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465543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건축물 구조설계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허용응력설계법은 탄성이론에 의한 구조해석으로 산정한 부재단면의 응력이 허용응력을 초과하도록 구조부재를 설계하는 방법이다.
     2. 강도설계법은 구조부재를 구성하는 재료의 비탄성거동을 고려하여 산정한 부재단면의 공칭강도에 강도감소계수를 곱한 설계강도가 계수하중에 의한 소요강도 이상이 되도록 구조부재를 설계하는 방법이다.
     3. 성능설계법은 건축설계기준에서 규정한 목표성능을 만족하면서 건축구조물을 건축주가 선택한 성능지표에 만족하도록 설계하는 방법이다.
     4. 한계상태설계법은 한계상태를 명확히 정의하여 하중 및 내력의 평가에 준해서 한계상태에 도달하지 않는 것을 확률통계적 계수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설계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허용응력설계법은 탄성이론에 의한 구조해석으로 산정한 부재단면의 응력이 허용응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구조부재를 설계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카시오]

2. 강구조 용접접합부에서 용접 후 검사 시에 발생될 수 있는 결함의 유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4월)
     1. 비드
     2. 블로 홀
     3. 언더컷
     4. 오버랩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비드란 용접 작업에서 모재(母材)와 용접봉이 녹아서 생긴 띠 모양의 길쭉한 파형(波形)의 용착 자국을 말한다. 따라서 결함이라 보기 힘들다.
[해설작성자 : 민디]

3.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축방향 주철근이 겹침이음되어 있지 않을 경우, 주철근의 최대 철근비는?(2021년 04월)
     1. 1%
     2. 4%
     3. 6%
     4. 8%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축방향 주철근의 철근비는 최소 0.01 이상 최대 0.08 이하이어야 하므로 답은 8%이다.
다만, 축방향 주철근이 겹침이음되는 경우의 철근비는 0.04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민디]

4. 그림과 같은 하중이 작용할 때, O점에 대한 모멘트 합의 크기[kN·m]는?(2022년 04월)

   

     1. 2
     2. 4
     3. 6
     4. 8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원점 중심으로 시계방향은 + 반시계방향은 -
P*L 의 총합
2*(2+3)-3*3-2*1+1*(1+2)=2
[해설작성자 : 리우현지인]

5. 강재의 고력볼트에 의한 마찰접합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4월)
     1. 일반볼트접합과 비교하여 응력방향이 바뀌더라도 혼란이 일어나지 않는다.
     2. 일반볼트접합과 비교하여 응력집중이 크므로 반복응력에 대하여 약하다.
     3. 설계미끄럼강도는 구멍의 종류와 무관하게 결정된다.
     4. 설계미끄럼강도는 전단면의 수와 무관하게 결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67%

6. 목재의 이음 및 맞춤 시 주의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4월)
     1. 이음 및 맞춤의 공작은 모양에 치중하지 말고 응력에 견디도록 한다.
     2. 보 또는 도리의 맞춤은 응력이 작은 중앙부에서 한다.
     3. 목재는 가능한 한 적게 깎아 내어 약하게 되지 않도록 하고, 국부적으로 큰 응력이 작용하지 않게 한다.
     4. 목재 이음의 위치는 엇갈림으로 배치함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7. 기둥 (가)와 (나)의 탄성좌굴하중을 각각 P(가)와 P(나)라 할 때, 두 탄성좌굴하중의 비(P(가)/P(나))는? (단, 기둥의 길이는 모두 같고, 휨강성은 각각의 기둥 옆에 표시한 값이며, 자중의 효과는 무시한다)(2020년 07월)

   

