 개살구
     2. 돌미나리
     3. 군소리
     4. 짚신

     정답 : []
     정답률 : 44%


정 답 지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447626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국어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음운의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2월)
     1. 소리의 강약이나 고저 등은 분절되지 않으므로 음운이라고 할 수 없다.
     2. 음운은 의미를 구별해 주는 최소의 단위이므로 최소대립쌍을 통해 한 언어의 음운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3. 음운은 몇 개의 변이음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실제로 들리는 소리가 다른 경우에도 하나의 음운으로 인정할수 있다.
     4. 음운은 실제적인 소리라기보다는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기호라고 보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2. 다음 중 <보기>의 설명에 해당되지 않는 단어는?(2015년 06월)

   

     1. 보기
     2. 낯섦
     3. 낮추다
     4. 꽃답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ㅁ,음,기 명사형 전성어미
보다 + 기
낯설다 + ㅁ
[해설작성자 : 코카콜라마시따]

3. 속담과 한자성어의 뜻이 가장 비슷한 것은?(2019년 02월)
     1. 이 없으면 잇몸으로 산다-순망치한(脣亡齒寒)
     2. 개똥도 약에 쓰려면 없다-하로동선(夏爐冬扇)
     3. 우물 안의 개구리-하충의빙(夏蟲疑氷)
     4. 굽은 나무가 선산을 지킨다-설중송백(雪中松柏)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3. 하충의빙: 여름에 벌레는 얼음을 안 믿는다.

1. 순망치한: 입술이 없어지면 이가 시림.
2. 하로동선: 여름 난로와 겨울 부채.
3. 설중동백: 눈 속의 소나무와 잣나무.
[해설작성자 : 에몽]

4. <보기>는 중세국어의 표기법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따른 표기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불휘 기픈
     2.
     3.
     4.

     정답 : []
     정답률 : 64%

5. <보기>에 제시된 소설의 시대적 배경을 시간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20년 06월)

   

     1. ㄱ→ㄷ→ㄹ→ㄴ
     2. ㄱ→ㄹ→ㄷ→ㄴ
     3. ㄹ→ㄱ→ㄴ→ㄷ
     4. ㄹ→ㄴ→ㄱ→ㄷ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삼대(1931 3.1운동 전후)-광장(1960 한국전쟁 후)-무기의그늘(1960~75 베트남전쟁)-소년이온다(1980 5.18~)
[해설작성자 : 창일]

6. <보기>의 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2월)

   

     1. 황조가와 더불어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서사시다.
     2. 한시와 함께 번역한 시가가 따로 전한다.
     3. ‘물’의 상징적 의미를 따라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4. 몇 번을 죽어도 충성의 마음이 변치 않음을 노래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53%

7. 다음 중 한글 맞춤법에 따라 바르게 표기된 것은?(2015년 06월)
     1. 철수는 우리 반에서 키가 열둘째이다.
     2. 요즘 재산을 떨어먹는 사람이 많다.
     3. 나는 집에 사흘 동안 머무를 예정이다.
     4. 숫병아리가 내게로 다가왔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열두번째-열두째(차례), 열둘째:열두개째
2. 털어먹는
4. 수평아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밑줄 친 단어의 형태가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2월)
     1. 멀리서 보기와 달리 산이 가팔라서 여러 번 쉬었다.
     2. 예산이 100만 원 이상 모잘라서 구입을 포기해야 했다.
     3. 영혼을 불살라서 이룬 깨달음이니 더욱 소중하다.
     4. 말이며 행동이 모두 올발라서 흠잡을 데 없는 사람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9. <보기>의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6월)

   

     1. ㉠은 예상보다 빠르게 닥쳐온 불행을 의미한다.
     2. ㉡은 친동기 관계라는 것을 의미한다.
     3. ㉢은 다른 향가 작품에서는 찾기 어려운 생생한 표현이다.
     4. ㉣은 불교적 세계관을 보여준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낙구(아아)는 향가의 특징임
[해설작성자 : 랄라]

10. 맞춤법 사용이 올바르지 않은 것으로만 묶인 것은?(2019년 06월)
     1. 웃어른, 사흗날, 베갯잇
     2. 닐리리, 남존녀비, 헤택
     3. 적잖은, 생각건대, 하마터면
     4. 홑몸, 밋밋하다, 선율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2. 늴리리, 남존여비, 혜택
[해설작성자 : 행인]