     1. 0.5
     2. 1
     3. 2
     4. 4

     정답 : []
     정답률 : 40%

8. 목재의 기준 허용휨응력 Fb로부터 설계 허용휨응력 F′b을 결정하기위해서 적용되는 보정계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4월)
     1. 좌굴강성계수 CT
     2. 습윤계수 CM
     3. 온도계수 Ct
     4. 형상계수 Cf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좌굴강성계수는 탄성계수만 고려하는 보정계수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9. 목구조의 구조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4월)
     1. 목구조설계 하중조합에서 지진하중을 고려할 때, 지진하중의 계수는 1.4이다.
     2. 건물외주벽체 및 주요 칸막이벽 등 구조내력상 중요한 부분의 기초는 가능한 한 연속기초로 한다.
     3. 침엽수구조재의 건조상태 구분에서 함수율이 18%를 초과하는 경우는 생재로 분류한다.
     4. 목구조 기둥의 세장비는 50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며, 시공중에는 75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목구조 설계 하중조합에서 지진하중을 고려할 때,지진하중의 계수는 0.7이다.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10. 그림과 같이 AB구간과 BC구간의 단면이 상이한 캔틸레버 보에서 B점에 집중하중 P가 작용할 때, 자유단인 C점의 처짐은? (단, AB구간과 BC구간의 휨강성은 각각 2EI와 EI이며 자중을 포함한 기타 하중의 영향은 무시한다)(2019년 04월)

    

     1. PL3/3EI
     2. 2PL3/3EI
     3. 5PL3/6EI
     4. 5PL3/12EI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단면이 상이하여 휨강성이 2배가 되었기에 하중P는 상대적으로 1/2이 된다.
공식:Pa^2/6EI * (3l-a)
에 적용해보면 P/2*L^2/6EI * (6L-L)
=5PL^3/12EI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11. 목구조에서 바닥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며 평평한 바닥면을 이루기 위하여 설치하는 바닥 덮개를 지지하는 골조 부재는?(2024년 03월)
     1. 마룻대
     2. 바닥장선
     3. 바닥도리
     4. 토대

     정답 : []
     정답률 : 61%

12. 철근콘크리트 보에 10년 동안 지속하중이 작용할 때, 이 보의 장기 추가처짐에 대한 계수(λ)는? (단, 압축철근비(ρ′)는 0.00096이며, 인장철근비(ρ)는 0.0066이다)(2024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2%

13. 다음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에서 x축과 y축이 도심을 지날 때, x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 Ix와 y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 Iy의 비(Ix : Iy)는?(2013년 07월)

    

     1. 2 : 1
     2. 1 : 2
     3. 4 : 1
     4. 1 : 4

     정답 : []
     정답률 : 63%

14. 콘크리트구조 철근상세 설계기준에서 수축ㆍ온도철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4월)
     1. 슬래브에서 휨철근이 1방향으로만 배치되는 경우, 이 휨철근에 직각방향으로 수축ㆍ온도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2. 1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수축ㆍ온도철근비는 콘크리트 전체 단면적에 대한 수축ㆍ온도철근 단면적의 비로 한다.
     3. 1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 배치되는 수축ㆍ온도철근의 간격은 슬래브 두께의 6배 이하, 또한 5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4. 1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서 수축ㆍ온도철근은 설계기준항복강도(fy)를 발휘할 수 있도록 정착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수축, 온도 철근의 간격은 슬래브 두께의 5배 이하, 45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쩡이]

15. 목구조의 접합에서 주로 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보강철물은?(2008년 04월)
     1. 볼트
     2. 띠쇠
     3. 꺾쇠
     4. 뒤벨

     정답 : []
     정답률 : 66%

16. 다음 그림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P-M 상관도에 기둥의 세장비에 따른 파괴양상을 표현하였다. (가)~(다)에 들어갈 말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2023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7%

17. 등가정적해석법을 사용하여 고유주기가 1초 이상인 구조물의 밑면전단력을 산정할 때, 밑면전단력이 가장 큰 구조물은?(2012년 04월)
     1. 중량이 작고 고유주기가 짧은 구조물
     2. 중량이 작고 고유주기가 긴 구조물
     3. 중량이 크고 고유주기가 짧은 구조물
     4. 중량이 크고 고유주기가 긴 구조물