11. 문장 성분 간의 호응이 가장 옳은 것은?(2018년 03월)
     1. 왜냐하면 한국이 빠른 속도로 경제적 발전을 이루었다는 것이다.
     2. 그 사람이 우리에게 중요한 까닭은 우리가 합격했다는 사실이다.
     3. 내가 그 분을 처음 뵌 것은 호텔에서 내 친구하고 만나 이야기하고 있을 때였다.
     4. 학계에서는 국어 문법에 관심과 조명을 해 나가고 근대 국어에도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정답 : []
     정답률 : 79%

12. <보기>의 설명 중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사례가 아닌 것은?(2023년 06월)

    

     1. 잇다 → 이으니
     2. 묻다(間) → 물어서
     3. 이르다(至) → 이르러
     4. 낫다 → 나으니

     정답 : []
     정답률 : 60%

13. <보기>의 밑줄 친 시어를 현대어로 옮길 때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 : 채찍
     2. ㉡ : 마침내
     3. ㉢ : 그 위
     4. ㉣ : 재껴 디딜

     정답 : []
     정답률 : 72%

14. <보기> 작품의 전체 맥락을 고려할 때 ㉠에 들어갈 구절로 가장 적절한 것은?(2022년 06월)

    

     1. 숲은 푸르다
     2. 숲은 출렁거린다
     3. 바다는 조용하다
     4. 바다는 깊다

     정답 : []
     정답률 : 79%

15. 밑줄 친 단어의 성격이 다른 것은?(2022년 06월)
     1.
     2. 갖은 양념
     3. 이런 사람
     4. 외딴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2,4번은 관형사이고 3번은 서술성이 있는, (본말: 이렇다) 형용사의 관형사형이다.
[해설작성자 : 벼락기사 쟉센]

16. <보기>에 나타난 작품 감상의 관점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8년 06월)

    

     1. 반영론적 관점
     2. 효용론적 관점
     3. 표현론적 관점
     4. 객관론적 관점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반영론적 : 작품이 쓰여진 사회상황
2. 효용론적 : 작품이 독자에게 주는 영향, 작품과 독자와의 관계
3. 표현론적 : 작가의 감정이나 체험
4. 객관론적 : 작품 자체를 중시
[해설작성자 : 창일]

17. <보기 1>의 (가)~(다)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문장을 <보기 2>에서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23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9%

18. 훈민정음 해례본에 나오는 한글의 제자 원리로 가장 옳은 것은?(2016년 06월)
     1. 초성은 발음기관을 본떠 만들었는데 'ㄱ'은 혀가 윗잇몸에 닿는 모양을 본뜬 것이다.
     2. 'ㄱ, ㄴ, ㅁ, ㅅ, ㅇ' 5개의 기본 문자에 가획의 원리로 'ㅋ, ㄷ, ㅌ, ㄹ, ㅂ, ㅈ, ㅊ, ㅎ' 총 8개의 문자를 만들었다.
     3. 문자의 수는 초성 10자, 중성 10자, 종성 8자로 모두 28자이다.
     4. 연서(連書)는 'ㅇ'을 이용한 것으로서 예로는 'ㅸ'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아음)
*혀가 윗잇몸에 닿는 모양은 'ㄴ'(설음)
*입의 모양'ㅁ'(순음)
*이의 모양 'ㅅ'(치음)
*목구멍의 모양'ㅇ'(후음)
[해설작성자 : 창일]

19. 밑줄 친 단어의 품사가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2023년 06월)
     1. 여기에 다섯 명이 있다.
     2. 하나에 하나를 더하면 이다.
     3. 선생님께서 번이나 말씀하셨다.
     4. 사람이 할 일을 그 혼자 해냈다.

     정답 : []
     정답률 : 56%

20. 복합어의 조어법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2023년 06월)
     1. 개살구
     2. 돌미나리
     3. 군소리
     4. 짚신

     정답 : []
     정답률 : 44%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447626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81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3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7
348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전기기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9
347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8
3478 품질경영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8
3477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9
3476 위험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1년07월22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4 8
347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경계획및생태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8
3474 응용지질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3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6
3473 9급 국가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4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7
3472 조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3월30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4 8
3471 PSAT 상황판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2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8
3470 <h2>전기기능사 필기 시험문제 및 CBT 2003년03월30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4 7
3469 인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10월05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4 8
3468 임산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20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4 7
3467 사회복지사 1급(3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2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6
3466 농작업안전보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9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9
3465 수능(지구과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11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8
3464 미용사(네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2718348)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4
3463 9급 국가직 공무원 영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7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8
3462 소음진동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5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9
Board Pagination Prev 1 ... 536 537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 715 Next
/ 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