     정답 : []
     정답률 : 73%

18. 다음은 온도변화에 따른 강재의 특성에 관한 내용이다. (가)~(다)에 들어갈 말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2023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0%

19. 고력볼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4월)
     1. 고력볼트의 유효단면적은 공칭단면적의 0.75배로 한다.
     2. 고력볼트의 구멍 중심간 거리는 공칭직경의 2.5배 이상으로 한다.
     3. 마찰접합은 사용성한계상태의 미끄럼방지를 위해 사용되거나 강도한계상태에서 사용된다.
     4. 밀착조임은 진동이나 하중변화에 따른 고력볼트의 풀림이나 피로가 설계에 고려되는 경우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4.밀착조임은 지압접합에서 고력볼트의 조임방법으로 사용되며 임펙트 렌치로 수 회,일반렌치로 최대한 조여서 접합판이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만들어야 한다.또한 진동이나 하중변화에 따른 고력볼트의 풀림이나 피로가 설계에 고려되지 않는 경우에만 적용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20. 구조물 A, B, C의 고유주기 TA, TB, TC를 큰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단, m은 질량이고 모든 보는 강체이며, 모든 기둥의 재료와 단면은 동일하다)(2012년 04월)

    

     1. TA=TB=TC
     2. TA > TB > TC
     3. TB > TA > TC
     4. TC > TB >TA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고유주기가 크다는 것은 질량이 크고 강성은 약하며 진동수가 적다는 것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정 답 지

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465543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건축물 구조설계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허용응력설계법은 탄성이론에 의한 구조해석으로 산정한 부재단면의 응력이 허용응력을 초과하도록 구조부재를 설계하는 방법이다.
     2. 강도설계법은 구조부재를 구성하는 재료의 비탄성거동을 고려하여 산정한 부재단면의 공칭강도에 강도감소계수를 곱한 설계강도가 계수하중에 의한 소요강도 이상이 되도록 구조부재를 설계하는 방법이다.
     3. 성능설계법은 건축설계기준에서 규정한 목표성능을 만족하면서 건축구조물을 건축주가 선택한 성능지표에 만족하도록 설계하는 방법이다.
     4. 한계상태설계법은 한계상태를 명확히 정의하여 하중 및 내력의 평가에 준해서 한계상태에 도달하지 않는 것을 확률통계적 계수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설계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허용응력설계법은 탄성이론에 의한 구조해석으로 산정한 부재단면의 응력이 허용응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구조부재를 설계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카시오]

2. 강구조 용접접합부에서 용접 후 검사 시에 발생될 수 있는 결함의 유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4월)
     1. 비드
     2. 블로 홀
     3. 언더컷
     4. 오버랩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비드란 용접 작업에서 모재(母材)와 용접봉이 녹아서 생긴 띠 모양의 길쭉한 파형(波形)의 용착 자국을 말한다. 따라서 결함이라 보기 힘들다.
[해설작성자 : 민디]

3.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축방향 주철근이 겹침이음되어 있지 않을 경우, 주철근의 최대 철근비는?(2021년 04월)
     1. 1%
     2. 4%
     3. 6%
     4. 8%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축방향 주철근의 철근비는 최소 0.01 이상 최대 0.08 이하이어야 하므로 답은 8%이다.
다만, 축방향 주철근이 겹침이음되는 경우의 철근비는 0.04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민디]

4. 그림과 같은 하중이 작용할 때, O점에 대한 모멘트 합의 크기[kN·m]는?(2022년 04월)

   

     1. 2
     2. 4
     3. 6
     4. 8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원점 중심으로 시계방향은 + 반시계방향은 -
P*L 의 총합
2*(2+3)-3*3-2*1+1*(1+2)=2
[해설작성자 : 리우현지인]

5. 강재의 고력볼트에 의한 마찰접합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4월)
     1. 일반볼트접합과 비교하여 응력방향이 바뀌더라도 혼란이 일어나지 않는다.
     2. 일반볼트접합과 비교하여 응력집중이 크므로 반복응력에 대하여 약하다.
     3. 설계미끄럼강도는 구멍의 종류와 무관하게 결정된다.
     4. 설계미끄럼강도는 전단면의 수와 무관하게 결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67%

6. 목재의 이음 및 맞춤 시 주의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4월)
     1. 이음 및 맞춤의 공작은 모양에 치중하지 말고 응력에 견디도록 한다.
     2. 보 또는 도리의 맞춤은 응력이 작은 중앙부에서 한다.
     3. 목재는 가능한 한 적게 깎아 내어 약하게 되지 않도록 하고, 국부적으로 큰 응력이 작용하지 않게 한다.
     4. 목재 이음의 위치는 엇갈림으로 배치함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7. 기둥 (가)와 (나)의 탄성좌굴하중을 각각 P(가)와 P(나)라 할 때, 두 탄성좌굴하중의 비(P(가)/P(나))는? (단, 기둥의 길이는 모두 같고, 휨강성은 각각의 기둥 옆에 표시한 값이며, 자중의 효과는 무시한다)(2020년 07월)

   

     1. 0.5
     2. 1
     3. 2
     4. 4

     정답 : []
     정답률 : 40%

8. 목재의 기준 허용휨응력 Fb로부터 설계 허용휨응력 F′b을 결정하기위해서 적용되는 보정계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4월)
     1. 좌굴강성계수 CT
     2. 습윤계수 CM
     3. 온도계수 Ct
     4. 형상계수 Cf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좌굴강성계수는 탄성계수만 고려하는 보정계수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9. 목구조의 구조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4월)
     1. 목구조설계 하중조합에서 지진하중을 고려할 때, 지진하중의 계수는 1.4이다.
     2. 건물외주벽체 및 주요 칸막이벽 등 구조내력상 중요한 부분의 기초는 가능한 한 연속기초로 한다.
     3. 침엽수구조재의 건조상태 구분에서 함수율이 18%를 초과하는 경우는 생재로 분류한다.
     4. 목구조 기둥의 세장비는 50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며, 시공중에는 75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목구조 설계 하중조합에서 지진하중을 고려할 때,지진하중의 계수는 0.7이다.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10. 그림과 같이 AB구간과 BC구간의 단면이 상이한 캔틸레버 보에서 B점에 집중하중 P가 작용할 때, 자유단인 C점의 처짐은? (단, AB구간과 BC구간의 휨강성은 각각 2EI와 EI이며 자중을 포함한 기타 하중의 영향은 무시한다)(2019년 04월)

    

     1. PL3/3EI
     2. 2PL3/3EI
     3. 5PL3/6EI
     4. 5PL3/12EI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단면이 상이하여 휨강성이 2배가 되었기에 하중P는 상대적으로 1/2이 된다.
공식:Pa^2/6EI * (3l-a)
에 적용해보면 P/2*L^2/6EI * (6L-L)
=5PL^3/12EI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11. 목구조에서 바닥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며 평평한 바닥면을 이루기 위하여 설치하는 바닥 덮개를 지지하는 골조 부재는?(2024년 03월)
     1. 마룻대
     2. 바닥장선
     3. 바닥도리
     4. 토대

     정답 : []
     정답률 : 61%

12. 철근콘크리트 보에 10년 동안 지속하중이 작용할 때, 이 보의 장기 추가처짐에 대한 계수(λ)는? (단, 압축철근비(ρ′)는 0.00096이며, 인장철근비(ρ)는 0.0066이다)(2024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2%

13. 다음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에서 x축과 y축이 도심을 지날 때, x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 Ix와 y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 Iy의 비(Ix : Iy)는?(2013년 07월)

    

     1. 2 : 1
     2. 1 : 2
     3. 4 : 1
     4. 1 : 4

     정답 : []
     정답률 : 63%

14. 콘크리트구조 철근상세 설계기준에서 수축ㆍ온도철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4월)
     1. 슬래브에서 휨철근이 1방향으로만 배치되는 경우, 이 휨철근에 직각방향으로 수축ㆍ온도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2. 1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수축ㆍ온도철근비는 콘크리트 전체 단면적에 대한 수축ㆍ온도철근 단면적의 비로 한다.
     3. 1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 배치되는 수축ㆍ온도철근의 간격은 슬래브 두께의 6배 이하, 또한 5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4. 1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서 수축ㆍ온도철근은 설계기준항복강도(fy)를 발휘할 수 있도록 정착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수축, 온도 철근의 간격은 슬래브 두께의 5배 이하, 45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쩡이]

15. 목구조의 접합에서 주로 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보강철물은?(2008년 04월)
     1. 볼트
     2. 띠쇠
     3. 꺾쇠
     4. 뒤벨

     정답 : []
     정답률 : 66%

16. 다음 그림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P-M 상관도에 기둥의 세장비에 따른 파괴양상을 표현하였다. (가)~(다)에 들어갈 말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2023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7%

17. 등가정적해석법을 사용하여 고유주기가 1초 이상인 구조물의 밑면전단력을 산정할 때, 밑면전단력이 가장 큰 구조물은?(2012년 04월)
     1. 중량이 작고 고유주기가 짧은 구조물
     2. 중량이 작고 고유주기가 긴 구조물
     3. 중량이 크고 고유주기가 짧은 구조물
     4. 중량이 크고 고유주기가 긴 구조물

     정답 : []
     정답률 : 73%

18. 다음은 온도변화에 따른 강재의 특성에 관한 내용이다. (가)~(다)에 들어갈 말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2023년 04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0%

19. 고력볼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4월)
     1. 고력볼트의 유효단면적은 공칭단면적의 0.75배로 한다.
     2. 고력볼트의 구멍 중심간 거리는 공칭직경의 2.5배 이상으로 한다.
     3. 마찰접합은 사용성한계상태의 미끄럼방지를 위해 사용되거나 강도한계상태에서 사용된다.
     4. 밀착조임은 진동이나 하중변화에 따른 고력볼트의 풀림이나 피로가 설계에 고려되는 경우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4.밀착조임은 지압접합에서 고력볼트의 조임방법으로 사용되며 임펙트 렌치로 수 회,일반렌치로 최대한 조여서 접합판이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만들어야 한다.또한 진동이나 하중변화에 따른 고력볼트의 풀림이나 피로가 설계에 고려되지 않는 경우에만 적용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20. 구조물 A, B, C의 고유주기 TA, TB, TC를 큰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단, m은 질량이고 모든 보는 강체이며, 모든 기둥의 재료와 단면은 동일하다)(2012년 04월)

    

     1. TA=TB=TC
     2. TA > TB > TC
     3. TB > TA > TC
     4. TC > TB >TA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고유주기가 크다는 것은 질량이 크고 강성은 약하며 진동수가 적다는 것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4655437)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68 9급 국가직 공무원 정보보호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1467 위험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9월27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1466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6472226) 좋은아빠되기 2025.11.12 3
1465 9급 지방직 공무원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1464 DIAT 정보통신상식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12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6
146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통신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26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1462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5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1461 지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5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3
146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기계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1459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9월27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1458 변리사 1차(3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2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1457 수능(경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7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3
1456 전기철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1455 경찰공무원(순경)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8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2
» 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4655437)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1453 침투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10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145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1451 생산자동화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12월08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2 3
1450 전산세무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07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1449 금속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2월01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Board Pagination Prev 1 ...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 192 Next
/ 192